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멀린 팽크허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멀린 팽크허스트는 1858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여성 참정권 운동가로 활동했다. 1903년 여성 사회 정치 연합(WSPU)을 결성하여 여성 참정권 획득을 위한 과격한 투쟁을 이끌었으며, 여러 차례 투옥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쟁을 지지하며 여성의 역할을 강조했고, 전후에는 보수당에 입당하여 정치적 입장을 바꾸었다. 팽크허스트는 1928년 사망했으며, 그녀의 여성 참정권 운동에 대한 평가는 20세기 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팽크허스트가 - 실비아 팽크허스트
영국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이자 사회주의자, 반제국주의자, 저술가, 예술가였던 실비아 팽크허스트는 여성사회정치연맹(WSPU) 활동 후 동런던 여성참정권운동 연맹(ELFS)을 설립하여 독자적인 운동을 전개했으며, 반전 운동 참여, 사회적 지원 활동, 소비에트 러시아 혁명 지지, 에티오피아에서의 반파시즘 운동 등 사회 변혁을 위해 노력했다. - 팽크허스트가 - 아델라 팽크허스트
아델라 팽크허스트는 잉글랜드 출신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로, 사회주의, 반전 운동, 공산당 활동을 거쳐 극우 민족주의 단체에 참여했으며, 친일 혐의로 체포되어 사망했다. - 여성선거권론자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여성선거권론자 - 실비아 팽크허스트
영국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이자 사회주의자, 반제국주의자, 저술가, 예술가였던 실비아 팽크허스트는 여성사회정치연맹(WSPU) 활동 후 동런던 여성참정권운동 연맹(ELFS)을 설립하여 독자적인 운동을 전개했으며, 반전 운동 참여, 사회적 지원 활동, 소비에트 러시아 혁명 지지, 에티오피아에서의 반파시즘 운동 등 사회 변혁을 위해 노력했다. - 영국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윈스턴 처칠
귀족 가문 출신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을 승리로 이끈 수상이었으며 군인, 정치가, 작가, 화가로서 활동하며 냉전 시대 개막을 알린 윈스턴 처칠은 제국주의적 관점과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영국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거트루드 벨
영국의 탐험가, 작가, 고고학자, 행정가였던 거트루드 벨은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근대사를 전공하고 페르시아와 중동을 탐험하며 아랍어를 능숙하게 구사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정보기관에서 활동하고 이라크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그녀의 삶은 여러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에멀린 팽크허스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에멀린 골든 |
출생일 | 1858년 7월 15일 |
출생지 | 모스 사이드, 맨체스터, 잉글랜드 |
사망일 | 1928년 6월 14일 |
사망지 | 햄스테드, 런던, 잉글랜드 |
기념물 | 에멀린 팽크허스트 여사 동상 에멀린과 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 기념관 |
활동 | |
운동 | 여성 사회 정치 연합 |
직업 | 정치 운동가 및 여성 참정권 운동가 |
정당 | |
소속 정당 | 독립 노동당 (1890년대) 여성당 (1917–1919) 보수당 (1926–1928) |
가족 | |
배우자 | 리처드 팽크허스트 (1879년 결혼, 1898년 사별) |
자녀 | 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 실비아 팽크허스트 아델라 팽크허스트를 포함한 5명 |
아버지 | 로버트 골든 |
어머니 | 소피아 골든 |
친척 | 메리 제인 클라크 (자매) 리처드 팽크허스트 (손자) 헬렌 팽크허스트 (증손녀) 알룰라 팽크허스트 (증손자) |
2. 초기 생애
에멀린 골든(Emmeline Goulden)은 1858년 7월 15일, 맨체스터에서 정치 활동에 참여하는 가정에서 태어났다.[166] 그녀의 부모는 노예제 폐지운동을 지지하고 여성 참정권에 관심을 두는 등 사회 개혁에 참여했으며, 이는 어린 에멀린에게 영향을 미쳤다.[18][23] 어린 시절부터 독서를 즐겼으나, 당시 사회의 성차별적 인식으로 인해 남자 형제들과 동등한 교육 기회를 받지는 못했다.[21][22]
14세 때 여성 참정권 운동가 리디아 베커의 연설을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아 여성 참정권 운동가가 되기로 결심했으며,[24] 이후 파리에서 유학하며 학업과 견문을 넓혔다.[25] 이러한 초기 경험들은 훗날 그녀가 여성 참정권 운동을 이끄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2. 1. 출생과 가족 배경
에멀린 골든은 1858년 7월 15일 잉글랜드 맨체스터의 모스 사이드 지구에 위치한 슬론 스트리트에서 태어났다. 학교에서는 그녀를 에밀리라고 불렀으며, 본인도 이 이름을 더 선호했다.[11] 공식 출생 증명서 기록과 달리, 그녀는 자신의 생일이 프랑스 혁명을 기념하는 바스티유의 날(7월 14일)이라고 믿었으며, 바스티유 감옥 습격에 참여했던 여성 혁명가들과 자신을 동일시하곤 했다.[12] 그녀의 가족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정치 활동에 참여한 이력이 있었다. 어머니인 소피아는 맨 섬 출신으로, 사회적 저항으로 알려진 조상을 둔 여성이었다.[13]
아버지 로버트 골든은 맨체스터 출신으로, 심부름꾼에서 시작해 제조업자로 성공한 자수성가형 인물이었다. 그의 집안 역시 정치 활동 배경이 있었는데, 로버트의 어머니는 반 곡물법 동맹에서 활동했으며, 그의 아버지는 영국 해군에 징집된 경험이 있고 피털루 학살 현장에도 있었다.[16] 로버트 골든은 샐퍼드 시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는 등 지역 정치에도 적극적이었으며, 연극에 대한 열정으로 극장을 소유하고 셰익스피어 연극에 직접 출연하기도 했다. 에멀린은 아버지로부터 이러한 연극적 감성을 물려받아 훗날 사회 운동에 활용했다.[17]
골든 부부에게는 첫 아들이 세 살 때 사망한 후 10명의 자녀가 더 있었고, 에멀린은 다섯 딸 중 장녀였다. 그녀가 태어난 직후 가족은 시들리로 이주했다. 부모는 자녀들을 사회 활동에 자연스럽게 노출시켰다. 미국 노예제 폐지론을 지지하여 노예 폐지론자 헨리 워드 비처의 맨체스터 방문을 환영했으며, 어머니 소피아는 해리엇 비처 스토의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자녀들에게 자주 읽어주었다. 에멀린은 어린 시절 미국에서 해방된 노예들을 돕기 위한 기금 마련 바자회에 갔던 것을 기억했다.[18]
