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라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라토는 사가 겐지 계열의 마쓰라씨를 소료로, 와타나베씨를 도료로 하는 무사 집단으로, 셋쓰 와타나베토의 분파로 알려져 있다. 1069년 마쓰라 히사시가 마쓰라군 우노노 미쿠리야의 장관이 되면서 마쓰라라는 성씨를 사용한 것이 마쓰라토의 시초가 되었다. 마쓰라토는 여러 가문들의 연합체였으며, 각 가문은 거점 지역의 이름을 따서 묘지로 삼았고 동맹 관계를 유지했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헤이케에 가담하여 겐페이 전쟁에 참여했고, 가마쿠라 막부의 고케닌으로 규슈 북부의 지토로 임명되었다. 13세기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 때 활약하기도 했으며, 남북조 시대에는 여러 세력 사이에서 각 가문이 독립적으로 행동했다. 센고쿠 시대에는 하타 씨가 멸망했지만, 히라도 마쓰라 씨는 센고쿠 다이묘로 성장하여 히라도 번으로 존속했다. 마쓰라토는 고려와 왜구 활동으로 관계를 맺었으며, 중국과의 무역에도 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쓰라씨 - 마쓰라 시게노부 (1549년)
마쓰라 시게노부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히라도 번 초대 번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히라도 무역을 재건했지만, 조선인 도공 강제 연행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마쓰라씨 - 히라도성
히라도성은 나가사키현 히라도시에 위치하며, 마쓰라 시게노부가 축성했다가 소실 후 재건되었고, 야마가 소코의 군사학에 따라 배치된 성곽 건물, 복원된 천수각과 망루, 그리고 공원 및 숙박 시설로 활용되는 점이 특징이다. - 히젠국 - 원나라의 일본 원정
원나라의 일본 원정은 13세기 후반 쿠빌라이 칸이 일본을 정복하려 두 차례 시도한 원정으로, 몽골, 고려, 중국 군대가 참여했으나 두 번 모두 태풍으로 인해 실패하고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히젠국 - 시마바라의 난
시마바라의 난은 1637년부터 1638년 시마바라 반도와 아마쿠사 제도에서 과도한 세금, 기근, 기독교 탄압으로 인해 발생한 농민 반란으로, 막부군의 진압과정에서 네덜란드의 지원이 있었으며, 일본의 기독교 탄압과 쇄국 정책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마쓰라토 | |
---|---|
개요 | |
국명 | 마쓰우라당 (松浦党) |
유형 | 무사단 |
근거지 | 히젠국 마쓰우라군 (사가현 북부에서 나가사키현 북서부에 걸친 지역) |
활동 시기 | 헤이안 시대 말기 ~ 무로마치 시대 |
주요 가문 | 사다 씨 (佐田氏) 고토 씨 (江頭氏) 쓰치야 씨 (土屋氏) 야마다 씨 (山田氏) 시카미 씨 (志佐氏) 하타에 씨 (波多江氏) 후쿠에 씨 (福江氏) 이마무라 씨 (今村氏) 아카세 씨 (赤瀬氏) 오노 씨 (大野氏) 무토 씨 (武藤氏) |
상세 정보 | |
기원 | 사가 천황의 황자 미나모토노 세이시의 후손 미나모토노 히사류의 무사단 |
주요 활동 | 겐페이 전쟁에서의 활약 원나라와의 전투 참가 |
몰락 | 전국 시대에 각 가문이 쇠퇴하거나 다른 세력에 흡수됨 |
관련 인물 | 마쓰우라 고레요시 |
2. 기원
