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키나와 대공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키나와 대공습은 1944년 10월 10일 미 해군이 오키나와를 포함한 남서 제도에 감행한 대규모 공습이다. 미군은 필리핀 진격을 앞두고 오키나와를 방어 지원 거점으로 삼으려는 일본군 기지를 공격했으며, 항공모함 9척을 포함한 대규모 함대를 동원했다. 일본군은 레이더의 낮은 성능과 지휘 체계의 혼란, 훈련으로 오인한 병사들의 대응 지연 등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 공습으로 일본군은 함선, 항공기, 인력 등에서 큰 손실을 보았고, 나하 시가지의 90%가 소실되는 등 민간인 피해도 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키나와 전투 - 오에 겐자부로
    일본의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인 오에 겐자부로는 장애를 가진 아들의 탄생을 계기로 개인적 고뇌와 사회적·정치적 문제를 결합한 작품들을 발표하며 세계적인 작가로 성장, 199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고 평화주의 및 반핵 운동에도 참여했다.
  • 오키나와 전투 - 야하라 히로미치
    야하라 히로미치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오키나와 전투에서 일본군 참모로서 지구전을 지휘하여 미군의 진격을 늦추는 데 기여했지만, 오키나와 주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1944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4년 일본 - 도조 내각
    도조 내각은 도조 히데키가 이끈 전시 내각으로, 태평양 전쟁을 수행하고 국가 동원 체제를 강화했으나, 무리한 전쟁으로 일본을 패망으로 이끌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 1944년 10월 - 모로타이섬 전투
    모로타이섬 전투는 1944년 9월 연합군이 필리핀 진격을 위한 거점 확보를 위해 인도네시아 모로타이섬을 공격하여 시작되었으며, 압도적인 전력으로 섬을 점령하고 비행장을 건설하여 주요 군사 기지로 사용했다.
  • 1944년 10월 - 라플란드 전쟁
    라플란드 전쟁은 1944년 9월부터 1945년 4월까지 핀란드가 소련과의 휴전 협정 후 독일과의 관계가 단절되면서 핀란드 영토 내 독일군 철수 요구로 발발한 전쟁으로, 독일군의 지연 전술과 초토화 작전으로 라플란드 지역에 큰 피해를 초래했다.
오키나와 대공습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1944년 10월 10일, 나하 시가지가 십·십 공습을 받는 모습
십·십 공습을 받는 나하시 시가지
전투명십·십 공습
캠페인오키나와 전투
시기1944년 10월 10일
장소남서 제도
결과미국군의 일방적인 승리
교전 세력
지휘관
지휘관 1우시지마 미쓰루
지휘관 1 추가신요테이 조
지휘관 2윌리엄 홀시
지휘관 2 추가마크 미처
병력 규모
병력 규모 1잠수모함 1, 구축함 1
병력 규모 1 추가부설정 1, 구잠정 1
병력 규모 1 추가항공기 약 50
병력 규모 1 추가고사포 약 80 (본토에 소재)
병력 규모 2정규 항공모함 9, 경항공모함 8
병력 규모 2 추가전함 6, 중순양함 4
병력 규모 2 추가경순양함 10, 구축함 58
병력 규모 2 추가항공기 1081
피해 규모
피해 규모 1침몰 함선
피해 규모 1 추가잠수모함 1, 구축함 1
피해 규모 1 추가부설정 1, 어뢰정 등 29
피해 규모 1 추가수송선 11
피해 규모 1 추가기범선어선 등 107
피해 규모 1 추가손상 함선
피해 규모 1 추가구잠정 1, 수송선 2
피해 규모 1 추가기범선・어선 등 32
피해 규모 1 추가항공기
피해 규모 1 추가중파 이상 47, 소파 4
피해 규모 1 추가인적 손해
피해 규모 1 추가전사 218, 부상 243
피해 규모 1 추가민간인 사망 330, 부상 455
피해 규모 1 추가지상 시설
피해 규모 1 추가가옥 전손 11451호
피해 규모 2항공기
피해 규모 2 추가손실 21
피해 규모 2 추가인적 손해
피해 규모 2 추가전사 9

2. 배경

1944년 10월, 마리아나 제도 공략을 마친 미군은 다음 작전으로 필리핀 진격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에 앞서 필리핀 방어 지원 거점이 될 수 있는 남서 제도에서 타이완 방면에 흩어져 있는 일본군 기지를 기동 부대의 공습으로 파괴하기로 했다. 그 일환으로 오키나와 제도도 공격 목표로 선정되었다. 윌리엄 홀시 대장이 이끄는 제3함대의 고속 항공모함 부대인 제38기동부대 (지휘관: 마크 미처 중장)가 담당 부대가 되었다.

