교황 에우제니오 4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1431년부터 1447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이다. 그는 베네치아 출신으로, 교황 선출 전에는 시에나 주교, 교황청 서기장 등을 역임했다. 에우제니오 4세는 바젤 공의회와의 갈등으로 공의회 수위설과 교황권의 대립을 겪었으며, 동방 교회와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는 노예제도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으며, 카나리아 제도 원주민 노예화에 대해 강력히 비판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격동적이었으며, 바젤 공의회에서 승리하고 교회 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나, 유럽 군주들에게 양보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레르가 - 코레르 박물관
코레르 박물관은 이탈리아 베네치아 산마르코 광장에 위치하며 테오도로 코레르의 기증으로 시작, 베네치아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예술 작품, 문서, 귀족 가문 컬렉션을 소장하고 특히 베네치아 회화, 도제의 시대, 베네치아 아르세날레, 군사력, 프란체스코 모로시니 관련 유물 등 베네치아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는 소장품이 특징인 박물관이다. - 코레르가 - 교황 바오로 2세
교황 바오로 2세는 1464년부터 1471년까지 재위하며 교황청 개혁을 시도하고 인쇄술을 도입했으나, 사치스러운 생활과 유대인 차별 정책을 펼치다가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1447년 사망 -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는 초기 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 화가로, 로렌초 기베르티의 조수로 시작하여 마사초와 함께 브란카치 예배당 벽화 제작에 참여했으며, 혁신성은 부족하나 서정적인 분위기의 작품을 남겼다. - 1447년 사망 -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는 1412년부터 1447년까지 밀라노 공작으로 재임하며 권력 강화를 위해 정략 결혼과 용병을 활용하여 영토를 확장하려 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비스콘티 가문의 남성 직계가 단절되었고, 그의 사생녀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결혼한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밀라노 공작위를 계승했다. - 1383년 출생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 1383년 출생 -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는 초기 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 화가로, 로렌초 기베르티의 조수로 시작하여 마사초와 함께 브란카치 예배당 벽화 제작에 참여했으며, 혁신성은 부족하나 서정적인 분위기의 작품을 남겼다.
교황 에우제니오 4세 | |
---|---|
기본 정보 | |
칭호 | 로마 주교 |
본명 | 가브리엘레 콘둘메르 |
출생 | 1383년,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
사망 | 1447년 2월 23일, 교황령 로마 |
재임 시작 | 1431년 3월 11일 |
재임 종료 | 1447년 2월 23일 |
선임자 | 마르티노 5세 |
후임자 | 니콜라오 5세 |
수도회 | OSA |
경력 | |
주교 서임 | 1408년 |
서임자 | 그레고리오 12세 |
추기경 임명 | 1408년 5월 9일 |
임명자 | 그레고리오 12세 |
이전 직책 | 시에나 주교 (1407년–1408년) 산 클레멘테 추기경 (1408년–1426년)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추기경 (1426년–1431년) |
![]() |
2. 어린 시절
본명은 Gabriele Condulmaroita로,[1] 베네치아의 부유한 상인 가문인 콘둘메르 가문 출신이다. 그의 아버지는 1383년 고아 소녀들을 위한 시설을 설립하기도 했다.[1] 가브리엘은 외삼촌인 안젤로 코레르(훗날 교황 그레고리오 12세)의 감독 아래 초기 교육을 받았다.[2] 그는 1400년 고향에서 친구들과 함께 산 조르지오 인 알가 정규 성직자회를 설립했으며, 이 수도회는 1404년 11월 교황의 승인을 받았다.[3]
교황 마르티노 5세는 1431년 2월 20일 뇌졸중으로 사망했다.[9] 그의 후임을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는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의 교회와 수도원에서 1431년 3월 1일에 시작되었다. 조르다노 오르시니 알바노 주교를 비롯한 14명의 추기경이 참여했다.[9]
에우제니오 4세의 재위 기간 중 가장 중요한 사건은 교황권과 공의회 수위설을 주장하는 바젤 공의회(1431–1439) 사이의 격렬한 대립이었다.[14] 이 공의회는 전임 교황 마르티노 5세의 소집령에 따라 1431년 7월 23일 교황 특사 줄리아노 체사리니 추기경에 의해 개막되었다. 그러나 에우제니오 4세는 바젤의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보고를 받고[15][82] 공의회 참석자 수가 적다는 이유로 1431년 12월 18일 공의회를 해산하고 18개월 후 볼로냐에서 새로 공의회를 소집한다는 칙령을 발표했다.[16]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전임 교황 마르티노 5세의 친족인 콜론나 가문과의 갈등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 마르티노 5세 사후, 에우제니오 4세가 교황이 되자 콜론나 가문은 로마에서 반란을 일으켜 공화국을 세웠다.[19] 또한, 교황이 롬바르디아 전쟁에서 밀라노에 맞서 피렌체와 베네치아를 지원하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밀라노 공작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의 군대가 교황령을 침공하는 등 내우외환에 시달렸다.
