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라리아원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라리아원충은 아피콤플렉사문에 속하는 단세포 기생충으로, 사람, 원숭이, 조류 등 다양한 숙주에 기생하여 말라리아를 일으킨다. 사람에게는 3일열, 4일열, 난형열, 열대열 말라리아원충 등이 감염되며, 생활사 동안 척추동물 숙주와 곤충 숙주(주로 모기)를 오가며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을 반복한다. 말라리아원충은 200종이 넘으며, 숙주와 형태에 따라 14개의 아속으로 분류된다. 1880년 샤를 루이 알퐁스 라브랑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1885년 에토레 마르키아파바와 안젤로 첼리에 의해 Plasmodium으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라리아 - 세계 말라리아의 날
    세계 말라리아의 날은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국제적 인식 제고와 노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정한 기념일로, 매년 4월 25일에 기념하며 다양한 주제를 통해 말라리아 퇴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자금 부족, 치료법 접근성 문제, 개발도상국의 부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말라리아 - 연층
    혈액을 원심분리했을 때 혈장층과 적혈구층 사이에 나타나는 얇은 층인 연층은 주로 백혈구와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DNA 추출, 혈액 기생충 검출, 백혈구 감별 등에 활용된다.
  • 정단복합체충류 - 톡소포자충
    톡소포자충은 고양이과 동물을 종숙주로, 사람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들을 중간숙주로 삼는 세포 내 기생 원생생물로, 덜 익힌 고기 섭취나 고양이 분변 등을 통해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고 숙주의 행동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정단복합체충류 - 와포자충속
    와포자충속은 아피콤플렉스문에 속하는 기생성 원생생물로, 척추동물의 소화기관에 기생하여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을 유발하며, 특히 오염된 물을 통해 전파되어 설사를 주 증상으로 하는 집단 감염을 일으키고, 환경 저항성이 강한 오오시스트 형태와 염소 소독에 대한 내성을 가진다.
  • 원생생물 - 유공충
    유공충은 단단한 껍질을 가진 원생생물로, 껍질 형태와 구성에 따라 분류되며, 해양 환경에서 생물 층서 및 고기후 연구, 석유 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원생생물 - 코아노조아
    코아노조아는 칼라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깃편모충류와 동물을 포함하는 계통 분류군으로, 동물의 기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말라리아원충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홀씨소낭의 위색 전자 현미경 사진
홀씨소낭의 위색 전자 현미경 사진
학명Marchiafava et Celli, 1885
동의어Marchiafava
Celli, 1885
분류
진핵생물
크로말베올라타
상문피하낭류
정단복합체충류
무코노이드 강
주혈포자충 목
플라스모디움 과
추가 정보
질병말라리아
특징기생성 원생생물
정보 출처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말라리아

2. 종류 및 특징

말라리아원충은 숙주특이성이 높은 고유종으로 사람, 원숭이, 쥐, 조류 등에 기생하여 말라리아를 일으킨다. 사람에게는 3일열말라리아원충(하루거리말라리아원충), 4일열말라리아원충(이틀거리말라리아원충), 난형말라리아원충, 열대열말라리아원충 등 네 종류와 매우 드물게 원숭이말라리아원충의 특정 종이 감염된다.[19]

''Plasmodium''은 진핵생물이지만 특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Plasmodium'' 속은 숙주 적혈구 내에서 분열증의 무성 생식 과정을 거치고, 숙주 헤모글로빈을 소화하는 부산물로 결정성 색소인 헤모조인을 생성하는 아피콤플렉사문에 속하는 모든 진핵생물로 구성된다.[19] ''Plasmodium'' 종은 다른 진핵생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과 그들의 문 또는 속에 고유한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 ''Plasmodium'' 게놈은 세포핵 내에 포함된 14개의 염색체로 분리된다. ''Plasmodium'' 기생충은 생활 주기의 대부분 동안 반수체 상태의 게놈을 유지하며, 곤충 숙주의 중장 내에서 짧은 성적 교환 동안만 게놈을 배수체로 만든다.[2] 핵에 부착된 소포체(ER)는 다른 진핵생물의 ER과 유사하게 기능한다. 단백질은 ER에서 아피콤플렉사에서 일반적으로 단일 막으로 둘러싸인 구획으로 구성된 골지체로 이동하며, 여기서 다양한 세포 구획 또는 세포 표면으로 이동한다.[3]

다른 아피콤플렉사처럼, ''Plasmodium'' 종은 기생충의 정단 끝 부분에 숙주로 이펙터를 분비하기 위한 특수화된 소기관 역할을 하는 여러 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것은 숙주 세포를 침입하고 일단 내부에 들어가면 숙주를 변형시키는 데 관여하는 기생충 단백질을 포함하는 팽대부 로프트리이다.[4] 로프트리에 인접한 작은 구조는 운동성에 필요할 뿐만 아니라 숙주 세포를 인식하고 부착하는 기생충 단백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네메라고 한다.[5] 기생충 전체에 분포된 것은 소포라고 하는 분비 소포이며, 기생충과 숙주를 분리하는 막(기생포낭)을 변형시키는 데 관여하는 기생충 단백질을 포함한다.[5]

''Plasmodium'' 종은 또한 공생 발생 기원의 두 개의 큰 막으로 둘러싸인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와 아피코플라스트를 포함하며, 둘 다 기생충의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포유류 세포와 달리 ''Plasmodium'' 세포는 ''Plasmodium'' 세포의 분열과 그 분열을 조절하는 단일의 큰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한다.[6] 다른 진핵생물에서와 마찬가지로, ''Plasmodium'' 미토콘드리아는 시트르산 회로를 통해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형태로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능은 곤충 숙주에서 기생충 생존에만 필요하며 적혈구 내에서의 성장에 필요하지 않다.[6] 두 번째 소기관인 아피코플라스트는 이차 공생 사건, 이 경우 ''Plasmodium'' 조상에 의한 홍조류의 획득에서 파생되었다.[7] 아피코플라스트는 지방산, 이소프레노이드, 철-황 클러스터 생합성 경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 다양한 대사 전구체의 합성에 관여한다.[8]

