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보 (무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보(Sambo)는 1920년대 초 소련에서 개발된 무술로, "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 방어"를 의미한다. 유도와 유술의 영향을 받았으며, 다양한 레슬링 기술과 자기 방어 시스템을 통합한다. 바실리 오셰프코프가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빅토르 스피리도노프와 아나톨리 할람피예프도 삼보 발전에 기여했다. 삼보는 스포츠 삼보와 컴뱃 삼보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스포츠 삼보는 1966년 국제 아마추어 레슬링 연맹(FILA, 현재 UWW)에 의해 인정받았다. 삼보는 던지기, 관절 기술을 중심으로 하며, 타격 기술과 조르기는 금지된다. 주요 대회로는 세계 삼보 선수권 대회, 삼보 월드컵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도 삼보가 보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무술 - 시스테마
    시스테마는 미하일 랴브코가 창설한 러시아 무술로, 실전 노하우를 바탕으로 철저한 탈력과 부드러운 동작, 무기 사용 기술과 신체 사용 원리를 강조하며, 러시아 특수 부대 및 여러 국가에서 도입하여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에도 등장한다.
  • 소련의 스포츠 - 스파르타키아다
    스파르타키아다는 소련을 포함한 공산 국가에서 올림픽의 대안으로 개최된 국제 스포츠 대회로,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상징하며 노예 반란 지도자 스파르타쿠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삼보 (무술)
개요
국제 아마추어 삼보 연맹 로고
다른 이름Sombo (영어권 국가에서)
초점혼합 무술
국가소비에트 연방
창시자빅토르 스피리도노프
바실리 오셰프코프
아나톨리 하를람피예프
올림픽아니오, 하지만 IOC 승인
웹사이트국제 삼보 연맹
관련 무술유도
유술
복싱
쿠라쉬
캐치 레슬링
스포츠 정보
2015 유럽 게임의 삼보
주관 단체국제 삼보 연맹
최초 시행소비에트 연방, 1938년 11월 16일 (소비에트 연방 체육 위원회)
종주국전 세계
접촉있음
성별 구분없음
종류무술
장비삼보복
올림픽불참
IWGA1985
1993
명칭
로마자 표기Sambo
러시아어 표기самбо
어원러시아어: САМооборона Без Оружия (SAMоoborona Bez Oruzhiya)
어원 (한국어 번역)무기 없는 자기 방어
종류
종류스포츠 삼보
컴뱃 삼보
특징
특징유도와 레슬링 기술을 결합
다양한 격투 기술 포함
다리 기술이 중요한 부분
역사
개발 배경소비에트 연방에서 군대와 경찰의 훈련을 위해 개발
창시 목적다양한 격투 스타일의 장점을 통합하여 실용적인 자기 방어 시스템 구축
기술
주요 기술던지기
조르기
관절 꺾기
굳히기
타격 (컴뱃 삼보에 한함)
국제 연맹
국제 연맹국제 삼보 연맹(FIAS)

2. 어원

"삼보"라는 단어는 samozashchita bez oruzhiya|삼보자시타 베즈 오루지야ru (самозащита без оружия|사모자시타 베스 아루지야ru)의 두문자어로, 문자 그대로 "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 방어"를 뜻한다.[6]

삼보는 러시아어 약어이지만, 영어권에서 이 스포츠를 하는 사람들은 언어학적으로 관련이 없는 인종차별적 용어와 관련된 문제에 직면해 왔다. 전 세계 삼보 관계자들은 불쾌감을 피하기 위해 대체 표기인 ''솜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52] 그러나 FIAS는 여전히 이 스포츠를 약어인 SAMBO로 표기한다.[53]

삼보(러시아어: Самбо)는 러시아어로, самооборона без оружия|사모아바로나 베스 아루지야ru("무기를 갖지 않은 자기 방어"의 의미)의 약어이다. 좁은 의미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스포츠 격투기인 '''스포츠 삼보'''를 지칭하며, 이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넓은 의미로는 맨손 격투기나 맨손 무술을 의미하며, 소비에트 연방 내무성과 붉은 군대에서 맨손 군대 격투술로 채택되었던 "군대의 삼보"를 의미하는 '''바예보예 삼보'''(러시아어: ''Боевое самбо'')가 있다. 일본에서는 마에다 아키라가 명명한 '''커맨드 삼보'''(Command sambo) [54], 영어권이나 이탈리아에서는 '''콤바트 삼보'''(''Kombat sambo'')라고도 칭한다.