동로마 제국 황제 요한네스 8세 팔레올로고스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에우제니오 4세에게 십자군 파병과 동방 정교회와의 통합을 제안했다.
1430년대 초 카나리아 제도에서는 기독교가 확산되어 많은 개종자가 생겨났다.[49] 하지만 이 지역의 소유권을 두고 포르투갈 왕국과 카스티야 왕국이 분쟁을 벌였고, 효과적인 통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주민들이 노예로 팔려나가는 일이 빈번했다.[88] 이미 922년 코블렌츠 지역 공의회에서는 기독교 신자가 다른 신자를 노예로 삼는 행위를 강하게 비판한 바 있었다.[88][49]
[1]
서적
Private Lives in Renaissance Venice: Art, Architecture, and the Famil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4
1407년 12월 30일, 24세의 나이로 외삼촌인 교황 그레고리오 12세에 의해 시에나 주교로 임명되었다.[4][80] 당시 주교 서품을 받기 위한 최소 연령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교황의 특별 면제가 필요했다.[4] 그러나 시에나의 정치 지도자들은 젊은 나이와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그의 임명에 반대했다.[80][5] 결국 그는 1408년 시에나 주교직을 사임하였다.[5]
주교직 사임 후, 그는 교황청 회계 담당, 교황청 서기장, 사도좌 재무부 성직자 등을 역임했다.[80][5] 1408년 5월 9일, 교황 그레고리오 12세는 그를 산 클레멘테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으로 서임했다.[5][6][80]
이후 교황 마르티노 5세 치세에는 1420년 2월 7일 안코나 변경주 피체눔의 교황 사절로 임명되었고,[7] 1423년 8월에는 볼로냐로 전임되었다.[7] 또한 1427년에는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8][80]
3. 교황 선출
가브리엘로 콘둘메르는 1431년 교황 선거에서 마르티노 5세의 후임으로 빠르게 선출되었으며,[80] 에우제니오 4세라는 이름을 선택했다.[10] 그는 1431년 3월 11일 성 베드로 대성전 계단에서 알폰소 카리요 데 알보르노스 추기경에 의해 대관식을 가졌다.[10] 콘클라베에 앞서 추기경들 간의 서면 합의가 있었는데, 에우제니오 4세는 교황으로 선출되면 모든 교회 세입의 절반을 추기경들에게 나누어 주고, 영적인 문제와 세속적인 문제에 있어서 중요한 사안은 추기경들과 함께 상의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합의는 1431년 3월 12일에 교황으로서 비준되었다.[10]
에우제니오 4세는 키가 크고 날씬하며, 매력적이고 호감 가는 용모를 지녔다고 묘사된다.[81][12] 그러나 분쟁 해결 능력이 부족하고 융통성이 없어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않았으며,[81] 재치 부족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그에게서 멀어졌다는 평가도 있다.[12][13]
4. 교황청과 공의회의 갈등
교황의 이러한 조치는 공의회 참석자들의 강한 반발을 샀으며, 교황청이 진정한 개혁을 원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주었다. 바젤 공의회는 해산을 거부하고, 오히려 콘스탄츠 공의회의 결의를 재확인하며 공의회가 교황보다 우위에 있음을 선언하고 에우제니오 4세에게 바젤로 출두할 것을 명령했다. 이 갈등은 1433년 5월 31일 로마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한 지기스문트의 중재로 일시적으로 봉합되었다. 교황은 공의회 해산 칙령을 철회하고, 교황으로서의 모든 권한을 보유한다는 조건 하에 공의회를 에큐메니컬 공의회로 인정했다. 다만, 교황권보다 공의회의 우위를 주장한 초기 결의들에 대한 승인은 보류하였다.[18][63][81]
그러나 교황과 바젤 공의회 사이의 갈등은 다시 불거졌다. 에우제니오 4세는 1438년 1월 8일, 이탈리아의 페라라에서 새로운 공의회를 소집하고[28] 바젤에 남아있는 고위 성직자들을 파문했다.[32][84] 페라라 공의회는 역병 발생으로 인해 1439년 1월 10일 피렌체로 이전되었다.[42]
이에 샤를 7세는 프랑스 성직자들의 페라라 공의회 참석을 금지하고, 바젤 공의회의 결의 사항을 일부 수정하여 프랑스 교회의 독자성을 강화하는 부르주 실용 제재(1438년 7월 7일)를 발표했다. 이는 프랑스 교회의 독립성을 주장하는 갈리카니즘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31] 반면, 잉글랜드와 부르고뉴 공작은 바젤 공의회가 프랑스에 편향되었다고 판단하여 이를 인정하지 않았으며,[32][33] 카스티야, 아라곤, 밀라노, 바이에른 등도 바젤 공의회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34][85]
