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학정보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학정보원은 대한민국 내 의약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단법인이다. 1998년 대한약사회 정보통신위원회 설치를 시작으로, 약국 관리 프로그램 PM2000 개발, 모바일 의약품 정보 검색 앱 운영, 팜스토리지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주요 사업 외에도 의약품 관련 연구, 국제 협력, 정보 매체 개발 등의 활동을 수행한다. 조직은 이사회, 이사장, 상임이사, 감사, 총괄본부장 및 경영지원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환자 처방 정보 무단 수집으로 인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단법인 (보건복지부 소관) -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장애인개발원은 장애인 복지 증진과 사회 참여 확대를 목표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공공기관으로, 정책 개발, 인식 개선, 직업재활 지원, 편의 증진 사업 등을 수행하며 중앙장애아동·발달장애인지원센터를 위탁 운영하고 전국 발달장애인지원센터와 연계하여 발달장애인 관련 지원을 제공한다. - 재단법인 (보건복지부 소관)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은 간호교육 질 향상과 간호사 면허 제도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간호교육 프로그램 인증평가, 전문간호사 교육기관 평가 및 자격시험 시행, 간호사 국가시험 문항 개발 및 관리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 서울 서초구 - 서래마을
서래마을은 1985년 서울프랑스학교의 이전, 1990년대 프랑스계 기업들의 한국 진출로 형성되었고, 프랑스어 간판, 국기를 상징하는 색상의 블록 포장 도로 등 특징을 가지며, 서울프랑스학교, 다양한 프랑스 음식점, 카페 등이 위치해 있으며,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 서울 서초구 - 서울고등법원
서울고등법원은 1908년 경성공소원으로 설치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48년 현재의 이름으로 확정되었으며, 서울, 인천, 경기 북부, 강원 지역을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고등법원이다. -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은 1987년 국민연금법에 의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국민의 노후, 사망, 장애에 대비한 연금 지급과 복지 사업을 통해 국민 복지 증진을 목표로 하며, 세계 3대 연기금으로 성장하여 기금 운용, 노후 설계 서비스 제공, 장애 심사 등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 대한노인회
대한노인회는 노인 권익 보호와 복지 증진을 위해 설립된 단체로, 1969년 설립 이후 여러 회장을 거쳐 현재까지 활동하며, 관련 법률에 의해 지원받는다.
약학정보원 | |
---|---|
약학정보원 | |
![]() | |
종류 | 재단법인 |
설립일 | 1997년 11월 11일 |
설립 목적 | 의약품 정보의 표준화 및 질 향상 의약품 안전 사용 환경 조성 약학 관련 연구 및 정보 개발 보급 |
주요 사업 | 의약품 정보 표준화 사업 의약품 식별 정보 사업 DUR 정보 사업 의약품 안전 사용 정보 개발 및 교육 사업 약학 관련 연구 개발 사업 약학 정보 시스템 개발 및 유지 보수 사업 기타 약학 관련 사업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911-19 삼경빌딩 5층 |
대표자 | 최종수 |
웹사이트 | 약학정보원 |
2. 연혁
1998년 3월 대한약사회 정보통신위원회 설치 이후 의약품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 및 정보제공을 전담할 ‘D.I센터’의 설립·운영을 추진하였다. 2000년 2월 25일 대한약사회 정기 대의원총회에서 (가칭)대한약학정보화재단 설립을 결의하였다. 2001년 1월 11일 재단법인 '''대한약학정보화재단'''을 설립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제2001-1호)
- 2002년 2월 표준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 2002년 3월 재정경제부로부터 공익법인에 해당함을 확인받았다. (재정경제부 재산 46014-86)
- 2002년 10월 약국행정실무 교육과정 교육사업을 실시하였다. (대한약학정보화재단&숙명여자대학교 의약정보연구소). 표준의약품정보집 “DIK2002(Drug Information in Korea 2002)”를 발간하였다.
- 2002년 12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3.0버전을 개발 및 약국관리프로그램 의약품정보검색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2003년 10월 의약품정보관리시스템(DIMS ; Dru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보정사업을 하였다.
- 2003년 11월 홈페이지에 의약품 유해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청 ‘KNDC 구축방안 연구용역사업’을 완료하였다.
