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야 (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야는 산스크리트어로 "환상"을 의미하며, 힌두교, 불교, 시크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힌두교에서는 마야가 현실을 가리는 힘, 즉 브라만의 현현으로 묘사되며, 베단타 학파에서 특히 강조된다. 불교에서는 마야가 현상의 실재성에 대한 오해를 의미하며, 초기 불교 경전부터 대승 불교의 반야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된다. 시크교에서는 물질주의적 환상으로, 자이나교에서는 정견을 방해하는 속임수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착각 - 착각주의
착각주의는 자유 의지에 대한 믿음이 비록 환상일지라도 사회적 협력과 도덕적 책임감을 증진시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으로, 스밀란스키의 연구를 통해 옹호되며 철학적 비판과 함께 한국 사회의 윤리관과 법적 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 불교 교의 - 카마
카마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감각적 즐거움, 정서적 매력, 미적 쾌락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힌두교에서는 삶의 네 가지 목표 중 하나이며, 불교에서는 깨달음의 장애물로 여겨진다. - 불교 교의 - 다르마
다르마는 인도 철학과 종교에서 우주적 질서, 법, 의무, 진리, 가르침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핵심 개념으로, 각 종교와 철학적 학파에 따라 해석과 중요성이 다르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윤리적, 도덕적 가치관의 지침이 된다. - 힌두 철학 개념 - 간디주의
간디주의는 마하트마 간디의 사상을 따르는 철학으로, 비폭력, 진리 추구, 자급자족 경제, 사회 정의를 핵심 가치로 삼고, 사티아그라하와 아힘사를 통해 사회 변화를 추구하며,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힌두 철학 개념 - 아바타라
아바타라는 신이나 초월적 존재가 인간이나 동물의 형태로 강림하는 것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용어로, 힌두교에서는 특히 비슈누의 화신을 지칭하며 다르마 회복과 악의 소멸을 위해 나타나는 존재를 뜻한다.
마야 (종교) | |
---|---|
기본 정보 | |
![]() | |
어원 | 산스크리트어: माया (māyā) 어근: "mā" (측정하다, 형성하다, 건설하다, 창조하다) |
의미 | 속임수, 예술, 마법, 환영 현실의 환상 현실의 무상함 이름과 형태의 세계 개인의 진정한 자아를 가리는 장막 |
철학적 중요성 | |
힌두교 | 베단타 학파: 브라만의 힘, 세계의 환상 요가 학파: 고통의 원인, 무지 (아비디야) 상키아 학파: 프라크리티 (근본적인 여성적 창조 에너지)의 산물 |
불교 | 속임수 (마야) 환상 (마야) |
관련 개념 | |
힌두교 | 무지 (아비디야) 리아 |
불교 | 속임수 (마야) 환상 (마야) |
2. 어원 및 용어
'''마야'''(산스크리트어: मायाsa)는 어원이 불분명한 단어로, 아마도 "측정하다"를 의미하는 어근 ''mā''[9][10][11][12]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6][13]
모니에 윌리엄스에 따르면, ''마야''는 초기에는 "지혜와 특별한 힘"을 의미했지만, 베다 시대 이후에는 "환상, 비현실, 속임수, 사기, 마법, 마술"을 의미하게 되었다.[14][8] 그러나 P. D. 샤스트리는 모니에 윌리엄스의 정의가 "느슨하고 오해의 소지가 있는 일반화"이며 고대 베다 및 중세 시대 산스크리트어 문헌 해석에 정확하지 않다고 주장하며, ''마야''의 더 정확한 의미는 "단순한 환상이 아닌 외관"이라고 제안한다.[15]
윌리엄 마호니는 이 단어의 어원이 ''man-'' 또는 "생각하다"일 수 있으며, 이는 세상의 창조에서 상상의 역할을 암시한다고 말한다. 마호니는 초기 베다 시대의 용법에서 이 용어가 "아이디어를 물리적 현실로 바꾸는 경이롭고 신비로운 힘"을 암시한다고 설명한다.[16][17]
프랭클린 사우스워스는 이 단어의 기원이 불확실하며, ''마야''의 다른 가능한 어원에는 신비화, 혼란, 취하게 하다, 속이다를 의미하는 ''may-''와 "사라지다, 잃다"를 의미하는 ''māy-''가 포함된다고 말한다.[18]
얀 곤다는 이 단어를 "어머니"를 의미하는 ''mā''[9]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며, 트레이시 핀치만[19]과 아드리안 스노드그래스도 마찬가지이다.[11] 이는 락슈미와 두르가와 같은 여신에게 바쳐진 칭호 역할을 한다.[9][20]
"마법의 힘"을 의미하는 비슷한 단어가 아베스타어 ''마야''에서도 발견된다.[21]
마야는 다음 하나 이상의 환상 유형을 지칭할 수 있다.
