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종감염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종 감염병은 과거에 없던 새로운 질병 또는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되거나 기존 치료법으로 통제 불가능해진 질병을 의미한다. 19세기부터 신종 질환 개념이 논의되었으며, 에이즈 유행 이후 더욱 주목받았다. 신종 감염병은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프리온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며, 미생물 적응, 기후 변화, 인구 통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신종 감염병은 인간과 동물 사이의 인수공통감염병으로도 나타나며, 주요 신종 감염병으로는 코로나19, 에볼라 바이러스병 등이 있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신종 감염병 연구를 위해 신종 병원체 기원 과학 자문 그룹(SAGO)을 운영하고 있다.

2. 신종 감염병 개념의 역사

1869년 프랑스 의사 샤를 앙글라다(Charles Anglada, 1809–1878)는 멸종된 질병과 새로운 질병에 관한 책을 저술했다.[16] 그는 감염성 질환과 다른 질환을 구별하지 않았지만, 질병의 불변성을 부정하며 사라진 질병 뒤에는 새로운 질병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샤를 니콜은 1930년 저서 《감염성 질환의 탄생, 삶, 죽음》에서 질병 출현 개념을 상세히 설명했으며, 1933년 출판된 《감염성 질환의 운명》에서 이 개념을 더욱 발전시켰다.[17] 그는 감염성 질환이 항상 존재했는지, 역사 속에서 일부가 나타났는지, 새로운 질병이 나타날 것인지, 일부가 사라질 것인지 등의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신종 질환'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1960년대 초부터 과학 간행물에 사용되었으며,[18] 1971년 데이비드 센서는 "인간과 동물의 신종 질환"이라는 논문에서 현대적 의미로 사용했다. 그는 신종 질환을 "현재 공중 보건 문제로 떠오르는 인간과 동물의 감염성 질환"으로 정의하며 재출현하는 질환도 포함시켰다. 또한 의료 기술의 변화로 인해 새롭게 질병으로 간주되는 감염원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질병의 출현은 주변적인 문제로 여겨졌으며, 맥팔레인 버넷은 1962년판 《감염성 질환의 자연사》 서문에서 감염성 질환에 대해 쓰는 것은 거의 역사 속으로 사라진 것에 대해 쓰는 것과 같다고 언급했다.[20] 1972년판 후기에서도 감염성 질환의 미래에 대한 가장 유력한 예측은 매우 지루할 것이라고 예상했다.[21]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을 제외하고 20세기 내내 1980년까지 미국의 감염성 질환 사망률은 꾸준히 감소했다. 그러나 에이즈 유행으로 인해 1980년과 1992년 사이에 감염성 질환 사망률이 58% 증가했다.


이 개념은 에이즈 유행에 대한 반작용으로 1980년대 말에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 미르코 그르메크는 에이즈의 역사를 저술하면서 신종 질환 개념에 대해 연구했으며,[22] 1993년에는 "새로운 질병"이라는 용어보다 더 정확한 개념으로 신종 질환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23]

1989년 5월, 스티븐 S. 모스는 NIAID/NIH 컨퍼런스 "신종 바이러스: 바이러스와 바이러스 질환의 진화"를 주최했다. 컨퍼런스를 요약한 논문에서 저자들은 에이즈의 출현을 계기로 새로운 바이러스성 질환의 출현을 예측, 감지, 예방하기 위한 메커니즘과 전략을 고려하기 위해 소집되었다고 밝혔다.[24] 또한 대부분의 신종 바이러스는 인수 공통 감염병으로, 인간의 행동이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증가시킨다고 언급했다. 1991년 논문[25]에서 모스는 새로운 감염성 질환의 출현이 이러한 질병의 "후퇴"와 정반대임을 강조했다.

