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나톨리아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나톨리아어파는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분리된 가장 오래된 어파로, 기원전 4천년 중반에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쿠르간 가설이 기원과 관련하여 가장 유력하며, 히타이트어, 루위어, 리키아어, 리디아어 등을 포함한다. 아나톨리아어파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며, 후두음의 보존, 분열 격의 존재, 독특한 동사 활용 등을 보인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헬레니즘화로 인해 기원전 1세기경 대부분 소멸되었으며, 인도유럽어족에서 가장 먼저 소멸한 어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나톨리아어파 - 루위아어
    루위아어는 기원전 2천년기에서 1천년기 사이에 아나톨리아 중·서부와 북부 시리아 지역에서 사용된 아나톨리아어파의 고대 언어로, 설형 문자와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인도유럽어족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아나톨리아어파 - 히타이트어
    히타이트어는 기원전 2천년기 아나톨리아에서 히타이트인들이 사용한 쐐기 문자로 기록된 인도유럽어족 아나톨리아어파의 언어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인도유럽어족 언어 중 하나이며, 핫티어와 후르리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많다는 특징을 가진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아나톨리아어파
언어 정보
이름아나톨리아어파
사용 민족아나톨리아인
사용 지역과거 아나톨리아
어족인도유럽어족
조어원시 아나톨리아어
Glotto 코드anat1257
Glotto 참조Anatolian
하위 언어
주요 언어히타이트어
팔라어
루위어
뤼디아어
기타 언어카리아어
리키아어
피시디아어
시데어
지도 정보
아나톨리아어파의 대략적인 지리적 분포
아나톨리아어파의 대략적인 지리적 분포

2. 기원

초기 인도유럽어족의 이동은 흑해-카스피해 스텝에서 시작되었다.


아나톨리아어파는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가장 먼저 분리된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인도-히타이트어 또는 "고대 PIE"로 불리는 단계에서 기원하며, 일반적으로 기원전 4천년 중반으로 추정된다.[1]

아나톨리아어파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 쿠르간 가설: 인도유럽조어의 원향을 흑해 북쪽 초원 지대로 보는 가설이다. 이 가설에 따르면, 초기 아나톨리아어 화자들은 캅카스 산맥(동쪽) 또는 발칸반도(서쪽)를 거쳐 아나톨리아로 이주했다.[1] 맬러리와 슈타이너는 발칸반도 경로가 더 유력하다고 보았다.[58][59] 이들은 기원전 2000년경 또는 그 이전에 아나톨리아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 아나톨리아 가설: 앤드루 콜린 렌프루가 주장한 가설로, 인도유럽조어의 원향이 아나톨리아였다는 주장이다. 이 가설은 쿠르간 가설보다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르메니아 가설: 아르메니아고원에서 서쪽으로 이동했다는 가설이다. 이 가설 또한 쿠르간 가설보다 지지받지 못한다.

  • 체르나보다 문화 가설: 체르나보다 문화가 스레드니 스토그 문화와 함께 아나톨리아어의 기원이며, 아나톨리아어가 원시 인도-아나톨리아어에서 분리된 후 발칸 반도를 통해 아나톨리아로 유입되었다는 이론이다.[4][5][6]


현재는 쿠르간 가설이 가장 유력한 학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한민국 학계에서도 쿠르간 가설을 지지하는 경향이 강하다. 과거 일부 학자들이 제창했던 "인도-히타이트어" 가설(스터티번트 등의 설)은 현재 폐기되었지만, 아나톨리아어파가 인도유럽조어로부터 가장 일찍 분화되었다고 생각하는 학자는 지금도 적지 않다[56]

3. 분류

멜처트(2012)는 다음과 같은 분류를 제안했다.[8]



331x331px


클뢰크호르스트(2022)는 재구축된 일부 단계에 대한 추정 연대와 함께 더 자세한 분류를 제안했다.

