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조우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벤저민 조우이트(Benjamin Jowett, 1817-1893)는 영국의 신학자, 튜터, 대학 개혁가이자 옥스퍼드 대학교 발리올 칼리지의 학장이었다. 그는 18세에 옥스퍼드 대학교 배일리얼 칼리지에서 장학금을 받았으며, 1855년 옥스퍼드 대학교 그리스어 정교수로 임명되었다. 조우이트는 자유주의 신학을 옹호하고 플라톤의 저서를 영어로 번역하여 고전 연구에 기여했으며,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 교류하며 사회 개혁에도 참여했다. 그는 1887년 건강이 악화된 후 문학 활동을 중단했으며, 1893년 옥스퍼드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고대 그리스 철학 연구자 - W. D. 로스
W. D. 로스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로, 도덕적 현실주의와 직관주의를 바탕으로 윤리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옳음과 선함》과 같은 저서를 통해 7가지 조건부 의무를 제시했다. - 영국의 고대 그리스 철학 연구자 - 조너선 반스
영국의 철학자 조너선 반스는 고대 그리스 철학,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사상가들에 대한 연구로 알려져 있으며,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저서를 남기고 《아리스토텔레스 전집》 편집을 맡았다. - 1817년 출생 -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 자연주의자로서, 월든 연못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담은 『월든』과 시민 불복종 사상으로 미니멀리즘, 비폭력 저항 운동, 환경 보호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1817년 출생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 1893년 사망 - 기 드 모파상
기 드 모파상은 19세기 프랑스 소설가로,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문학의 영향을 받아 《여자의 일생》, 《벨아미》 등 장편소설과 300여 편의 단편을 발표하며 인간의 욕망과 사회 위선을 그려내 현대 단편 소설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1893년 사망 - 표트르 차이콥스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러시아 낭만주의 작곡가로, 서정적인 선율과 풍부한 감정, 화려한 관현악법으로 사랑받는 〈비창〉, 발레 음악, 오페라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후원과 연금을 받으며 창작에 전념하고 유럽과 미국 순회공연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벤저민 조우이트 | |
---|---|
기본 정보 | |
이름 | 벤저민 조윗 |
원어 이름 | Benjamin Jowett |
직업 | 작가, 학자 |
출생 | 1817년 4월 15일 |
출생지 | 런던, 캠버웰, 잉글랜드 |
사망 | 1893년 10월 1일 |
사망지 | 햄프셔, 알턴, 잉글랜드 |
국적 | 영국 |
학력 | |
모교 | 옥스퍼드 베일리얼 칼리지 |
지도 교수 | A. P. 스탠리 |
주요 제자 | 토머스 힐 그린 에드워드 케어드 |
업적 | |
알려진 업적 | 플라톤과 투키디데스 번역, 작가 및 학자 활동 |
![]() |
2. 초기 생애와 교육
벤저민 조우이트는 런던 캠버웰에서 태어나 세인트 폴 학교에서 초기 교육을 받으며 고전 학자로서의 재능을 보였다.[6]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 배일리얼 칼리지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하여 뛰어난 학문적 성취를 이루었으며, 학부 시절 이미 펠로우로 선출되는 등 두각을 나타냈다. 당시 옥스퍼드는 트랙테리언 운동의 영향 아래 있었으나, 조우이트는 점차 자유주의 신학으로 기울게 되었다.
2. 1. 출생과 가정 환경
벤저민 조우이트는 런던 캠버웰에서 9명의 자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6] 그의 아버지는 원래 요크셔 출신의 모피 상인이었으며, 3대째 잉글랜드 성공회의 복음주의 운동을 지지했고 시편의 운문 번역 저자이기도 했다. 그의 어머니 이사벨라 랭혼(1790–1869)은 시인이자 플루타르코스의 번역가인 존 랭혼과 친척이었다. 조우이트는 12세에 세인트 폴 학교 (당시 세인트 폴 교회 부지)의 재단에 입학하여 곧 조숙한 고전 학자로서 명성을 얻었다.
2. 2. 세인트 폴 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
벤저민 조우이트는 12세에 세인트 폴 학교에 입학하여 곧 조숙한 고전 학자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아버지는 요크셔 출신의 모피 상인이자 잉글랜드 성공회의 복음주의 지지자였고, 어머니 이사벨라 랭혼은 시인이자 플루타르코스 번역가인 존 랭혼과 친척 관계였다.[6]18세가 되던 해, 조우이트는 옥스퍼드 대학교 배일리얼 칼리지의 공개 장학금을 받아 입학했으며, 평생 그곳과 인연을 맺었다. 1836년 학업을 시작한 그는 곧 당대 옥스퍼드를 대표하는 학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 1838년에는 학부생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펠로우로 선출되었고, 1839년에는 최우등으로 졸업했다.
