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엄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능엄경은 "영웅적인 용맹"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대승 불교 경전이다. 참된 마음과 분별하는 마음, 여래장 사상, 다양한 명상 수행법, 윤리적 실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불교 우주론과 구원론, 50가지 음마(陰魔)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다. 동아시아 불교, 특히 한국 불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선종 사찰의 교육 자료로 활용되었다. 진위 논쟁이 존재하며, 인도 기원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지만, 현대에도 수행과 삶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널리 읽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보물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보물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제작한 한국의 대표적인 고지도로, 전국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지형지물과 시설물을 기호와 색상으로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휴대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었다. - 불경 - 명진
명진은 1975년 해인사에서 출가한 조계종 승려이자, 불교계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 활동을 펼쳐온 사회 운동가이다. - 불경 - 숫타니파타
숫타니파타는 초기 불교 경전 중 하나로, 부처의 설법을 모아 놓았으며, 석가모니 부처를 역사적 인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하고 출가 수행자의 삶과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강조한다. - 조선의 책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조선의 책 - 난중일기
《난중일기》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군중에서 직접 쓴 친필 일기로, 전쟁 상황과 개인적인 소회, 사회상 등이 기록된 7권의 일기이며 국보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능엄경 | |
---|---|
능엄경 | |
![]() | |
다른 이름 | 대불정수능엄신주, 대불정능엄경 |
산스크리트어 | Śūraṅgama Sūtra |
한자 | 首楞嚴經 |
한국어 | 능엄경 |
로마자 표기 | Neung-eom gyeong |
경전 정보 | |
종류 | 불교 경전 |
언어 | 한문 |
시대 | 당나라 |
저자 | 반라밀제 |
번역 | 반라밀제, 미제가선 |
페이지 수 | 10권 (일반적인 판본 기준) |
내용 | |
주제 | 수능엄 삼매, 능엄주 |
중요 내용 | 견성오도, 번뇌, 해탈 |
영향 | 선종, 교종 |
연관 경전 | |
관련 경전 | 원각경, 금강경 |
기타 정보 | |
한국 불교 | 조계종의 주요 경전 중 하나로 사용됨 |
특징 | 능엄주가 함께 수록되어 있음 |
2. 명칭
Śūraṅgamasa은 산스크리트어로 "영웅적인 용맹",[7] "영웅적인 진보" 또는 "영웅적인 행진"을 의미한다. 중국어 전체 제목은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중국어이며, "위대한 부처의 머리 위에 있는 수능엄sa 만트라에 관한 경전이며, 여래의 궁극적인 진리 검증으로 이끄는 모든 보살의 숨겨진 근본 원인과 무수한 수행에 관한 경전"이라는 의미이다.[8]
『능엄경(楞嚴經)』은 "상주심(常住真心), 성정명체(性浄明體)"의 여래장 사상을 설명하는 "칠처징심(七処徴心)", "이종근본(二種根本)", "팔환설(八還説)"을 통해, 주체와 객체, 안과 밖에 관계없이 마음을 고정적으로 파악하려는 생각을 차례로 부정한다.[51] 또한 "오온·육입·십이처·십팔계·칠대"는 인연도 자연도 아니며, 여래장 안에 있는 것이고 성진원융(性真円融)·불생불멸(不生不滅)이므로, 십팔계·칠대 어느 것이든 원통문(円通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경의 전체 제목은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중국어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 경은 大佛頂首楞嚴經|대불정수릉엄경중국어 또는 간단히 楞嚴經|능엄경중국어과 같은 약식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3. 내용
마지막으로 도량(道場) 양식과 444구[52]의 다라니 (능엄주) 및 그 공덕을 설명하고, 십이류생(十二類生)·육십계위(六十階位)·십인육과(十因六果)·오십음마(五十陰魔)를 서술한다. 지반(志磐)은 "능엄의 일경(一経)은, 격렬하게 상주의 진심을 말하며, 명확하게 일승(一乘)의 수증(修證)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모범이 되는 전(典)이다"라고 언급했다.
3. 1. 주요 가르침
능엄경의 주요 가르침은 다음과 같다.