- 2003년 12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3.5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4년 2월 식품의약품안전청 ‘낱알식별표식제도 추진관련’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 2004년 6월 표준의약품정보CD(DIK on First CD)를 제작·배포하였다.
- 2004년 8월 의약품 낱알식별표시 등록업무를 개시하였다.
- 2004년 9월 제주대학교병원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FIP(세계약학연맹) 제64차 총회(뉴올리언즈)에 참가하였다.
- 2004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낱알식별표시제도 관리시스템 연구사업’을 완료하였다.
- 2004년 12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4.0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5년 3월 네이버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 2005년 8월 (주)데일리팜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KPA(대한약사회) 메신저를 개발하였다.
- 2005년 9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4.5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5년 10월 표준의약품정보CD(DIK on First CD)를 제작·배포하였다.
- 2005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의약품종합정보서비스 구축 2단계 사업’을 수행하였다.
- 2005년 12월 서울대학교병원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 2006년 1월 경기도 팜뱅크사업(의약품무료지원사업)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 2006년 3월 30일 의약품낱알식별표시 사전기능을 결합한 표준의약품정보집 “DIK2006(Drug Information in Korea 2006)”을 발간하였다.
- 2006년 4월 17일 대한약사회 간편복약지도 데이터 구축 용역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6년 4월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외국의 의약품 안전성 문헌정보 수집 평가 전달에 관한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6년 8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5.0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6년 10월 26일 의약정보시스템 ‘DIK Plus’ 공동제작 공급관련 본 재단-퍼스트디스 공동사업 조인식을 하였다.
- 2006년 11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의약품 종합정보서비스 구축 2단계 및 3단계 의약품안전관리 정보체계 구축’ 내 의약품 성분코드 유지보수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6년 12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청-대한약학정보화재단 간의 정보교류 협력에 관한 협정서를 체결하였다.
- 2007년 1월 1일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식별표시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2월 5일 (주)삼익제약 및 (주)코리아메디케어 의약품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2월 15일 (주)케어캠프 의약품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2월 29일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의약품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3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외국의 의약품 안전성 문헌정보 수집 평가 전달에 관한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2년 연속 과제)
- 2007년 6월 4일 KT와 2D 바코드서비스 사업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6월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허가사항통일조정안 연구 및 DB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7월 13일 재단법인 '''약학정보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2007년 9월 1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정보센터와 정보교류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9월 30일 식의약품종합정보서비스 구축(2단계) 유지 보수를 하였다.
- 2007년 10월 12일 (주)이수유비케어와 정보통신분야 업무교류 및 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11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허가사항 통일조정안 연구 및 DB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용역을 수행하였다.
- 2008년 3월 10일 대한약사회 약국경영 수익분석 프로그램 개발
- 2008년 3월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허가사항 통일조정안 연구’ 용역사업 계약 체결 및 ‘KiFDA 의약품 등 허가정보 DB표준화방안 연구’ 용역사업 계약 체결
- 2008년 3월 28일 (주)케이팜텍과 업무제휴 협약 체결
- 2008년 4월 30일 ‘원료의약품신고제도 선진화 방안 마련’ 용역 수행 (주관: 식품의약품안전청)
- 2008년 5월 1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심사평가선진화연구사업단’ 3-3 ‘제네릭의약품정보방구축’ 용역사업 계약 체결
