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투는 반투과성 막을 통해 용매가 용질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1748년 장-앙투안 놀레가 처음 기록했으며, 르네 조아킴 앙리 뒤트로셰가 '내삼투'와 '외삼투'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삼투압은 용매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압력으로, 용액의 몰농도, 기체 상수, 절대 온도, 반트호프 인자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인체 내에서는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세포의 기능과 생존을 유지하며, 뇌의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을 통해 수분 및 무기 염류량을 조절한다. 삼투 현상은 역삼투, 정삼투 등 다양한 기술에 활용되며, 물 담수화, 에너지 생산, 약물 전달 시스템 등 미래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 기술 - 합성막
합성막은 분리 공정에 사용되는 막으로, 금속, 세라믹, 고분자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형태에 따라 조밀막, 다공성막, 비대칭막으로 나뉘고, 표면의 화학적 특성이 막의 여러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 - 막 기술 - 막 (물질)
막(물질)은 분리 공정에 사용되는 기술로, 한외 여과, 나노 여과, 역삼투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물 처리, 폐수 처리, 담수화, 기체 분리, 식품 가공, 제약 산업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생물학적 시스템에서는 세포막이 물질 수송을 조절한다. - 확산 - 크누센 확산
크누센 확산은 기체 분자의 평균 자유 경로가 용기 크기보다 클 때 나타나는 확산 현상으로,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보다 용기 벽과 더 자주 충돌하며, 확산 계수는 기공 직경, 분자의 몰 질량,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 확산 - 촉진 확산
촉진 확산은 전사 인자가 DNA에 결합하는 주요 메커니즘으로, 세포질 내 3차원 확산과 DNA 윤곽선을 따라 1차원 확산의 조합으로 설명되며, 특정 분자들이 운반 단백질과 결합하여 세포막을 통한 확산이 촉진되는 현상이다. - 생화학 - 부패
부패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체의 사후 분해 과정으로, 악취 물질 생성, 시신 외형 변화를 동반하며 환경적·내적 요인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고 법의학 등에서 연구된다. - 생화학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 삼투 | |
|---|---|
| 일반 정보 | |
| 정의 |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 농도가 높은 용액으로 용매가 반투막을 통해 이동하는 현상 |
| 관련 용어 | 삼투압 반투막 등장액 고장액 저장액 |
| 상세 정보 | |
| 설명 | 삼투는 용매 분자가 농도가 낮은 영역에서 농도가 높은 영역으로 선택적으로 투과 가능한 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현상이다. 이 이동은 용질의 농도를 균등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
| 작용 원리 | 삼투는 용질 농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며, 용매 분자는 자유 에너지 또는 용매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
| 삼투압 | 삼투압은 삼투 현상을 멈추기 위해 필요한 압력이다. |
| 생물학적 중요성 | |
| 세포 유지 | 삼투는 세포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
| 수분 흡수 | 식물 뿌리는 삼투를 통해 토양에서 수분을 흡수한다. |
| 노폐물 제거 | 신장은 삼투를 통해 혈액에서 노폐물을 제거한다. |
| 삼투 현상의 예시 | |
| 적혈구 변화 | 적혈구를 저장액에 넣으면 물이 세포 안으로 들어가 팽창하고, 고장액에 넣으면 세포에서 물이 빠져나가 수축한다. 등장액에서는 세포의 형태가 유지된다. |
| 식물 세포 변화 | 식물 세포를 저장액에 넣으면 팽압이 증가하여 세포가 팽팽해지고, 고장액에 넣으면 원형질 분리가 일어난다. |
| 응용 분야 | |
| 정수 | 역삼투는 물을 정화하는 데 사용된다. |
| 의학 | 삼투압 조절은 수액 요법과 투석에 중요하다. |
| 식품 보존 | 삼투를 이용하여 식품을 보존할 수 있다. (예: 염장, 설탕 절임) |
