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내연기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연기관은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동력을 얻는 열기관의 일종으로, 1206년 알 자자리가 피스톤과 크랭크 축을 이용한 2행정 내연기관을 고안한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와 작동 방식이 개발되었다. 작동 방식에 따라 2행정, 4행정, 6행정 기관 등으로 분류되며, 용적형과 속도형 내연기관으로 나뉜다. 내연기관은 자동차, 항공기,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연료와 산화제를 사용하며, 냉각, 시동, 엔진 성능 측정, 대기 및 소음 오염, 이산화탄소 생성, 기생 손실 등의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복 기관 - 성형 엔진
    성형 엔진은 실린더가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내연 기관으로, 4행정 사이클 기반 작동, 짧은 크랭크축, 공랭식 냉각, 다기통화 등의 특징을 가지며, 과거 항공기 및 전차 엔진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 왕복 기관 - 압축비
    압축비는 내연기관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실린더 내 피스톤의 위치에 따른 부피 비율을 의미하며, 엔진의 열효율과 출력을 결정하고, 튜닝을 통해 변경하거나 가변 압축비 엔진 기술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기도 한다.
  • 내연기관 - 연결봉
    연결봉은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는 기계 장치로, 증기 기관이나 내연 기관에서 피스톤과 크랭크축을 연결하며, 강철,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작되고, 특수한 형태로도 사용된다.
  • 내연기관 - 4행정 기관
    4행정 기관은 흡입, 압축, 연소, 배기 4단계를 거쳐 작동하는 내연 기관으로, 오토 사이클과 디젤 사이클로 구분되며, 2행정 기관보다 연소 과정이 명확하고 연료 효율이 높지만 구조가 복잡하다.
  • 에너지에 관한 - 브레이턴 사이클
    브레이턴 사이클은 압축기, 연소기, 터빈으로 구성된 열기관 사이클로 가스터빈 및 제트 엔진의 기본 작동 원리이며, 등엔트로피 압축, 등압 가열, 등엔트로피 팽창, 등압 냉각의 네 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져 압축비 증가를 통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 에너지에 관한 -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은 에너지 변환 과정에서 투입된 에너지 대비 유용하게 사용되는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수이며, 다양한 형태와 분야에서 적용된다.
내연기관
내연 기관
내연 기관 작동 방식
내연 기관의 작동 주기
4행정 엔진 작동 방식
4행정 엔진 작동 방식
기본 정보
종류열기관
작동 방식연료와 산화제의 연소로 생성된 열에너지 사용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 발생
피스톤, 로터 등의 운동으로 기계적 에너지 변환
주요 구성 요소실린더
피스톤 또는 로터
연결봉
크랭크축
밸브
점화 플러그 (가솔린 엔진)
분사기 (디젤 엔진)
작동 원리
연소연료와 산화제가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
에너지 변환연소로 발생한 열에너지 → 기계적 에너지
피스톤의 왕복 운동 또는 로터의 회전 운동을 통해 변환
주요 특징
장점높은 출력 대 중량비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
다양한 연료 사용 가능
단점작동 시 소음 및 진동 발생
배기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 오염 유발
연료
종류가솔린 (휘발유)
디젤
천연가스
액화석유가스(LPG)
수소
바이오 연료
기타 연료
역사
초기 개발18세기 말 ~ 19세기 초
상용화19세기 말
자동차 산업 발전 기여20세기 초
적용 분야
운송자동차
오토바이
선박
항공기
기차
산업발전
건설
농업
환경 문제
배기가스질소 산화물(NOx)
탄화수소(HC)
일산화탄소(CO)
미세먼지 (PM)
이산화탄소(CO2)
해결 노력배기가스 정화 장치 개발 및 장착
친환경 연료 개발
전기 자동차 및 수소 자동차 개발
추가 정보
관련 기술엔진 제어 장치(ECU)
터보차저
수퍼차저
가변 밸브 타이밍(VVT)
미래 전망고효율 엔진 개발
친환경 엔진 개발
대체 연료 개발

2. 역사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구동력을 얻는 기관의 사용은 꽤 오래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근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내연기관은 주로 압축 공정을 이용한 피스톤 운동을 구동력으로 하였다.


  • 1206년: 알 자자리가 피스톤과 크랭크 축으로 이루어진 2행정 내연기관을 고안했다.
  • 1509년: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압축행정이 없는 내연기관을 고안했다.
  • 1673년: 크리스티안 하위헌스가 압축행정이 없는 내연기관을 고안했다.
  • 17세기: 영국의 발명가 사무엘 모랜드가 화약을 이용한 양수기를 발명했다. 이는 최초의 실질적인 내연기관이었다.
  • 1780년대: 알레산드로 볼타가 전기 방전에 의해 수소를 연소하여 움직이는 장난감을 만들었다.
  • 1806년: 스위스의 기술자 프랑수아 이삭 리바츠가 수소와 산소를 이용한 내연기관을 만들었다.
  • 1823년: 사무엘 브라운이 "레오나르도 행정"이라 부르는 압축행정이 없는 방식의 내연기관을 산업용도의 특허로 등록하였다. 그러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방식은 이미 낡은 기술이었다.
  • 1824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니콜라 레오나르 사디 카르노가 이상적인 열기관의 열역학을 입증했다. 이 입증으로 인해 열기관의 일에는 온도 차를 가져오는 압축행정이 필요함이 알려지다.
  • 1826년 4월 1일: 사무엘 모레이가 압축 공정이 없는 "기체 및 증기 기관"의 특허를 획득하다.
  • 1838년: 영국의 윌리엄 바르넷이 최초의 실린더 방식 내연기관의 특허를 획득하다.
  • 1854년: 이탈리아의 에우게니오 바르상티와 펠리스 마테우치가 런던에서 최초의 실용적인 내연기관 특허를 획득하다. 그러나 이 특허는 실제 산업에 쓰이지는 않았다.
  • 1856년: 피렌체의 회사 "폰드리아 데 피그노네"가 바르상티-마테우치의 엔진을 개량하여 5마력의 엔진을 제작하다. 이는 후에 더욱 개량되어 두개의 실린더를 이용하는 엔진으로 발전하였다.
  • 1860년: 벨기에에티엔 르누아르휘발유를 연료로하는 내연기관을 발명하다. 이 내연기관은 실린더, 피스톤, 주연봉으로 이루어진 기관이었으며, 최초로 대량 생산된 내연기관이었다.
  • 1862년: 독일의 발명가 니콜라우스 오토등유를 이용한 내연기관을 발명하다. 이 내연기관은 라겐의 도움을 받아 제작되었다.
  • 1870년: 오스트리아 의 발명가 지크프리트 마르쿠스가 손수레에 가솔린엔진을 달아 움직이다. 이는 내연기관을 이용한 최초의 운송도구였다.
  • 1876년: 니콜라우스 오토고틀리프 다임러, 빌헬름 마이바흐와 함께 4행정 기관(오토 행정)을 발명하다. 그러나, 독일의 법원은 이들의 이 발명을 기초로 제출한 일반적인 실린더 방식 내연기관에 대한 특허뿐만 아니라 4행정 방식에 대해서까지 특허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4행정 실린더 방식의 내연기관은 전 세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 1879년: 카를 벤츠가 오토와 다임러, 마이바흐의 엔진을 참조하여 독자적인 2행정 기관을 발명하여 특허를 획득하다. 벤츠는 후일 자신의 기술을 보완하여 독자적인 4행정 기관을 발명하였고 이를 적용한 자동차를 생산하였다. 이것이 최초의 자동차이다.
  • 1891년: 허버트 아크로이드 스튜어트가 최초의 저온 시동 엔진을 발명하다. 이 엔진의 특허권은 영국의 "리처드 헌스비 앤 선스"에 임대되어 자가 시동이 가능한 양수기의 생산에 쓰였다.
  • 1892년: 루돌프 디젤이 석탄 가루를 연료로 하는 카르노 기관 형태의 독자적인 내연기관을 발명하다.
  • 1893년 2월 23일: 루돌프 디젤이 디젤 엔진의 특허를 획득하다.
  • 1896년: 카를 벤츠가 수평대향 엔진인 박서 엔진을 발명하다.
  • 1900년: 루돌프 디젤이 땅콩 기름을 사용한 디젤 엔진을 세계박람회에서 전시하다.
  • 1900년: 다임러 자동차 회사의 빌헬름 마이바흐가 에밀 옐리넥의 요청에 따라 "다임러-메르세데스" 엔진을 개발하다. 이 엔진은 1902년 출시된 다임러사의 자동차에 장착되었다.
  • 1908년: 뉴질랜드의 발명가 어니스트 갓워드가 인버카길에서 모터사이클 사업을 시작하다. 그는 자동차보다 저렴한 탈것을 위해 자전거에 엔진을 장착하여 팔았다.


