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오환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비오환어파는 멸망한 선비, 오환, 거란 등의 언어를 포함하는 가설적인 어파이다. 이 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의 계통적 관계는 자료 부족으로 인해 가설의 영역에 머무르며, 몽골어족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시무네크는 선비오환어파를 몽골어족의 자매 분파로 보고, 이들을 묶어 선비몽골어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비몽골어족 - 거란어
거란어는 거란족이 사용한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요사》의 〈국어해〉를 통해 일부 어휘가 몽골어, 다우르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 선비몽골어족 - 선비어
선비어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이며, 선비족이 사용했고, 거란어와 몽골어의 유사성을 보이며, 현재 연구가 미흡하고, 토욕혼 묘지명에서 토욕혼문으로 추정되는 문자가 발견되었다. - IPA - 한어병음
한어병음은 중국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1950년대에 개발되어 1958년 공식 채택되었으며 표준 중국어 교육 및 문맹 퇴치에 널리 사용되고, 성모와 운모의 조합 및 성조 부호로 구성되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 IPA - 몽골어
몽골어는 몽골의 공용어이자 내몽골 자치구의 공식 지방 언어로, 몽골족이 사용하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며, 다양한 방언, 모음조화, 교착어적 특징, SOV 어순 등을 가진다. - 제안된 어족 - 오스트로어족
오스트로어족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하나의 어족으로 묶으려는 가설이었으나, 현재는 어휘적 증거 부족으로 지지를 받지 못한다. - 제안된 어족 - 인도태평양어족
선비오환어파 | |
---|---|
개요 | |
명칭 | 선비오환어파 |
다른 명칭 | 세르비-아와르어 (Xianbei–Wuhuan) 키탄어파 |
제안 여부 | 제안됨 |
사용 지역 | 몽골 중국 북부 바이칼호 지역 |
어족 | 알타이어족 (제안) |
하위 어족 | 세르비-몽골어족 (제안) |
하위 언어 | 거란어 토욕혼어 탁발어? 유연어? 아바르어? |
Glotto 코드 | 없음 |
Glottolog 참조 | none |
2. 하위 언어
흉노, 동호, 오환의 언어는 거란어, 선비어, 탁발어와 마찬가지로 선비오환어파에 포함될 수 있다. 선비어와 탁발어는 자료가 매우 희박하여 이들 언어의 계통적 관계는 가설 수준을 벗어나기 어렵다. 현전하는 자료는 거란어와 몽골어족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준다. 다만, 거란어는 거란 문자로 기록되어 있어 완전히 해독되지는 않았다.
2. 1. 탁발어
알렉산더 보빈은 탁발어가 선비몽골어족이라고 보았으나, 천싼핑(陳三平)은 튀르크어족이라고 주장하여 학자 간의 이견이 존재한다.[1][2]시무네크는 토욕혼어, 거란어와 더불어 탁발어를 선비어로 분류한다.[11]
흉노, 동호, 오환의 언어는 파라-몽골어족일 수 있으며, 선비와 탁발(북위의 창시자) 및 거란의 언어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선비와 탁발에 대한 현존하는 증거가 매우 희박하여 유전적 관계가 ''가능할'' 수 있다고 추측할 뿐이다. 거란의 경우 풍부한 증거가 있지만, 대부분 아직 완전히 해독되지 않은 대자와 소자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용 가능한 증거로 볼 때 몽골어와의 유전적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어졌다.
2. 2. 유연어
알렉산더 보빈은 유연의 언어인 유연어가 중세 몽골어와 가깝지만 동일하지 않은 몽골어파임을 제시했다.[9] 유연어의 분류 문제는 논의의 여지가 남아 있다.2. 3. 거란어
유하 얀후넨은 거란어를 선비오환어파로 분류했다. 이는 거란어가 몽골어의 직계 후손이 아니라 몽골어파의 자매 분파에 속함을 의미한다.[10] 알렉산더 보빈은 거란어에서 한국어족 차용어로 여겨지는 단어를 제시했다.[6]흉노, 동호 및 오환의 언어는 파라-몽골어족일 수 있으며, 선비와 탁발(북위의 창시자) 및 거란의 언어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선비와 탁발에 대한 현존하는 증거가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유전적 관계가 ''가능할''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거란의 경우 풍부한 증거가 있지만, 대부분 아직 완전히 해독되지 않은 두 개의 거란 문자(대자와 소자)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용 가능한 증거로 볼 때 몽골어와의 유전적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어졌다.
