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브라 하늘원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브라 하늘원반은 1999년 독일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유물로, 천문 시계로 추정된다. 발견 당시 불법적인 도굴 과정을 거쳤으며, 이후 회수되어 현재는 할레 선사 시대 주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원반은 기원전 1600년에서 1560년 사이로 연대가 측정되며, 태양력과 태음력을 결합한 달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원반에는 태양, 달,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묘사되어 있으며, 제작 기법과 재료의 기원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이 유물은 유럽 청동기 시대의 천문학적 지식과 종교적 신념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로 평가받고 있으며, 소유권과 관련한 법적 분쟁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7세기 작품 - 에누마 엘리시
에누마 엘리시는 아카드어로 기록된 고대 바빌로니아의 창조 신화 서사시로, 마르두크가 티아마트를 물리치고 세계를 창조하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바빌로니아의 세계관과 마르두크의 지위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 독일의 고고학 - 노르덴도르프 피불라
노르덴도르프 피불라는 독일 노르덴도르프에서 발견된 브로치로, 특히 노르덴도르프 I 피불라는 오딘과 토르의 이름이 새겨진 고대 푸트르크 룬 문자와 관련된 다양한 학설로 게르만 이교 신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네브라 하늘원반 | |
---|---|
개요 | |
![]() | |
명칭 |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 |
독일어 명칭 | Himmelsscheibe von Nebra (힘멜스샤이베 폰 네브라) |
발견 장소 | 네브라, 독일 |
연대 | 기원전 1800년경 제작, 기원전 1600년경 매장 |
시대 | 초기 청동기 시대 |
재질 | 청동, 금 |
크기 | 약 30 cm (12 인치) |
무게 | 약 2.2 kg (4.9 파운드) |
소장 | 할레 주립 선사 박물관 |
유네스코 등재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상세 정보 | |
묘사 | 천체의 상징 (해, 달, 별) |
해석 | 천문 현상 표현, 종교적 의미 내포 |
추가 정보 | 세 개의 금박 호가 추가됨, "태양의 배" 묘사 추정 |
발견 | 1999년네브라 근처에서 도굴꾼에 의해 발견 |
의미 | 초기 청동기 시대의 천문 지식과 종교적 신념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 |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 |
명칭 |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 |
국가 | 독일 |
참조 번호 | 500 |
지역 | 유럽 및 북미 |
등재 연도 | 2013년 |
기타 정보 | |
온라인 자료 | 할레 주립 선사 박물관 -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 유네스코 -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 |
2. 발견 경위
네브라 하늘원반은 1999년 독일 작센-안할트 주 네브라 인근 치겔로다 숲에 위치한 Mittelbergde(252m) 언덕에서 금속 탐지기를 이용한 불법 보물 사냥꾼들에 의해 도굴되었다. 이들은 허가 없이 활동하며 유물을 훼손하는 등 명백한 약탈 행위를 저질렀다. 작센안할트 주에서는 고고학적 유물이 법적으로 주 소유로 규정되어 있다.
발견 장소인 미텔베르크 언덕은 선사 시대의 환호 유적이 있는 곳으로, 라이프치히에서 서쪽으로 약 60km 떨어져 있다. 주변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정착이 이루어졌으며, 치겔로다 숲에는 약 1,000여 개의 고분이 분포해 있어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특히 이 언덕은 매년 하지 때 해가 북서쪽 약 80km 거리에 있는 하르츠 산맥의 최고봉 브로켄 뒤로 지는 것을 관측할 수 있는 지점으로 알려져 있다.
원반과 함께 청동 검 2점, 도끼 2세트, 끌 1점, 나선형 팔찌 조각 등이 함께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암시장을 통해 불법적으로 거래되다가 2002년 스위스 바젤에서 경찰의 함정 수사를 통해 회수되었으며[18], 현재는 할레 선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1. 불법 도굴 및 회수 과정
네브라 하늘원반은 1999년 헨리 베스트팔과 마리오 레너가 금속 탐지기를 이용해 보물 사냥을 하던 중 발견되었다. 이들은 작센-안할트 주의 치겔로다 숲 내 Mittelbergde 언덕에서 허가 없이 활동했으며, 이는 명백한 약탈 행위였다. 작센-안할트 주에서는 고고학적 유물이 법적으로 주 소유로 규정되어 있다. 발굴 과정에서 그들은 삽으로 원반을 훼손했고, 유적지의 일부를 파괴했다. 원반과 함께 청동 칼 2개, 도끼 잔해 2세트, 끌 1개, 나선형 팔찌 조각 등도 함께 발견되었다.발견 다음 날, 베스트팔과 레너는 발견한 모든 유물을 쾰른의 한 딜러에게 에 판매했다. 이 유물들은 이후 2년 동안 독일 내에서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으며, 가격은 최대 까지 치솟았다. 2001년경에는 이 유물의 존재가 암시장에 알려지게 되었다.
2002년 2월, 작센안할트 주립 할레 선사 박물관 관장인 고고학자 하랄트 멜러 박사는 스위스 바젤에서 경찰과 공조하여 함정 수사를 벌였다. 당시 한 부부가 이전에 에 구입했던 원반을 암시장에서 에 판매하려 했는데, 멜러 박사는 이들로부터 원반을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18] 멜러 박사는 사전에 암시장에서 판매될 사진을 보고 이 원반이 투탕카멘의 황금 가면과 맞먹는 가치를 지녔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당국은 최초 도굴꾼들의 행방을 추적했고, 사법 거래를 통해 그들로부터 정확한 발견 장소를 확인했다. 고고학자들은 현장 발굴을 통해 도굴꾼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확보했다. 땅속에서 청동 유물의 흔적이 발견되었고, 현장의 토양 샘플은 유물에 묻어 있는 토양과 일치했다.
작센안할트 주의 법(DenkmSchG LSA § 12 sec. 1)에 따라, 고고학적 발굴품은 법적으로 주의 소유가 된다. 이에 따라 회수된 원반과 함께 발견된 유물들은 할레 선사 박물관에 안전하게 보관되었다. 두 도굴꾼은 2003년 9월 나움부르크 법원에서 각각 4개월과 10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그들은 항소했지만, 항소 법원은 형량을 각각 6개월과 12개월로 늘렸다. 유물 거래에 관여했던 골동품 업자들도 2007년에 유죄 판결을 받았다.