초기 가솔린 엔진


1872년산 브레이턴 보행빔 엔진


1807년 프랑수아 이삭 드 리바즈가 제작한 드 리바즈의 샤레트


19세기 이전부터 다양한 내연 기관이 발명되었지만, 19세기에 들어 도시가스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이를 연료로 하는 내연 레시프로 엔진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860년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가스 엔진이 정치식 산업용 원동기로 보급되기 시작했고, 니콜라우스 오토 등의 4행정 기관에 의해 완성 단계에 이르렀다. 같은 무렵 석유의 채굴과 정제가 산업으로 확립되면서, 가스 엔진을 가솔린으로 운전하는 시도가 시작되었지만, 가솔린을 지속적으로 기화시키는 메커니즘의 개발이 어려움으로 인해 가솔린 엔진의 실용화는 가스 엔진보다 다소 늦었다. 더욱 늦게, 이러한 예혼합 연소 기관과는 다른 접근 방식에서 디젤 엔진이 발명되었다.

저장과 운반이 용이한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 기관의 등장은 자동차의 상업적 실용화와 비행기의 발명을 가능하게 했고, 특히 수송 분야에 큰 발전을 가져왔다.

3. 작동 방식에 따른 분류

1.흡입 2.압축 3.폭발 4.배기]]

대표적인 내연기관이라 할 수 있는 휘발유를 연료로 하는 4행정 기관의 작동은 그림과 같이 흡입-압축-폭발-배기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 흡입: 연료와 산화제(대개는 공기)를 실린더 안으로 받아들인다.

# 압축: 실린더안의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물은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다.

# 폭발: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물은 전기방전에 의해 점화되어 급격한 발열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발생하는 기체의 팽창으로 기관을 움직이는 힘을 얻는다.

# 배기: 반응이 완료된 기체를 기관 밖으로 내보낸다.

내연기관은 행정의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다.

내연기관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행정 수에 따른 분류:


  • 2행정 엔진
  • * 클라크 사이클[19]
  • * 데이 사이클
  • 4행정 엔진 (오토 사이클)
  • 6행정 엔진

항공기용 가스터빈 엔진의 컷 모델. 오른쪽 터빈의 위아래에 보이는 공동부가 연소기. 중앙은 압축기.


내연기관은 열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열기관의 일종이며, 레시프로 엔진(피스톤 엔진)이나 로터리 엔진(완켈 엔진)과 같은 '''용적형 내연기관'''과 가스터빈 엔진이나 제트 엔진 등의 '''속도형 내연기관'''으로 나뉜다.[62]

용적형 내연기관은 연소 가스의 용적 변화(팽창)를 이용하는 것으로, 크랭크 기구 등에 의해 회전축 출력으로 기계적 일로 전환하는 내연기관을 말한다.[62] 레시프로 엔진의 경우, 실린더(기통)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연소 가스가 피스톤을 누르는 힘을 이용한다. 이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크랭크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축 동력을 얻는다. 또한, 로터리 엔진의 경우에는 작동실 내에서 연소 후 가스의 팽창에 의한 로터의 공전이, 편심축을 회전시켜 축 동력을 얻는다.

이에 반해 속도형 내연기관은 연소 가스의 고속 흐름을 이용하는 것으로, 터빈 날개차의 회전 운동 등을 통해 기계적 일로 전환하는 내연기관을 말한다.[62] 가스터빈 엔진의 경우, 연소기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연소 가스가 출력 터빈을 회전시킴으로써 축 동력을 얻는다. 축 동력이 아닌 추력을 직접 얻기 위해 출력 터빈을 생략하고 연소 가스를 일방향으로 분출시키면 제트 엔진이 된다.

용적형 기관은 "간헐 연소", 속도형 기관은 "연속 연소"라는 연소 형태의 차이가 있지만(펄스 제트 엔진은 간헐 연소식 속도형 기관이라는 예외가 있음), 모두 연소열에 의해 고압이 된 연소 가스 그 자체를 작동 유체로 하는 것은 공통된다. 이에 비해 증기 기관 등의 외연 기관에서는 기관 외부의 열원(연료의 연소 등)에 의해, 연소 가스와는 다른 작동 유체(물 등)에 열에너지를 주어 기관에 의해 동력을 얻는다.

현대의 내연 기관에서는 주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소에는 출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압축한 공기를 사용한다. 디젤 엔진(레시프로 엔진의 일종)처럼, 원리적으로 압축 없이는 작동하지 않는 내연 기관도 있다.

3. 1. 2행정 기관

2행정 기관은 피스톤의 2행정, 즉 한 번 왕복에 한 사이클을 끝내는 기관으로 피스톤의 매 두 번의 행정마다 폭발 혹은 강한 왕복운동이 일어난다.[19] 주로 소형 모터사이클, 모터보트 등의 소형 기관에 이용된다.

피스톤이 내려가는 동안 연소 가스가 작동하며, 팽창에 대한 동일한 열역학적인 고려 사항이 적용된다. 크랭크 축이 75°주위를 회전하여 배기 밸브 또는 포트가 열리고 불로우 다운이 발생한다. 잠시후 흡기 밸브 또는 이송 포트가 열린다. 유입되는 충전물은 남은 연소 가스를 배기 시스템으로 옮기고 충전물의 일부는 배기 시스템으로 유입될 수 있다.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고 방향을 바꾼다. 피스톤이 짧은 거리 위쪽에서 실린더 안으로 이동한 후 배기 밸브 또는 포트가 닫힌다. 곧 흡기 밸브 또는 이송 포트도 닫힌다. 흡기와 배기가 모두 닫히면 피스톤은 계속 위로 움직여서 충전물을 압축하고 작업을 수행한다. 4행정 기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스톤이 상사점에 도달하기 직전에 점화가 시작되고 충전시 압축의 열역학에 대해 동일한 고려 사항이 적용된다.

이 엔진의 가장 큰 특징은 피스톤이 크랭크축 회전마다 한 사이클을 완료한다는 점이다. 흡입, 압축, 동력, 배기의 4가지 과정이 2행정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각 과정에 행정을 전적으로 할애할 수 없다.

4행정 엔진은 4행정 중 2행정을 사용하여 피스톤을 양정펌프로 사용하여 흡배기 과정을 수행하지만, 2행정 엔진은 동력 행정의 마지막 부분과 압축 행정의 첫 부분을 결합된 흡입 및 배기 과정에 사용한다. 혼합기와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데 필요한 일은 크랭크케이스 또는 별도의 블로어에서 발생한다. 연소 가스의 배출과 신선한 혼합기의 유입을 위한 흡배기 방식으로는 루프 흡배기 방식과 유니플로우 흡배기 방식의 두 가지 주요 방식이 있다. 2010년대 SAE 뉴스는 어떤 상황에서도 '루프 흡배기'가 유니플로우 흡배기보다 우수하다고 발표했다.[19]

3. 2. 4행정 기관

4행정 기관은 피스톤의 두 왕복, 곧 사행정으로 흡입·압축·폭발·배기의 순서로 작동한다. 이 방식은 대부분의 자동차 엔진에 사용된다.

4행정 내연기관의 작동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레이블:
1 ‐ 흡입
2 ‐ 압축
3 ‐ 동력
4 ‐ 배기


4행정 내연기관에서 각 피스톤은 크랭크축 회전당 다음 순서대로 2행정을 수행한다.

  • 흡입: 흡기 밸브가 열리고 피스톤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연소실의 부피가 증가한다. 이때 직분사를 사용하지 않는 점화착화(SI) 엔진의 경우 공기-연료 혼합물이, 압축착화(CI) 엔진의 경우 공기가 유입된다.
  • 압축: 두 밸브가 모두 닫히고 피스톤이 위로 이동하여 연소실 부피를 줄인다. 이때 압력, 온도, 밀도가 증가한다. SI 엔진의 경우 점화 플러그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여 혼합물에 점화하고, CI 엔진의 경우 연료 분사 장치에서 연료를 분사하여 고온으로 인해 점화한다.
  • 동력(폭발): 연소 가스의 압력이 피스톤을 아래로 밀어 운동 에너지를 생성한다. 연소 가스가 팽창하면서 온도, 압력, 밀도가 감소한다. 피스톤이 하사점(BDC)에 가까워지면 배기 밸브가 열리고 연소 가스가 비가역적으로 팽창한다.
  • 배기: 배기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피스톤이 위로 이동하여 연소 가스를 배출한다. 자연 흡기 엔진의 경우 일부 연소 가스가 실린더에 남을 수 있다.


