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루크 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루크 시대는 기원전 4천년기에 메소포타미아에서 발생한 시기로, 오베이드 시대와 젬데트 나스르 시대 사이에 위치한다. 이 시기는 도시의 발전, 문자, 국가의 형성과 같은 중요한 변화를 겪으며, 기술,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농업 기술의 발전, 수공업의 발달, 운송 수단의 혁신은 경제 성장을 이끌었고, 기념비적인 건축물과 예술 작품은 사회적, 정치적 권력을 반영했다. 또한, 문자의 발명은 행정 및 지적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루크 문화는 메소포타미아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나, 기원전 4천년 말에 기후 변화, 민족 이동 등 다양한 요인으로 쇠퇴하였다.

2. 연대기 및 시대 구분

우루크 시대는 기원전 4000년부터 3000년까지 약 1천 년간 지속되었으며, 초기 도시화와 우루크 문화의 특징이 발전하는 시기이다. 이후 팽창기를 거쳐 '우루크 문명'의 특징이 확립되는 절정기를 맞이하고, 우루크의 영향력이 축소되며 근동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하는 '중심' 쇠퇴 과정을 겪는다.

4천 년이 끝날 무렵, 우루크 중심부의 작은 정착지들은 버려졌고 도시 중심지는 그 크기가 증가했으며, 에안나 구역 또한 재구조화를 겪었다. 한편, 우루크의 영향력은 북부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이란에서 감소했다.[147]

이러한 붕괴의 원인으로는 피오라 진동으로 인한 기후 변화(온도 감소와 강수량 증가)[146][147] 또는 동셈족 부족의 침입[148] 등이 거론된다.

우루크의 유산은 쐐기 문자의 발전과 길가메시 서사시[147], 대홍수 신화[146] 등을 통해 보존되었다.

2. 1. 전통적인 연대기

1930년대 바그다드에서 열린 학술 회의에서 이전의 오베이드 시대 및 이후의 젬데트 나스르 시대와 함께 "우루크 시대"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9] 우루크 시대의 연대기는 논쟁의 대상이며 불확실한 점이 많다. 기원전 4천년기의 대부분을 아우르지만, 시작과 종료 시점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시대 내 주요 분기점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는 우루크 중심부의 원래 지층이 오래되어 불분명하고, 발굴이 현대 연대 측정 기술이 존재하기 전인 1930년대에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연대기는 우루크의 에안나 지구에서 이루어진 단면 조사를 기반으로 한다.[10] 이 조사의 가장 오래된 층위(XIX–XIII)는 오베이드 시대 말(오베이드 V, 기원전 4200–3900년 또는 3700년)에 속하며, 우루크 시대의 특징적인 토기는 층위 XIV/XIII에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우루크 시대는 초기, 중기, 후기로 나뉜다. "초기 우루크"(층위 XII–IX)와 "중기 우루크"(VIII–VI)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학계에서는 다양한 연대기 시스템이 발견된다.

기원전 4천년기 중반부터 "후기 우루크"로 전환되며, 기원전 3200년 또는 3100년경까지 이어진다. 이 시기에 높은 기술 개발, 기념비적 구조물을 갖춘 도시 집결지의 발달(에안나의 층위 IV), 국가 기관의 출현, 우루크 문명의 확장이 나타난다.[11]

"후기 우루크" 단계 이후, 우루크 문명이 쇠퇴하고 근동 전역에 여러 지역 문화가 발달하는 단계(에안나의 레벨 III)가 이어지는데, 이를 젬데트 나스르 시대라고 한다.[12] 이 시기는 기원전 3000년에서 2950년까지 지속되었다.

2001년, 미국 뉴멕시코주 산타페에서 열린 학술회의에서 새로운 연대기가 제안되었다. 우루크 시기를 "후기 찰코리스"(LC)로 간주하며, LC 1(기원전 4200년경 종료) 이후 LC 2(우루크 시대의 첫 단계)가 시작된다. "구 우루크"는 두 단계로 나뉘며, 기원전 4000년경에 구분선이 있다. 기원전 3800년경 LC 3("중기 우루크")이 시작되어 기원전 3400년경까지 지속되고, LC 4를 거쳐 LC 5(후기 우루크)가 기원전 3000년까지 지속된다.

ARCANE 팀과 같은 다른 연대기 제안들도 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우루크 시대는 기원전 4000년부터 3000년까지의 약 1천 년을 포함하며, 초기 도시화와 우루크 문화 특징 발전, 팽창기(중기 우루크), '우루크 문명' 특징 확립(후기 우루크), 우루크 영향력 축소 및 근동 지역 문화 다양성 증가, '중심' 쇠퇴 단계로 나뉜다.

마지막 단계는 셈족 기원의 새로운 인구 도래로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 하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젬데트 나스르 시대로 식별되며, 권력 재편성을 동반한다. 이란 남서부에서는 원엘람 시대, 상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니네베 V, 디얄라에서는 "스칼렛 웨어" 문화가 나타난다. 하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기원전 3천 년 초경에 초기 왕조 시대가 시작된다.

2. 2. 새로운 연대기

우루크 및 젬데트 나스르 시대의 남부 메소포타미아 주요 유적 위치


하부 메소포타미아는 우루크 시대 문화의 핵심 지역이자 문화 중심지로 보인다. 그 이유는 주요 기념물이 발견되고, 기원전 4천년기 후반에 국가 제도가 발전한 도시 사회의 가장 뚜렷한 흔적과 최초의 문자 체계가 이 지역에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 지역의 물질적, 상징적 문화는 이 시대에 근동 지역의 다른 지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105] 그러나 이 지역은 우루크 유적 자체에서만 기념 건축물과 행정 문서의 흔적이 발견되어 고고학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는 않다. 다른 몇몇 유적에서도 이 시대의 건축물이 발견되었지만, 보통 탐사 발굴의 결과로만 알려져 있다. 현재 지식으로는 우루크 유적이 실제로 이 지역에서 유일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발굴의 우연으로 인해 다른 유적보다 더 중요하게 보이는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이 지역은 농업 생산성이 가장 높았던 근동 지역으로, 기원전 4천년기에 개발된 관개 시스템을 통하여 보리(대추야자, 다양한 과일, 두류와 함께)를 재배하고, 양을 길러 양모를 얻었다.[105] 광물 자원이 부족하고 건조한 지역에 위치했지만, 광대한 삼각주와 수로로 횡단되는 평평한 지역으로 이루어져 잠재적으로 광대한 경작지를 가졌고, 강이나 육로를 통한 통신이 용이했다는 지리적, 환경적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17] 기원전 4천년기에 인구 밀도가 높고 도시화된 지역이 되었을 수 있으며,[79] 사회적 계층, 수공업 활동, 장거리 상업 등이 발달했다. 로버트 맥코믹 아담스 주니어가 주도한 고고학적 조사를 통하여 명확한 정착지 계층이 확인되었으며, 기원전 4천년기에 점점 더 중요해진 여러 집합체가 지배했고, 그중 우루크가 단연 가장 중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도시 거대화의 가장 오래된 사례로 알려져 있는데, 그 배후지가 주변 지역(특히 아다브와 니푸르 주변의 북쪽 지역)을 희생시키면서 우루크 자체를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18]

우루크 시대 이 지역의 민족 구성은 수메르인의 기원 문제와 그들의 출현 또는 이주 시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결정할 수 없다. 이주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 또는 최초의 형태의 문자가 이미 특정 언어를 반영하는지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어떤 사람들은 수메르어이며, 이 경우 수메르인이 그것을 발명했을 것이고,[19] 늦어도 기원전 4천년기 마지막 몇 세기에 이미 이 지역에 존재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이것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입장이다).[20] 다른 민족 집단, 특히 아카드인의 셈족 조상이나 하나 이상의 '수메르 이전' 민족(수메르인도 셈족도 아니며 이 지역에서 그들보다 먼저 존재)도 존재했는지에 대한 논쟁도 있으며, 발굴로는 해결할 수 없다.[21]

3. 메소포타미아 남부

메소포타미아 남부는 우루크 시대 문화의 중심지였다. 이 지역은 농업 생산성이 높고, 관개 시스템이 발달했으며, 강과 육로를 통한 통신이 용이했다. 기원전 4천년기에 인구 밀도가 높고 도시화된 지역으로, 사회 계층, 수공업 활동, 장거리 상업이 발달했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도시는 우루크이며, 그 외에도 키시, 기르수, 니푸르, 우르, 슈루파크, 라르사, 디얄라 북쪽의 텔 아스마르와 카파자 등이 있다.[26]