1991년 2월, 의학 연구소는 조슈아 레더버그와 로버트 쇼프가 공동 의장을 맡은 위원회를 소집하여 신종 감염성 질환을 식별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1992년에 발표했다.[26] 이 보고서는 감시 프로그램 설정, 개입 방법 제안 등을 권고했다. 1989년 신종 바이러스 컨퍼런스와 1992년 IOM 보고서 이후, 1994년에 신종 질환 모니터링 프로그램 (ProMED)이 결성되었고,[27] 질병 통제 예방 센터(CDC)는 1995년에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저널을 창간했다.[18]

10년 후 IOM은 21세기의 건강에 대한 신종 미생물 위협 위원회를 소집하여 2003년에 결론을 발표했다.[28] 2000년 4월 WHO는 세계적인 발병 경고 및 대응 네트워크의 창립 행사인 전 세계 발병 경고 및 대응에 대한 회의를 개최했다.[29]

2014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바이러스 유행은 세계가 그러한 유행병에 얼마나 준비가 안 되어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이에 대응하여, 전염병 대비 혁신 연합은 2017년 세계 경제 포럼에서 신종 감염성 질환에 대한 백신 개발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출범했다.[30] CEPI는 "전염병이 더 이상 인류에게 위협이 되지 않는 세상을 만들" 필요가 있다는 아이디어를 홍보한다.[31]

2. 1. 한국에서의 신종 감염병 역사

3. 분류

신종 감염병을 분류하는 한 가지 방법은 시간과 인간이 신종 감염에 어떻게 관여했는지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32]


  • 신규 신종 감염병 – 이전에 인간에게서 보고되지 않은 질병, 예를 들어 HIV/AIDS
  • 재출현 신종 감염병 –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되었거나 이전 치료법으로 더 이상 통제할 수 없는 질병, 예를 들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 고의적 신종 감염병 – 생물 테러를 위해 인간이 만든 질병
  • 사고적 신종 감염병 – 인간에 의해 의도치 않게 생성되거나 확산된 질병, 예를 들어 백신 유래 소아마비 바이러스

3. 1. 발생 원인에 따른 분류

신종 감염병은 발생 원인과 인간의 관여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32]

  • 신규 신종 감염병: 이전에는 인간에게서 보고되지 않았던 질병이다. 예를 들어 HIV/AIDS가 이에 해당한다.
  • 재출현 신종 감염병: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되었거나, 기존 치료법으로 더 이상 통제할 수 없는 질병이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 대표적인 예이다.
  • 고의적 신종 감염병: 생물 테러와 같이 인간이 의도적으로 만든 질병을 의미한다.
  • 사고적 신종 감염병: 인간에 의해 의도치 않게 생성되거나 확산된 질병이다. 백신 유래 소아마비 바이러스가 이에 속한다.

3. 2. 병원체에 따른 분류

신종 감염병을 분류하는 한 가지 방법은 시간과 인간이 신종 감염에 어떻게 관여했는지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32]

  • 신규 신종 감염병 – 이전에 인간에게서 보고되지 않은 질병 (예: HIV/AIDS)
  • 재출현 신종 감염병 –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되었거나 이전 치료법으로 더 이상 통제할 수 없는 질병 (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 고의적 신종 감염병 – 생물 테러를 위해 인간이 만든 질병
  • 사고적 신종 감염병 – 인간에 의해 의도치 않게 생성되거나 확산된 질병 (예: 백신 유래 소아마비 바이러스)


병원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4. 발생 요인

1992년 미국 의학한림원(IOM) 보고서는 신종 질병 발생에 기여하는 6가지 요인을 제시하였고,[26] 2003년 보고서에서는 13가지 요인으로 확장되었다.[28] 이러한 분류는 다른 많은 분류의 기초가 되고 있다.

신종 질병 발생 요인
발생 요인예시
미생물 적응인플루엔자 A의 유전자 부동 및 유전자 이동
변화하는 인간의 취약성HIV/AIDS로 인한 대규모 면역 저하
기후 변화모기와 같은 동물 매개체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예: 웨스트 나일열)이 기후가 따뜻해짐에 따라 열대 지방에서 더 멀리 이동
인구 통계의 변화 및 빠른 세계적 확산SARS 관련 코로나바이러스
경제 발전사육 소의 육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항생제 사용은 항생제 내성 유발
전쟁기근에볼라와 같은 질병의 범위를 증가시키는 동물 서식지 파괴
부적절한 공중 보건 서비스
빈곤 및 사회 불평등결핵은 주로 저소득 지역의 문제
생물 테러2001년 탄저병 공격
토지 이용댐 건설 및 관개 시스템은 말라리아 및 기타 모기 매개 질병을 조장, 산업 농업에서 무차별적인 살충제 사용은 알려진 질병 매개체의 생물학적 방제를 줄이거나 제거
반백신 또는 백신 거부홍역의 재발[33][34]
야생 동물 거래니파 바이러스 및 코로나19를 포함하여 인간의 새로운 감염성 질병의 인수 공통 발생 및 확산과 관련[35][36], 혼잡하고 비위생적인 수산 시장과 야생 동물 농장은 신종 바이러스를 포함한 동물-인간 전염의 원인[37], 부시미트의 상업 및 소비와 관련된 문제 또한 특히 우려[38][39][40]


