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라스는 고대 아나톨리아에 위치한 도시로, 기원전 7세기에 처음 역사에 등장했다. 카리아의 주요 도시로, 아케메네스 왕조, 리그다미스 왕조, 헤카톰니드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로마 시대에는 번영을 누렸다. 기독교 시대에는 주교가 있었고, 4차 십자군 이후 로마 가톨릭 교회의 명목 교구가 되었다. 13세기 말 멘테셰 베이국에 점령되었고,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다. 밀라스는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헤카톰누스 영묘, 제우스 신전, 로마 시대의 유적 등 다양한 유적과 관광 명소가 있다. 또한, 밀라스 카펫과 러그는 수세기 동안 국제적으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라주 - 달얀
    달얀은 터키 남서부의 강 하구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역 이름으로, 과거 면화 재배지였으나 현재는 석류 재배와 관광 산업이 활발하며, 리키아 무덤, 카우노스 유적, 붉은바다거북 산란지인 이즈투주 해변 등으로 유명하다.
  • 물라주 - 페티예
    페티예는 터키 남서부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도시 텔메소스 유적 위에 세워졌으며, 헬레니즘 시대 유적과 지중해성 기후, 다양한 관광 명소를 갖추고 있다.
  • 카리아의 지리 - 밀레토스
    밀레토스는 이오니아 지역의 고대 도시로서, 무역과 식민 활동으로 번성했고 밀레토스 학파의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현재 튀르키예에 유적지로 남아있다.
  • 카리아의 지리 - 미우스
    미우스는 에게해의 메안데르 강 어귀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로, 이오니아 도시 중 하나였으며, 리디아와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고, 이오니아 반란의 배경이 되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쇠퇴했으며, 스트라보 시대에 밀레투스에 통합되었다.
  • 튀르키예의 로마 유적 - 안타키아
    튀르키예 남부 하타이주에 위치한 안타키아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수도이자 로마 시대와 초기 기독교 시대의 중심지였으며, 기독교 전파에 기여했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며 지진 피해 복구를 노력 중이다.
  • 튀르키예의 로마 유적 - 이즈미르
    이즈미르는 에게 해 연안의 터키 대도시이자 주요 항구 도시로, 다양한 문화를 융합한 오랜 역사를 거쳐 현재 터키 제2의 항구 도시이자 경제, 문화, 정치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밀라스
지도
기본 정보
유형메트로 지구
위치튀르키예 무을라 주
면적2067 km2
인구 (2022년)147416명
우편 번호48200
지역 번호0252
웹사이트https://www.milas.bel.tr/
그리스어Μύλασα (뮐라사)
밀라스 몽타주. 그림 속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위에서 아래로: 보아지치, 피루즈베이 모스크, 초케르트메 만, 이아소스, 베친 성, 라브라운다, 박물관 오브 피쉬 마켓
정치
정당CHP (Cumhuriyet Halk Partisi, 공화인민당)
지도자페브지 토푸즈

2. 어원

"밀라스"(Mylasa)라는 이름은 고대 아나톨리아어의 특징인 어미 '-asa'를 포함하고 있어, 이 도시가 매우 오래전에 세워졌음을 시사한다.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다.

첫째, 리키아인들이 스스로를 "Trmili"라고 칭했던 것에서 발견되는 음절 "-mil"을 근거로, 밀라스라는 이름이 리키아인들의 이동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특히 에포루스는 밀레토스가 원래 리키아인들이 세운 '밀라완다'(Millawanda)였다고 주장했는데, 이와 연관 짓는 시각이다. 그러나 밀라스라는 이름이 리키아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뒷받침할 만한 다른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6]

둘째, 비잔티움의 스테파누스는 그의 저서 《에트니카》(Ethnica)에서 이 도시의 이름이 '밀라수스'(Mylasus)라는 인물에서 유래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밀라수스를 크리사오르의 아들이자 시시포스아이올로스의 후손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러한 설명이 카리아 도시의 기원을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보기도 한다.[7]

3. 역사

밀라스에서 나온 로마 황제 게타의 주화에 새겨진 제우스 라브라운도스 신전

3. 1. 철기 시대

밀라스 박물관의 킬릭스


밀라스는 기원전 7세기에 처음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데, 당시 밀라스 출신의 카리아 지도자 아르셀리스가 리디아 왕좌를 놓고 벌어진 경쟁에서 리디아의 기게스를 도왔다는 기록이 있다. 이 사건은 인접한 라브란다 신전에서 라브란다 제우스 상을 세우고 숭배하는 기원이 되었다. 이 신전은 서부 아나톨리아 전역의 민족들에게 신성하게 여겨졌으며, 아르셀리스가 리디아에서 가져온 라브리스를 든 조각상이 있었다.

