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 (이집트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아트(Maat)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진실, 정의, 조화의 여신으로 숭배받았다. 고왕국 시대부터 사회와 자연의 규범으로 여겨졌으며, 신왕국 시대에는 태양신 라의 딸이자 토트의 아내로서 숭배되었다. 마아트는 심장 무게 달기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파라오는 마아트의 상징과 함께 묘사되어 법과 정의를 지키는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고대 이집트 법과 사법 제도에 큰 영향을 미쳐 정의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서기관과 서기 학교를 통해 마아트의 윤리적 가치가 전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화의 신 - 네프티스
네프티스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집의 여주인" 또는 "사원의 여주인"으로 불리는 여신으로, 이시스의 자매이자 세트의 아내이며, 죽음, 장례 의식, 미라, 신 오시리스를 보호하고 아누비스의 어머니로 여겨지며 파라오 숭배 의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지혜의 신 - 성령
성령은 기독교 삼위일체 중 한 위격으로, 구원의 은총을 사람에게 적용하며, 신자에게 영적 은사와 능력을 부여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하는 역할을 한다. - 지혜의 신 - 로키
로키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트릭스터, 변신자 등의 별칭으로 불리며 신들에게 골칫거리와 도움을 동시에 주는 이중적인 면모를 보이고, 발드르 살해, 라그나로크에서의 활약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법의 신 - 테미스
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신성한 법과 질서를 주관하는 티탄 여신이자 제우스의 아내이며 호라이와 모이라이의 어머니로, 정의보다는 규율과 법에 가까운 개념을 나타내며 델포이 신탁과 관련된 신화에 등장한다. - 법의 신 - 바루나
바루나는 힌두교의 신으로, 베다 시대에는 천공신, 사법신, 수신으로 숭배받았으며, 불교에서는 수천으로, 이란 신화에서는 아후라 마즈다와 대응된다.
마트 (이집트 신화) | |
---|---|
개요 | |
![]() | |
역할 | 질서의 여신 |
숭배 중심지 | 모든 고대 이집트 도시 |
상징 | 저울, 타조 깃털, 균형 |
신성 문자 | |
배우자 | 토트 |
부모 | 라와 하토르 |
자녀 | 세샤트 |
이름 | |
로마자 표기 | Maat |
2. 역사
마아트(mꜣꜥt|/ˈmuʀʕat/egy)는 고대 이집트 사회의 핵심 가치로, 조화, 정의, 진실, 질서를 상징했다. 이집트인들은 마아트가 우주와 사회의 균형을 유지하는 근본 원리라고 믿었다.
마아트 원칙은 초기 이집트 국가의 복잡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형성되었다. 이는 내란과 같은 혼란을 막고, 다양한 사람들을 포용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초기부터 왕은 스스로를 "마아트의 주님"이라 칭하며 마아트 원칙을 따를 것을 선언했다.[4]
마아트의 중요성은 점차 커져서, 우주의 균형, 계절의 순환, 천체의 움직임, 종교 의식, 사회적 상호 작용 등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졌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우주의 조화가 올바른 생활과 의식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믿었으며, 이를 어기면 개인뿐 아니라 국가 전체에 재앙이 올 수 있다고 생각했다. 마아트와 반대되는 개념은 혼돈, 거짓, 폭력을 의미하는 이스페트였다.
고대 이집트 법에는 마아트 외에도 전통 준수, 웅변의 중요성, 공정성 추구 등의 원칙이 있었다. 이집트 중왕국 시대의 한 문헌에는 "나는 모든 사람을 동등하게 창조했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마아트가 약자를 돕고 정의를 실현해야 함을 강조했음을 보여준다.
이집트인들은 마아트가 우주, 자연, 국가, 개인을 하나로 묶는 불변의 질서라고 믿었다. 프타호테프의 가르침에는 "마아트는 선하며 그 가치는 영원하다"라는 구절이 있어, 마아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 1. 이집트 고왕국
마아트 혹은 마옛은 고대 이집트 종교 초기에는 사회와 자연의 법칙으로써 고왕국 때 숭배되었다.[4] 마아트가 이 세상과 다음 세상에서 자연과 사회의 규범임을 나타내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이집트 고왕국 시대에 기록되었으며,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실질적인 예는 우나스의 피라미드 텍스트( ~ 기원전 2345년)에서 발견된다.2. 2. 이집트 신왕국
이집트 신왕국에 들어서서 마아트는 태양신 라의 딸로서 그의 태양의 돛단배에 거주하며, 토트의 아내로서 진리, 지혜, 정의의 여신으로 추앙받게 되었다.[5][6]3. 신화
마아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조화, 정의, 진실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젊은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된다.[5] 때로는 양팔에 날개가 달리거나 머리에 타조 깃털을 꽂은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5] 이 타조 깃털은 마아트의 오빠인 슈도 착용하는 상징이다.[5]
태양신 라(Ra)는 혼돈(''이스페트'')을 몰아내고 딸인 마아트를 그 자리에 앉힌 후 창조의 언덕에서 나타났다. 이집트의 왕들은 마아트의 질서를 유지할 의무를 물려받았으며, 라와 함께 "마아트에 의존하여 살았다"고 전해진다.[6] 아크나톤(Akhenaten) 왕은 이 개념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당시 사람들에게 편협함과 광신주의로 비춰지기도 했다.[6] 일부 왕들은 자신의 이름에 마아트를 넣어 '마아트의 군주'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7]
마아트는 죽은 자의 심장을 자신의 깃털과 비교하여 무게를 재는 '심장 저울질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내용은 하위 섹션인 '오시리스 신화와의 관계'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한다.
