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비온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비온파는 2세기부터 언급된 유대 기독교 분파로, 예수의 신성을 부정하고 율법 준수를 강조하며 사도 바울을 비판했다. 이들은 예루살렘 멸망 이후 요르단 강 동쪽으로 이동하여 율법주의와 금욕주의를 실천했으며, 마태복음만을 복음서로 인정했다. 에비온파는 예수의 인간성을 강조하고, 바울 서신을 거부하며, 야고보를 예수의 진정한 계승자로 여겼다. 기독교는 에비온파를 이단으로, 이슬람은 예수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에비온파는 클레멘티누스 문헌, 에비온파 복음서 등을 저술했으며, 7세기까지 기록에 나타나지만, 점차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교의 종파 - 에세네파
에세네파는 기원전 3세기 말엽에 등장한 유대교 분파로, 공동체 생활, 엄격한 규율, 종말론적 신앙을 특징으로 하며, 사해 사본과 요세푸스 기록 등을 통해 알려졌으나 쿰란 공동체와의 연관성 및 기독교 등 다른 종교와의 관계는 논쟁 중이며, 예루살렘 성전 붕괴 이후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 - 유대교의 종파 - 사마리아교
사마리아교는 그리심산을 하나님의 성소로 여기며, 야훼를 유일신으로 숭배하고 모세의 토라를 유일한 성경으로 인정하며 유대교와 분리된 역사를 가진 종교이다. - 고대 기독교 이단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 고대 기독교 이단 - 마르키온파
마르키온파는 144년경 마르키온에 의해 시작된 기독교 분파로, 구약의 하나님과 예수의 가르침을 구분하고 엄격한 금욕주의를 강조했으며 신약성경 정경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에비온파 | |
---|---|
기본 정보 | |
명칭 | |
한국어 | 에비온파 |
그리스어 | Ἐβιωναῖοι (Ebiōnaîoi) |
히브리어 | אֶבְיוֹנִים (ʾEḇyōnīm) |
어원 | 가난한 자들 |
역사적 배경 | |
기원 | 1세기 말 |
소멸 | 5세기 이후 |
신학적 특징 | |
주요 특징 | 예수를 인간으로만 여김 (신성 부정) 율법 준수 강조 바울 배척 |
예수 이해 | 양자론적 기독론 세례 때 그리스도의 영이 임했다고 믿음 |
성경 | 히브리어 성경 (일부 수정) 에비온파 복음서 사용 |
율법 | 모세 율법의 완전한 준수 강조, 특히 할례와 안식일 |
제사 | 예루살렘 성전 제사 반대 |
바울 | 율법 폐지를 주장한 바울을 배척 |
음식법 | 채식주의를 실천한 것으로 추정 |
주요 인물 | |
관련 인물 | 예수 그리스도 야고보 (예수의 형제)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에비온파 복음서 클레멘스 동정서 클레멘스 인정서 |
기타 | |
관련 종교 | 유대교, 기독교 |
분파 | 나사렛파 (일부 학자들은 에비온파와 동일시) |
2. 명칭
오리게네스는 에비온은 유대인들 사이에서 '가난한'을 의미하며, 예수를 그리스도로 영접한 유대인들은 에비온 사람(가난한 사람)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고 기술했다.[104] 헬레니즘식 히브리어 용어인 "에비온파(Ebionite)"는 이레네우스가 2세기에 처음 사용했는데, 나사렛파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12][13] 오리게네스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에비온(Ebion)은 '가난한 자'를 의미하며, 예수를 그리스도로 받아들인 유대인들은 에비온파라는 이름으로 불린다"고 썼다.[14][15] 터툴리아누스는 이단의 교주인 에비온(Ebion)에 반대하는 글을 쓴 최초의 인물이었다. 학자들은 그가 'Ebionaioi'를 '에비온의 추종자들'로 직역하여 이 이름을 만들었다고 생각하지만, 이러한 인물에 대한 더 실질적인 언급이 부족하여 이러한 유래는 잘못된 것으로 간주된다.[26][27] "가난한 자들"(ptōkhoígrc)이라는 용어는 여전히 원래의 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26][27] 현대 히브리어는 기독교 역사에서 "에비온파"(אביונים)를 지칭하는 데 여전히 성경 히브리어 용어인 "가난한 자들"을 사용하며, 푸림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선을 베푸는 것에도 사용한다.[16]
기원 70년 예루살렘 함락 이후, 예루살렘에서 기독교를 믿는 유대인들은 요르단 강 동쪽 기슭으로 피난했다. 그곳에서 에비온파가 발생하고 발전했다.[103] 이들은 율법 준수와 금욕주의를 따르고, 입양설적인 그리스도론을 채택했지만, 반바울적인 논쟁을 펼치며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을 부정했다.[103] 이레나이우스에 따르면, 에비온파는 창조주 하나님만을 믿고 예수의 신성을 부정했다. 동정녀 잉태도 부정하며, 예수는 요셉과 마리아의 아들이며 율법 준수를 통해 그리스도가 되었다고 주장했다.[103] 이후 에비온파는 영지주의 운동에 흡수되었다.[103]
3. 역사
3. 1. 기원과 초기 발전
헬레니즘식 히브리어 용어인 "에비온파(Ebionite)"는 2세기에 이레네우스가 처음 사용했다.[12][13] 오리게네스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에비온(Ebion)은 '가난한 자'를 의미하며, 예수를 그리스도로 받아들인 유대인들은 에비온파라는 이름으로 불린다"고 썼다.[14][15] 터툴리아누스는 이단의 교주인 에비온(Ebion)에 반대하는 글을 쓴 최초의 인물이었다. 학자들은 그가 'Ebionaioi'를 '에비온의 추종자들'로 직역하여 이 이름을 만들었다고 생각하지만, 이러한 인물에 대한 더 실질적인 언급이 부족하여 이러한 유래는 잘못된 것으로 간주된다.[26][27] 현대 히브리어는 기독교 역사에서 "에비온파"(אביונים)를 지칭하는 데 여전히 성경 히브리어 용어인 "가난한 자들"을 사용하며, 푸림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선을 베푸는 것에도 사용한다.[16]
에비온파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유스티누스 순교자의 『트리포와의 대화』(서기 155~160년경)에 나타난다. 유스티누스는 모세의 율법을 준수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 준수를 요구하지 않는 유대계 기독교인들과 모세의 율법을 모든 사람에게 필수적인 것으로 믿는 사람들을 구분한다.[17] 이레네우스(서기 180년경)는 "율법에 완고하게 매달리는" 이단인 "유대주의자"로 규정하며 에비온파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일 것이다.[18] 오리게네스(서기 212년경)는 그 이름이 '가난한'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에비온'에서 유래한다고 말한다.[19]
