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볼링 포 콜럼바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링 포 콜럼바인》은 2002년에 개봉한 마이클 무어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이 영화는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을 중심으로 미국의 폭력 문화와 총기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고 있다. 영화는 사건의 배경, 총기 소유의 용이성, 언론의 공포 조장, 미국의 외교 정책 등을 다양한 인터뷰와 몽타주 기법을 통해 보여준다. 무어는 영화를 통해 미국과 다른 국가들의 총기 관련 사망 통계를 비교하며 미국의 높은 총기 사망률의 원인을 분석하고, 총기 규제를 주장한다. 이 영화는 칸 영화제 55주년 기념상,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 - 엘리펀트 (2003년 영화)
    구스 반 산트 감독의 영화 엘리펀트는 컬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을 모티브로 학교 내 총기 난사 사건을 앞둔 학생들의 일상을 보여주며 폭력의 원인과 결과를 탐구하고, 2003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과 감독상을 수상했으나 총기 난사 사건과 연관되어 논란이 되었으며, 제목은 앨런 클락 감독의 동명 영화에 대한 오마주이자 '맹인과 코끼리' 우화처럼 다양한 관점에서 사건을 바라보는 영화의 특징을 반영한다.
  •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 - 에릭 해리스와 딜런 클리볼드
    에릭 해리스와 딜런 클리볼드는 1999년 콜럼바인 고등학교에서 총기 난사 사건을 일으켜 13명을 살해하고 24명에게 부상을 입힌 후 자살한 범인들로, 이 사건은 미국 역사상 가장 충격적인 학교 총기 난사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 마이클 무어 감독 영화 - 자본주의: 러브 스토리
    마이클 무어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자본주의: 러브 스토리'는 미국의 자본주의 시스템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며,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의 원인과 사회적 불평등 심화, 기업의 비윤리적 행태, 탐욕스러운 금융 시스템을 고발하고 민주주의 회복의 필요성을 탐구한다.
  • 마이클 무어 감독 영화 - 화씨 9/11
    마이클 무어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화씨 9/11》은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부터 이라크 전쟁까지의 과정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며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그의 행정부를 둘러싼 논란, 9·11 테러와 부시 가문의 관계, 미국 애국자법, 이라크 전쟁의 배경 등을 다룬 작품으로, 2004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및 다큐멘터리 영화 역사상 최고의 흥행 수입을 기록했다.
  • 다큐멘터리 영화 - 슈퍼 사이즈 미
    모건 스퍼록 감독이 맥도날드 음식만 섭취하는 30일간의 실험을 통해 패스트푸드의 유해성과 사회적 영향을 고발하고 미국 사회의 비만 문제와 패스트푸드 업계의 책임을 규명하며 맥도날드의 마케팅 전략의 윤리적 문제를 제기하는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다큐멘터리 영화 - 에이리언 오브 더 딥
    제임스 카메론이 NASA 과학자들과 함께 대서양과 태평양의 열수구를 탐사하며 독특한 심해 생태계와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탐구하는 2005년 3-D IMAX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볼링 포 콜럼바인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감독마이클 무어
원작1999년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의 원인
제작마이클 무어
캐슬린 글린
짐 차르네키
찰스 비숍
마이클 도노반
커트 엥페르
각본마이클 무어
주연마이클 무어
내레이터마이클 무어
음악제프 깁스
편집커트 엥페르
제작사유나이티드 아티스츠
얼라이언스 아틀란티스
샐터 스트리트 필름스
도그 잇 도그 필름스
배급사MGM 배급사 (미국)
얼라이언스 아틀란티스 (국제)
개봉일2002년 5월 16일 (칸)
2002년 10월 11일 (미국)
2002년 10월 18일 (캐나다)
상영 시간120분
제작 국가미국
캐나다
독일
언어영어
제작비400만 달러
흥행 수입5800만 달러
관련 인물
관련 인물에릭 해리스와 딜런 클리볼드
캐시 버넬
오스틴 유뱅크스
레이첼 스콧
데이브 컬렌
수 클리볼드
대니 레돈
솔 파이스
빌 화이트
관련 미디어
관련 미디어어 마더스 레커닝 (2016)
에이프릴 샤워 (2009)
볼링 포 콜럼바인 (2002)
콜럼바인 (2009)
노 이지 앤서스 (2002)
콜럼비누스 (2005)
던 애나 (2005)
덕! 더 카빈 하이 매서커 (1999)
엘리펀트 (2003)
홈 룸 (2002)
아임 낫 어셰임드 (2016)
럴러바이 포 콜럼바인
노바디 레프트 투 헤이트 (2001)
피코스 스쿨 (1999)
플레잉 콜럼바인 (2008)
레이첼스 티어스 (2000)
쉬 세드 예스 (1999)
슈퍼 콜럼바인 매서커 RPG! (2005)
더 라이브러리 (2014)
더 노바디스
더 온리 웨이 (2004)
더 웨이 아이 엠
유스 오브 더 네이션
제로 데이 (2003)
제로 아워 (2004)
관련 사건
관련 사건콜럼바인 모방범
콜럼바인 효과
콜럼바인 기념관
즉각 대응 신속 배치
대량 살상 전염
관련 논쟁
관련 논쟁
마릴린 맨슨
네츄럴 본 킬러 모방 범죄

