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 문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 문종(圖帖睦爾, 1304년 ~ 1332년)은 원나라의 황족이자 제9대 황제이다. 원 무종의 조카이자 탕구트족 첩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에 유배 생활을 겪었으며, 예순테무르 칸 사후 킵차크 출신 장군 엘테무르의 지지를 받아 1328년 대도에서 즉위했다. 그러나 곧 형 쿠살라가 몽골과 차가타이 칸국의 지원을 받아 군사를 이끌고 카라코룸으로 진격해오자, 투그테무르는 쿠살라에게 황위를 양위하고 황태자가 되었다. 이후 쿠살라가 갑자기 사망하고 엘테무르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1329년 다시 황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 동안 불교와 유학을 장려하고 학문과 예술을 후원하는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엘테무르의 독재로 인해 정치적 쇠퇴를 겪었다. 1332년 2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엘테무르의 반대와 황후 부다시리의 뜻에 따라 명종 쿠살라의 아들 린친발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 무종의 황자 - 원 명종
    원 명종은 무종 카이산의 아들로, 킵차크 군벌 엘 테무르의 지지를 받아 동생으로부터 제위를 양보받아 원나라의 제9대 황제가 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독살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죽음은 원나라 말기 군벌 정권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천력의 내란'을 야기했다.
  • 탕구트 - 서하
    서하는 1038년부터 1227년까지 중국 북서부에 존재했던 탕구트족의 왕조로, 이원호가 건국하여 송, 요와 대립하며 불교를 숭상하고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몽골 제국 침입으로 멸망했다.
  • 탕구트 - 문헌소성황후
    문헌소성황후는 카이샨의 후궁이자 문종 자야가투 카안의 생모로, 아들 토크 테무르가 문종으로 즉위하면서 황후로 추증되었으며, 그의 즉위는 천력의 내란이라는 정치적 혼란 속에서 이루어져 원나라의 권력 다툼과 황위 계승 분쟁에 영향을 미쳤다.
원 문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자야아투 칸 투그 테무르 (원 문종) 초상화 (원나라 시대)
자야아투 칸 투그 테무르 (원 문종) 초상화 (원나라 시대).
칭호몽골 제국의 제12대 카안 (명목상, 제국의 분할로 인해)
중국의 황제 (제8대 원나라 황제)
이름투그 테무르 ()
전체 이름몽골어:
중국어: 圖帖睦爾
Tüv Tomor/ Tugh Temür
칸호자야아투 칸 (; )
묘호문종(文宗)
시호성명원효황제(聖明元孝皇帝)
연호천력(天曆; "천상의 달력", 1328–1330)
지순(至順; "지극히 순종적", 1330–1332)
통치 기간
1차 통치1328년 10월 16일 – 1329년 2월 26일
2차 통치1329년 9월 8일 – 1332년 9월 2일
대관식1328년 10월 16일
이전 통치자라기바흐 칸
계승자쿠툭투 칸 쿠살라 (1차 통치)
린친발 칸 (2차 통치)
개인 정보
출생일1304년 2월 16일
사망일1332년 9월 2일 (향년 28세)
배우자콩기라드 씨족의 황후 부다시리 (1324–1332년 결혼)
가문
왕가보르지긴
왕조
아버지퀼리그 칸
어머니Zhenge
종교
종교불교

2. 생애

1304년 2월 16일 원나라 황제 성종 테무르의 조카 회령왕 카이산(후일의 원 무종)과 탕구트족 출신 첩 탕구트 비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투그 테무르(圖帖睦爾)인데, 몽골어로는 중앙, 가운데를 뜻하는 툭(툭)과 철을 의미하는 테무르를 합친 것이다. 황금사에 의하면 투그 테무르가 코실라보다 5년 연상이라고 한다.

1307년 아버지 원 무종 카이산이 황제가 되었으나, 숙부 아유르바르와다에게 황태자 자리를 주고, 이후 황제 자리를 약속하였다. 그러나 1311년 카이산이 급사하고, 아유르바르와다가 즉위하면서 이 약속은 깨졌다.