  • 원시 아나톨리아어 (기원전 31세기에 분화)
  • * 원시 루워-리디아어
  • ** 원시 루워-팔라어

원시 루위어파 (기원전 21세기–20세기)
* 원시 루위아어 (기원전 18세기)
** 설형 루위아어 (기원전 16–15세기)
** 상형 루위아어 (기원전 13–8세기)
* 원시 리코-카리아어
** 원시 카리아-밀리안어
*** 카리아어 (기원전 7–3세기)
*** 밀리안어 (기원전 5세기)
** 원시 리키아-시데트어
*** 리키아어 (기원전 5–4세기)
*** 시데트어 (기원전 5–2세기)
* 피시디아어 (서기 1–2세기)
원시 팔라어
* 팔라어 (기원전 16–15세기)

  • ** 원시 리디아어

리디아어 (기원전 8–3세기)

  • * 원시 히타이트어 (기원전 2100년경)
  • ** 카니시테 히타이트어 (기원전 1935–1710년)
  • ** Ḫattuša 히타이트어 (기원전 1650–1180년)


또한, 칼라슈마어는 루위어파 언어로 여겨지지만, 추가 분석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9]

로버트 비크스 (2010)는 아나톨리아어족 계통도 요약을 따른 상대적으로 평평한 배열로 아나톨리아어를 나타낸다.[18] 이 모델은 루위어군이라는 단 하나의 명확한 하위 그룹만 인정한다. 하지만 분기 순서에 대한 수정과 업데이트는 계속되고 있다. 두 번째 버전은 히타이트어를 서부 아나톨리아어와 대립시키고, 후자를 리디아어, 팔라어, 루위어군(루위어군 대신)으로 나눈다.[19]

기원전 1천년기 아나톨리아어파 제어의 분포


아나톨리아어파에 분류되는 언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55]

  • '''히타이트어''': 기원전 16세기부터 기원전 13세기경에 사용된 히타이트 제국의 공용어. 히타이트의 선주민이 사용했던 하티어는 전혀 다른 계통이다.

  • '''팔라어''': 아나톨리아 중북부에서 사용되었으며, 히타이트어와 동시대의 자료가 소수 남아 있다.

  • '''루위어''': 아나톨리아 남부에서 시리아 북부의 자료가 남아 있다.

  • * 쐐기 문자 루위어: 쐐기 문자로 쓰여졌다. 히타이트어와 동시대의 자료가 소수 남아 있다.

  • * 상형 문자 루위어: 인장·비문에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로 쓰여졌다.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기원전 15세기부터 히타이트 제국의 멸망 후인 기원전 7세기에 걸쳐 자료가 남아 있다.

  • '''리키아어''' (리키아어 A 또는 표준 리키아어): 철기 시대의 리키아에서 사용되었으며, 루위어의 자손 언어이다. 기원전 1세기경에 소멸되었다.

  • '''''' (리키아어 B): 한때 리키아어의 방언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실질적으로 비문 1개만 알려져 있다.

  • '''리디아어''': 아나톨리아 서부의 리디아에 자료가 남아 있다. 기원전 1세기경에 소멸되었다.


이들 중, 루위어 (쐐기 문자 루위어, 상형 문자 루위어), 리키아어, 미리아어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어 루위어군으로 묶인다[55]

그 외에, 고대에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사용되었던 다음 언어들이 아나톨리아어파에 묶일 가능성이 높지만 확증은 없다[55]

  • '''카리아어''': 카리아 본토 외에도, 이집트·그리스에 비문이 남아 있다. 이집트에는 기원전 7세기 이후의 카리아인 용병의 낙서가 다수 남아 있다. 기원전 3세기경에 소멸되었다.

  • '''피시디아어'''와 '''시데어''' (팜필리아어): 극히 단편적이지만, 루위어에 가깝다고 여겨진다.

3. 1. 히타이트어

히타이트어(''nešili'')는 히타이트 제국의 언어로, 대략 기원전 1650년에서 1200년 사이에 사용되었다.[20] 히타이트어의 가장 초창기 자료는 기원전 19세기의 퀼테페 텍스트로, "카네스 항구" 또는 "카네스의 항구"로 알려진 아카드어 기록이다.[20] 이 기록은 아시리아 상인들의 도시인 ''kaneš'' (퀼테페) 내에 위치한 아시리아의 앙클레이브에 대한 것으로, 히타이트 이름과 히타이트에서 아카드어로 차용된 단어를 기록하고 있다.[20] 이 도시의 히타이트어 이름은 ''네샤''였으며, 여기서 히타이트어의 내부 명칭인 ''Nešili''가 파생되었다.[20]

