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름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름반은 말레이시아의 네게리슴빌란 주의 주도로, 쿠알라룸푸르에서 남쪽으로 약 6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링기 강 계곡에 자리 잡고 있으며, 열대 기후를 보인다. 주석 채굴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제조업이 경제의 중심이다. 미낭카바우 문화의 중심지이며, 말레이, 중국, 인도 요리가 융합된 음식이 유명하다. 뚜앙쿠 압둘 라흐만 스타디움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으며, 부킷팅기, 이즈미시, 동관시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주도 - 조호르바루
조호르바루는 말레이시아 반도 남단에 위치한 조호르주의 주도로, 영국과의 관계를 통해 발전하여 금융, 상업, 관광 등 다양한 산업을 가지고 있으며, 싱가포르와 경제적으로 연관되어 있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도시이다. - 말레이시아의 주도 - 이포
이포는 말레이시아 페락 주에 위치한 도시로, 주석 광산 발견으로 급성장하여 영국 식민지 시대 호황을 누렸으나, 현재는 다각화된 산업구조와 관광 산업을 통해 경제를 재건하고 있으며, 높은 중국계 인구 비율과 독특한 문화, 역사적 건축물을 특징으로 한다. - 말레이시아의 도시 - 조호르바루
조호르바루는 말레이시아 반도 남단에 위치한 조호르주의 주도로, 영국과의 관계를 통해 발전하여 금융, 상업, 관광 등 다양한 산업을 가지고 있으며, 싱가포르와 경제적으로 연관되어 있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도시이다. - 말레이시아의 도시 - 쿠알라룸푸르
쿠알라룸푸르는 말레이시아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 주석 채굴을 위한 중국인 정착지에서 시작되어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말레이시아 수도가 되었고, 급속한 도시 발전과 함께 동남아시아 주요 도시로 자리매김하며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스름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스름반 시 (City of Seremban), 믈라유어: 반다라야 스름반 |
별칭 | S'ban, 반다라야 브라닷 ('관습의 도시') |
표어 | 믈라유어: Mampan. Bersih. Sejahtera. (지속 가능. 깨끗함. 번영.) |
![]() | |
![]() | |
지리 좌표 | 북위 02° 43′ 20″, 동경 101° 56′ 30″ |
시간대 | MST (UTC +8) |
평균 태양시 | UTC + 06:46:48 |
행정 구역 | |
주 | 느그리슴빌란주 |
구 | 스름반 |
루악 | [[File:Flag of Sungei Ujong.svg|border|25px]] 순가이 우종 |
시장 | 마스리 라잘리 |
역사 | |
설립 | 1840년 |
지방 정부 설립 | 1897년 |
도시 위원회 설립 | 1946년 |
도시 자치 지위 획득 | 1953년 |
시 지위 획득 | 2020년 1월 20일 |
인구 | |
총 인구 (2015년) | 620,100명 |
도시 인구 (2010년) | 824,300명 |
인구 밀도 | 1266.51명/km² |
거주민 | 스름반 시민 |
지리 | |
면적 | 959km² |
고도 | 79m |
식별 번호 | |
우편 번호 | 70000 (스름반 시내), 70100 (라항 및 두순 니요르), 70200 (로박), 70300 (맘바우, 스름반 2, 스름반 3), 70400 (암팡안, 시카맛), 70450 (스나왕), 71200 (란타우), 71450 (타만 투안쿠 자파르, 순가이 가두트), 71700 (만틴), 71750 (반다르 타식 스나긴, 캄풍 순가이 자이-느그리슴빌란, 브로가-느그리슴빌란), 71760 (반다르 엔스텍), 71770 (판타이), 71800 (닐라이), 71900 (라부), 71950 (반다르 스리 스다얀) |
전화 번호 | 06 |
차량 번호판 접두사 | Nxx (택시 포함 모든 차량) |
ISO 3166-2 | MY-05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스름반 시 공식 웹사이트 |
주요 시설 및 랜드마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지리
스름반은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남쪽으로 약 60km, 행정 수도 푸트라자야에서 남쪽으로 50km 떨어져 있으며, 말라카 해협 해안에서는 내륙으로 약 30km 거리에 있다. 말레이시아 비전 밸리 회랑과 국가 성장 도시권의 일부이며, 쿠알라룸푸르 광역시 대도시 지역의 남쪽 끝으로 여겨진다.[14][15]
지리적으로 스름반은 링기 강 계곡에 자리 잡고 있으며, 티티왕사 산맥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지형은 대체로 구릉 지대이고, 토양은 주로 붉은색 라테라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토양 조건은 고무나무와 팜유(야자나무) 재배에 적합하여 스름반을 주의 주요 농업 중심지로 만들었다.