투그 테무르는 일찍부터 학문과 예술에 관심을 보였으며, 저명한 중국 문인, 예술가들과 교류하였다. 자신도 시인이자 서예가, 화가였으며, 중국어한자를 유창하게 읽고 해석할 수 있었다고 한다.

1311년 숙부인 아유르바르와다가 즉위하면서, 할머니 다기와 승상 템데르 등의 음모로 콩기라트부 출신이 아닌 투그 테무르 형제는 중앙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영종 시데발라가 즉위한 후, 하이난 섬으로 유배되었다.[17] 1323년 시데발라가 암살된 후, 예순 테무르가 즉위하자 회왕에 봉해졌으며, 건강, 장릉에 거주하게 되었다.

1328년 7월 (음력) 예순 테무르가 죽자, 킵차크 친위군의 사령관 엘 테무르가 반란을 일으켜 투그 테무르를 황제로 추대했다. 투그 테무르는 처음에는 거부했으나, 엘 테무르의 설득으로 형 코실라에게 양위하는 조건으로 즉위했다.[20] 10월 16일 대도에서 즉위식을 갖고, 연호를 천력이라 하였다. 그러나 상도에서 예순 테무르의 아들 아라기박이 즉위하면서 내전(천력의 난)이 벌어졌으나,[1] 엘 테무르가 이끄는 군대가 승리하여 다우라트 샤는 항복했다.

1329년 4월 투그 테무르는 코실라에게 황제 옥새를 바치고 양위했다. 그러나 8월 2일 투그 테무르는 코실라와 재회하여 연회를 가졌는데, 형제가 회견한 직후 코실라는 급사했다. 8월 15일 투그 테무르는 다시 황제 자리에 올랐다.[21] 엘 테무르는 코실라의 측근을 추방, 처분했고, 다시 정권을 잡았다.

1330년 연호를 지순(至順)으로 고쳤으며, 엘테무르를 중서성 우승상(右丞相)에 임명했다. 그러나 사실상 조정의 실권은 엘테무르에게 있었고, 투그테무르는 허수아비 군주였다.

1329년 초 운남성에서 투겔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아라트라시리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투그테무르는 1329년 3월 27일 규장각 내에 학사원(學士院)을 설립하여 학문 교육을 권장하고, 중국어를 가르치게 하였다. 또한 저명한 회화 화가, 시인, 작가들을 초빙하여 영입했다.

1330년에 건립된 불교 사원


투그테무르는 불교유학을 장려했다. 경세대전을 편찬하고, 성리학을 지원했으며, 백림사 조주선사 탑을 건설하게 했다(1330년). 1330년 몽골 전통 제도였던 형사취수제를 금지했다.

1331년 1월 장남 아라트나다라를 황태자로 선포했으나, 1개월 만에 사망했다.

1332년 투그테무르는 30세가 채 되지 않아 급사했다. 투그테무르는 형 쿠살라에게 저지른 일에 대해 후회하며, 토곤테무르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투그테무르 사후, 린친발이 옹립되었다.

2. 1. 어린 시절

1304년 2월 16일 당시 원나라 황제인 성종 테무르의 조카 회령왕 카이산(후일의 원 무종)과 탕구트족 출신 첩 탕구트 비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이름 투그 테무르에서 툭은 몽골어로 중앙, 가운데를, 테무르는 철을 의미한다.

원사, 원사연의, 신원사에 의하면 코실라가 형이고, 투그 테무르가 동생이라 한다. 그런데 황금사에 의하면 투그 테무르가 코실라보다 5년 연상이라 한다.