4. 1. 주요 발생 요인

1992년 미국 의학한림원(IOM) 보고서는 신종 질병 발생에 기여하는 6가지 요인을 제시하였고,[26] 2003년 보고서에서는 13가지 요인으로 확장되었다.[28] 이러한 분류는 다른 많은 분류의 기초가 되고 있다.

신종 질병 발생 요인
발생 요인예시
미생물 적응인플루엔자 A의 유전자 부동 및 유전자 이동
변화하는 인간의 취약성HIV/AIDS로 인한 대규모 면역 저하
기후 변화모기와 같은 동물 매개체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예: 웨스트 나일열)이 기후가 따뜻해짐에 따라 열대 지방에서 더 멀리 이동
인구 통계의 변화 및 빠른 세계적 확산SARS 관련 코로나바이러스
경제 발전사육 소의 육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항생제 사용은 항생제 내성 유발
전쟁기근에볼라와 같은 질병의 범위를 증가시키는 동물 서식지 파괴
부적절한 공중 보건 서비스
빈곤 및 사회 불평등결핵은 주로 저소득 지역의 문제
생물 테러2001년 탄저병 공격
토지 이용댐 건설 및 관개 시스템은 말라리아 및 기타 모기 매개 질병을 조장, 산업 농업에서 무차별적인 살충제 사용은 알려진 질병 매개체의 생물학적 방제를 줄이거나 제거
반백신 또는 백신 거부홍역의 재발[33][34]
야생 동물 거래니파 바이러스 및 코로나19를 포함하여 인간의 새로운 감염성 질병의 인수 공통 발생 및 확산과 관련[35][36], 혼잡하고 비위생적인 수산 시장과 야생 동물 농장은 신종 바이러스를 포함한 동물-인간 전염의 원인[37], 부시미트의 상업 및 소비와 관련된 문제 또한 특히 우려[38][39][40]


5. 인간과 동물 간의 신종 감염병

신종 감염병은 최근 몇 년 동안 인간과 동물 사이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질병 발생 및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41][42] 인구 증가, 야생동물과의 접촉 증가, 기후 변화는 인수공통감염병의 전파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여 지카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COVID-19과 같은 유행을 초래했다. 동물, 인간, 환경의 건강을 통합하는 원헬스 접근 방식은 감염병의 확산을 감시하고 완화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로 부상했다.[43]

동물에서 기원하는 인수공통감염병은 인간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가한다. 신종 감염병의 최대 75%가 인수공통감염병이며, 동물에서 인간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 및 기타 병원체에서 비롯된다. 전파 메커니즘, 야생동물 거래의 역할, 감시 및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은 인수공통감염병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폐수를 이용한 감시 노력은 질병 발생의 조기 경고 징후를 감지하고 적시에 개입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확인되었다.[41][42]

5. 1. 인수공통감염병

신종 감염병은 최근 몇 년 동안 인간과 동물 사이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질병 발생 및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41][42] 인구 증가, 야생동물과의 접촉 증가, 기후 변화는 인수공통감염병의 전파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여 지카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COVID-19과 같은 유행을 초래했다. 동물, 인간, 환경의 건강을 통합하는 원헬스(One Health) 접근 방식은 감염병의 확산을 감시하고 완화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로 부상했다.[43]

동물에서 기원하는 인수공통감염병은 인간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가한다. 신종 감염병의 최대 75%가 인수공통감염병이며, 동물에서 인간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 및 기타 병원체에서 비롯된다. 전파 메커니즘, 야생동물 거래의 역할, 감시 및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은 인수공통감염병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폐수를 이용한 감시 노력은 질병 발생의 조기 경고 징후를 감지하고 적시에 개입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확인되었다.[41][42]

6. 주요 신종 감염병 목록

6. 1. NIAID (미국 국립 알레르기 및 감염병 연구소) 목록

미국 국립 알레르기 및 감염병 연구소(NIAID)는 생물 방어 및 신종 감염병 목록을 관리한다.[44] 이 목록은 생물학전 및 생물 테러를 고려하여 생물 방어 위험별로 분류된다.

