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는 1987년부터 2013년까지 운행된 대한민국의 디젤 동차이다. PMC, 일반실, 특실, 식당차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 기준 총 438량이 운행되었다. 경부선, 호남선 등 여러 노선에서 운행되었으며, 6량, 8량, 16량 편성으로 운용되었다. 한국고속철도(KTX) 개통 이후 운행이 줄어들다가 2013년 1월 15일 디젤 액압 동차 운행을 종료했다. 현재 일부 차량이 보존되어 있으며, 대통령 전용 특별 차량인 경복호도 이와 유사한 외관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차 -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는 대한민국 철도청에서 운행되었던 디젤 동차로, 커민스 엔진, 액압식 구동 방식, 보조 동력 장치 등을 갖추고 1984년부터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었으나 2010년 운행이 종료되었으며 현재 한국철도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 동차 -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는 1996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된 디젤 동차로, 다양한 노선의 통근열차와 관광열차로 활용되었으나, 중량 증가 및 제동 성능 저하 문제와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인해 퇴역하였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
차량 정보
111계 기동차 (선두차는 대우중공업 제조)
111계 기동차 (선두차는 대우중공업 제조)
차량 이름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
다른 이름경복호
영어 이름Diesel Hydraulic Car
운영 정보
운영자한국철도청 → 한국철도공사
제조사대우중공업
현대정공
한진중공업
제조년도1987년 - 1994년
운행 시작1987년
운행 종료2013년 1월 15일 (선두차)
2018년 4월 30일 (중간차)
편성4량, 6량, 8량, 9량, 16량 편성
차량 규격
궤간1,435 mm
최고 운전 속도150 km/h
가속도101계: 1.17 km/h/s
111계: 0.591 km/h/s
감속도3.31 km/h/s
차량 무게
자체 중량선두차:
101계: 64 t
111계: 69 t
중간차:
A차: 37 t
B차: 39 t
C차: 38 t
F1차: 39 t
S1차: 38 t
Tr차: 39 t
차량 크기
전체 길이선두차:
"대우중공업 제조: 23,765 mm"
"현대정공, 한진중공업 제조: 23,540 mm"
중간차: 23,500 mm
전체 폭선두차: 3,000 mm
중간차: 3,000 mm
전체 높이선두차: 3,700 mm
중간차: 3,700 mm
차륜 직경선두차:
101계: 860 mm
111계: 914 mm
중간차: 860 mm
고정 축거2,500 mm
대차 간 거리선두차:
101계: 15,200 mm
111계: 15,900 mm
중간차: 15,900 mm
동력 장치
엔진 형식D형: MTU 16V396TC-13
S형: MTU 16V 396TC-14
엔진101계: MTU 12V39 6TC13 (1,800 rpm)
111계: MTU 16V39 6TC13 (1,800 rpm)
변속기101계: 포이트 L520BRU2
111계: 포이트 L520rZU1
정격 출력101계: 1118.6 kw (1,500 HP)
111계: 1476.5 kw (1,980 HP)
기어비101계: 2.925
111계: 3.162
좌석 정보
차량 정원선두차:
101계: 24명
111계: 20명
중간차:
A차: 68명
B차, C차: 64명
F1차: 60명
S1차: 56명 (좌석)
Tr차: 22명 (식당 좌석)
제동 및 보안 장치
제동 방식전자기 브레이크, 공기 브레이크
보안 장치ATS
ATP (봄바르디어)
기타 정보
0~150km/h까지 평균 가속도D형: 0.591km/h/s
S형: 0.62 km/h/s
용도여객

2. 차량 구분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는 1987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새마을호 열차의 증설과 고급화를 위해 처음 도입되었다. 1994년까지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정공에서 제작 및 납품하였다.

도입 시기에 따라 크게 초기형, 중기형, 후기형 차량으로 구분된다. 차량 구입 비용을 낮추기 위해 대부분 리스 방식으로 도입되었으며, 차량 내부 패찰에도 리스 관련 내용이 명시되어 있었다. 동차형 새마을호는 열차 편성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편성 내 차량 번호가 고정되지 않았다. 초기에는 5량 1편성으로 도입되었으나, 이후 엔진 출력을 높여 8량 1편성으로 도입되었다.