2. 1. 하위 아속 및 종

''말라리아원충속''은 200종이 넘는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감염된 척추동물의 혈액 도말에서의 모습에 따라 기술된다.[16] 이 종들은 형태와 숙주 범위를 기준으로 14개의 아속으로 분류되었다:[17]

아속숙주비고
Asiamoeba (Telford, 1988)파충류
Bennettinia (Valkiunas, 1997)조류
Carinamoeba (Garnham, 1966)파충류
Giovannolaia (Corradetti, et al. 1963)조류
Haemamoeba (Corradetti, et al. 1963)조류
Huffia (Corradetti, et al. 1963)조류
Lacertamoeba (Telford, 1988)파충류
Laverania (Bray, 1958)유인원, 인간
Novyella (Corradetti, et al. 1963)조류
Ophidiella (Telford, 1988)파충류
Paraplasmodium (Telford, 1988)파충류
Plasmodium (Bray, 1955)원숭이 및 유인원
Sauramoeba (Garnham, 1966)파충류
Vinckeia (Garnham, 1964)포유류 (영장류 포함)



열대열원충(''P. falciparum'')과 ''P. reichenowi''(이들은 함께 아속 ''Laverania''를 구성)를 제외한 원숭이유인원을 감염시키는 종은 아속 ''Plasmodium''에 분류된다. 영장류를 포함한 다른 포유류(여우원숭이 등)를 감염시키는 기생충은 아속 ''Vinckeia''에 분류된다. ''Bennettinia'', ''Giovannolaia'', ''Haemamoeba'', ''Huffia'', ''Novyella''의 다섯 아속에는 알려진 조류 말라리아 종이 포함되어 있다.[18] 나머지 아속: ''Asiamoeba'', ''Carinamoeba'', ''Lacertamoeba'', ''Ophidiella'', ''Paraplasmodium'' 및 ''Sauramoeba''에는 파충류를 감염시키는 다양한 기생충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42]

말라리아원충속의 아속 및 종은 다음과 같다.

아속숙주생식모체 특징분열체 특징대표 종비고
영장류 | 구형 | | , |
조류 | 가늘고 김 | 적혈구 핵을 따라 뻗음 | | [44]
조류 | 둥글고 적혈구 핵보다 큼 | | |
조류 | 가늘고 김 | 적혈구 이외 조혈계 세포에서도 증식 | |
조류 | 가늘고 김 | 작고 반짝이는 과립 포함 | |
영장류 | 낫 모양 | | , |
설치류 등 영장류 이외 포유류 | | | , |
도마뱀 | 큼 | 크고 12개 이상 딸충체 생성 | |
도마뱀 | 작음 | 작고 8개 이상 딸충체 생성 | |
| | | |
도마뱀 | 크기 차이 4배 이상 | | |
도마뱀 | 중간 크기 | | |
도마뱀 | 큼 | 중간 크기 | |
조류 | 둥글고 적혈구 핵보다 작음 | | |
조류 | 가늘고 김 | 둥금 | | [45]



주혈포자충목 플라스모디움과에 속하는 종 중 박쥐에 기생하는 다음 생물은 적혈구 내에서 무성 생식을 하지 않고 생식모체만을 형성하기 때문에 말라리아원충과는 구별되어 왔다. 그러나 분자계통 분석에서는 말라리아원충에서 특수화되었을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46]


  • 헤파토시스티스()
  • : 박쥐 외에 원숭이다람쥐 등을 숙주로 한다. 간에서 증식하여 낭포를 생성한다.

  • : 간세포에서 증식한다.

  • : 간의 쿠퍼 세포나 폐의 세망내피계에서 증식한다. 최신 연구에서는 말라리아원충으로부터의 특수화는 부정되고 있다[47]

3. 생활사

말라리아원충의 생활사는 사람과 모기 두 숙주를 오가며 복잡하게 진행된다.

사람에게 감염되는 종의 생활환

  • 사람 (중간 숙주):
  • '''스포로조이트'''(sporozoite, 분열소체) 형태: 학질모기(드물게 사상파리)가 사람을 물 때 침과 함께 몸 속으로 들어온다.
  • '''간 단계''': 스포로조이트는 간세포로 이동하여 분열생식(schizogony)을 통해 빠르게 증식한다. 일부는 '''히프노조이트'''(hypnozoite, 휴면체) 형태로 수십 년간 잠복하기도 한다.
  • '''적혈구 단계''': 간에서 나온 말라리아원충은 적혈구로 침입하여 무성생식을 반복한다. 이때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발열,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생식모체'''(gametocyte) 형성: 일부 원충은 생식모체로 변하여 모기에게 전파될 준비를 한다.

  • 모기 (최종 숙주):
  • '''생식모체 흡수''': 모기가 감염된 사람의 피를 빨 때 생식모체를 함께 섭취한다.
  • '''유성생식''': 모기의 소화관 내에서 생식모체는 배우자(gamete)를 생성하고, 이들이 수정하여 접합자를 형성한다.
  • '''오오키네트'''(ookinete, 충양체) 형성: 운동성을 가진 접합자는 소화관 상피세포로 침입한다.
  • '''포자생식'''(sporogony): 오오키네트는 오오시스트(oocyst)로 발달하고, 감수 분열을 거쳐 수많은 '''스포로조이트'''를 생성한다.
  • '''스포로조이트 전파''': 오오시스트가 터지면서 방출된 스포로조이트는 모기의 침샘으로 이동하여 다음 흡혈 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준비를 마친다.

