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그리트 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그리트 롱은 프랑스의 피아니스트이자 교육자이다. 1874년 프랑스 님에서 태어나 1891년 파리 음악원을 수석으로 졸업했다. 1920년 파리 음악원 최초의 여성 정교수가 되었으며, 1941년 롱-티보 음악 학교를 설립하여 젊은 음악가들을 양성했다. 라벨의 피아노 협주곡 G장조를 초연했으며, 가브리엘 포레, 클로드 드뷔시 등 당대 작곡가들과 교류하며 프랑스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1943년 바이올리니스트 자크 티보와 함께 롱-티보 국제 콩쿠르를 창설하여 젊은 음악가들의 등용문으로 만들었다. 1966년 파리에서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대학 교수 - 쥘 마자랭
쥘 마자랭은 이탈리아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하며 30년 전쟁 종식과 프랑스-스페인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프롱드의 난을 진압하여 루이 14세의 절대왕정 기반을 다진 추기경이자 정치가이다. - 프랑스의 대학 교수 - 에티엔 발리바르
에티엔 발리바르는 1942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철학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며, 루이 알튀세르의 제자로서 구조적 마르크스주의를 발전시키고, 이후 이민자, 인종주의 문제와 민주주의, 시민권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 님 출신 - 알퐁스 도데
알퐁스 도데는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프로방스 지방을 배경으로 한 《방앗간 편지》, 《아를의 여인》, 《타라스콩의 타르타랭》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며, 현실적이면서도 서정적인 문체로 고향의 풍경과 사람들의 삶을 묘사했다. - 님 출신 - 마뉘엘 아모로스
프랑스 축구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선수 마뉘엘 아모로스는 AS 모나코와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활약하며 1982년 FIFA 월드컵 영플레이어상, 1984년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1986년 FIFA 월드컵 3위, 1992-93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코모로와 베냉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 프랑스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카미유 생상스
카미유 생상스는 1835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오페라, 교향시, 협주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많은 작품을 남긴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 프랑스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이브 나트
프랑스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이브 나트는 뛰어난 연주 실력과 교육자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파리 음악원에서 수학 후 국제적인 활동과 교수 재직을 통해 수많은 제자를 배출했고, 베토벤 소나타 전곡 녹음, 자작 피아노 협주곡 초연 등 연주 활동을 재개하며 독일 낭만파 작곡가 중심의 음악 자체에 집중하는 연주 스타일을 확립했다.
마르그리트 롱 | |
---|---|
기본 정보 | |
본명 | 마르그리트 롱 |
출생지 | 프랑스 옥시타니 가르 님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국적 | 프랑스 |
직업 | 피아니스트 |
학력 | 파리 음악원 |
경력 | |
활동 시기 | 알 수 없음 |
음악 스타일 | |
장르 | 클래식 음악 |
관련 인물 | |
영향 | 알 수 없음 |
관련 인물 | 알 수 없음 |
기타 | |
관련 항목 | 알 수 없음 |
2. 생애