기본적으로 열차 양 끝의 선두차(PMC)에만 MTU 디젤 엔진과 포이트 액압식 변속기를 탑재하고 중간에는 동력 없는 부수차를 연결하는 동력 집중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차체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었다. 제조 시기와 편성에 따라 초기형(101계, 구 211계), 중기형 및 후기형(111계, 구 231계), 전실 특실형(251계)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각 형식별 세부 사항은 도입 시기에 따라 구분된다.

서로 다른 시기에 도입된 차량들은 물리적인 연결과 제동관 연결은 가능했지만, 제동 및 전력 공급용 점퍼 연결기 규격이 달라 전력 공급 호환에 문제가 있었다.[11] 2012년 연결기 개선 사업을 통해 부수 객차들이 동차형 새마을호의 자체 발전기(APU)뿐만 아니라 8200호대 전기 기관차의 열차 전원 공급 장치(HEP)나 발전차의 전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87년 도입된 초기형 차량부터 철도안전법상 내구연한(동력차 20년, 부수차 25년)이 도래함에 따라 2006년부터 순차적으로 운행을 종료하기 시작했다.[9] 마지막 동차형 새마을호 열차(1005/1042 열차)는 2013년 1월 5일 운행을 끝으로 퇴역하였다.[10]

2. 1. 초기형 (1987년)

1969년 등장한 관광호를 시초로 하는 새마을호는 오랫동안 기관차 견인 객차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1980년 우등형 디젤 동차(DEC)가 잠시 투입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무궁화호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그러나 서울 올림픽 개최가 결정되면서 수송력 증강의 필요성이 커졌고, 이에 한국철도청은 새마을호 등급에 다시 동차형 열차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1987년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하여 최초로 도입된 4편성 20량이 초기형에 해당하며, 1차분 또는 DHC-D1형으로 불린다. 등장 당시 형식명은 '''211계'''였으나 이후 '''101계'''로 변경되었다.

초기형은 양쪽 선두차 운전실 쪽에 MTU의 12V 396TC-13형 엔진이 1기씩 탑재되고 중간차는 동력이 없는 부수차인 동력 집중 방식 열차였다. 제어 장치로는 포이트(Voith)의 액체식 변속기를 사용했다. 차체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었고, 좌석은 2+2열 배치의 회전식 리클라이닝 크로스 시트였으나, 종아리 받침대(레그레스트)는 없었다.[3] 선두차 전두부 객실에는 24개의 좌석이 있었다.

편성은 기본적으로 5량이었으며, 엔진 1기당 출력이 1,525마력으로 낮아 이후 8량으로 증결하지 못하고 최대 6량까지만 증결하여 운용되었다. 보조전원 공급용으로는 커민스 엔진이 사용되었으며, 객실 일부가 식당칸으로 사용되는 반식당 반객실 형태의 차량이 편성된 것이 특징이다.

1987년에 도입된 초기형 차량들은 철도안전법에 따른 내구연한(동력차 20년, 부수차 25년)이 도래함에 따라 2006년부터 순차적으로 운행을 종료하였으며,[9] 보존된 차량 없이 전량 폐차되었다.

2. 2. 중기형 (1988년 ~ 1991년)

1988년부터 1989년, 1991년에 걸쳐 총 34량의 중기형 차량이 도입되었다. 처음에는 6량 1편성으로 도입되었으나 나중에 8량으로 증결되었다.

중기형 새마을 동차 도입 현황
도입 연도차량 번호제작사
1988년105호 ~ 108호현대정공
111호 ~ 118호대우중공업
119호 ~ 124호현대정공
1989년125호 ~ 126호현대정공
127호 ~ 128호대우중공업
129호현대정공
1991년130호현대정공



엔진은 초기형과 같은 MTU 16V 396TC-13형을 사용했지만, 배기량이 높아져 엔진 1기당 출력이 1,980마력으로 증가했다. 보조전원용 엔진은 기존 커민스 엔진에서 388마력의 MTU 8V 183TC-12형 엔진으로 교체되었고, 발전기 용량도 269kW로 늘려 8량 편성 운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초기형에 있던 반식당-반객실 구조 대신, 식당차와 특실 차량이 분리되어 편성되었다.

