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와이드 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드 와이드 웹(WWW)은 1989년 팀 버너스리에 의해 제안된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된 문서 및 자원의 전 세계적인 모음이다. 1990년 최초의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개발되었고, 1991년 일반에 공개되어 정보화 시대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웹은 URL, HTTP, HTML과 같은 핵심 기술로 구성되며, 웹 브라우저, 웹 서버, 웹 페이지, 웹사이트, 하이퍼링크 등의 구성 요소를 갖는다. 웹 표준은 W3C, WHATWG, IETF 등 다양한 기구에 의해 관리되며, 사회적 영향으로 정보 교환을 혁신하고 사회적 교류를 촉진했지만, 사이버 범죄, 개인 정보 보호 문제, 가짜 뉴스 확산 등의 부정적인 영향도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드 와이드 웹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월드 와이드 웹 - 온라인 언론
온라인 언론은 인터넷을 통해 뉴스 및 정보를 제공하며,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성장하여 시민 저널리즘 부상, 정보 전달 속도 혁신 등의 특징을 보이지만 정보 신뢰성 문제, 전통 언론 쇠퇴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전기 통신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전기 통신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소프트웨어에 관한 - 크래프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시리즈의 성공을 기반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비디오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기업이자 지주회사로, 여러 자회사를 통해 다양한 게임을 개발 및 서비스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 소프트웨어에 관한 - 넷마블
넷마블은 2000년 방준혁 의장이 설립하여 게임 서비스 사업으로 성장, CJ그룹 편입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거쳐 '리니지2 레볼루션' 성공과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이루었으나, 최근 메타버스 사업 실패 및 구조조정 등의 어려움 속에서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며 향후 행보가 주목되는 대한민국의 게임 기업이다.
월드 와이드 웹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월드 와이드 웹 |
약칭 | WWW |
다른 이름 | 웹, W3 |
개발 시작 | 1989년 팀 버너스리 |
개발 기관 | CERN (1989–1994) W3C (1994–현재) |
기술 표준 | |
표준 기구 | W3C |
주요 프로토콜 | HTTP |
특징 | |
유형 | 하이퍼텍스트 시스템 |
네트워크 | 인터넷 |
접근 방식 | 웹 브라우저 |
역사 | |
제안 | 팀 버너스리의 정보 관리 제안 (1989) |
최초 웹사이트 | 1991년 최초 웹사이트 개설 |
영향 | |
변화 | 정보 접근 방식 변화 커뮤니케이션 방식 변화 사회 문화 변화 |
참고 | |
참고 문서 | 인터넷 웹 브라우저 WorldWideWeb |
2. 역사
월드 와이드 웹(WWW)은 1989년 3월 스위스와 프랑스 사이에 위치한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의 컴퓨터과학자 팀 버너스-리가 만들었다. 세계 여러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일하는 물리학자들 상호간의 신속한 정보교환과 공동연구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고안되었다. 문자, 사진, 동영상, 음성 등이 조합된 데이터베이스인 사이트의 정보를 전용 열람용 소프트웨어인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입수하고, 입수한 정보를 간단한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136]
버너스-리는 1989년 5월에 시스템에 이름을 붙이지 않고 CERN에 제안서를 제출했다.[3] 1990년대 후반에 월드와이드웹의 구현이 CERN에서 실행되었고, 1990년 12월 20일에 세계 최초의 웹페이지가 공개되었다.[106]
세계적으로 대중화된 소프트웨어는 일리노이대학교 재학생(마크 안데르센, 넷스케이프의 전신인 Mosaic를 개발)이 작성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인터넷 '브라우저'의 도움으로 웹 세계를 떠돌아다닌다. 웹을 통해서 엄청나게 다양한 영역의 자료나 프로그램들, 이를테면 정부 정책 보고서부터 바이러스 박멸 소프트웨어 혹은 컴퓨터 게임에 이르기까지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이다.[137]
버너스-리는 크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조직 내에서 문서 및 데이터 파일을 저장, 업데이트 및 검색하고, CERN 외부의 공동 작업자에게 배포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 했다. 테드 넬슨의 하이퍼텍스트 모델(1965년)을 알게 되었는데, 이 모델에서는 텍스트에 포함된 "핫스팟"과 연결된 하이퍼링크를 통해 문서를 제약 없이 연결할 수 있었다.[8][9] 이 모델은 나중에 애플의 하이퍼카드 시스템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월드 와이드 웹은 정보화 시대의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으며,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상호 작용하는 주요 도구이다.[28][29][30][31]
2. 1. 주요 발전 단계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의 컴퓨터 과학자 팀 버너스-리는 1989년 3월에 월드 와이드 웹(WWW)을 제안했다.[108][109] 그는 1990년에 WorldWideWeb(프로젝트와 네트워크의 이름이 됨)이라는 브라우저와 CERN에서 실행되는 HTTP 서버를 포함하여 작동하는 시스템을 구현했다.[13] 1990년 12월 20일, 최초의 웹페이지가 공개되었다.[114]1991년에는 다른 연구 기관에도 이 기술이 공개되었고, 1991년 8월 23일에는 전체 인터넷에 공개되었다.[14][15] 웹은 CERN에서 성공을 거두었고 다른 과학 및 학술 기관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1993년에는 CERN이 웹 프로토콜과 코드를 무료로 제공하여 광범위한 사용을 가능하게 했다.[16][17]
국립 슈퍼컴퓨팅 응용 센터(NCSA)가 모자이크 웹 브라우저를 출시한 후, 웹의 인기가 급증했다.[18][19] 마크 안드리센과 짐 클락은 넷스케이프를 설립하고 네비게이터 브라우저를 출시하여 웹에 자바와 자바스크립트를 도입했다.[22] 넷스케이프는 1995년 상장되어 웹에 대한 열풍을 불러일으켰고 닷컴 버블을 시작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체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개발하여 브라우저 전쟁을 시작했다.[23]
팀 버너스-리는 1996년에 XML을 만든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을 설립했다.[24] 한편 개발자들은 XMLHttpRequest라는 IE 기능을 활용하여 Ajax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웹 2.0 혁명을 시작했다.[25] 모질라, 오페라 및 애플은 XHTML을 거부하고 WHATWG를 만들어 HTML5를 개발했다.[25] 2009년 W3C는 XHTML을 포기했고,[26] 2019년에는 HTML 사양에 대한 통제권을 WHATWG에 양도했다.[27]
3. 기술적 구성
월드 와이드 웹은 하이퍼텍스트 방식과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인터넷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읽어 모니터에 출력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해 다른 문서로 이동하거나 서버에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웹 페이지들의 집합을 웹 사이트라고 한다.
