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로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로속(Veratrum)은 북반구 온대 지역의 산지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의 속으로, 잎은 크고 꽃은 원추 꽃차례를 이룬다. 이 식물은 제르빈, 시클로파민 등 알칼로이드를 포함하여 독성이 있으며, 섭취 시 심부전과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독성 성질을 이용하여 화살에 독을 발랐고, 전통 의학에서는 구토제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대 의학에서는 고혈압 치료 연구가 있었으나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중단되었다. 한국에는 관모박새, 긴잎여로 등 8종 이상이 자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로과 - 실꽃풀속
실꽃풀속은 북아메리카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햇빛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 속으로, 뿌리줄기는 약재로 사용되며 다양한 생리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의학 연구에서 주목받고 있다. - 여로과 - 처녀치마
처녀치마는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습한 곳에서 자라며 꽃이 활짝 핀 모습이 처녀의 치마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며, 이른 봄에 잎 중앙에서 꽃줄기가 나와 연한 홍색에서 자주색으로 변하는 꽃이 핀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여로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Veratrum L. |
| 명명자 | L. 1753 |
| 이명 | Melanthium J.Clayton ex L. Helleborus Gueldenst. 1791, 비합법적 동음이의어, L. 1753 (미나리아재비과) Leimanthium Willd. Anepsa Raf. Evonyxis Raf. Acelidanthus Trautv. & C.A.Mey. |
| 하위 분류 | |
| 종 | 본문 참조 |
2. 어원
여로속(''Veratrum'')은 기원이 불확실한 "헬레보어"의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아나톨리 리버만은 여로속(''Veratrum'')의 재구성된 원시 슬라브어 용어인 "*čemerъ"가 고대 시대에 독으로 사용되었던 식물인 독미나리를 뜻하는 영어 단어 hemlock와 아마도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믿고 있다.
여로속(''Veratrum'')은 북반구의 온대 지역의 산지 서식지에 널리 분포하며, 햇빛이 잘 들고 깊고 습한 토양을 선호한다. 습한 산지 초원, 늪지, 하천변에서 흔히 발견된다. 산지의 숲속이나 습한 풀밭에 자라는 굵은 근경이 있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기본적으로 대형이며, 세로 주름이 있고, 잎의 기부는 잎집 모양으로 줄기를 감싼다.
여로속(''Veratrum'') 식물은 일부 나비목 종 유충과 검은띠밤나방의 먹이 식물로 사용된다. 산지의 숲속이나 습한 풀밭에서 자라는 굵은 근경이 있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기본적으로 대형이며, 세로 주름이 있고, 잎의 기부는 잎집 모양으로 줄기를 감싼다.
여로속 식물은 스테로이드 알칼로이드(예: 베라트리딘)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나트륨 이온 채널을 활성화시켜 섭취 시 급격한 심부전과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9] 2-데옥시제르빈 또한 이 식물에서 발견되며 전뇌두증과 외눈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이 식물의 모든 부분은 독성이 있으며, 뿌리와 뿌리줄기가 가장 독성이 강하다.[9]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바람꽃속'' 식물의 기형 발생 성질을 잘 알고 있었으며, 뿌리를 짜내어 얻은 즙을 전투 전에 화살에 발라 독으로 사용했다. 뿌리는 말려서 가루로 만들어 살충제로도 사용했다.[11] 서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은 이 식물을 약용으로 사용하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 식물의 겨울에 수확한 뿌리를 소량 세이지 (''Salvia dorii'')와 혼합하여 효과를 증강시키고 약초의 독성을 줄였다.[11]
3. 분포 및 서식지
꽃은 줄기 끝에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양성 또는 단성이다. 꽃덮이 조각은 6개이며, 흰색, 연두색, 녹색, 때로는 짙은 자갈색을 띠는 것도 있다. 수술은 6개이며, 암술은 3개이다. 열매는 삭과가 된다. 본 속의 많은 종류가 제르빈, 시클로파민 등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유독 식물이다.