히타이트어 텍스트의 주요 저장소는 현재 터키의 보아즈칼레(과거 보아즈쾨이) 근처의 능선에 위치한 왕실 도시 ''하투사''의 기록에서 발견된 약 3만 개의 점토판 조각이다.[21] 이 기록에는 의식, 의학 기록, 편지, 법률 및 기타 공공 문서가 포함되어 있어 문명의 많은 측면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다.[21]

대부분의 기록은 기원전 13세기(청동기 시대 후기)에 작성되었으며, 메소포타미아 필기 시스템에서 차용한 설형 문자로 작성되었다.[21] 이 필기는 음절 문자이며, 아카드어수메르어 단어, 로고그램의 사용으로 인해 원래 형태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21] 그러나 음절을 나타내는 음성 음절 기호도 존재한다.[21]

히타이트어는 고(Old), 중(Middle), 신(New) (또는 신(Neo)-)으로 나뉜다.[22] 이들은 역사적 기간과 필기 시스템의 변형에 기반하며, 각각 고왕국과 고문자, 중왕국과 중문자, 신왕국과 신문자를 사용했다. 폴트슨은 관련 왕들의 통치 시기를 기준으로 기원전 1570–1450년, 기원전 1450–1380년, 기원전 1350–1200년이라고 말한다.[22] 설형 문자 히타이트어는 하투사의 파괴와 제국의 멸망과 함께 기원전 1200년에 종말을 맞이했다.[22]

최대 판도에서의 히타이트 제국() 및 무르실리 2세() 시대


기원전 16세기부터 기원전 13세기경에 사용된 히타이트 제국의 공용어는 히타이트어이다.[55] 히타이트의 선주민이 사용했던 하티어는 전혀 다른 계통이다.[55]

3. 2. 팔라어

팔라어아나톨리아 중북부 팔라 (후기 파플라고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히타이트어와 동시대의 자료가 소수 남아있다.[55] 카스카의 침략으로 인해 소멸되었다.[55] 팔라이어는 기원전 13세기경에 소멸되었으며, 고대 히타이트어 텍스트에 인용된 기도문의 단편들만 알려져 있다.[55]

3. 3. 루위어군

'''루위어군'''(Luwic languages영어)은 크레이그 멜처트가 제안한 용어로, 다른 아나톨리아어파보다 더 밀접하게 관련된 여러 언어를 포함한다.[23] 멜처트는 '루위어군'이라는 용어를 루위어와 그와 가장 가까운 친족 언어들을 지칭하기 위해 제안했다.

루위어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55]

  • 루위어: 아나톨리아 남부에서 시리아 북부에 걸쳐 사용되었다. 쐐기 문자로 쓰여진 쐐기 문자 루위어와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로 쓰여진 상형 문자 루위어로 나뉜다. 쐐기 문자 루위어는 히타이트어와 동시대의 자료가 소수 남아 있다. 상형 문자 루위어는 인장·비문에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로 쓰여졌으며,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기원전 15세기부터 히타이트 제국의 멸망 후인 기원전 7세기까지의 자료가 남아 있다.

기원전 2천년기 루위아어가 사용되었던 지역

  • 리키아어: 철기 시대의 리키아에서 사용되었으며, 루위어의 자손 언어이다. 기원전 1세기경에 소멸되었다.

  • : 한때 리키아어의 방언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실질적으로 비문 1개만 알려져 있다.
  • 카리아어: 카리아 본토 외에도, 이집트·그리스에 비문이 남아 있다. 이집트에는 기원전 7세기 이후의 카리아인 용병의 낙서가 다수 남아 있다. 기원전 3세기경에 소멸되었다.

  • 피시디아어: 극히 단편적이지만, 루위어에 가깝다고 여겨진다.

  • 시데어: 극히 단편적이지만, 루위어에 가깝다고 여겨진다.