바젤 공의회는 이에 맞서 1438년 1월 24일 에우제니오 4세의 교황직을 정지시키고,[35] 1439년 6월 25일에는 그를 이단으로 규정하며 폐위를 선언했다.[38][85] 이후 1439년 11월, 사보이아 공작 아메데오 8세를 대립교황 펠릭스 5세로 선출했다.[40][34][85] 독일에서는 1439년 3월 마인츠 의회에서 교황의 권한을 제한하는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41]
한편, 피렌체 공의회에서는 동로마 제국 황제 요안니스 8세 팔레올로고스의 요청에 따라 동방 정교회와의 교회 통합을 논의했다. 이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 서방의 지원을 얻기 위한 정치적 목적도 있었다. 1439년 7월, 동서 교회의 일치를 선언하는 교령 Laetentur caeli|레텐투르 카일리la가 발표되어 일시적으로 교황의 위상이 높아지는 듯 보였다.[43][84] 이후 에우제니오 4세는 아르메니아 사도교회(1439),[44] 시리아 정교회 일부(1443), 네스토리우스파 및 마론파 일부(1445)와도 통합을 시도했다.[45][63][86] 그러나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조직한 십자군이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참패하고 교황 특사 체사리니 추기경마저 전사하면서[63] 동방 교회와의 실질적인 통합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대립교황 펠릭스 5세는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도 폭넓은 지지를 얻지 못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는 점차 에우제니오 4세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돌아섰고, 그의 조언가이자 훗날 교황 비오 2세가 되는 인문주의자 에네아스 실비우스 피콜로미니는 1442년 에우제니오 4세와 화해했다. 또한 교황이 아라곤 왕국의 알폰소 5세가 나폴리 왕위를 차지하는 것을 인정하면서[87][63] 이탈리아 내에서 바젤 공의회를 지지하는 세력은 거의 사라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에우제니오 4세는 10년에 가까운 망명 생활을 끝내고 1443년 9월 28일 로마로 돌아올 수 있었다.[48] 프랑스의 부르주 실용 제재에 대한 항의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1447년 2월 독일 선제후들이 제후 협약을 통해 대립교황 펠릭스 5세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식화하면서[63] 교황의 입지는 더욱 강화되었다. 이 합의는 에우제니오 4세가 사망한 직후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5. 교황령 문제와 로마 탈출
결국 1434년 6월 4일, 에우제니오 4세는 베네딕토회 수도복으로 변장하고 테베레강에서 배를 타고 로마를 탈출해야 했다. 강 양쪽 기슭에서 날아오는 돌을 피하며 강을 따라 내려간 교황은 오스티아에서 대기하고 있던 피렌체 공화국의 배에 올라 피신했다.[20][83] 페르디난트 그레고로비우스는 이를 두고 "에우제니우스는 자신의 무능함으로 국가의 권위를 잃고, 그의 전임자들처럼 도피를 결심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21] 교황은 피사를 거쳐 그해 10월 피렌체에 도착하여 망명 생활을 시작했다.[21]
교황이 로마를 떠난 사이, 로마는 1434년 10월 레카나티의 주교 조반니 비텔레스키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다시 교황에게 복종하게 되었다.[13][22][81] 교황은 1436년 4월 볼로냐로 거처를 옮겼고, 그동안 교황의 콘도티에로인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와 비텔레스키 주교는 교황령의 많은 부분을 재정복했다. 이 과정에서 프레페티 디 비코 가문과 같은 전통적인 교황의 적들이 제거되었고, 콜론나 가문은 1437년 그들의 거점인 팔레스트리나가 파괴된 후 교황에게 복종했다.[26][81] 하지만 이 재정복 과정은 상당한 폭력과 파괴를 동반했다. 인문주의자 포조 브라촐리니는 당시 상황에 대해 "전쟁으로 황폐해진 나라, 인구가 줄고 폐허가 된 도시, 황폐화된 들판, 강도들이 들끓는 길, 군인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파괴되고 약탈당한 50곳이 넘는 장소들은 모든 종류의 복수를 겪었다"고 기록했다.[27]
에우제니오 4세는 거의 10년에 가까운 망명 생활을 마치고 1443년 9월 28일에 로마로 돌아올 수 있었다.[48] 로마 귀환 당시 콜론나 광장에서 그는 "교회를 만세! 새로운 세금과 그것을 발명한 자들을 타도하라."는 군중들의 함성을 들어야 했다.[48]