일본에는 2-3종, 북반구 온대 지역에 약 50종이 알려져 있다.
4. 생태
꽃은 줄기 끝에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양성 또는 단성이다. 꽃덮이 조각은 6개이며, 흰색, 연두색, 녹색, 때로는 짙은 자갈색을 띠는 것도 있다. 수술은 6개이며, 암술은 3개이다. 열매는 삭과가 된다. 본 속의 많은 종류가 제르빈, 시클로파민 등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유독 식물이다.
일본에는 2-3종, 북반구 온대 지역에 약 50종이 알려져 있다.
5. 독성
섭취 시 증상은 일반적으로 30분에서 4시간 사이에 나타나며, 메스꺼움, 구토, 복통, 무감각, 두통, 발한, 근육 쇠약, 서맥, 저혈압, 심장 부정맥, 발작 등이 포함된다.[9] 중독 치료에는 활성탄을 이용한 위장관 해독과 함께 지속적인 메스꺼움과 구토에 대한 항구토제, 서맥 치료를 위한 아트로핀, 저혈압 치료를 위한 수액 보충 및 혈관 수축제를 포함한 보조 치료가 포함된다.[9]
독성 알칼로이드는 활발한 성장 기간 동안에만 생성되며, 겨울 동안 분해되고 대사된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휴면 기간 동안 약용으로 뿌리를 채취했다. 여로속의 많은 종류가 제르빈, 시클로파민 등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유독 식물이다.
6. 이용
6. 1. 전통 의학
자리공 식물은 서양 약초학과 전통 중의학에서 독성 약초로 알려져 있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12] 중약재(藜蘆, 'Li lu') 중 하나로, 다른 약재와 상극이라고 중국 약초 서적에 언급되어 있다.[12] 특히, 인삼, 삼칠삼 및 해삼은 독성 효과를 생성하거나 악화시킨다.[12]
''V. nigrum'' 및 ''V. schindleri''의 뿌리는 중국 약초학에서 사용되었으며, 'li lu'로 알려져 있다.[12] 'Li lu'는 강력한 구토제로 최후의 수단으로 내부적으로 사용되며, 외부 기생충을 죽이고, 백선 및 옴을 치료하며, 가려움을 멈추기 위해 국소적으로 사용된다.[12] 일부 약초학자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복용량을 준비하는 것이 극도로 어렵고, 600밀리그램의 적은 복용량으로도 사망자가 발생했기 때문에 'li lu'를 내부적으로 처방하는 것을 거부한다.[12]
6. 2. 현대 의학 연구
1930년대에 여로속 추출물이 인간의 고혈압 치료에 연구되었다.[9] 초기 결과는 유망했지만, 이들 제품의 좁은 치료 지수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부작용을 겪었다.[9] 독성 및 다른 덜 유독한 약물의 가용성으로 인해, 인간의 고혈압 치료제로 여로속 사용은 중단되었다.[9]
6. 3. 한의학
자리공 식물은 서양 약초학과 전통 중의학에서 극도로 주의하여 사용해야 하는 독성 약초로 알려져 있다.[12] 중약재(藜蘆, 'Li lu') 중 하나로, 그 효능 증강 효과 때문에 다른 많은 일반적인 약재와 상극이라고 중국 약초 서적에 언급되어 있다.[12] 특히, 많은 뿌리(및 뿌리 모양) 약초, 특히 인삼, 삼칠삼 및 해삼은 독성 효과를 생성하거나 악화시킨다.[12]
V. nigrum 및 ''V. schindleri''의 뿌리는 중국 약초학에서 사용되었으며, 이 속의 식물은 'li lu'로 알려져 있다.[12] 'Li lu'는 강력한 구토제로 최후의 수단으로 내부적으로 사용되며, 외부 기생충을 죽이고, 백선 및 옴을 치료하며, 가려움을 멈추기 위해 국소적으로 사용된다.[12] 일부 약초학자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복용량을 준비하는 것이 극도로 어렵고, 600밀리그램의 적은 복용량으로도 사망자가 발생했기 때문에 'li lu'를 내부적으로 처방하는 것을 거부한다.[12]
7. 하위 종
; 한국 자생종
관모박새 ''V. alpestre'' Nakai가 한국에 자생한다.[3]
긴잎여로(붉은여로, 삼수여로) ''V. maackii'' Regel가 한국에 자생한다.[3]
여로 ''V. maackii'' var. ''japonicum'' (Baker) T.Shimizu가 한국에 자생한다.[3]
파란여로(한라여로) ''V. maackii'' var. ''parviflorum'' (Maxim. ex Miq.) H.Hara가 한국에 자생한다.[3]