터키 시데 박물관의 시데어 비문 전시물

  • 칼라슈마어?: 오늘날 볼루 근처로 추정되는 칼라쉬마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3. 3. 1. 루위어

루위어는 아나톨리아 남부에서 시리아 북부에 걸쳐 사용되었다.[55] 루위어는 쐐기 문자로 쓰여진 쐐기 문자 루위어와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로 쓰여진 상형 문자 루위어로 나뉜다.[55]

쐐기 문자 루위어는 히타이트어와 동시대의 자료가 소수 남아 있다.[55] 상형 문자 루위어는 인장·비문에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로 쓰여졌으며,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기원전 15세기부터 히타이트 제국의 멸망 후인 기원전 7세기까지의 자료가 남아 있다.[55]

3. 3. 2. 리키아어



리키아어(밀리어가 "리키아어 B"였을 때 "리키아어 A"라고 불림)는 고전 시대 리키아에서 사용되었으며, 아나톨리아 남서부에서 사용되었다. 약 150개의 장례 기념비와 32개의 공문서를 포함하여, 주로 돌에 새겨진 172개의 비문[33]으로 증명된다. 문자는 리키아 문자인데, 리키아인들이 그리스 문자를 수정하여 사용했다. 비문 외에도 리키아식 이름이 새겨진 200개 이상의 동전이 있다. 텍스트 중 일부는 리키아어와 그리스어로 이중 언어이며, 하나는 레토온 삼중 언어 비문으로 리키아어, 그리스어, 아람어로 되어 있다. 가장 긴 텍스트인 약 250행의 크산토스 석비는 원래 그리스어와 리키아어로 이중 언어인 것으로 여겨졌지만, 현재 밀리어어로 식별된 "리키아어 B"라는 또 다른 밀접하게 관련된 언어의 구절이 확인되면서 석비는 삼중 언어가 되었다. 동전 중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500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4] 그러나 문자 체계는 개발 및 구현에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다.

리키아라는 이름은 호메로스[35]에서 나타나지만, 역사적으로는 히타이트 및 이집트 문서에서 "바다 민족" 중 루카로 나타나며, 루카 땅에 거주했다. 후기 청동기 시대의 리키아어 텍스트는 남아 있지 않지만, 이름은 그 지속적인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리키아는 기원전 4세기 말에 완전히 헬레니즘화되었으며,[36] 이후 리키아어는 더 이상 찾아볼 수 없다.

3. 3. 3. 밀리안어

밀리안어는 이전에는 "리키아어 B"로 리키아어의 방언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별개의 언어로 분류된다.[55] 실질적으로 비문 1개만 알려져 있다.[55]

3. 3. 4. 카리아어

카리아어는 카리아에서 사용되었다. 이 언어는 카리아 용병들과 이집트, 멤피스 (및 이집트의 다른 지역)에 있는 민족 앙클레이브의 다른 구성원들이 남긴 낙서, 그리스 기록에 나오는 개인 이름, 카리아에서 발견된 20개의 비문 (4개의 이중 언어 비문 포함), 에게해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산재된 비문, 고대 작가들이 카리아어라고 언급한 단어들을 통해 단편적으로 증명된다.[39] 비문은 기원전 7세기에 처음 등장했다. 고대에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들중 하나로 이집트·그리스에 비문이 남아 있다. 이집트에는 기원전 7세기 이후의 카리아인 용병의 낙서가 다수 남아 있다. 기원전 3세기경에 소멸되었다.[55]

3. 3. 5. 피시디아어

피시디아어는 피시디아에서 사용되었다. 서기 1~2세기의 30여 개의 짧은 비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리키아어시데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55] 극히 단편적이지만, 루위어에 가깝다고 여겨진다.[55]

3. 3. 6. 시데어

시데어는 터키의 시데에서 사용되었다. 기원전 5세기부터 2세기까지의 동전 문구와 이중 언어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55]

3. 3. 7. 칼라슈마어

오늘날 볼루 근처로 추정되는 칼라쉬마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이 언어는 하투사에 있는 단 하나의 비문으로 알려져 있다.[40]

