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성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성왕은 신라의 제38대 왕으로, 785년부터 799년까지 재위했다. 혜공왕 말기에 일어난 김지정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왕위 계승 과정에서 폭우로 인해 경쟁자가 참석하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왕으로 추대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과거와 유사한 독서삼품과를 제정하고 벽골제를 증축하는 등 유교적 통치를 펼쳤으며, 당나라와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799년에 사망하여 원성왕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사후 최치원의 비문을 통해 열조라는 묘호가 추존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99년 사망 - 혼감
혼감은 당나라 군인으로, 11세에 삭방군에 들어가 군공을 세우고 안사의 난과 주차의 난에서 활약하여 좌효위장군, 개부의동삼사, 태상경 등을 거쳐 염주성 수축 공로로 검교사도 겸 중서령이 되었으며, 799년에 사망했다. - 원성왕 - 분황사
분황사는 634년 신라 선덕여왕 때 완공된 사찰로, 여왕을 위한 사찰로 해석되며 황룡사와 함께 신라 불교의 중심지였으나 몽골 침입과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현재 모전석탑을 비롯한 문화재와 발굴 조사를 통해 그 규모와 중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 원성왕 - 독서삼품과
독서삼품과는 신라 시대 관리 선발 제도로, 유교 경전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을 나누고 학문적 능력을 기준으로 인재를 선발했으며, 고려 시대 과거 제도의 선구적 역할을 했다. - 한국의 태왕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한국의 태왕 -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은 고구려 제19대 왕으로, 374년에 태어나 391년부터 412년까지 재위하며 영락 연호를 사용하고 백제, 왜, 거란 등을 정벌하여 고구려 영토를 확장했으며, 신라를 지원하여 왜군을 물리치고 내치에도 힘썼다.
원성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김경신(金敬信) |
묘호 | 열조(烈祖) |
시호 | 원성(元聖) |
존호 | 경신태왕(敬信太王) |
출생일 | 미상 (734년 전후) |
사망일 | 799년 2월 12일 (양력) |
능묘 | 괘릉(掛陵) |
신라 국왕 | |
재위기간 | 785년 1월 ~ 799년 2월 12일 (양력) |
즉위년도 | 785년 |
이전 국왕 | 선덕왕 |
다음 국왕 | 소성왕 |
관직 | |
상대등 재임기간 | 780년 ~ 785년 3월 2일 (양력) |
가계 | |
부친 | 김효양 |
모친 | 계오부인(繼烏夫人) |
왕비 | 숙정부인(淑貞夫人) |
자녀 | 김인겸 김의영 김예영 대룡부인 소룡부인 |
기타 | |
종교 | 불교 |
2. 생애
원성왕은 785년 1월 선덕왕이 병으로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14] 혜공왕 때 경덕왕의 관제개혁을 원상 복귀시키는 일에 참여하였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그는 생부 김효양에게 만파식적(萬波息笛)을 물려받았는데, 이 때문에 일본의 왕 문경(文慶)이 신라를 침략하지 못했다는 전설이 있다.
2. 1. 즉위 전
출생연도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734년 이전 출생으로 추정되는 선덕왕의 동생이라는 기록과 증손자 애장왕이 788년생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즉위 당시 상당한 고령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4] 내물 마립간의 12세손 혹은 10세손이라 하나 정확한 관계는 알려지지 않았다. 삼국사기 원성왕조에는 원성왕이 내물왕의 12세손으로, 삼국유사에는 내물왕의 11세손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 원성왕 즉위년에는 그가 김양상과 형제뻘이라는 설도 있어서, 원성왕의 정확한 가계는 다소 불분명하다.《삼국유사》에는 원성왕의 조부의 이름이 훈입(訓入)이고, 고조부 김법선은 잡간(匝干) 마질차(摩叱次)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신라김씨의 선원세보에는 그의 가계를 내물 마립간-습보 갈문왕-지증왕-진종-흠운-마차-법선-의관-위문-효양-경신으로 기록하나, 이는 조선시대 이후의 족보 자료에 나타나는 기록이다.
후대에 판독된 흥덕왕릉 묘비문에 의하면 원성왕의 손자 흥덕왕이 성한왕의 24세손이라는 기록이 있어, 흥덕왕릉비문에 의하면 원성왕은 성한의 22세손이 된다. 이는 세한의 19세손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이후의 신라김씨선원세계도와는 다르게 나타난다.