3. 1. 탄생
마아트는 태양신 라에게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5][6] 라는 자웅동체여서 스스로 4명의 딸을 낳았는데, 그중 한 명이 마트이다. 마아트는 때때로 양팔에 날개가 달리거나 머리에 타조 깃털을 꽂은 여성으로 묘사된다.[5] 이 깃털은 슈도 착용한다.[5]

3. 2. 창조 신화
벤벤이라는 언덕이 최초의 혼돈(무저갱 혹은 누)으로부터 솟아 오른 후, 그 언덕에서 최초의 신 아툼이 스스로 존재하게 되었다.[4] 그는 가장 처음으로 빛을 창조하였는데, 이는 태양신 라가 되었다. 라는 스스로 우주의 창조 법칙의 여신인 마아트를 낳았다. 그녀가 태어난 후로는 혼돈이 사라지고 조화가 자리 잡기 시작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태양신 라와 창조신 아툼, 법과 조화의 여신 마아트 자신이 삼위일체를 이루어 우주를 창조하였다고 전해진다.[5][6]3. 3. 오시리스 신화와의 관계
오시리스가 세트에 의해 살해당했을 때, 마아트는 오시리스와 함께 명계로 이동했다. 이후 마아트는 오시리스가 사후 낙원 아알을 다스리는 것을 돕는다고 여겨진다.사자 심판에서 죽은 자의 과거 죄를 심판한다고 여겨졌다. 아누비스가 계량하는 저울의 한쪽에는 죽은 자의 심장을, 다른 한쪽에는 마아트의 깃털을 올려놓는다. 이때 심장이 깃털보다 무거우면 과거에 악행을 저질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럴 경우 아메미트라는 괴물에게 심장을 먹히고, 아알로 갈 수 없어 영원히 부활할 수 없다고 여겨졌다.
헤르모폴리스 신화에서는 토트와 관련되었다. 이 신화에서 사자 심판을 할 때, 토트가 죽은 자의 심장을 재고, 명부에 죽은 자의 이름을 적는다고 여겨진다. 또한 고대 서기관이 진실을 기록하도록 마아트와 토트가 보호하고 감시했다고 여겨졌다.
4. 마아트의 법과 이집트 사법 제도
마아트는 고대 이집트 법에서 세세한 규칙보다는 정의 실현의 정신을 상징했다. 제5왕조 이래로 파라오의 장관들은 마아트 성직자라 불리며 정의에 책임을 졌고, 재판관들은 마아트의 현신으로 여겨졌다.[8]
후대 학자들은 세바잇 같은 지혜 문서를 통해 마아트 개념을 구체화했다.[9] 이 문서들은 사회 문제 해결에 마아트 정신을 적용하는 실용적인 방법을 제시했으며, 다른 지역 고대 법의 기원이 되기도 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는 고대 그리스 법과 이집트 법이 공존했다. 이집트 법은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여 남녀평등을 이루었고, 이는 그리스와 로마 제국에 영향을 주었다.[10] 로마 식민지 시대에는 로마법이 강요되었다.
고대 이집트 사법 제도는 재판관, 검사, 서기관, 원고, 피고 등으로 구성되어 현대 사법 제도와 유사한 형태를 갖추었다. 사자의 서에서도 이러한 모습이 나타나며, 마아트는 법정의 수호 여신으로서 정의로운 판결을 감찰했다. 파라오조차도 법원의 판결에 굴복해야 했다.[3]
마아트는 라의 딸이자 토트의 아내로, 고대 이집트 수사학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마아트는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는 개념으로, 죽은 자에 대한 심판과 관련이 있다. 이집트 왕들은 마아트 조각상을 바쳐 우주의 질서를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고대 이집트 엘리트들은 프타호테프의 가르침과 같은 교훈 텍스트를 통해 마아트에 기반한 수사학 원칙을 배웠다. 웅변하는 농부 이야기는 마아트의 본질에 대한 담론을 제시한다.
고대 이집트에서 서신 작성은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었으며, 서기들은 마아트를 활용하여 설득력을 높였다.
4. 1. 마아트의 법
고대 이집트 법의 시행을 보여주는 문헌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8] 마아트는 규칙에 대한 상세한 법률적 설명보다는 정의가 적용되는 정신이었다. 마아트는 진실과 공정의 정신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정의 적용의 배경을 형성하는 정상적이고 기본적인 가치를 나타냈다. 이집트 제5왕조(기원전 2510–2370년경)부터는 정의를 담당하는 재상을 "마아트의 사제"라고 불렀으며, 후기 시대에는 판사들이 마아트의 이미지를 착용했다.[8]
후기 학자들과 철학자들은 토착 지혜 문학인 세바이트에서 마아트 개념을 구체화했다.[9] 이 영적 텍스트는 일반적인 사회적 또는 직업적 상황을 다루었으며, 각각의 상황이 마아트의 정신으로 어떻게 가장 잘 해결되거나 처리되어야 하는지를 다루었다. 매우 실용적인 조언이었고 사례 기반이어서, 거기에서 구체적이고 일반적인 규칙을 거의 도출할 수 없었다.[9]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시대 동안, 이집트 역사에서 그리스 법이 이집트 법과 함께 존재했다. 이집트 법은 여성의 권리를 보존했는데, 여성은 남성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상당한 개인 재산을 소유할 수 있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것은 그리스인과 로마인의 더 제한적인 관례에 영향을 미쳤다.[10] 고대 로마가 이집트를 장악했을 때, 로마 제국 전역에 존재했던 로마 법 체계가 이집트에 부과되었다.