월드 와이드 웹은 URL, HTTP, HTML의 세 가지 주요 기능으로 구성된다.[135] 영어 단어 ''worldwide''는 보통 한 단어로 쓰이지만, ''World Wide Web''과 약어 ''WWW''는 공식적인 영어 낱말로 사용된다.
"인터넷"과 "월드 와이드 웹"은 종종 혼용되지만,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다. 인터넷은 전 세계적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이며, 월드 와이드 웹은 하이퍼링크와 URI로 연결된 문서 및 자원의 모음이다. 웹 자원은 HTTP 또는 HTTPS를 통해 접근된다.[2]
월드 와이드 웹에서 웹 페이지를 보는 것은 보통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거나 하이퍼링크를 따라가는 것으로 시작된다. 웹 브라우저는 요청된 페이지를 가져와 표시하기 위해 백그라운드 통신 메시지를 보내며, 1990년대에는 이러한 행위를 '웹 서핑' 또는 '웹 브라우징'이라고 불렀다.[38]
웹 브라우저의 기능 예시로, URL `http://example.org/home.html` 페이지에 접근할 때, 브라우저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을 사용하여 서버 이름(example.org)을 IP 주소로 변환한다. 이후 해당 주소로 HTTP 요청을 보내 자원을 요청한다. HTTP는 보통 80번 포트를, HTTPS는 443번 포트를 사용한다.
HTTP 요청을 받은 웹 서버는 요청을 처리하고, 성공 시 HTTP 응답과 함께 요청된 페이지 내용을 브라우저로 보낸다. 웹 브라우저는 HTML을 파싱하여 화면에 텍스트를 표시하고, 필요한 경우 이미지 등 다른 자원을 위해 추가 HTTP 요청을 한다.
월드 와이드 웹에서 문서 작성에는 HTML이나 XHTML과 같은 마크업 언어가 사용된다. 하이퍼텍스트는 문서에 다른 문서의 URL 참조(하이퍼링크)를 삽입하여 인터넷 상의 문서들을 서로 참조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103] 사용자는 하이퍼링크를 클릭하거나 탭하여 대상 문서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서 간 연결 방식이 거미줄을 연상시켜 "World Wide Web"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104]
월드 와이드 웹에 접속하는 소프트웨어(사용자 에이전트)를 WWW 클라이언트라고 하며, 탐색 목적의 클라이언트를 웹 브라우저라고 한다.[105]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는 WWW 서버 또는 웹 서버라고 한다.[105]
3. 1. 핵심 기술
월드 와이드 웹은 다음 세 가지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135]명칭 | 약칭 | 내용 |
---|---|---|
URL | URL | 웹 상의 자원 위치를 나타내는 표준 주소 체계 |
HTTP | HTTP |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
HTML | HTML | 웹 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표현하는 마크업 언어 |
3. 2. 관련 기술
웹 페이지의 디자인과 표현을 담당하는 스타일 시트 언어는 CSS (Cascading Style Sheets)이다. 웹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스크립팅 언어는 자바스크립트이며,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표현하는 마크업 언어는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다. 비동기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술은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이다.[120]4. 구성 요소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웹 브라우저: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탐색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 웹 서버: 웹 페이지를 저장, 처리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 웹 페이지: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문서로, HTML, XHTML 등의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다.
- 웹사이트: 공통 도메인 이름으로 식별되며, 하나 이상의 웹 서버에 게시되는 웹 페이지 및 관련 콘텐츠 모음이다.
- 하이퍼링크: 사용자가 다른 문서나 정보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연결 고리이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4. 1. 웹 브라우저
웹 브라우저(일반적으로 브라우저)는 월드 와이드 웹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사용자 에이전트이다.[105]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찾고, 표시하고, 웹 페이지 간을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웹사이트의 서버에 연결하고 페이지를 표시하려면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것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고, 형식을 지정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표시하기 위해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웹 브라우저는 북마크 저장, 방문 기록 기록, 쿠키 관리, 홈페이지 관리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웹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비밀번호 기록 기능을 갖추고 있을 수도 있다.
가장 인기 있는 브라우저는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인터넷 익스플로러, 엣지이다.
4. 2. 웹 서버

웹 서버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의미하며, 월드 와이드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다. 웹 서버는 보통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를 포함하며, HTTP 등 관련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 요청을 처리한다.
웹 서버의 주된 기능은 웹 페이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저장, 처리 및 제공하는 것이다.[50]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은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제공되는 페이지는 대부분 이미지, 스타일 시트, 스크립트 등을 포함하는 HTML 문서이다.

사용자 에이전트(주로 웹 브라우저 또는 웹 크롤러)는 HTTP를 통해 특정 리소스에 대한 요청을 보내 통신을 시작하고, 서버는 해당 리소스의 콘텐츠나 오류 메시지로 응답한다. 리소스는 보통 서버의 보조 기억 장치에 있는 실제 파일이지만, 웹 서버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웹 서버의 주요 기능은 콘텐츠 제공이지만, HTTP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를 받는 기능도 있다. 이는 파일 업로드 등 웹 폼 제출에 사용된다.
대부분의 웹 서버는 ASP(액티브 서버 페이지), PHP(Hypertext Preprocessor) 등 스크립팅 언어를 사용한 서버 측 스크립팅을 지원한다. 즉, 웹 서버 동작은 별도 파일에서 스크립팅할 수 있지만, 서버 소프트웨어 자체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 기능은 주로 정적 문서 대신 동적으로 HTML 문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전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하거나 수정하는 데 쓰이고, 후자는 빠르고 캐시가 쉽지만 동적 콘텐츠 제공은 어렵다.