780년 이찬으로 상대등 김양상과 함께 김지정의 난을 평정하고 상대등에 올랐다.[16]
2. 2. 즉위 과정
785년 1월 선덕왕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귀족 회의에서 김주원이 유력한 왕위 계승 후보로 거론되었다.[14] 그러나 김주원은 경주 알천 북쪽에 살았는데, 마침 홍수로 인해 물이 불어나 강을 건너지 못하고 회의에 참석하지 못했다.[14]이에 신하들은 "지금의 상대등 김경신은 전 임금의 동생으로서 덕망이 높고 임금의 체통을 가졌다."라며 김경신을 국왕으로 추대했다.[14] 《삼국사기》 신라 본기에서는 이 폭우를 김주원의 즉위를 하늘이 바라지 않기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김경신이 즉위하자 비가 그쳤으니, 곧 하늘의 뜻에 맞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삼국유사》 기이·원성왕 조에서는, 김주원이 상재, 김경신이 차재였을 때, 김경신이 "귀인의 모자를 벗고 소립(素笠)을 쓰고, 손에 12현의 거문고를 들고 천관사 우물에 들어가는" 꿈을 꾸었는데, 그 꿈풀이에 따르면 "모자를 벗는 것은 위에 사람이 없어지는 것, 소립을 쓰는 것은 왕관을 쓰는 조짐, 12현의 거문고는 12세손이 왕위를 잇는 조짐, 천관사 우물에 들어가는 것은 궁궐에 들어가는 조짐"이라 했다고 전한다.
반면,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원성왕이 뭇사람을 위협하고 먼저 궁에 들어가 왕이 되었다고 기록하여 상반된 모습을 보여준다.[15]
2. 3. 치세
貞元중국어 4년(788년) 독서삼품과를 설치하여 인재를 등용했고, 이어 벽골제를 증축하여 농사를 장려했다.[16]원성왕은 경덕왕과 성덕왕(선덕왕의 외조부), 개성왕(선덕왕의 아버지)의 사당을 허물고 자신의 부, 조부, 증조부의 사당을 세웠다. 또한 내물왕, 무열왕, 문무왕 및 조부인 흥평왕(추존)과 부친인 명덕왕(추존)을 국가 5묘로 지정하여, 자신의 조부와 아버지를 무열왕, 문무왕과 동등하게 만들었다.
786년 금성(金城)과 주변 지역에 흉년이 발생하자, 명을 내려 2회에 걸쳐 6만여 석의 곡식을 백성에게 나눠주게 하였다. 788년 과거 시험인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여, 시험 기준으로는 유교의 경전인 《논어》, 《문선》, 《예기》, 《춘추좌씨전》, 《효경》, 《곡례》등 유교 경서의 독해력으로 정하고, 경전의 독해 수준에 따라 상, 중, 하등급으로 나누어 관리로 채용하였다.
791년(원성왕 7)에 장남 혜충태자(惠忠太子) 김인겸(金仁謙)이 사망하고, 794년(원성왕 10)에는 둘째 아들인 헌평태자(憲平太子) 김의영(金義英)마저 사망하자, 셋째 아들인 혜강태자(惠康太子) 김예영(金禮英)을 태자로 책봉했으나 역시 사망하였다. 이에 장남 김인겸의 아들들 중 장성한 손자 김준옹을 태자로 책봉하였다.
즉위 직후(785년 2월)에 자신의 조상에 대한 추봉을 행하고, 오묘를 재정비했다.[8] 788년에는 관료 등용 제도인 과거와 유사한 "독서삼품"을 제정하는 등 유교적·율령 체제적인 정책을 펼쳤다. 또한, 잦은 천재지변으로 백성들이 굶주리는 상황이 발생하자, 율령 체제하에서 징수된 조와 쌀을 풀어 백성을 구제했다. 혜공왕 말년 이래의 정치적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이러한 천재지변이 계속되면서 788년 가을에는 나라의 서부에서 도적이 나타났고, 791년에는 전 시중 제공(悌恭)이 반란을 일으켜 주살되는 등 결코 안정적인 정치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당나라에 대해서는 786년에 사신을 파견하여 공납했으며, 덕종으로부터 신라의 오랜 충성을 위로하는 조서를 받았다. 또한 선덕왕에게 주어진 관작인 <검교태위·계림주자사·녕해군사·신라왕>을 그대로 계승했다.[9]
794년 7월에는 봉은사(서울특별시강남구)를 건립하고, 왕궁 서쪽에는 망은루를 축조했다.[10]
2. 4. 외교 관계
786년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공물을 바쳤으며, 덕종으로부터 신라의 오랜 충성을 위로하는 조서를 받았다. 선덕왕에게 주어진 관작인 <검교태위·계림주자사·녕해군사·신라왕>을 그대로 계승했다.[9]2. 5. 사망
798년 음력 12월 29일에 사망하였다. 사망 원인은 기록에 남아있지 않다. 삼국사기에는 유언에 따라 화장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14] 경주 숭독사비에는 인산에 장사 지내라고 명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5]3. 사후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원성왕이라는 시호만이 전해진다. 2015년 4월 30일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말방리 숭복사지 터에서 발견된 최치원의 초월산 대숭복사비가 판독되면서 그에게 열조라는 묘호가 후대에 올려진 것이 확인되었다. 언제 어느 왕이 그에게 열조라는 묘호를 올렸는지는 알 수 없으나, 최치원이 살던 850년~900년 이전에 열조라는 묘호가 사용되었다.