4. 2. 고대 이집트 사법 제도
몇 개 남지 않은 고대 이집트 법의 자료에 의하면, 마아트는 법의 세세한 설명보다 더 강력한 정의의 상징으로써 법관들에게 받아 들여졌다.[8] 진실과 정의의 여신으로써 그녀의 정신은 고대 이집트 법이 제정될 때 기본적으로 참조되었다. 이집트 제5왕조 이래로 파라오의 장관들은 마아트 성직자라 불린 정의에 책임을 져야했으며, 재판관들은 마아트의 현신으로써 우대 받았다.[8]후에 고고학자들과 철학자들은 파라오의 문서인 세바이트를 비롯, 지혜가 담긴 고문서들로부터 마아트의 개념을 구체화 시켰다.[9] 이러한 문서들로부터 고대 이집트에서 공공 사회와 전문적인 상황들로부터 발생한 문제들을 마아트의 정신속에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풀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려주었다. 또한 이 문서들의 해결 방법은 굉장히 실용적이고 고차원적이었으며, 그래서 몇몇 종류들의 타 지역의 고대 법들이 그들로부터 유래했음을 밝혔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법이 고대 이집트의 법과 같이 동등한 지위로 존재하였다. 고대 이집트법은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고 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하여 남녀평등을 이룬 법이었는데, 이는 당대의 남성주위적인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제국에도 영향을 끼쳤다.[10] 이집트가 로마 식민지가 되었을 때에는 로마 제국이 자국의 법을 이집트에도 강요하였다.
고대 이집트의 사법 제도는 현재 사법 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재판관, 검사, 서기관, 원고, 피고로 이루어진 고대 이집트의 사법 제도는 현재와 매우 유사하다. 이는 《사자의 서》에서도 볼 수 있는데, 죽은 자는 피고로, 저승의 신 오시리스가 재판관의 역할을 하며, 토트가 서기관 등으로 나온다. 마아트는 법정의 수호여신으로써 법과 정의를 감찰하고 재판관은 마아트의 뜻을 받들어 최대한 정의롭게 판결을 내렸다. 마아트의 법 자체가 신격화되었기 때문에 이집트의 왕이자 지상신으로 추앙된 파라오조차도 법원의 판결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3]
4. 3. 고대 이집트 법과 여성의 권리
몇 개 남지 않은 고대 이집트 법 자료에 따르면, 마아트는 법의 세세한 설명보다 더 강력한 정의의 상징으로 법관들에게 받아들여졌다. 진실과 정의의 여신으로서 마아트의 정신은 고대 이집트 법이 제정될 때 기본적으로 참조되었다. 제5왕조 이후 파라오의 장관들은 마아트 성직자라 불린 정의에 책임을 져야 했으며, 재판관들은 마아트의 현신으로 우대받았다.[8]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법이 고대 이집트의 법과 같이 동등한 지위로 존재하였다. 고대 이집트법은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고 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여 남녀평등을 이룬 법이었는데, 이는 당대의 남성 중심적인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제국에도 영향을 끼쳤다.[10] 이집트가 로마 식민지가 되었을 때에는 로마 제국이 자국의 법을 이집트에도 강요하였다.
5. 상징
마아트는 고대 이집트에서 조화, 정의, 진실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젊은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때로는 양팔에 날개가 달리거나 머리에 타조 깃털을 꽂은 여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1] 이 깃털은 슈의 깃털과 동일하며, 심장 무게 달기 의식에서 죽은 자의 영혼의 무게를 재는 데 사용되었다.
마아트는 "법", "진리", "정의"를 관장하는 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테미스나 로마 신화의 유스티티아와 비슷한 역할을 했다고 여겨진다. 태양신 라는 혼돈(''이스페트'') 대신 딸 마아트를 자리에 앉혔고, 왕들은 마아트의 질서를 유지해야 할 의무를 물려받았다.[2] 특히 아크나톤은 마아트의 개념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동시대 사람들에게 편협하고 광신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2]
5. 1. 깃털
마아트의 깃털은 《사자의 서》에 나오는 심장 무게 달기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의식에서 죽은 자가 죄를 지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저울에 마아트의 깃털을 놓고 심장의 무게를 쟀다. 심장이 깃털보다 무거우면 죄를 많이 지었다는 뜻으로, 죽은 자는 부활의 땅에 들어갈 수 없었다.[5][6] 깃털은 선과 양심을 상징하며, 기독교를 포함한 다른 문화에도 영향을 주어 선하고 성스러운 이미지로 굳어졌다.

두아트(이집트 지하 세계)에서 죽은 자들의 심장은 "진실의 전당"에서 마아트의 깃털과 비교하여 무게를 쟀다. 심장이 깃털보다 가볍거나 같으면 망자는 덕망 있는 삶을 산 것으로 아아루로 갈 수 있었다. 반면, 가치 없는 심장은 아밋에게 먹히고 그 소유자는 두아트에 남겨졌다.[4]
사자의 서의 파피루스나 무덤 장면에 묘사된 심장 저울질에서는 아누비스가 저울질을 감독하고, 아밋이 결과를 기다리는 모습이 나타난다. 저울의 한쪽에는 심장이, 다른 쪽에는 슈의 깃털이 놓여 있다. 다른 전통에서는 아누비스가 망자의 영혼을 오시리스 앞으로 데려가 저울질을 하기도 했다. 심장을 저울질하는 동안 망자는 마아트의 심판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42개의 부정 고백을 읊었다.
마아트는 머리에 타조 깃털을 꽂은 여성의 모습으로 표현되며, 이 깃털은 진리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5. 2. 기타 상징
두아트(이집트 지하 세계)에서 죽은 자들의 심장은 "진실의 전당"에서 마아트의 개념을 상징하는 "마아트의 깃털"과 비교하여 무게를 쟀다. 심장("입"이라고 불림)은 이집트 영혼의 일부로 여겨졌기 때문에, 다른 장기들과 달리 이집트 미라 안에 남겨졌다. 심장이 마아트의 깃털보다 가볍거나 같은 무게로 판명되면, 망자는 덕망 있는 삶을 살았고 아아루로 갈 수 있었다. 오시리스는 이집트 신전에 합류한 후 아아루의 문지기가 되었고, 오그도아드(Ogdoad) 전통에서 아누비스를 대체했다. 가치 없는 심장은 여신 아밋에게 먹히고, 그 소유자는 두아트에 남겨지게 되었다.[3]일반적으로 사자의 서의 파피루스나 무덤 장면에 묘사된 심장 저울질은 아누비스가 저울질을 감독하고, 아밋이 실패한 자들을 잡아먹기 위해 결과를 기다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이미지에는 한쪽에는 세워진 심장이, 다른 쪽에는 슈의 깃털이 놓인 저울이 있다. 다른 전통에서는 아누비스가 망자의 영혼을 사후의 오시리스 앞으로 데려가 그가 저울질을 했다고 한다. 심장을 저울질하는 동안 망자는 마아트의 심판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42개의 부정 고백을 읊었다.[3]

라는 신의 딸로 여겨진다. 이는 육친이라는 의미보다는 지상을 진실의 빛으로 비추는 태양의 딸이라는 라로부터의 분화로 보인다.
