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폭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폭류(四暴流)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서 번뇌를 4가지로 분류한 것이다. 4폭류는 108번뇌를 4그룹으로 나눈 것으로, 욕계의 번뇌인 욕폭류, 색계와 무색계의 번뇌인 유폭류, 견(見)에 해당하는 견폭류, 무명(無明)에 해당하는 무명폭류로 구성된다. 사폭류는 경론에 따라 설명이 다르며, 《잡아함경》, 《구사론》, 《유가사지론》, 《집론》, 《잡집론》 등에서 그 의미와 구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뇌 분류법 - 십이수면
- 번뇌 분류법 - 삼루
삼루는 불교에서 번뇌를 욕루, 유루, 무명루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것으로, 중생을 생사윤회에 묶어두는 고통의 근원을 분석하고 극복하기 위한 수행의 방향을 제시하며, 유식유가행파의 수행에서 해탈에 이르기 위한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된다.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사폭류 | |
---|---|
불교 용어 | |
팔리어 | cattāro oghā, cattāro-oghā |
산스크리트어 | catvāra oghāḥ, catur-ogha |
중국어 | 四暴流(정체) / 四暴流(간체), 四瀑流(정체) / 四瀑流(간체) |
중국어 (로마자 표기) | sì bàoliú |
한국어 | 사폭류 |
영어 | four raging currents |
2. 4폭류의 구성
'''4폭류'''(四暴流, catvāra oghāh|카트바라 오가sa, 4가지 사나운 흐름)는 욕폭류(欲暴流), 유폭류(有暴流), 견폭류(見暴流), 무명폭류(無明暴流)의 네 가지를 말한다. 이는 《구사론》 제20권에 기술된 부파불교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 따른 분류 방식으로, 98수면(九十八隨眠)과 10전(十纏)을 합한 108번뇌를 네 그룹으로 나눈 것이다. 여기서 98수면은 설일체유부에서 말하는 근본번뇌의 총 개수이며, 10전은 19가지 수번뇌 중 특정한 10가지를 가리킨다.
4폭류의 구성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먼저, 3계의 무명(無明)을 따로 떼어 무명폭류(無明暴流)로 삼는다. 이는 무명이 모든 존재의 근본이 되기 때문이다.
2. 다음으로, 3계의 견(見)을 따로 떼어 견폭류(見暴流)로 삼는다. 이는 견(見)의 성질이 날카롭기 때문에 '폭류(暴流: 사나운 흐름)'라는 관점에서 별도로 다루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3. 나머지 번뇌들, 즉 탐(貪), 진(瞋), 만(慢), 의(疑)와 10전(十纏)을 욕계에 속한 것과 색계·무색계의 상2계에 속한 것으로 나눈다.
4. 욕계에 속한 번뇌들을 욕폭류(欲暴流)로 삼는다.
5. 색계와 무색계에 속한 번뇌들을 유폭류(有暴流)로 삼는다.
이 분류에 따라 각 폭류는 특정 번뇌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욕폭류는 욕계의 탐, 진, 만, 의 및 10전을 포함하며, 유폭류는 색계와 무색계의 탐, 만, 의를 포함한다. 견폭류는 3계의 모든 견을, 무명폭류는 3계의 모든 무명을 포함한다. 각 폭류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번뇌의 종류와 개수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설일체유부의 관점에서 10전은 모두 욕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욕폭류에 포함된다. 비록 10전 중 혼침(惛沈)과 도거(掉擧)는 색계와 무색계에도 존재하지만, 그 수가 적고 해당 계(界)에서 자력으로 일어나는 것[自在轉]이 아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욕계 소속으로 분류한다.
