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쓰가루 방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가루 방언은 6~7세기 경 고대 일본어를 기반으로 하며, 홋카이도에서 도호쿠 지방에 걸쳐 거주했던 에조(아이누)의 언어가 혼합되어 형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아오모리현의 쓰가루 지방에서 사용되며, 난부 지방의 난부 방언과 구분된다. 표준어와 발음이 크게 달라서 일본어 화자에게 난해한 방언으로 알려져 있으며, 쓰가루 지방 외에서는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쓰가루 방언은 발음, 억양, 문법 등에서 특징을 보이며, 다양한 조사와 종결 어미가 사용된다. 쓰가루 방언을 사용하는 유명인과 관련 작품이 존재하며, 문학 작품에도 사용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호쿠 방언 - 게센어
    게센어는 일본 이와테현 기센 지구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도호쿠 방언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아이누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언어라는 주장도 있으며, 현대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어휘와 문법, 발음 체계로 인해 지역 언어 부흥 운동의 대상이 되었으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 중이다.
  • 아오모리현의 문화 - 마타기
    마타기는 일본 도호쿠 지방 산간 지역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사냥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며, 그들의 문화는 산신에 대한 믿음, 독특한 언어와 규율, 아이누 문화와의 연관성을 특징으로 한다.
  • 아오모리현의 문화 - 스기사와촌 전설
    스기사와촌 전설은 일본의 도시 전설로, 고립된 마을에서 벌어지는 기이한 풍습과 초자연적인 현상, 끔찍한 사건들을 다루며 츠야마 사건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되고, 도야마현 도야마시 고스기 지역이 실제 모델로 추정되며 다양한 미디어에서 재해석된다.
  • 일본어의 방언 - 게센어
    게센어는 일본 이와테현 기센 지구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도호쿠 방언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아이누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언어라는 주장도 있으며, 현대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어휘와 문법, 발음 체계로 인해 지역 언어 부흥 운동의 대상이 되었으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 중이다.
  • 일본어의 방언 - 주고쿠 방언
    주고쿠 방언은 일본 주고쿠 지방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산인 방언과 산요 방언으로 나뉘며,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과 문법 및 어휘를 가진다.
쓰가루 방언
개요
이름쓰가루 방언 (쓰가루벤)
원어명아오모리 방언
사용 지역일본, 아오모리 쓰가루 지방
쓰가루 방언 사용 지역
쓰가루 방언 사용 지역
언어 정보
어족알타이어족 (논쟁 중)
어계일본어족
분파일본어
하위 분파동일본 방언
세부 분파도호쿠 방언
하위 방언북부 도호쿠 방언
ISO 639-3방언 (dialect)
Glottologtsug1237 (쓰가루)
IETF 언어 태그ja-u-sd-jp02
기타

2. 역사

쓰가루 방언은 6~7세기 경의 고대 일본어를 바탕으로 하며, 홋카이도에서 도호쿠에 걸쳐 거주하던 에조(아이누)의 언어가 혼합된 것으로 추측된다. 추운 지역 기후 특성상 입을 크게 벌리지 않고 간략하게 말하는 습관이 언어 형태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며, 이 때문에 쓰가루 방언 어휘에는 현재 공통어에서 쓰이지 않는 고어의 잔존이 많이 보인다.[11]

2. 1. 고대 일본어의 흔적

6~7세기 경의 고대 일본어를 바탕으로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당시 홋카이도에서 도호쿠에 걸쳐 거주하고 있던 에조(아이누)의 언어가 혼합, 추운 지역의 기후 특성상 입을 크게 벌리지 않고 간략하게 말하는 습관이 언어의 형태에 영향을 미쳤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다. 이 때문에 쓰가루 방언의 어휘에는 현재 공통어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는 고어의 잔존이 많이 보인다.[11]

쓰가루 방언 단어 중에는 표준어에서는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 고어가 변하여 나타난 것으로 보이는 것이 종종 보인다. 억양은 이즈모 지방과의 공통성도 지적되고 있다.[11]

'''고대 일본어(야마토 고토바) 흔적의 현저한 예'''

쓰가루 방언의미어원
あげた|아게타일본어・おどげ|오도게일본어위턱, 아래턱·
てぎ|데기일본어面倒|멘도|귀찮음일본어大儀|다이기|대의일본어
ほいど|호이도일본어強欲、けち|교요쿠, 케치|욕심, 구두쇠일본어(현재는 거의 쓰이고 있지 않은 불교 용어로, 거지를 일컬음)
자이고시골재향


