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린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린차는 일본 철도에서 일반석보다 높은 등급의 좌석을 의미하며, 명칭은 과거 1등차 객차의 녹색 띠와 승차권 색상에서 유래했다. 특급, 급행 열차에 연결되어 운행되며, 넓은 좌석 간격과 리클라이닝 시트 등 쾌적한 설비를 갖추고 있다. 신칸센, 조이풀 트레인, 관광 열차 등 다양한 열차에 그린차가 존재하며, 열차 종류에 따라 좌석 배치, 설비, 요금 등이 다르다. JR 이외의 철도 회사에서도 그린 요금을 설정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철도 차량 - 도쿄 급행 전철 5000계 전동차 (2002년 도입)
    도쿄 급행 전철 5000계 전동차(2002년 도입)는 노후화된 8000계 및 8500계를 대체하기 위해 2002년부터 도입된 통근형 전동차로, E231계를 기반으로 20m급 4도어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를 채용하여 덴엔토시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용되며 5050계, 5080계, Y500계 등의 파생 차종이 있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조이풀 트레인
    조이풀 트레인은 단체 전용의 특별 제작 열차로, 독특한 내외부 디자인을 갖추고 급행 열차 폐지 차량의 개조와 버블 경제 시대를 거치며 발전, 2000년대 이후 관광 열차로 부활하여 지역 진흥에 기여하며 JR 각사별로 운행되고 있다.
그린차
개요
종류특별차량
색상황록색
관련 색상연두색
일본어 명칭グリーン車 (구린샤)
역사
전신1등차
2등급제 시절1등차 창문 아래 연두색 띠
특징
좌석일반 좌석보다 넓고 편안함
추가 서비스차내 판매 등
요금
추가 요금 필요그린 요금 (특정 조건 하에 할인 가능)
승차권 종류그린권
사용 예시
일본국유철도 및 JR그룹특별 차량
게이오 전철녹색 차량 도색
참고
관련 용어저공해차 (자동차)

2. 명칭

'그린'이라는 명칭은 2등급제 시절 1등차 객차 창문 아래에 칠해졌던 옅은 녹색(담록 6호) 띠와 경권의 색상에서 유래했다.[2] 네잎 클로버를 본뜬 연두색(연두 7호) '그린 마크'가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

시간표나 발차 표지 등 단색으로 표시되는 매체에서는 잎 부분을 선과 같은 색으로 칠하면 지정석, 바탕색과 같은 색이면 자유석으로 구분한다. 영어 안내에서는 'First Class'로 표기하기도 하지만, 신칸센에는 '그린클래스'라는 별도 좌석 등급이 존재한다.

3. 차량 설비

그린차는 일반차에 비해 좌석 간격(시트 피치)과 걸상 폭이 넓다. 조이풀 트레인이나 개실 등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리클라이닝 기구를 장착한 회전식 크로스 시트를 사용한다.[3] 특급(신칸센 포함)·급행용과 보통 열차용 두 종류의 그린차가 있으며, 설비와 요금에 차이가 있다.

특별석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선두차에 배치하고, 운전석 뒤 칸막이를 유리로 만들어 "파노라마형"으로 하거나, 2층 차량의 상부에 설치하기도 한다. 또한, 화장실 이용 등으로 차내를 통과하는 승객이 함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선두차에 배치하기도 한다. 반면, 편성이 긴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에서는 승객이 승하차 시 역 플랫폼 끝까지 걷지 않아도 되도록 그린차 차량을 편성 중앙에 연결한다.[3] 도호쿠 신칸센·조에쓰 신칸센에서는 이 두 가지를 절충하여 단독 편성에서는 선두 차량이나 그 옆 차량을 그린차로 하지만, 병결 시에는 편성 중앙에 오도록 배치한다.