에멀린은 매우 어린 나이인 세 살 때부터 글을 읽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독서를 좋아했다.[19] 아홉 살에는 ''오디세이''를 읽었으며,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과 토머스 칼라일의 ''프랑스 혁명사''를 특히 좋아했는데, 후자는 그녀에게 평생 영감을 주는 작품이 되었다.[20] 그러나 이러한 지적 호기심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남자 형제들과 동등한 교육 기회를 얻지 못했다. 부모는 딸들이 가정을 꾸리고 남편을 내조하는 데 필요한 소양을 배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21] 여성 참정권을 지지하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에 관심이 있었음에도, 정작 자신들의 딸들이 아들들과 같은 사회적 성취를 이루리라고는 기대하지 않았다. 한번은 아버지가 잠든 척하는 에멀린의 방에 들어와 "저 애가 사내아이로 태어나지 않아서 정말 안타깝다"고 혼잣말하는 것을 듣기도 했다.[21][22]
에멀린이 여성 참정권에 처음 눈뜬 것은 어머니 소피아가 구독하던 ''여성 참정권 저널''을 통해서였으며, 저널의 편집자인 리디아 베커를 존경하게 되었다.[23] 14세 때, 어머니를 따라 여성 투표권에 관한 집회에 참석하여 리디아 베커의 연설을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그녀는 훗날 "그 집회를 나서면서 나는 의식 있고 확고한 여성 참정권 지지자가 되었다"고 회고했다.[24]
15세에는 파리로 유학하여 École Normale de Neuilly|에콜 노르말 드 뇌이프랑스어에 다녔다. 이 학교는 전통적인 여성 교양 과목 외에도 화학, 부기 등을 가르쳤다. 그곳에서 파리 코뮌 지지 활동으로 누벨칼레도니에 투옥되었던 앙리 로슈포르의 딸 노에미와 룸메이트가 되어 정치적 신념을 공유하며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25] 졸업 후 여동생 메리 제인 클라크와 함께 파리에 잠시 더 머물렀으나, 아버지가 지참금 제공을 거부하면서 프랑스인과의 혼담이 깨지자 맨체스터로 돌아왔다.[26]
2. 2. 교육 및 성장 과정
에멀린 골든은 1858년 7월 15일 맨체스터 모스 사이드 지구의 슬론 스트리트에서 태어났다. 학교에서는 에밀리라는 이름을 더 선호했다.[11] 그녀는 자신의 생일이 바스티유의 날(7월 14일)이라고 믿었으며, 바스티유 감옥 습격을 한 여성 혁명가들과 자신을 동일시하며 "나는 항상 내가 그날 태어났다는 사실이 내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12] 그녀의 가족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정치 활동에 참여해왔다. 어머니 소피아는 맨 섬 출신이었다.[13] 아버지 로버트 골든은 맨체스터 출신의 자수성가한 사업가였으며, 피터루 학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등 정치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16] 그는 지역 정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샐퍼드 시의회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셰익스피어 연극에 직접 출연할 정도로 연극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17]
골든 부부는 자녀들을 사회 활동에 참여시켰다. 미국 노예제 폐지운동가 헨리 워드 비처가 맨체스터를 방문했을 때 환영했으며, 어머니 소피아는 해리엇 비처 스토의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자녀들에게 잠자리 이야기로 자주 읽어주었다.[18] 에멀린은 아주 어린 나이부터 독서를 즐겼으며, 세 살 때부터 글을 읽었다는 기록도 있다.[19] 아홉 살 때 ''오디세이''를 읽었으며, 존 번연의 ''천로역정''과 토머스 칼라일의 ''프랑스 혁명사''를 특히 좋아했다. 칼라일의 책은 그녀에게 "일생 동안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20]
그러나 그녀는 남자 형제들과 동등한 교육 기회를 얻지 못했다. 부모는 딸들이 가정을 매력적으로 꾸미고 미래의 남편에게 필요한 기술을 배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21][22] 여성 참정권을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골든 부부는 딸들이 아들들과 같은 목표를 추구할 것이라고는 기대하지 않았다. 에멀린은 아버지가 자신의 방에 들어와 "저 애가 사내아이로 태어나지 않아서 정말 안타깝다"고 중얼거리는 것을 듣기도 했다.[21]
에멀린은 부모를 통해 여성 참정권 운동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어머니는 ''여성 참정권 저널''을 구독했고, 에멀린은 편집자인 리디아 베커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다.[23] 14세 때, 어머니를 따라 리디아 베커가 연설하는 여성 참정권 집회에 참석했다. 베커의 연설에 크게 감명받은 그녀는 "의식 있고 확신에 찬 여성 참정권 운동가로서 그 자리를 떠났다"고 회고했다.[24]
1년 후, 15세의 나이로 파리로 유학을 떠나 ''뇌이 국립학교(École Normale de Neuilly)''에 다녔다. 이 학교는 전통적인 여성 교양 과목 외에도 화학과 부기 같은 실용적인 학문도 가르쳤다. 그곳에서 파리 코뮌 지지 문제로 누벨칼레도니에 수감되었던 앙리 로슈포르의 딸 노에미 로슈포르와 룸메이트가 되어 정치적 신념을 공유하며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25] 학교 생활에 만족했던 에멀린은 졸업 후 여동생 메리 제인 클라크와 함께 하숙생으로 잠시 파리에 더 머물렀다. 노에미가 주선한 프랑스인과의 혼담이 있었으나, 아버지 로버트가 지참금 제공을 거부하자 무산되었고, 에멀린은 맨체스터로 돌아왔다.[26]
3. 결혼과 가족 생활
에멀린 골든은 1879년, 여성 참정권 운동 등 진보적 사회 운동을 지지하던 변호사 리처드 팽크허스트와 결혼했다. 결혼 후 다섯 자녀를 두었으며, 가정생활과 함께 여성 참정권 운동을 비롯한 정치 활동을 활발히 병행했다.[30] 이 시기 동안 남편의 정치적 행보 변화, 아들의 죽음[33], 이사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 1898년 남편 리처드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49]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지만, 출생 및 사망 기록관으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하는 한편, 여성들이 처한 현실을 목도하며 참정권 운동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했다.[50] 이러한 개인적인 경험들은 그녀가 이후 더욱 적극적으로 여성 사회 정치 연합(WSPU) 활동에 헌신하는 배경이 되었다.
3. 1. 리처드 팽크허스트와의 만남과 결혼

1878년 가을, 20세였던 에멀린 골든은 변호사 리처드 팽크허스트를 만나 관계를 시작했다. 당시 44세였던 리처드는 에멀린보다 24살 연상이었으며, 오랫동안 여성 참정권, 언론의 자유, 교육 개혁 등 진보적인 사회 운동을 지지해 온 인물이었다. 그는 본래 공익에 더 헌신하기 위해 독신으로 남으려 했으나, 두 사람의 상호적인 애정은 깊어졌다.