2. 1. 욕폭류(欲暴流)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구사론》 제20권에 따르면 욕폭류(欲暴流)는 욕계의 탐·진·만·의의 근본번뇌 19가지와 수번뇌에 속한 10전을 합한 총 29가지 번뇌를 말한다.2. 1. 1. 설일체유부의 욕폭류 (29가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구사론》 제20권에 따르면 욕폭류(欲暴流)는 욕계의 탐·진·만·의의 근본번뇌 19가지와 수번뇌에 속한 10전을 합한 총 29가지 번뇌를 말한다.욕폭류(欲暴流)에 속한 19가지 근본번뇌 즉 19가지 수면(隨眠)은 아래 '98수면 표'에서 굵은 글씨로 표시된 것들이다. 98수면은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 근본번뇌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3계·5부 | 욕계 | 색계 | 무색계 | 계 | |
---|---|---|---|---|---|
견소단·견혹· 분별기·미리혹 (88) | 견고소단 | 탐·진·만·무명· 유신견·변집견· 사견·견취·계금취·의 (10) | 탐·만·무명· 유신견·변집견· 사견·견취·계금취·의 (9) | 탐·만·무명· 유신견·변집견· 사견·견취·계금취·의 (9) | 28가지 |
견집소단 | 탐·진·만·무명· 사견·견취·의 (7)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19가지 | |
견멸소단 | 탐·진·만·무명· 사견·견취·의 (7)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19가지 | |
견도소단 | 탐·진·만·무명· 사견·견취·계금취·의 (8) | 탐·만·무명· 사견·견취·계금취·의 (7) | 탐·만·무명· 사견·견취·계금취·의 (7) | 22가지 | |
수소단·수혹·사혹· 구생기·미사혹 (10) | 수도소단 | 탐·진·만·무명 (4) | 탐·만·무명 (3) | 탐·만·무명 (3) | 10가지 |
합계 | 36가지 | 31가지 | 31가지 | 98가지 |
《구사론》 제21권에 따르면, 10전(十纏)은 다음의 10가지 수번뇌이다.
- 무참(無慚): 죄과를 범하고도 스스로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
- 무괴(無愧): 죄과를 범하고도 남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
- 질(嫉): 질투, 다른 이의 좋은 일에 대해 기뻐하지 못함
- 간(慳): 재물이나 교법에 매우 인색함
- 회(悔): 지나친 후회(後悔) 또는 추회(追悔), 악작(惡作)
- 면(眠): 수면(睡眠), 잠, 암매(闇昧: 흐리멍덩함, 어리석고 몽매함), 게으름
- 도거(掉舉): 들뜸, 불안정, 산란
- 혼침(惛沈): 침울, 무기력
- 분(忿): 분노(憤怒: 분개하여 몹시 성을 냄), 격노
- 부(覆): 죄과를 은폐함
2. 1. 2. 유식유가행파의 욕폭류 (29가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구사론》 제20권에 따르면 욕폭류(欲暴流)는 욕계의 탐 · 진 · 만 · 의의 근본번뇌 19가지와 수번뇌에 속한 10전(十纏)을 합한 총 29가지 번뇌를 말한다.욕폭류(欲暴流)에 속한 19가지 근본번뇌 즉 19가지 수면(隨眠)은 아래 '98수면 표'에서 욕계의 탐(貪), 진(瞋), 만(慢), 의(疑)에 해당하는 번뇌들이다. 98수면은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 제시하는 근본번뇌의 총 개수이다.
3계 5부 | 욕계 | 색계 | 무색계 | 합계 | |
---|---|---|---|---|---|
견소단·견혹· 분별기·미리혹 (88) | 견고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10)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28가지 |
견집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멸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8)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22가지 | |
수소단·수혹·사혹· 구생기·미사혹 (10) | 수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4) | 탐 · 만 · 무명 (3) | 탐 · 만 · 무명 (3) | 10가지 |
합계 | 36가지 | 31가지 | 31가지 | 98가지 |
《구사론》 제21권에 따르면, 10전(十纏)은 다음의 10가지 수번뇌이다.