이 시기는 옥스퍼드 트랙테리언 운동이 활발했던 때였다. 조우이트는 W. G. 워드와의 교류를 통해 잠시 고교회 신앙의 영향을 받기도 했으나, 아놀드 학파, 특히 A. P. 스탠리의 영향이 더 강하고 지속적이었다. 이는 그가 점차 자유주의 신학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다.
3. 신학적 논쟁
벤저민 조우이트의 신학 연구는 당대 옥스퍼드의 보수적인 성공회 분위기 속에서 상당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독일의 비판적 신학을 접하며 형성된 그의 견해는 기존의 통념에 도전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로 인해 급진적이거나 심지어 이단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러한 평가는 조우이트가 대학 내에서 승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의 신학적 입장은 독일 신학의 영향과 성 바울 서신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 과정에서 더욱 구체화되었다.
3. 1. 독일 신학의 영향
조우이트는 신학 연구에 집중했다. 그는 1845년과 1846년 여름을 스탠리와 함께 독일에서 보내며 독일의 비판적 신학과 사상의 열렬한 학생이 되었다. 이러한 학문적 탐구를 통해 형성된 그의 견해는 당시 성공회 중심의 옥스퍼드에서는 급진적이고 이단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이는 대학 내에서의 승진 기회를 심각하게 제약했다. 그는 동시대 독일 신학자들의 저술 중 특히 F. C. 바우어의 저술에 가장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러나 조우이트는 단순히 영향을 받는 데 그치지 않고 독립적인 판단을 견지했으며, 1855년에 출판된 성 바울에 관한 그의 저술은 많은 독창적인 성찰과 탐구의 결과였다.3. 2. 성 바울 서신 연구
조우이트는 1848년 이후 신학에 집중했다. 그는 1845년과 1846년 여름을 스탠리와 함께 독일에서 보냈고, 독일 비평과 사색의 열렬한 학생이 되었다. 그의 견해는 급진적인 것을 넘어 이단적이었고, 이는 성공회 옥스퍼드의 순응주의 벽 안에서 승진할 기회를 심각하게 깎아내렸다. 그 시대의 저술 중에서 그는 F. C. 바우어의 저술에 가장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결코 독립적인 판단을 멈추지 않았고, 1855년에 출판된 그의 성 바울에 관한 저술은 많은 독창적인 성찰과 탐구의 결과였다.3. 3. 《에세이와 리뷰》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에세이와 리뷰》'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옥스퍼드 경력
벤저민 조우이트는 1842년부터 발리올 칼리지의 튜터이자 성공회 사제로서 활동을 시작했으며, 1855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그리스어 정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학생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탁월한 능력으로 '위대한 튜터'라는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그의 저서 《성 바울 서신》과 그가 공동 저자로 참여한 ''에세이와 리뷰''(1860)는 출간 이후 정통 복음주의 진영으로부터 강한 신학적 비판에 직면했다. 이러한 신학적 논쟁은 조우이트가 그리스어 정교수로서 받아야 할 봉급 인상이 1865년까지 보류되는 등 그의 경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9] 이 시기 동안 그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 같은 인물들과 교류하며 지적 활동을 이어갔다. 조우이트의 자유주의적 신학 견해와 사회적 관계는 당시 보수적인 학계 및 종교계와의 긴장 관계를 형성하며 그의 학문적 여정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4. 1. 그리스어 정교수 임명
조우이트는 1855년 가을 옥스퍼드 대학교 그리스어 정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이미 1842년부터 발리올 칼리지의 튜터이자 성공회 사제로서 활동하며 교육에 헌신하고 있었다. 그는 제자들의 잠재력을 꿰뚫어 보고 스스로를 발견하도록 이끌었으며, 이로 인해 "위대한 튜터"라는 명성을 얻었다. 그의 제자들 중 다수는 평생의 친구가 되었다.1854년 발리올 칼리지 학장직 임명에서 고배를 마신 실망감으로, 그는 자신의 저서인 ''성 바울 서신'' 집필에 몰두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독창적이고 시사하는 바가 많았으나, 출판 이후 정통 복음주의자들로부터 거센 신학적 비판에 직면했다. 이러한 비판은 그의 생애 동안 어느 정도 계속되었다. 그는 이러한 비판에 굴하지 않고, 비슷한 공격을 받던 헨리 브리스토우 윌슨 및 롤랜드 윌리엄스와 힘을 합쳐 1860년 ''에세이와 리뷰''를 공동으로 출판했다. 이 책 역시 출간되자마자 격렬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9]
조우이트는 이 사건으로 기소된 동료들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심을 보이며 침묵을 지켰고, 이로 인해 그리스어 정교수로서 받아야 할 봉급 인상이 보류되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1865년까지 이어졌다. 그 해, E. A. 프리먼과 찰스 엘튼이 역사 연구를 통해 조우이트에게 제기된 자격 조건 위반 혐의가 근거 없음을 밝혀냈고,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는 마침내 그의 기부금을 연 40GBP에서 500GBP로 인상했다.