1891년 파리 음악원 피아노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앙투안 프랑수아 마르몽텔의 아들 Antonin Marmontel|앙토냉 마르몽텔프랑스어의 지도를 받으며 연주 활동을 시작했다. 1906년 음악학자 조제프 드 마를리아브와 결혼 후 파리 음악원 예비과 강사가 되었다. 1907년 스승 앙토냉 마르몽텔이 급서하여 그의 클래스를 이어받으려 했으나, 알프레드 코르토에게 밀려 무산되었다. 1913년 약속된 교수직을 얻지 못하자 포레와 사이가 틀어졌다.[28]
1914년 남편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전사하자, 1917년까지 연주 활동을 중단했다가 1919년 모리스 라벨의 『쿠프랭의 무덤』을 초연하며 복귀했다. 1920년 루이 디에메의 후임으로 파리 음악원 고등과 정교수가 되었고, 같은 해 자신의 음악 학교를 창설, 1941년 롱-티보 음악 학교가 되었다.[28]
1932년 라벨의 『피아노 협주곡 G장조』를 초연하고, 유럽 전역을 연주 여행했다. 1935년 포레와 사이가 틀어졌음에도 "가브리엘 포레 협회" 설립을 도왔고, 1937년부터 1939년까지 포레 콩쿠르를 개최했다.[28]
1943년 자크 티보와 함께 제1회 롱-티보 국제 콩쿠르를 개최했다. 1966년 파리에서 사망했으며, 장례 행렬에서 라벨의 『다프니스와 클로에』가 연주되는 가운데 고향 님에 안장되었다.[28]
2. 1. 초기 생애 (1874–1900)
1874년 11월 13일 프랑스 남부의 고대 로마 도시인 님에서 태어났다.[1][28] 8살 위의 언니 클레르 롱에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1] 님 음악원에서 명예상을 받고, 11세에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데뷔했다.[2] 테오도르 뒤부아의 권유로 1889년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여 앙리 피소에게 사사받았다.[1][28] 1891년 파리 음악원 수석 졸업 후, 앙투안 프랑수아 마르몽텔의 아들 Antonin Marmontel|앙토냉 마르몽텔프랑스어에게 레슨을 받았다.[28]2. 2. 조제프 드 마를리아브와의 결혼 (1906–1914)
1902년 8월 카스텔노다리에서 음악학자이자 군인이었던 조제프 드 마를리아브와 만났다.[28] 가브리엘 포레의 열렬한 팬이었던 조제프는 마르그리트에게 포레의 작품을 연주해 줄 것을 요청했고, 이를 계기로 두 사람은 가까워졌다. 1906년 2월 26일 조제프의 고향인 생장드 로라게에서 결혼식을 올렸으며, 앙토냉 마르몽텔과 포레가 신랑 들러리를 섰다.[28]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남편 조제프는 참전하였고, 같은 해 8월 24일 전사하였다.[28] 마르그리트는 큰 슬픔에 빠져 3년 동안 공개 공연을 중단했지만, "중요한 것은 당신의 삶을 망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에게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했다고. 그것이 약간의 행복을 가져다줄 수 있는 유일한 것이다."라는 신념으로 비극을 극복했다.[28] 모리스 라벨은 1917년 모음곡 ''쿠프랭의 무덤''의 마지막 악장인 토카타를 마를리브에게 헌정했으며, 롱은 1919년에 이 작품을 초연했다.
2. 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4-1919)
1914년 8월, 남편 마를리아브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같은 해 8월 24일에 전사했다.[28] 롱은 슬픔에 잠겨 3년간 공개 연주를 중단했지만, 1917년에 연주 활동을 재개했다. 1919년 4월에는 모리스 라벨이 전몰자에게 헌정한 모음곡 『쿠프랭의 무덤』을 초연했는데, 제6곡 「토카타」는 죽은 남편에게 헌정된 곡이다.2. 4. 1920년대: 전후 활동
1920년, 롱은 루이 디에메의 뒤를 이어 파리 음악원의 정교수로 취임하여, 음악원 최초의 여성 정교수가 되었다.[10] 1920년대 내내 라무뢰 오케스트라, 콜론 오케스트라, 파리 음악원 관현악단과 협력했다.[10] 이 기간 동안 로베르트 슈만의 A단조 협주곡, 세자르 프랑크의 교향적 변주곡,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C단조 및 "황제" 협주곡, 가브리엘 포레의 발라드, 클로드 드뷔시의 환상곡을 주로 연주했다.[10] 프레데리크 쇼팽의 F단조 피아노 협주곡에 대한 해석은 큰 성공을 가져왔다.[11] 1929년, 이 협주곡으로 첫 음반을 녹음했으며, "마르그리트 롱 부인은 확실히 피아노 연주를 가장 잘 녹음하는 예술가이다."라는 칭찬을 받았다.[11]2. 5. 1930년대: 모리스 라벨과의 협업
