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아델피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도아델피안은 19세기 복원 운동에서 분리된 존 토마스에 의해 시작된 기독교 종교 단체이다. 성경을 유일한 권위로 여기며, 삼위일체, 영혼 불멸, 지옥의 영원한 형벌을 부인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과 하나님의 왕국 건설을 믿는다. 각 회중은 자율적으로 운영되며, 중앙 집권적 조직은 없다. 양심적 병역 거부를 실천하며, 사회적 활동과 윤리적 가치를 중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삼위일체론 - 여호와의 증인
여호와의 증인은 1870년 미국에서 시작된 성경 연구 모임에서 유래한 그리스도인 국제 종교 단체로, 여호와라는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며 중앙 장로회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걸쳐 성경 교육과 전도 활동을 하지만, 수혈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 등 독특한 신앙과 사회적 논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반삼위일체론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조셉 스미스가 1830년에 창립한 기독교 종교로, 성경과 몰몬경 등을 경전으로 사용하며 초대 기독교의 회복을 표방하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1,600만 명 이상의 신도를 보유하며 선교, 교육, 복지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 그리스도아델피안 | |
|---|---|
| 기본 정보 | |
| 유형 | 기독교 교단 |
| 위치 | 전 세계 |
| 창시자 | 존 토마스 |
| 설립 연도 | 1863년 |
| 분리 | 캠벨 운동 |
| 신학적 분류 | 회복주의, 비삼위일체주의, 성서적 유일신론 |
| 성서 해석 | 성경 문자주의 |
| 통계 | |
| 추정 신자 수 | 50,000명 (2023년) |
| 관련 단체 | 그리스도 아델피안 고립 연맹 |
| 신학 | |
| 주요 신념 | 성서적 유일신론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 조건부 불멸성 성경의 무오성 다가오는 하느님의 나라 |
| 예배 및 관행 | |
| 예배 장소 | 집회소 (Ecclesia) |
| 성례 | 침례 (성인 침례) 성만찬 (기념식) |
| 전례 언어 | 지역어 |
| 성경 | 흠정역 신 국제역 개역개정판 |
| 조직 | |
| 자치 | 에클레시아 (지역 교회) |
| 중앙 조직 | 없음 |
2. 역사

크리스토아델피안파는 1845년경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존 토마스가 이끌었다. 초기 구성원들은 대부분 복원주의 운동 디사이플 교회의 분파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1848년 토마스는 "이스라엘의 희망"(Elpis Israel)이라는 책을 출판하여 크리스토아델피안파 운동의 선언이 되었다.[182]
1863년 남북 전쟁 발발 당시, 양심적 병역 거부를 위해 "크리스토아델피안"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영국에서는 1870년부터 1900년까지 빠르게 성장했으나, 1873년 이후 분열로 성장이 둔화되었다.[183] 1957년 재결합 이후 미국, 영국, 호주에서 다시 빠르게 성장했다.
2. 1. 배경
크리스토아델피안파는 2세기의 아리우스파 및 16세기의 소치니안주의가 교리상의 기원이라고 여겨진다.[181]
이 교파는 1845년경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영국의 외과 의사인 존 토마스(John Thomas)가 그 뒤를 이었다. 최초의 구성원 대부분은 토마스와 마찬가지로 복원주의 운동(Restoration Movement, Stone-Campbell) 디사이플 교회의 분파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이었다. 1848년 토마스는 신이 아브라함과 맺은 약속을 강조한 "이스라엘의 희망"(Elpis Israel)이라는 책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크리스토아델피안파가 되는 운동의 선언이 되었다.[182]
폭력 및 전쟁에 대한 비판은 교회가 되는 느슨한 그룹 형성의 요인이었다. 1863년 남북 전쟁이 시작되자 토마스는 양심적 병역 거부를 인정받기 위해 정부에 신고했지만, 이름이 없었으므로 "크리스토아델피안"을 선택했다. 영국에서 1870년부터 1900년까지 크리스토아델피안파는 매우 빠르게 성장했지만, 1873년 이후 일련의 분열이 성장을 저해하기 시작했다.[183] 그 후 1957년 재결합 이후 미국, 영국 본토 및 호주에서 교회가 다시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50,000명의 구성원 중 약 15,000명이 신흥 사회에 있다.
2. 2. 19세기
그리스도아델피안 운동은 존 토마스(1805–1871)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그는 처음에는 미국에서 부상하는 복원 운동과 연관되었지만, 나중에는 그들과 분리되었다.[8]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그리스도아델피안 공동체는 토마스가 영국을 처음으로 순회 강연한 시기(1848년 5월 – 1850년 10월)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성경의 주요 교리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담은 ''엘피스 이스라엘''을 저술했다.[8] 그의 메시지는 특히 스코틀랜드에서 환영받았고, 캠벨파, 유니테리언, 재림교 신자들이 분리되어 "세례받은 신자" 그룹을 형성했다.그는 성경적 진리를 확립하고 독자적인 성경 연구를 통해 정통 기독교 신앙을 시험하려는 열망을 가지고 있었고, 다른 교회들과 마찬가지로 재림교 운동과 벤자민 윌슨(나중에 1860년대에 아브라함 신앙의 하나님의 교회를 설립함)과 연결되어 있었다.[9] 존 토마스와 관련된 그룹들은 미국 남북 전쟁(1861–1865)까지 신자, 세례받은 신자, 왕립 신자 협회, 하나님의 왕국 안의 세례받은 신자, 나사렛(또는 나사렛), 안티파스와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모였다.[1] 그 당시, 미국과 미국 남부 연합에서 양심적 병역 거부 자격을 등록하려면 교회 소속이 필요했고, 1864년에 토마스는 등록 목적으로 '그리스도아델피안'이라는 이름을 선택했다.[2][3][4][5]
존 토마스의 가르침과 미국 남북 전쟁에서 이름이 필요했던 점을 통해 그리스도아델피안은 교파로 등장했지만, 토마스의 성경 해석을 열정적으로 따르던 로버트 로버츠를 통해 지속적인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1864년 그는 ''다가오는 시대의 대사'' 잡지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존 토마스는 다른 사람이 출판물을 시작하여 ''그리스도아델피안''이라고 부를까 봐 걱정하여, 로버트 로버츠에게 자신의 잡지 이름을 ''그리스도아델피안''으로 변경하도록 촉구했고,[10][11] 그는 1869년에 그렇게 했다. 그는 1898년 사망할 때까지 약간의 도움을 받으며 잡지 편집을 계속했다. 교회 문제에 있어서 로버츠는 1871년 존 토마스 사망 이후 두드러졌으며, 그리스도아델피안의 구조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12]
처음에는 이 교파가 영어권 세계, 특히 잉글랜드 미들랜즈와 북미 지역에서 성장했다. 1864년 이전 영국 내 교회와 신자의 3분의 2가 스코틀랜드에 있었다.[13][14][15] 존 토마스 사망 이후 초기에는 이 그룹이 여러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교리적 문제가 발생하고, 토론이 벌어졌으며, 다른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신앙 고백이 만들어지고 수정되었다. 그 결과로, 여러 그룹이 그리스도아델피안의 주류에서 분리되었다. 특히 1885년에는 성경 전체가 영감을 받지 않았다고 믿는 신자들이 있는 서퍽 스트리트 교제와, 수정되지 않은 교제가 분리되었다.
