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보크는 지부티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홍해에 면해 있다. 이 도시는 역사적으로 프랑스의 식민지였으며, 1862년 프랑스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프랑스 식민지였다. 오보크는 한때 프랑스령 소말리아의 수도였으나, 지부티로 이전되었다. 현재 오보크는 RN-14 국도를 통해 지부티 시와 연결되며, 페리와 공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2024년 기준 인구는 20,152명이며, 아파르족과 이사족이 주로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부티의 도시 - 디킬
    디킬은 지부티 북부 에티오피아 국경 근처의 도시이자 주로, 아파르족과 이사족의 마을에서 시작되어 프랑스령 소말릴란드 시대 요새가 건설되었고, 지부티 독립 후 주가 되었으며, 농업, 교역, 산악 지형, 사막 기후를 특징으로 하고 선사시대 유적이 발견된 역사 깊은 지역이다.
  • 지부티의 도시 - 아르타 (지부티)
    지부티에 위치한 아르타는 해발 755m 고원에 자리 잡고 아르타 산맥이 보이는 도시로, 중세 시대 술탄국의 지배를 거쳐 프랑스 소말리랜드 시대에 발전했으며, 2000년 소말리아 평화 회담 개최지였고, 현재는 이사 소말리아인이 주를 이루며 그리스, 에티오피아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아덴만 - 아프리카의 뿔
    아프리카의 뿔은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의 반도로, 건조한 기후와 고산지대가 특징이며, 인류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등의 국가들이 위치해 다양한 문화와 생태계를 지니고 있지만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덴만 - 아덴만 여명 작전
    아덴만 여명 작전은 2011년 1월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 주얼리호 선원 21명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교전 끝에 해적 사살 및 생포에 성공했으나, 석해균 선장이 중상을 입었고 엠바고 위반, 부상 경위 의혹, 과도한 홍보 논란 등이 있었다.
오보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Obock, Djibouti (2010년)
공식 명칭Obock
현지 명칭Hayyú (아파르어), أوبوك (아랍어)
기타 명칭オボック (일본어), أوبوك (아랍어), Obock (프랑스어)
유형도시
지리
위치지부티 내 위치, 아프리카의 뿔 내 위치, 아프리카 내 위치
좌표11°58′N 43°17′E
면적6 km²
해발 고도13 m
행정 구역
국가지부티
지역오보크 주
인구 통계
전체 인구20,152명 (2024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동아프리카 시간
UTC 오프셋+3
기타 정보
우편 번호 유형해당 없음
지역 코드해당 없음
웹사이트해당 없음

2. 역사

오보크는 다르이 와디 근처 달라-흐 후굽의 고원에 건설된 어촌으로 시작되었으며, 일부 가옥은 진흙과 돌, 다보이타로 지어졌다. 주민 대부분은 가축 사육, 어업, 상업으로 생계를 유지했으며 식수를 위해 우물을 사용했다.[1] 중세 시대에는 이파트 술탄국과 아달 술탄국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라헤이타의 술탄은 아달 술탄국에서 등장했다. 1554년부터 형식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지만, 1821년과 1841년 사이에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 파샤가 예멘과 현대 에리트레아를 장악하고 하라르까지 에티오피아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1]

1862년 3월 11일, 프랑스와 현지 아파르족 족장 사이에 계약이 체결되어 오보크에 최초의 프랑스 조차지가 탄생했다.[19] 그러나 프랑스는 오보크를 실질적으로 활용하지 않았고, 1880년대에 들어 수에즈 운하 개통과 영국의 영향력 확대로 인해 홍해 정책을 변경해야 했다.[18]

아프리카 분할 시기, 수에즈 운하 개통(1869년)으로 이 지역에 대한 프랑스의 관심이 커졌다. 1883년에서 1887년 사이에 프랑스는 소말리아인과 아파르족 술탄과 조약을 체결하여 타주라만까지 보호령을 확장했다.[3] 1884년 8월 레옹 라가르드가 도착하여 행정부를 설립하고 오보크를 수도로 하는 영토를 형성했다. 1885년까지 오보크에는 800명의 주민과 학교가 있었지만, 지부티보다 항구로서 불리하여 1894년 식민 행정부가 지부티로 이전하면서 오보크의 인구는 감소했다.[5]

1896년 프랑스령 소말리아가 확립되었을 당시 수도는 지부티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프랑스영국에 선전 포고를 한 후, 프랑스령 소말리아는 봉쇄되었고, 기근이 발생했다. 오보크는 1941년부터 1943년까지 연합군의 봉쇄 동안 식민지를 재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지구의 수도가 되었다. 1942년 12월, 크리스티앙 레이몽 뒤퐁의 항복으로 프랑스령 소말리아는 자유 프랑스에 의해 해방되었다.