2001년에는 복합열차 운용을 위해 중기형 전 차량을 포함한 총 30량의 동차가 자동연결기로 개조되었다. 동력객차의 좌석 수는 초기형의 24석에서 20석으로 줄었으며, 후기형 차량과 달리 종아리 받침(레그레스트)은 설치되지 않았다.

114호는 2003년 5월 30일 서대전역 부근 계룡육교에서 발생한 탈선 사고로 크게 파손되어 조기 폐차되었다.[12] 현대정공에서 제작된 120호, 126호, 130호 3량이 보존되고 있으며, 나머지 중기형 차량은 모두 폐차되었다. 차량 번호 109호와 110호는 결번이다.

2. 3. 후기형 (1992년 ~ 1994년)

1992년부터 1994년까지 도입된 차량으로, 일반적으로 후기형으로 분류된다. 이 시기에는 8량 편성을 기본으로 하는 '''111계'''의 후기형과 전실 특실 편성인 '''251계'''가 제작되었다. 도입 연도별 차량 번호는 다음과 같다.

  • 1992년 도입: 131호 ~ 164호
  • 1993년 도입: 165호 ~ 198호, 251호 ~ 260호
  • 1994년 도입: 199호 ~ 206호, 261호 ~ 262호


차량 번호 207호부터 250호까지는 결번이다.

제작은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세 곳에서 나누어 담당했다. 한진중공업은 현대정공의 기술 지원을 받아 제작했다. 제조사별 담당 차량 번호는 아래 표와 같다.

제조사제작 차량 번호비고
현대정공141~144호, 149~152호, 159~164호, 172~174호, 177~180호, 190~206호, 255~256호, 259~262호
대우중공업131~140호, 145~148호, 153~158호, 167~171호, 175~176호, 189호, 251~254호, 257~258호
한진중공업165~166호, 181~188호현대정공 기술 지원



후기형 차량은 외형상 이전 차량과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출입문 옆 외벽에 행선지와 차호를 표시하는 LED 전광판[13]이 설치되었고, 부속실 부분에 창문이 없어 외관상 장대형 새마을호 객차와 거의 유사해졌다.[14] 내부 인테리어와 설비 역시 장대형 새마을호 객차와 비슷하게 변경되었다. 난방기가 좌석 아래로 이동했고, 좌석에는 종아리 받침대가 추가되었으며, 객실 간 통로문은 적외선 센서로 작동하는 자동문으로 바뀌었다.

엔진 사양도 변경되어 출력이 향상되었다. 주 엔진은 MTU 16V 396TC-14형으로, 보조전원용 엔진은 8V 183TE-12형(426마력)으로 변경되었다.

251계는 전실 특실 편성으로 도입되었으나, 1995년 시점에서는 선두차가 일반실로 취급되었고, 동일한 출력을 가진 111계 선두차와 혼용되기도 했다.

이 시기에 도입된 차량 중 일부는 내구 연한 만료 이전에 운행이 종료되기도 했다. 161호는 트럭과의 충돌 사고로 인해 조기에 폐차되었다. 나머지 후기형 차량들도 내구 연한이 만료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운행을 종료했으며,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158호 1량을 제외하고 모두 폐차되었다.

2. 4. 부수 객차

부수차는 동력이 없는 중간 연결 차량을 의미한다. 새마을호형 디젤 액압 동차의 부수차는 1986년부터 생산된 스테인리스강 객차와 거의 같은 구조였다.[3]

일부 차량에는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았다. 식당차와 반식당+특실 차량(101계 Tr차)은 공간 문제로 인해 화장실이 없었으며, 일반실 차량 중 승강구가 4개인 68석 차량에도 화장실이 없었다. 이 외의 차량에는 서양식 화장실, 세면대, 소변기 시설, 이동공중전화실이 있었다. 1989년 이전에 제작된 차량에는 동양식 화장실도 함께 설치되었다. 일부 방송실이 설치된 차량에는 소변기가 없는 경우도 있었다.