라브란다 제우스(때로는 "제우스 스트라티오스"라고도 불림)는 밀라스 고유의 세 제우스 신 중 하나였으며, 모두 제우스라는 이름을 가졌지만 각기 다른 특징을 지녔다. 이 중 제우스 카리우스(카리아 제우스) 숭배는 카리아인 외에도 리디아인과 미시아 친족에게만 독점적으로 허용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가장 훌륭한 신전 중 하나는 제우스 오소고아(원래는 단순히 "오소고아")에게 헌정된 신전으로, 카리아인들이 해상 민족이었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파우사니아스는 이 신전이 아테네 아크로폴리스를 연상시킨다고 언급했다.[8]

3. 2. 페르시아 시대

아케메네스 왕조의 통치 아래 밀라스는 카리아의 주요 도시였다. 페르시아 황제가 임명한 통치자(사트라프)가 도시를 다스렸는데, 이들은 황제에 대한 충성심의 정도가 다양했다.

3. 2. 1. 리그다미스 왕조 (기원전 520-450년)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 밀라스의 첫 통치 왕조는 리그다미스 왕조(기원전 520-450년)였다. 기원전 460년에서 450년 사이, 밀라스는 대부분의 카리아 도시들처럼 델로스 동맹의 지역적으로 중요한 구성원이 되었다. 그러나 같은 세기 말에는 다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지도, 카리아의 밀라스와 인근 고대 도시

3. 2. 2. 헤카톰니드 왕조

헤카톰니드 왕조는 헤카톰누스가 창시한 왕조이다. 이들은 공식적으로는 페르시아 제국사트라프였으나, 비문과 동전에서 나타나듯 언어와 문화는 그리스적이었다. 밀라스는 이 왕조의 수도였으며, 오늘날에도 볼 수 있는 헤카톰누스의 묘는 후대 왕조 능묘 건축의 선례가 되었다.

마우솔로스의 통치 기간(기원전 377년 ~ 352년) 동안 헤카톰니드 왕조는 카리아와 주변 지역의 사실상 지배자가 되었다. 마우솔로스는 수도를 할리카르나소스로 옮겼지만, 밀라스는 여전히 중요한 도시로 남았다. 그는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유명한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을 건설했다.

3. 3. 로마 시대

카리아티드 조각상, 터키 밀라스 출토. 후기 헬레니즘 시대, 기원전 1세기. 대리석.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 이스탄불, 터키.


기원전 40년, 밀라스는 로마 내전 당시 라비에누스에게 점령당하며 큰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그리스-로마 시대에는 알렉산드로스의 후계자들 사이에서 도시 소유권 분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눈부신 번영기를 누렸다. 이 시기에는 유로모스, 올리모스, 라브란다 등 세 개의 인접 도시가 밀라스의 관할 구역에 포함되었다.

밀라스는 고대 작가들에게 자주 언급되었다. 스트라본(기원전 1세기) 시대에 밀라스는 뛰어난 웅변가인 Εὐθύδημος|유티데모스grc와 Ὑβρέας|히브레아스grc를 배출했다. 이들의 관계는 "필요악"이라는 격언을 낳았는데, 서로 적대적인 정치가였던 두 사람 중 유티데모스가 죽자 히브레아스는 그의 장례식에서 “그대는 필요악이다. 그대와 함께도, 그대 없이도 살 수 없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다양한 비문을 통해 이곳에서 프리기아 종교가 사바지오스 숭배로, 이집트 종교이시스오시리스 숭배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네메시스 신전도 존재했다. 또한 밀라스에서 발견된 비문[9]은 코르넬리우스 타키투스의 생애에 대한 몇 안 되는 확실한 자료 중 하나로, 그가 112년에서 113년 사이에 아시아 속주 총독이었다는 사실을 밝혀준다.

3. 4. 기독교 시대

고대 밀라스의 주교들 중에는 5세기의 성 에프렘이 있었다. 그의 축일은 1월 23일에 지켜졌으며, 그의 유해는 이웃 도시인 레우케에서 존경받았다. 니케포루스 칼리스투스[10]와 ''성 제네의 생애''에는 키릴과 그의 후임자인 바울이 언급되어 있다. 미셸 르 퀴엔은 다른 세 명의 주교 이름을 언급했고,[11] 이후 발견된 비문은 다른 두 명, 즉 익명의 주교와 성 스테파노를 기리는 교회를 지은 바실이라는 주교를 언급한다.[12][13]

성 제네는 로마 귀족 여성이었는데, 부모가 강요하려 했던 결혼을 피하기 위해 남성 복장을 하고 고국을 떠나 이름을 유세비아에서 제네(xenē|크세네grc, "이방인")로 바꾸고, 먼저 코스 섬에서, 그 다음에는 밀라스에서 살았다.