1977년 5월 8일 실시된 국민 투표에서 유권자의 98.8%가 프랑스로부터의 독립을 지지하여 지부티가 독립했다.

2. 1. 프랑스령 소말릴란드 성립 이전

오보크는 원래 다르이 와디 근처 달라-흐 후굽의 고원에 건설된 어촌이었으며, 일부 가옥은 진흙과 돌, 다보이타로 지어졌다. 주민 대부분은 가축 사육, 어업, 상업으로 생계를 유지했으며 식수를 위해 우물을 사용했다.[1] 중세 시대 동안 오보크는 이파트 술탄국의 지배를 받았고, 그 후 아달 술탄국의 지배를 받았다. 라헤이타의 술탄은 아달 술탄국에서 등장했다. 1554년부터 형식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지만, 1821년과 1841년 사이에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 파샤가 예멘과 현대 에리트레아를 장악하게 되었고, 하라르까지 에티오피아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1] 1884년, 프랑스 선박인 순찰 슬루프 L'Inferent의 사령관은 오보크 주변 지역에서 이집트의 존재를 확인했다. 순찰 슬루프 Le Vaudreuil의 사령관 또한 이집트가 오보크와 타주라 사이의 내륙을 점령하고 있다고 보고했다.[2] 그러나 실제로는 이집트가 내륙에 대한 권한이 거의 없었고, 해안에서의 통치 기간은 짧았으며, 1862년 이집트 수비대가 이 지역에서 철수하기 전까지 불과 몇 년밖에 지속되지 않았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해상 패권을 장악하는 데 성공한 대영 제국수에즈 운하 개통 (1869년)을 앞두고 아덴 (1839년), 페림 섬 (1854년), 소코트라 섬 (1859년) 등 홍해에서 바브엘만데브 해협, 아덴만을 거쳐 아라비아해로 통하는 항로의 요충지를 잇따라 점령했다.[17] 프랑스가 동아프리카 진출에 관심을 보인 것은 에티오피아와의 통상의 장래성을 알베르 로슈가 나폴레옹 3세에게 호소하여 그 주의를 끄는 데 성공한 1857년이 되어서였다.[18]

이를 계기로 아덴 주재 프랑스 대사 앙리 랑베르가 오보크 항 확보에 나섰지만, 2년 뒤 암살당하면서 계획은 좌절되었다. 프랑스가 다시 이 지역의 거점 확보에 나선 것은 군대가 1861년코친차이나 방면으로 진출을 시작한 이후였다.[18] 1862년 3월 11일, 프랑스 외무부 장관과 현지 아파르족 족장 사이에 계약이 체결되어 오보크에 최초의 프랑스 조차지가 탄생했다.[19] 계약 금액은 약 1만 타라였다.[17] 그러나 프랑스는 오보크를 단 한 명의 현지인에게 지키게 하는 정도에 그치고 실용화를 추진하지 않아, 여전히 아덴 경유 무역을 하고 있었다. 프랑스가 이러한 소극적인 홍해 정책의 변경을 불가피하게 된 것은 1880년대에 들어서였다.[18] 프랑스군이 통킹으로의 침공을 강화하려던 중, 청불 관계에서의 중립을 지킨다는 명목으로 아덴 항에서 프랑스 선박에 대한 석탄 공급이 거부되는 사건이 1883년에 발생했다.[17] 또한, 마흐디 전쟁 전후로 대영 제국은 이집트 정부와 깊이 관여하게 되었고, 동아프리카에서 프랑스를 포함한 열강과의 경쟁 자세를 강화했다.[18] 이때 오보크에 부임한 24세의 젊은 사령관 레옹스 라가르드는 현지의 참상을 안타까워하며, 본국으로부터의 경제적 지원 강화를 이끌어내 식민지 개혁을 실행했다.