3. 4. 리디아어

리디아어는 리디아에서 사용되었다.[41] 아나톨리아어파 내에서 리디아어는 독특하고 문제적인 위치를 차지하는데, 이는 제한적인 증거와 언어에 대한 이해, 그리고 다른 아나톨리아어와 공유되지 않는 여러 특징 때문이다.[41] 리디아어는 기원전 8세기 말 또는 7세기 초부터 기원전 3세기까지의 낙서와 동전 문구에서 증명되었지만, 잘 보존된 비문은 페르시아 지배 기간인 기원전 5-4세기에 한정되어 있다.[41] 현존하는 리디아어 텍스트는 100개가 조금 넘지만 대부분 단편적이다.[41]

4. 특징

크레이그 멜차르트에 따르면,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비교했을 때 아나톨리아어파는 다음과 같은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51][52]


  • 1인칭 단수 대명사가 모음 u를 가진다 (예: 히타이트어 ammug). 아마도 2인칭(tug)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 지시 대명사 "저것"을 의미하는 *obó- 가 있다.
  • "주다"라는 의미의 동사가 "받다"라는 의미의 동사에서 파생되었다.
  • 명령법 3인칭에 *-u가 추가된다.
  • 분열 격을 가진다. 특히 고대 히타이트어에서는 능격이 제9격으로 존재한다.
  • 접어가 발달하여, 첫 번째 강세를 가진 단어 뒤에 여러 개의 접어를 추가할 수 있다.
  • 첫 번째 문장 외에는 어두 또는 접어로서 접속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음운론적으로는, 인도유럽조어의 후두음의 일부가 남아 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53] 형태론적으로도, r/n의 이종 어간 굴절(예: 히타이트어 ešḫarhit(속격 ešḫnashit) "피")와 같은 매우 오래된 특징이 보인다.

반면, 명사의 은 생물과 무생물(통성 및 중성)의 구분만 있으며, 남성과 여성의 구분이 없다. 이것이 다른 여러 언어보다 오래된 형태인지, 아나톨리아어파에서 대립이 소멸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54] 쌍수도 존재하지 않는다.

동사의 활용은 다른 여러 언어와 상당히 다르다.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에서 보이는 부정 과거, 접속법, 기원법 등은 존재하지 않으며, 현대어에서 보이는 우언법이 발달해 있다.

4. 1. 음운론적 특징

아나톨리아어파의 음운론은 인도유럽어족의 다른 분파에서 사라진 변별성을 보존하고 있다. 특히, 인도유럽조어의 후두음의 일부가 남아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53] 예를 들어 히타이트어 ''ḫāran-'' (cf. 고대 그리스어 ὄρνῑςgrc, 리투아니아어 ''erėlis'', 고대 노르드어 ''ǫrn'', PIE *'''h₃éron-''') 및 리키아어 𐊜𐊒𐊄𐊀 ''χuga'' (cf. 라틴어 ''avus'', 고대 프로이센어 ''awis'', 고대 아일랜드어 ᚐᚃᚔ (avi), PIE *'''h₂éwh₂s''')와 같은 단어에서 후두음이 유지된다.[13]

원시 인도유럽어의 세 가지 방식의 파열음 (즉, '''*p, *b, *bʰ''')은 원시 아나톨리아어에서 강세-약세의 구별, 즉 일반적으로 /'''p'''/ 대 /'''b'''/로 축소되었다. 히타이트어와 루위어의 설형 문자에서 약음 파열음은 단일 무성 자음으로 쓰였고, 강음 파열음은 이중 무성 자음으로 쓰여 쌍자음 발음을 나타냈다. 기원전 1천년기까지, 약음 자음은 리디아어, 리키아어, 카리아어에서 약음화된 것으로 보인다.[10]

원시 아나톨리아어의 후두 자음 *H는 강세와 약세에서 파열음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설형 문자에서 이중 -ḫḫ- 또는 단순 -ḫ-로 나타난다. 히타이트어에서 *H의 반사는 우가리트어와 이집트어 차용어 및 모음 채색 효과를 기반으로 하여 인두 마찰음으로, 루위어에서는 구개수 마찰음으로 해석된다. 후두음은 리디아어에서는 사라졌지만, 리키아어 𐊐 (''χ'')와 카리아어 𐊼 (''k'')로 변했고, 둘 다 [k]로 발음되었으며, 순음화된 연구개음 —리키아어 𐊌 (''q''), 카리아어 𐊴 (''q'')—으로 나타났다. 원시 아나톨리아어에서의 실현에 대한 제안으로는 인두 자음, 구개수 마찰음 또는 구개수 파열음이 있다.[11][12]