3. 1. 특급·급행용

1950년에 제조된 최초의 특별 2등차인 스로 60형을 기원으로 한다. 1951년에 제조된 스로 53형에서는 좌석 간격(시트 피치) 1,160mm, 20m급 전실차의 경우 정원 48명이 확립되었는데, 이는 이후 특급·급행용 그린차의 표준 양식이 되었다. 이 양식은 1986년 국철 최후기에 제조된 키로하 186형까지 답습되었다.[4]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 이후에는 JR 여객철도 회사가 선구간이나 열차 사정에 맞는 설비의 그린차를 제조하거나 기존 차량을 개조하면서 그린차의 설비가 다양해졌다. 좌석 배치는 2+2인 걸이의 4열 배치가 일반적이었으나, 관광 수요가 많은 노선·열차를 중심으로 2+1의 3열 배치가 채용되어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헤이세이 시대 이후, 사철 각사에도 추가 요금으로 폭이 넓은 2+1열의 디럭스형 시트에 승차할 수 있는 열차가 설정되었다.

JR 동일본에서는 1993년 255계 이후의 특급형 차량에서 정원 확보를 위해 다시 국철 시대와 같은 2+2 배치를 채택했다. 또한, JR 도카이에서도 최초기에 등장한 사로하 371형에서는 2+1 배치를 채용했지만, 이후 도입한 크로 383형에서는 2+2 배치로 되돌아갔다.[6]

신칸센에서는 차체 폭이 넓어 기본적으로 2+2열 배치이다. 예외는 100계·200계에 한때 존재했던 1 - 4인 개실과, 미니 신칸센으로 재래선 규격으로 제조된 400계가 2+1열로 설정된 것뿐이다. E3계 이후는 정원 확보를 위해 2+2열로 배치되어 있다.

좌석에는 리클라이닝 기구, 테이블, 풋 레스트 외에도 레그 레스트, 소형 액정 텔레비전, 오디오·비주얼 서비스 등이 추가되기도 했다.[7] 그러나 현재는 경비 절감을 위해 이러한 서비스가 중단되고 있다.[8][9]

3. 2. 보통열차용

1960년대까지 국철 직원의 통근 패스로도 그린차를 이용할 수 있어 수요가 있었다. 그러나 만원 전철을 이용하는 일반 이용자들의 비판이 있었고, 1969년 11월 말 통근 패스의 유효 기간 만료를 기해 총재 이하 전 직원의 그린차 이용이 중지되었다.[23]

과거 게이한신 지역도카이도・산요 본선 쾌속·보통 열차에도 그린차가 편성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보통 열차에서는 1962년 10월에 1·2등차 크로하 69형 차량 연결이 혼잡 완화를 이유로 폐지되었고(해당 차량은 롱시트 2등차 쿠하 55형으로 격하), 1970년대에는 게이한 구간에서 경쟁 사철이 요금이 필요 없는 전환 크로스 시트차를 사용한 전철 특급(게이한・한큐)을 운행하여 이용률이 저조했다. 신쾌속용으로 전환 크로스 시트를 장착한 117계의 데뷔로 1980년 10월 1일 다이어 개정으로 그린차는 폐지되었다. 2019년부터 일부 신쾌속에 「A시트」라는 보통차 지정석 취급의 특별 좌석이 부활했다.

3. 3. 기타 그린샤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국철·JR에 등장한 오자시키 열차(다다미를 깐 일본식 차량), 유럽풍 열차 등 이른바 조이풀 트레인도 대부분 그린샤로 설정되었다. 2000년대 이후의 조이풀 트레인에서는 일반석으로 설정하거나, 그린샤에서 등급을 낮춘 차량이 증가하고 있지만, 일부 예외도 있다.

또한, 일반 열차에서도 일본식 차량 등을 그린석으로 지정한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1985년부터 1989년까지 식당차를 개조한 일본식 차량에 "단란"이라는 애칭을 부여하고, 엘 특급 "선더버드"에 연결되었다.