스름반 설립 이후 링기 강은 도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과거 주석 채굴이 활발했던 시기에는 주석 상인들의 주요 운송로로 이용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스름반 대도시 지역과 네게리슴빌란 주의 중요한 수원 중 하나이다. 또한, 스름반은 리조트 도시인 포트딕슨과도 가깝다.
2. 1. 기후
스름반의 기후는 말레이시아 반도 대부분 지역처럼 열대 기후에 속하여 일반적으로 덥고 습하며, 연평균 기온은 약 26°C~30°C이다. 강수량은 주로 4월과 10월의 계절풍 전환기에 집중되며, 나머지 기간은 비교적 건조한 편이다.
3. 역사
스름반은 원래 '''Sungai Ujong|숭아이 우종msa'''이라는 이름으로 세워졌다. 도시 이름이 스름반으로 바뀌었지만, 숭아이 우종이라는 이름은 여전히 도시 남쪽 도로명(Jalan Sungai Ujong|잘란 숭아이 우종msa) 등에 남아있다. 또한, 네그리슴빌란을 구성하는 아홉 개의 루악(luak, 부족 연맹 지역) 중 하나의 이름이기도 하며, 이 루악은 현재의 스름반 지구뿐만 아니라 인근 포트딕슨 지구까지 포함한다.
중국계 공동체 사이에서는 광둥어로 '푸융'(fùhyùhng|푸융yue), 표준 중국어로는 '푸룽'(fúróng|푸룽cmn, 芙蓉)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우종(Ujong)'을 음차한 것으로, 특히 광둥어 발음에서 유래했다. '푸룽'은 히비스커스를 의미하기도 한다.
숭아이 우종은 더 오래된 이름인 '''Sening Ujong|스닝 우종msa'''으로도 알려진 고대 마을이었다. 말레이 연대기에 따르면, 파라메스와라 왕이 싱가푸라에서 도망친 후 말라카 왕국을 세우기 전에 스닝 우종을 방문했다고 한다. 이 지역은 자바어 기록인 ''나가라크레타가마''에서는 '''Sang Hyang Ujong|상 히양 우종jav'''으로, 1613년 고디뉴 드 에레디아(Godinho de Erédia)의 지도에는 '''수네우존'''(Suneujon)으로 기록되어 있다.[6]
말레이 반도의 다른 주요 도시들처럼 스름반은 1870년대 인근 라사(Rasah) 지역에서 주석 광맥이 발견되면서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주석 광산에서 일하고 교역하기 위해 아랍인, 말레이인, 중국인 이민자들이 몰려들었다. 당시 현지 말레이인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스름반으로 이름이 바뀐 이 도시는 주석 광산 지역일 뿐만 아니라 중요한 상업 중심지로 번영했다. 링기 강(Linggi River)은 주석과 각종 물품을 도시 안팎으로 운송하는 주요 통로 역할을 했다. 수입은 주석 무역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금 징수를 통해서도 이루어졌는데, 이는 인근 항구 도시 말라카의 상인들과 영국 식민지 당국의 불만을 샀다.