- 2008년 9월 5일 식품의약품안전청 ‘대한약전 개정에 따른 의약품 명칭변경(안) 마련’ 용역사업 계약 체결
- 2008년 10월 9일 (주)크레소티와 VAN 서비스 제휴 계약 체결
- 2008년 12월 17일 (주)유비케어 U Pharm System 공급 계약 체결
- 2009년 4월 16일 KT SMB운용센터와 현금영수증 사업제휴 협정 체결
- 2009년 5월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허가항목 관리방안 개선에 따른 KiFDA 운영·활용방안 연구’ 용역사업 계약 체결
- 2009년 5월 28일 (주)이촌에이앤티와 약국세무프로그램 관련 업무 제휴 협약 체결
- 2009년 12월 15일 김&장 법률사무소와 시장조사 의뢰에 대한 계약 체결
- 2010년 2월 4일 PM2000 V6.0 출시
- 2010년 5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일반약 DUR 2단계 시범사업 실시
- 2010년 10월 1일 (주)제이브이엠과 업무제휴 협약 체결
- 2011년 1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등의 첨가제 정보 보강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용역사업 계약 체결
- 2011년 4월 15일 (주)크레소티와 팜브릿지 서비스 운영대행 계약
- 2011년 10월 18일 아이폰용 "의약품정보검색" 애플리케이션 출시
- 2012년 2월 24일 코오롱베니트 의약품정보제공 계약 체결
- 2012년 5월 23일 (주)포스트씨앤씨와 팜케어 스마트 복약지도 서비스 계약
- 2012년 6월 1일 식품의약품안전청 ‘GMP조사관·심사자의 교육·실사 이력 전산시스템 기획’ 용역사업 계약 체결
- 2012년 7월 10일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식별표시정보제공 계약 체결
- 2012년 7월 16일 PM2000XE 지부별 순차 배포
- 2012년 8월 31일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 체결
- 2012년 9월 1일 국립마산병원, 국립목포병원과 의약품정보제공 계약 체결
- 2012년 10월 4일 충남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 체결
- 2012년 10월 11일 인제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 체결
- 2012년 10월 19일 팜엑스포 서울 코엑스전시회 참가
- 2012년 11월 19일 전남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 체결
- 2013년 3월 1일 강북삼성병원 식별표시정보제공 계약 체결
- 2013년 4월 11일 서울특별시청 ‘세이프약국 운영 프로개름 구축’ 용역 계약 체결
- 2013년 5월 26일 팜엑스포 호남권전시회 참가
- 2013년 5월 31일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 체결
- 2013년 6월 24일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 체결
- 2013년 7월 19일 중앙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 체결
- 2013년 9월 25일 경상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 체결
- 2013년 9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의약품 정보 검색’ 애플리케이션 출시
- 2014년 2월 식약처 '의약품 복약정보에 대한 표준모델 개발연구' 수행
- 2014년 5월 국민연금공단과 의약정보 제공 및 활용을 위한 MOU 체결
- 2014년 6월 우석대학교와 실무교육을 위한 약학정보 인프라 구축 MOU 체결
- 2014년 6월 투약봉투용 복약정보 개발 및 PM2000 출력 서비스 실시
- 2014년 6월 복약정보 픽토그램 74종 특허 등록
- 2014년 8월 덕성여자대학교 약대생 대상 인턴실습 프로그램 운영
- 2014년 9월 복약정보 픽토그램 라벨 및 스티커 출력 서비스 실시
- 2014년 10월 동물약 취급 활성화 위한 애니멀 매거진 발간 (대한동물약국협회와 공동 기획)
- 2014년 11월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과 약국 처방전 전자(화)문서 공인보관 서비스 MOU 체결
- 2014년 12월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과 의약품 데이터 연계 MOU 체결
- 2014년 12월 SK브로드밴드와 약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 협력사업에 관한 MOU 체결
- 2014년 12월 PM2000 대용량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비스 도입
- 2014년 12월 PM2000 전국 AS 협력업체 간담회 개최
- 2014년 12월 PM2000 서버 인터넷데이터센터(Internet data center) 추가 이전
- 2014년 12월 메가넥스트와 약사사이버교육 인프라 구축 계약 체결
- 2014년 12월 홈페이지에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용의약품 정보 검색 기능 탑재
- 2015년 1월 PM2000 협력사 상생협력 워크숍 개최
- 2015년 3월 약국 처방전 전자화문서 공인보관 서비스 팜스토리지(Pharm Storage) 오픈
- 2015년 3월 Custom API Open
- 2015년 7월 PM2000 서비스 품질 만족도 설문조사 실시
- 2015년 7월 의약품 검색 앱(App) 리뉴얼
- 2015년 7월 덕성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약대생 대상 인턴실습 프로그램 운영
- 2015년 8월 PM2000 회원 대상 콜백(Call-Back) 서비스 실시
- 2015년 9월 복약정보 픽토그램 35종 추가 특허 출원, 영문 버전 및 칼라 출력 서비스 실시
- 2015년 11월 Wolters Kluwer Clinical Drug Information 과 글로벌 의약정보 교류 MOU 체결
- 2015년 11월 의약품 검색 앱(App), 앱 어워드 코리아 2015 올해의 앱 의약정보 부문 대상
- 2015년 11월 한양대학교병원,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과 이미지 기반 의약품 낱알식별 앱 개발 관련 학술연구 MOU 체결
- 2015년 11월 중앙치매센터와 치매극복을 위한 대국민 사업 및 인식 개선 사업에 관한 MOU 체결
- 2015년 11월 PM2000 회원 대상 Lexicomp Online 시범 서비스 실시 (~ 2016. 11.)