1307년 3월 투그 테무르의 아버지 원 무종 카이산이 군사력을 이용, 정쟁에서 승리하고 아유르바르와다의 양보로, 그해 6월 황제가 되었다. 그러나 무종은 자신의 어린 아들들이 차기 황제가 될 가능성이 희박했고 대칸이 되더라도 찬탈이 우려되었으며, 자신의 즉위 과정에서 옹기라트부 귀족들은 자신 대신 동생 아유르바르와다를 지지했던 점 등을 고려하여, 동생 아유르바르와다를 황태자로 임명하고, 아유르바르와다에게 차기 황제위를 약속하는 대신 태자직과 다음 황제직은 자신의 아들들 중에서 낙점할 것을 약속하였다. 1311년 1월 아버지 원 무종 카이산이 음주, 술병으로 갑자기 돌연사하고, 아유르바르와다가 인종으로 즉위했다. 1307년 6월 29일 무종 카이산은 아유르바르와다를 태자로 책봉하면서, 아유르바르와다가 황제가 되면 차기 태자는 카이산의 아들들 중에서 선택한다고 약속하였다. 그러나 1316년 아유르와르바다는 후일 옹기라트부의 요청과, 자신의 아들을 세울 욕심 등 복잡한 이유로 이 약속을 깼다.

투그테무르의 아버지 무종이 죽자, 황태자 겸 상서령인 아유르바르와다가 정권을 장악하고 원 인종으로 즉위하였다. 투그테무르와 형 쿠살라는 할머니인 다기 카톤과 테무데르를 포함한 다른 훈기라트 부족 구성원에 의해 중앙 정권으로부터 배척, 제거되었다. 투그 테무르 형제는 훈기라트부 출신 하툰의 왕자가 아니기 때문이었다. 투그 테무르와 쿠살라는 윈난 성으로 추방당했고, 한때 투그 테무르는 북방의 몽골고원으로 보내려 했다가 취소되었다. 1320년 투그 테무르는 허난 성 혹은 하이난으로 다시 옮겨졌다.

형 쿠살라가 1316년 11월 비밀리에 연안부(현 산시성 옌안시)로 가서 도쿠루, 상가로, 패랄 등 부황 무종의 측근 군인들을 만났다가 인종이 보낸 감시인에게 적발되었다.

1316년 11월 토가치, 섬서행성승상인 아스칸(阿撒罕 또는 阿思罕) 등이 쿠살라를 추대하려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어수선하여 내부에서 혼란이 벌어졌다. 1317년 6월 인종은 군사를 파견했고, 7월 이들은 인종이 보낸 군사에게 진압당하고 아스칸 등은 처형되었다. 인종은 이때 직접 정벌할 계획을 세워두기도 했다. 1317년말 아버지 무종의 측근 토가치 혹은 투쿠치(脫忽赤, 또는 脫火赤)가 영북행성에서 쿠살라가 정통 군주라며 거병, 군사를 이끌고 카라코룸을 점령하러 가다가 몽골고원에서 1318년 2월 초 인종이 보낸 군사에게 진압되었다.(→토가치의 난)

형 쿠살라는 비밀리에 도주, 몽골고원에 은신해 있다가 알타이산맥을 넘어 차가타이 한국으로 망명했다. 에센부카 칸은 쿠살라를 받아들여 의탁하였다. 이 기간 중 투그 테무르의 행적은 알려진 것이 없다.

2. 2. 청소년기

1311년 아버지 무종 카이산이 사망하고, 숙부인 아유르바르와다가 황제로 즉위하면서, 투그테무르는 형 쿠살라와 함께 할머니 다기 카톤과 훈기라트 부족 출신들에 의해 중앙 정계에서 배제되었다.[3] 이는 무종과 인종 사이에 황제 계승 약속이 있었음에도, 투그테무르 형제가 훈기라트부 출신 하툰의 소생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1316년 11월 형 쿠살라가 산시성 연안부에서 무종의 측근 군인들을 만나다 인종이 보낸 감시인에게 적발되었다. 같은 해, 아스칸(阿思罕) 등이 쿠살라를 추대하려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1317년 진압되었다.[17] 1317년 말, 아버지 무종의 측근 토가치가 영북행성에서 쿠살라를 정통 군주라며 거병했다가 1318년 2월 초 진압되었다.(→토가치의 난)