3. 구분

아오모리현 내의 방언은 쓰가루 지방의 쓰가루 방언과 난부 지방의 난부 방언으로 크게 나뉜다(난부 방언 중, 시모키타 방언을 나눠 3구분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4]。 양자는 각각 에도 시대쓰가루번난부번의 영역이며, 쓰가루벤과 난부벤의 차이는 명확하다. 경계는 히라나이정 카리바사와 노헤지정 마카도의 사이로, 1km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양 집락 사이에서도 명확한 방언 차이가 인정된다[4]

난부벤은 여러 하위 방언으로 구분되지만, 쓰가루벤의 내부 차이는 비교적 작다. 그중에서도 번주가 있었던 히로사키시 부근은 경어가 발달하여 도시적인 말로 여겨진다[5]。 또한 동해 연안부(후카우라아지가사와 주변부)에도 특색이 인정된다.

쓰가루 방언 일반은 경어 표현이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지만, 히로사키성 아래에서 사용되던 히로사키 방언은 예외로, 경어가 발달해 정중한 표현이 많다. 현대에도 쓰가루 사람들은 아오모리시보다 히로사키시의 방언을 "예쁘다", "품위있다"고 평가하며, 쓰가루벤의 표준어로 간주한다[6]

쓰가루 방언은 난부 방언에 비해 지역 차이가 작지만[4], 히로사키를 중심으로 하는 '''중남 지역'''과 고쇼가와라를 중심으로 하는 '''서북 지역'''과는 어휘 등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중남 지역(히로사키)서북 지역(고쇼가와라)의미
동의, 맞장구 표현난다네난다캬
"무엇을 하고 있는 거야?"의 뜻난시챤즈요 ("야"와 "요"가 반전됨)
기타쓰가루군이나 고쇼가와라시에서 자주 사용되는 감탄 표현앗차"어머나"
싯차"그것 봐라", 실패했을 때 "해버렸네", "어쩌다 이런 일이"
기타쓰가루군에서만"자 봐"
대단하다, 많다타게갓파아오모리에서는 "와야"
남성 성기가모 (구로이시 등)나미오카에서는 "하도"


4. 특징

표준어발음이 크게 달라 독특한 표현이 많기 때문에 일본어 화자에게 난해한 방언으로 유명하다. 쓰가루 지방 외의 사람들은 거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국 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는 쓰가루벤(津軽弁)에 대해 표준어 자막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7]。 쓰가루 지방의 의료 현장에서, 현지 출신이 아닌 의사간호사환자의 쓰가루벤을 오해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8]。 쓰가루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외국어처럼 느껴지기도 하며, 2010년에는 쓰가루벤과 프랑스어를 혼동한다는 내용의 「토요타・파소」의 CM이 화제가 되었다[9]

잘 알려진 쓰가루벤의 표현은 「どさ|도사일본어」,「ゆさ|유사일본어」이다. 긴 문장을 짧게 표현한다는 도호쿠 방언의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이다. 길을 걷는 사람에게 갑자기 「どさ|도사일본어」라고 말하면 의미가 통하지 않는데, 이는 「どごさ行ぐの|도고사 이구노일본어」(어디 가니?)와 「湯さ行ぐどご|유사 이구도고일본어」(목욕탕 가는 길인데)를 줄인 말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さ|사일본어」는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이다.

쓰가루벤의 대표적인 표현은 다음과 같다.


  • 「どさ|도사일본어」「ゆさ|유사일본어
  • :A: どこにいくの|도코니 이쿠노일본어? (어디 가니?)
  • :B: いまから風呂にいくところだよ|이마카라 후로니 이쿠토코로다요일본어 (지금부터 목욕탕 가는 길이야.)
  • (し)ちゅー|(시)추일본어 → (し)ている|(시)테이루일본어 -(하)고 있다
  • まいね|마이네일본어 → 駄目|다메일본어 안 된다
  • へば|헤바일본어 → そうすれば|소-스레바일본어 さようなら|사요-나라일본어 그러면, 안녕
  • さしね|사시네일본어 → うるさい|우루사이일본어 시끄럽다, 귀찮다
  • ~(だ)はんで|(다)한데일본어 → ~(だ)から|(다)카라일본어 그러니까
  • わ|와일본어 → 私|와타시일본어
  • たげ|타게일본어 → とても|도테모일본어 매우
  • こい|코이일본어 → 疲れる|쓰카레루일본어 피곤하다
  • とろける|토로케루일본어 → 片付ける|가타즈케루일본어 정리하다, 치우다
  • ~(だ)ばって|(다)밧테일본어 → ~(だ)けれど|(다)케레도일본어 -(하)지만