박새 ''V. oxysepalum'' Turcz.가 한국에 자생한다.[3]
참여로 ''V. nigrum'' L.가 한국에 자생한다. [3]
푸른박새 ''V. dolichopetalum'' O.Loes.가 한국에 자생한다.[3]
흰여로 ''V. versicolor'' Nakai가 한국에 자생한다.[3]
다후리여로 ''V. dahuricum'' 도 한국에 자생한다. [3]
흑여로 ''V. nigrum''는 유라시아 (프랑스 ~ 대한민국)에 분포한다. [3]
; 기타 주요 종
관모박새 ''V. alpestre'' Nakai[3]
긴잎여로(붉은여로, 삼수여로) ''V. maackii'' Regel[3]
여로 ''V. maackii'' var. ''japonicum'' (Baker) T.Shimizu[3]
파란여로(한라여로) ''V. maackii'' var. ''parviflorum'' (Maxim. ex Miq.) H.Hara[3]
박새 ''V. oxysepalum'' Turcz.[3]
참여로 ''V. nigrum'' L.[3]
캘리포니아박새 ''V. californicum'' Durand[3]
- ''V. californicum'' var. ''caudatum'' (A.Heller) C.L.Hitchc.
푸른박새 ''V. dolichopetalum'' O.Loes.[3]
흰여로 ''V. versicolor'' Nakai[3]
''V. albiflorum'' Tolm.[3]
''V. album'' L.[3]
''V. anticleoides'' (Trautv. & C.A.Mey.) Takeda & Miyake[3]
''V. chiengdaoense'' K.Larsen[3]
''V. dahuricum'' (Turcz.) O.Loes.[3]
''V. fimbriatum'' A.Gray[3]
''V. formosanum'' O.Loes.[3]
''V. grandiflorum'' (Maxim. ex Miq.) O.Loes.[3]
''V. insolitum'' Jeps.[3]
''V. lobelianum'' Bernh.[3]
''V. longibracteatum'' Takeda[3]
''V. mengtzeanum'' O.Loes.[3]
''V. micranthum'' F.T.Wang & Tang[3]
''V. oblongum'' O.Loes.[3]
''V. schindleri'' O.Loes.[3]
''V. shanense'' W.W.Sm.[3]
''V. stamineum'' Maxim.[3]
''V. taliense'' O.Loes.[3]
''V.'' × ''tonussii'' Poldini[3]
''V. viride'' Aiton[3]
- ''V. viride'' var. ''eschscholtzianum'' (Schult. & Schult.f.) Breitung
흰여로(''Veratrum albiflorum'')는 러시아 극동에 분포한다.[3]
알프스여로(''Veratrum album'')는 유럽, 시베리아, 코카서스, 터키에 분포한다.[3]
알프스여로(''Veratrum alpestre'')는 연해주, 대한민국, 일본에 분포한다.[3]
''Veratrum anticleoides''는 러시아 극동에 분포한다.[3]
캘리포니아여로(''Veratrum californicum'')는 미국 서부, 멕시코 (치와와, 두랑고 주)에 분포한다.[3]
다후리여로(''Veratrum dahuricum'')는 시베리아, 러시아 극동, 대한민국, 중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dolichopetalum''는 러시아 극동, 대한민국, 중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fimbriatum''는 캘리포니아 (소노마 + 멘도치노)에 분포한다.[3]
타이완여로(''Veratrum formosanum'')는 타이완에 분포한다.[3]
큰여로(''Veratrum grandiflorum'')는 중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hybridum''(동의어 ''V. latifolium)'')는 미국 동부에 분포한다.[3]
''Veratrum insolitum''는 워싱턴, 오리건, 캘리포니아에 분포한다.[3]
''Veratrum lobelianum''는 러시아, 몽골, 신장, 중앙아시아, 코카서스에 분포한다.[3]
''Veratrum longibracteatum''는 혼슈에 분포한다.[3]
참여로(''Veratrum maackii'')는 러시아 극동, 중국, 대한민국, 일본에 분포한다.[3]