한편, 조우이트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저서 ''사색을 위한 제언''의 교정과 비평을 돕기도 했다. 그는 ''에세이와 리뷰''의 세 번째 권에 "성경 해석에 관하여"라는 글을 기고했는데, 여기서 종교가 법이며 과학과 통합될 수 있다는 나이팅게일의 주장을 자신의 신학적 관점과 조화시키려 시도했다. 나이팅게일의 여성 역할에 대한 급진적인 생각과 조우이트 자신의 자유주의적인 성공회 신학은 그가 발리올 칼리지 학장으로 승진하는 데 10년 동안 걸림돌이 되었다. 1860년 당시 그는 이미 그리스어 정교수이자 발리올 칼리지 펠로우였음에도 불구하고 봉급 인상이 보류된 상태였다. 그의 저작은 철학자이자 정치인인 존 스튜어트 밀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노동 계급이 계속해서 교구 교회에 남을 것이라 믿었던 보수적인 기성 세력에게는 큰 충격을 주었다. 1862년 10월, 그는 나이팅게일의 초청으로 오크 힐 파크를 방문하여 그녀에게 성찬을 집전하기도 했다. 그는 이 제안을 기꺼이 받아들였으며, 캔터베리 대주교 테이트의 허가를 받았다. 나이팅게일 및 브레이스브리지 부인과 주고받은 그의 많은 편지들은 그들의 공통된 종교적 관심사와 지적 능력에 대한 상호 존중을 보여준다.
4. 2. 베일리얼 칼리지 학장 거절과 《성 바울 서신》 완성
1854년 베일리얼 칼리지 학장직 제안을 거절당하는 큰 실망을 겪은 후, 조우이트는 자신의 저서인 《성 바울 서신》(The Epistles of St. Paul) 완성에 매달린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그의 친구가 "과감함의 기적"이라 묘사할 만큼 독창적이고 시사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출판되자마자 정통 복음주의자들로부터 거센 신학적 반대에 부딪혔다. 이러한 반발은 그의 생애 동안 어느 정도 계속되었다.그러나 조우이트는 이에 굴하지 않고, 비슷한 비판을 받던 헨리 브리스토우 윌슨 및 롤랜드 윌리엄스와 함께 ''에세이와 리뷰'' 집필에 참여했다. 이 책은 1860년에 출판되어 다시 한번 강한 비판의 물결을 일으켰다.[9] 조우이트는 이 책의 세 번째 권에 "성경 해석에 관하여"라는 글을 기고했는데, 이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저서 ''사색을 위한 제언'' 교정 및 비평을 도우면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 글에서 종교가 법이며 과학과 통합될 수 있다는 나이팅게일의 주장을 반영하려 했다. 여성의 가정 내 역할에 대한 나이팅게일의 급진적인 생각과 자유주의 성공회 신학에서 벗어난 조우이트의 입장은, 10년 동안 그가 베일리얼 칼리지 학장직으로 승진하는 것을 막았다.
''에세이와 리뷰'' 사건으로 기소된 동료들에 대한 조우이트의 충성심과 침묵은 그가 옥스퍼드 대학교 그리스어 정교수로서 받아야 할 봉급 인상이 보류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박해는 1865년까지 이어졌다. 1865년, E. A. 프리먼과 찰스 엘튼의 역사 연구를 통해 조우이트에게 제기된 자격 조건 위반 혐의가 근거 없음이 밝혀졌고,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는 마침내 그의 기부금을 연 40GBP에서 500GBP로 인상했다.
비록 ''에세이와 리뷰''는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로부터 아낌없는 찬사를 받았지만, 노동 계급이 계속해서 교구 교회에서 예배를 드릴 것이라는 더 전통적인 기성 세대의 열렬한 믿음을 크게 흔들었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당시 신학적 논쟁 중 하나였다. 1862년 10월 그는 나이팅게일에게 성찬을 집전하기 위해 오크 힐 파크로 초청받았고, 캔터베리 대주교 테이트의 허가를 받아 이를 수락했다. 나이팅게일 및 브레이스브리지 부인과 주고받은 편지들은 그들의 종교적 공통 관심사와 지적 능력에 대한 상호 존중을 보여준다.