새마을호형 디젤 액압 동차의 부수차는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일반실차''': 101계와 111계 편성에 연결된 일반실 부수차이다. 화장실 수나 승강문 수, 중량 차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되었다. 일본국유철도의 국철 기동차의 차량 형식으로는 "키사하"에 해당한다.
  • '''A차''': 문 2개소, 화장실 없음.
  • '''B차''': 문 1개소, 화장실 3개소.
  • '''C차''': 문 1개소, 화장실 2개소.
  • '''특실차''': 111계와 251계 편성에 연결된 특실 부수차이다. '''F차'''라고도 불렸다. 일본국유철도의 국철 기동차의 차량 형식으로는 "키사로"에 해당한다.
  • '''식당차''': 111계와 251계 편성에 연결된 식당 부수차이다. '''S차'''라고도 불렸다. 일본국유철도의 국철 기동차의 차량 형식으로는 "키사시"에 해당한다.
  • '''특실·식당 합조차''': 101계 편성에 연결된 부수차이다. 객차의 절반은 특실, 나머지 절반은 식당차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Tr차'''라고도 불렸다. 일본국유철도의 국철 기동차의 차량 형식으로는 "키사로시"에 해당한다.

3. 기술적 사양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는 독일 MTU사의 주 엔진과 Voith사의 유체식 변속기를 조합한 동력 시스템을 사용했다.[15] 제동 장치로는 독일 Knorr 사의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시스템을 채택하고 예비용 자동공기제동 장치를 갖추었다. 대차는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정공 등 제작사별로 다른 사양을 적용하여 부품 호환이 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16] 차체는 유선형 디자인으로 제작되었으며, 스테인리스강과 압연강재를 사용하여 경량화를 추구했다. 선두부에는 연결기와 일체화된 FRP제 연결기 커버가 있었으나 실제 운행 시에는 검수 편의 등을 이유로 제거되는 경우가 많았다.

3. 1. 동력부

주 엔진은 독일 MTU사의 4행정 16기통 V16-396TC 엔진[15]이 사용되었다. 객실 전원공급 엔진으로는 커민스 NT855G3 엔진(350마력) 및 3BET350(235Kw)를 사용하였다. 변속기는 Voith사의 L520rU1 유체식 변속기를 채택하였으며, 이는 하부의 대차와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다.

3. 2. 대차

제동장치는 독일 Knorr 사의 Kbr XI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장치와 예비용 자동공기제동 장치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대차는 차량 제작사마다 서로 다른 형식을 사용하여 부품 호환이 불가능하다.[16] 각 제작사별 대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작사대차 종류1차 지지부2차 지지부기타 특징
대우중공업MAN 대차 (볼스터리스 대차)코일스프링에어스프링요댐퍼 추가
한진중공업한진형 대차 (볼스터리스 대차)세브론고무에어스프링-
현대정공ASEA 대차 (볼스터 앵커 대차)세브론고무코일스프링-


3. 3. 차체

선두부는 유선형으로 제작되었으며, 연결기와 함께 유선형 선두부와 일체화된 FRP제 연결기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검수 편의 등의 이유로 연결기 커버를 떼고 운행되는 경우가 흔하며, 이를 속칭 “코마개를 떼고 다닌다”고도 한다. 차체는 당시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에 맞추어 STS304를 사용한 스테인리스 용접형 차체를 사용한다. 선두부 및 엔진실 부분은 일정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압연강재가 쓰여 최대축중 17ton 이하의 경량화를 이루어냈다.

4. 운용

1987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새마을호 열차의 증설과 고급화를 위해 처음 도입되었다. 이후 1994년까지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정공에서 제작 및 납품하였으며, 비용 절감을 위해 대부분 리스 방식으로 도입되었다.

이 동차는 열차 편성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었고, 수요에 따라 중련 운행이나 중간역에서의 분리·연결 운행(복합열차)이 가능했던 것이 특징이다. 초기에는 검수원이 직접 분리·병결 작업을 했으나, 이후 작업 시간 단축을 위해 일부 차량에 자동병결장치가 설치되었다.[19] 운행 기간 동안 도색은 세 차례 변경되었으며, 식당차와 카페객차 같은 부대 시설도 운영되었다.