쓰가루벤 방언 시인 다카기 교조의 기일인 10월 23일은 「쓰가루벤의 날」이다[10]1988년에 이나 캇페이 등을 중심으로 하는 「쓰가루벤의 날 야루베시회(津軽弁の日やるべし会)」가 제정한 것으로, 매년 쓰가루벤에 의한 웅변대회 등이 개최되고 있다.

4. 1. 발음

쓰가루 방언의 발음 특징은 다른 도호쿠 방언, 기타오우 방언과 대체로 공통된다.

  • 모음 i, u는 중설 모음이다. e는 i에 가까운 발음이다.
  • "시"와 "스", "치"와 "츠", "지"와 "즈"의 구별이 없다. 예) 스시 → 스스(尻高), 사자 → 스스(頭高)
  • 단어의 중간, 어미의 카행, 타행이 탁음화되어 가행, 다행이 된다. 예) 오징어 → 이가, 귤 → 미강, 딸기 → 이지고
  • 위와 연동하여, 단어의 중간, 어미의 자행, 다행, 바행 음은, 바로 앞에 가벼운 비음을 동반하여 발음된다[12]。이것에 의해 변별(구별)이 가능하게 된다. 예) 기름(아부라) → 아부라, 명란젓 → 스즈고
  • 합요음 콰, 궈의 발음이 존재한다. 예) 원일 (궨지츠), 생강 (쇼우궨아)
  • 연모음 ai, ae는 융합하여 에아 ɛ가 된다. 보통의 에와는 다른 음이다. oi, ui도 마찬가지의 융합을 일으킨다. 예) 얕다 → 아세아, → 데아고[13]
  • "세", "제"는 "셰", "제"로 발음되기도 하지만, "세"는 오히려 "히에", "헤"가 되는 경우가 많다. "자", "조", "사"도 각각 "자", "조", "샤"가 되는 경우가 있다.
  • 장음 (ー), 촉음 (っ), 발음 (ん)은 공통어보다 짧게 발음된다. (음절 방언)

4. 2. 억양

쓰가루 방언의 억양은 단어 뒤에 조사가 붙는 경우, 특정 위치부터 높아지고 그 이후에도 계속 높게 유지되는 규칙성이 있다.[14] 표준어 억양은 특정 위치부터 낮아지는 특징이 있으며, 낮아지기 직전의 박자를 "억양 핵"이라고 부른다. 쓰가루 방언의 경우, 높아진 직후의 박자를 억양 핵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雨(비)"는 두 번째 박자에 억양 핵이 있어 "저고"로 발음하고, "雨も(비도)"는 "저고고"이다. "帯(띠)"는 첫 번째 박자에 억양 핵이 있어 처음부터 높은 "고저"이다. "帯も(띠도)"는 "고고고"이다. "飴(사탕)"에는 억양 핵이 없고, 단독으로는 "저고"이지만, 조사가 붙으면 고음부가 이동하여 "飴も(사탕도)"는 "저저고"가 된다.

4. 3. 문법

공통어 화자에게 잘 알려진 쓰가루 방언 표현으로는 どさ|도사일본어, ゆさ|유사일본어 등이 있다. 긴 문장을 단축적으로 표현하는 도호쿠 방언의 특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표현으로, 도사는 공통어 どこへ行くの|도코에 이쿠노일본어(어디에 가니?)에 해당하는 どごさ行ぐの|도고사 이구노일본어의 단축 표현이고, 湯へ行くとこ|유에 이쿠토코일본어(목욕탕 가는 길인데)에 해당하는 湯さ行ぐどご|유사 이구도고일본어의 단축 표현이다. さ|사일본어는 방향격 조사 へ|에일본어에 해당한다.