3. 1. 감염

이들 병원충은 사람의 간세포와 적혈구 안에서 무성생식(다수분열)을 하며, 매개 곤충인 모기의 몸 안에서는 유성생식(포자형성)과 무성생식을 하므로 동물학적으로는 사람이 중간숙주, 모기가 최종숙주가 된다. 감염은 매개하는 모기가 흡혈할 때 침샘 안의 포자소체가 주입되어 이루어진다. 인체 내로 들어온 포자소체는 혈액순환을 통해 간세포에 이르고, 무성적인 증식으로 적혈구 외형 발육을 1~2회 되풀이하면 비로소 적혈구에 침입이 가능한 적혈구 외기의 분열소체가 되어 이것이 적혈구 안으로 들어가 일정 주기의 무성적인 적혈구내형 발육을 되풀이할 때마다 적혈구를 파괴한다. 이러한 적혈구 파괴가 일어날 때 숙주는 40°C 이상의 고열이 나며, 증식 주기는 병원충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진단할 때 중요시된다.[9][10]

인간 적혈구 내의 ''Plasmodium''의 고리 형태(Giemsa 염색)


''Plasmodium''의 생활 주기는 곤충 및 척추 숙주 내에서 여러 뚜렷한 단계를 거친다. 기생충은 일반적으로 곤충 숙주(일반적으로 모기, 일부 파충류의 ''Plasmodium'' 종 제외)가 물 때 척추 숙주에 침입한다. 기생충은 먼저 간 또는 기타 조직을 감염시킨 후 숙주 세포를 떠나 적혈구를 감염시키기 전에 한 번의 대규모 복제를 거친다. 이 시점에서 영장류의 일부 ''Plasmodium'' 종은 하이포노조이트(hypnozoite)라고 불리는 장기간 생존하는 휴면 단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간에 1년 이상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Plasmodium'' 종의 경우, 감염된 간 세포 내 기생충은 메로조이트라고 불리는 것으로 분열한다. 간에서 나온 메로조이트는 적혈구로 들어가 적혈구 감염의 지속적인 주기를 거치며, 기생충의 작은 비율은 곤충 숙주가 혈액을 섭취할 때 흡수되는 배우자체라고 불리는 성적 단계로 분화된다. 일부 숙주에서 ''Plasmodium'' 종의 적혈구 침입은 말라리아라는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은 때때로 심각할 수 있으며, 숙주의 죽음으로 이어진다(예: 인간의 ''P. falciparum''). 다른 숙주에서는 ''Plasmodium'' 감염이 증상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9]

인간이 이러한 무증상 플라스모디움 감염을 겪는 경우에도 비장과 골수, 특히 은폐된 다수의 증식 기생충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은 ''P. vivax''의 경우에 해당된다. 이러한 숨겨진 기생충(하이포노조이트 외에도)은 재발성 ''P. vivax'' 말라리아 발생의 근원으로 여겨진다.[13]

모기로부터 기생충의 여러 다른 형태 중 하나인 포자체


적혈구 내에서 메로조이트는 먼저 고리 모양으로 성장한 다음 영양체라고 하는 더 큰 형태로 성장한다. 영양체는 여러 번 분열하여 새로운 메로조이트를 생성하는 분열체로 성숙한다. 감염된 적혈구는 결국 파열되어 새로운 메로조이트가 혈류 내에서 이동하여 새로운 적혈구를 감염시킬 수 있게 한다. 대부분의 메로조이트는 이 복제 주기를 계속하지만, 일부 메로조이트는 적혈구를 감염시킬 때 배우자체라고 하는 남성 또는 여성 성적 형태로 분화된다. 이러한 배우자체는 모기가 감염된 척추 숙주를 먹어 혈액을 섭취할 때까지 혈액 내에서 순환하며, 배우자체를 포함한 혈액을 섭취한다.[10]

모기 내에서 배우자체는 혈액 섭취와 함께 모기의 중간창자로 이동한다. 여기서 배우자체는 남성과 여성 배우자로 발달하여 서로 수정하고 접합자를 형성한다. 접합자는 운동성을 띠는 오오키네트로 발달하여 중간창자 벽을 관통한다. 오오키네트는 중간창자 벽을 통과한 후 창자 외부 막에 박혀 낭포로 발달한다. 낭포는 여러 번 분열하여 많은 수의 작고 긴 포자체를 생성한다. 이러한 포자체는 모기의 침샘으로 이동하여 모기가 다음 숙주를 물 때 숙주의 혈액으로 주입되어 주기를 반복할 수 있다.[10]

매개체는 학질모기 (드물게 사상파리)이며, 흡혈 시 타액과 함께 침입한 스포로조이트(분열모체, sporozoite영어)가 먼저 간세포 내에서 분열생식(schizogony영어)을 하여 수를 늘린다. 종에 따라 간 내에서 히프노조이트(hypnozoite영어, 휴면체)가 되어 수십 년에 걸쳐 휴면하는 경우가 있다. 간에서 혈액으로 이동하여 적혈구 내에서 무성 생식을 반복하며, 이때 적혈구가 파괴되기 때문에 발열이나 빈혈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가끔 생식모체(gametocyte영어)가 생겨 흡혈과 함께 매개체로 옮겨져 그 소화관 내에서 배우자(gamete영어)를 생성하여 유성생식이 이루어진다. 접합자는 운동성을 띠며 오키네트(ookinete영어, 충양체)라고 불리며, 이것이 소화관 상피 세포에 침입하여 포자생식(sporogony영어)이 이루어진다. 감수 분열을 거쳐 생성된 오시스트(oocyst영어)는 파열되어 스포로조이트를 방출하고, 이것이 체강액 속을 떠돌아다니다가 타액선에 집합한다. 즉, 척추동물은 중간 숙주이며, 매개 곤충이 종숙주이다.

4. 진화 및 분류

''Plasmodium''영어 속은 숙주 적혈구 내에서 분열증의 무성 생식 과정을 거치고, 숙주 헤모글로빈을 소화하는 부산물로 결정성 색소인 헤모조인을 생성하는 아피콤플렉사 문에 속하는 모든 진핵생물로 구성된다.[19]

말라리아원충은 세포 한쪽 끝에 특징적인 분비 소기관을 가진 단세포 기생충의 아피콤플렉사에 속한다.[14] 아피콤플렉사 내에서, 말라리아원충은 혈구 내에서 생존하는 모든 아피콤플렉사를 포함하는 혈구충목에 속한다.[15]

다른 아피콤플렉사처럼, ''Plasmodium'' 종은 기생충의 정단 끝 부분에 숙주로 이펙터를 분비하기 위한 특수화된 소기관 역할을 하는 여러 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다.