2. 2. 프랑스령 소말릴란드

아프리카 분할 동안, 이집트에서 영국이 활동하고 1869년 수에즈 운하가 개통되면서 이 지역에 대한 프랑스의 관심이 커졌다. 1883년에서 1887년 사이에 프랑스는 소말리아인과 아파르족 술탄과 다양한 조약을 체결하여 타주라만을 포함하도록 보호령을 확장했다.[3] 1862년 3월 11일, 현지 아파르족 통치자와의 조약을 통해 오보크는 이 지역 최초의 프랑스 식민지가 되었다.[4] 프랑스는 증기선을 위한 석탄 공급소를 갖는 데 관심이 있었으며, 이는 수에즈 운하 개통과 함께 특히 중요해졌다.

1880년대 중반 프랑스 상인 정착지와 석탄 저장소


1884년 8월 레옹 라가르드가 도착하여 행정부를 설립하고 타주라만에서 프랑스의 소유를 확장하여 오보크를 수도로 하는 오보크와 부속 건물의 영토를 형성하면서 진정한 식민지가 되었다. 1885년까지 오보크에는 800명의 주민과 학교가 있었다. 그러나 정박지는 타주라만 남쪽에 있는 지부티보다 더 노출되었고, 1894년 식민 행정부가 그곳으로 이전하면서 오보크의 인구는 감소했다.[5]

1920년 오보크 파노라마


1927년까지 오보크는 타주라만 북쪽 해안에서 식민 행정 사무소가 있는 유일한 곳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프랑스영국에 대한 선전 포고는 1940년 6월 10일에 있었고, 6월 18일부터 약간의 공세가 시작되었다. 7월 10일, 비시 정부필리프 페탱 대통령은 가에탕 제르맹 장군을 그의 개인 대표로 파견하여 상황을 바로잡았다.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의 데벨레에서 휴전의 현지 이행에 대한 협상은 8월 8일에야 최종적으로 완료되었다. 그 무렵, 이탈리아에 대한 영국의 공세는 프랑스령 소말리아에 대한 봉쇄를 강화했고, 기근이 시작되어 영양실조 관련 질병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그중 70%가 여성과 어린이였다. 현지인들은 봉쇄를 카르미라고 불렀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를 위해 예약된 수수의 일종이지만, 기근이 심했을 때 인간의 음식으로 사용되었다. 오보크는 1941년부터 1943년까지 연합군의 봉쇄 동안 식민지를 재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지구의 수도가 되었다. 일본의 선전 포고 (1941년 12월 7일)로 인해 영국이 봉쇄에서 단 두 척의 선박을 제외한 모든 선박을 철수해야 했기 때문에 식민지는 잠시 숨을 돌릴 수 있었다. 동아프리카 사령관인 윌리엄 플랫은 프랑스령 소말리아의 항복에 대한 협상을 "펜타곤"이라는 암호명으로 지정했다. 크리스티앙 레이몽 뒤퐁은 항복했고, 레이날 대령의 군대는 1942년 12월 26일 프랑스령 소말리아로 다시 건너가 해방을 완료했다. 공식적인 인계는 12월 28일 오후 10시에 이루어졌다. 자유 프랑스 하에서 임명된 최초의 총독은 앙드레 바야르델이었다. 프랑스령 소말리아의 지역 대대가 1944년 파리 해방에 참여했다. 1963년 오보크 지구는 타주라 지역을 분할하여 만들어졌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해상 패권을 장악하는 데 성공한 대영 제국수에즈 운하 개통 (1869년)을 앞두고 아덴 (1839년), 페림 섬 (1854년), 소코트라 섬 (1859년) 등 홍해에서 바브엘만데브 해협, 아덴만을 거쳐 아라비아해로 통하는 항로의 요충지를 잇따라 점령했다.[17] 프랑스가 동아프리카 진출에 관심을 보인 것은 1857년이었다.[18]

1862년 3월 11일, 프랑스 외무부 장관과 현지 아파르족 족장 사이에 계약이 체결되어 오보크에 최초의 프랑스 조차지가 탄생했다.[19] 계약 금액은 약 1만 타라였다.[17] 그러나 프랑스는 오보크를 단 한 명의 현지인에게 지키게 하는 정도에 그치고 실용화를 추진하지 않았다. 프랑스가 이러한 소극적인 홍해 정책의 변경을 불가피하게 된 것은 1880년대에 들어서였다.[18] 프랑스군이 통킹으로의 침공을 강화하려던 중, 1883년에 아덴 항에서 프랑스 선박에 대한 석탄 공급이 거부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7] 또한, 마흐디 전쟁 전후로 대영 제국은 이집트 정부와 깊이 관여하게 되었고, 동아프리카에서 프랑스를 포함한 열강과의 경쟁 자세를 강화했다.[18] 이때 오보크에 부임한 레옹스 라가르드는 현지의 참상을 안타까워하며, 본국으로부터의 경제적 지원 강화를 이끌어내 식민지 개혁을 실행했다.

