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생태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물생태학은 식물지리학자들이 제기한 질문에 식물생리학을 적용하면서 시작되었다. 카를 루드비히 빌데노프와 알렉산더 폰 훔볼트 등의 연구를 통해 식물 분포와 환경 요인의 연관성이 밝혀졌으며, 20세기에는 생태적 천이 개념이 도입되어 시간의 변화를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식물생태학은 생물 군계와 생태 군집의 분포, 식물 간의 경쟁, 상호주의, 기생, 편리공생, 초식 등 생물학적 상호 작용을 연구하며, 개체군 크기 변화, 번식 방법 등도 다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식물학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생태학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태학 - 먹이 그물
먹이 그물은 생태계 내 생물 간의 복잡한 먹이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망으로, 생태학자들은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에너지와 영양소 흐름을 추적하며, 먹이사슬과 영양 단계, 생태 피라미드 개념과 관련되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물생태학 | |
---|---|
학문 개요 | |
학문명 | 식물생태학 |
영어 | Plant ecology |
연구 분야 | 환경이 식물의 풍부도와 분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문 분야 | 생태학, 식물학 |
주요 개념 | 군집생태학 개체군 생태학 생태계 생물다양성 환경 스트레스 생태적 지위 경쟁 공생 |
파생 분야 | 조경학 농업생태학 생태 복원 보전생물학 |
창시자 | 에른스트 헤켈 |
창시 시기 | 1866년 (생태학 용어 정의) |
관련 직업 | 생태학자 식물학자 환경 과학자 보존 과학자 조경가 |
세부 분야 | |
주요 연구 주제 | 식물 분포 패턴과 풍부도 결정 요인 식물과 환경 간의 상호 작용 식물 군집 구조와 기능 생태계 내 식물의 역할 환경 변화에 대한 식물의 반응 식물 다양성 보전 식물 생태학적 복원 |
연구 방법 | |
조사 방법 | 식생 조사 군집 분석 생태 통계 원격 탐사 |
실험 방법 | 이식 실험 제거 실험 온실 실험 |
주요 학술지 | |
관련 학술지 | Plant Ecology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Functional Ecology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Oecologia |
주요 학자 | |
관련 학자 | 오스만 죔메즈 샤 사우드 데펭 왕 차오 우 무함마드 아드난 베이셀 투란 폴 케디 에른스트 헤켈 아치볼드, O.W. 캐롤 & 솔트 슐체 외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정보 | Archibold, 1995 Carroll & Salt, 2004 Keddy, 2007 Sönmez 외, 2021 Haeckel, 1866 Schulze 외, 2005 |
2. 역사
식물생태학은 식물지리학자들이 제기한 질문들에 식물생리학을 적용하면서 시작되었다.[38][39][10][11] 초기 연구는 알렉산더 폰 훔볼트와 같은 학자들이 식물 분포와 환경 요인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후 에우게니우스 바르밍과 안드레아스 쉼퍼 등에 의해 학문적 체계가 잡히기 시작했으며,[10][2] 헨리 챈들러 카울스와 프레데릭 클레멘츠는 생태적 천이 개념을 도입하여 식물 군집의 동적인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10] 20세기에는 영국 생태학회(BES)와 미국 생태학회(ESA) 같은 전문 학회가 설립되면서 학문 공동체가 형성되고 연구가 더욱 활발해졌다.[12][10] 식물 생태학의 구체적인 발전 과정은 아래 하위 항목들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초기 식물 생태학
식물생태학은 식물지리학자들이 제기한 질문들에 식물생리학을 응용한 것에서 비롯되었다.[38][39][10][11]
카를 루드비히 빌데노프는 서로 다른 지역이라도 기후가 비슷하면 유사한 유형의 식생이 나타난다는 점을 처음으로 주목한 학자 중 한 명이다. 빌데노프의 제자인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식물상을 이용하여 식생 유형을 설명하고, 식생 분포가 환경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실을 관찰하며 식물 생태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훔볼트의 연구를 이어받은 후대의 식물 지리학자들로는 요아킴 프레데릭 쇼우, A.P. 드 캉돌, 아우구스트 그리세바흐, 안톤 케르너 폰 마릴라 운 등이 있다.
