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타나키리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타나키리주는 캄보디아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왔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1893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편입된 후 1959년 현재의 라타나키리주로 신설되었다. 지리적으로는 산, 고원, 강, 화산호 등 다양한 지형을 포함하며,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경제는 농업이 중심이며, 최근 관광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인구는 18만 명 이상이며, 크메르 로이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보건 및 교육 환경은 열악하며, 문화적으로는 토착 신앙과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유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보디아의 주 - 칸달주
    칸달주는 캄보디아의 주로, 수도 프놈펜을 둘러싸고 있으며, 메콩강과 바삭강 유역의 평야 지대에서 농업, 어업, 의류 산업이 발달했고, 크메르족을 중심으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상좌부 불교를 믿는다.
  • 캄보디아의 주 - 스퉁트렝주
    캄보디아 북동부에 위치한 스퉁트렝 주는 크메르 제국 등의 지배를 거쳐 프랑스령 라오스에 속하기도 했으며, 세 개의 강이 흐르는 풍부한 수자원과 삼림, 그리고 최근 발견된 광화대를 특징으로 하는 농업 중심 지역이다.
  • 행정 구역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 행정 구역 - 마셜 제도
    마셜 제도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1986년 미국 신탁통치령으로부터 독립했으며, 영어와 마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코프라, 수산물, 미국의 지원에 경제를 의존하며, 미국과 자유 연합 조약을 체결하여 국방을 미국에 의존한다.
라타나키리주
지도
기본 정보
라타나키리 시골 풍경
라타나키리 시골 풍경
공식 명칭라타나키리 주
로마자 표기Ratanakiri
문자 의미보석 산
설치1959년
주도반룽
하위 구역1개 자치구; 8개 군
면적10,782 km²
면적 순위9위
인구 (2023년)238,975명
인구 순위20위
인구 밀도 순위21위
인구 밀도19명/km²
시간대ICT
시간대 UTC 오프셋+07:00
웹사이트라타나키리 주 공식 웹사이트
정치
정부 정당CPP
주지사넴 사모은
행정 구역
자치구1개
8개
추가 정보
ISO 코드KH-16

2. 역사

라타나키리 주는 적어도 구석기 또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기원후 4세기부터 태국만 연안 도시들과 무역을 했다.[2] 초기 역사 동안 안남인, 참파, 크메르, 타이의 침입을 받았지만, 중앙집권적 통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7] 13세기부터 19세기까지 고지대 마을들은 크메르, 라오, 타이 노예상들에게 자주 습격을 받았다.[3] 18세기에 현지 라오스 통치자들에게 정복되었고, 19세기에는 태국에 의해 정복되었다.[4] 1893년 프랑스 인도차이나에 편입되었고, 식민 통치가 노예 무역을 대체했다.[5] 프랑스인들은 특히 라반시에크(현재 반룽)에 거대한 고무 농장을 건설하고, 토착민들을 건설과 고무 수확에 동원했다.[7] 프랑스 통치하에 현재 라타나키리 주를 구성하는 땅은 시암에서 라오스로, 그리고 캄보디아로 이관되었다.[6] 고지대 주민들은 처음에는 식민 통치자들에게 저항했지만, 1953년 식민 시대가 끝날 무렵에는 진압되었다.[5]

라타나키리 주는 1959년 스텅트렝 주의 동부 지역이었던 땅에서 신설되었다.[7] ''Ratanakiri''(រតនគិរី)라는 이름은 크메르어 단어 រតនៈ (''rôtânô'' "보석", 산스크리트어 ''ratna''에서 유래)와 គិរី (''kĭri'' "산", 산스크리트어 ''giri''에서 유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주가 유명한 두 가지 특징을 묘사하고 있다.[8]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노로돔 시하누크는 캄보디아 북동부에서 마을을 정부 통제하에 두고, 이 지역의 반군 세력의 영향력을 제한하며, 토착 공동체를 "현대화"하기 위한 개발 및 크메르화 운동을 시작했다.[9] 일부 크메르 로이 사람들은 크메르어와 문화를 배우기 위해 저지대로 강제 이주되었고, 캄보디아 다른 지역의 크메르 사람들이 이 주로 이주했으며, 도로와 대규모 고무 농장이 건설되었다.[10] 농장에서 가혹한 노동 조건과 때로는 강제 노역을 겪은 많은 크메르 로이 사람들은 전통적인 삶의 터전을 떠나 주 도시에서 더 멀리 이주했다.[11] 1968년, 긴장이 고조되어 브라오족이 봉기하여 여러 크메르 사람들이 사망했다.[12] 정부는 마을을 불태우고 수백 명의 주민들을 살해하는 등 가혹하게 대응했다.[12]