2. 3.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징병제가 도입되면서 양심적 병역 거부에 대한 그리스도아델피안의 입장이 부각되었다.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미국에서 그리스도아델피안에게 군 복무에 대한 다양한 정도의 면제가 부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면제를 받으려는 사람이 당국의 지시에 따라 민간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16][17]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의 그리스도아델피안들은 킨더수송을 지원하여, 나치 박해로부터 수백 명의 유대인 어린이들을 이주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고, 그 목적으로 엘피스 로지라는 숙소를 설립했다. 독일에서는 알버트 마이어가 설립한 소규모 그리스도아델피안 공동체가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지하로 숨어들었고, 지도적인 형제인 알버트 메르츠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로 투옥된 후 처형되었다.[1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전 분열의 여러 부분을 재결합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1950년대 말까지 대부분의 그리스도아델피안은 하나의 공동체로 통합되었지만, 여전히 분리된 채 남아 있는 소수의 그리스도아델피안 그룹이 있다.
2. 4. 현대
전후 및 재결합 이후 시기에는 교회 간의 협력과 상호 작용이 증가하여, 일주일간의 성경 학교가 다수 설립되었고, 해외 설교 및 목회 지원을 위한 그리스도아델피안 성경 선교회[19], 상담을 위한 그리스도아델피안 지원 네트워크[20], 자선 및 인도주의적 활동을 위한 그리스도아델피안 끼니 기금과 같은 국내외 조직이 결성되었다.재결합 이후 시기에는 개발도상국에서 확장이 이루어졌으며, 현재 그리스도아델피안의 약 40%가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21] 1957년 재결합 이후 미국, 영국 본토 및 호주에서 교회가 다시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50,000명의 구성원 중 약 15,000명이 신흥 사회에 있다.
3. 신앙
그리스도아델피안은 자신들의 믿음[23]이 전적으로 성경에 근거한다고 말하며,[24] 다른 작품들은 하느님으로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여기지 않는다.[25] 그들은 성경이 하나님의 영감을 받았다고 여기며, 따라서 원본 형태의 성경은 필사 또는 번역 오류로 인한 후대 사본의 오류를 제외하고는 오류가 없다고 믿는다.[26]
- 삼위일체를 거부한다. 예수는 탄생하기 전에 존재하지 않았다.[33][34][36][37] 예수는 어머니로부터 인간의 본성(죄의 경향)을 물려받았다는 점에서 인자, 그리고 하나님의 능력으로 기적적으로 잉태되었다는 점에서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믿는다. 예수는 유혹을 받았지만 죄를 짓지 않았고, 따라서 죄 많은 인류에게 구원을 가져다주는 완전한 대표적 희생이었다.[33][34][36]
- 여호와[27]가 만물의 창조주이자 진실한 신자들의 아버지[31]이며, 그의 아들 예수와는 별개의 존재이고 (예수는 그에게 종속되어 있다고) 믿는다.
- 성령이 창조와 구원에 사용되는 하나님의 능력이라고 믿는다.[38] 또한 '성령'이라는 구절이 때때로 그 구절이 나타나는 문맥에 따라 하나님의 성품/마음을 지칭한다고 믿지만,[39] 그리스도인이 성령으로부터 힘, 인도, 능력을 받아 기독교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견해는 거부한다.[40] 그 대신 신자가 내면에 가져야 할 영은 하나님의 마음/성품이며, 이는 신자가 성경을 읽고, 하나님이 그들의 성품을 형성하는 데 사용하는 삶의 사건 속에서 성경이 말하는 대로 살아가려고 노력함으로써 발전한다고 믿는다.[41][42]
- 영혼 불멸설, 죽은 후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다는 교리도 믿지 않는다. 인간은 죽게 마련이고, 죽음이란 잠자는 것이다. 무존재 상태에 있다가 그리스도의 재림 때 부활한다.[54]
- 음부는 무덤이고, 지옥은 마지막 심판을 비유하는 것이다. 전멸로 인한 영원한 죽음과 무존재의 상태로 정의한다.[50]
- 하느님의 나라는 하늘에 세워지는 것이 아니라, 이 땅에 세워진다. 그리스도는 지상에서 낙원을 복원하기 위해서 돌아온다. 아브라함과 다윗에게 주어진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예수 그리스도가 직접 땅으로 돌아와 하나님의 왕국을 세울 것이라고 믿는다.[43][44] 여기에는 다가올 왕국이 다윗과 솔로몬 치하에 있었던 하나님의 첫 번째 이스라엘 왕국의 회복이 될 것이라는 믿음이 포함된다.[45][46][47]
- 사탄은 초자연적인 존재가 아니다. '악마'(devil)라는 단어가 성경에서 죄와 하나님을 거스르는 인간 본성을 가리키는 것이며, '사탄'(satan)은 단순히 적대자 또는 반대자(선하든 악하든)를 지칭하는 것이며, 종종 인간에게 적용된다고 믿는다.
- 침례는 구원의 필수요소이다.[197]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가 됨으로써 인류가 그분과 화해할 수 있다고 믿는다.[51][52] 이는 복음에 대한 믿음, 회개, 그리고 물에 완전히 잠기는 침례를 통해서 이루어진다.[52][53]
대부분의 그리스도아델피안은 성관계는 세례받은 신자 간의 이성애 결혼으로 제한되어야 한다고 믿는다.[56][57]
버밍엄 수정 신앙 선언(the Birmingham Amended Statement of Faith)에 따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핵심 신앙 |
|---|
주류 교파와의 두드러진 교리상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주류 교파와의 차이점 |
|---|
4. 조직
그리스도아델피안은 중앙 집권적인 조직이 없다. 각 회중(일반적으로 '에클레시아'라고 불림)은 자율적으로 조직되며, 19세기 이후 거의 바뀌지 않은 일반적인 관행을 따른다. 많은 이들이 주류 기독교와 건물이 회중과 대조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는 이유로 "교회"라는 단어를 피한다. 대부분의 에클레시아는 헌법[58]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신앙 고백', '거부해야 할 교리' 목록, '그리스도의 계명'의 공식화된 목록이 포함된다.[59] 중앙 권위가 없으므로 개별 회중은 신념과 관행의 정통성을 유지할 책임이 있으며, 많은 이들은 신앙 고백이 이 목적에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신앙 고백은 대부분의 에클레시아가 에클레시아 내부와 에클레시아 간의 친교를 결정하고, 에클레시아 간의 협력의 기초가 되는 공식적인 표준 역할을 한다.[59] 회중 규율과 갈등 해결은 다양한 형태의 협의, 중재, 토론을 사용하여 적용되며, 이단적인 관행이나 신념을 가진 사람에 대한 최종 대응으로 제명(파문과 유사)이 이루어진다.[60]
조직과 관행의 상대적인 통일성은 로버트 로버츠가 저술한 소책자 ''그리스도아델피안 에클레시아의 형성 및 운영 가이드''의 영향으로 기인한다.[61] 이 책자는 회중 구성원이 '형제'를 선출하여 정리 및 봉사 임무를 수행하는 기본적으로 민주적인 방식을 권장하며,[62] 위원회 구성, 회중 구성원 간 및 회중 간의 갈등 해결에 대한 지침을 포함한다.[63] 그리스도아델피안은 돈을 받는 목사를 두지 않는다. 남성 구성원(일부 지역에서는 여성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은 가르치고 다른 임무를 수행할 자격이 있는지 회중에 의해 평가되며, 일반적으로 영구적으로 임명된 설교자를 두는 대신 순환 방식으로 할당된다. 회중 정치는 일반적으로 개별 에클레시아마다 선출된 정리 위원회를 갖는 민주적 모델을 따른다. 이 무보수 위원회는 에클레시아의 일상적인 운영을 책임지며 에클레시아 나머지 구성원에게 책임을 진다.