4. 운행 상황

특급 열차의 경우, 신칸센을 포함하여 비교적 이용률이 높은 열차에는 그린샤가 1량 연결되어 있지만, 국철 말기에는 이용률이 낮은 특급에서는 그린샤 연결을 생략하는 사례도 많았다.[11] 그러나, "풀 문 부부 그린 패스"나 "나이스 미디 패스" 등의 특별 기획 승차권 발행으로, 1량의 절반 정도(대략 10~20석)의 그린실을 다시 설치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급행 열차는 과거에 이용률이 높은 열차에 주간 및 야간 모두 그린샤가 연결되었지만, 2003년에 주간 급행 열차의 그린샤는 소멸되었고, 2012년 3월 17일 시간표 개정 이후 정기 열차 운행이 종료되었다.

특급 열차는 원칙적으로 좌석 지정제이며, 급행 열차도 특별 2등차 이래로 좌석 지정제가 많았지만, 1996년까지 급행 열차였던 "도카이" 등 일부 급행 열차에는 자유석 그린샤를 연결하기도 했다. 2022년 시점에서 신칸센·특급 열차에 자유석 그린샤 설정은 없지만,[12] 예외적으로 임시 열차에서는 전 좌석 자유석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13]

침대권 요금은 JR 홋카이도 재래선 이외 지역에서 2023년 4월 1일부터 한산기·통상기·번망기·최번망기로 구분되었고,[14] JR 큐슈 재래선에서는 한산기 설정이 없다.[15] JR 홋카이도 재래선[16], JR 동일본과 도부 철도 간 직통 운전 특급 열차[17], JR 동일본 여객 영업 규칙 별표 제1호의 2의 특급 열차[18], JR 시코쿠 이야기 열차[19]에서는 시기와 관계없이 요금이 같다.[14][20]

4. 1. 특급·급행열차

2000년대부터 기존 그린샤보다 설비와 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요금을 더 비싸게 설정한 좌석들이 등장했다.

787계 전동차에 설치된 '''DX 그린'''은 2005년 10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쿠모로 787형에 설치되어 있던 톱 캐빈(6인실)을 폐지하고, 그 방에 2인용 좌석과 1인용 좌석을 1열만 배치한 3석으로 되어 있다. 좌석은 최대 141°까지 기울어지는 전동식 리클라이닝 및 풋 레스트를 갖추고 있으며, 콘센트 , 행거, LED 독서등이 설치되어 있다.[21][22]

4. 1. 1. 프리미엄 그린

프리미엄 그린


'''프리미엄 그린'''은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E261계 전동차에 설치되어 있으며, 2020년 3월 14일부터 사피르 오도리코에서 운행되고 있다. 마크는 브릴리언트 컷을 도안화한 독자적인 것이 사용되고 있다.

차내는 산 쪽을 통로로 하고, 바다 쪽에만 2열 시트를 배치한 구조이다. 리클라이닝 및 풋 레스트는 전동식이다.[21] 좌석은 단순한 전후 전환뿐만 아니라 45° 좌우로 기울일 수도 있으며, 4명이 X자 형태로 마주보는 배치도 가능하다.[22] 각 좌석마다 콘센트가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4. 1. 2. 수페리아 그린

키하189계 기동차에 설치되어 있으며, 2024년 10월 5일부터 하나아카리에서 운영을 시작한다.

2인용 반개실 10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객실마다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4. 1. 3. 그린샤

JR 홋카이도 H5계 전동차, JR 동일본 E5계 전동차·E7계 전동차, JR 서일본 W7계 전동차에 설치되어 있다. 일부 "하야부사" 및 "카가야키"에서는 전속 어텐던트가 경식, 주류, 소프트 드링크를 제공하며, 해당 열차에서는 더 높은 요금이 설정되어 있다.

차내에는 기존 신칸센 그린샤에 비해 좌석의 전후, 좌우 폭을 확대한 전동식 리클라이닝 시트를 1+2열로 18석 설치했다. 좌석의 방향은 항상 진행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승객이 전환할 수 없다.

4. 2. 보통열차

과거 2등차의 흔적이지만, 원래 보통 열차의 그린차 = 구 2등차의 연결은 주요 간선에서 많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른바 급행 열차의 말단 구간이나 간이 운용을 제외하면 승객이 적어 채산성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대도시권에 연결되는 사례가 많았다.