기원 70년 예루살렘이 함락된 후, 기독교를 믿는 유대인들은 요르단 강 동쪽 기슭으로 피난했다. 그곳에서 에비온파가 발생하고 발전했다.[103] 이들은 율법 준수와 금욕주의를 따르고, 입양설적인 그리스도론을 채택했지만, 반바울적인 논쟁을 펼치며,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을 부정했다.[103] 이레나이우스에 따르면, 그들은 창조주 하나님만을 믿고 예수의 신성을 부정했다. 뿐만 아니라 동정녀 잉태도 부정하며, 예수는 요셉과 마리아의 아들이며, 율법 준수를 통해 그리스도가 되었다고 주장했다.[103] 이후 에비온파는 영지주의 운동에 흡수되었다.[103]
3. 2. 분산과 쇠퇴
에비온파는 2세기에 처음 언급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초기 역사와 초기 예루살렘 교회와의 관계는 불분명하며 논쟁의 여지가 있다.[24] 후대 에비온파의 기원을 서기 66~70년의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또는 야고보가 이끌었던 예루살렘 교회와 연결하는 증거는 없다. 유세비우스는 아리스토 펠라에 기반한 전통을 전하며, 초기 기독교인들이 전쟁 직전에 예루살렘을 떠나 펠라로 피신했다고 전한다.[25] 그러나 이것을 에비온파와 연결하지는 않는다.[26][27] 그들은 예루살렘의 시몬(107년 사망)이 이끌었고, 115~117년의 제2차 유대-로마 전쟁 동안 그의 메시아적 주장을 인정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바르 코흐바의 유대인 추종자들에게 박해를 받았다.[24]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310~403년) 시대까지 에비온파 신자들은 나바테아, 파네아스, 모압, 바산 지역의 코카바(다라아 근처)에 거주했다.[28] 이들 지역에서 그들은 흩어져 소아시아(아나톨리아), 로마, 키프로스로 갔다.[28]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이 끝난 후 예루살렘 교회의 중요성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유대 기독교는 레반트 지역의 유대 디아스포라 전역으로 흩어졌고, 그곳에서 이방 기독교에 의해 점차 압도당했다. 이방 기독교는 그 후 유대 기독교 종파의 경쟁 없이 로마 제국 전역으로 퍼져나갔다.[30] 136년에 끝난 바르 코흐바 봉기 동안 예루살렘 교회가 멸망하면서 에비온파는 점차 영향력과 신도를 잃었다. 하얌 마코비와 같은 일부 현대 학자들은 에비온파의 쇠퇴가 유대인과 기독교인 양쪽으로부터의 소외와 박해 때문이라고 주장한다.[10] 그러나 마코비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저술한 저서에서 밝힌 견해는 학자들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배척되었다.[31] 봉기의 패배와 그에 따른 유대인들의 유대아에서의 추방 이후, 예루살렘은 아이리아 카피톨리나라는 이방인 도시가 되었다. 펠라에 거주하던 많은 유대 기독교인들은 이때 유대인 관습을 버리고 주류 기독교 교회에 합류했다. 펠라에 남아 율법을 준수한 사람들은 이단으로 낙인찍혔다.[32] 375년에 에피파니우스는 키프로스에 에비온파 정착민들이 있었다고 기록하지만, 5세기에는 키루스의 테오도레토스가 그들이 그 지역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고했다.[24]
에비온파는 7세기까지, 비록 변방 공동체로서이지만, 여전히 기록에 나타난다. 일부 현대 학자들은 에비온파가 훨씬 더 오래 생존했다고 주장하며, 그들을 약 1000년경 역사가 압드 알자바르 이븐 아흐마드가 만난 종파와 동일시한다.[33] 에비온파 공동체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언급은 11세기경 북서 아라비아에 존재했던 것으로, 스페인 출신 랍비인 벤야민 투델라의 "여행기"인 ''세페르 하마사오트''에 나온다. 이 공동체들은 타이마와 "틸마스"[34], 아마도 예멘의 사아다 두 도시에 위치해 있었다. 12세기 무슬림 역사가 무함마드 알샤흐라스타니는 예수를 예언자로 받아들이고 주류 기독교적 견해를 거부하며 전통적인 유대교를 따르는 인근 메디나와 헤자즈에 사는 유대인들을 언급한다.[35] 일부 학자들은 에비온파 공동체와 초기 무슬림 사이의 상호 작용이 이슬람에서의 예수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는 데 역할을 했다고 제안한다.[27][36]
4. 견해와 관행
에비온파는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했다는 점에는 동의했지만, 예수에 대한 견해는 케린투스나 카르포크라테스와 유사했다.[105] 그들은 마태복음만을 사용하고, 사도 바울을 율법을 배교한 자로 여겨 거부했으며, 할례를 행하고 율법의 관습을 따랐다.[105]
에비온파의 복음서에서 인용된 바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과 예수는 채식주의를 실천했다.[44][45][46]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가 "메뚜기"(ἀκρίδες|akrídes)를 "꿀과자"(ἐγκρίδες|enkrídes)로 수정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다른 신약성경 사본이나 번역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47][48] 다만, 후대의 슬라브어 요세푸스의 『유대전쟁』에서 다른 채식주의적 해석이 발견된다.[49] 파인즈를 비롯한 현대 학자들은 에비온파가 자신들의 채식주의를 세례자 요한에게 투영한 것이라고 본다.[33] 에비온파의 엄격한 채식주의는 기원후 70년 예루살렘 성전 파괴 이후 희생 제물로 동물을 바치는 것이 중단된 것에 대한 반응이거나, 이교도 환경에서 부정한 고기를 먹지 않기 위한 안전장치였을 수 있다.[50] 타보어는 에비온파가 고기를 먹는 것과 성전에서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것을 멸시한 것은 홍수 이전의 이상적인 식단과 그들이 원초적인 숭배 형태로 여긴 것에 대한 선호 때문이라고 주장한다.[4]