3. 연대 측정 및 진위 논란
네브라 하늘 원반의 제작 연대는 함께 발견된 유물들과의 비교 분석 및 과학적 방법을 통해 초기 청동기 시대인 기원전 1600년경으로 추정된다. 원반과 함께 묻힌 청동 검과 손도끼는 유형학적으로 기원전 1700년경에서 1500년 사이의 유물로 판단되었다. 또한, 검 손잡이에서 나온 자작나무 껍질 조각에 대한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1600년에서 1560년 사이로 나타나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11] 금속의 방사능 및 부식 상태 분석 역시 초기 청동기 시대 제작설을 지지한다.[20][21]
이 원반은 발견 초기부터 그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고고학적 위조품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예를 들어,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의 페터 샤우어는 2005년 원반이 위조되었으며 표면의 녹청 또한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으나, 직접 원반을 검토하지 않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71] 브리스톨 대학교의 리처드 해리슨 교수 역시 처음에는 위조품으로 생각했다고 밝혔으나, 이는 발견의 특이성 때문이었다.[21] 그러나 이후 진행된 녹청 등에 대한 정밀한 과학적 분석 결과, 원반은 진품으로 확인되었다.[21]
2020년에는 원반의 제작 시기를 철기 시대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으나,[72] 곧바로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반박되었으며, 원반과 관련 유물, 발견 장소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기존의 초기 청동기 시대 연대가 재확인되었다.[13][1][15]
3. 1. 연대 측정 방법
네브라 하늘 원반의 연대는 함께 출토된 유물들과의 비교, 과학적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측정되었다.원반과 함께 매장된 청동 검 2개와 손도끼 2개는 그 형태를 비교 분석하는 유형학적 방법을 통해 기원전 1700년경에서 1500년경 사이의 유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유물들과 원반이 같은 지층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원반 역시 비슷한 시기에 묻혔을 것으로 본다.
더욱 정밀한 연대 측정을 위해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이 사용되었다. 함께 출토된 검 중 하나의 손잡이 부분에는 자작나무 껍질 조각이 남아 있었는데, 이 껍질의 탄소 연대를 측정한 결과 기원전 1600년에서 1560년 사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84] 이 과학적 측정 결과는 앞서 유형학적으로 추정한 연대와 거의 일치하며, 유물이 땅에 묻힌 시점을 알려준다. 다만, 원반 자체는 이보다 더 이른 시기에 제작되어 여러 세대에 걸쳐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1]
또한, 원반을 구성하는 금속 성분을 분석한 결과, 방사능 연대 측정 및 부식 상태 등을 통해 초기 청동기 시대에 제작된 것임이 확인되었다.[20][21]
함께 출토된 유물로는 청동 검 2개, 손도끼 2개, 팔찌 2개, 끌 1개가 있다. 특히 검의 형태는 헝가리 지역의 영향을 받은 아파(Apa) 유형과 고대 북유럽의 제겔(Segel) 날 형식이 결합된 독특한 모습을 보이며, 손잡이 역시 할프샬렌그리프(Halbschalengriff)라는 당시로서는 드문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3. 2. 진위 논란 및 반박
네브라 하늘 원반이 고고학적 위조품일 수 있다는 초기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교의 페터 샤우어는 2005년에 네브라 원반이 위조품이며, 원반 표면의 녹청(patina)은 소변, 염산, 토치 등을 이용해 짧은 시간 안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는 법정에서 자신이 원반을 직접 만져본 적이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했는데, 이는 원반을 실제로 검사했던 18명의 과학자들과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71] 이후 녹청에 대한 과학적 분석 결과, 이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확인되어 원반이 진품임을 뒷받침했다.[21]브리스톨 대학교의 유럽 선사시대 고고학 교수인 리처드 해리슨 또한 BBC 다큐멘터리에서 "네브라 원반에 대해 처음 들었을 때 농담이라고 생각했고, 위조품이라고 여겼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발견 자체가 워낙 특별했기 때문이었지만, 그 역시 당시에는 하늘 원반을 직접 보지 못한 상태였다. 해당 다큐멘터리에서는 원반의 진품임을 확인하는 과학적 분석 결과를 함께 제시했다.[21]
한편, 2020년에는 루퍼트 게브하르트와 루디거 크라우스가 네브라 원반의 제작 연대를 기존에 알려진 초기 청동기 시대가 아닌 철기 시대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을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72] 그러나 같은 해 에른스트 페르니카와 동료 연구자들은 이들의 주장을 반박하는 논문을 발표하며 기존의 초기 청동기 시대 연대설을 재확인했다.[13] 원반 자체는 물론, 함께 발견된 다른 유물들과 발견 장소에 대한 종합적인 과학적 분석 결과 역시 초기 청동기 시대 제작설을 지지하고 있다.[1][15]
4. 제작 및 사용 목적
네브라 하늘원반은 보존된 상태를 기준으로 총 네 단계에 걸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 처음에는 원반 위에 32개의 작은 둥근 금색 원(아마도 별), 큰 원형 판(태양 또는 보름달), 그리고 초승달 모양의 판(초승달 또는 일식)이 부착되었다. 이 중 일곱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무리는 플레이아데스 성단[13]으로 해석된다.[25]
# 이후 원반 양쪽 가장자리에 두 개의 금색 호(arc)가 추가되었다. 이 호들은 82°의 각도를 이루는데, 이는 원반 발견지 부근의 위도에서 하지와 동지 때 해가 지는 지점 사이의 각도와 일치한다.[26][27] 이 과정에서 일부 별 장식이 이동하거나 덮였다.