4. 3. 그리스어 교수 봉급 인상 보류와 박해
조우이트는 헨리 브리스토우 윌슨, 롤랜드 윌리엄스와 함께 1860년 ''에세이와 리뷰''를 공동으로 출판했다. 이 책은 출판되자마자 신학적 관점에서 강한 비판에 직면했다.[9] 조우이트는 이 책의 세 번째 권에 "성경 해석에 관하여"라는 글을 기고했으며, 이 사건으로 기소된 동료 저자들에 대한 충성심을 보였다. 이러한 태도와 책의 내용으로 인해 그는 그리스어 정교수로서 받아야 할 봉급 인상이 보류되는 박해를 겪었다. 이 박해는 1865년까지 지속되었다.1865년, E. A. 프리먼과 찰스 엘튼은 역사적 연구를 통해 해당 교수직의 자격 조건 위반 사항이 발생했음을 밝혀냈다. 이를 근거로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는 교수직에 대한 기부금을 연 40GBP에서 500GBP로 인상하여 봉급 문제가 해결되었다. 한편, 이 시기 조우이트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3권짜리 저서 ''사색을 위한 제언''의 교정과 비평 작업에 참여하기도 했다.
5. 지적 절정기
벤저민 조우이트의 지적 활동과 영향력은 옥스퍼드 내에서 꾸준히 성장하여 절정기를 맞이했다. 그는 대학 내 자유주의 여론을 이끌며 신학 시험 폐지와 같은 개혁 운동에 참여했으며,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 같은 당대의 주요 인물들과 교류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넓혔다.
1870년, 그는 오랜 노력 끝에 볼리올 칼리지의 학장으로 선출되었고, 이는 그의 학문적, 행정적 경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학장으로서 그는 칼리지의 자유주의적 개혁을 주도하며 학문적 탐구를 장려하고, 학생 개개인에게 깊은 관심을 기울이며 지도했다. 그의 지도 아래 많은 제자들이 학계, 정계, 법조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게 되었다.
이 시기 그의 가장 중요한 학문적 성과 중 하나는 10년 이상 공들인 플라톤의 ''대화록'' 번역 출판(1871년)이다. 비록 일부 비판도 있었지만, 이 번역은 플라톤을 영어권 독자들에게 널리 알리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과 투키디데스 번역 작업도 이어갔다.
1882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부총장으로 선출되어 대학 행정 전반에 걸쳐 그의 영향력을 더욱 확대했다. 부총장으로서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개혁, 인도 관련 교육 과정 개선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했다. 이러한 활동들은 조우이트가 단순한 학자를 넘어, 당대 영국의 지성계와 교육계에 깊은 족적을 남긴 인물임을 보여준다.
5. 1. 옥스퍼드에서의 영향력 확대

조우이트의 옥스퍼드 내 영향력은 꾸준히 커졌으며, 그를 따르는 제자들도 많아졌다. 그는 대학 내 다양한 자유주의적 여론을 규합하여 신학 시험 폐지 운동을 이끌었다. 당시에는 옥스브리지 석사(M.A.) 학위 취득이나 대학 및 칼리지의 직책을 얻기 위해 신학 시험 통과가 필수적이었다. 조우이트는 1864년 6월 10일 런던에서 열린 관련 회의에서 연설하며 시험 폐지의 필요성을 역설했고, 이는 1871년 대학 시험법 제정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12]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의 관계는 그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또 다른 단면이다. 그는 나이팅게일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교류했지만, 때로는 심각한 사상적 차이를 드러내기도 했다. 예를 들어, 1864년 가리발디가 영국을 방문했을 때 조우이트는 나이팅게일에게 가리발디가 이탈리아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조언하기도 했다. 또한, 성병 확산을 막기 위해 제정된 전염병 예방법(Contagious Diseases Acts)을 둘러싼 논쟁에서 두 사람의 의견은 극명하게 갈렸다. 조세핀 버틀러와 같은 여성 운동가들은 이 법이 여성 인권을 침해한다며 폐지를 주장했지만, 조우이트는 매독과 같은 질병의 위험성을 들어 법의 필요성을 인정한 것으로 보이며, 나이팅게일에게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비판자들을 무시하라고 조언했다.[10] 그는 나이팅게일이 1874년 인도의 토지 소유 문제에 대한 보고서를 출판하려 했을 때, 그녀의 "영향력이 손상될 수 있다"는 이유로 이를 만류하여 결국 출판을 막기도 했다. 한편 그는 빈곤법이 가난하고 병든 이들을 더욱 비참하게 만든다고 비판했으며, 암으로 죽어가던 힐러리 본햄 카터를 방문하여 위로하는 등[11] 자비로운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1870년, 볼리올 칼리지의 학장 로버트 스코트가 로체스터 교구장으로 가게 되자, 조우이트는 마침내 볼리올 칼리지 학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이 인사에 자유주의 정치인인 친구 로버트 로(당시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 내각의 일원)의 도움이 있었다고 여겼다. 학장이 된 후 그는 칼리지를 "지상 천국과 같은 곳"으로 만들고자 했으며[12], 자유주의적 개혁을 추진했다. 