에클레시아 간 조직은 그리스도아델피안 학교[64]와 노인 요양원, 그리스도아델피안 고립 리그(거리나 질병으로 인해 에클레시아에 정기적으로 참석할 수 없는 사람들을 돌봄) 및 그리스도아델피안 잡지의 발행을 조정한다.
공식적인 신도 수는 발표되지 않지만, ''컬럼비아 백과사전''은 약 120개국에 걸쳐 약 50,000명의 그리스도아델피안이 있다고 추정한다.[65] 주요 지역별 그리스도아델피안 인구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
| 지역 | 인구 |
|---|---|
| 모잠비크 | 17,800명[66] |
| 호주 | 9,734명[67] |
| 영국 | 8,200명[68] |
| 말라위 | 7,000명[69] |
| 미국 | 6,500명[70] |
| 캐나다 | 3,000명[71] |
| 케냐 | 2,700명[72] |
| 인도 | 2,300명[73] |
| 뉴질랜드 | 1,785명[74] |
그리스도아델피안 선교 단체의 수치는 다음과 같다.
그리스도아델피안 공동체는 서로 연대하는 여러 "연합체"(fellowships)로 구성되며, 종종 해당 그룹 외의 교회들을 배제한다. 이들은 어느 정도 지역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정되지 않은 연합체(Unamended Fellowship)는 북미에서만 존재한다. 그리스도아델피안 연합체는 종종 특정 입장을 발전시키는 데 앞장선 교회나 잡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그리스도아델피안들은 일반적으로 "중앙 연합체"(Central Fellowship)로 알려진 곳에 속해 있다.[79] "중앙"이라는 용어는 1933년경에 버밍엄(중앙) 교회와 연합한 전 세계의 교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이전에 "절제 홀 연합체"(Temperance Hall Fellowship)로 알려졌다. "서퍽 스트리트 연합체"(Suffolk Street Fellowship)는 1885년 성경의 영감에 대한 의견 불일치로 인해 생겨났다. 한편, 호주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본성에 대한 분열로 인해 "방패 연합체"(Shield Fellowship)가 형성되었다. 1957~1958년의 논의 결과 중앙, 서퍽 스트리트, 방패 연합체 간의 전 세계적인 재결합이 이루어졌다.
약 1,850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수정되지 않은 연합체"(Unamended Fellowship)는 미국 동부 해안, 중서부, 캐나다 온타리오에서 발견된다.[80] 이 그룹은 그리스도의 재림 시 누가 심판을 받을 것인가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로 인해 1898년에 분리되었다. 대부분의 그리스도아델피안들은 심판이 복음 메시지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진 모든 사람을 포함하며, 세례받은 신자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고 믿는다.[81] 잉글랜드, 호주, 북미의 다수는 이에 따라 신앙 고백을 수정했다. 수정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수정되지 않은 연합체"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하나님이 그분과 언약 관계가 없는 사람들을 부활시키실 수 없거나 부활시키지 않으실 것이라는 가르침을 허용했다. 이 논쟁 이전의 이 문제에 대한 확립된 입장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82] 수정되지 않은 연합체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은 크리스토델피안 어드보케이트(Christadelphian Advocate) 잡지의 편집자였던 토마스 윌리엄스였다. 북미 외의 수정되지 않은 연합체의 대다수는 결국 중앙 연합체로 통합되기 전에 서퍽 스트리트 연합체에 합류했다. 북미에서는 중앙(수정) 연합체와 수정되지 않은 연합체 간의 협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대호수 지역에서 여러 수정 및 수정되지 않은 교회들이 교회를 통합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다. 북미의 중앙 연합체는 오늘날에도 종종 ''수정된 연합체''라고 불린다.
"베레아 연합체"(Berean Fellowship)는 1923년 잉글랜드의 군 복무, 북미의 속죄에 대한 다양한 견해로 인해 형성되었다. 북미의 베레아인 대다수는 1952년에 그리스도아델피안의 주류로 재합류했다. 일부는 별도의 공동체로 남아 있으며, 텍사스에 약 200명, 케냐에 100명, 웨일스에 30명이 있다.[83] 오늘날 그리스도아델피안 공동체 내에 여전히 존재하는 대부분의 분열은 ''베레아'' ''연합체''의 추가 분열에서 비롯된다.[84]
"던 연합체"(Dawn Fellowship)[85]는 1942년 베레아 연합체 내에서 이혼과 재혼에 관해 제기된 문제의 결과이다. 더 엄격한 측은 던 연합체를 형성했으며, 2007년 호주의 라이트스탠드 연합체(Lightstand Fellowship)와의 믿음의 통일성을 바탕으로 재결합한 후 구성원 수가 증가했다.[86] 현재 잉글랜드, 호주, 캐나다, 인도, 자메이카, 폴란드, 필리핀, 러시아, 케냐에 약 800명의 구성원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87]
"올드 패스 연합체"(Old Paths Fellowship)[88]는 중앙 연합체와 서퍽 스트리트 연합체의 재결합에 대한 대응으로 1957년에 형성되었다. 중앙 연합체의 소수는 분리의 이유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성경 가르침의 모든 근본적인 원칙에 대한 완전한 믿음의 통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재결합은 다수결 투표가 아닌 모든 구성원의 완전한 동의와 이해를 통해서만 가능했다. 올드 패스 연합체를 형성하는 교회는 잉글랜드,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에서 생겨났으며, 총 구성원은 약 500명이었다. 현재 총 구성원은 약 250명이며, 호주, 잉글랜드, 멕시코, 뉴질랜드에 구성원이 있다. 그들은 1957년 재결합 이전에 유지되었던 원래의 중앙 연합체 입장을 고수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연합체(구성원 수가 10명에서 200명이 넘는)로는 "워치맨 연합체"(Watchman Fellowship),[89] "컴패니언 연합체"(Companion Fellowship)[90], "파이오니어 연합체"(Pioneer Fellowship) 등이 있다.[91]
브라이언 윌슨에 따르면, 그리스도아델피안 역사에서 "연합체"의 기능적 정의는 교회 집단의 상호 또는 일방적인 빵 나눔 배제였다.[92] 이 기능적 정의는 여전히 북미에서 유효하며, 수정되지 않은 연합체와 아브라함 신앙의 하나님의 교회는 대부분의 북미 수정된 교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러나 북미 외에서는 이 기능적 정의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연합의 교리와 실천에 대한 많은 기사와 책은 같은 세례를 인정하는 사람들 사이의 별도 "연합"이라는 개념 자체를 거부하고, 그러한 분리를 분열로 간주한다.[93] 중앙 연합체의 많은 교회는 소수 연합체의 세례받은 그리스도아델피안이 빵을 나누는 것을 거부하지 않을 것이며, 배제는 대개 그 반대이다.