2. 영화 내용

마이클 무어사우스 파크의 공동 제작자인 맷 스톤, 당시 전미 총기 협회 회장이었던 찰턴 헤스턴, 오클라호마 시티 폭탄 테러 용의자 제임스 니콜스, 그리고 음악가 마릴린 맨슨 등 다양한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콜럼바인 고교 총기 난사 사건의 원인과 미국의 높은 총기 범죄율에 대해 탐구한다.

영화는 콜럼바인 고교 총기 난사 사건의 피해자, 범인이 심취했다고 알려진 마릴린 맨슨, 전미 라이플 협회(NRA) 회장(당시) 찰턴 헤스턴, 사우스 파크 제작자 맷 스톤 등 다양한 인물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무어는 청교도의 아메리카 대륙 이주부터 현재까지의 총기 사회 역사를 검증하고, 캐나다, 일본, 영국 등 다른 선진국과의 비교를 통해 미국 총기 사회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특히 미국 건국 과정에서 발생한 아메리카 원주민 학대와 흑인 노예 강제 노동이 백인들의 복수심에 대한 공포를 야기했고, 이것이 총기 사회를 용인하는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해석을 제시한다.

또한, TV 미디어가 미국 국민의 공포, 불안, 특정 인종에 대한 편견과 증오를 부추기고 있을 가능성을 지적한다.

영화 속에서 무어는 사건 피해자들과 함께 미국 제2의 대형 슈퍼마켓 체인점인 K마트(Kmart) 본사를 방문하여 협상 끝에 모든 점포에서 총알 판매를 중단시키는 데 성공했다.[52]

2. 1. 주요 인터뷰 대상


  • 맷 스톤: 사우스 파크의 공동 제작자이자 콜럼바인 고등학교 출신이다. 무어와의 인터뷰에서 고향과 콜럼바인 고교 총기 난사 사건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27][28][29][30][31][52]
  • 마릴린 맨슨: 록 음악가로, 콜럼바인 사건 가해자들이 그의 음악에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무어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사회의 공포와 소비문화를 비판했다.[27][28][29][30][31][52]
  • 찰턴 헤스턴: 배우이자 전미 총기 협회(NRA) 회장으로, 총기 소유 옹호론자였다. 무어는 헤스턴에게 콜럼바인 사건과 플린트 총격 사건 이후 NRA 집회를 주도한 것에 대해 질문했고, 그의 답변은 논란을 일으켰다.[27][28][29][30][31][52]

2. 2. "Bowling"

영화 제목은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의 범인인 에릭 해리스와 딜런 클레보드가 사건 당일 아침 볼링 수업을 들었다는 잘못된 정보에서 비롯되었다.[11] 무어는 "볼링"이라는 요소를 영화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한다.

