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라르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라르투어는 후르-우라르투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기원전 2000년경부터 기원전 1200년경까지 우라르투 왕국에서 사용되었다. 절대격-능격, 교착어이며, 설형 문자로 기록되었다. 후르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아르메니아어,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 등 주변 언어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9세기 해독 이후, 우라르투어의 문법, 어휘, 비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르리우라르투어족 - 쐐기 문자
    쐐기 문자는 기원전 4천년기 메소포타미아에서 수메르인이 사용한 쐐기 모양의 문자 체계로, 다양한 언어 기록에 사용되었으며 다른 문자 체계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도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후르리우라르투어족 - 후르리어
    후르리어는 우라르투어와 함께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을 형성하는 언어이며, 기원전 3천년기 말부터 텍스트가 나타나 13세기에 쇠퇴했으나 1910년대 이후 연구가 재개되었고,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변형된 설형 문자로 표기되었다.
  • 우라르투 - 아르메니아
    남캅카스 내륙국인 아르메니아는 우라르투 왕국을 계승한 오랜 역사, 세계 최초 기독교 국교 채택,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문화, 아르메니아어를 특징으로 하며, 지정학적 갈등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유럽 연합과의 관계 강화를 추구한다.
  • 우라르투 - 메디아
    메디아는 기원전 9세기부터 6세기까지 이란 북서부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이자 이란계 민족으로, 아시리아 지배를 벗어나 고대 근동의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페르시아에 멸망당했으며, 역사적 기록은 주로 고대 그리스 자료에 의존하고 그 실재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고대 언어 -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는 기원전 1200년경 인도유럽어족에서 분기되어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로, 도리아어, 아이올리아어, 이오니아어, 아티카어 등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현대 그리스어의 기원이자 그리스 문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교육 및 학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고대 언어 - 팔리어
    팔리어는 상좌부 불교 경전 기록에 사용된 고대 인도 언어로, 마가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나 여러 인도 아리아어 방언의 혼합과 산스크리트화를 거쳤으며, 《팁피타카》 기록 이후 불교 전파 매개체로서 동남아시아 여러 언어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는 사어이지만 불교 연구 및 의례에 사용된다.
우라르투어
언어 정보
이름우라르투어
다른 이름반어
사용 지역우라르투
사용 국가아르메니아 고원
사용 시기기원전 9세기 ~ 기원전 6세기 (증명)
사멸 시기기원전 6세기
어족후르리-우라르투어족
문자신아시리아 쐐기 문자
ISO 639-3xur
Glotto 코드urar1245
Linguist Listxur
음운 정보
IPA표기 정보 없음 (IPA 표기 필요)

2. 분류

우라르투어는 절대격-능격 언어이며, 교착어이다. 후르리어와 함께 후르-우라르투어족에 속한다.[10] 설형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우라르투 왕국 영토에서 발견된 많은 비문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라르투 상형 문자"라는 별도의 토착 문자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지만,[11] 아직까지 확실하게 증명되지는 않았다.

후르-우라르투어족이 다른 어족과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북동 코카서스어족, 인도유럽어족, 카르트벨리 어족 등과 유전적 관계가 있다는 여러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없다.[15]

아르메니아어, 아나톨리아어족, 이란어파, 고대 발칸어족과 같은 인도유럽어족에서 우라르투어 개인 이름과 지명(예: 아라메, 아르기쉬티, 다이아에히, 우에리쿨키, 아르자슈쿤, 아르샤니아 강) 뿐만 아니라 일부 우라르투어 어휘와 문법에 대한 어원론이 제안되었다.[16][17][18] 현존하는 우라르투어 텍스트는 신아시리아 설형 문자의 변형으로 기록되어 있다.[19]

2. 1. 후르리어와의 관계

우라르투어는 절대격-능격 언어이며, 교착어이고, 유일하게 확인된 친족 언어는 후르리어인 후르-우라르투어족에 속한다.[10] 설형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우라르투 왕국의 영토에서 발견된 많은 비문에서 나타난다. "우라르투 상형 문자"라는 별도의 토착 문자에 대한 주장이 있었지만[11]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우라르투어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기원전 1200년경까지, 약 기원전 1350년까지 사용된, 다소 더 잘 기록된 언어인 후르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두 언어는 대략 기원전 2000년 이후부터 상당히 독립적으로 발전했을 것이다.[12][13] 우라르투어는 후르리어의 어떤 방언의 직접적인 연속은 아니지만,[14] 그 특징 중 많은 부분은 지난 천 년 동안 알려진 후르리어와 비교하여 혁신적인 발전으로 가장 잘 설명된다. 이러한 유사성은 특히 후르-히타이트어 이중 언어 텍스트에서 알려진 이른바 고대 후르리어 방언에서 두드러진다.