# 마지막으로 원반 하단에 태양의 배[29]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이는 호 모양 금 장식이 추가되었다.
# 원반이 땅에 묻힐 시점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지름 약 3mm 크기의 구멍이 38개에서 40개가량 뚫려 있었다.[30]
네브라 하늘원반은 유럽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태양의 연간 운행과 절기 변화를 관찰하는 등 상당한 수준의 천문학적 지식을 가졌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고제크 원이나 스톤헨지 같은 거석 구조물과 달리, 휴대 가능한 형태로 천문 지식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27] 이 원반은 실용적인 천문 관측 도구였을 뿐만 아니라, 종교적 상징물로서의 의미도 함께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31][3]
원반의 구성 요소, 특히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초승달의 조합은 태양력과 음력을 조화시키는 태음태양력 달력, 구체적으로는 윤달 삽입 규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해석이 제기되었다.[32] 또한, 농업 활동에 필요한 시기를 알려주는 역법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90] 원반에 표현된 별의 개수나 테두리의 구멍 등 다른 요소들의 정확한 의미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4. 1. 천문학적 기능
이 발견은 유럽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태양의 연간 운행과 하지, 동지 때 해가 뜨고 지는 지점 사이의 각도를 면밀히 관찰하는 능력을 포함한 천문학적 지식과 능력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고제크 원이나 스톤헨지와 같은 더 오래된 거석기념물들이 이미 동지 등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네브라 하늘 원반은 이러한 지식을 휴대 가능한 형태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27] 이 원반은 실용적인 천문학적 도구였을 뿐만 아니라 종교적 중요성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31][3]원반 제작 과정에서 천문학적 요소들이 단계적으로 추가되었다. 처음에는 32개의 작은 금색 원(별), 큰 원형 판(태양 또는 보름달), 큰 초승달 모양 판(초승달 또는 일식)이 부착되었으며, 이 중 7개의 점 무리는 플레이아데스 성단[13]으로 해석된다.[25] 이후 원반 양쪽 가장자리에 두 개의 금색 호가 추가되었다. 이 호들은 정확히 82°의 각도를 이루는데, 이는 원반이 발견된 미텔베르크(북위 51°) 지역에서 하계와 동계 동지 때 해가 지는 지점 사이의 각도와 일치한다.[26][27] 이 호들은 황도와 관련된 태양의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밤하늘 관측에도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8] 마지막으로 하단에 추가된 호는 태양의 배[29]로 해석된다.






원반에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초승달과 함께 묘사된 것은 태양력과 음력을 조화시키는 태음태양력의 윤달 삽입 규칙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32] 이 규칙은 고대 바빌로니아의 MUL.APIN 텍스트 모음집에도 기록되어 있는데,[33] 봄철 특정 시기에 초승달 옆에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나타나는 방식으로 윤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천문 현상은 대략 3년마다 발생한다.[34][35][36] 하랄트 멜러는 이 지식이 바빌로니아에서 중앙 유럽으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도, 네브라 원반의 제작 연대가 더 앞선다는 점을 지적한다.[37] 기원전 1800~1750년경 이라크 아슈르 유적에서 발트해 호박 구슬이 발견된 것은 두 지역 간 교류 가능성을 시사하지만,[38] 일부 학자들은 네브라 원반과 MUL.APIN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회의적이다.[39][40][41]
원반에 새겨진 32개의 별 역시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첫째, 초승달과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특정 결합이 마지막 초승달 이후 32일째에 나타난다는 점과 관련될 수 있다.[44] 둘째, 32년의 태양력(약 11,680일)과 33년의 음력(약 11,682일)이 거의 일치하는 주기와 관련될 수 있다.[45] 이 경우, 32개의 별과 태양(또는 보름달) 하나를 합쳐 총 33개로 33년 음력 주기를 상징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46][47]
다른 해석으로는 고고학자 크리스토프 좀머펠트가 주장하는 19년 주기 메톤 주기와의 연관성이다.[48] 그는 트룬돌름 태양 전차[49]나 베를린 골드 햇[50]에도 유사한 주기가 표현되어 있다고 본다. 원반 테두리의 구멍(약 38~40개) 수에 대한 천문학적 의미도 제기되었으나, 원반 손상으로 정확한 수는 불분명하다.[30][51]
네브라 원반의 천문학적 묘사는 기원전 700년경 그리스 시인 헤시오도스의 ''일과 날''에 나오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관측을 통한 농사 시기 결정 내용과 비교되기도 한다.[52][53] 또한, 기원전 15세기 그리스 미케네 문명의 금 인장 반지에서도 유사한 태양과 초승달 묘사가 발견된다.[55][56][57]

일부 학자들은 원반의 실용적인 천문 도구 기능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고고천문학자 에밀리아 파스토르는 호의 각도가 태양 운행과 일치하는 것이 우연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64] 그러나 스톤헨지 근처 부시 배로우에서 발견된 동시대 금 마름모꼴 장식의 예각(81°) 역시 스톤헨지 위도에서의 동지 사이 각도와 일치한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파스토르의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65][66] 유언 매키는 네브라 원반과 부시 배로우 마름모꼴 모두 북위 약 51°에서의 태양 연간 주기를 반영하도록 설계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67] 알렉산더 톰이 연구한 영국 거석 유적의 태양력과의 연관성도 제시했다.[68] 두 유물 모두 청동기 시대 콘월의 금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23][69] 금 도금 기술 역시 영국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70]
원반의 구체적인 사용법에 대한 연구 결과, 춘분과 추분 날 해가 지는 위치를 초승달 쪽 호의 중앙에 맞추면, 동지에는 호의 왼쪽 끝, 하지에는 호의 오른쪽 끝에 해가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 뜨는 위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호의 중심각(82~83°)은 1년 동안 해가 뜨고 지는 지평선상의 궤적과 일치한다. 특히 하지 때 원반 발견 장소에서 보면 저녁 해가 하르츠 산맥 최고봉인 브로켄 산 뒤로 지는 모습과 연관 지어 천문 관측 도구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한, 켈트족의 봄 축제인 벨테인(5월 1일)에는 해가 키프호이저 산맥의 크루펜베르크 언덕 뒤로 지는 것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85]