웹 서버는 프린터, 라우터, 웹캠 등 임베디드 장치에 내장되어 지역 네트워크만 제공하기도 한다. 이때 웹 서버는 장치 모니터링이나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되므로(대부분 운영 체제에 포함)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추가 소프트웨어 설치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4. 3. 웹 페이지
웹 페이지(web page, 웹페이지라고도 함)는 월드 와이드 웹과 웹 브라우저에 적합한 문서이다. 웹 브라우저는 모니터나 모바일 기기에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웹 페이지"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보이는 내용을 가리키지만, HTML이나 비슷한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하이퍼텍스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파일 자체의 내용을 가리킬 수도 있다. 일반적인 웹 페이지는 하이퍼링크(흔히 링크라고 함)를 통해 다른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하이퍼텍스트를 제공한다. 웹 브라우저는 각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동안 종종 스타일 시트, 스크립트, 이미지와 같은 여러 웹 리소스 요소에 액세스해야 한다.

네트워크에서 웹 브라우저는 원격 웹 서버에서 웹 페이지를 가져올 수 있다. 웹 서버는 기업 인트라넷과 같은 사설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을 사용하여 웹 서버에 이러한 요청을 한다.
웹 페이지에는 정적 웹 페이지와 동적 웹 페이지가 존재한다.
정적 웹 페이지''정적 웹 페이지''(때로는 ''플랫 페이지/정지 페이지''라고도 함)는 동적 웹 페이지와 달리 웹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지 않고 저장된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웹 페이지이다.
따라서 정적 웹 페이지는 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상황에서 동일한 정보를 표시한다. 다만, 웹 서버가 해당 버전을 제공하고 서버가 그렇게 구성된 경우 협상을 통해 콘텐츠 유형이나 문서 언어를 조정하는 최신 기능은 예외이다.
동적 웹 페이지
''서버측 동적 웹 페이지''는 서버측 스크립트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생성이 제어되는 웹 페이지이다. 서버측 스크립팅에서 매개변수는 클라이언트측 처리 설정을 포함하여 새로운 웹 페이지의 조립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결정한다.
''클라이언트측 동적 웹 페이지''는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처리한다.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램은 DOM(문서 객체 모델)을 통해 문서와 상호 작용하여 페이지 상태를 쿼리하고 변경할 수 있다. 동일한 클라이언트측 기술을 사용하여 DOM을 동적으로 업데이트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동적 웹 페이지가 다시 로드되어 일부 가변 콘텐츠를 변경한다. 업데이트 정보는 서버에서 제공되거나 해당 페이지의 DOM에 대한 변경 사항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검색 기록을 잘라내거나 돌아갈 저장된 버전을 생성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Ajax 기술을 사용하는 ''동적 웹 페이지 업데이트''는 돌아갈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표시된 페이지 앞의 웹 브라우징 기록을 잘라내지 않는다. Ajax 기술을 사용하면 최종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에서 단일 페이지로 관리되는 ''하나의 동적 페이지''를 얻는 반면, 해당 페이지에 렌더링되는 실제 웹 콘텐츠는 다를 수 있다. Ajax 엔진은 클라이언트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DOM의 일부, ''즉'' DOM을 요청하는 브라우저에만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1995년 당시 넷스케이프 소속이었던 브렌던 아이크가 웹 페이지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스크립팅 언어이다.[47] 표준화된 버전은 ECMAScript이다.[47] 웹 페이지를 더욱 대화형으로 만들기 위해 일부 웹 애플리케이션은 Ajax(비동기 자바스크립트 및 XML)와 같은 자바스크립트 기술을 사용한다.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트는 페이지와 함께 제공되며, 마우스 움직임이나 클릭과 같은 사용자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경과 시간을 기준으로 서버에 추가 HTTP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의 응답은 각 응답마다 새 페이지를 생성하는 대신 현재 페이지를 수정하는 데 사용되므로 서버는 제한적이고 증분적인 정보만 제공하면 된다. 여러 Ajax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동안 페이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웹 페이지는 또한 정기적으로 폴링하여 서버에서 새 정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48]
월드 와이드 웹에서 문서(웹 페이지) 작성에는 주로 HTML이나 XHTML과 같은 하이퍼텍스트의 기술 언어가 사용된다.
4. 4. 웹 사이트
웹사이트[49]는 일반적으로 공통된 도메인 이름으로 식별되고 하나 이상의 웹 서버에 게시된 웹 페이지,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의 관련 웹 리소스 모음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위키피디아.org, 구글.com, 아마존.com(Amazon.com)이 있다.웹사이트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 또는 사설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URL을 참조하여 접근할 수 있다.
웹사이트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개인 웹사이트, 회사의 기업 웹사이트, 정부 웹사이트, 기관 웹사이트 등이 될 수 있으며, 오락, 소셜 네트워킹, 뉴스, 교육 제공 등 특정 주제 또는 목적에 전념한다. 모든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웹사이트는 집합적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구성하는 반면, 회사 직원을 위한 회사 웹사이트와 같은 사설 웹사이트는 일반적으로 인트라넷의 일부이다.
웹사이트의 구성 요소인 웹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HTML, XHTML의 서식 지시사항이 삽입된 플레인 텍스트로 구성된 문서이다. 적절한 마크업 앵커를 사용하여 다른 웹사이트의 요소를 통합할 수 있다. 웹 페이지는 HTTPS를 사용하여 접근하고 전송되며, 사용자의 보안 및 개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암호화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종종 웹 브라우저)은 HTML 마크업 지시에 따라 페이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렌더링한다.
웹 페이지 간의 하이퍼링크는 독자에게 사이트 구조를 전달하고 사이트의 탐색을 안내하며, 이는 종종 사이트 웹 콘텐츠의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홈페이지에서 시작된다. 일부 웹사이트는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 등록 또는 구독을 요구한다. 구독 웹사이트의 예로는 많은 비즈니스 사이트, 뉴스 웹사이트, 학술지 웹사이트, 게임 웹사이트, 파일 공유 웹사이트, 메시지 보드, 웹 기반 이메일,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 다양한 유형의 시장에 대한 실시간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그리고 다양한 기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가 있다. 최종 사용자는 데스크톱 및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및 스마트 TV를 포함한 다양한 장치에서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다.