1960년대, 부상하는 크메르 루즈는 중앙 정부에 대한 크메르 로이 사람들의 불만을 이용하여 라타나키리의 소수 민족과 동맹을 맺었다.[14] 캄푸치아 공산당 본부는 1966년 라타나키리로 이전되었고, 수백 명의 크메르 로이 사람들이 CPK 부대에 합류했다.[15] 이 기간 동안 라타나키리에서 광범위한 베트남 활동도 있었다.[16]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은 1940년대부터 라타나키리에서 활동해 왔으며, 1969년 6월 기자 회견에서 시하누크는 라타나키리가 "사실상 북베트남 영토"라고 말했다.[17] 1969년 3월부터 1970년 5월까지 미국은 이 지역에서 대규모 비밀 폭격 작전을 수행하여 베트남 공산군의 피난처를 교란하려고 했다. 주민들은 폭격을 피해 주요 도시 밖으로 쫓겨나 크메르 루즈와 함께 먹을 것을 찾아 도망치며 살았다.[18] 1970년 6월, 중앙 정부는 라타나키리에서 군대를 철수하여 크메르 루즈의 지배하에 놓았다.[19] 초기에는 라타나키리에서 가혹하지 않았던 크메르 루즈 정권은 점점 더 억압적이 되었다.[20] 크메르 로이 사람들은 공산주의와 양립할 수 없다고 여겨진 모국어를 사용하거나 전통적인 관습과 종교를 실천하는 것이 금지되었다.[21] 공동 생활이 의무화되었고, 이 주의 몇 안 되는 학교들은 문을 닫았다.[22] 소수 민족에 대한 숙청이 빈번해졌고, 수천 명의 난민이 베트남과 라오스로 도망쳤다.[23] 예비 연구에 따르면 라타나키리 주민의 약 5%에 해당하는 시신이 집단 무덤에 매장되었는데, 이는 캄보디아 다른 지역보다 훨씬 낮은 비율이다.[24]

베트남이 1979년 크메르 루즈를 패배시킨 후, 라타나키리에 대한 정부 정책은 무관심으로 바뀌었다.[11] 크메르 로이 사람들은 전통적인 생계로 돌아갈 수 있었지만, 정부는 이 주에 거의 인프라를 제공하지 않았다.[11] 베트남인들 통치하에 주 정부와 많은 지역 사회 간의 접촉은 거의 없었다.[25] 그러나 크메르 루즈 정권이 붕괴된 후에도 오랫동안 크메르 루즈 반군이 라타나키리의 숲에 남아 있었다.[26] 반군들은 1990년대에 대부분 무기를 내려놓았지만, 주도로를 따라 공격은 2002년까지 계속되었다.[26]

라타나키리의 최근 역사는 개발과 전통적인 삶의 방식에 대한 도전으로 특징지어진다.[27] 중앙 정부는 도로를 건설하고 관광과 농업을 장려했으며, 저지대 크메르 사람들의 라타나키리로의 빠른 이주를 촉진했다.[28] 도로 개선과 정치적 안정으로 지가가 상승했고, 라타나키리의 토지 몰수가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29] 토착 공동체가 전통적인 토지에 대한 집단 소유권을 얻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2001년 법에도 불구하고, 일부 마을은 거의 토지가 없는 상태에 놓여 있다.[27] 중앙 정부는 라타나키리 토착민들이 전통적으로 소유해 온 토지에 대한 양허를 허가했으며,[30] 심지어 토지 "매매"조차도 종종 관리들에게 뇌물을 주거나 강압, 협박 또는 허위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었다.[29] 여러 국제 비정부기구(NGO)의 개입 이후, 2006년 현재 토지 몰수는 빈도가 감소했다.[31] 2000년대에 라타나키리는 또한 이웃 베트남의 불안을 피해 도망친 수백 명의 데가르(몽타뉴아르) 난민을 받아들였는데, 캄보디아 정부는 많은 난민들을 강제 송환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32]