6. 동서 교회 통합 시도와 실패
이에 에우제니오 4세는 1438년 1월 이탈리아 페라라에서 공의회를 소집하여 동서 교회 통합 논의를 시작했다.[84][28]
그러나 역병이 발생하자 1439년 1월, 공의회는 코시모 데 메디치의 지원을 받아 피렌체로 장소를 옮겼다.[42]
피렌체 공의회에서는 1439년 7월 6일, 교황 칙서 'Laetentur caeli'를 통해 동서 교회의 공식적인 통합과 교황 수위권을 선언했다.[43][84] 이는 정치적 상황 속에서 교황의 권위를 일시적으로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84][43]
하지만 이 선언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비롯한 동방 정교회 내부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고, 약속되었던 십자군 원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자 동방 교회 측이 통합 결정을 철회하면서 실질적인 통합은 실패로 돌아갔다.
그럼에도 에우제니오 4세는 다른 동방 교회들과의 일치를 계속 추진하여, 아르메니아 사도교회(1439년 11월 22일),[86][44] 시리아 정교회 일부(1443년),[86][45] 그리고 네스토리우스파와 마론파 일부(1445년)와 각각 합의를 이루었다.[86][45]
한편, 동로마 제국을 지원하고 오스만 제국의 팽창을 막기 위해 1443년 십자군 원정을 추진하고 교황청 수입의 5분의 1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86][63] 그러나 폴란드-헝가리 연합군 중심의 십자군은 1444년 11월 10일 바르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에 크게 패배했다.[86][63] 이 전투에서 교황 특사였던 체사리니 추기경도 전사하면서,[86][63] 동서 교회 통합의 희망은 더욱 멀어졌다.
7. 노예제도 반대
카나리아 제도 교구장 페르난도 칼베토스 주교의 탄원을[89][50] 받아들인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노예 문제에 개입하여, 1434년 12월 17일 교황 칙서 《Creator Omnium》을 발표했다.[51] 이 칙서를 통해 과거 이교도 지역이라는 이유로 포르투갈에게 허용했던 섬 정복 권한을 취소하고,[90][51] 기독교로 개종한 원주민을 노예로 삼는 모든 이를 파문에 처했다. 이 파문은 노예가 된 이들이 자유와 재산을 되찾을 때까지 유효했다.[90][52] 같은 해 발표된 또 다른 칙서 ''Regimini Gregis Dominici''는 기독교로 개종한 카나리아인의 노예화를 금지하고,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평화로운 선교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추가적인 정복 중단을 명령했다.[53][54]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르투갈 군인들이 1435년에도 카나리아 제도에서 약탈을 계속하자, 에우제니오 4세는 칙서 《Sicut Dudum》을 발표하여 카나리아 제도에 대한 전쟁과 주민 노예화를 더욱 강력히 금지했다.[91][55] 그는 노예화된 주민들의 즉각적인 해방을 명령하며, 이를 15일 이내에 이행하지 않으면 자동 파문될 것이라고 경고했다.[55] 《Sicut Dudum》은 유럽인들이 신대륙을 발견하기 60여 년 전에 이미 노예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92][61]
그러나 1436년 9월, 에우제니오 4세는 포르투갈의 에두아르두 국왕에게 카나리아 제도의 비개종 지역 정복을 허용하는 칙서를 발표하며 기존 입장을 다소 완화했다. 이 칙서는 기독교인은 보호하되, 세례받지 않은 이들의 노예화는 암묵적으로 허용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56] 또한 1441년 리스본에 아프리카 포로들이 도착하자, 엔리케 왕자의 요청에 따라 1442년 칙서 ''Illius qui se pro divini''를 통해 서아프리카 해안 공격을 십자군으로 규정하고 관련자들에게 죄의 사면을 약속하기도 했다.[57][58] 1443년 칙서 "Rex regum"에서는 아프리카 영유권 분쟁에 대해 중립을 지켰다.[59]
역사학자 리처드 레이스웰은 에우제니오 4세의 초기 칙서들이 이후 유럽에서 노예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사고 발전에 기여했다고 평가한다.[60] 조엘 S. 판저 역시 《Sicut Dudum》을 노예제에 대한 중요한 비판으로 간주한다.[61]
8. 죽음과 유산
에우제니오 4세는 1447년 2월 23일 로마에서 선종했으며,[80][64] 성 베드로 대성전 내부에 있는 교황 에우제니오 3세의 무덤 옆에 안장되었다. 그의 무덤은 나중에 테베레 강 건너편에 있는 산 살바토레 인 라우로 성당으로 이장되었다.