이후 배기 밸브가 닫히고 흡기 밸브가 열리면서 다음 사이클이 반복된다. 더 나은 배기를 위해 배기 밸브가 닫히기 전에 흡기 밸브가 열릴 수 있다.

3. 3. 크랭크실 소기

작동 중인 크랭크케이스 스캐빈지 방식의 밸브리스 2행정 엔진 다이어그램


일부 SI 엔진은 크랭크실이 소기되고 포핏 밸브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크랭크실과 피스톤 아래의 실린더 부분이 펌프로 사용된다. 흡기 포트는 리드 밸브 또는 엔진이 구동하는 회전 디스크 밸브를 통해 크랭크실에 연결된다. 각 실린더에 대해, 전송 포트는 일단에서 크랭크실에 연결되고 타단에서는 실린더 벽에 연결된다. 배기 포트는 실린더 벽에 직접 연결된다. 전송 및 배기 포트는 피스톤으로 열고 닫는다.

리드 밸브는 크랭크실 압력이 흡입 압력보다 약간 낮을 때 열려 새로운 혼합기가 채워지는데, 이는 피스톤이 상승할 때 발생한다. 피스톤이 하강하면 크랭크실의 압력이 증가하고 리드 밸브가 즉시 닫히며, 크랭크실의 혼합기가 압축된다. 피스톤이 하강할 때 배기 포트와 이송 포트도 열리고, 크랭크실의 더 높은 압력으로 인해 혼합기가 이송 포트를 통해 실린더로 들어가 배기 가스를 배출한다.

윤활은 연료에 소량의 ''2행정 엔진 오일''을 첨가하여 수행되며, ''페트로일''은 앞서 언급한 오일과 가솔린의 혼합물을 말한다. 이러한 유형의 2행정 기관4행정 기관에 비해 효율이 낮고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인해 더 많은 오염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 ''전손식 윤활 시스템''을 사용한다. 모든 윤활유는 결국 연료와 함께 연소된다.
  • 소기에는 상반되는 요구 사항이 있다. 한편으로는 각 사이클에서 거의 모든 연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충분한 신선한 혼합기를 도입해야 하지만, 너무 많은 혼합기를 도입하면 일부가 배기구로 들어간다.
  • 연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배기 포트에 도달하기 전에 실린더 전체를 청소하는 기류가 생성되도록 이송 포트(들)을 신중하게 설계되고 배치된 노즐로 사용해야 하지만, 배출되는 혼합기의 양은 최소화해야 한다.
  • 4행정 기관은 배기 중 연소실이 최소 부피로 줄어들기 때문에 거의 모든 연소 가스를 강제로 배출하는 이점이 있다. 크랭크케이스 스캐빈지 방식의 2행정 엔진에서는 배기와 흡입이 대부분 동시에 수행되고 연소실이 최대 부피일 때 수행된다.


이 유형의 2행정 엔진의 주요 장점은 기계적 단순성과 4행정 엔진에 비해 더 높은 출력 중량비이다. 사이클당 두 배의 동력 행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동급의 4행정 엔진의 두 배 미만의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미국에서는 오염으로 인해 2행정 엔진이 도로 차량에 대해 금지되었다. 오프로드 전용 오토바이는 여전히 2행정 엔진이 많지만, 도로 주행이 허가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수많은 2행정 잔디 관리 엔진이 사용되고 있다.

3. 4. 송풍기 소기

이 유형의 엔진은 배기 포트를 사용할 수도 있는 대향 피스톤 기관을 제외하고는 흡입 또는 배기 용도로 밸브를 사용한다.[29][30][31] 송풍기는 일반적으로 루츠형이지만 다른 유형도 사용되었다.[29][30][31] 이 설계는 CI 엔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때때로 SI 엔진에서 사용되었다.[29][30][31]

섬네일


단일 흡기 스캐빈징 다이어그램


송풍기를 사용하는 CI 엔진은 일반적으로 ''단일 흡기 스캐빈징''을 사용한다. 이 설계에서 실린더 벽에는 여러 개의 흡기 포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피스톤 크라운이 하사점(BDC)에 도달했을 때의 위치 바로 위에 둘레를 따라 고르게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4행정 엔진과 같은 배기 밸브 또는 여러 개의 배기 밸브가 사용된다. 흡입 매니폴드의 마지막 부분은 흡입 포트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슬리브이다. 흡입 포트는 연소를 개선하기 위해 들어오는 충전물에 와류를 주기 위해 실린더 벽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된다.

가장 큰 왕복식 내연기관은 이 유형의 저속 CI 엔진이다. 이들은 선박 추진(선박 디젤 엔진 참조) 또는 발전에 사용되며 모든 종류의 내연 기관 중에서 가장 높은 열효율을 달성한다. 일부 디젤 전기 기관차 엔진은 2행정 사이클로 작동한다. 가장 강력한 기관차는 약 4.5 MW 또는 6,000 HP의 제동 출력을 가지고 있다. EMD SD90MAC급 기관차가 그 예이다.

이러한 유형의 엔진의 예로는 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사용되는 Wärtsilä-Sulzer RTA96-C 터보차저 2행정 디젤 엔진이 있다. 열효율이 50%를 넘는 세계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강력한 왕복식 내연 기관이다.[29][30][31]

3. 5. 디젤 사이클

대부분의 트럭 및 자동차 디젤 엔진은 4행정 사이클과 유사한 사이클을 사용하지만, 별도의 점화 시스템 없이 압축 착화 방식을 사용한다.[34] 이를 디젤 사이클이라고 한다. 디젤 사이클에서는 디젤 연료가 실린더에 직접 분사되어 피스톤이 움직이면서 일정한 압력에서 연소가 발생한다.[34]

디젤 엔진은 엔진의 압축 과정에서 생성되는 고온 및 고압에만 의존하여 연료를 점화시킨다.[34] 발생하는 압축비는 일반적으로 가솔린 기관의 두 배 이상이다.[34] 디젤 엔진은 공기만을 흡입하고, 최대 압축 직전에 연료 분사 장치를 통해 소량의 디젤 연료를 실린더에 분사하여 연료가 즉시 점화되도록 한다.[34]
이상적인 디젤 사이클의 p–V 선도. 사이클은 시계 방향으로 1~4의 숫자를 따른다.
추운 날씨에 시동 불량을 줄이기 위해 글로우 플러그를 사용하여 연소실을 예열하기도 한다.[34] 대부분의 새로운 엔진은 효율을 높이고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해 전자식 및 전기식 엔진 제어 장치(ECU)에 의존한다.[34]

3. 6. 오토사이클

오토사이클은 대부분의 자동차 내연 기관용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는 전형적인 사이클이다. 오토 사이클은 4행정 기관과 동일하게 흡기, 압축, 점화, 팽창 및 배출 단계로 구성된다.

내연 기관은 점화(SI) 또는 압축 점화(CI) 방식으로 혼합물을 점화한다. 초기에는 열관과 화염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마그네토 개발 이후 스파크 플러그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35] 소형 엔진은 여전히 마그네토 점화를 사용하며, 리코일 스타터나 손 크랭크로 시동한다. 찰스 F. 케터링이 자동차 시동기를 개발하기 전까지는 모든 가솔린 엔진 자동차가 손 크랭크를 사용했다.[36]

보쉬 마그네토


대형 엔진은 시동 모터와 점화 시스템에 납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한다. 배터리는 엔진 시동 및 전력 공급을 담당하며,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를 통해 충전된다.

가솔린 엔진은 공기와 가솔린 혼합물을 흡입, 압축한 후 점화한다. 압축비는 엔진 효율에 영향을 미치며, 초기 엔진은 6:1의 압축비를 가졌다. 연료 기술 발전으로 고성능 엔진은 12:1 비율로 작동할 수 있게 되었다. 찰스 케터링은 납 첨가제를 개발하여 압축비를 높였으나, 납 중독 문제로 인해 1970년대부터 자동차용으로 단계적으로 폐지되었다.

연료 혼합물은 실린더 내 피스톤의 다른 진행 과정에서 점화된다. 저속에서는 피스톤이 상사점에 도달하는 시점에 가깝게, 고속에서는 회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스파크 타이밍이 앞당겨진다.[37]

접점 및 코일 점화


일반적으로 10,000V의 고전압은 유도 코일 또는 변압기에서 공급된다. 축전기 방전 점화는 스파크 플러그로 보내지는 전압을 최대 60,000V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38] 어느 시스템이든 기계식 또는 전기식 제어 시스템은 적절한 실린더에 정확하게 타이밍이 맞춰진 고전압을 제공하여 스파크 플러그를 통해 공기-연료 혼합물을 점화시킨다.