에멀린은 결혼이라는 법적 형식 대신 자유 연애를 제안하기도 했으나, 리처드는 미혼 여성으로서 에멀린이 겪게 될 사회적 제약을 우려하여 반대했다. 그는 동료 엘리자베스 울스텐홀름 엘미가 결혼을 공식화하기 전 겪었던 사회적 비난을 예로 들었다. 결국 에멀린은 리처드의 의견에 동의했고, 두 사람은 1879년 12월 18일 펜들턴의 성 루크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렸다.[29]
3. 2. 자녀 양육과 정치 활동
1878년, 20세의 에멀린 골든은 44세의 변호사 리처드 팽크허스트를 만났다. 리처드는 이미 수년간 여성 참정권, 언론의 자유, 교육 개혁 등을 지지해 온 인물이었다.[27] 두 사람은 깊은 애정을 느꼈으나, 에멀린의 어머니는 딸이 리처드에게 너무 적극적이라고 생각했다.[28] 에멀린은 결혼 형식을 피하고 자유 연애를 제안했지만, 리처드는 미혼 여성으로서 정치 활동에 제약을 받을 것을 우려하며 반대했다. 결국 두 사람은 1879년 12월 18일 펜들턴의 성 루크 교회에서 결혼했다.[29]결혼 후 10년 동안 에멀린은 다섯 명의 자녀를 낳았다. 첫째 딸 크리스타벨(1880년생), 둘째 딸 에스텔 실비아(1882년생), 아들 헨리 프랜시스 로버트(1884년생, 프랭크로 불림), 셋째 딸 아델라(1885년생), 그리고 1889년에는 프랭크 사후에 태어난 둘째 아들 헨리 프랜시스이다.[31][33] 부부는 에멀린이 단순히 "가정의 기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기에, 집사를 고용하여 육아를 돕게 하고 에멀린은 여성 참정권 협회 활동 등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0] 1889년, 에멀린은 남편 리처드와 함께 여성 프랜차이즈 연맹(Women's Franchise League, WFL) 창립에 참여하며 여성의 투표권 획득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166]
한편, 남편 리처드는 자유당을 떠나 더 급진적인 사회주의적 견해를 표명하며 부유한 사업가들과 법적 다툼을 벌이기도 했다. 이로 인해 에멀린의 친정아버지 로버트 골든과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31] 1885년, 가족은 초턴온메들록으로 이사했고, 이듬해에는 리처드의 의회 선거 출마를 위해 런던으로 이주했으나 낙선했다. 런던에서 에멀린은 여동생 메리 제인과 함께 작은 직물 가게 '에머슨 앤 컴퍼니'를 열었다.[31][32]
1888년, 큰 슬픔이 닥쳤다. 아들 프랭크가 디프테리아에 걸려 9월 11일에 사망한 것이다. 가족은 집 뒤의 불량한 배수 시설이 원인이라고 생각했고, 더 나은 환경을 찾아 러셀 광장의 부유한 지역으로 이사했다. 에멀린은 프랭크의 죽음으로 큰 충격을 받았지만, 곧 다시 임신하여 1889년 7월 7일 둘째 아들 헨리 프랜시스를 낳고 죽은 형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33][31]
러셀 광장의 집은 "모든 학파의 사회주의자, 시위자, 무정부주의자, 참정권론자, 자유 사상가, 급진주의자 및 인도주의자"들이 모이는 정치적 중심지가 되었다.[34] 에멀린은 아시아 가구로 집을 꾸미고 가족들에게 좋은 옷을 입히는 것을 즐겼으며, 딸 실비아는 "옷과 가구의 아름다움과 적절함이 항상 공적인 일의 필수적인 배경인 것처럼 보였다"고 회상했다.[34] 이곳에는 인도 국회의원 다다바이 나우로지, 사회주의 활동가 허버트 버로우스와 애니 베산트, 프랑스 무정부주의자 루이즈 미셸 등 다양한 인물들이 방문했다.[34]
1898년 여름, 남편 리처드는 위궤양이 재발하여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었다. 에멀린은 장녀 크리스타벨과 스위스에 머물던 중 남편이 위독하다는 전보를 받고 급히 영국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7월 5일, 런던행 기차 안에서 신문을 통해 남편의 사망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48][49]

남편의 죽음으로 에멀린은 상당한 빚과 함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가족은 더 작은 집으로 이사했고, 에멀린은 촐턴에서 출생 및 사망 기록관으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이 직업을 통해 그녀는 지역 여성들의 어려운 현실, 특히 사생아 문제 등에서 나타나는 남녀 불평등을 더욱 깊이 인식하게 되었고, 여성 참정권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했다.[50] 그녀는 자서전에서 당시 만난 여성들의 이야기가 "끔찍했고, 모두 가난의 인내심 있고 불평하지 않는 비애로 가득 차 있었다"고 적었다.[50] 1900년에는 맨체스터 학구 위원회에 선출되어 교육 현장에서의 여성 차별 문제도 목격했다. 이 시기, 가게를 다시 열어 가계에 보탬이 되고자 노력하기도 했다.[50][51]
아버지의 사망 즈음, 팽크허스트의 자녀들은 각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크리스타벨은 어머니의 가장 총애받는 딸로 여겨졌으며,[52] 참정권 운동가 에스더 로퍼와 에바 고어-부스와의 교류를 통해 점차 어머니의 정치 활동에 동참하게 되었다.[53] 실비아는 예술가의 길을 걸어 맨체스터 예술학교에서 장학금을 받고 피렌체와 베니스에서 미술을 공부했다.[54] 반면, 어린 아델라와 해리는 학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아델라는 기숙학교에서 적응 문제를 겪었고, 해리는 홍역과 시력 문제로 고생했다.[55] 1910년 1월 5일, 둘째 아들 해리마저 척수 염증으로 인한 마비 끝에 사망하는 아픔을 겪었다.[78]

4. 여성 참정권 운동
1910년 자유당이 총선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얻자, 국제노동당(ILP) 소속 언론인 헨리 브레일스퍼드의 주도로 초당적인 여성 참정권 운동을 위한 조정 위원회가 조직되었다. 이 위원회는 일부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조정 법안 통과를 목표로 활동했고, 여성 사회 정치 연합(WSPU)은 법안 논의 기간 동안 잠시 과격 행동을 중단했다. 그러나 법안 통과가 불투명해지자 팽크허스트는 휴전 중단을 선언했다.[80]
결국 법안이 부결되자 1910년 11월 18일, 팽크허스트는 300명의 여성과 국회의사당 광장으로 시위 행진을 이끌었다. 이 시위는 윈스턴 처칠 내무장관의 지시를 받은 경찰의 폭력적인 진압으로 이어졌으며, 이 날은 검은 금요일로 알려지게 되었다.[81] 이 사건으로 팽크허스트의 여동생 메리 제인 클라크가 체포, 투옥된 후 사망하는 비극도 있었다.[32]
이후 조정 법안 논의가 재개되기도 했으나[83][84], 1912년 3월 두 번째 법안마저 좌초될 위기에 처하자 WSPU의 투쟁은 더욱 과격화되었다. 팽크허스트는 창문 깨기 운동에 다시 참여했고, 이로 인해 체포되어 재산 피해 공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딸 크리스타벨은 체포를 피해 파리로 망명하여 조직을 이끌었다. 팽크허스트를 비롯한 수감된 WSPU 회원들은 단식 투쟁을 벌였고, 정부는 강제 영양과 악명 높은 고양이와 쥐 법으로 대응했다. 반복되는 체포 시도에 맞서 WSPU는 팽크허스트를 보호하기 위한 보디가드 부대를 조직하기도 했다.[87]
1912년부터는 방화가 WSPU의 주요 투쟁 전술로 등장했다.[88][89] 에밀리 데이비슨의 엡솜 더비 사건이나 메리 리처드슨의 로키비 비너스 훼손 사건[91] 등 투쟁의 강도는 점점 높아졌다. 팽크허스트는 이러한 과격 행동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여성 참정권 획득을 위한 압박을 이어갔다.