텔 우카이르의 '채색된 신전'은 우루크 시대 말 또는 젬데트 나스르 시대에 해당하며, 18m x 22m 크기의 건물이 두 개의 테라스 위에 겹쳐져 있고, 종교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7] 아부 살라비크('우루크 언덕')에서는 10ha 면적의 우루크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부분적으로 드러난 벽과 건물 기초를 지지하는 플랫폼 등이 발굴되었다.[28] 젬데트 나스르 유적에서는 원통형 인장이 찍힌 200개 이상의 점토판이 발견되어 행정 문서의 중요한 은닉처로 알려져 있다.[29]

3. 1. 우루크

우루크는 우루크 시대 최대 도시이자 중심지였다. 후기 우루크 시대에 최대 230~500헥타르에 달했을 수 있으며, 다른 동시대의 대규모 정착지보다 넓었고, 인구는 25,000명에서 50,000명 사이였을 수 있다.[23] 이 유적은 500미터 간격으로 떨어진 두 개의 기념비적인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구조물들은 에안나(이후 시대에 그곳에 위치했던 사원, 그리고 아마도 이 시점에도 있었을 것임)라고 불리는 구역에 있다. V단계의 '석회암 사원' 이후, IV단계에서 이전에는 없었던 건설이 시작되었다. 그 이후, 건물들은 이전보다 훨씬 더 컸고, 일부는 새로운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으며, 구조와 장식을 위해 새로운 건설 기법이 사용되었다. 에안나의 IV단계는 두 개의 기념비적인 그룹으로 나뉜다. 서쪽에는 IVA단계의 다른 건물('Riemchen Building')로 덮인 IVB단계의 '모자이크 사원'(채색된 점토 원뿔로 장식)을 중심으로 한 단지가 있다. 동쪽에는 '사각 건물'과 'Riemchen 사원 건물'을 비롯하여 매우 중요한 건물 그룹이 있으며, 이후 '기둥이 있는 홀'과 '모자이크가 있는 홀', 사각형의 '대법정' 및 삼분할 계획의 매우 큰 건물 두 개, '사원 C'(54 x 22m)와 '사원 D'(80 x 50m, 우루크 시대에 알려진 가장 큰 건물)와 같은 독창적인 계획의 다른 건물로 대체되었다.

두 번째 기념비적인 구역은 유적 발굴자들이 신 아누에게 귀속시켰는데, 그 이유는 약 3000년 후 이 신을 위한 성소가 위치했기 때문이다. 이는 우바이드 시대 이후 높은 테라스에 건설된 일련의 사원들에 의해 지배된다. 이 중 가장 잘 보존된 것은 IV단계의 "백색 사원"으로, 17.5 x 22.3m이며 벽을 덮었던 흰색 판에서 이름을 따왔다. 그 기저에는 '석조 건물'이라고 불리는 미로형 계획의 건물이 지어졌다.[24]

에안나, VI-V단계.


에안나, IV단계.


이 건물들은 규모가 크고 기념비적인 그룹으로 모여 있다는 점에서 전례가 없었기에, 그 기능에 대한 논쟁이 있다. 유적 발굴자들은 역사 시대에 에안나가 여신 이난나에게 헌정되었고 다른 구역이 신 아누에게 헌정되었다는 사실에 영향을 받아 이를 '사원'으로 보려 했다. 이는 전시 기간 동안 유행했던 '사원 도시' 이론에 부합했다. 이것은 실제로는 다양한 형태의 건물(궁궐, 행정 공간, 궁정 예배당)로 형성된 권력의 장소일 가능성이 있으며, 그 성격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도시의 지배 세력이 원했던 것이다.[25] 어쨌든, 이 건물들을 짓는 데 상당한 노력이 필요했는데, 이는 이 시대의 엘리트들의 능력을 보여준다. 우루크는 또한 초기 점토판의 가장 중요한 발견 장소이기도 하며, IV단계와 III단계에서 폐기된 상황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그것들이 만들어진 맥락을 알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젬데트 나스르 시대에 해당하는 우루크 III기에는 에안나 구역이 완전히 재조직되어 유적의 건물들이 철거되고 이전 건물들을 무시한 웅장한 테라스로 대체되었다. 그 기초에서, 숭배적 성격을 띠는 퇴적물(''Sammelfund'')이 발견되었는데, 이 시대의 주요 예술 작품(대형 숭배 항아리, 원통형 인장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소 조각 프리즈가 있는 그릇 조각, 기원전 3300–2900년경. 후기 우루크–젬데트 나스르 시대. 남부 메소포타미아

3. 2.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다른 유적

에리두, 텔 우카이르, 아부 살라비크, 젬데트 나스르 등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여러 유적에서 우루크 시대와 동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다.[26] 역사 시대 메소포타미아의 주요 도시 대부분에서 실시된 음향 조사에서 이 시대에 해당 도시들이 점령되었음이 밝혀졌다. 키시, 기르수, 니푸르, 우르가 대표적이며, 아마도 슈루파크와 라르사, 그리고 디얄라 북쪽의 텔 아스마르와 카파자도 포함된다.[26]

하부 메소포타미아의 우바이드 시대 주요 기념물 구조물이 위치한 에리두의 신성한 구역은 우루크 시대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 시기의 도기가 발견되었다.[26] 텔 우카이르의 플랫폼에 있는 '채색된 신전'은 우루크 시대 말 또는 젬데트 나스르 시대에 해당하며, 18m x 22m 크기의 건물이 두 개의 테라스 위에 겹쳐져 있고, 종교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7]

아부 살라비크 유적의 남동쪽 텔('우루크 언덕')에서는 우루크 시대에 속하는 10ha 면적의 유물이 발견되었다.[28] 이 유적은 부분적으로만 드러난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건물 기초를 지지하는 플랫폼을 포함하여 여러 건물이 발굴되었으나 건물 흔적만 남아 있다.

젬데트 나스르 유적은 우루크 시대에서 초기 왕조 시대로의 전환기를 나타내며, 두 개의 주요 텔로 나뉘어 있다. 두 번째 텔(''언덕 B'')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이 발굴되었는데, 여기에서 행정 문서의 상당한 은닉처, 즉 원통형 인장이 찍힌 200개 이상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다.[29]

4. 주변 지역

우루크 문화는 메소포타미아 주변 지역, 즉 중앙 이란, 남동 아나톨리아, 상부 메소포타미아, 북부 시리아, 서부 이란 등에 영향을 미쳤다. 이 지역들은 하부 메소포타미아와 유사하게 도시와 더 큰 정치 조직으로 발전했고, 기원전 3400–3200년경에는 '중심지' 문화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우루크 팽창': '중심지'와 '주변부'를 나타내는 유적지.


1970년대 시리아에서 하부바 카비라와 제벨 아루다 유적이 발견된 후, 이들은 우루크 문명이 건설한 식민지 또는 무역 기지로 주목받았다. 이 유적들은 텔 셰이크 하산과 함께 유프라테스 강 중류의 중요한 여울목 근처에 있어, 메소포타미아 남부와 인접 지역 간의 관계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넓은 지역에서 우루크 문화의 특징이 발견되고 메소포타미아 남부가 중심지라는 점 때문에, 이 현상은 '우루크 팽창'으로 불린다. 그러나 '팽창' 해석에는 식민화, 난민 침투, 무역 기지 설립 등 여러 가설이 있다.

기예르모 알가제는 이마누엘 월러스틴의 세계 체제 이론을 바탕으로 우루크 문명을 경제적 제국주의로 설명했다. 메소포타미아 남부 엘리트들이 원자재 확보를 위해 식민지를 건설하고 상업망을 통제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론은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고고학적 증거 부족과 연대기 문제로 비판받기도 한다.

농업적 식민화나 난민 이주 등의 이론도 제시되었다. 또한, 우루크 팽창을 장기적인 문화 현상으로 보고, 코이네, 문화 변용, 혼성, 문화적 모방 등의 개념을 통해 지역별 특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우루크의 영향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며, 식민지, 무역 기지, 현지 유적지 등 다양한 유형이 확인된다. 수시아나와 이란 고원, 레반트 남부와 이집트의 경우는 현지 문화의 역할을 강조하는 데 중요하다.

최근 연구는 메소포타미아 남부와 이웃 지역의 관계를 중심/주변 상호 작용으로 해석하는 것에 비판적이며, 시리아의 텔 브락 유적을 통해 이 현상을 더 '대칭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텔 브락은 우루크보다 먼저 도시 중심지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아나톨리아 남동부에서는 하지네비 테페, 삼사트, 쿠르반 횔류크, 아르슬란테페, Tepecik – Çiftlik Höyüğü|테페지크 치프트릭tr 등에서 우루크 문화의 영향이 발견된다. 특히 아르슬란테페는 지역 권력 중심지로 보이는 기념비적 단지에서 후기 우루크 문화의 영향을 받은 봉인이 발견되었다.[45] 이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에서 멀어질수록 우루크의 영향력이 점차 희미해진다.