- 무참(無慚): 죄과를 범하고도 스스로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
- 무괴(無愧): 죄과를 범하고도 남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
- 질(嫉): 질투, 다른 이의 좋은 일에 대해 기뻐하지 못함
- 간(慳): 재물이나 교법에 매우 인색함
- 회(悔): 지나친 후회(後悔) 또는 추회(追悔), 악작(惡作)
- 면(眠): 수면(睡眠), 잠, 암매(闇昧: 흐리멍덩함, 어리석고 몽매함), 게으름
- 도거(掉舉): 들뜸, 불안정, 산란
- 혼침(惛沈): 침울, 무기력
- 분(忿): 분노(憤怒: 분개하여 몹시 성을 냄), 격노
- 부(覆): 죄과를 은폐함
2. 2. 유폭류(有暴流)
사폭류의 하나인 '''유폭류'''(有暴流)는 존재의 세계(유, 有)에 대한 집착에서 비롯되는 번뇌의 흐름을 뜻한다.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논서 《구사론》 제20권에 따르면, 유폭류는 색계와 무색계의 탐(貪), 만(慢), 의(疑)에 해당하는 근본번뇌 28가지를 가리킨다. 이 28가지 번뇌는 98수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문단에서 설명한다.
2. 2. 1. 설일체유부의 유폭류 (28가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구사론》 제20권에 따르면 유폭류(有暴流)는 색계 · 무색계의 탐 · 만 · 의의 근본번뇌 28가지를 말한다.유폭류(有暴流)를 구성하는 28가지 근본번뇌 즉 28가지 수면(隨眠)은 아래 '98수면 표'에서 굵은 글씨로 표시된 것들이다. 98수면은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의 근본번뇌의 총 개수이다.
3계 5부 | 욕계 | 색계 | 무색계 | ||
---|---|---|---|---|---|
견소단 · 견혹 · 분별기 · 미리혹 (88) | 견고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10)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28가지 |
견집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멸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8)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22가지 | |
수소단 · 수혹 · 사혹 · 구생기 · 미사혹 (10) | 수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4) | 탐 · 만 · 무명 (3) | 탐 · 만 · 무명 (3) | 10가지 |
36가지 | 31가지 | 31가지 | 98가지 |
위 표에서 굵은 글씨로 표시된 색계와 무색계의 탐(貪) 10가지, 만(慢) 10가지, 의(疑) 8가지를 합한 28가지 번뇌가 유폭류를 구성한다.
2. 2. 2. 유식유가행파의 유폭류 (28가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논서 《구사론》 제20권에 따르면 유폭류(有暴流)는 색계 · 무색계의 탐(貪) · 만(慢) · 의(疑)의 근본번뇌 28가지를 말한다.유폭류(有暴流)를 구성하는 28가지 근본번뇌 즉 28가지 수면(隨眠)은 아래 '98수면 표'에서 빨강으로 표시된 것들이다. 98수면은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의 근본번뇌의 총 개수이다.
3계 5부 | 욕계 | 색계 | 무색계 | ||
---|---|---|---|---|---|
견소단 · 견혹 · 분별기 · 미리혹 (88) | 견고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10)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28가지 |
견집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멸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8)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22가지 | |
수소단 · 수혹 · 사혹 · 구생기 · 미사혹 (10) | 수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4) | 탐 · 만 · 무명 (3) | 탐 · 만 · 무명 (3) | 10가지 |
36가지 | 31가지 | 31가지 | 98가지 |
2. 3. 견폭류(見暴流)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는 《구사론》 제20권에 근거하여 견폭류(見暴流)를 3계의 견(見)에 해당하는 36가지 근본번뇌로 정의한다. 이는 욕계, 색계, 무색계 각각의 12가지 견을 합한 것이다.2. 3. 1. 설일체유부의 견폭류 (36가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구사론》 제20권에 따르면 견폭류(見暴流)는 3계의 견(見)의 근본번뇌 36가지, 즉 3계의 유신견(有身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견취(見取) · 계금취(戒禁取)의 근본번뇌 36가지를 말한다. 달리 말하면, 욕계의 12가지 견, 색계의 12가지 견, 무색계의 12가지 견을 합한 총 36가지이다.견폭류(見暴流)를 구성하는 36가지 근본번뇌 즉 36가지 수면(隨眠)은 아래 '98수면 표'에서 나타난 것들이다. 98수면은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의 근본번뇌의 총 개수이다.
