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바시는 도쿄에서 약 40km 거리에 위치한 도시로, 1921년 시로 승격되었다. 지리적으로는 도쿄만과 인접해 있으며, 1960년대 이후 주택 단지와 공업 지역이 개발되었다. 현재 6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바현청과 시청이 있는 마쿠하리 신도심이 개발되었다. 지바 항은 간토 지방의 주요 해항 중 하나이며, 온대 하우습윤 기후를 보인다. 인구는 2024년 12월 기준 약 98만 명으로 일본에서 15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경제적으로는 게이요 공업 지대의 일부를 이루며, 이온 그룹, 치바 은행 등 여러 기업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 교통은 철도와 도로가 발달했으며, 나리타 국제공항과 도쿄 국제공항으로의 접근성이 좋다. 문화적으로는 마쿠하리 멧세와 지바 마린 스타디움 등의 시설이 있으며, 다양한 축제와 행사가 열린다. 지바시는 캐나다, 미국, 중국 등 여러 국가의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으며, 아시아태평양통계훈련소 등 국제기구도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령지정도시 - 후쿠오카시
후쿠오카시는 규슈 북부의 정령지정도시이자 규슈 지역 중심 도시로, 하카타만을 중심으로 교역이 번성했던 하카타와 후쿠오카가 합병되어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상업, 문화, 관광의 중심지로서 높은 인구 증가율과 경제 활동을 보인다. - 정령지정도시 - 오사카시
오사카시는 일본 혼슈 서부에 위치한 오사카부의 행정 중심지이며, 고대부터 일본 서부 지방을 연결하는 중심 항구로 발전하여 20세기 초 동양 제일의 상공 지로 불리며 급성장했고, 현재는 일본의 주요 상업 및 금융 중심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와 전통 예능, 음식 문화를 가진 도시이다. - 지바현 - 나리타시
나리타시는 지바현 북부 중앙에 위치하며 나리타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발전, 역사적 사찰과 농경지, 국제공항이 공존하고 철도와 국도가 통과하는 교통 중심지로서 자매 도시들과 교류하며 공항 건설로 인한 사회적 갈등의 역사를 지닌 도시이다. - 지바현 - 이치카와시
이치카와시는 지바현 북서부에 위치하며 도쿄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는 도시로, 조몬 시대 유적과 나라 시대의 국부 설치 등 오랜 역사를 지니고 메이지 시대 군사 도시를 거쳐 현재는 상업, 공업, 주거 기능이 발달한 게이요 공업지역의 일부이다. - 지바현의 도시 - 나리타시
나리타시는 지바현 북부 중앙에 위치하며 나리타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발전, 역사적 사찰과 농경지, 국제공항이 공존하고 철도와 국도가 통과하는 교통 중심지로서 자매 도시들과 교류하며 공항 건설로 인한 사회적 갈등의 역사를 지닌 도시이다. - 지바현의 도시 - 이치카와시
이치카와시는 지바현 북서부에 위치하며 도쿄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는 도시로, 조몬 시대 유적과 나라 시대의 국부 설치 등 오랜 역사를 지니고 메이지 시대 군사 도시를 거쳐 현재는 상업, 공업, 주거 기능이 발달한 게이요 공업지역의 일부이다.
지바시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지바시 |
일본어 명칭 | 千葉市 |
로마자 표기 | Chiba-shi |
지정 도시 | 정령지정도시 |
국가 | 일본 |
지방 | 간토 지방 |
현 | 지바현 |
시청 소재지 | 지바현 지바시 주오구 지바미나토 1-1 |
시장 | 가미야 순이치 (2021년 4월부터) |
면적 | 271.77 km² |
인구 | 985059 명 (2024년 12월 18일 기준) |
시간대 | 일본 표준시 (UTC+9) |
우편 번호 | 260-8722 |
전화 번호 | 043-245-5111 |
공식 웹사이트 | 지바시 공식 웹사이트 |
상징 | |
시 나무 | 느티나무 |
시 꽃 | 오가 연꽃 |
시 새 | 쇠제비갈매기 |
추가 정보 | |
도시 상징 - 나무 | 느티나무 |
도시 상징 - 꽃 | 연꽃 |
도시 상징 - 새 | 쇠제비갈매기 |
일본어 정보 | |
일본어 표기 | 千葉市 |
히라가나 표기 | ちばし |
가타카나 표기 | チバシ |
로마자 표기 | Chiba-shi |
한국어 정보 | |
한국어 명칭 | 지바시 |
정령지정도시 | 정령지정도시 |
일본어 명칭 (한자) | 千葉市 |
위치 정보 | |
관련 이미지 | |
![]() 중단: 마쿠하리 멧세, 지바 포트 타워, 지바 마린 스타디움 하단: 마쿠하리 해안의 고층 빌딩 | |
![]() | |
![]() | |
![]() |
2. 지리
지바현 중앙부에 위치하며, 일본의 수도인 도쿄도 도심에서 약 40km 거리에 있다. 나리타 국제공항 및 도쿄 국제공항(하네다 공항)으로부터는 약 25km에서 35km 사이에 위치하며, 도쿄만에 접해 있다.