기술적으로 초기 도입 차량 간에는 물리적 연결은 가능했으나, 제동 및 전력 공급용 점퍼 규격 차이로 완전한 호환은 어려웠다.[11] 2012년 연결기 개선 사업 이후, 부수 객차들은 동차의 APU뿐만 아니라 8200호대 전기 기관차의 HEP나 발전차의 전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97년 시점에는 한국 각지에 설정되어 있던 새마을호 38왕복 중 30왕복은 이 디젤 동차를 사용하여, 수송력 증강과 서비스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2004년 4월 1일 KTX가 운행을 시작하면서 최상급 열차로서의 지위를 내주었다.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2006년부터 철도안전법상 내구연한(동력차 20년, 부수차 25년) 만료로 순차적으로 운행이 중단되기 시작했으며,[9] 2013년 1월 5일 마지막 동차형 새마을호(열차번호 1005/1042) 운행을 끝으로 디젤동차로서의 정규 영업 운행은 종료되었다.[10] 선두 동력차(PMC)는 모두 폐차되었고, 중간 객차들은 개조를 거쳐 다른 새마을호무궁화호 열차에 연결되어 사용되다가, ITX-새마을 (210000호대 전동차) 도입에 따라 점차 퇴역하여 2018년 4월 30일 장항선에서의 운행을 마지막으로 완전히 운행을 종료했다.[4][5]

4. 1. 편성

동차형 새마을호는 열차의 편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편성 내 차량 번호가 고정되지 않고 유동적이었다. 초기 1987년 도입 시에는 5량 1편성이었으나, 이후 출력을 증강하여 8량 1편성으로 도입되었다. 1987년 도입분은 기본 6량(최대 7량)으로, 이후 도입분은 기본 8량(최대 9량)으로 편성되었다.

편성은 엔진실과 제어대, 일반실(20석 또는 24석)을 갖춘 선두 동력차(PMC), 일반실 객차(T), 특실 객차(F)[17], 식당차(S), 반식당-반특실 합조차(TR)[18]로 구성되었다. 운행 수요에 따라 4량, 6량, 7량, 8량 등 다양한 편성으로 운행되었으며, 2012년 11월 이후로는 8량 편성으로만 운행되었다.

  • 4량 편성: PMC-T-T-PMC
  • 6량 편성: PMC-TR-T-T-T-PMC 또는 PMC-T-T-T-T-PMC
  • 7량 편성: PMC-F-T-T-T-T-PMC 또는 PMC-F-F-F-F-F-PMC
  • 8량 편성: PMC-F-S-T-T-T-T-PMC 또는 PMC-F-F-S-F-F-F-PMC


특히 수요에 따라 6량+8량 또는 8량+8량의 중련 편성으로 운용되기도 했으며, 중간역에서 열차를 분리하거나 병합하여 각각 다른 목적지로 운행하는 복합 편성 운용이 특징이었다. 이를 위해 상호 간 총괄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초기에는 차량 검수원이 직접 분리·병결 작업을 했으나, 작업 시간 단축과 편의성 증대를 위해 일부 차량에는 전기·공기 라인을 한 번에 연결하는 자동병결장치가 설치되었다.[19]

1987년에 도입된 초기 형식(101계)은 6량 편성이 기본이었고, 1988년 이후 도입된 후기 형식(111계, 251계)은 출력과 편성을 늘려 8량 편성이 기본이었다. 동일 형식을 2개 연결한 16량 편성 운행도 이루어졌다.

새마을호형 디젤 액압 동차 편성 예시 (1997년 기준)
편성6량 편성
호차123456
차종 (101계)PMC특/식일반일반일반PMC
편성8량 편성
호차12345678
차종 (111계)PMC일반일반일반일반PMC
차종 (111계·251계)PMCPMC
편성16량 편성 (중련)
호차12345678910111213141516
차종 (111계)PMC일반일반일반일반PMCPMC일반일반일반일반PMC
차종 (111계·251계)PMCPMCPMCPMC
colspan="17" style="text-align:left; font-size:90%;" |



초대 도색


2대 도색(1, 2호차)와 3대 도색(3호차)의 혼합 편성


3대 도색(1호차)과 2대 도색(2호차 이후)의 혼합 편성


디젤 액압 동차로서 마지막 운행일의 열차 (2013년 1월 15일 촬영)

4. 2. 운행 구간

4. 3. 부대 시설

새마을호 디젤동차에는 다양한 부대 시설과 특징이 있었다.