후르-우라르투어족이 다른 어족과 연관되어 있다는 주장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북동 코카서스어족, 인도유럽어족, 카르트벨리 어족 등 다른 언어족과의 유전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것은 없다.[15]

2. 2. 다른 어족과의 관계 (가설)

우라르투어는 후르-우라르투어족에 속하며, 유일하게 알려진 친척 언어는 후르리어이다.[10] 후르-우라르투어족이 다른 어족과 유전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여러 가설이 제안되었지만,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것은 없다. 북동 코카서스어족, 인도유럽어족, 카르트벨리 어족과의 관계가 제안되었으나 증명되지 않았다.[15]

아르메니아어와 아나톨리아어족, 이란어파, 고대 발칸어족에서 우라르투어 개인 이름과 지명(예: 아라메, 아르기쉬티, 다이아에히, 우에리쿨키, 아르자슈쿤, 아르샤니아 강) 뿐만 아니라 일부 우라르투어 어휘와 문법에 대한 어원론이 제안되었다.[16][17][18]

3. 해독

1826년 독일 학자 프리드리히 에두아르트 슐츠가 반호 지역의 우라르투 비문을 발견하고 투쉬파에서 여러 설형 문자 비문을 복사했지만, 해독을 시도하지는 않았다.[22] 슐츠의 그림은 1840년 그가 사망한 후에 ''Journal Asiatique''에 게재되었으며,[20] 에드워드 힝크스가 메소포타미아 설형 문자를 해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21]

1850년대에 아시리아 설형 문자가 해독된 후, 슐츠의 그림은 우라르투어 해독의 토대가 되었다. 곧 우라르투어는 알려진 어떤 언어와도 관련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 지역의 알려진 언어를 기반으로 한 해독 시도는 실패했다.[23] 이 문자는 1882년 A. H. 세이스가 해독했다. 이 비문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우라르투의 사르두리 1세 시대의 것이다.[2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켈레신 석비와 Topzawä에서 우라르투-아시리아어 이중 언어 비문이 발견되면서 해독에 진전이 있었다.[23][24]

1963년 게오르기 멜리키쉬빌리가 러시아어로 우라르투어 문법을 출판했으며, 1971년에 독일어 번역판이 출판되었다. 1970년대에는 I. M. 디아코노프가 후르리어와의 계통 관계를 밝혔다.

4. 문자



가장 오래된 우라르투어 기록은 기원전 9세기 후반 사르두리 1세 통치 시대에 나타난다.[25] 이후 약 200년 동안 우라르투 왕국이 멸망할 때까지 쐐기 문자를 채택하고 수정하여 작성된 우라르투어 비문 약 200개가 발견되었다.[26]

4. 1. 쐐기 문자

우라르투어 쐐기 문자는 신 아시리아 쐐기 문자를 표준화하여 단순화한 것이다.[2]

아시리아와 달리 각 부호는 단일 음가를 나타낸다.[2]

기호 ''gi'' 𒄀|기xur는, 예를 들어 ''Uīšdi''를 ''u-gi-iš-ti''와 같이 표기할 때 휴지(hiatus)를 나타내는 특별한 기능을 한다.[2] 암석 비문에는 겹치지 않는 쐐기가 있는 변형된 문자가 사용되었다.[2]

4. 2. 상형 문자

우라르투어는 루위아어에 사용된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로 드물게 기록되기도 했다. 이에 대한 증거는 알틴테페에 국한되어 있다.

루위아 상형 문자 비문 외에도, 우라르투 고유의 상형 문자 체계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비문 자료가 너무 부족하여 이 가설을 뒷받침하기는 어렵다. 문제의 기호들이 일관된 문자 체계를 형성하는지, 아니면 단지 조율되지 않은 원시 문자나 임시 그림의 집합체를 나타내는지는 불분명하다.[27]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은 특정 측정 단위를 나타내는 용기에서 발견된 두 개의 기호 또는 "상형 문자"이다. --는 ''aqarqi''를, --는 ''ṭerusi''를 나타낸다. 이는 일부 용기에 설형 문자와 함께 이러한 기호가 함께 표시되었기 때문에 알려져 있다.[28]

5. 음운

Hachikian (2010)은 우라르투어 표기 및 주로 아르메니아어로의 차용을 통해 우라르투어의 자음을 다음과 같이 추론했다.[29]

colspan="2" |
비음⟨m⟩⟨n⟩
파열음⟨p⟩⟨t⟩⟨k⟩
⟨b⟩⟨d⟩⟨g⟩
“강세”⟨p⟩⟨ṭ⟩⟨q⟩
파찰음⟨s⟩
⟨z⟩
“강세” ⟨ṣ⟩
마찰음() ⟨p⟩?⟨š⟩⟨ḫ⟩
‹b, u, ú›()⟨ḫ⟩
접근음중설w ‹u, ú›~ ⟨r⟩j ⟨g, i⟩
설측~ ⟨l⟩