대부분의 교부들은 에비온파가 초기 정통 기독교의 핵심 교리인 예수의 신성, 전존재, 동정녀 탄생 등을 거부했다는 데 동의한다.[6] 에비온파는 예수의 인성을 강조하여, 예수를 요셉과 마리아의 친아들로, 모세의 율법을 완벽하게 지킨 그의 의로움으로 인해 하느님의 아들로 입양된 자로 여겼다.[51] 오리게네스와 유세비우스는 에비온파 종파의 그리스도론에 어느 정도 변화가 있었음을 인정하며, 모든 에비온파가 예수의 전존재를 부인했지만, 동정녀 탄생을 부인하지 않은 소종파도 있었다고 언급한다.[53]
에비온파는 예수를 메시아로 보았는데, 신명기 18:15-19에 예언된 "모세와 같은 예언자"의 모습을 따랐다. 그들은 예수가 하느님과의 계약에서 벗어난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모든 후손들과 모든 이방인 국가의 잠재적 개종자들을 불러 회개하고 모세의 율법과 율법 해설을 따르도록 하여 의롭게 되고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갈 자격을 얻게 하기 위해 왔다고 믿었다.[56][57]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가 예수의 사명이 예언자이자 개혁가로서 짐승 제물을 폐지하는 것을 선포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믿었지, 의도적인 자기희생을 통한 대속은 아니었다고 기록한다.[20][38] 그들은 예수가 이스라엘 백성이나 인류의 속죄를 위해 고난받고 죽었다고 믿지 않았다. 에비온파는 예수가 성전 제사 제도를 종식시키기 위해 십자가에 못 박혔다고 믿었으며, 이는 진정한 회개와 자비의 행위에 기초한 예배를 확립하기 위한 것이었다.[56][57]
일부 교부들은 에비온파가 야고보(야고보 공의로운 자)을 (베드로가 아닌) 예수의 진정한 계승자이자 의로움의 모범으로 존경했다고 주장한다.[58]
에비온파는 바울을 율법에서 배교한 자라고 비판하며 그의 서신을 배척했다.[3] 오리게네스에 따르면 그들은 바울을 "율법으로부터 배도한 자"로 여겼다.[70]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가 바울을 이방 기독교인들이 할례를 받거나 모세 율법을 따를 필요가 없다는 생각의 책임자로 여겼고, 그를 유대교로부터의 배교자라고 불렀다고 전한다.[18]
4. 1. 유대교, 영지주의, 에세네파와의 관계
이레네우스가 2세기에 '에비온파'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오리게네스는 이 용어가 '가난한 자'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에비온'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한다.[14][15] 터툴리아누스는 이단의 교주인 에비온에 반대하는 글을 썼지만, 학자들은 이러한 인물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여 이 유래가 잘못된 것으로 본다.[26][27] 현대 히브리어에서도 "에비온파"(אביונים)는 성경 히브리어 용어인 "가난한 자들"을 사용한다.[16]유스티누스 순교자는 모세의 율법 준수 여부에 따라 유대계 기독교인을 구분했으며,[17] 이레네우스는 에비온파를 "율법에 완고하게 매달리는" 이단으로 규정했다.[18]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파나리온』에서 에비온파에 대한 가장 완전한 설명을 제공하며, 그들의 종교적 신념과 복음서를 인용한다.[20][21] 에비온파 운동은 예루살렘 성전 파괴 시기(서기 70년)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2]
에비온파의 초기 역사와 초기 예루살렘 교회와의 관계는 불분명하며 논쟁의 여지가 있다. 유세비우스는 초기 기독교인들이 전쟁 직전에 예루살렘을 떠나 펠라로 피신했다고 전하지만, 이것을 에비온파와 연결하지는 않는다.[25] 에피파니우스 시대(310~403년)에 에비온파 신자들은 나바테아, 파네아스, 모압, 바산 지역의 코카바(다라아 근처)에 거주했으며, 소아시아(아나톨리아), 로마, 키프로스로 흩어졌다.[28]
대부분의 교부 문헌은 에비온파를 모세의 율법을 따르고, 예루살렘을 존경하며, 유대교로 개종한 하느님을 경외하는 이방인에게만 식탁 교제를 허용한 유대인들로 묘사한다.[17] 일부 교부들은 일부 에비온파가 전통적인 유대교 신앙 원리와 실천에서 벗어났다고 기술한다. 예를 들어, 올림푸스의 메토디오스는 에비온파가 예언자들이 성령의 능력이 아닌 자신의 능력으로만 말했다고 믿었다고 주장했다.[37]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가 율법의 일부를 폐지되었다거나 타락했다고 부인했으며,[20] 동물 희생에 반대했고,[20] 채식주의를 실천했으며,[20] 매년 유월절 전후로 기념식을 무교병과 물만 사용하여 거행했다고 한다.[20][40][41]
일부 학자들은 에피파니우스의 기록에 의문을 제기하며, 슬로모 파인스는 그가 에비온파에게 돌린 이단적인 견해와 관행이 영지주의 그리스도교에서 유래했으며, 에피파니우스가 에비온파에게 잘못 적용한 유대교 엘케사이트 종파의 특징이라고 주장한다.[33]
주류 성서 학자들은 초기 유대교 그리스도교 교회에 에세네파의 영향이 있었다고 생각하며, 한스-요아힘 쇼프스는 70년 예루살렘 함락 이후 일부 에세네파의 유대교 그리스도교로의 개종이 일부 에비온파가 에세네파의 견해와 관행을 채택한 원인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36]
4. 2. 세례 요한에 대하여
에비온파의 복음서에서 에피파니우스가 인용한 바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과 예수는 채식주의를 실천했다.[44][45][46]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가 "메뚜기"(ἀκρίδες|akrídes)를 "꿀과자"(ἐγκρίδες|enkrídes)로 고쳤다고 주장하는데, 이러한 수정은 다른 어떤 신약성경 사본이나 번역본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47][48] 다만, 후대의 슬라브어 요세푸스의 『유대전쟁』에서 다른 채식주의적 해석이 나타난다.[49] 파인즈를 비롯한 현대 학자들은 에비온파가 자신들의 채식주의를 세례자 요한에게 투영한 것이라고 본다.[33]에비온파의 엄격한 채식주의는 기원후 70년 예루살렘 성전 파괴 이후 희생 제물로 동물을 바치는 것이 중단된 것에 대한 반응이자, 이교도 환경에서 부정한 고기를 먹지 않기 위한 안전장치였을 수 있다.[50] 그러나 타보어는 에비온파가 고기를 먹는 것과 성전에서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것을 멸시한 것은 홍수 이전의 이상적인 식단과 그들이 원초적인 숭배 형태로 여긴 것에 대한 선호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에비온파는 홍수 이전 시나이산 계시 이전의 전통, 특히 에녹에서 노아까지의 시대에서 영감을 받은 전통을 되살리고자 했다.[4]