이들은 조직적으로 상당히 유사하게 운영되는 경향이 있지만, 강조점이 다르다. 그들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중앙, 올드 패스, 던[94] 및 베레아[95] 연합체는 일반적으로 ''버밍엄 수정 신앙 고백'' (BASF)을 따른다. 후자의 두 연합체는 그들의 입장을 설명하기 위한 추가 조항 또는 지원 문서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수정되지 않은 교회는 한 조항이 다른 ''버밍엄 수정되지 않은 신앙 고백''(BUSF)[96]을 사용한다. 중앙 연합체 내에서 개별 교회는 더 큰 공동체의 신앙 고백을 여전히 받아들이면서 자체 신앙 고백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교회는 특히 이혼과 재혼에 대한 입장을 중심으로 신앙 고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위치에 있는 사람이 '빵 나눔' 예배에 참여하려고 할 경우 불쾌감을 줄 수 있음을 명확히 한다. 다른 교회는 일반적으로 공유되는 그리스도아델피안 견해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그리스도아델피안 기원의 공동체는 이전의 신앙 고백을 변함없는 것으로 간주했지만, 다른 공동체는 현대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언어를 업데이트하거나, 지원적인 성경 구절을 추가하기 위해 이를 수정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각 연합체에 대해, 신앙 고백에 설명된 교리를 공개적으로 동의하고 자신의 "소속 교회"에서 좋은 평판을 얻고 있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다른 교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다음은 공통된 유산과 많은 그리스도아델피안의 가르침을 공유하지만, 주류 그리스도아델피안 집단 내에서 거짓 가르침이나 실천이라고 믿는 것들과 자신들을 분리하기 위해 다른 이름을 채택한 여러 그룹이 있다. 규모가 두세 명에서 약 50명에 이르기까지, 각 그룹은 자체 회원으로 교제를 제한한다. 여기에는 나사렛 친교,[97] 그리스도의 교회, 그리스도의 교회의 잔존자,[98] 그리스도의 사도 친교 [99] 및 사도 교회가 포함된다.[100]
아브라함 신앙의 하나님의 교회(CGAF) 또한 그리스도아델피안과 공통된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도아델피안의 신념을 공유한다.[101] 약 400명(주로 미국 오하이오와 플로리다)[102]으로, 일부 "중앙" 그리스도아델피안들은 그들을 교제로 환영하며 현재 통합 회담에 참여하고 있다.
키리스트 아델피안파는 완전히 평등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 지역 모임(그리스어: 에클레시아, ecclesia)은 자치적이다. 모든 형제들은 돌아가면서 가르친다. 목사는 없다.
다른 모임들은 네 가지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 1. 신앙 고백 공유
- 같은 도시의 모임 간 강사 순환.
- 2. 공동 잡지
- 모임 소식.
- 3. 하계 캠프 및 동계 학교
- 이들은 일반적으로 2년에 두 번, 일주일 동안 진행된다. 오전에는 3~4명의 강사가 서로 다른 성경 연구 수업을 진행하고, 오후에는 게임을 하며, 저녁에는 예배를 드린다.
- 4. 특정 자선 단체에 대한 공동 기부
- (a) 해외 선교 연합
- (b) 양로원
- (c) 구호 사업 - 인도 고아원, 아프리카 우물 등.
영국의 사회학자 브라이언 R. 윌슨은 1958-1959년에 이 그룹을 연구하여 "내향적인 유형의 기독교"로 분류하고 "사이비 종교적 특징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의 연구는 1957년 재결합 직후에 완료되었으므로 그는 이 사건으로 인한 변화를 보지 못했다. 재결합 후 키리스트 아델피안파는 19세기 기원 당시의 외향적 활동으로 돌아갔다.
5. 사회적 활동 및 윤리
대부분의 그리스도아델피안은 성관계는 세례받은 신자 간의 이성애 결혼으로 제한되어야 한다고 믿는다.[56][57]
6. 예배 및 관습
그리스도아델피안은 지역 회중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스스로를 "교회"라고 부른다.[154] 이는 신약성서의 용어에서 따온 것으로,[155] 그리스어로 "소집된 사람들의 모임"을 의미한다.[156] 일반적으로 일요일에 열리는 회중 예배는 "기념 예배"에 참여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억하고 부활을 기념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예배, 기도, 설교, 성경 공부를 위해 추가 모임이 자주 조직된다.
교회는 일반적으로 성경 가르침에 대한 공개 강연,[157] 성경 읽기에 대한 대학 스타일의 세미나,[158] 그리고 성경 읽기 그룹의 형태로 복음을 전파(전도)하는 데 참여한다. 통신 강좌[159] 또한 특히 그리스도아델피안이 없는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일부 교회, 단체 또는 개인은 비디오,[160] 인터넷 포럼[161]과 같은 다른 매체를 통해서도 설교한다. 전 세계에 많은 성경 교육/학습 센터도 있다.[162]
침례(물에 완전 침수로)를 받은 신자만이 교회의 구성원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침례는 가입하려는 교회의 두세 명의 지명된 장로 앞에서 신앙에 대한 "선한 고백"(딤전 6:12 참조)을 한 후에 이루어진다. 선한 고백은 공동체의 신앙의 주요 요소인 "첫 번째 원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보여주어야 한다. 구성원의 자녀는 그리스도아델피안 주일학교와 청소년 그룹에 참석하도록 권장된다. 다른 교회 청소년 간의 교류는 지역 및 전국 청소년 모임, 회의 및 캠핑 휴가를 통해 장려된다.
그리스도아델피안은 성경이 남성과 여성 신자가 하나님 보시기에 동등하며, 남성과 여성 구성원의 역할 구분이 있다고 가르친다고 이해한다.[163] 여성은 일반적으로 남성 신자가 참석하는 교회의 공식 모임에서 가르칠 자격이 없으며, 공식 예배 동안 머리(모자 또는 스카프 등 사용)를 가리고, 주요 교회 운영(조직) 위원회에 참여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들은 다른 교회 및 교회 간 위원회에 참여, 토론에 참여, 주일학교 및 가정에서 어린이들을 가르치고, 다른 여성과 비회원을 가르치고, 음악을 연주하고, 사업 문제에 대해 토론하고 투표하며, 다른 대부분의 활동에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공식 교회 및 교회 간 모임에서 여성은 예배와 기도가 있을 때 머리 가리개를 착용한다.
