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난카이 고야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카이 고야선은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의 난바역에서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정의 고쿠라쿠바시역까지 연결되는 총 64.5km의 철도 노선이다. 시오미바시역에서 고쿠라쿠바시역까지 총 42개의 역이 있으며, 난바역에서 고쿠라쿠바시역까지 특급, 급행, 준급, 각역정차 등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된다. 난카이 본선과 노선을 공유하며, 시오미바시역 - 기시사토타마데역 구간은 시오미바시선으로 불린다. 1985년 이후 사실상 고립된 지선으로,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한다. 6000계 이후의 고야선용 4도어 차량은 스테인리스 차량이며, 2019년부터는 8300계가 운행을 시작했다. 1898년 고야 철도에 의해 사카이히가시역 - 사야마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시작되었으며, 1922년 난카이 철도가 오사카 고야 철도를 합병하여 고야선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카이 전기 철도의 철도 노선 - 난카이 본선
    오사카 난바역과 와카야마시역을 연결하는 난카이 본선은 1885년 개통된 난카이 전기철도의 주요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오사카 남부와 와카야마, 간사이 국제공항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난카이 전기 철도의 철도 노선 - 난카이 공항선
    난카이 공항선은 이즈미사노역에서 간사이 공항역까지 8.8km를 연결하며, 난카이 전기 철도가 운영하고, 서일본 여객철도 간사이 공항선과 선로를 공유하며, 특급 라피트와 공항 급행을 중심으로 운행된다.
  • 와카야마현의 철도 - 기세이 본선
    기세이 본선은 미에현 가메야마역과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역을 연결하는 384.2km의 철도 노선으로,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운영하며 일부 구간은 JR 화물도 운영하고, 96개의 역과 1,067mm 협궤를 사용하며, 일부 구간은 복선 및 전철화되어 있고, ICOCA 사용이 가능하다.
  • 와카야마현의 철도 - 난카이 본선
    오사카 난바역과 와카야마시역을 연결하는 난카이 본선은 1885년 개통된 난카이 전기철도의 주요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오사카 남부와 와카야마, 간사이 국제공항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오사카부의 철도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오사카부의 철도 - 한큐 고베 본선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 32.3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신역 설치 계획과 고베 시영 지하철 직통 운전이 검토되고 있다.
난카이 고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린칸 특급 서비스
린칸 특급 서비스
노선 이름고야 선
원래 이름고야 선 (高野線)
원래 이름 (언어)ja
노선 색상'#009a41'
로고Nankai koya line simbole.svg
로고 너비25
노선 종류중전철
통근 열차
노선 상태운영 중
지역오사카부
와카야마현
기점시오미바시역
종점고쿠라쿠바시역
소유자난카이 전기 철도
운영자난카이 전기 철도
차량기지지요다, 오하라타
노선 길이64.5 km
선로 길이해당사항 없음
선로 수복선 (시오미바시 - 하시모토)
단선 (하시모토 - 고쿠라쿠바시)
궤간1,067 mm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가선
최고 속도100 km/h
최소 회전 반경해당사항 없음
고도해당사항 없음
개요
관련 정보
노선도

2. 노선 정보

난카이 고야선은 시오미바시 - 고쿠라쿠바시 간 64.5 km 노선이다.[20] 궤간은 1067mm이다. 역 수는 기 · 종점역, 시오미바시 역을 포함하여 42개 역이다.[20] 시오미바시 - 하시모토 간은 복선, 하시모토 - 고쿠라쿠바시 간은 단선이다. 단, 시오미바시 선 기시사토타마데 역 구내는 단선이다. 전 구간이 전철화(직류 1500V)되어 있으며, 폐색 방식은 자동 폐색식이다.[20] 최고 속도는 하시모토 - 고야시타 간 80km/h, 고야시타 - 고쿠라쿠바시 간 33 km/h, 그 외 구간은 100 km/h이다.[20] 2021년도 혼잡률은 101% (모즈하치만 역→미쿠니가오카 역 7:20-8:20)이다.[20]

3. 운행 형태

난카이 고야선은 시오미바시역이 기점이지만, 모든 열차가 난바역에서 출발하여 하시모토·고야산 방면으로 운행한다.[33] 난바역 - 고라쿠바시역 간에는 특급 "고야"가, 난바역 - 하시모토역 간에는 특급 "린칸"이 운행된다.[33] 특급 외에도 쾌속 급행, 급행, 구간 급행, 준급, 각역정차가 운행되며, 하시모토역 - 고라쿠바시역 간에는 관광 열차 "텐쿠"가 운행된다.[33] 센보쿠 고속 철도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도 이루어지며, 특급 "센보쿠 라이너"·구간 급행·준급이 직통 열차로 운행된다.[33]

과거에는 난바역과 고야산 방면을 직통 운행하는 "대운전"이 여객 안내에도 사용되었으나, 하시모토역에서 운행 계통이 분단된 이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33] 고야산 방면 행 열차의 행선지 안내는 "'''고야산'''고라쿠바시" (영문 표기는 "KŌYASAN")로 안내되며, 강삭선(고야산 케이블)과 접속한다.[33]

특급 "린칸"(아비코마에역 부근)


특급은 전 차량 지정석이며, 특별 급행권(특급권)이 필요하다.[34] 통근형 차량을 사용하는 자유석 특급은 없지만, 긴급 시에는 자유석 특급으로 대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승차권만으로 승차 가능하다.[34]

낮 시간대에는 특급 고야가 0~1편, 쾌속 급행·급행이 2편, 구간 급행이 1편 운행된다. 센보쿠선 직통 준 급행은 2편, 각역 정차는 난바-가와치나가노 구간에 2편, 난바-곤고 구간에 2편, 하시모토-고쿠라쿠바시 구간에 1~3편, 하시모토-고야시타 구간에 1~2편 운행된다. 특급 린칸・센보쿠 라이너는 아침과 저녁 이후에 운행한다.

고야산」만 있고 「고라쿠바시」의 표시는 없는 방향막.(등장한 지 얼마 안 된 2000계)


2000계에 의한 쾌속급행 (테즈카야마역 - 스미요시히가시역 간)