3. 지리 및 기후

라타나키리주의 지형은 구릉, 산, 고원, 저지대 유역, 화산호 등 다양하다.[33] 톤레 산과 톤레 스레폭 두 개의 주요 강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주를 가로지른다. 주의 북쪽 끝에는 안남 산맥의 산들이 있으며, 울창한 활엽수림 상록수림, 비교적 척박한 토양, 풍부한 야생 동물이 특징이다.[34] 톤레 산과 톤레 스레폭 사이의 고지대는 현무암 고원으로 비옥한 적색 토양을 제공하며, 2차림이 우세하다.[34],[127] 스레폭 강 남쪽에는 열대 낙엽수림의 평평한 지역이 있다.[34]

주요 도로가 빨간색으로 표시된 라타나키리 지도


캄보디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라타나키리는 몬순 기후로, 6월부터 10월까지 우기, 11월부터 1월까지 서늘한 계절, 3월부터 5월까지 더운 계절이 있다.[35] 캄보디아의 다른 지역보다 기온이 낮다.[35] 연 강수량은 약 2200mm이다.[36] 우기에는 홍수가 자주 발생하며, 최근 건설된 얄리 폭포 댐으로 인해 악화되었다.[37]

반룽 근처 화산호인 야크 루움의 항공 사진


라타나키리는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가장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저지대 열대 우림과 산악림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38] 라타나키리의 야생 동물에는 아시아 코끼리, 가우르, 원숭이 등이 있다.[41] 라타나키리는 자이언트 이비스와 큰 황새를 포함한 멸종 위기에 처한 조류의 보존에 중요한 지역이다.[41]

라타나키리의 거의 절반이 보호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42] 여기에는 롬팟 야생동물 보호구역과 비라체이 국립공원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 지역조차도 불법 벌목, 밀렵, 광물 채굴의 위협을 받고 있다.[43] 최근 개발로 인해 토양 침식이 증가하고, 미기후가 변화하고 있으며,[45] 서식지 손실과 지속 불가능한 사냥은 이 주의 감소하는 생물 다양성에 기여했다.[46]

4. 행정 구역

라타나키리 주는 8개의 행정구와 1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50개의 공동체로 나뉜다.[60] 각 행정구와 인구는 다음과 같다.

ISO 코드행정구공동체인구 (2019)[61]
1601안당미아(Andoung Meas)말릭(Malik), 낭(Nhang), 타 라브(Ta Lav)17,617
1602반룽(Banlung) 시카찬(Kachanh), 라반시엑(Labansiek), 예악 라옴(Yeak Laom), 보엥 칸상(Boeng Kansaeng)30,399
1603바르 카에브(Bar Kaev)바르 카에브 구 카크 공동체(Kak Commune, Bar Kaev District), 케 chong(Ke Chong), 라밍(Laming), 룽 쿵(Lung Khung), 썽(Seung), 팅 차크(Ting Chak)28,279
1604쿤 맘(Koun Mom)스레이 몽콜(Serei Mongkol), 스래 안크롱(Srae Angkrorng), 타 안(Ta Ang), 툰(Teun), 트래팽 크레스(Trapeang Chres), 트래팽 크라함(Trapeang Kraham)30,810
1605룸팟(Lumphat)체이 오드담(Chey Otdam), 카 랭(Ka Laeng), 르방 무이(Lbang Muoy), 르방 피르(Lbang Pir), 바 탕(Ba Tang), 세다(Seda)27,839
1606우 춤(Ou Chum)차 웅(Cha Ung), 찬(Chan), 에카크피압(Aekakpheap), 칼라이(Kalai), 우 춤(Ou Chum), 사메아키(Sameakki), 락(L'ak)25,301
1607우 야 다브(Ou Ya Dav)바르 캄(Bar Kham), 룸 초아르(Lum Choar), 팍 나이(Pak Nhai), 파테(Pate), 세산트(Sesant), 사옴 툼(Saom Thum), 야 퉁(Ya Tung)23,932
1608타 베앵(Ta Veaeng)타 베앵 레우(Ta Veaeng Leu), 타 베앵 크라옴(Ta Veaeng Kraom)7,503
1609번 사이(Veun Sai)반 퐁(Ban Pong), 햇 팍(Hat Pak), 카 초운(Ka Choun), 카오 팡(Kaoh Pang), 카오 피크(Kaoh Peak), 콕 락(Kok Lak), 파 칼란(Pa Kalan), 프눔 콕(Phnum Kok), 번 사이(Veun Sai)27,210