머리에 타조 깃털을 꽂은 여성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이 깃털은 대기의 신 슈와 같은 이름으로 불린다. 이 깃털은 진리의 상징으로 여겨져, 죽은 자의 영혼을 달기 위해 저울 접시의 한쪽에 놓였다.
"법", "진리", "정의"를 관장한다고 여겨진다. 그리스 신화의 테미스나 로마 신화의 유스티티아에 해당한다고 여겨졌다.
6. 사자의 서와 심장 무게 달기 의식
마아트는 사자의 서에 나오는 심장 무게 달기 의식에서 저울 한쪽에 자신의 깃털을 올려놓고 이를 감독하는 역할을 했다. 사자의 서에 적힌 42가지 부정 고해 목록(아니의 파피루스)은 "마아트 고백진술"로도 불린다.[11]
고대 이집트인들은 장례 텍스트와 함께 매장되어 고대 이집트 장례 관습에 따라 내세를 위한 준비를 갖추었다. 이 텍스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사자의 서'' 또는 아니의 파피루스(고대 이집트인들에게는 ''낮에 나타나는 책''으로 알려짐)이다. 사자의 서의 구절들은 종종 "42가지 순수 선언"이라고 통칭되는데, 이 선언들은 무덤마다 다소 차이가 있었다.
6. 1. 심장 무게 달기 의식
사자의 서에 나오는 심장 무게 달기 의식에서 마아트는 저울의 한쪽에 자신의 깃털을 올려놓고 이를 감독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자의 서에 적힌 42가지 부정 고해 목록(아니의 파피루스)은 "마아트 고백진술"로도 불린다.[11]마아트는 심장 저울질 의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는데, 여기서 고인의 심장은 그녀의 깃털과 비교하여 저울질되었다.
세트가 오시리스를 살해했을 때, 오시리스와 함께 명계로 이동했다. 이후, 오시리스가 사후 낙원 아알을 다스리는 것을 돕는다고 여겨진다.
사자 심판에서 죽은 자의 과거 죄를 심판한다고 여겨졌다. 아누비스가 계량하는 저울의 한쪽에 죽은 자의 심장을, 다른 한쪽에는 마아트의 깃털을 올려놓는다. 이때, 심장이 깃털보다 무거울 경우, 과거에 악행을 저질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럴 경우 아메미트라는 괴물에게 심장을 먹히고, 아알의 들판으로 갈 수 없어 영원히 부활할 수 없다고 여겨졌다.
헤르모폴리스에서는 토트와 관련되었다. 이 신화의 사자 심판에서는, 토트가 죽은 자의 심장을 재고, 명부에 죽은 자의 이름을 적는다고 여겨진다. 또한 고대 서기관이 진실을 기록하도록 마아트와 토트가 보호하고 감시했다고 여겨졌다.
6. 2. 42가지 부정 고해
사자의 서에 나오는 심장 무게 달기 의식에서 마아트는 저울의 한쪽에 자신의 깃털을 올려놓고 이를 감독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자의 서에 적힌 42가지의 부정 고해 목록(아니의 파피루스)은 "마아트 고백진술"로도 불린다.[11]
마아트의 심판관은 네브세니 파피루스에 나열된 42명의 신이다. 망자는 이들에게 아니 파피루스에서 부정 고백을 한다. 이들은 이집트의 42개의 통합된 노메를 나타내며, "그들의 생애 동안 마아트에 의존하는 숨겨진 마아트 신들"이라고 불린다. 즉, 그들은 제물을 받을 자격이 있는 의로운 소신들이다. 망자는 정해진 부정 고백의 형식을 따르면서 각 신에게 직접 말을 걸고, 신의 수호신인 노메를 언급하여 이집트의 노메의 통일성을 강조한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장례 텍스트와 함께 매장되어 고대 이집트 장례 관습에 따라 내세를 위한 준비를 갖추는 경우가 많았다. 이 텍스트들은 종종 죽은 자를 내세로 인도하는 역할을 했으며, 가장 유명한 것은 ''사자의 서'' 또는 아니의 파피루스(고대 이집트인들에게는 ''낮에 나타나는 책''으로 알려짐)이다. 이 텍스트의 구절들은 종종 "42가지 순수 선언"이라고 통칭된다. 이 선언들은 개인에 맞춰 조정되었기 때문에 무덤마다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따라서 마아트의 정식 정의로 간주될 수 없다. 오히려 각 무덤 소유자가 마아트을 기쁘게 하기 위해 삶에서 했던 개별적인 행위뿐만 아니라, 삶에서 무덤 소유자가 저지른 잘못이나 실수에 대한 면죄의 말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잘못들은 하지 않은 것으로 선언될 수 있으며, 기록된 단어의 힘을 통해 죽은 자의 내세 기록에서 특정 잘못을 지울 수 있었다. 그러나 많은 구절들은 유사하며, 마아트에 대한 매우 통일된 그림을 그린다.
마아트의 교리는 레크티-메르티-프-엔트-마아트에 대한 선언과 아니의 파피루스에 나열된 42가지 부정적 고백에서 나타난다. 다음은 E. A. 윌리스 버지의 번역이다.