''Veratrum mengtzeanum''는 중국, 태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micranthum''는 쓰촨, 윈난에 분포한다.[3]
흑여로(''Veratrum nigrum'')는 유라시아 (프랑스 ~ 대한민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oblongum''는 쓰촨, 후베이, 장시에 분포한다.[3]
''Veratrum oxysepalum''는 러시아 아시아 지역, 중국, 대한민국, 일본, 알래스카에 분포한다.[3]
''Veratrum parviflorum''는 미국 동부의 남부 애팔래치아 산맥에 분포한다.[3]
''Veratrum schindleri''는 중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shanense''는 중국, 미얀마에 분포한다.[3]
''Veratrum stamineum''는 일본에 분포한다.[3]
''Veratrum taliense''는 쓰촨, 윈난에 분포한다.[3]
''Veratrum × tonussii'는 이탈리아에 분포한다.[3]
''Veratrum versicolor''는 대한민국, 중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virginicum''는 미국 중부 및 동부에 분포한다.[3]
''Veratrum viride''는 북동부 및 북서부 북아메리카 (중앙 지역 제외)에 분포한다.[3]
''Veratrum woodii''는 미국 남중부에 분포한다.[3]
바이케이소우 ''Veratrum album'' L. subsp. ''oxysepalum'' (Turcz.) Hultén[3]
- 미야마바이케이소우 ''Veratrum alpestre'' Nakai
- 코시지바이케이소우 ''Veratrum nipponicum'' Nakai
호소바슈로소우 ''Veratrum maackii'' Regel var. ''maackii''[3]
- 슈로소우 (오오슈로소우) ''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Baker) T.Shimizu
- * 무라사키타카네아오야기소우 ''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Baker) T.Shimizu f. ''atropurpureum'' (Honda) T.Shimizu
- 타카네아오야기소우 ''Veratrum maackii'' Regel var. ''longibracteatum'' (Takeda) H.Hara
- 아오야기소우 ''Veratrum maackii'' Regel var. ''parviflorum'' (Maxim. ex Miq.) H.Hara
코바이케이소우 ''Veratrum stamineum'' Maxim.[3]
- 우라게코바이케이 ''Veratrum stamineum'' Maxim. var. ''lasiophyllum'' Nakai
- 미카와바이케이소우 ''Veratrum stamineum'' Maxim. var. ''micranthum'' Satake
7. 1. 한국 자생종
관모박새 ''V. alpestre'' Nakai가 한국에 자생한다.[3]긴잎여로(붉은여로, 삼수여로) ''V. maackii'' Regel가 한국에 자생한다.[3]
여로 ''V. maackii'' var. ''japonicum'' (Baker) T.Shimizu가 한국에 자생한다.[3]
파란여로(한라여로) ''V. maackii'' var. ''parviflorum'' (Maxim. ex Miq.) H.Hara가 한국에 자생한다.[3]
박새 ''V. oxysepalum'' Turcz.가 한국에 자생한다.[3]
참여로 ''V. nigrum'' L.가 한국에 자생한다. [3]
푸른박새 ''V. dolichopetalum'' O.Loes.가 한국에 자생한다.[3]
흰여로 ''V. versicolor'' Nakai가 한국에 자생한다.[3]
다후리여로 ''V. dahuricum'' 도 한국에 자생한다. [3]
흑여로 ''V. nigrum''는 유라시아 (프랑스 ~ 대한민국)에 분포한다. [3]
7. 2. 기타 주요 종
관모박새 ''V. alpestre'' Nakai[3]긴잎여로(붉은여로, 삼수여로) ''V. maackii'' Regel[3]
여로 ''V. maackii'' var. ''japonicum'' (Baker) T.Shimizu[3]
파란여로(한라여로) ''V. maackii'' var. ''parviflorum'' (Maxim. ex Miq.) H.Hara[3]