2004년 기준으로 인식된 신종(1980년대 이후) 및 재출현 질병은 다음과 같다:[44]

  • 신종(1980년대 이후): 아칸토아메바증, 오스트레일리아 박쥐 리사 바이러스, 바베시아증(비정형), 바르토넬라 헨셀라에, 코로나바이러스 (SARS 코로나바이러스 포함), 에를리히증, 뇌실질내 기생충 cuniculi, 뇌실질내 기생충 hellem, 장내 기생충 bieneusi,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헨드라 바이러스(말 모빌리 바이러스), C형 간염, E형 간염,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8,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6, 라임병, 미포자충, 파보바이러스 B19
  • 재출현: 콕시디오이데스 이미티스, 장바이러스 71, 프리온 질환, 연쇄상구균(A군), 황색포도상구균


생물 테러 가능성이 있는 질병은 CDC(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위험도에 따라 A, B, C군으로 분류된다.[44]

2004년 이후, NIAID는 생물 방어 신종 병원체 목록에 다음을 추가했다:[45]

  • ''페스트균'' (페스트, A군)
  • 차파레 바이러스 (A군 아레나바이러스)
  • 루조 (A군 아레나바이러스)
  • 클라미디아 시타시 (B군)
  •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B군)
  • ''발라무티아 만드릴라리스'' (B군)
  • 세인트루이스 뇌염 바이러스 (SLEV, B군)
  • 진드기 매개 출혈열 바이러스 (C군)
  • 파우산 바이러스 (사슴 진드기 바이러스, C군)
  • 치쿤구니아 바이러스 (B군)
  • ''콕시디오이데스'' 종 (C군)
  •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KU1 (C군)
  • 중동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C군)
  • 아나플라즈마증
  • 아스페르길루스
  • BK 바이러스
  • 보르데텔라 백일해
  • 보렐리아 미야모토이
  •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
  • 크립토코쿠스 가티
  • 장구균 페시움
  • 장구균 파이칼리스
  • 장바이러스 68
  • JC 바이러스
  • 렙토스피라증
  • 홍역
  • 점액진균증
  •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
  • 소아마비 바이러스
  • 지카 바이러스 (B군)


NIAID는 또한 많은 병원체에 대한 신종 위협이 될 수 있는 항생제 내성을 모니터링한다.

6. 2. WHO (세계보건기구) 목록

2015년 12월, 세계보건기구(WHO)는 "공중 보건 비상사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고, 예방 및 치료 해결책이 없거나 불충분한 심각한 신종 질병에 대한 R&D 가속화를 위한 병원체 우선 순위 지정"에 대한 워크숍을 개최했다.[46] 그 결과, 다음 6가지 질병이 포함된 목록이 발표되었다.

  • 크리미안-콩고 출혈열
  • 필로바이러스 질환(에볼라 바이러스병 및 마버그 바이러스병)
  • 인간에게 관련된 고병원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MERS 및 SARS)
  • 라싸열
  • 니파 바이러스 감염
  • 리프트 밸리열


이들은 다음 기준에 따라 선택되었다.[46]

# 인간 전염성(인구 면역, 행동 요인 등 포함)

# 중증도 또는 치명률

# 스필오버(spillover) 잠재력

# 진화 잠재력

# 사용 가능한 대응책

# 탐지 또는 통제의 어려움

# 해당 지역의 공중 보건 상황

# 발병의 잠재적 범위(국제적 확산 위험)

# 잠재적 사회적 영향

6. 3. 1980년 이후 새롭게 보고된 감염병

마크 울하우스와 엘리너 건트는 2007년에 1980년부터 2005년 사이에 처음 보고된 87개의 인간 병원체 목록을 작성했다.[47] 이들은 유형에 따라 분류되었다.

분류군별 병원체 종 수
2005년 기준 종 수1980년부터 2005년까지 보고된 종 수
총합139987
세균54111
곰팡이32513
기생충2851
프리온21
원생동물573
바이러스18958
DNA 바이러스369
RNA 바이러스15349



1980년 이후 새롭게 보고된 감염병은 다음과 같다.