''Plasmodium'' 종은 또한 공생 발생 기원의 두 개의 큰 막으로 둘러싸인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와 아피코플라스트를 포함하며, 둘 다 기생충의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분자 생물학적 방법을 사용한 ''말라리아원충'' 종 연구는 이 그룹의 진화가 형태학적 분류를 완벽하게 따르지 않았음을 시사한다.[19] 형태학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숙주에 감염되는 많은 ''말라리아원충'' 종들이 단지 멀리 떨어진 관계일 뿐인 것으로 밝혀졌다.[20]

1990년대에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종의 리보솜 RNA와 표면 단백질 유전자를 비교하여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이 다른 영장류 기생충보다 조류 기생충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발견하여 ''말라리아원충'' 종의 진화적 관계를 평가하려고 했다.[17] 그러나 더 많은 ''말라리아원충'' 종을 표본 추출한 후속 연구에서 포유류의 기생충이 간원충(Hepatocystis)과 함께 한 계통군을 형성하는 반면, 조류 또는 도마뱀의 기생충은 아속을 따르지 않는 진화적 관계와 함께 별도의 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21]

다양한 ''말라리아원충'' 계통이 분화된 시기에 대한 추정치는 광범위하게 달랐다. 혈구포자충목(Haemosporida)의 다양화에 대한 추정치는 약 1,620만 년에서 1억 년 전까지 다양하다.[17] 의학적 중요성 때문에 인간 기생충인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이 다른 ''말라리아원충'' 계통으로부터 분화된 시기를 측정하는 데 특히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에 대한 추정 날짜는 11만 년에서 250만 년 전까지 다양하다.[17]

미토콘드리아 DNA, 아피코플라스트, 및 핵 DNA의 유전자 서열을 조사한 연구에서는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에 가장 가까운 근연종은 ''P. praefalciparumla''(고릴라를 숙주로 함)임을 지지한다.[55][56][57] 이 두 종은 침팬지의 기생충 ''P. reichenowila''와 가까운 계통 관계에 있으며, 이전에는 ''P. reichenowila''가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의 가장 가까운 근연종이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한때는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도 조류의 기생충에서 유래한다고 생각되었다.[58]

유전자 다형성의 정도를 조사해 보면, ''P. praefalciparumla''을 포함한 근연종에 비해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 게놈 내의 다형성은 매우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59][55] 이는 인간에서의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의 기원이 최근임을 시사하며, ''P. praefalciparumla''과의 공통 조상이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게 되었을지도 모른다.[55]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의 유전적 정보에는 최근의 집단 확대 경향의 징후가 나타나 있으며, 이는 농업 혁명에 의한 인구 확대 시기와 일치한다. 대규모 농업의 발전은 더 많은 모기의 번식지를 만들어냄으로써 그 집단 밀도를 증가시켜, 열대 말라리아 원충의 진화와 확대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60]

4. 1. 분류

말라리아원충(Plasmodium) 속은 200종 이상의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감염된 척추동물의 혈액 도말에서 보이는 모습에 따라 분류된다. 이들은 형태와 숙주 범위에 따라 14개의 아속으로 나뉜다.[17]

아속숙주비고
Asiamoeba파충류
Bennettinia조류
Carinamoeba파충류
Giovannolaia조류
Haemamoeba조류
Huffia조류
Lacertamoeba파충류
Laverania유인원, 인간
Novyella조류
Ophidiella파충류
Paraplasmodium파충류
Plasmodium원숭이 및 유인원열대열원충(P. falciparum)과 P. reichenowi 제외
Sauramoeba파충류
Vinckeia포유류 (영장류 포함)



원숭이유인원을 감염시키는 종 중 열대열원충(P. falciparum)과 ''P. reichenowi''는 Laverania 아속으로 분류된다. 영장류를 포함한 다른 포유류(여우원숭이 등)를 감염시키는 기생충은 Vinckeia 아속으로 분류된다. Bennettinia, Giovannolaia, Haemamoeba, Huffia, Novyella의 다섯 아속에는 알려진 조류 말라리아 종이 포함되어 있다.[18] 나머지 아속인 ''Asiamoeba'', ''Carinamoeba'', ''Lacertamoeba'', ''Ophidiella'', ''Paraplasmodium'' 및 ''Sauramoeba''에는 파충류를 감염시키는 다양한 기생충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42]

말라리아 원충을 포함하는 가장 오래된 모기의 화석 (1500~2000만 년 전)


말라리아원충은 아피콤플렉사문 무코노이드강 구충목 플라스모디움과에 속한다.

최근의 분자생물학적 연구에서는 말라리아원충속의 진화가 위 분류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48] 형태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숙주에 감염되는 많은 말라리아원충 종은 계통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관계이다.[49]

1990년대에는 리보솜 RNA와 다양한 종의 표면 단백질 유전자를 비교하여 말라리아원충 종의 진화 관계를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사람 기생충인 열대열원충(P. falciparum)이 영장류의 다른 기생충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50]

더 많은 말라리아원충 종을 표본 추출한 연구에서는 포유류 기생충이 ''Hepatocystis'' 속과 단일 클레이드를 형성하지만, 조류 및 도마뱀 기생충은 계통적으로 아속에 속하지 않는 별도의 클레이드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0][51]

''Plasmodium'' 속 계통이 분기된 연대 추정치는 1620만 년 전부터 1억 년 전까지로 매우 넓다.[50] 사람 기생충인 열대열원충(P. falciparum)이 다른 ''Plasmodium'' 속으로부터 분기된 연대는 11만 년 전에서 25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50]

인간에게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종인 열대열원충(P. falciparum)은 서아프리카의 고릴라에 기생하는 Laverania(유인원에서 발견되는 ''Plasmodium''의 아속) 종에서 진화했다고 알려져 있다.[52][53] 유전적 다양성으로부터의 추정에서는 약 1만 년 전에 열대열원충(P. falciparum)이 출현했다고 한다.[54]

미토콘드리아 DNA, 아피코플라스트, 및 핵 DNA의 유전자 서열을 조사한 연구에서는 열대열원충(P. falciparum)에 가장 가까운 근연종은 ''P. praefalciparum''(고릴라를 숙주로 함)임을 지지한다.[55][56][57] 이 두 종은 침팬지의 기생충 ''P. reichenowi''와 가까운 계통 관계에 있다.