쇼우는 1822년 연구를 통해 식물 분포와 환경 요인(특히 온도)의 연관성을 밝혔고, 지배종 이름에 ''-etum''이라는 접미사를 붙여 식물 군집의 이름을 짓는 방식을 확립했다. 드 캉돌은 표본관 수집품 연구를 통해 식물 분포의 일반적인 규칙을 찾고 온도 변화의 영향을 분석했다.[2] 그리세바흐는 1872년에 출판된 두 권짜리 저서 ''Die Vegetation der Erde nach Ihrer Klimatischen Anordnung''을 통해 식물 지리학을 설명적인 학문 분야로서 완성 단계에 이르게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0]
1870년대부터 스위스 식물학자 시몬 슈벤데너와 그의 동료들은 식물 형태학과 생리적 적응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이후 에우게니우스 바르밍의 ''Plantesamfund''(1895년 출판)와 안드레아스 쉼퍼의 ''Pflanzengeographie auf Physiologischer Grundlage''(1898년 출판)와 같은 초기 생태학 교과서들의 토대가 되었다.[10] 특히 바르밍은 식물 형태학, 생리학, 분류학, 생물지리학을 식물 지리학과 성공적으로 통합하여 식물 생태학이라는 독립된 학문 분야를 창시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쉼퍼의 저서는 생리학보다는 형태학에 더 중점을 두었지만, 식물 생리 생태학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는다.[2]
2. 2. 생태학 교과서의 등장
1870년대부터 스위스 식물학자 시몬 슈벤데너는 그의 제자 및 동료들과 함께 식물 형태학과 생리적 적응 사이의 연관성을 확립하여, 최초의 생태학 교과서 등장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10] 대표적인 초기 교과서로는 1895년에 출판된 에우게니우스 바르밍의 ''Plantesamfund''와 1898년에 나온 안드레아스 쉼퍼의 ''Pflanzengeographie auf Physiologischer Grundlage''가 있다.[10]바르밍은 식물 형태학, 생리학, 분류학 및 생물지리학을 성공적으로 식물 지리학에 통합하여 식물 생태학 분야를 창출했다. 쉼퍼의 저서는 생리학적 측면보다는 형태학적 측면에 더 가까웠지만, 식물 생리 생태학의 시작으로 여겨진다.[2]
2. 3. 생태적 천이 개념의 도입
초기 식물 생태학은 주로 종 분포를 정적인 상태로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물 군집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중요해지면서 천이(succession)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 개념은 식물 군집의 변화 과정을 시간의 흐름 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로, 식물 생태학 연구에 동적인 관점을 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생태적 천이 개념을 식물 생태학의 주요 연구 분야로 정립하는 데 헨리 챈들러 카울스와 프레데릭 클레멘츠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카울스는 미시간 호 인근의 모래 언덕에서 식물 군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정한 순서로 변화하는 과정을 상세히 연구하여 1899년에 발표했다. 그의 연구는 실제 자연 환경에서 천이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이어 프레데릭 클레멘츠는 1916년에 천이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 보고서(모노그래프)를 출간하며, 천이 개념을 식물 생태학의 핵심 이론으로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10] 이들의 선구적인 연구는 식물 군집의 역동성과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후 생태학 연구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4. 20세기 이후의 발전
식물 생태학은 20세기에 걸쳐 더 넓은 생태학 분야 안에서 발전했다. 에우게니우스 바르밍의 ''Plantesamfund''에서 영감을 받은 아서 탄슬리는 영국의 식물 군락을 지도화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1904년, 그는 윌리엄 가드너 스미스 및 식생 지도 제작에 참여한 다른 학자들과 함께 영국 식생의 조사 및 연구를 위한 중앙 위원회(Central Committee for the Survey and Study of British Vegetation)를 설립했으며, 이는 나중에 영국 식생 위원회(British Vegetation Committee)로 축약되었다. 1913년, 영국 식생 위원회는 생태학자들을 위한 최초의 전문 학회인 영국 생태학회(BES)를 조직했다.[12] 이어서 1917년에는 미국 생태학회(ESA)가 설립되었는데, 식물 생태학자들은 ESA 창립 회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10]카울스의 제자들은 20세기 전반에 걸쳐 식물 생태학 분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중에는 윌리엄 S. 쿠퍼, E. 루시 브라운, 에드가 트란소 등이 있다.[2]
3. 분포
식물의 분포는 역사적 요인, 생태 생리학적 특성, 그리고 생물적 상호작용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13][14]
3. 1. 생물 군계

식물의 분포는 역사적 요인, 생태 생리학 및 생물적 상호작용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특정 지역에 어떤 종이 존재할 수 있는지는 그 종이 해당 지역에서 진화했거나 분산되었는지(자연적으로 또는 인간의 개입을 통해), 그리고 지역적으로 멸종되지 않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종들은 환경 조건을 견딜 수 있는 생리적 적응을 갖추어야 하며, 다른 종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구성이 더욱 구체화된다.[13][14]
