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암 A. 밴게메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윌리엄 A. 밴게메렌은 구약 신학 및 주석 분야의 권위자로서, 구약성경 연구와 해석에 기여했다. 1997년 5권으로 구성된 "구약 신학 및 주석에 관한 새로운 국제 사전"을 편집했으며, 예언 해석과 관련된 저술 활동을 통해 학문적 입지를 다졌다. 그는 구속의 역사, 예언의 해석, 그리고 다양한 성경 구절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했으며,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율법과 복음, 선교, 종말론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했다. 밴게메렌은 이스라엘과 교회의 관계, 성령의 역할, 시편 해석, 그리고 사회 정의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문을 통해 발표했으며, 저서를 통해 그의 신학적 관점을 드러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경 해석학자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성경 해석학자 - 게르하르트 폰 라트
    게르하르트 폰 라트는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로서 구약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형식 비평과 전승사 연구를 통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구약학 교수로 재직하며 저서 《구약성서신학》 등을 저술했다.
  • 구약 학자 - 제임스 바
    제임스 바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신학자이자 구약학자로서, 성경 언어 의미론과 근본주의 비판에 기여했으며, 에든버러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 구약 학자 - 율리우스 벨하우젠
    율리우스 벨하우젠은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이자 성서학자로, 토라의 기원에 대한 비평적 연구로 유명하며 문서 가설을 확립하여 후대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리노이 대학교 동문 - 리처드 해밍
    리처드 해밍은 정보 이론과 오류 정정 부호 분야에 기여하고 해밍 거리, 해밍 부호 등의 개념을 도입한 미국의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이다.
  • 일리노이 대학교 동문 - 로버트 W. 홀리
    로버트 W. 홀리는 알라닌 tRNA의 염기서열과 구조를 밝혀 유전 정보 전달 과정을 규명한 공로로 196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생화학자이다.
윌리암 A. 밴게메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빌럼 A. 밴게메렌
원어 이름Willem A. Vangemeren
출생일1943년 4월 7일
출생지Boskoop, Netherlands (네덜란드 보스쿱)
국적미국
직업신학자, 교수
학력University of Illinois (일리노이 대학교) (B.A.)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B.D.)
University of Wisconsin (위스콘신 대학교) (Ph.D)
모교University of Wisconsin (위스콘신 대학교)
논문 제목The Exegesis of Ezekiel's 'Chariot ̓chapters in Twelfth-Century Hebrew Commentaries (12세기 히브리 주석에 나타난 에스겔의 '전차' 장 해석)
논문 URLThe Exegesis of Ezekiel's 'Chariot ̓chapters in Twelfth-Century Hebrew Commentaries
논문 발표 연도1974년
박사 지도교수Menahem Mansoor (메나헴 만수르)
직장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원)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개혁주의 신학대학원)
Geneva College (제네바 칼리지)
알려진 업적Commentary on Psalms in the Expositor's Bible Commentary series (Zondervan) (해설자의 성경 주석 시리즈 (존더반)의 시편 주석)
학문 분야
학문 분야성경학자
세부 학문 분야구약과 셈어
경력
직함명예 교수
소속트리니티 신학교
편집장구약신학 국제 사전 편집장
개인 정보

2. 생애 및 교육

반게메렌은 제2차 세계 대전네덜란드 보스코프에서 야코부스 요하네스 반 게메렌과 사라 코르넬리아 랑에펠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962년 미국으로 이주했다.[4]

그는 시카고의 무디 성경 연구원에서 수학하여 졸업장(Diploma)을 받았고,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BA)를 취득했다.[5] 이후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신학 학사 학위(BD)를 받았으며, 예루살렘의 히브리 대학교에서 방문 대학원생으로 연구하기도 했다. 최종적으로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구약학 분야로 석사(MA) 및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6]

학위를 마친 후, 반게메렌은 제네바 칼리지와 개혁 신학 대학원에서 총 18년 동안 가르쳤으며,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원에서도 교수로 재직했다.[7]