> 나는 들음의 깨달은 본성에 기초한 수행으로 시작했다. 먼저 성자들의 흐름에 들어가기 위해 내 들음을 안으로 돌렸다. 그런 다음 외부의 소리가 사라졌다. 나의 들음이 반전되고 소리가 멈추자 소리와 침묵이 모두 일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내가 점차 나아감에 따라 내가 들은 것과 내가 들은 것에 대한 나의 인식은 종말을 맞이했다. 모든 것이 종말을 맞이한 마음의 상태가 사라졌을 때도 나는 멈추지 않았다. 나의 인식과 나의 인식의 대상은 비워졌고, 나의 인식을 비우는 과정이 완전히 완료되었을 때, 그 비움과 비워진 것조차 사라졌다. 생겨나고 사라지는 것 자체가 사라졌다. 그런 다음 궁극적인 고요함이 드러났다. 갑자기 나는 평범한 존재의 세계를 초월했고, 또한 평범한 세계를 초월한 존재의 세계를 초월했다. 모든 방향의 모든 것이 완전히 밝혀졌고, 나는 두 가지 놀라운 힘을 얻었다. 첫째, 나의 마음은 모든 10방의 모든 부처의 근본적이고 놀랍고 깨달은 마음과 하나가 되었고, 나의 자비심은 그들의 자비심과 같아졌다. 둘째, 나의 마음은 모든 10방의 여섯 가지 운명의 모든 존재와 하나가 되어 그들의 슬픔과 간절한 갈망을 나의 것으로 느꼈다.3. 2. 구성
『능엄경』은 "상주심(常住真心), 성정명체(性浄明體)"의 여래장 사상을 설하는 "칠처징심(七処徴心)", "이종근본(二種根本)", "팔환설(八還説)"을 설명하며, 주(主)와 객(客), 내(內)와 외(外)에 상관없이 마음을 고정적으로 파악하려는 사고를 차례로 부정한다.[51] 나아가 "오온·육입·십이처·십팔계·칠대"는 인연도 자연도 아니며, 여래장 중에 있는 것이고 성진원융(性真円融)·불생불멸(不生不滅)이므로 원통한 방법으로서, 십팔계·칠대 어느 것이든 원통문(円通門)이라고 설한다.
도량(道場) 양식과 444구[52]의 다라니 (능엄주) 및 그 공덕을 설명하고, 십이류생(十二類生)·육십계위(六十階位)·십인육과(十因六果)·오십음마(五十陰魔)를 서술한다. 지반(志磐)은 "능엄의 일경(一経)은, 격렬하게 상주의 진심을 말하며, 명확하게 일승(一乘)의 수증(修證)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모범이 되는 전(典)이다"라고 언급했다.
경전 내용 외에, 중국에서 ''Léngyán Zhòu''(楞嚴咒) 또는 ''능엄주''로 알려진 긴 다라니가 포함되어 동아시아 불교에서 널리 암송된다. 산스크리트어로는 ''시타타파트라 우쉬니샤 다라니''(Ch. 大白傘蓋陀羅尼), 영어로 ''White Canopy Dhāraṇī'' 또는 ''White Parasol Dhāraṇī'', 티베트 전통에서는 "White Umbrella Mantra"로 번역된다. 이 다라니는 중국 불교 경전의 다른 세 번역본에 존재하며, 산스크리트어와 티베트어로도 보존되어 있다.
시타타파트라와 관련된 이 다라니는 초자연적인 위험과 악령으로부터 보호하고 부적의 힘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44] ''능엄경''은 이 다라니가 ''능엄삼매''에 들어가는 방편이 될 수 있다고 명시하며,[28] "수행자가 진언 암송에 적절하게 집중할 수 있는 신성한 공간을 건설하고 헌납하는 방법"에 대한 정확한 지침을 제공한다.[28]
''능엄주''는 중국, 한국, 베트남에서 대승 불교 승려들과 일부 재가자들이 매일 아침 예불의 일부로 널리 암송하며,[5][6] 일부 일본 불교 종파에서도 암송된다.