무어는 미시간 민병대가 볼링 핀을 표적 연습에 사용하는 장면을 보여준다. 또한 두 학생의 전 동급생들을 인터뷰하면서 학생들이 체육 수업 대신 볼링 수업을 들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것이 교육적 가치가 거의 없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인터뷰 대상자들은 이에 동의하며 해리스와 클레볼드가 내성적인 생활 방식을 보였고 볼링에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다고 말한다. 무어는 학교 시스템이 학생들의 실제 요구에 부응하고 있는지, 아니면 두려움을 강화하고 있는지 질문을 던진다.

미시간주 오스코다에 거주하는 두 젊은이를 인터뷰하는 장면에서 무어는 정부와 언론이 조성한 공포 문화가 미국인들이 무장하도록 이끌어 총기 제조 회사에 유리하게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볼링이 마릴린 맨슨이나 당시 유고슬라비아 폭격을 감행한 빌 클린턴 대통령만큼 학교 공격에 책임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2]

'''볼링 포 콜럼바인'''이라는 제목은 다음과 같은 이중 의미를 지닌다.

  • 범인들이 마릴린 맨슨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수 미디어로부터 비판받았음에도, 범행 직전까지 했던 볼링의 악영향이 논의되지 않는 것은 이상하다는 풍자. (마릴린 맨슨의 영향은 후에 부정되었다.)
  • 볼링 핀은 인간과 형태가 비슷하여 총기 사격 연습에 사용된다는 점.

2. 3. "Free gun for opening a bank account"

영화 초반부 장면은 미국 미시간주 북부의 한 은행에서 일정 금액 이상의 정기 예금 계좌를 개설하는 고객에게 사냥용 소총을 무료로 제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14] 무어는 은행에 가서 예금을 하고, 서류를 작성하고, 신원 조회를 기다린 후, 새 웨더비 사냥용 소총을 들고 은행을 나선다. 은행을 떠나기 직전, 무어는 "은행에서 총을 나눠주는 게 조금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세요?"라고 묻는다.[15]

200px


''보스턴 리뷰''는 이 장면을 조작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 저널'' 또한 이 장면을 "연출된 것"이라고 칭했다.[17]

2. 4. "Happiness Is a Warm Gun" 몽타주

비틀즈의 노래 "Happiness Is a Warm Gun"을 배경으로, 미국 사회의 총기 문화를 보여주는 장면들이 몽타주 시퀀스로 제시된다.[52]

  • 총기 구매 장면
  • 유타주 버진: 모든 주민에게 총기 소지를 의무화하는 법을 통과시킴
  • 사격장과 유원지에서 총을 쏘는 사람들
  • 데니스 에임스의 소총 조작
  • 노스다코타주 파고 출신 시각 장애인 총기 애호가 캐리 맥윌리엄스 (사수)
  • 게리 플로셰의 아들 납치 및 성학대범 제프 도세트 살해
  • R. 버드 드와이어의 자살
  • 1993년 텔레문도 프로그램 ''오쿠리오 아시'' 인터뷰 중 에밀리오 누녜스의 전 부인 마리차 마틴 총격 살해
  • 건강 유지 기구에 항의하며 자살한 에이즈 및 암 환자 다니엘 V. 존스
  • 폭동 중 상의를 벗고 총에 맞는 남성

2. 5. 대량 살상 무기 (Weapons of mass destruction)

무어는 콜럼바인 고등학교 인근에 위치한 록히드 마틴 공장을 방문하여, 대량 살상 무기 제조와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의 연관성을 제기한다. 그는 제도화된 폭력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한다.[18]

무어는 록히드 마틴 공장의 커뮤니케이션 담당 이사 에반 맥컬럼에게 다음과 같이 질문한다.