  • 식당차: 도입 초기에는 한화개발 외식사업부(서울프라자호텔)에서 운영하였고, 이후에는 아시아나항공의 기내식 공급 업체인 런치벨에서 운영을 맡았다. 식당차 서비스는 2008년 9월 30일에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한편, 2001년부터 일부 차량에서는 홍익회가 위탁 운영하는 롯데리아 매장이 있었으나, 이후 시설이 철거되었다.
  • 카페객차: 2008년 2월 1일, 식당차를 대체하는 카페객차가 장항선 새마을호 열차에 처음 도입되었다. 이후 같은 해 10월 15일에는 전라선호남선으로, 12월 1일에는 경부선 열차까지 확대 운영되었다.
  • 중련 운행: 객차형 새마을호와 달리 디젤동차는 중련 운행이 가능했다. 이를 통해 열차 수요에 따라 8량짜리 동차 2세트를 연결한 중련 편성으로 운행하거나, 운행 도중 중간역에서 열차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복합열차 방식으로도 운용할 수 있었다.
  • 도색: 차량 도색은 시기에 따라 변화했다. 1993년까지는 파란색과 빨간색이 어우러진 태극 무늬 도색을 사용했다. 이후에는 녹색, 노란색, 흰색 조합의 철도청 구CI 도색으로 변경되었으며, 2005년부터는 한국철도공사의 CI를 반영한 밝은 파란색, 노란색, 흰색 조합의 도색이 적용되었다.

5. 현황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는 1987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새마을호 열차의 증설과 고급화를 위해 처음 도입되었다. 이후 1994년까지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정공에서 추가로 제작하여 반입되었다. 도입 시기에 따라 초기형, 중기형, 후기형으로 나뉜다. 비용 절감을 위해 대부분의 차량은 리스로 구매했으며, 차량 내부 패찰에도 리스 회사명과 함께 리스 자산임이 명시되어 있다. 동차형 새마을호는 편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편성 내 차량 번호가 일정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초기에는 5량 1편성으로 도입되었으나, 이후 출력을 높여 8량 1편성으로 도입되었다.

1987년에 도입된 차량부터 철도안전법에 따른 내구연한(동력차 20년, 부수차 25년)이 도래함에 따라 2006년부터 순차적으로 운행을 종료하기 시작했다.[9] 2013년 1월 5일, 마지막 동차형 새마을호 편성인 1005 / 1042 열차가 운행을 마쳤다.[10] 초기에는 동력차와 부수차 간 물리적 연결 및 제동관 연결은 가능했지만[11], 제동 지령용 점퍼와 객실 전원 공급용 점퍼 규격이 달라 전력 공급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2012년 연결기 개선 사업을 통해 부수 객차들이 동차형 새마을호의 보조전원장치(APU)뿐만 아니라 8200호대 전기 기관차의 열차전원공급장치(HEP)나 발전차의 전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모든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는 퇴역한 상태이다. 아래는 동력차의 퇴역 현황을 나타낸 표이다. (109호~110호, 207호~250호는 결번)