당시 오키나와는 마리아나 제도가 함락된 이후 미국군의 침공이 경계되면서 방위 태세 구축이 급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육군의 제32군 (사령관: 우시지마 미쓰루 중장) 휘하에 4개 사단·5개 여단의 지상 부대가 갖춰지는 한편, 일본 본토와 타이완으로의 민간인 피난이 추진되었다. 해군은 오키나와 방면 근거지대 (사령관: 신바 테이조 소장)를 설치했다. 방공 체제는 각지에 육해군의 레이더 기지가 설치되어, 오키나와 본섬에 고사포 70문·고사 기관포 50문 등이 배치되어 있었지만[3], 방공 전투기는 육군 제8비행사단 예하 독립 비행 제23중대 (3식 전투기 등 12기)가 본섬 북 비행장에 있는 정도였다. 그 외의 항공 전력은 해군의 은하 폭격기 9기나 정찰기, 이동 중인 체류기 등이었다[4]. 항내에는 군수 물자와 피난민을 수송하기 위한 함선이 다수 정박해 있었다.

10월 10일 이전, 오키나와를 포함한 남서 제도는 본격적인 공습을 받은 적이 없었다. 같은 해 6월의 야하타 공습을 시작으로 미국군의 대형기에 의한 일본 본토 공습이 시작되었지만, 오키나와 방면에서는 9월 27일과 10월 3일에 오키다이토 섬에 대형기 각 1기가 날아와 기총 소사를 한 정도에 그쳤다[5]. 그 때문에 민간인의 위기감은 옅었고, 쓰시마마루와 같은 조난을 두려워하는 등의 이유로 피난 신청이 부진했다.

3. 전투 경과

1944년 10월 10일 오전 6시경, 미 함대는 오키나와 본토를 향해 공격대를 출격시켰다. 제1차 공격대는 오전 6시 45분에 일본군 북 비행장에 도달하여 공격을 시작했고, 오로쿠 비행장 등도 잇따라 공격을 받았다. 미 함대는 이후 제4차 공격대까지 오전 중에 발진시켰고, 오후에도 제5차 공격대를 내보냈다. 미야코지마 등 다른 섬에 대한 공격을 합하면, 이날 출격한 미군 항공기는 총 1396기에 달했다.[7]

일본군은 오전 6시 20분에 해군의 경계 레이더로 제1차 공격대의 접근을 탐지했지만, 당시 일본의 레이더는 정밀도가 낮아 보고는 신뢰를 얻지 못했다.[10] 민간인이나 경찰관에 의한 방공 감시대의 보고도 무시되었다.[11]

미군기는 제공권을 확보하기 위해 비행장을 공격 목표로 삼았다.[12] 일본 항공 부대는 공중으로 대피하지 못하고 대부분 지상에서 격파되었다. 독립 비행 제23중대는 이륙에 성공했지만, 제2차 공격대와 교전하여 6기가 격추되고 3기가 불시착하여 대파되는 등 총 10기를 잃었다.[11]

제2차 공격 이후에는 나하항이나 운텐항 등에 정박 중인 함선도 공격 대상이 되었다. 피난 수송에 활약하던 잠수 모함 진게이나 만주국 해상 경찰대의 해위(전 구축함) 등 비교적 대형 함정부터, 어뢰정, 칼로정, 갑표적과 같은 소형 전투정까지 잇따라 격침되었다. 징용된 기선은 물론, 작업용 문교나 연안을 항행 중인 어선까지 기총 소사를 당했다. 수송선 피해는 비교적 대형 기선이 나하항에서 5척, 세소코섬 닻 부근에서 2척이었고, 소형 선박은 매우 많았다.[13]

제2차 공습 때 항만 지구 민가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군, 경방단, 학도 등이 소화 작업을 벌였으나 불길이 번졌다. 제4차와 제5차 공습은 주로 시가지를 노리고 이루어졌으며, 시내 각지에 화재가 발생했다. 제4차 공습 단계에서 민간인의 소화 활동은 한계에 달했고, 주민들은 전면 대피를 시작했다. 현은 군에 파괴 소화를 요청했지만, 화재는 나하 시가지 전역으로 확대되었다.[12] 반면, 가데나정에서는 민간 시설은 직접적인 공격 목표가 되지 않았고, 군 시설 주변에서 부수적인 피해만 발생했다.[14]