PIE의 세 개의 연구개 자음 계열도 원시 아나톨리아어에서 구별되었으며, 루위어군 언어에서 서로 다른 반사를 보인다. 예를 들어, 루위어에서는 *'''kʷ''' > ''ku-'', *'''k''' > ''k-'', *'''ḱ''' > ''z-''가 나타난다.[13]

4. 2. 형태론적 특징

아나톨리아어의 형태론은 다른 초기 인도유럽어족 언어들보다 단순하다.

명사의 성 체계는 생물과 무생물(일반과 중성)의 두 가지로, 원시 아나톨리아어는 인도유럽조어(PIE)에서 여성 일치 부류를 물려받지 않았다.[14] 리키아어와 원시 아나톨리아어에서 접미사 *'''-eh2'''를 가진 상속 명사 그룹이 발견되면서 PIE에 여성 성이 존재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15] 비 아나톨리아 인도유럽어에서 ''-ā''로 표시되는 여성 성은 아나톨리아어에서 추상 명사 및 집합 명사에 대한 파생 접미사 *'''-h2'''와 관련될 수 있다.[15] 부속 접미사 *''-ih2''는 아나톨리아어에서는 드물지만 토하라어에서는 여성 지표로 생산적이다.[14] 이는 아나톨리아어 성 체계가 IE의 원래 형태이며, 토하라어와 핵심 IE 언어의 여성-남성-중성 분류는 남성 및 여성 인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참조를 위해 성별 기반 분할이 발생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6]

원시 아나톨리아어는 호격, 주격, 대격, 도구격, 여격, 생격, 처격을 포함한 원시 인도유럽어의 명사 격 체계를 유지했으며, 전치격을 추가로 만들었다.[13] 명사는 단수와 복수, 고대 히타이트어에서 무생물에 대한 집합 복수를 구분하며, 자연 쌍에 대한 잔존하는 이중 형태도 있다. 아나톨리아어파는 성별에 기반한 분열성 격 체계를 가지며, 무생물 명사는 타동사의 주어일 때 도구격으로 표시된다. 이는 인접한 비 인도유럽어인 능격-절대격 언어인 후르리어와 같은 언어로부터의 지역적 영향일 수 있다.[17]

동사 체계는 단 두 개의 시제(현재-미래와 과거), 두 개의 태(능동태와 중동태), 두 개의 법(직설법과 명령법)만을 구분하며, 토하라어, 산스크리트어, 고대 그리스어와 같은 다른 고대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발견되는 접속법과 희구법이 없다. 아나톨리아어 동사는 ''mi'' 활용과 ''ḫi'' 활용의 두가지 활용으로 나뉜다. ''mi'' 활용은 아나톨리아 밖에도 명확한 동족어가 있는 반면, ''ḫi'' 활용은 독특하며, 인도유럽조어에서 중복되거나 강조된 형태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13]

크레이그 멜차르트에 따르면,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비교했을 때 아나톨리아어파는 다음과 같은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51][52]

  • 1인칭 단수 대명사가 모음 u를 가진다 (히타이트어 ammug 등). 아마도 2인칭(tug)의 영향.
  • 지시 대명사 "저것"을 의미하는 *obó- 가 있다.
  • "주다"라는 의미의 동사가 "받다"라는 의미의 동사에서 파생되었다.
  • 명령법 3인칭에 *-u가 추가된다.
  • 분열 격을 가진다. 특히 고대 히타이트어에서는 능격이 제9격으로 존재한다.
  • 접어가 발달하여, 첫 번째 강세를 가진 단어 뒤에 여러 개의 접어를 추가할 수 있다.
  • 첫 번째 문장 외에는 어두 또는 접어로서 접속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음성적으로는, 인도유럽조어의 후두음의 일부가 남아 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후두음 이론 참조). 형태론적으로도, r/n의 이종 어간 굴절(히타이트어 (속격 ) "피")와 같은 매우 오래된 특징이 보인다[53]

그에 반해, 명사의 은 생물과 무생물(통성 및 중성)의 구분만 있으며, 남성과 여성의 구분이 없다. 이것이 다른 여러 언어보다 오래된 형태인지, 아나톨리아어파에서 대립이 소멸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54]。쌍수도 존재하지 않는다.