유전자 다형성의 정도를 조사해 보면, ''P. praefalciparum''을 포함한 근연종에 비해 열대열원충(P. falciparum) 게놈 내의 다형성은 매우 낮다.[59][55] 이는 인간에서의 열대열원충(P. falciparum)의 기원이 최근임을 시사하며, ''P. praefalciparum''과의 공통 조상이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게 되었을지도 모른다.[55] 열대열원충(P. falciparum)의 유전적 정보에는 최근의 집단 확대 경향의 징후가 나타나 있으며, 이는 농업 혁명에 의한 인구 확대 시기와 일치한다. 대규모 농업의 발전은 더 많은 모기의 번식지를 만들어내어 열대 말라리아 원충의 진화와 확대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60]

4. 2. 계통

''Plasmodium''영어 속은 숙주 적혈구 내에서 분열증의 무성 생식 과정을 거치고, 숙주 헤모글로빈을 소화하는 부산물로 결정성 색소인 헤모조인을 생성하는 아피콤플렉사 문에 속하는 모든 진핵생물로 구성된다.[19] 분자 생물학적 방법을 사용한 ''말라리아원충'' 종 연구는 이 그룹의 진화가 분류학을 완벽하게 따르지 않았음을 시사한다.[19] 형태학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숙주에 감염되는 많은 ''말라리아원충'' 종들이 단지 멀리 떨어진 관계일 뿐인 것으로 밝혀졌다.[20]

1990년대에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종의 리보솜 RNA와 표면 단백질 유전자를 비교하여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이 다른 영장류 기생충보다 조류 기생충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발견하여 ''말라리아원충'' 종의 진화적 관계를 평가하려고 했다.[17] 그러나 더 많은 ''말라리아원충'' 종을 표본 추출한 후속 연구에서 포유류의 기생충이 ''간원충''과 함께 한 계통군을 형성하는 반면, 조류 또는 도마뱀의 기생충은 아속을 따르지 않는 진화적 관계와 함께 별도의 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21]

다양한 ''말라리아원충'' 계통이 분화된 시기에 대한 추정치는 광범위하게 달랐다. 혈구포자충목의 다양화에 대한 추정치는 약 1,620만 년에서 1억 년 전까지 다양하다.[17] 의학적 중요성 때문에 인간 기생충인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이 다른 ''말라리아원충'' 계통으로부터 분화된 시기를 측정하는 데 특히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에 대한 추정 날짜는 11만 년에서 250만 년 전까지 다양하다.[17]

미토콘드리아 DNA, 아피코플라스트, 및 핵 DNA의 유전자 서열을 조사한 연구에서는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에 가장 가까운 근연종은 ''P. praefalciparumla''(고릴라를 숙주로 함)임을 지지한다.[55][56][57] 이 두 종은 침팬지의 기생충 ''P. reichenowila''와 가까운 계통 관계에 있으며, 이전에는 ''P. reichenowila''가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의 가장 가까운 근연종이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한때는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도 조류의 기생충에서 유래한다고 생각되었다.[58]

유전자 다형성의 정도를 조사해 보면, ''P. praefalciparumla''을 포함한 근연종에 비해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 게놈 내의 다형성은 매우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59][55] 이는 인간에서의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의 기원이 최근임을 시사하며, ''P. praefalciparumla''과의 공통 조상이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게 되었을지도 모른다.[55]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 falciparumla)의 유전적 정보에는 최근의 집단 확대 경향의 징후가 나타나 있으며, 이는 농업 혁명에 의한 인구 확대 시기와 일치한다. 대규모 농업의 발전은 더 많은 모기의 번식지를 만들어냄으로써 그 집단 밀도를 증가시켜, 열대 말라리아 원충의 진화와 확대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60]

4. 3. 기원



''Plasmodium'' 속은 숙주 적혈구 내에서 분열증의 무성 생식 과정을 거치고, 숙주 헤모글로빈을 소화하는 부산물로 결정성 색소인 헤모조인을 생성하는 Apicomplexa 문에 속하는 모든 진핵생물로 구성된다.[19]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사용한 말라리아원충속에 대한 최근 연구에서는 이 속의 진화가 분류에 완전히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했다.[48] 형태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숙주에 감염되는 많은 말라리아원충 종은 계통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관계임이 밝혀졌다.[49]

1990년대에는 리보솜 RNA와 다양한 종의 표면 단백질 유전자를 비교하여 말라리아원충 종의 진화 관계를 평가하는 몇몇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사람 기생충인 ''P. falciparum''이 영장류의 다른 기생충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50]

더 많은 말라리아원충 종을 표본 추출한 연구에서는 포유류 기생충이 ''Hepatocystis'' 속과 단일 클레이드를 형성했지만, 조류 및 도마뱀 기생충은 계통적으로 아속에 속하지 않는 별도의 클레이드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였다.[50][51]

''Plasmodium'' 속 계통이 분기된 연대 추정치는 상당히 넓은 범위를 가지며, 원충류 목으로부터의 분기 추정치는 약 1620만 년 전부터 1억 년 전 범위이다.[50] 그 의학적 중요성 때문에, 사람 기생충 ''P. falciparum''이 다른 ''Plasmodium'' 속으로부터 분기된 연대는 흥미로운 포인트이며, 그 추정치는 110,000년 전에서 250만 년 전 범위이다.[50]

인간에게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가장 높은 원인이 되는 종은 ''P. falciparum''이며, 이는 서아프리카의 고릴라에 기생하는 ''Laverania''(유인원에서 발견되는 ''Plasmodium''의 아속) 종에서 진화했다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52][53] 유전적 다양성으로부터의 추정에서는 약 1만 년 전에 ''P. falciparum''이 출현했다고 한다.[54]