차호도입 시기운행 종료 시기비고
101 호1986년2006년
102 호1987년2007년
103 호폐차 직전 차대 변형 심함.
104 호
105 호1988년2008년
106 호
107 호폐차 직전 상단 흰색 도색.
108 호
111 호
112 호
113 호
114 호2003년서대전역 사고로 폐차.
115 호2008년
116 호
117 호
118 호
119 호
120 호섬진강 기차마을 보존.
121 호
122 호
123 호
124 호
125 호1989년2009년
126 호경부선 청도역 보존. 철도기념물 지정.
127 호
128 호
129 호
130 호1991년2011년복합연결기 설치 차량(111~129호) 운행 중지 후 유일한 자동연결기 개조 차량. 2010년 말 복합연결기 제거 후 운행.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야외 전시장 보존. 철도기념물 지정.
131 호1992년2012년
132 호
133 호
134 호
135 호
136 호
137 호
138 호
139 호
140 호경북선 점촌역 보존 중 2018년 상반기 고철 매각.
141 호
142 호
143 호
144 호
145 호
146 호
147 호
148 호
149 호
150 호
151 호
152 호
153 호
154 호
155 호
156 호
157 호
158 호경부선 직지사역 보존. 현재 노인 카페로 운영. 2020년 10월 재도색.
159 호
160 호
161 호1995년트럭 충돌 사고로 폐차.
162 호2012년
163 호
164 호
165 호1993년2013년
166 호
167 호
168 호
169 호
170 호
171 호
172 호
173 호
174 호
175 호
176 호
177 호
178 호
179 호
180 호
181 호
182 호
183 호
184 호
185 호
186 호
187 호
188 호
189 호
190 호
191 호
192 호
193 호
194 호
195 호
196 호
197 호
198 호
199 호1994년
200 호
201 호
202 호
203 호
204 호
205 호
206 호
251 호1993년과거 특실 전용 운행.
252 호
253 호
254 호
255 호
256 호
257 호과거 특실 전용 운행. 262호는 보존 운동에도 불구하고 2021년 고철 매각.
258 호
259 호1994년
260 호
261 호
262 호


6. 경복호



1979년부터 2001년까지 사용되었던 선대 디젤 동차를 대체하여 도입된 대통령 전용 특별 차량이다. 대통령의 이동 외에 국빈 수송에도 사용된다. 새마을형 디젤 동차와 유사한 외관을 가지며, 4량 편성 2편성이 제작되었으나, 제원 등 그 외의 정보는 보안상의 이유로 비공개 처리되었다. 또한 열차 관리는 한국철도공사가 아닌 대통령비서실에서 수행한다[6][7]

참조

[1] 간행물 환경분야 특장차 - 동양특장 http://www.tongyang2[...] 차량기술단 2012-12
[2] 웹사이트 [커민스 100주년 스페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커민스 장비를 찾다 https://www.cummins.[...] 2019-06-30
[3] 뉴스 '잊지 말아요' 새마을호 http://www.itrailnew[...] 2017-04-15
[4] 뉴스 구형 새마을호 '역사 속으로'…30일 퇴역한다 https://www.yna.co.k[...] 2018-04-28
[5] 뉴스 구형 새마을호, 역사 속으로 '굿바이~' http://www.snnews.ne[...] 2018-04-30
[6] 뉴스 日本とのつながりも見える 韓国鉄道100年の歴史(2/2ページ) - 産経ニュース https://www.sankei.c[...] 2018-09-09
[7] 뉴스 베일에 싸인 대통령 전용열차 경복호…청와대도 모른다?? http://www.weeklyseo[...] 2006-02-23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kric.or.[...] 2014-08-23
[9] 문서 2014년 3월에 차량의 내구연한 관련 조항이 철도안전법에서 삭제되었다.
[10] 문서 상행은 1042열차[포항(08:00) - 서울(13:20)], 하행은 1005열차[서울(13:08) - 부산(18:04)]였다.
[11] 문서 이를 '무화회송'이라고 한다.
[12] 문서 대전 새마을호 열차 탈선 사고 참조
[13] 문서 2000년 이후 객실내 모니터 설치로 외벽 LED 전광판과 연동되는 객실내 LED 전광판이 철거되면서 현재는 무용지물이 되었다.
[14] 문서 단 장대형 새마을호 객차의 경우 방송실부 객차의 출입문이 4개인데 반해 후기형 동차부수객차는 방송실부 객차의 출입문이 2개인 점이 다르다.
[15] 문서 대한민국 해군에서 본 차량이 도입되던 시기에 도입한 장보고급 잠수함의 엔진과 동일하다.
[16] 문서 단 동력차의 경우 한진중공업이나 현대정공 모두 ASEA 대차를 사용한다.
[17] 문서 특실격하차를 포함한다.
[18] 문서 현재는 일반실로 격하되었다.
[19] 문서 현재 전공일체 자동병결장치로 개조된 차량은 폐차되거나 운행중지 되었다.
[20] 문서 이 열차는 중앙선의 영천-경주 사이를 지나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