오키나와 제도 각지에도 공격이 이어졌다. 게라마 제도에는 8차례에 걸쳐 총 60기(일본 측 기록)가 날아와 주로 어선을 노리고 기총 소사를 했다.[15] 미야코지마에서는 오전과 오후에 각 16기(일본 측 기록)의 공습으로 99식 습격기 3기 등 육군기 9기가 파괴되고,[16] 육군 징용 수송선 '히로타마루'(도치기 기선: 2211ton)[17]가 격침되었으며, 민가 13채가 반소되는 피해가 발생했다.[18] 이시가키섬에는 이른 아침에 8기가 공격해왔다.[15] 쿠메섬 서쪽에서 침몰한 육군 징용 수송선 '고류마루'(나무라 기선: 2170ton)[17]는 제32군의 기록에는 공습 및 잠수함의 공격으로 침몰했다고 되어 있지만,[13] 미국 측 공식 기록에서는 항공모함기의 전과로 기록되어 있다.[19] 다이토섬 지역에는 오후에 총 8기(일본 측 기록)가 날아와 비행장과 해군 선박을 폭격했다.[15] 다이토섬으로 향하던 해군 징용 소형 선박 2척이 침몰했으며, 오키다이토섬 부근에서 특설 구축정 '다이이치 타쿠난마루'(일본 해양 어업 통제: 343ton)가 불타고 좌초되었다.[19][20]

공격은 오키나와 제도뿐만 아니라 가고시마현의 아마미 제도에도 미쳤다. 아마미오시마에서는 10일 이른 아침부터 3차례, 총 45기 이상이 내습하여 인근 선박과 포대를 폭격했다.[15] 토쿠노시마에서는 오전 8시경 근해의 기범선이 총격을 받았고, 오후에는 비행장이 공격받아 1식 전투기 3기, 4식 전투기 1기, 99식 습격기 5기 등 육군기 14기가 파괴되었다.[15][16]

일본 해군은 미 함대에 대한 반격을 계획하고 쇼호 작전 경계를 지시했다. 규슈와 타이완 기지에서 다음 날인 11일 아침까지 40여 대의 수색기가 발진했다. 11일 정오까지 2개 미 함대를 발견했지만 거리가 멀어 공격은 단념했다.[21]

미 함대는 10일에 오키나와 본섬에 대한 공습을 끝내고 11일에 해상 보급을 실시한 후 타이완 방면으로 향했다.

3. 1. 미군 함대의 접근

1944년 10월 6일, 마크 미처 중장이 이끄는 미 해군 제38기동부대는 오키나와, 타이완 방면 공습을 위해 울리시 환초를 출격했다.[6] 정규 항공모함 9척, 경항공모함 8척을 주력으로 하는 대규모 부대는 8일에 해상 급유를 마치고 오키나와로 향했다.[6]

미 함대는 양동 작전을 위해 중순양함 체스터, 펜서콜라, 솔트레이크시티와 구축함 6척을 미나미토리 섬에 보내 9일에 함포 사격을 가했다.[7] 또한, 사이판 섬에서 출격한 PB4Y 폭격기가 오키나와 근해를 초계하며 일본 해군의 특설 구잠정 "산쿄마루"를 격침했다.[8]

일본 해군은 통신 분석과 팔라우 기지의 감시 정보를 통해 미 함대의 집결과 출동을 감지했지만, 목적지를 확정하지는 못했다. 태풍이 오키나와에 접근하면서 7일에는 다이토 섬에서 초속 42m의 강풍이 관측되는 등 악천후로 인해 초계기 활동이 제한되었다. 2식 비행정도 테니안 섬에서 발진한 B-24 폭격기에 의해 격추되어 보고에 실패했다.[6] 연합 함대 사령부는 루손 섬 방면의 호송 선단이 습격당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서 제도를 관할하는 사세보 진수부는 10일 새벽의 공습을 예상하고 9일 밤에 피해 최소화에 유의하도록 발령했다.[5]

일본 육군의 제32군 사령부도 8일에 방공 태세인 병호 전비를 명령했지만, 9일에는 속보가 없어 해군 정보는 의심스럽다며 예하 부대에 통보했다.[5]