1960년대까지 국철 직원의 통근 패스는 그린차도 이용 가능하여, 그만한 수요도 있었다. 그러나 만원 전철을 이용하는 일반 이용자로부터 비판을 받게 되면서, 1969년 11월 말 통근 패스의 유효 기간 만료를 기해 총재 이하, 전 직원의 그린차 이용을 중지했다.[23]

과거에는 게이한신 지역도카이도・산요 본선의 쾌속·보통 열차에도 편성되었던 적이 있었지만, 보통 열차에서는 1962년 10월에 1·2등차의 크로하 69형 차량의 연결이 혼잡 완화를 이유로 폐지(후에 해당 차량은 롱시트의 2등차 쿠하 55형으로 격하)되었다. 그 후 1970년대에는 당시 이미 게이한 구간에서는 경쟁 사철이 요금 불필요한 전환 크로스 시트차를 사용한 전철 특급군(게이한・한큐)이 운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용률이 저조했던 데다가, 신쾌속용으로 전환 크로스 시트를 장착한 117계가 데뷔한 것도 있어, 1980년 10월 1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그린차는 폐지되었다. 다만 2019년부터는 일부 신쾌속에 「A시트」로 보통차 지정석 취급이면서 특별 좌석이 부활했다.

4. 3. 조이풀 트레인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국철·JR에 등장한 조이풀 트레인도 대부분 그린차로 설정되어 있었다. 2000년대 이후 조이풀 트레인에서는 일반석으로 설정하거나, 그린차에서 등급을 낮춘 차량이 증가하고 있지만, 일부 예외도 있다.

국철 말기부터 다수의 열차가 등장한 조이풀 트레인에서도 그린차가 연결되었다. 당초에는 대부분의 차량이 오자시키 열차였지만, 이들은 전 차량 그린차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서 조이풀 트레인에 좌석차가 늘어나기 시작하여, 모노 클래스 편성으로 되는 경우도 많아졌다. 그 중에는 「그라시아」나 「만유」처럼 차내 설비는 그대로 두고 그린차에서 보통차로 등급을 낮추는 사례도 있었다.

2022년 현재는, JR동일본의 「화(나고미)」, JR 서일본의 「살롱 카 나니와」에 그린차가 설정되어 있으며, 모두 전 차량 그린차로 운행되고 있다.

4. 4. 관광 열차



1990년에 고노선에서 운행을 시작한 노스탤직 뷰 트레인을 시작으로, 관광 열차는 초기에는 일반차 지정석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았고, 그린차로 취급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그러나 2010년대에 들어 이즈 크레일[39]이나 이요나다 모노가타리와 같이 고급스러운 관광 열차가 등장하면서, 그린차를 연결한 경우가 늘어났다.

2024년 현재 JR 서일본의 라・말・드・보아, etSETOra, 아메츠치, 하나아카리, JR 시코쿠의 세토 대교 앙팡만 트롤리, 이요나다 모노가타리, 시코쿠 한가운데 천년 이야기, 지코쿠 도사 시대의 새벽 이야기, JR 큐슈의 36플러스3[40]는 전 차량이 그린차이다. 그 외에 JR 동일본의 SL 반에츠 이야기, 히나비(양려), SATONO, JR 서일본의 SL 야마구치호 일부 차량이 그린차로 운행되고 있다. 또한, 음식 제공을 기본으로 하는 열차는 식당차 설비와 비슷한 구조로 되어 있다.

4. 5. 시험 차량

시험 차량에서도 차내 설비 실험으로 그린샤에 상당하는 좌석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JR 동일본의 952형, E954형, E955형, E956형에서 볼 수 있었다. 특히, E956형에는 그란클래스에 상당하는 좌석도 설치되어 있다.

5. 선박의 그린석

1988년까지 국철·JR이 운항했던 철도 연락선 중 세이칸 항로 및 우코 항로에는 '''그린선실'''이 설치되어 있었다. 세이칸 항로의 그린선실은 좌석 지정석과 자유석으로 구분되었으며, 좌석의 사양이 약간 달랐다. 지정석은 1인용 리클라이닝 좌석이었고, 자유석은 리클라이닝 좌석과 카펫이 깔린 마스석 두 종류가 있었다. 마스석에는 베개가 비치되어 있었다. 우코 항로는 항행 시간이 짧아 자유석만 있었다.