조정된 설교, 청소년 및 주일학교 활동, 양심적 병역 거부 문제, 노인 돌봄, 인도주의적 활동을 위한 교회 책임 위원회가 있다. 이들은 어떠한 입법 권한도 없으며, 전적으로 교회 지원에 의존한다. 해당 지역의 교회는 청소년 그룹, 교제, 설교 및 성경 공부를 결합한 공동 활동을 정기적으로 개최할 수 있다.
그리스도아델피안은 양심적 병역 거부자이기 때문에 어떤 군대나 경찰력에도 참여하는 것을 거부한다.[164][165] (이는 평화주의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개인적인 성경 읽기 및 연구가 강조되며,[166] 많은 그리스도아델피안은 성경 가이드를 사용하여 매년 체계적으로 성경을 읽는다.[167]
7. 다른 기독교 교파와의 관계
그리스도아델피안 운동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존 토마스와 로버트 로버츠가 성경적 진리를 "재발견"했다는 주장에 대한 것이다.[103][104] 그러나 어느 정도까지는 모든 개신교 그룹이 같은 주장을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두 사람 모두 자신과 동시대인들을 위해 진정한 교리를 "회복"했다고 믿었지만, 그들은 또한 배교로 훼손되었지만 항상 참된 신자 그룹이 존재했다고 믿었다.[105][106][107]
이 시점부터 교리적 유사성을 가진 사람들의 연속성을 찾으려는 가장 주목할 만한 그리스도아델피안의 시도는 지리학자 앨런 에어(Alan Eyre)의 두 권의 책, 《항의자들》(''The Protesters'')[108] (1975)과 《그리스도 안의 형제들》(''Brethren in Christ'')[109] (1982)이었다. 그는 이 책들을 통해 많은 개별 그리스도아델피안 교리가 이전에 믿어졌음을 보여준다. 에어는 특히 급진 종교 개혁, 소시니안과 다른 초기 유니테리언과 영국 비국교도에 초점을 맞췄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는 개별 그리스도아델피안의 가르침과 관행에 대한 실질적인 역사적 선례를 입증할 수 있었고, 그리스도아델피안 공동체가 "진실의 요소들이 논쟁, 고난, 심지어 고뇌의 모루에서 세기에서 세기로 망치질된 고귀한 전통의 상속자"라고 믿었다.[110] '항의자들' 서문에서 "여기에 기록된 일부는 아마도 "모든 진실"을 가지고 있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언급했음에도 불구하고,[110] 에어는 이 작품의 목적이 "얼마나 많은 잘 알려지지 않은 개인, 그룹 및 종교 공동체가 사도 시대의 원래 기독교를 보존하거나 부활시키기 위해 노력했는지 말하는 것"이며,[111] "그들의 믿음과 관점은 지난 19세기 동안 나사렛 사람의 종교로 통과한 많은 것보다 1세기 기독교의 초기 싹과 예수 자신에 대한 꿰뚫는 영적 도전에 훨씬 더 가까웠다"고 주장했다.[112]
에어의 연구는 그의 그리스도아델피안 동료 중 일부로부터 비판을 받았고,[113] 그 결과 이 주제에 대한 그리스도아델피안의 논평은 이후 더욱 신중하고 조심스러워졌으며, 에어의 주장에 대한 경고가 발표되었고,[114][115] 두 권의 책은 이전보다 덜 사용되고 홍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중에 이단으로 간주된 사람들의 대부분의 자료가 파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원전 1세기부터 특정 그리스도아델피안의 믿음이나 유사한 믿음을 가진 다양한 그룹과 개인이 있었다는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문자적인 악마를 제외한 모든 독특한 그리스도아델피안 교리[116]는 특정 구절의 해석에 이르기까지 특히 16세기 소시니안 작가들(예: 삼위일체 교리, 그리스도의 선재, 불멸의 영혼, 문자적인 불의 지옥, 원죄 거부) 사이에서 발견될 수 있다.[117][118] 초기 영국 유니테리언 저술도 그리스도아델피안의 저술과 밀접하게 일치한다.[119] 또한 최근의 발견과 연구는 그리스도아델피안의 믿음과 아이작 뉴턴이 가진 믿음 사이에 큰 유사성이 있음을 보여주는데, 그는 무엇보다도 삼위일체 교리, 불멸의 영혼, 개인적인 악마, 문자적인 악마 교리를 거부했다.[120]
이후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영혼 불멸성 대신 부활까지의 무의식: 유대교와 기독교 역사 전반에 걸쳐 소수 의견으로 유지되었다.[122] 관련 인물 및 자료는 다음과 같다.
- 특정 유대교 위경 저작,[123] 랍비 저작,[124]
- 로마의 클레멘트,[125]
- 3~4세기 아르노비우스,[126] 아프라하트,[129] 에프렘,[130] 나르사이,[131] 니네베의 이삭(d.700),[132] 사룩의 야곱,[133]
-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1092–1167),[134] 마이모니데스(1135–1204),[135] 요셉 알보(1380–1444) (유대교 논평가)
- 존 위클리프,[137] 미하엘 사틀러,[138] 및 많은 재세례파 (후기 기독교인)
- 마르틴 루터는 "영혼 수면" 가르침으로 로마 가톨릭의 천국과 지옥 견해에 도전했다.[140]
- 그리스도의 선재 부인: "나는 하늘에서 내려왔다"(요한복음 6:38)와 같은 구절을 예수의 처녀 탄생 및 그리스도의 사명과 관련하여 해석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가르침에서 발견된다.
- 초기 유대인 기독교인,[141] 에비온파,[142] 나사렛인 (또는 나사렛파),[143]
- 테오도투스 제화공의 테오도티안(예수가 초자연적으로 잉태되었지만 인간이라고 믿음),[144] 아르테몬,[145] 사모사타의 바울,[146] 가짜 클레멘타인,[141] 포티누스(d.376)[147]
- 비삼위일체론적 믿음은 4세기부터 17세기까지 죽음으로 처벌되었기에, 종교 개혁 이후에야 이러한 시도가 가능해졌다.