1894년에 발행된 우표


1884년부터 1888년까지 라가르드는 후에 에티오피아 제국의 황제가 되는 메넬리크 2세와의 관계를 구축하여 타주라 만에 면한 지부티의 토지를 획득하는 데 성공한다. 이후, 지리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던 오보크는 점차 그 역할을 지부티에 빼앗겨 1892년에는 완전히 주요 항구의 자리를 지부티에 넘겨주게 되었다. 1896년 프랑스령 소말리아가 확립되었을 당시 수도 지부티의 인구는 5,000명을 헤아렸다.[18]

식민지 시대에 오보크에서는 자체적으로 우표를 발행했다. 또한, 학교가 1개 운영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아프리카 분할 동안, 이집트에서 영국이 활동하고 1869년 수에즈 운하가 개통되면서 이 지역에 대한 프랑스의 관심이 커졌다. 1883년에서 1887년 사이에 프랑스는 소말리아인과 아파르족 술탄과 다양한 조약을 체결하여 타주라만을 포함하도록 보호령을 확장할 수 있었다.[3] 오보크는 1862년 3월 11일 현지 아파르족 통치자와의 조약을 통해 설립된 이 지역 최초의 프랑스 식민지였다.[4] 프랑스는 증기선을 위한 석탄 공급소를 갖는 데 관심이 있었으며, 이는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과 함께 특히 중요해졌다.[4]

1884년 8월 레옹 라가르드가 도착하여 행정부를 설립하고 타주라만에서 프랑스의 소유를 확장하여 오보크를 수도로 하는 오보크와 부속 건물의 영토를 형성하면서 진정한 식민지가 되었다. 1885년까지 오보크에는 800명의 주민과 학교가 있었다. 그러나 정박지는 타주라만 남쪽에 있는 지부티보다 더 노출되었고, 1894년 식민 행정부가 그곳으로 이전했다. 그 후 오보크의 인구는 감소했다.[5]

1927년까지 오보크는 타주라만 북쪽 해안에서 식민 행정 사무소가 있는 유일한 곳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프랑스영국에 선전 포고를 한 후, 프랑스령 소말리아에 대한 봉쇄가 강화되었다. 기근이 시작되었고 영양실조 관련 질병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그중 70%가 여성과 어린이였다. 오보크는 1941년부터 1943년까지 연합군의 봉쇄 동안 식민지를 재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지구의 수도가 되었다. 크리스티앙 레이몽 뒤퐁은 항복했고, 레이날 대령의 군대는 1942년 12월 26일 프랑스령 소말리아로 다시 건너가 해방을 완료했다. 공식적인 인계는 12월 28일 오후 10시에 이루어졌다. 자유 프랑스 하에서 임명된 최초의 총독은 앙드레 바야르델이었다. 프랑스령 소말리아의 지역 대대가 1944년 파리 해방에 참여했다. 1963년 오보크 지구는 타주라 지역을 분할하여 만들어졌다.

2. 4. 지부티 독립

1977년 5월 8일 프랑스령 아파르족 및 이사족에서 세 번째 독립 국민 투표가 실시되었다. 이전 국민 투표는 1958년과 1967년에 실시되었으며,[6] 독립을 거부했다. 이번 국민 투표는 프랑스로부터의 독립을 지지했다.[7] 유권자의 98.8%가 프랑스 탈퇴를 지지하여 공식적으로 지부티의 독립을 기념했다. 오보크는 지부티의 중국 해군 기지가 건설될 장소로 예상된다.[8][9]

오보크는 에티오피아에서 사우디아라비아로 불법 이주하는 주요 경유지가 되었으며, 밀수업자들이 이주민들을 배로 예멘으로 데려가는 곳이다.[10]

3. 인구

오보크의 인구는 2024년 기준으로 20,152명으로 추산된다.[11] 이 마을의 주민들은 주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민족 집단에 속한다. 아파르족과 이사 (소말리)이 주를 이룬다.