이러한 그린선실은 "철도 수송과 일체가 된 철도 운수 체계의 연장"이라는 철도 연락선의 사명을 반영하여, 철도 운임 체계를 따랐다.

또한, 2006년 여름부터 JR 규슈 고속선이 운항하는 국제 항로 "비틀호"의 일부에 그린석이 도입되었다. 이는 특별석의 명칭이며, 이와 같이 상급 선실의 명칭으로 그린석을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6. JR 이외의 그린샤

사실상 JR(국철) 노선망의 일부를 구성하는 철도나, JR(국철)과의 직통 운전을 통해, 자사에서 그린샤를 보유하고 운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자사 차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JR의 직통 열차가 그린샤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자사 노선 내에서 그린 요금을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과거 에치고토키메키 철도 일본해 히스이 라인에서 485계가, 이세 철도 이세선에서 키하 85계가 그린샤를 연결했었지만, 두 노선 모두 회사선에서의 그린 요금은 불필요했다.

6. 1. 현재 그린 요금 설정 회사

이즈 급행은 자체 보유 차량인 100계에 그린샤를 설치하고 그린 요금을 설정했으나, 1985년에 보통 열차 운용을 폐지했다. "로열 박스"라고 불리는 특별석을 100계와 2100계 "리조트 21"에 설치했지만, 1990년대에 수요 감소로 보통 열차 연결을 중지했다. 2016년에는 "THE ROYAL EXPRESS"로 개조하면서 "로열 박스"가 폐지되었다. JR 동일본 직통 운행 열차에서는 급행 "이즈" 시대부터 그린샤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2021년 현재 특급 "오도리코", "사파이어 오도리코"가 이즈 급행 노선 내에서 그린샤로 영업하고 있으며, "사파이어 오도리코"는 프리미엄 그린도 설정되어 있다.

WILLER TRAINS(교토 단고 철도)는 자체 차량에 그린샤가 없지만, JR 서일본 직통 특급 "하시다테", 하나아카리가 그린샤를 연결하여 그린 요금을 설정하고 있다.

지즈 급행은 HOT7000계에 그린샤를 연결하고 있으며, JR 서일본 직통 특급 "슈퍼 하쿠토"에서 그린 요금을 설정하고 있다.

도사 구로시오 철도는 자체 차량에 그린샤가 없지만, 나카무라선·스쿠모선 계통에서는 JR 시코쿠 직통 특급 "아시즈리" 일부가 그린샤를 연결하여 그린 요금을 설정하고 있다. 과거에는 2000계를 보유하여 그린샤가 존재했지만 2020년에 폐차되었다.

히사쓰 오렌지 철도는 자체 차량에 그린샤가 없지만, JR 큐슈 직통 특급 "36플러스3"이 그린샤를 연결하여 그린 요금을 설정하고 있다. 단, 히사쓰 오렌지 철도 노선 내에서만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6. 2. 과거 설정 회사



: 이즈 급행과 마찬가지로, 슨즈선에 직통 운행했던 "이즈"에 그린차가 존재했기 때문에 설정이 이루어졌지만, 1975년에 종료되었다.

: 자사에서 운행하던 다카야마 본선 직통 준급행 급행 "다카야마"에 그린차를 설정했으나, 이용률 저조로 인해 3개월 정도의 짧은 기간 운영 후 종료되었다. 이후 설정은 없다.

: JR 서일본・JR 동일본에 직통하는 특급 "하쿠타카"에 그린차가 연결되어 있었다. 이 직통 운전을 위해, JR 서일본과 동일한 형식의 681계와 683계를 자사에서 보유했다.