1932년 모리스 라벨이 지휘하고 롱이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두 사람은 라벨의 G장조 피아노 협주곡으로 유럽 전역을 순회했다.[12] 1932년 1월 21일 초연 이후, 브뤼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독일, 루마니아, 헝가리, 폴란드에서 공연했다.[12] 롱은 빈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를 만났는데, 그는 1937년 롱이 설립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살아남지 못한 가브리엘 포레 콩쿠르의 심사위원장이었다.[12] 같은 해는 그녀의 첫 해외 투어인 남아메리카 투어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콘서트 경력의 성공을 알리는 해였다.[13] 이 남아메리카 투어는 그녀가 프랑스 음악의 음악 대사로서의 역할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13]1933년, 롱이 라벨과 함께 G장조 피아노 협주곡 투어를 한 직후, 다리우스 미요는 롱에게 자신의 첫 피아노 협주곡을 초연하고 헌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14] 이 협주곡은 1934년 11월 25일에 초연되었다.[14] 미요는 또한 "Tour de l'Exposition", 피아노 연탄곡 "Enfantines", "Album de Madame Bovary"를 포함하여 다른 작은 작품들도 롱과 그녀의 제자들에게 헌정했다.[14]
1930년대는 롱이 레지옹 도뇌르 훈장의 로제트 등 많은 국가적 영예를 받은 시기였다.[14] 1938년 프랑스 정부는 롱에게 크라바트 루즈(적색 넥타이)를 수여하고 레지옹 도뇌르 훈장의 커맨더로 승진시켰는데, 이는 연주자, 특히 여성에게는 드물게 주어지는 영예였다.[14] 그녀의 국제적 위상은 1937년 파리에서 개최된 세계 박람회에서 잘 드러났다.[14] 조르주 오릭, 마르셀 들라노이, 자크 이베르, 다리우스 미요, 프란시스 풀랑크, 앙리 소게, 플로랑 슈미트, 제르멘 타유페르를 포함한 8명의 작곡가들이 롱에게 헌정하는 "A l'Exposition"이라는 제목의 작품집을 공동으로 제작했다.[14] 한편, 9명의 외국 작곡가들은 롱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Parc d'Attraction"이라는 제목의 작품집을 모았다.[14]
2. 6. 교육 활동
롱은 1940년 파리 음악원의 직위에서 사임했다. 같은 시기, 그녀는 바이올리니스트 자크 티보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음악 애호가이자 아마추어 피아니스트였던 미망인 마르셀 리옹의 도움으로 롱과 티보는 바이올린-피아노 소나타 연주를 가르치는 데 집중하는 학교를 설립할 수 있었다. 티보는 "바이올린 학교는 바이올린-피아노 소나타 교육, 즉 피아노 연구와 함께 이루어지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피아니스트를 얻기 위해 나는 즉시 우리의 위대한 예술가 마르그리트 롱과의 협력을 제안했다."라고 말했다.[15] 리옹 부인은 자발적으로 롱과 티보의 학교에서 학교장으로 봉사했다. 그녀는 나중에 마르그리트 롱-자크 티보 콩쿠르의 집행 이사가 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 중의 상실을 떠올리게 하는 전쟁의 시기였지만, 그녀는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학생들에게 "내 경력이 지금과 같은 것은, 내가 결코 포기하지 않고 항상 노력했기 때문이다. 내 삶의 기쁨은 일이다. 왜냐하면 ''일''은 결코 당신을 배신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격려했다.[16][17] 그녀의 콘서트 경력이 삶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지만, 그녀는 특히 젊은 세대가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에도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젊은 예술가들을 육성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전쟁이 끝날 무렵 롱은 70대였다. 그녀의 경력은 약 10년 동안 교육에 집중되었다. 마담 리옹의 집 1층에서 열린 그녀의 공개 마스터 클래스는 전 세계의 피아니스트들을 끌어들였다. 롱은 전국 조직 위원회 위원장으로서 1949년 프레데리크 쇼팽 서거 100주년 기념 행사를 계획하는 책임을 맡았다. 1949년 3월과 4월 사이에 강연과 마스터 클래스가 열렸다. 롱은 또한 1949년 쇼팽 콩쿠르 심사위원으로 폴란드에서 시간을 보냈다.