맥컬럼은 미사일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미국을 방어하기 위해 제작되었기 때문에 특별한 연관성을 찾을 수 없다고 답한다.[18]

영화 개봉 후, 맥컬럼은 해당 공장이 더 이상 미사일을 생산하지 않고, 위성 발사에 사용되는 로켓을 생산한다고 해명했다.[18] 그는 무어에게 NASA, NOAA, 국방부 및 상업 고객을 위해 우주 발사체를 만든다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했다고 밝혔다.[18]

에릭 뫼러는 무어의 질문이 리틀턴 지역의 록히드 마틴 시설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록히드 마틴이 미국의 최대 군사 계약자라는 사실을 비평가들이 무시했다고 주장한다.[18]

2. 6. "What a Wonderful World" 몽타주

이 영화는 미국의 외교 정책 결정에 대한 몽타주로 전환되며, 미국이 얼마나 자주 침략 국가였는지에 대한 사례를 인용하여 맥컬럼의 주장에 반박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이 몽타주는 루이 암스트롱이 부른 "What a Wonderful World"를 배경으로 한다.

다음은 "Wonderful World" 부분의 화면 텍스트 내용이다.

몽타주는 2001년 9월 11일 유나이티드 항공 175편이 세계 무역 센터 남쪽 타워에 충돌하는 핸드헬드 카메라 영상을 보여주며, 오디오는 카메라 마이크로 기록된 목격자들의 감정적인 반응으로만 구성된다. 이 영화와 함께 제공되는 웹사이트에서 무어는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20]

2. 7. 공포 분위기 (Climate of fear)

무어는 미국 사회에 퍼져 있는 공포 분위기가 총기 폭력의 원인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그는 캐나다와의 비교를 통해 이를 강조하는데, 캐나다는 총기 소유 수준이 미국과 비슷하지만 범죄와 안전에 대한 걱정이 훨씬 적다는 점을 보여준다. 무어는 캐나다 지역을 방문하여 현관문이 잠겨 있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이는 미국과 대조적이라고 말한다.[21]

무어는 언론이 "피가 나면 선두로"라는 사고방식을 따르지 않는 캐나다의 뉴스 기사를 보여주며, 미국의 언론이 공포를 조장하고 사람들의 보호 욕구를 자극한다고 비판한다. "미국 역사 요약"이라는 만화는 미국에서 공포가 어떻게 시작되어 변화해 왔는지에 대한 무어의 견해를 보여준다.[21]

마릴린 맨슨과의 인터뷰에서 맨슨은 미국 사회가 "공포와 소비"에 기반하고 있다고 말하며, 콜게이트 광고와 같이 공포에 기반한 광고를 예로 든다. 그는 또한 언론이 정부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에 있으며, 자신의 행동이 빌 클린턴 대통령보다 콜럼바인의 클레볼드와 해리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무어가 콜럼바인 학생들에게 무슨 말을 하겠냐고 묻자, 맨슨은 "그들에게 한 마디도 하지 않겠어요. 그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들어줄 거예요. 아무도 그렇게 하지 않았어요."라고 대답했다.[22]

사우스 파크의 공동 제작자인 맷 스톤은 "미국 역사 요약"이라는 만화가 자신들의 스타일과 유사하게 만들어져 시청자들이 그들이 만들었다고 오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불쾌감을 표현했다.[23]

무어는 또한, TV 미디어가 미국 국민의 공포, 불안, 특정 인종에 대한 편견, 증오를 부추기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지적한다.

2. 8. 통계 (Statistics)

마이클 무어는 미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영국, 일본, 호주 등 여러 국가의 연간 총기 관련 사망자 수를 비교하며, 미국의 총기 폭력 문제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심각함을 보여준다.

국가연간 총기 사망자 수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
일본390.030
호주650.292
영국680.109
캐나다1650.484
프랑스2550.389
독일3810.466
미국11,1273.601



무어는 마릴린 맨슨의 음악 청취(독일: 연간 381건), 폭력적인 영화 관람(프랑스: 연간 255건), 비디오 게임(일본: 연간 39건) 등 다른 나라와의 비교를 통해 미국의 높은 총기 폭력의 원인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다. 또한 독일, 일본, 프랑스, 영국 등 다른 나라들도 비슷한 폭력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25]

2. 9. K마트 환불 (Kmart refund)