지형은 해안가와 각 하천 하류 지역에 펼쳐진 간토 평야의 평지와 그 주변부의 시모우사 대지 및 야쓰(谷津, 골짜기 지형)로 구성된다. 미하마구의 거의 전역과 주오구 및 하나미가와구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표고 20m 이상의 대지에 위치하며, 미도리구 도게마치처럼 표고 90m 이상인 지역도 있다. 시내 최고 지점은 미도리구 이타쿠라정의 표고 103.6m, 최저 지점은 미하마구 호사의 표고 0.7m이다.
도쿄만 해변은 과거 해수욕장으로 번성했으나, 1960년대 이후 대규모 매립이 이루어져 공업 지역이나 주택 단지로 개발되었다. 옛 해안선은 현재의 국도 14호선, 국도 357호선, 국도 16호선과 거의 일치한다. 매립으로 인해 미하마구의 거의 전역과 주오구의 일부가 새롭게 형성된 땅이다. 현재 해안선은 주오구 지역에서는 주로 공업 시설이나 항만 시설이 차지하고 있으며, 미하마구 지역에는 긴 인공 해변(이나게 해변, 겐미가와 해변, 마쿠하리 해변)이 조성되어 있다. 도쿄에 가장 가까운 마쿠하리 지구의 매립지에는 도쿄의 부도심 기능을 갖춘 마쿠하리 신도심이 개발되었다.[21]
시는 해안가를 따라 많은 공장과 창고가 있지만, 대부분은 주거 지역이다. 한편 와카바구, 미도리구 등 교외 지역에는 풍부한 자연 환경이 남아 주택지와 공존하고 있다.
간토 지방의 주요 해항 중 하나인 지바항이 있으며, 일본에서 가장 많은 화물을 처리하는 항구 중 하나이다.[22][23][24]
주요 하천은 다음과 같다.
;일급 하천
- 리젠 강 수계: 가시마 강, 하나미가와(인바 농업용수로), 캇타가와
; 이급 하천
- 하마다가와 수계: 하마다가와
- 도가와 수계: 도가와, 요시가와, 지류 도가와, 사카즈키가와
- 하마노가와 수계: 하마노가와
- 나마미가와 수계: 나마미가와
- 무라타가와 수계: 무라타가와, 미카다가와
2. 1. 기후
지바시는 덥고 습한 여름과 서늘하거나 온화한 겨울을 특징으로 하는 온대 하우습윤 기후(쾨펜 기후 분류 ''Cfa'')에 속한다. 연평균 기온은 16.2°C이며, 가장 더운 달인 8월 평균 기온은 27.1°C, 가장 추운 달인 1월 평균 기온은 6.1°C이다. 연간 강수량은 1454.7mm로 연중 강수량이 많은 편이지만 겨울철에는 비교적 적다.[104][105]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역대 최고 기온 (°C) | 20.7 | 24.7 | 25.3 | 28.7 | 31.7 | 36.4 | 37.8 | 38.5 | 36.2 | 32.8 | 25.8 | 24.3 | 38.5 |
평균 최고 기온 (°C) | 10.1 | 10.7 | 13.8 | 18.7 | 23.0 | 25.6 | 29.4 | 31.0 | 27.5 | 22.3 | 17.3 | 12.5 | 20.2 |
일평균 기온 (°C) | 6.1 | 6.6 | 9.6 | 14.5 | 18.9 | 21.9 | 25.7 | 27.1 | 23.8 | 18.6 | 13.4 | 8.6 | 16.2 |
평균 최저 기온 (°C) | 2.4 | 2.8 | 5.7 | 10.6 | 15.4 | 19.0 | 23.0 | 24.3 | 21.0 | 15.6 | 9.9 | 4.9 | 12.9 |
역대 최저 기온 (°C) | -5.1 | -5.2 | -4.4 | 0.4 | 6.8 | 9.1 | 12.5 | 16.5 | 10.7 | 5.8 | -0.9 | -3.7 | -5.2 |
강수량 (mm) | 67.5 | 59.1 | 111.3 | 110.4 | 122.3 | 150.9 | 136.5 | 115.7 | 204.7 | 225.7 | 94.1 | 56.8 | 1454.7 |
평균 강수일수 (≥ 0.5 mm) | 6.2 | 6.8 | 11.2 | 10.7 | 11.2 | 12.4 | 10.7 | 8.5 | 12.0 | 11.5 | 8.8 | 6.5 | 116.6 |
평균 상대 습도 (%) | 53 | 55 | 61 | 66 | 71 | 77 | 78 | 77 | 77 | 73 | 66 | 57 | 68 |
월평균 일조 시간 (시간) | 191.6 | 165.3 | 167.5 | 177.0 | 180.5 | 126.9 | 162.7 | 189.4 | 134.6 | 131.6 | 143.6 | 174.8 | 1945.5 |
평균 월간 적설량 (cm) | 2 | 4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7 |
출처: 일본 기상청[104][105] |
지바 시의 역사는 헤이안 시대 후기, 다이라 쓰네시게(平常重)가 시모사 국으로 이주하여 현재의 지바 지역을 기반으로 삼으면서 시작되었다. 그는 스스로를 지바노스케(千葉介)라 칭했고, 그의 후손들은 지바 씨(千葉氏)를 성씨로 삼아 무로마치 시대까지 이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4] 가마쿠라 시대에는 지바 쓰네타네(千葉常胤)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가마쿠라 막부 설립을 지원하며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이 시기 지바는 성곽 도시(조카마치, 城下町)로서 번영의 기틀을 다졌다.[5][6][7]
3. 역사
난보쿠초 시대와 무로마치 시대를 거치며 간토 지방의 전란 속에서 지바 씨의 세력은 점차 약화되었다.[8][9] 센고쿠 시대에는 가신이었던 하라 씨가 실권을 잡기도 했으나, 복잡한 권력 다툼 끝에 최종적으로 지바 씨를 포함한 지역 세력들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정리되었다.