쾌속 급행은 치하야구치역, 아마미역, 키미토게역을 통과하는 종별이다.[35] 2024년 1월 20일 기준 평일 하행 6편, 상행 4편, 토휴일 하행 2편, 상행 3편이 운행되며, 일부 열차는 난바역-고쿠라쿠바시역 간을 직통 운행한다.[35] 평일 저녁 난바 발 하시모토행 열차는 4도어 대형 차량 8량 편성으로 운행된다.[35]
급행은 난바역 - 미카이치바시역・린칸덴엔토시역・하시모토역・고쿠라쿠바시역 구간에서 운행되며, 난바역 - 린칸덴엔토시역・하시모토역 구간의 열차가 중심이다.[36] 하시모토역에서는 원맨 운전 각역 정차 및 JR와카야마선과 접속한다.[36] 고쿠라쿠바시역 직통 열차는 줌카로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하시모토역에서 증결/해결 작업을 한다.[36] 아침 러시 시간대 상행 열차는 하시모토역 - 덴카차야역 구간에서 난바 방면 4량째를 여성 전용 차량으로 운영한다.[36]
구간 급행은 난바역 - 가와치나가노역·미이치바시역·린칸덴엔토시역 간, 그리고 센보쿠 고속 철도에 직통하는 난바역 - 이즈미추오역 간에 운행된다.[39] 2015년 12월 5일 다이어 개정으로 평일 아침 상행선에만 운행되었던 센보쿠 고속선 직통 열차가 매일 낮에 매시 상하 2편으로 설정되었다.[41] 평일 아침 러시 시간대 구간 급행에도 여성 전용 차량이 도입되었다.[41]
준급은 주로 난바역에서 센보쿠 고속철도 직통 열차로 종일 운행된다.[39] 가와치나가노 방면으로는 평일 아침 미카이치바시역, 가와치나가노역, 지요다역을 시발역으로 하는 난바행 상행 열차와 평일 심야 난바발 미카이치바시행 하행 열차가 있다.[39]
각역정차는 난바역 - 사카이히가시역・기타노다역・곤고역・지요다역・가와치나가노역・미이치마치역・린칸덴엔토시역・하시모토역 사이에서 운행되지만, 대부분 난바역 - 곤고역・가와치나가노역・미이치마치역 간 운행이다.[45][46] 그 외 가와치나가노역 - 하시모토역 간, 하시모토역 - 고야시타역・고라쿠바시역 간에도 운행된다.[45][46]
관광 열차 "텐쿠"는 하시모토역 - 고쿠라쿠바시역 구간을 운행하며, 중간 정차역은 가쿠분로역・구도야마역 뿐이다.[47][48] 고쿠라쿠바시 방면에는 2200계 개조 전망차 2량, 하시모토 방면에는 자유석 차량인 2300계 또는 2000계 2량을 연결한 4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전망차 탑승에는 좌석 지정 요금(어른 520엔, 소아 260엔)이 필요하다.
시오미바시선(시오미바시역 - 키시사토타마데역 구간)은 30분 간격(야간 35~40분)으로 운행되며, 오사카 시내에서 가장 운행 횟수가 적다. 종일 원맨 운전을 실시하며, 상하행 열차 교행은 없다.

과거에는 여름 방학 기간 중 임간학교 단체 수송용 임시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운행되지 않는다. 오봉 기간에는 통근형 차량으로 자유석 특급열차가 운행되는 경우가 있다.

매년 8월 1일 「교조제 PL 불꽃 예술」 개최 시에는 임시 열차 운행 및 일부 열차의 변경이 이루어진다. 2019년 이전에는 섣달 그믐날부터 정월 초하루 새벽까지 심야 운행이 이루어졌으나, 2020년 이후에는 시행되지 않고 있다.

2015년 4월 2일부터 5월 21일까지 "고야산 개창 1200년 기념 대법회" 기간 동안 임시 운행 및 편성이 변경되었다.[60]

4. 연선 개황

난카이 본선의 난바역 - 기시사토타마데역 구간은 노선 명칭상 본선에 속하지만, 노선별 복복선 중 동쪽 복선은 고야선 열차 전용으로 운영된다.[25] 고야선 열차는 기시사토타마데역에서 난바역까지 운행하며, 운행 계통상 난바역에서 시작한다.[25]

난바역은 9면 8선의 구조로, 고야선 열차는 1 - 4번선의 동쪽 4선을 사용한다.[25] 난바역을 출발하면 난바 파크스(구 오사카 스타디움(오사카 구장) 부지), 야마다 덴키 LABI1 난바, 구보타 본사, 난카이 난바 제1 빌딩 등을 지나 신이마미야역에 도착한다.[25] 신이마미야역과 덴가차야역의 고야선 상행선 승강장은 난카이 본선 하행선과 동일한 섬식 승강장이다.[25]

덴가차야역에서는 과거 덴노지 지선이 분기했으나, 1993년 Osaka Metro 사카이스지선 연장으로 일부 구간이 대체되었다.[25] 1980년까지는 난카이 차량 공장이 있었으나, 고야선 지요다로 이전 후 부지에는 오사카 필하모니 교향악단 연습장 등이 들어섰다.[25] 덴가차야역을 지나 기시사토타마데역을 지나면 우에마치 대지에 접어들고, 데즈카야마역을 지난다.[25]

야마토강을 건너 사카이시에 진입, 아사카야마역을 지나 사카이히가시역에 도착한다.[25] 과거에는 사카이히가시 검차구가 있었으나, 오하라다 검차구 및 동 검차구 지요다 지구로 이전되었다.[25] 사카이히가시역에는 센보쿠 고속선 직통 특급 "센보쿠 라이너"를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정차하며, 준급행은 이 역부터 각 역에 정차한다.[25]

사카이히가시역을 지나 미쿠니가오카역, 모즈하치만역을 지나 나카모즈역에 도착한다.[25] 나카모즈역에서 일부 열차는 센보쿠 고속선과 직통한다.[25] 시라사기역, 하쓰시바역을 지나 하기와라텐진역을 지나면 기타노다역에 도착한다.[25] 기타노다역은 대피 설비를 갖춘 완급 연결역으로, 구간 급행은 이 역부터 각 역에 정차한다.[25]

기타노다역을 지나 오사카사야마시에 들어가 사야마역을 지나면 사야마이케 제방과 퍼펙트 리버티 교단(PL 교단)의 다이헤이와 기념탑(PL탑)이 보인다.[25] 사야마역 - 오사카사야마역 간 둑에는 벽돌 암거 7곳이 있으며, 2020년 토목학회 선정 토목 유산으로 인정되었다.[25] 오사카사야마역을 지나 곤고 뉴타운 · 사야마 뉴타운의 곤고역에 도착한다.[25]

곤고역을 지나 도톤바야시시에 들어가 다키타니역을 지나 가와치나가노시에 들어간다.[25] 지요다역을 지나면 지요다 공장을 병설하는 오하라다 검차구 지요다 검차 지구가 펼쳐진다.[25] 가와치나가노역은 난카이가 2면 4선, 긴테쓰가 1면 1선의 역 구조를 가지며, 이 역부터 급행은 각 역에 정차한다.[25]

가와치나가노역을 지나 신흥 주택지가 펼쳐지는 산줄기 기슭을 따라 미이치바초역에 도착한다. 미이치바초역을 지나 미카노다이역에 도착하고, 이후 산악 농촌 지대를 통과한다. 아마미역을 지난 노선은 3곳의 터널을 통과한 후 기미 고개를 관통하는 기미 고개 터널에 들어간다. 터널 내에 오사카부와 와카야마현의 현 경계가 있으며, 하시모토시에 들어간다.[26]

기미 고개 터널을 나오면 기미 고개역을 지나 난카이 하시모토 린칸 전원 도시의 린칸 전원 도시역에 도착한다.[26] 구간 급행은 최장이라도 이 역까지 운행하며, 쾌속 급행은 이 역부터 각 역에 정차한다.[26] 미유키쓰지역을 지나 오하라다 검차구 본구가 보이고, 오하라다 터널을 빠져나오면 하시모토역에 도착한다.[26] 하시모토역은 섬식 승강장이며, 11000계는 차량 한계상 이 역까지 운행한다.[26] 난바역에서 이어지는 복선 구간도 이 역까지이다.[26]

가와치나가노역 - 하시모토역 구간은 과거 단선, 소형차량만 운행가능 했으나, 복선화 개량으로 대형차량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1971년 운수 대신 인가를 받아 1972년부터 공사를 시작, 1995년 미유키쓰지-하시모토 구간을 마지막으로 완료되었다.[26] 복선화로 곡선반경은 완만해졌으나, 역간 최급 구배는 33‰로 더 심해졌다. 미카노다이역, 린칸 전원 도시역 신설, 오하라다 차고 이전/확충도 병행되었다.[26]

4. 1. 난바 - 하시모토 구간

난카이 본선의 난바역 - 기시사토타마데역 구간은 노선 명칭상 본선에 속하지만, 노선별 복복선 중 동쪽 복선은 고야선 열차 전용으로 운영된다.[25] 고야선 열차는 기시사토타마데역에서 난바역까지 운행하며, 운행 계통상 난바역에서 시작한다.[25]