3계 5부 | 욕계 | 색계 | 무색계 | ||
---|---|---|---|---|---|
견소단·견혹·분별기·미리혹 (88) | 견고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10)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28가지 |
견집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멸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8)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22가지 | |
수소단·수혹·사혹·구생기·미사혹 (10) | 수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4) | 탐 · 만 · 무명 (3) | 탐 · 만 · 무명 (3) | 10가지 |
36가지 | 31가지 | 31가지 | 98가지 |
2. 3. 2. 유식유가행파의 견폭류 (66가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구사론》 제20권에 따르면 견폭류(見暴流)는 3계의 견(見)의 근본번뇌 36가지, 즉 3계의 유신견·변집견·사견·견취·계금취의 근본번뇌 36가지를 말한다. 달리 말하면, 욕계의 12가지 견, 색계의 12가지 견, 무색계의 12가지 견을 합한 총 36가지이다.견폭류(見暴流)를 구성하는 36가지 근본번뇌 즉 36가지 수면(隨眠)은 아래 '98수면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98수면은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 설명하는 근본번뇌의 총 개수이다.
3계 5부 | 욕계 | 색계 | 무색계 | 합계 | |
---|---|---|---|---|---|
견소단·견혹· 분별기·미리혹 (88) | 견고소단 | 탐·진·만·무명· 유신견·변집견· 사견·견취·계금취·의 (10) | 탐·만·무명· 유신견·변집견· 사견·견취·계금취·의 (9) | 탐·만·무명· 유신견·변집견· 사견·견취·계금취·의 (9) | 28가지 |
견집소단 | 탐·진·만·무명· 사견·견취·의 (7)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19가지 | |
견멸소단 | 탐·진·만·무명· 사견·견취·의 (7)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19가지 | |
견도소단 | 탐·진·만·무명· 사견·견취·계금취·의 (8) | 탐·만·무명· 사견·견취·계금취·의 (7) | 탐·만·무명· 사견·견취·계금취·의 (7) | 22가지 | |
수소단·수혹·사혹· 구생기·미사혹 (10) | 수도소단 | 탐·진·만·무명 (4) | 탐·만·무명 (3) | 탐·만·무명 (3) | 10가지 |
총계 | 36가지 | 31가지 | 31가지 | 98가지 |
2. 4. 무명폭류(無明暴流)
무명폭류(無明暴流)는 사폭류의 하나로, 무명, 즉 진리를 모르는 어리석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번뇌의 흐름을 의미한다. 이는 마치 거센 물살처럼 중생을 삼계의 생사윤회에 속박하는 근본적인 번뇌의 한 종류로 여겨진다.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서는 3계의 무명을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설명하는데, 예를 들어 설일체유부는 이를 15가지 근본번뇌로 나누어 본다. 자세한 분류는 학파별 설명(하위 문서)을 참고할 수 있다.
2. 4. 1. 설일체유부의 무명폭류 (15가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구사론》 제20권에 따르면 무명폭류(無明暴流)는 3계의 무명(無明)의 근본번뇌 15가지를 말한다. 즉, 욕계의 5가지 무명, 색계의 5가지 무명, 무색계의 5가지 무명을 합한 총 15가지이다.무명폭류(無明暴流)를 구성하는 15가지 근본번뇌 즉 15가지 수면(隨眠)은 아래 '98수면 표'에서 빨강으로 표시된 무명이다. 98수면은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 제시하는 근본번뇌의 총 개수이다.