- 2015년 12월 의약품 검색 앱(App)에 ‘약 이야기’ 신규 서비스 실시
- 2015년 12월 홈페이지에 ‘신약평론’ 신규 서비스 실시
- 2016년 1월 경성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상호업무협력 계약 체결
- 2016년 1월 2016년 소비자가 뽑은 가장 신뢰하는 브랜드 대상
- 2016년 1월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상호업무협력 계약 체결
- 2016년 1월 약학정보원 홈페이지 "구매 가능 약국 찾기" 서비스 개시
- 2016년 2월. 약사감시 유공자 식품의약품안전처 표창 수상 (유경숙 식별정보팀장)
- 2016년 2월 순천대학교 약학대학 상호업무협력 계약 체결
- 2016년 2월 단국대학교 약학대학 상호업무협력 계약 체결
- 2016년 3월 「맞춤 OTC 선택가이드」, 「제대로 알고 바르자! 기능성 화장품」발간 및 출판기념회
- 2016년 4월 약학정보원 홈페이지 헌혈금지 DUR 정보 서비스 개시
- 2016년 4월 보건복지부 산하 8개 국립병원 정보제공 계약 연장
- 2016년 5월 서울대학교병원에 간편 복약안내 제공
- 2016년 5월 마약류 통합관리 시스템 연계 개발 착수
- 2016년 6월 「맞춤 OTC 선택가이드」1쇄 완판 기념 저자 콜라보 특강 개최
- 2016년 7월 보이스아이와 시각장애인 등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음성복약지도 기술 협력 MOU 체결
- 2016년 7월 덕성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약대생 대상 인턴실습 프로그램 운영
- 2016년 9월 6개국어 픽토그램 복약정보 서비스(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2. 1. 주요 사업 및 서비스
약학정보원은 대한민국 내 생산 및 수입 의약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약국 관리 프로그램인 PM2000 개발 및 운영, 모바일 의약품 정보 검색 앱(App) 운영, 약국 처방전 전자 문서 보관 서비스인 팜스토리지(Pharm Storage) 제공 등이 있다. 또한, 다국어 복약 정보를 제공하는 픽토그램 복약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약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및 관리하며, 병원, 대학, 기업 등 협력 기관과의 정보 교류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이 외에도 의약품 관련 각종 응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인터넷 및 통신망을 이용한 의약품 정보 서비스, 의약품 정보 관련 대외 민원 접수 및 정보 제공, 의약품 정보의 응용 및 활용과 관련한 정책 개발, 의약품 정보 관련 연구 용역 사업 수행, 의약품 정보 관련 국제기구 가입 등 국제 협력, 의약품 정보 관련 정보 매체의 개발 및 홍보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2. 2. 연도별 상세 연혁
1998년 3월 대한약사회 정보통신위원회 설치 이후 의약품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 및 정보제공을 전담할 ‘D.I센터’의 설립·운영을 추진하였다. 2000년 2월 25일 대한약사회 정기 대의원총회에서 (가칭)대한약학정보화재단 설립을 결의하였다. 2001년 1월 11일 재단법인 '''대한약학정보화재단'''을 설립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제2001-1호)- 2002년 2월 표준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 2002년 3월 재정경제부로부터 공익법인에 해당함을 확인받았다. (재정경제부 재산 46014-86)
- 2002년 10월 약국행정실무 교육과정 교육사업을 실시하였다. (대한약학정보화재단&숙명여자대학교 의약정보연구소). 표준의약품정보집 “DIK2002(Drug Information in Korea 2002)”를 발간하였다.