당시 숭아이 우종 지역의 현지 수장인 다토 켈라나(Dato' Kelana)와 다토 샤반다르(Dato' Shahbandar)는 세금 징수권과 광산 소유 및 통제권을 두고 서로 대립했다. 이들의 권력 다툼은 결국 네그리슴빌란에 대한 영국의 개입을 불러왔다. 영국은 다토 켈라나의 편을 들어 군사적으로 지원했고, 다토 샤반다르의 군대를 물리쳤다. 패배한 다토 샤반다르는 이후 싱가포르로 추방되었다. 전쟁 승리를 도와준 대가로 다토 켈라나는 영국의 요구를 받아들여, 종교와 말레이 관습을 제외한 모든 문제에 대해 조언하는 영국 주재관(Resident)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초대 영국 주재관으로는 머레이(Murray) 선장이 임명되었고, 그는 현재 '잘란 다토 시아망 가갑'(Jalan Dato' Siamang Gagap)으로 이름이 바뀐 체너 로드(Channer Road)에 거주지를 마련했다. 이후 라사 주변에 살던 주민들은 안전과 질서 있는 행정을 찾아 체너 로드 근처로 이주하기 시작했다.[7]
3. 1. 도시 지위 획득 과정 (2012-2020)
2020년 이전까지 스름반은 도시 지위(Bandar rayamsa)를 얻지 못한 말레이시아의 네 개 주도 중 하나였다. 다른 세 곳은 코타바루(켈란탄주), 쿠안탄(파항주), 캉가르(프르리스주)이다. 도시 지위를 얻기 위해 주 정부는 니라이 시의회와 스름반 시의회의 합병에 동의했으며, 이 결정은 2012년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8]
당시 멘테리 베사르(주지사) 다툭 세리 모하마드 하산은 투안쿠 무크리즈의 생일을 맞아 "주 정부는 모든 필요한 인프라, 대중교통, 편의시설 및 서비스(쓰레기 수거 및 안전한 이웃 포함)가 갖춰진 후에야 그렇게 할 것이라고 확신했다"고 언급하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9]
2017년 12월 13일, 당시 네게리슴빌란주의 멘테리 베사르 모하마드 하산은 스름반이 2018년에 도시 지위를 얻을 것이라고 밝혔다.[10] 이를 위해 스름반 시의회와 니라이 시의회를 합병하여 새로운 지방 자치 단체인 스름반 시의회를 구성할 계획이었다.[11] 그는 이 합병이 직원 감축이나 부과금 인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며, 요금 인상이 도시 지위 획득의 전제 조건이 아님을 강조하며 "따라서 저는 2018년 네게리슴빌란의 부과금이 인상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합니다."라고 덧붙였다.[10]
2018년 2월에는 스름반 시청(Dewan Bandaraya Serembanmsa) 설립 계획이 발표되었고, 4월 완공을 목표로 했다. 스름반의 도시 지위 공식 선포는 당초 2019년 1월 14일, 주 통치자 투안쿠 무흐리즈의 생일에 맞춰 이루어질 예정이었다.[12] 그러나 14차 총선 이후 정권이 교체되고 새로운 주 정부가 들어서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새로운 멘트리 베사르 아미누딘 하룬은 시청 개조 공사가 제때 완료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공식 승격을 연말로 연기했다. 이 결정은 스름반의 부족한 인프라와 편의시설을 개선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되었다.[13]
결과적으로 스름반 시의회(Majlis Perbandaran Serembanmsa)와 니라이 시의회(Majlis Perbandaran Nilaimsa)는 2020년 1월 1일에 공식적으로 통합되어 새로운 행정 기관인 스름반 시의회(Majlis Bandaraya Serembanmsa)가 출범했다. 이후 2020년 1월 20일에 열린 선포식을 통해 스름반은 공식적으로 도시 지위를 획득했다.[5]
4. 행정 구역
스름반은 크게 도심 지역(Inner Seremban)과 외곽 지역(Outer Seremban)으로 나뉜다.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남쪽으로 약 60km, 행정 수도 푸트라자야에서 남쪽으로 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말레이시아 비전 밸리 회랑과 국가 성장 도시권의 일부이다. 스름반은 쿠알라룸푸르 광역시 대도시 지역의 남쪽 끝으로 여겨진다.[14][15] 스름반은 링기 강 계곡에 자리 잡고 있으며, 티티왕사 산맥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스름반의 행정 구역은 도심과 외곽으로 구분되며, 각 지역에 속하는 상세 구역은 하위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4. 1. 도심 지역 (Inner Seremban)
- 스름반
- 라사
- 라사 자야
- 라항
- 맘바우
- 세나왕
- 테미앙
- 로박
- 파로이
- 부킷 체당
- 부킷 블로섬
- 스름반 2
- 라사 케마얀
- 암팡안
- 오클랜드
- 부킷 케파양
- 케마얀
- 시카맷
- 스름반 3
- 페르마이 정원

스름반 2는 기존 스름반 시내 중심지에서 남동쪽으로 약 4km 떨어진 새로운 위성 도시이다. 북남고속도로 서쪽에 위치한 스름반 2는 과거 팜유 농장 부지에 조성된 계획 도시로, 혼잡한 구시가지에서 행정 및 상업 지구를 보다 체계적인 지역으로 이전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약 8km2의 부지에 걸쳐 조성된 스름반 2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들어서 있다.
