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피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피아는 1875년 이후 국제적으로 사용된 용어로, 시칠리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범죄 조직을 의미한다. 마피아는 시칠리아의 어려운 환경 속에서 외세에 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족 중심의 공동체에서 시작되어, 이탈리아 통일 이후 정치권과 결탁하며 범죄 조직으로 변모했다. 마피아는 코사 노스트라, 카모라, 은드란게타, 사크라 코로나 우니타 등 다양한 조직으로 구성되며, 마약 거래, 살인, 밀수, 협박, 고리대금업 등 다양한 범죄 활동을 한다. 마피아는 철저한 비밀 조직으로, 조직원 간의 침묵을 강요하는 오메르타 규약을 통해 범죄 수사를 어렵게 만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피아 - 러시안 마피아
    러시안 마피아는 러시아 제국 시대에 기원하여 소련 시대를 거치며 세력을 키웠고, 소련 붕괴 후 자유 시장 경제로 확장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활동하는 조직 범죄 집단이다.
  • 마피아 - 카모라
    카모라는 이탈리아의 가장 오래된 마피아 조직 중 하나로, 수평적 클랜으로 구성되어 16세기부터 존재했다는 설이 있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부활하여 마약 거래 등 다양한 불법 활동을 벌이며 국제적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마피아
지도
기본 정보
유형조직 범죄 기업
활동 지역이탈리아
미국
기타 국가
역사적 기원
기원시칠리아 마피아
미국 마피아
특징
주요 활동폭력
갈취
부패
마약 밀매
도박
조직 구조계층적 구조
가족 중심 (혈연 관계)
은밀한 운영
주요 조직시칠리아 마피아
칼라브리아 마피아 (은드랑게타)
카모라
사크라 코로나 유니타
문화적 영향
대중 문화영화, 드라마, 소설 등 다양한 매체에서 다뤄짐
이미지권력과 폭력의 상징
범죄 조직의 대명사
추가 정보
관련 인물니콜라 그라테리 (이탈리아 검사)

2. 역사

마피아라는 용어가 국제적으로 사용된 것은 1875년 이후인데, 그 기원에 대해서는 명확한 바는 없으나, 수세기 동안 시칠리아가 무법 상태에 있을 때 강도로부터 토지를 보호하기 위해 부재 지주들이 만든 소규모 사병 조직인 ''마피에(MAFIE)''에서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다.[61], 최초의 마피아 단원은 1282년 시칠리아 만종 사건이라고 불리는 반란에서 프랑스의 앙주 가문의 지배에 대항하여 싸웠던 시칠리아 기사들이었다는 설도 있다. 이 설에 따르면 마피아(Mafia)라는 용어는 "''이탈리아는 열망한다. 프랑스인의 죽음을!'' (''Morte alla Francia Italia Anelait'')" 라는 문구의 머리글자를 취한 것이라고 한다.[61]

국민일보 한석동 논설위원은 이탈리아 마피아의 본고장 시칠리아는 기원전 8세기부터 타민족의 끊임없는 침입과 지배, 착취에 시달렸으며, 원래 시칠리아 사람들이 외세의 노략질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가족 친지 중심의 소박한 공동체였다고 설명한다. 이탈리아 마피아가 본격적인 범죄 조직으로 면모를 갖춘 것은 1860년대의 근대 이탈리아 통일정부 출범 이후 정치권, 재계 등과 결탁해 공생하면서부터라고 전해진다. 백 수십 년의 세월 동안 제2차 세계 대전 패배와 그에 뒤이은 점령군 진주, 냉전 등 국내외 정세 변화에 따른 격동기를 거치면서 거대하게 몸집을 불린 이탈리아 마피아는 사실상 지금은 통제 불능 상태다.[62]

''Mafia''와 ''mafia''를 구별하는 견해도 있다.


  • '''Mafia'''는 국제범죄조직이다.
  • "'''mafia'''는 모든 시칠리아 사람들에게 퍼져있는 정신상태, 생활 철학, 사회에 대한 개념, 도덕적 규약, 특수한 감수성을 말한다. 그들은 그것을 요람에서부터 배워서, 아니면 태어나기 전부터 이미 알고 있다. 그들은 서로 도와야 하며 친구가 틀리고 적들이 옳다고 할지라도 친구의 편을 들어 적에 대항하여 싸워야 한다. 각 개인은 무슨 대가를 치르더라도 자신의 존엄성을 지키고, 아주 사소한 모욕이라도 복수하지 않고 넘어가서는 안 된다. 그들은 비밀을 지켜야 하며, 공권력이나 법률에 대해서는 언제나 경계해야 한다."[63]

2. 1. 시칠리아 마피아의 기원

1282년 시칠리아 만종 사건이라 불리는 반란에서 프랑스의 앙주 가문의 지배에 대항하여 싸웠던 시칠리아 기사들이 최초의 마피아 단원이었다는 설이 있다. 이 설에 따르면 마피아(Mafia)라는 용어는 "'이탈리아는 열망한다. 프랑스인의 죽음을!'' (''침략자의 폭력, 농민에 대한 지주 계급의 폭력, 말라리아가 만연한 풍토의 폭력, 농민을 착취하는 전대인의 폭력, 강자가 약자에게 가하는 폭력 등 속에서 시칠리아인들은 고된 삶을 강요받았다. 이 지옥 같은 삶 속에서 지옥에 떨어지고 싶지 않은 자는 악마가 될 수밖에 없었다. 마피아는 개인의 존엄성과 생활 수단을 보장하기 위한 하나의 악마의 행위이다.[36]/Morte alla Francia Italia Anela}}'')"라는 문구의 머리글자를 취한 것이라고 한다.[61]

국민일보 한석동 논설위원은 이탈리아 마피아의 본고장 시칠리아는 기원전 8세기부터 타민족의 끊임없는 침입과 지배, 착취에 시달렸으며, 원래 시칠리아 사람들이 외세의 노략질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가족 친지 중심의 소박한 공동체였다고 설명한다.[62]

"mafia는 모든 시칠리아 사람들에게 퍼져있는 정신상태, 생활 철학, 사회에 대한 개념, 도덕적 규약, 특수한 감수성을 말한다. 그들은 그것을 요람에서부터 배워서, 아니면 태어나기 전부터 이미 알고 있다. 그들은 서로 도와야 하며 친구가 틀리고 적들이 옳다고 할지라도 친구의 편을 들어 적에 대항하여 싸워야 한다. 각 개인은 무슨 대가를 치르더라도 자신의 존엄성을 지키고, 아주 사소한 모욕이라도 복수하지 않고 넘어가서는 안 된다. 그들은 비밀을 지켜야 하며, 공권력이나 법률에 대해서는 언제나 경계해야 한다."라는 견해도 있다.[63]

시칠리아 주민들은 수 세기 동안 아랍인, 프랑스인, 스페인인 등 외세의 정치적 압력에 맞서 주민 상호 간의 상부상조 조직을 통해 저항했다. 마피아 구성원에게 복종과 침묵을 강요하는 혈의 맹세(오메르타)의 기원은 외세에 동포를 팔지 않는(밀고하지 않는) 시칠리아인의 기질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외세 지배의 기억으로 시칠리아인들에게는 통치자에 대한 강한 불신감이 자리 잡았다.