4. 사상적 특징
수능엄경은 유식, 여래장, 밀교적 요소를 모두 통합한 경전이다.[28] 불교 논리학적 방법인 삼단논법과 사구(四句) 부정을 사용하여 교리를 설명한다.[28] 선종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경전 중 하나이며, 선 수행과 관련된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능엄경』은 "상주심(常住真心), 성정명체(性浄明體)"의 여래장 사상을 설명하며, "칠처징심(七処徴心)", "이종근본(二種根本)", "팔환설(八還説)" 등을 통해 주(主)와 객(客), 내(內)와 외(外)에 상관없이 마음을 고정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를 부정한다. 또한, "오온·육입·십이처·십팔계·칠대[51]"는 인연도 자연도 아니며, 여래장 안에 존재하고 성진원융(性真円融)·불생불멸(不生不滅)하는 특성을 지니므로, 십팔계와 칠대 어느 것이든 원통문(円通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5. 한국 불교와의 관계
楞嚴經중국어은 한국 불교의 수행 전통과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선시대 승려 시험 과목 중 하나였고,[1] 선종 사찰에서 널리 연구되었다.[12]
다음은 능엄경과 관련된 주요 주석서들이다.
저자 | 주석서 | 권수 | 비고 |
---|---|---|---|
송 계환 | 楞嚴經要解중국어 (약칭 계환해) | ||
고려 보환(普幻) | 首楞嚴經環解刪補記중국어 (약칭 환해) | 2권 | |
조선 유일(有一) | 楞嚴經私記중국어 | ||
조선 의첨(義沾) | 楞嚴經私記중국어 | ||
운허(耘虛) | 首楞嚴經註解중국어 | 동국역경원, 1974 | |
지관(智冠) | 楞嚴經略解중국어 | 해인사율원, 1994,[62] 10권 중 전반부 5권 해석 |
다음은 능엄경과 관련된 주요 문화재들이다.
유형 | 명칭 | 시대 | 분량 | 소장처 |
---|---|---|---|---|
국보 제212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 조선 | 10권 10책 | 동국대학교 |
보물 제271호 | 백지은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0 | 고려 | 1첩 | 경북대학교 도서관 |
보물 제698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6∼10 | 고려 | 5권 1책 | 삼성미술관 리움 |
보물 제699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6∼10 | 고려 | 5권 1책 | 성암고서박물관 |
보물 제756호 | 감지금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 | 고려 | 1권 1첩 | 호림박물관 |
보물 제759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 조선 | 10권 5책 | 국립중앙박물관 |
보물 제760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1 | 조선 | 1권 1책 | 성암고서박물관 |
보물 제761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2, 5 | 조선 | 2권 2책 | 서울대학교 |
보물 제762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7, 8 | 조선 | 2권 2책 | 동국대학교 |
보물 제763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7~8, 9~10 | 조선 | 4권 2책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보물 제764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2, 3, 4, 6, 7, 8, 9, 10 | 조선 | 8권 8책 | 아단문고 |
보물 제765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 조선 | 11권 11책 | 서울대학교 규장각 |
보물 제939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4~7, 8~10 | 고려 | 7권 2책 | 삼성미술관 리움 |
보물 제948-1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3 | 조선 | 1권 1책 | 동국대학교박물관 |
보물 제948-2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3 | 조선 | 1권 1책 | 개인 |
보물 제973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4, 7, 8 | 조선 | 3권 3책 | 서울역사박물관 |
보물 제1049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6 | 조선 | 1책 | 단양 구인사 |
보물 제1195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9~10 | 조선 | 2권 1책 | 양산 통도사 |
보물 제1248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4 | 조선 | 4권 1책 | 호림박물관 |
보물 제1515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 10 | 조선 | 2권 2책 | 한국학중앙연구원 |
보물 제1520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 조선 | 1권 1책 | 국립고궁박물관 |
보물 제1603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 조선 | 10권 2책 | 서울역사박물관 |
보물 제1794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9 | 조선 | 1권 1책 | 원각사 |
보물 제1885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 고려 | 10권 2책 | 개인 |
보물 제1939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 조선 | 10권 3책 | 영남대학교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58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9 | 1권 1책 | 단양 구인사 |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20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 조선 | 10권 5책 | 단양 구인사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53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8 | 조선 | 2권 1책 | 개인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54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9~10 | 조선 | 2권 1책 | 개인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73호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2, 4, 7, 8, 10 | 조선 (1461년) | 6권 6책 | 청주고인쇄박물관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05호 | 창원 대광사 수능엄경 | 조선 | 2권 1책 | 창원 대광사 |
등록문화재 제632호 | 백용성 역 『조선어능엄경(朝鮮語楞嚴經)』 | 일제강점기 | 1책 | 장수 죽림정사 |
6. 진위 논쟁
''수능엄경''은 8세기 초 중국에서 번역된 이후, 그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10] 현재 ''수능엄경''의 원본 산스크리트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인도에서 기원했는지에 대한 의문, 즉 위서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0]
''수능엄경''을 처음 기록한 목록은 당나라 승려 지승(智昇중국어)이었다. 지승은 730년에 저술한 두 권의 다른 책에서 ''수능엄경''의 번역과 관련하여 두 가지 다른 설명을 제공했다.