파열음과 파찰음의 세 가지 laryngeal 대비는 우라르투어 표기에 충실히 반영되었는데, 셈족 계열 설형 문자가 별도의 기호를 갖지 못했던 "강세" /pʼ/는 예외였다. 이들의 값은 아르메니아어 차용으로 확인된다. 우라르투어 무성 파열음과 파찰음은 아르메니아어에서 무성 유기음으로 차용된 반면, 우라르투어 "강세" 파열음은 아르메니아어에서 무기음 무성 파열음으로 발견된다. 예를 들어, 우라르투어 ''ul-ṭu'' '낙타'는 아르메니아어 ուղտ ''ułt''로, 우라르투어 ''ṣu-(ú-)pa-'' '소페네 (지명)'는 아르메니아어 Ծոփ- ''Copʰ-''로 차용되었다. Hachikian (2010)은 우라르투어 ''ṭu-uš-pa-'' '투슈파 (지명)'가 아르메니아어 Տոսպ ''Tosp''로 차용된 것과 대조하여 양순 위치에서 "강세" 구별을 재구성한다.

일반적으로 ⟨s, z, ṣ⟩로 음역되는 설형 문자 기호는 마찰음이 아니라 파찰음이었는데, 이는 아르메니아어 차용으로 나타난다.[30] 예를 들어, 우라르투어 ''ṣa-ri'' '과수원'은 아르메니아어 ծառ ''caṙ'' '나무'로, 우라르투어 ''al-zi-'' '아르자네네 (지명)'는 아르메니아어 Աղձնի- ''Ałʒni-''로 차용되었다. 우라르투어 ‹š›는 아르메니아어로 /s/로 차용되었다. (예: 우라르투어 ''ša-ni'' '주전자'는 아르메니아어 սան ''san'' (궁극적으로 수메르어에서 아카드어를 거쳐)로 차용).

"강세"의 정확한 음운론은 복원할 수 없다. 당시 셈족 언어와 인근 코카서스 토착 언어처럼 방출화 또는 성문화 /pʼ, tʼ, t͡sʼ, kʼ/일 가능성이 있으며, 아르메니아어처럼 무기음(무성) /p⁼, t⁼, t͡s⁼, k⁼/일 수도 있는데, 어느 경우든 각각 유기음 /pʰ, tʰ, t͡sʰ, kʰ/ 및 유성 /b, d, d͡z, g/ 계열과 완전히 대조된다. 전설 모음 근처에서 /g/는 구개음화되었으며, 아마도 /j/와 병합되었거나 적어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워졌다. ‹ú›와 ‹b› 사이의 변이 철자와 아르메니아어에서 Վան ''Van'' '반'으로 렌더링되고 우라르투어에서는 ''bi-a-i-ni-''로 표기된 지명으로 별개의 /v/가 제안된다.

Hachikian (2010)은 또한 /f/와 /z/를 제안한다. /x/와 별개의 음소 /ɣ/의 경우, 그리스어로 지명 Κομμαγηνή ''Kommagēnḗ'' '코마게네'을 우라르투어 ''qu-ma-ḫa-'';로 렌더링한 제한적인 증거가 있다. 따라서 /x/와 /ɣ/는 정서법으로 구별되지 않았다.

스크립트는 모음 ''a'', ''e'', ''i'', ''u''를 구별한다. Hachikian은 우라르투어 ''ṭu-uš-pa-'' '투슈파 (지명)'를 아르메니아어 Տոսպ ''Tosp'' 및 그리스어 Θοσπ- ''Thosp-''로 렌더링한 것과 같이 차용에 반영된 /o/도 있었다고 믿는다. 음소 모음 길이가 있었을 수 있지만, 스크립트에 일관되게 표현되지는 않는다. 단어 끝에서 ''e''와 ''i''의 구별이 유지되지 않으므로, 많은 학자들은 시각적으로 변동하는 모음을 슈와: ''ə''로 표기하는 반면, 일부는 비축약 모음(일반적으로 ''i''를 선택)을 유지한다. 모음의 전체 형태는 접미사가 단어에 추가되고 모음이 더 이상 마지막 음절에 없을 때 나타난다. (예: ''Argištə'' "아르기시티" - ''Argištešə'' "by Argišti (주격)"). 이러한 모음 축약은 또한 강세가 일반적으로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형태음운론에서 다양한 형태소 조합은 음운 축약을 유발한다. (예: *''ar-it-u-mə'' → ''artumə'', *''zaditumə'' → ''zatumə'', *''ebani-ne-lə'' → ''ebanelə'', *''turul(e)yə'' →'' tul(e)yə'').

6. 문법


  • na--uka-
    -i(ya)-
    -Ø-, -lə-, -š(ə)-, 등= 관사 + 수와 격 접미사


대명사알려진 인칭 대명사는 1인칭 단수와 3인칭 단수가 있다. 1인칭 단수는 절대격에 두 가지 형태(자동사 주어: ''ištidə'', 타동사 목적어: ''šukə'')를 가지며, 능격은 ''iešə''이다. 3인칭 단수 절대격은 ''manə''이다.