- 이 세상의 영원성에 대한 환상: 세포, 인간, 별을 포함한 모든 것은 죽음과 부활의 자체 순환을 따른다.
- 각 개인이 세상/생태계와 독립되어 있다는 환상: 현실은 살아있는 존재가 다른 측면(살아있는 존재)을 경험하는 하나님의 한 측면이다. 이 생태계에는 상호 의존적인 농부, 버스/기차 운전사, 가게 주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이 포함된다.
- 끊임없이 진화하는 우리의 욕망이 충족될 수 있다는 환상: 우리는 무언가를 갈망하고 그 욕망이 충족되면 행복해질 것이라고 느낀다. 그러나 그것이 충족되면 우리는 다른 것을 갈망한다.
3. 힌두교
마야는 베단타 철학에서 자주 언급되는 중요한 개념이다.[64][65] 베단타 철학에서 마야는 복잡한 개념이며, 그 해석은 베단타 학파에 따라 다르다.
3. 1. 문헌
베다에서 "마야"와 관련된 단어("Mayava" 등)는 여러 번 나타나는데, 이 단어들은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그 해석은 논쟁의 대상이 된다.[22] 어떤 단어들은 기원전 1천년 및 그 이후의 문헌에는 등장하지 않는 신들의 이름이기도 하다. 리그 베다에서 '마야'는 "마법, 환상, 힘"이라는 후대의 맥락에서 여러 찬가에 나타난다. 마야-베다 (मायाभेद:, 환상 식별)라는 제목의 찬가(10.177.1~10.177.3)는 선과 악의 전투를 묘사한다.[23]위 마야-베다 찬가는 빛(태양)과 마법(아수라의 환상)에 영향을 받는 마음의 대조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이 찬가는 자신의 적을 식별하고, 기만을 인식하며, 마음을 사용하여 인식된 것과 인식되지 않은 것을 구별하라고 말한다.[24] 리그 베다는 '마야'를 항상 좋거나 나쁜 것으로 보지 않고, 단지 기술, 정신력, 수단의 형태로 본다.[25] 리그 베다는 신성한 마야와 비신성한 마야 두 종류를 언급하며, 전자는 진실의 기초이고 후자는 거짓의 기초임을 암시한다.[26]
베다 신화에서 인드라는 마야를 사용하여 브리트라를 정복하고,[27] 바루나의 초자연적인 힘은 마야라고 불린다.[14] 여기서 '마야'는 신(데바)과 악마(아수라)가 서로 사용하는 강력한 마법을 의미한다.[14] 야주르베다에서 '마야'는 헤아릴 수 없는 계획이다.[28] 아이타레야 브라흐마나에서 마야는 신과 희생에 적대적인 Dirghajihvi라고도 불린다.[29] 아타르바 베다 8권 10장의 찬가는 원초적인 여성 '비라지'(विराज्|비라지sa, 수석 여왕)가 신, 악마, 인간 등에게 지식을 주고, 그들이 그녀의 삶을 비참하게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수라(악마)는 그녀를 마야라고 부른다고 설명한다.