유적지위치특징주요 유물
하지네비 테페샨르우르파 근처 비레지크, 상업로 교차로현지인 다수 거주, 메소포타미아 남부 출신 거주지 추정경사형 림 볼, 점토 원뿔 모자이크, 테라코타 낫, 원통형 인장, 비문 점토판[43]
삼사트유프라테스 강 계곡, 수력발전 댐 건설로 침수벽 모자이크의 점토 원뿔 조각
쿠르반 횔류크유프라테스 강 계곡, 삼사트 남쪽삼분 건물우루크 특징적인 점토 원뿔, 도자기[44]
아르슬란테페말라티아 교외기원전 4천년기 전반 사원 C 지배, 기원전 3500년경 기념비적 단지 대체후기 우루크 문화 영향 받은 봉인 다수[45]
Tepecik – Çiftlik Höyüğü|테페지크 치프트릭tr치프트릭, 니데 근처우루크 영향 받은 도자기[46][47]


4. 1. 수시아나와 이란 고원

현대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수사(Susa)는 메소포타미아 남부 바로 옆에 있어 기원전 5천년기부터 강력한 영향을 받았으며, 기원전 4천년기 후반에는 우루크 문화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자체적인 고유한 특성을 유지했다.[30] 수사의 우루크 시대 유적은 수사 I (기원전 4000–3700년경)과 수사 II (기원전 3700–3100년경)로 불리며, 이 기간 동안 도시 정착지가 되었다. 수사 I 시대에는 '고대 테라스' 건설과 함께 유적지에 기념비적인 건축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수사 II 시대에 약 60m x 45m로 증가했다. 이 유적지에서 발견된 물건들은 우루크 시대의 예술, 행정 및 문자의 시작에 대한 중요한 증거이다. 수사 I 및 수사 II의 원통형 인장은 매우 풍부한 도상학을 가지고 있으며, 일상 생활의 장면을 독특하게 강조하는 한편, P. 아미에는 후기 우루크의 '제사장-왕'보다 앞선 '원시 왕족'으로 보는 일종의 지역 권력자도 존재한다고 보았다.[31] 이 원통형 인장, 불라와 점토 토큰은 기원전 4천년기 후반 수사에서 행정 및 회계 기술의 부상을 나타낸다. 수사는 또한 가장 오래된 문자기록 중 일부를 산출하여 문자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유적지가 되었다. 자파라바드(Jaffarabad)와 초가 미쉬(Chogha Mish)와 같이 수시아나의 다른 유적지에서도 이 시대에 속하는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된다.[32]

자그로스 산맥 북쪽, 캉가바르 계곡의 고딘 테페(Godin Tepe) 유적 레벨 V는 우루크 시대에 속한다. 중앙 안뜰을 중심으로 여러 건물이 배치된 타원형 벽의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북쪽에는 공공 건물일 수 있는 대형 구조물이 있다. 이 유적의 물질 문화는 후기 우루크 및 수사 II의 물질 문화와 공유하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딘 테페 레벨 V는 수사 및/또는 메소포타미아 남부 상인들이 상업로, 특히 이란 고원과 아프가니스탄주석 및 라피스 라줄리 광산과 관련된 상업로에 유적지가 위치하는 데 관심을 갖고 세운 곳으로 해석할 수 있다.[33] 더 동쪽으로, 카샨 근처의 테페 시알크(Tepe Sialk) 레벨 III에서 우루크 문화와의 명확한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지만, 모서리가 깎인 그릇은 엘부르즈 산맥의 테페 가브리스탄(Tepe Ghabristan)과 더 남동쪽의 마흐토타바드까지 발견된다.

이 지역에서 우루크 문화가 후퇴하면서 원 엘람 문명이라는 특정한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텔-에 말리안(Tell-e Malyan)과 수시아나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우루크 문화가 이란 고원과의 연관성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35][36]

4. 2. 상부 메소포타미아와 북부 시리아

유프라테스 강 중류 지역에서 우루크 시대 유적지가 발굴되면서 "우루크 팽창" 개념이 등장했다. 이 지역에서 가장 잘 알려진 유적지는 시리아 유프라테스 강 우안에 있는 요새화된 항구인 하부바 카비라이다. 이 도시는 약 22ha에 걸쳐 있었으며, 방어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유적지에서 출토된 고고학적 자료는 우루크 시대 말기의 토기, 원통형 인장, 불라, 회계 ''계산석'', 그리고 수치 점토판 등으로 우루크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 새로운 도시는 모든 면에서 우루크 식민지의 모습을 하고 있다.

하부바 카비라는 북쪽으로 8km 떨어진 바위 노두 위에 있는 인근 유적지인 자벨 아루다와 여러 면에서 유사하다. 하부바 카비라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종류의 주거지로 구성된 도시 중심부와 두 개의 '신전'으로 이루어진 중앙 기념비적 단지가 있다. 조금 더 북쪽에는 유프라테스 강 중류에 세 번째 우루크 식민지일 가능성이 있는 셰이크 하산이 있다. 이 유적지들은 남 메소포타미아에서 온 사람들이 이 지역에 심은 국가의 일부였으며, 중요한 상업 경로를 활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8]

4. 2. 1. 하부바 카비라

주어진 문서는 '우루크 기' 문서의 '하부바 카비라' 섹션에 대한 내용이 아니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4. 2. 2. 자벨 아루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자벨 아루다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으므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섹션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4. 2. 3. 텔 브락

하부르 강(유프라테스 강) 계곡에 위치한 텔 브락은 기원전 5천 년기부터 중요한 도시 중심지였으며, 전성기에는 110헥타르가 넘어 우루크 시대의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다.[39] 이 시대의 일부 주거지와 우루크 시대의 전형적인 토기가 발견되었지만, 가장 주목받는 것은 종교적 목적으로 사용된 일련의 기념물들이다. '눈 사원'(최종 단계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은 테라코타 원뿔로 장식된 벽으로 모자이크를 이루고, 색색의 돌로 상감 세공이 되어 있으며, 제단으로 추정되는 플랫폼은 금박, 청금석, 은못, 흰 대리석으로 장식된 중앙 T자형 방에 위치해 있다. 가장 놀라운 발견은 이 건물에 이름을 부여한 200개 이상의 "눈 형상"이다. 이 형상들은 거대한 눈을 가지고 있으며, 헌납된 유물로 보인다.[39]

텔 브락에서는 숫자판과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것과 비교하여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두 개의 상형 문자 판이 발견되어, 독자적인 지역 필기 전통이 있었음을 보여준다.[39]

4. 2. 4. 하무카르

하무카르는 우루크 시대에 중요한 도시 중심지였으며, 이 유적지에서는 우루크 문화의 영향 아래 있었다는 증거가 발견된다.

4. 2. 5. 텔 알-하와

이라크의 텔 알-하와(Tell al-Hawa) 유적에서도 하부 메소포타미아와의 접촉 증거가 나타난다.[39]

4. 2. 6. 니네베

티그리스 강 유역의 니네베 유적(텔 쿠윤지크, 4단계)은 주요 상업로에 위치하여 우루크의 영향을 받았다. 이 유적지는 대략 40헥타르에 달하는 텔 쿠윤지크 전체를 덮고 있었다. 이 시대의 유물은 매우 제한적이지만, 깎인 가장자리 그릇, 회계용 불라, 후기 우루크 시대의 특징적인 숫자판 등이 발견되었다.[41]

4. 2. 7. 테페 가우라

티그리스 강 유역의 니네베 유적지 인근에 있는 테페 가우라는 우바이드 시대에도 중요한 곳이었다. 기원전 5천년 말과 4천년 전반기에 걸쳐 이곳에서는 기념비적 건축물과 정치적 실체의 규모 변화가 나타났는데(12단계에서 8단계), 이는 테페 가우라의 중요한 사례로 꼽힌다.[42] 발굴 결과, 매우 풍부한 무덤, 다양한 종류의 주거지, 작업장, 그리고 공식적이거나 종교적인 기능을 가진 매우 큰 건물(특히 '원형 구조물')이 발견되었다. 이는 테페 가우라가 지역 정치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42] 그러나 테페 가우라는 우루크가 상 메소포타미아로 확장되기 전에 쇠퇴했다.[42]

4. 3. 아나톨리아 남동부

하지네비 테페, 삼사트, 쿠르반 횔류크, 아르슬란테페, Tepecik – Çiftlik Höyüğü|테페지크 치프트릭tr 등에서 우루크 문화의 영향이 발견된다. 아르슬란테페는 지역 권력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이는 기념비적인 단지로, 후기 우루크 문화의 영향을 받은 봉인이 발견되었다.[45] 이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에서 멀어질수록 우루크의 영향력이 점점 희미해진다.[46][47]

