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림쿵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림쿵후는 중국 소림사에서 유래한 무술로, 신체 단련, 전투 기술, 전술을 포괄하며, 다양한 유파와 형식이 존재한다. 495년 소림사 건립 이후 승려들의 무술 수련이 시작되었으며, 명나라 시대에는 왜구의 침략에 맞서 승려들이 무술 실력을 발휘했다. 소림쿵후는 외부 무술로 분류되며, 1669년 황종희에 의해 무당파의 내가와 구분되었다. 한국의 무술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영화, 음악, 게임 등 대중문화에서도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림사 - 수 문제
    양견이라는 본명을 가진 수 문제는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끝내고 중국을 재통일한 수나라의 초대 황제로서,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여 수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여러 문제로 비판받기도 했다.
  • 소림사 - 석소룡
    석소룡은 1990년대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연기 경력을 시작해 2000년대 초반 청소년 드라마와 영화, 2010년대 영화와 드라마, 2020년대 드라마에 꾸준히 출연하며 활동하고 있다.
  • 중국의 무술 - 중국 무술
    중국 무술은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에 따라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다양한 격투 시스템과 무기술을 아우르는 용어로, 쿵푸와 우슈로도 알려져 있으며 소림사, 도교 철학, 여러 유파를 거쳐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스포츠, 대중문화, 건강 증진 수단으로 세계에 보급되어 우슈라는 스포츠로도 발전했다.
  • 중국의 무술 - 절권도
    절권도는 이소룡이 창시한 무술로, 다양한 무술의 요소를 융합하여 '무법으로써 유법을 삼고, 무한으로써 유한을 삼는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변화와 발전을 지향하며, 이소룡 사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림쿵후
개요
소림사에서 쿵푸를 수련하는 두 명의 전사
소림사에서 쿵푸를 수련하는 두 명의 전사
종류혼합 무술
강도풀 컨택트, 세미 컨택트, 라이트 컨택트
국가중국
기원쿵푸, 우슈
유명 수련자소림사 승려
올림픽 종목아니오
명칭
중국어 간체少林功夫
병음Shǎolín gōngfū
기타 명칭少林武術 (Shǎolín wǔshù)
少林拳 (Shàolínquán)
일본어
읽기쇼린켄
소림사 천불당의 벽화
발생 국가20px 중국
발생 연도남북조 시대
창시자달마?

2. 역사

중국 역사 기록에는 수천 년 전부터 중국 무술이 존재했음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중국 레슬링 무술인 수박은 소림사 창건보다 수 세기 전에 이미 존재했다. 소림사는 상당한 수입을 올리는 대규모 토지 재산이었기 때문에 승려들은 보호 수단이 필요했다. 역사적 발견에 따르면 소림사 창건 이전에도 승려들은 무장하고 무술을 수련했다. 1784년 《권경: 필수 권법 방법》은 소림사를 중국 권법의 발상지로 처음 언급했지만, 이는 오해이다. 그러나 이러한 오해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소림 쿵후의 역사적 중요성을 보여준다.

달마대사가 소림쿵후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지만, 학술적인 근거는 부족하다. 명나라 시대 숭산 소림사에서 무술이 연습되었다는 기록은 정종요의 『소림곤법천종』 등에 나타나 있다.

숭산 소림사와는 별개로, 중국 남부 푸젠성에는 남소림사(푸젠 소림사)가 존재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남소림사를 기원으로 하는 무술은 남파 소림권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무술사 연구가 탕하오 등에 따르면 남소림사는 전설상의 존재였을 가능성이 크다.

소림권은 의화단의 난 이후 무술 금지 시기와 중화민국 민주화기, 그리고 문화대혁명 시기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 시기에 고전적인 전통 무술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최근 숭산 소림사에서 남소림사에 관한 고문서가 발견되어 푸젠성 주롄산에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명나라 시대 대규모 사찰 유적이 발견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정설이 뒤집힐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푸젠성 취안저우시에 존재하는 남소림사는 새롭게 건립된 것이다.

일본에서는 소림권과 소림사권법이 혼동되기도 하지만, 이 둘은 서로 관련이 없다. 소림사권법은 의화권, 매화권, 백련권 등을 계승하여 발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남북조 시대 (420–589)

495년, 바투오(跋陀|중국어)가 허난성 숭산소림사를 건립하고 불교를 전파했다. 그의 첫 중국인 제자인 혜광(慧光|중국어)과 승수(僧稠|중국어)는 모두 뛰어난 무술 실력을 갖추었다고 전해진다. 예를 들어, 승수의 석장 기술과 맨손 타격 기술은 중국 불교 경전에도 기록되어 있다.