아타르바 베다에서 마야는 "창조의 힘"을 의미한다.[25] 곤다는 베다 문학에서 마야의 중심 의미가 "무언가를 창조하고, 고안하고, 실행하게 해주는 지혜와 힘"이라고 제안한다.[31][32] 마야는 그것을 만드는 숨겨진 원리와 암묵적인 지식을 드러내지 않는, 실제적이고 물질적인 형태를 가진 모든 것(인간, 비인간 포함)을 의미한다.[31] 예를 들어, 리그 베다 VII.104.24와 아타르바 베다 VIII.4.24에서 인드라는 마법사의 마야('신기루'와 같은 환영)에 대항하여 소환된다.[33]
우파니샤드는 우주와 인간 경험을 푸루샤(영원하고 변치 않는 원리, 의식)와 프라크리티(일시적이고 변화하는 물질 세계, 자연)의 상호 작용으로 묘사한다.[35] 전자는 아트만(영혼, 자아)으로, 후자는 마야로 나타난다. 우파니샤드는 아트만에 대한 지식을 "참된 지식"('Vidya'), 마야에 대한 지식을 "참된 지식이 아닌 지식"('Avidya', 무지, 인식 부족)이라고 한다.[25] 브리하다라니야카 우파니샤드에서 마야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경향(예: 신체를 가진 아트만)"이라고 묘사된다.[25] 우파니샤드에서 완전한 앎은 작용하는 숨겨진 원리를 이해하고, 사물의 영혼을 깨닫는 것을 포함한다.
헨드릭 브룸은 "'마야'는 '환영'으로 번역되어 왔지만, 이는 일반적인 환영과는 관련이 없다. 여기서 '환영'은 세상이 현실이 아니고 단지 인간 상상력의 산물이라는 의미가 아니다. '마야'는 세상이 보이는 대로가 아니고, 사람이 경험하는 세상은 진정한 본질에 관해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36] 린 파울스턴은 "세상은 존재하지만 '보이는 모습이 아니기' 때문에 현실적이면서도 비현실적이다"라고 말한다.[3] 웬디 도니거는 "우주가 환영(마야)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것이 비현실적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보이는 모습이 아니고,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마야는 사람들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대해 속일 뿐만 아니라, 더 근본적으로는 그들의 지식을 제한한다."라고 말한다.[37]
마야는 브라만(궁극적인 원리, 의식)보다 먼저 존재하고 공존한다.[38] 마야는 지각된 현실이며, 숨겨진 원리, 즉 진정한 현실을 드러내지 않는다. 마야는 무의식이고, 아트만은 의식이다. 마야는 문자적 의미이고, 브라만은 비유적인 ''우파다나''(원리, 원인)이다.[38] 우파니샤드는 마야가 시간, 상황, 자연의 보이지 않는 원인에 따라 태어나고, 변화하고, 진화하고, 죽는다고 말한다. 아트만-브라만은 영원하고 변치 않으며, 보이지 않는 원리, 영향을 받지 않는 절대적이고 찬란한 의식이다. 아치볼드 고는 우파니샤드에서 마야 개념은 "브라만과 함께 미리 존재하는, 발생하거나 파생된 모든 존재의 무관심한 집합체"이며, 마치 미래의 나무가 나무의 씨앗 속에 미리 존재하는 것과 같다고 설명한다.[38]
마야의 개념은 수많은 우파니샤드에 나타난다. 스베타스바타라 우파니샤드 4.9절에서 4.10절은 브라만(Supreme Soul)이 숨겨진 현실이고, 자연은 마법이며, 브라만은 마법사이고, 인간은 마법에 매료되어 환상과 망상에 묶이며, 자유와 해방을 위해서는 숨겨진 마법의 배후에 있는 원리에 대한 진정한 통찰과 정확한 지식을 추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장 오래 명시적으로 나타낸다.[39] 만두키아 우파니샤드에 대한 가우다파다의 카리카는 아트만과 마야의 상호 작용을 설명한다.[40]
사르바사라 우파니샤드는 ''미티야''와 ''마야'' 두 가지 개념을 언급한다.[41] ''미티야''는 환영으로 정의되며, 사트(존재, 참) 및 아사트(비존재, 거짓)와 함께 세 가지 종류의 실체 중 하나이다. 사르바사라 우파니샤드는 ''마야''를 아트만이 아닌 모든 것으로 정의한다. 마야는 시작이 없지만 끝이 있다. 사르바사라는 마야는 연구하고 증명하고 반증할 수 있는 모든 것, 구나를 가진 모든 것이라고 선언한다.[41] 인간의 자기 지식 탐구에서 마야는 개인을 가리고, 혼란스럽게 하고, 산만하게 하는 것이다.[41]
4. 불교
대승 불교에서 마야는 반야경의 중요한 주제이다.