3. 주요 저서

윌리암 A. 밴게메렌은 다수의 저서를 통해 구약성경 연구에 기여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성경 전체의 구원사를 다룬 ''구속의 진전: 창조부터 새 예루살렘까지의 구원의 이야기''(The Progress of Redemption: The Story of Salvation from Creation to the New Jerusalemeng, 1988)가 있다.[1]

또한 1990년에는 존더번 출판사에서 ''Interpreting the Prophetic Wordeng''(예언의 말씀을 해석하다)를 출간했으며,[2] 같은 해 프랭크 E. 가벨라인이 편집한 ''Expositor's Bible Commentaryeng''(해설자 성경 주석) 시리즈 중 시편 부분을 집필했다.[3]

3. 1. 구속의 진전: 창조부터 새 예루살렘까지의 구원의 이야기

'구속의 진전: 창조부터 새 예루살렘까지의 구원의 이야기'(The Progress of Redemption: The Story of Salvation from Creation to the New Jerusalemeng)는 윌렘 A. 반게메렌의 주요 저서 중 하나로, 성경 전체에 걸친 구원의 역사를 다룬다.[1] 이 책은 1988년 미국 미시간주그랜드래피즈에 위치한 존더번 출판사에서 출간되었으며, ISBN은 0-8010-2081-6이다.[1] 책의 내용은 창조에서 시작하여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새 예루살렘의 도래까지 이어지는 구원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1]

3. 2. 구약 신학 및 주석에 관한 새로운 국제 사전

윌리암 A. 밴게메렌은 구약 신학주석 분야에서 중요한 학술 자료로 평가받는 ''구약 신학 및 주석에 관한 새로운 국제 사전''을 편찬했다. 이 사전은 1997년 존더반(Zondervan) 출판사에서 출간되었으며, 이후 아랍어와 포르투갈어로도 번역되었다.

또한 그는 1999년에 같은 출판사에서 ''구약 신학 및 주석 가이드''를 출간했다.

4. 주요 논문 및 학술 활동

윌리암 A. 밴게메렌은 구약학 분야, 특히 시편 연구와 예언서 해석에 중점을 둔 다수의 학술 논문과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의 연구는 개혁주의 신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성경 전체의 통일성과 언약 신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주요 연구 주제로는 구약신약의 관계(지속성과 불연속성), 이스라엘과 교회의 관계, 율법복음, 하나님의 영, 성경 해석학, 선교적 관점(미시오 데이) 등이 있으며, 창세기, 시편, 다니엘서 등 특정 성경 본문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복음주의 신학회 저널(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히브리 연구(Hebrew Studies) 등 주요 학술지에 꾸준히 논문을 발표했다.[8][9][10]

특히 시편 연구에 있어서는 문학적 분석과 비평적 현실주의 해석 방법론을 제시했으며, 예언 해석 분야에서는 이스라엘의 역할을 중요한 해석학적 지점으로 강조했다.[9] 또한, '아바'와 같은 특정 히브리어 단어의 의미 연구나[11] 케노시스 개념과 사회 정의 문제 등 현대 신학적, 사회적 쟁점과 관련된 주제도 다루었다.

밴게메렌은 한국 신학계와도 교류하며, 한국어로 발행되는 신학 잡지(티라노서원 발행 ''Ministry Magazine'')에 글을 기고하고 한국복음주의신학회에서 강연하는 등 한국과의 인연을 이어갔다. 그는 학술 논문 외에도 제네바 스터디 바이블, NKJV 스터디 바이블(NKJV Study Bible), 신약 생활 번역본(The New Living Translation), 복음 변혁 바이블(Gospel Transformation Bible) 등 여러 스터디 바이블 제작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자신의 연구 성과를 대중과 공유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4. 1. 지속성의 체계

1988년, 밴게메렌은 존 페인버그(John Feinbergeng)가 편집한 ''지속성과 불연속성: S. 루이스 존슨 주니어 기념 구약신약의 관계에 대한 관점''(Continuity and Discontinuity: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s: Essays in Honor of S. Lewis Johnson, Jr.eng)이라는 책에 '지속성의 체계'(The Systems of Continuityeng)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이 글은 미국 일리노이주 웨스트체스터의 크로스웨이(Crossway Bookseng) 출판사에서 출판되었으며, 책의 37쪽부터 62쪽까지 실려 있다. (ISBN 0891074686)