식물 군락은 우점하는 식물 종의 형태에 따라 생물 군계로 넓게 구분된다.[13] 예를 들어, 초원은 풀이 우세한 군락이며 숲은 나무가 우세한 군락이다. 생물 군계는 지역의 기후, 특히 온도와 강수량에 의해 주로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위도에 따른 경향성을 보인다.[13] 하나의 생물 군계 안에도 다양한 생태 군집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는 기후뿐만 아니라 토양, 수문, 그리고 교란 체제와 같은 여러 소규모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13] 생물 군계는 고도에 따라서도 변화하는데, 높은 고도의 지역은 종종 더 높은 위도에서 발견되는 생물 군계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13]
3. 2. 생태 군집
식물 군락은 우점하는 식물 종의 형태에 따라 생물 군계로 넓게 나눌 수 있다.[13] 예를 들어, 초원은 풀이 우세하고 숲은 나무가 우세한 지역이다. 생물 군계는 지역의 기후, 특히 온도와 강수량에 의해 결정되며, 대체로 위도에 따른 경향을 보인다.[13] 하나의 생물 군계 안에도 여러 생태 군집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들은 기후뿐만 아니라 토양, 수문 조건, 그리고 교란 체제(자연재해나 인간 활동 등으로 생태계가 교란되는 방식과 빈도)와 같은 다양한 소규모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13] 생물 군계는 고도에 따라서도 달라지는데, 높은 고도의 환경은 종종 더 높은 위도에서 발견되는 환경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13]
4. 생물학적 상호작용
식물의 분포는 역사적 요인, 생태 생리학적 적응 능력과 더불어 다른 생물과의 생물적 상호작용에 의해 복합적으로 결정된다.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식물 종의 집합은 환경 조건을 견딜 수 있는 생리적 적응을 가진 종으로 제한되며,[13] 이후 다른 종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더욱 형성된다.[14] 이러한 생물학적 상호작용은 식물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생태 군집의 전체적인 구조와 기능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1. 경쟁
식물은 대부분의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탄소, 수소, 산소, 질소, 인, 황과 같은 비교적 적은 수의 기본 원소를 필요로 하며, 이를 CHNOPS 생명체라고도 부른다. 또한 마그네슘이나 나트륨과 같이 미량 영양소로 불리는 더 적은 양의 원소도 필요하다. 식물들이 서로 가까이 자랄 때, 이러한 필수 원소의 공급이 부족해지면 이웃 식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5]자원을 둘러싼 경쟁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경쟁은 완전 대칭(크기 비대칭 경쟁, 모든 개체가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한 양의 자원을 얻는 경우)부터 완전 크기 대칭(크기 비대칭 경쟁, 모든 개체가 단위 생물량당 동일한 양의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 그리고 절대적 크기 비대칭(크기 비대칭 경쟁, 가장 큰 개체가 이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차지하는 경우)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크기 비대칭성의 정도는 생태 군집의 구조와 종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많은 경우, 이웃 식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은 주로 빛에 대한 크기 비대칭 경쟁 때문에 발생한다. 다른 경우에는 물, 질소, 또는 인과 같은 자원을 둘러싼 지하에서의 경쟁이 중요할 수 있다. 어떤 종류의 경쟁이 일어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측정하기 위해서는 실험이 필요하며, 보통 이웃 식물을 제거하고 남은 식물의 반응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16]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일반적인 원리를 도출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식물에게 가장 중요한 경쟁 자원은 빛으로 여겨진다. 진화 과정에서 식물의 키가 커지는 경향은, 더 키가 큰 식물이 빛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경쟁에서 유리해지는 방향으로 선택이 이루어졌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많은 식물 군락은 빛에 대한 상대적인 경쟁 능력에 따라 수직적인 계층 구조를 이루게 된다.[16] 하지만 일부 생태계, 특히 토양이 비옥하지 않거나 건조한 환경에서는 지하에서의 경쟁이 더 중요할 수도 있다.[17] 일반적으로 토양의 비옥도가 높아질수록 지상에서의 빛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면서, 지상 경쟁과 지하 경쟁의 상대적인 중요성 비율이 변할 가능성이 높다.[18][19]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한 식물들은 경쟁을 피하기 위해 다른 전략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땅속에 씨앗 형태로 오랫동안 생존하며 유리한 시기를 기다리거나(시간적 회피), 강력한 경쟁자가 없는 새로운 장소로 씨앗을 퍼뜨려 이동하는 방식(공간적 회피) 등이 있다.