4. 1. 여성 참정권 연맹 (WFL) 활동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여성 참정권 연맹 (WFL)' 활동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주로 '여성 사회 정치 연합 (WSPU)'의 활동과 내부 갈등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4. 2. 독립 노동당 (ILP) 활동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독립 노동당 (ILP) 활동'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는 1910년 이후의 여성 사회 정치 연맹(WSPU) 활동 및 관련 사건들을 다루고 있어, 요청된 1890년대 ILP 활동 내용과는 시기 및 주제 면에서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3. 여성 사회 정치 연합 (WSPU) 결성

1903년, 에멀린 팽크허스트는 기존 정당들과 의회 의원들이 여성 참정권에 대해 보여 온 미온적인 태도와 공허한 약속만으로는 실질적인 진전을 이룰 수 없다고 판단했다. 과거 1870년, 1886년, 1897년에 여성 참정권 관련 법안이 발의되었으나 모두 무산된 경험이 있었다.[166] 그녀는 다양한 정치적 의제를 가진 정당들이 여성 참정권을 진정으로 우선순위에 둘지에 대해 회의적이었으며, 특히 독립노동당(ILP)이 '여성의 투표권'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지 않자 ILP와도 관계를 정리했다. 기존 참정권 운동 단체들의 점진적이고 인내에 기반한 전략 대신, 더욱 적극적이고 전투적인 행동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이에 따라 1903년 10월 10일, 팽크허스트는 몇몇 동료들과 함께 맨체스터의 자택(넬슨가 62번지)에서 여성 사회 정치 연합(Women's Social and Political Union, WSPU)을 창립했다. WSPU는 회원 자격을 여성으로만 제한했으며, 투표권 획득을 위한 직접 행동에 집중했다.[168] "말이 아닌 행동 (Deeds, not wordseng)"이 WSPU의 모토가 되었다.[158]
WSPU의 초기 활동은 연설, 청원 서명 운동, 집회 개최, "여성을 위한 투표(Votes for Women)"라는 뉴스레터 발행 등 비폭력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정부의 공식 회의 일정에 맞춰 캑스턴 홀 등에서 자체적인 "여성 의회"를 열기도 했다. 1905년 5월 12일, 여성 참정권 법안 논의가 의회에서 좌절되자 팽크허스트와 WSPU 회원들은 국회의사당 밖에서 항의 시위를 벌였다. 경찰에 의해 즉시 해산되었지만, 팽크허스트는 이 시위를 통해 WSPU의 존재를 알리고 정치적 주목을 받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다.[169] 그녀는 1906년에 "우리는 마침내 정치적 당파로 인정받았다. 우리는 이제 정치의 흐름 속에 있으며, 정치적인 세력이 되고 있다"고 선언했다.[170]

얼마 지나지 않아 팽크허스트의 세 딸 모두 WSPU 활동에 참여했다. 장녀 크리스타벨은 1905년 10월 자유당 집회에서 경찰관에게 침을 뱉은 혐의로 체포되었고[171], 차녀 실비아와 막내 아델라 역시 1년 후 의회 밖 시위 도중 체포되었다.[172] 에멀린 팽크허스트 본인이 처음 체포된 것은 1908년 2월, 당시 총리였던 H. H. 애스퀴스에게 항의 결의문을 전달하기 위해 의회 진입을 시도했을 때였다. 그녀는 의사 진행 방해 혐의로 6주 구금형을 선고받았다. 팽크허스트는 열악한 감옥 환경(해충, 형편없는 식사 등)과 함께 "독방 수감과 절대적 침묵이라는 문명적 고문"에 대해 강하게 항의했다.[173] 그녀는 투옥 자체를 여성 참정권의 시급성을 알리는 선전 수단으로 활용했으며, 1909년 6월에는 체포를 유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경찰관의 뺨을 두 차례 때리기도 했다. 여성 참정권이 실현되기까지 팽크허스트는 총 7번 체포되었다. 1908년 10월 21일 재판에서 그녀는 "우리가 여기에 있는 것은 법을 어기는 자이기 때문이 아닙니다. 법을 만드는 자가 되기 위한 노력으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라고 진술했다.[174][175][176]
WSPU의 또 다른 특징은 오직 여성 투표권 획득이라는 단일 목표에만 집중했다는 점이다. 다른 단체들이 특정 정당과 협력하는 방식을 택한 반면, WSPU는 여성 참정권을 최우선 과제로 삼지 않는 정당과는 협력하지 않았으며, 특히 집권당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대 입장을 취했다. 당시 집권당이었던 자유당 내에 여성 참정권 지지자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WSPU는 자유당 정부가 법안 통과를 거부한다는 이유로 자유당 후보 전체를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이로 인해 자유당 지지자들과의 충돌이 잦았는데, 윈스턴 처칠과 같은 인물도 WSPU의 초기 반대 대상 중 하나였다.[173]
WSPU 회원들은 자유당 후보의 낙선 운동을 벌인다는 이유로 종종 비난과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 1908년 1월 18일, 팽크허스트와 동료 넬리 마텔은 보수당 후보에게 패배한 것이 WSPU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자유당 지지 남성들에게 습격당했다. 군중은 진흙, 썩은 달걀, 돌이 든 눈뭉치를 던졌고, 여성들은 구타당했으며 팽크허스트는 발목에 심한 타박상을 입었다.[177] 이후 노동당과도 유사한 긴장 관계가 형성되었다. WSPU는 정당 정치가 여성 참정권 목표 달성을 방해한다고 보았으며, 다른 조직들이 당에 대한 충성심을 여성 투표권보다 우선시한다고 비판했다.[178]
WSPU의 활동이 점차 알려지고 논란의 중심에 서면서, 팽크허스트는 조직 운영 방식에 대한 내부 비판에 직면했다. 1907년, 테레사 빌링턴-그레이그를 중심으로 한 일부 회원들은 연례 총회에 더 많은 일반 회원들의 참여를 보장하고 민주적인 운영을 요구했다. 그러나 팽크허스트는 WSPU 회의에서 조직 규약의 의사 결정 관련 조항이 무효라고 선언하고 연례 총회를 중단시켰다. 대신 그녀는 자신과 딸 크리스타벨, 메이블 투크, 에멀린 페틱 로렌스로 구성된 위원회가 WSPU 활동을 조정하도록 결정했다. 이에 실망한 빌링턴-그레이그, 샬럿 데스파드 등 일부 회원들은 WSPU를 탈퇴하여 독자적인 조직인 여성자유연맹(Women's Freedom League)을 결성했다.[179] 팽크허스트는 1914년 자서전에서 이러한 지도 체제에 대한 비판을 다음과 같이 반박했다.
> 언제든 멤버, 또는 멤버 그룹이 우리의 방침을 신뢰하지 않게 되거나, 다른 방침을 제안하거나 추가하여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려 한다면, 그들은 즉시 멤버 자격을 잃게 됩니다. 독재적이냐고요? 그렇습니다. 참정권 운동 조직은 민주적이어야 한다고 당신은 반박할지 모릅니다. 하지만 WSPU 멤버들은 당신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일반적인 참정권 조직의 유효성을 믿지 않습니다. WSPU는 복잡한 규칙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우리에게는 규약도 법적 제약도 없으며, 연례 총회에서 수정하거나 논쟁할 만한 것도 없습니다. WSPU는 바로 전장에 있는 참정권 군대입니다.[180]
4. 4. 과격 투쟁과 투옥
1908년 2월, 애스퀴스 총리에게 항의 결의문을 전달하기 위해 의회 진입을 시도하다 방해 혐의로 처음 체포되어 6주간 투옥되었다.[173] 팽크허스트는 열악한 감옥 환경에 항의했으며, 투옥 자체를 여성 참정권의 시급성을 알리는 수단으로 활용했다.[173] 그녀는 여성 참정권이 승인될 때까지 총 7번 체포되었으며, 1908년 10월 재판에서는 "우리가 여기에 있는 것은 법을 어기는 자이기 때문이 아니라, 법을 만드는 자가 되기 위한 노력 때문이다"라고 선언했다.[174][175][176]