유적지위치특징주요 유물
하지네비 테페샨르우르파 근처 비레지크, 상업로 교차로현지인 다수 거주, 메소포타미아 남부 출신 거주지 추정경사형 림 볼, 점토 원뿔 모자이크, 테라코타 낫, 원통형 인장, 비문 점토판[43]
삼사트유프라테스 강 계곡, 수력발전 댐 건설로 침수벽 모자이크의 점토 원뿔 조각
쿠르반 횔류크유프라테스 강 계곡, 삼사트 남쪽삼분 건물우루크 특징적인 점토 원뿔, 도자기[44]
아르슬란테페말라티아 교외기원전 4천년기 전반 사원 C 지배, 기원전 3500년경 기념비적 단지 대체후기 우루크 문화 영향 받은 봉인 다수[45]
Tepecik – Çiftlik Höyüğü|테페지크 치프트릭tr치프트릭, 니데 근처우루크 영향 받은 도자기[46][47]


5. 우루크 팽창

우루크 문화의 특징이 시리아 북부에서 이란 고원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면서, 이를 '우루크 팽창'으로 보게 되었다. 우루크 팽창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현대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수사(Susa) 주변 지역은 메소포타미아 남부 바로 옆에 위치해 있으며, 기원전 5천년기부터 강력한 영향을 받았다. 기원전 4천년기 후반에는 정복이나 점진적인 문화 동화의 결과로 우루크 문화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지만, 자체적인 고유한 특성을 유지했다.[30] 수사의 우루크 시대 유적은 수사 I (기원전 4000–3700년경)과 수사 II (기원전 3700–3100년경)로 불리며, 이 기간 동안 그 유적지는 도시 정착지가 되었다. 수사 I 시대에는 '고대 테라스' 건설과 함께 유적지에 기념비적인 건축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수사 II 시대에 약 60m x 45m로 증가했다. 이 유적지에서 발견된 물건들은 우루크 시대의 예술과 행정 및 문자의 시작에 대한 가장 중요한 증거이다. 수사 I 및 수사 II의 원통형 인장은 매우 풍부한 도상학을 가지고 있으며, 일상 생활의 장면을 독특하게 강조하는 반면, P. 아미에는 후기 우루크의 '제사장-왕'보다 앞선 '원시 왕족'으로 보는 일종의 지역 권력자도 존재한다.[31] 이 원통형 인장, 불라와 점토 토큰은 기원전 4천년기 후반 수사에서 행정 및 회계 기술의 부상을 나타낸다. 수사는 또한 가장 오래된 문자기록 중 일부를 산출하여 문자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유적지가 되었다. 자파라바드(Jaffarabad)와 초가 미쉬(Chogha Mish)와 같이 수시아나의 다른 유적지에서도 이 시대에 속하는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된다.[32]

더 북쪽 자그로스 산맥에서는 캉가바르 계곡의 고딘 테페(Godin Tepe) 유적이 특히 중요하다. 이 유적의 레벨 V는 우루크 시대에 속한다. 중앙 안뜰을 중심으로 여러 건물이 배치된 타원형 벽의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북쪽에는 공공 건물일 수 있는 대형 구조물이 있다. 이 유적의 물질 문화는 후기 우루크 및 수사 II의 물질 문화와 공유하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딘 테페의 레벨 V는 수사 및/또는 메소포타미아 남부 상인들이 상업로, 특히 이란 고원과 아프가니스탄주석 및 라피스 라줄리 광산과 관련된 상업로에 유적지가 위치하는 데 관심을 갖고 세운 곳으로 해석할 수 있다.[33] 더 동쪽으로, 카샨 근처의 테페 시알크(Tepe Sialk)는 레벨 III에서 우루크 문화와의 명확한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지만, 모서리가 깎인 그릇은 엘부르즈 산맥의 테페 가브리스탄(Tepe Ghabristan)과 더 남동쪽의 마흐토타바드까지 발견된다.

이 지역에서 우루크 문화의 후퇴는 원 엘람 문명이라는 특정한 현상을 초래했으며, 이는 텔-에 말리안(Tell-e Malyan)과 수시아나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우루크 문화가 이란 고원과의 연관성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35][36]

텔 브락(Tell Brak), 시리아의 유적


하부르 강(유프라테스 강) 계곡에 위치한 텔 브락(Tell Brak)은 기원전 5천 년기부터 중요한 도시 중심지였으며, 전성기에는 110헥타르가 넘는 규모로 우루크 시대의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다. 이 시대의 일부 주거지와 우루크 시대의 전형적인 토기가 발견되었지만, 가장 주목받는 것은 분명히 종교적 목적으로 사용된 일련의 기념물들이다. '눈 사원' (최종 단계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은 테라코타 원뿔로 장식된 벽으로 모자이크를 이루고, 색색의 돌로 상감 세공이 되어 있으며, 제단으로 추정되는 플랫폼은 금박, 청금석, 은못, 흰 대리석으로 장식된 중앙 T자형 방에 위치해 있다. 가장 놀라운 발견은 이 건물에 이름을 부여한 200개 이상의 "눈 형상"이다. 이 형상들은 거대한 눈을 가지고 있으며, 분명히 헌납된 유물이다. 텔 브락에서는 또한 숫자판과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것과 비교하여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두 개의 상형 문자 판이 발견되어, 독자적인 지역 필기 전통이 있었음을 시사하는 기록 증거가 발견되었다.[39] 텔 브락의 동쪽에는 1999년에 발굴이 시작된 하무카르(Hamoukar)가 있다.[40] 이 광대한 유적지에서는 상부 메소포타미아의 우루크 문화의 영향 아래 있는 유적지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증거(토기, 인장)와 함께, 텔 브락과 마찬가지로 우루크 시대에 이 지역에 중요한 도시 중심지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더욱 동쪽으로 가면, 이라크의 텔 알-하와(Tell al-Hawa) 유적에서도 하부 메소포타미아와의 접촉 증거가 나타난다.

아나톨리아 남동부의 유프라테스 강 계곡에서 여러 유적지가 발굴되었으며, 이곳은 유프라테스 중류의 우루크 유적지 인근 지역이다.[37] 현대 비레지크 근처, 샨르우르파에 위치한 하지네비 테페는 G. 스타인이 발굴했으며, 몇몇 중요한 상업로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었다. 경사형 림 볼은 B1 단계(기원전 3800/3700년경)부터 나타나며, 점토 원뿔 모자이크, 테라코타 낫, 원통형 인장 패턴이 새겨진 회계 불라, 비문 점토판 등 후기 우루크의 특징을 나타내는 다른 물체들과 함께 B2 단계(기원전 3700~3300년)에도 존재한다. 이 유물들은 현지 도자기와 공존하며, 현지 도자기는 전반적으로 우위를 점한다. 이 유적지 발굴자는 현지인 다수와 함께 이 유적지에 거주했던 메소포타미아 남부 출신 사람들이 거주한 거주지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43]

삼사트 지역(유프라테스 계곡)에서도 다른 유적지가 발굴되었다. 수력발전 댐 건설로 인해 지역이 침수되기 전, 급하게 진행된 구제 발굴을 통해 삼사트에서 우루크 유적이 발견되었다. 벽 모자이크의 점토 원뿔 조각이 발견되었다. 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쿠르반 횔류크에서도 우루크의 특징적인 점토 원뿔과 도자기가 삼분 건물에서 발견되었다.[44]

더 북쪽으로 가면, 말라티아 교외에 위치한 아르슬란테페 유적지는 동부 아나톨리아에서 이 시기의 가장 주목할 만한 유적지이다. M. 프란지파네가 발굴했다. 기원전 4천년기 전반에 이 유적지는 발굴자들이 '사원 C'라고 부르는 건물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이 건물은 플랫폼 위에 세워졌다. 이 건물은 기원전 3500년경에 버려졌고, 지역 권력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이는 기념비적인 단지로 대체되었다. 후기 우루크 문화는 분명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이 유적지에서 발견된 수많은 봉인에서 가장 명확하게 볼 수 있는데, 그 중 다수는 메소포타미아 남부 양식이다. 기원전 3000년경, 이 유적지는 화재로 파괴되었다. 기념물은 복원되지 않았고, 남캅카스를 중심으로 한 쿠라-아락세스 문화가 이 유적지의 지배적인 물질 문화가 되었다.[45] 더 서쪽으로 가면, 치프트릭, 니데 근처의 Tepecik – Çiftlik Höyüğü|테페직 – 치프트릭 회위위tr 유적지에서도 우루크의 영향을 받은 도자기가 발견되었다.[46][47] 그러나 이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에서 멀어질수록 우루크의 영향력이 점점 더 희미해진다.