인칭 대명사
절대격 자동사절대격 타동사능격기타부착어 소유격부착어 여격
1인칭 단수ištidəšukəiešəšu--uka--mə
3인칭 단수manəmanə-iya-



소유 대명사는 소유 접미사(1인칭 단수 ''-uka-'', 3인칭 단수 ''-iya-'') 외에 접미사 ''-(u)sə''로 형성된 소유 형용사(1인칭 단수 ''šusə'', 3인칭 단수 ''masə'')도 사용한다. 지시 대명사는 ''i-nə''와 ''ina-nə'', 관계 대명사는 ''alə''이다.
동사동사 활용은 "동사 연쇄"라는 특정 순서로 형태소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동사 형태소의 순서
슬롯어근어근 보충어능격 3인칭 복수 접미사가동성 표지법 접미사기타 인칭 접미사 (대부분 절대격)
예시다양다양-it-(-ul)-a-,
(-ul)-i-,
-u-
-l-,
-in-
-də, -bə, -(a)-lə, -nə, -ə



자동사는 ''-a-''(드물게 ''-i-''), 타동사는 ''-u-''가 가동성 표지로 사용된다. 타동사는 접미사 ''-ul-''을 통해 자동사로 바뀔 수 있다. 인칭 접미사는 절대격 주어/목적어와 능격 주어의 인칭을 나타내며, 단일 타동사 접미사가 고유한 인칭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colspan="3" rowspan="4" |자동사타동사
에르가티브(능격)
1인칭2인칭3인칭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절대격1인칭단수-də
복수
2인칭단수
복수
3인칭단수-bə-bə-nə-it-...-nə
복수-lə-bə, -lə-a-lə-it-...-lə



명령법은 어근에 접미사 ''-ə''를, 청유법 또는 3인칭 명령법은 접미사 ''-in-''을 붙여 형성한다. ''-l-''은 희구법, 조건법, 소망법 등 여러 법 형태 구성에 사용된다. 부정은 ''ui'', 금지는 ''mi''로 표현된다.

자동사 분사는 어근에 접미사 ''-urə''를 붙여 능동적인 의미(예: ''ušt-u-rə'' "행진한 자")를 나타내고, 타동사 분사는 접미사 ''-aurə''를 사용하여 수동적인 의미(예: ''šidaurə'' "건축된")를 나타낸다. ''-umə''가 부정사 또는 동명사의 어미일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완전히 명확하지 않다.

6. 1. 명사

6. 2. 대명사

알려진 인칭 대명사는 1인칭 단수와 3인칭 단수이다.

절대격 자동사절대격 타동사능격기타부착어 소유격부착어 여격
1인칭 단수ištidəšukəiešəšu--uka--mə
3인칭 단수manəmanə-iya-



1인칭 단수는 절대격에 대해 두 가지 다른 형태를 갖는다. 무동사 동사의 절대격 주어는 ''ištidə''이고, 타동사의 절대격 목적어는 ''šukə''이다. 능격 형태는 ''iešə''이다. 후르리어를 통해 판단컨대, ''šu-''는 "정규" 격 형태의 기본형이어야 한다. 1인칭 단수에 대한 부착어 여격 접미사는 ''-mə''로 확인된다.

3인칭 단수는 절대격 형태 ''manə''를 갖는다.

소유 대명사의 경우, 위에 언급된 소유 접미사(1인칭 단수 ''-uka-''와 3인칭 단수 ''-iya-'') 외에도 우라르트어는 접미사 ''-(u)sə''로 형성된 소유 형용사를 사용한다. 1인칭 단수는 ''šusə'', 3인칭 단수는 ''masə''이다.

지시 대명사는 ''i-nə'' (복수 기본형 ''i-'', 그 뒤에 관사 및 격 형태가 따름) 및 ''ina-nə'' (복수 기본형 ''ina-'', 그 뒤에 관사 및 격 형태가 따름)이다. 관계 대명사는 ''alə''이다.

6. 3. 동사

(-ul)-i-,
-u--l-,
-in--də, -bə, -(a)-lə, -nə, -ə



어근 보충어의 의미는 불분명하다. 가동성 표지는 동사가 자동사인지 타동사인지 나타낸다. 법 접미사는 여러 특수 용법(직설법 제외)에 나타난다. 기타 인칭 접미사는 주로 절대격 주어 또는 목적어를 나타낸다. 시제나 상이 표시되었는지, 표시되었다면 어떻게 표시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32]