4. 5. 하이퍼링크
하이퍼텍스트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서 "문서"나 웹 페이지 등의 정보를 읽어들여 컴퓨터 모니터에 출력하는 형태로 보이게 된다. 사용자는 각 페이지에 있는 하이퍼링크를 따라 다른 문서로 이동하거나, 그 페이지를 서비스하고 있는 서버로 일련의 정보를 보낼 수 있다. 하이퍼링크를 따라 이동하는 행위를 흔히 '''웹 서핑'''(web surfing[134]) 또는 '''웹 브라우징'''이라 한다.[133]월드 와이드 웹에서 웹 페이지를 보는 것은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에 페이지의 URL을 입력하거나 해당 페이지 또는 자원으로 연결되는 하이퍼링크를 따르는 것으로 시작된다. 대부분의 웹 페이지에는 다른 관련 페이지 및 다운로드 가능한 파일, 소스 문서, 정의 및 기타 웹 리소스에 대한 하이퍼링크가 포함되어 있다.[41]
월드 와이드 웹에서 사용되는 하이퍼텍스트란, 문서에 다른 문서의 URL 참조를 삽입함으로써(이것을 하이퍼링크라고 부른다) 인터넷상에 산재하는 문서들을 서로 참조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103] 이용자는 표시하고 있는 문서에서 하이퍼링크가 걸린 부분을 클릭하거나 탭하여 하이퍼링크 대상 문서를 표시할 수 있다.
기본 HTML에서 하이퍼링크는 다음과 같다:
5. 표준화 및 관리
웹 표준은 여러 상호 의존적인 표준과 명세로 구성되며, 그 중 일부는 월드 와이드 웹뿐만 아니라 인터넷의 여러 측면도 규정한다. 웹에 초점을 맞추지 않더라도 이러한 표준은 웹사이트와 웹 서비스의 개발 및 관리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웹 페이지와 웹사이트의 상호 운용성, 접근성, 사용성을 고려해야 한다.[83]
웹 표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서 발행한 ''권고안''[77]
- 웹 하이퍼텍스트 애플리케이션 기술 워킹 그룹(WHATWG)에서 만든 "Living Standard"
- 인터넷 기술 특별 위원회(IETF)에서 발행한 ''요청 사항''(RFC) 문서[78]
-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발행한 ''표준''[79]
- ECMA 인터내셔널(구 ECMA)에서 발행한 ''표준''[80]
- 유니코드 컨소시엄에서 발행한 ''유니코드 표준'' 및 다양한 ''유니코드 기술 보고서''(UTR)[81]
- 인터넷 할당 번호 기관(IANA)에서 관리하는 이름 및 번호 레지스트리[82]
웹 표준은 고정된 규칙의 집합이 아니라 웹 기술의 최종 기술 명세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집합이다.[83] 웹 표준은 표준 기구 (표준화 작업을 맡은 여러 이해관계자 및 경쟁 업체 그룹)에 의해 개발되며, 개인이나 회사가 개발하여 표준으로 선언한 기술이 아니다. 개발 중인 명세와 최종 개발 단계에 도달한 명세 (W3C 명세의 경우 최고 성숙도 수준)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5. 1. 표준화 기구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은 HTML, HTTP 등 웹 관련 기술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24] 1996년 XML을 만들었으며, HTML을 더 엄격한 XHTML로 대체할 것을 권장했다.[24]한편, 개발자들은 XMLHttpRequest라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기능을 활용하여 Ajax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웹 2.0 혁명을 시작했다. 모질라, 오페라, 애플은 XHTML을 거부하고 웹 하이퍼텍스트 애플리케이션 기술 워킹 그룹(WHATWG)을 만들어 HTML5를 개발했다.[25] 2009년 W3C는 XHTML을 포기했고,[26] 2019년에는 HTML 사양에 대한 통제권을 WHATWG에 양도했다.[27]
웹 표준은 웹 페이지와 웹사이트의 상호 운용성, 접근성, 사용성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여러 상호 의존적인 표준과 명세로 구성된다. 웹 표준은 고정된 규칙이 아니라 웹 기술의 최종 기술 명세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집합이다.[83] 웹 표준에 포함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서 발행한 ''권고안''[77]
- 웹 하이퍼텍스트 애플리케이션 기술 워킹 그룹(WHATWG)에서 만든 "Living Standard"
- 인터넷 기술 특별 위원회(IETF)에서 발행한 ''요청 사항''(RFC) 문서[78]
-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발행한 ''표준''[79]
- ECMA 인터내셔널(구 ECMA)에서 발행한 ''표준''[80]
- 유니코드 컨소시엄에서 발행한 ''유니코드 표준'' 및 다양한 ''유니코드 기술 보고서''(UTR)[81]
- 인터넷 할당 번호 기관(IANA)에서 관리하는 이름 및 번호 레지스트리[82]
명칭 | 약칭 | 내용 | 표준화 단체 |
---|---|---|---|
Uniform Resource Locator영어 | URL | 자원 위치 식별자 | WHATWG |
Hypertext Transfer Protocol영어 | HTTP | 통신 프로토콜 | IETF |
HyperText Markup Language영어 | HTML | 하이퍼텍스트의 구조 | WHATWG |
5. 2. 관리 기관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은 HTML, HTTP 등의 표준화를 진행하며, 시맨틱 웹에 관련된 표준을 제정하고 있다.[77]웹 표준은 월드 와이드 웹뿐 아니라 인터넷의 여러 측면을 규정하는 상호 의존적인 표준과 명세로 구성된다. 웹 페이지와 웹사이트의 상호 운용성, 접근성, 사용성을 고려해야 한다.
웹 표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기관 | 역할 |
---|---|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 | 권고안 발행[77] |
웹 하이퍼텍스트 애플리케이션 기술 워킹 그룹(WHATWG) | "Living Standard" 제정 |
인터넷 기술 특별 위원회(IETF) | 요청 사항(RFC) 문서 발행[78] |
국제 표준화 기구(ISO) | 표준 발행[79] |
ECMA 인터내셔널 | 표준 발행[80] |
유니코드 컨소시엄 | 유니코드 표준 및 유니코드 기술 보고서(UTR) 발행[81] |
인터넷 할당 번호 기관(IANA) | 이름 및 번호 레지스트리 관리[82] |
웹 표준은 고정된 규칙이 아니라 웹 기술의 최종 기술 명세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집합이다.[83] 웹 표준은 개인이나 회사가 아닌 표준화 작업을 맡은 여러 이해관계자 및 경쟁 업체 그룹에 의해 개발된다.