반야경에서는 모든 법(현상)은 환상과 같은 것이며, 그것은 오온에 국한되지 않고, 보살이나 열반조차도 포함한 모든 존재가 그렇다고 설하고 있다.[75]
5. 시크교
시크교에서 세계는 일시적이며 상대적으로 실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95] 신은 유일한 실재로 여겨지지만, 신 안에는 의식적인 영혼과 비의식적인 대상이 모두 존재하며, 이러한 창조된 대상도 실재한다.[95] 자연 현상은 실재하지만, 그 현상이 만들어내는 결과는 실재하지 않다. 마야(구르무키어: ਮਾਇਆ)는 사건이 실재하지만 그 결과가 실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렇지 않다. 시크교는 사람들이 욕망, 분노, 탐욕, 애착, 자만심의 다섯 가지 악덕 때문에 세상에 갇혀 있다고 믿는다. 마야는 이 다섯 가지 악덕을 가능하게 하며, 사람이 물리적인 세계를 "실재"라고 생각하게 하는 반면, 시크교의 목표는 그들로부터 자아를 제거하는 것이다.
달이 없는 밤에 땅에 놓인 밧줄을 뱀으로 착각할 수 있다. 밧줄만 실재하고 뱀은 실재하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러나 밧줄을 인지하지 못하면 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발생한다. 어둠이 사라지면 밧줄만 남고 뱀은 사라진다.
- ''Sakti adher jevarhee bhram chookaa nihchal siv ghari vaasaa.''
마야의 어둠 속에서 밧줄을 뱀으로 착각했지만, 이제 그것은 끝났고, 이제 저는 주님의 영원한 집에 거합니다.
(스리 구루 그란트 사히브 332). - ''Raaj bhuiang prasang jaise hahi ab kashu maram janaaiaa.''
밧줄을 뱀으로 착각한 이야기처럼, 그 신비가 이제 저에게 설명되었습니다. 마치 금이라고 착각했던 많은 팔찌처럼; 이제 저는 그때 제가 말했던 것을 말하지 않습니다. (스리 구루 그란트 사히브 658).[96]
일부 신화에서 뱀의 상징은 돈과 연관되었으며, 현대 펀자브어에서 마야는 돈을 의미한다. 그러나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서 마야는 물질주의의 "거대한 환상"을 의미한다. 이 마야에서 모든 다른 악이 생겨나지만, 마야의 본질을 이해함으로써 사람은 영성에 접근하기 시작한다.
- ''Janam baritha jāṯ rang mā▫i▫ā kai. ||1|| rahā▫o.''
마야에 대한 사랑으로 이 삶을 헛되이 낭비하고 있습니다.
(스리 구루 그란트 사히브 M.5 구루 아르잔 ANG 12)
시크 구루의 가르침은 세바(이타적인 봉사)와 심란(기도, 명상 또는 자신의 진정한 죽음을 기억하는 것)의 개념을 강조한다. 이 두 가지 개념과 시크교의 핵심은 상가트(회중)에서 비롯된다. 참된 성도의 회중에 참여함으로써 사람은 구원받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서 설명한 것처럼 물질주의의 허위 의식으로 고통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 ''Mā▫i▫ā mohi visāri▫ā jagaṯ piṯā parṯipāl.''
마야에 대한 애착으로 그들은 세상의 아버지이신 옹호자를 잊었습니다.
(스리 구루 그란트 사히브 M3 구루 아마르 다스 ANG 30) - ''Ih sarīr mā▫i▫ā kā puṯlā vicẖ ha▫umai ḏustī pā▫ī.''
이 몸은 마야의 꼭두각시입니다. 자만심의 악이 그 안에 있습니다.
(스리 구루 그란트 사히브 M3 구루 아마르 다스) - ''Bābā mā▫i▫ā bẖaram bẖulā▫e.''
오 바바, 마야는 그 환상으로 속입니다.
(스리 구루 그란트 사히브 M1 구루 나나크 ANG 60)
6. 자이나교
자이나교에서 '''마야'''(Maya)는 삼야크트바(정견)를 방해하는 현상 또는 속임수를 의미한다. 마야는 정견에 도달하지 못하는 세 가지 원인 중 하나이다. 나머지 두 가지는 '''미티야트바''', 즉 그릇된 믿음[89]과 '''니다나''', 즉 명성과 세속적 쾌락에 대한 갈망이다.[90]
마야는 미티야트바와 밀접하게 관련된 개념으로, 마야는 그릇된 정보의 근원이며, 미티야트바는 지식에 대한 개인의 태도이다.