난바역은 9면 8선의 구조로, 고야선 열차는 1 - 4번선의 동쪽 4선을 사용한다.[25] 난바역을 출발하면 난바 파크스(구 오사카 스타디움(오사카 구장) 부지), 야마다 덴키 LABI1 난바, 구보타 본사, 난카이 난바 제1 빌딩 등을 지나 신이마미야역에 도착한다.[25] 신이마미야역과 덴가차야역의 고야선 상행선 승강장은 난카이 본선 하행선과 동일한 섬식 승강장이다.[25]

덴가차야역에서는 과거 덴노지 지선이 분기했으나, 1993년 Osaka Metro 사카이스지선 연장으로 일부 구간이 대체되었다.[25] 1980년까지는 난카이 차량 공장이 있었으나, 고야선 지요다로 이전 후 부지에는 오사카 필하모니 교향악단 연습장 등이 들어섰다.[25] 덴가차야역을 지나 기시사토타마데역을 지나면 우에마치 대지에 접어들고, 데즈카야마역을 지난다.[25]

야마토강을 건너 사카이시에 진입, 아사카야마역을 지나 사카이히가시역에 도착한다.[25] 과거에는 사카이히가시 검차구가 있었으나, 오하라다 검차구 및 동 검차구 지요다 지구로 이전되었다.[25] 사카이히가시역에는 센보쿠 고속선 직통 특급 "센보쿠 라이너"를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정차하며, 준급행은 이 역부터 각 역에 정차한다.[25]

사카이히가시역을 지나 미쿠니가오카역, 모즈하치만역을 지나 나카모즈역에 도착한다.[25] 나카모즈역에서 일부 열차는 센보쿠 고속선과 직통한다.[25] 시라사기역, 하쓰시바역을 지나 하기와라텐진역을 지나면 기타노다역에 도착한다.[25] 기타노다역은 대피 설비를 갖춘 완급 연결역으로, 구간 급행은 이 역부터 각 역에 정차한다.[25]

기타노다역을 지나 오사카사야마시에 들어가 사야마역을 지나면 사야마이케 제방과 퍼펙트 리버티 교단(PL 교단)의 다이헤이와 기념탑(PL탑)이 보인다.[25] 사야마역 - 오사카사야마역 간 둑에는 벽돌 암거 7곳이 있으며, 2020년 토목학회 선정 토목 유산으로 인정되었다.[25] 오사카사야마역을 지나 곤고 뉴타운 · 사야마 뉴타운의 곤고역에 도착한다.[25]

곤고역을 지나 도톤바야시시에 들어가 다키타니역을 지나 가와치나가노시에 들어간다.[25] 지요다역을 지나면 지요다 공장을 병설하는 오하라다 검차구 지요다 검차 지구가 펼쳐진다.[25] 가와치나가노역은 난카이가 2면 4선, 긴테쓰가 1면 1선의 역 구조를 가지며, 이 역부터 급행은 각 역에 정차한다.[25]

가와치나가노역을 지나 신흥 주택지가 펼쳐지는 산줄기 기슭을 따라 미이치바초역에 도착한다. 미이치바초역을 지나 미카노다이역에 도착하고, 이후 산악 농촌 지대를 통과한다. 아마미역을 지난 노선은 3곳의 터널을 통과한 후 기미 고개를 관통하는 기미 고개 터널에 들어간다. 터널 내에 오사카부와 와카야마현의 현 경계가 있으며, 하시모토시에 들어간다.[26]

기미 고개 터널을 나오면 기미 고개역을 지나 난카이 하시모토 린칸 전원 도시의 린칸 전원 도시역에 도착한다.[26] 구간 급행은 최장이라도 이 역까지 운행하며, 쾌속 급행은 이 역부터 각 역에 정차한다.[26] 미유키쓰지역을 지나 오하라다 검차구 본구가 보이고, 오하라다 터널을 빠져나오면 하시모토역에 도착한다.[26] 하시모토역은 섬식 승강장이며, 11000계는 차량 한계상 이 역까지 운행한다.[26] 난바역에서 이어지는 복선 구간도 이 역까지이다.[26]

가와치나가노역 - 하시모토역 구간은 과거 단선, 소형차량만 운행가능 했으나, 복선화 개량으로 대형차량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1971년 운수 대신 인가를 받아 1972년부터 공사를 시작, 1995년 미유키쓰지-하시모토 구간을 마지막으로 완료되었다.[26] 복선화로 곡선반경은 완만해졌으나, 역간 최급 구배는 33‰로 더 심해졌다. 미카노다이역, 린칸 전원 도시역 신설, 오하라다 차고 이전/확충도 병행되었다.[26]

4. 2. 하시모토 - 고쿠라쿠바시 구간

하시모토역 - 고쿠라쿠바시역 구간은 산악 철도이며, "고야 꽃 철도"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각 역에는 일반적인 역명판 외에 표고가 적힌 독자적인 역명판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고야시타역 이남은 50‰의 급경사, 제한 속도 33km/h, 반경 100m 이하의 급커브가 이어지는 등산 철도 구간으로, 줌카라 불리는 17m급 중형 차량만이 운행된다.

산악 구간, 특히 고야시타역 - 고쿠라쿠바시역 사이에는 선로가 완전히 산 속에 있어, 도중에 있는 역까지는 간선 도로에서 교행이 어려운 좁은 도로와 임도가 있을 뿐이어서 차로 접근하기 어렵다. 각 역 주변은 민가가 적고 이용객이 적지만, 모든 역에 간이형 자동 개찰구가 설치되어 있고, 역무원도 하시모토역 및 시모코자와역, 키이호소카와역에서 고쿠라쿠바시역까지 모든 역에 배치되어 있다. 하시모토역 - 고쿠라쿠바시역 구간은 단선이지만, 가미코자와역을 제외한 모든 역에서 열차 교행이 가능하다.

가미코자와역과 시모코자와역 사이에는 일본에서 10곳만 사용되는 트레슬교인 '''나카코자와 교량'''(총 길이 67.6m, 높이 33.4m)이 있다. 이 다리는 트러스 구조와 트레슬 교각을 조합한 철도용 강교로서 일본에 유일하게 현존하는 것으로, 2011년에 토목 학회 선정 토목 유산으로 인정되었다.[27] 다리 아래에는 난카이 전철이 2010년 2월 25일에 설치한 관광용 전망 데크와 전차 통과 시각을 적은 시간표가 설치되어 있어[28] 트레슬교를 아래에서 올려다볼 수 있다. 전망 데크는 가미코자와역·시모코자와역에서 도보로 20분 거리이다.

쿠도야마역 - 고쿠라쿠바시역 사이에는 하시모토역 이남에서 가장 긴 "시이데 터널"(쿠도야마역 - 고야시타역 구간, 399m)[29]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24개의 터널이 있으며, 이 중 고야시타역 - 고쿠라쿠바시역 구간의 23개에는 갱구에 번호가 매겨져 있다.[30]

2009년 2월 6일, 키이시미즈역, 가쿠몬지역, 쿠도야마역, 고야시타역, 시모코자와역, 가미코자와역, 키이호소카와역, 키이칸야역, 고쿠라쿠바시역, 고야산역, 키노카와 교량, 니우가와 교량, 강삭선이 근대화 산업 유산 (고야산 참배 관련 유산)으로 인정되었다.