마피아의 기원은 시칠리아의 가베로토(Gabelloto)라 불리는 농촌 부르주아지에 있다는 설이 유력하다.[29] 가베로토는 대지주와 농민(소작인)의 중간에 위치하는 존재였다. 가베로토는 대지주로부터 농지를 빌려 다시 농민에게 전대했다. 가베로토는 폭력과 협박 등 불법적인 방법으로 농민을 착취했다. 가베로토에 반항한 농민은 본보기로 살해되었다.[34] 가베로토는 자신의 의도에 거역한 대지주도 마찬가지로 협박했지만, 가베로토가 산적의 습격으로부터 농지를 지켜준다는 이점이 있었기에 대지주는 가베로토를 교묘하게 이용했다. 가베로토는 시칠리아에서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농민의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었다.[35]

사회학자 스쿠르티(Cammareri Scurti Sebastiano)는 마피아의 기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Quotationit

근대에는 양시칠리아 왕국(나폴리에 수도를 둔 시칠리아 부르봉 왕조(Bourbon Dynasty))이 시칠리아를 통치했지만, 시칠리아인에게 나폴리 정부도 외래의 존재였다. 1848년 시칠리아는 나폴리 정부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지만, 나폴리 정부에 의해 재합병되었다.[37]

2. 1. 1. 19세기 이전

1282년 시칠리아 만종 사건이라 불리는 반란에서 프랑스의 앙주 가문의 지배에 대항하여 싸웠던 시칠리아 기사들이 최초의 마피아 단원이었다는 설이 있다. 이 설에 따르면 마피아(Mafia)라는 용어는 "'이탈리아는 열망한다. 프랑스인의 죽음을!'' (''Morte alla Francia Italia Anelait'')"라는 문구의 머리글자를 취한 것이라고 한다.[61]

국민일보 한석동 논설위원은 이탈리아 마피아의 본고장 시칠리아는 기원전 8세기부터 타민족의 끊임없는 침입과 지배, 착취에 시달렸으며, 원래 시칠리아 사람들이 외세의 노략질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가족 친지 중심의 소박한 공동체였다고 설명한다.[62]

"mafia는 모든 시칠리아 사람들에게 퍼져있는 정신상태, 생활 철학, 사회에 대한 개념, 도덕적 규약, 특수한 감수성을 말한다. 그들은 그것을 요람에서부터 배워서, 아니면 태어나기 전부터 이미 알고 있다. 그들은 서로 도와야 하며 친구가 틀리고 적들이 옳다고 할지라도 친구의 편을 들어 적에 대항하여 싸워야 한다. 각 개인은 무슨 대가를 치르더라도 자신의 존엄성을 지키고, 아주 사소한 모욕이라도 복수하지 않고 넘어가서는 안 된다. 그들은 비밀을 지켜야 하며, 공권력이나 법률에 대해서는 언제나 경계해야 한다."라는 견해도 있다.[63]

2. 1. 2. 19세기

1860년 사르데냐 왕국(Regno di Sardegna)에 시칠리아 섬이 통합된 것이 역사의 전환점이 되었다. 사르데냐 왕국 수상 카미유 드 카브르(Camillo Benso di Cavour)는 발전이 뒤처져 신생 국가 수립 후 반드시 부담이 될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섬(모두 두 시칠리아 왕국의 영토)을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 포함시킬 계획은 없었다.[38](역사가 막스 갈로(Max Gallo)는 두 시칠리아 왕국을 당시 이탈리아의 괴저한 부분이라고 불렀다.[39]) 그러나 주세페 가리발디(Giuseppe Garibaldi)의 붉은 셔츠단(천인대) 원정으로 상황이 바뀌게 된다.[40] 붉은 셔츠단의 원정은 카브르에게 악몽이었다.[41]

통일 이탈리아 왕국은 시칠리아의 수도원 토지를 국유화하여 매각하여 국가 재원으로 충당했다. 가베로토(마피아)는 폭력과 협박과 같은 불법적인 방법으로 매각된 토지를 헐값에 매입했다.[42]

통일 이탈리아 왕국 성립 전후로 Briganteit(이탈리아어 표기는 Brigante)가 활동을 활발하게 했다. 일본어로는 "산적", "도적"으로 번역되지만 정확한 번역어는 없다. 이들은 산적 행위(약탈, 방화, 유괴, 기타 테러 활동 등)를 저질렀지만, 두 시칠리아 왕국을 통치했던 부르봉 왕조의 부흥을 기치로 내걸는 등, 반리소르지멘토(북부 이탈리아의 침략에 대한 저항)라는 정치적 색채도 띠고 있었다.(''→남부 이탈리아#남부 문제'' 참조)[43] 치안 당국은 마피아에게 브리간테 살해를 의뢰했다. 그 동기는 "마피아와 브리간테가 서로 죽이면, 어느 쪽의 반사회적 세력도 약화되고, 경찰의 위신을 보여줄 수 있다"는 안일한 것이었다. 이로 인해 마피아와 치안 당국 간의 유착이 진행되었고, 어떤 검찰총장은 마피아와 관계를 가진 팔레르모 경찰서장을 고발했지만, 검찰총장이 사임으로 몰렸다.[44]

마피아는 폭력과 협박을 이용한 부정 선거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했고, 정계와도 유착했다.[45]

2. 2. 20세기

경제 발전이 뒤처졌던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의 북부 이탈리아에 대한 경제적 격차(소위 남부 문제)는 컸다. 소작농들의 고통은 심화되었고, 이민을 제외하고는 다른 방법이 없을 정도로 몰렸다. 또한, 마피아 일부는 이탈리아인들의 아메리카 대륙 이민이 증가함에 따라 아메리카 대륙에서도 유사한 범죄 조직을 만들어 자리 잡았다. 이탈리아계 미국인들은 18세기부터 19세기 전반에 걸쳐 미국에 건너가 정착한 잉글랜드계 미국인이나 독일계 미국인 등 프로테스탄트 이민자들에 크게 뒤처져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미국으로 들어온 후발 이민 집단이었다. 그들은 미국 사회의 최하층에 놓였기 때문에, 같은 고향 출신자들끼리의 협력 관계를 맺게 된다. 미국 마피아는 본래 이탈리아계 이민자들 사이에서 맺어진 이러한 상부상조의 형태에서 발전했다고 여겨진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마피아를 철저히 단속했다[46]. 무솔리니는 마피아 척결을 위해 체자레 모리를 시칠리아 주지사로 임명했다. 모리에게는 백지 위임에 해당하는 강대한 권력이 주어졌고, 합법적이라고는 말하기 어려운 강권적인 수법으로 마피아 구성원들을 잇달아 검거했다. 그러나 모리가 강대한 권력을 계속 쥐는 것이 자신의 정권 전복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한 무솔리니는 마피아 단속의 공로를 인정하여 모리에게 상원의원 지위를 주고 주지사 지위를 박탈했다[47].