마이클 무어는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 생존자인 마크 테일러와 리처드 카스탈도를 미국 미시간주 트로이에 있는 K마트 본사로 데려갔다. 이들은 범인들이 K마트 매장에서 구입한 총알이 몸에 박혀 있는 것에 대한 환불을 요구했다.[26] 무어와 피해자들은 건물 로비에서 몇 시간 동안 기다리며 여러 K마트 직원들과 대화를 나누었지만, 직원들은 문제를 회피했다. 그러자 무어는 인근 미시간주 스털링 하이츠의 K마트를 방문하여 매장의 모든 탄약을 구입하고, 다음 날 현지 언론인들과 함께 다시 회사 본사로 돌아왔다. 회사의 커뮤니케이션 담당 부사장이 급히 내려와 대응하며, 회사가 90일 이내에 권총 탄약 판매를 단계적으로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무어는 "우리가 이겼어요. 우리가 요구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얻었습니다."라고 말했다.[26]

3. 등장인물



출연자일본어 더빙
소프트판TV 도쿄
마이클 무어에바라 마사시야마데라 코이치
마릴린 맨슨마츠오카 미츠루미키 신이치로
찰턴 헤스턴코바야시 키요시나야 고로
크리스 록타카기 와타루
트레이 파커
맷 스톤반도 나오키
더빙판 기타오오츠카 호츄, 사토 아이, 이와사키 히로시, 나카노 유타카, 츠치다 다이, 야마조 카오리, 엔도 준이치, 타나다 에미코, 아라가키 타르스케, 시게마츠 토모테라소마 마사키, 아이자와 마사키, 타하라 아르노, 나카무라 다이키, 호시노 미츠아키, 아키모토 요스케, 쿠스미 나오키, 타키자와 로코, 츠치다 다이, 무토 마사시, 사토 시노부, 이와사키 히로시, 테라우치 요리에, 고토 테츠오, 스즈키 노리코, 소노다 케이코, 키타 아유미, 타카세 우코, 아카기 스스무, 소야 키요리, 이이 아츠시, 이케다 아키코, 야노 유코, 아라이 사토미, 키노시타 사야카, 카츠라기 레이나, 츠네마츠 아유미, 카노 치아키, 네모토 케이코
일본어판 제작 스태프
연출타카다 히로미츠 타카하시 고
번역하라구치 마유미마츠이 마리
조정안자이 아유무시게미츠 히데키, 아라이 야스오
효과릴레이션
담당베푸 켄지, 미야치 나오
제작프로센 스튜디오HALF H・P STUDIO
첫 방송2004년 9월 16일
『목요양화극장』
21:00~23:24



TV 도쿄판에서는 한때 찰턴 헤스턴의 전담 성우였던 나야 고로가 기용되었는데, 본작에서 헤스턴이 불명예스러운 대우를 받게 되자 담당 스태프는 안타까운 마음으로 나야에게 제안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나야 본인은 "헤스턴의 목소리는 나야"라며 흔쾌히 수락했고, 해당 스태프는 "프로 중의 프로"라고 느꼈다고 한다.

4. 평가

《볼링 포 콜럼바인》은 개봉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이면서도 비판적인 평가를 동시에 받았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로튼 토마토에서는 95%의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평균 평점 8.20/10을 기록했으며,[34] 메타크리틱에서는 32개 리뷰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72점을 받아 전반적으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35]

시카고 트리뷴의 마이클 윌밍턴은 "불안하고 자극적이며, 양쪽 정치 진영 모두에게 분노와 슬픔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매우 재미있다"고 평가했다.[36] 뉴욕 타임스의 A.O. 스콧은 "《볼링 포 콜럼바인》에서 보여지는 미끄러운 논리, 편향된 웅변, 그리고 노골적인 선동은 열렬한 지지자들에게 잠시 멈춰 생각하게 할 만큼 충분하며, 미국의 폭력 문화에 대한 불안한 통찰력은 귀를 막고 싶어하는 사람들로부터 진지한 성찰을 불러일으킬 것이다"라고 평가했다.[37]