달마는 전통적으로 선불교를 중국에 전파한 인물로 여겨지며, 중국 선불교의 초대 조사로 존경받는다.[1] 그러나 달마가 소림사에서 무술을 창시했다는 생각은 20세기에 퍼진 것으로, 17세기의 근거 없는 전설에 기반한다. 이 전설에 따르면 달마는 승려들에게 선불교의 철학을 가르쳤고, 그들은 이 철학을 이용하여 소림 쿵푸의 자체적인 전투 기술을 만들었다고 한다. 달마가 소림 권법에 영향을 미쳤다는 생각은 17세기에 쓰여진 기공 수련서인 ''근육 개변 경''에 근거한다.

소림쿵후의 창시자는 전설과 근년의 문헌에 따르면 선종의 개조인 달마대사로 여겨지지만, 학술적인 근거는 부족하다.

2. 2. 수/당 시대 (581–907)

수나라 말, 혼란한 시기에 소림사 승려들은 왕세충에 맞서 당나라 건국에 기여했다. 728년에 세워진 비석은 소림사가 610년경 산적들로부터 수도원을 방어하고, 621년 호뢰 전투에서 왕세충을 물리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왕세충은 스스로 황제라 칭하며 정나라와 옛 수도 낙양을 다스렸다. 그는 낙양 근처 환원산의 측백나무 계곡 영지를 점령했는데, 이곳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새였다. 소림 승려들은 왕세충의 적인 이세민과 동맹을 맺고, 측백나무 계곡 영지를 되찾아 왕세충의 군대를 격파하고 그의 조카 임제를 사로잡았다. 이 승리로 이세민은 호뢰 전투에서 왕세충의 동맹인 두건덕을 격파하고 낙양으로 진격하여 왕세충을 항복시켰다. 당 고조의 아들인 이세민은 훗날 당 태종이 되었고, 이후 소림사는 당나라 왕실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

728년의 소림사 비석에는 소림사 승려들이 전투에 참여한 기록이 있지만, 무술 훈련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다.

2. 3. 명나라 시대 (1368–1644)

16세기와 17세기에는 최소 40개 이상의 현존하는 자료에서 소림사 승려들이 무술을 연마했을 뿐만 아니라, 무술 수련이 소림사 승려 생활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 승려들이 새로운 불교적 설화를 창조하여 이를 정당화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는 것을 증언한다. 소림 무술에 대한 언급은 명나라 말의 다양한 문학 장르(묘비, 무술 교본, 군사 백과사전, 역사적 기록, 여행기, 소설, 시)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자료들은 당나라 시대의 자료와는 달리, 소림의 맨손 격투, 창, 그리고 소림 승려들이 특기로 삼았고 그로 인해 유명해진 무기인 곤을 이용한 전투 방식을 언급한다. 16세기 중반에는 명나라 전역의 군사 전문가들이 소림사를 방문하여 전투 기술을 연구했다.

1560년경 유대유는 소림사 승려들의 전투 기술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소림사를 방문했지만 실망했다. 유대유는 종경과 보총 두 명의 승려와 함께 남쪽으로 돌아가 3년 동안 곤술을 가르쳤고, 그 후 종경과 보총은 소림사로 돌아가 형제 승려들에게 배운 내용을 가르쳤다. 무술 역사가 탕하오는 소림 곤술 스타일인 오호추적곤을 유대유의 가르침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적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소림 쿵후 교본인 ''소림곤법찬종''은 저자인 청종유가 10년 넘게 소림사에 머물면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1610년경에 쓰여졌고 1621년에 출판되었다.

1540년대부터 1560년대까지, 왜구라고 알려진 해적들이 전례 없는 규모로 중국의 동부 및 동남부 해안을 침략했다.

지리학자 정약증은 1553년에 남경제독군사 부총병 완표가 소림사를 포함한 승려들을 해적에 대항하기 위해 징집했음을 확인하는 16세기 출처 중 가장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무승들은 적어도 네 번의 전투에 참여했다.

  • 1553년 봄 항저우만
  • 1553년 7월 웡지아강 황푸 강 삼각주
  • 1554년 봄 마지아방
  • 1555년 가을 타오자이


승려들은 타오자이에서 가장 큰 패배를 겪었고, 그중 네 명이 전투에서 사망했다. 그들의 유해는 상하이 근처의 셔산에 있는 사영웅승탑(四英雄僧塔) 아래에 묻혔다.

승려들은 웡지아강에서 가장 큰 승리를 거두었다. 1553년 7월 21일, 소림사 승려 티엔위안이 이끄는 120명의 무승들이 해적 집단을 격파하고 생존자들을 10일 동안 20마일 이상 추격했다. 해적은 1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고 승려들은 단 4명만 잃었다.