6. 사회적 영향
웹은 정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사회,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웹이 사회적 교류를 돕고 지식을 쌓으며, 지구를 더 잘 이해하게 해 준다는 긍정적인 의견도 있다. 반면, 가상 세계에 갇히거나 공격성이 높아지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6. 1. 긍정적 영향
웹은 인류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개인 간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했다. 웹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감정적인 경험, 정치적 사고방식, 문화 관습, 음악 풍습, 비즈니스 관련 조언, 예술, 사진, 문학 등이 인류 역사상 가장 저렴하게 디지털화되어 공유 및 확산된다. 웹은 이를 뒷받침하는 기술과 설비 위에 기반하지만, 인쇄물과 달리 물리적인 형태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웹을 통한 정보 전파는 물리적인 양에 제한되지 않으며, 정보를 복사하는 데 큰 수고가 들지 않는다. 또한 인터넷을 사용하는 장점으로, 웹상의 정보는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다른 어떤 통신 수단(우편, 전화 등)이나 현지 여행보다 빠르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즉, 웹은 지금까지 지상에 나타난 개인 정보 교환 매체 중 가장 광범위하고 먼 거리까지 전달 가능한 것이다. 많은 사용자가 전 세계 사람들과 정보를 교환하고, 다른 수단으로는 불가능했던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웹은 사회적 교류를 촉진하고, 방대한 지식의 축적을 키우며, 개인의 지구 규모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6. 2. 부정적 영향
웹은 사회적 교류를 촉진하고 방대한 지식 축적을 돕는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가상 세계에 갇히거나 공격성이 증가하는 등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4]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타난다.- 사이버 범죄 증가: 개인 정보 유출, 해킹, 사이버 폭력 등 사이버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 가짜 뉴스 확산: 허위 정보나 가짜 뉴스가 빠르게 확산되어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 디지털 격차 심화: 정보 접근 및 활용 능력에 따라 사회 경제적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
- 중독 및 고립 문제: 웹 과다 사용으로 인한 중독, 사회적 고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한국 사회의 과도한 경쟁 심화: 무분별한 사이버 폭력과 명예 훼손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온라인 여론 조작 및 선동으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6. 3.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인프라를 바탕으로 웹이 빠르게 확산되었으며, 이는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왔다.7.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웹 사용이 증가하면서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는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일부 기업은 웹 보안을 사업 기회로 보기도 하지만, 다른 일부는 데이터와 네트워크 보호를 위한 "유비쿼터스하고 항상 작동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를 주장하기도 한다.[74] 또한, 조나단 지트라인은 사용자가 컴퓨팅 안전에 대한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고 말했다.[75]
7. 1. 보안 위협
범죄자들에게 웹은 악성 코드를 유포하고 신원 도용, 사기, 첩보 활동 및 정보 수집 등 다양한 사이버 범죄를 저지르는 장소가 되었다.[72] 웹 기반 취약점은 이제 기존의 컴퓨터 보안 문제보다 더 많아졌으며,[62][63] 구글의 측정에 따르면 웹 페이지 10개 중 1개는 악성 코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64] 대부분의 웹 기반 공격은 합법적인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며, (Sophos)의 측정에 따르면 대부분은 미국, 중국, 러시아에서 호스팅된다.[65]가장 일반적인 악성 코드 위협은 웹사이트에 대한 SQL 주입 공격이다.[66] HTML과 URI를 통해 웹은 자바스크립트의 도입과 함께 발생한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과 같은 공격에 취약했으며,[67] 웹 2.0과 스크립트 사용을 선호하는 Ajax 웹 디자인에 의해 어느 정도 악화되었다.[68] 2007년 한 추산에 따르면 모든 웹사이트의 70%가 사용자에 대한 XSS 공격에 개방되어 있다.[69]
피싱은 웹에 대한 또 다른 일반적인 위협이다. 2013년 2월, EMC의 보안 부서인 RSA는 2012년 피싱으로 인한 전 세계 손실액을 15억달러로 추산했다.[70] 잘 알려진 피싱 방법 두 가지는 은밀한 리다이렉트와 공개 리다이렉트이다.
제안된 해결책은 다양하다. (McAfee)와 같은 대규모 보안 회사는 이미 9/11 이후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거버넌스 및 규정 준수 제품군을 설계했으며,[71] (Finjan Holdings)와 같은 일부 회사는 출처에 관계없이 프로그래밍 코드와 모든 콘텐츠의 실시간 활성 검사를 권장했다.[72] 조나단 지트라인(Jonathan Zittrain)은 사용자가 컴퓨팅 안전에 대한 책임을 공유하는 것이 인터넷을 잠그는 것보다 훨씬 바람직하다고 말했다.[75]
7. 2. 개인 정보 보호 문제
클라이언트가 웹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서버는 요청의 IP 주소를 식별할 수 있다. 웹 서버는 일반적으로 IP 주소를 로그 파일에 기록한다. 또한,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는 요청된 웹 페이지를 볼 수 있는 '히스토리' 기능에 기록하고, 캐시에 많은 콘텐츠를 로컬에 저장한다. 서버-브라우저 통신이 HTTPS 암호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웹 요청과 응답은 인터넷을 통해 일반 텍스트로 전송되며 중간 시스템에서 보고, 기록하고, 캐시될 수 있다. 개인 식별 정보를 숨기는 또 다른 방법은 가상 사설망을 사용하는 것이다. VPN은 클라이언트와 VPN 서버 간의 트래픽을 암호화하고 원래 IP 주소를 마스킹하여 사용자 식별 가능성을 낮춘다.웹 페이지가 개인 식별 정보(실명, 주소, 이메일 주소 등)를 요청하고 사용자가 제공하는 경우, 웹 기반 기관은 현재 웹 트래픽을 해당 개인과 연결할 수 있다. 웹사이트가 HTTP 쿠키를 사용하는 경우, 제공된 식별 정보와 이전 및 이후의 다른 웹 방문을 관련 지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웹 기반 조직은 해당 사이트를 사용하는 개인에 대한 프로필을 개발하고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필은 마케터, 광고주 등에게 잠재적으로 관심이 있을 수 있다. 웹사이트의 이용 약관 및 적용되는 현지 법률에 따라 이러한 프로필의 정보는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다른 조직에 판매, 공유 또는 전달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실명, 관심사 및 위치를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업로드된 사진이나 경솔한 진술은 개인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출을 후회할 수 있다. 온라인 괴롭힘꾼은 개인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괴롭히거나 스토킹할 수 있다. 특히 사진과 비디오는 사람의 얼굴을 온라인 프로필에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얼굴 인식 기술을 사용하면 해당 얼굴을 이전에 익명이었던 이미지와 관련짓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미지 캐싱, 미러링 및 복사로 인해 월드 와이드 웹에서 이미지를 제거하기 어렵다.[76]
7. 3. 한국의 노력