6. 3. 직통 운행용 차량만 보유(했던) 사업자


  • 도부 철도: 특급 스페시아 닛코로 JR 동일본에 진입하는 100계 스페시아의 개실은 JR선 내에서는 그린 개실로 영업하고 있다. 단, 도부선 내에서는 단순히 개실 요금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그린 차량으로는 취급되지 않는다.
  • 오다큐 전철 (운용 종료): 1991년 3월 16일부터 2012년 3월 16일까지, JR 도카이에 진입하는 특급 (와이드 뷰) 아사기리에 사용되었던 20000형에 그린 차량을 설치했다. 단, 자사선 및 진입하는 하코네 등산선에서 이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슈퍼 시트"라는 명칭의 특별석으로 운용했다.

7. 이용 방법 (한국어 문서 기반)

그린차는 열차 종류에 따라 이용 방법이 다르다. 쾌속열차는 자유석제이지만, 급행과 특급열차는 지정석제이다.

7. 1. 보통, 쾌속열차 그린샤 이용 방법

보통, 쾌속열차는 자유석제이므로 그린샤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승강장에서 그린권을 구입한다.

# Suica에 그린권을 충전한다.

# 일본철도패스 그린차용은 아무데나 앉은 후, 목적지를 말한다.

7. 2. 급행, 특급, 신칸센 열차 그린샤 이용 방법

급행, 특급, 신칸센 열차의 그린샤(グリーン車)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1]

  • 미도리노마도구치에 가서 운임권과 그린샤 특급권을 구매한다.
  • 일본철도패스 그린차용은 추가금 없이 그린차를 예약할 수 있다.