프랑스의 전통적인 피아니즘을 계승한다는 자부심으로 교육자로서도 열성적으로 국제 마스터 클래스 활동을 펼쳤다. 제자로는 자크 페브리에, 장 두아예, 피에르 바르비제, 상송 프랑수아, 필립 엔트르몽, 일본인 소노다 다카히로 등이 있다.
2. 7. 말년 (1956–1966)
1956년 6월, 프랑스 정부는 롱이 프랑스 음악계에 기여한 바를 기리기 위해 소르본 대학교에서 콘서트를 후원했다. 81세의 롱은 샤를 뮌슈가 지휘하는 프랑스 국립 관현악단과 함께 가브리엘 포레의 《발라드》 작품 19번을 연주했다. 이 행사의 중심은 8명의 프랑스 작곡가가 롱을 기리기 위해 공동으로 작곡한 관현악 모음곡 《마르그리트 롱의 이름을 주제로 한 변주곡》의 초연이었다.[19][20] 1959년, 60년 이상을 가르친 후, 롱은 직접 쓴 피아노 교육 서적인 《피아노》를 출판했다. 이 책은 롱이 세심하게 작성한 지침과 함께 다섯 손가락 연습, 트릴, 이중 음표, 손목, 글리산도, 화음, 옥타브 등 다양한 연습을 제공한다.롱은 1966년 차이콥스키 콩쿠르 심사위원으로 초청되었지만, 콩쿠르가 시작되기 전에 사망했다. 롱은 사망 직전, 여성 최초로 국립 공로 훈장 그랑크루아를 받았다.[21] 마르그리트 롱은 1966년 2월 13일 파리에서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2] 장례 행렬에서 라벨의 『다프니스와 클로에』가 연주되는 가운데, 고향 님으로 돌아갔다.
3. 가브리엘 포레와의 관계
1903년 봄, 마르그리트 롱은 카스텔노다리에서의 콘서트 직후 마르몽텔의 권유로 가브리엘 포레 앞에서 그의 세 번째 왈츠-카프리스를 연주했다. 이를 계기로 포레는 롱에게 여섯 번째 바르카롤레를 맡겼으며, 두 음악가는 실내악 콘서트에서 협업하게 되었다.[5] 1904년 5월, 롱이 포레의 작품만으로 구성된 콘서트를 열자, 포레는 그녀의 연주를 "가장 이상적인 완벽함"이라고 칭찬했다.[6]
1906년, 롱은 조제프 드 마를리아브와 결혼 직후, 당시 파리 음악원 원장이었던 포레에 의해 파리 음악원 교수로 임명되었다. 롱은 포레의 음악을 "가장 잘 이해"하고 "그 독특한 풍미를 가장 잘 포착한" 연주자로 인정받았다.[7]
그러나 1907년 스승 마르몽텔이 사망하면서 롱은 "클라세 수페리어르 교수직" 승진에 실패했고, 이는 포레와의 관계 악화로 이어졌다. 일각에서는 포레가 마르그리트 아셀만과 새로운 관계를 맺은 것을 이유로 보기도 한다.[8]
이후 1935년, 롱은 앙리 드 주브넬 부인과 함께 '가브리엘 포레 협회' 설립에 기여했다.