이후 쿠살라는 차가타이 한국으로 망명했고, 투그테무르는 윈난 성으로 추방되었다가 1320년 허난 성 또는 하이난으로 옮겨져 유배 생활을 했다.[3] 1323년 예순 테무르가 즉위하면서 회왕(懷王)으로 봉해지고 장녕부, 장릉으로 거주지를 옮겼다.[4]

2. 3. 유배 생활

1320년 혹은 1321년 5월, 투그테무르는 하이난으로 유배되었다.[3] 1324년 영종 시데발라가 암살되고 예순테무르 칸이 즉위하면서, 투그테무르는 유배에서 풀려나 회왕(懷王) 작위를 받았다.[4] 1326년 1월 건강(현 난징)으로 옮겨졌고, 이후 후베이 성 강릉으로 다시 거처를 옮겼다.[29] 그는 이 시기 동안 문인, 화가들과 교류하며 지냈다.[29]

2. 4. 정변과 1차 즉위

1328년 7월 예순테무르 칸이 사망하자, 킵차크 출신 장군 엘테무르가 정변을 일으켰다.[19] 엘테무르는 코실라를 황제로 추대하려 했으나, 코실라가 멀리 있었기 때문에 우선 투그테무르를 황제로 추대했다.[19] 투그테무르는 처음에 즉위를 거부했지만, 엘 테무르의 설득으로 코실라에게 양위하는 조건으로 즉위했다.[20]

1328년 10월 16일 투그 테무르는 대도에서 즉위식을 갖고, 연호를 천력(天曆)이라 하였다. 그러나 상도에서 예순테무르의 아들 아라기박이 즉위하면서, 양측 간에 내전(천력의 난)이 벌어졌다.[1] 엘테무르가 이끄는 대도 측 군대는 상도 측 군대를 격파했고, 내몽골에서 화북에 있는 여러 군단이 모두 대도 측에 합류하면서, 상도의 다우라트 샤는 항복했다.

2. 5. 1차 재위와 퇴위

1328년 8월 15일 태정제가 상도에서 갑자기 죽은 후, 태정제의 아들 아라기박이 잠시 황위를 계승하였다가 폐위되었다. 1328년 10월 16일 엘테무르(燕帖木兒) 등 17명의 장군과 군벌의 주도로 후베이 성 강릉에서 투그 테무르를 황제로 선언하였다. 연호는 천력(天曆)이라 하였다.[29]

엘테무르가 아시드케빈 장군과 그의 사위 반친의 군대, 다울리트 샤의 군대와 교전하는 동안 토그 테무르는 랴오둥 반도에서 오는 친 아기라박 군대가 여러 갈래로 나뉘어서 대도로 오자 이들을 격퇴하였다. 하남행성의 평장정사 메르키트 바얀 등 지방에 있던 무종의 살아남은 측근들이 군사와 군량미, 물자를 신속히 지원해주었다. 한편 투그테무르의 재종동생인 아라기박은 상도로 도망을 가서 제위를 포기하지 않았다. 결국 토그 테무르와 엘테무르는 군사를 이끌고 상도로 가 아라기박을 몰아냈고, 투그 테무르가 승리하였다.[29]

11월 14일 투그테무르의 군대는 상도를 점령했다. 아기라박이 실종된 뒤 투그테무르는 킵차크 칸국의 사령관 엘 테무르에 의해 대도(베이징)에서 황제로 즉위하였다. 무종의 장남 쿠살라가 아닌 무종의 차남인 투그테무르가 황제로 즉위한 것은 투그테무르의 형인 쿠살라가 먼 중앙 아시아에 머물렀기 때문이었다. 11월 14일 대도 대명전(大明殿)에서 투그테무르는 문종으로 즉위하였다. 즉위 후 바로 연호를 천력(天曆)으로 선언했다. 원 천순제를 정통으로 보는 사학자들은 이 기간을 천력의 난, 천력의 내란으로 부른다.[29]