참조

[1] 문서 1989年3月31日の乗車分まで、A寝台を利用する際には寝台料金に通行税10%が含まれていた(当時はグリーン車に対してもグリーン料金に通行税10%が含まれていた)。なお、通行税は4月1日から消費税3%(当時)に置き換えられた。
[2] 문서 このマークは国鉄分割民営化後の1992年(平成4年)に東日本旅客鉄道(JR東日本)が商標登録を出願し、1995年(平成7年)10月31日に登録されている《第3081760号;[http://www.ipdl.inpit.go.jp/Syouhyou/syouhyou.htm 「商標出願・登録情報」データベース]ページ内「商標出願・登録情報」サービスにて左記登録番号により検索および登録内容の閲覧が可能》。指定役務は「旅客車による輸送」。
[3] 문서 こうすることで、駅の階段やエレベーターがより近くなる。
[4] 문서 モノクラスで製造されたことから特殊な改造を伴ったJR東日本E653系電車|E653系1000番台(クロE652形)、高級志向の「踊り子 (列車)#サフィール踊り子|サフィール踊り子」に使用されるJR東日本E261系電車|E261系の例がある。
[5] 문서 九州旅客鉄道|JR九州を除く。
[6] 문서 逆にJR東海キハ85系気動車|キハ85系では、最初期に登場した「ひだ (列車)|ひだ」用キロハ84形は定員確保のため2+2配置としたが、のち「南紀 (列車)|南紀」用に増備したキロ85形は2+1配置とした。なお、キロ85形はのち「ひだ」に転用したため、富山駅|富山発着「ひだ」は同一編成で2+1配置と2+2配置のグリーン車が混在している。また、キロハ84形・キロ85形の後継車であるJR東海HC85系気動車|クモロ85形でもグリーン車は2+2配置を採用している。
[7] 문서 現在は全て撤去されている。
[8] 웹사이트 JR北海道3/26ダイヤ改正で「スーパー北斗」などのグリーン車サービス全廃へ https://news.mynavi.[...] mynavi 2016-02-19
[9] 문서 東海道・山陽新幹線などではおしぼり配布のサービスのみ継続している。
[10] 문서 のち1980年の京阪神地区のグリーン車廃止に伴い首都圏に戻っている。
[11] 문서 近年は利用度の少ない特急では2 - 4両の短編成化が増えてきて、これらの列車はグリーン車の連結を省いているほか、東日本旅客鉄道|JR東日本のJR東日本E257系電車#500番台|E257系500番台、東海旅客鉄道|JR東海の373系電車|373系、西日本旅客鉄道|JR西日本のJR西日本キハ187系気動車|キハ187系やJR西日本キハ189系気動車|キハ189系、九州旅客鉄道|JR九州のJR九州キハ71系気動車|キハ71系やJR九州キハ72系気動車|キハ72系などのように特急型車両でもグリーン車を最初から製造していない例もある。
[12] 문서 山陽新幹線では、主に朝と夜間で博多駅|博多 - 小倉駅 (福岡県)|小倉間のみ運行する「こだま (列車)|こだま」において、グリーン車を連結した編成で運行する列車では、グリーン券は車内でのみ車掌が検札時に発売することになっているため、実質的には全席自由席と同じ扱いとなっている。
[13] 웹사이트 新幹線臨時列車の追加運転について~新幹線版「赤ヘル号」運転~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17-09-07
[14] 간행물 新幹線及び特急列車のグリーン料金見直し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グループ 2022-10-26
[15] 뉴스 JRが「最繁忙期」料金を新設 来年4月、新幹線や特急 https://www.at-s.com[...] みんなの静岡新聞 2022-10-26
[16] 문서 2024年3月16日からの旅客営業規則別表第1号の2第3項の特急列車(北斗・おおぞら (列車)|おおぞら・おおぞら (列車)|とかち)も含む。
[17] 문서 日光 (列車)|スペーシア日光
[18] 문서 あずさ (列車)|あずさ・かいじ (列車)|かいじ・はちおうじ・おうめ|おうめ・はちおうじ・おうめ|はちおうじ・ひたち (列車)|ひたち・ひたち (列車)|ときわ・踊り子 (列車)|踊り子(サフィール踊り子を除く)・湘南 (列車)|湘南・成田エクスプレス・しおさい (列車)|しおさい
[19] 문서 伊予灘ものがたり・四国まんなか千年ものがたり・志国土佐 時代の夜明けのものがたり|志国土佐 時代の夜明けものがたり
[20] 간행물 観光列車の 2023 年度下半期の運転日及びご利用料金の改定について https://www.jr-shiko[...] 四国旅客鉄道 2023-06-28
[21] 웹사이트 サフィール踊り子のご紹介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04-28
[22] 뉴스 「サフィール」のプレミアムグリーン車 https://web.archive.[...] 時事ドットコム null
[23] 뉴스 職員通勤パスはだめ 国鉄、世論に折れる 朝日新聞 1969-11-19
[24] 문서 東海道線から伊東線、高崎線から上越線・両毛線直通を含む
[25] 문서 2006年(平成16年)までは静岡駅までサービスを提供していた。
[26] 문서 2022年(令和4年)3月11日までは黒磯駅までサービスを提供していた。
[27] 문서 2004年(平成16年)10月15日までは久里浜駅まで直通する列車があった。
[28] 문서 2004年(平成16年)3月12日までは黒磯駅まで直通する列車があった。
[29] 문서 総武快速線から総武本線・成田線・内房線・外房線直通を含む
[30] 문서 2004年(平成16年)10月15日までは大原駅 (千葉県)|大原駅までサービスを提供していた。
[31] 웹사이트 首都圏の普通列車グリーン車の料金体系を見直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2023-12-15
[32] 문서 同改正の前日までは、発売箇所の他に乗車日によっても料金が異なる制度となっており、「平日料金」と「ホリデー料金」の2体系が存在した。また紙のグリーン券とSuicaでの料金区別がなく、購入タイミングによってさらに「事前料金」と「車内料金」に区分されていた。
[33] 웹사이트 中央線快速・青梅線でグリーン車サービスを開始します~快適な移動空間の提供を通じ、輸送サービスの質的変革を目指します~ 東日本旅客鉄道 2024-09-10
[34] 웹사이트 Wayback Machine https://www.jreast.c[...] 2024-12-12
[35] 웹사이트 JR東日本・普通列車グリーン車 https://www.jreast.c[...] JR東日本
[36] 웹사이트 Suicaグリーン券の購入方法 https://www.jreast.c[...]
[37] 간행물 JR時刻表 交通新聞社 2020-03
[38] 문서
[39] 문서 2020-03-29
[4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