1909년 6월, 매리언 월리스 던롭이 단식 투쟁을 시작한 이후, 이는 WSPU의 주요 저항 수단이 되었다. 수감된 WSPU 회원들은 장기간 단식 투쟁을 벌였고, 교도소 당국은 종종 코나 입으로 튜브를 삽입하는 강제 영양 공급을 시행했다. 이 고통스러운 절차는 많은 비난을 받았다. 1912년 홀로웨이 감옥에서 팽크허스트 역시 다른 수감자들의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단식 투쟁을 벌였고, 강제 영양 공급의 끔찍함을 경험했다. 그녀는 자서전에서 "홀로웨이는 공포와 고문의 장소가 되었다"고 묘사했으며[85][193], 교도관들이 강제로 들어오려 하자 "누구라도 감히 이 감방 안으로 한 발짝이라도 들어온다면 내가 스스로를 방어하겠다"고 외치며 저항했다.[86][194][195]
1910년, 여성 참정권 내용을 담은 조정 법안 통과 가능성이 보이자 WSPU는 잠시 과격 투쟁을 중단했다. 그러나 법안이 부결되자 11월 18일, 팽크허스트는 300명의 여성과 함께 국회의사당 광장으로 시위 행진을 이끌었다. 윈스턴 처칠 내무장관의 지시를 받은 경찰은 시위대를 폭력적으로 진압했으며(주먹질, 팔 비틀기, 가슴 움켜쥐기 등), 이 사건은 검은 금요일로 알려지게 되었다.[81][188] 팽크허스트의 여동생 메리 제인 클라크도 이 시위 이후 체포되어 투옥되었고, 석방된 지 이틀 만에 사망했다.[32][189]
1912년 3월, 두 번째 조정 법안이 좌초될 위기에 처하자 팽크허스트는 창문 깨기 운동에 다시 참여했다. 광범위한 재산 피해가 발생하자 경찰은 WSPU 사무실을 급습했고, 팽크허스트와 에멀린 페식로렌스는 재산 피해 공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93] 딸 크리스타벨은 체포를 피해 파리로 망명하여 WSPU 전략을 지휘했다. 이후 WSPU 회원들은 투표권 획득을 위한 전술로 방화를 채택했다. 더블린의 극장 폭파 시도, 리젠트 파크의 다과 건물, 큐 가든의 난초 온실, 우체통, 철도 차량 등에 대한 방화가 이어졌다.[88][197] 1913년 엡솜 더비에서는 에밀리 데이비슨이 국왕의 말 앞으로 뛰어들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는 운동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1914년에는 메리 리처드슨이 팽크허스트의 투옥에 항의하며 내셔널 갤러리에 전시된 벨라스케스의 그림 〈거울을 보는 비너스〉를 칼로 훼손했다.[91][200] 팽크허스트는 이러한 행동들이 자신이나 크리스타벨의 직접적인 지시는 아니었지만, 방화 등 과격 행동을 벌인 운동가들을 공개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198]
팽크허스트는 이후에도 법 위반과 투옥, 단식 투쟁을 반복했다. 건강 악화로 인해 며칠 만에 석방되는 경우가 잦았는데, 이는 정부가 단식 투쟁으로 건강이 심각하게 나빠진 서프러제트를 석방했다가 건강이 회복되면 다시 체포하는 이른바 고양이와 쥐 법(Cat and Mouse Act)을 제정했기 때문이었다. 경찰의 계속되는 체포 시도에 맞서, WSPU는 유술 훈련을 받은 여성들로 구성된 보디가드 부대를 조직하여 팽크허스트를 물리적으로 보호하려 했고, 이 과정에서 경찰과 격렬한 충돌이 벌어지기도 했다.[87][196]
그러나 1914년 8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팽크허스트와 크리스타벨은 독일의 위협이 여성 참정권 문제보다 더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모든 참정권 운동을 중단할 것을 WSPU에 촉구했다. 정부와의 휴전이 성립되었고, 투옥되었던 모든 WSPU 회원들이 석방되었다.[99]
4. 5. WSPU 분열과 갈등
여성사회정치연합(WSPU)이 점차 과격한 투쟁 방식을 채택하면서 내부 및 외부적으로 갈등이 발생했다. 팽크허스트는 WSPU를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것에 반대하며, 1907년 연례 총회를 중단하고 소수의 위원회가 조직을 이끌도록 결정했다. 그녀는 WSPU가 "전장에 있는 참정권의 군대"이며, 민주적 절차는 목표 달성에 방해가 된다고 주장했다.[180] 이러한 독단적인 운영 방식에 반발한 테레사 빌링턴-그레이그, 샬롯 데스파드 등 일부 회원들은 WSPU를 탈퇴하여 여성자유연맹(Women's Freedom League)을 결성했다.[179]WSPU의 창문 파괴, 방화[88][89], 단식 투쟁[85] 등 과격한 전술은 전국여성선거권협회 연합(NUWSS)과 같은 온건한 참정권 단체와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NUWSS의 대표 밀리센트 포셋은 처음에는 WSPU 회원들의 용기를 칭찬했지만, 1912년에는 과격한 행동이 오히려 참정권 운동에 방해가 된다고 비판했다.[103] NUWSS는 WSPU의 파괴 활동을 지지하지 않았으며, 공동 시위 참여를 거부했다. 포셋의 여동생인 엘리자베스 개릿 앤더슨도 같은 이유로 WSPU를 떠났다.
1912년, WSPU 내에서도 과격 투쟁 방식에 대한 이견으로 주요 회원들이 탈퇴하는 일이 발생했다. WSPU의 재정 및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에멀린 페틱 로렌스와 그의 아내 등 주요 인사들이 조직의 노선에 반대하며 떠났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에멀린과 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가 WSPU의 노선을 전쟁 지지로 급격히 전환하면서 또 다른 분열이 일어났다. 평화주의자이자 사회주의적 성향을 가졌던 딸 실비아와 호주에서 반전 운동을 벌인 딸 아델라는 어머니의 결정에 강하게 반대했다.[5] 에멀린은 전쟁에 반대하는 딸들에게 "너와 아델라가 어디에 있는지 알게 되어 부끄럽다"[5]고 말하며 관계가 악화되었다. 또한 WSPU 내부 회의에서 전쟁 지원 노선에 의문을 제기한 오랜 회원 메리 리에게 "저 여자는 친독일적이며 회관을 나가야 한다"[102]고 비난하며 퇴장을 요구하는 등 반대 의견을 용납하지 않았다. 이러한 노선 변경과 독단적 운영에 반발한 회원들은 WSPU를 떠나 여성 사회 정치 연맹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SWSPU)와 독립 여성 사회 정치 연맹(IWSPU)을 결성하여 참정권 운동을 계속 이어나갔다.[103]
5. 제1차 세계 대전과 전후 활동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팽크허스트는 영국의 민족주의적 통합과 대영 제국 유지를 강조하는 활동에 집중했다. 그녀는 제국의 중요성을 역설하며,[114] 볼셰비즘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강연을 영국과 북미 등지에서 이어갔다.[114][115]
여성의 하원 출마가 허용되자, 팽크허스트는 1918년 영국 총선에서 딸 크리스타벨의 선거 운동을 지원했으나, 크리스타벨은 노동당 후보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116] 이 패배는 팽크허스트에게 큰 실망을 안겼고,[116] 이후 여성당은 점차 쇠퇴하여 해체되었다.[117]
1922년부터 1925년까지는 캐나다 토론토에 거주하며 네 명의 입양 자녀를 돌보았다.[122] 캐나다에서는 성병 퇴치 운동에 참여하고,[121] "인종 개량"을 위한 우생학적 페미니즘 개념을 강연하기도 했다.[119] 재정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1925년 말 영국으로 돌아왔다.[122]
귀국 후에는 오랫동안 소원했던 딸 실비아와 만났으나, 정치적, 사상적 차이로 인해 관계는 냉랭했다.[123] 다른 딸 크리스타벨은 재림교 신앙에 몰두하는 등, 가족들은 각기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124]
1926년, 팽크허스트는 보수당에 입당하여 주변을 놀라게 했다. 그녀는 자신의 변화를 전쟁과 해외 경험의 결과라고 설명했다.[125] 1928년에는 화이트채플 및 세인트 조지 선거구에서 보수당 후보로 출마를 준비했으나, 건강 악화로 선거 운동을 완료하지 못하고 그해 사망했다.