  • どさ|도사일본어, ゆさ|유사일본어
  • : A: "어디 가니?"
  • : B: "지금부터 목욕탕 가는 길이야."
  • (し)ちゅー|(시)추-일본어 → (し)ている|(시)테이루일본어 -(하)고 있다
  • まいね|마이네일본어 → 駄目|다메일본어 안 된다
  • へば|헤바일본어 → そうすれば|소-스레바일본어 さようなら|사요-나라일본어 그러면, 안녕
  • さしね|사시네일본어 → うるさい|우루사이일본어 시끄럽다, 귀찮다
  • (だ)はんで|(다)한데일본어 → (だ)から|(다)카라일본어 그러니까
  • わ|와일본어 → 私|와타시일본어
  • たげ|타게일본어 → とても|도테모일본어 매우
  • こい|코이일본어 → 疲れる|쓰카레루일본어 피곤하다
  • とろける|토로케루일본어 → 片付ける|가타즈케루일본어 정리하다, 치우다
  • (だ)ばって|(다)밧테일본어 → (だ)けれど|(다)케레도일본어 -(하)지만


동사활용은 기본적으로 표준어와 같지만, 5단 활용을 하는 동사의 "가자", "하자" 등에 해당하는 형태는 없고 (대신 "가구베"처럼 "베"를 사용), 4단 활용이다. 또한 "사다", "배우다" 등의 와행 4단 동사가 "카루", "나라루"처럼 라행 4단 활용이나 라행 변격 활용이 되는 경우가 있다.[15] 1단 동사의 명령형은 "오기", "열개로"처럼 "로" 어미를 사용하지만, 동해안 쪽의 니시쓰가루군에서는 "오기레", "열개레"처럼 "레" 어미로 하는 경우가 있어, 아키타 사투리나 홋카이도 방언과 공통된다. 사행 변격 활용의 "하다"는 미연형에서는 "시네아" 또는 "사네아" (하지 않아), 종지형은 "시" 또는 "시루", 가정형은 "세바", 명령형은 "시로" 또는 "시레", "세"가 된다.[18]

형용사는 종지형 어미가 연모음 융합을 일으킨 형태, 예를 들어 "아카이"라면 "아게아"가 어간이 되어 활용하지 않는다. 연용형은 "아게아구"(빨갛게), 가정형은 "아게아바"(빨갛다면)가 되어, 어간에 직접 "구", "바" 등의 접미사를 붙인다. 칼이 활용은 발달하지 않아, 과거형 "아카캇타"(빨갰다)는 "아게아쿠테앗타", "아게아후테앗타"라고 한다. 남부 사투리에서 칼이 활용이 발달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형용동사에서는 연체형이 "시즈가다모리"(조용한 숲)가 되어, 종지형과 동형이 된다. 또한 가정형도 "시즈카다라"(조용하다면), 혹은 "시즈가다바"처럼 "-나"가 아닌 "-다"로 통일된 형태가 된다.[16]

; 의지・권유・추량 "베"

: 의지, 권유, 추량에는 "베"를 사용한다. 추량에는 "베"에 "온"을 붙인 "뵨"을 사용한다.[17] "카구베"(쓰자), "아게아베"(빨갛겠지), "시즈가다베"(조용하겠지)처럼 원칙적으로 종지형에 붙지만, 1단 동사에는 "오기베"(일어나자), "아게베"(열자)처럼 미연형에 붙는다.[16] 가행변격활용 "오다"의 경우, "쿠루베" 외에 "쿠베", "키베"라고 말하는 화자도 있다.[18][16] …らしい|…라시-일본어에 해당하는 말로, 표준어와 같은 "라시"도 있지만, "후루욘타"와 같은 "욘타"를 주로 사용한다.[19]

; 정중

: ます|마스일본어에 해당하는 정중한 표현은 "카기시"(씁니다), "오기시"(일어납니다)처럼 연용형에 "시"(스)를 붙인다. "시"의 부정은 "센"이 변한 "헨", "히엔"[16][20]이다. 더 정중한 표현으로 "카구데고시"(씁니다), "이구데고시"(갑니다), 더 나아가 정중한 표현으로 "카구데고에시", "이구데고에시"와 같은 표현이 히로사키를 중심으로 사용되었지만, 현대에는 들을 수 없게 되었다.[20] "요미헤"(읽으세요), "오기헤"(일어나세요)처럼 연용형에 "헤"를 붙이면 정중한 명령 표현이 되며[21][22], "카이데케헤"(써 주세요), "오기데케헤"(일어나 주세요)처럼 말하기도 한다.[21]