동사의 활용은 다른 여러 언어와 상당히 다르다.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에서 보이는 부정 과거, 접속법, 기원법 등은 존재하지 않으며, 현대어에서 보이는 우언법이 발달해 있다.

4. 3. 통사론적 특징

아나톨리아어의 기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며, 동사가 일반적으로 목적어보다 앞에 오는 리키아어는 예외이다. 절의 첫머리에 오는 입자는 아나톨리아어 문법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주어진 문장에서 접속사나 첫 번째 강세를 받는 단어는 보통 바크너겔 위치에 일련의 부착사를 갖는다. 부착사 대명사, 담론 표지, 접속사 및 장소 또는 양태 입자는 엄격하게 정해진 위치에 나타난다. 입자 연쇄 앞에 오는 단어는 주제화된다.[13]

크레이그 멜차르트에 따르면,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비교했을 때 아나톨리아어파는 다음과 같은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51][52]

  • 1인칭 단수 대명사가 모음 u를 가진다 (히타이트어 ammug 등). 아마도 2인칭(tug)의 영향.
  • 지시 대명사 "저것"을 의미하는 *obó- 가 있다.
  • "주다"라는 의미의 동사가 "받다"라는 의미의 동사에서 파생되었다.
  • 명령법 3인칭에 *-u가 추가된다.
  • 분열 격을 가진다. 특히 고대 히타이트어에서는 능격이 제9격으로 존재한다.
  • 접어가 발달하여, 첫 번째 강세를 가진 단어 뒤에 여러 개의 접어를 추가할 수 있다.
  • 첫 번째 문장 외에는 어두 또는 접어로서 접속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음성적으로는, 지금까지 이론적으로 예측만 되었던 인도유럽조어의 후두음의 일부가 남아 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후두음 이론 참조). 형태론적으로도, r/n의 이종 어간 굴절(히타이트어 ešḫarhit(속격 ešḫnashit) "피")와 같은 매우 오래된 특징이 보인다.[53]

그에 반해, 명사의 은 생물과 무생물(통성 및 중성)의 구분만 있으며, 남성과 여성의 구분이 없다. 이것이 다른 여러 언어보다 오래된 형태인지, 아나톨리아어파에서 대립이 소멸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54] 쌍수도 존재하지 않는다.

동사의 활용은 다른 여러 언어와 상당히 다르다.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에서 보이는 부정 과거, 접속법, 기원법 등은 존재하지 않으며, 현대어에서 보이는 우언법이 발달해 있다.

5. 소멸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과 그리스의 식민지 형성으로 아나톨리아는 헬레니즘화되었다.[43][44] 이로 인해 기원전 1세기경 아나톨리아어파 언어들은 대부분 소멸한 것으로 추정된다.[43][44] 아나톨리아어파는 인도유럽어족에서 최초로 소멸한 어파이다.[43][44] 토하라어파는 서기 8세기에 기록이 끊긴다.[43][44]

피시디아어는 서기 2세기까지 존속했을 가능성이 있다.[43][44]

오늘날 튀르키예아다나 등의 지명은 아나톨리아어파에서 유래했다.[43][44]