농업 역법으로서의 활용 가능성도 제기된다. 원반의 플레이아데스 성단 묘사는 여러 문화권에서 농사 시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 것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3월에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저녁 하늘에 마지막으로 보이면 씨앗 뿌리기를 시작하고, 10월에 아침 하늘에서 사라지면 수확을 시작하는 식이다. 네브라 원반에 묘사된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달의 위상 조합은 이러한 농경 주기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역법으로 기능했을 수 있다.[90] 최근에는 원반을 머리 위로 들고 하늘을 보며 사용했을 것이라는 해독설도 제기되었다.[91][92]
4. 2. 종교적 의미
원반 하단에 추가된 금으로 만든 호는 고대 이집트의 신왕국 시대 신앙에 등장하는 '태양의 배'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29][86][87] 이는 원반이 단순히 천문 관측 도구를 넘어 종교적 중요성을 지녔음을 시사한다.[31][3] 원반에 묘사된 태양, 달, 그리고 별들, 특히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당시 사람들의 우주에 대한 이해와 신앙 체계를 반영하는 상징물로 해석될 수 있다.플레이아데스 성단의 묘사는 농경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달력의 종교적 의미를 함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 시인 헤시오도스는 그의 저서 ''일과 날''에서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뜨고 짐을 파종과 수확 시기와 연결했는데,[52][53] 이는 네브라 하늘원반에 나타난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비슷한 농경 의례나 종교적 신앙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농사력에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었으며, 특정 시기에 이 성단이 보이는 것은 씨앗 뿌리기나 수확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로 여겨졌다.[90]
기원전 15세기 그리스 미케네에서 발견된 금 인장 반지에서도 네브라 하늘원반과 유사하게 해와 달의 묘사가 나타난다.[55][56][57] 이 반지에는 천체 아래에 양귀비를 든 여신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앉아 있는데, 이는 자연과 다산의 여신(아마도 미노아 양귀비 여신 또는 데메테르의 초기 형태)으로 해석된다.[58][59][60][61] 또한, 스웨덴 키비크 왕릉의 북유럽 청동기 시대 암각화에서도 비슷한 도상이 발견되어,[63] 청동기 시대 유럽에서 천체와 관련된 종교적 상징이 널리 공유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비교는 네브라 하늘원반이 단순한 천문 도구를 넘어, 당시 사회의 종교적 믿음과 의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
5. 제작 기법
네브라 하늘원반의 제작 과정은 금속 가공 흔적, 사용된 재료, 그림 요소의 배치를 통해 크게 5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1]
- 1단계: 처음에는 밤하늘을 나타내는 청동 원반 위에 32개의 별, 보름달(또는 태양), 초승달 모양의 금 장식을 올렸다. 이 중 별 7개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1]
- 2단계: 이후 원반 양쪽 끝에 지평선 위 일출과 일몰 영역을 나타내는 금으로 된 호(arc) 두 개를 추가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별 두 개가 이 호에 가려졌고, 다른 별 하나는 위치가 옮겨졌다. 가려진 별들은 엑스선 촬영을 통해 확인되었다.[1]
- 3단계: 원반 아래쪽에 태양 배 또는 무지개로 해석되는 또 다른 금 호가 추가되었다. 이 호는 다른 금 장식들과 색상 및 장식 면에서 차이가 나며, 별들 사이에 끼워져 있는 형태로 보아 나중에 추가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호에는 금 장식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가는 홈이 파여 있다.[1] 각기 다른 단계에서 사용된 금의 은 함량이 서로 다른 점으로 미루어, 각 단계의 작업이 다른 시기 또는 다른 제작자에 의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1]
- 4단계: 원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렸다. 이는 원반을 어딘가에 고정하거나 의례용 깃발처럼 사용하기 위해 변형된 것으로 추측된다.[1]
- 5단계: 땅에 묻히기 전, 2단계에서 추가된 두 개의 지평선 호 중 하나가 제거된 것으로 보인다.[1]
각 제작 단계 사이에 얼마의 시간이 흘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최종적으로 이 원반은 기원전 1600년경 다른 청동기 시대 유물들과 함께 땅에 묻혔다.[1] 원반의 금 장식은 상감 기법을 사용하여 부착되었다.[1]
5. 1. 상감 기법
네브라 하늘원반의 천체들은 두께 약 0.2mm에서 0.4mm 정도의 금 판으로 만들어져 상감 기법으로 청동 원반에 고정되었다.[10] 이 기법은 금속판을 부착하기 위해 먼저 원반의 청동 표면에 각 문양의 윤곽을 따라 깊은 홈을 파내는 방식으로 시작한다. 이때 주석 함량이 높은 단단한 청동 끌이 사용되었으며,[11] 청동을 재가열하여 부드럽게 만든 뒤 냉각시켜 홈을 파냈다.[11]그다음, 금 판 조각을 적절한 크기로 잘라 미리 파놓은 홈에 넣는다. 이 과정에서 접착제나 납땜은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10] 대신 홈을 팔 때 가장자리로 밀려 올라온 청동 융기 부분을 망치 등으로 두드려 금 판의 가장자리 위를 덮도록 하여 금속 자체의 탄성을 이용해 단단히 고정시켰다.[11] 이러한 방식으로 금 판은 반영구적으로 원반에 부착되었다.[11] 네브라 매장 유물 중 검에서도 동일한 기법이 확인된다.[11]
기술적으로 이는 동부 지중해 지역에서 유래한 표면 피복(표면을 금속판으로 덮는 것)과 상감 세공(다른 금속 물체에 금속 조각을 박아 넣는 것)이라는 두 가지 장식 기법이 결합된 형태이다.[10] 하지만 네브라 하늘원반의 '플레이트 상감' 방식은 동부 지중해의 작품들과는 상당히 다르며, 기술 자체가 아니라 아이디어만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1]
이러한 상감 기법은 청동기 시대 초기 중앙 유럽에서는 매우 드문 기술이었다.[10][11] 유사한 상감 기법이 적용된 유물로는 스웨덴 블레타 클로스터(Bjärta Kloster)에서 발견된 양날 검 몇 점, 프랑스 낭트의 마레(Marais de Nantes)에서 출토된 출처 불명의 유물, 스위스 츤(Zuhn)에서 나온 도끼날 등이 알려져 있다.[11]
6. 재료의 기원
네브라 하늘원반 제작에 사용된 재료의 원산지에 대해서는 여러 분석이 이루어졌다. 초기 X선 형광 분석 결과, 구리는 오스트리아 비쇼프스호펜, 금은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22]
그러나 이후 더 정밀한 분석, 예를 들어 레이저 절제 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법(LA-ICP-MS)을 통한 연구 결과, 초기 단계에 사용된 금은 영국 남부 콘월의 카논강 유역에서 채취된 사금이며,[23][93] 청동에 함유된 주석 역시 콘월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4][93] 다만, 청동에 포함된 납의 안정 동위원소비는 콘월산과 일치하지 않았다.