- 그리스도아델피안의 그리스도론은 렐리오 소치니의 요한복음 주석(1561)[148] 출판, 1800년 이후 영국 유니테리언들 사이에서 기적에 대한 저항 증가 등에서 발견된다.[149]
- 악마 및/또는 귀신에 대한 개념: 다양한 초기 유대교 및 후기 기독교 자료에서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 요나단 벤 우지엘 (100년대 AD), 여호수아 벤 카르하 (135–160), 레비 벤 게르숀 (d. 1344), 다비드 김히 (1160), 사디아 벤 요셉 (892–942), 시몬 벤 라키쉬 (230–270),[150]
- 다비드 요리스 (1501-1556), 렐리오 소치니 (1525-1562), 파우스토 소치니 (1539-1604), 제라드 윈스턴리 (1609-1676), 조셉 메데 (1640), 야곱 보텀리 (1650), 토마스 홉스 (1651), 로드위크 머글턴 (1669), 안토니 반 데일 (1685),[151] 엠마누엘 스베덴보리 (1688-1772), 발타사르 베커 (1695), 아이작 뉴턴[152]
- 크리스티안 토마시우스 (1704), 아서 애슐리 시크스 (1737), 나다니엘 라드너 (1742), 린과 뉴 베드포드의 새로운 빛 퀘이커 (1800년대), 엘라이어스 힉스 (1748-1830), 리차드 미드 (1755), 휴 파머 (적어도 그리스도의 유혹에 대한 이야기에서; 1761), 윌리엄 애쉬다운 (1791),[153] 존 심슨 (1804), 존 엡스 (1842), 원시 침례교 보편주의자(무할러(No-Hellers)로도 알려짐, 1907년~현재)
그리스도아델피안의 믿음을 예견하는 사람들을 위한 영국에서의 조직적인 예배는 관용법 1689가 삼위일체 부인을 허용하도록 개정된 1779년에야 가능해졌고, 재산 벌금이 삼위일체 교리법 1813에서 제거되었을 때야 비로소 완전히 가능해졌다. 이는 존 토마스가 1849년에 영국에서 강연 투어를 하기 35년 전이었는데, 특히 초기에는 아리우스파, 소시니안, 그리고 유니테리언(테오필루스 린지의 유니테리언 교회와는 구별되는 작은 'u'가 있는) 견해가 만연했던 스코틀랜드에서 기존의 비삼위일체론 재림교 기반으로부터 상당한 지지를 얻었다.
참조
[1]
Britannica
Britannica article on Christadelphians
https://www.britanni[...]
[2]
서적
Sects and Society
William Heinemann
[3]
서적
Cyclopedia of Biblical,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literature Supplement, Volume 1
Harper & Brothers
[4]
간행물
Our Name
1955-05
[5]
서적
The Christadelphians in North America
Edwin Mellen Press
[6]
서적
Religious denominations of the world
[7]
웹사이트
BBC – Religions – Christianity: Christadelphians
http://www.bbc.co.uk[...]
2017-01-22
[8]
서적
Elpis Israel: an exposition of the Kingdom of God with reference to the time of the end and the age to come
https://en.wikisourc[...]
[9]
뉴스
The Destinies of the Cities, Countries, and Empires
1849-07-13
[10]
서적
Sects and Society
William Heinemann
[11]
간행물
The Christadelphian
The Christadelphian Magazine & Publishing Association Ltd
[12]
서적
History of the Christadelphians 1864–1885: the emergence of a denomination
[13]
서적
History of the Christadelphians 1864–1885: the emergence of a denomination
[14]
간행물
The Christadelphian 1956–63
[15]
문서
Early History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in Britain
https://aletheiacoll[...]
[16]
웹사이트
Kinderball piano score
http://london.iwm.or[...]
Imperial War Museum
2008-02-08
[17]
웹사이트
The Christadelphian Response to the Holocaust
http://lesliemorrell[...]
2008-02-08
[18]
문서
Geschichte der Christadelphians in Deutschland (2)
http://www.projekt-g[...]
1941-04
[19]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cbm.org.[...]
Christadelphian Bible Mission UK
2017-06-23
[20]
웹사이트
About
https://www.chsn.org[...]
Christadelphian Support Network
2020-01-22
[21]
문서
[22]
웹사이트
Doctrines to be Rejected
http://www.christade[...]
2012-08-29
[23]
웹사이트
Birmingham Amended Statement of Faith
http://www.christade[...]
[24]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thechrist[...]
[25]
서적
The Bible—The Word of God
http://www.christade[...]
Printland Publishers
[26]
웹사이트
The Christadelphian Statement of Faith
http://www.christade[...]
Christadelphia.org
[27]
서적
The Meaning of the Christadelphian Movement as Apparent in the Report [by R. Roberts] of a Four Days gathering of Christadelphians ... in Birmingham, Etc
[28]
문서
Yahweh Elohim: A Devotional Study of the Memorial Name
https://www.christad[...]
Logos Publications
[29]
웹사이트
God
https://bibletruth.n[...]
Mt Waverly Christadelphians
[30]
웹사이트
Our Faith and Beliefs
http://www.christade[...]
[31]
서적
God Our Father
http://www.christade[...]
Printland Publishers
[32]
서적
One God or a Trinity?
http://www.christade[...]
Printland Publishers
[33]
서적
Jesus: God the Son or Son of God?
https://www.thechris[...]
CMPA
[34]
서적
Who is Jesus?
http://www.christade[...]
Printland Publishers
[35]
서적
Christ in the Old Testament: Israel's True Messiah
https://www.thechris[...]
CMPA
[36]
서적
Do You Believe in a Devil?
https://www.thechris[...]
CMPA
[37]
웹사이트
"The Christadelphian Advocate, Vol. 8, No. 2"
http://www.christade[...]
2018-02-26
[38]
서적
The Holy Spirit—Bible Understanding of God's Power
http://www.christade[...]
CMPA
[39]
서적
The Trinity: True or False?
http://www.bibleligh[...]
The Dawn Book Supply
[40]
서적
'Spirit' in the New Testament
The Testimony
[41]
서적
The Holy Spirit and the Holy Spirit Gifts
http://www.antipas.o[...]
Logos
2010-10-24
[42]
문서
'I believe that the Holy Spirit is the only Authoritative, infallible, efficient, and sufficient teacher of the Christian religion, in all its parts. If I be asked, what is the manner in which he teaches this religion, I reply in the same way that all teachers convey instruction to their pupils; ''by words, either spoken or written''. ... Now Paul says that the ''sacred Scriptures are able to make us wise to salvation, by the faith'' (or gospel) ''which is through Jesus Christ''. What more do we want than wisdom in relation to this matter? If the sacred Scriptures are able to make us wise, we need no other instrumentality. The Holy Spirit by the word, without infusing a single idea into it more than it actually and ordinarily contains, and without any collateral influence, teaches us all wisdom and knowledge that is necessary ...' John Thomas, ''The Apostasy Unveiled'', as quoted in G. Pearce, ''The Holy Spirit and the Holy Spirit Gifts'', pp. 71–2'
[43]
서적
The End of the World: Horror Story—or Bible Hope?
http://www.christade[...]
CMPA
[44]
서적
Christ is Coming Again!
http://www.christade[...]
Printland Publishers
[45]
서적
Christ is Coming! Bible teaching about his return
https://www.thechris[...]
CMPA
[46]
서적
The Kingdom of Heaven on Earth!
http://www.christade[...]