- 《개원석교록(開元釋教錄)》에 따르면, 713년에 혜적(懷迪) 대사와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인도 승려에 의해 번역되었다.[10]
- 《속고금역경도기(續古今譯經圖記)》에 따르면, 705년 5월, 중앙 인도 출신의 사문 바라밀제에 의해 번역되었고, 무측천 여제의 전직 대신이자 어사대부였던 방융(房融중국어)에 의해 수정 및 편집되었다.[10] 이 번역은 오디야나 출신의 사문 메가식카에 의해 검토되었고, 나부산 남루사(南樓寺)의 사문 혜적(懷迪중국어)에 의해 인증되었다.[10]
이처럼 번역자와 번역 연대에 대한 기록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은 위경설의 가장 큰 이유로 지적된다.
일본에서는 모치즈키 신쿄(望月信亨)가 1922년에 『대불정수릉엄경진위문제(大仏頂首楞엄경真偽問題)』를 발표하여, 능가경, 해심밀경, 요가경(瑜伽經), 성유식론, 대승기신론 등으로부터 내용을 인용하여 저술된 위경이라고 주장했다.[53][54]
나라 시대부터 삼론종과 법상종 사이에서 세 차례에 걸쳐 진위 문제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근대에는 모치즈키 신쿄 박사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가 중국 저술이라고 보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중국에서도 진위 논쟁이 격렬해졌다.[55] 최창식(崔昌植)[56]은 둔황 필사본에는 서두의 전역기(伝訳記)가 전혀 없다는 점[57]을 근거로 중국 저술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기무라 토시히코(木村俊彦)는 당대의 세 종류의 역경록에 『능엄경(首楞厳経)』이 나오지 않으므로, 송판대장경(宋版大蔵経)은 오대(五代)에서 송대(宋代)에 걸쳐 제작된 위경이라고 주장한다.[58]
7. 현대적 의의
수능엄경(능엄경)은 여전히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불교에서 중요한 경전으로 여겨지고 있다.[1] 수능엄경의 가르침은 현대인의 수행과 삶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특히 명상 수행과 관련된 가르침은 오늘날에도 큰 의미를 지닌다.
제임스 A. 벤은 수능엄경이 중국에서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우아하게 구성되고 아름답게 쓰여졌으며, 중세 중국 문학의 걸작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또한 "오늘날에도 널리 읽히고 있으며, 중국 불교도들에게 크게 사랑받고 진지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 통찰력은 승려와 재가자 모두의 삶과 수행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고 언급하며, 인도 원본의 번역이 아니라는 사실이 그 영적 가치를 깎아내리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
론 엡스타인에 따르면, 수능엄경은 중국에서 널리 연구되었고, 특히 명나라 시대에는 59개의 주석을 포함하여 총 127개의 중국어 주석이 존재할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
수능엄경은 선종의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 북종의 유취선수에 의해 처음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특히 송나라 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능엄법회'라는 의식에서 경전에 담긴 긴 주문(다라니)을 외우는 데 사용되었다.[1] 또한 벽암록 (94칙)과 같은 선불교 경전에도 인용되었다.
수능엄경은 소식(1037–1101)과 소철(1039–1112)과 같은 송나라 지식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1]
조선 시대에는 승려 시험 제도에서 필수 과목이었으며,[1] 한국 선종 사찰의 고급 교육 과정에서 대승기신론 및 금강삼매경과 함께 가장 영향력 있는 자료 중 하나로 남아 있다.[12]
현대의 선사 허운은 수능엄경에 대한 주석을 썼으며, 선화 스님은 수능엄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수능엄경이 있는 곳에는 정법이 세상에 머문다"라고 말했다.[47]
참조
[1]
논문
Another Look at the Pseudo-Śūraṃgama sūtra
Harvard-Yenching Institute
2008-06
[2]
서적
Surgangama Sutra
http://www.buddhanet[...]