- 스름반 지구 행정 사무소
- 스름반 법원 단지
- 지구 경찰 본부
- 주립 소방 구조대 본부
20억말레이시아 링깃 규모의 이 도시는 그린 스트리트 홈즈, 스리 카르코사, 센트럴 파크, 에메랄드 파크, 가든 홈즈, 가든 애비뉴, 가든 시티 홈즈, 비전 홈즈, S2 하이츠, 파크 애비뉴, 펄 132 등 스름반 2 내외의 다양한 주택 단지 프로젝트를 통해 스름반 인구의 상당 부분을 수용하고 있다.
이곳 주민들은 애온 세렘반 2 쇼핑센터, 시티 파크, 스름반 2의 자체 호수 정원 등 다양한 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심보다 교통 체증이 훨씬 적다.[28]

4. 2. 외곽 지역 (Outer Seremban)

- 닐라이
- 닐라이 신도시
- 란타우
- 만틴
- 수가이가두트
- 라부
- 렝겐
- 타만 스름반 자야
- 스름반 남부 신도시 (Bandar Seremban Selatan)
- 타만 투앙쿠 자파르
- 스름반 2 하이츠 (Seremban 2 Heights)
- 반다르 스리 센다얀
- 반다르 아인스데일
- 가동 자야 (Gadong Jaya)
- 반다르 엔스텍
- 판타이
- 울루 베라낭 (Ulu Beranang)
- 파잠
5. 인구
202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스름반 행정구역에는 약 70만 명이 거주하며,[18][19] 이는 느그리슴빌란주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인구 구성은 부미푸테라(Bumiputera) 56.4%, 중국계 26.2%, 인도계 17%, 기타 0.5%(비시민권자 제외)이다. 비시민권자는 41,026명이 추가로 있다.[20]
2010년 스름반 인종 구성[20] | ||
---|---|---|
민족 | 인구 | 비율 |
부미푸테라(Bumiputera) | 290,282 | 52.2% |
중국계(Chinese) | 134,572 | 24.2% |
인도계(Indian) | 87,663 | 15.8% |
기타 | 2,392 | 0.4% |
비시민권자 | 41,026 | 7.4% |
총계 | 544,935 | 100% |
6. 문화
역사적으로 느그리 슴빌란은 미낭카바우의 영향을 받았으며, 따라서 스름반은 말레이시아에서 미낭카바우 문화의 중심지이다. "이기는 물소"라는 뜻을 가진 미낭카바우인들은 물소 뿔을 닮은 독특한 지붕 건축 양식으로 유명하다. 스름반의 많은 건물, 예를 들어 시의회 청사, 느그리 슴빌란 주 정부 청사인 위스마 느그리(Wisma Negeri), 주립 박물관 등에서 이러한 특징적인 건축 양식을 찾아볼 수 있다.
느그리 슴빌란 주민들은 또한 ''아다트 페르파티''(Lareh Bodi Caniagomin)라 불리는 모계 사회 관습을 실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관습으로 인해 느그리 슴빌란은 말레이시아에서 유일하게 모계 사회 전통을 따르는 주(州)가 되었다. 말레이시아의 다른 대부분 주들은 부계 사회 관습인 ''아다트 떼멩궁''을 따른다.