4. 2. 이스라엘과 교회: 응답

1992년에 발표된 논문으로, 이스라엘과 교회의 관계에 대한 그의 입장을 다룬다. 이 논문은 크레이그 블레이징(Craig A. Blaising)과 다렐 복(Darrell L. Bock)이 편집한 책 ''세대주의, 이스라엘, 그리고 교회'' (''Dispensationalism, Israel and the Church'')에 실렸다. 출판사는 존더반(Zondervan)이며, 출판지는 미국 미시간주그랜드래피즈이다. (ISBN: 0310346118)

4. 3. 율법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의의 완성 - 개혁주의 관점

밴게메렌은 1993년에 ''율법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의의 완성 - 개혁주의 관점''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웨인 스트릭랜드가 편집하고 그랜드 래피즈의 존더반 출판사에서 출간한 ''율법, 복음, 그리고 기독교인의 삶에 대한 다섯 가지 관점''이라는 책에 수록되었다. 이 책은 1996년에 ''율법과 복음에 대한 다섯 가지 관점''이라는 제목으로 재출간되었다. 해당 논문은 율법복음의 관계에 대한 그의 개혁주의 신학적 입장을 보여준다.

4. 4. 구원의 신탁


  • (1995). 구원의 신탁. 브렌트 샌디와 로널드 L. 기제 편, 구약 코드 해독: 구약의 문학적 장르 해석 안내. 내슈빌: 브로드만 앤 홀만, 139–55쪽.

4. 5. 우리의 선교적인 하나님: 구속사적 설교와 미시오 데이

윌리암 A. 밴게메렌은 2011년에 ''우리의 선교적인 하나님: 구속사적 설교와 미시오 데이''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했다. 이 글은 제이슨 반 블리엣이 편집한 ''고대 샘물에서 흘러나오는 생수: 코르넬리스 반 담을 기리는 에세이'' (유진, 오리건: 픽윅 출판사)에 198쪽부터 217쪽까지 실렸다. 이 글에서 그는 구속사설교선교적 관점(미시오 데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했다.

4. 6. 하나님의 영과 미래

2011년 앤드류 아버네시와 함께 "하나님의 영과 미래"라는 글을 발표했다. 이 글은 데이비드 G. 퍼스와 폴 D. 웨그너가 편집한 책 ''임재, 능력, 그리고 약속: 구약에서의 하나님의 영의 역할''(다운러스 그로브: 인터바시티 프레스, 321–45쪽, ISBN 1844745341)에 실렸다.

4. 7. 시편 머리글과 시편의 비평적 현실주의적 해석

제이슨 스탕헬레(Jason Stanghelle)와 함께 쓴 논문으로, 제임스 K. 호프마이어(James K. Hoffmeier)와 데니스 R. 매거리(Dennis R. Magary)가 편집한 ''역사적 문제가 신앙에 중요한가?: 성경에 대한 현대 및 포스트모던 접근법에 대한 비판적 평가''에 수록되었다. 이 책은 크로스웨이에서 출판되었으며, 해당 논문은 281-302쪽에 실려 있다. 이 글에서 밴게메렌은 시편의 머리글과 본문 해석에 있어 비평적 실재론적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4. 8. 시편의 텍스트 세계로 들어가기: 문학적 분석


  • (2013) "시편의 텍스트 세계로 들어가기: 문학적 분석". 앤드류 J. 슈머처와 데이비드 M. 하워드 편, ''시편: 영혼의 모든 계절을 위한 언어''. 시카고: 무디 출판사, 29–48쪽.