미토콘드리아 DNA, 아피코플라스트, 및 핵 DNA의 유전자 서열을 조사한 연구에서는 ''P. falciparum''에 가장 가까운 근연종은 ''P. praefalciparum''(고릴라를 숙주로 함)임을 지지한다.[55][56][57] 이 두 종은 침팬지의 기생충 ''P. reichenowi''와 가까운 계통 관계에 있으며, 이전에는 ''P. reichenowi''가 ''P. falciparum''의 가장 가까운 근연종이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한때는 ''P. falciparum''도 조류의 기생충에서 유래한다고 생각되었다.[58]

유전자 다형성의 정도를 조사해 보면, ''P. praefalciparum''을 포함한 근연종에 비해 ''P. falciparum'' 게놈 내의 다형성은 매우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59][55] 이는 인간에서의 ''P. falciparum''의 기원이 최근임을 시사하며, ''P. praefalciparum''과의 공통 조상이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게 되었을지도 모른다.[55] ''P. falciparum''의 유전적 정보에는 최근의 집단 확대 경향의 징후가 나타나 있으며, 이는 농업 혁명에 의한 인구 확대 시기와 일치한다. 대규모 농업의 발전은, 더 많은 모기의 번식지를 만들어냄으로써 그 집단 밀도를 증가시켜, 열대 말라리아 원충의 진화와 확대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60]

5. 분포

말라리아원충 종은 전 세계에 분포한다. 모든 말라리아원충 종은 기생충이며, 생활 주기를 완료하려면 척추동물 숙주와 곤충 숙주 사이를 이동해야 한다. 다양한 말라리아원충 종은 서로 다른 숙주 범위를 보이는데, 일부 종은 단일 척추동물과 곤충 숙주로 제한되는 반면, 다른 종은 여러 종의 척추동물 및/또는 곤충을 감염시킬 수 있다.

5. 1. 척추동물

''Plasmodium'' 기생충은 파충류, 조류, 포유류를 포함한 광범위한 척추동물 숙주에서 발견된다.[23] 많은 종이 하나 이상의 척추동물 숙주를 감염시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중 하나(예: 조류)에 특이적이다.[23]

인간은 주로 ''Plasmodium''의 5종에 의해 감염되며, 심각한 질병과 사망의 압도적인 다수는 ''열대열 말라리아원충''에 의해 발생한다.[24] 인간을 감염시키는 일부 종은 다른 영장류도 감염시킬 수 있으며, 다른 영장류에서 인간으로의 특정 종(예: ''P. knowlesi'')의 인수공통 감염이 흔하다.[24] 비인간 영장류는 또한 일반적으로 인간을 감염시키지 않는 다양한 ''Plasmodium'' 종을 포함한다. 이 중 일부는 영장류에게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지만 다른 종은 질병을 유발하지 않고 숙주에 장기간 남아 있을 수 있다.[25] 다른 많은 포유류도 다양한 ''Plasmodium'' 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다양한 설치류, 굽굽류, 박쥐가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Plasmodium'' 종은 이러한 숙주 중 일부에서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지만, 많은 종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26]

150종 이상의 ''Plasmodium''이 다양한 조류를 감염시킨다. 일반적으로 각 ''Plasmodium'' 종은 한두 종의 조류를 감염시킨다.[27] 조류를 감염시키는 ''Plasmodium'' 기생충은 경우에 따라 ''Plasmodium'' 감염이 심각한 질병과 급성 사망을 초래할 수 있지만, 주어진 숙주에서 수년 또는 숙주의 일생 동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28][29] 포유류를 감염시키는 ''Plasmodium'' 종과 달리, 조류를 감염시키는 종은 전 세계에 분포한다.[27]

여러 아속의 종의 ''Plasmodium''은 다양한 파충류를 감염시킨다. ''Plasmodium'' 기생충은 대부분의 도마뱀 에서 발견되었으며, 조류 기생충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적으로 퍼져 있다.[30] 마찬가지로 기생충은 기생충과 숙주에 따라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거나 겉보기에 무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30]

수년에 걸쳐 특히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 숙주에서 ''Plasmodium'' 감염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 항말라리아제가 개발되었다. 퀴닌은 17세기부터 20세기 초에 광범위한 항생제 내성이 나타날 때까지 최전선 항말라리아제로 사용되었다.[31] 퀴닌에 대한 내성은 20세기에 클로로퀸, 프로구아닐, 아토바쿠온, 설파독신/피리메타민, 메플로퀸, 아르테미시닌을 포함한 광범위한 항말라리아제의 개발을 촉진했다.[31] 모든 경우에서, 주어진 약물에 내성이 있는 기생충은 약물이 사용된 지 수십 년 이내에 나타났다.[31] 이를 막기 위해 항말라리아제는 종종 병용하여 사용하며, 현재 아르테미시닌 복합 요법이 치료의 표준이다.[32] 일반적으로 항말라리아제는 질병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는 척추동물 적혈구 내에 서식하는 ''Plasmodium'' 기생충의 생애 단계를 표적으로 한다.[33] 그러나 여행자의 감염을 예방하고 곤충 숙주에게 성숙 단계를 전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생충 생애 주기의 다른 단계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이 개발 중이다.[34]

5. 2. 곤충

모기 ''Anopheles stephensi''는 ''Plasmodium'' 종에 감염될 수 있는 피를 빨아먹는 곤충 중 하나이다.