| 삼투력 발전 (Osmotic Power) | |
| 개요 | 삼투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
| 방식 | 담수와 해수 사이에 반투막을 설치하여 삼투압 차이를 이용,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
| 추가 정보 | |
| 어원 | 그리스어 "osmós (밀어냄)"에서 유래 |
| 역사 | 18세기 후반에 발견되었으며, 19세기 후반에 페퍼(Pfeffer)에 의해 연구되었다. |
2. 역사
몇몇 종류의 삼투 현상은 고대부터 관찰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고대 이집트의 피라미드 건설 과정에서도 나타났다.[9] 장-앙투안 놀레는 1748년에 삼투 현상을 처음으로 문서로 기록했다.[10]
"삼투"라는 단어는 프랑스 의사인 르네 조아킴 앙리 뒤트로셰(1776–1847)가 그리스어 ἔνδον|엔돈grc("내부"), ἔξω|엑소grc("외부"), ὠσμός|오스모스grc("밀기, 충동")에서 유래한 "내삼투"와 "외삼투"라는 용어를 만들면서 시작되었다.[11]
1867년에는 모리츠 트라우베가 선택성이 높은 침전 막을 발명하여 삼투 유량을 측정하는 기술을 발전시켰다.[9]
3. 원리
삼투는 반투과성 막을 경계로 용액의 농도가 서로 다를 때, 용매(주로 물)가 용질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12][13] 이 현상은 용액뿐만 아니라 특정 조건에서는 다른 액체, 초임계 유체, 심지어 기체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12][13]
생물 세포에서 삼투 현상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세포를 둘러싼 용액의 농도에 따라 물 분자의 이동 방향이 결정된다.
만약 막 양쪽의 용액 농도가 같다면(등장액), 물 분자는 양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이동하므로 물의 순 이동은 없다.
감자 조각을 이용한 실험으로도 삼투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감자 조각을 고농도의 소금물에 넣으면, 감자 내부의 물이 소금물로 빠져나가면서 감자가 수축하고 물렁물렁해진다. 이는 세포가 팽압을 잃기 때문이다. 소금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자 조각의 크기와 무게 감소는 더 커진다.
무기 화학 실험 중 하나인 화학 정원 만들기는 삼투 현상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삼투 현상에 의해 용매가 이동하려는 힘을 상쇄하기 위해 필요한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한다. 즉, 반투과성 막을 통해 용매가 더 높은 농도의 용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가해야 하는 압력이다. 삼투압은 용액에 녹아 있는 용질 입자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총괄성의 한 종류이며, 용질의 종류나 화학적 성질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다.
3. 1. 삼투압 공식
J. H. 반트호프는 삼투압의 원인이 용액 속에 녹아 있는 물질의 분자가 기체 분자와 유사한 운동 법칙을 따라 반투막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응용했다.
용액의 농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범위에서, 삼투압(P)과 용액의 부피(V), 용질의 몰수(n), 절대 온도(T), 그리고 기체 상수(R)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삼투압을 π라고 하면 P = π 이고, 용액의 몰 농도 M은 M = n/V 로 정의되므로, 위 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만약 용액이 전해질처럼 물에 녹아 이온으로 나뉘는 물질이라면, 용질 입자의 실제 농도를 고려하기 위해 반트호프 인자(i)를 곱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삼투압 공식은 다음과 같다.
각 기호의 의미는 아래 표와 같다.
| 기호 | 의미 | 단위 |
|---|---|---|
| π | 삼투압 | atm 등 압력 단위 |
| M | 용액의 몰 농도 | mol/L |
| R | 기체 상수 | 0.0821 L·atm/mol·K |
| T | 절대 온도 | K |
| i | 반트호프 인자 | 단위 없음 (비전해질의 경우 i=1, 전해질의 경우 용질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1보다 큰 값을 가짐) |
예시 문제25°C 바닷물의 평균 삼투압은 30.0 atm이다. 이 바닷물과 등장액인 설탕 수용액의 몰농도를 계산해 보자. (단, 설탕은 비전해질이다.)