(일본의 임협처럼) 시칠리아 주민들은 마피아를 호의적으로 받아들이고 영웅시하는 주민 감정이 있었다. 모리는 지방 자치 단체의 계몽 활동을 통해 주민들이 마피아를 악으로 인식하도록 교정하려 했지만, 이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48].

파시스트당 정권 하에서 작성된 『이탈리아 백과사전』에서는 마피아는 과거에 존재했지만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되었다[49]. 손을 더럽히지 않는 상급 마피아는 죄명이 없어 검거를 면했지만, 이탈리아의 패전으로 파시스트 정권이 붕괴하자 다시 마피아는 활동을 활발하게 했다[50].

2. 2. 1. 파시스트 정권의 마피아 탄압

1875년 이후 국제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마피아라는 용어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으나, 여러 설이 존재한다. 시칠리아가 무법 상태였던 시절, 부재 지주들이 강도로부터 토지를 보호하기 위해 만든 소규모 사병 조직 ''마피에(MAFIE)''에서 비롯되었다는 설,[61] 1282년 시칠리아 만종 사건 당시 프랑스 앙주 가문의 지배에 대항하여 싸웠던 시칠리아 기사들이 최초의 마피아 단원이었다는 설 등이 있다. 후자의 설에 따르면 "''이탈리아는 열망한다. 프랑스인의 죽음을!'' (Morte alla Francia Italia Anelait)"라는 문구의 머리글자를 따서 마피아(Mafia)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고 한다.[61]

국민일보 한석동 논설위원은 마피아가 본래 기원전 8세기부터 타민족의 침입과 지배에 시달려온 시칠리아 사람들이 외세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가족 친지 중심의 소박한 공동체였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1860년대 근대 이탈리아 통일 정부 출범 이후 정치권, 재계와 결탁하면서 본격적인 범죄 조직으로 변모하였다고 한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패배, 점령군 진주, 냉전 등 격동기를 거치며 거대해진 마피아는 현재 통제 불능 상태라고 평가했다.[62]

''Mafia''와 ''mafia''를 구별하는 견해도 있다. ''Mafia''는 국제범죄조직을 의미하는 반면, ''mafia''는 모든 시칠리아 사람들에게 퍼져있는 정신 상태, 생활 철학, 사회에 대한 개념, 도덕적 규약, 특수한 감수성을 의미한다. 시칠리아인들은 서로 돕고, 친구의 편을 들어 적에 대항하며, 자신의 존엄성을 지키고, 사소한 모욕에도 복수하며, 비밀을 지키고, 공권력과 법률을 경계하는 특성을 보인다.[63]

2.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마피아의 부활

제2차 세계 대전 중 무솔리니와 모리의 단속으로 쇠퇴했던 마피아는, 독일의 스파이 활동에 대항하는 (Operation Underworld)과 1941년 미국의 참전으로 전환기를 맞게 된다.[62] 부두는 마피아 조직의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미국 해군은 미국 동서부 해안의 부두와 번화가에서 일본, 독일, 이탈리아의 첩보 활동에 대응하기 위해 마피아 조직과의 협력이 필요했다.

마피아의 럭키 루치아노(Lucky Luciano)는 독일과 이탈리아의 동부 해안에서의 음모를 이용하여 미국 시민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면 감옥에서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 미국 해군에 협력하여 특히 동부 해안과 멕시코 만 일대 부두에서의 스파이 감시 활동과 시칠리아 상륙 작전 정보 제공을 지시한다. 마이어 랜스키(Meyer Lansky) 등을 감옥으로 불러 부두에서 자신의 지배력을 행사하도록 명령했다.

1943년 미국군을 포함한 연합군이 이탈리아 시칠리아 상륙 작전(후에 "허스키 작전"(Operation Husky)으로 불리게 된다)을 계획했을 때, 조셉 랜자(Joseph Lanza)의 추천으로, 찰스 해펀든(Charles Haffenden) 해군 소령이 감옥에 있는 럭키 루치아노에게 협력을 요청했다. "허스키 작전"이 실행된 7월 10일 이후 시칠리아 남해안에 상륙한 조지 패튼(George Patton)이 이끄는 미국군이 상륙 후 불과 7일 만에 팔레르모로 진격한 사건이 유명하다.

2. 2. 3. 전후 마피아의 활동

1957년 11월 14일, 간부들이 뉴욕주 아팔라친(Apalachin, New York)에 모인 아팔라친 회의에서 FBI의 대규모 검거로 마피아가 세상에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51]

1960년대, 팔레르모의 대학살(Sack of Palermo). 1963년 6월 30일, 치아쿨리 학살(Ciaculli massacre).

1980년대, 제2차 마피아 전쟁(Second Mafia War). 이탈리아와 바티칸, 남아메리카미국에서의 P2 로지 사건.

1992년, 마피아에 대한 수사를 이끌며 국민적 인기를 얻었던 조반니 팔코네 판사가 시칠리아 팔레르모에서 차로 이동 중 살바토레 리이나가 지휘하는 마피아에 의해 고속도로에 설치된 폭탄으로 암살당한 사건 이후, 이탈리아 정부가 마피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면서 최근에는 살인 등의 강력 범죄가 줄어들고 있다고 여겨진다.

2. 3. 21세기

1875년 이후 '마피아'라는 용어가 국제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61] 그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시칠리아가 무법 상태였을 때 부재 지주들이 만든 사병 조직 '마피에(MAFIE)'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61] 1282년 시칠리아 만종 사건에서 프랑스 앙주 가문에 대항해 싸운 시칠리아 기사들이 최초의 마피아 단원이었다는 설이 있다. 후자의 설에 따르면 '마피아(Mafia)'는 "''이탈리아는 열망한다. 프랑스인의 죽음을!'' (''Morte alla Francia Italia Anelait'')라는 문구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라고 한다.[61]

국민일보 한석동 논설위원은 이탈리아 마피아가 외세에 대항하기 위한 소박한 공동체에서 출발하여, 1860년대 근대 이탈리아 통일정부 출범 이후 정치권, 재계와 결탁하며 범죄 조직으로 변모했다고 설명한다.[62] 이탈리아 마피아는 제2차 세계 대전 패배, 냉전 등의 격동기를 거치며 거대해졌고, 현재는 통제 불능 상태에 이르렀다고 한다.[62]

''Mafia''와 ''mafia''를 구별하는 견해도 있는데, ''Mafia''는 국제범죄조직을, ''mafia''는 모든 시칠리아 사람들에게 퍼져있는 정신상태, 생활 철학, 사회에 대한 개념, 도덕적 규약, 특수한 감수성을 의미한다.[63]

2011년 1월 20일 새벽, FBI는 뉴욕 주변에서 코사 노스트라 대규모 검거 작전을 펼쳐 127명의 구성원을 체포했다.[52]

2016년에는 마피아의 경제 상황이 악화되어 내진 허위 공사 등을 통해 조직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과거와는 다른 의미의 범죄 집단에도 마피아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3. 어원

"마피아"(; )라는 단어는 시칠리아어 형용사 "mafiususcn"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대략 "뻐기는"을 의미하지만 "대담함"이나 "용감함"(bravado)으로도 번역될 수 있다. 학자 디에고 감베타에 따르면, 19세기 시칠리아에서 남성을 지칭하는 "mafiususcn" (이탈리아어로 "mafioso")는 "두려움 없는", "진취적인", "자랑스러운"을 의미했다.[7] 그러나 여성을 지칭하는 여성형 형용사 "mafiusascn"는 "아름다운" 또는 "매력적인"을 의미한다.