4. 3. 예수에 대하여
이레네우스에 따르면, 에비온파는 하나님이 세상을 만드셨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예수에 대한 그들의 견해는 케린투스와 카르포크라테스의 견해와 유사하다고 한다.[105] 그들은 오직 마태복음만을 사용했으며, 사도 바울을 율법을 배교한 자라고 주장하며 거부했고, 할례를 행하며, 율법이 명하는 관습을 지켰다.[105]대부분의 교부들은 에비온파가 예수의 신성, 전존재, 동정녀 탄생 등 초기 정통 기독교의 핵심 교리들을 거부했다는 데 동의한다.[6] 에비온파는 예수의 인성을 강조했는데, 그들은 예수를 요셉과 마리아의 친아들로, 모세의 율법을 완벽하게 지킨 그의 의로움으로 인해 히브리 성경을 성취하기 위해 하느님의 아들로 입양된 자로 여겼다.[51]
오리게네스 (''켈수스를 반박하여'' 5.61)[52] 와 유세비우스 (''교회사'' 3.27.3)는 에비온파 종파의 그리스도론에 어느 정도 변화가 있었음을 인정한다. 예를 들어, 모든 에비온파가 예수의 전존재를 부인했지만, 동정녀 탄생을 부인하지 않은 소종파도 있었다.[53]
에비온파는 예수를 메시아로 보았는데, 신명기 18:15-19에 예언된 새로운 "모세와 같은 예언자"의 모습을 따랐다. 그들은 예수가 하느님과의 계약에서 벗어난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모든 후손들과 모든 이방인 국가의 잠재적 개종자들을 불러 회개하고 모세의 율법과 그의 자신의 율법 해설을 따르도록 하여 의롭게 되고 지상에 오는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갈 자격을 얻게 하기 위해 왔다고 믿었다.[56][57]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가 예수와 그리스도는 두 개의 다른 존재라고 주장하는 분리주의적인 그리스도론을 가지고 있었으며, 따라서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천사로서 세례 때 하느님의 아들로 입양되었을 때 예수에게 육화되었다고 주장했다.[20]
에피파니우스만의 기록에 따르면, 에비온파는 예수의 사명이 예언자이자 개혁가로서 짐승 제물을 폐지하는 것[20][38]을 선포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믿었지, 의도적인 자기희생을 통해 스스로를 대신하는 대속을 하지는 않았다.
4. 4. 의로운 야고보에 대하여
유스티누스의 『트리포와의 대화』(서기 155~160년경)에서 에비온파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 나타난다.[17] 유스티누스는 모세의 율법을 준수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 준수를 요구하지 않는 유대계 기독교인들과 모세의 율법을 모든 사람에게 필수적인 것으로 믿는 사람들을 구분한다.[17] 이레네우스(서기 180년경)는 "율법에 완고하게 매달리는" 이단인 "유대주의자"로 규정하며 에비온파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8] 오리게네스(서기 212년경)는 그 이름이 '가난한'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에비온'에서 유래한다고 언급한다.[19]일부 교부들은 에비온파가 예수의 형제 야고보(베드로가 아닌)를 예수의 진정한 계승자이자 의로움의 모범으로 존경했다고 주장한다.[58] 에비온파와 야고보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주장 중 하나는 위경 클레멘티나 문헌에 있는 ''야고보의 승천''이 에비온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42] 윌리엄 위스턴은 1794년판 요세푸스에서 헤기시푸스의 단편을 언급하며, 에비온파가 이사야의 예언을 야고보의 살해를 예고하는 것으로 해석했다고 적고 있다.[59]
로버트 아이젠먼[60][61], 피에르-앙투안 베른하임[62], 윌 뒤랑, 마이클 골더,[63] 게르트 루데만,[64] 존 페인터,[65] 제임스 타보어[4] 등의 학자들은 2세기와 3세기로 이어지는 예루살렘 교회의 연속성을 주장하며, 에비온파가 야고보를 사도적 창시자로 여겼다고 주장한다.[66][67]
4. 5. 사도 바울에 대하여
에비온파는 사도 바울을 율법에서 배교한 자라고 주장하며 거부했다.[105] 바울은 예루살렘 교회의 "성도들 가운데 가난한 자들"을 위한 헌금을 언급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분파적인 종파가 아닌 교회의 더 가난한 구성원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23]에비온파는 바울 서신을 배척했으며,[3] 오리게네스에 따르면 그들은 바울을 "율법으로부터 배도한 자"로 여겼다.[70] 에비온파는 신앙적으로나 혈통적으로 "초사도들"—개종자의 할례 의무화를 옹호하는 유대 기독교 목사들—의 후예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들은 갈라디아[71]와 고린도[71]에서 바울을 폄훼하려 했다.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가 바울을 반대한 이유로, 그들이 바울을 이방 기독교인들이 할례를 받거나 모세 율법을 따를 필요가 없다는 생각의 책임자로 여겼고, 그를 유대교로부터의 배교자라고 불렀기 때문이라고 전한다.[18] 에피파니우스는 또한 일부 에비온파가 바울을 유대교로 개종하여 이스라엘 대제사장의 딸과 결혼하려 했으나, 그녀에게 버림받자 배교했다고 주장했다고 전한다.[72][11]
5. 저술
에비온파의 저술은 대부분 소실되어 다른 저술가들의 인용문을 통해서만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2] 존 아렌젠(John Arendzen)은 에비온파의 저술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 그룹으로 분류했다.[75]
- 에비온파 복음서: 이레네우스는 에비온파가 마태복음만을 사용했다고 주장했고, 유세비우스는 히브리인 복음서만을 사용했다고 기록했다.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가 사용한 복음서가 마태가 기록한 "히브리어 복음서"라고 주장했지만, "위조되고 훼손되었다"고 언급했다.[20]
- 클레멘티누스 문헌: 예수의 동생 야고보의 우월성, 로마 주교좌와의 연관성, 시몬 마구스와의 적대 관계, 영지주의 교리와 같은 유대 기독교적 견해를 표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심마쿠스의 번역: 심마쿠스는 구약 성서를 코이네 그리스어로 번역했으며, 마태오 복음서에 반박하는 『주해(Hypomnemata)』[87][88]를 저술했다.