5. 1. 전쟁 지지와 여성의 역할 강조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팽크허스트는 참정권 운동보다는 영국의 전쟁 수행 노력을 지원하는 데 집중했다.1916년, 팽크허스트는 세르비아의 전직 장관 체도미르 미야토비치와 함께 북미를 순방했다. 당시 전쟁의 중심에 있던 세르비아를 돕기 위한 자금 모금 활동을 벌였고, 미국과 캐나다 정부가 영국 등 동맹국을 지원하도록 촉구했다.[208] 2년 뒤 미국이 전쟁에 참여하자, 팽크허스트는 다시 미국을 방문했다. 그녀는 현지의 서프러제트들에게 과격한 참정권 운동을 자제하고 전쟁 지원 활동에 동참할 것을 설득했다. 또한 당시 부상하던 공산주의 운동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이것이 러시아 민주주의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208]

1917년 6월, 러시아 혁명으로 전쟁 종결을 주장하는 볼셰비키가 세력을 얻자 팽크허스트는 러시아로 향했다. 그녀의 자서전이 러시아에서 널리 읽혔기 때문에, 이를 기회로 삼아 러시아 국민들이 독일 제국과의 단독 강화를 받아들이지 않도록 설득하고자 했다. 그녀는 독일과의 강화 조약이 결국 영국과 러시아 모두의 패배로 이어질 것이라 생각했다. 당시 영국 총리였던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는 그녀의 러시아 방문을 지원했다.[209] 팽크허스트는 페트로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저는 영국 국민으로부터 러시아 국민에게 보내는 기원과 함께 왔습니다. 여러분이 문명과 자유의 면모를 유지하기 위해 전쟁을 계속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라고 연설했다.[209] 그녀의 방문에 대한 러시아 언론의 반응은 엇갈렸다. 좌파 언론은 그녀를 자본주의의 도구로 비판했지만, 우파 언론은 그녀의 강한 애국심을 높이 평가했다.[210]
같은 해 8월, 팽크허스트는 러시아 임시정부 수반이었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총리와 만났다. 과거 사회주의 성향의 독립노동당(ILP)에서 활동했던 팽크허스트였지만, 점차 좌파 정치에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고 이는 러시아 방문을 통해 더욱 강해졌다. 케렌스키와의 회담은 순탄치 않았다. 케렌스키는 팽크허스트가 당시 러시아 사회를 지배하던 계급 갈등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여겼고, "영국 여성이 러시아 여성에게 가르칠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하며 대화를 마무리지었다. 이후 팽크허스트는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케렌스키를 "현대 최대의 사기꾼"이라 비판하며 그의 정부가 "문명을 파괴할" 수 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211][212]
5. 2. 전후 활동과 보수주의로의 전환

제1차 세계 대전이 막바지에 이르던 1917년 6월, 러시아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세력을 얻자 팽크허스트는 러시아를 방문했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총리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진 이 방문은 러시아가 독일과 단독으로 강화 조약을 체결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이었다.[209] 그녀는 러시아 국민들에게 "문명과 자유를 지키기 위해 전쟁을 계속해달라"고 호소했지만[209], 현지 언론의 반응은 엇갈렸다.[210] 8월에는 러시아 임시정부 수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와 회담했으나, 점차 강해진 반(反)좌파 성향으로 인해 케렌스키와는 불편한 관계를 형성했다. 팽크허스트는 케렌스키를 "현대 최대의 사기꾼"이라 비판하며 그의 정부가 "문명을 파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211][212] 러시아에서의 경험은 그녀의 정치적 입장을 더욱 보수적으로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러시아에서 돌아온 팽크허스트는 1918년 인민 대표법 통과로 30세 이상 여성에게 투표권이 부여된 것을 환영했다. 그러나 그녀와 딸 크리스타벨은 여성 정치 조직이 남성 중심의 기존 정당과 통합하는 것에 반대했다.[213] 1917년 11월, 이들은 WSPU를 여성당(Women's Party)으로 개편했다. 여성당은 여성 회원만 받았으며, 혼인의 평등, 동일 노동 동일 임금, 여성의 직업 기회 평등 등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웠다. 동시에 전쟁 중에는 독일에 대한 비타협적 태도, 평화주의자 및 독일 연고자의 정부 배제, 그리고 볼셰비즘 확산을 막기 위한 노동 시간 단축 등을 요구하며 강한 반공주의 노선을 드러냈다.[214]
1918년 휴전 이후, 팽크허스트는 대영 제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민족주의적 입장을 더욱 공고히 했다. 그녀는 "제국과 제국주의를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다"며, 제국의 잠재력을 활용하여 가난과 무지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14] 이후 몇 년간 영국과 북미를 오가며 제국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고 볼셰비즘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활동을 이어갔다.[114][115]
여성의 의회 출마가 가능해지자 팽크허스트는 다시 정치 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1918년 영국 총선에서 딸 크리스타벨의 스메스윅 선거구 출마를 지원하며 열정적으로 선거 운동을 펼쳤다.[116] 로이드 조지 총리에게 연립 정부의 공식 지지를 요청했으나 성사되지 않았고,[116] 크리스타벨은 노동당 후보에게 775표 차이로 패배했다.[116] 이 패배는 팽크허스트에게 큰 실망감을 안겼으며,[116] 이후 여성당은 급격히 쇠퇴하여 결국 해체되었다.[117]
1922년부터 1925년까지 팽크허스트는 캐나다 토론토에서 네 명의 입양 자녀와 함께 거주했다. 그녀는 캐나다의 남녀 평등 수준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118] 성병 퇴치 운동에 참여하여 성적 이중 잣대를 비판했다. 이 시기 캐나다 전역에서 강연하며 "인종 개량"을 위한 우생학적 페미니즘 개념을 주장하기도 했다.[119] 그러나 캐나다의 혹독한 겨울과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1925년 말 영국으로 돌아왔다.[122]
런던으로 돌아온 후, 오랫동안 만나지 못했던 딸 실비아와 재회했다. 하지만 사회주의자이자 비혼 상태로 아이를 둔 실비아와의 정치적, 사상적 차이는 컸고, 관계는 냉랭하게 마무리되었다.[123] 한편, 다른 딸 크리스타벨은 재림교로 개종하여 종교 활동에 몰두하면서, 한때 긴밀했던 팽크허스트 가족은 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124]
1926년, 팽크허스트는 보수당에 입당하여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다. 과거 급진적인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여성 참정권 운동의 투사였던 그녀의 변신에 대해, 팽크허스트는 "전쟁 경험과 해외 경험이 나의 견해를 상당히 변화시켰다"고 설명했다.[125] 전기 작가들은 그녀의 보수당 입당 배경에는 여성 권한 부여와 반공주의라는 정치적 신념, 기존 정당(자유당, 노동당)과의 관계 악화, 그리고 당시 압도적 다수당이었던 보수당의 현실적인 정치적 영향력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고 분석한다.[126] 1928년, 그녀는 화이트채플 및 세인트 조지 선거구에서 보수당 후보로 의회 진출을 시도했으나, 건강이 악화되어 선거 운동을 마치지 못하고 그해 사망했다.
6. 사망과 유산
1928년 6월 14일, 영국 여성 참정권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이었던 에멀린 팽크허스트는 6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는 여성 사회 정치 연합(WSPU)를 이끌며 여성의 정치적 권리 획득에 크게 기여했으며, 사망 당시 여성 참정권 확대라는 목표는 거의 달성된 상태였다.[166] 사후에도 그녀의 업적을 기리는 노력이 이어져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6. 1. 질병과 죽음
1928년 건강이 악화되어 햄스테드의 한 요양원에 입원했으며, 같은 해 6월 14일 6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6. 2. 유산과 평가
팽크허스트는 영국에서의 여성 참정권이라는 목표를 거의 달성하고 1928년에 사망했다.[166] 그녀의 사망 소식은 전 세계적으로 보도되었으며, 그녀의 업적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이어졌다. 1914년에는 자서전 『My Own Story』를 출간하기도 했다.[166]사후 그녀를 기리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1930년에는 런던 빅토리아 타워 가든에 아서 조지 워커가 제작한 팽크허스트의 동상이 세워졌다. 2018년에는 그녀가 태어난 맨체스터의 세인트 피터 광장에 헤이젤 리브스가 제작한 '말이 아닌 행동'(Deeds not Words|디즈 낫 워즈eng)이라는 이름의 동상이 건립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도 팽크허스트는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평가받는다. 2002년 BBC가 실시한 '100명의 가장 위대한 영국인' 여론 조사에서 27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6. 2. 1. 팽크허스트에 대한 평가
팽크허스트가 1903년 결성한 여성 사회 정치 연합( Women's Social and Political Union|위민스 소셜 앤드 폴리티컬 유니언영어, WSPU)은 과격한 활동 방식으로 유명해졌다.[166] 그녀의 활동은 폭탄 테러를 포함했으며, 이로 인해 여러 차례 체포되었고 10차례의 단식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166] 그러나 이러한 과격한 접근 방식은 합법적인 정치 활동을 통해 여성 참정권 획득을 목표로 했던 이들에게는 지지를 받지 못했고, 결국 여성 사회 정치 연합의 분열을 가져왔다.[166]참조
[1]
웹사이트
Suffragettes, violence and militancy
https://www.bl.uk/vo[...]