4. 9. 하나님의 신실하심, 인간의 고통, 그리고 결론적인 할렐 시편(146-150): 정경적 연구

(2015) "하나님의 신실하심, 인간의 고통, 그리고 결론적인 할렐 시편(146-150): 정경적 연구". 그레그 R. 앨리슨(Gregg R. Allison)과 스티븐 J. 웰럼(Stephen J. Wellum) 편, ''복음주의 신학의 기초 위에 세우기: 존 S. 페인버그 기념 에세이''. 휘튼: 크로스웨이, 263–84쪽. ISBN 1433538172.

4. 10. 예수는 나사렛에서 태어났는가?

윌리암 A. 밴게메렌은 예수의 출생지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는 1972년 12월, ''장로교 가디언''(The Presbyterian Guardian) 41권에 "예수나사렛에서 태어났는가?"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http://opc.org/cfh/guardian/Volume_41/1972-12.pdf (PDF 전문)]

4. 11. 창세기 6:1-4의 하나님의 아들들

윌리암 A. 밴게메렌은 창세기 6장 1절부터 4절까지 등장하는 '하나님의 아들들'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1981년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43권에 "창세기 6:1-4의 하나님의 아들들"이라는 제목으로 실렸으며, 320페이지부터 348페이지에 걸쳐 내용을 다루고 있다.[8]

4. 12. 시편 131편: Keg~mûl': 의미와 은유의 문제

1982년, ''히브리 연구''(Hebrew Studies) 저널 23권에 "시편 131편: ''Keg~mûl'': 의미와 은유의 문제"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51쪽부터 57쪽까지 실렸다. [https://www.jstor.org/stable/27908762?seq=1#page_scan_tab_contents JSTOR 미리보기]

4. 13. 예언 해석의 해석학적 요점으로서의 이스라엘

밴게메렌은 이스라엘을 예언 해석의 중요한 해석학적 지점으로 간주하며, 이와 관련된 논문을 두 차례에 걸쳐 발표했다.

  • ''예언 해석의 해석학적 요점으로서의 이스라엘: 1부.''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 45 (1983): 132-145.[9]
  • ''예언 해석의 해석학적 요점으로서의 이스라엘: 2부.''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 46 (1984): 254-297.[9]

4. 14. 회복의 영

밴게메렌은 "회복의 영"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1988년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50권에 발표하였다.[10] 이 논문은 81페이지부터 102페이지에 걸쳐 실렸다.

4. 15. 갈렙 - 하나님의 명령을 따를 준비

갈렙의 순종에 대한 글인 "갈렙 - 하나님의 명령을 따를 준비"를 1988년 7-8월 발행된 ''결정''(Decision) 31-33페이지에 기고했다.

4. 16. 구약에서 '아바'는?

밴게메렌은 구약성경에서 '아바'(אבא|아바arc)라는 용어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1988년 복음주의 신학회 저널(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31권 4호에 "구약에서 '아바'는?"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했다. 해당 논문은 385페이지부터 398페이지에 걸쳐 실려 있으며, 온라인에서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4. 17. 선지자, 하나님의 자유, 그리고 해석학

밴게메렌은 선지자와 성경 해석학 분야에서 여러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이스라엘예언 해석의 중심점으로 보는 관점을 제시하며, 이 주제로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에 1983년과 1984년에 걸쳐 두 편의 논문을 게재했다.[9]

1990년에는 "선지자, 하나님의 자유, 그리고 해석학"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여, 선지자의 역할과 하나님의 자유 의지, 그리고 성경 해석 사이의 관계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 이 논문은 온라인에서 전문을 찾아볼 수 있다. [https://biblicalstudies.org.uk/article_god_vangemeren.html 전문 HTML.]