반면 워싱턴 포스트의 데슨 톰슨은 영화가 일관된 메시지가 부족하다고 비판하며, "이 내용 중 많은 부분이 재미있고 어떻게든 말해준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무엇을 더하는가?"라고 질문했다.[38]

제작비는 400만 달러였지만, 전 세계적으로 4000만달러의 흥행 수입을 올려 다큐멘터리 영화 흥행 기록을 경신했다.[54]

한편, 영화 속 편집이 의도적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전미총기협회(NRA)가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 직후 콜로라도 주에서 집회를 개최한 것처럼 묘사되었지만, 실제로는 사전에 예정된 연례 집회였다는 점이 지적되었다.[55] NRA 측은 사건을 고려하여 행사 규모를 축소했다고 주장했지만,[56][57] 주요 언론들은 "무신경하고 오만하다"는 비판을 제기했다.[58] 찰턴 헤스턴이 덴버 집회에서 한 것처럼 오인될 수 있는 연출도 비판받았다.

영화 속에서 "폭력적인 게임의 대부분은 일본산이다"라는 나레이션과 함께 일본산 게임인 버추어 파이터미국산 게임인 모탈 컴뱃이 함께 등장하는 장면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그러나 영화 공개 당시 인기 게임의 대부분이 일본산이었다는 것은 사실이다.[59]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볼링 포 콜럼바인》은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2003년에는 세자르 영화상 최우수 외국 영화상,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했으며, 칸 영화제에서는 55주년 기념 특별상을 받았다.[60]

4. 1. 수상 내역

연도영화제 및 시상식
2002년55주년 기념상2002 칸 영화제[5]
2002년VPRO IDFA 관객상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2002년관객상아틀란티스 영화제
2002년관객상베를린 국제 영화제
2002년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상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
2002년최우수 다큐멘터리상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
2002년최우수 다큐멘터리상전미 비평 위원회
2002년관객상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2002년최우수 다큐멘터리상사우스 이스트턴 영화 비평가 협회
2002년다큐멘터리 부문 관객상상파울루 국제 영화제
2002년최우수 다큐멘터리상토론토 영화 비평가 협회
2002년최우수 작품상밴쿠버 국제 영화제
2002년최우수 각본상미국 작가 조합
2003년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세자르 영화상
2003년역대 최고의 다큐멘터리국제 다큐멘터리 협회(IDA)
2003년최우수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아카데미상[44]
2003년최우수 다큐멘터리상플로리다 영화 비평가 협회
2003년골든 새틀라이트상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새틀라이트상
2003년최우수 다큐멘터리상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2003년최우수 다큐멘터리상캔자스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
2003년최우수 다큐멘터리상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
2003년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세자르상
2003년최우수 다큐멘터리상댈러스-포트워스 영화 비평가 협회
2003년최우수 편집상 에디상미국 영화 편집자 협회상



2002 칸 영화제 상영 당시 이 영화는 13분간의 기립 박수를 받았다. 또한 2002년 밴쿠버 국제 영화제에서 "가장 인기 있는 국제 영화"로 선정되었다.

마이클 무어는 2003년 3월 23일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환호와 야유를 동시에 받았는데, 이는 그가 수상 소감을 통해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불과 며칠 전에 시작된 미국 주도의 이라크 침공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기 때문이다.[45][46]

2005년, 영국 채널 4 프로그램 ''역대 최고의 다큐멘터리 50편''에서 세 번째로 인기 있는 영화로 선정되었다.[47]

5. 한국어 더빙

이 영화는 2004년대한민국MBC에서 한국어 더빙으로 방영되었다.

TV 도쿄판에서는 찰턴 헤스턴의 전담 성우였던 나야 고로가 기용되었는데, 본작에서 헤스턴이 불명예스러운 대우를 받게 되자 담당 스태프는 안타까운 마음으로 나야에게 제안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나야 본인은 "헤스턴의 목소리는 나야"라며 흔쾌히 수락했고, 해당 스태프는 "프로 중의 프로"라고 느꼈다고 한다.