한국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과 개인정보 보호법을 통해 웹 상에서의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 정보통신망법은 웹 서비스 제공자의 개인 정보 보호 의무와 이용자의 권리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개인정보 보호법은 개인 정보 처리 전반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개인 정보 유출 시 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8. 미래 전망
웹은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보를 수신하고 사회와 상호 작용한다. W3C는 장애인에게 동등한 접근과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웹 접근성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85] 팀 버너스리는 "웹의 힘은 그 보편성에 있다. 장애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은 필수적인 측면이다."라고 언급했다.[84]
많은 국가에서는 웹사이트에 대한 요구 사항으로 웹 접근성을 규제하고 있다.[86] W3C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의 국제적 협력을 통해 웹 콘텐츠 제작자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보조 기술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사람들에게 웹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한 지침이 마련되었다.[84][87]
9. 한국 웹의 과제
웹은 악성코드 유포, 신원 도용, 사기, 정보 수집 등 다양한 사이버 범죄의 온상이 되고 있다.[72] 웹 기반 취약점은 기존 컴퓨터 보안 문제보다 심각하며,[62][63] 구글 조사에 따르면 웹 페이지 10개 중 1개는 악성 코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64] 대부분의 웹 기반 공격은 합법적인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며, 주로 미국, 중국, 러시아에서 호스팅된다.[65] 가장 흔한 악성 코드 위협은 SQL 주입 공격이다.[66] HTML과 URI를 사용하는 웹은 자바스크립트 도입으로 인한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공격에 취약하며,[67] 웹 2.0과 Ajax 웹 디자인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68] 2007년에는 모든 웹사이트의 70%가 XSS 공격에 노출되어 있다는 추정도 있었다.[69] 피싱 역시 심각한 위협으로, 2012년 피싱으로 인한 전 세계 손실액은 15억달러로 추산된다.[70] 대표적인 피싱 방법으로는 은밀한 리다이렉트와 공개 리다이렉트가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맥아피(McAfee)와 같은 대규모 보안 회사는 규정 준수를 위한 거버넌스 및 규정 준수 제품군을 설계했으며,[71] 핀잔 홀딩스(Finjan Holdings)와 같은 회사는 프로그래밍 코드와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검사하는 방식을 제안했다.[72] 일각에서는 기업이 웹 보안을 비용이 아닌 사업 기회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하며,[73] 다른 한편에서는 인프라에서 시행되는 "유비쿼터스하고 항상 작동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74] 조나단 지트라인(Jonathan Zittrain)은 인터넷을 잠그는 것보다 사용자가 컴퓨팅 안전에 대한 책임을 공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75]
10. 딥 웹
딥 웹(deep web),[56] 숨겨진 웹(invisible web),[57] 또는 비가시 웹(hidden web)[58]은 표준 웹 검색 엔진에 의해 색인되지 않는 월드 와이드 웹의 일부이다. 딥 웹과 반대되는 용어는 누구나 인터넷을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표면 웹이다.[59] 컴퓨터 과학자 마이클 K. 버그먼(Michael K. Bergman)은 2001년 검색 색인 용어로 "딥 웹"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는 공로를 인정받았다.
딥 웹의 콘텐츠는 HTTP 양식 뒤에 숨겨져 있으며,[60][61] 웹메일, 온라인 뱅킹과 같이 매우 일반적인 용도와 사용자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서비스, 그리고 유료화 벽으로 보호되는 주문형 비디오, 일부 온라인 잡지와 신문 등을 포함한다.
딥 웹의 콘텐츠는 직접 URL 또는 IP 주소로 찾아서 접근할 수 있으며, 공개 웹사이트 페이지를 지나 암호 또는 기타 보안 접근 권한이 필요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Desk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b and the Internet?
http://www.w3.org/He[...]
W3C
2015-07-16
[3]
웹사이트
Information Management: A Proposal
https://www.w3.org/H[...]
The World Wide Web Consortium
2022-02-12
[4]
웹사이트
The World's First Web Site
https://www.history.[...]
2023-08-19
[5]
뉴스
The Once And Future Web Platform
https://techcrunch.c[...]
TechCrunch
2022-03-09
[6]
웹사이트
World Wide Web Timeline
http://www.pewintern[...]
Pews Research Center
2015-08-01
[7]
뉴스
36 Ways The Web Has Changed Us
https://www.washingt[...]
2015-08-01
[8]
논문
From Diversity to Convergence: British Computer Networks and the Internet, 1970-1995
http://wrap.warwick.[...]
The University of Warwick
2022-12-27
[9]
서적
Weaving the Web
http://archive.org/d[...]
HarperSanFrancisco
1999
[10]
학술지
World-Wide Web: The Information Universe
https://www.w3.org/H[...]
2022-12-27
[11]
뉴스
Network Designer Tim Berners-Lee
https://web.archive.[...]
2010-05-17
[12]
서적
Tim Berners-Lee: Inventor of the World Wide Web
https://archive.org/[...]
Twenty-First Century Books
[13]
웹사이트
Re: Qualifiers on Hypertext links
https://www.w3.org/P[...]
W3
[1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eb
https://www.w3.org/2[...]
The World Wide Web Consortium
2022-02-12
[15]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Web
https://home.cern/sc[...]
2022-04-15
[16]
웹사이트
Software release of WWW into public domain
https://cds.cern.ch/[...]
CERN
2022-02-17
[17]
웹사이트
Ten Years Public Domain for the Original Web Software
http://tenyears-www.[...]
Tenyears-www.web.cern.ch
2009-07-27
[18]
잡지
April 22, 1993: Mosaic Browser Lights Up Web With Color, Creativity
https://www.wired.co[...]
2022-02-12
[19]
서적
Media, Society, World: Social Theory and Digital Media Practice
https://books.google[...]
Polity Press
2020-12-11
[20]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IMG Tag
https://thehistoryof[...]
2022-02-13
[21]
웹사이트
The Birth of Web Commerce
http://www.rogerclar[...]
XAMAX
2022-02-15
[22]
웹사이트
20 YEARS ON: WHY NETSCAPE'S IPO WAS THE "BIG BANG" OF THE INTERNET ERA
http://www.interneth[...]