사가 겐지(嵯峨源氏)의 일족인 '''마쓰라씨'''(松浦氏)를 소료(惣領)로, 와타나베노 쓰나(渡辺綱)를 시조로 하는 '''와타나베씨'''(渡辺氏)를 도료(棟梁)로 하는 무사단으로, 셋쓰국 와타나베토(渡辺党)의 분파로 알려져 있다. 와타나베노 쓰나의 손자 마쓰라 히사시(松浦久)가 1069년 마쓰라군(松浦郡) 우노노미쿠리야(宇野御厨)의 장관(荘官)이 되면서 마쓰라라는 지명을 따 성씨로 삼았고, 이것이 마쓰라토의 시초가 되었다.[9]
마쓰라토는 여러 가문들의 연합체로, 각 가문은 거점 지역의 이름을 따서 묘지(苗字)로 삼았다.[9] 이들은 '토(党)'라는 결합체를 이루었지만, 중심 가문의 강력한 통제보다는 동맹적인 관계를 유지했다.[9] 지도력과 세력이 있는 가문이 마쓰라토의 소료(惣領)가 되었다.[9]
마쓰라토는 헤이케(平家)의 게닌(家人)으로 겐페이 전쟁 때 헤이케 측 수군으로 활약했다. 단노우라 전투 막바지에 겐지(源氏) 측에 가담하여 공을 세워 가마쿠라 막부의 고케닌(御家人)이 되었다. 규슈 북부 지토(地頭)직에 임명되었으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이들을 완전히 신뢰하지 않아 쇼니씨(少弐氏), 시마즈씨(島津氏), 오토모씨(大友氏) 등의 아래에 두었다.[1]
그러나 1069년 이전에도 사가 겐지 계통으로 보이는 인물들이 히젠 지역에서 활동한 기록이 있다. 사가 천황의 황자 미나모토노 사다무(源定)의 손자로 히젠노카미(肥前守)를 지냈던 미나모토노 우카부(源浮)나, 후지와라노 사네스케(藤原実資)의 일기 《소우기(小右記)》 조와(長和) 5년조에 히젠노카미로 임명된 미나모토노 기쿠(源聞)라는 인물이 언급된다. 또한 1019년 도이의 입구(刀伊の入寇) 사건에서 방어전을 치렀던 지휘자 가운데 '전임 히젠노스케(前肥前介) 미나모토노 아키라(源知)'라는 인물이 있었다. 이와 같이 1069년 이전에도 마쓰라 일족의 선조로 생각되는 인물이 고쿠시(国司)나 재청관인(在庁官人) 등으로 활동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9]
3. 구성
마쓰라토에 속한 주요 가문들은 다음과 같다.가문명(한자) 가문명(발음) 伊万里氏 이마리씨 河原氏 카와라씨 久木島氏 쿠키시마씨 城氏 조씨 久保田氏 쿠보타씨 山代氏 야마시로씨 楠久氏 쿠스쿠씨 八並氏 야나미씨 船原氏 후나하라씨 有田氏 아리타씨 廣瀬氏 히로세씨 牟田部氏 무타베씨 吉野氏 요시노씨 松田氏 마츠다씨 杉浦氏 스기우라씨 鷹嶌氏 타카시마씨 大曲氏 오마가리씨 福島氏 후쿠시마씨 斑嶋氏 마라시마씨 千秋氏 센슈씨 赤木野氏 아카기노씨 松浦氏 마츠우라씨 吉田氏 요시다씨 小倉氏 오구라씨 庄山氏 쇼야마씨 早田氏 소다씨 志佐氏 시사씨 御厨氏 미쿠리야씨 中尾氏 나카오씨 松倉氏 마츠쿠라씨 河原田氏 카와라다씨 宮田氏 미야타씨 弓張氏 유미하리씨 樋口氏 히구치씨 船木氏 후나키씨 坂本氏 사카모토씨 畑嶋氏 하타시마씨 小窪氏 코쿠보씨 松野氏 마츠노씨 佐井氏 사이씨 中村氏 나카무라씨 田平氏 타이라씨 峯氏 미네씨 武尾氏 타케오씨 田代氏 타시로씨 江迎氏 에무카에씨 松尾氏 마츠오씨 小佐々氏 코사사씨 豐田氏 토요다씨 武末氏 타케스에씨 相神浦氏 아이노카미우라씨 相浦氏 아이우라씨 早岐氏 사키씨 赤羽氏 아카바네씨 針尾氏 하리오씨 佐々氏 사사씨 八木氏 야기씨 紐差氏 뉴사시씨 志々岐氏 시지키씨 中津良氏 나카츠라씨 小佐々氏 코사사씨 津吉氏 츠요시씨 公文氏 쿠몬씨 鮎川氏 아유카와씨 一部氏 이치베씨 大島氏 오시마씨 宇久氏 우쿠씨 馬場氏 바바씨 玉浦氏 타마우라씨 小値賀氏 오치카씨 青方氏 아오카타씨 白魚氏 시라우오씨 有河氏 아리카와씨 曽禰氏 소네씨 奈摩氏 나마씨
마쓰라토 구성원 대다수는 사가 겐지 와타나베토 마쓰라씨 계통으로 서로 먼 친척 관계였지만, 일부는 오슈 아베씨 후손도 포함되었다. 이들은 미나모토노 요시이에에게 패하여 무나카타로 유배된 아베노 무네토의 자손이었다.