모든 ''Plasmodium'' 종은 척추동물 숙주 외에도, 일반적으로 모기(일부 파충류 감염 기생충은 샌드플라이에 의해 전파됨)인 피를 빨아먹는 곤충 숙주에도 감염된다.[35] ''Culex'', ''Anopheles'', ''Culiseta'', ''Mansonia'' 및 ''Aedes'' 속의 모기는 다양한 ''Plasmodium'' 종의 곤충 숙주 역할을 한다. 이 중 가장 잘 연구된 것은 인간 말라리아의 ''Plasmodium'' 기생충을 숙주로 하는 ''Anopheles'' 모기와 조류 말라리아를 유발하는 ''Plasmodium'' 종을 숙주로 하는 ''Culex'' 모기이다. 암컷 모기만이 척추동물 숙주의 혈액을 섭취하기 때문에 ''Plasmodium''에 감염된다.[35]

''Plasmodium'' 감염은 곤충 숙주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데, 때때로 감염된 곤충은 수명이 단축되고 새끼를 낳는 능력이 감소한다.[36] 또한, 일부 ''Plasmodium'' 종은 곤충이 감염되지 않은 숙주보다 감염된 척추동물 숙주를 물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36][37][38]

6. 역사

샤를 루이 알퐁스 라브랑은 1880년 말라리아 환자의 혈액에서 기생충을 처음으로 발견하여 ''Oscillaria malariae''라고 명명했다.[39] 1885년, 동물학자 에토레 마르키아파바와 안젤로 첼리는 이 기생충을 재검토하여 점균류의 다핵 세포와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 새로운 속의 구성원으로서 ''Plasmodium''이라고 명명했다.[40] 1886년 카밀로 골지는 여러 종이 다양한 형태의 말라리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인식했다.[39] 그 직후, 조반니 바티스타 그라시와 라이몬도 필레티는 인간 말라리아를 유발하는 두 가지 다른 유형의 기생충을 각각 ''Plasmodium vivax''와 ''Plasmodium malariae''라고 명명했다.[39] 1897년, 윌리엄 웰치는 ''Plasmodium falciparum''을 발견하여 명명했다. 이후 인간에게 감염되는 다른 두 종의 ''Plasmodium''이 확인되었다. ''Plasmodium ovale''(1922년)와 ''Plasmodium knowlesi''(1931년 긴꼬리원숭이에서 확인, 1965년 인간에서 확인)이다.[39] 1897년 로널드 로스와 1899년 조반니 바티스타 그라시, 아미코 비그나미, 주세페 바스티아넬리는 곤충 숙주가 ''Plasmodium'' 생활 주기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설명했다.[39]

1966년, 시릴 가넘은 숙주 특이성과 기생충 형태를 기준으로 ''Plasmodium''을 9개의 아속으로 분리할 것을 제안했다.[16] 여기에는 1963년 A. 코라데티가 조류 감염 ''Plasmodium'' 종에 대해 제안했던 4개의 아속이 포함되었다.[41][18] 1988년 샘 R. 텔포드는 파충류를 감염시키는 ''Plasmodium'' 기생충을 재분류하면서 이 체계를 확장하여 5개의 아속을 추가했다.[42][16] 1997년, G. 발키우나스는 조류 감염 ''Plasmodium'' 종을 재분류하여 다섯 번째 아속인 ''Bennettinia''를 추가했다.[18][43]

말라리아는 역사를 통틀어 인류를 괴롭혀 왔으며, 늪지에서 나오는 장기에 의해 유발된다고 여겨졌다.[61] 그러나 19세기파스퇴르코흐에 의해 미생물병원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지자, 말라리아의 병원체도 미생물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실제로 늪에서 분리된 세균을 토끼에게 주사하면 비종을 동반하는 발열이 일어난다고 하여, Bacillus malariaela라고 명명된 예가 있다.[62]

1880년 프랑스군의관이었던 라브랑은 말라리아 환자의 혈액 속에서 미생물을 발견하고, 이것이 말라리아의 병원체(말라리아 원충)라고 주장했다.[63] 라브랑은 처음 세 가지 형태(생식 모체, 편모 방출로 생긴 웅성 생식체, 자성 생식체)를 관찰했는데, 모두 열대열 말라리아 원충을 관찰한 것으로 여겨진다.[64] 라브랑은 세 가지 형태를 모두 같은 종이라고 생각하여, 특히 웅성 생식체의 실 모양 구조가 Oscillariala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Oscillaria malariaela라고 명명했다.[65] 그러나 Oscillariala 속은 말라리아 원충과는 전혀 다른 조류이며, 라브랑 자신도 나중에 이 이름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당시에는 세균 병원체설이 널리 퍼져있었기 때문에, 라브랑의 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기까지 10년 정도가 걸렸다.[61]

얼마 지나지 않아 이탈리아 로마 대학교의 마르키아파바 등은 말라리아 환자의 적혈구 내에서 증식하는 아메바 형태의 생물을 발견하고, 1885년에 Plasmodium malariaela라고 명명했다.[66] 이것이 플라스모디움 속의 기원인데, 그들이 관찰한 것도 대부분 열대열 말라리아 원충이었고, 약간의 삼일열 말라리아 원충이 섞여 있었다고 여겨진다.[67] 현재 Plasmodium malariaela는 사일열 말라리아 원충의 학명이지만, 이는 20세기에 생겨난 혼란의 결과이다.

골지는 1885년부터 1889년에 걸쳐 말라리아에는 발열의 주기성으로 삼일열과 사일열이 있으며, 이것이 말라리아 원충의 생활환과 관련 있다는 것[68], 또한 삼일열에도 봄에 많은 양성의 것과,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많은 악성의 것이 있으며, 각각 다른 종의 말라리아 원충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9] 같은 시기에 우크라이나 하리코프 대학교의 다니레프스키는 조류파충류의 적혈구에 기생하는 다양한 생물을 기재했는데, 그 안에는 말라리아 원충도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70] 1891년에 로마노프스키 염색이 개발되면서, 다양한 동물의 말라리아 원충이 발견되게 되었다.[61]