하시모토역을 출발하면 단선 선로가 동쪽으로 이어지다 완만한 좌 커브 후 약간의 경사를 내려간다. JR 와카야마선이 보이지 않게 된 후 크게 우 커브하여 남쪽으로 향하고, 동선 및 국도 24호선 가드 아래를 통과하면 키노카와를 건넌다. 다시 크게 우 커브하여 서쪽으로 진행하면, 왼쪽 차창 밖으로는 산이, 오른쪽으로는 하시모토역 주변 시가지가 키노카와 너머로 보인다. 국도 371호선과 평면 교차하면 키이시미즈역에 도착한다. 이 부근부터 오른쪽으로 국도 370호선이 병주한다. 왼쪽 차창으로 가쿠몬지 덴만구, 가무로 대사 奥之院을 올려다보면 가쿠몬지역이다. 이 역의 입장권은 매년 수험철에 가쿠몬지 덴만구의 기도를 받은 5장 세트로 판매된다.

선로는 키노카와를 따라 남서쪽으로 진행하여 쿠도야마정에 진입하고, 좌우 커브를 반복하며 경사를 오르면 쿠도야마역이다. 쿠도야마에는 사나다 노부시게(유키무라)가 잠복했던 사나다안이 있으며, 쿠도야마역 역사도 2015년에 이를 본뜬 디자인으로 리뉴얼되었다.[31][32] 왼쪽으로 크게 커브하여 남쪽으로 향하면 오른쪽 차창 밖으로 니우가와의 깊은 계곡이 이어지고, 왼쪽은 산으로 둘러싸인다. 니우가와 교량에서 국도 370호선과 니우가와를 건너 시이데 터널을 빠져나오면 섬식 승강장의 고야시타역에 도착한다. 이 역부터 각역정차 열차 수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고야시타역부터는 급커브와 터널이 연속되는 구간이다. 오른쪽으로 크게 커브하여 급경사를 오르기 시작한다. 시모코자와역은 2002년에 교행 설비가 철거되었으나, 2018년에 가미코자와역에서 이전하는 형태로 부활하여 교행 가능역이 되었다. 나카코자와 교량 부근부터는 주변 집락이 거의 보이지 않는 비경의 모습을 띤다. 2017년 태풍 21호로 인한 산사태로 봉선역화된 가미코자와역을 지나 터널 2개를 통과하고 가사기 교량을 건너 3번째 터널을 빠져나오면 고야정에 진입한다. 다시 터널 1개를 통과하면 키이호소카와역, 이어지는 7개의 터널을 지나면 섬식 승강장의 키이칸야역이다. 마지막 4개의 터널을 빠져나와 오른쪽으로 주칠의 고쿠라쿠바시가 보이면, 강삭선(고야산 케이블) 접속역인 종점 고쿠라쿠바시역에 도착한다. 케이블카 승강장은 열차에서 내려 차막이 방향으로 걸어가 막다른 곳 오른쪽에 있으며, 고야산역까지 약 5분 만에 연결한다.

4. 3. 시오미바시 - 기시사토타마데 구간

시오미바시 - 기시사토타마데 구간은 정식으로는 고야선의 일부이지만, 1985년 선로 분단 후에는 사실상 고립된 지선이 되었다. 이 구간은 시오미바시선으로도 불린다.

시오미바시 역을 출발하면, 한신 고속 15호 사카이선과 신 나니와스지(부도 오사카 린카이선)가 잠시 병주한다. 아시하라초 역 하행 홈 뒤에는 한신 고속의 아시하라 출구 램프웨이가 있다. 기즈가와 역은 과거 화물 취급역이었다. 쓰모리 역 부근에는 1968년에 폐선된 오사카 시전 한카이선 노반을 전용한 신 나니와스지 고가교(츠루미바시 교차교)가 있으며, 전주 절단 흔적 등이 남아있다. 니시텐가차야 역을 지나 국도 26호선을 넘으면 선로는 단선이 되고, 난카이 본선고야선이 합류하여 기시사토타마데 역에 도착한다.

2021년 현재 평일, 토요일, 공휴일 모두 30분 간격(야간에는 35~40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이는 오사카 시내에서 가장 운행 횟수가 적다. 첫차는 6시 전후, 막차는 22시대이다. 2000년 12월 23일부터 종일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키시사토타마데 역에서는 난카이 본선 보통, 고야선 각역정차와 연결된다. 1985년 이전에는 고야선 스미요시히가시 역이나 사카이히가시역을 출발, 종착하는 열차도 있었다.

시오미바시 역에서는 한신 난바선·오사카 메트로 센니치마에선의 사쿠라가와 역과 도보로 연결되지만, 연락 운수 설정은 없다.

차량은 2230계 및 2000계가 투입되며, 승무원은 고야선 측이 담당한다. 열차 종류는 "보통"이 아닌 "각역정차"이다. 1985년 이전에는 6000계가, 1985년부터 1995년까지는 1521계가 사용되었다.

역 번호역명일어 역명역간 거리영업 거리접속 노선소재지
NK 06-5시오미바시汐見橋-0.0한신 전기 철도 21px 한신 난바선 (사쿠라가와 역 : HS 42)
오사카 메트로
센니치마에선
센니치마에 선 (사쿠라가와 역 : S 15)
나니와 구
NK 06-4아시하라초芦原町0.90.9서일본 여객철도 오사카 순환선 (아시하라바시 역)
NK 06-3기즈가와木津川0.71.6니시나리 구
NK 06-2쓰모리津守1.02.6
NK 06-1니시텐가차야西天下茶屋1.03.6
NK 06기시사토타마데岸里玉出1.04.6난카이 전기 철도 15px 난카이 본선 · 15px 고야 선


5. 역 목록

wikitext

난카이 고야선 난바 - 기시사토타마데 - 고쿠라쿠바시 구간은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의 난바역에서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정의 고쿠라쿠바시역을 잇는 구간이다. 난바 - 기시사토타마데 구간은 난카이 본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노선명역 번호역명일본어 역명역간 거리영업 거리준급행구간 급행급행쾌속 급행덴코특급접속 노선소재지




NK 01난바難波-3.9오사카 시영 지하철
15px
미도스지 선 (M 20) ·
15px
센니치마에 선 (S 16) ·
15px
요쓰바시 선 (Y 15) 난바 역
긴키 닛폰 철도 난바 선 (오사카난바 역) A 01
한신 전기 철도
21px
한신 난바 선 (오사카난바 역) HS 41
서일본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 (야마토지 선) (JR 난바 역)
오사카부오사카시주오구
NK 02이마미야에비스今宮戎0.93.0나니와구
NK 03신이마미야新今宮0.52.5서일본 여객철도 오사카 순환선 · 간사이 본선 (야마토지 선)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운도코엔마에 역 : M 22) ·
15px
사카이스지 선
(운도코엔마에 역 : K 19)
한카이 전기 궤도
15px
한카이 선 (신이마미야에키마에 역 : HN 52)
니시나리구
NK 04하기노차야萩ノ茶屋0.61.9
NK 05덴가차야天下茶屋1.00.9