[3]
서적
The Awakening of Compassion and Wisdom
[4]
웹사이트
Taishō Shinshū Daizōkyō
http://tripitaka.cbe[...]
[5]
서적
Nghi Thức Tụng Niệm Hằng Ngày
Chùa Phật Tổ (Buddhist Congregation of the United States)
2013
[6]
서적
2004
[7]
웹사이트
首楞嚴
http://www.buddhism-[...]
2010-02-19
[8]
서적
2009
[9]
서적
The Shurangama Sutra with commentary by the Venerable Master Hsuan Hua - New Edition
http://cttbusa.org/s[...]
[10]
웹사이트
Zhōng guó zàng xué - Zhōng guó fàn wén bèi yè gài kuàng
https://wenku.baidu.[...]
2010
[11]
웹사이트
Qián lóng huáng dì 《 yù zhì léng yán jīng xù 》 mǎn、hàn wén běn duì kān jí yán jiū
http://www.doc88.com[...]
2014-03
[12]
논문
East Asian Apocryphal Scriptures: Their Origin and Role in the Development of Sinitic Buddhism, Bulletin of Toyo Gakuen University, vol. 6 (1998)
http://www.acmuller.[...]
BRILL
1998-01-01
[13]
웹사이트
愍生法師:辨破楞嚴百偽 | 八萬四千法
http://www.pss.org.t[...]
[14]
웹사이트
Qián lóng huáng dì 《 yù zhì léng yán jīng xù 》 mǎn、hàn wén běn duì kān jí yán jiū
http://www.doc88.com[...]
2014-03
[15]
논문
"Putōn bukkyōshi" mokurokubu sakuin I
1980
[16]
논문
"Putōn bukkyōshi" mokurokubu sakuin I
1980
[17]
웹사이트
Qián lóng huáng dì 《 yù zhì léng yán jīng xù 》 mǎn、hàn wén běn duì kān jí yán jiū
http://www.doc88.com[...]
2014-03
[18]
논문
The Emperor Ch'ien-Lung and the Larger Śūraṃgama Sūtra
1936-04
[19]
웹사이트
Qián lóng huáng dì 《 yù zhì léng yán jīng xù 》 mǎn、hàn wén běn duì kān jí yán jiū
http://www.doc88.com[...]
2014-03
[20]
웹사이트
Qián lóng huáng dì 《 yù zhì léng yán jīng xù 》 mǎn、hàn wén běn duì kān jí yán jiū
http://www.doc88.com[...]
2014-03
[21]
논문
The Emperor Ch'ien-Lung and the Larger Śūraṃgama Sūtra
1936-04
[22]
웹사이트
Qián lóng huáng dì 《 yù zhì léng yán jīng xù 》 mǎn、hàn wén běn duì kān jí yán jiū
http://www.doc88.com[...]
2014-03
[23]
웹사이트
Qián lóng huáng dì 《 yù zhì léng yán jīng xù 》 mǎn、hàn wén běn duì kān jí yán jiū
http://www.doc88.com[...]
2014-03
[24]
웹사이트
Qián lóng huáng dì 《 yù zhì léng yán jīng xù 》 mǎn、hàn wén běn duì kān jí yán jiū
http://www.doc88.com[...]
2014-03
[25]
논문
The Emperor Ch'ien-Lung and the Larger Śūraṃgama Sūtra
1936-04
[26]
논문
The Emperor Ch'ien-Lung and the Larger Śūraṃgama Sūtra
1936-04
[27]
논문
The Emperor Ch'ien-Lung and the Larger Śūraṃgama Sūtra
1936-04
[28]
간행물
Rescuing Ananda - An overview of the Surangama Sutra
https://issuu.com/dr[...]
2007-10
[29]
서적
A New Translation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The Śūraṅgama Sūtra With Excerpts from the Commentary by the Venerable Master Hsüan Hua
[30]
서적
The Śūraṅgama Sūtra, With Excerpts from the Commentary by the Venerable Master Hsüan Hua, A New Translation
Dharma Realm Buddhist Association
2009
[31]
서적
The Land of Bliss: The Paradise of the Buddha of Measureless Light: Sanskrit and Chinese Versions of the Sukhavativyuha Sutra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6
[32]
서적
The Awakening of Compassion and Wisdom
[33]
서적
The Five Pure Land Sutras
The Corporate Body of The Buddha Educational Foundation
[34]
서적
The Śūraṅgama Sūtra, With Excerpts from the Commentary by the Venerable Master Hsüan Hua, A New Translation
Dharma Realm Buddhist Association
2009
[35]
웹사이트
City of 10,000 Buddhas - The Shurangama Sutra with Commentary, Volume 6
http://www.cttbusa.o[...]