마을 정부는 전통적 요소(촌로)와 행정적 요소(마을장)를 모두 가지고 있다.[56] 각 마을은 마을 문제를 관리하고 분쟁을 해결하며 관습법 준수를 보장하는 한 명 이상의 촌로를 지정한다.[57] 촌로는 주로 존경받는 조언자이자 합의 형성자이며, 독재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다.[58] 촌로는 일반적으로 남성이지만, 여성도 공동체 및 자원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을에는 상급 정부 관리가 임명하는 마을장이 있을 수 있는데, 이들은 마을과 외부 정부 관리 사이의 연락 역할을 하지만 전통적인 권위는 없다.[56]

5. 경제

라타나키리 주 경제의 중심은 농업이며, 주민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한다.[62] 토착 주민들은 대부분 자급자족 농민으로, 화전 농업 방식의 이동식 농업을 한다.[62] 이들은 쌀, 옥수수, 호박 등을 재배하며, 최근에는 캐슈너트, 망고, 담배와 같은 수출 작물 생산으로 전환하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다.[63] 과거에는 화폐 경제와 접촉이 거의 없이 물물교환이 널리 퍼져 있었으나,[41] 2005년 기준 1인당 월평균 수입이 미화 5달러 수준으로, 오토바이, 텔레비전 등 구매 가능한 물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64]

대규모 농업은 주로 고무와 캐슈너트 농장에서 이루어진다.[65] 주도 반룽 주변에는 부유한 캄보디아인들이 소유한 광대한 농장들이 있는데, 이들은 주로 땅콩, 커피, 또는 캐슈너트를 재배한다. 라타나키리 주는 수백 평방킬로미터에 달하는 고무나무 농장을 자랑하며, 생산된 고무의 대부분은 베트남으로 수출된다.

보석 채굴과 상업적 벌목도 주요 경제 활동이다. 라타나키리 주에서 가장 풍부한 보석은 청색 지르콘이며,[66] 소량의 자수정, 청색 사파이어, 페리도트도 생산된다.[67] 전통적인 방식으로 채굴되지만,[68] 최근에는 상업적 채굴 사업이 진출하고 있다. 특히 주 남부와 서부의 보석 광산은 중요한 수입원이 되고 있으며, 푸른 지르콘과 질 좋은 자수정을 산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벌목, 특히 불법 벌목은 환경 문제와 토지 몰수를 야기하여 "인권 비상 사태"로 묘사되기도 한다.[70] 1997년 라타나키리에서 베트남으로 불법 수출된 통나무는 약 30만 입방미터로 추산되는 반면, 법적 한도는 3만 6천 입방미터였다.[70]

산악 지대의 숲을 지나는 비포장 붉은 흙길, 길 왼쪽에 집 한 채가 따로 서 있다


관광 산업은 최근 급속히 확장되고 있으며, 생태 관광을 장려하는 추세이다.[71][72] 2002년 6,000명이었던 방문객 수는 2011년 11만 8,000명으로 증가했다.[71] 그러나 관광객 증가는 지역 사회에 대한 경제적 이익 부족, 전통적인 삶의 방식 방해 등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7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광이 파괴적이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일부 프로그램은 원주민에게 영어와 관광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74] 관광업은 급속히 경제 성장의 최대 원동력이 되고 있으며, 반룬에는 4개 이상의 호텔과 수많은 게스트하우스, 레스토랑, 상점들이 관광객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소달구지와 오토바이가 일반적인 교통 수단이며,[75] 도로 시스템은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좋지 않다.[76] 반룽과 베트남 국경 사이의 78번 국도는 캄보디아와 베트남 간의 무역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77] 또한, 인접국 베트남과는 주도 반룬 중심부를 통과하는 19번 국도를 따라 많은 거래가 이루어진다. 반룽에는 소규모 공항이 있지만,[78] 상업용 항공편은 오랫동안 중단되었다.[79]

주도 반룽 외에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

  • '''븐사이(Vuen sai)''': 북쪽 세산 강변에 위치하며, 인구는 1,000명이 채 되지 않는다. 건기에는 강변을 따라 길고 흰 모래사장이 드러나 관광지가 된다. 주민 대부분은 크메르족 또는 라오족(화교)이며, 강 북쪽에 아름다운 화교 거주지가 있다.
  • '''롬팟(Lompat)''': 라타나키리 주의 옛 주도로, 남쪽 스레폭 강변에 위치한다. 인구는 800명이 채 되지 않는 작은 마을이다.