INTERNET HISTORY PODCAST
2022-02-12
[23]
잡지
Sept. 28, 1998: Internet Explorer Leaves Netscape in Its Wake
https://www.wired.co[...]
2022-02-14
[24]
뉴스
World Wide Web Consortium Issues XHTML 1.0 as a Recommendation
https://www.w3.org/2[...]
W3C
2022-03-08
[25]
웹사이트
WHAT open mailing list announcement
https://whatwg.org/n[...]
WHATWG
2022-02-16
[26]
뉴스
An epitaph for the Web standard, XHTML 2
https://www.cnet.com[...]
CNet
2022-02-17
[27]
웹사이트
Memorandum of Understanding Between W3C and WHATWG
https://www.w3.org/2[...]
W3C
2022-02-16
[28]
서적
Electronic Commerce Management for Business Activities and Global Enterprises: Competitive Advantages: Competitive Advantages
https://books.google[...]
IGI Global
2020-09-27
[29]
서적
American Countercultures: An Encyclopedia of Nonconformists, Alternative Lifestyles, and Radical Ideas in U.S. History: An Encyclopedia of Nonconformists, Alternative Lifestyles, and Radical Ideas in U.S.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9-27
[30]
웹사이트
World Wide Web Timeline
http://www.pewintern[...]
2015-08-01
[31]
웹사이트
Internet Live Stats
http://www.internetl[...]
2015-08-01
[32]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Spelling of WWW
https://w3.org/Peopl[...]
W3C
2009-07-27
[33]
웹사이트
It's not your grandfather's Internet
https://www.thefreel[...]
Institute of Management Accountants
2016-02-07
[34]
웹사이트
Audible pronunciation of 'WWW'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5-25
[35]
웹사이트
How we pronounce WWW in English: a detailed but unscientific survey
https://charlieharve[...]
2022-05-19
[36]
웹사이트
Stephen Fry's pronunciation of 'WWW'
http://www.podcasts.[...]
Podcasts.com
2017-04-04
[37]
웹사이트
Help us find a better way to pronounce www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Technology
2008-07-22
[38]
논문
A grounded theory of World Wide Web search behaviour
[39]
서적
JavaScript – The definitive guide
[40]
웹사이트
HTML 4.0 Specification – W3C Recommendation – Conformance: requirements and recommendations
https://www.w3.org/T[...]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7-12-18
[41]
웹사이트
WorldWideWeb: Proposal for a HyperText Project
http://w3.org/Propos[...]
1990-11-12
[42]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by the Press
http://w3.org/People[...]
W3C
[43]
웹사이트
The Early Days of the WWW at CERN
http://soft-shake.ch[...]
2011
[44]
웹사이트
Why a domain's root can't be a CNAME – and other tidbits about the DNS
https://medium.freec[...]
2018-05-13
[45]
웹사이트
automatically adding www.___.com
http://forums.mozill[...]
mozillaZine
2003-05-16
[46]
웹사이트
Microsoft Patents Adding 'www.' And '.com' To Text
http://techdirt.com/[...]
Techdirt
2008-07-07
[47]
웹사이트
The A-Z of Programming Languages: JavaScript
http://computerworld[...]
IDG
2008-07-31
[48]
웹사이트
jQuery Polling plugin
http://buntin.org/20[...]
2008-09-23
[49]
웹사이트
website
http://www.thefreedi[...]
[50]
서적
Web performance tuning
O'Reilly
2002
[51]
웹사이트
Gmail cookie stolen via Google Spreadsheets
http://news.cnet.com[...]
2008-04-14
[52]
웹사이트
What about the "EU Cookie Directive"?
http://webcookies.or[...]
WebCookies.org
[53]
뉴스
New net rules set to make cookies crumble
https://www.bbc.co.u[...]
2011-03-08
[54]
웹사이트
Sen. Rockefeller: Get Ready for a Real Do-Not-Track Bill for Online Advertising
http://adage.com/art[...]
2011-05-06
[55]
웹사이트
Want to use my wifi?
https://thejh.net/wr[...]
2018-01-04
[56]
논문
The Mechanics of a Deep Net Metasearch Engine
https://www.iadispor[...]
2024-05-13
[57]
논문
Beyond google: the invisible web in the academic library
2004-07
[58]
논문
Crawling the Hidden Web
http://ilpubs.stanfo[...]
2001-09-11
[59]
웹사이트
Surface Web
https://www.computer[...]
Computer Hope
[60]
논문
Google's deep web crawl
[61]
뉴스
How Do You Want Me to Do It? Does It Have to Look like an Accident? – an Assassin Selling a Hit on the Net; Revealed Inside the Deep Web
https://www.questia.[...]
2014-06-08
[62]
웹사이트
Vulnerability Type Distributions in CVE (version 1.1)
http://cwe.mitre.org[...]
MITRE Corporation
2007-05-22
[63]
간행물
Symantec Internet Security Threat Report: Trends for July–December 2007 (Executive Summary)
http://eval.symantec[...]
Symantec Corp.
2008-04
[64]
뉴스
Google searches web's dark side
http://news.bbc.co.u[...]
2007-05-11
[65]
웹사이트
Security Threat Report (Q1 2008)
http://www.sophos.co[...]
Sophos
[66]
웹사이트
Security threat report
http://www.sophos.co[...]
Sophos
2008-07
[67]
서적
Cross Site Scripting Attacks: XSS Exploits and Defense
http://www.syngress.[...]
Syngress, Elsevier Science & Technology
[68]
웹사이트
What Is Web 2.0
http://www.oreillyne[...]
O'Reilly Media
2005-09-30
[68]
논문
The security risks of AJAX/web 2.0 applications
http://www.infosecur[...]
2007-03
[68]
뉴스
Ajax Security Basics
http://www.securityf[...]
SecurityFocus
2006-06-22
[69]
뉴스
Software Vulnerability Disclosure: The Chilling Effect
http://www.csoonline[...]
CXO Media
2007-01-01
[70]
웹사이트
2012 Global Losses From phishing Estimated At $1.5 Bn
http://firstbiz.firs[...]
FirstPost
2013-02-20
[71]
뉴스
McAfee Governance, Risk and Compliance Business Unit
http://www.eweek.com[...]
Ziff Davis Enterprise Holdings
2008-04-09
[72]
뉴스
Infosecurity 2008 – New defence strategy in battle against e-crime
http://www.computerw[...]