제4차 십자군 이후, 밀라스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명목 교구, 즉 ''밀라센시스''로 남아 있으며, 마지막 주교가 1966년에 사망한 이후 공석으로 남아 있다.[14]

3. 4. 1. 멘테셰 베이국

밀라스와 주변 지역(비잔틴 제국의 테마였던 밀라사 및 멜라누디온)은 13세기 말 튀르크족인 멘테셰 베이에게 점령되었다. 멘테셰 베이는 밀라스를 수도로 삼아 자신의 이름을 딴 아나톨리아 베이릭인 멘테셰를 세웠다. 이후 멘테셰 베이국의 행정 중심지는 밀라스에서 약 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방어가 더 용이했던 베친 성으로 옮겨졌다.

3. 4. 2. 오스만 제국

밀라스는 전체 멘테셰 베이릭과 함께 1390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다. 그러나 불과 12년 후인 1402년, 티무르가 이끄는 군대는 앙카라 전투에서 오스만군을 물리치고, 다른 아나톨리아 베이릭들과 마찬가지로 이 지역의 지배권을 이전 통치자인 멘테셰 베이들에게 돌려주었다. 밀라스는 1420년 술탄 메흐메트 1세 통치 아래 다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 통치하에서 이루어진 첫 번째 주요 조치 중 하나는 지역 행정 중심지를 무을라로 이전한 것이었다.

1867년부터 1922년까지 밀라스는 오스만 제국의 아이딘 주에 속했다. 20세기 초, 1912년 통계에 따르면 밀라스 도시 중심부의 인구는 9,000명이었으며, 이 중 약 2,900명이 그리스인, 약 1,000명이 유대인, 나머지는 터키인으로 구성되었다.[15] 밀라스에 거주하던 그리스인들은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 협정에 따라 그리스에 살던 터키인들과 교환되어 이주하였다. 상당한 규모를 이루었던 유대인 공동체는 1950년대까지 존속하다가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밀라스 출신 유대인들은 오늘날에도 종종 이곳을 방문한다.

4. 기후

밀라스는 매우 덥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하고 비가 많이 오는 겨울을 보이는 지중해성 기후(쾨펜: ''Csa'')를 나타낸다.[16]

밀라스의 기후 (1991년~2020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합계
최고 기온 평균 °C15°C16°C18.9°C22.9°C28°C33.5°C36.8°C36.7°C32.6°C27.4°C21.4°C16.4°C25.5°C
일평균 기온 °C9.4°C10.3°C12.7°C16.3°C21°C26.4°C29.5°C29.1°C24.8°C19.9°C14.4°C10.7°C18.7°C
최저 기온 평균 °C5.2°C5.7°C7.2°C10.1°C14.1°C19.1°C22.1°C22.1°C17.9°C13.9°C9.3°C6.7°C12.8°C
강수량 mm144.95mm106.69mm75.72mm53.39mm31.77mm9.17mm3.09mm4.09mm19.42mm55.51mm98.65mm123.67mm726.12mm
강수일수 (≥ 1mm)10.28.67.05.63.81.81.51.22.24.15.99.461.3
평균 상대 습도 (%)72.069.566.464.060.151.547.751.456.764.570.773.862.5
출처: 미국 해양대기청(NOAA)[17]


5. 주요 유적 및 관광 명소

헤카톰누스 영묘는 2010년 골동품 불법 발굴 혐의로 관련자들이 체포되면서 발견되었다. 이 무덤에서는 대리석 석관과 수많은 프레스코화가 발견되었으나, 많은 유물이 이미 도굴되어 암시장에서 팔렸을 것으로 추정된다.[18] 최근 무덤에서 유출된 것으로 확인된 황금 왕관은 터키로 반환하기로 합의되었다.[19] 이 영묘는 당대 최고의 건축가와 조각가들이 건설했으며, 웅장한 할리카르나소스 영묘의 전신으로 여겨져 카리아 예술과 기술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제우스 신전 유적도 남아 있다. 기원전 1세기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제우스 오소고아 신전의 ''temenos''(성역)를 둘러싼 벽과 열주 일부가 그것이다.

18세기 영국 여행가 리처드 포코크는 그의 여행기에서 아우구스투스 신전을 보았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이후 그 자재들은 모스크 건설을 위해 옮겨졌다.

밀라스의 고대 상징 중 하나는 발탈르카프(Baltalıkapı, '도끼가 있는 문')이다. 잘 보존된 로마 시대의 문으로, 열쇠돌에 새겨진 쌍두 도끼(라브리스) 문양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서기 2세기에 건설된 2층짜리 로마 무덤인 구무슈케센(Gümüşkesen)도 중요한 유적이다. 이 기념물은 할리카르나소스의 유명한 마우솔로스 영묘를 단순화하여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밀라스에는 멘테셰 베이릭 시대와 오스만 제국 시대에 지어진 여러 역사적인 터키 건물들이 남아 있다. 특히 19세기 또는 20세기 초에 지어진 많은 오래된 주택들이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주요 모스크로는 멘테셰 시대의 수도였을 때 지어진 대 모스크(Ulu Cami, 1378년)와 오르한 베이 모스크(Orhan Bey Cami, 1330년), 그리고 오스만 제국 초기 행정관의 이름을 딴 피루즈 베이 모스크(Firuz Bey Cami)가 있다.