웡지아강에서 싸운 모든 승려가 소림사 출신은 아니었고, 그들 사이에 경쟁이 벌어졌다. 정약증은 티엔위안이 그의 지휘에 도전한 항저우 출신 라이벌 승려 8명을 물리친 사건을 기록했다. 정약증은 소림사를 무술의 세 주요 불교 중심지 중 첫 번째로 꼽았다. 정약증은 허난성의 푸니우산을 두 번째로, 산시성우타이산을 세 번째로 꼽았다. 푸니우산 승려들은 소림사에서 배운 봉술을 수련했다. 우타이산 승려들은 양가창(楊家槍)을 수련했다.

2. 4. 의화단의 난과 문화대혁명

청나라 말기 의화단의 난 이후 무술 금지령과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문화대혁명 시기에 소림권은 큰 탄압을 받았다. 많은 전통 무술이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져 쇠퇴하거나 변형되었다.

2. 5. 현대

최근 남소림사에 관한 고문서가 숭산 소림사에서 발견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푸젠성 주롄산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한 결과 명나라 시대의 대규모 사찰 유적이 발견되는 등 기존의 정설이 뒤집힐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그 진실을 밝히기 위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4] 현재 푸젠성 취안저우시에 있는 남소림사는 새롭게 건립된 것이다.[4]

일본에서는 소림권과 소림사권법이 혼동되기도 하지만, 이 둘은 서로 관련이 없다.[5] 소림사권법은 의화권, 매화권, 백련권 등을 계승하여 발전한 것으로 여겨진다.[5]

3. 주요 인물


  • 바투오(): 소림사를 건립하고 불교를 전파한 승려이다.
  • 달마: 선불교를 중국에 전파한 인물로 여겨지며, 중국 선불교의 초대 조사로 존경받는다.[1] 일본에서는 달마로 알려져 있다. 소림쿵후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20세기에 퍼진 17세기의 근거 없는 전설에서 유래했다.[2]
  • 혜광과 승수: 바투오의 첫 번째 중국인 제자들로, 모두 뛰어난 무술 실력을 갖추었다는 역사적 기록이 있다. 승수의 석장 기술과 맨손 타격 기술은 중국 불교 경전에도 기록되어 있다.
  • 티엔위안: 1553년 7월 21일, 왜구 해적 집단을 격파하고 생존자들을 10일 동안 약 32.19km 이상 추격했다.

4. 특징

소림 무술 시범을 보이는 소림 승려들


쿵푸는 몸과 마음을 모두 단련시킨다는 유명한 말이 있다.

소림쿵후는 방어와 공격 기술을 모두 가르친다. 방어 기술에는 회피, 막기, 잡기, 받아치기가 있으며, 공격 기술에는 페인트, 타격, 조르기, 던지기가 있다. 이러한 기술은 2인 수련을 통해 배우며, 공격과 방어가 번갈아 가며 수행되는 형태를 통해 기술의 암기와 전수를 돕는다.[1]

황종희는 1669년에 무술을 소림 또는 "외가" 무술과 무당 또는 ''내부'' 무술로 구분했다. 이후 소림은 외가 중국 무술의 대명사가 되었지만, 중국 무술의 내·외가 시스템 간 차이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태극권 스승 오감천은 소림권 수련자들이 힘과 기세로 훈련하여 쉽게 지치는 반면, 태극권은 몸과 마음의 고요함을 추구한다고 설명한다.

4. 1. 신체 단련

쿵푸는 몸과 마음을 모두 단련시킨다는 유명한 말이 있다.

신체 단련 운동은 유연성, 균형, 경도, 힘, 속도, 신체 조절 능력 등 신체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운동들을 통틀어 민간에서는 '72예(藝)'라고 부른다.[1] 하지만 실제 운동의 종류는 정확히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1]

4. 2. 전투 기술

쿵푸는 방어와 공격 기술을 모두 가르친다. 방어 기술은 회피, 막기, 잡기, 받아치기의 네 가지 유형이 있으며, 공격 기술은 페인트, 타격, 조르기, 던지기가 있다. 소림쿵푸는 이러한 모든 유형의 기술을 가르친다.[1]

쿵푸에서 기술은 2인 수련을 통해 배운다. 한쪽은 공격하고 다른 쪽은 방어하거나 반격하며, 또는 다른 쪽이 기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세를 취한다. 소림쿵푸에서는 2인 1조 형태도 가르치는데, 공격과 방어가 번갈아 가며 수행된다. 각 기술은 그 반격으로 이어지고, 그 반격은 다시 그 반격으로 이어지는 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형태는 기술의 완벽한 암기와 세대 간의 정확한 전수를 보장한다.[1]