6. 1. 스포츠

스름반은 현재 느그리 슴빌란 FC 축구팀의 홈구장 역할을 하고 있다. 이 팀은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1부 리그에서 느그리슴빌란 주를 대표한다. 홈 경기는 4만 5천 명 수용 규모의 뚜앙쿠 압둘 라흐만 스타디움에서 치르는데, 이 스타디움은 도시 동쪽 외곽 파로이(Paroi)에 위치해 있다.
6. 2. 음식


스름반은 말레이시아 요리의 용광로로, 말레이 요리, 중국계 말레이시아 요리, 인도계 말레이시아 요리가 서로 섞여 있다. 느그리슴빌란 주 말레이인의 요리는 미낭카바우 요리의 영향을 크게 받아 전통 음식들이 인도네시아 서수마트라 주의 음식과 비슷하다. 지역 요리 중 하나는 마삭 레막 칠리 아피(Masak lemak cili apims)로, 강황과 칠리 파디(쥐똥고추)를 섞은 코코넛 밀크 소스에 생선이나 고기를 익힌 음식이며, 느그리슴빌란 주에서 가장 유명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스름반은 뚜안쿠 무나위르 거리(Jalan Tuanku Munawirms)를 따라 많은 음식점이 있는 구운 게(芙蓉烧蟹(정체자: 芙蓉燒蟹, 병음: Fúróng shāo xiè)중국어)와[21] 특히 여러 세대에 걸쳐 내려온 소고기 국수(牛腩粉(병음: Niúnǎn fěn)중국어) 노점으로 유명하다.[22] 오늘날 이 소고기 국수는 걸쭉하고 매끄러운 국물과 후추 향이 나는 끈적한 소스에 땅콩, 절인 채소, 쪽파, 참깨를 뿌린 독특한 맛으로 주 외곽에서 온 관광객들을 스름반으로 불러 모은다.
예상(鱼生(정체자: 魚生, 병음: Yúshēng)중국어)은 춘절에 인기 있는 정교한 생선회 샐러드로, 스름반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으며,[23][24][25] 이는 스름반에 광둥인이 많이 거주하기 때문이다. 스름반의 또 다른 유명한 광둥식 음식인 시우 파우(芙蓉烧包(정체자: 芙蓉燒包, 병음: Fúróng shāobāo)중국어)는 찐 대신 구운 차시우바우의 변형이다. 이 빵에는 바비큐 고기, 전통적으로 돼지고기, 그리고 할랄 대안으로 닭고기가 들어 있다.[26]
지역 디저트로는 갈색 설탕 시럽과 장미 향을 낸 빙수에 옥수수와 콩을 넣은 아르 바투 캄푸르(air batu campurms)와 첸돌이 있다. 현재 스름반의 첸돌은 페낭의 유명한 타이완식 첸돌보다 낫다고 알려져 있다.
7. 경제
스름반이 속한 느그리슴빌란주 경제의 중추는 제조업이다. 제조업은 주 국내총생산(GDP)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며, 일본, 한국, 미국, 유럽 연합 등 여러 다국적 기업들이 이곳에 제조 시설을 두고 있다. 제조업 다음으로는 서비스업 및 관광업(40.3%), 농업(6%), 건설업(2.2%), 광업(0.3%) 순으로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9]
7. 1. 상업




스름반은 느그리슴빌란주 대부분의 도시와 마을 주민들이 이용하는 상업 중심지이다. 주말에는 외곽 지역 주민들이 통근열차나 버스를 타고 스름반으로 와서 쇼핑을 한다. 암웨이(Amway)는 유통업체와 고객에게 새로운 쇼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2008년 8월 스름반에 첫 콘셉트 매장을 열었다.[30]
1996년에 건립된 터미널 원 쇼핑센터(Terminal One Shopping Centre)는 스름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다.[31][32] 스름반의 주요 쇼핑 명소 중 하나는 AEON 스름반 2(AEON Seremban 2)이다. 이 매장은 2010년 2월 AEON이 스름반 포레스트 하이츠에 있던 기존 까르푸 자리에 AEON 빅(AEON BiG)을 열기 전까지 느그리슴빌란 주에서 유일하게 운영되던 AEON 매장이었다. 이후 AEON 빅 매장은 스름반과 니라이의 두 시정부가 합병하여 새롭게 설립된 스름반 시의회 청사로 개조되었다.