4. 역사
13세기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 당시 마쓰라토는 몽골군과 교전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히젠 국 마쓰라 군에서 사시 후사시(佐志房)와 그의 세 아들은 몽골군과 교전하다 전사했고, 마쓰라토 소속 수백 명이 죽거나 포로가 되었다. 마쓰라는 쓰시마, 이키에서처럼 몽골군에 짓밟혔다.[1]
고다이고 천황을 중심으로 막부 타도 세력이 각지에서 봉기했을 때, 마쓰라토의 여러 가문은 각 가장의 판단에 따라 다른 입장을 취했다. 1336년(겐무 3년) 3월, 교토에서의 권력 투쟁에 패한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재기를 노리고 규슈로 피신했을 때, 마쓰라토의 일부 가문은 그를 공격했으나, 다타라하마 전투에서 다카우지 측이 승리하자 마쓰라토는 다카우지 측으로 돌아섰다.[2] 이후 마쓰라토는 아시카가씨와 같은 겐지 일족임을 내세우며 세력을 확장했다.[2]
규슈 단다이(九州探題) 이마가와 료슌(今川了俊)은 마쓰라토와 잇큐(一揆) 계약을 맺어 이들을 회유하려 했다. 1373년(오안 6년)부터 1392년(메이토쿠 3년)까지 약 20년 동안 마쓰라토의 잇큐 계약서가 4번 체결되었다.[2]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다타라하마 전투에서 승리한 후 규슈 경영을 시도했고, 남조는 고코쿠 3년 가네요시 친왕을 정서장군궁으로 삼아 규슈 지역에서 세력을 결집하려 했다. 간노의 소란으로 아시카가 다다후유가 규슈로 내려오면서, 규슈는 북조와 막부, 남조, 아시카가 다다후유 세 진영 간의 싸움에 휘말렸고, 마쓰라토 역시 각 세력의 이해득실에 따라 행동했다.
오안 4년 이마가와 료슌은 마쓰라토와 잇큐 계약을 맺는 정책을 추진했다. 오안 6년부터 메이토쿠 3년까지 약 20년간 네 차례에 걸쳐 잇큐 계약장이 체결되었다.[10]
마쓰라 씨는 거주 지역에 따라 상마쓰라 씨와 하마쓰라 씨로 크게 나뉘었다. 상마쓰라 씨는 기시타케 성을 중심으로 큰 세력을 가졌지만, 전국 시대에 멸망했다. 하마쓰라 씨의 방계인 히라도 마쓰라 씨는 센고쿠 다이묘로 성장하여,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옛 영토를 인정받아 히라도 번 의 도자마 다이묘로 존속했다.