- 2002년 12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3.0버전을 개발 및 약국관리프로그램 의약품정보검색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2003년 10월 의약품정보관리시스템(DIMS ; Dru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보정사업을 하였다.
- 2003년 11월 홈페이지에 의약품 유해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청 ‘KNDC 구축방안 연구용역사업’을 완료하였다.
- 2003년 12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3.5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4년 2월 식품의약품안전청 ‘낱알식별표식제도 추진관련’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 2004년 6월 표준의약품정보CD(DIK on First CD)를 제작·배포하였다.
- 2004년 8월 의약품 낱알식별표시 등록업무를 개시하였다.
- 2004년 9월 제주대학교병원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FIP(세계약학연맹) 제64차 총회(뉴올리언즈)에 참가하였다.
- 2004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낱알식별표시제도 관리시스템 연구사업’을 완료하였다.
- 2004년 12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4.0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5년 3월 네이버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 2005년 8월 (주)데일리팜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KPA(대한약사회) 메신저를 개발하였다.
- 2005년 9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4.5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5년 10월 표준의약품정보CD(DIK on First CD)를 제작·배포하였다.
- 2005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의약품종합정보서비스 구축 2단계 사업’을 수행하였다.
- 2005년 12월 서울대학교병원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 2006년 1월 경기도 팜뱅크사업(의약품무료지원사업)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 2006년 3월 30일 의약품낱알식별표시 사전기능을 결합한 표준의약품정보집 “DIK2006(Drug Information in Korea 2006)”을 발간하였다.
- 2006년 4월 17일 대한약사회 간편복약지도 데이터 구축 용역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6년 4월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외국의 의약품 안전성 문헌정보 수집 평가 전달에 관한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6년 8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5.0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6년 10월 26일 의약정보시스템 ‘DIK Plus’ 공동제작 공급관련 본 재단-퍼스트디스 공동사업 조인식을 하였다.
- 2006년 11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의약품 종합정보서비스 구축 2단계 및 3단계 의약품안전관리 정보체계 구축’ 내 의약품 성분코드 유지보수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6년 12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청-대한약학정보화재단 간의 정보교류 협력에 관한 협정서를 체결하였다.
- 2007년 1월 1일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식별표시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2월 5일 (주)삼익제약 및 (주)코리아메디케어 의약품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2월 15일 (주)케어캠프 의약품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2월 29일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의약품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3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외국의 의약품 안전성 문헌정보 수집 평가 전달에 관한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2년 연속 과제)
- 2007년 6월 4일 KT와 2D 바코드서비스 사업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6월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허가사항통일조정안 연구 및 DB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7월 13일 재단법인 '''약학정보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2007년 9월 1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정보센터와 정보교류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9월 30일 식의약품종합정보서비스 구축(2단계) 유지 보수를 하였다.
- 2007년 10월 12일 (주)이수유비케어와 정보통신분야 업무교류 및 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11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허가사항 통일조정안 연구 및 DB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용역을 수행하였다.
2. 2. 1. 1998년 ~ 2001년
1998년 3월 대한약사회 정보통신위원회 설치 이후 의약품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 및 정보제공을 전담할 ‘D.I센터’의 설립·운영을 추진하였다. 2000년 2월 25일 대한약사회 정기 대의원총회에서 (가칭)대한약학정보화재단 설립을 결의하였다. 2001년 1월 11일 재단법인 '''대한약학정보화재단'''을 설립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제2001-1호)2. 2. 2. 2002년 ~ 2007년
- 2002년 2월 표준의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 2002년 3월 재정경제부로부터 공익법인에 해당함을 확인받았다. (재정경제부 재산 46014-86)
- 2002년 10월 약국행정실무 교육과정 교육사업을 실시하였다. (대한약학정보화재단&숙명여자대학교 의약정보연구소). 표준의약품정보집 “DIK2002(Drug Information in Korea 2002)”를 발간하였다.
- 2002년 12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3.0버전을 개발 및 약국관리프로그램 의약품정보검색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2003년 10월 의약품정보관리시스템(DIMS ; Dru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보정사업을 하였다.
- 2003년 11월 홈페이지에 의약품 유해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청 ‘KNDC 구축방안 연구용역사업’을 완료하였다.