NK 06기시노사토타마데岸里玉出0.90.0난카이 전기 철도
15px
난카이 본선 ·
15px
시오미바시 선
NK 51데즈카야마帝塚山1.11.1스미요시구
NK 52스미요시히가시住吉東0.92.0한카이 전기 궤도 우에마치 선 (가미노키 역 : HN 09)
NK 53사와노초沢ノ町0.92.9
NK 54아비코마에我孫子前0.63.5
NK 55아사카야마浅香山1.34.8사카이시사카이구
NK 56사카이히가시堺東1.66.4
NK 57미쿠니가오카三国ヶ丘1.57.9서일본 여객철도 한와 선
NK 58모즈하치만百舌鳥八幡0.98.8
NK 59나카모즈中百舌鳥0.79.5센보쿠 고속철도
20px
센보쿠 고속 철도선 (SB 01)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M 30)
기타구
NK 60시라사기白鷺1.010.5
NK 61하쓰시바初芝1.512.0히가시구
NK 62하기하라텐진萩原天神0.912.9
NK 63기타노다北野田1.814.7
NK 64사야마狭山0.915.6오사카사야마시
NK 65오사카사야마시大阪狭山市1.617.2
NK 66곤고金剛1.118.3
NK 67다키다니滝谷1.720.0돈다바야시시
NK 68지요다千代田1.321.3가와치나가노시
지요다 신호소千代田信号所-22.0
NK 69가와치나가노河内長野2.123.4긴키 닛폰 철도 나가노 선 (O 23)
NK 70밋카이치초三日市町1.725.1
NK 71미카노다이美加の台1.626.7
NK 72지하야구치千早口1.928.6
NK 73아마미天見1.730.3
NK 74기미토게紀見峠3.734.0와카야마현하시모토시
NK 75린칸덴엔토시林間田園都市1.335.3
NK 76미유키쓰지御幸辻2.037.3
오하라타 신호소小原田信号所-38.2
NK 77하시모토橋本2.840.1서일본 여객철도 와카야마 선
NK 78기이시미즈紀伊清水3.143.2
NK 79가무로学文路2.645.8
NK 80구도야마九度山1.847.6이토군구도야마정
NK 81고야시타高野下2.049.6
NK 82시모코사와下古沢1.751.3
NK 83가미코사와上古沢1.753.0
NK 84기이호소카와紀伊細川3.056.0고야정
NK 85기이카미야紀伊神谷2.458.4
NK 86고쿠라쿠바시極楽橋1.559.9난카이 전기 철도 고사쿠 선


  • 난바역 - 덴가차야역 간의 역과 고야선 각 역(데즈카야마역 이남·시오미바시선)과의 운임은 기시사토타마데 분기점(구 기시노사토역) 접속으로 계산한다. 기시사토타마데 분기점의 고야선 킬로미터는 기시사토타마데역과 같지만, 난카이선의 킬로미터는 덴가차야역 - 기시노사토타마데 분기점이 0.7km가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난바역 - 고쿠라쿠바시역 간(기시노사토타마데역 경유로 63.8km)의 경우, 난바역 - 기시노사토타마데 분기점 3.7km, 기시노사토타마데 분기점 - 고쿠라쿠바시역 간 59.9km를 합계한 63.6km가 된다.
  • 각역 정차는 모든 여객역에 정차한다(표 중 생략).

범례

  • ●: 모든 열차 정차
  • |: 모든 열차 통과
  • ◆: 하시모토역에서 출발하는 특급 열차가 여기에 정차
  • ▲: 센보쿠 라이너는 통과


난카이 고야선 시오미바시 - 기시사토타마데 구간은 통칭 '''시오미바시 선'''으로 불리며[6][3], 전 구간이 오사카부 오사카시 내에 위치한다. 모든 열차는 각 역에 정차한다.

역 번호역명일본어 역명역간 거리영업 거리접속 노선선로소재지
NK06-5시오미바시汐見橋-0.0한신 전기 철도 21px 한신 난바 선 (사쿠라가와 역 : HS 42), 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 |15px|S]] 센니치마에 선 (사쿠라가와 역 : S 15) || || || rowspan="2"|나니와구
NK06-4아시하라초芦原町0.90.9서일본 여객철도 오사카 순환선 (아시하라바시역)||
NK06-3기즈가와木津川0.71.6||니시나리구
NK06-2쓰모리津守1.02.6||
NK06-1니시텐가차야西天下茶屋1.03.6||
NK06기시노사토타마데岸里玉出1.04.6난카이 전기 철도 15px 난카이 본선 ·
|15px]] 고야 선 || Y ||



역명은 최종 명칭 기준.


  • 와카미야역(사와노초역 - 아비코마에역 간, 1902년 1월 1일 영업 개시, 1917년 8월 1일 폐지)
  • 모즈 화물역(나카모즈역 - 나카모즈운동장앞역 간, 1912년경 폐지[83])
  • 나카모즈운동장앞역(모즈 화물역 - 시라사기역 간, 1949년 7월 30일 영업 개시, 1958년 5월 10일 폐지)
  • 제1한다역(오사카사야마시역 - 다이니한다역 간, 1913년 4월 4일 영업 개시, 1930년경까지 폐지. 화물역)
  • 제2한다역(다이이치한다역 - 콩고역 간, 1913년 5월 10일 영업 개시, 1930년경까지 폐지. 화물역)
  • 이치와키야마역(미유키츠지역 - 하시모토초역 간, 1917년 10월 1일 영업 개시, 1918년 폐지. 임시역)
  • 하시모토초 임시 승강장(이치와키야마역 - 하시모토역 간, 1915년 4월 2일 영업 개시, 같은 해 폐지. 임시역)
  • 기노카와구치역(하시모토역 - 기이시미즈역 간의 쓰마신고소에서 분기, 1915년 9월 1일 영업 개시, 1959년 12월 20일 폐지. 화물역)

5. 1. 난바 - 기시사토타마데 - 고쿠라쿠바시 구간

난카이 고야선 난바 - 기시사토타마데 - 고쿠라쿠바시 구간은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의 난바역에서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정의 고쿠라쿠바시역을 잇는 구간이다. 난바 - 기시사토타마데 구간은 난카이 본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노선명역 번호역명일본어 역명역간 거리영업 거리준급행구간 급행급행쾌속 급행덴코특급접속 노선소재지




NK 01난바難波-3.9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M 20) · 센니치마에 선 (S 16) · 요쓰바시 선 (Y 15) 난바 역
긴키 닛폰 철도 난바 선 (오사카난바 역) A 01
한신 전기 철도 한신 난바 선 (오사카난바 역) HS 41
서일본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 (야마토지 선) (JR 난바 역)
오사카부오사카시주오구
NK 02이마미야에비스今宮戎0.93.0나니와구
NK 03신이마미야新今宮0.52.5서일본 여객철도 오사카 순환선 · 간사이 본선 (야마토지 선)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운도코엔마에 역 : M 22) · 사카이스지 선
(운도코엔마에 역 : K 19)
한카이 전기 궤도 한카이 선 (신이마미야에키마에 역 : HN 52)
니시나리구
NK 04하기노차야萩ノ茶屋0.61.9
NK 05덴가차야天下茶屋1.00.9


NK 06기시노사토타마데岸里玉出0.90.0난카이 전기 철도 난카이 본선 · 시오미바시 선
NK 51데즈카야마帝塚山1.11.1스미요시구
NK 52스미요시히가시住吉東0.92.0한카이 전기 궤도 우에마치 선 (가미노키 역 : HN 09)
NK 53사와노초沢ノ町0.92.9
NK 54아비코마에我孫子前0.63.5
NK 55아사카야마浅香山1.34.8사카이시사카이구
NK 56사카이히가시堺東1.66.4
NK 57미쿠니가오카三国ヶ丘1.57.9서일본 여객철도 한와 선
NK 58모즈하치만百舌鳥八幡0.98.8
NK 59나카모즈中百舌鳥0.79.5센보쿠 고속철도 센보쿠 고속 철도선 (SB 01)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M 30)
기타구
NK 60시라사기白鷺1.010.5
NK 61하쓰시바初芝1.512.0히가시구
NK 62하기하라텐진萩原天神0.912.9
NK 63기타노다北野田1.814.7
NK 64사야마狭山0.915.6오사카사야마시
NK 65오사카사야마시大阪狭山市1.617.2
NK 66곤고金剛1.118.3
NK 67다키다니滝谷1.720.0돈다바야시시
NK 68지요다千代田1.321.3가와치나가노시
지요다 신호소千代田信号所-22.0
NK 69가와치나가노河内長野2.123.4긴키 닛폰 철도 나가노 선 (O 23)
NK 70밋카이치초三日市町1.725.1
NK 71미카노다이美加の台1.626.7
NK 72지하야구치千早口1.928.6
NK 73아마미天見1.730.3
NK 74기미토게紀見峠3.734.0와카야마현하시모토시
NK 75린칸덴엔토시林間田園都市1.335.3
NK 76미유키쓰지御幸辻2.037.3
오하라타 신호소小原田信号所-38.2
NK 77하시모토橋本2.840.1서일본 여객철도 와카야마 선
NK 78기이시미즈紀伊清水3.143.2
NK 79가무로学文路2.645.8
NK 80구도야마九度山1.847.6이토군구도야마정
NK 81고야시타高野下2.049.6
NK 82시모코사와下古沢1.751.3
NK 83가미코사와上古沢1.753.0
NK 84기이호소카와紀伊細川3.056.0고야정
NK 85기이카미야紀伊神谷2.458.4
NK 86고쿠라쿠바시極楽橋1.559.9난카이 전기 철도 고사쿠 선