; 단정

: 단정에는 표준어와 마찬가지로 "다"를 사용하며, 정중형은 "데스"이다. "데스"의 부정이 "데히엔"(←데센)이 된다는 점이 표준어와 다르다.[23]

; 지속상

: 표준어의 …ている|…테이루일본어에 해당하는 지속 상에는 "쿳테라"(먹고 있다), "카이데라"(쓰고 있다)처럼 "테라", "데라"를 사용한다. 젊은 층에서는 "쿳츄", "카이지유"와 같은 "츄", "쥬", 또는 "카이자"와 같은 "챠", "쟈"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츄"를 사용하는 젊은 층에서는 "미데라"(보고 있었다)처럼 "테라"를 표준어의 …ていた|…테이타일본어에 해당하는 완료의 의미로도 사용하게 되었다. 원래 쓰가루 방언에서는 완료의 의미에는 "미데앗타"처럼 "테앗타"를 사용한다.[17]

:: (예) 편지 카이쥬 한데 (편지를 쓰고 있으니까)[24]

; 가능・수동・자발・사역

: 가능을 나타내는 형태에는 "카게루"(쓸 수 있다), "오기레루"(일어날 수 있다), "아게레루"(열 수 있다), "코레루"(올 수 있다)와 같은 가능 동사형(4단 동사 이외는 가능 동사에서 유추하여 발생한 형태)과 "카구니이이", "오기루니이이"와 같은 형태가 있으며, 전자는 능력 가능을 나타낸다. 또한 수동을 나타내는 데 "카가에루"(써진다), "오기라에루"(일어나진다)처럼 "에루", "라에루"("레루", "라레루"에서 r이 탈락한 것)가 사용되지만, 이 형태로 가능도 나타낸다.[25] 자발을 나타내는 데에는 "카사사루", "오사사루", "츠마사루", "오키라사루"처럼 "사루"를 사용한다. 사역을 나타내는 데에는 "카가세루"(쓰게 하다), "오기라세루"(일어나게 하다), "코라세루"(오게 하다)처럼 "세루", "라세루"를 사용한다.

4. 4. 조사의 용법

쓰가루 방언에서 공통어 화자에게 잘 알려진 표현으로는 どさ|도사일본어, ゆさ|유사일본어 등이 있다. 긴 문장을 단축적으로 표현하는 도호쿠 방언의 특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표현으로, どさ|도사일본어는 공통어 どこへ行くの|도코에 이쿠노일본어(어디에 가니?)에 해당하는 どごさ行ぐの|도고사 이구노일본어의 단축 표현, ゆさ|유사일본어는 湯へ行くとこ|유에 이쿠토코일본어(목욕탕 가는 길인데)에 해당하는 湯さ行ぐどご|유사 이구도고일본어의 단축 표현이다. 여기서 さ|사일본어는 방향격 조사 へ|에일본어에 해당한다.

공통어의 '가'에 해당하는 주어를 나타내는 격조사는 사용되지 않고, 무조사로 나타낸다(예: 꽃 咲いだ(꽃이 피었다)). '을'에 해당하는 대격도 보통은 무조사이지만, 강조할 경우에는 '고도(ごど)', '바(ば)'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예: さげごどのむ|사게고도노무일본어(술을 마신다)). 계조사 '는'도 사용되지 않고, '아메아(雨ぁ)'(비는)처럼 가볍게 모음이 들어가는 정도이지만, 강조할 경우에는 '캬(きゃ)', '다캬(だきゃ)'가 있으며, '와캬이쿠(わきゃ行く)'(나는 간다)와 같이 사용한다[26]

공통어의 '에'에 해당하는 말로는 '네(ね)'와 '사(さ)'가 있다. '사'는 원래 'へ'에 해당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말이었지만, 의미 범위가 확대되었다.(예: せんせさ聞ぐ|센세사키쿠일본어(선생님께 듣는다), 静がさなる|시즈가사나루일본어(조용해진다))

준체조사로는, 예를 들어 '가는 것을 그만둔다'의 경우 行ぐのごどやめる|이쿠노고도야메루일본어, 行ぐのやめる|이쿠노야메루일본어, 行ぐんずやめる|이군즈야메루일본어와 같이 여러 표현이 있다[27].'이군즈(行ぐんず)'는, 고쇼가와라를 중심으로 한 일본해 측에서 사용한다[27]