Printland Publishers
[47]
서적
The Kingdom of God on Earth: God's plan for the world
https://www.thechris[...]
CMPA
[48]
서적
Israel: God's People, God's Land
https://thechristade[...]
CMPA
[49]
문서
See What is the true Gospel?
http://www.gospeltru[...]
[50]
웹사이트
"About the Christadelphians: 1848 to now."
http://www.religious[...]
2017-04-02
[51]
서적
The Cross of Christ
http://www.christade[...]
CMPA
[52]
서적
Salvation
http://www.christade[...]
Printland Publishers
[53]
서적
Why Baptism Really Matters: What must we do to be saved?
https://thechristade[...]
CMPA
[54]
서적
After Death – What?
https://thechristade[...]
CMPA
[55]
서적
Resurrection & Judgement
https://thechristade[...]
CMPA
[56]
웹사이트
The Christian Life: Marriage—"Only in the Lord"
http://www.bibleed.c[...]
2008-04-04
[57]
문서
"Homosexuality and the Church: Bible Answers to Moral Questions"
http://www.christade[...]
Christadelphian Magazine and Publishing Association
[58]
문서
Constitution of the Birmingham Christadelphian Ecclesia, Midland Institute
[59]
문서
This list as published by [[The Christadelphian Magazine]] contains 53 paraphrases of Bible verses which were originally read weekly as part of the service at Temperance Hall ecclesia. Other versions, of unconfirmed origin, exist with the list expanded to 100 including some verses justifying division.
[60]
문서
Robert Roberts, A Guide to the Formation and Conduct of Christadelphian Ecclesias
Birmingham
1883
[61]
문서
Robert Roberts, A Guide to the Formation and Conduct of Christadelphian Ecclesias
https://www.antipas.[...]
Birmingham
1883
[62]
문서
Robert Roberts, A Guide to the Formation and Conduct of Christadelphian Ecclesias
Birmingham
1883
[63]
문서
Robert Roberts, A Guide to the Formation and Conduct of Christadelphian Ecclesias
Birmingham
1883
[64]
문서
For example: Christadelphian [[Heritage Colleges (Australia)|Heritage Colleges Australia]].
[65]
웹사이트
'Christadelphians'
http://education.yah[...]
The Columbia Encyclopedia
[66]
웹사이트
Mozambique
https://www.cbm.org.[...]
Christadelphian Bible Mission UK
2024-01-18
[67]
문서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rticle - Religious affiliation in Australia, 2021
https://www.abs.gov.[...]
[68]
간행물
The Christadelphian Tidings, October 2019, back cover.
https://tidings.org/[...]
[69]
웹사이트
Malawi
https://www.cbm.org.[...]
Christadelphian Bible Mission UK
2020-01-21
[70]
백과사전
Christadelphians
http://education.yah[...]
Education.yahoo.com
[71]
웹사이트
2011 National Household Survey - Data Tables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13-05-08
[72]
웹사이트
Kenya
https://www.cbm.org.[...]
Christadelphian Bible Mission UK
2020-01-21
[73]
웹사이트
India – ACBM
https://acbm.org.au/[...]
[74]
간행물
2006 Census figures from Statistics New Zealand
http://www.stats.gov[...]
2013-11-15
[75]
웹사이트
Christadelphian Bible Mission UK
http://www.cbm.org.u[...]
[76]
웹사이트
India
https://acbm.org.au/[...]
2024-01-18
[77]
웹사이트
Christadelphian Bible Mission of the Americas
https://cbma.net/the[...]
[78]
웹사이트
Christadelphian Bible Mission UK - Europe
https://www.cbm.org.[...]
[79]
문서
The first use of the term "Birmingham (Central) fellowship" in ''The Christadelphian'' magazine was in volume 70, 1933, p. 376.
[80]
문서
Verified figure, Ecclesial Directory 2006. Parts of grouping currently involved in unity talks with Central.
[81]
문서
The Sydney Ecclesia, Australia had already "disfellowshipped" 10 members for denying this in 1883. The Christadelphian Magazine 1884, ecclesial news p.90 and editorial comment p.382
[82]
웹사이트
Website
https://archive.toda[...]
[83]
웹사이트
The Berean Ecclesial News
http://www.bereanecc[...]
2017-01-22
[84]
문서
Phillips, Jim, ''The Berean Christadelphians: Why the Bereans?''
https://www.angelfir[...]
[85]
웹사이트
The Dawn Christadelphian Homepage
Dawnchristadelphian.co.uk
2007-01-05
[86]
간행물
The Dawn Christadelphian Magazine, January 2008
2008-01
[87]
문서
Estimate undergoing review. Please see Talk pages – on the Discussion tab at page head
[88]
웹사이트
Old Paths Fellowship (Australia)
http://www.gospeltru[...]
Gospeltruth.info
2010-03-15
[89]
웹사이트
Christadelphian Watchman Fellowship
http://www.christade[...]
Christadelphian-watchman-fellowship.org
[90]
웹사이트
Companion Christadelphians
http://companionchri[...]
Companion Christadelphians
2010-03-15
[91]
웹사이트
Pioneer Christadelphians
http://www.pioneerch[...]
Pioneer Christadelphians
2013-09-22
[92]
서적
Sects and Society
William Heinemann
1961
[93]
웹사이트
Biblical Fellowship
http://www.christade[...]
Christadelphianbooks.org
2010-03-15
[94]
웹사이트
Dawn Christadelphians
http://www.dawnchris[...]
Dawn Christadelphians
2010-03-15
[95]
웹사이트
Bereans.org BASF
http://www.bereans.o[...]
2013-06-19
[96]
웹사이트
Birmingham Unamended Statement of Faith
http://www.monroechr[...]
2013-12-19
[97]
웹사이트
The Nazarene Fellowship
http://www.thenazare[...]
[98]
웹사이트
The Remnant of Christ's Ecclesia
http://www.remnantof[...]
2021-12-29
[99]
웹사이트
The Apostolic Fellowship of Christ
https://theapostolic[...]
[100]
웹사이트
The Apostolic Ecclesia
http://www.bible-tru[...]
[101]
웹사이트
Our Belief – Church of the Blessed Hope
https://cotbh.org/Ou[...]
[102]
문서
From CGAF directory.
[103]
문서
Christendom Astray, Robert Roberts, written 1862, Lecture 1: 'Do you mean to say, asks the incredulous enquirer, that the Bible has been studied by men of learning for eighteen centuries without being understood? and that the thousands of ministers set apart for the very purpose of ministering in its holy pages are all mistaken?' (He then goes on to suggest that social conditioning, self interest by the clergy and an incomplete reformation prevented its rediscovery.)
[104]
웹사이트
An article 'A Glance at The History and Mystery of Christadelphianism', a contemporary of John Thomas, David King, from the Restoration Movement 1881, argues that a complete losing of truth would have been unlikely.
http://www.netcomuk.[...]