- 2003년 12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3.5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4년 2월 식품의약품안전청 ‘낱알식별표식제도 추진관련’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 2004년 6월 표준의약품정보CD(DIK on First CD)를 제작·배포하였다.
- 2004년 8월 의약품 낱알식별표시 등록업무를 개시하였다.
- 2004년 9월 제주대학교병원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FIP(세계약학연맹) 제64차 총회(뉴올리언즈)에 참가하였다.
- 2004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낱알식별표시제도 관리시스템 연구사업’을 완료하였다.
- 2004년 12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4.0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5년 3월 네이버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 2005년 8월 (주)데일리팜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KPA(대한약사회) 메신저를 개발하였다.
- 2005년 9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4.5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5년 10월 표준의약품정보CD(DIK on First CD)를 제작·배포하였다.
- 2005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의약품종합정보서비스 구축 2단계 사업’을 수행하였다.
- 2005년 12월 서울대학교병원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 2006년 1월 경기도 팜뱅크사업(의약품무료지원사업)에 의약품정보를 제공하였다.
- 2006년 3월 30일 의약품낱알식별표시 사전기능을 결합한 표준의약품정보집 “DIK2006(Drug Information in Korea 2006)”을 발간하였다.
- 2006년 4월 17일 대한약사회 간편복약지도 데이터 구축 용역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6년 4월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외국의 의약품 안전성 문헌정보 수집 평가 전달에 관한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6년 8월 대한약사회 약국관리프로그램 PM2000 5.0버전을 개발하였다.
- 2006년 10월 26일 의약정보시스템 ‘DIK Plus’ 공동제작 공급관련 본 재단-퍼스트디스 공동사업 조인식을 하였다.
- 2006년 11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의약품 종합정보서비스 구축 2단계 및 3단계 의약품안전관리 정보체계 구축’ 내 의약품 성분코드 유지보수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6년 12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청-대한약학정보화재단 간의 정보교류 협력에 관한 협정서를 체결하였다.
- 2007년 1월 1일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식별표시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2월 5일 (주)삼익제약 및 (주)코리아메디케어 의약품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2월 15일 (주)케어캠프 의약품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2월 29일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의약품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3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외국의 의약품 안전성 문헌정보 수집 평가 전달에 관한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2년 연속 과제)
- 2007년 6월 4일 KT와 2D 바코드서비스 사업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6월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허가사항통일조정안 연구 및 DB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7월 13일 재단법인 '''약학정보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2007년 9월 1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정보센터와 정보교류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9월 30일 식의약품종합정보서비스 구축(2단계) 유지 보수를 하였다.
- 2007년 10월 12일 (주)이수유비케어와 정보통신분야 업무교류 및 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11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허가사항 통일조정안 연구 및 DB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용역을 수행하였다.
2. 2. 3. 2008년 ~ 2014년
- 2008년 3월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 허가사항 통일조정안 연구' 용역사업 계약 체결 및 'KiFDA 의약품 등 허가정보 DB표준화방안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 2008년 3월 28일, (주)케이팜텍과 업무제휴 협약을 체결했다.
- 2008년 4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원료의약품신고제도 선진화 방안 마련' 용역을 수행했다.
- 2008년 5월 1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심사평가선진화연구사업단' 3-3 '제네릭의약품정보방구축'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 2008년 9월 5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대한약전 개정에 따른 의약품 명칭변경(안) 마련'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 2008년 10월 9일, (주)크레소티와 VAN 서비스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
- 2008년 12월 17일, (주)유비케어 U Pharm System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 2009년 4월 16일, KT SMB운용센터와 현금영수증 사업제휴 협정을 체결했다.
- 2009년 5월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 허가항목 관리방안 개선에 따른 KiFDA 운영·활용방안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 2009년 5월 28일, (주)이촌에이앤티와 약국세무프로그램 관련 업무 제휴 협약을 체결했다.
- 2009년 12월 15일, 김&장 법률사무소와 시장조사 의뢰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 2010년 2월 4일, PM2000 V6.0을 출시했다.
- 2010년 5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일반약 DUR 2단계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 2010년 10월 1일, (주)제이브이엠과 업무제휴 협약을 체결했다.