문장의 종결 동사/형용사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는 '쟈'( '데아'라고도 함)가 있다. (예) 사비쟈(춥네)

감탄조사로는 '사', '캬', '노', '나', '네'가 있다. '사', '캬'는 주로 여성이 사용하고, '노'는 남녀 모두, '나'는 주로 남성이 사용한다.[28][29] '네'에 '스'를 붙이면 정중한 표현이 된다. 히로사키의 연배가 있는 여성은 '네스'의 변형인 '네사・네하'를 사용하며, 품위 있는 표현으로 여겨진다.[29]

5. 대표적인 쓰가루 방언 표현

공통어 화자에게 잘 알려진 쓰가루 방언 표현은 どさ|도사일본어, ゆさ|유사일본어 등이 있다. 긴 문장을 단축적으로 표현하는 도호쿠 방언의 특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이다. 도사는 공통어 どこへ行くの|도코에 유쿠노일본어(어디에 가니?)에 해당하는 どごさ行ぐの|도고사 이구노일본어를, 湯へ行くとこ|유에 유쿠토코일본어(목욕탕 가는 길인데)에 해당하는 湯さ行ぐどご|유사 이구도고일본어를 줄인 말이다. さ|사일본어는 방향격 조사 へ|에일본어에 해당한다.[7]


  • (し)ちゅー|시추일본어 → (し)ている|(시)테이루일본어 -(하)고 있다
  • まいね|마이네일본어 → 駄目|다메일본어 안 된다
  • へば|헤바일본어 → そうすれば|소오스레바일본어, さようなら|사요나라일본어 그러면, 안녕
  • さしね|사시네일본어 → うるさい|우루사이일본어 시끄럽다, 귀찮다
  • ~(だ)はんで|(다)한데일본어 → ~(だ)から|(다)카라일본어 그러니까
  • わ|와일본어 → 私|와타시일본어
  • たげ|타게일본어 → とても|도테모일본어 매우
  • こい|코이일본어 → 疲れる|쓰카레루일본어 피곤하다
  • とろける|토로케루일본어 → 片付ける|가타즈케루일본어 정리하다, 치우다
  • ~(だ)ばって|(다)밧테일본어 → ~(だ)けれど|(다)케레도일본어 -(하)지만


표준 일본어와 다른 단어[7]
한국어표준 일본어쓰가루 방언
私|와타시일본어わ|와일본어
あなた|아나타일본어な|나일본어
귀여운かわいい|가와이일본어めごい|메고이일본어
친구友達|도모다치일본어けやぐ|케야구일본어
시골田舎|이나카일본어じゃご|자고일본어
그러나けれど|케레도일본어だばって|다밧테일본어
같은同じ|오나지일본어ふとず|후토즈일본어
매우とても|도테모일본어たげ|타게일본어 / がっぱ|갓파일본어
차가운冷たい|쓰메타이일본어しゃっこい|샷코이일본어
따뜻한暖かい|아타타카이일본어ぬげ|누게일본어
시끄러운うるさい|우루사이일본어さしね|사시네일본어
짜증나는イライラする|이라-이라수루일본어かちゃくちゃね|가차-쿠차네일본어
(お)金|(오)카네일본어じぇんこ|젠코일본어
이마ひたい|히타이일본어, (お)でこ|(오)데코일본어なずぎ|나즈기일본어
家|이에일본어え|에일본어
ごはん|고항일본어まま|마마일본어
얼리다 (타동사)凍らせる|고오라세루일본어しみらがす|시미라가스일본어
얼다 (자동사)凍る|고오루일본어しみる|시미루일본어
먹다 (동사)食べる|다베루일본어, 食う|구우일본어 (구어)く|구일본어


6. 대중매체 등에서의 오해

다른 지방어에서도 비슷한 경우가 많지만, 쓰가루 방언이라고 하면 っぺ|ㅅ페일본어나 だっぺ|닷페일본어 등의 어미를 연상하는 사람이 매우 많다. 이들 어미는 TV 등에서 이른바 시골 이미지를 연상시키기 위한 상투적인 표현이지만, 원래는 보소 지방(지바현)의 방언 표현으로 쓰가루 방언에서는 쓰지 않는 표현이다. 쓰가루 방언에 있는 だべ|다베일본어와 혼동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7]