또한 한국 독자들을 위해 ''사역 잡지''에 선지자에 대한 주석 참고 문헌 목록을 연재했으며(1999년 10월-2001년 3월), 2002년 6월에는 다니엘서 9장에 나오는 '칠십 이레'의 해석 문제를 다루는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4. 18. 언약은 삶과 가족을 위한 틀이다

윌리암 A. 밴게메렌은 언약이 삶과 가족의 기초가 된다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그는 이 주제에 대해 ''Modern Reformation|현대 종교 개혁eng'' 저널에 글을 기고했다.[11] 해당 글은 1995년 3/4월호에 실렸으며, 페이지 7부터 10까지 이어진다.[11]

4. 19. 다니엘 9장: 칠십 이레 해석의 문제

윌리암 A. 밴게메렌은 다니엘서 9장에 나오는 칠십 이레의 해석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으며, 이와 관련된 글을 발표했다. 그는 한국어로 발행되는 ''Ministry Magazine''(티라노서원)을 통해 2002년 6월, "다니엘 9장: 칠십 이레 해석의 문제"라는 제목의 논고를 기고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또한, 그는 예언 해석의 방법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보였는데, 이는 "예언 해석의 해석학적 요점으로서의 이스라엘"이라는 제목으로 ''웨스트민스터 신학 저널''(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에 1983년과 1984년에 걸쳐 발표한 두 편의 논문에서도 확인된다.[9] 이후에도 칼뱅의 다니엘서 주석을 연구하며 다니엘서 해석에 대한 탐구를 이어갔다 ("칼빈의 다니엘 주석에서의 그리스도 중심성과 차용," ''토치 트리니티 저널'', 2016년).

4. 20. 케노시스(Kenosis), 십자가의 아름다움, 그리고 세속 시대의 사회 정의의 도전

2015년 11월 한국복음주의신학회에서 '케노시스(Kenosis), 십자가의 아름다움, 그리고 세속 시대의 사회 정의의 도전'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발표하였다.

4. 21. 칼빈의 다니엘 주석에서의 그리스도 중심성과 차용


  • "칼빈의 다니엘 주석에서의 그리스도 중심성과 차용," ''토치 트리니티 저널''(Torch Trinity Journal) 19권 (2016년), 223-254쪽.

4. 22. 제네바 스터디 바이블

제네바 스터디 바이블(Geneva Study Bibleeng) 작업에 참여하였다. 이 성경은 1995년 내슈빌의 토마스 넬슨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4. 23. NKJV 스터디 바이블

NKJV Study Bibleeng내슈빌의 토마스 넬슨 출판사에서 1998년에 출간되었다. ISBN은 0840715994이다.

4. 24. 신약 생활 번역본

윌리암 A. 밴게메렌은 The New Living Translation|신약 생활 번역본영어 작업에 참여하여, 시편이사야서의 주석을 담당했다. 이 주석이 포함된 번역본은 2008년 미국 일리노이주 캐롤 스트림에 위치한 틴데일 하우스에서 출판되었다.

4. 25. 복음 변혁 바이블

2012년 일리노이주 휘튼의 크로스웨이(Crossway) 출판사에서 출간된 ''복음 변혁 바이블''(Gospel Transformation Bibleeng)의 창세기 주석을 저술하였다.

참조

[1] 서적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http://www.zondervan[...] Zondervan
[2] 서적 Amazon Books by Willem A. VanGemeren https://www.amazon.c[...]
[3] 서적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https://www.amazon.c[...]
[4] 서적 Willem A. Vangemeren, "A Response", Dispensationalism, Israel and the Church: The Search for Definition https://books.google[...] Zondervan 1992
[5] 웹사이트 TEDS Faculty https://divinity.tiu[...] 2017-10-04
[6] 웹사이트 Author https://www.zonderva[...]
[7] 웹사이트 TEDS Faculty Since 1997 https://divinity.tiu[...] 2017-10-04
[8] 웹사이트 BiblicalStudies.org.uk: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Vols. 41 - 60 (1978 - 1998) https://biblicalstud[...] 2018-06-16
[9] 웹사이트 BiblicalStudies.org.uk: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Vols. 41 - 60 (1978 - 1998) https://biblicalstud[...] 2018-06-16
[10] 웹사이트 BiblicalStudies.org.uk: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Vols. 41 - 60 (1978 - 1998) https://biblicalstud[...] 2018-06-16
[11] 웹사이트 The Covenant Is a Framework For Life and Family – White Horse Inn https://www.whitehor[...] 2018-06-16
[12] 웹인용 빌렘 A.VanGemeren https://divinity.tiu[...] 2017-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