시칠리아831년부터 1072년까지 시칠리아 에미르국(이슬람 에미르국)이었기 때문에, "마피아"는 아랍어를 통해 시칠리아어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 어원은 불확실하다. 이 단어의 가능한 아랍어 어원은 다음과 같다.


  • (معفيar) = 면제된. 이슬람 법에서 "jizya"는 이슬람 지역에 거주하는 비이슬람교도에게 부과되는 연간 세금이며, 이를 납부하는 사람들은 기소로부터 "면제"된다.
  • ''màha'' = 채석장, 동굴; 특히 마르살라(Marsala) 지역의 "마피에" 즉 동굴들은 박해받는 무슬림들의 은신처 역할을 했고, 나중에는 다른 유형의 난민들, 특히 1860년 시칠리아 상륙 후 이탈리아 통일 투쟁에서 가리발디의 "붉은 셔츠단"에게 은신처를 제공했다.[8][9][10][11][12]
  • (مهياصar) = 공격적인 자랑, 허풍[10]
  • (مرفوضar) = 거절된, 가장 그럴듯한 어원으로 여겨짐; 는 "marpiuni" (사기꾼)에서 "marpiusu"를 거쳐 마침내 "mafiusu"로 발전했다.[13]
  • (معافىar) = 안전, 보호[11]
  • (معافرar) = 팔레르모를 지배했던 아랍 부족의 이름.[14][10] 현지 농민들은 이 아랍인들을 모방했고, 그 결과 부족의 이름이 일반적인 어휘에 들어왔다. 그 후 "마피아"라는 단어는 1282년 3월 30일 앙주 왕가의 지배에 대한 시칠리아 섬의 만종 동안 팔레르모의 수호자들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15]
  • (مفيءar), "그늘진 곳"을 의미함. "그늘"은 피난처를 의미하거나 피난처에서 유래함.[16] 11세기에 노르만족이 시칠리아에서 사라센 지배를 파괴한 후, 시칠리아는 봉건화되었다. 대부분의 아랍 소작농들은 새로운 영지의 농노가 되었고, 일부는 "마피아"로 도망쳤다. 그것은 비밀스러운 피난처가 되었다.[17]


이 단어가 범죄 비밀결사와 연관짓게 된 것은 주세페 리조토와 가스파레 모스카의 1863년 희곡 "I mafiusi di la Vicariascn" ("비카리아의 마피오시들")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이다.[18] 이 희곡은 마피아와 유사한 특징(두목, 입회식, "umirtà"(omertà 또는 침묵의 규약)와 "pizzu"(갈취금의 은어)에 대한 이야기)을 가진 팔레르모 교도소 갱단에 대한 이야기이다.[19] 이 희곡은 이탈리아 전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 후 곧 "마피아"라는 용어가 이탈리아 국가의 초기 보고서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단어는 팔레르모 총독 Filippo Antonio Gualterio (politico)의 1865년 보고서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등장했다.[20]

마피아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고 정설은 없다. 원래 마피아라는 단어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던 단어이며, “아름다움, 친절함, 우아함, 완벽함, 그리고 명예로운 남자, 용감한 사람, 대담한 사람”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의미로 이 단어가 처음으로 공문서에 사용된 것은 1656년 팔레르모의 종교재판에서이며, 이단으로 규정된 자들의 명단에 이 단어가 사용되었다.

또한 시칠리아의 만종과 관련된 일화가 있다.

:「Morte alla Francia Italia anela!」(몰테 알라 프란차 이탈리아 아넬라: 프랑스인에게 죽음을, 이것은 이탈리아의 외침이다!)

1282년 3월 30일, 프랑스 왕국 점령하의 시칠리아 섬에서 현지 여성이 프랑스 병사에게 폭행을 당했다. 이에 분노한 주민들이 프랑스 병사를 살해하고 항의의 목소리를 높였다. 세상에 알려진 “시칠리아의 만종 사건”이다(시칠리아 만종 전쟁, 1282년 - 1302년).

이 슬로건의 약어가 “MAFIA”이며 마피아의 어원이라고도 하지만, 이탈리아어로는 부자연스러우며, 나중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4. 주요 마피아 조직


  • 알바니아 마피아
  • 미국 마피아
  • 아르메니아 마피아
  • 아제르바이잔 마피아
  • 불가리아 마피아
  • 조지아 마피아
  • 그리스 마피아
  • 인도 마피아
  • 이스라엘 마피아
  • 멕시코 마피아
  • 몬테네그로 마피아
  • 루마니아 마피아
  • 세르비아 마피아
  • 러시아 마피아
  • 터키 마피아
  • 우크라이나 마피아

최근에는 미국의 이탈리아계 마피아(코사 노스트라) 외에도 대규모로 조직화된 범죄 집단을 '○○ 마피아'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나이지리아 마피아(Organized crime in Nigeria), 카두나 마피아(Kaduna Mafia) 등이 있다.

; 이탈리아

이탈리아 주요 범죄 조직 분포도


이탈리아는 크게 4개의 각기 다른 마피아가 활동 중이다.

  • 코사 노스트라(Cosa Nostra): 시칠리아를 근거지로 하는 범죄 조직이다. 영화 《대부》로 유명하다.
  • 카모라(Camorra): 캄파니아를 근거지로 하는 범죄 조직이다.
  • 은드란게타(Ndrangheta): 칼라브리아를 근거지로 하는 범죄 조직이다.[26] 세계에서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마피아로 널리 여겨진다.[27][28]
  • 사크라 코로나 우니타(Sacra corona unita): 풀리아를 근거지로 하는 범죄 조직이다.


이탈리아 범죄 조직은 다음과 같다.

  • 마글리아나 갱단(Banda della Magliana)과 마피아 카피탈레(Mafia Capitale): 라치오주(Lazio)에서 활동한다.
  • 바실리스키(Basilischi): 바실리카타주(Basilicata)에서 활동한다.
  • 카모라(Camorra): 캄파니아주(Campania)에서 활동한다.
  • 코사 노스트라(Cosa Nostra): 시칠리아(Sicily)에서 활동한다.
  • 말라 델 렌타(Mala del Brenta): 베네토주(Veneto)에서 활동한다.
  • 'Ndrangheta('Ndrangheta): 칼라브리아주(Calabria)에서 활동한다.
  • 사크라 코로나 우니타(Sacra Corona Unita): 풀리아주(Apulia)에서 활동한다.
  • 소시에타 포지아나(Società foggiana): 사크라 코로나 우니타의 분파이다.
  • 스티다(Stidda): 시칠리아(Sicily)에서 활동한다.