4. 기후

오보크는 건조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쾨펜 기후 구분에 따라 덥고 반건조 기후(''BSh'')로 분류된다. 오보크는 사막 지형의 가젤 고원(아파르어: Dala-h Húgub) 해발 13m 지점에 위치해 있다. 하늘은 연중 맑고 밝다.[21]

오보크의 기후[21][2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8.9°C29°C30.8°C32.8°C35.4°C38.6°C41°C39.9°C37°C33.8°C31°C29.5°C
평균 최저 기온 (℃)22.3°C23.3°C24.6°C26°C28.2°C30.7°C30.8°C30.1°C30°C26.4°C24.2°C22.7°C
월 강수량 (mm)4mm6mm16mm4mm7mm0mm5mm6mm3mm5mm14mm10mm


5. 교통

오보크는 RN-14 국도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지부티 시에서 오보크까지 페리를 이용하면 3시간이 소요되며, 거리는 237km이다.

오보크 항


2002년 말에는 수천 척의 미국 함선이 이라크 침공을 위해 오보크 항에 기항했다.[20] 또한 오보크 공항이 설치되었으며, 지부티 시티와 사이에는 페리가 수 척 왕복하고 있다. 인근에는 맹그로브 숲이 있다.

6. 기타

1977년 5월 8일 프랑스령 아파르족 및 이사족에서 세 번째 독립 국민 투표가 실시되었다. 이전 국민 투표는 1958년과 1967년에 실시되었으며,[6] 독립을 거부했다. 이번 국민 투표는 프랑스로부터의 독립을 지지했으며,[7] 유권자의 98.8%가 프랑스 탈퇴를 지지하여 공식적으로 지부티의 독립을 기념했다. 오보크는 지부티의 중국 해군 기지가 건설될 장소로 예상된다.[8][9]

오보크는 에티오피아에서 사우디아라비아로 불법 이주하는 주요 경유지이며, 밀수업자들이 이주민들을 배로 예멘으로 데려가는 곳이다.[10] 프랑스 식민지 시절 오보크는 자체적인 우표를 발행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오보크의 우표와 우편 역사를 참조하면 된다. 식민지 시대에 오보크에서는 자체적으로 우표를 발행했고, 학교가 1개 운영되었다.

7. 저명한 출신 인물


  • 하스나 모하메드 다토, 정치인
  • 압달라 모하메드 카밀, 정치인
  • 앙리 드 몽프리드, 모험가, 작가

참조

[1] 웹사이트 French Somali coast Timeline http://www.awdalpres[...] 2013-04-19
[2] 논문 The British Somaliland-Ethiopia Boundary https://www.jstor.or[...] Geographical Journal 1936
[3] 서적 Africa year book and who's who Africa Journal Ltd. 1977
[4] 서적 Scott's monthly stamp journal https://books.google[...] 1982-01-01
[5] EB1911 Obok
[6]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CRC Press 2005
[7] 간행물 Elections in Africa: A data handbook 1999
[8] 잡지 Confirmed: Construction Begins on China's First Overseas Military Base in Djibouti https://thediplomat.[...] 2016-02-29
[9] 뉴스 Defense Ministry's regular press conference on Feb.25 http://eng.mod.gov.c[...]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6-02-15
[10] 뉴스 The deadly journey to the Gulf https://www.economis[...] 2024-06-20
[11] 웹사이트 Obock (City, Djibouti)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s://www.citypopu[...] 2024-10-10
[12] 웹사이트 Climate: Dikhil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3-09-30
[13] 웹사이트 DJIBOUTI - OBOCK : Climate, weather, temperatures http://www.levoyageu[...] Levoyageur 2016-09-05
[14] 학술지 The geothermal resources of the Republic of Djibouti — I: Hydrogeochemistry of the Obock coastal hot springs
[15] 웹사이트 Obock https://citypopulati[...] Citypopulation 2024-10-11
[16] 웹사이트 Regions of Djibouti http://statoids.com/[...] Statoids 2024-10-10
[17] 웹사이트 Historique des Relations Franco-Djiboutiennes http://www.ambafranc[...] L’Ambassade de La France en République de Djibouti 2010-10-01
[18] 서적 Djibouti and the Horn of Africa "The Coming of the European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Histoire de Djibouti http://www.djiboutie[...] Djibouti Embassy Tokyo , Japan 2010-10-01
[20] 문서 AIRPORT_INFORMATION_for_HDOB http://gc.kls2.com/a[...]
[21] 웹인용 Climate: Dikhil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3-09-30
[22] 웹인용 DJIBOUTI - OBOCK : Climate, weather, temperatures http://www.levoyageu[...] Levoyageur 2016-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