6. 4. 주요 발병 사례 (1998년 이후)

1998년 이후 새롭게 나타나거나 재출현하는 감염병으로 인한 주요 발병 사례는 다음과 같다.[48]

질병국가 또는 지역발병 시작 연도
응가리 바이러스[49]케냐, 탄자니아, 소말리아1998
니파 바이러스말레이시아1998
미국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미국1999
이타야 바이러스[50]페루1999
리프트 밸리 열사우디아라비아, 예멘2000
EBLV-2스코틀랜드2002
SARS-CoV2002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H7N2 아형2002
원숭이두창미국2003
차파레 바이러스볼리비아2003
페스트알제리2003
HTLV-3, HTLV-4카메룬2005
멜라카 바이러스말레이시아2006
루조 바이러스남아프리카2008
다제내성 P. falciparum동남아시아2008
칸디다 오리스2009
하트랜드 바이러스미국2009
콩고민주공화국 바콩고 바이러스콩고민주공화국2009
라사열말리2009
2009년 신종플루전 세계 유행2009
Huaiyangshan banyangvirus2009
페스트리비아2009
콜레라아이티2010
라사열가나2011
Plasmodium cynomolgi[51]말레이시아2011
H3N2v2011
MERS-CoV2012
모장 파라믹소바이러스[52]2012
H7N92013
Sosuga pararubulavirus2013
H10N8[53]2013
치쿤구니야 열카리브해2013
얼룩다람쥐 보르나바이러스 1/Bunthörnchen-Bornavirus 1de2013
Colpodella sp. Heilongjiang[54]중국2013
에볼라 바이러스병[55]서아프리카2014
H5N62014
라사열베냉2014
버번 바이러스미국2014
지카 바이러스[56]아메리카2015
크림-콩고 출혈열스페인2016
치쿤구니야 열파키스탄2016
라사열토고2016
Ntwetwe virus[57]우간다2016
원숭이두창나이지리아2017
황열브라질2017
간염 E 바이러스[58]2017
기니 벌레 질병차드2018
라임병2018
H7N42018
원숭이두창라이베리아, 영국2018
니파 바이러스인도2018
코로나19[59]전 세계 유행2019



이 외에도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프리온 등 다양한 원인체에 의한 감염병이 발생하고 있다. 주요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는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코로나19 (COVID-19),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AIDS), 성인 T 세포 백혈병 (ATL), 바이러스성 간염,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웨스트 나일 열,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SFTS),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 조류 인플루엔자, 한타바이러스 폐 증후군, 라싸열, 에볼라 바이러스병, 니파 바이러스 감염증 등이 있다. 세균성 감염병으로는 장출혈성 대장균 (O157 등) 감염증,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증, 캄필로박터증, 레지오넬라 폐렴, 다제내성 결핵,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MRSA) 감염증, 극증형 화농성 연쇄상구균 감염증, 일본 홍반열 등이 있다.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기생충에 의한 감염병이며,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CJD)은 프리온 질환이다.

7.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RSA)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RSA)은 흔히 ''S. aureus''로 알려진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MSSA)으로부터 진화했다. 많은 사람들은 아무런 영향 없이 ''S. aureus''의 자연적 보균자이다. MSSA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획득하기 전까지 항생제 메티실린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60] MRSA의 다양한 균주에 대한 유전자 지도를 통해 과학자들은 MSSA가 1960년대에 mecA 유전자를 획득했으며, 이는 병원성을 설명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전에는 인간과 주로 공생 관계를 가졌다. 이 mecA 유전자를 획득한 ''S. aureus'' 균주가 병원에 도입되었을 때, 이미 높은 수준의 항생제에 노출된 다른 병원 박테리아와 접촉하게 되었다는 이론이 있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항생제에 노출되었을 때, 병원 박테리아는 갑자기 항생제 내성에 대한 높은 수준의 선택이 있는 환경에 처하게 되었고, 따라서 이러한 병원 개체군 내에서 여러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형성되었다. ''S. aureus''가 이러한 개체군과 접촉했을 때, 다양한 약물에 대한 항생제 내성을 암호화하는 여러 유전자가 MRSA에 의해 획득되었고, 이로 인해 제어가 거의 불가능해졌다.[61] MSSA가 수평 유전자 전달을 통해 내성 유전자를 획득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유전 정보를 한 세대 내에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며, 여러 연구에서 입증되었듯이 자체 개체군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다.[62] 수평 유전자 전달은 유전자의 전달을 위해 전체 세대 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전자 전달 과정을 가속화한다.[62] 대부분의 항생제가 MRSA에 효과가 없기 때문에 의사들은 다윈 의학에 기반한 대체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예방이 항생제 내성을 피하는 가장 선호되는 방법이다. 인간과 동물 개체군에서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임으로써 항생제 내성을 늦출 수 있다.