  • 난바역 - 덴가차야역 간의 역과 고야선 각 역(데즈카야마역 이남·시오미바시선)과의 운임은 기시사토타마데 분기점(구 기시노사토역) 접속으로 계산한다. 기시사토타마데 분기점의 고야선 킬로미터는 기시사토타마데역과 같지만, 난카이선의 킬로미터는 덴가차야역 - 기시노사토타마데 분기점이 0.7km가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난바역 - 고쿠라쿠바시역 간(기시노사토타마데역 경유로 63.8km)의 경우, 난바역 - 기시노사토타마데 분기점 3.7km, 기시노사토타마데 분기점 - 고쿠라쿠바시역 간 59.9km를 합계한 63.6km가 된다.
  • 각역 정차는 모든 여객역에 정차한다(표 중 생략).

범례

  • ●: 모든 열차 정차
  • |: 모든 열차 통과
  • ◆: 하시모토역에서 출발하는 특급 열차가 여기에 정차
  • ▲: 센보쿠 라이너는 통과

5. 2. 시오미바시 - 기시사토타마데 구간

난카이 고야선 시오미바시 - 기시사토타마데 구간은 통칭 '''시오미바시 선'''으로 불리며[6][3], 전 구간이 오사카부 오사카시 내에 위치한다. 모든 열차는 각 역에 정차한다.

역 번호역명일본어 역명역간 거리영업 거리접속 노선선로소재지
NK06-5시오미바시汐見橋-0.0한신 전기 철도 21px 한신 난바 선 (사쿠라가와 역 : HS 42), 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 |15px|S]] 센니치마에 선 (사쿠라가와 역 : S 15) || || || rowspan="2"|나니와구
NK06-4아시하라초芦原町0.90.9서일본 여객철도 오사카 순환선 (아시하라바시역)||
NK06-3기즈가와木津川0.71.6||니시나리구
NK06-2쓰모리津守1.02.6||
NK06-1니시텐가차야西天下茶屋1.03.6||
NK06기시노사토타마데岸里玉出1.04.6난카이 전기 철도 15px 난카이 본선 · |15px]] 고야 선 || Y ||


6. 사용 차량

1962년에 등장한 6000계 이후의 고야선용 4도어 차량은 스테인리스 차량이다.[61] 고객 서비스 향상과 에너지 절약 추진을 위해 6200계 일부와 8200계에서 VVVF 인버터 제어로의 갱신을 실시(8200계는 6200계 50번대에 편입)했다. 6000계 교체를 위해 2019년 11월부터 고야선 사양의 8300계가 운행을 시작했다.[132] 2024년 10월 12일에는 난카이선에서 운용되던 8000계(2대)가 8300계와 교체되는 형태로 전속되어 운용이 시작되었다.[66]

1000계 이후의 차량은 난카이선·고야선 공통 사양으로, 억속 브레이크 등의 설비가 완성 당초부터 준비 또는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가 고야선 소속이 되었다.[65] 하시모토역 이남으로는 21m급 4도어 대형 차량(11000계·6000계·8300계 등)이 진입할 수 없다.[63]


  • '''전동차'''

:* 30000계 (고야・린칸): 줌카

:* 31000계 (고야・린칸): 줌카

:* 11000계 (린칸・센보쿠 라이너)

:* 12000계 (센보쿠 라이너): 난카이선 소속・센보쿠 라이너의 대행 운행 시에만 1개 편성 대여하여 운용.

:* 2000계: 줌카. 시오미바시선은 난카이선 소속 차량을 사용.

:* 2300계: 줌카. 산악 구간에서만 운용.

:* 2200계: 줌카, "텐쿠"용. 산악 구간에서만 운용.

:* 2230계: 전 줌카, 시오미바시선용. 난카이선 소속.

:* 6000계

6000계


:* 6200계

:* 6300계

:* 6200계 50번대

:* 8000계(2대): 난카이선에서 전속, 2024년 10월 12일 운용 개시[66]

:* 8300계: 2019년 11월 22일 운행 개시[132]

  • '''센보쿠 고속철도'''

:* 12000계 (센보쿠 라이너)

:* 3000계

:* 5000계

:* 7000계

:* 7020계

:* 9300계

7. 역사

고야선은 1898년 고야 철도에 의해 오쇼지 역(현재의 사카이히가시역) - 사야마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78] 같은 해 4월 2일에는 사야마 역 - 나가노 역(현재의 가와치나가노역) 구간이 개통되었다.[78] 1900년에는 도톤보리 역(현재의 시오미바시역) - 오쇼지 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며,[79] 1901년 1월 1일 도톤보리 역은 시오미바시 역으로 개칭되었다.

1912년에는 시오미바시 역 - 나가노 역(현재의 가와치나가노 역) 구간이 600V로 전철화되었다.[84] 1914년 10월 21일에는 나가노 역 - 미카이치초역 구간이 개통되었는데, 이후 개통되는 구간은 처음부터 전철화되었다. 1915년 4월 30일 고야 등산 철도는 오사카 고야 철도로 사명을 변경하였다.[78]

1922년 9월 6일 난카이 철도가 오사카 고야 철도를 합병하여 고야선이 되었다.[86] 1924년부터 복선화 공사가 시작되어[78] 1938년 2월 11일에는 곤고역 - 나가노 역(현재의 가와치나가노역)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28년 6월 18일 고야산 전기 철도의 고야시타역 - 기이카미야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1500V 전철화가 이루어졌다.[78] 1929년 2월 21일 고야산 전기 철도의 가미야 역(현재의 기이카미야역) - 고쿠라쿠바시역 구간이 개통되어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78] 1932년 4월 28일 고야산 전기 철도가 600V로 감압하여 난카이 고야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78]

1944년 6월 1일 간사이 급행 철도와 난카이 철도가 합병하여 긴키 닛폰 철도가 되었다.[78] 1947년 6월 1일 긴키 닛폰 철도는 구 난카이 철도의 노선을 난카이 전기 철도로 양도하였다.[78]

1973년 10월 7일 고야선은 가선 전압을 1500V로 승압하였다.[78] 1974년 3월 24일 가와치나가노역 - 미카이치초역 구간이 복선화되었다.[103] 1995년 9월 1일 미유키쓰지역 - 하시모토역 구간 복선화가 완료되었다.[115]

2000년 12월 23일 사야마 유원 앞 역오사카사야마시역으로 개칭하고, 시오미바시선이 원맨 운전을 개시했다.[119]

8. 관련 사업

오사카부 지사는 2022년 3월 28일에 아사카야마역 - 사카이히가시역 부근의 난카이 고야선 연속 입체 교차 사업을 인가했다.[140] 데즈카야마역 - 야마토강 구간에 대해서는 정비를 위한 검토가 진행 중이다.[139]