참조

[1] 웹사이트 CDC – Malaria Parasites – About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12-28
[2] 논문 The nuclear envelope and gene organization in parasitic protozoa: Specializations associated with disease
[3] 논문 Vacuolar protein sorting mechanisms in apicomplexan parasites
[4] 논문 Plasmodium rhoptry proteins: Why order is important
[5] 논문 Subversion of host cellular functions by the apicomplexan parasites https://archive-ouve[...]
[6] 논문 The metabolic roles of the endosymbiotic organelles of Toxoplasma and Plasmodium spp
[7] 논문 The apicoplast: Now you see it, now you don't
[8] 논문 The Algal Past and Parasite Present of the Apicoplast 2013-06-26
[9] 서적 Malaria: Drugs, Disease, and Post-genomic Biology Springer 2005
[10] 웹사이트 CDC – Malaria Parasites – Biology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12-28
[11] 논문 Malaria: Origin of the Term 'Hypnozoite' 2011
[12] 논문 Malaria Parasite Liver Infection and Exoerythrocytic Biology
[13] 논문 Theoretical origin of genetically homologous Plasmodium vivax malarial recurrences 2022
[14] 논문 Evolution of the Apicomplexa: Where are we now?
[15] 웹사이트 Haemospororida Danielewski 1885 http://tolweb.org/Ha[...] 2018-05-01
[16] 서적 Malaria Parasites: Comparative Genomics, Evolution and Molecular Biology Caister Academic Press 2013
[17] 논문 Malaria's Many Mates: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Systematics of the Order Haemosporida 2014
[18] 서적 Avian Malaria Parasites and Other Haemosporidia CRC Press 2004
[19] 웹사이트 ''Plasmodium'' http://tolweb.org/Pl[...] Tree of Life Web Project 2016-06-01
[20] 서적 Progress in Malaria Research: the Case for Phylogenetics
[21] 논문 A three-genome phylogeny of malaria parasites (''Plasmodium'' and closely related genera): Evolution of life-history traits and host switches 2008-04
[22] 논문 The geography of imported malaria to non-endemic countries: a meta-analysis of nationally reported statistics
[23] 서적 Biodiversity of Malaria in the world https://books.google[...] John Libbey 2018-03-15
[24] 논문 Molecular interactions governing host-specificity of blood stage malaria parasites
[25] 서적 Infectious Diseases in Primates: Behavior, Ecology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3-16
[26] 논문 The rediscovery of malaria parasites of ungulates 2016
[27] 서적 Avian Malaria Parasites and Other Haemosporidia CRC Press 2004
[28] 서적 Avian Malaria Parasites and Other Haemosporidia CRC Press 2004
[29] 서적 Avian Malaria Parasites and Other Haemosporidia CRC Press 2004
[30] 서적 Herpetology: An Introductory Biology of Amphibians and Reptil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8-03-16
[31] 논문 Antimalarial drug resistance: Linking Plasmodium falciparum parasite biology to the clinic
[32] 논문 Malaria: Biology and Disease
[33] 논문 Drug resistance in Plasmodium
[34] 논문 Multistage inhibitors of the malaria parasite: Emerging hope for chemoprotection and malaria eradication
[35] 논문 Malaria Immunity in Man and Mosquito: Insights into Unsolved Mysteries of a Deadly Infectious Disease 2014
[36] 논문 Mechanisms of Plasmodium -Enhanced Attraction of Mosquito Vectors
[37] 논문 Effects of malaria infection on mosquito olfaction and behavior: Extrapolating data to the field
[38] 논문 Anopheline Reproductive Biology: Impacts on Vectorial Capacity and Potential Avenues for Malaria Control
[3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Malaria, an Ancient Disease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05-31
[40] 논문 Plasmodia – don't
[41] 논문 New classification of the avian malaria parasites
[42] 논문 A contribution to the systematics of the reptilian malaria parasites, family Plasmodiidae (Apicomplexa: Haemosporina) http://ufdcweb1.ufli[...] 2014-03-25
[43] 논문 Bird Haemosporidia
[44] 논문 New classification of the avian malaria parasites
[45] 논문 The sub-genera of avian Plasmodium http://www.parasite-[...]
[46] 논문 High diversity of West African bat malaria parasites and a tight link with rodent ''Plasmodium'' taxa http://www.pnas.org/[...]
[47] 논문 Phylogeny of haemosporidian blood parasites revealed by a multi-gene approach
[48] 웹사이트 "Plasmodium" http://tolweb.org/Pl[...] Tree of Life Web Project 2020-08-01
[49] 서적 Progress in Malaria Research: the Case for Phylogenetics
[50] 논문 Malaria's Many Mates: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Systematics of the Order Haemosporida 2014
[51] 논문 A three-genome phylogeny of malaria parasites (''Plasmodium'' and closely related genera): Evolution of life-history traits and host switches 2008-04
[52] 논문 Origin of the human malaria parasite'' Plasmodium falciparum'' in gorillas 2010
[53] 논문 Malaria: The gorilla connection 2010
[54] 논문 Out of Africa: origins and evolution of the human malaria parasites ''Plasmodium falciparum'' and ''Plasmodium vivax'' 2017
[55] 논문 Origin of the human malaria parasite ''Plasmodium falciparum'' in gorillas
[56] 논문 African apes as reservoirs of ''Plasmodium falciparum'' and the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the Laverania subgenus
[57] 논문 A plethora of ''Plasmodium'' species in wild apes: a source of human infection?
[58] 논문 A phylogenetic comparison of gene trees constructed from plastid, mitochondrial and genomic DNA of ''Plasmodium'' species https://zenodo.org/r[...] 2001-04-25
[59] 논문 The origin of malaria: mixed messages from genetic diversity 2004-01
[60] 논문 Human migration, mosquitoes and the evolution of ''Plasmodium falciparum''
[61] 논문 History of the discovery of the malaria parasites and their vectors
[62] 논문 Studi Sulla Natura della Malaria
[63] 논문 Un nouveau parasite trouvé dans le sang de malades atteints de fièvre palustre. Origine parasitaire des accidents de l'impaludisme.
[64] 논문 Correct Name of Malignant Tertian Parasite http://www.ncbi.nlm.[...]
[65] 서적 Nature parasitaire des accidents de l'impaludisme https://books.google[...] Baillière
[66] 논문 Weitere Untersuchungen über die Malariainfection
[67] 논문 Correction on the Nomenclature of Human Plasmodium http://www.sciencema[...]
[68] 논문 Sull'infezione malarica
[69] 논문 Sul ciclo evolutivo dei parassiti malarici nella febbre terzana: diagnosi differenziale tra i parassiti endoglobulari malarici della terzana e quelli della quartana
[70] 서적 La parasitologie comparée du sang https://archive.org/[...]
[70] 서적 La parasitologie comparée du sang https://archive.org/[...]
[71] 웹인용 CDC - Malaria Parasites - About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