원칙적으로는 경쟁하는 식물들의 생리적 과정에 대한 상세한 지식이 있다면, 어떤 자원이 부족하여 경쟁이 발생하는지 구체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육상 생태계 연구에서는 각 식물 종의 성장을 제한하는 특정 자원의 흡수나 이용 방식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식물들이 정확히 어떤 자원을 두고 경쟁하는지 명확히 알지 못한 채, 주변 식물들이 서로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관찰하여 경쟁의 존재와 강도를 추론하는 경우가 많다. 특정 상황, 예를 들어 물과 영양분이 충분한 농경지에서는 식물들이 주로 빛을 두고 경쟁하거나, 빽빽하게 자라는 습지 식물 군락처럼 단일 자원을 두고 경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많은 자연 생태계에서는 식물들이 빛, 인, 질소 등 여러 자원에 의해 동시에 복합적으로 성장이 제한될 수 있다.[20]
결론적으로, 자연 식물 군락에서 발생하는 경쟁의 구체적인 종류, 경쟁의 대상이 되는 특정 자원, 서로 다른 자원들의 상대적인 중요성, 그리고 스트레스나 교란과 같은 다른 요인들이 경쟁의 중요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 아직 밝혀지지 않은 세부적인 내용들이 많이 남아 있다.[3][21]
4. 2. 상호주의
상호주의는 "두 종 또는 개체 간의 상호 이익이 되는 상호 작용"으로 정의된다. 식물에서 가장 널리 퍼진 예는 식물과 균류 사이의 상호 이익 관계인 균근이다. 식물은 균류에게 탄수화물을 제공하고, 균류는 식물의 영양분 흡수(주로 인산염)를 돕는다.[22] 알려진 가장 초기의 화석 식물 중 일부는 그들의 근경에 화석 균근을 가지고 있기도 했다.[3]속씨식물은 두 가지 주요 상호주의를 통해 진화한 그룹이다. 첫째, 꽃은 곤충에 의해 수분된다. 이 관계는 딱정벌레가 원시 꽃을 먹고 꽃가루를 먹으면서 (무심코) 수분 매개체 역할을 한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과일은 동물에 의해 먹히고, 동물은 씨앗을 퍼뜨린다. 따라서 속씨식물은 대부분의 고등 식물처럼 균근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의 상호주의를 가진다.[3]
식물은 서로에게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이는 덜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어린 선인장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그늘을 제공하는 "간호 식물"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상호주의 예는 파트너 중 한쪽에게만 주로 유익하며, 진정한 상호주의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더 일방적인 관계를 촉진이라고 하며, 이는 주로 한 참여자에게 유익하다. 인접한 식물 간의 촉진은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임으로써 작용할 수 있다.[23] 일반적으로 촉진은 유리한 환경보다는 신체적으로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은데, 유리한 환경에서는 경쟁이 종 사이의 가장 중요한 상호 작용일 수 있다.[24]
공생은 촉진과 유사하며, 한 식물이 주로 다른 식물을 이용한다. 익숙한 예는 열대 나무의 가지에서 자라는 착생식물이나 온대 낙엽수림에서 나무에 자라는 이끼이다.