6. 인구

2013년 기준 라타나키리 주의 인구는 약 18만 4천 명으로, 1998년 이후 내부 이주로 인해 거의 두 배 증가했다.[80][81] 인구 밀도는 17.0명/km²로 전국 평균의 5분의 1 수준이다.[80] 주 인구의 약 70%는 고지대에 거주하며, 나머지 30%는 도시화된 마을이나 강가, 저지대에 거주한다.[41] 주도인 반룽은 약 2만 5천 명의 인구를 가진 가장 큰 도시이다.[82]

2013년 기준 주민의 37%는 15세 미만, 52%는 15~49세, 7%는 50~64세, 3%는 65세 이상이었다.[84] 가구당 평균 구성원 수는 4.9명이며, 대부분(85.6%) 남성이 가장이었다.[85]

크메르 로이로 통칭되는 다양한 고지대 집단이 인구의 약 절반을 차지하며, 크메르족 36%, 라오족 10%이다.[86] 주요 크메르 로이 부족으로는 탐푸안족, 자라이족, 크렁족, 브로우족, 카초크족, 카베트족 등이 있다.[87] 소수의 베트남인, 참족, 중국인도 거주한다.[88] 공용어는 크메르어이지만, 각 원주민 집단은 고유 언어를 사용하며, 원주민의 10% 미만만이 크메르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89][102]

7. 보건 및 교육

라타나키리 주의 건강 지표는 캄보디아에서 가장 열악하다.[90] 남성의 평균 수명은 39세, 여성은 43세이다.[91] 말라리아, 결핵, 장내 기생충, 콜레라, 설사예방접종으로 예방 가능한 질병이 풍토병이다.[90] 모성 사망률과 영아 사망률이 매우 높아, 5세 미만 아동의 10% 이상이 사망한다.[92] 영양실조율도 캄보디아에서 가장 높다.[93] 빈곤, 마을의 외딴 위치, 열악한 의료 서비스, 언어 및 문화적 장벽 등이 건강 상태 악화의 원인이다.[94] 의료 시설과 장비, 인력이 부족하다.[95][96]

붉은 흙밭에 서 있는 작은 흰색 건물. 앞에는 소 한 마리가 돌아다니고 있다.
라타나키리 주의 한 마을 학교


1998년 기준 라타나키리 주에는 초등학교 76개, 중학교 1개, 고등학교 1개가 있었다.[97] 특히 크메르 로이족의 교육 수준은 매우 낮다. 2002년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10% 미만이 초등학교에 다녔다.[98] 책값, 거리, 가계 생계 기여, 교사 부재, 문화적으로 부적절한 수업 등이 교육 접근성을 제한한다.[99] 2013년 기준 성인의 55%만이 읽고 쓰는 능력이 있었다.[100] 2002년부터 이중 언어 교육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성공적인 것으로 보인다.[101] 이 프로그램은 원주민 언어 사용자들이 교육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크메르어 능력을 제공하여 국가 정치 및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102]

라타나키리 주는 캄보디아에서 가장 개발이 덜 된 지역 중 하나이다.[49] 2013년 기준 평균 가구당 방은 1.9개였으며, 건물 14.9%만이 영구 지붕, 벽, 바닥을 갖추고 있었다.[103] 가구의 27.8%만이 화장실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104] 38.0%는 샘, 개울, 연못 또는 빗물에서 물을 얻었고, 나머지는 보호된(23.9%) 또는 보호되지 않은(15.1%) 우물에서 물을 얻었다.[105] 21.6%만이 안전한 수원(생수, 상수도 또는 관정)에서 물을 얻었다.[106] 가구의 28.0%는 집 안에서, 39.1%는 집 근처에서, 32.9%는 집 밖에서 물을 얻었다.[105] 가장 일반적인 조명은 배터리(39.5%)였고, 정부 제공 전력(25.5%)과 등유(16.5%)가 뒤를 이었다.[107] 대부분의 가구(85%)는 땔나무를 주요 요리 연료로 사용했다.[108] 옥스팜과 헬스 언리미티드를 포함한 다양한 NGO들이 건강과 생활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09]