- 엘카사이서: 엘카사이가 천사로부터 받았다고 주장하는 책으로, 히폴리토스는 아파메아의 알키비아데스가, 오리게네스는 엘카사이파가 이 책을 가르쳤다고 기록했다.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도 이 책을 신앙과 관습의 근거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21][92][20]
5. 1. 에비온파 복음서
에비온파의 저술은 다른 저술가들의 인용 몇 개를 제외하고는 전혀 남아있지 않으며, 그 형태 또한 불확실하다.[2] 3세기 기독교 저작인 『클레멘트의 인식』과 『클레멘티누스 설교』는 학계의 일반적인 합의에 따라 대부분 또는 전적으로 유대 기독교인의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유대 기독교 신앙을 반영한다. 에비온파와 이 저술들 간의 정확한 관계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에피파니우스가 『파나리온』 30에서 묘사한 일부 에비온파의 견해는 『인식』과 『설교』의 사상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 학자 글렌 앨런 코흐는 에피파니우스가 출처 문서로 『설교』의 한 판본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한다.[21] 일부 학자들은 논쟁적인 중세 무슬림의 덧입힘 아래에 있는 『바르나바 복음서』의 핵심이 에비온파 또는 영지주의 문서를 기반으로 했을 가능성을 추측하기도 한다.[73] 그러나 이 출처의 존재와 기원은 학자들 사이에서 계속 논쟁되고 있다.[74]존 아렌젠은 에비온파의 저술을 네 가지 그룹으로 분류했다.[75] 이레네우스는 에비온파가 오직 마태복음(Gospel of Matthew)만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76] 유세비우스(Eusebius of Caesarea)는 그들이 오직 히브리어 복음서(Gospel of the Hebrews)만을 사용했다고 기록했다.[77] 이로부터 제임스 R. 에드워드(James R. Edwards)와 에드워드 니콜슨(Edward Nicholson)은 소수 의견으로, 당시 유통되던 히브리어 복음서는 마태의 히브리어 복음서 하나뿐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또한 "에비온파 복음서(Gospel of the Ebionites)"라는 제목은 초기 교회에서 아무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한다.[78][79][80]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가 사용한 복음서는 마태가 기록한 것으로 "히브리어 복음서"라고 불렸다고 주장했다.[81] 에피파니우스는 그것이 "전적으로 완전하지 않고, 위조되고 훼손되었다"고 말했기 때문에,[20] 월터 리처드 캐슬스(Walter Richard Cassels)와 피어슨 파커(Pierson Parker)와 같은 학자들은 그것을 마태의 히브리어 복음서의 다른 "판본"으로 간주한다.[82][83] 그러나, ''파나리온''(Panarion) 30.13.4절과 30.13.7절의 인용문에서 나오는 내적 증거는 그 본문이 원래 그리스어로 쓰여진 복음서 조화(gospel harmony)였다는 것을 시사한다.[84]
빌헬름 슈네멜허(Wilhelm Schneemelcher)가 편집한 신약 외경(New Testament apocrypha)의 표준판과 같은 주류 학술 자료들은 일반적으로 예로니무스가 에비온파가 사용했다고 언급한 본문을 "에비온파 복음서(Gospel of the Ebionites)"라고 부르지만, 이것은 초기 교회에서 통용되던 용어는 아니다.[85][86]
5. 2. 클레멘스 문헌
『클레멘트의 인식』과 『클레멘티누스 설교』는 3세기 유대 기독교 저작으로, 학계에서는 대체로 유대 기독교적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유대 기독교 신앙을 반영한다고 본다.[2] 에비온파와 이 문헌들 간의 정확한 관계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에피파니우스가 『파나리온』 30에서 묘사한 일부 에비온파의 견해는 『인식』과 『설교』의 사상과 매우 유사하다. 학자 글렌 앨런 코흐는 에피파니우스가 『설교』의 한 판본을 자료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한다.[21]일부 학자들은 논쟁적인 중세 무슬림의 덧칠 아래에 있는 『바르나바 복음서』의 핵심이 에비온파 또는 영지주의 문서를 기반으로 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73] 그러나 이 자료의 존재와 기원은 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 중이다.[74]
존 아렌젠은 에비온파의 저술을 네 가지 그룹으로 분류했는데,[75] 그중 하나가 클레멘티누스 문헌이다. 여기에는 고대에 「베드로의 순회(Circuits of Peter)」, 「사도행전(Acts of the Apostles)」, 그리고 일반적으로 「야고보의 승천(Ascents of James)」으로 불리는 세 작품이 포함된다.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에 대한 논쟁에서 이 책들을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처음 언급된 책들은 클레멘트의 「베드로의 순회 설교 요약(Compendium of Peter's itinerary sermons)」이라는 제목으로 클레멘트의 「설교(Homilies)」와 클레멘트에게 귀속되는 「인식(Recognitions)」에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초기 기독교의 교훈적인 허구 작품으로, 예수의 동생 야고보의 우월성, 로마 주교좌와의 연관성, 시몬 마구스와의 적대 관계, 그리고 영지주의 교리와 같은 유대 기독교적 견해를 표현한다. 학자 로버트 E. 반 부어스트는 「야고보의 승천(Ascents of James)」(R 1.33–71)에 대해 "사실, 유대 기독교에서 기원했음을 더 확실히 말할 수 있는 클레멘티누스 문헌의 부분은 없다"고 언급했다.[42] 그러나 그는 이 자료가 진정한 에비온파 출신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한다.