주하 얀후넨은 거란어를 "준-몽골어족"에 분류했는데, 이는 거란어가 원시 몽골어의 직계 후손이라기보다는 자매 그룹으로서 몽골어족과 관련이 있다는 의미이다.[5]
2. 4. 토욕혼어
알렉산더 보빈은 토욕혼어를 선비오환어파로 분류했다.[7]3. 내적 분류
시무네크(2017)는 몽골어족의 자매 분파로서 선비오환어파를 제시했다. 시무네크의 분류에 따르면, 몽골어파와 선비오환어파는 함께 선비몽골어족을 이룬다.[11] 알렉산더 보빈(2018)은 유연 카간국 언어가 중세 몽골어와 가깝지만 동일하지는 않은 몽골어라고 제안했다.[4]
거란어, 선비어, 탁발어와 마찬가지로 흉노, 동호, 오환의 언어가 선비오환어파에 포함될 수 있다. 선비어와 탁발어의 자료가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이들 언어의 계통적 관계는 가설의 테를 벗어나기 어렵다. 비교적 자료가 풍부한 거란어의 경우, 대부분이 거란 문자로 적혀 있어 완전히 해독되지 않았다. 현전하는 자료는 거란어와 몽골어족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을 시사한다.
3. 1. 선비몽골어족
흉노, 동호, 오환의 언어는 몽골어족에 속할 가능성이 있으며, 선비와 탁발(북위의 창시자) 및 거란의 언어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선비와 탁발에 대한 현존하는 증거가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유전적 관계가 ''가능할''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거란의 경우 풍부한 증거가 있지만, 대부분 아직 완전히 해독되지 않은 두 개의 거란 문자(대자와 소자)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용 가능한 증거로 볼 때 몽골어와의 유전적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어졌다.[4]시무네크(Shimunek, 2017)는 몽골어족의 자매 분파인 "세르비-아와르" 어군을 제안한다. 세르비-아와르어와 몽골어는 함께 시무네크의 분류에서 ''세르비-몽골어족''을 구성한다.[11]
치푸/걸복 (북부 초기 중세 중국어 *kʰɨrbuwk)
단/단 (NEMC *dɔr̃)
탑발
토욕혼/T’u-yü-hun (모용/모용)
키타니어 (우문/우문)
* 고대 거란
* 계 (NEMC *ɣay)
* 실위 (*širwi/*širβi < *serbi '선비')
3. 1. 1. 몽골어파
몽골어족은 현대 몽골어, 부랴트어, 오이라트어 등을 포함하는 어파이다.3. 1. 2. 선비오환어파
오환어, 고대 선비어, 거란어, 탁발어, 토욕혼어 등을 포함하는 어파이다.알렉산더 보빈(2018)은 선비오환어파의 유연 카간국 언어가 중세 몽골어와 가깝지만 동일하지는 않은 몽골어라고 제안했다.[4]
시무네크(2017년)는 몽골어족의 자매 분파로서 선비오환어파을 제시했다. 시무네크의 분류에서 두 어파는 어울러 선비몽골어족를 이룬다.[11]
- 선비몽골어족
- * 몽골어파
- * '''선비오환어파'''
- ** 오환어
- ** 고대 선비어
걸복선비어(서진)
단부선비어(단부선비)
탁발어
토욕혼어
거란어군
* 거란어
* 해어(奚語)
* 실위(室韋)의 고유명사 (*širwi/*širβi < *serbi ‘선비’)
4. 한국어족과의 관계
알렉산더 보빈은 거란어에서 한국어족 차용어로 추정되는 단어들을 발견하여,[10][6] 선비오환어파와 한국어족의 연관 가능성을 제시했다.
참조
[1]
논문
Once again on the Tabɣač language
2007
[2]
논문
Turkic or Proto-Mongolian? A Note on the Tuoba Language
2005
[3]
서적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Harrassowitz Verlag
[4]
논문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 the Brāhmī Bugut and Khü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5]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
[6]
논문
Koreanic loanwords in Khitan and their importance in the decipherment of the latter
http://real.mtak.hu/[...]
2017
[7]
논문
Some notes on the Tuyuhun (吐谷渾) language: in the footsteps of Paul Pelliot
https://www.academia[...]
2015-12
[8]
간행물
Para-Mongolic
Routledge
[9]
논문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 the Brāhmī Bugut and Khü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10]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
[11]
서적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Harrassowitz 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