이러한 개혁은 기존의 기독교적 가치관에 도전하는 급진적인 과학적 탐구와 맞물려 대학 내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71년에는 오랫동안 작업해 온 플라톤의 ''대화록'' 번역을 출판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비록 일부 학자들의 비판도 있었지만, 플라톤을 영어권 독자들에게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볼리올 칼리지 학장으로서 그의 권위는 확고해졌고, 칼리지 내 반대 의견은 거의 힘을 쓰지 못했다. 그의 제자였던 젊은 동료들은 그를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며, 볼리올 출신들은 다른 칼리지의 교수직이나 학장직에도 임명되기 시작했다. 이는 조우이트의 영향력이 옥스퍼드 전체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였다. 그는 방학 때마다 학생들과 함께 웨스트 말번(West Malvern) 등지에서 학문 연구와 지도를 계속했으며, 아벨 헨디 존스 그린리지와 같은 뛰어난 학자를 배출하기도 했다. 볼리올 칼리지의 새 홀(1876년), 오르간(1835년 기증), 크리켓 경기장(1889년) 등은 그의 학장 재임 기간 동안 이루어진 가시적인 성과들이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과 투키디데스 번역 작업도 꾸준히 진행했다. 1882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부총장(Vice-Chancellor)으로 선출되어[14] 대학 행정에도 깊이 관여하게 되었다. 부총장직을 맡아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개혁과 템스 밸리 배수 계획 등을 추진하고자 했다. 특히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 협력하여 인도 민간 봉사 부문에서 농업 과학을 훈련하는 학부생을 위한 옥스퍼드 강연 투어를 개최한 것은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볼리올에 있는 경제학자 아놀드 토인비와 마드라스 농업 대학의 교장 W R 로버트슨이 이를 지지했다. 처음으로 인도인들은 임업 및 농업의 기술적 측면에서 적절한 교육을 받게 될 것이었다.
5. 2. 플라톤 번역
그리스어 교수직을 맡으면서 조우이트는 플라톤 연구에 착수했고, 이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검토한 서문과 함께 플라톤의 ''대화록'' 전체를 번역하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그는 이 방대한 작업에 10년 이상 매달렸으며, 주로 방학 기간을 활용하여 번역을 진행했다.
조우이트는 번역 과정에서 남성 간의 플라토닉 사랑에는 성적인 요소가 없다고 해석했지만, 이는 후에 월터 페이터와는 다른 입장이었다.[13] 그는 플라톤 번역을 통해 자신의 신학적 견해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빅토리아 시대의 교육받은 중산층 독자들이 플라톤 사상의 현대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럼에도 신학에 대한 그의 관심은 계속되었고, 대학 강단 접근이 제한되었음에도 런던의 여러 교회나 웨스트민스터 사원 등에서 설교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도 했다.
1870년 볼리올 칼리지의 학장으로 선출된 후, 1871년에 마침내 그의 플라톤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이 번역은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일부 학자들로부터 특정 번역의 정확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사소한 오류 지적이 있었지만(이는 후속 판에서 수정되었다), 전반적으로 조우이트가 플라톤을 영어권 세계의 중요한 고전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5. 3. 베일리얼 칼리지 학장 선출
로버트 스코트가 1870년 로체스터 교구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볼리올 칼리지의 학장 자리가 공석이 되었다. 수년간의 노력 끝에 조우이트는 마침내 볼리올 칼리지 회원들에 의해 이 학장직에 선출되었다. 조우이트는 이러한 결정에 대해 자유주의자 친구이자 당시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 내각의 일원이었던 로버트 로(이후 셔브룩 경)의 도움이 컸다고 여겼다. 오랫동안 바라던 학장 자리에 오른 그는 1871년 플라톤의 ''대화록'' 번역서를 출판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일부 학자들이 특정 번역에 대해 비판하기도 했지만(후속 판에서 수정해야 할 작은 오류들이 있었다), 대체로 조우이트가 플라톤을 영어권의 고전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5. 4. 베일리얼 칼리지 개혁
로버트 스코트가 1870년 로체스터의 교구장으로 임명되면서, 조우이트는 여러 해 동안의 노력 끝에 마침내 베일리얼 칼리지 회원들에 의해 공석이 된 학장으로 선출되었다. 학장으로서 조우이트는 베일리얼 칼리지를 "지상 천국과 같은 곳"으로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2]
1866년부터 베일리얼 칼리지 내에서 그의 권위는 상당했으며, 칼리지의 다양한 개혁은 그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당시 반대 의견을 내는 소수는 힘을 잃었고, 그의 제자였던 젊은 동료들은 그를 적극적으로 따랐다. 조우이트는 확고하고 합리적인 의지를 바탕으로 개혁을 추진했으며, 이러한 자유주의적 개혁은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과학적 탐구를 장려하고 기존의 종교적 관념에 의문을 제기하는 환경을 조성했다.