8. 신종 병원체 기원 과학 자문 그룹 (SAGO)

세계 보건 기구(WHO) 사무총장은 2021년 7월 16일 기구의 영구적인 자문 기구인 신종 병원체 기원 과학 자문 그룹(SAGO)의 구성을 발표했다.[63][64][65] 이 그룹은 코로나19를 포함한 신종 감염병을 조사하는 광범위한 목표를 가지고 결성되었다.[63][66] WHO 사무총장에 따르면 "SAGO는 SARS-CoV-2의 기원 연구의 다음 단계뿐만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병원체의 기원 연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63]

참조

[1] 논문 What Recent History Has Taught Us About Responding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 Threats https://annals.org/a[...] 2017-12-05
[2] 웹사이트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 NIOSH Workplace Safety and Health Topic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10-17
[3] 서적 A brief guide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d zoonoses https://apps.who.int[...] WHO Regional Office for South-East Asia
[4] 논문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threats to human health and global stability 2013
[5] 논문 Global trends in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008
[6] 논문 Impacts of biodiversity on the emergence and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2010
[7] 논문 Risk factors for human disease emergence
[8] 논문 Emerging and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s: the perpetual challenge
[9] 논문 Lyme disease ecology in a changing world: consensus, uncertainty and critical gaps for improving control 2017
[10] 서적 A Dictionary of Epidemi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 논문 Global Re-emergence of Measles - 2019 update 2019
[12] 논문 Increasing incidence and widespread dissemin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 hospitals in central Europe, with special reference to German hospitals. 1997
[13] 논문 Host Range and Emerging and Reemerging Pathogens 2005
[14] 웹사이트 The 2019–2020 Novel Coronaviru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Pandemic: A Joint American College of Academic International Medicine‑World Academic Council of Emergency Medicine Multidisciplinary COVID-19 Working Group Consensus Paper https://www.research[...] 2020-05-16
[15] 논문 The long and winding road lea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hepatitis C virus http://www.journal-o[...] 2009-11
[16] 서적 Étude sur les maladies éteintes et les maladies nouvelles, pour servir à l'histoire des évolutions séculaires de la pathologie https://www.gutenber[...] J.-B. Baillière et fils
[17] 서적 Destin des maladies infectieuses https://books.google[...] Presses Électroniques de France
[18] 서적 Socio-cultural Dimension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 Africa 2019-03-20
[19] 논문 Emerging Diseases of Man and Animals 1971-10
[20] 서적 Natural history of infectious disease University Press 1962
[21] 서적 Natural history of infectious disease University Press 1972
[22] 서적 Histoire du sida début et origine d'une pandémie actuelle Payot et Rivages 1995
[23] 논문 Le concept de maladie émergente 1993
[24] 논문 Emerging Viruses: The Evolution of Viruses and Viral Diseases https://academic.oup[...] 1990-07-01
[25] 논문 Emerging Viruses: Defining the Rules for Viral Traffic http://muse.jhu.edu/[...] 1991
[26] 서적 Emerging Infections: Microbial Threats to Health in the United States http://www.ncbi.nlm.[...]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992
[27] 논문 Public Health Disease Surveillance Networks 2014-02-07
[28] 서적 Microbial threats to health : emergence, detection, and response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ies Press 2003
[29] 논문 Global outbreak alert and response https://www.who.int/[...] 2020-09-10
[30]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vaccines and how they changed the world https://www.weforum.[...] 2020-04-30
[31] 웹사이트 Creating a world in which epidemics are no longer a threat to humanity https://www.who.int/[...] WHO 2021-01-27
[32] 논문 Emerging Pandemic Diseases: How We Got to COVID-19 2020-09-03
[33] 간행물 Plaza M., Paladino L., Opara I. N., Firstenberg M. S., Wilson B., Papadimos T. J., Stawicki S. P. The use of distributed consensus algorithms to curtail the spread of medical misinformation. Int J Acad Med [serial online] 2019 [cited 2020 May 16]; 5:93-99.
[34] 논문 The Influence of Antivaccination Movements on the Re-emergence of Measles 2019