Reed Business Information
2008-04-18
[73]
뉴스
Down To Business: It's Past Time To Elevate The Infosec Conversation
http://www.informati[...]
United Business Media
2008-04-12
[74]
뉴스
RSA's Coviello Predicts Security Consolidation
http://www.informati[...]
United Business Media
2007-02-06
[75]
뉴스
How the iPhone is killing the 'Net
http://www.networkwo[...]
IDG
2008-04-09
[76]
논문
Facebook privacy settings: Who cares?
2010-07
[77]
웹사이트
W3C Technical Reports and Publications
http://www.w3.org/TR[...]
W3C
[78]
웹사이트
IETF RFC page
http://www.ietf.org/[...]
IETF
[79]
웹사이트
Search for World Wide Web in ISO standards
http://www.iso.org/i[...]
ISO
[80]
웹사이트
Ecma formal publications
http://www.ecma-inte[...]
Ecma
[81]
웹사이트
Unicode Technical Report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82]
웹사이트
IANA home page
https://www.iana.org[...]
IANA
[83]
서적
Web standards – Mastering HTML5, CSS3, and XML
http://www.mastering[...]
Apress
[84]
웹사이트
Web Accessibility Initiative (WAI)
http://www.w3.org/WA[...]
World Wide Web Consortium
[85]
웹사이트
Developing a Web Accessibility Business Case for Your Organization: Overview
http://www.w3.org/WA[...]
World Wide Web Consortium
[86]
웹사이트
Legal and Policy Factors in Developing a Web Accessibility Business Case for Your Organization
http://www.w3.org/WA[...]
World Wide Web Consortium
[87]
웹사이트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WCAG) Overview
http://www.w3.org/WA[...]
World Wide Web Consortium
[88]
웹사이트
Internationalization (I18n) Activity
http://www.w3.org/In[...]
World Wide Web Consortium
[89]
뉴스
Moving to Unicode 5.1
http://googleblog.bl[...]
2008-04-05
[90]
보도자료
World Wide Web Consortium Supports the IETF URI Standard and IRI Proposed Standard
http://www.w3.org/20[...]
World Wide Web Consortium
2005-01-26
[91]
뉴스
Internet users to exceed 2 billion ...
https://www.reuters.[...]
2010-10-19
[92]
논문
Searching the World Wide Web
http://circ.ahajourn[...]
[93]
논문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on the Web
[94]
웹사이트
The 'Deep' Web: Surfacing Hidden Value
http://www.brightpla[...]
Brightplanet.com
[95]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languages on the Internet
http://www.netz-tipp[...]
Netz-tipp.de
[96]
웹사이트
The Indexable Web is More than 11.5 Billion Pages
http://wifiscan.fr/r[...]
citeseerx.ist.psu.edu
[97]
웹사이트
The size of the World Wide Web
http://www.worldwide[...]
Worldwidewebsize.com
[98]
웹사이트
We knew the web was big...
http://googleblog.bl[...]
2008-07-25
[99]
웹사이트
Domain Counts & Internet Statistics
http://www.domaintoo[...]
Name Intelligence
[100]
웹사이트
The World Wide Web Consortium
https://www.w3.org/
[101]
웹사이트
2 発展する画像通信 : 昭和60年版 通信白書
https://www.soumu.go[...]
2021-01-07
[102]
서적
教養としてのコンピューターサイエンス講義
日経BP
2020-02-25
[103]
서적
メディアリテラシ
サイエンス社
2013-08-10
[104]
서적
インターネット
岩波書店
1995-11-30
[105]
웹사이트
Webとは - IT用語辞典
https://e-words.jp/w[...]
2024-03-01
[106]
웹사이트
インターネットを爆発的に普及させたウェブ(WWW)ができるまで - JPNIC
https://www.nic.ad.j[...]
2024-03-01
[107]
언어
Enquire Within Upon Everything
[108]
웹사이트
The original proposal of the WWW, HTMLized
https://www.w3.org/H[...]
[109]
뉴스
WWW誕生から30周年 Googleもロゴで祝福
https://www.itmedia.[...]
ITmedia NEWS
2019-03-12
[110]
웹사이트
The birth of the Web
https://home.cern/sc[...]
CERN
2019-09-04
[111]
웹사이트
https://www.w3.org/P[...]
[112]
웹사이트
Tim Berners-Lee: WorldWideWeb, the first Web client
http://www.w3.org/Pe[...]
[113]
기타
[114]
웹사이트
The birth of the World Wide Web
https://timeline.web[...]
CERN
2019-09-04
[115]
웹사이트
https://groups.googl[...]
[116]
기타
[117]
뉴스
www一般開放15周年、発明者が語るウェブの理想
https://www.afpbb.co[...]
AFPBB
2021-03-05
[118]
서적
教養としてのコンピューターサイエンス講義
日経BP
2020-02-25
[119]
웹사이트
Adobe Flash Playerサポート終了情報ページ
Adobe
2023-01-03
[120]
서적
教養としてのコンピューターサイエンス講義
日経BP
2020-02-25
[121]
웹사이트
DNSとは - IT用語辞典
https://e-words.jp/w[...]
2024-03-01
[122]
웹사이트
Webブラウザとは - IT用語辞典
https://e-words.jp/w[...]
2024-03-01
[123]
웹사이트
BrightPlanet - The 'Deep' Web: Surfacing Hidden Value
http://www.brightpla[...]
[124]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languages on the Internet
http://www.netz-tipp[...]
[125]
웹사이트
The Indexable Web is more than 11.5 billion pages
http://www.cs.uiowa.[...]
[126]
웹사이트
Fact of The Web
http://www.ieice.org[...]
[127]
뉴스
世界のウェブサイト数、10億件を突破
https://www.afpbb.co[...]
AFPBB
2021-03-05
[128]
언어
Wilson Library Bulletin
[129]
언어
Jean Armour Polly
[130]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Spelling of WWW
https://www.w3.org/P[...]
W3C
2024-07-15
[131]
웹사이트
Audible pronunciation of 'WWW'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5-25
[132]
웹사이트
How we pronounce WWW in English: a detailed but unscientific survey
https://charlieharve[...]
2022-05-19
[133]
기타
[134]
웹사이트
남북한 공통 정보화교육 용어사전 나온다
http://www.mt.co.kr/[...]
[135]
웹사이트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https://web.archive.[...]
2010-06-05
[136]
기타
[137]
서적
현대사회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