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루코시놀레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루코시놀레이트는 황과 질소를 포함하며 포도당과 아미노산에서 유래하는 유기 화합물의 자연적인 부류이다. 물에 녹는 음이온으로, 효소 미로시나제에 의해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전환되는 특징을 지닌다. 주로 십자화목 식물의 이차 대사 산물로 존재하며, 양배추, 브로콜리, 무 등 다양한 식용 식물에서 발견된다. 생화학적으로는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되며, 지방족, 방향족, 인돌 글루코시놀레이트의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된다.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인간 및 포유류에게 독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곤충에게는 섭식 기피 및 독성을 유발하는 방어 기제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글루코시놀레이트 | |
---|---|
기본 정보 | |
![]() | |
화학식 | R-C(=NOSO3–)-O-β-글루코스 |
몰 질량 | 300-700 g/mol (다양한 R 그룹에 따라) |
식물에서의 역할 | |
기능 | 방어 (예: 겨자유 폭탄) 황 저장 |
화학적 특성 | |
관련 화합물 | 아이소싸이오사이아네이트 |
2. 화학적 특징
글루코시놀레이트는 황과 질소를 포함하고 포도당과 아미노산에서 유래하는 유기 화합물의 한 종류이다.[47] 이들은 물에 잘 용해되는 음이온이며, 글루코사이드에 속한다. 모든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중심 탄소 원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탄소는 티오글루코스 그룹의 황 원자와 결합하고 (따라서 티오글리코사이드로 분류됨), 질소 원자를 통해 술폰산기(황산화된 알독심)에 결합된다. 또한, 중심 탄소는 다양한 종류의 측쇄 그룹과 결합되어 있는데, 글루코시놀레이트 종류별 생물학적 활성의 차이는 바로 이 측쇄 그룹의 변화에서 비롯된다.[4] 글루코시놀레이트는 효소 미로시나제에 의해 티오글루코사이드 결합이 가수분해될 때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흔히 "겨자 기름"으로 불림)로 전환되는 특징적인 화학 반응을 보인다.[4] 글루코시놀레이트는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요리 과정에서 물에 우러나올 수 있다.[29]
글루코시놀레이트의 반계통명은 일반적으로 구조 다이어그램의 "R" 그룹(측쇄) 화학명 뒤에 띄어쓰기 없이 "글루코시놀레이트"를 붙여서 만든다. 예를 들어, 알릴글루코시놀레이트와 알릴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같은 화합물을 가리키며, 문헌에서는 두 표기법 모두 사용된다.[9]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보통 두 단어로 나누어 쓴다.[2]
자연계에는 132종의 글루코시놀레이트가 알려져 있으며[31], 이들은 특정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된다. 유래하는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크게 지방족, 방향족, 인돌의 세 그룹으로 분류된다.
- 지방족 글루코시놀레이트: 주로 메티오닌에서 유래하며, 알라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유래도 있다. 대부분은 이 아미노산들의 사슬 길이가 늘어난 동족체에서 파생된다. 예를 들어, 글루코라파닌은 메티오닌의 동족체인 디호모메티오닌에서 유래한다.
- 인돌 글루코시놀레이트: 트립토판에서 유래하며, Glucobrassicin|글루코브라시신영어 등이 포함된다.
- 방향족 글루코시놀레이트: 페닐알라닌과 그 동족체인 호모페닐알라닌, 그리고 티로신에서 유래하며, Sinalbin|시날빈영어 등이 포함된다.[31]
다음은 주요 글루코시놀레이트와 그로부터 생성되는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다.[2]
글루코시놀레이트 (일반명) | 화학명 (필요시) | 생성되는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일반명) | 생성되는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학명 (필요시) |
---|---|---|---|
시니그린 (알릴글루코시놀레이트) | 알릴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 ||
Glucotropaeolin영어 (벤질글루코시놀레이트) | 벤질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 ||
Gluconasturtiin영어 (페네틸글루코시놀레이트) | 페네틸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 ||
Glucoraphanin영어 | (R)-4-(메틸설피닐)부틸글루코시놀레이트 | 설포라판 | (R)-4-(메틸설피닐)부틸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
Progoitrin영어 | (R)-2-히드록시부트-3-에닐글루코시놀레이트 | 고이트린 (불안정한 중간체 (S)-2-히드록시부트-3-에닐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거쳐 즉시 고리화됨) | (S)-5-비닐옥사졸리딘-2-티온 |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거의 모든 배추목 식물의 이차 대사 산물로 생성되며, 특히 경제적으로 중요한 배추과를 비롯하여 풍접초과, 파파야과 등에서 발견된다.[30] 배추목 외의 식물 중에서는 참빗살나무과의 Drypetes|드라이페테스lat 속[2][30]과 Putranjiva|푸트란지바lat 속[2]에서 글루코시놀레이트가 발견되는 것이 유일한 사례로 알려져 있다.