6. 이집트와의 관계

이집트-메소포타미아 관계는 기원전 4천년기부터 발전한 것으로 보이며, 메소포타미아의 우루크 시대와 선사 이집트의 문자 이전 시대인 게르제 문화 (기원전 약 3500-3200년)에 시작되었다.[71][72] 이집트의 시각 예술, 수입품, 그리고 메소포타미아에서 이집트로의 문자 전파 가능성 등에서 영향을 찾아볼 수 있으며,[72] 두 문화의 초기 단계에서 "심오한" 유사성을 만들어냈다.[67]

7. 사회와 문화

우루크 시대는 선사 시대와 역사의 경계에 있는 시기로, 여러 면에서 '혁명적'이고 기초적인 시기였다. 이 시대에 등장한 많은 혁신은 메소포타미아와 세계사의 전환점이었다.[73] 물레, 문자, 도시, 국가의 일반적인 모습이 나타났으며, 사회는 전문가들에 의해 '복잡한' 사회로 분류될 정도로 발전했다.[73]

학계는 이 시기를 사회 진화의 중요한 단계로 간주한다. 특히 1970년대부터 영어권 학계에서는 인류학의 이론적 접근 방식에 영향을 받아 '복잡성'의 관점에서 우루크 시대를 연구해 왔다.[74] 이들은 초기 국가의 등장, 사회 계층의 확장, 장거리 무역의 심화 등을 분석한다.

이 시기를 고대 근동 역사의 중요한 단계로 만드는 주요 발전은 주로 중심지인 하부 메소포타미아와 거기에서 시작된 문명에 통합된 이웃 지역(특히 유프라테스 중류의 '식민지')의 유적을 통해 연구된다. 이 시대의 특징은 대부분 후기 우루크 시대에 확립되었는데, 이 시기가 가장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괴물 사자와 사자 머리 독수리가 새겨진 원통형 인장의 현대 점토 인상, 메소포타미아, 우루크 시대 (기원전 4100년–기원전 3000년). 루브르 박물관.

7. 1. 기술과 경제

기원전 4천년기는 경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새로운 도구들이 등장한 시기였다. 이 도구들 중 일부는 이전 시대에도 알려져 있었지만, 이 시기에 대규모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발명품들은 정치 구조와 행정 국가의 출현과 결합하여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물레를 사용한 도자기 제작은 이전보다 훨씬 더 효율적으로 대량생산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양모 가공 기술의 발전은 섬유 생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린넨 대신 양모를 사용하게 되면서 섬유 산업이 크게 발전하였다.[83] 특히 양 사육이 확대되면서 제도적인 틀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83] 전환 농법과 같이 양을 위한 목초지를 밭에 도입하고, 메소포타미아 주변의 언덕과 산악 지대에서 이동식 목축을 하는 등 농업 방식도 변화하였다. 아마 재배가 줄어들면서 곡물과 참깨를 재배할 땅이 더 확보되었는데, 참깨는 참기름을 제공하여 아마를 대체하는 수익성 있는 작물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원통형 인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섬유 산업의 발전을 이끌었다. 양모는 보리와 함께 노동자에게 제공되는 필수 식량이 되었기 때문에, '양모 사이클'은 '보리 사이클'과 함께(마리오 리베라니가 사용한 용어) 가공과 재분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경제에 두 개의 주요 산업을 제공하고 대규모 시스템의 경제 발전을 이끌었다. 또한, 양모는 부패하기 쉬운 식품과 달리 쉽게 수출할 수 있었기 때문에, 메소포타미아인들이 다른 지역과 교역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었다.[84]

7. 1. 1. 농업과 목축

우바이드 시대 말기와 우루크 시대에 걸쳐 농업 분야에서는 여러 중요한 혁신이 일어났는데, 이를 통틀어 '제2차 농업 혁명'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첫 번째 농업 혁명은 신석기 혁명이었다.)[75] 우선 곡물 재배 분야에서 큰 발전이 있었다. 기원전 4천 년대 말에는 나무로 만든 쟁기가 발명되었는데, 동물(당나귀나 황소)이 쟁기를 끌어 땅에 긴 밭고랑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75] 덕분에 씨를 뿌리는 시기에 농사일이 훨씬 쉬워졌다. 이전에는 괭이 같은 도구로 손수 땅을 파서 씨를 뿌려야 했다. 우바이드 시대 이후에는 테라코타로 만든 이 널리 사용되면서 수확도 더 쉬워졌다. 관개 기술 역시 우루크 시대에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여러 발명품 덕분에 고대 하(下) 메소포타미아 지역에는 새로운 농업 경관이 점차적으로 만들어졌다. 새로운 농업 경관은 밭고랑에서 작업하기 좋도록 긴 직사각형 모양의 밭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밭마다 작은 관개수로가 경계를 이루고 있었다. M. 리베라니의 주장에 따르면, 이러한 새로운 밭은 예전에 손으로 힘들게 물을 대던 분지형 밭을 대체하였다.[76] 대추야자의 경우,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기원전 5천 년에 메소포타미아 남부 지역에서 사람들이 대추야자를 먹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추야자를 처음 재배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일반적으로 대추야자 나무 재배는 후기 우루크 시대에 발전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기록이 명확하지 않다.[77]

2천 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점진적으로 발전한 이 농업 시스템은 더 많은 수확량을 가능하게 했다. 그 결과 노동자들은 이전보다 더 많은 잉여 생산물을 얻게 되었는데, 이들의 주식은 주로 보리였다.[78] 이제는 임금을 주고 노동자를 고용하여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인적, 물적, 기술적 자원이 확보되었지만, 여전히 가족 단위의 농업이 기본이었다. 이 모든 것은 인구 증가와 도시화, 그리고 국가 구조의 발전을 이끌었다.[79]

원통형 인장과 인상: 소 우리에 있는 소 떼. 백색 석회암, 메소포타미아, 우루크 시대 (기원전 4100년~3000년).


우루크 건초통, 소와 마구간을 보여줍니다. 기원전 3300-3000년경, 대영 박물관


우루크 시대에는 유목 분야에서도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이 시기에 야생 아시아 당나귀가 마침내 당나귀로 가축화되었다. 당나귀는 이 지역에서 최초로 가축화된 말과 동물이었으며, 근동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운반 동물이 되었다. (참고로, 단봉낙타는 기원전 3천 년에 아라비아에서 가축화되었다.) 당나귀는 사람보다 두 배나 많은 짐을 운반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단거리 및 장거리 무역이 더욱 발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80][81] 이미 가축화된 동물(양, 말, 소)을 기르는 기술 또한 더욱 발전했다. 이전에는 이 동물들을 주로 고기를 얻기 위해 길렀지만, 이제는 양모, 모피, 가죽, 우유와 같은 생산물과 운반 동물로서의 가치가 더 중요해졌다.[82] 특히 소는 쟁기가 등장하면서 밭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고, 당나귀는 물건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7. 1. 2. 수공업과 건설

물레가 발명되면서 도자기 생산량이 크게 늘었고, 형태는 단순해졌다. 양모 가공 기술이 발전하면서 섬유 생산에서 린넨 대신 양모가 많이 쓰이게 되었고, 이는 섬유 산업의 발전을 이끌었다.[83][84] 건축 기술도 발전하여, 이 시기에는 대규모 기념비적 건축물이 건설되었다. 전차의 바퀴는 통나무를 깎아 만든 덩어리였으며, 바퀴살은 기원전 2000년경에 발명되었다.

7. 1. 3. 운송 수단

바퀴의 발명 여부는 논쟁의 대상이다.[91] 우루크 시대 말기에는 원통형 인장에 썰매가 점점 덜 묘사되기 시작했고, 바퀴 달린 것으로 보이는 최초의 차량이 등장한다. 그러나 이것이 실제로 바퀴를 묘사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퀴는 매우 빠르게 퍼져나가 더 큰 짐을 쉽게 운송할 수 있는 차량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기원전 3천년기 초 남부 메소포타미아에는 전차가 있었는데, 이 전차의 바퀴는 통나무 덩어리였으며, 바퀴살은 기원전 2000년경에 발명되었다.