가솔린 내연 기관은 추운 날씨에 시동하기가 디젤 엔진보다 쉽지만, 극한 조건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과거에는 차량을 난방이 되는 곳에 주차하거나 기름을 데워 사용했다. 1950년대에는 가솔린 가스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전기 엔진 블록 히터가 표준으로 장착되면서 대체되었다.[39]

4. 회전형 기관

회전형 기관은 유동형 기관이라고 한다. 연료의 폭발압력에 의해 모터를 직접 회전하여 동력을 얻는 방식이다. 방켈 엔진이 대표적이며 가스 터빈터보샤프트터보프롭도 여기에 해당된다.

왕복형 회전기관 작동 사이클. 로터가 캠축 주위를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축은 세 바퀴 회전하며, 이심축 주위를 한 공전할 때마다 한 바퀴 회전한다.


왕복형 회전기관(회전식 엔진)은 피스톤 행정이 없다. 4행정 엔진과 같은 위상 분리를 사용하며, 각 위상은 엔진 내의 별도 위치에서 발생한다. 열역학적 관점에서 볼 때 오토 엔진 사이클을 따르므로 "4단계" 엔진으로 간주할 수 있다. 로터 한 바퀴 회전당 세 번의 동력 행정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로터와 이심축의 3:1 회전비 때문에 축 한 바퀴 회전당 실제로는 한 번의 동력 행정만 발생한다. 오토 사이클과 달리 구동(이심)축은 동력 행정마다 한 번만 회전하므로(크랭크축은 두 번 회전), 피스톤 엔진보다 높은 출력 대 중량비를 제공한다. 이러한 엔진은 마쓰다 RX-8, 이전의 RX-7 및 기타 차량 모델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사용되었다. 또한 크기와 무게가 작고 출력 대 중량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무인 항공기에도 사용된다.

5. 분사형 기관

연료의 폭발 압력을 일정 방향으로 분출시키고 그 반작용을 통하여 동력을 얻는 방식이다.[21] 제트엔진이 대표적인 분사형 기관이며, 로켓의 구동도 분사형으로 사용된다.


  • 가스터빈 엔진
  • 램제트 엔진, 터보제트와 유사하지만 압축기를 사용하는 대신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램)함
  • 스크램제트 엔진, 초음속 연소를 사용하는 램제트 엔진의 변형
  • 로켓 엔진

6. 왕복 기관

엔진 블록은 무쇠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며, 실린더를 포함한다.[22][23] 실린더는 1개 이상일 경우 일반적으로 1열(직렬 엔진) 또는 2열(수평대향 엔진 또는 V형 엔진)로 배열된다.[23] 현대 엔진에서는 3열 또는 4열(W형 엔진)도 사용된다. 왕복 기관은 엔진 블록, 실린더, 실린더 헤드, 크랭크실, 피스톤, 연결봉, 크랭크축, 플라이휠, 밸브, 캠샤프트, 연료 장치, 배기 장치, 점화 장치, 윤활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내연기관의 일종인 자동차 엔진

  • 엔진 블록: 실린더를 고정하고 보호하는 몸체이다. 수랭식 냉각 기관에서는 엔진 블록과 실린더 사이에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가 있다. 공랭식 엔진은 엔진 블록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 실린더: 피스톤을 감싸는 원통으로, 이 안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한다. 실린더는 가스가 새지 않도록 피스톤과 맞물려 있다.
  • 실린더 헤드: 엔진 블록 위에 있는 실린더의 덮개이다.
  • 크랭크실: 크랭크축을 지지하거나 보호하는 틀로, 소형 엔진에서는 엔진 블록과 하나로 되어 있기도 하다.
  • 피스톤: 가스 연소에 따라 왕복 운동하는 장치이다. 피스톤 링이 있어 가스 누출을 막는다.

피스톤, 피스톤 링, 피스톤 핀 및 커넥팅 로드

  • 연결봉(커넥팅 로드): 피스톤의 움직임을 크랭크축에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 크랭크축: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4행정 기관에서는 한 사이클 동안 보통 두 바퀴 회전한다.
  • 플라이휠: 폭발 행정에서 생긴 에너지를 저장하고 다른 행정에서 에너지를 내보내 크랭크축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킨다.
  • 밸브: 4행정 기관에서는 각 실린더마다 최소 한 쌍 이상의 밸브가 있다. 흡기 밸브는 혼합기를 실린더에 넣고, 배기 밸브는 연소된 가스를 밖으로 배출한다. 밸브 배열은 L헤드와 I헤드 방식이 주로 쓰인다. 2행정 기관의 경우 가솔린 엔진에는 없으나, 디젤 엔진에서는 배기 밸브가 있기도 하다.

디젤 엔진 실린더 헤드 위의 밸브 트레인. 이 엔진은 로커 암을 사용하지만 푸시로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캠샤프트(캠축): 각 행정에 맞게 밸브를 여닫게 한다. 캠축은 크랭크축과 기어로 연결되어 크랭크축의 절반 속도로 회전한다.
  • 연료 장치: 연료 저장 탱크, 연료 파이프, 연료 분사 장치, 연료 여과기, 공기 청정기로 구성된다. 초기 가솔린 엔진은 기화기를 사용했다.
  • 배기 장치: 배기다기관, 배기관, 소음기로 구성된다. 2행정 기관에는 챔버가 있어 연소되지 않은 혼합기가 다시 실린더로 들어가도록 한다.
  • 점화 장치: 가솔린 기관에만 있으며, 점화 플러그에 스파크를 일으켜 혼합기를 연소시킨다.
  • 윤활 장치: 기관의 마찰을 막기 위해 윤활유를 공급한다.

아래에서 본 엔진 블록. 실린더, 오일 분사 노즐 및 메인 베어링의 절반이 명확하게 보입니다.


V8 엔진의 베어 실린더 블록

6. 1. 구조

왕복 내연 기관의 기본은 무쇠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엔진 블록이다.[22][23] 엔진 블록은 실린더를 포함하며, 실린더는 1개 이상일 경우 일반적으로 1열(직렬 엔진) 또는 2열(수평대향 엔진 또는 V형 엔진)로 배열된다.[23] 현대 엔진에서는 3열 또는 4열(W형 엔진)도 사용된다.

  • 엔진 블록: 실린더를 고정하고 보호하는 몸체이다. 수랭식 냉각 기관에서는 엔진 블록과 실린더 사이에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가 있다. 공랭식 엔진은 엔진 블록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 실린더: 피스톤을 감싸는 원통으로, 이 안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한다. 실린더는 가스가 새지 않도록 피스톤과 맞물려 있다.
  • 실린더 헤드: 엔진 블록 위에 있는 실린더의 덮개이다.
  • 크랭크실: 크랭크축을 지지하거나 보호하는 틀로, 소형 엔진에서는 엔진 블록과 하나로 되어 있기도 하다.
  • 피스톤: 가스 연소에 따라 왕복 운동하는 장치이다. 피스톤 링이 있어 가스 누출을 막는다.

  • 연결봉(커넥팅 로드): 피스톤의 움직임을 크랭크축에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 크랭크축: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4행정 기관에서는 한 사이클 동안 보통 두 바퀴 회전한다.
  • 플라이휠: 폭발 행정에서 생긴 에너지를 저장하고 다른 행정에서 에너지를 내보내 크랭크축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킨다.
  • 밸브: 4행정 기관에서는 각 실린더마다 최소 한 쌍 이상의 밸브가 있다. 흡기 밸브는 혼합기를 실린더에 넣고, 배기 밸브는 연소된 가스를 밖으로 배출한다. 밸브 배열은 L헤드와 I헤드 방식이 주로 쓰인다. 2행정 기관의 경우 가솔린 엔진에는 없으나, 디젤 엔진에서는 배기 밸브가 있기도 하다.

  • 캠샤프트(캠축): 각 행정에 맞게 밸브를 여닫게 한다. 캠축은 크랭크축과 기어로 연결되어 크랭크축의 절반 속도로 회전한다.
  • 연료 장치: 연료 저장 탱크, 연료 파이프, 연료 분사 장치, 연료 여과기, 공기 청정기로 구성된다. 초기 가솔린 엔진은 기화기를 사용했다.
  • 배기 장치: 배기다기관, 배기관, 소음기로 구성된다. 2행정 기관에는 챔버가 있어 연소되지 않은 혼합기가 다시 실린더로 들어가도록 한다.
  • 점화 장치: 가솔린 기관에만 있으며, 점화 플러그에 스파크를 일으켜 혼합기를 연소시킨다.
  • 윤활 장치: 기관의 마찰을 막기 위해 윤활유를 공급한다.