각 종이 받는 이점을 추적하여 적절한 용어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들은 종종 특이한 예에 매료되지만, 식물에서 주요 상호주의는 균근, 수분, 종자 확산이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3]
4. 3. 기생
생물학에서 기생은 기생생물(한 종)이 숙주(다른 종)를 희생하여 이득을 얻는 서로 다른 종 간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기생생물은 일반적으로 생존을 위해 다른 유기체(숙주)에 의존하며, 여기에는 최소한 서식지와 영양 요구 사항이 포함된다.[25] 기생 식물은 흡기를 통해 숙주 식물의 물관부 및/또는 사부 조직에 부착된다.[26] 많은 기생 식물은 광범위한 숙주를 가지며 여러 숙주를 동시에 공격할 수 있어 군집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 숙주 종의 성장, 번식 및 신진대사는 기생생물이 영양분, 물, 탄소를 빼앗아감으로써 영향을 받는다.[26] 또한 숙주 간의 경쟁적 상호 작용을 변경하고 간접적으로 군집 내 경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7]4. 4. 편리공생
편리공생은 두 종 사이의 생물학적 상호작용 중 하나로, 한쪽은 이익을 얻지만 다른 한쪽은 이익도 해도 입지 않는 관계를 말한다. 이때 이익을 얻는 쪽을 공생자라고 하며, 영향을 받지 않는 쪽을 숙주라고 부른다. 식물 표면에 붙어 살아가는 착생식물이 대표적인 예이다. 거북이나 나무늘보의 몸 표면에서 자라는 조류 역시 편리공생 관계에 해당한다. 이 조류들은 숙주에 붙어 있을 때 더 잘 생존하지만, 숙주에게 특별한 해나 이익을 주지는 않는다.[28]전 세계 관다발 식물 종의 약 10%가 착생식물에 해당하며, 이들은 주로 열대 우림 지역에 분포한다. 착생식물은 전체 식물 종의 10%, 열대 지역 관다발 식물 종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전 세계 식물 생물 다양성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29] 하지만 편리공생 관계는 시간이 지나면서 기생 관계로 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공생자의 생존율이나 개체 수가 줄어들 수 있다.[28]
4. 5. 초식
식물의 중요한 생태학적 기능 중 하나는 먹이 사슬의 가장 낮은 단계에서 초식동물에게 유기 화합물을 생산하는 것이다.[30] 식물이 가진 가시나 화학적 방어와 같은 다양한 특성은 초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의 정도와 관련이 있다.대형 초식동물은 식생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들은 특정 종을 제거하기도 하고, 새로운 개체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을 만들며, 영양분을 재활용하고 종자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초원과 같은 특정 생태계 유형은 대형 초식동물의 영향이 지배적일 수 있지만, 산불 또한 이러한 생물 군계에서 동등하게 중요한 요인이다. 드문 경우지만, 초식동물이 한 지역의 모든 식생을 거의 제거할 수도 있다(예: 캐나다 허드슨만 저지대의 거위, 미국 루이지애나주 늪지의 뉴트리아[31]).
그러나 일반적으로 초식동물은, 특히 포식자가 초식동물의 개체 수를 제어할 때 더 선택적인 영향을 미친다. 초식동물의 영향을 연구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울타리를 설치하여 초식동물이 먹이를 먹지 못하게 한 다음, 울타리 내부의 식물 군집과 외부의 식물 군집을 수년에 걸쳐 비교하는 것이다. 종종 이러한 장기 실험은 초식동물이 식물 군집을 구성하는 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3]
5. 기타
특정 환경에서 식물 종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살아가는지는 개체군 크기로 정량화할 수 있다. 식물의 생활 형태에 따라 밀도, 생물량, 또는 식물 피복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개체군 크기를 측정한다. 식물 종의 개체군 크기는 기후 변화와 같은 무생물적 요인[32]이나 초식, 종간 경쟁 같은 생물적 요인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한 식물 종이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지는 정착과 지역 멸종 과정에 달려 있다. 정착 확률은 해당 종이 이미 존재하는 인접 서식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감소한다. 반면, 인접 서식지 내 개체 수가 많거나, 번식력이 높거나, 해당 종의 생물학적 분산 거리가 길수록 정착 확률은 증가한다. 지역 멸종 확률은 살아있는 식물과 토양 종자 은행 내 씨앗을 포함한 총 개체 수가 많을수록 감소한다.