8. 1. 연속 입체 교차 사업

오사카부 지사는 2022년 3월 28일에 아사카야마역 - 사카이히가시역 부근의 난카이 고야선 연속 입체 교차 사업을 인가했다.[140] 데즈카야마역 - 야마토강 구간에 대해서는 정비를 위한 검토가 진행 중이다.[139]

참조

[1] 웹사이트 The Nankai Koya Line for Koyasan (Mount Koya) – Osaka Station https://www.osakasta[...] 2020-07-25
[2] 웹사이트 Access and Orientation https://www.japan-gu[...] 2020-07-25
[3] 문서
[4]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2016
[5] 웹사이트 路線図 https://www.nankai.c[...] 南海電気鉄道 2023-01-16
[6] 뉴스 都会に思わぬローカル線 大阪・南海汐見橋線の歴史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9-08-13
[7]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 鉄道ジャーナル社 2009-10
[8] 웹사이트 南海電鉄の主要路線「高野線」の一部でありながら、まったく様相の異なる「こうや花鉄道」。正真正銘の「秘境駅」もあり!【関西鉄道路線周辺曼荼羅#12】歯黒猛夫 https://futabanet.jp[...] 双葉社 2022-07-26
[9] 문서
[10] 웹사이트 急勾配を登り、平野も100キロで駆け抜けた…南海高野線を支えた2000系「ズームカー」 その数奇な運命 https://maidonanews.[...] 2022-11-21
[11] 웹사이트 全国登山鉄道‰会について http://www.hakone-to[...] 箱根登山鉄道 2009-09-03
[12] 웹사이트 姉妹鉄道協定について https://www.nankaiko[...] 南海電気鉄道
[13] 문서
[14] 뉴스 南海高野線愛称決まる 交通新聞社 1995-08-14
[15] 뉴스 高野線を山手線に名前変えイメチェン 南海社長あこがれ提案 朝日新聞大阪本社 1994-12-15
[16]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 1995-03
[17] 문서
[18] 뉴스 南海高野線、名前残った 南海電鉄路線の名称変更問題解決 朝日新聞大阪本社 1995-07-04
[19] 뉴스 「りんかんサンライン」と呼んで 南海電鉄高野線の愛称決定、9月1日から 読売新聞大阪本社 1995-08-11
[20] 웹사이트 都市部の路線における最混雑区間の混雑率(2021)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2-07-22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웹사이트 南海電気鉄道高野線連続立体交差事業 https://www.city.sak[...] 堺市(2022年4月)
[25] 간행물 高野線の煉瓦造暗きょ群(狭山駅〜大阪狭山市駅間) 「土木学会選奨土木遺産」に認定されました! https://www.nankai.c[...] 南海電気鉄道 2020-09-28
[26] 서적 複線化工事の記録 高野線(河内長野~橋本間) 南海電気鉄道株式会社 1997
[27] 웹사이트 中古沢橋梁 https://committees.j[...] 土木学会
[28] 문서 「中古沢橋梁展望デッキ」を設置しました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10-02-26
[29] 서적 南海電気鉄道 ネコ・パブリッシング
[30] 문서 「天空」沿線マップ - 南海高野ほっと・ねっと http://www.nankaikoy[...]
[31] 웹사이트 和歌山)九度山駅、「真田」仕様に改装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5-11-15
[32] 문서 九度山駅の真田装飾が11月14日(土)に完成!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15-11-09
[33] 간행물 輸送と運転 近年の動向 電気車研究会
[34] 웹사이트 特急“こうや”・“りんかん”を2000系が代走 https://railf.jp/new[...] 鉄道ニュース(鉄道ファン) 2022-05-28
[35] 간행물 RAILWAY TOPICS(南海高野線ダイヤ改正で「快速急行」を新設) 鉄道ジャーナル社 2003-08-01
[36] 문서 全区間4両編成で運行される。
[37] 문서 難波駅の発車時刻が原則として0分・30分であった。
[38] 문서 2000年改正から2005年改正の間は極楽橋駅・高野下駅(主に2003年改正で設定)発着の快速急行(2003年改正)・急行と橋本駅・林間田園都市駅・三日市町駅発着の急行が併存していた。
[39] 서적 車両発達史シリーズ 5 南海電気鉄道 上巻 関西鉄道研究会 1996-12
[40] 서적 車両発達史シリーズ 5 南海電気鉄道 上巻 関西鉄道研究会 1996-12
[41] PDF 12月5日(土)高野線・泉北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15-10-08
[42] 문서 ただし、2000系と1000系は新造当初より英字併記の黒地に白文字の幕である。
[43] 웹사이트 列車の編成両数の変更について https://web.archive.[...] 2013-07-01
[44] 서적 日本鉄道旅行歴史地図帳 新潮社 2011
[45] 간행물 緊急事態宣言の発令に伴い、4月29日(木・祝)から南海線・高野線の最終列車運転時刻を繰り上げます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21-04-26
[46] 간행물 2021年5月22日(土)に南海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21-04-20
[47] 웹사이트 南海電鉄・泉北高速鉄道時刻表 高野線・泉北高速線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17-08
[48] 문서 駅配布の冊子型時刻表では、2015年12月現在のものは列車種別欄が空欄であったが、2017年8月現在のものは列車種別欄が「特急」である。また、南海発行の『ハンドブック南海』の運転本数の項でも、特急列車として計上されている。
[49] 문서 南海全線で最も早く終電を迎えるのは[[南海和歌山港線|和歌山港線]]下り[[和歌山市駅]]で21時13分発である。
[50] 문서 ただし1970年改正以降は、わずかな早朝・深夜の出入庫列車および時折運転される臨時列車程度となった。
[51] 문서 2200系・2230系は22000系時代に、夏期に極楽橋直通の林間学校学童臨時列車として、岸ノ里駅以南と線路が繋がっていた頃の汐見橋線に入線したこともある。また、更新改造を受けずに廃車予定となっていた編成([[熊本電気鉄道]]に譲渡されたものを含む)が、一時的に汐見橋線と南海本線系の支線で運用されたことがあった。
[52] 문서 種別幕がある2000系の場合、南海本線の支線([[南海高師浜線|高師浜線]]・[[南海多奈川線|多奈川線]]・[[南海加太線|加太線]]・[[南海和歌山港線|和歌山港線]])では「普通」と表示している。なお、英文表記は普通・各停とも「Local」である。
[53] 문서 『[[鉄道ピクトリアル]]』1995年12月臨時増刊号(No.615) 227ページでも触れているとおり、南海本線萩ノ茶屋駅(ただし南海本線側に同駅のホームはない) - 粉浜駅間の連続立体化工事着工に際し、岸ノ里駅(現在の岸里玉出駅)における高野線の[[立体交差|オーバークロス]]を撤去する必要が生じ、高野線と汐見橋線との直通が不可能となったためである。その後、岸里玉出駅への改称前後から、工事進捗に伴い2年間ほど南海本線とも線路が分断され、1995年8月23日の分断解消まで1521系2両編成3本が閉じ込められていた。なお、高野線のオーバークロスはその後も復旧されず、事実上廃止されている。
[54] 문서 [[南海本線|本線]]系統の[[南海空港線|空港線]]一部区間で[[関西空港線|JR関西空港線]]と線路を共用していることによる(JRではお盆期間中の平日については平日ダイヤを適用する)。
[55] 웹사이트 「PL花火芸術」開催に伴う臨時列車の運転について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56] 뉴스 南海高野線で臨時準急運転 https://railf.jp/new[...]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8-08-02
[57] PDF 年末年始の運行ダイヤについて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20-11-27
[58] PDF 年末年始の運行ダイヤについて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21-11-29
[59] PDF 年末年始の運行ダイヤについて https://www.nankai.c[...] 南海電気鉄道 2022-11-29