자동사에는 ''-a-''(드물게 ''-i-'')가, 타동사에는 ''-u-''가 변항 지표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nun-a-də''는 "나는 왔다"를 의미하고, ''šidišt-u-nə''는 "그가 건설했다"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타동사인 동사는 자동사 변항 지표 앞에 접미사 ''-ul-''을 사용하여 자동사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aš-ul-a-bə''는 "점령당했다"를 의미하고, ''aš-u-bə''는 "내가 [수비대를] 배치했다"를 의미한다.[32]

인칭 접미사는 절대격 주어/목적어와 에르가티브(능격) 주어의 인칭을 나타낸다. 주어와 목적어가 모두 존재할 때, 단일 타동사 접미사가 고유한 인칭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예: 에르가티브 3인칭 단수와 절대격 3인칭 단수의 조합은 접미사 ''-nə''로 표시됨). 다음 표는 현재까지 확인된 어미와 아직 확인되지 않은 부분의 공백을 나열한다(줄임표는 가치 모음의 위치를 나타냄).

colspan="3" rowspan="4" |자동사타동사
에르가티브(능격)
1인칭2인칭3인칭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절대격1인칭단수-də
복수
2인칭단수
복수
3인칭단수-bə-bə-nə-it-...-nə
복수-lə-bə, -lə-a-lə-it-...-lə



예시: ''ušt-a-də'' "나는 나아갔다"; ''nun-a-bə'' "그가 왔다"; ''aš-u-bə'' "나는 그것을 넣었다"; ''šidišt-u-nə'' "그가 그것을 지었다"; ''ar-u-mə'' "그가 나에게 그것을 주었다", ''kuy-it-u-nə'' "그들이 그것을 헌납했다".

이 패러다임에서 알 수 있듯이, 가치 모음 뒤에 추가된 인칭 접미사는 자동사와 타동사 모두에서 주로 ''절대격'' 주어/목적어의 인칭을 나타낸다. 절대격 3인칭 단수가 에르가티브 주어가 1인칭인지 3인칭인지에 따라 다른 접미사로 표현된다는 사실로 인해 상황이 복잡해진다.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1인칭 단수 여격 접미사 ''-mə''가 추가될 때 3인칭 단수 절대격 접미사 ''-nə''가 삭제된다는 것이다.

문장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절대격 주어/목적어의 인칭 인코딩이 존재한다. 예: ''argište-šə inə arə šu-nə'' "아르기쉬티가 이 곡물 창고를 세웠다". 예외적인 동사는 "to be"인 ''man-''으로, 타동사 가치 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3인칭 단수에 대한 절대격 접미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man-u'' "그것은 있었다" vs ''man-u-lə'' "그들은 있었다".

명령법은 어근에 접미사 ''-ə''를 붙여 형성된다. 예: ''ar-ə'' "줘!".

청유법 또는 3인칭 명령법은 가치 모음의 자리에 접미사 ''-in-''을 붙여 형성되며, 인칭은 삽입 모음 ''-[i]-'' 뒤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표시된다. 예: ''ar-in-[i]-nə'' "그가 그것을 주도록 해", ''ḫa-it-in-nə'' "그들이 그것을 가져가도록 해".

가치 모음과 인칭 접미사 사이에 추가되는 어미 ''-l-''은 여러 법 형태의 구성에 참여한다.

1. 희구법은 ''ašə'' "때"로 시작하는 절에도 정기적으로 사용되며, ''-l-'' 다음에 ''-ə''(비축약 형태에서는 ''-i'')가 온다. 다음의 절대 인칭 접미사는 선택 사항이며, 능격 주어는 전혀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예: ''qapqar-u-l-i-nə'' "나는 [그 도시를] 포위하고 싶었다", ''urp-u-l-i-nə'' 또는 ''urp-u-l-ə'' "그가 도살할 것이다".

2. 조건법은 시각적으로 유사한 형태로 표현되며, Wilhelm (2008)은 이를 ''-l-'' 다음에 ''-(e)yə''가 오는 것으로 해석한다.[33] 사용 예시는 ''alu-šə tu-l-(e)yə'' "그것을 파괴하는 자는 누구든"이다.

3. 소망법은 화자 또는 행위자의 소망을 표현할 수 있으며, ''-l-'' 다음에 접미사 ''-anə''를 붙여 표현한다. 가치 표시는 ''-i-''로 대체된다. 예: ''ard-i-l-anə'' "나는 그가 … 주기를 바란다", ''ḫa-i-l-anə'' "그것은 … 가져가고/정복하기를 원한다".

부정은 동사 앞에 오는 입자 ''ui''로 표현한다. 금지 입자 역시 동사 앞에 오며, ''mi''이다. ''mi''는 또한 접속사 "그러나"이며, ''e'ə''는 "그리고 (또한)", ''unə''는 "또는"이다.

자동사의 분사는 어근에 접미사 ''-urə''를 붙여 형성되며, 능동적인 의미를 갖는다(예: ''ušt-u-rə'' "행진한 자"). 타동사의 분사는 접미사 ''-aurə''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수동적인 의미를 갖는다(예: ''šidaurə'' "건축된"). ''-umə''가 부정사 또는 동명사의 어미일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완전히 명확하지 않다.