당나귀의 가축화 역시 중요한 발전이었다. 바퀴살 바퀴가 발명되기 전에는 산악 지역과 장거리 여행에서 바퀴보다 더 유용했기 때문이다. 당나귀는 이후 수천 년 동안 근동 지역의 무역을 지배하게 될 카라반 시스템을 가능하게 했지만, 이 시스템은 우루크 시대에는 실제로 증명되지 않았다.[92][81]

하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갈대와 나무로 만든 배가 지역 및 지역 간 운송에 중요했다. 강이 장소를 연결하는 데 중요했고, 육상 운송보다 훨씬 더 큰 짐을 운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93]

7. 2. 도시 국가

젬데트 나스르 시대의 '시민 인장'에는 우루크, 우르, 라르사 등 수메르 도시의 상징이 새겨져 있었다. 이러한 상징들이 함께 나타난 것은 종교적인 목적이나 우루크와 같은 특정 도시의 권위 아래, 남부 메소포타미아 도시들이 일종의 동맹이나 연맹을 맺었음을 시사한다.[95]

7. 2. 1. 국가와 제도

우루크 시대는 기원전 4천년기로, 신석기 시대 이후 근동 사회의 정치 발전에서 새로운 단계를 맞이했다. 이 시기에는 정치 권력이 더 강력하고 조직화되었으며, 중앙 집권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발전은 공간과 예술의 사용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결국 진정한 국가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최초의 도시가 등장하고 다양한 활동을 조직할 수 있는 행정 시스템이 등장한 것도 이 시기의 주요 변화 중 하나이다.

우루크 시대에는 국가의 초기 징후가 나타났다. 기념비적인 건축물은 이전 시대보다 훨씬 웅장해졌다. 예를 들어, 에안나의 '신전 D'는 약 4600 m2의 면적을 차지했는데, 이는 우바이드 시대의 가장 큰 신전인 에리두 VI 단계의 280 m2와 비교하면 상당히 커진 것이다. 이러한 규모 변화는 중앙 권력이 인적, 물적 자원을 동원하는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무덤에서도 부의 차별화가 심화되고, 엘리트 계층이 강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들은 무역을 통해 위신 상품을 획득하고, 전문화된 장인을 고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려 했다.

우루크 시대의 정치 조직 형태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우루크를 중심으로 하는 '원시 제국'이 발전했다는 증거는 부족하다. 젬데트 나스르 시대의 '시민 인장'은 우루크, 우르, 라르사 등 수메르 도시들의 동맹 또는 연맹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95]



이 시대에는 사회의 정치 조직에 큰 변화가 있었다. 권력자의 본질은 명확하지 않지만, 석비와 원통 인장에는 '사제-왕'으로 추정되는 중요한 인물이 묘사된다. 이 인물은 턱수염을 기르고 머리띠를 한 남자로, 종종 전사나 종교적 활동을 주도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99] 학자들은 이 인물이 메소포타미아 군주제 유형의 권력을 대표하는 '사제-왕'일 수 있다고 추정한다.[100][101]

엘리트들은 종교적 중재자 역할을 하며 권력을 강화하고, 왕권 이데올로기를 발전시켰다. 그들은 희생 의식과 축제를 통해 사회 질서의 기초로서 상징적 기능을 보장했다. 당시 메소포타미아 이데올로기에 따르면, 인간은 신을 섬기기 위해 창조되었으며, 사회 번영을 위해서는 신의 호의가 필요했다.[102]

최초 국가의 종들: 우루크에서 나온 거대한 설화 석고 꽃병인 와르카 꽃병에 제물을 운반하는 사람들, 이라크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Iraq).


후기 우루크 시대의 태블릿에는 제도(신전 또는 궁전)의 존재가 드러난다.[103] 이들은 사회, 경제,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가장 큰 제도에는 여러 '부서'가 있었고, 전문화된 노동자를 지원했다.[105][106] 그러나 이 제도가 생산을 중앙 집권화하여 대다수 인구를 감독했다는 증거는 없다. 경제는 다양한 규모의 '가옥' 집단에 의존했으며, 이들은 서로 상호 작용했다.[107]

7. 2. 2. 도시화

우루크 시대에는 일부 정착지가 도시로 발전하면서 인구 밀도가 높아지고, 기념비적인 시민 건축물이 발전하였다. 이는 '도시 혁명'으로 특징지어지며, 국가 출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도시 출현 원인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존재하는데, 일부 학자들은 종교 중심지 또는 장거리 무역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다른 학자들은 국가와 제도의 출현을 도시 발달의 주요 원인으로 본다.[116]

메소포타미아 하류 외부에서 이루어진 발굴은 도시화가 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되어 인접 지역으로 확산되었다는 생각을 반박한다. 특히 자지라 지역의 텔 브락과 같은 유적에서는 도시 중심지가 강력한 중앙 권력 없이도 마을 공동체의 점진적인 결합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69][68][117]

하부바 카비라와 제벨 아루다는 ''무에서'' 만들어진 계획 도시로, 도시 계획의 발전을 보여준다. 하부바 카비라는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주요 거리와 좁은 골목길, 안뜰을 중심으로 배치된 주거 단지로 구성되었다.

하부바 카비라 주택의 일부 재구성, 이동 가능한 재산 포함, 페르가몬 박물관.


주택 연구를 통해 사회적 분화와 주거 공간의 변화를 알 수 있다. 하부바 카비라 유적의 주택들은 다양한 크기를 보이며, 이는 사회적 위계질서를 나타낸다. 또한, 주택은 중앙 공간을 중심으로 방들이 배치되어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이 분리되었는데, 이는 도시 사회에서 가구 외부와의 관계가 멀어짐에 따라 나타난 변화이다.[118]

7. 2. 3. "상징적 기술", 회계, 관료제

우루크 시대에는 "상징적 기술"이 발전하여 복잡한 인간 사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되었다.[119] 기관과 가구의 출현은 행정 도구, 회계 도구의 발전을 동반했다. Scribe dans le Proche-Orient ancien|lt=scribal class프랑스어는 관료제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대규모 기관에서 활동했다.[120]

원시 설형 문자 그림 문자(기원전 4천년 말), 우루크 III.


원통형 인장은 점토 봉투와 태블릿을 봉인하고, 물건과 상품의 진위를 인증하는 데 사용되었다. 회계 도구로는 토큰과 토큰이 들어 있는 점토 봉투가 사용되었다. 글쓰기의 발달은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장기적으로 기록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관리 도구를 나타냈다.[124] 측정 대상에 따라 다양한 측정 시스템이 개발되었다.[125]

봉인은 재고되거나 교환된 상품을 확보하고, 저장 구역을 확보하며, 관리자 또는 상인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었다. 기원전 7천년 중반부터 증명되며, 기관과 장거리 무역의 발달과 함께 그 사용이 널리 퍼졌다. 우루크 시대에 발명된 원통형 인장 (점토 위에 굴려 그 안에 기호를 새길 수 있는 모티프가 새겨진 원통)은 단순한 봉인을 대체했다. 점토 봉투와 태블릿을 봉인하고 물건과 상품의 진위를 인증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봉인을 적용한 사람 또는 그들이 대표하는 기관의 서명처럼 기능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통형 인장은 수천 년 동안 근동 문명의 특징적인 요소로 남아 있었다. 더 상세한 이미지, 즉 서사 구조와 아마도 마법적 요소를 갖춘 메시지를 제공하는 가능성에 있었다.[122]

우루크 시대에는 또한 회계 도구로 보이는 것, 즉 토큰과 토큰이 들어 있는 점토 봉투가 개발되었다. 이것들은 원통형 인장이 굴러진 점토 공으로, 토큰 (또는 ''계산자'')이 들어 있다. 후자는 공, 원뿔, 막대, 디스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각 모델은 특정 수치 값 또는 특정 유형의 상품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은 기관 관리 (상품 도착 및 출고) 또는 상업 운영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정보를 다른 장소로 보낼 수 있게 했다. 이 ''계산자''는 아마도 근동 지역에서 발견된 토큰과 동일한 유형일 것이며, 그 기능은 불확실하다. ''계산자''가 들어 있는 점토 공 표면에 노치가 배치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이는 진정한 글쓰기가 개발되기 전에 ''기억 보조'' 역할을 하는 숫자 태블릿의 생성을 이끌었다.[123][133][134]

글쓰기는 회계 관행에서 파생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장기적으로 기록할 수 있게 해주었다.[124] 이러한 행정 관행의 발달은 측정 대상 (동물, 노동자, 양모, 곡물, 도구, 도자기, 표면 등)에 따라 다양한 측정 시스템의 개발을 필요로 했다. 그들은 매우 다양하다. 일부는 이후 시대에 보편적인 시스템이 될 60진법 (60을 기반으로 함)을 사용하지만, 다른 일부는 십진법 (10을 기반으로 함) 또는 '이중60진법'이라고 하는 혼합 시스템을 사용하며, 이 모든 것이 텍스트를 이해하기 더 어렵게 만든다.[125] 시간 계산 시스템 역시 후기 우루크 시대의 기관 서기관에 의해 개발되었다.[126]

7. 3. 지적, 상징적 생활

우루크 시대의 사회 발전은 정신적, 상징적 영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문자의 등장은 국가 관리의 필요성에서 비롯되었지만, 지적 변화를 가져왔다. 예술은 권력에 의해 형성된 사회를 반영했고, 종교 의례는 이전보다 더 웅장해졌다. 이 시기 종교적 사상은 여전히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7. 3. 1. 문자