그의 교황 재임 기간은 매우 격동적이었으며, 여러 사건들로 인해 그는 죽기 직전에 자신이 수도원을 떠난 것을 후회했다고 전해진다.[63][62] 그럼에도 에우제니오 4세는 바젤 공의회와의 대립에서 승리하고 교회 일치를 위해 노력함으로써, 공의회 지상주의 운동의 약화에 크게 기여했다. 이를 통해 서구 대이교(1378–1417) 이전 교황청이 가졌던 강력한 지위를 외형적으로나마 회복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3] 하지만 이러한 성과는 유럽의 군주들에게 상당 부분 양보함으로써 얻어진 것이었고, 결과적으로 이후 교황청은 재정 수입을 교황령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다.
에우제니오 4세는 몸가짐에 위엄이 있었으나, 실제 행동에 있어서는 경험이 부족하고 우유부단하며 쉽게 흥분하는 성격이었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이단에 대해서는 단호한 태도를 보였지만,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많은 친절과 호의를 베풀었다. 또한 수도원주의, 특히 프란치스코회의 개혁을 위해 노력했으며, 족벌주의의 폐단을 답습하지 않으려 애썼다. 사생활에서는 검소했지만, 예술과 학문의 진정한 후원자로서 1431년에는 로마 대학교를 재건했으며,[63] 1436년 3월 25일에는 피렌체 대성당을 직접 축성하기도 했다.
참조
[2]
서적
Italia sacra
https://books.google[...]
Coleti
null
[3]
논문
La fondazione dei canonici secolari di S. Giorgio in Alga
1959
[4]
서적
null
null
null
[5]
서적
null
null
null
[6]
웹사이트
Pope Eugene IV
http://augnet.org/de[...]
[7]
서적
Vita Viri Clarissimi Et Famosissimi Kyriaci Anconitani
https://books.google[...]
Philadelphia
1996
[8]
서적
null
null
null
[9]
서적
null
null
null
[10]
서적
Caesaris S. R. E. Cardinalis Baronii, Od. Raynaldi et Jac. Laderchii Annales Ecclesiastici
null
Ludovicus Guerin
1874
[11]
서적
null
null
null
[12]
서적
Life of Pope Eugenius IV
https://books.google[...]
Routledge & Sons
1926
[13]
웹사이트
Pope Eugene IV
http://www.newadvent[...]
2014-07-23
[14]
서적
General Councils, 1409–1517: Oxford Bibliographies Online Research Guid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5]
웹사이트
The Council of Florence
http://www.newadvent[...]
2016-02-23
[16]
서적
Epistolae pontificiae ad Concilium Florentinum spectantes
https://books.google[...]
Pontifical Oriental Institute
1940
[17]
서적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https://books.google[...]
A. Zatta
1788
[18]
논문
Councils of the Catholic Reformation: A historical Survey
https://books.googl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08
[19]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null
[20]
서적
A Sudden Terro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21]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null
[22]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null
[23]
서적
null
null
null
[24]
서적
null
null
null
[25]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null
[26]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null
[27]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null
[28]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null
[29]
서적
null
null
null
[30]
서적
Epistolae pontificiae ad Concilium Florentinum spectantes
https://books.google[...]
Pontifical Oriental Institute
1944
[31]
서적
The Gallican Church: A History of the Church of France from the Concordat of Bologna, A.D. 1516, to the Revolution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872
[32]
서적
Pope Eugenius IV, the Council of Basel and the Secular and Ecclesiastical Authorities in the Empire: The Conflict Over Supreme Authority and Power in the Church
https://books.google[...]