양모로 짠 밀라스 카펫은 수세기 동안 국제적으로 유명하며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오늘날에는 밀라스 시내가 아닌 주변 12개 마을에서 주로 생산되며, 약 7,000개의 직기가 수요에 따라 운영될 정도로 터키 국내외에서 인기가 높다.

멘테셰 베이릭의 수도였던 베친 성은 밀라스 시에서 약 5km 떨어진 곳에 있다. 1974년에 복원된 이 요새 단지에는 두 개의 모스크, 두 개의 메드레세, 하맘, 비잔틴 시대 예배당 유적 등이 남아 있다.

밀라스 중심에서 14km 떨어진 가파른 언덕 위 소나무 숲에 둘러싸인 라브란다는 고대 카리아의 컬트 중심지였다. 이곳의 이름 역시 라브리스와 연관이 있다. 사원, 연회장, 무덤 등의 유적은 20세기 초 스웨덴 발굴팀에 의해 발굴되었으며, 아름다운 계곡 전망을 제공한다.

괴체레르 협곡과 그 안의 인질리인 동굴도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밀라스는 터키 리비에라의 인기 있는 관광지이기도 하다.

바파 호수 기슭과 고대 라트무스 산인 베슈파르마크 산 서쪽 사면 아래.


밀라스 되르테페 해안


밀라스의 쿠틀라크


밀라스는 터키 리비에라의 인기 있는 목적지이다.

6. 행정 구역

밀라스 지역에는 132개의 지역이 있다:[20]


7. 밀라스 출신 유명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Büyükşehir İlçe Belediyesi https://www.e-icisle[...] Turkey Civil Administration Departments Inventory 2023-09-19
[2] 웹사이트 İl ve İlçe Yüz ölçümleri https://www.harita.g[...] General Directorate of Mapping 2023-09-19
[3] 웹사이트 Address-based population registration system (ADNKS) results dated 31 December 2022, Favorite Reports https://biruni.tuik.[...] TÜİK 2023-09-19
[4] 문서 Some of these are (''with the names of modern-day settlements indicated in cases where ancient sites are found right within these''); [[Beçin]], [[Chalcetor]], [[Euromus]] -originally ''Kyromus''-, [[Heraclea Cybistra|Heracleia]] by [[Latmus]] (''Kapıkırı''), Hydae -originally Kydae- (''Damlıboğaz''), [[Iasos]] (''Kıyıkışlacık''), [[Keramos]]/[[Ceramus]] (''[[Ören, Fethiye|Ören]]''), Kuyruklu Kale (''Yusufça''), [[Labranda]], [[Olymus]] -originally [[Hylimus]]-.
[5] 웹사이트 Mausoleum and Sacred area of Hecatomnus https://whc.unesco.o[...]
[6] 서적 Dynastic Lycia: A political history of the Lycians and their relations with foreign powers, C. 545-362 Brill Publishers, Leiden
[7] 서적 Turkey beyond the Meander John Murray Publishers Ltd, London
[8]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VIII, x, 3.
[9] 간행물 Bulletin de correspondance hellénique 1890
[10] 문서 Nicephorus Callistus Xanthopoulos. ''Historia ecclesiastica:'' XIV, 52.
[11] 문서 Michel Le Quien. ''Oriens Christianus'', I, 921.
[12] 문서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 9271.
[13] 간행물 Bulletin de correspondance hellenique
[14] 웹사이트 Mylasa (Titular See) http://www.catholic-[...]
[15] 문서 According to the same sources, for the whole area covered by the subdistrict (''kaza'') of Milas, these figures were 28,500 for the whole population, 21,000 of which were [[Turkish people|Turkish]] and 3,500 to 7,000, according to varying sources, were Greeks. Data from Anagiostopoulou 1997 and Sotiriadis 1918.
[16] 논문 Table 1 Overview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es including the defining criteria. https://www.nature.c[...]
[17]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Milas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15
[18] 웹사이트 The Tomb of Hecatomnus - Milas, Turkey https://archive.arch[...]
[19] 웹사이트 Golden crown of Hecatomnus to be returned to Turkey https://archaeologyn[...]
[20] 웹사이트 Mahalle https://www.e-icisle[...] Turkey Civil Administration Departments Inventory 2023-09-19
[21] 웹사이트 Mausoleum and Sacred area of Hecatomnus https://whc.unesco.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