3. 2. 10월 10일 공습

1944년 10월 10일 오전 6시경, 미 함대는 오키나와 본토를 향해 공격대를 출격시켰다. 오전 6시 45분, 제1차 공격대는 일본군 북 비행장에 도달하여 공격을 시작했고, 오로쿠 비행장 등도 잇따라 공격을 받았다. 미 함대는 이후 제4차 공격대까지 오전 중에 발진시켰고, 오후에도 제5차 공격대를 내보냈다. 미야코지마 등 다른 섬에 대한 공격을 합하면, 10일의 출격기 수는 총 1396기에 달했다[7]

일본군은 오전 6시 20분에 해군의 경계 레이더로 제1차 공격대의 접근을 탐지했지만, 당시 일본의 레이더는 정밀도가 낮아 보고는 신뢰되지 않았다[10]。 또한, 민간인이나 경찰관에 의한 방공 감시대의 보고도 무시되었다[11]

미군기는 제공권을 탈취하기 위해 비행장을 공격 목표로 삼았다[12]。 일본의 항공 부대는 공중 대피가 미처 이루어지지 않은 채, 대부분이 지상에서 격파되었다. 독립 비행 제23중대는 이륙에 성공했지만, 제2차 공격대와 교전하여 6기가 격추되고, 3기가 불시착 대파되는 등 총 10기를 잃었다[11]

제2차 이후에는, 나하항이나 운텐항 등에 정박 중인 함선도 공격 목표가 되어, 피난 수송에 활약하던 잠수 모함 진게이나 만주국 해상 경찰대의 해위(전 구축함) 등 비교적 대형 함정부터, 어뢰정, 칼로정, 갑표적과 같은 소형 전투정까지 잇따라 격침되었다. 징용된 기선은 물론, 작업용 문교나, 연안을 항행 중인 어선까지 기총 소사 등으로 철저히 공격받았다. 수송선의 피해는 비교적 대형 기선이 나하항에서 5척, 세소코섬 닻 부근에서 2척이었고, 소형 선박은 엄청난 수에 달했다[13]

제2차 공습 시에 항만 지구의 민가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군이나 경방단, 학도 등의 소화 활동에도 불구하고 연소되었다. 제4차와 제5차 공습은 주로 시가지를 노리고 이루어졌으며, 시내 각지에 화재가 발생했다. 제4차 공습 단계에서 민간 소화 활동으로는 손 쓸 방법이 없어졌고, 주민들은 전면 대피를 시작했다. 현은 군에 파괴 소화를 의뢰했지만, 그래도 연소를 막을 수 없었고, 화재는 나하 시가지 전역으로 확대되었다[12]。 한편, 가데나정에서는 민간 시설은 직접적인 공격 목표가 되지 않았고, 군 시설 주변에서 부수적 피해가 있었을 뿐이었다[14]

본토 이외의 오키나와 제도 각지에도 공격이 가해졌다. 게라마 제도에는 8차례에 걸쳐 총 60기(일본 측 기록)가 날아와, 주로 어선을 노린 기총 소사를 했다[15]미야코지마에서는 오전과 오후에 각 16기(일본 측 기록)에 의한 공습이 있었고, 99식 습격기 3기 등 육군기 9기 파괴[16], 육군 징용 수송선 「히로타마루」(도치기 기선: 2211ton)[17] 격침, 민가 13채 반소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18]이시가키섬에는 8기가 이른 아침에 날아왔다[15]。 쿠메섬 서쪽에서 침몰한 육군 징용 수송선 「고류마루」(나무라 기선: 2170ton)[17]는, 제32군의 기록에 따르면 공습 및 잠수함의 공격으로 침몰했다고 되어 있지만[13], 미국 측의 공식 기록에서는 항공모함기의 전과로 되어 있다[19]다이토섬 지역에는 오후가 되어서 총 8기(일본 측 기록)가 날아와, 비행장과 해군 선박을 총폭격했다[15]다이토섬으로 항행 중이던 해군 징용 소형 선박 2척이 침몰했으며, 오키다이토섬 부근에서 특설 구축정 「다이이치 타쿠난마루」(일본 해양 어업 통제: 343ton)가 불타고 좌초되었다[19][20]

공격은 오키나와 제도에 그치지 않고, 가고시마현의 아마미 제도에도 미쳤다. 아마미오시마에서는 10일 이른 아침부터 3차례, 총 45기 이상이 내습하여, 인근 선박과 포대를 총폭격[15]。 토쿠노시마에서는 오전 8시경에 근해의 기범선이 총격을 받았고, 오후에는 비행장이 공격을 받아, 1식 전투기 3기, 4식 전투기 1기, 99식 습격기 5기 등 육군기 14기가 파괴되었다[15][16]