4. 가계
원성왕의 가계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엇갈리고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태종 무열왕의 후손으로, 태종 무열왕-무열왕의 딸(김의관의 부인)-김위문-김효양-김경신 순으로 이어진다.
신라김씨 선원세보에는 내물 마립간-습보 갈문왕-지증왕-진종-흠운-마차-법선-의관-위문-효양-경신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조선시대 이후의 기록이다.
흥덕왕릉 묘비문에 의하면 원성왕의 손자 흥덕왕이 성한왕의 24세손이라는 기록이 있어, 원성왕은 성한의 22세손이 된다.
4. 1.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김효양 | 명덕왕(明德王)으로 추존 |
어머니 | 계오부인(繼烏夫人) 박씨 | 소문태후(昭文太后)로 추존, 박창근 이간의 딸 |
왕비 | 연화부인 김씨(蓮花夫人) | 각간 김신술(神述)의 딸 |
아들 | 김인겸(金仁謙) | 785년 태자 책봉, 791년 사망, 혜충태자(惠忠太子)에 추증, 소성왕 즉위 후 혜충왕으로 추존 |
손자 | 김준옹(金俊邕) | 794년 태자 책봉, 798년에 소성왕 즉위 |
손자 | 김언승(金彦昇) | 809년에 헌덕왕 즉위 |
손자 | 김수종(金秀宗) | 826년에 흥덕왕 즉위 |
손자 | 김충공(金忠恭) | 선강왕(宣康王)으로 추봉 |
아들 | 김의영(金義英) | 792년 태자 책봉, 794년 사망, 헌평태자(憲平太子)에 추증 |
손자 | 김숭빈(金崇斌) | |
아들 | 김예영(金禮英) | 혜강왕(惠康王)에 추봉 |
손자 | 김헌정(金憲貞) | |
손자 | 김균정(金均貞) | 성덕왕(成德王)에 추봉 |
손녀 | 귀승부인 | 헌덕왕의 부인 |
딸 | 대룡부인(大龍夫人) | |
딸 | 소룡부인(小龍夫人) |
5. 설화
김경신이 왕위에 오르기 전 꿈을 꾸었다는 설화가 『삼국유사』 기이·원성왕 조에 전해진다. 김경신은 "귀인의 모자를 벗고 소립(素笠)을 쓰고, 손에 12현의 거문고를 들고 천관사 우물에 들어가는" 꿈을 꾸었다. 꿈풀이에 따르면 "모자를 벗는 것은 위에 사람이 없어지는 것, 소립을 쓰는 것은 왕관을 쓰는 조짐, 12현의 거문고는 12세손이 왕위를 잇는 조짐, 천관사 우물에 들어가는 것은 궁궐에 들어가는 조짐"이라 했다. 선덕왕 사후 김경신이 왕위에 오른 것은 이 꿈과 같았다고 한다.
6. 평가
원성왕은 788년에 관리 등용 제도인 과거와 유사한 "독서삼품(讀書三品)"을 제정하는 등 유교적·율령 체제적인 정책을 펼쳤다. 또한, 잦은 천재지변으로 백성들이 굶주리는 상황이 발생하자, 율령 체제하에서 징수된 조(租)와 쌀을 풀어 백성을 구제했다.[8] 혜공왕 말년 이래의 정치적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788년 가을에는 나라의 서부에서 도적이 나타났고, 791년에는 전 시중 제공(悌恭)이 반란을 일으켜 주살되는 등 안정적인 정치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당나라에 대해서는 786년에 사신을 파견하여 공납했으며, 덕종으로부터 신라의 오랜 충성을 위로하는 조서를 받았다. 또한 선덕왕에게 주어진 관작인 <검교태위·계림주자사·녕해군사·신라왕>을 그대로 계승했다.[9]
참조
[1]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2006
[2]
웹사이트
원성왕(元聖王)
http://encykorea.aks[...]
2018-06-24
[3]
뉴스
[삼국유사 오디세이] 10. 원성왕의 무혈쿠테타
https://www.kyongbuk[...]
2020-07-22
[4]
뉴스
[Visual History of Korea] Sogdian traders in Silla, the eastern end of the Silk Road
https://www.koreaher[...]
2022-10-22
[5]
문서
삼국유사, 구당서, 신당서 관련 내용
[6]
문서
삼국사기, 삼국유사 관련 계보 내용
[7]
문서
김헌창의 반란
[8]
문서
원성왕의 5묘 제도
[9]
문서
구당서 관련 내용
[10]
문서
삼국유사 관련 내용
[11]
문서
원성왕릉 관련 논의
[12]
웹사이트
원성왕 탄생 연도 추정
https://db.history.g[...]
[13]
웹사이트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14]
웹사이트
삼국사기 원성왕 원년
https://terms.naver.[...]
[15]
웹사이트
신증동국여지승람 권44 <강릉대도호부>
https://db.itkc.or.k[...]
[16]
웹인용
원성왕(元聖王)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18-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