7. 어휘

아르메니아어와의 어휘 비교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디아코노프(Diakonoff)와 그레핀(Greppin)은 여러 고대 아르메니아어 단어가 후르리-우라르투어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37][38] 그러나 흐라흐 마르티로시안(Hrach Martirosyan)과 같은 현대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반박하며, 해당 단어들이 오히려 아르메니아어에서 후르리-우라르투어로 차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39]

아래 표는 고대 아르메니아어 단어 중 후르리-우라르투어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된 단어들이다.

아르메니아어 단어의미후르리-우라르투어 어원기타 어원
agarak후르리어 awari "밭"인도유럽조어 h₂éǵros 또는 수메르어 차용어
ałaxin여종후르리어 al(l)a(e)ḫḫenne
arciw독수리우라르투어 Arṣiba ("독수리"라는 의미로 추정)인도유럽조어 *h₂r̥ǵipyós에서 유래하여 우라르투어로 차용[40]
art후르리어 arde "마을"디아코노프와 푸르네에 의해 거부됨
astem조상을 밝히다후르리어 ašti "여자, 아내"
caṙ나무우라르투어 ṣârə "정원"인도유럽조어 *ǵr̥so
cov (Covinar 참고)바다우라르투어 ṣûǝ "(내륙) 바다"[41]인도유럽조어 어근
kut곡물후르리어 kade "보리"디아코노프에 의해 거부됨; 그리스어 kodomeýs "보리 굽는 사람"과 더 유사
maxr ~ marx소나무후르리어 māḫri "전나무, 노간주나무"
pełem파다, 굴착하다우라르투어 pile "수로", 후르리어 pilli디아코노프에 의해 거부됨; 인도유럽조어 *bel- ("파다, 잘라내다?")
salor ~ šlor자두후르리어 *s̄all-orə 또는 우라르투어 *šaluri아카드어 šallūru "자두"
san우라르투어 sane "솥, 항아리"
sur우라르투어 šure "칼", 후르리어 šawri "무기, 창"디아코노프는 의심; 인도유럽조어 어근 *ḱeh₃ro- ("날카로운")
tarma-ǰur샘물후르리어 tarman(l)i "샘"ǰur는 인도유럽조어 *yuHr- or gʷʰdyōro-
ułt낙타후르리어 uḷtu "낙타"
xarxarel파괴하다우라르투어 harhar-š- "파괴하다"
xnjor사과후르리어 ḫinzuri "사과"아카드어 hašhūru, šahšūru



아르노 포르네, 흐라흐 마르티로시안, 아르멘 페트로시안 등은 우라르투어와 아르메니아어 사이에 추가적인 차용어, 문법 요소 및 품사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초기 우라르투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eue" ("그리고")는 아르메니아어 "ew" (եւ)와 비교되며, 이는 인도유럽조어 ''*h₁epi''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외에도 개인 이름, 지명, 신의 이름 등이 아르메니아어에서 우라르투어로 차용된 사례로 제시된다.[42][39][43][18][44][45]

7. 1. 아르메니아어와의 어휘 비교

디아코노프(Diakonoff, 1985)[37]와 그레핀(Greppin, 1991)[38]은 여러 고대 아르메니아어 단어의 어원이 후르리-우라르투어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한다. 그러나 흐라흐 마르티로시안과 같은 현대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단어들의 후르리-우라르투어 기원을 대부분 거부하고 아르메니아어 고유의 어원을 제안하며, 이 단어들이 아르메니아어에서 후르리-우라르투어로 차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39]

다음은 고대 아르메니아어 단어 중 후르리-우라르투어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된 단어들이다.

아르메니아어 단어의미후르리-우라르투어 어원기타 어원
agarak후르리어 awari "밭"인도유럽조어 h₂éǵros 또는 수메르어 차용어
ałaxin여종후르리어 al(l)a(e)ḫḫenne
arciw독수리우라르투어 Arṣiba ("독수리"라는 의미로 추정)인도유럽조어 *h₂r̥ǵipyós에서 유래하여 우라르투어로 차용[40]
art후르리어 arde "마을"디아코노프와 푸르네에 의해 거부됨
astem조상을 밝히다후르리어 ašti "여자, 아내"
caṙ나무우라르투어 ṣârə "정원"인도유럽조어 *ǵr̥so
cov (Covinar 참고)바다우라르투어 ṣûǝ "(내륙) 바다"[41]인도유럽조어 어근
kut곡물후르리어 kade "보리"디아코노프에 의해 거부됨; 그리스어 kodomeýs "보리 굽는 사람"과 더 유사
maxr ~ marx소나무후르리어 māḫri "전나무, 노간주나무"
pełem파다, 굴착하다우라르투어 pile "수로", 후르리어 pilli디아코노프에 의해 거부됨; 인도유럽조어 *bel- ("파다, 잘라내다?")
salor ~ šlor자두후르리어 *s̄all-orə 또는 우라르투어 *šaluri아카드어 šallūru "자두"
san우라르투어 sane "솥, 항아리"
sur우라르투어 šure "칼", 후르리어 šawri "무기, 창"디아코노프는 의심; 인도유럽조어 어근 *ḱeh₃ro- ("날카로운")
tarma-ǰur샘물후르리어 tarman(l)i "샘"ǰur는 인도유럽조어 *yuHr- or gʷʰdyōro-
ułt낙타후르리어 uḷtu "낙타"
xarxarel파괴하다우라르투어 harhar-š- "파괴하다"
xnjor사과후르리어 ḫinzuri "사과"아카드어 hašhūru, šahšūru