; 코사 노스트라 (Cosa Nostra)

코사 노스트라(La Cosa Nostra)는 시칠리아를 기반으로 하는 마피아 조직이다. 영화 《대부》 시리즈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 비토 카시오 페로(Vito Cascio Ferro):시칠리아 암흑가의 초대 보스
  • 카로제로 비치니(Calogero Vizzini):빌라르바 마을의 마을장이자 마피아
  • 조세페 젠코 루소(Giuseppe Genco Russo):시칠리아의 거물 마피아
  • 살바토레 그레코(Salvatore Greco):시칠리아 마피아
  • 미켈레 나바라(Michele Navarra):콜레오네 마피아 보스
  • 루치아노 리조(Luciano Liggio):나바라를 암살하고 콜레오네의 보스가 된 신흥 마피아
  • 살바토레 리이나(Salvatore Riina):리조 투옥 후 콜레오네의 보스
  • 베르나르도 프로벤차노(Bernardo Provenzano):리조 투옥 후 콜레오네의 보스
  • 마테오 메시나 데나로/Matteo Messina Denaro영어:시칠리아 콜레오네 마피아
  • 레오루카 바가렐라/Leoluca Bagarella영어:시칠리아 콜레오네 마피아
  • 가에타노 파달라멘티/Gaetano Badalamenti영어:시칠리아 마피아
  • 스테파노 봉타르테(Stefano Bontade):팔레르모 봉타르테 패밀리 보스
  • 살바토레 로 피콜로(Salvatore Lo Piccolo):시칠리아 콜레오네 마피아
  • 도메니코 라쿠글리아/Domenico Raccuglia영어:시칠리아 콜레오네 마피아
  • 주세페 카로(Giuseppe Calò):포르타 누오바 패밀리 보스
  • 탐마조 부셰타(Tommaso Buscetta):거물 마피아로, 후에 정부에 협력함
  • 미켈레 그레코(Michele Greco):교황이라 불린 보스


; 카모라 (Camorra)

나폴리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마피아 조직이다.

; 은드란게타 ('Ndrangheta)

은드란게타(이탈리아어: 'Ndrangheta, 은드란게타 또는 드란게타)는 칼라브리아를 기반으로 하는 마피아 조직이다. 현재 이탈리아에서 가장 강력한 마피아 조직으로 평가받는다.

; 사크라 코로나 우니타 (Sacra Corona Unita)

풀리아를 기반으로 하는 마피아 조직이다.

; 미국

존 고티(John Gotti). 미 연방수사국(FBI) 뉴욕 지부에 체포 당시의 머그샷


미국 마피아, 특히 라 코사 노스트라(La Cosa Nostra)는 알 카포네와 같이 금주법 시대를 거치며 막대한 자금력과 조직력을 바탕으로 미국 암흑가를 장악했다. 20세기 후반, FBI의 적극적인 단속과 이탈리아계 이민 사회의 변화로 인해 라 코사 노스트라의 역할이 줄어들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 마피아 전문가 셀윈 랍(Selwyn Raab)은 오늘날 미국 마피아가 신입 조직원을 주로 남부 이탈리아나 시칠리아 섬 등지에서 채용한다고 언급했다.

FBI 역시 라 코사 노스트라를 '미국 사회를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조직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2011년 월스트리트 저널 기사는 21세기에도 이탈리아계 범죄조직이 미국 암흑가에서 가장 강력한 집단으로 남아있는 이유를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라 코사 노스트라의 오랜 역사, 강력한 조직 구조, 원활한 조직원 수급 능력 외에도, 경쟁 조직들의 특성을 그 이유로 꼽았다. 러시아계 레드 마피아는 일시적인 범죄 공모 후 해체되는 경향이 있고, 아시아계 갱단들은 주로 자신들의 이민자 집단을 희생시키기 때문에 규모가 작다. 멕시코와 콜롬비아의 마약 카르텔은 마약 거래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DEA는 지적했다.

알 카포네(Al Capone)는 금주법 시대를 대표하는 시카고의 보스였으며, 샘 지안카나(Sam Giancana)는 시카고 마피아 보스로 케네디 대통령과의 관계로도 알려졌다. 살바토레 마란차노(Salvatore Maranzano)는 뉴욕의 갱단 세력을 다섯 가족으로 정리한 인물이다. 조셉 보난노(Joseph Bonanno)는 보난노 패밀리 보스였다. 조 마세리아(Joe Masseria)는 금주법 시대의 마피아 보스로 마란차노와 대립했다. 럭키 루치아노(Lucky Luciano)는 마세리아, 마란차노 사후 뉴욕 마피아를 통일하고 미국 마피아를 근대화시킨 제노베세 패밀리의 초대 보스이다. 프랭크 코스텔로(Frank Costello)는 루치아노의 뒤를 이은 2대 보스였으며, 비토 제노베세(Vito Genovese)는 코스텔로 이후 제노베세 패밀리의 3대 보스였다. 빈센트 지간테(Vincent Gigante)는 80년대부터 90년대에 걸쳐 제노베세 패밀리를 이끌었다. 조셉 발라키(Joseph Valachi)는 최초로 마피아의 침묵의 규칙을 깨뜨린 인물로 알려져있다. 마이어 랜스키(Meyer Lansky)는 유대계로 루치아노와 협력하여 마피아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조 애드니스(Joe Adonis)는 루치아노 등과 함께 마피아의 황금기를 건설했다. 벤저민 시걸(Benjamin Siegel)은 라스베가스 플라밍고 호텔의 건설 책임자였다. 토마스 루케세(Thomas Lucchese)는 루케세 패밀리의 2대 보스였다. 조셉 프로파치(Joseph Profaci)는 금주법 시대의 콜롬보 패밀리 보스였다. 앨버트 아나스타시아(Albert Anastasia)는 감비노 패밀리의 전신인 아나스타시아 패밀리의 보스이자 머더 잉크를 이끌었다. 칼로 감비노(Carlo Gambino)는 아나스타시아 사후 패밀리 이름을 "감비노"로 바꾸고 60년대부터 70년대의 다섯 가족을 주도했다. 폴 카스텔라노(Paul Castellano)는 감비노 사후 감비노 패밀리를 계승했지만 존 고티(John Gotti)에게 암살당했다. 존 고티는 20세기 말 뉴욕 마피아의 거물이었다. 카를로스 마르셀로(Carlos Marcello)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패밀리인 뉴올리언스 마피아의 보스였다.