터미널 원과 AEON 외에도 시내 중심가에는 위스마 푼차 에마스(Wisma Punca Emas), KM 플라자(KM Plaza), 더 스토어(The Store), 팜 몰(Palm Mall), 에라 스퀘어(Era Square), 그리고 기존 스름반 퍼레이드(Seremban Parade)를 대체한 팍슨 스름반 프리마(Parkson Seremban Prima) 등 여러 쇼핑 매장이 밀집해 있다. 또한 니라이 지역에도 AEON 니라이(AEON Nilai)와 메사몰(MesaMall)과 같은 새로운 쇼핑몰들이 문을 열었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말레이시아의 주요 하이퍼마켓 체인인 자이언트 하이퍼마켓(Giant Hypermarket), 로터스(Lotus's), 에콘세이브(Econsave), 그리고 2개의 매장을 운영하는 마이딘(Mydin)도 스름반에 진출했다.
쇼핑 단지 외에도 스름반에는 타만 AST(Taman AST), 에라 스퀘어, 퍼마이 애비뉴(Permai Avenue), 오클랜드(Oakland), 케마얀 스퀘어(Kemayan Square) 등 여러 상업 지구가 있다.
스름반 시의회는 지역 생산품 판매를 위해 특정 구역을 지정하기도 했다. 골동품, 섬유, 직물, 수공예품 등이 주요 품목이다. 잘란 우탐 싱(Jalan Utam Singh)은 주말 아침 벼룩시장으로 지정되었다.[33] 2009년에는 잘란 드. 무루게수(Jalan Dr. Murugesu)에 '''수게이 우종 워크'''(Sungei Ujong Walk)가 문을 열었다. 이곳은 믈라카의 유명한 존커 스트리트를 모델로 하여 72개의 상점과 30개의 식음료 판매 공간을 갖추고 있다. 나머지 공간은 공연 및 문화 행사를 위한 무대로 사용되며, 야간 분위기를 살리고 주변 지역을 활성화하는 장소로 기획되었다.[34]
8. 교통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으며, 상세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8. 1. 철도

철도 연결은 1890년대 후반 쿠알라룸푸르–싱가포르 본선의 정차역으로 처음 건설되었으며, 현재도 스름반 기차역은 본선을 따라 주요 정차역 중 하나로 기능한다. 이 역은 또한 말레이시아철도 전철 통근 네트워크인 KTM 코무터의 남쪽 종착역으로, 스름반선을 통해 쿠알라룸푸르와 클랑밸리를 스름반과 연결한다.[17]
2015년 10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코무터 서비스는 게마스까지 연장되었지만, 승객들은 스름반에서 내려 게마스 연장선으로 열차를 갈아타야 했다(탄중말림–라왕 구간과 유사). 그러나 2016년 이후 모든 KTM 코무터 열차는 스름반에서 환승할 필요 없이 수가이 가두트 또는 풀라우 세방-탐핀까지 운행한다.
스름반역은 말레이시아 철도 서해안선에 있으며, KTM 인터시티와 KTM 코무터 라왕~스름반 노선이 운행된다. 코무터 노선은 쿠알라룸푸르와 연결되며, 쿠알라룸푸르 중앙역에서 약 100분 정도 소요된다.
8. 2. 도로


말레이시아 연방 도로 1호선은 말레이시아 서해안 도시들을 연결하는 가장 오래된 도로로, 스름반을 통과한다. 이 도로는 스름반을 남쪽의 렘바우 및 탐핀과 연결하고, 북쪽으로는 셀랑고르주의 카장과 연결한다.