6. 1. 금과 구리의 교역
네브라 하늘원반에 사용된 금속의 원산지에 대한 연구는 분석 기술 발전에 따라 변화해왔다. X선 형광 분석을 이용한 초기 연구에서는 구리는 오스트리아 비쇼프스호펜, 금은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했다.[22]하지만 이후 레이저 절제 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법(LA-ICP-MS) 등 더 정밀한 분석 결과, 다른 사실이 밝혀졌다. 원반 제작 초기 단계에 사용된 금은 영국 남부 콘월 지역의 카논강 유역에서 채취된 사금으로 확인되었다.[23][93] 또한, 청동 제작에 필요한 주석 역시 콘월에서 유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24][93] 이는 2011년 금의 지구 화학적 조성과 주석의 안정 동위원소비 분석 연구를 통해 재확인되었다.[93]
다만, 청동에 포함된 납의 안정 동위원소비 분석 결과는 콘월 지방산과 일치하지 않아, 구리의 정확한 원산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결론적으로, 금과 주석의 원산지가 영국 콘월이라는 사실은 청동기 시대 초기에 이미 영국 제도와 유럽 대륙 중부(독일 지역) 사이에 활발한 교역망이 존재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특히 금과 같은 귀금속이 교역품으로서 영국에서 독일 중부 지역까지 운반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94]
7. 역사적, 문화적 의의
네브라 하늘 원반의 발견은 유럽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태양의 연간 운행과 하지, 동지 때 해가 뜨고 지는 지점 사이의 각도를 면밀히 관찰하는 능력을 포함한 높은 수준의 천문학적 지식과 능력을 지녔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로 여겨진다. 고제크 원이나 스톤헨지와 같은 더 오래된 거석기념물들이 이미 동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네브라 하늘 원반은 이러한 천문 지식을 휴대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27] 이 원반은 실용적인 고고천문학적 도구였을 뿐만 아니라 종교적 중요성도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31][3]
원반에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초승달과 함께 묘사된 것은 태양력과 음력을 조화시켜 태음태양력을 만드는 달력 규칙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32] 이러한 규칙은 고대 바빌로니아의 MUL.APIN이라는 텍스트 모음집에도 기록되어 있다.[33] MUL.APIN에 담긴 규칙 중 하나는, 원반에 묘사된 것처럼 봄철에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초승달 옆에 나타나면 윤달을 추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천문 현상은 대략 3년마다 발생한다.[34][35][36] 고고학자 하랄트 멜러는 이 규칙에 대한 지식이 바빌로니아에서 중앙 유럽으로 장거리 교역과 접촉을 통해 전해졌을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네브라 하늘 원반은 바빌로니아 기록보다 앞선 증거이다.[37] 실제로 기원전 1800년에서 1750년경 이라크 아슈르의 지구라트 기초 퇴적물에서 발트해산 호박 구슬이 발견된 점은 네브라 하늘 원반 제작 시기에 두 지역 간의 교류가 있었음을 시사한다.[38] 그러나 일부 아시리아학자 및 천문학자들은 네브라 하늘 원반과 MUL.APIN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이기도 한다.[39][40][41]
원반에 새겨진 별의 개수(32개) 역시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으며, 달력 규칙을 수치적으로 표현했을 가능성이 있다. 첫째, 원반에 묘사된 초승달과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결합은 그 달의 첫 초승달이 뜬 후 32일째 되는 날 발생하며, 그 이전에는 일어나지 않는다.[44] 둘째, 음력 1년(354일)은 태양력 1년(365일)보다 11일 짧기 때문에, 32 태양년은 33 음력년과 거의 길이가 같다(오차는 단 이틀). 즉, 32 x 365 = 11680일이고, 33 x 354 = 11682일이다.[45] 이 32년 태양 주기는 원반의 32개 별과 태양(또는 보름달) 하나를 합쳐 총 33개의 천체로 표현될 수 있다.[46][47]
고고학자 크리스토프 좀머펠트(Christoph Sommerfeld)는 원반이 19년 주기의 태음태양 메톤 주기에 대한 지식을 담고 있다고 주장했다.[48] 좀머펠트에 따르면, 메톤 주기는 기원전 1500년경의 트룬돌름 태양 전차 원반에도 유사하게 표현되어 있다.[49] 또한 후기 청동기 시대 유물인 베를린 골드 햇 역시 19개의 "별과 초승달" 문양이 새겨진 띠를 가지고 있어 메톤 주기와의 연관성이 제기된다.[50]
일부 연구자들은 원반 테두리에 뚫린 핀 구멍의 수(약 38~40개)가 천문학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원반의 손상으로 인해 정확한 개수는 확인하기 어렵다.[30][51]
네브라 하늘 원반은 기원전 700년경 그리스 시인 헤시오도스가 쓴 ''일과 날''의 한 구절과 비교되기도 한다. 이 구절은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뜨고 짐에 따라 농사 시기를 결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원반의 천문학적 기능과 유사한 맥락을 보여준다.
"플레이아데스 성단, 아틀라스의 딸들이 떠오르면 수확을 시작하고, 그들이 지기 시작하면 밭을 갈아라. 40일 밤낮 그들은 숨겨져 있다가 해가 바뀌면서 다시 나타나는데, 처음 낫을 갈 때이다. 이것이 평원의 법칙이며, 바다 근처에 살고 부유한 땅, 바다의 파도에서 멀리 떨어진 골짜기와 구덩이에 사는 사람들의 법칙이다. 데메테르의 모든 열매를 제때 얻고 각 종류가 제철에 자라기를 원한다면, 씨를 뿌리고 밭을 갈고 수확하기 위해 옷을 벗어라."[52][53]
네브라 하늘 원반과 유사하게 해와 초승달을 묘사한 유물은 기원전 15세기 그리스 미케네 문명의 금제 인장 반지에서도 발견된다.[55][56][57] 이 반지에는 해와 달 아래 세 송이의 양귀비를 든 여성이 앉아 있는데, 자연과 다산을 상징하는 여신, 아마도 미노아 문명의 양귀비 여신이나 초기 형태의 데메테르 여신으로 추정된다.[58][59][60][61] 양귀비는 네브라 하늘 원반이 속한 우네티체 문화의 정착지에서도 발견되었다.[62] 크리스티안센(Kristiansen)과 라르손(Larsson) (2005)에 따르면, 미케네 인장 반지와 유사한 이미지는 기원전 16~15세기경 스웨덴 키비크 왕릉의 북유럽 청동기 시대 암각화에서도 나타난다.[63]
고고천문학자 에밀리아 파스토르(Emilia Pásztor)는 원반의 실용적인 천문학적 기능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며, 원반의 호(arc) 길이가 태양의 일출·일몰 지점 변화와 일치하는 것은 우연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64]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스톤헨지 근처 부시 배로우(Bush Barrow) 고분에서 발견된 거의 동시대의 금제 마름모꼴 장식에서 유사한 특징이 발견되면서 반박될 여지가 있다. 이 마름모꼴 장식의 예각(81°)은 스톤헨지가 위치한 위도에서 동지와 하지 사이의 각도와 일치한다.[65][66] 유언 매키(Euan MacKie) (2009)는 "네브라 원반과 부시 배로우 마름모꼴 모두 북위 약 51° 지역에서 태양의 연간 주기를 반영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67]