; 러시아

소련이 해체되면서 현재 러시아에서 활동하는 마피아 조직원 및 그 하수인들의 수는 약 2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러시아 마피아는 소련 해체 이후 급성장하여 러시아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4. 1.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크게 4개의 각기 다른 마피아가 활동 중이다.

  • 코사 노스트라(Cosa Nostra): 시칠리아를 근거지로 하는 범죄 조직이다. 영화 《대부》로 유명하다.
  • 카모라(Camorra): 캄파니아를 근거지로 하는 범죄 조직이다.
  • 은드란게타(Ndrangheta): 칼라브리아를 근거지로 하는 범죄 조직이다.[26] 세계에서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마피아로 널리 여겨진다.[27][28]
  • 사크라 코로나 우니타(Sacra corona unita): 풀리아를 근거지로 하는 범죄 조직이다.


이탈리아 범죄 조직은 다음과 같다.

  • 마글리아나 갱단(Banda della Magliana)과 마피아 카피탈레(Mafia Capitale): 라치오주(Lazio)에서 활동한다.
  • 바실리스키(Basilischi): 바실리카타주(Basilicata)에서 활동한다.
  • 카모라(Camorra): 캄파니아주(Campania)에서 활동한다.
  • 코사 노스트라(Cosa Nostra): 시칠리아(Sicily)에서 활동한다.
  • 말라 델 렌타(Mala del Brenta): 베네토주(Veneto)에서 활동한다.
  • 'Ndrangheta('Ndrangheta): 칼라브리아주(Calabria)에서 활동한다.
  • 사크라 코로나 우니타(Sacra Corona Unita): 풀리아주(Apulia)에서 활동한다.
  • 소시에타 포지아나(Società foggiana): 사크라 코로나 우니타의 분파이다.
  • 스티다(Stidda): 시칠리아(Sicily)에서 활동한다.


시칠리아 섬의 "마피아(Mafia)"가 범죄 조직으로 유명해짐에 따라, 코르시카섬의 코르시카 유니온/Unione Corse영어, 나폴리의 범죄 조직 "카모라(Camorra)", 칼라브리아의 범죄 조직 "은드란게타(Ndrangheta)", 풀리아의 "사크라 코로나 우니타", 로마의 "시카리오" 등도 보도 등에서는 "마피아"라고 불리지만, 이탈리아 국내에서는 구분된다.

조직이 아닌 암흑가 전체를 가리키는 말은 "밀리외/Le Milieuit"이다. 작가이자 영화인인 조제 조반니는 "밀리외에 대해 모르는 사람이 아무렇지도 않게 말하고 있다"고 말했다.

; 이탈리아 4대 마피아

  • 은드란게타(Ndrangheta) : 2009년 현재 이탈리아 마피아의 최대 세력이다.[58]
  • 코사 노스트라(Cosa Nostra) : 한때 최대 세력을 자랑했지만, 현재는 간부 대부분이 체포되어 쇠퇴 추세에 있다.
  • 카모라(Camorra) : 나폴리를 중심으로 뿌리를 내리고 있다.
  • 사크라 코로나 우니타 : 약 30개 단체/약 1,800명을 거느리고 있다.[59]

4. 1. 1. 코사 노스트라 (Cosa Nostra)



코사 노스트라(La Cosa Nostra)는 시칠리아를 기반으로 하는 마피아 조직이다. 영화 《대부》 시리즈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 비토 카시오 페로(Vito Cascio Ferro):시칠리아 암흑가의 초대 보스
  • 카로제로 비치니(Calogero Vizzini):빌라르바 마을의 마을장이자 마피아
  • 조세페 젠코 루소(Giuseppe Genco Russo):시칠리아의 거물 마피아
  • 살바토레 그레코(Salvatore Greco):시칠리아 마피아
  • 미켈레 나바라(Michele Navarra):콜레오네 마피아 보스
  • 루치아노 리조(Luciano Liggio):나바라를 암살하고 콜레오네의 보스가 된 신흥 마피아
  • 살바토레 리이나(Salvatore Riina):리조 투옥 후 콜레오네의 보스
  • 베르나르도 프로벤차노(Bernardo Provenzano):리조 투옥 후 콜레오네의 보스
  • 마테오 메시나 데나로/Matteo Messina Denaro영어:시칠리아 콜레오네 마피아
  • 레오루카 바가렐라/Leoluca Bagarella영어:시칠리아 콜레오네 마피아
  • 가에타노 파달라멘티/Gaetano Badalamenti영어:시칠리아 마피아
  • 스테파노 봉타르테(Stefano Bontade):팔레르모 봉타르테 패밀리 보스
  • 살바토레 로 피콜로(Salvatore Lo Piccolo):시칠리아 콜레오네 마피아
  • 도메니코 라쿠글리아/Domenico Raccuglia영어:시칠리아 콜레오네 마피아
  • 주세페 카로(Giuseppe Calò):포르타 누오바 패밀리 보스
  • 탐마조 부셰타(Tommaso Buscetta):거물 마피아로, 후에 정부에 협력함
  • 미켈레 그레코(Michele Greco):교황이라 불린 보스

4. 1. 2. 카모라 (Camorra)

나폴리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마피아 조직이다.

4. 1. 3. 은드란게타 ('Ndrangheta)



은드란게타(이탈리아어: 'Ndrangheta, 은드란게타 또는 드란게타)는 칼라브리아를 기반으로 하는 마피아 조직이다. 현재 이탈리아에서 가장 강력한 마피아 조직으로 평가받는다.

4. 1. 4. 사크라 코로나 우니타 (Sacra Corona Unita)

풀리아를 기반으로 하는 마피아 조직이다.

4. 2. 미국

미국 마피아, 특히 라 코사 노스트라(La Cosa Nostra)는 알 카포네와 같이 금주법 시대를 거치며 막대한 자금력과 조직력을 바탕으로 미국 암흑가를 장악했다. 20세기 후반, FBI의 적극적인 단속과 이탈리아계 이민 사회의 변화로 인해 라 코사 노스트라의 역할이 줄어들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 마피아 전문가 셀윈 랍(Selwyn Raab)은 오늘날 미국 마피아가 신입 조직원을 주로 남부 이탈리아나 시칠리아 섬 등지에서 채용한다고 언급했다.

데이비드 사우스웰(David Southwell)은 그의 저서에서 언론이 라 코사 노스트라를 대체할 새로운 조직의 등장을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며, 마피아를 제외하면 바이커 갱단이 미국 암흑가의 지배적인 세력이라고 주장했다. FBI 역시 라 코사 노스트라를 '미국 사회를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조직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2011년 월스트리트 저널 기사는 21세기에도 이탈리아계 범죄조직이 미국 암흑가에서 가장 강력한 집단으로 남아있는 이유를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라 코사 노스트라의 오랜 역사, 강력한 조직 구조, 원활한 조직원 수급 능력 외에도, 경쟁 조직들의 특성을 그 이유로 꼽았다. 러시아계 레드 마피아는 일시적인 범죄 공모 후 해체되는 경향이 있고, 아시아계 갱단들은 주로 자신들의 이민자 집단을 희생시키기 때문에 규모가 작다. 멕시코와 콜롬비아의 마약 카르텔은 마약 거래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DEA는 지적했다.