5. 3. 심마쿠스의 번역
심마쿠스는 구약 성서를 코이네 그리스어로 번역했는데, 이 번역본은 히에로니무스가 사용했으며 일부 단편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 또한, 그는 정경 복음서인 마태오 복음서에 반박하기 위해 『주해(Hypomnemata)』[87][88]를 저술했으나 현재는 소실되었다. 『주해』는 에베드 예수(Ebed Jesu)가 언급한 『계명의 구별에 관하여(De distinctione præceptorum)』와 동일한 것으로 추정된다(아세마니(Assemani), 『동방 서지(Bibl. Or.)』 III, 1). 그러나 최근 학계에서는 심마쿠스가 에비온파라는 주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89]5. 4. 엘카사이서
에비온파에 대한 정보는 주로 교부들의 기록에 의존하는데, 그중에서도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가 저술한 『파나리온』(Panarion)이 가장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20][21] 그러나 에피파니우스의 기록은 3세기 후의 것이고, 에비온파와 관련 없을 수도 있는 『엘카사이서』(Book of Elchasai)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22]엘카사이파의 영향으로 일부 에비온파는 시리아와 동쪽 지역에 널리 퍼져 있던 영지주의 운동의 맥락에 놓이게 되었다.[27][29]
존 아렌젠은 에비온파의 저술을 네 가지 그룹으로 분류했는데,[75] 그중 하나가 엘카사이의 책이다. 히폴리토스는 유대계 기독교인인 아파메아의 알키비아데스가 로마에 나타나 의인 엘카사이가 천사로부터 받았다고 주장하는 책(엘카사이의 책)을 가르쳤다고 전했다. 그러나 히폴리토스는 알키비아데스 자신이 저자라고 의심했다.[90] 얼마 후, 오리겐은 같은 신앙을 가진 엘카사이파를 기록했다.[91]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도 이 책을 그들의 신앙과 관습의 근거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Panarion'' 30.17).[21][92][20] 에피파니우스는 엘카사이라는 이름의 기원을 아람어 ''엘 크사이''(El Ksai), 즉 "숨겨진 능력"으로 설명한다(''Panarion'' 19.2.1). 학자 페트리 루오마넨은 이 책이 원래 아람어로 쓰인 유대교 계시문학으로, 아마도 바빌로니아에서 116년에서 117년 사이에 쓰여졌다고 본다.[11]
6. 종교적, 비판적 관점
에비온파에 대한 초기 기독교 교부들의 기록은 종종 모순되며, 다양한 분파를 구분하려는 시도에서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27] 언급된 다른 종파로는 카르포크라티아파, 세린투스파, 엘케사이트파, 4세기 나사렛파, 샘프사이트파 등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에비온파가 거부한 영지주의적 견해를 가진 유대계 기독교 종파였다. 그러나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에비온파의 한 분파가 그들의 이름을 유지하면서도 이러한 견해를 일부 받아들였다고 언급한다.[24]
에비온파가 2세기에 처음 언급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초기 역사와 초기 예루살렘 교회와의 관계는 불분명하고 논쟁의 여지가 있다. 후대 에비온파의 기원을 서기 66~70년의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또는 야고보가 이끌었던 예루살렘 교회와 연결하는 증거는 없다.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는 아리스토 펠라에 기반한 전통을 전하며, 초기 기독교인들이 전쟁 직전에 예루살렘을 떠나 펠라로 피신했다고 전한다.[25] 그러나 이것을 에비온파와 연결하지는 않는다.[26][27] 에비온파는 예루살렘의 시몬(107년 사망)이 이끌었고, 115~117년의 제2차 유대-로마 전쟁 동안 그의 메시아적 주장을 인정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바르 코크바의 유대인 추종자들에게 박해를 받았다.[24] 에피파니우스(310~403년) 시대까지 에비온파 신자들은 나바테아, 파네아스, 모압, 바산 지역의 코카바(다라아 근처)에 거주했다.[28] 이들 지역에서 그들은 소아시아(아나톨리아), 로마, 키프로스로 갔다.[28]
제1차 유대-로마 전쟁 이후 예루살렘 교회의 중요성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유대 기독교는 레반트 지역의 유대 디아스포라 전역으로 흩어졌고, 그곳에서 이방 기독교에 의해 점차 압도당했다. 이방 기독교는 그 후 유대 기독교 종파의 경쟁 없이 로마 제국 전역으로 퍼져나갔다.[30] 136년에 끝난 바르 코흐바 봉기 동안 예루살렘 교회가 멸망하면서 에비온파는 점차 영향력과 신도를 잃었다. 하얌 마코비와 같은 일부 현대 학자들은 에비온파의 쇠퇴가 유대인과 기독교인 양쪽으로부터의 소외와 박해 때문이라고 주장한다.[10] 그러나 마코비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저술한 저서에서 밝힌 견해는 학자들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배척되었다.[31] 봉기의 패배와 그에 따른 유대인들의 유대아에서의 추방 이후, 예루살렘은 아이리아 카피톨리나라는 이방인 도시가 되었다. 펠라에 거주하던 많은 유대 기독교인들은 이때 유대인 관습을 버리고 주류 기독교 교회에 합류했다. 펠라에 남아 율법을 준수한 사람들은 이단으로 낙인찍혔다.[32] 375년에 에피파니우스는 키프로스에 에비온파 정착민들이 있었다고 기록하지만, 5세기에는 키루스의 테오도레토스가 그들이 그 지역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고했다.[24]
에비온파는 7세기까지, 비록 변방 공동체로서이지만, 여전히 기록에 나타난다. 일부 현대 학자들은 에비온파가 훨씬 더 오래 생존했다고 주장하며, 그들을 약 1000년경 역사가 압드 알자바르 이븐 아흐마드가 만난 종파와 동일시한다.[33] 에비온파 공동체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언급은 11세기경 북서 아라비아에 존재했던 것으로, 스페인 출신 랍비인 벤야민 투델라의 "여행기"인 ''세페르 하마사오트''에 나온다. 이 공동체들은 타이마와 "틸마스"[34], 아마도 예멘의 사아다 두 도시에 위치해 있었다.
유대교를 위한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문헌에서 역사적 에비온파를 긍정적으로 언급하며, 예수를 믿는 유대인들과 같은 선교 단체들이 주장하는 "메시아닉 유대교"가 사실은 바울주의 기독교가 유대교인 것처럼 가장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98] 2007년, 일부 메시아닉 유대교 해설가들은 이스라엘에서 에비온파의 부활, 특히 이스라엘 메시아닉 유대교 지도자들의 예수의 신성에 대한 믿음에서의 배교라는 문제로 인해 메시아닉 유대교 운동이 존재론적 위기에 처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99][100]
6. 1. 기독교
이레네우스는 2세기(Christianity in the 2nd century)에 "에비온파(Ebionite)"라는 헬레니즘식 히브리어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서기 180년경), 나사렛파는 언급하지 않았다.[12][13] 오리게네스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에비온(Ebion)은 '가난한 자'를 의미하며, 예수를 그리스도로 받아들인 유대인들은 에비온파라는 이름으로 불린다"고 기록했다.[14][15] 터툴리아누스는 이단의 교주인 에비온(Ebion)에 반대하는 글을 쓴 최초의 인물이었다. 학자들은 그가 'Ebionaioi'를 '에비온의 추종자들'로 직역하여 이 이름을 만들었다고 생각하지만, 이러한 인물에 대한 더 실질적인 언급이 부족하여 이러한 유래는 잘못된 것으로 간주된다.[26][27] 현대 히브리어는 기독교 역사에서 "에비온파"(אביונים)를 지칭하는 데 여전히 성경 히브리어 용어인 "가난한 자들"을 사용하며, 푸림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선을 베푸는 것에도 사용한다.[16]에비온파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유스티누스 순교자의 『트리포와의 대화』(서기 155~160년경)에 나타난다. 유스티누스는 모세의 율법을 준수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 준수를 요구하지 않는 유대계 기독교인들과 모세의 율법을 모든 사람에게 필수적인 것으로 믿는 사람들을 구분한다.[17] 이레네우스(서기 180년경)는 "율법에 완고하게 매달리는" 이단인 "유대주의자"로 규정하며 에비온파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8] 오리게네스(서기 212년경)는 그 이름이 '가난한'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에비온'에서 유래한다고 말했다.[19]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서기 310~320년 – 403년)는 그의 이단 연구서인 『파나리온』(Panarion)에서 80개의 이단 종파를 비난하면서 에비온파에 대한 가장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20][21]