[60] PDF 高野山開創1200年記念大法会期間中の臨時ダイヤ&両数変更について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15-01-28
[61] 문서 南海本線・和歌山港線・空港線系統。
[62] 문서 高野線の急行は南部では各駅に停車するのに対し、南海線は高速運転が多く、急行はほぼ全線で急行運転を行う。
[63] 문서 21m級通勤車両を採用しているのは関西では南海と近鉄のみである。
[64] 서적 「流れの創造」大阪府都市開発30年のあゆみ
[65] 논문 南海電気鉄道 現有車両プロフィール2008 電気車研究会
[66] 웹사이트 南海8000系8001編成・8002編成が高野線へ転属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4-10-28
[67] 뉴스 南海「ラピート」まさかの運用変更 「泉北ライナー」に登用 高野線特急の事故から玉突き変更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2-09-30
[68] 서적 車両発達史シリーズ 6 南海電気鉄道 下巻 関西鉄道研究会 1998-12
[69] 웹사이트 『日本全国諸会社役員録. 明治40年』 https://dl.ndl.go.jp[...]
[70] 웹사이트 『日本全国諸会社役員録. 第30回』 https://dl.ndl.go.jp[...]
[71] 서적 南海電気鉄道百年史
[72] 서적 地図と鉄道省文書で読む私鉄の歩み 関西(2) 近鉄・南海 白水社
[73] 서적 南海電気鉄道百年史
[74] 문서
[75] 뉴스 南海難波駅との接続が有力 なにわ筋線 http://www.sankei-ka[...] 産経新聞社 2019-07-16
[76] 뉴스 大阪都心-関空短縮 なにわ筋線 難波ルートに http://osaka.yomiuri[...] 読売新聞社 2019-07-16
[77] 웹사이트 大阪の南北を結ぶ「なにわ筋線」の建設が正式にスタートへ…開業は2031年度春を予定 https://response.jp/[...] レスポンス 2019-07-15
[78] 서적 南海電気鉄道百年史
[79] 간행물 "運輸開業免許状下付」『官報』1900年9月8日" https://dl.ndl.go.jp[...]
[80] 문서
[81] 간행물 "停車場改称」『官報』1900年9月8日" https://dl.ndl.go.jp[...]
[82] 간행물 "停車場改称」『官報』1900年9月11日" https://dl.ndl.go.jp[...]
[83] 문서
[84] 문서
[85] 간행물 "軽便鉄道停留場改称」『官報』1913年12月27日" https://dl.ndl.go.jp[...]
[86] 서적 南海電気鉄道百年史
[87] 간행물 "地方鉄道停車場名称変更」『官報』1923年4月17日" https://dl.ndl.go.jp[...]
[88] 서적 南海電気鉄道百年史
[89] 서적 南海電気鉄道百年史
[90] 간행물 "地方鉄道駅名改称」『官報』1925年2月7日" https://dl.ndl.go.jp[...]
[91] 간행물 "地方鉄道駅名改称」『官報』1925年4月4日" https://dl.ndl.go.jp[...]
[92] 간행물
[93] 간행물 "地方鉄道駅名改称」『官報』1925年9月17日" https://dl.ndl.go.jp[...]
[94] 서적 南海電気鉄道百年史
[95] 서적 昭和天皇御召列車全記録 新潮社
[96] 뉴스 南海電鉄高野線で電車が脱線転覆『大阪毎日新聞』(昭和12年3月18日夕刊).『昭和ニュース事典第6巻 昭和12年-昭和13年』本編p799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1994年
[97] 서적 南海電気鉄道百年史
[98] 서적 南海電気鉄道百年史
[99] 뉴스 あすからATS使用 交通協力会 1968-03-31
[100] 뉴스 CTC 20日から使用開始 交通協力会 1968-06-13
[101] 서적 南海電気鉄道百年史
[102] 서적 複線化工事の記録 高野線(河内長野~橋本間)
[103] 뉴스 高野線河内長野-三日市町間が複線化 交通協力会 1974-03-26
[104] 서적 複線化工事の記録 高野線(河内長野~橋本間)
[105] 서적 複線化工事の記録 高野線(河内長野~橋本間)
[106] 서적 複線化工事の記録 高野線(河内長野~橋本間)
[107] 뉴스 高野線 新紀見トンネルが完成 交通協力会 1976-03-26
[108] 서적 昭和天皇御召列車全記録 新潮社
[109] 서적 南海電気鉄道百年史
[110] 뉴스 26日からダイヤ改正 交通協力会 1983-06-01
[111] 간행물 南海個性派列車列伝 電気車研究会
[112] 서적 南海二世紀に入って 十年の歩み
[113] 뉴스 南海高野線11月10日ダイヤ改正 橋本まで大型車乗り入れ 交通新聞社 1992-10-13
[114] 뉴스 萩ノ茶屋-玉出間高架化 18日から使用開始 南海「岸里玉出」統合駅新設 交通新聞社 1993-04-14
[115] 뉴스 南海 高野線9月ダイヤ改正 御幸辻-橋本間複線化完成 交通新聞社 1995-07-25
[116] 뉴스 大阪市内全線高架に 南海本線 来月1日から切り替え 交通新聞社 1995-10-20
[117]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社 1997-03
[118] 문서 南海電鉄最近の10年 創業120周年記念
[119] 간행물 モハユニ 鉄道友の会 2001-02
[120] 간행물 鉄道記録帳2003年2月 鉄道友の会 2003-05-01
[121] 문서
[122] 웹사이트 今夏の節電に対する取組みについて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123] PDF 不発弾処理・撤去に伴う列車運行および商業施設などの営業について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124] PDF 12月5日(土)高野線・泉北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15-10-08
[125] 뉴스 “泉北ライナー”の運転開始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5-12-06
[126] PDF 高野線・泉北線のダイヤを改正し、特急「泉北ライナー」を増発します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17-06-08
[127] PDF 台風第21号による被害状況等について(第4報) (2017/10/24 7:00現在)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128] 웹사이트 台風21号の影響による列車の運休区間について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17-10-24
[129] 웹사이트 高野線(高野下駅~極楽橋駅)の運転再開について http://www.nankai.co[...] 南海電気鉄道 2018-03-22
[130] 뉴스 南海高野線の不通区間、31日再開 上古沢の列車交換設備移設で一部ダイヤ修正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18-03-22
[131] 뉴스 南海高野線:5カ月ぶり運転再開 台風被害で運休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3-31
[132] 뉴스 南海高野線で8300系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9-11-23
[133] 뉴스 南海高野線の特急が料金不要の通勤電車に 脱線で車両使えず https://www.asahi.co[...] 2022-05-30
[134] 보도자료 〜 見頃を迎える新緑彩る高野山へ 〜 特急こうやは、4月29日(土・祝)から通常運転します https://www.nankai.c[...] 南海電気鉄道 2023-04-06
[135] 웹사이트 南海30000系30001編成が営業運転に復帰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3-04-29
[136] 웹사이트 2024年1月20日(土)に高野線・泉北高速線のダイヤを修正します https://www.nankai.c[...] 南海電気鉄道株式会社 2024-01-27
[137] PDF 南海高野線連続立体交差事業 環境影響評価準備書(本編) 都市計画対象事業の名称、目的および内容 https://www.city.sak[...] 堺市建設局道路部 連続立体推進課 2020-09-13
[138] 문서
[139] PDF 大阪市会時報 NO.247 https://www.city.osa[...] 大阪市市会事務局 2022-07-04
[140] 웹사이트 事業認可取得について https://www.city.sak[...] 堺市建設局道路部 連続立体推進課 2022-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