사후에 행하는 부정 고백은 개별화될 수 있으며, 즉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다음은 아니 파피루스(Papyrus of Ani)에서 발견된 고백들이다:[2]
신 | 고백 내용 |
---|---|
안에서 온 우세크-넴메 | 죄를 짓지 않았습니다. |
케르-아하에서 온 헵트-케트 | 폭력으로 강도질을 하지 않았습니다. |
케메누에서 온 펜티 | 훔치지 않았습니다. |
케르넷에서 온 암-카이비트 | 남녀를 살해하지 않았습니다. |
라스타에서 온 네하-헤르 | 곡물을 훔치지 않았습니다. |
하늘에서 온 루루티 | 제물을 횡령하지 않았습니다. |
수아트에서 온 아르피-엠-케트 | 신의 재산을 훔치지 않았습니다. |
오가는 네바 | 거짓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
헨수에서 온 세트-케수 | 음식을 빼앗아 가지 않았습니다. |
헤트-카-프타에서 온 우투-네세르트 | 저주를 하지 않았습니다. |
아멘테트에서 온 케르티 | 간통을 하지 않았습니다. |
당신의 동굴에서 온 흐라프-하프 | 아무도 울게 하지 않았습니다. |
바스트에서 온 바스티 | 심장을 먹지 않았습니다. |
밤에서 온 타-레티우 | 어떤 사람도 공격하지 않았습니다. |
처형실에서 온 우넴-스네프 | 나는 속이는 사람이 아닙니다. |
마비트에서 온 우넴-베세크 | 경작지를 훔치지 않았습니다. |
마아티에서 온 넵-마아트 | 나는 엿듣는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
바스트에서 온 테네미우 | 누구도 비방하지 않았습니다. |
안에서 온 세르티우 | 정당한 이유 없이 화를 내지 않았습니다. |
아티에서 온 투투 | 어떤 남자의 아내도 유혹하지 않았습니다. |
케베트 방에서 온 우아멘티 | 다른 사람의 아내들을 유혹하지 않았습니다. |
페르-메누에서 온 마아-안투프 | 스스로를 더럽히지 않았습니다. |
네하투에서 온 헤르-우루 | 아무도 공포에 떨게 하지 않았습니다. |
카우이에서 온 케미우 | 법을 어기지 않았습니다. |
우리트에서 온 셰트-케루 | 화를 내지 않았습니다. |
헤카트에서 온 네케누 | 진실의 말에 귀를 막지 않았습니다. |
케네메트에서 온 케넴티 | 신성을 모독하지 않았습니다. |
사우에서 온 안-헤테프-에프 | 나는 폭력적인 사람이 아닙니다. |
우나세트에서 온 세라-케루 | 다툼을 일으키지 않았습니다. |
네트페트에서 온 넵-헤루 | 지나치게 서두르지 않았습니다. |
우텐에서 온 세크리우 | 다른 사람의 일에 참견하지 않았습니다. |
사우티에서 온 넵-아부이 | 말할 때 말을 늘리지 않았습니다. |
헤트-카-프타에서 온 네페르-템 | 아무도 해치지 않았고, 악행을 저지르지 않았습니다. |
테투에서 온 템-세푸 | 왕에게 마법을 쓰지 않았습니다. |
테부에서 온 아리-엠-아브-에프 | 이웃의 물길을 막은 적이 없습니다. |
누에서 온 아히 | 목소리를 높인 적이 없습니다. |
사우에서 온 우아치-레키트 | 신을 저주하지 않았습니다. |
당신의 동굴에서 온 네헤브-카 | 오만하게 행동하지 않았습니다. |
당신의 동굴에서 온 네헤브-네페르트 | 신들의 빵을 훔치지 않았습니다. |
신사에서 온 체세르-테프 | 망령의 켄푸 케이크를 가져가지 않았습니다. |
마아티에서 온 안-아프 | 아이의 빵을 빼앗거나, 나의 도시의 신을 멸시하지 않았습니다. |
타-셰에서 온 헤치-아브후 | 신의 가축을 죽이지 않았습니다. |
세트가 오시리스를 살해했을 때, 오시리스와 함께 명계로 이동했다. 이 이후, 오시리스가 사후 낙원 아알을 다스리는 것을 돕는다고 여겨진다.
사자 심판에서 죽은 자의 과거 죄를 심판한다고 여겨졌다. 아누비스가 계량하는 저울의 한쪽에 죽은 자의 심장을, 다른 한쪽에는 마아트의 깃털을 올려놓는다. 이때, 심장이 깃털보다 무거울 경우, 과거에 악행을 저질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럴 경우 아메미트라는 괴물에게 심장을 먹히고, 아알의 들판으로 갈 수 없어 영원히 부활할 수 없다고 여겨졌다.
헤르모폴리스에서는 토트와 관련되었다. 이 신화의 사자 심판에서는, 토트가 죽은 자의 심장을 재고, 명부에 죽은 자의 이름을 적는다고 여겨진다. 또한 고대 서기관이 진실을 기록하도록 마아트와 토트가 보호하고 감시했다고 여겨졌다.
7. 서기관과 서기 학교
필사 학교는 이집트 중왕국 시대(기원전 2060–1700년)에 등장했다. 이 시기 이전에도 필사 관행은 있었지만, 고왕국(기원전 2635–2155년) 시대에 체계적인 학교 교육이 이루어졌다는 증거는 부족하다. 필사 학교는 사회와 관료제를 위해 일할 수 있는 '세시' (서기)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의 문해력은 행정 업무 수행에 필요한 쓰기와 읽기 능력 습득에 초점을 맞추었다.