또한 스름반은 여러 연방 도로를 통해 주변 지역과 연결된다. 말레이시아 연방 도로 86호선을 통해 쿠알라 클라왕으로, 말레이시아 연방 도로 51호선을 통해 동쪽의 쿠알라 필라로 갈 수 있다. 서쪽 해안 도시인 포트딕슨으로는 말레이시아 연방 도로 53호선 또는 SPDH를 이용할 수 있다.
주요 고속도로망도 스름반을 지난다. 북남 고속도로는 4개의 출구를 통해 스름반으로 진입할 수 있다:
- 217번 출구 (반다르 아인스데일)
- 218번 출구 (스름반)
- 219번 출구 (스름반-포트딕슨)
- 220번 출구 (세나왕)
LEKAS 고속도로는 셀랑고르주의 카장과 스름반 동쪽 끝의 파로이를 연결한다.
그 외에도 잘란 라부 연방 도로 362호선은 스름반을 라부 및 닐라이와 연결하고, 잘란 수응이 우종 연방 도로 241호선은 스름반 2와 반다르 스리 센다얀을 연결한다.
스름반은 쿠알라룸푸르 중심부에서 약 45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8. 3. 항공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9. 관광
스름반 시내의 개방된 땅이었던 이곳은 오랫동안 시민들의 불만 대상이었으나, 최근 새로운 모습을 갖추었다. 과거에는 세렘반 시 중심부에 모기 서식지로 여겨질 만큼 황폐하고 방치된 상태였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
최근 세렘반 시의 주요 입구를 장식하는 세렘반 광장(Dataran Serembanms)이 주목을 받으며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다. 세렘반 광장에는 높이 약 30.48m의 깃대에 말레이시아 국기가 게양되어 있다. 세렘반 시의회는 2008년 5월 운영을 시작한 세렘반 광장이 현재뿐 아니라 미래 세대를 위한 귀중한 유산으로서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계속해서 이용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Jalan Jelebums 거리에 있는 젤리타 타조 쇼 농장은 가족 레크리에이션 센터로 유명하며, 사육 활동뿐 아니라 타조 종의 모든 특징을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게리 슴빌란 박물관은 1953년에 설립되었다. 당시 네게리 슴빌란의 8대 군주였던 툰쿠 압둘 라흐만이 쿨라 필라에 있던 암팡 팅기 궁전을 세렘반의 타만 분가(Jalan Dato' Hamzahms)로 이전하여 주립 박물관으로 전환하는 데 동의하면서 세워졌다.
스름반 호수 공원은 스름반에 있는 대표적인 레크리에이션 및 휴식 공간으로, 특히 공휴일과 주말에 많은 방문객이 찾는다. 이 호수 공원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자연 호수 공원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세렘반 주민들과 도시 사람들은 주말이나 학교 방학 동안 가족과 함께 레크리에이션을 즐기기 위해 S2 시티 공원을 방문한다. 6acre 규모의 이 공원에서는 아름다운 풍경과 함께 하늘을 자유롭게 나는 다채로운 연들을 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 공원은 각 도시를 현대화하고 도시 녹지를 조성하려는 정부의 계획에 따라 조성되었다. 세렘반 시의회는 말레이시아 공원을 세렘반 시의 레크리에이션, 휴식 및 관광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공공 공원 중 하나로 선정하여 개발했다.[27]
방문 성당은 1848년 이후 쿠알라룸푸르 로마 가톨릭 대교구에서 가장 오래된 본당이다. 세렘반 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역사적인 사제관, 방문 홀, 교육 센터, 비즈마 방문 등을 포함한 2acre의 넓은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 신고딕 양식의 건축물은 도시의 중심 랜드마크로 여겨진다.
세렘반 우루 테미앙 언덕 위에는 지네 사원(또는 텐스제 사원)이 있다. 이 사원 경내에서는 지네가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지네를 보면 행운이 따른다는 믿음이 전해진다.
10. 자매 도시
wikitext
11. 저명한 출신 인물
- 시티 노르디아나 シティ・ノルディアナ일본어 - 가수,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Profile of Haji Abd. Halim
http://www.mpsns.gov[...]
2007-06-16
[2]
웹사이트
DataPentingNS2015
http://www.ns.gov.my[...]