식물의 번식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하나는 처녀생식으로, 이는 수정 없이 암컷 생식세포만으로 새로운 개체가 발생하는 무성 생식의 한 형태이며, 유전적으로 동일한 자손(클론)을 만들어낸다.[33] 또 다른 번식 형태는 교차 수정이다. 이는 서로 다른 개체에서 생성된 난자와 정자가 수정하는 방식으로, 식물에서는 씨방에서 일어난다. 씨방이 수정되면 씨앗이 형성되는데, 씨앗 내부에는 보통 배젖이라는 영양 조직과 배아가 포함되어 있다. 묘목은 씨앗에서 갓 발아한 어린 식물을 의미한다.[34] 자가 수정 역시 식물의 번식 방법 중 하나로,[35] 이는 동일 개체 내에서 생성된 정자와 난자가 수정하는 경우를 말하며, 이러한 식물을 자가 적합성 식물이라고 부른다.[36]
참조
[1]
서적
Ecology of World Vegetation
Chapman and Hall
[2]
서적
Ecology for Gardeners
Timber Press, Inc
[3]
서적
Plants and Veg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Climate Change and Plants
http://dx.doi.org/10[...]
CRC Press
2021-04-27
[5]
서적
Plant Ecology
McGraw-Hill Book Company
[6]
서적
Generelle Morphologie der Organismen
https://www.biodiver[...]
Georg Reimer
1866
[7]
서적
Plant Ec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04-24
[8]
서적
Sex and Evolu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서적
Population Biology of Plants
Academic Press
[10]
서적
Philosophy of Ecology
Elsevier
[11]
서적
Terrestrial Plant Ecology
Addison Wesley Longman
[12]
간행물
Sir Arthur Tansley and the Science of Ecology
[13]
간행물
Elements of Ecology Robert Leo Smith
1988-09
[14]
서적
Plant Physiological Ecology
[15]
간행물
Mechanisms of plant competition for nutrients, water and light
2013
[16]
서적
Competition
Kluwer
[17]
문서
Plant competition underground
[18]
문서
Root and shoot competition along a soil depth gradient
[19]
문서
Above- and below-ground competition intensity in two contrasting wetland plant communities
[20]
서적
Resource strategies in wild plant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21]
문서
Plant Strategies and Vegetation Processes
John Wiley
[22]
간행물
Plant Kin Recognition Enhances Abundance of Symbiotic Microbial Partner
2012-09-28
[23]
문서
Positive interactions among plants (Interpreting botanical progress)
[24]
문서
Competition
Kluwer, Dordrecht
[25]
간행물
Parasitism as a constraint on the rate of life-history evolution
1992
[26]
간행물
Parasite-grass-forb interactions and rock-paper- scissor dynamics: predicting the effects of the parasitic plant Rhinanthus minor on host plant communities
https://onlinelibrar[...]
2009-11
[27]
간행물
Parasite Impacts on Host Communities: Plant Parasitism in a California Coastal Prairie
https://www.jstor.or[...]
1998
[28]
문서
Biological Interactions
www.jstor.org/stable[...]
2020-03-15
[29]
문서
Epiphytes and their contribution to canopy diversity
https://doi.org/10.1[...]
[30]
서적
Plant Ecology – (Section 1.10.1: Herbiv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04-24
[31]
문서
Wetland Ecology: Principles and Conser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32]
간행물
Understanding Plant Community Responses to Combinations of Biotic and Abiotic Factors in Different Phases of the Plant Growth Cycle
2012-11-14
[33]
서적
Ecology for Gardeners
Timber Press, Inc
[34]
서적
Ecology for Gardeners
Timber Press, Inc
[35]
간행물
Self- and Cross-Fertilization in Plants. I. Functional Dimensions
1992
[36]
서적
Ecology for Gardeners
Timber Press, Inc
[37]
서적
Plants and Veg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Philosophy of Ecology
Elsevier
[39]
서적
Terrestrial Plant Ecology
Addison Wesley Longm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