스베탐바라 자이나교는 미티야트바 아래 그릇된 믿음의 범주를 다섯 가지로 분류한다.
종류 | 설명 |
---|---|
아비그라히카 (Abhigrahika) | 자신의 경전만을 고수하며 다른 경전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을 거부하는 그릇된 믿음 |
아나비그라히카 (Anabhigrahika) | 모든 신, 스승, 경전에 동등한 존경을 보여야 한다는 그릇된 믿음 |
아비니비세카 (Abhiniviseka) | 선입견에서 비롯된 분별력 부족 및 거부로 인한 그릇된 믿음 |
삼사야이카 (Samsayika) | 다양한 상충되고 일치하지 않는 믿음 사이의 주저함 또는 불확실성의 상태 |
아나보기카 (Anabhogika) | 사람이 스스로 생각하지 않은 타고난 기본적 그릇된 믿음 |
디감바라 자이나교는 미티야트바 아래 그릇된 믿음의 범주를 일곱 가지로 분류한다.
종류 | 설명 |
---|---|
에칸티카 (Ekantika) | 절대적이고 일방적인 그릇된 믿음 |
삼사야이카 (Samsayika) | 어떤 행동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불안정한 믿음, 회의론에 대한 불확실성, 의심 |
바이나이카 (Vainayika) | 비판적인 검토 없이 모든 신, 구루 및 경전이 동일하다는 그릇된 믿음 |
그리타 (Grhita) | 습관이나 기본 설정에서 순전히 파생된 그릇된 믿음, 자기 분석 없음 |
비파리타 (Viparita) | 진실이 거짓이고 거짓이 진실이라는 그릇된 믿음, 모든 것이 상대적이거나 수용 가능함 |
나이사르기카 (Naisargika) | 모든 생명체가 의식이 없고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없다는 그릇된 믿음 |
무다-드리스티 (Mudha-drsti) | 폭력과 분노가 생각, 신성, 구루 또는 달마를 훼손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다는 그릇된 믿음 |
[91]
마야(Māyā, 속임수)는 또한 자이나교 철학에서 네 가지 '''카샤야''''(Kaṣaya, 잘못된 열정, 행동의 방아쇠) 중 하나로 간주된다. 나머지 셋은 '''크로다''''(Krodha, 분노), '''마나''''(Māna, 자만심), '''로바''''(Lobha, 탐욕)이다.[92] 고대 자이나교 경전은 이러한 네 가지 과오를 억제해야 한다고 권고하며, 이는 속박, 애착, 비영적 열정의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93]
: "그가 자신에게 좋은 것을 원할 때, 그는 악을 증가시키는 네 가지 과오인 크로다, 마나, 마야, 로바를 제거해야 한다. 억제되지 않은 분노와 자만심, 그리고 발생하는 속임수와 탐욕: 이 네 가지 검은 열정은 모두 윤회의 뿌리에 물을 준다."
: 아리아 사얌바바, 다사와이칼리카 수트라, 8:36–39[94]
참조
[1]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A-M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2]
서적
The Essentials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3]
서적
Hindu Goddesses: 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Press
[4]
뉴스
Maya
https://www.britanni[...]
[5]
간행물
Kindle Locations 900–901
[6]
간행물
p. 25
[7]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A-M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8]
웹사이트
mAyA
http://www.sanskrit-[...]
2016-08-24
[9]
간행물
Four studies in the language of the Veda
[10]
서적
The Rise of the Goddess in the Hindu Tra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0]
서적
Maya in Radhakrishnan's Thought: Six Meanings other than Illusion
Motilal Banarsidass
[11]
서적
The Symbolism of the Stup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2]
간행물
Bangala Bhasar Abhidhaan (Dictionary of the Bengali Language)
Shishu Sahitya Samsad Pvt Ltd
[13]
서적
On Being and What There Is: Classical Vaisesika and the History of Indian Ontol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4]
서적
The Indian Theogony: A Comparative Study of Indian Mythology from the Vedas to the Puraṇa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15]
서적
The Doctrine of Maya
https://archive.org/[...]