3. 3. 10월 11일 이후 전투

일본 해군은 미 함대에 대한 반격을 계획하고 쇼호 작전 경계를 지시했다. 규슈와 타이완의 기지에서 다음 날인 11일 아침까지 연 40여 대의 수색기가 발진했다. 11일 정오까지 2개의 미 함대를 발견했지만 거리가 멀어 공격은 단념되었다[21]

미 함대는 오키나와 본섬에 대한 공습을 10일에 끝내고 11일에 해상 보급을 실시한 후 타이완 방면으로 향했다. 그리고 12일부터 타이완 공습을 시작했고, 일부는 미야코지마, 이시가키지마 등 난세이 제도 서부를 13일에 걸쳐 습격했다. 선박과 병사 등이 공격을 받았다. 미야코지마에서는 미군기 1기를 대공포화로 격추하고, 탑승원 1명을 포로로 잡았다[15]。12일 이후의 공습에 대해 일본 해군 항공대가 대규모 반격을 가해 대만 해전이 발생했다.

4. 결과

일본군은 함선, 항공기, 인력 등에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미군은 21대의 항공기만 잃는 승리를 거두었으며, 격추된 미군기 탑승자 중 6명은 해상에서 대기 중이던 잠수함 스타렛에 의해 구조되었다.[7]

일본 해군은 정박 중이던 함선이 거의 전멸하는 큰 손실을 입었다. 잠수모함 "진경", 만주국 함 "해위", 포설정 "타카시마", 수송함 제158호 수송함, 예인선 "타츠가미", 어뢰정 13척, 갑표적 4척 등 정규 함선 22척이 침몰했다. 특설 함정이나 징용 무장 어선도 다수 침몰했으며,[17][19][22] 잠수정 제58호 잠수정이 불탔다. 육군 선박병의 장비 보트도 카로정 6척, 고속 수송 제1대대의 이호 고속정 8척이 전멸하고, 대발동정 등 18척이 침몰했다. 제32군의 기록에 따르면 기선 10척이 침몰했고,[13] 선박운영회 자료에는 "난요환"(오카다 상점: 2,218총톤)도 격침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7] 미국 측 기록에 따르면 상선 "호에이환", "제7 타카시마환"도 고니야 해역에서 손상되었다.[19] 군 징용 기범선과 어선은 제32군 징용분만으로 60척(4,477총톤) 침몰·대파 4척·소파 28척, 다른 육군 부대 징용 21척 침몰, 해군 징용 호위 어선 다수 등이었다.[13] 민간 소형 선박의 피해도 본섬에서만 77척 침몰(그 중 어선 26척)·11척 손상(그 중 어선 4척)이었다.[24]

함선 외에도 각 섬의 육해군기를 합쳐 항공기 47대가 중파 이상의 손상을 입었고, 4대가 소파되었다. 미군은 일본기 111대를 파괴했다고 판단했다.[7] 인적 손해도 오키나와 연대구 사령관 이구치 슌조 대좌를 비롯해 육해군을 합쳐 군인·군속 218명이 전사하고, 243명이 부상했으며, 육군 관련 민간 작업원 약 120명이 사망, 약 70명이 부상했다. 항공 관련 연료와 탄약은 분산이 완료되어 드럼통에 담긴 가솔린 113통이 불에 탄 정도로 끝났다.[13]

민간인의 피해도 컸다. 나하시는 시가지의 90%가 소실되고 255명이 사망했다. 본섬 전체에서는 330명이 사망하고 455명이 부상했다. 본섬에서 완전히 파괴된 가옥은 11,451호(그 중 나하 11,010호[24]), 일부 파괴된 가옥은 62호였다.[12] 미야코섬에서도 민가 13채가 일부 불에 탔다.[18] 오키나와현의 철도기관차 4량·가솔린카 4량·객차 6량 등이 중파 이상의 손상을 입었다.[24] 민간 자동차는 70%인 94량이 파괴되었다.[24] 이러한 민간 피해로 인해 주민들의 현외로의 소개(피난)가 촉진되었다.