그는 학부생들을 개별적으로 파악하고 그들의 학문적 성장을 면밀히 살폈다. 또한, 방학 기간에는 소수의 학생들과 함께 웬슬리데일의 아스크리그나 웨스트 말번 등지에서 함께 시간을 보내며 학문 활동을 이어갔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베일리얼 칼리지 출신들은 다른 대학의 교수직이나 학장직에 임명되었으며, 조우이트의 제자들은 양원과 법조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학장 재임 기간 동안 그의 활동을 보여주는 가시적인 성과로는 새로운 홀(1876년 건립), 홀 내부의 오르간 설치, 크리켓 경기장(1889년 조성) 등이 있다. 또한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 협력하여 인도 민간 봉사 분야에서 활동할 학생들을 대상으로 농업 과학 교육 과정을 마련하는 등 교육 과정 개선에도 힘썼다.
6. 후기 생애와 죽음
총장직 수행의 과로로 인해 1887년 건강이 악화되었으나,[15] 이후에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관련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1893년 10월 1일 옥스퍼드에서 사망했으며,[16][17] 그의 장례식은 많은 이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상적으로 치러졌다.
6. 1. 총장직 수행과 건강 악화

총장직 수행의 고된 노력 끝에 그는 1887년 질병에 시달리게 되었다.[15] 이로 인해 그는 더 이상 위대한 저작을 완성할 희망을 접어야 했다. 그의 문학적 노력은 이후 플라톤의 ''국가''에 대한 주석 작업과, ''정치학'' 번역의 부록으로 계획했던 아리스토텔레스 관련 에세이 몇 편을 쓰는 것에 국한되었다. 투키디데스 번역에 함께 실릴 예정이었던 에세이는 결국 완성되지 못했다.
6. 2. 문학적 노력의 지속
총장직 수행의 고된 노력 끝에 그는 1887년 질병에 시달렸고,[15] 이후 위대한 저작을 완성하기는 어려워졌다. 그의 문학적 노력은 주로 플라톤의 ''국가''에 대한 주석 작업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번역에 부록으로 실릴 예정이었던 몇몇 에세이 작성에 집중되었다. 투키디데스 번역과 함께 내려 했던 에세이는 결국 완성되지 못했다.6. 3. 투키디데스 번역
투키디데스 번역에 함께 실릴 에세이는 결국 쓰이지 않았다.6. 4. 플로렌스 나이팅게일과의 협력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오랜 친구였던 조우이트에게 찬사를 보냈다. 그녀는 "조우이트 씨는 플라톤이 조우이트 씨에게 쏟은 만큼의 재능을 플라톤에게 쏟았다"고 평가했다.[18]6. 5. 죽음과 장례식
결혼하지 않은 조우이트는 1893년 10월 1일 옥스퍼드에서 사망했다.[16][17] 그의 장례식은 옥스퍼드에서 열린 가장 인상적인 장례식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운구자는 일곱 명의 칼리지 학장과 이튼 칼리지 교장으로 구성되었는데, 모두 그의 옛 제자들이었다. 조우이트는 옥스퍼드의 월턴 스트리트에 있는 세인트 세풀처 묘지에 안장되었다.7. 유산
벤저민 조우이트는 신학자, 튜터, 대학 개혁가, 그리고 옥스퍼드 대학교 발리올 칼리지의 학장으로서 다방면에 걸쳐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그의 영향력은 특히 뛰어난 도덕 교사로서의 역할, 신학 분야에서의 과도기적이면서도 중요한 기여, 그리고 플라톤을 중심으로 한 고전학 연구 등에서 두드러진다. 이러한 유산들은 후대의 많은 인물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교육적, 학문적 업적은 오늘날까지도 평가받고 있다.
7. 1. 도덕 교사로서의 영향력
신학자, 튜터, 대학 개혁가, 옥스퍼드 칼리지의 명망 있는 학장으로서 다양한 업적을 남겼지만, 벤저민 조우이트가 후세에 가장 크게 기억되는 이유는 훌륭한 도덕 교사로서의 면모였다.[15] 당시 가장 저명했던 영국인들 중 다수가 그의 제자였으며, 그들이 사회 각 분야에서 이룬 많은 성과는 조우이트의 가르침과 모범, 그의 통찰력 있는 공감, 끊임없는 비판, 그리고 지칠 줄 모르는 우정에 힘입은 바가 컸다. 그는 실질적인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면서도 이상적인 목표를 꾸준히 추구했다.