표준어발음이 크게 달라서 독특한 표현이 많기 때문에 일본어 화자에게 난해한 방언으로 유명하다. 쓰가루 지방 외의 사람들은 거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국 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는 쓰가루벤(津軽弁)에 대해 표준어 자막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8] 쓰가루 지방의 의료 현장에서, 현지 출신이 아닌 의사간호사환자의 쓰가루벤을 오해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9] 쓰가루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외국어처럼 느껴지기도 하며, 2010년에는 쓰가루벤과 프랑스어를 혼동한다는 내용의 「도요타 파소」의 CM이 화제가 되었다.[9]

도쿄 등에서 "쓰가루 방언" 또는 "도호쿠 방언"이라고 하면, "~っぺ"나 "~だっぺ"라는 어미를 상상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이러한 어미가 현저하게 시골을 연상시키기 때문인데, 어미에 "~っぺ"나 "~だっぺ"를 붙이는 것은 이바라키 방언을 비롯한 미야기현에서 지바현에 걸쳐 사용되는 방언이며, 쓰가루 방언에서 사용되는 것은 "~だべ"이다. 또한 아오모리현 출신으로 쓰가루 방언 화자인 요시 이쿠조가 『우리들 도쿄로 간다』라는 노래를 발표했는데, 이 노래의 가사에 등장하는 방언은 전형적인 모습이며 표준어에 가깝게 만들어진 것이고, 정확한 쓰가루 방언은 아니다. 요시 이쿠조의 노래 중에서는 『TSUGARU』가 정확한 쓰가루 방언에 가깝다.

7. 쓰가루 방언을 사용하는 유명인


  • 이나 캇페이 (히로사키시)
  • 우치야마 치하야 (아오모리시)
  • 다나카 요시타케 (하치노헤시) - 출신은 현 남부 난부권이지만, 쓰가루벤 사용자를 자처한다.
  • 산유테이 카구라 (아오모리시) - 현지에서 개최하는 라쿠고 독연회에서는 쓰가루벤 라쿠고를 선보이기도 한다.
  • 요시키자 (고쇼가와라시) - 구 가나기정 출신[7]
  • 코사카 다이마오 (아오모리시)
  • 니이야마 치하루 (아오모리시)
  • 쿠로이시 하치로 (쿠로이시시)
  • 아소 시오리 (아오모리시)
  • 아오야마 료헤이 (쓰가루시) - 구 키즈쿠리정 출신. 아오모리 방송디렉터 겸 퍼스낼리티.
  • 하시모토 야스나리 (미사와시) - 아오모리 방송 이사 콘텐츠 개발 국장 (전 아나운서, 디렉터 겸 퍼스낼리티). 단, 다나카와 같은 현 남부 난부권 출신이기 때문에, 순수한 화자는 아니다.
  • 링고 무스메 (히로사키시) - 로컬 아이돌. 아오모리를 어필하기 위해 쓰가루벤을 상시 사용하며, 전국 방송에서도 쓰가루벤을 고수한다.
  • 스즈키 마사유키 (히로사키시)
  • 닌겐 이스 (밴드) (히로사키시) - 중심 멤버인 와지마 신지, 스즈키 켄이치가 히로사키 고등학교 동급생. 춤추는 일촌법사 등, 악곡 가사에 쓰가루벤을 다용.
  • 이가라시 아사토 (아오모리시) - 배우. 자신의 블로그를 항상 쓰가루벤 "헤바나〜"로 마무리한다.
  • 마이노우미 슈헤이 (아지가사왓초) - 스모 해설자·스포츠 캐스터. 상대가 쓰가루벤 화자라면, 방송 등에서 쓰가루벤으로 대화를 선보이기도 한다.
  • 아오모리 신 - 성우. 쓰가루벤 방언 연기 지도를 하기도 한다.
  • 미카미 시오리 - 성우. 자신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쓰가루벤을 선보이거나, 대사로 쓰가루벤이 사용되기도 한다.
  • 요코야마 유이 - 전 AKB48 팀 8
  • 코마이 렌 (히라카와시) - 배우
  • 오린 (히로사키시) - 아이돌
  • 토라타니 아츠코 (히로사키시) - 요미우리 TV 아나운서. 와지마, 스즈키와 같은 히로사키 고등학교 후배. 같은 국 제작 프로그램 (『아침 와이드 스·마탄!』)이나 공식 동영상 사이트 (요미우리 TV 아나운서 채널)에서 쓰가루벤을 선보이거나, 해설을 하기도 한다.
  • 소에지마 모에 (히로사키시) - NHK 아나운서. 하루카 유메 구장에서 1군 경기가 열릴 때, 현지 리포트를 쓰가루벤으로 전국에 전달하고 있다.
  • 코야나이 스즈나 (히로사키시) - 후지 TV 아나운서. 메자마시 TV나 후지 TV 공식 YouTube 등에서 쓰가루벤을 선보이고 있다.