에도 시대에 지바 지역은 주로 사쿠라번에 속했으며, 일부는 오유미 번(生実藩), 소가노 번(曾我野藩) 등이 관할했다. 지바 가도(千葉街道)와 도가네오나리가도(東金御成街道)가 지나는 역참 마을(슈쿠바마치, 宿場町)로서 기능하며 번성하였다.[7]
1873년 메이지 유신 이후 폐번치현을 통해 지바현이 탄생하면서, 지바정(千葉町)에 현청이 설치되어 현의 중심지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1894년 소부 본선 개통은 도시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21년 1월 1일, 지바는 시(市)로 승격되었고,[7] 이후 주변 지역 편입과 도쿄만 연안의 간척 사업을 통해 시역을 확장해 나갔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군수 공장들이 들어서며 군사 도시의 성격을 띠기도 했다. 시내에는 육군보병학교 등 당시 군사 시설의 흔적이 남아 있다. -- 그러나 1945년 연합군의 대규모 공습(지바 공습)으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
전후 지바시는 대규모 매립과 시정촌 통합을 통해 게이요 공업지역의 핵심 도시로 재건되었다.[7] 1992년에는 정령 지정 도시로 지정되어 대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2003년 인접한 요쓰카이도시(四街道市)와의 통합 논의가 있었으나,[64] 2004년 주민투표 결과 부결되어 무산되었다.[66][67]
3. 1. 연표
4. 행정
지바시는 지바 시청을 중심으로 6개의 구(区)로 구성되어 있다.
4. 1. 시장
2009년 5월 1일까지는 자유민주당(자민당)과 공명당의 지지를 받은 무소속의 쓰루오카 케이이치가 시장이었으나, 2009년 4월 부패 혐의로 도쿄도 경찰청에 체포되었다.[12] 그의 뒤를 이어 2009년 6월 선거에서 민주당 소속의 구마가이 도시히토가 승리하여 취임했다.[13]현 시장은 2021년에 당선된 카미야 슈니치이다. 차기 시장 선거는 2025년 3월에 실시될 예정이다.
4. 2. 시의회
- 정수: 14명 (지바시 전체 선출 현의회 의원)
- 임기: 2019년 4월 30일 ~ 2023년 4월 29일
선거구 | 이름 | 정파명 |
---|---|---|
중앙구 (3) | 혼마 스스무 | 자유민주당 지바현 의회 의원회 |
사노 아키라 | 자유민주당 지바현 의회 의원회 | |
아미나카 하지메 | 입헌민주당 지바현 의회 의원회 | |
하나미가와구 (3) | 시시쿠라 노보루 | 자유민주당 지바현 의회 의원회 |
다무라 코우스케 | 공명당 지바현 의회 의원단 | |
오가와 타다오 | 입헌민주당 지바현 의회 의원회 | |
이나게구 (2) | 아베 코이치 | 자유민주당 지바현 의회 의원회 |
아마노 유키오 | 지바 민주의회 | |
와카바구 (2) | 야마나카 미사오 | 자유민주당 지바현 의회 의원회 |
타나카 노부유키 | 지바 민주의회 | |
미도리구 (2) | 세키 마사유키 | 자유민주당 지바현 의회 의원회 |
타케우치 케이지 | 지바 민주의회 | |
미하마구 (2) | 코노 토시키 | 입헌민주당 지바현 의회 의원회 |
우스이 쇼이치 | 자유민주당 지바현 의회 의원회 |
4. 3. 행정구
(명)(km2)
(명/k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