- 주어진 값:
- π = 30.0 atm
- T = 25°C = (25 + 273) K = 298 K
- R = 0.0821 L·atm/mol·K
- 설탕은 비전해질이므로 i = 1
- 공식 π = MRTi 를 M에 대해 정리하면 M = π / (RTi) 이다.
- 값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바닷물과 등장액인 설탕 수용액의 몰농도는 약 1.23 M이다.
삼투압은 용액의 총괄성 중 하나로, 용질의 종류나 화학적 정체성보다는 용질 입자의 농도에 의존하는 성질이다. 즉, 같은 농도의 다른 종류의 비전해질 용액은 비슷한 삼투압을 나타낸다.
4. 인체 내 삼투 현상
인체 내에서 삼투압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체액의 삼투압은 그 농도에 비례하며, 주로 체액을 구성하는 수분과 무기 염류량에 의해 결정된다. 우리 몸은 이러한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과 생존을 가능하게 한다.
인체의 삼투압 조절은 크게 수분량 조절과 무기 염류량 조절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세포 수준에서의 형태 유지와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 체내 수분량 조절: 몸 안의 수분량 변화는 사이뇌의 시상하부에서 감지되어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항이뇨 호르몬(ADH)을 통해 콩팥에서의 수분 재흡수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 체내 무기 염류량 조절: 나트륨 이온(Na+)과 칼륨 이온(K+) 같은 무기 염류의 농도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과 알도스테론 등의 호르몬에 의해 콩팥에서 조절되어 삼투압 유지에 기여한다.
- 세포 형태 유지: 세포는 물질대사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농도 변화에 대응하여 Na+/K+ 펌프 등을 이용해 이온 농도를 조절하고 삼투압 균형을 맞춰 일정한 형태를 유지한다.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소 부족은 세포 내 물질 합성에 영향을 주어 삼투압 조절 기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처럼 삼투는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물의 이동을 통해 인체 세포의 수분 균형을 유지하고 최적의 기능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다.[17]
4. 1. 체내 수분량 조절
체액의 삼투압은 체액의 농도에 비례하며, 체액을 구성하는 수분과 무기 염류량에 의해 결정된다. 체내의 삼투압이 변하면 콩팥에서 수분의 흡수를 조절하여 일정하게 유지한다.삼투압 변화를 조절하는 중추는 사이뇌의 시상하부로,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항이뇨 호르몬(ADH)에 의해 조절된다. 항이뇨 호르몬은 콩팥의 집합관에서 수분의 재흡수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키는 역할도 하므로 바소프레신이라고도 불린다.
체내 수분량은 혈액량, 즉 혈류량과 혈압에 영향을 미친다. 체내는 이러한 변화를 삼투압 조절을 통해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 수분이 부족할 때 (혈장 삼투압 상승): 체내 수분이 부족하여 혈장 삼투압이 높아지면, 시상하부가 이를 감지하여 뇌하수체 후엽에서의 항이뇨 호르몬(ADH) 분비를 촉진한다. 증가된 ADH는 콩팥에서 수분 재흡수량을 증가시켜 체내 수분량은 늘리고, 소변량은 감소시킨다.
- 수분이 과다할 때 (혈장 삼투압 하강): 반대로 체내 수분이 많아 혈장 삼투압이 낮아지면, 시상하부의 조절을 받아 뇌하수체 후엽에서 ADH 분비가 감소한다. 이로 인해 콩팥에서의 수분 재흡수가 억제되어 체내 수분량은 줄어들고 소변량은 증가한다.