- 2011년 1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 등의 첨가제 정보 보강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 2011년 4월 15일, (주)크레소티와 팜브릿지 서비스 운영대행 계약을 체결했다.
- 2011년 10월 18일, 아이폰용 "의약품정보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했다.
- 2012년 2월 24일, 코오롱베니트 의약품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했다.
- 2012년 5월 23일, (주)포스트씨앤씨와 팜케어 스마트 복약지도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
- 2012년 6월 1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의 'GMP조사관·심사자의 교육·실사 이력 전산시스템 기획'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 2012년 7월 10일,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식별표시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했다.
- 2012년 8월 31일,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를 체결했다.
- 2012년 9월 1일, 국립마산병원, 국립목포병원과 의약품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했다.
- 2012년 10월 4일, 충남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를 체결했다.
- 2012년 10월 11일, 인제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를 체결했다.
- 2012년 11월 19일, 전남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를 체결했다.
- 2013년 3월 1일, 강북삼성병원 식별표시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했다.
- 2013년 4월 11일, 서울특별시청의 ‘세이프약국 운영 프로개름 구축’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 2013년 5월 31일,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를 체결했다.
- 2013년 6월 24일,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를 체결했다.
- 2013년 7월 19일, 중앙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를 체결했다.
- 2013년 9월 25일, 경상대학교 약학대학과 실무실습 MOU를 체결했다.
- 2013년 9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의약품 정보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했다.
- 2014년 2월, 식약처의 '의약품 복약정보에 대한 표준모델 개발연구'를 수행했다.
- 2014년 5월, 국민연금공단과 의약정보 제공 및 활용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 2014년 6월, 우석대학교와 실무교육을 위한 약학정보 인프라 구축 MOU를 체결했다.
- 2014년 11월,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과 약국 처방전 전자(화)문서 공인보관 서비스 MOU를 체결했다.
2. 2. 4. 2015년 ~ 현재
- 2015년 3월, 약국 처방전 전자화문서 공인보관 서비스 팜스토리지(Pharm Storage)를 오픈했다.
- 2015년 7월, 의약품 검색 앱(App)을 리뉴얼했다.
- 2015년 11월, 의약품 검색 앱(App)이 앱 어워드 코리아 2015 올해의 앱 의약정보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 2015년 11월, 한양대학교병원,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과 이미지 기반 의약품 낱알식별 앱 개발 관련 학술연구 MOU를 체결했다.
- 2015년 11월, 중앙치매센터와 치매극복을 위한 대국민 사업 및 인식 개선 사업에 관한 MOU를 체결했다.
- 2016년 1월, 경성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과 상호업무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 2016년 1월, 조선대학교 약학대학과 상호업무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 2016년 2월, 순천대학교 약학대학과 상호업무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 2016년 2월, 단국대학교 약학대학과 상호업무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 2016년 9월, 6개국어 픽토그램 복약정보 서비스(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베트남어)를 시작했다.
3. 주요 업무
약학정보원은 대한민국 내에서 생산되거나 수입되는 의약품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인터넷 및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되며, 대외 민원 접수 및 정보 제공에도 활용된다.
약학정보원은 의약품 정보의 활용과 관련된 정책 개발을 지원하고, 관련 연구 용역 사업을 수행한다. 국제기구 가입을 통해 국제 협력을 추진하며, 의약품 정보 관련 매체 개발 및 홍보 활동도 진행한다.
4. 조직
약학정보원은 이사회, 이사장, 상임이사, 감사, 총괄본부장 및 경영지원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문위원회와 운영위원회를 두고 있다.
5. 사건·사고 및 논란
약학정보원은 환자 처방 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여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켰다. 이는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간과한 명백한 불법 행위로 비판받는다.
5. 1. 약학정보원 환자 처방정보 무단 수집 사건
약학정보원은 환자 처방 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여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켰다. 이는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간과한 명백한 불법 행위로 비판받는다.참조
[1]
뉴스
약학정보원 사태 집단소송에 참여자 줄이어…“승소 자신”
http://www.rapportia[...]
라포르시안
2013-12-27
[2]
뉴스
의사협회, 약학정보원 상대 집단소송 한다
http://news1.kr/arti[...]
뉴스1
2013-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