7. 실린더 배치방식에 따른 분류

내연기관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일반적인 실린더 배치는 직렬 또는 인라인 배치, 보다 컴팩트한 V형 배치, 그리고 더 넓지만 더 부드러운 수평대향 또는 박서 배치가 있다. 항공기 엔진은 더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 성형 배치를 채택할 수도 있다. H형, U형, X형, W형과 같은 더 특이한 배치도 사용되어 왔다.

일부 일반적인 실린더 배치:
a – 직렬
b – V형
c – 수평대향
d – W형


다기통 엔진은 밸브 트레인과 크랭크축이 구성되어 피스톤이 사이클의 다른 부분에 있게 된다. 특히 과급 엔진에서 피스톤 사이클을 균일하게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이것을 ''균일 발화''라고 한다). 이는 토크 변동을 줄이고 3기통 이상의 인라인 엔진을 정적으로 균형을 맞추게 한다. 그러나 일부 엔진 배치는 균일 발화보다 더 나은 균형을 얻기 위해 불규칙 발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4행정 I2 엔진은 크랭크핀 사이의 각도가 180°일 때 균형이 더 좋다. 이는 피스톤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관성력이 부분적으로 상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한 실린더가 다른 실린더보다 180° 크랭크축 회전 후 발화하고, 그 후 540° 동안 실린더가 발화하지 않는 불규칙 발화 패턴을 생성한다. 균일 발화 패턴을 사용하면 피스톤이 일제히 움직이고 관련 힘이 더해진다.

다중 크랭크축 배치는 반드시 실린더 헤드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대신 실린더의 각 끝에 피스톤을 가진 대향 피스톤 설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료 유입구와 배출구가 실린더의 반대쪽 끝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니플로우 스캐빈징을 달성할 수 있으며, 4행정 엔진과 마찬가지로 넓은 엔진 속도 범위에서 효율적이다. 실린더 헤드가 없기 때문에 열 효율이 향상된다. 이 설계는 단일 행의 실린더의 양쪽 끝에 두 개의 크랭크축을 사용하는 융커스 Jumo 205 디젤 항공기 엔진에 사용되었고, 가장 주목할 만하게 네이피어 델틱 디젤 엔진에 사용되었다. 이 엔진은 세 개의 크랭크축을 사용하여 정삼각형으로 배열된 세 개의 양쪽 끝 실린더 행을 구동했다. 크랭크축은 모서리에 위치한다. 단일 행 기관차 엔진에도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선박 추진 엔진 및 선박 보조 발전기에 사용되고 있다.

8. 연소 터빈

속도형 내연기관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가스터빈 엔진
  • * 터보샤프트 엔진
  • 제트 엔진
  • * 터보제트 엔진
  • * 터보팬 엔진
  • ** 프롭팬 엔진
  • ** 기어드 터보팬 엔진
  • * 터보프롭 엔진
  • * 램제트 엔진
  • ** 터보램제트 엔진 (고바이패스비 터보제트)
  • ** 스크램제트 엔진
  • * 펄스제트 엔진
  • * 모터제트 엔진
  • 로켓 엔진 (화학 로켓 엔진이 해당)
  • * 고체연료 로켓 엔진
  • * 액체연료 로켓 엔진

※항공용 엔진도 참조

8. 1. 제트 엔진

터보팬 제트 엔진


제트 엔진은 여러 줄의 팬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공기를 압축한다. 압축된 공기는 연소실로 들어가 연료(일반적으로 JP 연료)와 혼합되어 점화된다. 연료의 연소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고, 이는 엔진 밖으로 배출되어 추력을 생성한다.[42] 현대식 터보팬 엔진은 최대 48%의 효율로 작동할 수 있다.[42]

터보팬 엔진은 팬, 압축기, 연소실, 터빈, 믹서, 노즐의 여섯 개의 섹션으로 구성된다.[43]

8. 2. 가스 터빈

가스 터빈은 공기를 압축하여 터빈을 돌리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본질적으로 출력을 샤프트로 보내는 제트 엔진이다.[44] 터빈은 압축기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연소실에서 연료가 추가되며, 뜨거운 공기가 터빈 블레이드를 통해 배출되어 압축기에 연결된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3가지 과정을 거친다.[44]

터빈


가스 터빈은 원칙적으로 증기 터빈과 유사한 회전 기계이며 압축기, 연소실 및 터빈의 3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44] 공기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후 연료를 태우면서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 및 연소 생성물은 터빈 내부에서 팽창하여 작업 결과물을 생성한다. 작업량의 약 3분의 2가 압축기를 구동하며, 나머지(약 3분의 1)는 유용한 작업 출력으로 이용할 수 있다.[44]

가스 터빈은 가장 효율적인 내연기관 중 하나이다. 제너럴 일렉트릭 사의 7HA 및 9HA 복합 사이클 발전소의 효율은 61% 이상이다.[45]

8. 3. 브레이턴 사이클

브레이턴 사이클


가스 터빈은 원칙적으로 증기 터빈과 유사한 회전 기계이다. 이것은 압축기, 연소기 및 터빈의 3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공기는 압축기로 압축되며 온도가 올라간다. 압축된 공기는 연소실에서 분사된 연료가 연소되면서 추가로 가열되어 팽창한다. 이 에너지는 기계적인 결합을 통해 압축기에 동력을 공급하는 터빈을 회전시킨다. 뜨거운 가스는 추력을 제공하기 위해 배출된다.

가스 터빈 사이클 기관은 압축, 연소 및 팽창이 엔진의 여러 위치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연소 시스템을 사용한다. 특히, 연소는 오토 기관과 같이 일정한 부피가 아니라 일정한 압력에서 일어난다.

9. 방켈 엔진

방켈 엔진(로터리 엔진)에는 피스톤 스크로크가 없다. 그것은 4행정 기관과 동일한 위상의 분리로 작동하며, 위상은 엔진의 개별 위치에서 발생한다. 열역학적인 용어에서 오토 기관 사이클을 따르므로 "4상" 기관으로 간주될 수 있다. 회전자가 편심축에서 3:1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당 3번의 파워 스트로크가 일반적으로 발생하지만, 샤프트는 1회전당 1번의 파워 스크로크만 발생한다. 드라이브 (편심) 축은 오토 사이클과 같이 2번 (크랭크축)이 아닌 매번 파워 스트로크 동안 한번씩 회전하며, 피스톤 기관보다 큰 동력비를 제공한다. 이 엔진의 유형은 마쓰다 RX-8, 이전 마쓰다 RX-7 및 기타 차량 모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엔진은 또한 무인 비행체에서 사용되며, 크기가 작다.

10. 강제 과급

과급(Forced induction)은 내연 기관의 흡입구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이다. 과급 엔진은 가스 압축기를 사용하여 공기의 압력, 온도 및 밀도를 높인다. 과급이 없는 엔진은 자연흡기 엔진으로 간주된다.

과급은 자동차 및 항공 산업에서 엔진 출력과 효율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특히 고고도에서 작동해야 하는 항공기 엔진에 도움이 된다.

과급은 압축기가 엔진 축에서 직접 구동되는 슈퍼차저 또는 엔진 배기가스로 구동되는 터빈에서 구동되는 터보차저에 의해 달성된다.

11. 연료 및 산화제

모든 내연 기관은 일반적으로 공기 중의 산소와 함께 연소되는 화학 연료에 의존한다.[46] 연소 과정은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매우 높은 온도에서 수증기와 이산화탄소 및 기타 화학 물질을 생성한다. 도달한 온도는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적 구성 (화학량론 참조)뿐만 아니라 압축 및 기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더 많은 동일한 작용을 하고 출력을 높이기 위해 아산화질소를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11. 1. 연료

화석 연료(경유, 휘발유, 석유가스 등)와 바이오연료 등이 사용된다.