십자화과 식물에 포함된 피토케미컬인 글루코시놀레이트는 특정 곤충 애벌레가 섭취했을 때 체내에서 독성 물질로 변하는 생화학적 방어 기작을 가지고 있다. 흥미롭게도, 배추흰나비와 같은 일부 곤충은 이러한 독성화를 막는 효소를 유전적으로 발달시켜 왔다. 생태학자들은 이러한 식물과 곤충 간의 유전적 싸움이 약 9천만 년에 걸쳐 지속된 공진화(coevolution)의 결과라고 보고 있다.[47]
글루코시놀레이트 중 가장 먼저 분리된 화합물은 시니그린으로, 1839년 칼륨 염 형태로 처음 분리되었다.[5] 시니그린의 화학 구조는 1930년대에 β-D-글루코피라노스 구조를 가진 포도당 유도체임이 밝혀졌다. 당시에는 C=N 이중 결합 주변의 황과 산소 치환기 배열이 Z 형태(''신'' 형태, 치환기가 같은 쪽에 위치)인지 E 형태(치환기가 반대쪽에 위치)인지 명확하지 않았으나, 1963년 X선 결정학 연구를 통해 Z 형태임이 확인되었다.[6][7] 현재까지 알려진 모든 자연 발생 글루코시놀레이트는 Z 형태이며, Z 형태와 E 형태 모두 실험실에서는 합성이 가능하다.[9] 글루코시놀레이트 명명법의 "-ate" 접미사는 이 화합물들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이온 상태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실제로 시니그린의 초기 이름은 미론산 칼륨이었다.[5] 오래된 문헌에서는 글루코시놀레이트가 음이온 자체를 의미하는지, 해당 산 형태를 의미하는지, 또는 칼륨 염을 의미하는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9]
3. 분포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양배추(흰 양배추, 배추, 브로콜리), 브뤼셀 스프라우트, 물냉이, 루꼴라, 고추냉이, 케이퍼, 무, 순무와 같은 다양한 식용 식물과 그 종자에 함유되어 있다.[1][3][30][31] 이러한 식물 특유의 맛 중 상당 부분은 글루코시놀레이트 분해 산물에서 비롯된다.
한편, 배추과 식물에 함유된 글루코시놀레이트는 특정 곤충 애벌레가 섭취했을 때 체내에서 독성 물질로 변하는 방어 기작으로 작용한다. 이에 대응하여 배추흰나비를 포함한 일부 곤충은 글루코시놀레이트를 무해하게 만드는 효소를 진화시켜왔다. 이러한 식물과 곤충 간의 상호작용은 약 9천만 년에 걸쳐 지속된 공진화의 사례로 연구되고 있다.[47]
4. 생화학
식물에는 자연적으로 약 132가지의 서로 다른 글루코시놀레이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모두 아미노산으로부터 생합성된다.[2][31]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유래하는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크게 세 가지 그룹으로 나뉜다.[31]
1. 지방족 글루코시놀레이트: 주로 메티오닌에서 유래하며, 알라닌, 류신, 아이소류신, 발린 등에서도 만들어진다. 대부분은 이 아미노산들의 사슬이 길어진 형태(동족체)에서 유래하는데, 예를 들어 Glucoraphanin|글루코라파닌영어(설포라판의 전구체)은 메티오닌의 사슬이 두 번 길어진 디호모메티오닌에서 유래한다.[2][31]
2. 인돌 글루코시놀레이트: 트립토판에서 유래하며, 대표적으로 Glucobrassicin|글루코브라시신영어이 있다.[2][31]
3. 방향족 글루코시놀레이트: 페닐알라닌과 그 사슬 연장 동족체인 호모페닐알라닌, 그리고 티로신에서 유래한다. 시날빈이 이 그룹에 속한다.[2][31]
화학적으로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글루코스와 아미노산의 유도체로, 황과 질소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 군이다. 이들은 물에 잘 녹는 음이온 형태이며, 요리 과정에서 물에 우러나올 수 있다.[29] 모든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글루코사이드의 일종으로, 공통적으로 중심 탄소 원자를 가진다. 이 탄소 원자는 황 원자를 통해 티오글루코스기(따라서 티오글리코사이드로 분류됨)와 결합하고, 질소 원자를 통해 술폰산기와 결합(따라서 알독심의 일종)한다. 또한 중심 탄소에는 다양한 측쇄가 결합하는데, 바로 이 측쇄의 차이가 각 글루코시놀레이트의 고유한 생화학적 활성을 결정한다.[2]