6. 영향

참조

[1] 문서 Models assuming an Anatolian PIE homeland of course do not assume any migration at all, and the model assuming an [[Armenia]]n homeland assumes straightforward immigration from the East.
[2] 논문 Language-Tree Divergence Times Support the Anatolian Theory of Indo-European Origin http://language.psy.[...] 2003
[3] 논문 Mapping the Origins and Expansion of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2012
[4] 논문 Indo-European cereal terminology suggests a Northwest Pontic homeland for the core Indo-European languages 2022-10-12
[5] 웹사이트 Краткая история освоения индоевропейцами Европы http://www.randevu-z[...]
[6]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ttp://worldcat.org/[...]
[7] 뉴스 Anatolians on the Move: From Kurgans to Kanesh https://youtube.com/[...]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Ancient Cultures 2020-02-05
[8] 문서 Melchert 2012
[9] 뉴스 New Indo-European Language Discovered in Ancient City of Hattusa https://greekreporte[...] 2023-09-26
[10] 서적 Anatolian Historical Phonology https://books.google[...] Rodopi 1994
[11] 서적 Anatolian Historical Phonology https://books.google[...] Rodopi 1994
[12] 논문 Anatolian Evidence Suggests that the Indo-European Laryngeals *h2 and *h3 Were Uvular Stops https://www.academia[...] 2018
[13]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7
[14] 웹사이트 The Feminine Gender in Tocharian and Indo-European https://www.academia[...] 2009-01
[15] 웹사이트 PIE *-eh2 as an "individualizing" Suffix and the Feminine Gender https://linguistics.[...]
[16] 논문 The Origin of the Proto-Indo-European Gender System: Typological Considerations https://allegatifac.[...] 2011
[17] 서적 Areal Diffusion and Genetic Inheritance: Problems in Comparative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8] 서적 Comparative Indo-European Linguistics: An Introduct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19] 문서 Luraghi 1998
[20] 간행물 On Anatolian Loanwords in Akkadian Texts from Kültepe
[21] 서적 Anatolian Historical Phonology Rodopi
[22] 문서 Fortson 2010
[23] 문서 Melchert 2012
[24] 문서 Luraghi 1998
[25] 문서 Yakubovich 2011
[26] 문서 Fortson 2010
[27] 문서 Yakubovich 2011
[28] 문서 Rieken 2017
[29] 문서 Yakubovich 2011
[30] 문서 Payne 2010
[31] 문서 Payne 2010
[32] 문서 Payne 2010
[33] 문서 Keen 1998
[34] 문서 Keen 1998
[35] 문서 Sarpedon, king of Lycia
[36] 서적 1998
[37] 서적 The Greco-Roman East: Politics, Culture,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간행물 “Jungluwisch” – eine Bestandsaufnahme. In M. Giorgieri et al.(eds.): Licia e Lidia prima dell’ ellenizzazione https://www.academia[...] CNR 2003
[3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reek from the Beginning to Late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New Indo-European Language Discovered https://www.uni-wuer[...] 2023-09-21
[41] 웹사이트 Cambridge Encyclopedia of the World's Ancient Languages http://www.unc.edu/~[...]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Bibliography of the Siou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887
[43] 서적 The Chronicle of Pseudo-Joshua the Stylite Liverpool University Press
[44] 서적 Violence in Late Antiquity: Perceptions and practices Ashgate
[45] 논문 Linear A du-pu2-re, Hittite Tabarna and Their Alleged Relatives Revisited https://www.academia[...] 2015
[46] 웹사이트 Naming Practices in Second and First Millennium Western Anatolia https://linguistics.[...]
[47] 웹사이트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The Pre-Greek Loanwords in Greek http://dictionaries.[...] Brill
[48] 논문 Graeco-Anatolian Contacts in the Mycenaean Period https://www.academia[...]
[49] 논문 The Survival of Ancient Anatolian and Mesopotamian Vocabulary until the Present 1991
[50] 간행물 "Notes on Anatolian loanwords in Armenian." In Pavel S. Avetisyan, Yervand H. Grekyan (eds.), 'Bridging times and spaces: papers in ancient Near Eastern, Mediterranean and Armenian studies: Honouring Gregory E. Areshian on the occasion of his sixty-fifth birthday.' Archaeopress 2017
[51] 문서 1994
[52] 문서 1995
[53] 문서 1954
[54] 문서 2015
[55] 문서 1990
[56] 문서 2015
[57] 뉴스 http://www.nature.co[...] Nature 2003-12
[58] 서적 In Search of the Indo-Europeans Thames and Hudson Ltd. 1989
[59] 논문 The immigration of the first Indo-Europeans into Anatolia reconsidered 1990
[60] 서적 In Search of the Indo-Europeans Thames and Hudson Ltd. 1989
[61] 논문 The immigration of the first Indo-Europeans into Anatolia reconsidered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