8. 문화

크메르 로이족은 보통 20~60개의 핵가족으로 구성된 작은 마을에서 생계형 화전 농업을 한다.[110] 각 마을은 공동으로 숲 지역을 소유하고 관리한다.[111] 각 가족은 평균 1~2 헥타르(2.5~5 에이커)의 경작지와 5~6 헥타르(12.5~15 에이커)의 휴경지를 할당받는다.[112] 크메르 로이족의 경작 주기는 보통 10년에서 15년 동안 지속되며, 이는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하다.[113] 마을 주민들은 넓은 지역에서 저강도 사냥, 낚시, 채집을 통해 농업 생계를 보충한다.[113]

라타나키리의 크메르 로이족 식단은 주로 수확하거나 채집하는 음식에 의존한다.[114] 특히 임산부, 어린이, 환자에게는 많은 음식 금기 사항이 적용된다.[115] 주식은 이지만, 대부분의 가족은 수확 6개월 전에 쌀 부족을 겪는다.[116]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가족은 옥수수를 심기 시작했고, 감자, 카사바, 타로도 곡물 공급원으로 사용된다.[116] 대부분의 크메르 로이족 식단은 단백질이 부족하다.[117] 야생 동물과 생선이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며, 쥐, 야생 닭, 곤충도 섭취한다.[117] 돼지, 소, 물소와 같은 가축은 제사를 지낼 때만 먹는다.[117] 우기에는 다양한 야채와 잎을 숲에서 채집하며, 야채는 일반적으로 재배하지 않는다.[116] 흔히 먹는 과일로는 바나나, 잭프루트, 파파야, 망고가 있다.

엮은 벽이 있는 높이 세운 건물


라타나키리 시골의 집들은 대나무, 라탄, 나무, 사엑, 칸마 잎 등 숲에서 채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보통 3년 정도 유지된다.[41] 마을의 공간 배치는 민족 집단에 따라 다르다.[59] 크레웅족 마을은 원형으로 건설되며, 집들은 중앙 회의장을 향해 안쪽으로 향한다.[59] 자라이족 마을에서는 모든 확대 가족이 거주하는 넓은 긴 집(longhouses)이 있으며, 안쪽 집은 더 작은 구획으로 나뉜다.[59] 탐푸안족 마을은 두 가지 패턴 중 하나를 따를 수 있다.[59]

거의 모든 크메르 로이족은 토착 신앙을 믿으며, 그들의 우주론은 자연 세계와 얽혀 있다.[119] 일부 숲은 지역 정령이 서식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지역 금기 사항은 그 지역에서 나무를 베는 것을 금지한다.[120] 정령의 숲 안에는 암석 형성, 폭포, 웅덩이, 식물과 같은 특정 자연적 특징이 신성하게 여겨진다.[121] 라타나키리의 주요 제사 축제는 3월과 4월에 열리며, 이때 새로운 파종 시즌을 위해 들판을 선택하고 준비한다.[122] 기독교 선교사들이 이 지방에 있으며, 일부 크메르 로이족은 기독교로 개종했다.[123] 원주민 공동체 대표들은 선교사들을 사회에 대한 주요 위협으로 묘사했다.[124] 이 지역의 크메르족불교 신자이다.[125] 또한 주로 참족으로 구성된 소규모 무슬림 공동체도 있다.[126]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도로와 지역 마을 근처에서 주요 문화적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는 내부 이주민, 정부 관리, NGO 근로자와의 접촉 때문으로 여겨진다.[128] 의복과 식단이 표준화되고, 전통 음악은 크메르 음악으로 대체되고 있다.[128] 많은 마을 주민들은 장로에 대한 존경심이 사라지고 젊은 세대와 노년 세대 간의 갈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다.[128] 젊은이들은 전통적인 규칙을 따르기를 거부하고 정령을 믿는 것을 중단하기 시작했다.[128]