3계 5부 | 욕계 | 색계 | 무색계 | ||
---|---|---|---|---|---|
견소단·견혹· 분별기·미리혹 (88) | 견고소단 | 탐·진·만·무명· 유신견·변집견· 사견·견취·계금취·의 (10) | 탐·만·무명· 유신견·변집견· 사견·견취·계금취·의 (9) | 탐·만·무명· 유신견·변집견· 사견·견취·계금취·의 (9) | 28가지 |
견집소단 | 탐·진·만·무명· 사견·견취·의 (7)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19가지 | |
견멸소단 | 탐·진·만·무명· 사견·견취·의 (7)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탐·만·무명· 사견·견취·의 (6) | 19가지 | |
견도소단 | 탐·진·만·무명· 사견·견취·계금취·의 (8) | 탐·만·무명· 사견·견취·계금취·의 (7) | 탐·만·무명· 사견·견취·계금취·의 (7) | 22가지 | |
수소단·수혹·사혹· 구생기·미사혹 (10) | 수도소단 | 탐·진·만·무명 (4) | 탐·만·무명 (3) | 탐·만·무명 (3) | 10가지 |
36가지 | 31가지 | 31가지 | 98가지 |
2. 4. 2. 유식유가행파의 무명폭류 (15가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구사론》 제20권에 따르면 무명폭류(無明暴流)는 3계의 무명(無明)에 해당하는 근본번뇌 15가지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욕계의 5가지 무명, 색계의 5가지 무명, 무색계의 5가지 무명을 합한 것이다.무명폭류(無明暴流)를 구성하는 이 15가지 근본번뇌, 즉 15가지 수면(隨眠)은 아래의 '98수면 표'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된 항목들이다. 98수면은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 설명하는 근본번뇌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3계 5부 | 욕계 | 색계 | 무색계 | 총 개수 | |
---|---|---|---|---|---|
견소단·견혹· 분별기·미리혹 (88) | 견고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10)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9) | 28가지 |
견집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멸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의 (6) | 19가지 | |
견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8)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탐 · 만 · 무명 · 사견 · 견취 · 계금취 · 의 (7) | 22가지 | |
수소단·수혹·사혹· 구생기·미사혹 (10) | 수도소단 | 탐 · 진 · 만 · 무명 (4) | 탐 · 만 · 무명 (3) | 탐 · 만 · 무명 (3) | 10가지 |
합계 | 36가지 | 31가지 | 31가지 | 98가지 |
'''사폭류'''(四暴流, catvāra oghāh|카트바라 오가sa)는 욕폭류(欲暴流) '''·''' 유폭류(有暴流) '''·''' 견폭류(見暴流) '''·''' 무명폭류(無明暴流)의 네 가지 번뇌의 거센 흐름을 가리키는 불교 용어이다. 이 개념은 여러 불교 경론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설명된다.
3. 경론별 설명
각 경론에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잡아함경
《잡아함경》 제18권 제490경 〈염부차경(閻浮車經)〉에서는 사리불과 외도 수행자 염부차의 문답을 통해 '유(流)', 즉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염부차가 사리불에게 '흐름[流]'이 무엇인지 묻자, 사리불은 '흐름'이란 욕류(欲流)·유류(有流)·견류(見流)·무명류(無明流)의 네 가지 흐름(4류, 四流)을 의미한다고 답한다. 이는 사폭류와 같은 개념이다.
염부차가 다시 이 흐름을 끊을 수 있는 길과 방법이 있는지 묻자, 사리불은 8정도(八正道), 즉 정견(正見)부터 정정(正定)까지의 여덟 가지 바른 길이 있다고 답한다. 이 문답은 번뇌의 흐름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행법으로 8정도를 제시하는 불교의 핵심 가르침을 보여준다.
3. 2. 구사론
《구사론》 제20권에 기술된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번뇌론에 따르면, '''사폭류'''(四暴流, catvāra oghāhsa)는 98수면(근본번뇌)과 10전(수번뇌 중 10가지)을 합한 108번뇌를 네 그룹으로 나눈 것이다. 사폭류는 욕폭류(欲暴流)·유폭류(有暴流)·견폭류(見暴流)·무명폭류(無明暴流)를 말한다.