예루살렘에서 기독교를 믿는 유대인들이 기원 70년 예루살렘 함락 이후 요르단 강 동쪽 기슭으로 피난했고, 그곳에서 에비온파가 발생하고 발전했다.[103] 이들은 율법 준수와 금욕주의를 따르고, 입양설적인 그리스도론을 채택했지만, 반바울적인 논쟁을 펼치며,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을 부정했다.[103] 이레나이우스에 따르면, 그들은 창조주 하나님만을 믿고 예수의 신성을 부정했다. 뿐만 아니라 동정녀 잉태도 부정하며, 예수는 요셉과 마리아의 아들이며, 율법 준수를 통해 그리스도가 되었다고 주장했다.[103] 이후 에비온파는 영지주의 운동에 흡수되었다.[103]
주류 기독교에서 에비온파를 바라보는 시각은 부분적으로 교부들의 논쟁적인 견해 해석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교부들은 예수에 대한 원초 정교 기독교의 견해를 많이 거부하고, 하나님의 은총보다 모세의 율법에 지나치게 집착했다는 이유로 에비온파를 이단으로 묘사했다.[75]
이슬람교는 기독교가 아브라함의 하나님의 순수한 일신교를 삼위일체 교리와 성상 숭배를 통해 왜곡했다고 비난한다. 폴 아다에와 팀 보우스는 에비온파가 역사적 예수의 원래 가르침에 충실했고 따라서 이슬람의 예수관의 인성을 공유했으며 속죄에 대한 원교부적 이론들을 거부했다고 썼다.[94] 또한, 이슬람의 예수관은 예수의 동정녀 탄생을 부정하기보다는 받아들였던 에비온파 내 소수 종파의 견해와 일치한다.[95][96]
한스 요아힘 쇤프스는 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가 아라비아 반도에서 접했을 법한 기독교는 "비잔티움의 국교가 아니라 에비온파와 단성론적 견해를 특징으로 하는 이단 기독교"였다고 지적한다.[36]
이르판 샤히드는 7세기까지 에비온파가 남아 있었다는 증거는 없고, 더욱이 메카에 존재했다는 증거는 더더욱 없다고 반박한다.[97]
6. 2. 이슬람
일부 학자들은 에비온파와 초기 무슬림 사이의 상호작용이 이슬람의 예수관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27][36] 12세기 무슬림 역사가 무함마드 알샤흐라스타니는 메디나와 헤자즈 인근에 살면서 예수를 예언자로 받아들이고 전통 유대교를 따르며 주류 기독교의 예수관을 거부하는 유대인들을 언급했다.[35]6. 3. 유대교
예루살렘에서 기독교를 믿는 유대인들이 기원 70년 예루살렘 함락 후 요르단 강 동쪽 기슭으로 피난했다. 그곳에서 에비온파가 발생하고 발전했다.[103] 이들은 율법 준수와 금욕주의를 따르고, 입양설적인 그리스도론을 채택했지만, 반바울적인 논쟁을 펼치며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을 부정했다.[103] 이레나이우스에 따르면, 에비온파는 창조주 하나님만을 믿고 예수의 신성을 부정했다. 동정녀 잉태도 부정하며, 예수는 요셉과 마리아의 아들이며, 율법 준수를 통해 그리스도가 되었다고 주장했다.[103] 이후 에비온파는 영지주의 운동에 흡수되었다.[103]참조
[1]
백과사전
[2]
웹사이트
Ebionites
https://www.britanni[...]
2022-11-14
[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Jesus Dynasty: The Hidden History of Jesus, His Royal Family, and the Birth of Christianity
Simon & Schuster
[5]
서적
A Companion to Second-Century Christian 'Heretics'
https://books.google[...]
BRILL
[6]
서적
Patristic Evidence for Jewish-Christian Sects
Brill
[7]
웹사이트
The Virgin Birth — An Inquiry into the Biblical Doctrine
http://www.torahreso[...]
2007-08-13
[8]
서적
The Secret Legacy of Jesus
Inner Traditions
[9]
서적
Jewish Encyclopedia
2020-07-26
[10]
서적
The Mythmaker: Paul and the Invention of Christianity
http://ebionite.trip[...]
HarperCollins
[11]
서적
Jewish Christianity Reconsidered
Fortress Press
[12]
문서
A companion to second-century Christian "heretics"
[13]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14]
서적
Contra Celsum
[15]
웹사이트
Philip Schaff: ANF04. Fathers of the Third Century: Tertullian, Part Fourth; Minucius Felix; Commodian; Origen, Parts First and Second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16]
서적
The Oxford English-Hebrew Dictionary
[17]
서적
Dialogue with Trypho
http://www.newadvent[...]
[18]
서적
Adversus Haereses
[19]
서적
De Principiis
http://www.newadvent[...]
[20]
서적
Panarion
[21]
서적
A Critical Investigation of Epiphanius' Knowledge of the Ebionites: A Translation and Critical Discussion of 'Panarion' 30
University of Pennsylvania
[22]
서적
A Companion to Second-Century Christian'Heretics
Brill
[23]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24]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Early Christian Biography
http://www.ccel.org/[...]
2007-08-01
[25]
서적
Studies in Rabbinic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Brill
[26]
서적
A Religious Encyclopaedia or Dictionary of Biblical, Historical, Doctrinal, and Practical Theology
[27]
서적
Religio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28]
서적
Patristic Evidence for Jewish-Christian Sects
E.J. Brill
[29]
서적
The History of Dogma
[30]
서적
The fall of Jerusalem and the Christian church: A study of the effects of the Jewish overthrow of A. D. 70 on Christianity
S.P. C.K.
[31]
웹사이트
It's 'Kosher' To Accept Real Jesus?
https://forward.com/[...]
2012-02-09
[32]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web.archive.[...]
Random House, NY
[33]
서적
The Jewish Christians Of The Early Centuries Of Christianity According To A New Source
https://books.google[...]
Proceedings of the Israel Academy of Sciences and Humanities II, No. 13
[34]
서적
The Itinerary of Benjamin of Tudela: Critical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Phillip Feldheim
[35]
서적
The Book of Religious and Philosophical Sects, William Cureton edition
Gorgias Press
[36]
서적
Jewish Christianity: Factional Disputes in the Early Church. Translation Douglas R. A. Hare
Fortress Press
[37]
서적
Ancient Christian commentary on Scriptur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0-10-14
[38]
학술지
'I Have Come to Abolish Sacrifices' (Epiphanius, Pan. 30.16.5): Re-examining a Jewish Christian Text and Tradition
New Testament Studies, Volume 63, Issue 1
2017-01
[39]
학술지
The Tekmoreian Guest-Friends
https://zenodo.org/r[...]