Brill
1978
[33]
서적
Le Pape et le Concile: 1418– 1450
https://books.google[...]
Picard
1909
[34]
웹사이트
Council of Basle
http://www.newadvent[...]
2014-07-24
[35]
서적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https://books.google[...]
A. Zatta
1788
[36]
서적
undefined
https://books.google[...]
[37]
서적
undefined
https://books.google[...]
[38]
서적
undefined
https://books.google[...]
[39]
서적
Le château de Ripaille
https://books.google[...]
C. Delagrave
1907
[40]
서적
Die Wahl Amadeo's von Savoyen zum Papste durch das Basler Konzil (1439)
https://books.google[...]
R. Friedrich
1901
[41]
서적
Annales ecclesiastici; Sanctio pragmatica Germanorum illustrata
https://books.google[...]
Ludovici Guerin, Rolandus
1874, 1789
[42]
서적
undefined
https://books.google[...]
[43]
서적
The Council of Flor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9
[44]
서적
Laetentur Caeli: Bulls of Union with the Greeks, Armenians, Coptic, and Ethiopian Churches
https://play.google.[...]
Dalcassian Press
2007-01
[45]
웹사이트
The Council of Florence
http://www.newadvent[...]
1909-02-23
[46]
서적
undefined
[47]
서적
undefined
https://books.google[...]
[48]
서적
undefined
https://books.google[...]
[49]
웹사이트
"Decrees on Sale of Unfree Christians", Medieval Sourcebook, Fordham University
http://www.fordham.e[...]
2014-07-24
[50]
서적
Religious Warfare in Europe 1400–1536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51]
서적
Monumenta Henricina Volume V
https://books.google[...]
UC Biblioteca Geral 1
1963
[52]
서적
Eugene IV, Papal bulls of
https://books.google[...]
ABC-CLIO
1997
[53]
서적
Carácter de la conquista y colonización de las islas Canarias: Discursos léidos ante la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en la recepción pública de don Rafael Torres Campos el día 22 de diciembre de 1901
https://books.google[...]
Impr. y litogr. del Departmentósito de la guerra
1901
[54]
서적
Before Columbus: Exploration and Colonization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Atlantic, 1229–1492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7
[55]
서적
undefined
2005
[56]
서적
undefined
2007
[57]
서적
Monumenta Henricina; Bullarium patronatus Portugalliae regum in ecclesiis Africae, Asiae atque Oceaniae
https://books.google[...]
Ex Typographia nationali
1964, 1868
[58]
서적
undefined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Spain). Departamento de Misionología Española
1969
[59]
서적
European treaties bearing on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nd its Dependencies to 1648
https://books.google[...]
[60]
서적
The Historical encyclopedia of world slavery
[61]
서적
undefined
2008
[62]
서적
Nicholas of Cusa – A Companion to his Life and his Time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3
[63]
백과사전
Eugenius IV
[64]
서적
undefined
[65]
웹사이트
Medici: Masters of Florence
https://www.imdb.com[...]
2016-12-24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제목 없음)
バンソン
[72]
서적
(제목 없음)
スチュアート
[73]
서적
(제목 없음)
バンソン
[74]
서적
(제목 없음)
瀬原
[75]
서적
(제목 없음)
スチュアート
[76]
서적
(제목 없음)
森田
[77]
서적
(제목 없음)
森田
[78]
서적
(제목 없음)
バンソン
[79]
서적
(제목 없음)
스튜어트, 瀬原
[80]
웹인용
Pope Eugene IV, augnet
https://web.archive.[...]
2016-02-23
[81]
웹사이트
Pope Eugene IV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4-07-23
[82]
웹사이트
The Council of Florence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6-02-23
[83]
서적
A Sudden Terro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84]
서적
Pope Eugenius IV, the Council of Basel and the Secular and Ecclesiastical Authorities in the Empire: The Conflict Over Supreme Authority and Power in the Church
https://books.google[...]
Brill
1978
[85]
웹사이트
Council of Basle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4-07-24
[86]
웹사이트
The Council of Florence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4-07-24
[87]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88]
웹인용
Decrees on Sale of Unfree Christians, Medieval Sourcebook, Fordham University
http://www.fordham.e[...]
2018-01-18
[89]
서적
Religious Warfare in Europe 1400-1536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90]
서적
Eugene IV, Papal bulls of
https://books.google[...]
ABC-CLIO
1997
[91]
서적
(제목 없음)
2005
[92]
서적
(제목 없음)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