필사 학교는 비슷한 출생일을 기준으로 학생들을 선발했다. 견습 서기들은 대부분 남자였지만, 일부 특권층 자녀들은 남녀 구분 없이 교육을 받았다. 학생들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또래들과 함께 학교에서 생활하거나 부모와 함께 지내기도 했다. 이들은 사제인 선생님으로부터 신성한 글쓰기와 교훈적인 글쓰기 두 가지를 배웠다. 신성한 글쓰기는 마아트의 도덕적, 윤리적 가르침을 강조했고, 교훈적인 글쓰기는 강의 연간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토지 측량과 산술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또한 세금 계산, 상업 기록, 공급품 배포에도 사용되었다.
필사 학교의 학습 지침은 5–10세의 어린 학생들에게 제공되었다. 초등 교육은 4년이 걸렸고, 이후 서기 경력을 위한 고급 교육 과정인 튜터 견습생이 될 수 있었다. 초급 과정에서 학생들은 튜터 주위에 원을 그리며 앉아 지도를 받았다. 수업은 읽기를 소리 내어 암송하거나 제창하고, 산술은 조용히 공부하며, 쓰기는 고전 문학 작품과 ''혼합집''을 베껴 쓰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필사 견습생들은 쓰기를 배울 때, 선생님을 따라 짧은 구절을 암송하고, 오스트라콘이나 나무판에 문장을 베껴 쓰며 훈련했다. 이후 고전 작품과 지침으로 구성된 중 이집트어 원고를 베껴 쓰고, 문법과 어휘가 많은 중 이집트어 텍스트를 익혔다.
필사 학교 학생들은 읽기, 쓰기, 산술 외에도 남학생은 신체 훈련, 여학생은 노래, 춤, 악기 연주를 배웠다.
7. 1. 서기관
토트는 서기의 수호신이었으며 "마아트를 드러내고 마아트를 계산하며, 마아트를 사랑하고 마아트를 행하는 자에게 마아트를 주는 자"로 묘사된다. 아메넴오페의 가르침과 같은 텍스트에서 서기는 자신의 사생활과 업무에서 마아트의 가르침을 따르도록 촉구된다. 마아트에 따라 살라는 권고는 이러한 종류의 지침 텍스트가 "마아트 문학"으로 묘사될 정도이다.
마아트의 윤리적 측면은 지식인, 서기 또는 관료를 지칭하는 엘리트 집단인 ''세시''의 사회적 형성을 낳았다. 세시는 왕국의 공무원 역할을 하는 것 외에도 마아트의 윤리적, 도덕적 개념이 이들에 의해 더욱 공식화되고, 장려되고, 유지되었기 때문에 사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서기는 종교적, 정치적, 상업적 정보를 전달하는 주요 수단이었기 때문에 고대 이집트 사회에서 명망 높은 지위를 차지했다.
형식적으로 문맹인 사람은 거의 없었지만, 고대 이집트에서 글쓰기는 시민들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이었고, 서기들은 대부분의 경우 많은 사람들을 위해 문맹 기능을 수행했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이 과세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기여는 서기에 의해 기록되었다. 또한 자연 재해 기간 동안 서기들은 종종 편지 형태의 원거리 임무를 수행했다. 이 편지는 문맹인 사람들을 위해 서기에 의해 작성되고 읽혀졌으며, 이를 통해 상사 및 가족과의 의사 소통이 가능했다.
문자 텍스트는 종종 서기에 의해 공개적으로 소리내어 읽혀졌으며, 서기는 발신자의 글쓰기 능력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편지를 작성하기도 했다. 따라서 서기들은 편지를 쓰고 읽는 데 모두 관여했다. 서기들은 편지를 공개적으로 소리내어 읽었기 때문에 왕의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1인칭을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텍스트는 3인칭 문법 구조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고대 이집트 문자의 상당 부분은 상징적이었으며 서사시가 암시하는 것보다 훨씬 더 깊은 수준에서 작용했다. 종교적 관심사뿐만 아니라 고대 이집트 사회의 계층 구조는 엘리트 계급과 그 외 모든 사람 사이에 중요한 구분을 만들었다. 엘리트의 정치적, 이념적 이해관계는 고대 이집트 사회 및 문화 생활의 대부분을 지배하고 지시했다. 수사학 또한 조화와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것을 우선시하면서 사회 계층의 유지를 위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정받았다.
문맹인 사람들은 서기를 자기 마을로 데려오는 것을 우선시했는데, 이 절차를 통해 정부는 가난한 사람들의 불만의 중요성을 지적함으로써 과도한 학대를 제한할 수 있었다. 서기 지침 텍스트는 모든 사람의 공정한 대우와 권력을 남용하는 사람은 처벌을 받는 방법을 강조한다. 이 절차는 지방 정부에 의해 규제되었지만, 가난한 사람들이 그들의 청원이 고위 관리의 요청보다 먼저 제출되었다는 느낌을 갖도록 도왔다. 서기의 주요 책임은 작업을 구성하고, 전송하거나 통신하는 것이었지만, 일부 서기는 추가적인 설명을 덧붙였다. 사법 제도에서 서기의 역할도 고려해야 한다. 지방의 사소한 범죄는 일반적으로 재판 동안 서기 또는 감독관이 주도했다.
필사 학교는 이집트 중왕국 시대(기원전 2060–1700년)에 등장했다. 이 시기 이전에도 필사 관행이 시행되었지만, 고왕국(기원전 2635–2155년) 시대에는 물질화된 기관에서 "체계적인 학교 교육"이 이루어졌다는 증거는 없다. 필사 학교는 사회와 관료제를 위해 활동할 수 있는 문해력 있는 '세쉬' 또는 서기로 사람들을 변모시키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고대 이집트인들의 문해력은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목적에 맞춰 쓰기와 읽기를 숙달하는 데 달려 있었다.