아르노 포르네, 흐라흐 마르티로시안, 아르멘 페트로시안은 우라르투어와 아르메니아어 사이의 추가적인 차용어, 문법적인 단어와 품사를 제안한다. 예를 들어 우라르투어 "eue" ("그리고")는 초기 우라르투어 텍스트에서 증명되었고 아르메니아어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아르메니아어 "ew" (եւ)와 비교, 궁극적으로 인도유럽조어 ''*h₁epi''에서 유래). 아르메니아어에서 우라르투어로의 다른 차용어에는 개인 이름, 지명, 신의 이름 등이 포함된다.[42][39][43][18][44][45]

8. 비문 예시

다음은 G. A. 멜리키쉬빌리의 우라르투 설형 문자 비문집을 기반으로 한 이스푸이니의 아들 메누아의 비문 372의 예시이다.[35]

각 문장마다 먼저 음역, 다음으로 형태학적 전사, 마지막으로 번역이 제공된다.

:1. dḫal-di-ni-ni uš-ma-ši-ni DIŠme-nu-a-še DIŠiš-pu-u-i-ni-ḫi-ni-še dḫal-di-ni-li KÁ (3) ši-di-íš-tú-a-li

::Ḫaldininə ušmašinə Menuašə Išpuiniḫinišə Ḫaldinilə KÁ {} šidištualə.

::"할디의 권능으로 이스푸이니의 아들 메누아가 할디의 문을 세웠다."

:2. URUa-lu-di-ri-i-e (4) É.GAL ši-di-iš-tú-ni ba-du-si-e

::Aludiriə {} É.GAL šidištunə badusiyə.

::"(알루디리 도시를 위해) 그는 요새를 완벽하게 건설했다(?)".[36]

:3. dḫal-di-ni-ni uš-ma-ši-ni dḫal-di-ni-ni ba-a-u-ši-ni DIŠme-nu-a-ni DIŠiš-pu-ú-i-ni-e-ḫé i-ú a-te-i-ni e-si na-ḫa-a-be KURša-ti-ru-ú-ni du-ur-ba-i-e ma-nu

::Ḫaldininə ušmašinə Ḫaldininə baušinə Menuanə Išpuiniḫə iu ateyn(ə)ə esiə naḫabə, Šatirunə durbayə manu.

::"할디의 권능과 할디의 명령으로 이스푸이니의 아들 메누아가 그의 아버지의 자리(즉, 왕위)에 올랐을 때 (사티루) 땅은 반역했다."

:4. ḫal-di-ni uš-ta-a-be ma-si-ni šu-ri-e ka-ru-ni URUḫu-ra-di-na-ku-ú-ni ka-ru-ni URUgi-di-ma-ru-ú-ni ka-ru-ni KURša-ti-ru-ú-i KURe-ba-a-ni dḫal-di-ni ku-ru-ni dḫal-di-ni-e šu-ri-i ku-ru-ni

::Ḫaldinə uštabə masinə šuriə, karunə Ḫuradinakunə, karunə Gidimarunə, karunə Šatiruyə ebanə. Ḫaldinə kurunə, Ḫaldi-ni-yə šuri kurunə.

::"할디는 그의 무기(?)를 들고 진군하여 후라디나쿠를 정복하고, 기디마루를 정복하고, 사티루 땅을 정복했다. 할디는 강력하고, 할디의 무기(?)는 강력하다."

:5. ḫa-ú-ni URUḫu-ra-di-na-ku-ú-ni URUgi-di-ma-ru-ú-ni ḫa-ú-ni KURša-ti-ru-ú-i KURe-ba-a-ni-i URUtar-zu-ʼa-a-na-a-na-ni

::Ḫaunə Ḫuradinakunə, Gidimarunə, ḫaunə Šatiruyə ebaniyə Tarzuana-nə.

::"그(메누아)는 사티루 땅의 후아르디나쿠, 기디마루, 타르주아나 도시를 점령했다."

:6. ku-ṭu-ni pa-ri KURbu-uš-tú-ú-e pa-ri KURma-al-ma-li-i-e

::Kuṭunə parə Buštuə, parə Malmaliə.