다음은 대표적인 글루코시놀레이트와 이들이 전구체 역할을 하는 물질의 예시이다.글루코시놀레이트 전구체 역할 대상 물질 시니그린 알릴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Glucotropaeolin|글루코트로패올린영어 벤질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Gluconasturtiin|글루코나스터틴영어 페네틸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Glucoraphanin|글루코라파닌영어 설포라판
4. 1. 효소 활성
식물은 미로시나아제라는 효소를 가지고 있다. 이 효소는 물이 있을 때 글루코시놀레이트 분자에서 포도당 부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11][32] 포도당이 떨어져 나간 후 남은 분자는 빠르게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니트릴, 또는 티오시아네이트(싸이오시아네이트)로 변환된다. 이 물질들은 식물이 자신을 방어하는 데 사용하는 활성 물질이다.[11][32] 이러한 특성 때문에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겨자유 배당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생성되는 물질은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겨자유)이며, 니트릴이나 티오시아네이트는 반응 조건을 바꾸는 특별한 식물 단백질이 있을 때 주로 만들어진다.[12][32]
위 그림에서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생성되는 반응(오른쪽 빨간색 화살표)은 원자들이 재배열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과정은 효소 없이도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로센 재배열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로센 재배열이라는 이름은 비슷한 화학 구조(유기 이소시아네이트, R-N=C=O)를 만드는 반응에 처음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식물은 스스로 손상을 입는 것을 막기 위해 미로시나아제 효소와 글루코시놀레이트를 세포 내의 서로 다른 공간이나 조직에 분리하여 저장한다. 이 둘은 식물이 물리적인 손상을 입었을 때만 만나서 반응하게 된다 (미로시나아제 참조).
5. 생물학적 효과
글루코시놀레이트는 다양한 생물에게 각기 다른 생물학적 영향을 미친다. 포유류의 경우, 특히 가축이 고농도의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함유한 사료를 섭취하면 갑상선 기능 이상과 같은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사람에게는 일반적인 식이 섭취 수준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루코시놀레이트는 특정 채소의 쓴맛을 유발하기도 하며, 동물의 섭식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십자화과 채소에 함유된 글루코시놀레이트 유래 물질의 건강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아직 명확한 임상적 증거는 부족한 상태이다.
곤충에게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섭식을 기피하게 하거나 독성을 나타내는 피토케미컬로 작용한다. 하지만 일부 곤충 종들은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해독하거나 체내에 축적하는 방식으로 이에 적응하였으며, 먹이 식물을 찾는 단서로 활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식물과 곤충 간의 상호작용은 공진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연구되고 있다.