가장 일반적인 현대 연료는 탄화수소로 구성되며 대부분 화석 연료(석유)에서 유래한다. 화석 연료에는 경유, 휘발유, 석유가스가 포함되며, 드물게 프로판이 사용된다. 연료 공급 구성 요소를 제외하고, 휘발유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대부분의 내연 기관은 큰 수정 없이 천연가스 또는 액화석유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대형 디젤 엔진은 가스와 혼합된 공기와 시동용 경유 연료 분사를 사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에탄올바이오디젤(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생성하는 작물, 예: 대두유에서 생산되는 경유의 한 형태)과 같은 액체 및 기체 바이오연료도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개조를 거친 엔진은 수소 가스, 목재 가스, 또는 숯 가스뿐만 아니라 다른 편리한 바이오매스로 만든 소위 발생 가스도 사용할 수 있다. 마그네슘 분사 사이클과 같은 분말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실험도 수행되었다.

현재 사용되는 연료는 다음과 같다.

  • 석유:
  • * 석유 정신( 북미 용어: 휘발유, 영국 용어: 휘발유)
  • * 경유.
  • * 자동차용 가스(액화석유가스).
  • * 프로판.
  • * 압축 천연가스.
  • * 항공유(항공 연료)
  • * 잔사유
  • 석탄:
  • * 피셔-트롭슈 공정을 사용하여 탄소(석탄)로부터 휘발유를 만들 수 있다.
  • * 피셔-트롭슈 공정을 사용하여 탄소로부터 경유를 만들 수 있다.
  • 바이오연료 및 식물성 기름:
  • * 땅콩 기름 및 기타 식물성 기름.
  • * 고체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 내장 목재 가스 발생기에서 나오는 목재가스.
  • * 바이오연료:
  • ** 바이오부탄올(휘발유 대체).
  • ** 바이오디젤(석유계 경유 대체).
  • ** 디메틸 에테르(석유계 경유 대체).
  • ** 바이오에탄올 및 바이오메탄올(목정 ) 및 기타 바이오연료 (플렉서블 연료 차량 참조).
  • ** 바이오가스
  • 수소(주로 우주선 로켓 엔진)


유동화 금속 분말과 폭발물도 일부 사용되었다.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을 가스 엔진이라고 하고, 액체 탄화수소를 사용하는 엔진을 오일 엔진이라고 한다. 그러나 휘발유 엔진은 북미 이외 지역에서는 "휘발유 엔진"이라고도 부른다.

연료의 주요 제한 사항은 연료 시스템을 통해 연소실로 쉽게 운반할 수 있어야 하며, 연료가 연소 형태로 충분한 에너지를 방출하여 엔진을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디젤 엔진은 일반적으로 휘발유 엔진보다 무겁고 소음이 크며 저속에서 더 강력하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연료 효율이 더 높으며 중량급 도로 차량, 일부 자동차(휘발유 엔진보다 연료 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고 있음), 선박, 철도 기관차 및 경량 항공기에 사용된다. 휘발유 엔진은 대부분의 자동차, 오토바이 및 모페드를 포함한 대부분의 다른 도로 차량에 사용된다. 유럽에서는 1990년대 이후 정교한 디젤 엔진 자동차가 시장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수소, 메탄올, 에탄올, 액화석유가스(LPG), 바이오디젤, 파라핀 및 트랙터 증기 오일(TVO)을 사용하는 엔진도 있다.

11. 1. 1. 수소

수소는 수소 경제에서 기존의 화석 연료를 대체하여 기존의 내연기관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연료 전지 기술이 약속을 실현할 수도 있으며, 내연 기관의 사용은 단계적으로 중단될 수도 있다.

순수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가연성 분자를 수소로 전환하거나 전기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 전기가 재생 가능한 원천에서 생산되고 다른 용도로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아니라면, 수소는 어떤 에너지 위기도 해결하지 못한다. 많은 상황에서 수소의 단점은 탄소 연료에 비해 저장성이다. 액체 수소는 밀도가 매우 낮고(물보다 14배 낮음) 광범위한 단열이 필요하며, 기체 수소는 무거운 탱크가 필요하다. 액화되더라도 수소는 더 높은 비에너지를 가지지만, 체적 에너지 저장량은 여전히 가솔린보다 약 5배 낮다. 그러나 수소의 에너지 밀도는 전기 배터리보다 훨씬 높아 화석 연료를 대체할 에너지 운반체로서 강력한 경쟁자가 된다. '주문형 수소' 공정( 직접 보로하이드라이드 연료 전지 참조)은 필요에 따라 수소를 생성하지만, 수소화붕소나트륨과 같은 원료의 높은 가격과 같은 다른 문제점이 있다.

11. 2. 산화제

단기통 가솔린 엔진, 1910년경


지구 표면에는 공기가 풍부하므로, 산화제는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산소이며, 차량 내부에 저장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46] 이는 중량 대비 출력 및 부피 대비 출력 비율을 높인다. 특수한 목적으로, 출력을 높이거나 수중 또는 우주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다른 물질이 사용된다.

압축 공기는 일반적으로 어뢰에 사용되었으며,[46] 압축 산소와 일부 압축 공기는 일본의 93식 어뢰에 사용되었다.[47] 일부 잠수함은 순수 산소를 사용한다. 로켓은 매우 자주 액체 산소를 사용한다.[47] 니트로메탄은 일부 경주용 및 모형 연료에 출력을 높이고 연소를 제어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산화질소는 가솔린을 추가하여 전술 항공기와 특수 장비를 갖춘 자동차에서 사용되어, 가솔린과 공기를 사용하는 엔진에서 단기간 추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버트 루탄의 로켓 우주선에도 사용된다. 과산화수소 동력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잠수함을 위해 개발 중이었다. 일부 비핵 잠수함에 사용되었을 수 있으며, 일부 로켓 엔진(특히 블랙 애로우와 메서슈미트 Me 163 로켓 전투기)에도 사용되었다. 염소나 불소와 같은 다른 화학 물질은 실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실용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12. 냉각

과도한 열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이 필요하다. 고온은 마모(고온으로 인한 윤활 불량), 균열 또는 뒤틀림으로 인해 엔진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엔진 냉각의 두 가지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공랭식과 수냉식이다. 대부분의 현대 자동차 엔진은 수냉식과 공랭식을 모두 사용하는데, 냉각수/액체 냉각제가 공랭식 핀 및/또는 팬으로 운반되기 때문이다. 반면 대형 엔진은 고정되어 있고 상수도 또는 담수를 통해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단일 수냉식일 수 있으며, 대부분의 전동 공구 엔진 및 기타 소형 엔진은 공랭식이다. 일부 엔진(공랭식 또는 수냉식)에는 오일 쿨러도 있다. 특히 터빈 엔진 블레이드 냉각 및 액체 로켓 엔진 냉각의 경우, 연료는 연소실에 분사하기 전에 동시에 예열되기 때문에 냉각제로 사용된다.

13. 시동

내연 기관은 작동 주기를 시작하기 위해 외부 동력이 필요하다.[48] 왕복 기관에서는 크랭크축(완켈 로터 샤프트)을 돌림으로써 흡입, 압축, 연소, 배기의 주기를 유도한다. 최초의 엔진은 플라이휠을 돌려 시동을 걸었고, 최초의 자동차(다임러 라이트바겐)는 손 크랭크로 시동을 걸었다. 찰스 케터링이 자동차용 전기 시동 모터를 개발하기 전까지 모든 내연 기관 자동차는 손 크랭크로 시동을 걸었다.[48]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기 시동기


디젤 엔진이 더 커지고 기계 장치가 더 무거워짐에 따라 공기 시동기가 사용되기 시작했다.[49] 이는 전기 시동기의 토크 부족 때문이다. 공기 시동기는 압축 공기를 엔진 실린더에 주입하여 회전을 시작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인레 호수(미얀마)에서 보트 디젤 엔진을 손으로 크랭크로 돌리는 모습


이륜차는 페달을 밟거나, 차량을 밀었다가 클러치를 연결하거나(일명 "런앤범프 시동"), 단일 페달을 아래로 밟거나(일명 "킥 시동"), 자동차와 같이 전기 시동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엔진 시동을 걸 수 있다. 크랭크 동작으로 스프링을 압축한 다음 엔진을 시동하는 데 사용하는 시동기도 있다.

일부 소형 엔진은 "리코일 시동"이라고 하는 풀 로프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로프가 엔진을 시동하기 위해 당겨진 후 스스로 되감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잔디 깎는 기계 등 엔진을 돌리는 데 약간의 토크만 필요한 곳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터빈 엔진은 종종 전기 모터 또는 압축 공기로 시동된다.

14. 엔진 성능 측정

에너지 효율, 연료/추진제 소비량 (축 엔진의 경우 마력당 연료 소비량, 제트 엔진의 경우 추력당 연료 소비량), 출력 중량비, 추력 중량비, 토크 곡선(축 엔진), 추력 감소(제트 엔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엔진 성능을 측정한다.