문종 즉위 직후, 무종의 장남 쿠살라가 황제가 되어야 한다며 투그 테무르의 즉위에 반발하는 인사가 나타났다. 송렴의 저서 송문헌공집(宋文憲公集) 27권의 위신(危新)의 묘지명인 '고한림시강학사중순대부지제고동수국사위공신묘지명(故翰林侍講學士中順大夫知制誥同修國史危公新墓碑銘)'에 의하면 문종의 1차 즉위 직후, 사천행성 평장정사 낭가타이(囊加歹)가 문종 즉위 초, 쿠살라를 추대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켰다가 엘 테무르, 메르키트 바얀에 의해 살해됐다 한다. 운남행성에서도 쿠살라를 추대해야 된다며 반발이 있었으나, 곧 진압되었다. 천순제 라기바흐의 지지자들 일부는 만리장성 주변으로 흩어져 도망갔고, 이들은 1332년초까지 문종의 정부군에 저항했다.[29]

그러나 동시에 투그 테무르의 형 쿠살라는, 차가타이 한국의 엘지기데이의 후원으로 몽골과 차가타이 칸국의 장군들을 모아서 월등한 대군으로 카라코룸으로 입성하였다. 1329년 1월 26일 쿠살라와 그가 이끄는 군대는 카라코룸 북쪽의 체첵 호수와 테르힝 차강 호수 근처에 도달했다. 위기를 느낀 투그 테무르는 양위를 선언하였고, 일설에는 엘테무르의 제안으로 양위했다고도 한다. 투그 테무르가 중서성좌승 요루테무르(躍里帖木兒)를 사자로 보내 양위를 선언했다는 설도 있다. 그해 2월 27일 쿠살라는 명종으로 즉위했다. 엘 테무르는 쿠살라를 호위하고, 수도 대도 사람들은 그를 환영하였다. 쿠살라는 카라코룸에서 즉위하고, 바로 투그테무르는 황태자로 책봉하였다. 문종은 4월 3일 황제 인장을 명종에게 건넸다.[29]

2. 6. 2차 재위 초반

1329년 8월 2일 명종 쿠살라대도로 가던 중 상도 부근에서 투그테무르 태자와 연회를 가졌다. 쿠살라는 투그테무르를 만난 지 4일 만에 돌연사했는데, 엘테무르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30] 이로 인해 투그테무르는 복위하였다. 쿠살라가 군권을 장악하려 시도하고 자신에게 순순히 복종하지 않는 것을 두려워한 엘테무르는 우루부카(月魯不花), 예리아(也里阿), 메리크두카(明里董阿) 등을 시켜 명종을 독살하고 다시 문종을 복위시켰다. 문종은 평생 자신의 형을 살해했다고 괴로워했으며, 훗날 혜종 토곤테무르는 문종이 자신의 아버지 명종을 죽였다고 주장했다.[30]

8월 10일 혹은 8월 15일 투그테무르는 상도 대안각(大安閣)에서 다시 황제 자리에 올랐다. 몽골 황금사(알탄 톱치)에는 8월 10일에 다시 대칸위에 올랐다고 기록되어 있고, 원사, 원사연의, 신원사에는 8월 15일에 재즉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연호는 지순(至順)으로 고쳤다. 1329년 장군 바얀을 중서좌승상, 도르지를 우승상에 임명했다. 1330년 연호를 지순(至順)으로 고쳤으며, 그해 엘테무르를 중서성 우승상(右丞相)에 임명하고 좌승상(左丞相)은 두지 않았다. 그는 잠재적 위협 세력이었던 옹기라트부 테무데르의 후손들을 처형했다. 그러나 사실상 조정의 실권은 엘테무르에게 있었고, 문종은 허수아비 군주로 전락하였다. 엘테무르는 명종 쿠살라의 측근들 역시 실각시키고 추방하였다. 그의 2차 재위 기간 중에는 군벌 엘테무르와 바얀이 실권을 잡았으며, 정무는 엘테무르에 의해 좌지우지되었고 조정은 부패하였다. 투그테무르는 자신의 측근이 없었고, 그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었다.