매키는 또한 네브라 원반과 부시 배로우 마름모꼴이 알렉산더 톰(Alexander Thom)이 영국의 선돌 배열 분석을 통해 재구성한 태양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68] 네브라 하늘 원반과 부시 배로우 마름모꼴은 모두 청동기 시대 콘월에서 채굴된 금으로 만들어졌다는 점도 두 유물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시사한다.[23][69] 고고학자 사비네 게롤프(Sabine Gerloff)는 네브라 하늘 원반에 사용된 금 도금 기술 역시 영국에서 기원하여 유럽 대륙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았다.[70]
네브라 하늘 원반은 전기 청동기 시대의 매우 부유한 지배 계층의 분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선사 시대 중앙 유럽 초기에 이미 뚜렷한 사회적 계층화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원반은 의례적으로 매장되었는데, 이는 당시 지배 계층의 무덤 양식과 유사점을 보인다. 원반의 제작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사용자 집단은 당시 중앙 독일 지역에 존재했던 엘리트 계층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유럽 전역과 교류했으며, 이는 전기 청동기 시대의 호화로운 무덤 유물들을 통해 확인된다. 네브라 하늘 원반은 이러한 엘리트 네트워크가 영국 제도에서 동남부 유럽까지 연결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이다. 특히 원반과 함께 발견된 매장품들은 금이 풍부했던 당시 지배 계층 무덤의 부장품들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준다. 지배 계층은 독특한 천문 지식이 담긴 원반을 소유하고 이를 통해 자신들의 권력과 당시의 종교적 신념 체계와의 밀접한 관계를 표현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원반이 마지막으로 사용될 무렵, 여전히 청동기 시대였지만, 원반의 일부(호 하나)가 제거된 것은 더 이상 일상적인 의례에 사용되지 않고 종교적 힘을 상실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원반은 다른 유물들과 함께 미텔베르크(Mittelberg) 언덕에 초기 청동기 시대 지배 계층의 매장 방식에 따라 신에게 바쳐지듯 묻혔다. 이는 극도로 부유한 매장품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청동기 시대 문화의 종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으로 해석될 수 있다.
8. 소유권 분쟁 및 법적 문제
작센안할트 주는 원반을 상표로 등록했으며, 이로 인해 두 건의 소송이 발생했다. 2003년, 작센안할트 주는 기념품에 원반 디자인을 사용한 케르푸르트 시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승소했다. 또한, 책 표지에 원반의 추상적인 이미지를 사용한 파이퍼와 헤이네 출판사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도 승소했다.[77] 마그데부르크 법원은 이 사건들을 독일 저작권법에 따라 판단했다.
소송 과정에서 피고 측은 원반이 청동기 시대인 약 3,500년 전에 이미 숭배 대상으로서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므로 관련 지적 재산권 보호 기간이 오래전에 만료되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원고인 작센안할트 주 측은 원반의 초판본이 최근에 이루어졌으므로 독일 법에 따라 2027년까지 25년간 보호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예술 작품 자체를 상표로 등록할 수 있는지 여부도 쟁점이 되었다. 마그데부르크 법원은 작센안할트 주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이 판결은 항소되었고, 2005년 뒤셀도르프 고등법원과 2009년 연방 대법원의 판결을 통해 최초 판결은 뒤집혔다. 이에 따라 독일 특허 상표청은 해당 상표권을 철회했다.[78] 이후 작센안할트 주는 원반 디자인을 유럽 연합 지적 재산청에 상표로 다시 등록했다.[79]
2023년, 작센안할트 주는 DMCA 삭제 요청을 통해 위키미디어 공용에 게시된 네브라 하늘 원반 이미지 9개의 삭제를 요구했다. 주는 해당 이미지에 대한 "독점적 저작권의 소유자"임을 주장했다.[80] 이에 대해 위키미디어 재단의 독일 지부인 위키미디어 도이칠란트는 DMCA 반박 통지를 제출했다. 위키미디어 도이칠란트는 유럽 의회 지침 2019/790 제14조가 시행됨에 따라, 공공 영역에 있는 시각 예술 작품의 복제물에는 저작권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밝혔다.[81]
9. 전시
네브라 하늘 원반은 1,600점의 청동기 시대 유물을 전시하는 "Der geschmiedete Himmel"(Der geschmiedete Himmel|데어 게슈미데테 히멜de, "벼려낸 하늘")이라는 특별 전시회의 중심 유물이었다. 이 전시회에는 트룬홀름 태양 마차도 포함되었으며, 다음 도시에서 순회 전시되었다.
- 2004년 10월 15일 ~ 2005년 5월 22일: 할레
- 2005년 7월 1일 ~ 10월 22일: 코펜하겐
- 2005년 11월 9일 ~ 2006년 2월 5일: 빈
- 2006년 3월 10일 ~ 7월 16일: 만하임
- 2006년 9월 29일 ~ 2007년 2월 25일: 바젤
2007년 6월 21일에는 네브라 발견 지역 근처에 멀티미디어 방문자 센터가 개관했다.
현재 네브라 하늘 원반은 할레 선사 시대 주립 박물관의 영구 전시품으로 소장되어 있으며, 이후에도 특별 전시를 통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2022년 2월 17일부터 7월 17일까지 런던 대영 박물관에서 열린 "스톤헨지의 세계 전시회"의 일부로 전시되었고, 2022년 8월 6일부터 9월 18일까지는 네덜란드 아센의 드렌츠 박물관에서 전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Nebra Sky Disc
https://www.landesmu[...]
[2]
웹사이트
The Nebra Sky Disc: decoding a prehistoric vision of the cosmos
https://the-past.com[...]
2022-05-00
[3]
논문
Pre-heraldry on the Sangerhausen Disc
https://www.academia[...]
2003-00-00
[4]
서적
Big History
https://www.worldcat[...]
DK (publisher)
2016-02-00
[5]
서적
The World of Stonehenge
British Museum Press
2022-06-00
[6]
간행물
The Nebra Sky Disk: Is the world's oldest star map really a map at all?
https://astronomy.co[...]