문자는 초기 우루크 시대 중기에 나타나 후기 우루크 시대와 젬데트 나스르 시대에 걸쳐 더욱 발전하였다.[128] 최초의 점토판은 우루크 IV기(Eanna 지역에서 거의 2000개의 점토판이 발견됨)에서 발견되었으며, 수사 II기에서도 일부 발견되었는데, 이는 숫자 기호로만 구성되어 있다.[129]
젬데트 나스르 시대에는 더 많은 유적지에서 문자의 증거가 발견되었다. 대부분은 우루크 III기(약 3000개의 점토판)에서 발견되었지만, 젬데트 나스르, 텔 우케르, 움마, 하파제, 텔 아스마르, 니네베, 텔 브라크, 하부바 카비라 등에서도 발견되었다.[129] 이 시대의 텍스트는 주로 행정적인 유형이며 개인적인 맥락보다는 공공적인 맥락(궁궐 또는 사원)에서 주로 발견된다. 그러나 이 시대 전체 문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우루크의 텍스트는 생산 및 사용된 맥락이 아닌 쓰레기 더미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식별하기 어렵다. 또한 고풍스러운 특성 때문에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문자는 아직 쐐기 문자가 아니며 선형적이다.[131] 행정 텍스트와 함께, 문자 초창기부터 일부 문학 텍스트, 즉 학문적인 유형의 사전적 작품인 어휘 목록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다양한 주제(장인 목록, 금속, 항아리, 곡물, 지명 등)에 따라 기호를 분류하며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특징이다. 주목할 만한 예는 다양한 종류의 장인(도공, 직조공, 목수 등)을 나열하여 후기 우루크 시대의 수많은 종류의 전문 노동자를 나타내는 ''직업 목록''(기원전 3천년기부터 알려진 ''Lú.A'' 연대기의 조상)이다.[132]

문자의 기원에 대한 원인과 과정은 논쟁의 대상이다. 지배적인 이론은 위에서 언급한 ''계산석''과 같은 더 오래된 회계 관행에서 유래한다고 본다. 데니스 슈만트-베세라트가 개발한 모델에 따르면, 토큰은 처음에는 점토 봉투에 기록되었고, 그 다음에는 점토판에 기록되었으며, 이는 최초의 문자 기호인 실제 물체를 나타내는 그림 (로고그램, 기호 하나 = 단어 하나)인 상형 문자의 창조로 이어졌다.[133] 그러나 이것은 토큰과 이를 대체한 상형 문자 간의 명확한 일치점이 없기 때문에 매우 논쟁적이다.[134]

장-자크 글래스너가 옹호하는 더 최근의 이론은 처음부터 문자가 단순히 관리 도구 그 이상이었다고 주장한다. 즉, 개념과 언어(예: 수메르어)를 기록하는 방법이기도 했는데, 이는 발명 당시 기호가 실제 물체(상형 문자)뿐만 아니라 아이디어(이데올로그램)와 관련 소리(음소 문자)도 나타냈기 때문이다. 이 이론은 문자를 세상이 인식되는 방식의 변화를 초래하는 급진적인 개념적 변화로 제시한다.[136]

7. 3. 2. 예술

우루크 시대의 예술은 이전 시대보다 눈에 띄게 발전했다. 특히, 예술 분야에서 큰 변화가 나타났다. 물레의 발달로 도자기 형태는 단순해졌지만,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채색된 도자기는 줄어들고 장식도 단순해졌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엘리트 계층이 성장하면서, 예술가들은 조각과 같은 새로운 표현 수단을 활용하게 되었다. 특히, 원통형 인장은 중기 우루크 시대에 처음 등장하여 중요한 예술 형식이 되었다.[138]

우루크에서 발견된 여성의 두상, '와르카의 가면'.


이 시대 예술은 이전보다 현실적인 특징을 보였다. 특히 수사(레벨 II)에서 발견된 원통형 인장과 인쇄물에서 인간이 중심이 되어 일상생활을 묘사한 장면이 나타난다. 여기에는 농업, 수공업(도자기, 직조) 등 평범한 사람들의 모습도 포함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메소포타미아 예술의 전환점으로, 인간 또는 인간의 형태를 중시하는 '인본주의적' 변화를 보여준다.[139] 우루크 시대 말기에는 신을 인간 형태로 묘사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우루크 꽃병에 묘사된 여신 이난나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실제 동물과 환상적인 동물도 인장에 자주 등장했다.[140]

조각은 인장의 양식과 주제를 따랐으며, 신이나 '사제-왕'을 표현한 작은 조각상이 제작되었다. 우루크 예술가들은 에안나(젬데트 나스르 시대) 레벨 III의 ''Sammelfund''(보물)에서 발견된 작품들과 같이 주목할 만한 작품들을 만들었다. '사냥 석비'나 여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남자를 묘사한 설화 석고 꽃병과 같은 부조는 군사적 업적을 수행하고 종교 의식을 관리하는 권위 있는 인물을 보여준다. 와르카의 가면은 현실적인 비율로 조각된 여성 두상으로, 우루크 III 시대 예술가들의 뛰어난 작품 중 하나이다.[141]

7. 3. 3. 종교

후기 우루크 시대의 종교는 이해하기 매우 어렵다. 우루크의 에안나 지역을 포함하여 숭배 장소를 고고학적으로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건물의 숭배 재단은 백색 신전, 에리두, 텔 우카이르의 신전 등 후기 시대의 건물들과 유사성을 바탕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곳에서 제단과 물웅덩이 같은 종교 시설이 발견되었고, 신들이 신전에서 숭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143] 신전은 '집'을 의미하는 기호(É)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신의 지상 거처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종교 관련 인원('사제')은 일부 텍스트에 나타난다.

점토판에서 가장 잘 확인되는 인물은 MÙŠ 기호로 지정된 여신, 즉 우루크의 위대한 여신인 이난나(나중의 이슈타르)이며, 그녀의 성소는 에안나에 있었다.[144] 우루크의 다른 위대한 신인 아누 (하늘)는 일부 텍스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지만, 확실하지 않다. 이러한 신들은 일상적인 숭배뿐만 아니라 축제 의식에서도 다양한 제물을 받았다. 우루크의 거대한 꽃병은 여신 이난나에게 제물을 바치는 행렬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4천년기의 종교적 믿음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토르킬드 야콥센은 자연과 풍요의 순환과 관련된 신들에 초점을 맞춘 종교를 제시했지만, 이는 매우 추측적인 내용이다.[145]

다른 분석에 따르면 젬데트 나스르 시대 수메르 도시에서 여신 이난나와 우루크의 그녀의 성소 숭배에 초점을 맞춘 집단 숭배가 존재했으며, 이난나는 탁월한 지위를 가졌다.[95] 신들은 특정 도시와 연관되어 있었다. 부와 재산을 생산하거나 수집하는 능력에 의존하고 왕족이 통제하는 것으로 보이는 기관과 관료제에 둘러싸인 숭배의 존재는, 소스에서 보이는 종교가 공식 종교였음을 나타내며, 여기서 희생 행위는 인간과 신 사이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02]

8. 우루크 시대의 종말

기원전 4천년 말, 우루크 중심부의 작은 정착지들은 버려졌고 도시 중심지는 그 크기가 증가했다. 에안나 구역 또한 재구조화를 겪었다. 한편, 우루크의 영향력은 북부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이란에서 감소했다.[147]

붕괴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일부에서는 피오라 진동을 원인으로 보는데, 이는 기후 변화에 따른 온도 감소와 강수량 증가가 특징이다.[146][147] 다른 이들은 동셈족 부족의 침입을 원인으로 본다.[148]

우루크의 유산은 쐐기 문자의 발전과 길가메시 서사시[147] 및 대홍수와 같은 신화의 대중화를 통해 보존되었다.[146]