2. 7. 치세 기간

1328년 예순테무르가 상도에서 사망하자, 엘 테무르는 칸발릭(대도, 현재의 베이징)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투그테무르를 황제로 추대했다. 이는 투그테무르의 형인 쿠살라중앙아시아에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같은 시기, 영종 시디발라의 아들 라기바흐가 상도에서 즉위했지만, 엘 테무르의 군대는 만리장성을 돌파하여 칸발릭 외곽까지 진격한 후, 빠르게 상황을 반전시켰다. 칭기즈 칸의 형제들의 후손이 지휘하는 군대는 1328년 11월 14일 상도를 포위했고, 다음 날 상도는 항복했다. 이로써 원나라쿠살라계 황실로 복귀했지만, 1332년까지 전투가 계속되었다.

1329년 4월 투그테무르는 쿠살라에게 황위를 양위하고 황태자가 되었다. 그러나 1329년 8월 2일 대도로 가던 쿠살라상도 부근에서 투그테무르와 연회를 베풀던 중, 8월 6일 급사했다. 이는 엘 테무르의 독살로 추정된다. 1329년 8월 10일 혹은 8월 15일 투그테무르는 상도 대안각(大安閣)에서 재즉위하여, 연호를 지순(至順)으로 고쳤다. 1329년 장군 바얀을 중서좌승상, 도르지를 우승상에 임명했다. 1330년에는 엘테무르를 중서성 우승상(右丞相)에 임명했다. 그러나 조정의 실권은 엘테무르에게 있었고, 투그테무르는 허수아비 군주였다.

1329년 초 운남성에서 투겔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아라트라시리가 이끄는 10만 명의 군사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63만 냥의 지폐가 지출되었다. 투그테무르는 1329년 3월 27일 규장각 내에 학사원(學士院)을 설립하여 학문 교육을 권장하고, 중국어를 가르치게 하였다. 또한 저명한 회화 화가, 시인, 작가들을 초빙하여 영입했다.

투그테무르는 귀족들의 인심을 얻으려 노력했다. 라기바흐-예순테무르 지지자들로부터 몰수된 재산은 엘테무르 등에게 주어졌고, 1329년 황실 보조금이 복구되었다. 그의 4년 통치 기간 동안 24개의 왕작 칭호가 수여되었으며, 그 중 9개는 1등급이었다.

투그테무르는 불교유학을 장려했다. 경세대전을 편찬하고, 성리학을 지원했으며, 백림사 조주선사 탑을 건설하게 했다(1330년). 1330년 몽골 전통 제도였던 형사취수제를 금지했다.

투그테무르는 킵차크 칸국, 차가타이 칸국, 일 칸국에 사절단을 파견하여 명목상의 종주권을 인정받으려 노력했다. 차가타이 칸국의 왕자 창시는 200명의 러시아인 포로를 조공으로 바쳤고, 투그테무르는 보석을 답례로 주었다.

1331년 1월 투그테무르는 장남 아라트나다라(Aratnadara)를 황태자로 선포했으나, 1개월 만에 사망했다. 1331년 3월 투그테무르는 티베트 불교의 제3대 캄파 라마 랑중도제를 초청했으나, 그가 오는 것을 보지 못하고 사망한다.

1332년 투그테무르는 30세가 채 되지 않아 급사했다. 투그테무르는 형 쿠살라에게 저지른 일에 대해 후회하며, 토곤테무르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투그테무르 사후, 린친발이 옹립되었다.

2. 8. 치세 후반

1331년 1월 장남 아라트나다라를 황태자로 책봉했으나[12], 한 달 만인 2월에 사망했다.[12] 이로 인해 부다시리 카툰바부샤 카툰에게 앙심을 품고 환관을 시켜 암살했다.[11]

1332년 운남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데 많은 재정을 소모했다. 이 작전에는 630000정의 지폐가 소요되었다.[15]

엘테무르의 전횡과 부정부패로 인해 제국의 쇠퇴가 가속화되었다.