2022-01-30
[7]
논문
Rethinking the Nebra Sky Disk
2021-11-00
[8]
서적
Essay: What is depicted on the Nebra Sky Disc?
tredition
2022-00-00
[9]
웹사이트
The Nebra Sky Disk - Ancient Map of the Stars
https://www.worldhis[...]
2011-00-00
[10]
웹사이트
Nebra Sky Disc: The Place of Discovery
https://www.landesmu[...]
[11]
웹사이트
Nebra Sky Disc: Nomination
https://en.unesco.or[...]
[12]
웹사이트
Nebra Sky Disc — Bronze Age representation of the sky, Germany
https://www3.astrono[...]
[13]
논문
Why the Nebra Sky Disc Dates to the Early Bronze Age. An Overview of the Interdisciplinary Results
https://www.academia[...]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2020-00-00
[14]
웹사이트
Nebra Sky Disc: Dating
https://www.landesmu[...]
[15]
웹사이트
The Nebra Sky Disc Dates from the Early Bronze Age
https://www.oeaw.ac.[...]
2020-00-00
[16]
서적
The World of Stonehenge
British Museum Press
2022-06-00
[17]
웹사이트
Nebra Sky Disc
https://en.unesco.or[...]
[18]
논문
Star search
2004-01-00
[19]
웹사이트
The Nebra Sky Disc: decoding a prehistoric vision of the cosmos
https://i0.wp.com/th[...]
2022-05-25
[20]
웹사이트
Nebra Sky Disc: Dating
https://www.landesmu[...]
[21]
웹사이트
Secrets of the Star Disc
https://www.bbc.co.u[...]
2004-01-00
[22]
논문
Natur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an den Funden von Nebra
[23]
논문
Provenance of the gold of the Early Bronze Age Nebra Sky Disk, central Germany: ge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natural gold from Cornwall
http://eurjmin.geosc[...]
2013-11-12
[24]
논문
Tin isotopy: a new method for solving old questions
[25]
논문
Das babylonische Astronomie-Kompendium MUL.APIN: Messung von Zeit und Raum
https://www.research[...]
[26]
서적
Lost Treasures; Civilization's Great Riches Rediscovered
Carlton Books
[27]
서적
The World of Stonehenge
British Museum Press
2022-06-00
[28]
웹사이트
Where does the ecliptic cross the horizon during the course of a night?
https://astronomy.st[...]
2024-05-28
[29]
서적
Big History
https://www.worldcat[...]
DK (publisher)
2016-02-00
[30]
논문
Morphometric findings on the Nebra Sky Disc
[31]
논문
Die Himmelsscheibe von Nebra – ein frühbronzezeitlicher Fund von außergewohnlicher Bedeutung
2002-00-00
[32]
웹사이트
The Nebra Sky Disc
https://www.archaeol[...]
2019-06-00
[33]
웹사이트
The Nebra Sky Disc: decoding a prehistoric vision of the cosmos
https://the-past.com[...]
2022-05-25
[34]
서적
The World of Stonehenge
British Museum Press
2022-06-00
[35]
서적
Time is power. Who makes time?: 13th Archaeological Conference of Central Germany
https://www.academia[...]
Landesmuseum für Vorgeschichte Halle (Saale).
2021-00-00
[36]
AV media
Concepts of cosmos in the world of Stonehenge (British Museum 2022)
https://www.youtube.[...]
[37]
서적
Time is power. Who makes time?: 13th Archaeological Conference of Central Germany
https://www.academia[...]
Landesmuseum für Vorgeschichte Halle (Saale).
2021
[38]
간행물
Baltic Amber in Aššur. Forms and Significance of Amber Exchange between Europe and the Middle East, c.2000–1300 BC
https://brill.com/vi[...]
2023
[39]
웹사이트
Geheimnis der Himmelsscheibe doch nicht gelöst? Warum die angebliche Entschlüsselung der Himmelsscheibe durch R. Hansen und H. Meller falsch ist
http://home.arcor.de[...]
[40]
서적
Astronomy in Culture -- Cultures of Astronomy. Astronomie in der Kultur -- Kulturen der Astronomie. Featuring the Proceedings of the Splinter Meeting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stronomische Gesellschaft, Sept. 14-16, 2021. Nuncius Hamburgensis; Vol. 57.
https://www.worldcat[...]
2022
[41]
간행물
Das babylonische Astronomie-Kompendium MUL.APIN: Messung von Zeit und Raum
https://www.research[...]
[42]
AV media
Concepts of cosmos in the world of Stonehenge
https://www.youtube.[...]
2022
[43]
서적
Big History
https://www.worldcat[...]
DK
2016-02
[44]
서적
Time is power. Who makes time?: 13th Archaeological Conference of Central Germany
https://www.academia[...]
Landesmuseum für Vorgeschichte Halle (Saale).
2021
[45]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solar and lunar years
https://sciencing.co[...]
2018
[46]
서적
Time is power. Who makes time?: 13th Archaeological Conference of Central Germany
https://www.academia[...]
Landesmuseum für Vorgeschichte Halle (Saale).
2021
[47]
간행물
Himmelsscheibe, Sonnenwagen und Kalenderhüte - ein Versuch zur bronzezeitlichen Astronomie
https://journals.ub.[...]
2008
[48]
간행물
... Sterne mal Sterne durch Sonne ist Mond - Bemerkungen über die Nebra-Scheibe
https://www.academia[...]
2012
[49]
간행물
... nach Jahr und Tag – Bemerkungen über die Trundholm-Scheiben
https://www.academia[...]
2010
[50]
간행물
Zahlensymbolik und digitales Rechnersystem in der Ornamentik des Berliner Goldhutes
https://journals.ub.[...]
2008
[51]
간행물
Functional principles of early time measurement at Stonehenge and Nebra
https://www.academia[...]
2018
[52]
웹사이트
Hesiod, ''Works and Days'' (Hes. WD 387)
http://www.perseus.t[...]
[53]
서적
The World of Stonehenge
British Museum Press
2022-06
[54]
웹사이트
Greek civilization. Gold signet ring with worship scene, female figures, landscape, sun and moon. From Mycenae, Acropolis treasure. Athens, Ethnikó Arheologikó Moussío (National Archaeological Museum)
https://www.agefotos[...]
[55]
서적
The Materiality of the Sky: Proceedings of the 22nd Annual SEAC Conference, 2014
https://www.academia[...]
Sophia Centre Press
2016
[56]
간행물
An interpretation of the Nebra Disc
https://www.research[...]