14. 1. 에너지 효율

내연 기관은 열기관으로 간주되므로, 그 이론적 효율은 카르노 사이클을 초과할 수 없다.[50] 이 효율은 엔진의 작동 온도 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재료의 열 작동 한계와 연료의 자연 발화 저항에 의해 제한된다.[50] 높은 열 안정성을 가진 세라믹 재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는 더 큰 온도 차이와 열역학적 효율을 가능하게 한다.[50] 그러나 연료의 자연 발화는 실린더 온도 상승에 따라 발생하기 쉬워 최대 실린더 온도에 상한을 둔다.[50]

열역학적 한계는 이상적인 조건을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효율이 저하된다.[50] 예를 들어, 자동차 엔진은 특정 부하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고속도로 주행 시에는 이상적인 부하보다 낮은 부하에서 작동하는 경우가 많다. 풍력 저항과 같은 요인도 전체 시스템 효율을 감소시킨다.[50]

터보차저 등의 기술을 통해 효율을 개선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엔진은 평균적으로 약 18~20%의 효율을 보인다.[50] 하지만, 최신 포뮬러 원 엔진 기술은 50%를 초과하는 열효율을 달성했다.[51] 엔진 효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발명품이 있지만, 효율, 무게, 출력, 배기 가스 배출 등 다양한 특성 간의 절충이 필요하다.[50]

14. 2. 연료 효율 및 추진제 효율 측정

정지형 및 축 엔진(프로펠러 엔진 포함)의 경우, 연료 소비량은 제동 연료 소비율을 계산하여 측정한다. 이는 생산된 동력으로 나눈 연료 소비량의 질량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제트 엔진과 같은 내연 기관의 경우, 출력은 대기 속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덜 변동적인 측정값인 추력 비연비(TSFC)가 사용된다. 이는 파운드 힘-시간 또는 1킬로뉴턴-초를 측정하는 충격을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추진제의 질량(그램)으로 측정되는 충격을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추진제의 질량이다.

로켓의 경우 TSFC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비추력 및 유효 배기 속도와 같은 다른 등가 측정값이 전통적으로 사용된다.

15. 대기 및 소음 오염

내연기관은 불완전 연소로 인해 대기오염을 유발한다.[52] 이 과정의 주요 생성물은 이산화탄소(CO2), 물, 그리고 그을음(또는 미립자 물질(PM))이다.[52] 미립자 물질 흡입은 천식, 폐암, 심혈관 질환 및 조기 사망을 포함한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53]

작동 조건과 연료-공기 비율에 따라 질소산화물, 황, 그리고 일부 미연소 탄화수소를 포함한 추가적인 연소 과정의 생성물이 발생한다. 연소 과정에서 모든 연료가 완전히 소모되는 것은 아니며, 소량의 연료는 포름알데히드 또는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산소화합물이나 원래 입력 연료 혼합물에는 없던 탄화수소를 형성한다. 불완전 연소는 일반적으로 산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상대적으로 차가운 실린더 벽에 의해 화염이 "소화"되어 반응하지 않은 연료가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된다. 이는 효율을 낮추고 노킹을 증가시켜 엔진 정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불완전 연소는 또한 일산화탄소(CO)를 생성하며, 벤젠과 1,3-부타디엔과 같은 유해 대기오염 물질도 배출된다.

엔진 내 공기량을 늘리면 불완전 연소 생성물의 배출량이 줄어들지만, 질소와 산소 사이의 반응을 촉진하여 질소산화물(NOx)을 생성한다. 질소산화물은 오존(O3) 생성을 유도하는데, 오존은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햇빛이 있는 상태에서 반응하여 생성되는 2차 대기오염 물질이다. 지표면 오존은 인체 건강과 환경에 해로우며, 성층권 오존 또는 오존층과는 다르다. 황을 함유한 탄소 연료는 일산화황(SO)과 이산화황(SO2)을 생성하여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미국에서는 질소산화물, PM,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오존이 청정대기법에 따라 규제되는 대기오염 기준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벤젠과 1,3-부타디엔과 같은 기타 오염 물질은 유해 대기오염 물질로 규제된다.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및 기타 오염 물질은 배기가스 재순환을 통해 제어되며, 촉매 변환기는 배기가스 화학 물질을 CO2(온실가스), H2O(수증기, 온실가스), N2(질소)로 변환한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엔진의 연비를 높이면 CO2 배출량을 줄일 수 있지만, 탄소 기반 연료 연소는 CO2를 생성하기 때문에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엔진 배기가스에서 CO2를 제거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므로 바이오연료, 합성연료, 배터리로 구동되는 전기 모터 등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내연기관은 소음 공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고속도로와 도로 시스템에서 운행되는 자동차와 트럭의 교통량은 소음을 발생시키며, 제트기 소음, 특히 초음속 비행이 가능한 항공기의 비행도 소음을 발생시킨다. 로켓 엔진은 가장 강렬한 소음을 발생시킨다.

내연기관은 공회전 중에도 연료를 계속 소비하며 오염 물질을 배출한다. 공회전은 시동-정지 시스템에 의해 줄어든다.

15. 1. 대기 오염

내연기관은 불완전 연소로 인해 대기오염을 유발한다.[52] 이 과정의 주요 생성물은 이산화탄소(), 물, 그리고 그을음(또는 미립자 물질(PM))이다.[52] 미립자 물질 흡입은 천식, 폐암, 심혈관 질환 및 조기 사망을 포함한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53]

작동 조건과 연료-공기 비율에 따라 질소산화물, 황, 그리고 일부 미연소 탄화수소를 포함한 추가적인 연소 과정의 생성물이 발생한다. 연소 과정에서 모든 연료가 완전히 소모되는 것은 아니며, 소량의 연료는 포름알데히드 또는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산소화합물이나 원래 입력 연료 혼합물에는 없던 탄화수소를 형성한다. 불완전 연소는 일반적으로 산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상대적으로 차가운 실린더 벽에 의해 화염이 "소화"되어 반응하지 않은 연료가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된다. 이는 효율을 낮추고 노킹을 증가시켜 엔진 정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불완전 연소는 또한 일산화탄소(CO)를 생성하며, 벤젠과 1,3-부타디엔과 같은 유해 대기오염 물질도 배출된다.

엔진 내 공기량을 늘리면 불완전 연소 생성물의 배출량이 줄어들지만, 질소와 산소 사이의 반응을 촉진하여 질소산화물(}|}}|link=NO} }}|}} }} }})을 생성한다. 질소산화물은 오존() 생성을 유도하는데, 오존은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햇빛이 있는 상태에서 반응하여 생성되는 2차 대기오염 물질이다. 지표면 오존은 인체 건강과 환경에 해로우며, 성층권 오존 또는 오존층과는 다르다. 황을 함유한 탄소 연료는 일산화황(SO)과 이산화황()을 생성하여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미국에서는 질소산화물, PM,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오존이 청정대기법에 따라 규제되는 대기오염 기준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벤젠과 1,3-부타디엔과 같은 기타 오염 물질은 유해 대기오염 물질로 규제된다.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및 기타 오염 물질은 배기가스 재순환을 통해 제어되며, 촉매 변환기는 배기가스 화학 물질을 (온실가스), (수증기, 온실가스), (질소)로 변환한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엔진의 연비를 높이면 배출량을 줄일 수 있지만, 탄소 기반 연료 연소는 를 생성하기 때문에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엔진 배기가스에서 를 제거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므로 바이오연료, 합성연료, 배터리로 구동되는 전기 모터 등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15. 2. 소음 공해

내연기관은 소음 공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고속도로와 도로 시스템에서 운행되는 자동차와 트럭의 교통량은 소음을 발생시키며, 제트기 소음, 특히 초음속 비행이 가능한 항공기의 비행도 소음을 발생시킨다. 로켓 엔진은 가장 강렬한 소음을 발생시킨다.

15. 3. 공회전

내연기관은 공회전 중에도 연료를 계속 소비하며 오염 물질을 배출한다. 공회전은 시동-정지 시스템에 의해 줄어든다.

16. 이산화탄소 생성

경유의 화학식은 근사적으로 CnH2nla으로 나타낼 수 있다.[55] 실제로 경유는 여러 분자의 혼합물이다. 탄소의 몰 질량이 12 g/mol이고 수소의 몰 질량이 약 1 g/mol이므로 경유에서 탄소의 무게 비율은 대략 12/14이다. 경유 연소 반응은 다음과 같다.