하워드 아바딘스키(Howard Abadinsky) 교수는 현대 미국 마피아가 수사 기관의 관심을 분산시키기 위해 일부 범죄 활동을 다른 조직에 위탁하는 '아웃소싱' 형태로 발달했다고 설명했다.

2019년 GQ 매거진 인터뷰에서 뉴욕 동부지검 조직범죄 수사부장 크리스틴 메이스(Kristin Mace)는 이탈리아계 마피아가 여전히 뉴욕을 지배하며, 다른 어떤 조직도 그 영향력을 능가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같은 기사에서는 마피아가 침묵의 계율인 오메르타로 무장하여 수사와 기소를 어렵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전 감비노 패밀리 준 구성원 살 로마노는 오늘날의 미국 마피아가 1990년대보다 더 강력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2010년대 미국 경제 호황이 범죄 조직의 자금력을 강화했다고 덧붙였다. RICO법 권위자인 조지 블레이키(George Blakey) 교수는 코사 노스트라가 범죄자들에게 자금을 제공하며, 오늘날의 마피아는 암흑가의 은행처럼 행동한다고 말했다.

알 카포네(Al Capone)는 금주법 시대를 대표하는 시카고의 보스였으며, 샘 지안카나(Sam Giancana)는 시카고 마피아 보스로 케네디 대통령과의 관계로도 알려졌다. 살바토레 마란차노(Salvatore Maranzano)는 뉴욕의 갱단 세력을 다섯 가족으로 정리한 인물이다. 조셉 보난노(Joseph Bonanno)는 보난노 패밀리 보스였다. 조 마세리아(Joe Masseria)는 금주법 시대의 마피아 보스로 마란차노와 대립했다. 럭키 루치아노(Lucky Luciano)는 마세리아, 마란차노 사후 뉴욕 마피아를 통일하고 미국 마피아를 근대화시킨 제노베세 패밀리의 초대 보스이다. 프랭크 코스텔로(Frank Costello)는 루치아노의 뒤를 이은 2대 보스였으며, 비토 제노베세(Vito Genovese)는 코스텔로 이후 제노베세 패밀리의 3대 보스였다. 빈센트 지간테(Vincent Gigante)는 80년대부터 90년대에 걸쳐 제노베세 패밀리를 이끌었다. 조셉 발라키(Joseph Valachi)는 최초로 마피아의 침묵의 규칙을 깨뜨린 인물로 알려져있다. 마이어 랜스키(Meyer Lansky)는 유대계로 루치아노와 협력하여 마피아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조 애드니스(Joe Adonis)는 루치아노 등과 함께 마피아의 황금기를 건설했다. 벤저민 시걸(Benjamin Siegel)은 라스베가스 플라밍고 호텔의 건설 책임자였다. 토마스 루케세(Thomas Lucchese)는 루케세 패밀리의 2대 보스였다. 조셉 프로파치(Joseph Profaci)는 금주법 시대의 콜롬보 패밀리 보스였다. 앨버트 아나스타시아(Albert Anastasia)는 감비노 패밀리의 전신인 아나스타시아 패밀리의 보스이자 머더 잉크를 이끌었다. 칼로 감비노(Carlo Gambino)는 아나스타시아 사후 패밀리 이름을 "감비노"로 바꾸고 60년대부터 70년대의 다섯 가족을 주도했다. 폴 카스텔라노(Paul Castellano)는 감비노 사후 감비노 패밀리를 계승했지만 존 고티(John Gotti)에게 암살당했다. 존 고티는 20세기 말 뉴욕 마피아의 거물이었다. 카를로스 마르셀로(Carlos Marcello)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패밀리인 뉴올리언스 마피아의 보스였다.

4. 3. 러시아

소련이 해체되면서 현재 러시아에서 활동하는 마피아 조직원 및 그 하수인들의 수는 약 2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러시아 마피아는 소련 해체 이후 급성장하여 러시아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5. 조직 구조 및 활동

5. 1. 조직 구조

코사 노스트라(이탈리아 마피아도 거의 비슷하다)를 예로 설명한다.

마피아의 각 조직은 '''패밀리'''(ファミリー)라고 불리며, 두목( '''보스''' 또는 '''돈''', '''카포'''라고도 함)을 정점으로, '''언더보스'''(underboss…폭력단의 조직원에 해당)가 있다. 여러 '''카포 레지메'''(capo régime, 간부, 카포 또는 캡틴이라고도 함)가 이끄는 2차 조직(영어에서는 "crew"라고 자주 불림)에 각 '''솔저'''(구성원)가 소속되어 피라미드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 '''콘시글리에레'''(consigliere, 고문)라는 직책은 조직 내에서 중요한 직책으로, 보통 카포 레지메를 통해서만 보스나 언더보스와 접촉할 수 있는 솔저가 카포 레지메와 문제가 생겼을 때 직접 상담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54] 각 솔저의 아래에는 수 명의 '''아소시에이트'''(Associate, 준구성원)가 있으며, 그 민족 구성에는 이탈리아계 미국인이나 이탈리아인 이외의 인물도 포함되어 있다.

(카포는 마피아(시칠리아) 간부의 공식적인 호칭이며, 보스는 갱, 돈은 카모라(나폴리) 간부의 호칭이다.)

대부에서는 조직이 고대 로마 제국의 군단 조직 켄투리아(백인대, 보병 소대)를 모델로 했다고 설명되어 있다.

현재는 여러 보스가 운영하는 패밀리도 있으며, 이 조직 체계는 사라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각 도시에는 1개의 패밀리가 있지만, 뉴욕만은 구성원 수가 다른 도시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5개의 패밀리(소위 다섯 개의 패밀리)로 나뉘어 있다. 시칠리아를 제외하고 미국 전역에 20개 이상의 패밀리가 존재하며, 그 외 캐나다, 베네수엘라, 오스트레일리아에도 존재한다.

모든 패밀리를 총괄하는 조직으로서 보스들의 모임인 위원회(commission, 전국위원회 등으로도 번역됨)라고 불리는 조직이 있지만, 반드시 전국의 패밀리가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아니며, 다섯 개의 패밀리 보스들만 모이는 것도 위원회라고 부른다.[55] 또한, 시칠리아 마피아에도 미국과는 별도로 「시칠리아 위원회」가 존재한다.

현대에는 패밀리 보스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일은 없고 개별적으로 회합을 갖는다.

5. 2. 활동 내용

마피아의 주요 활동 내용은 마약 거래, 살인암살, 밀수, 밀조, 공모, 협박 및 강요, 보호비 징수[53], 고리대금업[53] 등의 범죄와 부동산업 등 합법적인 사업이다.