그의 오랜 친구였던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조우이트 씨는 플라톤이 조우이트 씨에게 쏟은 만큼의 재능을 플라톤에게 쏟았다"고 말하며 그에게 찬사를 보냈다.[18] 조우이트의 신학적 연구는 과도기적인 성격을 지녔지만, 영원성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거친 신학적 개념이 수정되고 의문이 제기될 때 더 넓고 인간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신학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으려" 했던 매우 종교적인 인물로 여겨진다. 젊은 시절 임마누엘 칸트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철학을 깊이 연구했으며, 평생 철학적 정신을 유지했지만 형이상학적 체계에 대한 확신보다는 철학을 삶의 지혜로 바꾸는 데 더 큰 노력을 기울였다.
고전 학자로서 때때로 사소한 것에 대한 경시로 세부 사항을 간과한다는 비판도 있었지만, 그는 아이디어를 해석하고 전달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지녔다. 그에 대한 유명한 발리올 라임은 다음과 같다.
:내가 왔노라, 내 이름은 조우이트.
:내가 아는 모든 것을 안다.
:나는 이 칼리지의 학장이다,
:내가 모르는 것은 지식이 아니다!
7. 2. 신학적 유산
신학자, 튜터, 대학 개혁가, 옥스퍼드 칼리지의 명망 있는 학장이었던 조우이트가 후세에 기억될 가장 큰 이유는 그의 훌륭한 도덕 교사로서의 면모였다. 당시 가장 저명한 영국인들 중 다수가 그의 제자였으며, 그들이 이룬 많은 업적은 그의 가르침과 모범, 그의 통찰력 있는 공감, 끊임없는 비판, 그리고 지칠 줄 모르는 우정에 기인했다. 실질적인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면서 이상적인 목표를 그토록 꾸준히 추구한 경우는 드물다. 조우이트의 신학적 연구는 과도기적이었지만, 영원성의 요소를 지니고 있었다.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그녀의 오랜 친구에게 찬사를 보내며, "조우이트 씨는 플라톤이 조우이트 씨에게 쏟은 만큼의 재능을 플라톤에게 쏟았다"고 말했다.[18]
다른 사상가에 대해 말했듯이, 그는 "거친 신학적 개념이 수정되고 의문이 제기될 때 더 넓고 인간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신학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으려는, 매우 종교적인 사람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젊은 시절 임마누엘 칸트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열렬한 연구자였으며, 마지막 순간까지 철학적 정신을 길렀지만 형이상학적 체계에 대한 확신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철학을 삶의 지혜로 바꾸려고 노력했다. 고전 학자로서 그는 때때로 사소한 일에 대한 경멸 때문에 세부 사항을 간과했지만, 아이디어를 해석하는 더 높은 장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에 대한 유명한 발리올 라임은 다음과 같다.
:내가 왔노라, 내 이름은 조우이트.
:내가 아는 모든 것을 안다.
:나는 이 칼리지의 학장이다,
:내가 모르는 것은 지식이 아니다!
7. 3. 고전학 연구
조우이트는 고전 학자로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플라톤 연구에 깊이 몰두했으며, 말년에는 건강 문제로 큰 저작 활동은 어려웠지만[15] 플라톤의 ''국가''에 대한 주석 작업에 집중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번역 부록으로 에세이를 쓰려 했고, 투키디데스 번역에도 에세이를 덧붙일 계획이었으나 완성하지는 못했다.[16][17]
고전 학자로서 그는 때때로 사소한 부분에 대한 경시로 세부 사항을 간과한다는 지적도 받았지만, 아이디어를 해석하는 뛰어난 능력을 지녔다.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조우이트 씨는 플라톤이 조우이트 씨에게 쏟은 만큼의 재능을 플라톤에게 쏟았다"고 말하며 그의 플라톤 연구를 높이 평가했다.[18]
그는 젊은 시절 임마누엘 칸트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을 깊이 연구했으며, 철학적 정신을 유지하면서도 형이상학적 체계보다는 철학을 삶의 지혜로 연결시키려 노력했다. 그의 학문적 명성과 자신감은 당시 발리올 칼리지 학생들 사이에 퍼진 다음과 같은 라임(짧은 풍자시)에서도 엿볼 수 있다.
:내가 왔노라, 내 이름은 조우이트.
내가 아는 모든 것을 안다.