참조

[1] 서적 2019
[2] 서적 https://books.google[...] 2004
[3] 서적 2006
[4] 서적 1964
[5] 서적 2006
[6] 서적 https://books.google[...] 1997
[7] 서적 2002
[8] 서적 Welcome to Ratnakiri https://books.google[...] 1997
[9] 서적 https://books.google[...] 2001
[10] 서적 https://books.google[...] 2001
[11] 서적 https://books.google[...] 2001
[12] 서적 https://books.google[...] 1994
[13] 서적 2004
[14] 서적 https://books.google[...] 1991
[15] 서적 https://books.google[...] 1991
[16] 서적 https://books.google[...] 2006
[17] 서적 https://books.google[...] 2006
[18] 서적 https://books.google[...] 2001
[19] 서적 https://books.google[...] 2001
[20] 서적 2006
[21]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22]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23] 서적 https://books.google[...] 2001
[24]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25] 서적 https://books.google[...] 2001
[26] 서적 2001
[27] 서적 https://books.google[...] 2004
[28] 서적 https://books.google[...] 2004
[29] 서적 https://books.google[...] 2004
[30] 서적 https://books.google[...] 2004
[31] 서적 https://books.google[...] 2006
[32] 서적 https://books.google[...] 2012
[33] 서적 Welcome to Ratnakiri
[34] 서적 https://books.google[...] 2002
[35] 서적 Climate
[36] 논문 2007
[37] 논문 https://books.google[...] [2005, 2007, 2003]
[38] 논문 2006
[39] 논문 1996
[40] 논문 2007
[41] 논문 1997
[42] 논문 [https://books.googl[...] [2002, 1999]
[43] 논문 2009
[44] 논문 https://books.google[...] 2001
[45] 논문 https://books.google[...] 2001
[46] 논문 https://books.google[...] [1999, 2001]
[47] 논문 [https://books.googl[...] [2001, 2005]
[48] 논문 [https://books.googl[...] 2001
[49] 논문 https://books.google[...] 2001
[50] 논문 https://books.google[...] [2001, 2005]
[51] 논문 2015
[52] 논문 2017
[53] 논문 https://books.google[...] 2003
[54] 논문 https://books.google[...] [2006, 2012]
[55] 논문 2015
[56] 논문 2006
[57] 논문 2006
[58] 논문 2006
[59] 논문 2006
[60] 논문 2003
[61] 웹사이트 General Population Census of the Kingdom of Cambodia 2019 – Final Results http://nis.gov.kh/ni[...] Ministry of Planning 2019-02-07
[62] 논문 2014
[63] 논문 [2007, 2005, 2008]
[64] 논문 2005
[65] 논문 https://web.archive.[...] 2005
[66] 논문 2018
[67] 웹사이트 The Zircon Mines And Blue Zircon https://exploreratan[...] 2023-07-09
[68] 논문 [2004, 2001, 2009, 1994]
[69] 논문 [https://books.googl[...] [2001, 2009, 2016]
[70] 논문 1999
[71] 논문 2013
[72] 논문 https://books.google[...] 2002
[73] 논문 https://books.google[...] 2006
[74] 논문 https://books.google[...] 2003
[75] 논문 2004
[76] 논문 https://books.google[...] 2008
[77] 논문 2010
[78] 논문 https://books.google[...] 2002
[79] 논문 https://books.google[...] 2014
[80] 논문 2014c
[81] 논문 2000
[82] 논문 https://books.google[...] 2008
[83] 논문 2008
[84] 논문 2013b
[85] 논문 2014c
[86] 논문 2014a
[87] 논문 2002
[88] 논문 2012
[89] 논문 https://books.google[...] 2006
[90] 논문 2006
[91] 논문 2012
[92] 논문 2006
[93] 논문 2003
[94] 논문 2006
[95] 논문 2006
[96] 논문 https://books.google[...] 2006
[97] 논문
[98] 논문 2003
[99] 논문 2007
[100] 논문 2014b
[101] 논문 https://books.google[...] 2007
[102] 논문 https://books.google[...] 2006
[103] 논문 2014b
[104] 논문 2014b
[105] 논문 2014b
[106] 논문 2014
[107] 논문 2014
[108] 논문 2014
[109] 논문
[110] 논문 https://books.google[...] 2001
[111] 논문 https://books.google[...] 2008
[112] 논문 https://books.google[...] 2002
[113] 논문 https://books.google[...] 2001
[114] 논문 2003
[115] 논문 2002
[116] 논문 2003
[117] 논문 2003
[118] 논문 2003
[119] 논문 https://books.google[...] 2001
[120] 논문 1999
[121] 논문 2006
[122] 논문 2003
[123] 논문 2006
[124] 논문 2006
[125] 논문 https://books.google[...] 2006
[126] 논문 2009
[127] 논문 https://books.google[...] 2002
[128] 논문 2000
[129] 웹사이트 Final General Population Census 2019-English.pdf https://nis.gov.kh/n[...] 20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