4. 2. 체내 무기 염류량 조절
무기 염류의 농도는 수분의 이동과 삼투압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혈중 K+의 농도가 높거나 Na+의 농도가 낮을 때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의 분비량이 증가하여 부신 겉질에서 알도스테론의 분비가 촉진된다. 이에 따라 콩팥의 세뇨관과 집합관에서 K+의 분비와 Na+의 재흡수량이 증가하여 혈액 속의 Na+의 농도가 높아진다.또한 비타민, 미네랄의 부족은 세포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단백질 부족은 세포의 삼투압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세포 내 단백질 부족은 음이온 부족으로 이어져 세포 외부의 염소 이온(Cl-)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게 만든다. 염소 이온의 증가는 세포 내 나트륨 이온의 증가를 유발하며, 이는 삼투압 조절에 필수적인 Na+/K+ 펌프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Na+/K+ 펌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세포의 전위차 변화와 물질 이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4. 3. 세포 형태 유지
인체 내의 세포는 물질대사를 지속하며, 세포외액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세포 내에서 단백질 합성 같은 물질대사가 일어나면 세포 내부의 물질 농도가 높아지고, 음식을 섭취하면 세포외액의 염분, 포도당, 아미노산 등의 농도가 변한다. 이러한 농도 변화는 세포 안팎의 삼투압 차이를 유발한다.세포는 이러한 삼투압 변화에 대응하여 세포막에 있는 Na+/K+ 펌프를 작동시킨다. 이 펌프는 농도 차이를 거슬러 이온을 이동시켜 변화된 삼투압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세포는 외부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과도하게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것을 막고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세포의 삼투압 유지 능력은 세포 내 물질, 특히 단백질의 양과도 관련이 깊다. 만약 비타민이나 미네랄 부족으로 세포 내 단백질 합성이 원활하지 못하면, 세포 내 음이온이 부족하게 된다. 부족한 음이온을 보충하기 위해 삼투 현상에 따라 세포외액의 대표적인 음이온인 염소 이온(Cl-)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게 되고, 이는 연쇄적으로 나트륨 이온(Na+)의 세포 내 유입을 증가시킨다. 세포 내 나트륨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삼투압 조절에 필수적인 Na+/K+ 펌프의 작동이 어려워져 세포의 전위차 변화나 물질 이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5. 삼투 현상의 활용
역삼투는 압력을 이용하여 용매를 반투과성 막을 통해 강제로 이동시키는 분리 기술이다. 삼투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면, 용질 농도가 높은 쪽에서 농도가 낮은 쪽으로 순수한 용매만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은 주로 바닷물을 마실 수 있는 물로 바꾸는 데 사용되며, 물에서 염분이나 다른 불필요한 물질들을 제거한다.[18]
정삼투는 삼투 현상을 직접 활용하여 원하지 않는 용질이 섞인 용액에서 물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처리하려는 용액(공급 용액)보다 삼투압이 더 높은 특별한 용액("인출 용액")을 사용한다. 그러면 반투과성 막을 통해 순수한 물이 공급 용액에서 인출 용액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 공급 용액은 더 진해지고, 인출 용액은 물이 섞여 묽어진다. 묽어진 인출 용액은 그대로 사용하거나(예: 포도당처럼 먹을 수 있는 용질인 경우), 2차 분리 과정을 통해 인출 용질을 제거하고 순수한 물만 얻을 수도 있다. 이 2차 분리 과정은 경우에 따라 역삼투 방식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정삼투 기술은 담수화, 수질 정화, 수처리, 식품 가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6. 삼투 현상의 예시
배추를 소금에 절여두면 배추의 수분이 밖으로 빠져나간다.
오이를 식초에 넣으면 오이에서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피클이 된다.
감자 조각을 고농도 염 용액에 넣으면 감자 내부의 물이 용액으로 이동하여 감자가 수축하고 '팽압'을 잃게 된다. 염 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자 조각의 크기와 무게 감소가 커진다.
적혈구와 같은 동물 세포를 용액에 넣었을 때 삼투 현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 고장액 (Hypertonic): 용액의 농도가 세포 내부보다 높으면, 세포에서 물이 빠져나가 쪼그라든다.