필사 학교에서는 이집트 내에서 비슷한 출생일을 기준으로 학생들을 선발했다. 견습 서기들은 대부분 남자였지만, 일부 특권을 가진 여자아이들도 필사 학교에서 남자아이들과 비슷한 교육을 받았다. 그들은 지리적 인접성에 따라 또래와 함께 학교에서 생활하거나 부모와 함께 지낼 수 있었다. 학생들은 사제인 선생님들로부터 두 종류의 글쓰기를 배웠다. 바로 신성한 글쓰기와 교훈적인 글쓰기였다. 신성한 글쓰기는 마아트와 그 도덕적, 윤리적 가치와 지침을 강조했고, 교훈적인 글쓰기는 강의 연간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토지 측량과 산술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다루었다. 또한 세금 계산, 상업 업무 기록, 공급품 배포에도 사용되었다.
필사 학교에서의 학습 지침은 매우 어린 예비 학생들(5–10세)에게 제공되었다. 이 초등 교육을 완료하는 데 4년이 걸렸고, 그 후 그들은 튜터의 견습생이 될 수 있었는데, 이는 서기 경력을 향상시키는 고급 교육 과정이었다. 초급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튜터 주위에 원을 그리며 앉아 튜터로부터 지침을 받았다. 수업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읽기는 소리 내어 암송하거나 제창되었고, 산술은 조용히 공부했으며, 쓰기는 고전적인 단편 문학 작품과 쓰기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단편 작문인 ''혼합집''을 베껴 쓰는 방식으로 연습했다.
쓰기를 배울 때, 필사 견습생들은 일련의 단계를 거쳐야 했다. 그들은 먼저 선생님을 따라 암송하는 방식으로 짧은 구절을 외워야 했다. 그 후, 그들은 오스트라콘이나 나무판에 문장을 베껴 쓰면서 쓰기 능력을 훈련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강사들이 학생이 어느 정도 진전을 보였다고 판단하면, 그들은 고전 작품과 지침으로 구성된 중 이집트어 원고를 향해 동일한 첫 두 단계를 할당했다. 그 후, 문법과 어휘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중 이집트어 텍스트에 동일한 방법이 적용되었다.
필사 학교의 학생들은 읽기, 쓰기, 산술 기술을 연마하는 것 외에도 다른 기술도 배웠다. 남학생들은 신체 훈련에 참여했고, 여학생들은 노래, 춤, 악기 연주를 연습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7. 2. 서기 학교
필사 학교는 이집트 중왕국 시대(기원전 2060–1700년)에 등장했다. 이 시기 이전에도 필사 관행이 시행되었지만, 고왕국(기원전 2635–2155년) 시대에는 체계적인 학교 교육이 이루어졌다는 물질적인 증거는 없다. 필사 학교는 사회와 관료제를 위해 활동할 수 있는 문해력 있는 '세쉬' (서기)로 사람들을 변화시키기 위해 설계되었다. 따라서 고대 이집트인들의 문해력은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목적에 맞춰 쓰기와 읽기를 숙달하는 데 있었다.필사 학교에서는 이집트 내에서 비슷한 출생일을 기준으로 학생들을 선발했다. 견습 서기들은 대부분 남자였지만, 일부 특권을 가진 여자아이들도 남자아이들과 비슷한 교육을 받았다. 학생들은 지리적 인접성에 따라 또래와 함께 학교에서 생활하거나 부모와 함께 지낼 수 있었다. 이들은 사제인 선생님들로부터 신성한 글쓰기와 교훈적인 글쓰기, 두 종류의 글쓰기를 배웠다. 신성한 글쓰기는 마아트와 그 도덕적, 윤리적 가치와 지침을 강조했고, 교훈적인 글쓰기는 강의 연간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토지 측량과 산술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다루었다. 또한 세금 계산, 상업 업무 기록, 공급품 배포에도 사용되었다.
필사 학교에서의 학습 지침은 매우 어린 예비 학생들(5–10세)에게 제공되었다. 이 초등 교육을 완료하는 데 4년이 걸렸고, 그 후 서기 경력을 향상시키는 고급 교육 과정인 튜터의 견습생이 될 수 있었다. 초급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튜터 주위에 원을 그리며 앉아 지침을 받았다. 수업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읽기는 소리 내어 암송하거나 제창되었고, 산술은 조용히 공부했으며, 쓰기는 고전적인 단편 문학 작품과 쓰기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단편 작문인 ''혼합집''을 베껴 쓰는 방식으로 연습했다.
필사 견습생들은 쓰기를 배울 때 일련의 단계를 거쳐야 했다. 먼저 선생님을 따라 암송하는 방식으로 짧은 구절을 외워야 했다. 그 후, 오스트라콘이나 나무판에 문장을 베껴 쓰면서 쓰기 능력을 훈련했다. 강사들이 학생이 어느 정도 진전을 보였다고 판단하면, 고전 작품과 지침으로 구성된 중 이집트어 원고를 베껴 쓰는 동일한 단계를 진행했다. 그 후, 문법과 어휘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중 이집트어 텍스트에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되었다.
필사 학교의 학생들은 읽기, 쓰기, 산술 기술 외에도 다른 기술도 배웠다. 남학생들은 신체 훈련에 참여했고, 여학생들은 노래, 춤, 악기 연주를 연습했다.
8. 마아트와 수사학
마아트는 고대 이집트 법에서 세세한 규칙보다는 정의의 상징으로 법관들에게 받아들여졌다. 고대 이집트 법은 진실과 정의의 여신인 마아트의 정신을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제정되었다. 이집트 제5왕조부터 파라오의 장관들은 마아트 성직자라 불리는 정의에 책임을 졌으며, 재판관들은 마아트의 현신으로 우대받았다.[8]
후에 고고학자들과 철학자들은 파라오의 문서인 세바잇 등 지혜가 담긴 고문서들로부터 마아트의 개념을 구체화했다.[9] 이 문서들은 고대 이집트 사회와 전문적인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마아트의 정신으로 가장 잘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이 해결 방법은 매우 실용적이고 고차원적이어서, 다른 지역의 고대 법들이 이 문서들로부터 유래했다고 알려졌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법이 고대 이집트의 법과 동등하게 존재하였다. 고대 이집트 법은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고 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여 남녀평등을 이루었는데, 이는 당시 남성 중심적인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제국에도 영향을 끼쳤다.[10] 이집트가 로마 식민지가 되었을 때에는 로마 제국이 자국의 법을 이집트에도 강요하였다.