5. 1. MBC 성우진

성우역할
박지훈마이클 무어 / 해설
황일청
한규희
이성
권혁수
이병식
이종혁
변종필
윤성혜
엄태국
이철용
송준석
최한
문남숙
박신희
방성준
정재헌
조현정


5. 2. TV 도쿄판

아이자와 마사키
타하라 아르노
나카무라 다이키
호시노 미츠아키
아키모토 요스케
쿠스미 나오키
타키자와 로코
츠치다 다이
무토 마사시
사토 시노부
이와사키 히로시
테라우치 요리에
고토 테츠오
스즈키 노리코
소노다 케이코
키타 아유미
타카세 우코
아카기 스스무
소야 키요리
이이 아츠시
이케다 아키코
야노 유코
아라이 사토미
키노시타 사야카
카츠라기 레이나
츠네마츠 아유미
카노 치아키
네모토 케이코일본어판 제작 스태프연출타카하시 고번역마츠이 마리조정시게미츠 히데키
아라이 야스오효과릴레이션담당베푸 켄지
미야치 나오제작HALF H・P STUDIO첫 방송2004년 9월 16일
『목요양화극장』
21:00~23:24



TV 도쿄판에서는 한때 찰턴 헤스턴의 전담 성우였던 나야 고로가 기용되었는데, 본작에서 헤스턴이 불명예스러운 대우를 받게 되자 담당 스태프는 안타까운 마음으로 나야에게 제안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나야 본인은 "헤스턴의 목소리는 나야"라며 흔쾌히 수락했고, 해당 스태프는 "프로 중의 프로"라고 느꼈다고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the Film: Credits http://www.bowlingfo[...]
[2] 웹사이트 Review: Bowling for Columbine https://www.screenda[...] 2002-05-17
[3] 웹사이트 Bowling for Columbine (2002) https://www2.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4] Youtube Looking Back at Bowling for Columbine https://www.youtube.[...] 2018-06-27
[5]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Bowling for Columbine http://www.festival-[...]
[6] 웹사이트 Bowling for Columbine https://www.imdb.com[...]
[7] 웹사이트 International Documentary Association Top Twenty Documentaries of All-Time http://www.lib.cwu.e[...] Central Washington University
[8] 웹사이트 "Bowling for Columbine" Named Best Documentary Film http://movies.about.[...] 2002-12-12
[9] 웹사이트 Top 100 Documentary Movies http://www.rottentom[...]
[10] 웹사이트 The 25 "Greatest" Documentaries of All Time: 5. Bowling for Columbine http://www.pbs.org/p[...] 2012-12-03
[11] 웹사이트 A Little Unfinished Business on Bowling and Columbine http://blogs.salon.c[...] 2005-04-16
[12] 웹사이트 Wesley & Me http://www.slate.com[...] 2004-01-21
[13] 웹사이트 Banks Use Gifts to Target Depositors http://www.overcast.[...] 2001-01-28
[14] 웹사이트 Bank's Deposit Gifts Gunning for Business https://extras.denve[...] 2001-01-26
[15] 웹사이트 Bowling for Columbine : Media Clips - Michael at the Bank http://bowlingforcol[...]
[16] 간행물 Cheap Shots https://www.bostonre[...] 2003-06-01
[17] 뉴스 Unmoored from Reality https://www.wsj.com/[...] 2003-03-21
[18] 웹사이트 A defense of Michael Moore and "Bowling for Columbine" http://www.kuro5hin.[...] kuro5hin.org 2003-08-13
[19] 문서 Allegations of CIA assistance to Osama bin Laden
[20] 웹사이트 Bowling for Columbine : Library : What a Wonderful World http://www.michaelmo[...]
[21] 웹사이트 Michael Moore's 'Bowling for Columbine' (2002) http://www.documenta[...] 2007-11-30
[22] 웹사이트 Marilyn Manson Interview on Bowling for Columbine http://www.bowlingfo[...] Bowling for Columbine Official Website 2002-10-11
[23] 뉴스 BBC - Movies - Interview - Matt Stone https://www.bbc.co.u[...] 2005-01-13
[24] 웹사이트 'Team America' Takes on Moviegoers https://www.today.co[...] 2004-10-15
[25] 간행물 Moore's the Pity http://prospect.org/[...] Garance Franke-Ruta 2002-11-22