- 저장액 (Hypotonic): 용액의 농도가 세포 내부보다 낮으면, 물이 세포 안으로 들어와 세포가 팽창하다 파괴될 수 있다 (용혈, hemolysis).
- 등장액 (Isotonic): 용액의 농도가 세포 내부와 같으면, 물의 순 이동이 없어 세포의 부피 변화가 없다.
삼투압은 많은 식물에서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는 주요 요인이다.
- 식물 세포가 세포질보다 농도가 낮은 저장액에 놓이면, 물이 세포 안으로 이동하여 세포가 팽창하고 팽압 상태가 된다. 세포벽이 있어 동물 세포처럼 터지지는 않는다.[16]
- 식물 세포가 세포질보다 농도가 높은 고장액에 놓이면, 물이 세포 밖으로 이동하여 세포가 수축하고 원형질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세포막이 세포벽에서 분리되는 현상이다.[17]
삼투는 인체 세포에서도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물의 이동을 통해 세포의 수분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절한 삼투압 유지는 최적의 세포 기능을 위해 필수적이며, 불균형은 세포 기능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화학 정원 실험은 무기 화학에서 삼투 현상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예시이다.
특정 환경에서 삼투는 생물에게 해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수어를 해수에 넣거나 해수어를 담수에 넣으면 삼투압 차이로 인해 빠르게 죽을 수 있다. 식탁용 소금을 거머리나 민달팽이에게 뿌리면 체내 수분이 급격히 빠져나가 죽게 되는 것 역시 삼투 현상의 예이다.[17]
7. 삼투 현상의 미래 발전
삼투 연구의 미래 발전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연구자들은 보다 효율적인 삼투 과정을 위한 첨단 재료를 탐구하고 있으며, 이는 향상된 물 담수화 및 물 정화 기술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해수와 담수 사이의 삼투압 차이를 에너지로 활용하는 삼투 발전의 통합은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 지속 가능하고 재생 가능 에너지원을 제시한다. 게다가, 의학 연구 분야는 삼투 원리를 활용하는 혁신적인 약물 전달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는 신체 내 약물의 정확하고 통제된 투여를 제공한다. 이 분야의 기술과 이해가 계속 발전함에 따라, 삼투의 응용 분야는 물의 지속 가능성, 에너지 생산 및 의료 분야에서 다양한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면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19]
참조
[1]
간행물
cite EPD
[2]
웹사이트
Osmosis | A Level Notes
https://alevelnotes.[...]
[3]
간행물
OED
[4]
웹사이트
Osmosis
https://www.britanni[...]
[5]
서적
Biological Thermodynam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Anatomy and Physiology in Health and Illness
Elsevier
[7]
웹사이트
Osmosis
http://www.biologie.[...]
University of Hamburg
2003-07-31
[8]
웹사이트
Statkraft to build the world's first prototype osmotic power plant
http://www.statkraft[...]
2007-10-03
[9]
서적
Perspectives on the Mechanism of Osmosis and Imbibi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10]
논문
Recherches sur les causes du bouillonnement des liquides
https://books.google[...]
2024-07-13
[11]
문서
Etymology of "osmosis"
[12]
논문
Osmosis is not driven by water dilution
[13]
논문
Five popular misconceptions of osmosis
[14]
논문
Challenging misconceptions about osmosis.
2008
[15]
arXiv
What is osmosis?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a physical phenomenon
[16]
웹사이트
2.1: Osmosis
https://bio.libretex[...]
2024-03-10
[17]
서적
7 Exchange Between Cells and Their Environment {{!}} Laboratory Manual For SCI103 Biology I at Roxbury Community College
https://myrcc.rcc.ma[...]
[18]
뉴스
Desalination brine disposal methods and treatment technologies – A review
2019-11-25
[19]
논문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challenges of forward osmosis for desalination: a review
http://www.tandfonli[...]
2012-02
[20]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