::"그는 부슈투 도시와 말말리 도시까지 도달했다."

:7. URUḫu-ra-di-na-ku-ú-ni ... a-ru-ni-e dḫal-di-še DIŠme-i-nu-ú-a DIŠiš-pu-u-i-ni-e-ḫi-ni-e

::Ḫuradinakunə … arunə Ḫaldišə Menuaə Išpuiniḫiniə.

::"할디는 후라디나쿠 도시를 이스푸이니의 아들 메누아에게 주었다."

9. 현대의 연구

우라르투어 연구는 19세기아시리아 설형 문자 해독을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이때 우라르투어가 셈어나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

1930년대에는 소련의 학자 I. I. 메샤니노프가 후르리어와의 연관성을 제기했고, M. 체레텔리가 캅카스 제어와의 관계를 주장했다.[1] 1960년대에는 G. A. 멜리키슈빌리의 문법 연구가, 1980년대 이후에는 M. 살비니의 연구가 큰 영향을 미쳤다.[2]

최근에는 우라르투어가 후르리어와 함께 후르-우라르투어족을 이룬다는 가설이 유력하며,[1] I. M. 디아코노프와 S. A. 스타로스틴은 이 어족이 북동캅카스어족과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했다.[5]

참조

[1] 웹사이트 Urartean http://multitree.org[...] LINGUIST List 2024-11-05
[2] 서적 People of Ancient Assyria: Their Inscriptions and Correspondence Routledge & Kegan Paul
[3] 문서 Urartian Woodard, Roger D. (ed.)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2008
[4] 간행물 Urartian Material Culture As State Assemblage: An Anomaly in the Archaeology of Empire http://dx.doi.org/10[...] 1995
[5] 문서 Urartian Woodard, Roger D. (ed.)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2008
[6] 문서 The Armenian Elements in the Language and Onomastics of Urartu https://www.academia[...] 2010
[7]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Fitzroy Dearborn 1997
[8] 문서 The Pre-history of the Armenian People http://www.attalus.o[...] 1968
[9] 문서 Classical Armenian R. D. Woodard (ed.), The languages of Asia Minor 2008
[10] 문서 The Oxford Encyclopedia of Archaeology in the Near East
[11] 문서 Urartian Hieroglyphic Inscriptions from Altintepe 1974
[12] 문서 1982
[13]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문서 Academic American Encyclopedia
[15]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Comparative Notes on Hurro-Urartian, Northern Caucasian and Indo-European http://www.pies.ucla[...] 1999
[17] 간행물 The Armenian Elements in the Language and Onomastics of Urartu https://www.academia[...] 2010
[18] 웹사이트 The place of Armenian in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the relationship with Greek and Indo-Iranian* https://www.jolr.ru/[...] Leiden University 2013
[19] 웹사이트 Urartian languag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 문서 Mémoire sur le lac du Van et ses environs 1840
[21] 문서 On the Inscriptions at Van 1847
[22] 웹사이트 Van! http://www.saudiaram[...]
[23] 문서 1930, 1935
[24] 문서 1933
[25] 문서 Urartu
[26] 문서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27] 문서 Urartian Material Culture As State Assemblage: An Anomaly in the Archaeology of Empire 1995
[28] 서적 Geschichte und Kultur der Urartäer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Darmstadt 1995
[29] 간행물 Урартский язык 2010
[30] 간행물 Urartian Sibilants in Armenian https://www.jstor.or[...] 2011
[31] 문서 Hurrian Woodard, Roger D. (ed.)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2008
[32] 문서 Hurrian Woodard, Roger D. (ed.)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2008
[33] 문서 Hurrian Woodard, Roger D. (ed.)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2008
[34] 문서 Hurrian Woodard, Roger D. (ed.)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2008
[35] 웹사이트 Вестник древней истории, № 3, 1977 г. http://annals.xlegio[...]
[36] 서적 Hurrian 2008
[37] 논문 Hurro-Urartian Borrowings in Old Armenian 2023-02-19
[38] 논문 Some Effects of the Hurro-Urartian People and Their Languages upon the Earliest Armenians 2023-02-19
[39]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rmenian Inherited Lexicon Brill 2009
[40] 서적 How to Kill A Dragon in Indo-European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41] 서적 Armenian and Iranian Studies Armenian Heritage Press 2004
[42] 간행물 About the vocalic system of Armenian words of substratic origin. https://www.academia[...] Archiv Orientální 2013
[43] 문서 "Origin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rmenian language." https://ling.hse.ru/[...] 2014
[44] 간행물 "Towards the Origins of the Armenian People. The Problem of Identification of the Proto-Armenians: A Critical Review." https://www.academia[...] 2007
[45] 간행물 "Urartian State Mythology" https://www.research[...] Yerevan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Ethnography Press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