8. 1. 고대 이집트 텍스트에서의 마아트
몇 개 남지 않은 고대 이집트 법 자료에 의하면, 마아트는 법의 세세한 설명보다 더 강력한 정의의 상징으로써 법관들에게 받아들여졌다. 진실과 정의의 여신인 마아트의 정신은 고대 이집트 법이 제정될 때 기본적으로 참조되었다. 이집트 제5왕조 이래로 파라오의 장관들은 마아트 성직자라 불린 정의에 책임을 져야 했으며, 재판관들은 마아트의 현신으로써 우대받았다.[8]후에 고고학자들과 철학자들은 파라오의 문서인 세바잇을 비롯, 지혜가 담긴 고문서들로부터 마아트의 개념을 구체화시켰다.[9] 이 문서들은 고대 이집트에서 공공 사회와 전문적인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마아트의 정신 속에서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풀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또한 이 문서들의 해결 방법은 매우 실용적이고 고차원적이어서, 몇몇 종류의 타 지역 고대 법들이 그들로부터 유래했음을 밝혔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법이 고대 이집트의 법과 같이 동등한 지위로 존재하였다. 고대 이집트 법은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고 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여 남녀평등을 이룬 법이었는데, 이는 당대의 남성 중심적인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제국에도 영향을 끼쳤다.[10] 이집트가 로마 식민지가 되었을 때에는 로마 제국이 자국의 법을 이집트에도 강요하였다.
고대 이집트 법 시행을 묘사하는 문헌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마아트는 규칙에 대한 상세한 법률적 설명보다는 정의가 적용되는 정신이었다. 마아트는 진실과 공정의 정신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정의 적용의 배경을 형성하는 정상적이고 기본적인 가치를 나타냈다. 이집트 제5왕조(기원전 2510–2370년경)부터 정의를 담당하는 재상을 "마아트의 사제"라고 불렀으며, 후기 시대에는 판사들이 마아트의 이미지를 착용했다.[8]
후기 학자들과 철학자들은 또한 토착 지혜 문학인 세바이트에서 개념을 구현했다. 이 영적 텍스트는 일반적인 사회적 또는 직업적 상황을 다루었으며, 각각의 상황이 마아트의 정신으로 어떻게 가장 잘 해결되거나 처리되어야 하는지를 다루었다. 그것은 매우 실용적인 조언이었고 사례 기반이어서, 거기에서 구체적이고 일반적인 규칙을 거의 도출할 수 없었다.[9]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시대 동안, 이집트 역사에서 그리스 법이 이집트 법과 함께 존재했다. 이집트 법은 여성의 권리를 보존했는데, 여성은 남성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상당한 개인 재산을 소유할 수 있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것은 그리스인과 로마인의 더 제한적인 관례에 영향을 미쳤다.[10] 고대 로마가 이집트를 장악했을 때, 로마 제국 전역에 존재했던 로마 법 체계가 이집트에 부과되었다.
8. 2. 고대 이집트 편지 쓰기에서의 마아트
몇 개 남지 않은 고대 이집트 법 자료에 따르면, 마아트는 법의 세세한 부분보다는 정의의 상징으로 법관들에게 받아들여졌다. 고대 이집트 법은 진실과 정의의 여신인 마아트의 정신을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제정되었다. 이집트 제5왕조 이후 파라오의 장관들은 마아트 성직자라 불린 정의에 책임을 져야 했으며, 재판관들은 마아트의 현신으로 우대받았다.[8]후에 고고학자들과 철학자들은 파라오의 문서인 세바잇을 비롯한 지혜가 담긴 고문서들로부터 마아트의 개념을 구체화했다.[9] 이 문서들은 고대 이집트에서 사회와 전문적인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마아트의 정신 속에서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풀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또한 이 문서들의 해결 방법은 매우 실용적이고 고차원적이었으며, 몇몇 종류의 타 지역 고대 법들이 그들로부터 유래했음을 밝혔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법이 고대 이집트의 법과 같이 동등한 지위로 존재하였다. 고대 이집트 법은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고 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여 남녀평등을 이룬 법이었는데, 이는 당대의 남성 중심적인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제국에도 영향을 끼쳤다.[10] 이집트가 로마 식민지가 되었을 때에는 로마 제국이 자국의 법을 이집트에도 강요하였다.
9. 신전
신왕국 시대(기원전 1569년~1081년)에 아멘호테프 3세는 카르나크 단지에 마아트 신전을 지었으며, 기록에 따르면 멤피스와 데이르 엘-메디나에도 마아트 신전이 있었다고 한다.[5] 카르나크의 마아트 신전은 람세스 9세 통치 기간에 왕릉 도굴 사건과 관련하여 법정 회의가 열리는 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Coptic Dictionary Online
https://corpling.uis[...]
2017-03-16
[2]
서적
Budge
[3]
서적
Egyptian Myths
University of Texas Press
[4]
문서
Information taken from phonetic symbols for Ma'at, and explanations on how to pronounce based upon modern reals, revealed in (Collier and Manley pp. 2-4, 154)
[5]
서적
The Gods of the Egyptians Vol. 1
[6]
서적
Mary, the feminine face of the Church
Westminster John Knox Press
[7]
서적
Creation and Cosmology: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Inquiry
BRILL
[8]
서적
Egyptian Religion
Cornell University Press
[9]
문서
Law in Ancient Egypt
Carolina Academic Press
[10]
서적
The Greek World
Routledge
[11]
서적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