2018-02-06
[2]
간행물
Emmeline Pankhurst – Time 100 People of the Century
http://www.time.com/[...]
1999-06-14
[3]
문서
E. Pankhurst 1914, p. 38.
[4]
서적
To End All Wars
Houghton Mifflin Harcourt
[5]
문서
Quoted in Purvis 2002, p. 270.
[6]
서적
The Illustrated First World War
The Illustrated London News
[7]
웹사이트
White Feather Feminism
http://itech.fgcu.ed[...]
2014-02-24
[8]
웹사이트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918
http://www.parliamen[...]
2014-02-24
[9]
문서
Purvis 2002, p. 248.
[10]
웹사이트
Lord Lexden reminds Conservatives that Mrs Pankhurst joined their Party in the 1920s
https://www.alistair[...]
2012-08-08
[11]
웹사이트
Emmeline Pankhurst's Birthplace: Alexandra Park Estate
http://www.mancky.co[...]
2019-05-12
[12]
문서
Quoted in Purvis 2002, p. 9; Bartley, pp. 15–16. Purvis suggests several possible reasons for the confusion. She notes that the name is spelled "Emiline" on the certificate.
[13]
문서
Bartley, p. 16; Liddington and Norris, p. 74.
[14]
웹인용
"125th Anniversary of Women's Suffrage on the Isle of Man"
http://www.gov.im/li[...]
Isle of Man Government
2008-11-04
[15]
문서
Bartley, pp. 16–18.
[16]
문서
Bartley, pp. 18–19; Purvis 2002, p. 9; Phillips, p. 145.
[17]
문서
Bartley, pp. 20–21; Pugh, p. 7.
[18]
문서
E. Pankhurst 1914, pp. 1–2; Bartley, pp. 18–19, 20–21; Purvis 2002, p. 10.
[19]
문서
Purvis 2002, p. 9. In her autobiography, Pankhurst wrote on p. 3: "I do not remember a time when I could not read."
[20]
문서
E. Pankhurst 1914, p. 3.
[21]
문서
E. Pankhurst 1914, p. 6. She adds: "It used to puzzle me to understand why I was under such a particular obligation to make home attractive to my brothers. We were on excellent terms of friendship, but it was never suggested to them as a duty that they make home attractive to me."
[22]
문서
Purvis 2002, p. 11; Bartley, pp. 22–23.
[23]
문서
Purvis 2002, p. 20.
[24]
문서
E. Pankhurst 1914, p. 9; Bartley, p. 22; Purvis 2002, p. 12.
[25]
문서
E. Pankhurst 1914, p. 10; E.S. Pankhurst 1931, pp. 54–55; Bartley, pp. 23–25; Purvis 2002, pp. 12–13.
[26]
문서
Purvis 2002, p. 14; Bartley, p. 25; West, pp. 245–246; C. Pankhurst, pp. 17–18.
[27]
문서
E.S. Pankhurst 1931, p. 55.
[28]
문서
E.S. Pankhurst 1931, p. 56.
[29]
문서
Purvis 2002, pp. 15–17; Pugh, pp. 19–24; E.S. Pankhurst 1931, pp. 55–57; C. Pankhurst, pp. 20–22; Bartley, pp. 25–27.
[30]
문서
E. Pankhurst 1914, p. 13.
[31]
문서
Pugh, p. 26; E.S. Pankhurst 1931, pp. 57–58; C. Pankhurst, pp. 24–26; Purvis 2002, pp. 18–25; Bartley, p. 30.
[32]
서적
Women's Suffrage Movemen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3]
문서
E.S. Pankhurst 1931, p. 103.
[34]
문서
E.S. Pankhurst, p. 90.
[35]
문서
Purvis 2002, pp. 29–30; Bartley, pp. 38–39; Pugh, pp. 53–54; E.S. Pankhurst 1931, pp. 94–95.
[36]
인용
[37]
인용
[38]
인용
[39]
인용
[40]
인용
[41]
인용
[42]
인용
[43]
인용
[44]
인용
[45]
인용
[46]
인용
[47]
인용
[48]
인용
[49]
인용
[50]
인용
[51]
인용
[52]
인용
[53]
인용
[54]
인용
[55]
인용
[56]
인용
[57]
인용
[58]
서적
Dissenters, Radicals, Heretics and Blasphemers: The Flame of Revolt that Shines Through English History
Waterside Press
[59]
인용
[60]
인용
[61]
인용
[62]
인용
[63]
인용
[64]
웹사이트
Votes For Wom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7-16
[65]
인용
[66]
인용
[67]
인용
[68]
인용
[69]
인용
[70]
인용
[71]
웹사이트
Emmeline Pankhurst, mother of the vote
https://web.archive.[...]
2023-04-13
[72]
서적
Purvis 2002, pp. 108–109; Bartley, pp. 96–97
[73]
서적
Purvis 2002, pp. 129–135; Bartley, pp. 113–114
[74]
인용
Quoted in Purvis 2002, p. 194
[75]
서적
Purvis 2002, pp. 147, 181
[76]
웹사이트
Watch Inspiring Activist and Protest Speeches : Emmeline Pankhurst, Freedom or Death, 1913 [Women’s suffrage]
https://commonslibra[...]
Commons Librarian
2024-07-08
[77]
서적
Holton 1996, p. 253; Purvis 2002, pp. 135–138
[78]
서적
Oakley 2021, pp. 12–13
[79]
서적
, Purvis 2002, pp. 98–99, 142–153; Bartley, p. 88
[80]
인용
Quoted in Purvis 2002, p. 150
[81]
서적
Purvis 2002, pp. 143–151
[82]
서적
E. Pankhurst 1915, p. 252
[83]
웹사이트
Suffrage Stories: Aileen Preston: Mrs Pankhurst's first 'lady chauffeuse'
https://womanandhers[...]
2021-03-16
[84]
웹사이트
Woman's Hour – Aileen Graham-Jones – BBC Sounds
https://www.bbc.co.u[...]
2021-03-16
[85]
서적
E. Pankhurst, pp. 251–252
[86]
서적
E. Pankhurst 1914, p. 255; Purvis 2002, pp. 179–189, 128–132
[87]
서적
Bartley, pp. 152–156
[88]
뉴스
The Dublin Outrages by Women
Manchester Guardian
1912-07-20
[89]
서적
Purvis 2002, p. 193
[90]
서적
E. Pankhurst 1914, pp. 270–271; Purvis 2002, p. 209; Bartley, p. 146
[91]
논문
Velazquez in London
New Criterion
2007-01
[92]
서적
Pugh, pp. 225–226; Purvis 2002, pp. 190–196
[93]
서적
Purvis 2002, pp. 237–238; Bartley, p. 158
[94]
서적
E. S. Pankhurst 1931, p. 518
[95]
서적
E. S. Pankhurst 1931, p. 517
[96]
인용
Quoted in Purvis 2002, p. 248
[97]
서적
Purvis 2002, pp. 248–249; Pugh, pp. 287–288
[98]
웹사이트
Taking on the Men: the first women parliamentary candidates 1918
http://www.brewinboo[...]
[99]
서적
C. Pankhurst 1959, p. 288
[100]
서적
Purvis 2002, pp. 266–271; Bartley, pp. 183–188; Pugh, pp. 298–301
[101]
인용
Quoted in Pugh, p. 302
[102]
인용
Quoted in Purvis 2002, p. 283
[103]
서적
Purvis 2002, pp. 282–284; Bartley, pp. 187–188
[104]
서적
Bartley, pp. 193–195; Purvis 2002, pp. 278–280
[105]
인용
Quoted in Purvis 2002, p. 279; Pugh, p. 317
[106]
웹사이트
The Suffrage Interviews
https://www.lse.ac.u[...]