[105]
문서
'An arrangement of this sort wa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preservation and protection of the One Body, witnessing for the truth''' against "the worshipping of the daemonials and idols", in the midst of the nations, and "before the God of the earth;" the weapons of whose warfare were civil disabilities, and the infernal tortures of anti-heretical crusaders and inquisitions.', John Thomas, 'Eureka' (1915 edition), volume 2, chapter 11, section 2.1
[106]
서적
Eureka
[107]
서적
Thirteen Lectures On The Apocalypse
[108]
웹사이트
The Protesters Contents
https://web.archive.[...]
2017-01-22
[109]
웹사이트
Brethren In Christ Contents Contents
https://web.archive.[...]
Antipas.org
2013-06-26
[110]
서적
The Protestors
[111]
서적
The Protestors
[112]
서적
The Protestors
[113]
문서
[114]
서적
Finding Founders And Facing Facts
[115]
서적
Finding Founders And Facing Facts
[116]
서적
The Racovian Catechism: With Notes and Illustrations, Translated from the Latin; to which is Prefixed a Sketch of the History of Unitarianism in Poland and the Adjacent Countries
https://archive.org/[...]
[117]
간행물
Socinianism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18]
문서
Socinianism
http://www.thefreedi[...]
The Gale Group
[119]
서적
[120]
논문
Isaac Newton, heretic : the strategies of a Nicodemite
https://web.archive.[...]
[121]
문서
[122]
문서
[123]
문서
[124]
문서
[125]
서적
Two views of hell: a biblical & theological dialogue
[126]
문서
[127]
문서
[128]
서적
Symbols of church and kingdom: a study in early Syriac tradition
[129]
문서
[130]
문서
[131]
문서
[132]
문서
[133]
문서
[134]
서적
The Doctrine of Last Things Contained in the New Testament, Compared With Notions of the Jews and the Statements of Church Creeds
[135]
서적
Maimonides
[136]
서적
Maimonides
[137]
서적
Death and the Afterlife
[138]
문서
[139]
서적
A contemporary Anabaptist theology: biblical, historical, constructive
[140]
서적
The Dissenters: From the Reformation to the French Revolution
[141]
간행물
Jewish Christianity
[142]
간행물
Ebionites
[143]
간행물
Nazarene
[14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14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14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147]
서적
'The Search for the Christian Doctrine of God: The Arian Controversy, 318–381'
[148]
서적
'The writings of John Calvin: an introductory guide'
[149]
간행물
"Miracles in English Unitarian Thought"
[150]
간행물
An Exposition of the New Testament
[151]
서적
'History of the Devil and the Idea of Evil'
[152]
서적
'Newton and Newtonianism'
http://www.isaac-new[...]
Kluwer Academic Publishers
[153]
서적
'An attempt to shew that the opinion concerning the devil or satan, as a fallen angel, and that he tempts men to sin, hath no real foundation in scripture'
J. Grove
[154]
웹사이트
'Who are the Christadelphians?'
https://www.thechris[...]
[155]
문서
'Greek of Acts 5:11; 7:38'
[156]
웹사이트
Ecclesi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09-02-03
[157]
웹사이트
Examples of lecture titles
https://www.sale-chr[...]
[158]
웹사이트
Learn to Read the Bible Effectively
http://www.biblecour[...]
[159]
웹사이트
This is Your Bible
https://www.thisisyo[...]
[160]
Youtube
videos
https://Christadelph[...]
[161]
웹사이트
Bible Truth Discussion Forum
http://www.btdf.org/[...]
[162]
웹사이트
Bible Learning Centre
http://www.biblelear[...]
[163]
서적
'Women Priests? The Bible Answer to the Current Debate'
http://www.christade[...]
CMPA
[164]
서적
The Gospel and Strife
http://www.god-so-lo[...]
Christadelphian Magazine and Publishing Association
[165]
서적
"War and Politics: The Christian's Duty"
http://www.god-so-lo[...]
Christadelphian Auxiliary Lecturing Society
[166]
문서
[167]
웹사이트
'The BBC Website'
http://www.bbc.co.uk[...]
Bbc.co.uk
2009-06-25
[168]
뉴스
Hymn
1997-07
[169]
논문
'A Study of Christadelphian Hymnody: singing with the spirit and with the understanding'
http://www.rachelhoc[...]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2000
[170]
서적
'John Thomas: His Friends and His Faith'
[171]
서적
'History of the Christadelphians 1864–1885: the emergence of a denomination'
[172]
서적
'John Thomas: His Friends and His Faith'
[173]
문서
'Ambassador of the Coming Age'
[174]
웹사이트
Hymn Books
https://www.thechris[...]
Christadelphian Magazine and Publishing Association
2020-01-22
[175]
문서
'Praise the Lord'
Hoddesdon Christadelphian Service
1993, 2000
[176]
웹사이트
Worship
http://www.theworshi[...]
Theworshipbook.com
[177]
문서
An example is the Christadelphian folk rock band [[Fisher's Tale]] (albeit this is a witness project as opposed to being for the purpose of church worship)
[178]
문서
e.g. Liedboek van de Broeders in Christus (Netherlands, circa 1980)
[179]
문서
'Considering the scope of hymnic literature by Christadelphians, we might conclude that few branches of Christianity can claim suc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hymn writing and their own religious development, and such a high percentage of hymnists in their membership. As their hymns become better known, this close relationship will reveal that the heritage and faith of Christadelphians has been enhanced through a strong emphasis on hymnody, from their beginnings to the present day', Wesley Roberts, Professor of Music, Campbellsville University, Kentucky, in the magazine 'Hymn', July 1997
[180]
위키백과
en.wikipedia
https://en.wikipedia[...]
[181]
서적
The Protestors
1975
[182]
서적
John Thomas: His Friends and His Faith
2003
[183]
서적
History of the Christadelphians 1864-1885: the emergence of a denomination
1997
[184]
웹사이트
Hyndman Introducing the Christadelphians
http://robjhyndman.c[...]
[185]
웹사이트
BASF 信頼の共用声明
http://www.christade[...]
[186]
웹사이트
The Christadelphian 雑誌
http://www.thechrist[...]
[187]
웹사이트
California Bible School
http://www.californi[...]
[188]
웹사이트
US Bible schools
http://www.christade[...]
[189]
웹사이트
海外宣教師連合 CBM
http://www.cbm.org.u[...]
[190]
웹사이트
ACBM
http://www.thechrist[...]
[191]
웹사이트
Glad Tidings 雑誌
http://www.gladtidin[...]
[192]
웹사이트
老人ホーム CCH
http://www.cch-uk.co[...]
[193]
웹사이트
援助のプロジェクト Meal-a-day
http://www.meal-a-da[...]
[194]
서적
Sects and Society: A Sociological Study of the Elim Tabernacle, Christian Science, and Christadelphia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1
[195]
웹사이트
BBC "Christadelphians"
http://www.bbc.co.uk[...]
[196]
웹인용
Christadelphian
https://www.britanni[...]
[197]
웹사이트
그리스도아델피안 서울에클레시아
http://www.korbib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