5. 1. 인간 및 포유류
글루코시놀레이트가 함유된 작물을 동물의 주요 식량원으로 사용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하다. 글루코시놀레이트 농도가 해당 동물에게 허용 가능한 수준보다 높을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고용량에서 가축에게 독성 효과(주로 갑상선종 유발 물질 및 항갑상선 물질)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33] 그러나 글루코시놀레이트에 대한 내성은 동물에 따라 다르며, 같은 속 내에서도 종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이로 가시쥐(학명: ''Acomys cahirinus'')와 황금 가시쥐(학명: ''Acomys russatus'')는 글루코시놀레이트에 대한 내성이 다르다.[14][34]사람의 경우, 정상적인 요오드 섭취를 하는 사람에게는 글루코시놀레이트의 식이 섭취량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15]
글루코시놀레이트 중 하나인 시니그린은 다른 물질들과 함께 조리된 컬리플라워나 방울 양배추의 쓴맛을 내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밝혀졌다.[1][16][35] 또한 글루코시놀레이트는 동물의 섭식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7][36]
5. 1. 1. 연구
글루코시놀레이트로부터 형성되는 아이소티오사이안산염은 발암 물질과 같은 외래성 물질을 대사하는 효소의 발현과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18] 관찰 연구를 통해 십자화과 채소 섭취가 인간의 암 발병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2017년 발표된 리뷰에 따르면, 십자화과 채소에 함유된 아이소티오사이안산염 섭취가 건강에 유익하다는 근거 기반 의학적 임상 증거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18]한편, 글루코시놀레이트를 다량 생성하는 식물의 항암 작용에 대한 기초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브로콜리에 풍부한 설포라판은 이러한 연구에서 가장 주목받는 성분 중 하나다.[37][38]
5. 2. 곤충
글루코시놀레이트와 그 생성물은 많은 곤충에게 섭식 기피나 독성을 유발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9] 십자화과 식물에 함유된 이 피토케미컬은 곤충 애벌레가 섭취했을 때 체내에서 독성 물질로 변환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47] 일부 글루코시놀레이트 유래 생성물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천연 섭식 억제제나 살충제로 활용될 수 있다.[19][39]그러나 일부 곤충들은 글루코시놀레이트에 적응하는 능력을 진화시켰다. 예를 들어, 배추과 식물의 해충인 배추좀나방은 글루코시놀레이트의 존재를 감지하여 적절한 기주 식물을 식별하는 데 활용한다.[20] 실제로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함유하는 식물에서는 배추흰나비, 작은 흰나비, 큰흰띠애비나비, 유럽 금빛청띠나비와 같은 나비류뿐만 아니라 특정 진딧물, 남부 잎벌레, 잎벌과, 벼룩잎벌레 등 특화된 곤충들이 발견된다. 배추흰나비나 큰흰띠애비나비는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이 높은 식물에도 알을 낳으며, 이들의 유충은 해당 식물을 먹고 생존할 수 있다.[21][40]
이러한 곤충들은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해독하거나 다르게 처리하는 독자적인 생화학적 기작을 가지고 있다. 배추흰나비, 배추나비, 유럽 금빛청띠나비는 '니트릴 지정 단백질'이라는 효소를 가지고 있어, 글루코시놀레이트가 가수분해될 때 독성이 강한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대신 비교적 덜 해로운 니트릴이 생성되도록 유도한다.[22][41] 반면, 배추좀나방은 '글루코시놀레이트 설파타아제'라는 전혀 다른 효소를 사용하여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탈황산화(desulfate)시킨다. 이 과정은 미로시나아제에 의해 독성 생성물로 분해되지 않도록 한다.[23][42]
또 다른 적응 전략으로는 글루코시놀레이트를 체내에 축적(격리)하는 방식이 있다. 특화된 잎벌이나 진딧물 중 일부는 이 방식을 사용한다.[24][43] 특히, 특화된 진딧물은 근육 조직에 뚜렷한 동물성 미로시나아제를 가지고 있어, 조직이 손상될 때 격리된 글루코시놀레이트의 분해를 유도한다. 이는 잎벌에게서는 발견되지 않는 특징이다.[25][44]
이처럼 식물과 곤충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방어 전략과 적응 기작을 발전시켜 온 과정은 공진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연구되고 있다. 십자화과 식물과 배추흰나비를 포함한 특정 곤충들 사이의 이러한 유전적 상호작용은 약 9천만 년에 걸쳐 지속되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47] 같은 식물 화학 물질에 대응하는 이처럼 다양한 생화학적 전략들은 식물-곤충 관계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6][45]