아오야마, 하시모토, 아소는 개별 라디오 프로그램 (모두 아오모리 방송)에서 때때로 쓰가루벤을 사용한다.

8. 쓰가루 방언 관련 작품


  • 라그노오 토크 와라우・나마루가 카치
  • 이이데바! 영어 학원
  • 슈퍼 갱 심야 동맹
  • 이번 주의 돈단즈
  • 오레부시
  • 산 온나 카베 온나
  • 마시로의 소리
  • 47 도도견 - 성우 버라이어티 SAY! YOU! SAY! ME! 내에서 방영된 단편 애니메이션이다. 향토의 명산을 모티브로 한 개들이 등장한다. 아오모리현은 사과를 모티브로 한 아오모리견으로 등장하며, "이쪽으로 오렴~", "남의 말 좀 들어!" 등과 같이 말한다. 성우는 아오모리현 출신 카츠키 마사코이다.

9. 쓰가루 방언 문학 작품

쓰가루 방언은 그 독특한 발음과 표현으로 인해 문학 작품의 표현에 사용되고 있다. 이는 류큐 문학을 제외하면, 본토 방언으로는 간사이벤 다음으로 많은 수이다.[33] 아사리 게이타에 따르면, 극작가 가토 미치오는 "일본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은 도호쿠벤이라고 생각한다. 저 부드러운 울림이 표준어였다면, 일본에서의 오페라와 시극의 완성은 한 세기 빨랐을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34]

'''현대 문학'''


  • 다카기 교조 - 『마르메로』(시집, 1931년)
  • 이치노헤 겐조 - 『네푸타』(시집, 1936년)
  • 키무라 스케오 - 『토붓시』(시집, 1943년)
  • 우에키 요스케 - 『우에키 요스케 시집』
  • 다자이 오사무 - 『참새 둥지』(소설, 1935년)
  • 테라야마 슈지 - 『오소레산』(라디오 드라마, 1962년), 『만다라』(라디오 드라마, 1967년)


'''민화·구전 문학'''

  • 가와아이 유타로 - 『쓰가루 옛날 이야기집』(도오 닛포사, 1930년) - 저자가 미나미쓰가루군 후지사키정 출신 할머니에게서 들은 옛날 이야기를 쓰가루벤 그대로 수록하고 있다.
  • 가와아이 유타로 - 『아오모리현의 옛날 이야기』(쓰가루 서방, 1972년) - 쓰가루벤을 포함, 아오모리현 각지에서 채집된 옛날 이야기를 방언 그대로 수록하고 있다.

참조

[1] 학술회의 Mutual Intelligibility as a measure of linguistic distance and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https://www2.ninjal.[...]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2018-08-08
[2] 웹사이트 ResearchGate mirror https://www.research[...]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뉴스 ここがオモロイ !「秘密のケンミンSHOW」「せばだばまいねびょん」ではすまない!いちばんナイーブな、津軽弁の聖地はどこだ?! https://www.yomitv.j[...] 読みテレ 2022-01-14
[8] 뉴스 患者の津軽弁、医師ら誤解多く 方言教育の重要性学会発表へ http://www.mutusinpo[...] 2020-12-16
[9] 웹사이트 天地人 http://www.toonippo.[...] 東奥日報社 2010-10-25
[10] 간행물 3040 2007年10月
[11] 뉴스 津軽方言 の研究 file:///home/orange-[...] 1964-10-04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문서
[34] 웹사이트 美しい南部弁 http://fuzoku.cneti.[...] 岩手大学付属小・中学校クラスメート・ホームページ 2004-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