2022-03-01
[3]
웹사이트
Metropolitan areas in Malaysia
http://www.world-gaz[...]
[4]
웹사이트
Seremban Urban Area
http://www.statistic[...]
[5]
웹사이트
Seremban diisytiharkan bandar raya
https://www.bharian.[...]
2020-01-20
[6]
논문
Negri Sembilan: The History, Polity and Beliefs of the Nine States
https://archive.org/[...]
Royal Asiatic Society
1933
[7]
웹사이트
Administration in Seremban
http://www.mpsns.gov[...]
[8]
웹사이트
City status for Seremban
http://www.utusan.co[...]
[9]
뉴스
Seremban on the right track
http://thestar.com.m[...]
2011-01-14
[10]
웹사이트
Seremban to get city status in 2018 - MB | New Straits Times
https://www.nst.com.[...]
2017-12-13
[11]
웹사이트
Seremban jadi bandar raya 2018
https://www.bharian.[...]
2017-12-13
[12]
웹사이트
Negri MB: Seremban and Nilai councils to be merged in April | The Star
https://www.thestar.[...]
2018-02-28
[13]
웹사이트
MB: Seremban's city status deferred to end 2019 | The Star
https://www.thestar.[...]
2018-09-05
[14]
웹사이트
Sendayan TechValley
https://techvalley.c[...]
[15]
웹사이트
Kawasan Pertumbuhan Utama Pemangkin Pembangunan Negara
https://planmalaysia[...]
[16]
웹사이트
Climate: Seremban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17]
웹사이트
Commuter service in Seremban
http://www.ktmb.com.[...]
[18]
웹사이트
MyCenDash
https://www.dosm.gov[...]
[19]
웹사이트
Infographics
https://www.mycensus[...]
[20]
웹사이트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alaysia
http://www.statistic[...]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1]
웹사이트
Seremban Baked Crabs
http://www.vkeong.co[...]
[22]
웹사이트
Seremban Beef Noodles
http://www.dslrfancl[...]
[23]
웹사이트
捞生是大马人发明.鱼生2009年已列国家文化食品
https://www.sinchew.[...]
2012-01-16
[24]
서적
A Toss of Yee Sang
[25]
뉴스
Malaysian-Chinese politician's surprising link to a popular raw fish salad
https://www.scmp.com[...]
2021-05-16
[26]
웹사이트
The Legendary of Siew Pau
http://ibridgecamp20[...]
2011-07-30
[27]
웹사이트
Official Portal of Majlis Perbandaran Seremban - Seremban Area
http://www.mpsns.gov[...]
[28]
웹사이트
Seremban 2
http://www.rbland.co[...]
[29]
뉴스
Multi-pronged approach to maintain growth
http://thestar.com.m[...]
2011-01-14
[30]
뉴스
Outlet is direct-selling company's first in the Klang Valley
http://thestar.com.m[...]
2009-08-04
[31]
뉴스
Seremban council takes over bus terminal
http://thestar.com.m[...]
2003-10-16
[32]
웹사이트
Terminal One Shopping Centre
http://www.terminal1[...]
[33]
웹사이트
Keunikan Pasar Warisan
http://www.utusan.co[...]
2009-03-16
[34]
웹사이트
Sungai Ujong Walk bakal tandingi Jonker Street
http://utusan.com.my[...]
2008-12-06
[35]
웹사이트
14th GE Results
https://election.the[...]
[36]
웹사이트
Ahli Dewan Undangan Negeri Sembilan
http://dapmalaysia.o[...]
2013-06-28
[37]
웹사이트
Chris Pillai is first Malaysian mayor of Yorkshire
https://www.thevibes[...]
2021-06-02
[38]
웹사이트
Kota Kembar
http://www.bukitting[...]
Pemerintah Kota Bukittinggi, Propinsi Sumatera Barat
2015-12-21
[39]
웹사이트
Seremban dan Izumi di Jepun kini bandar berkembar
https://www.hmetro.c[...]
Harian Metro
2023-06-15
[40]
웹사이트
Climate: Seremban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20-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