참조

[1] 인용
[2] 인용
[3] 인용
[4] 웹사이트 Cuneiform Digital Library Initiative http://cdli.ox.ac.uk[...] 2020-04-27
[5] 인용
[6]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2019-03-31
[7] 서적 The Study of the Ancient Near East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William Foxwell Albright Centennial Conferenc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996
[8]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2019-04-01
[9] citation Secrets of the dark mound: Jemdet Nasr 1926–1928 BSAI
[10] 인용
[11] 인용
[12] 간행물 Jamdat Nasr: period or regional style ? Wiesbaden 1986
[13] 간행물 Uruk Mesopotamia and its neighbours : cross-cultural interactions in the era of state formation Santa Fe 2001
[14] 인용
[15] 인용
[16] 인용
[17] 인용
[18] 간행물 Heartland of Cities Chicago 1981
[19] 인용
[20] 인용
[21] 인용
[22] 서적 Uruk: First City of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19
[23] 인용
[24] 인용
[25] 인용
[26] 논문 "Uruk Pottery: A Comparative Study in relation to recent Finds at Eridu" 1948
[27] 인용
[28] 논문 "Household Production at the Uruk Mound, Abu Salabikh, Iraq" 1996
[29] 인용
[30] 간행물 Suse 2002
[31] 논문 "Glyptique susienne archaïque" 1957
[32] 논문 "Regional Perspectives on Southwest Iranian State development" 1985
[33] 논문 "Merchants of Susa: Godin V and plateau-lowland relations in the late Fourth Millennium B.C." 1975
[34] 논문 "Sialk III and the Pottery Sequence at Tepe Ghabristan: The Coherence of the Cultures of the Central Iranian Plateau" 1981
[35] 인용
[36] 서적 "L'âge des échanges inter-iraniens, 3500–1700 av. J.-C." Réunion des musées nationaux 1986
[37] 논문 2004
[38] 논문 2003
[39] 간행물 "Inscriptions from Tell Brak 1984" 1985
[40] 웹사이트 The Hamoukar Expedition http://oi.uchicago.e[...] 2013-04-17
[41] 간행물 "Archaic Nineveh" 1983
[42] 논문 1996
[43] 문서 Summary of the campaign and interpretation 1999
[44] 간행물 "Cultural interaction at Hassek Höyük, Turkey, New evidence from pottery analysis" 1999
[45] 서적 "Alle origini del potere : Arslantepe, la collina dei leoni" 2004
[46] Webarchive "World Systems Theory and Alternative Modes of Interaction in the Archaeology of Culture Contact.” https://www.academia[...] 2022-06-15
[47] Webarchive "Uruk Migrants in the Caucasus" https://citeseerx.is[...] 2023-03-26
[48] 서적 The Sumerian World Routledge
[49] 문서 Sheikh Hassan is now partly submerged; the other 3 sites are completely submerged as a result of the modern dam construction. Three of these sites can be seen on the map in this section of the article.
[50]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51] 서적 The Sumerian World Routledge
[52] 논문 "The Uruk Expansion: Cross Cultural Exchange in Early Mesopotamian Civilization" 1989
[53] 논문 2003
[54] 간행물 "Initial Social Complexity in Southwestern Asia: The Mesopotamian Advantage" 2001
[55] 서적 The Art of Elam CA. 4200–525 B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
[56] 웹사이트 Louvre Museum Sb 2125 https://www.louvre.f[...] 2020-07-17
[57]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Sb 2125 http://cartelfr.louv[...] 2020-07-17
[58] 서적 Ancient Near Eastern Art in Context: Studies in Honor of Irene J. Winter by her Students https://books.google[...] BRILL 2007
[59] 간행물 "Learning the Lessons of the Future: Trade in Prehistory through a Historian's Lens" 2004
[60] 논문 2003
[61] 논문 2003
[62] 논문 2003
[63] 논문 2004
[64] 간행물 "Contacts between the 'Uruk' world and the Levant during the fourth millennium BC: evidence and interpretation" 2002
[65] 서적 "Aux origines de l'Égypte, Du Néolithique à l'émergence de l'État" 2003
[66]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University Press 1992
[67]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Egyptian Ar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4
[68] 논문 2003
[69] 간행물 "Early urban development in the Near East" 2007-08
[70] 서적 A Companion to World History John Wiley & Sons
[71] 서적 The Dictionary of Ancient Egypt British Museum Press 1995
[72] 웹사이트 Earliest Egyptian Glyphs https://archive.arch[...]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12-02-29
[73] 간행물 The Breakout: The Origins of Civilization Cambridge MA 2000
[74] 서적 The archaeology of Mesopotamia : Theories and approaches Routledge 2003
[75] 간행물 Outils
[76] 간행물
[77] 논문 Date palm and date palm inflorescences in the Late Uruk period (c. 3300 BC): botany and archaic script 2019
[78] 간행물
[79] 간행물
[80] 간행물 Équidés
[81] 간행물
[82] 논문 Plough and pastoralism: aspects of the secondary products revolution Cambridge 1981
[83] 간행물
[84] 간행물
[85] 간행물
[86] 간행물 Dictionnaire illustré multilingue de la céramique du Proche-Orient ancien Lyon 1985
[87] 논문 Aspects of early metallurgy in Mesopotamia 1991
[88] 간행물
[89] 간행물 Pierre
[90] 서적 La brique et sa mise en œuvre en Mésopotamie, Des origines à l'époque achéménide Paris 1998
[91] 간행물 Véhicules
[92] 간행물 Caravane
[93] 간행물
[94] 간행물
[95] 간행물
[96] 서적 Art of the First Cities: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3
[97] 웹사이트 Vorderasiatisches Museum Berlin http://repository.ed[...] 2019-04-02
[98] 웹사이트 Vorderasiatisches Museum Berlin http://repository.ed[...] 2019-04-02
[99] 간행물
[100] 서적 History, Texts and Art in Early Babylonia Berlin and Boston 2017
[101] 간행물
[102] 간행물
[103] 서적 La Mésopotamie, Portrait d'une civilisation Paris 1970
[104] 간행물
[105] 간행물
[106] 서적 is a complete study of all the administrative sectors attested in texts from Late Uruk. 1998
[107] 서적 B. Lafont in 1999–2002
[108] 서적 2000
[109] 논문 Household Production at the Uruk Mound, Abu Salabikh, Iraq 1996
[110] 서적 La Révolution néolithique dans le monde 2009
[111] 서적 "The State: The Process of State Formation as Seen from Mesopotamia," S. Pollock and R. Bernbeck (ed.), ''Archaeologies of the Middle East: critical perspectives'' Malden and Oxford 2005
[112] 서적 Art of the first cities :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https://archive.org/[...]
[113] 서적 The Looting Of The Iraq Museum Baghdad The Lost Legacy Of Ancient Mesopotamia https://archive.org/[...] 2005
[114] 서적 Urban Social Transformations and the Problem of the 'First City': New Research from Mesopotamia Washington and London 2003
[115] 논문 The Urban Revolution 1950
[116] 서적 The Ancient Mesopotamian City Oxford 1997
[117] 서적 foregrounds the fact that the model of urbanism in northern Mesopotamia proved less durable than that of the south, since it declined at the beginning of the 3rd millennium BC. 2008
[118] 서적 1996
[119] 서적 The Study of the Ancient Near East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William Foxwell Albright Centennial Conferenc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996
[120] 서적 1998
[121] 서적 1996
[121] 서적 2006
[122] 서적 1998
[122] 서적 2000
[122] 서적 2003
[123] 논문 Les débuts de l'écriture à Suse 1978
[124] 서적 2000
[125] 서적 1998
[126] 서적 1998
[127] 웹사이트 Tablet W 9579, d /VAT 14674 : description on CDLI. https://archive.toda[...]
[128] 서적 2000
[129] 서적 B. Lafont in 1999–2002
[130] 간행물 Elam iii. Proto-Elamite http://www.iranicaon[...] 2018-06-03
[131] 웹사이트 Lien https://archive.toda[...]
[132] 서적 1998
[132] 서적 2000
[133] 서적 Before Writing Austin 1992
[134] 서적 1998
[134] 서적 2000
[135] 서적 « De l'aide-mémoire à l'écriture », dans ''Mésopotamie, l'Écriture, la Raison et les Dieux'' Paris 1997
[135] 서적 1998
[135] 웹사이트 Proto cuneiform http://cdli.ox.ac.uk[...] 2017-05-13
[135] 웹사이트 Proto cuneiform Version II http://cdli.ox.ac.uk[...] 2017-05-13
[135] 서적 2000
[136] 서적 2000
[137] 서적 2000
[138] 서적 2003
[139] 서적 refers to a 'humanist revolution.' 2004
[140] 논문 Animali ed ibridni nel repertorio iconografico della glittica del periodico di Uruk Padoue 2005
[141] 간행물 Benoit 2003
[142] 웹사이트 Tablet W 5233, a/VAT 15245 : description on CDLI. http://www.cdli.ucla[...]
[143] 간행물 Sanctuaires sémitiques Paris 1991
[144] 논문 Offerings for the goddess Inana in archaic Uruk 1993
[145] 서적 The Treasures of Darkness: A History of Mesopotamian Religion New Haven 1976
[146] 문서 Lamb
[147]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Volume I: From the Beginnings to Old Kingdom Egypt and the Dynasty of Akkad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48] 서적 Approaching Chaos: Could an Ancient Archetype Save C21st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John Hunt 2010-01-16
[149]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150]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51]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152]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153]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154] 문서 Sumerian King List
[155]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156] 웹사이트 Basisdaten https://webcache.go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