2. 9. 최후

1332년 9월 2일(음력 8월 12일)에 대도 또는 상도 황궁 근처 섬전하(閃電河) 강변에서 병으로 갑자기 붕어하였다.[21] 아들 엘 테구스가 있었지만 명종 쿠살라의 아들이 계승하도록 유언을 남겼다.[22] 엘 테무르는 문종의 아들 엘 테구스를 새 황제로 추대하려 했으나, 문종의 황후 부다시리 카툰은 문종의 유언이라며 강력하게 반대하여, 명종 쿠살라의 아들 중에서 후계자를 고르게 되었다. 문종의 죽음은 엘 테무르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의혹이 있다. 일설에는 그가 음력 11월 14일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3. 사후

엘테무르는 문종의 아들 엘 테구스를 차기 칸으로 세우려 했으나 실패했다.[3] 1333년 12월 28일 조카 혜종 토곤테무르는 성명원효황제(聖明元孝皇帝)를 시호로, 문종(文宗)을 묘호로, 몽골어식 존호로는 자야야투 황제(札牙笃皇帝)를 추서하였다. 자야야투는 몽골어로 인연이 있다, 축복받은, 품위있다, 행운의 라는 뜻이다.[3] 1334년 3월 23일 태묘의 영종 린친발 카안 사당 바로 다음에 배향되었다.

1340년 혜종 토곤테무르는 문종이 자신의 아버지 명종 쿠살라를 살해했다고 선언하고, 그해 6월 14일 문종의 위패를 태묘에서 출향했다.[3]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추존황제 순종 다루마바라
조모추존황후 소헌원성황후 콩기라트씨
부황제3대 황제 무종 카이샨
모후추존황후 문헌소성황후 탕구트씨

4. 1. 후비

부다시리콩기라트 씨족 출신으로, 원 문종의 황후였다. 슬하에 아들 셋을 두었는데, 아라트나다라, 엘 테구스, 타이핀누였다.[3] [4]

원 문종의 배우자 및 자녀
배우자자녀
부다시리아라트나다라
부다시리엘 테구스
부다시리타이핀누


4. 2. 황자

카이샨 (쿠루그 칸 또는 원 무종)과 탕구트족 여성의 둘째 아들이자 쿠살라의 동생이었다. 아버지 카이샨이 갑작스럽게 사망하고 동생 아유르바르와다가 1311년 원나라 황위를 계승했을 때, 그는 할머니 다기와 쿵기라트 파벌의 일원인 테무데르 등에게 중앙 정부에서 추방당했는데, 이는 그들이 쿵기라드 카툰의 자식이 아니었기 때문이다.[3]

  • 부모:
  • * 쿠루그, 무종(武宗 곡률칸, 1281년 8월 4일 ~ 1311년 1월 27일)
  • * 탕구트족 첩(妃子)
  • 배우자 및 자녀:
  • * 부다시리(卜答失里, ? ~ ?) 콩기라트 씨족, 사촌
  • ** 아라트나다라(阿剌忒纳答剌, 1332년 2월 22일 사망), 첫째 아들
  • ** 엘 테구스(燕帖古思, ? ~ 1340년 8월 9일), 둘째 아들
  • ** 타이핑누(太平讷), 셋째 아들

참조

[1]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2] 서적 Mirroring the past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4] 서적 Yuan shi
[5] 서적 Yuan shi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7] 서적 Gen no Minso no Shogai
[8] 서적 Chinggis bogdoos Ligden Khutughtu hurtel (khaad)
[9] 서적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10] 서적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11] 문서
[1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13] 서적 Yuan shi
[14] 서적 Yuan shi
[15] 서적 li-Yuan shih hsian chiang
[16]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part 1
[17]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18]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9] 서적 アジア歴史事典
[20]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1]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22]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3]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24]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황금사
[29]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3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