6. 방어기제
십자화과 식물이 가진 피토케미컬인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곤충 애벌레가 섭취하면 체내에서 생화학 반응을 거쳐 독성 물질로 변하는 방식으로 식물을 보호한다. 하지만 배추흰나비를 비롯한 일부 곤충은 진화 과정에서 글루코시놀레이트가 독성 물질로 변하는 것을 막는 효소를 유전적으로 만들어냈다. 많은 생태학자는 십자화과 식물과 배추흰나비 사이의 이러한 유전적 상호작용이 약 9천만 년 동안 지속되어 온 공진화(coevolution)의 대표적인 사례로 연구하고 있다.[47]
글루코시놀레이트와 그 분해 산물은 많은 곤충에게 섭식을 꺼리게 하거나 독성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 원리를 이용해 일부 글루코시놀레이트 유래 물질을 천연 섭식 억제제나 살충제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19]
반대로, 배추과 식물의 해충인 배추좀나방은 글루코시놀레이트를 감지하여 먹이 식물을 찾아내는 데 이용하기도 한다.[20] 실제로 글루코시놀레이트를 가진 식물 주변에는 배추흰나비, 작은 흰나비, 유럽 금빛청띠나비 같은 나비류뿐 아니라 특정 진딧물, 남부 군대벌레, 잎벌류, 벼룩잎벌레 등 특정 곤충들이 모여든다. 예를 들어, 배추흰나비는 글루코시놀레이트가 있는 식물에 알을 낳으며, 애벌레는 높은 농도의 글루코시놀레이트에도 견디면서 해당 식물을 먹고 자란다.[21]
이들 곤충은 글루코시놀레이트에 대응하는 다양한 생화학적 방법을 진화시켰다. 배추흰나비와 유럽 금빛청띠나비는 니트릴 지정 단백질이라는 효소를 가지고 있어, 글루코시놀레이트가 가수분해될 때 독성이 강한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대신 독성이 약한 니트릴이 생성되도록 유도한다.[22] 반면, 배추좀나방은 글루코시놀레이트 설파타아제라는 다른 효소를 사용하여 글루코시놀레이트에서 황(sulfur)을 제거(탈황)함으로써, 미로시나아제에 의해 독성 물질로 분해되는 것을 막는다.[23]
잎벌류나 진딧물 중 일부는 글루코시놀레이트를 분해하거나 피하는 대신 자신의 몸 안에 저장(격리)하기도 한다.[24] 특히 특정 진딧물의 근육 조직에서는 잎벌에게는 없는 독자적인 미로시나아제가 발견되는데, 이는 진딧물의 몸이 손상될 때 저장된 글루코시놀레이트를 분해하여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데 쓰일 수 있다.[25] 이처럼 같은 식물 화학 물질에 대해 곤충들이 각기 다른 생화학적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은 식물과 곤충 간의 관계가 진화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26]
7. 유도 생산
식물은 입는 초식 정도에 따라 글루코시놀레이트를 생산한다. 대기 중 CO2 농도와 관련된 생산은 복잡하다. CO2 증가는 증가, 감소 또는 변동 없는 생산을 초래할 수 있으며, 십자화목 내 유전적 변이가 존재할 수 있다.[27][28]
참조
[1]
논문
Glucosinolate metabolism, functionality and breeding for the improvement of Brassicaceae vegetables
2014-05
[2]
논문
Molecules, Morphology, and Dahlgren's Expanded Order Capparales
[3]
논문
The chemic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glucosinolates and isothiocyanates among plants
[4]
논문
Glucosinolate structures in evolution
2012-05
[5]
논문
The synthesis of sinigrin
[6]
논문
Crystal Structure of Sinigrin
[7]
논문
Refinement of the crystal structure of sinigrin
https://authors.libr[...]
[8]
논문
Biosynthesis of glucosinolates – gene discovery and beyond
[9]
논문
Glucosinolate structural diversity, identification, chemical synthesis and metabolism in plants
[10]
논문
De novo production of benzyl glucosinolate in Escherichia coli
[11]
논문
Evaluation of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on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to improve the nutritional value and consumer acceptance
2014-09
[12]
논문
Glucosinolate hydrolysis in Lepidium sativum--identification of the thiocyanate-forming protein
2007-01
[13]
웹사이트
Plants Poisonous to Livestock: Glucosinolates (Goitrogenic Glycosides)
http://www.ansci.cor[...]
Cornell University,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2015-09-10
[14]
논문
Friend or foe? Disparate plant–animal interactions of two congeneric rodents
[15]
웹사이트
Cruciferous Vegetables
https://lpi.oregonst[...]