4. 클로드 드뷔시와의 관계
1902년 클로드 드뷔시의 펠레아스와 멜리상드 공연을 관람한 후, 롱은 드뷔시의 피아노 음악을 연주하는 데 부족함을 느꼈다. 다른 피아니스트가 드뷔시의 작품을 연주하는 것을 보고 실망감을 느끼기도 했다.[9] 1910년과 1913년 사이, 드뷔시가 파리 음악원 심사위원으로 자주 임명되면서 롱과 마주하게 되었고, 롱이 자신의 작품을 연주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9] 드뷔시는 롱에게 조수 예술가로서 함께 일할 것을 제안했다.[9] 1917년 여름, 롱은 드뷔시의 피아노 연주 방식을 연구했다. 그녀의 헌신적인 드뷔시 작품 해석은 세계적인 존경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1918년 드뷔시 사후 엠마 드뷔시의 인정까지 받았다.[9]
5. 롱-티보 국제 콩쿠르
1943년 11월, 롱은 자크 티보와 함께 마르그리트 롱-자크 티보 국제 콩쿠르를 창설했으며, 이 콩쿠르는 매년 파리에서 개최된다.[25] 이 콩쿠르는 롱이 1938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이자이 콩쿠르에 참석한 것에서 영감을 받았다. 두 음악가는 전쟁으로 인해 해외 여행 및 공연이 어려워진 시기에 젊은 예술가들이 공연하고 경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바이올린과 피아노 부문에서 각각 1등과 2등 수상자에게는 상금, 콘서트 출연 기회, 파테 마르코니와의 음반 계약, 젊은 음악가와의 콘서트 기회가 주어졌다.[25]
1943년과 1949년의 성공에 힘입어 콩쿠르는 2년에 한 번씩(1951년, 1953년, 1955년) 개최되도록 재편되었으며, 유럽의 주요 피아노 및 바이올린 콩쿠르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 1953년 9월, 티보가 일본 순회 공연 중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하여 1955년 콩쿠르에는 그의 부재가 있었지만, 롱은 콩쿠르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1957년, 문화부와 프랑스 정부 관계자들이 후원을 시작하고 이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61년, 롱은 재단을 프랑스 정부에 귀속시키면서 공식적으로 사립 콩쿠르에서 국립 콩쿠르로 전환했다. 1983년부터 콩쿠르는 3년 주기로 변경되어, 첫 해는 피아노, 두 번째 해는 바이올린, 세 번째 해는 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갈라 콘서트로 진행되었다.[26] 2011년부터 콩쿠르에는 성악 부문이 포함되었으며, 현재는 소프라노 레지느 크레스팽을 기리는 의미로 롱-티보-크레스팽 콩쿠르로 알려져 있다.[27]
6. 평가 및 영향
마르그리트 롱은 모차르트, 베토벤 등 고전파 음악부터 쇼팽, 리스트 등 낭만 시대 음악, 그리고 드뷔시, 포레, 라벨 등 프랑스 근대 음악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했다.[28] 리스트의 제15 랩소디는 그녀의 콘서트 프로그램 단골 곡이었다. 당대 작곡가들과 긴밀하게 교류하며 포레의 즉흥곡 4번, 알베니스의 『나바라』, 라벨의 피아노 협주곡 G장조 등을 헌정받았다.
1903년, 포레는 롱의 프랑크 ''교향적 변주곡'' 연주에 대해 "더 훌륭한 손가락, 더 명확하고 훌륭한 취향, 더 매력적이고 자연스러운 단순함으로 연주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극찬했다. 1905년, 롱은 카미유 슈빌라르와 협연하며 베토벤 3번 협주곡, 리스트 1번 협주곡 등을 연주했고, 평론가들은 그녀의 베토벤 연주를 "경탄할 만한 깊이, 감동, 기쁨으로 연주"했다고 호평했다.
1930년대에는 라벨의 협주곡(1932)과 다리우스 미요의 첫 번째 협주곡(1934)을 초연하여 호평을 받았다. 특히 라벨의 협주곡은 "롱의 마법의 손 아래에서 또 다른 승리를 거둔"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롱은 프랑스 피아노 교육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교육자로서, 1920년부터 파리 음악원 교수로 재직하며 자크 페브리에, 장 두아예, 피에르 바르비제, 상송 프랑수아, 필립 엔트르몽, 소노다 다카히로 등 뛰어난 제자들을 배출했다.