[40]
서적
Syrian Christians, A Brief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of St. George in Milwaukee, Wis. And a Sketch of the Eastern Church
http://www.melkite.o[...]
2007-04-28
[41]
서적
Adversus Haereses
http://www.newadvent[...]
[42]
서적
The Ascents of James: History and Theology of a Jewish-Christian Community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43]
서적
The Scrolls and the New Testament
Herder & Herder
[44]
서적
The image of the Judaeo-Christians in ancient Jewish and Christian literature
Mohr Siebeck
[45]
서적
Lost Christianities
https://archive.org/[...]
[46]
서적
Lost Scriptures: Books that Did Not Make It into the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47]
서적
Textual Apparatus of the UBS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48]
서적
The Diet of John the Baptist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49]
서적
Gnostic John the Baptizer: Selections from the Mandæan John-Book
http://www.sacred-te[...]
Forgotten Books
[50]
서적
The Apocryphal Gospel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A&C Black
[51]
서적
Lost Christianities: The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2]
서적
A select library of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of the Christian church
[53]
서적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J
http://www.ccel.org/[...]
[54]
서적
Patristic evidence for Jewish-Christian sects
[55]
서적
Jewish Ways of Following Jesus: Redrawing the Religious Map of Antiquity
[56]
서적
The Image of the Judeo-Christians in Ancient Jewish and Christ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Peter J. Tomson and Doris Lambers-Petry eds.
[57]
학술지
Jesus' Teaching on the Torah in the Sermon on the Mount
Neotestamentica / New Testament Society of Southern Africa
[58]
서적
James the brother of Jesus: the key to unlocking the secrets of early Christianity and the Dead Sea Scrolls
Penguin Books
[59]
서적
Antiquities
[60]
서적
James, Brother of Jesus: The key to unlocking the secrets of early Christianity and the Dead Sea Scrolls
Viking
[61]
서적
The New Testament Code
https://archive.org/[...]
Watkins Publishing
[62]
서적
James, Brother of Jesus
http://www.abc.net.a[...]
SCM Press
[63]
서적
St. Paul versus St. Peter: A Tale of Two Missions
John Knox Press
[64]
서적
Heretics: The Other Side of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Knox Press
2011-03-27
[65]
서적
Just James - The Brother of Jesus in History and Tradition
Fortress Press
[66]
서적
The Blessing of Africa: The Bible and African Christianity
Intervarsity Press
[67]
서적
Unity and Diversity in the New Testament: an inquiry into the character of earliest Christianity
S.C.M. Press
[68]
서적
The brother of Jesus: James the Just and his missio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69]
학술지
The Relatives of Jesus
http://www.biblicals[...]
2011-02-11
[70]
서적
Paul and the Second Century
https://books.google[...]
A&C Black
[71]
서적
How Jesus Became God: The Exaltation of a Jewish Preacher from Galilee
HarperOne
[72]
문서
"[The Ebionites] declare that he was a Greek [...] He went up to Jerusalem, they say, and when he had spent some time there, he was seized with a passion to marry the daughter of the priest. For this reason he became a proselyte and was circumcised. Then, when he failed to get the girl, he flew into a rage and wrote against circumcision and against the sabbath and the Law."
[73]
서적
Nazarenus, or Jewish, Gentile and Mahometan Christianity
[74]
학술지
Barnabas and the Gospels: Was There an Early ''Gospel of Barnabas''?
http://depts.drew.ed[...]
2007-03-11
[75]
백과사전
[76]
문서
''"Those who are called Ebionites accept that God made the world. However, their opinions with respect to the Lord are quite similar to those of [[Cerinthus]] and [[Carpocrates]]. They use ''Matthew's gospel'' only, and repudiate the Apostle Paul, maintaining that he was an apostate from the Law."''
[77]
문서
http://www.newadvent[...]
[78]
서적
The Hebrew Gospel & the Development of the Synoptic Tradi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Co
[79]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the Hebrews
BiblioBazaar, LLC
[80]
서적
The Life and Works of Flavius Josephus
Kessinger Publishing
[81]
문서
[82]
서적
Supernatural Religion - An Inquiry into the Reality of Divine Revelation
Read Books
[83]
학술지
A Proto-Lukan Basis for the Gospel According to the Hebrews
[84]
서적
The Complete Gospels
https://archive.org/[...]
Polebridge Press, Robert J. Miller ed.
[85]
서적
The Gospel of Jesus: according to the Jesus Seminar
Polebridge Press
[8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87]
문서
http://www.newadvent[...]
[88]
문서
http://www.newadvent[...]
[89]
서적
Jewish Believers in Jesus
Hendrickson Publishers
[90]
서적
The Revelation of Elchasai: Investigations into the Evidence for a Mesopotamian Jewish Apocalypse of the Second Century and its Reception by Judeo-Christian Propagandists
1985
[91]
서적
A companion to second-century Christian "heretics"
[92]
문서
[93]
서적
The theology of Jewish Christianity: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doctrine before the Council of Nicea
H. Regnery Co
[94]
서적
From the Apostolic Community to Constantine
Crossroad
[95]
서적
Before Nicea: The Early Followers of Prophet Jesus
Jamia Media
[96]
백과사전
[97]
서적
Islam And Oriens Christianus: Makka 610-622 Ad
Brill
[98]
서적
The Jewish Response to Missionaries: Counter-Missionary Handbook
Jews for Judaism International
[99]
웹사이트
'Messianic' Leaders Deny Yeshua in Record Numbers
http://yourarmstoisr[...]
yourarmstoisrael.org
2007-07-21
[100]
웹사이트
You Foolish Galatians, Who Bewitched You? A Crisis in Messianic Judaism?
http://www.moriel.or[...]
Moriel Ministries
2007-07-21
[101]
서적
教義史綱要
久島千枝
[10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Clementines
https://www.newadven[...]
2022-03-11
[103]
웹사이트
エビオン派・エビオン派福音書
https://oishi-archiv[...]
2020-11-14
[104]
문서
for Ebion signifies “poor” among the Jews, and those Jews who have received Jesus as Christ are called by the name of Ebionites.
[105]
문서
Those who are called Ebionites agree that the world was made by God; but their opinions with respect to the Lord are similar to those of Cerinthus and Carpocrates. They use the Gospel according to Matthew only, and repudiate the Apostle Paul, maintaining that he was an apostate from the law. As to the prophetical writings, they endeavour to expound them in a somewhat singular manner: they practise circumcision, persevere in the observance of those customs which are enjoined by the law, and are so Judaic in their style of life, that they even adore Jerusalem as if it were the house of Go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