[36]
서적
The Shurangama sutra with commentary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2003
[37]
웹사이트
Notes on Ven. Chin Kung's (Jing kong) talks on the Śūraṅgama Sūtra Chapter on Clear and Definitive Admonishments on Pure Conduct
http://www.fodizi.ne[...]
2018-06-17
[38]
서적
The Canonical Book on the Buddha's Lengthy Discourses Volume II
BDK America Inc.
2016
[39]
웹사이트
Vinaya The Four Disrobing Offences
https://www.budsas.o[...]
2018-07-15
[40]
간행물
A New Translation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The Śūraṅgama Sūtra With Excerpts from the Commentary by the Venerable Master Hsüan Hua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2009
[41]
간행물
The Śūraṅgama Sūtra, With Excerpts from the Commentary by the Venerable Master Hsuan Hua, A New Translation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2009
[42]
간행물
The Śūraṅgama Sūtra, With Excerpts from the Commentary by the Venerable Master Hsuan Hua, A New Translation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2009
[43]
간행물
The Śūraṅgama Sūtra, With Excerpts from the Commentary by the Venerable Master Hsuan Hua, A New Translation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2009
[44]
서적
Buddhist Goddesses of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08-25
[45]
웹사이트
Fifty Skandha Demon States: Foreword
http://online.sfsu.e[...]
[46]
웹사이트
Nagarjuna - Sunyatasaptati
http://www.fodian.ne[...]
2020-12-10
[47]
웹사이트
The Buddha Speaks the Ultimate Extinction of the Dharma Sutra
http://www.cttbusa.o[...]
2017-12-04
[48]
웹사이트
Śūraṅgama Sūtra Scroll One: A Simple Explanation
http://book.bfnn.org[...]
2017-12-01
[49]
웹사이트
Dōgen: ''On Turning The Wheel''
http://www.thezensit[...]
[50]
문서
原文は「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第一 一名中印度那蘭陀大道場經於灌頂部録出別行 大唐神龍元年龍集乙巳五月己卯朔二十三日辛丑中天竺沙門般剌蜜帝於廣州制止道場譯出 菩薩戒弟子前正諫大夫同中書門下平章事清河房融筆授烏長國沙門彌伽釋迦 譯語」(大正蔵 T0945_.19.0106b03- 11)とある。
[51]
문서
地大・水大・火大・風大・空大・見大・識大の七つの要素、十八界と同じ。
[52]
문서
テキストによって異同がある。
[53]
문서
「宋明時代より支那佛教学者間に於てその眞疑問題に付て諍論ありしも未だ是に適格なる斷案を下せるを見ざりき。近時望月信亨は、「佛教學雑誌」第三巻第一號 p.1-22に真偽問題についての研究を発表し、本經が楞伽経、深密經、瑜伽經、唯識論、起信論等より文句或は趣意を摘採して編纂せる支那撰述の偽経なりとせられたり。」
[54]
간행물
西蔵文大佛頂首楞厳経に就て
http://id.nii.ac.jp/[...]
1922
[55]
간행물
『首楞厳経』訳者考―『続古今訳経図紀』の変遷を手がかりに―
https://doi.org/10.1[...]
2014
[56]
문서
チェ・チャンシク、東国大学校教授
[57]
간행물
「敦煙本『樗厳経』『の校正について」
https://doi.org/10.4[...]
2002
[58]
간행물
『梵学津梁所収の白傘蓋陀羅尼の研究』
https://doi.org/10.4[...]
2013-2014
[59]
문서
ヤマダコウドウ、1863-1928年、大龍寺27世住職、曹洞宗大学元教頭(『慶應義塾出身名流列傳』p.555-556に教頭になるまでの略伝あり)
https://books.google[...]
[60]
문서
キムラシュンゲン 1940年生、四天王寺大学名誉教授
[61]
문서
キムラトクゲン 1937年生、黄檗宗禅林寺住職
[62]
뉴스
(출판)능엄경 약해-지관스님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1994-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