1943년에는 바이올리니스트 자크 티보와 함께 롱-티보 국제 콩쿠르를 창설하여 현재까지도 젊은 음악가들의 등용문 역할을 하고 있다.[23] 롱은 바르샤바 쇼팽 콩쿠르, 나폴리 카셀라 콩쿠르, 브뤼셀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등 여러 국제 콩쿠르의 심사위원을 역임하며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다.[24] 특히, 롱-티보 국제 콩쿠르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젊은 음악가들에게 중요한 등용문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롱은 여성 음악가로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국제적인 활동을 통해 프랑스 음악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7. 저서
- 피아노 (Le Piano, 1959년): 20세기의 연주 메커니즘에 대해 다채로운 과제를 제시한 피아노 교칙본이다. 전조를 하면서 하나의 음형을 반복하는 연습 외에 브람스와 카를 타우지히가 만든 과제가 인용되어 있다.
- 클로드 드뷔시와 함께 피아노 치기 (Au piano avec Claude Debussy, 1960년): 주로 롱이 직접 드뷔시에게 받은 레슨에 대한 회상록이다. 프랑수아 플랑테와의 에피소드도 담겨있다.
- 가브리엘 포레와 함께 피아노 치기 (Au piano avec Gabriel Fauré, 1963년): 롱이 포레의 작품 중에서 가장 자신 있었던 레퍼토리인 '발라드'를 중심으로 포레의 피아노에 대한 작곡가의 증언 및 롱의 해석을 담고 있다. 롱의 자전적인 측면도 갖고 있다.
- 피아노 소품집 (La petite méthode de piano, 1963년)
- 모리스 라벨과 함께 피아노 치기 (Au piano avec Maurice Ravel, 1971년): 작곡가와 그의 연주자로서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낸 라벨에 대한 회상록이다. 롱의 글 외에 라벨의 미국에서의 강연 내용도 수록되어 있다.
- 바흐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1915년): 롱에 의한 손가락 번호의 지시는 그녀의 유연하고 자유자재한 피아니즘을 현재에 전하고 있다.
8. 헌정된 작품
- 제르멘 타유페르 -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세 개의 에튀드
- 가브리엘 포레 - 즉흥곡 4번, 작품 90 (1906)
- 가브리엘 포레 - 즉흥곡 5번, 작품 102 (1909)
- 르네 바통 - 로코코 스타일로, 작품 23 (1921)
- 에이토르 빌라로부스 - 프랑세트와 피아, W237 (1929)
- 1956년 마르그리트 롱의 이름을 주제로 한 변주곡 - 프랑스 작곡가 8인
9. 초연한 작품
참조
[1]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2]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3]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4]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5]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6]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7]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8]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9]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10]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11]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12]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13]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14]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15]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16]
웹사이트
Archives - Médiathèque Musicale Mahler
http://www.mediatheq[...]
2020-12-13
[17]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18]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19]
서적
Marguerite Long: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https://books.google[...]
2016-05-17
[20]
서적
Charles Munch
https://books.google[...]
2016-05-17
[21]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22]
웹사이트
Historical Interpretations of Frederick Chopin works
http://bn.org.pl/cho[...]
[23]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24]
뉴스
MARGUERITE LONG PIANIST, DIES AT 91; Interpreter of Romantics-- Co-Founded Competition (Published 1966)
https://www.nytimes.[...]
1966-02-14
[25]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26]
서적
Marguerite Long : a life in French music, 1874-1966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27]
웹사이트
Concours Long-Thibaud
http://www.concours-[...]
2011-03-24
[28]
서적
ピアニストガイド
株式会社青弓社
2006-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