박새 ''V. oxysepalum'' Turcz.[3]
참여로 ''V. nigrum'' L.[3]
캘리포니아박새 ''V. californicum'' Durand[3]
- ''V. californicum'' var. ''caudatum'' (A.Heller) C.L.Hitchc.
푸른박새 ''V. dolichopetalum'' O.Loes.[3]
흰여로 ''V. versicolor'' Nakai[3]
''V. albiflorum'' Tolm.[3]
''V. album'' L.[3]
''V. anticleoides'' (Trautv. & C.A.Mey.) Takeda & Miyake[3]
''V. chiengdaoense'' K.Larsen[3]
''V. dahuricum'' (Turcz.) O.Loes.[3]
''V. fimbriatum'' A.Gray[3]
''V. formosanum'' O.Loes.[3]
''V. grandiflorum'' (Maxim. ex Miq.) O.Loes.[3]
''V. insolitum'' Jeps.[3]
''V. lobelianum'' Bernh.[3]
''V. longibracteatum'' Takeda[3]
''V. mengtzeanum'' O.Loes.[3]
''V. micranthum'' F.T.Wang & Tang[3]
''V. oblongum'' O.Loes.[3]
''V. schindleri'' O.Loes.[3]
''V. shanense'' W.W.Sm.[3]
''V. stamineum'' Maxim.[3]
''V. taliense'' O.Loes.[3]
''V.'' × ''tonussii'' Poldini[3]
''V. viride'' Aiton[3]
- ''V. viride'' var. ''eschscholtzianum'' (Schult. & Schult.f.) Breitung
흰여로(''Veratrum albiflorum'')는 러시아 극동에 분포한다.[3]
알프스여로(''Veratrum album'')는 유럽, 시베리아, 코카서스, 터키에 분포한다.[3]
알프스여로(''Veratrum alpestre'')는 연해주, 대한민국, 일본에 분포한다.[3]
''Veratrum anticleoides''는 러시아 극동에 분포한다.[3]
캘리포니아여로(''Veratrum californicum'')는 미국 서부, 멕시코 (치와와, 두랑고 주)에 분포한다.[3]
다후리여로(''Veratrum dahuricum'')는 시베리아, 러시아 극동, 대한민국, 중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dolichopetalum''는 러시아 극동, 대한민국, 중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fimbriatum''는 캘리포니아 (소노마 + 멘도치노)에 분포한다.[3]
타이완여로(''Veratrum formosanum'')는 타이완에 분포한다.[3]
큰여로(''Veratrum grandiflorum'')는 중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hybridum''(동의어 ''V. latifolium)'')는 미국 동부에 분포한다.[3]
''Veratrum insolitum''는 워싱턴, 오리건, 캘리포니아에 분포한다.[3]
''Veratrum lobelianum''는 러시아, 몽골, 신장, 중앙아시아, 코카서스에 분포한다.[3]
''Veratrum longibracteatum''는 혼슈에 분포한다.[3]
참여로(''Veratrum maackii'')는 러시아 극동, 중국, 대한민국, 일본에 분포한다.[3]
''Veratrum mengtzeanum''는 중국, 태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micranthum''는 쓰촨, 윈난에 분포한다.[3]
흑여로(''Veratrum nigrum'')는 유라시아 (프랑스 ~ 대한민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oblongum''는 쓰촨, 후베이, 장시에 분포한다.[3]
''Veratrum oxysepalum''는 러시아 아시아 지역, 중국, 대한민국, 일본, 알래스카에 분포한다.[3]
''Veratrum parviflorum''는 미국 동부의 남부 애팔래치아 산맥에 분포한다.[3]
''Veratrum schindleri''는 중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shanense''는 중국, 미얀마에 분포한다.[3]