마피아 구성원인 “와이즈 가이”(wiseguy)는 개인 사업자이며, 하나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사업을 한다. 도박, 고리대금업, 포르노·성 관련, 고물 매매 외에 파트너라고 불리는 중개업이 있다. 중개업은 사업을 하고 싶거나 도박을 하고 싶은 사람과 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람을 연결해주고, 그 대가로 공동 경영자가 되거나 수수료를 받는 일이다.

매춘과 도박은 “명예로운 남자”가 하는 사업이 아니며, 금기시된다. 이탈리아 유통업계 단체의 보고서에 따르면 마피아는 연간 약 1300억 유로(약 15조 8600억 원)의 매출액을 올리고 있다고 한다.

5. 3. 오메르타 (Omertà)

마피아는 이전 일본의 야쿠자처럼 사무실을 공공연히 차리지 않고 철저한 비밀 조직, 비공개 조직이다.[29][56] 이는 구성원에게 복종과 침묵을 엄하게 명하는 피의 규약(오메르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29] 규약을 어겼을 때는 다른 구성원에 대한 본보기로 끔찍한 제재가 가해진다. 행방불명되었다가 나중에 고문을 받은 흔적이 있는 참혹한 시체로 발견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57]

이 규약과 정식 구성원이 소수라는 점이 합쳐져 마피아에 대한 범죄 수사는 어렵다.[29][56] 최근에는 미국 당국도 이에 대항하여 연방 증인보호 프로그램(FWPP)를 적용하여 보호하는 등의 대책을 취하고 있다.

6. 대한민국과 마피아

대한민국에서는 마피아와 유사한 활동을 하는 조직폭력배, 속칭 '조폭'이 존재한다. 이들은 깡패 또는 컷투기라고도 불린다. 조폭은 깡패에서 기원했으며, 이들의 주요 범죄 행위는 사회적으로 큰 폐해를 야기하고 있다.

조폭은 정치권, 재계와의 유착 의혹이 끊이지 않고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유착 관계는 조폭 범죄를 근절하기 어렵게 만드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며, 이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근절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조폭과 권력 간의 유착 관계를 끊어내는 것이 한국 사회의 정의를 바로 세우는 데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한다.

7. 관련 영화 및 소설

대부마리오 푸조의 소설로,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대부는 1972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 말론 브란도 주연의 영화로 제작되었다. 대부 2는 1974년 알 파치노 주연으로 제작되었다.

바라키(1972)는 찰스 브론슨 주연의 영화이다. 시실리안(1969)은 알랭 들롱 주연의 영화이다. 코사 노스트라(1973)는 장 마리아 볼롱테 주연의 영화로, 럭키 루치아노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알 카포네(1959)는 로드 스타이거 주연의 영화이다.

굿펠라스(1990)는 로버트 드 니로 주연의 영화이다. 페이백(원제: Payback)은 1999년 미국 영화이다. 소프라노스는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빈센조TvN에서 방영된 한국 드라마이다.

마피아 시리즈/Mafia (series)영어는 게임으로, 1편은 일루전 소프트웍스/2K Czech영어가 개발하였고, 2편3편은 후속작을 맡은 2K Czech가 개발하였다.

8. 각주

9. 외부 링크

참조

[1] harvard
[2] 웹사이트 The Mafia from the mountains https://newsinteract[...]
[3] 뉴스 Nicola Gratteri: The man on the kill list of Italy's most powerful mafia https://www.bbc.com/[...] 2023-01-13
[4] 웹사이트 Meet the 'Ndrangheta – and why it's time to bust some myths about the Calabrian mafia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23-12-03
[5] 간행물 Modifiche agli articoli 416-bis e 416-ter del codice penale in materia di associazioni di tipo mafioso e di scambio elettorale politico-mafioso https://www.senato.i[...] Senato della Repubblica 2010-05-20
[6] 웹사이트 Sentenza storica: "La 'ndrangheta esiste". Lo dice la Cassazione e non è una ovvietà https://www.repubbli[...] La Repubblica 2019-10-18
[7] 서적 Cosa Nostra
[8] 웹사이트 Il termine "mafia" http://hrcak.srce.hr[...] Sveučilište Jurja Dobrile u Puli 2011
[9] 서적 Che cosa è la mafia? https://books.google[...]
[10] 서적 Mafia & Mafiosi https://books.google[...]
[11] 서적 The Sicilian Mafia
[12] 서적 Challenging the Mafia Mystique https://books.google[...]
[13] 서적 Lingua nostra https://archive.org/[...]
[14] 서적 The Last Godfathers Hachette UK 2009-06-08
[15] 서적 To Serve and Collect: Chicago Politics and Police Corruption from the Lager Beer Riot to the Summerdale Scandal, 1855-1960 SIU Press 1998-08-01
[16] 서적 The Pillars of Hercules: A Grand Tour of the Mediterranean Fawcett Columbine 1995
[17] 서적 The Honoured Society 1964
[18] 웹사이트 Sicily And The Mafia http://www.americanm[...] americanmafia.com 2004-02
[19] 서적 The Sicilian Mafia
[20] 서적 The History of the Mafia http://cup.columbia.[...]
[21] 서적 History of the Mafia
[22] 서적 The Sicilian Mafia: The Business of Private Protection 1993
[23] harvard
[24] 서적 Mafia: money and politics in Sicily https://books.google[...]
[25] 웹사이트 Art. 416-bis, Codice Penale - Associazione di Tipo mafioso http://www.camera.it[...] 2013-09-14
[26] 뉴스 cosi Carlo Giovanardi minacciava i carabinieri http://espresso.repu[...] L'Espresso 2017-05-04
[27] 웹사이트 The Mafia from the mountains https://newsinteract[...]
[28] 뉴스 Nicola Gratteri: The man on the kill list of Italy's most powerful mafia https://www.bbc.com/[...] 2023-01-13
[29] 서적 暴力団 新潮新書
[30] 서적 組織犯罪の研究―マフィア、ラ・コーザ・ノストラ、暴力団の比較研究 成文堂
[31] 웹사이트 http://www.inthemafi[...]
[32] 웹사이트 マフィアグッズ専門店 https://mafia-goods.[...] 2021-02-06
[33] 뉴스 三田会マフィア プレジデント 2011-10-17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웹사이트 マフィアグッズ専門店 https://mafia-goods.[...] 2021-03-01
[52] 뉴스 NYマフィア127人逮捕、米捜査当局:国際ニュース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5-09-13
[53] 웹사이트 マフィア:依然強い影響力 イタリア最大の企業に?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07-10-28
[54] 웹사이트 マフィアグッズ専門店 https://mafia-goods.[...] 2021-03-03
[55] 웹사이트 マフィアグッズ専門店 https://mafia-goods.[...] 2021-03-02
[56] 간행물 アメリカにおける犯罪組織の実態と対策 立花書房
[57] 기타
[58] 뉴스 読売新聞 2009-09-10
[59] 웹사이트 平成5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警察白書 2003-04-01
[60] 서적
[61] 서적 지중해 문화기행 일빛
[62] 뉴스 조폭 시대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1-10-20
[63] 서적 이탈리아 사람들(The Italia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