히라도 마쓰라 씨는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로 성장하여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옛 영지를 인정받아 히라도 번 의 도자마 다이묘(外様大名)로서 존속했다.[1]
4. 1. 가마쿠라 시대
마쓰라토는 헤이케(平家)의 게닌(家人)으로 겐페이 전쟁 때 헤이케 측 수군으로 활약했다. 단노우라 전투 막바지에 겐지(源氏) 측에 가담하여 공을 세워 가마쿠라 막부의 고케닌(御家人)이 되었다. 규슈 북부 지토(地頭)직에 임명되었으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이들을 완전히 신뢰하지 않아 쇼니씨(少弐氏), 시마즈씨(島津氏), 오토모씨(大友氏) 등의 아래에 두었다.[1]
13세기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 당시 마쓰라토는 몽골군과 교전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히젠 국 마쓰라 군에서 사시 후사시(佐志房)와 그의 세 아들은 몽골군과 교전하다 전사했고, 마쓰라토 소속 수백 명이 죽거나 포로가 되었다. 마쓰라는 쓰시마, 이키에서처럼 몽골군에 짓밟혔다.[1]
4. 2. 남북조 시대
고다이고 천황을 중심으로 막부 타도 세력이 각지에서 봉기했을 때, 마쓰라토의 여러 가문은 각 가장의 판단에 따라 다른 입장을 취했다. 어떤 이들은 고다이고 천황의 봉기를 촉구하는 윤지(綸旨)에 응했고, 어떤 이들은 기존의 막부 세력인 호조 나가토키를 따랐다.[2] 1336년(겐무 3년) 3월, 교토에서의 권력 투쟁에 패한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재기를 노리고 규슈로 피신했을 때, 마쓰라토의 일부 가문은 기쿠치 다케토시를 도와 다카우지를 공격했다. 그러나 다타라하마 전투에서 다카우지 측이 승리하자, 마쓰라토는 다카우지 측으로 돌아섰다.[2] 이후 마쓰라토는 아시카가씨와 같은 겐지 일족임을 내세우며 세력을 확장했다. 마쓰라 일족이 아닌 마쓰라 지방의 다른 씨족들도 혼인 관계를 통해 마쓰라 일족임을 주장했다.[2]
규슈 단다이(九州探題) 이마가와 료슌(今川了俊)은 마쓰라토와 잇큐(一揆) 계약을 맺어 이들을 회유하려 했다. 마쓰라토의 잇큐(一揆) 계약서는 1373년(오안 6년)부터 1392년(메이토쿠 3년)까지 약 20년 동안 4번 체결되었다.[2]
4. 3. 무로마치 시대와 센고쿠 시대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다타라하마 전투에서 승리한 후 잇시키 노리우지를 규슈 단다이로 임명하여 규슈 경영을 시도했다. 한편, 남조는 고코쿠 3년(1342년) 고다이고 천황의 아들 가네요시 친왕을 정서장군궁으로 삼아 사쓰마로 보내 기쿠치 씨를 중심으로 규슈 지역에서 세력을 결집하려 했다. 간노의 소란으로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서자이자 다다요시의 양자였던 아시카가 다다후유가 규슈로 내려오면서, 규슈는 북조와 막부, 남조, 아시카가 다다후유 세 진영 간의 싸움에 휘말렸다. 이들은 각자 규슈 현지 세력을 끌어들이려 했고, 마쓰라토 역시 각 세력의 이해득실에 따라 행동했다.
오안 4년(1371년), 규슈 단다이로 임명된 이마가와 료슌은 마쓰라토와 지연적 관계에 기반한 잇큐 계약(一揆契約)을 맺는 정책을 추진했다. 마쓰라토의 잇큐 계약장은 오안 6년(1373년)부터 메이토쿠 3년(1392년)까지 약 20년간 네 차례에 걸쳐 체결되었다.[10]
마쓰라 씨는 거주 지역에 따라 상마쓰라 씨와 하마쓰라 씨로 크게 나뉘었다. 상마쓰라 씨는 마쓰라 히사 이래 마쓰라 지방의 기시타케 성을 중심으로 큰 세력을 가졌지만, 그 최대 세력인 하타 씨는 전국 시대에 멸망했다. 하마쓰라 씨의 방계인 히라도 마쓰라 씨는 센고쿠 다이묘로 성장하여,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옛 영토를 인정받아 히라도 번 의 도자마 다이묘로 존속했다.