: 2CnH2nla + 3nO2}}

이산화탄소는 산소 원자 2개(16 g/mol)와 탄소 원자 1개(12 g/mol)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몰 질량은 44 g/mol이다. 따라서 12 g의 탄소는 44 g의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경유의 밀도는 리터당 0.838 kg이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하면, 1리터의 경유를 연소하여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0.838 kg/L \cdot {\frac{12}{14}}\cdot {\frac{44}{12}}= 2.63 kg/L

이 추정으로 얻은 값은 문헌에서 찾은 값과 유사하다.[55]

밀도가 0.75 kg/L이고 탄소와 수소 원자의 비율이 약 6:14인 가솔린의 경우, 1리터의 가솔린 연소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추정값은 다음과 같다.

: 0.75 kg/L \cdot {\frac{6 \cdot 12}{6\cdot 12 + 14}\cdot 1} \cdot {\frac{44}{12la= 2.3 kg/L

17. 기생 손실

'기생 손실'이라는 용어는 엔진의 에너지 생성 능력이나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엔진에서 에너지를 끌어 쓰는 장치에 적용된다. 내연 기관에서는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한 거의 모든 기계적 구성 요소가 기생 손실을 유발하므로 기생 부하로 특징지을 수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History of Technolog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2-03-20
[2] 서적 Engineering Fundamentals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3] 학술지 Diesel fuel from vegetable oils: Status and opportunities 1993-01
[4] 웹사이트 The Pyréolophore: a new engine principle https://photo-museum[...] 2021-02-17
[5] 웹사이트 The Pyreolophore engine https://paleo-energe[...] 2019-09-09
[6] 서적 The World History of the Automobile https://books.googl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2020-09-21
[7]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8] 서적 The Steam-Engine and Other Heat-Engin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Physics of Ener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특허 Obtaining motive power by the explosion of gases
[11]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 spark of italian creativity https://web.archive.[...] 2019-06-20
[12] 웹사이트 The patents https://web.archive.[...] 2019-06-20
[13] 웹사이트 Étienne Lenoir https://www.britanni[...] 2021-04-03
[14] 웹사이트 Who invented the automobile? https://www.loc.gov/[...] 2021-04-03
[15] 웹사이트 World Wide Words: Engine and Motor http://www.worldwide[...] 1998-12-27
[16] 서적 Technology Today and Tomorrow
[17] 서적 Extreme Machines on Land
[18] 서적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from the Use of Transportation Fuels and Electricity: Main text https://books.google[...]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Argonne National Laboratory
[19] 웹사이트 Two Stroke Cycle Diesel Engine https://web.archive.[...] 2016-09-01
[20] 서적 Entropy Analysis in Thermal Engineering Systems 2020
[21] 웹사이트 Editor https://www.grc.nasa[...] 2020-06-26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서적 Introduction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7-09-16
[26] 서적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pplied Thermoscienc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11-23
[27] 웹사이트 WEIRD STUFF! COATES SPHERICAL ROTARY VALVE ENGINE: There Are No Valves, Just a Series of Spheres on a Rod: Sort of a Shish-Kabob https://motocrossact[...] 2009-10-27
[28] 서적 Introduction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7-09-16
[29] 웹사이트 CFX aids design of world's most efficient steam turbine http://www.ansys.com[...] 2010-08-28
[30] 웹사이트 New Benchmarks for Steam Turbine Efficiency – Power Engineering http://pepei.pennnet[...] Pepei.pennnet.com 2010-08-24
[31] 논문 Approach to High Efficiency Diesel and Gas Engines https://www.mhi.co.j[...] 2008-03-01
[32] 웹사이트 Two Stroke Spark Ignition (S.I) Engine http://www.first-han[...] 2016-09-01
[33] 웹사이트 DKW RT 125/2H, 1954 > Models > History > AUDI AG http://www.audi.com/[...] Audi 2016-09-01
[34] 뉴스 Laser sparks revolution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http://www.physorg.c[...] 2011-04-20
[35] 웹사이트 The Early History of the Bosch Magneto Company in America http://theoldmotor.c[...] 2014-12-19
[36] 웹사이트 Hand Cranking the Engine http://www.autolife.[...] University of Michigan-Dearborn 2016-09-01
[37] 웹사이트 Spark Timing Myths Debunked – Spark Timing Myths Explained: Application Notes http://www.innovatem[...] Innovate Motorsports 2006-09-01
[38] 웹사이트 Electronic Ignition Overview http://www.jetav8r.c[...] 2016-09-02
[39] 간행물 Gasifier Aids Motor Starting Under Arctic Conditions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53-01-01
[40] 서적 The Romance of Engines SAE
[41] 웹사이트 5-Stroke Concept Engine Design and Development https://web.archive.[...] Ilmor Engineering 2015-12-18
[42] 웹사이트 Aviation and the Global Atmosphere http://www.ipcc.ch/i[...] 2016-07-14
[43] 웹사이트 Engines https://www.grc.nasa[...] NASA Glenn Research Center 2014-06-12
[44] 웹사이트 How a Gas Turbine Works https://powergen.gep[...] 2016-07-14
[45] 웹사이트 Air-cooled 7HA and 9HA designs rated at over 61% CC efficiency https://web.archive.[...] 2016-07-14
[46] 서적 The Whitehead Torpedo, notes on handling etc. https://maritime.org[...] Bureau of Ordnance 2017-05-15
[47] 웹사이트 Re-Creating History https://web.archive.[...] NASA
[48] 보도자료 Cadillac's Electric Self Starter Turns 100 http://media.gm.com/[...] General Motors 2016-09-02
[49] 웹사이트 Ingersoll Rand Engine Starting – Turbine, Vane and Gas Air Starters https://web.archive.[...] Ingersoll Rand 2016-09-05
[50] 웹사이트 Improving IC Engine Efficiency http://courses.washi[...] Courses.washington.edu 2010-08-28
[51] 웹사이트 Mercedes AMG F1 engine achieves 50 percent thermal efficiency https://www.motoraut[...] 2017-10-01
[52] 기술보고서 Diesel and Gasoline Engine Exhausts https://www.ncbi.nlm[...]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1989
[53] 학술지 Combustion By-Products and their Health Effects - Combustion Engineering and Global Health in the 21st Century: Issues and Challenges 2014-01-01
[54] 웹사이트 2013 Global Sourcing Guide http://www.gsgnet.ne[...] Diesel & Gas Turbine Publications
[55] 서적 The Diesel Engine, in series: commercial vehicle technology Springer
[56] 웹사이트 Turbochargers vs. Superchargers: Which Is Better? https://www.caranddr[...] 2018-12-12
[57] 웹사이트 Drivetrain Power Loss – The 15% 'Rule' http://www.superstre[...] 2020-03-09
[58] 서적 SAE Technical Paper Series 1984-02-01
[59] 웹사이트 Heavy-Duty Vehicle Diesel Engine Efficiency Evaluation and Energy Audit https://theicct.org/[...] 2014-10-01
[60] 웹사이트 Drivetrain Power Loss https://www.hotrod.c[...] 2003-11-01
[61] 웹사이트 Reduce Parasitic Drag – Pump Up The Power – Dr. Dyno http://www.mustangan[...] 2006-11-01
[62] 서적 熱機関工学 朝倉書店 1970
[63] 간행물 意匠分類定義カード(K8) https://www.jpo.go.j[...] 特許庁
[64] 논문 内燃機関による天然ガスの変成 1958
[65] 웹사이트 究極効率のエンジンを生む新圧縮燃焼原理を発見! http://www.waseda.jp[...]
[66] 웹사이트 デトネーションを利用した新しい内燃機関 http://home.hiroshim[...]
[67] 웹사이트 プロパン−空気混合気を用いたパルスデトネーションタービンエンジンの作動実験 http://home.hiroshim[...]
[68] 웹사이트 慶應大ら、熱エンジンの効率を最大限に上げると出力がほぼゼロになることを証明 https://pc.watch.imp[...] PC Watch 2016-11-01
[69] 서적 Blazing the trail: the early history of spacecraft and rocketry AIAA 2004
[70] 웹사이트 Electric Pistol http://ppp.unipv.it/[...]
[7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Automobile - Gas Engines http://inventors.abo[...] About.com 2009-10-19
[72] 특허 Arbeitsverfahren und Ausführungsart für Verbrennungskraftmaschinen DE patent 67207
[73] 보고서 JET PROPULSION FOR AIRPLANES http://ntrs.nasa.gov[...]
[74] 서적 Scania fordonshistoria 1891-1991
[75] 서적 Volvo – Lastbilarna igår och idag
[76] 웹인용 기술의 역사: 내연 기관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2-03-20
[77] 서적 Engineering Fundamentals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entice Hall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