''Veratrum stamineum''는 일본에 분포한다.[3]
''Veratrum taliense''는 쓰촨, 윈난에 분포한다.[3]
''Veratrum × tonussii'는 이탈리아에 분포한다.[3]
''Veratrum versicolor''는 대한민국, 중국에 분포한다.[3]
''Veratrum virginicum''는 미국 중부 및 동부에 분포한다.[3]
''Veratrum viride''는 북동부 및 북서부 북아메리카 (중앙 지역 제외)에 분포한다.[3]
''Veratrum woodii''는 미국 남중부에 분포한다.[3]
바이케이소우 ''Veratrum album'' L. subsp. ''oxysepalum'' (Turcz.) Hultén[3]
- 미야마바이케이소우 ''Veratrum alpestre'' Nakai
- 코시지바이케이소우 ''Veratrum nipponicum'' Nakai
호소바슈로소우 ''Veratrum maackii'' Regel var. ''maackii''[3]
- 슈로소우 (오오슈로소우) ''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Baker) T.Shimizu
- * 무라사키타카네아오야기소우 ''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Baker) T.Shimizu f. ''atropurpureum'' (Honda) T.Shimizu
- 타카네아오야기소우 ''Veratrum maackii'' Regel var. ''longibracteatum'' (Takeda) H.Hara
- 아오야기소우 ''Veratrum maackii'' Regel var. ''parviflorum'' (Maxim. ex Miq.) H.Hara
코바이케이소우 ''Veratrum stamineum'' Maxim.[3]
- 우라게코바이케이 ''Veratrum stamineum'' Maxim. var. ''lasiophyllum'' Nakai
- 미카와바이케이소우 ''Veratrum stamineum'' Maxim. var. ''micranthum'' Satake
참조
[1]
문서
1897 illustration from Franz Eugen Köhler, Köhler's Medizinal-Pflanzen
[2]
웹사이트
Tropicos, Veratrum L.
http://www.tropicos.[...]
[3]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4]
웹사이트
Flora of North America, Vol. 26 Page 72, False hellebore, skunk-cabbage, corn-lily, vérâtre, varaire, Veratrum Linnaeus, Sp. Pl. 2: 1044. 1753; Gen. Pl. ed. 5: 468. 1754.
http://www.efloras.o[...]
[5]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4 Page 82 藜芦属 li lu shu Veratrum Linnaeus, Sp. Pl. 2: 1044. 1753.
http://www.efloras.o[...]
[6]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genere Veratrum
http://luirig.alterv[...]
[7]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3 county distribution maps
http://bonap.net/NAP[...]
[8]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9]
논문
Veratrum poisoning
[10]
웹사이트
Teratology Society
http://www.teratolog[...]
[11]
서적
Edible and Medicinal plants of the West
[12]
서적
Materia Medica
Eastland Press
[13]
문서
Species Plantarum
http://www.biodivers[...]
[14]
논문
An Overview of Veratrum s.l. (Liliales: Melanthiaceae) and an Infrageneric Phylogeny Based on ITS Sequence D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