4. 4. 에도 시대
히라도 마쓰라씨는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로 성장하여 시게노부 대에 이르러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옛 영지를 인정받아 히라도번(平戸藩) 석의 도자마 다이묘(外様大名)로서 존속할 수 있었다.[1]
5. 대외 관계
마쓰라 일족은 섬이 많고 해안선이 복잡한 바닷가 지역으로, 한반도 및 중국 대륙과 바다를 끼고 인접해 있었다. 따라서 배를 이용해 고려나 송과 무역할 기회가 많았다. 이들은 배를 이용해 생활했기 때문에 수군이자 해적이라는 이미지가 중앙 귀족 등 일반층에게까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9]
마쓰라토는 해상 활동을 통해 중국과 교역하거나 연안을 약탈하는 왜구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5. 1. 한국과의 관계
가로쿠(嘉禄) 원년(1225년)경부터 마쓰라토가 고려에 쳐들어 간 것이 왜구(倭寇)의 시원이 되었다. 후지와라노 사다이에(藤原定家)의 일기 《메이게쓰기》(明月記)에는 가로쿠 2년(1226년) 쓰시마(対馬)가 고려와 항쟁을 벌이고 있었다는 것과, 마쓰라토가 병선 수십 척을 거느리고 고려로 쳐들어 갔다는 것을 전하고 있다.[11] 가마쿠라 시대의 역사서인 《아즈마카가미》(吾妻鏡) 조에이(貞永) 원년(1232년) 윤9월 17일조에 따르면 히젠 국 가가미노야시로(鏡社, 일본 사가현 가라쓰시 가가미鏡) 주인(住人)이 고려에 건너가서 야간 기습을 행해 많은 진기한 보물들을 훔쳐 귀국하였다고 기술되어 있다. 해적 활동에 고민하던 고려는 가마쿠라 막부에 사절을 보내 단속 강화를 요청해 왔다. 이를 수락한 막부는 히젠 국의 슈고(守護) 무토 스케요리(武藤資頼)에게 명해 해적 행위 장본인으로 보이는 쓰시마 사람 90명을 잡아 고려 사신이 보는 앞에서 처형하게 했다. 이때 처형된 자들 가운데 마쓰라토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12] 여원연합군의 일본원정 이후에 이들의 고려 공격은 더욱 심해졌다. 훗날 조선 왕조에서도 고려 왕조에 이어 사자를 보내 해적 행위 금절을 위한 교섭을 행했고,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인 가키쓰(嘉吉) 원년(1441년)부터 분메이(文明) 3년(1471년) 사이 마쓰라토와 세견선(歳遣船)의 수를 결정하는 약조가 체결되었다.[13]5. 2. 중국과의 관계
마쓰라토는 해상 활동을 통해 중국과 교역하거나 연안을 약탈하는 왜구 활동을 벌였다. 덴분 11년(1542년), 명나라 사람 왕즈는 영주 마쓰라 다카노부의 우대를 받아 히라도를 근거지로 밀무역을 시작했다.[6] 왕즈는 중국 연안은 물론, 루손, 안남, 샴, 말라카 등에 항로를 개척하여 대륙 물자의 도입에 힘썼고, 히라도는 번성하게 되었다.[6] 그 후에는 이단, 정지룡 등이 오면서 중국과 마쓰라토의 관계는 밀접해졌다.[6] 정지룡은 히라도에서 일본 여인과의 사이에서 정성공을 낳았다.참조
[1]
서적
松浦党研究とその軌跡
青史出版
2010
[2]
서적
松浦党研究とその軌跡
青史出版
2010
[3]
문서
鎮西凶党等(号松浦党),構数十艘兵船,行彼国之別島合戦,滅亡民家,掠取資材
嘉禄二年
[4]
서적
松浦党研究とその軌跡
青史出版
2010
[5]
서적
史都平戸-年表と史談-
2000
[6]
서적
史都平戸-年表と史談-
2000
[7]
웹사이트
松浦山代家文書
https://bunka.nii.ac[...]
[8]
웹사이트
青方文書
https://www.pref.nag[...]
[9]
서적
松浦党研究とその軌跡
青史出版
2010
[10]
서적
松浦党研究とその軌跡
青史出版
2010
[11]
문서
鎮西凶党等(号松浦党),構数十艘兵船,行彼国之別島合戦,滅亡民家,掠取資材
嘉禄二年
[12]
서적
松浦党研究とその軌跡
青史出版
2010
[13]
서적
역사도시 히라도(平戸) - 연표와 역사 대담-(史都平戸-年表と史談-)
2000
[14]
서적
역사도시 히라도(平戸) - 연표와 역사 대담-(史都平戸-年表と史談-)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