[35] 논문 Zoonotic viruses associated with illegally imported wildlife products 2012
[36] 서적 New Directions in Conservation Medicine: Applied Cases of Ecological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37] 간행물 Interspecies transmission and emergence of novel viruses: lessons from bats and birds 2013
[38] 서적 New Directions in Conservation Medicine: Applied Cases of Ecological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Food Safety Risks from Wildlife Springer
[40] 서적 Problematic Wildlife: A Cross-Disciplinary Approach Springer
[41] 간행물 The one health perspective to improve environmental surveillance of zoonotic viruses: lessons from COVID-19 and outlook beyond 2022-10-30
[42] 웹사이트 Health Ecology and Disease Transmission https://journalofeth[...]
[43] 간행물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t the Intersections of Human, Animal, and Environmental Health https://journalofeth[...] 2024-02-01
[44] 웹사이트 NIAID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Pathogens | NIH: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https://www.niaid.ni[...] Niaid.nih.gov 2018-07-26
[45] 웹사이트 NIAID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Pathogens https://www.niaid.ni[...] NIH -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2018-07-26
[46] 웹사이트 Blueprint for R&D preparedness and response to public health emergencies due to highly infectious pathogens https://www.who.int/[...]
[47] 간행물 Ecological Origins of Novel Human Pathogens 2007-01
[48] 웹사이트 Emerging infections: how and why they arise https://www.gov.uk/g[...] 2019-02-27
[49] 간행물 Ngari Virus Is a Bunyamwera Virus Reassortant That Can Be Associated with Large Outbreaks of Hemorrhagic Fever in Africa 2004-08-15
[50] 간행물 Itaya virus, a Novel Orthobunyavirus Associated with Human Febrile Illness, Peru 2015-05
[51] 간행물 Rare human outbreak of monkey malaria detected in Malaysia http://www.nature.co[...] 2018-04-16
[52] 간행물 Novel Henipa-like Virus, Mojiang Paramyxovirus, in Rats, China, 2012 2014-06
[53] 간행물 Emergence in China of human disease due to avian influenza A(H10N8) – Cause for concern? 2014-03
[54] 간행물 Potential novel tick-borne Colpodella species parasite infection in patient with neurological symptoms 2018-08-02
[55] 문서 The emergence of Ebola as a global health security threat: From 'lessons learned' to coordinated multilateral containment efforts 2014
[56] 간행물 The emergence of zika virus as a global health security threat: A review and a consensus statement of the INDUSEM Joint working Group (JWG) 2016-02-11
[57] 간행물 Novel Orthobunyavirus Identified in the Cerebrospinal Fluid of a Ugandan Child With Severe Encephalopathy 2019-01-01
[58] 간행물 Rat Hepatitis E Virus Linked to Severe Acute Hepatitis in an Immunocompetent Patient https://academic.oup[...] 2019-08-09
[59] 웹사이트 The 2019–2020 Novel Coronaviru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Pandemic: A Joint American College of Academic International Medicine‑World Academic Council of Emergency Medicine Multidisciplinary COVID-19 Working Group Consensus Paper https://www.research[...] 2020-05-16
[60] 간행물 Increasing incidence and widespread dissemin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 hospitals in central Europe, with special reference to German hospitals
[61] 간행물 Evolution of hypervirulence by a MRSA clone through acquisition of a transposable element
[62] 간행물 Horizontal gene transfer
[63] 뉴스 WHO Director-General's opening remarks at the Member State Information Session on Origins https://www.who.int/[...] 2021-07-16
[64] 뉴스 With call for 'raw data' and lab audits, WHO chief pressures China on pandemic origin probe - A new team of scientists may replace agency group already probing the start of COVID-19 https://www.science.[...] 2021-07-17
[65] 뉴스 New WHO group aims to improve efforts to find pathogen origins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Maria Van Kerkhove on the hunt for COVID-19 origins and what's next https://www.science.[...] 2021-08-25
[66] 뉴스 Deadline extension - call for experts to join the Scientific Advisory Group for the Origins of Novel Pathogens (SAGO). https://www.who.int/[...] 2021-09-08
[67] 서적 2016-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