4. 3. 내가와 외가

황종희는 1669년에 무술을 소림 또는 "외가" 무술과 무당 또는 ''내부'' 무술로 구분하여 설명했다. 그 이후로 소림은 특정 스타일이 소림사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외가 중국 무술로 간주되는 것과 동의어가 되었다. 일부에서는 중국 무술의 소위 내부 및 외부 시스템 간의 차이가 없다고 말하며, 다른 유명한 스승들은 그것들이 다르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태극권 스승 오감천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소림권을 수련하는 사람들은 힘과 기세로 뛰어다닌다. 이러한 훈련에 능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곧 숨이 차고 기진맥진해진다. 태극권은 이것과 다르다. 몸, 마음, 의도의 고요함을 추구하라.

5. 주요 유파

소림쿵후는 수백 개 이상의 유파와 수천 개의 타오루(套路, tàolù)를 가지고 있어 세계에서 가장 큰 무술 학교 중 하나로 여겨진다. 청나라(1644~1911) 시대에 소림 승려들은 소림쿵후의 최고 스타일 100개를 선정했고, 그중 가장 유명한 18개를 추렸다. 그러나 모든 소림 승려 계보는 자체적인 스타일을 선택해왔다. 모든 스타일은 하나 또는 소수의 형식을 통해 싸움(散打|sàndǎ중국어)과 건강 유지를 위한 독특한 방법을 가르친다.

소림쿵후의 주요 유파는 다음과 같다.


  • 숭산 소림사와 그 근교:
  • 소홍권(小洪拳)
  • 대홍권(大洪拳)
  • 나한권(羅漢拳)
  • 매화권(梅花拳)
  • 조양권(朝陽拳)
  • 통배권
  • 연환권(連環拳)
  • 북파 소림권:
  • 북파 당랑권
  • 연청권
  • 응조번자권
  • 후권
  • 매화권
  • 남파 소림권:
  • 백학권
  • 홍가권
  • 영춘권
  • 채리불
  • 기타:
  • 나한 18수(羅漢十八手, luóhàn shíbā shǒu): 가장 오래된 스타일로 알려져 있다.
  • 칠성 & 장호심의문권(七星 & 长护心意门拳, qī xīng & cháng hù xīn yì mén quán)
  • 포권(炮拳, pàoquán): 스타일의 왕으로 알려져 있다.
  • 취권(醉拳, zuìquán)

6. 한국 문화와 소림쿵후

소림쿵후는 한국 불교와 함께 전래되어 한국 무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신라 시대 화랑도는 불교의 호국 정신과 소림쿵후의 무예 정신을 결합하여 독특한 무술 문화를 형성했다. 조선 시대에는 임진왜란명나라 군대의 곤술이 조선군에 전해지면서 소림 무술이 더욱 널리 퍼졌다. 현대 한국에서는 태권도, 합기도 등 다양한 무술에서 소림쿵후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7. 대중 문화

소림쿵후는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초에는 《소림 36방》, 《소림사》, 《소림 목인항》과 같은 영화들이 제작되었다. 현대 영화로는 《소림축구》와 《신 소림사》가 있다.[6]

소림쿵후는 우탱 클랜을 비롯한 여러 래퍼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게임 《모탈 컴뱃》의 주인공 류강이 사용하는 파오추이, 채리폿, 원후권, 용권 기술은 소림쿵후에서 파생되었다.[6] 로그라이크 게임 넷핵에는 소림 승려가 사무라이와 함께 등장하는데, 이들은 게임 내에서 가장 강력한 무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니켈로디언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아바타: 아앙의 전설》에서 "불의 제어"는 소림 무술 동작을 기반으로 한다. 데이비드 캐러딘이 주연한 ABC TV 시리즈 《쿵푸》(1972-1974)는 미국 TV 시청자들에게 소림쿵후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haolin Kung fu's Indian Connection https://web.archive.[...] 2020-05-15
[2] 간행물 The Chinese Martial Arts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themartialsch[...]
[3] 서적 Martial Art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ABC-CLIO
[4] 웹사이트 Shaolin kungfu https://www.shine.cn[...] 2017-01-20
[5] 웹사이트 Cheena di | Martial Arts Database http://www.mardb.com[...] 2017-12-10
[6] 웹사이트 Shaolin, the Influence - Video Games https://depts.washin[...] 2023-08-13
[7] 문서 創始者である宗道臣が中国大陸在留中に指導を受けた各種の技法(北少林義和門拳、梅花拳ほか)をもとに、また不遷流ほか日本の古武道、現代武道などを参考にして再編成された。少林寺拳法は日本発祥の武道で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