2007
[57]
서적
The Sun in Myth and Art
Thames & Hudson
1993
[58]
간행물
'The Ring of Nestor': A Glimpse into the Minoan After-World
https://www.jstor.or[...]
1925
[59]
백과사전
Poppy goddess
2005
[60]
논문
Evidence of Minoan astronomy and calendrical practices
2009
[61]
간행물
Archaeological evidence on the use of opium in the Minoan world
https://www.research[...]
2002-12
[62]
서적
Carpathian heartlands: studies on the prehistory and history of Transsylvania in European contexts, dedicated to Horia Ciugudean on his 60th birthday
https://www.academia[...]
Muzeul Naţional al Unirii
2016
[63]
서적
The rise of Bronze Age socie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64]
문서
Handbook of Archaeoastronomy and Ethnoastronom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5
[65]
AV media
Stonehenge's Richest Man: The Bush Barrow Chieftain (British Museum 2022)
https://www.youtube.[...]
[66]
간행물
Morphometric findings on the Nebra Sky Disc
[67]
간행물
The Prehistoric Solar Calendar: An Out-of-fashion Idea Revisited with New Evidence
https://www.academia[...]
2009-03
[68]
서적
Viewing the Sky Through Past and Present Cultures: Selected Papers from the Oxford V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chaeoastronomy
City of Phoenix Parks and Recreation Department
2006
[69]
웹사이트
Where did the gold from the time of Stonehenge come from? Analysing the Bush Barrow dagger
https://www.wiltshir[...]
2022-04-26
[70]
서적
Der Griff nach den Sternen. Internationales Symposium in Halle (Saale) 16.-21. Februar 2005
https://www.academia[...]
Landesamt für Denkmalpflege und Archäologie Sachsen-Anhalt – Landesmuseum für Vorgeschichte Halle (Saale)
2010
[71]
웹사이트
Himmelsscheibe von Nebra - Eine Komödie der Irrungen
https://www.faz.net/[...]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05-03-17
[72]
간행물
Critical comments on the find complex of the so-called Nebra Sky Disk
https://www.academia[...]
2020
[73]
웹인용
Arche Nebra Visitor Centre
https://iart.ch/en/w[...]
i art
2024-06-17
[74]
뉴스
Nebra Sky Disc: British Museum to display world's 'oldest map of stars'
https://www.bbc.com/[...]
2021-10-18
[75]
웹사이트
Nebra Sky Disc
https://drentsmuseum[...]
[76]
웹사이트
Cosmic Kiss takes the Nebra Sky Disc to space
https://www.esa.int/[...]
[77]
웹사이트
Himmelsscheibe von Nebra
http://www.kalkriese[...]
2009-11-16
[78]
웹사이트
Aktenzeichen: 305 07 066 - S 216/09 Lösch
https://www.rechtsan[...]
2010-07-27
[79]
웹사이트
Himmelsscheibe von Nebra
https://euipo.europa[...]
2022-08-04
[80]
웹사이트
Notice of Copyright Violation (DMCA Takedown Notice)
https://upload.wikim[...]
2023-10-24
[81]
웹사이트
Counternotice to the DMCA 512(c) notice filed by Nordemann Czychowski & Partner Rechtsanwältinnen und Rechtsanwälte mbB (ref.: LARC60105) Oct 13th 2023 on behalf of the German State of Saxony-Anhalt regarding depictions of the Sky Disc of Nebra
https://upload.wikim[...]
2023-10-24
[82]
문서
地面から取り出す時に[[つるはし]]で欠損した部分を併せると39個であったと思われる。
[83]
문서
発掘品そのものは、元素分析その他での破損もあり、保管されている。
[84]
웹사이트
太古の天体システム「ネブラの天盤」~ハレ前史博物館~
http://tokuhain.aruk[...]
地球の歩き方
2014-11-27
[85]
문서
赤髭王(バルバロッサ)として知られる神聖ローマ帝国皇帝[[フリードリヒ1世 (神聖ローマ皇帝)|フリードリヒ1世]]が、[[第3回十字軍]]遠征の時、小アジア南東部[[キリキア]]のサレフ河で急死したため、帝国が危機に陥ると、数々の場所で蘇ると中世に伝説化された。キフホイザー・マシーフもその1つ。
[86]
문서
新王国時代のエジプト人は、[[古代エジプト#古王国時代(第3 - 6王朝)|古王国時代]]の太陽崇拝に基づき、まちまちであった信仰を1つの体系にまとめ上げた。死者は、日中は墓の中にとどまっているが、陽が落ちると太陽の舟に乗り、冥界を旅するとされた。旅の途中では、死者は広大な葦の原にとどまり働くこともあった。生前勤勉な農夫であった者にとって、楽しい仕事であったと思われる。そして、暁とともに、死者はまた墓に戻り、そこで必要な食事と休息をとった。この時代には、[[ファラオ]]同様、誰でも死後の世界を送れるものとなっていた。
[87]
웹사이트
こよみの学校 第8回「ネブラ天穹盤-天穹は天球に通ず
http://www.543life.c[...]
日本カレンダー暦文化振興協会
2014-12-04
[88]
웹사이트
人類最古の天文盤-「ネーブラ天文盤」の解読
http://u2ch.blomaga.[...]
2014-11-28
[89]
웹사이트
The Latitude and Epoch for the Origin of the Astronomical Lore in MUL.APIN
http://cdsads.u-stra[...]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Meeting 210, #42.05;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Vol. 39, p.157
2015-03-30
[90]
문서
プレアデス星団と月が、当時のヨーロッパで天文学的な指標に使われていたかには、疑問を投げかける意見がある(例えば、ロルフ・ミラー博士)。円盤に描かれた絵は、[[日食]]である、とする説がある。
[91]
문서
夏と冬の至点は、写真のアーク上で互い違いとなる。
[92]
웹사이트
「3D GISを用いた青銅器時代ネブラ天文盤の解読」
http://www.kolleg.lo[...]
2015-02-07
[93]
문서
E. PERNICKAらの研究によれば、長年の疑問の一つであるスズの由来についての有力な手掛かりとして期待されている。
[94]
웹사이트
Provenance of the gold of the Early Bronze Age Nebra Sky Disk, central Germany: ge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natural gold from Cornwall
http://eurjmin.geosc[...]
European Journal of Mineralogy
2014-12-03
[95]
문서
Memory of the World - Nebra Sky Disc
http://www.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