나는 이 칼리지의 학장이다,
내가 모르는 것은 지식이 아니다!
7. 4. 평가
신학자, 튜터, 대학 개혁가, 옥스퍼드 칼리지의 명망 있는 학장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조우이트가 후세에 가장 크게 기억되는 이유는 훌륭한 도덕 교사로서의 면모였다. 당시 가장 저명한 영국인들 중 다수가 그의 제자였으며, 그들이 이룬 많은 업적은 그의 가르침과 모범, 그의 통찰력 있는 공감, 끊임없는 비판, 그리고 지칠 줄 모르는 우정에 힘입은 바가 컸다. 그는 실질적인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면서도 이상적인 목표를 꾸준히 추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그의 오랜 친구였던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조우이트 씨는 플라톤이 조우이트 씨에게 쏟은 만큼의 재능을 플라톤에게 쏟았다"고 말하며 그의 학문적 깊이를 칭찬했다.[18] 또한 나이팅게일은 조우이트를 "거친 신학적 개념이 수정되고 의문이 제기될 때 더 넓고 인간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신학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으려는, 매우 종교적인 사람 중 한 명"이라고 평가했다. 그의 신학적 연구는 과도기적이었지만, 시대를 초월하는 가치를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젊은 시절 임마누엘 칸트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열렬한 연구자였던 그는 마지막 순간까지 철학적 정신을 길렀다. 그러나 형이상학적 체계에 대한 확신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철학을 삶의 지혜로 바꾸려고 노력했다. 고전 학자로서는 때때로 사소한 일에 대한 경멸 때문에 세부 사항을 간과하기도 했지만, 아이디어를 해석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에 대한 유명한 발리올 라임은 다음과 같다.
:내가 왔노라, 내 이름은 조우이트.
:내가 아는 모든 것을 안다.
:나는 이 칼리지의 학장이다,
:내가 모르는 것은 지식이 아니다!
8. 출판물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비고 |
---|---|---|---|
투키디데스 (영역본) | 1881 | 클라렌던 출판사 | [https://archive.org/details/a609583001thucuoft 1권], [https://archive.org/details/a609583002thucuoft 2권] |
플라톤의 대화 (영역본, 제3판) | 1892 |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 [https://oll.libertyfund.org/title/plato-the-dialogues-of-plato-in-5-vols-jowett-ed 5권] |
9. 기타
- 옥스퍼드 중심부에 있는 조우이트 워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윌리엄 허럴 맬록의 소설 새로운 공화국 The New Republic영어에서 "젠킨슨 박사"로 등장한다.
- 조우이트는 루이스 오킨클로스의 소설 The Rector of Justin|저스틴의 학장영어 (1964)에서 잠시 등장한다.
- 조우이트는 또한 톰 스토파드의 희곡 사랑의 발명 The Invention of Love영어 (1997)에서 단역으로 등장한다.
- 위대한 조우이트 The Great Jowett영어는 1939년 그의 삶을 바탕으로 그레이엄 그린이 쓴 라디오 극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omas Hill Green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entry
https://plato.stanfo[...]
[2]
편지
Letter of C. S. Lewis from Keble College, July 22, 1917: "Jowett (here usually pronounced to rhyme with 'poet')"
[3]
사전
Jowett
http://www.collinsdi[...]
Collins English Dictionary
2009
[4]
간행물
Jowett's Thucydides
https://archive.org/[...]
The Fortnightly Review
1882
[5]
서적
A History of the County of Oxford: Volume 3: The University of Oxford
Victoria County History
2011-08-16
[6]
웹사이트
Balliol College Archives & Manuscripts
http://archives.ball[...]
[7]
문서
Jowett Letters, p. 163, n3
[8]
문서
see Bostridge's narrative, arguments and quoting of Sorabji, India Calling, (1934), p. 32; Cook, Life of Florence Nightingale contradicted the story that he was ever good for her. (1971)
[9]
학술지
Benjamin Jowett's Pauline Commentary: An Atonement Controversy
2003
[10]
편지
Jowett to Nightingale, 30 Jan 1870, Letters, p. 184
[11]
문서
Jowett Letters, p. 38
[12]
문서
Jowett Letters, xxvi-xxvii
[13]
Citation
The Remains of the Gay
http://www.sydneylin[...]
1998-09
[14]
웹사이트
Previous Vice-Chancellors
http://www.ox.ac.uk/[...]
University of Oxford, UK
2011-07-18
[15]
뉴스
The Sunday Times
https://www.thetimes[...]
[16]
뉴스
The Sunday Times
https://www.thetimes[...]
[17]
학술지
Benjamin Jowett
1893–94
[18]
편지
Nightingale to Jowett, 7 August 1871, Letters, p. 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