먼저, 무명폭류는 3계의 무명(無明)만을 따로 모은 그룹이다. 견폭류는 3계의 견(見)만을 따로 모은 그룹인데, 이는 견(見)의 성질이 날카롭기 때문에 '폭류(暴流: 사나운 흐름)'라는 관점에서 별도로 다루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나머지 번뇌들, 즉 탐(貪)·진(瞋)·만(慢)·의(疑)와 10전(十纏)은 욕계에 속한 것과 색계·무색계의 상2계에 속한 것으로 나누어, 전자를 욕폭류 그룹으로, 후자를 유폭류 그룹으로 삼는다.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는 10전을 모두 욕계에 속한 것으로 간주하여 욕폭류에 포함시킨다. 10전 중 혼침(惛沈)과 도거(掉擧)는 색계와 무색계에도 존재하지만, 그 수가 10가지 중 2가지로 적고, 또한 상2계에서의 혼침과 도거는 자력으로 일어나는 것[自在轉]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래는 《구사론》에 따른 사폭류의 구체적인 분류이다.
폭류 | 설명 | 해당 번뇌 (개수) |
---|---|---|
욕폭류(欲暴流) | 욕계의 탐(貪), 진(瞋), 만(慢), 의(疑)와 10전(十纏) | 29가지 (탐 5 + 진 5 + 만 5 + 의 4 + 10전) |
유폭류(有暴流) | 색계·무색계(상2계)의 탐(貪), 만(慢), 의(疑) | 28가지 (탐 10 + 만 10 + 의 8) |
견폭류(見暴流) | 3계의 견(見) | 36가지 (3계 × 12견) |
무명폭류(無明暴流) | 3계의 무명(無明) | 15가지 (3계 × 5부 무명) |
3. 3. 집론·잡집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인 《집론》 제4권과 《잡집론》 제7권에 따르면, 폭류(暴流)에는 욕폭류(欲暴流) '''·''' 유폭류(有暴流) '''·''' 견폭류(見暴流) '''·''' 무명폭류(無明暴流)의 4폭류(四暴流)가 있다.《집론》과 《잡집론》에서는 폭류(暴流)를 수류표고(隨流漂鼓)라고 설명한다. 이는 유전연기의 흐름을 따라 마치 물살에 떠내려가듯 휘둘리는 것을 의미하며, 잡염(雜染)에 수순(隨順)하기 때문에, 즉 번뇌와 상응하거나 계합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본다.
4폭류는 욕구(欲求) '''·''' 유구(有求) '''·''' 범행구(梵行求)라는 3가지 추구[三求]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 욕폭류(欲暴流): 욕구(欲求)와 관련되며, 욕구를 훈습하는 번뇌 전체를 가리킨다.
- 유폭류(有瀑流): 유구(有求)와 관련되며, 유구를 훈습하는 번뇌 전체를 가리킨다.
- 견폭류(見暴流)와 무명폭류(無明暴流): 범행구(梵行求)와 관련된다. 이 둘은 사범행구(邪梵行求), 즉 잘못된 범행구 또는 8사행(八邪行)을 훈습하는 번뇌들이다.
- 이 관계에서 견폭류는 능의(能依), 즉 의지하여 작용하는 번뇌를 의미한다.
- 무명폭류는 소의(所依), 즉 능의가 의지하는 바탕이 되는 번뇌를 의미한다.
- 다시 말해, 사범행구를 훈습하는 과정에서 견폭류(잘못된 견해)는 무명(무명폭류)을 소의(발동 근거)로 하여 발생하며, 일단 발생한 후에는 능동적으로 사범행구를 일으킨다. 즉, 무명은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원인(인연)이 되며, 이렇게 발생한 부정견으로 인해 전도(뒤바뀐 생각)된 방식으로 해탈과 그 방편을 추구하게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