일본 정부는 비군사 목표인 시가지 공격을 전쟁 범죄로 규정하고 중립국 스페인 정부를 통해 미국 정부에 항의했다. 그러나 미국 측은 전쟁 범죄에 해당한다고 하면서도, 포로가 된 파일럿 기소 위험과 피해 실태 불확실성을 이유로 항의를 묵살했다.[25]

5. 일본 측의 패인

일본군은 당시 미군의 제38기동부대를 10월 6일 이후 놓치고 있었다. 일본군 각 항공기지는 대규모 초계 활동을 펼쳤지만, 미군은 일본군의 초계기전탐(레이더)으로 포착하여 모두 격추했다. 오키나와 남서쪽 해상에는 당시 태풍이 북상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군 수뇌부는 돌아오지 않은 초계기가 많은 것을 악천후 때문이라고 쉽게 판단했다.[11]

일본 육군 제32군은 10월 10일에 대대적인 도상 훈련을 예정하고 있었고, 전날인 10월 9일에는 각 지역 사령관들이 나하요정에 모여 회의 겸 식사 모임을 가졌다.[11] 지휘관 부재 상태에서 각 부대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이날 도상 훈련은 병사들에게 "훈련"이라고만 알려져, 아군 고사포의 응사를 "본격적인 훈련"으로 오인하여 대응이 늦어졌다.[12] 주민들 중에도 훈련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었다.[18]

전탐(레이더) 탐지 역시, 잦은 고장과 부정확성으로 인해 레이더 고장으로 오인되어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10] 방공 감시대 보고도 헛소문으로 취급되었다.[11]

오키나와 공습을 알리는 전문은 10일 오전 7시에 발신되었지만, 히요시의 연합함대 사령부에 도착한 것은 1시간 반이나 지난 후였다. 연합함대 사령장관 도요다 소에무 대장은 필리핀 방면 출장으로 타이완에 머무르고 있었고, 참모장 구사카 류노스케 중장이 대신 지휘를 맡아야 했지만, 도요다 대장이 타이완에서 별도로 모순되는 명령을 내려 혼란을 야기했다.[26]

6. 10·10 공습을 다룬 작품

쓰시마마루, 안녕 오키나와는 쓰시마마루 사건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이지만, 이야기 끝부분에서 주인공 가족이 10·10 공습을 겪으며 더욱 큰 불행에 빠지는 장면이 묘사된다. 이 공습으로 주인공의 아버지는 전사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沖縄戦の概要 https://www8.cao.go.[...] 沖縄振興局 2018-11-30
[2] 뉴스 「10・10空襲を知っていますか?」 https://www.tbs.co.j[...] TBS系番組案内「報道の魂」 2008-10-19
[3] 문서 『沖縄方面陸軍作戦』
[4] 웹사이트 “十・十空襲”直前の沖縄守備軍の状況 http://www.yomitan.j[...] 読谷村(2004年)
[5] 문서 『沖縄方面陸軍作戦』
[6] 웹사이트 沖縄近海へ迫る第三八空母機動部隊 http://www.yomitan.j[...] 読谷村(2004年)
[7] 웹사이트 【翻訳文】台湾への空襲(抜粋)―空母機動部隊の沖縄と台湾空襲十月十日~十四日 http://www.yomitan.j[...] 読谷村(2004年)
[8] 웹사이트 Cressman (1999) , p. 551. https://www.ibiblio.[...]
[9] 문서 佐藤(1998年)
[10] 문서 佐藤(1998年)
[11] 웹사이트 不用意な沖縄守備軍 http://www.yomitan.j[...] 読谷村(2004年)
[12] 웹사이트 1 十月十日の空襲 http://www.yomitan.j[...] 読谷村(2004年)
[13] 문서 『沖縄方面陸軍作戦』
[14] 웹사이트 嘉手納町における戦災の状況(沖縄県) https://www.soumu.go[...] 総務省 2012-05-24
[15] 문서 三 敵機来襲状況ト我邀撃戦闘状況 第32軍司令部
[16] 문서 八 損害」(1) 第32軍司令部
[17] 문서 喪失船舶一覧表 船舶運営会
[18] 웹사이트 宮古島市(旧平良市)における戦災の状況(沖縄県) https://www.soumu.go[...] 総務省 2012-05-24
[19] 웹사이트 Cressman (1999) , p. 552. https://www.ibiblio.[...]
[20] 문서 大島防備隊
[21] 문서 佐藤(1998年)
[22] 문서 第四海上護衛隊
[23] 웹사이트 第三號報国丸 http://www.tokusetsu[...]
[24] 문서 八 損害」(2) 第32軍司令部
[25] 서적 米海軍資料に見る海の沖縄戦展 http://www.archives.[...] 沖縄県公文書館(展示会パンフレット) 2010-01-01
[26] 문서 佐藤(1998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