Luzac & Co, London
[16]
서적
The Artful Universe: An Introduction to the Vedic Religious Imagin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7]
서적
Maya: Divine And Human
Motilal Banarsidass
[18]
서적
Linguistic Archaeology of South Asia
Routledge
[19]
서적
The Rise of the Goddess in the Hindu Tra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
간행물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nd Philologically Arranged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A History of Zoroastrianism: The Early Period
Brill Academic
[22]
서적
Vedic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Discovery Publishing House
[23]
서적
Bringing the Gods to Mind:Mantra and Ritual in Early Indian Sacrifi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24]
서적
Bringing the Gods to Mind:Mantra and Ritual in Early Indian Sacrifi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25]
서적
A Comparative History of World Philosophy: From the Upanishads to Kan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6]
서적
The Secret of the Veda
Sri Aurobindo Ashram Press
[27]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8]
간행물
Thinking with the Yajurveda
Asia Publishing House
[29]
간행물
Goddessess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30]
기타
अथर्ववेद: काण्डं 8
[30]
기타
Atharva Veda
[31]
서적
Maya: Divine And Human
Motilal Banarsidass
[32]
간행물
Maya
https://www.jstor.or[...]
[32]
간행물
Some Notes on the Study of Ancient-Indian Religious Terminology
https://www.jstor.or[...]
[33]
서적
Maya: Divine And Human
Motilal Banarsidass
[34]
서적
World Religions: A Voyage of Discovery
Saint Mary's Press
[35]
기타
The Philosophy of the Upanishads
https://books.google[...]
[36]
서적
No Other Gods
Wm. B. Eerdmans Publishing
1996
[37]
서적
Dreams, Illusion, and Other Reali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38]
서적
The Philosophy of the Upanishads and Ancient Indian Metaphysics
Routledge
2001
[39]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40]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Volume 2
Motilal Banarsidass
[41]
간행물
Sarvasara Upanishad, in Thirty Minor Upanishads
1914
[42]
서적
The Indian Theogony: A Comparative Study of Indian Mythology from the Vedas to the Puraṇas
CUP Archive
1970
[43]
서적
The Triumph of the Goddess: The Canonical Models and Theological Visions of the Devi-Bhagavata Purana
SUNY Press
1990
[44]
웹사이트
":: TVU ::"
http://www.tamilvu.o[...]
[45]
서적
Krishna: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46]
웹사이트
Devotion to Mal (Mayon)
http://www.philtar.a[...]
[47]
서적
Encyclopedia of Indian Iconography: Hinduism — Buddhism — Jainism, Vol. 2
Sri Satguru Publications
2003
[48]
서적
Śaiva Siddhānta: An Indian School of Mystical Thought
Motilal Banarsidass
2000
[49]
간행물
Commentary on Brahma-sutras
https://archive.org/[...]
Advaita Ashrama
[50]
서적
Commentary on Taittiriya Upanishad
Harvard University Archives
[51]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Swami Vivekananda, Volume 7
[52]
서적
The Concise Yoga Vasisth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5
[53]
서적
A History of Early Vedānta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s
1990
[54]
서적
Maya: Divine And Human
Motilal Banarsidass
2008
[55]
서적
The Sánkhya Aphorisms of Kapila
Trubner's Oriental Series, Reprinted by Routledge (2000)
1885
[56]
문서
The Philosophy of the Upanishads and Ancient Indian Metaphysics
https://archive.org/[...]
[57]
서적
The Synthetic Philosophy of the Bhāgavata
Meharchand Lachhmandas
1974
[58]
서적
Epistemology in Classical India: The Knowledge Sources of the Nyaya School
Routledge
2012
[59]
서적
Perceiving in Advaita Vedānta: Epistemolog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Motilal Banarsidass
1995
[60]
서적
Maya: Divine And Human
Motilal Banarsidass
2008
[61]
서적
Maya: der indische Mythos
Insel-Verlag
1978
[62]
서적
Maya: Divine And Human
Motilal Banarsidass
2008
[63]
웹사이트
भगवद्गीता/ज्ञानविज्ञानयोगः
http://sa.wikisource[...]
[64]
서적
The Doctrine of Maya
https://archive.org/[...]