2024-06-11
[107]
간행물
[108]
간행물
[109]
간행물
[110]
간행물
[111]
간행물
[112]
간행물
[113]
간행물
[114]
간행물
[115]
간행물
[116]
간행물
[117]
간행물
[118]
간행물
[119]
간행물
[120]
서적
Finding Directions West: Readings that Locate and Dislocate Western Canada's Past
University of Calgary Press
[121]
간행물
[122]
간행물
[123]
간행물
[124]
간행물
[125]
간행물
[126]
간행물
[127]
간행물
[128]
간행물
[129]
간행물
[130]
간행물
[131]
간행물
[132]
간행물
[133]
간행물
[134]
간행물
[135]
간행물
[136]
NHLE
2018-09-17
[137]
뉴스
Suffrage Stories: Save Mrs Pankhurst's Statue: UPDATED 15 SEPTEMBER 2018
https://womanandhers[...]
2018-08-15
[138]
웹사이트
Emmeline Pankhurst will stand her ground outside parliament
https://www.theguard[...]
2018-09-17
[139]
뉴스
Emmeline Pankhurst statue will remain near Parliament after plan to move it is abandoned
https://www.telegrap[...]
2018-09-16
[140]
웹사이트
18/05778/FULL {{!}} Planning – Application Comments: Removal/dismantling of the statue of Emmeline Pankhurst at Victoria Tower gardens and making good the ground on which it stands. [Linked to 18/04572/LBC] {{!}} The Victoria Tower Gardens Millbank London SW1P 3YB
https://idoxpa.westm[...]
2020-02-28
[141]
웹사이트
Stop Suffragette statue being removed from Parliament
https://you.38degree[...]
2018-09-17
[142]
웹사이트
Donald Insall Associates {{!}} Memorial to Emmeline Pankhurst and Christabel Pankhurst, Victoria Tower Gardens page 37
https://web.archive.[...]
2018-08-22
[143]
문서
Bartley, pp. 4–12; Purvis 2002, pp. 1–8
[144]
문서
Bartley, pp. 240–241; Purvis 2002, pp. 361–363
[145]
문서
Bartley, pp. 240–241
[146]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Britons: lots of pop, not so much circumstance
http://www.theguardi[...]
2002-08-22
[147]
웹사이트
Pankhurst, Emmeline (1858–1928) & Pankhurst, Dame Christabel (1880–1958)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1908-12-21
[148]
뉴스
Suffragette Emmeline Pankhurst to get Manchester statue
https://www.bbc.co.u[...]
2016-01-20
[149]
뉴스
Hundreds expected to join march as statue of suffragette leader Emmeline Pankhurst unveiled in Manchester
https://www.manchest[...]
2018-12-14
[150]
웹사이트
Millicent Fawcett statue unveiling: the women and men whose names will be on the plinth
https://inews.co.uk/[...]
iNews
2018-04-24
[151]
웹사이트
House System
http://www.wellacre.[...]
[152]
뉴스
Olympic suffragettes regroup for women's rights march on parliament
https://www.theguard[...]
2012-08-19
[153]
뉴스
Meryl Streep to play British suffragette Emmeline Pankhurst
http://www.latimes.c[...]
2014-02-20
[154]
웹사이트
Suffragettes, violence and militancy
https://www.bl.uk/vo[...]
2018-02-06
[155]
뉴스
Emmeline Pankhurst –Time 100 People of the Century
https://web.archive.[...]
1999-06-14
[156]
문서
Bartley, pp. 4–12; Purvis 2002, pp. 1–8
[157]
문서
Bartley, pp. 240–241; Purvis 2002, pp. 361–363
[158]
문서
E. Pankhurst 1914, p. 38
[159]
서적
To End All Wars
Houghton Mifflin Harcourt, Boston
2011
[160]
문서
Quoted in Purvis 2002, p. 270
[161]
서적
The Illustrated First World War
The Illustrated London News
[162]
웹사이트
White Feather Feminism
http://itech.fgcu.ed[...]
[163]
웹사이트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918
https://web.archive.[...]
[164]
문서
Purvis 2002, p. 248
[165]
웹사이트
Lord Lexden reminds Conservatives that Mrs Pankhurst joined their Party in the 1920s
https://www.alistair[...]
[166]
서적
観光コースでないロンドン イギリス2000年の歴史を歩く
高文研
[167]
문서
Quoted in Bartley, p. 98
[168]
문서
Purvis 2002, pp.65–67; Bartley, pp. 71–82; Pugh, pp. 104–108
[169]
문서
Purvis 2002, pp. 70–73; Bartley, p. 78; Pugh, pp. 124–125
[170]
문서
Purvis 2002, pp. 87–88
[171]
문서
Purvis 2002, pp. 74–75; Bartley, pp. 78–79; E. Pankhurst 1914, p. 48
[172]
문서
Purvis 2002, p. 88; Bartley, p. 84
[173]
문서
Quoted in Bartley, p. 103
[174]
문서
June Purvis, Sandra Stanley Holton (eds.), Votes For Women
https://books.google[...]
[175]
문서
Quoted in Bartley, p. 100
[176]
서적
Bartley, pp. 98–103; Purvis 2002, pp. 129–130
[177]
서적
Purvis 2002, pp. 101–102; Bartley, p. 104–105
[178]
서적
Bartley, pp. 85–88; Purvis 2002, pp. 86–87
[179]
서적
Bartley, pp. 91–93; Purvis 2002, pp. 96–99; Pugh, pp. 165–168
[180]
서적
E. Pankhurst 1914, p. 59
[181]
서적
Purvis 2002, pp. 108–109; Bartley, pp. 96–97
[182]
서적
Purvis 2002, pp. 129–135; Bartley, pp. 113–114
[183]
서적
Quoted in Purvis 2002, p. 194
[184]
서적
Purvis 2002, pp. 147 and 181
[185]
서적
Holton 1996, p. 253; Purvis 2002, pp. 135–138
[186]
서적
Purvis 2002, pp. 98–99 and 142–153; Bartley, p. 88
[187]
서적
Purvis 2002, p. 150
[188]
서적
Purvis 2002, pp. 143–151
[189]
서적
Women's Suffrage Movemen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0]
서적
E. Pankhurst 1915, p. 252
[191]
웹사이트
Suffrage Stories: Aileen Preston: Mrs Pankhurst's first 'lady chauffeuse'
https://womanandhers[...]
2021-03-16
[192]
웹사이트
Woman's Hour – Aileen Graham-Jones – BBC Sounds
https://www.bbc.co.u[...]
2021-03-16
[193]
서적
E. Pankhurst, pp. 251–252
[194]
서적
E. Pankhurst 1914, p. 255
[195]
서적
Purvis 2002, pp. 179–189; 128–132
[196]
서적
Bartley, pp. 152–156
[197]
뉴스
The Dublin Outrages by Women
Manchester Guardian
1912-07-20
[198]
서적
Purvis 2002, p. 193
[199]
서적
E. Pankhurst 1914, pp. 270–271; Purvis 2002, p. 209; Bartley, p. 146
[200]
간행물
Velazquez in London
New Criterion
2007-01
[201]
서적
Pugh, pp. 225–226; Purvis 2002, pp. 190–196
[202]
서적
E. S. Pankhurst 1931, p. 518
[203]
서적
Purvis 2002, pp. 237–238; Bartley, p. 158
[204]
서적
E. S. Pankhurst 1931, p. 517
[205]
서적
Quoted in Purvis 2002, p. 248
[206]
서적
Purvis 2002, pp. 248–249; Pugh, pp. 287–288
[207]
Webarchive
Taking on the Men: the first women parliamentary candidates 1918
http://www.brewinboo[...]
2019-06-29
[208]
서적
Bartley, pp. 202–206; Purvis 2002, pp. 284–286
[209]
서적
Quoted in Purvis 2002, p. 295
[210]
서적
Purvis 2002, pp. 292–295; Bartley, pp. 200–201
[211]
인용
[212]
인용
[213]
인용
[214]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