2014-04-28
[16]
논문
The glucosinolates sinigrin and progoitrin are important determinants for taste preference and bitterness of Brussels sprouts
[17]
논문
Intraspecific directed deterrence by the mustard oil bomb in a desert plant.
2012-07
[18]
웹사이트
Isothiocyanates
https://lpi.oregonst[...]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2017-04-01
[19]
논문
The efficacy of biofumigant meals and plants to control wireworm populations
[20]
논문
Phylloplane location of glucosinolates in Barbarea spp. (Brassicaceae) and misleading assessment of host suitability by a specialist herbivore
2011-01
[21]
논문
Oviposition and the hatching of the eggs of Pieris brassicae (L.) in a laboratory culture
[22]
논문
Successful herbivore attack due to metabolic diversion of a plant chemical defense
2004-04
[23]
논문
Disarming the mustard oil bomb
2002-08
[24]
논문
Sequestration of host plant glucosinolates in the defensive hemolymph of the sawfly Athalia rosae
2001-12
[25]
논문
Spatial organization of the glucosinolate-myrosinase system in brassica specialist aphids is similar to that of the host plant
2002-01
[26]
논문
The genetic basis of a plant-insect coevolutionary key innovation
2007-12
[27]
논문
Global Change Effects on Plant Chemical Defenses against Insect Herbivores
[28]
논문
An emerging understanding of mechanisms governing insect herbivory under elevated CO2
"[[Annual Reviews (publisher)|Annual Reviews]]"
2013-01-07
[29]
논문
Evaluation of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on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to Improve the Nutritional Value and Consumer Acceptance.
[30]
논문
Molecules, Morphology, and Dahlgren's Expanded Order Capparales
[31]
논문
Glucosinolate structures in evolution
[32]
논문
Glucosinolate hydrolysis in Lepidium sativum--identification of the thiocyanate-forming protein.
[33]
웹사이트
Cornell University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http://www.ansci.cor[...]
[34]
논문
Friend or foe? Disparate plant–animal interactions of two congeneric rodents
[35]
논문
The glucosinolates sinigrin and progoitrin are important determinants for taste preference and bitterness of Brussels sprouts
[36]
문서
Samuni-Blank, M; Izhaki, I; Dearing, MD; Gerchman, Y; Trabelcy, B; Lotan, A; Karasov, WH; Arad, Z (2012).
[37]
논문
Cancer modulation by glucosinolates: A review
http://www.iisc.erne[...]
[38]
논문
Mechanisms of action of isothiocyanates in cancer chemoprevention: an update
[39]
논문
The efficacy of biofumigant meals and plants to control wireworm populations
http://www.sciencedi[...]
[40]
문서
Chun, Ma Wei.
[41]
논문
Successful herbivore attack due to metabolic diversion of a plant chemical defense
[42]
논문
Disarming the mustard oil bomb
[43]
논문
Sequestration of host plant glucosinolates in the defensive hemolymph of the sawfly Athalia rosae
[44]
논문
Spatial organization of the glucosinolate-myrosinase system in brassica specialist aphids is similar to that of the host plant
[45]
논문
The genetic basis of a plant insect coevolutionary key innovation
[46]
저널인용
Glucosinolate metabolism, functionality and breeding for the improvement of Brassicaceae vegetables
[47]
간행물
"([[PNAS]]-The butterfly plant arms-race escalated by gene and genome duplications\nPatrick P. Edger, Hanna M. Heidel-Fischer, Michaël Bekaert, Jadranka Rota, Gernot Glöckner, Adrian E. Platts, David G. Heckel, View ORCID ProfileJoshua P. Der, Eric K. Wafula, Michelle Tang, Johannes A. Hofberger, Ann Smithson, Jocelyn C. Hall, Matthieu Blanchette, Thomas E. Bureau, Stephen I. Wright, Claude W. dePamphilis, M. Eric Schranz, Michael S. Barker, Gavin C. Conant, Niklas Wahlberg, Heiko Vogel, View ORCID ProfileJ. Chris Pires, and Christopher W. Wheat\nPNAS July 7, 2015 112 (27) 8362-8366; first published June 22, 2015)"
https://doi.org/10.1[...]
PNAS
2015-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