[26] 뉴스 I'm trying to connect the dots between the local violence and the global violence," says director Michael Moore of his new film, "Bowling for Columbine http://www.bowlingfo[...] The Sacramento Bee 2002-10-25
[27] 뉴스 Moore captures U.S. zeitgeist https://www.sfgate.c[...] 2002-10-18
[28] 웹사이트 Moore puts gun culture in cross hairs http://www.columbiac[...] The Columbia Chronicle 2002-10-21
[29] 간행물 Cheap Shots http://bostonreview.[...] 2003
[30] 뉴스 '9/11': Just the facts? 2004-06-18
[31] 간행물 The 25 Most Influential Movie Scenes of the Past 25 Years https://www.vanityfa[...] 2019-01-25
[32] 웹사이트 This film was dedicated to the following individuals http://www.indiana.e[...] Indiana University 2002
[33] 뉴스 Film honors gun victim https://www.theunion[...] 2002-10-14
[34] 웹사이트 Bowling for Columbine (2002)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35] 웹사이트 Bowling for Columbine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36] 웹사이트 Bowling for Columbine : Reviews & Acclaim : Articles & Press http://www.bowlingfo[...] 2002-12-06
[37] 웹사이트 Film Review: Bowling for Columbine https://www.nytimes.[...] 2002-10-11
[38] 뉴스 Moore Shoots Himself In the Foot https://www.washingt[...] 2002-10-18
[39] 웹사이트 Bowling For Columbine https://www.rogerebe[...] 2002-10-18
[40] 웹사이트 Getting Real About Movie Ratings https://www.wsj.com/[...] 2010-12-11
[41] 뉴스 'Columbine's' Aim Slightly Off https://www.latimes.[...] 2002-10-11
[42] 문서 In nominal dollars, from 1982 to the present.
[43] 웹사이트 Documentary Movies at the Box Office - Box Office Mojo http://www.boxoffice[...]
[44] 웹사이트 2003Oscars.org https://www.oscars.o[...] 2014-10-05
[45] 뉴스 Chicago scoops six Oscars https://www.theguard[...] 2003-03-24
[46] 웹사이트 Michael Moore winning an Oscar® for "Bowling for Columbine" - Oscars on YouTube https://www.youtube.[...] 2012-07-16
[47] 웹사이트 Channel 4's "50 Greatest Documentaries" https://www.imdb.com[...]
[48] 웹사이트 Bowling for Columbine (2002) https://www.criterio[...] The Criterion Collection
[49] 뉴스 'Bowling for Columbine,' 'Female Trouble,' and More Coming to the Criterion Collection http://www.indiewire[...] 2018-03-15
[50] 웹사이트 Bowling for Columbine https://www.boxoffic[...] Amazon.com
[51] 서적 ゼロ年代アメリカ映画100 芸術新聞社 2010
[52] 뉴스 Kmart Kills Ammunition Sales https://www.cbsnews.[...] CBS News 2001-01-29
[53] 웹사이트 ダークボの偏愛コラム #9 突撃!隣のマイケル・ムーア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54] 뉴스 'Bowling' takes a hilarious look at gun violence Chicago Tribune 2002-10-18
[55] 웹사이트 全米ライフル協会年次集会の公式サイト http://www.nraam.org[...]
[56] 웹사이트 NRA letter regarding Annual Meeting http://www.nrawinnin[...]
[57] 웹사이트 1999 Annual Meeting Report http://www.nrawinnin[...]
[58] 뉴스 Colorado turns out to protest NRA meeting http://articles.balt[...] The Baltimore Sun 1999-05-02
[59] 간행물 Criticism on Michael Moore's documentary films Journal of American Film 2005
[60] 웹사이트 Cannes Festival 2003 http://www.festival-[...]
[61] 웹사이트 세계영화작품사전 : 다큐멘터리 영화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