Luzac & Co, London
[65]
간행물
The Vedanta Philosophy and the Doctrine of Maya
https://www.jstor.or[...]
International Journal of Ethics, Vol. 24, No. 4
1914-07
[66]
서적
An introduction to Indian philosophy
Continuum
2011
[67]
학위논문
An understanding of Maya: The philosophies of Sankara, Ramanuja and Madhva
University of Pretoria
2019
[68]
간행물
Playful Illusion: The Making of Worlds in Advaita Vedānta
https://www.jstor.or[...]
Philosophy East and West, Vol. 48, No. 3
1998-07
[69]
서적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1955
[70]
서적
Mysticism in the Upanishads and Shankara's Vedanta
Routledge
1995
[71]
서적
Avidyā: A Problem of Truth and Reality
1969
[72]
서적
Advaita Vedānta: An Introduction
Motilal Banarsidass
2007
[73]
웹사이트
Maya and illusion
http://www.ramakrish[...]
[74]
문서
Berzin
2006
[75]
간행물
Is “Illusion” a Prajñāpāramitā Creation? The Birth and Death of a Buddhist Cognitive Metaphor.
Fo Guang University. Journal of Buddhist Philosophy
2016
[76]
웹사이트
māyā site:srigranth.org - Google Search
https://www.google.c[...]
[77]
문서
Connected Discourses of the Buddha Vol I p. 1087, n. 194
[78]
서적
The Magic of the Mind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974
[79]
서적
The Dzogchen Primer
Shambala, Boston
2002
[80]
서적
The Dzogchen Primer
Shambala, Boston
2002
[81]
서적
Nagarjuna's Mulamadhyamakakarika Prajna Nama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9
[82]
서적
Nagarjuna's Madhyamaka: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9
[83]
서적
The Emptiness of Emptiness: An Introduction to Early Indian Madhyamika
University of Hawaii Press, Honolulu
1989
[84]
서적
Highest Yoga Tantra: An Introduction to the Esoteric Buddhism of Tibet
Snow Lion Publications, Ithaca, NY
1986
[85]
서적
Dream Yoga And The Practice Of Natural Light
Snow Lion Publications, Ithaca, NY
[86]
웹사이트
Archived copy: the Doctrine of the Buddha and the Supreme Vehicle of Tibetan Buddhism. Part 1 - Buddhism: a Dzogchen Outlook
http://webdelprofeso[...]
2011-07-17
[87]
서적
Dream Yoga and the Practice of Natural Light
Snow Lion Publications, Ithaca, NY
[88]
서적
The Yoga Tradition:Its History, Literature, Philosophy and Practice
Hohm Press, Prescott, AZ
1998
[89]
서적
Outlines of Jainism
Jain Literature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90]
서적
Jaina Yoga: A Survey of the Mediaeval Śrāvakācāras
Motilal Banarsidass
1998
[91]
서적
Jaina Yoga: A Survey of the Mediaeval Śrāvakācāras
Motilal Banarsidass
1998
[92]
서적
Jaina Yoga: A Survey of the Mediaeval Śrāvakācāras
Motilal Banarsidass
1998
[93]
서적
The Jaina Path of Purification
Motilal Banarsidass
1998
[94]
서적
Harmless souls: karmic bondage and religious change in early Jain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Umāsvāti and Kundakund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95]
서적
Guru Granth Sahib: An Analytical Study
Singh Brothers, Amritsar
1992
[96]
웹사이트
DECEPTIVE MAYA (MAAYEE MAYA CHHALL)
http://www.gurbani.o[...]
[97]
간행물
Is “Illusion” a Prajñāpāramitā Creation? The Birth and Death of a Buddhist Cognitive Metaphor.
Fo Guang University. Journal of Buddhist Philosophy
2016
[98]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A-M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99]
서적
The Indian Theogony: A Comparative Study of Indian Mythology from the Vedas to the Puraṇa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1970
[100]
서적
The Essentials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2000
[101]
서적
Hindu Goddesses: 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Press
2009
[102]
서적
The Doctrine of Maya
https://archive.org/[...]
Luzac & Co, London
[103]
뉴스
Maya
https://www.britanni[...]
[104]
문서
Guenther
1975
[105]
문서
Kunsang
2004
[10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A-M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107]
웹인용
mAyA
http://www.sanskrit-[...]
2016-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