3. 역사

삼보는 1920년대 초 붉은 군대 등에서 병사들의 격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비교적 현대적인 무술이다.[1] 다른 무술의 가장 효과적인 기술을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삼보의 선구자는 빅토르 스피리도노프와 바실리 오셰프코프였다. 오셰프코프는 일본에서 가노 지고로에게 유도를 배웠고,[7] 대숙청 기간 중 일본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옥사했다.[8] 1964년 하계 올림픽까지 소련에서 유도는 금지되었으나, 삼비스트들은 4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9]

스피리도노프와 오셰프코프는 독립적으로 두 가지 스타일을 개발했고, 이는 삼보로 통합되었다. 오셰프코프의 "자유형 레슬링"에 비해 스피리도노프의 스타일은 더 부드럽고 덜 잔혹했으며, 힘에 덜 의존했다. 이는 스피리도노프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입은 부상 때문이었다.[10]

아나톨리 할람피예프는 오셰프코프의 제자로, 삼보 창시자로 여겨진다. 1938년 11월 16일, 전소련 스포츠 위원회 결의안 633호로 삼보가 공식 스포츠로 인정받았다.[8]

크스토보에 있는 세계 삼보 아카데미


바실리 오셰프코프는 사할린 출신 신학생으로 일본에서 고도칸 유도를 배웠다.[55] 1930년대 소련에서 유도를 보급했지만, 1937년 대숙청 때 "일본 스파이" 혐의[56]로 투옥, 옥사했다.[57]

삼보 명칭은 빅토르 스피리도노프가 복싱과 유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Cамооборона без оружия(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 방어)"에서 유래한다. 1930년대 체계화되어 삼보가 되었고, 소련 적군에 채택되어 "바예보 삼보"로 이어졌다. 스피리도노프의 이론적 "삼보"와 오셰프코프의 실전적 "유도"는 대립했다.

1938년, 할람피예프가 '소련식 자유형 레슬링' 창설을 발표했다. 이는 소련 각지 민족 레슬링과 유도에 기초했다고 주장했지만,[58] 실체는 오셰프코프의 유도였다. 소련은 민족 통합 상징 스포츠가 필요했고, 1947년 "삼보"로 개칭되어 스포츠 삼보로 정착되었다.

1963년, 일본 레슬링 협회 회장 핫타 이치로는 소련 레슬링 강함의 비밀이 삼보에 있다며 선수단을 초청했다. 일본은 삼보 지식이 없었지만, 선수들은 각지에서 유도 교류 시합을 가졌다.

1965년, 일본 삼보 연맹은 "동일본 삼보 선수권 대회"를 개최, 레슬링 및 유도 선수들이 참가했다. TV 방송으로 삼보가 알려졌고, "제1회 전일본 삼보 선수권 대회"도 개최되었다.

핫타는 일본 삼보 연맹을 설립하고 회장에 취임, 코가 쇼이치(비토르 코가)를 소련에 파견했다. 코가는 삼보 보급에 힘썼다.

일본 삼보 연맹은 전일본 유도 연맹과 연계에 난항을 겪었지만, 선수 파견 및 대회 개최를 지속했다. 사사하라 쇼조, 코가, 이노쿠마 이사오 회담 후 와타나베 토시이치로와 회합, 국제 유도 연맹 회장 마츠마에 시게요시를 회장, 핫타를 최고 고문으로 맞이했다.

이 체제 쇄신으로 1970년 전 소련 삼보 선수권 대회 이와쓰리 카네오 우승, 1971년 유럽 삼보 선수권 대회 사토 노부타카 우승 등 성과가 있었다. 1972년 제1회 FILA 세계 삼보 선수권 대회에서 코가 쇼이치가 우승했다.

마츠마에 시게요시 후임으로 핫타가 회장이 되었고, 이케다 츠네오, 호리코메 야스후미, 이류 가쿠 등이 회장을 맡았다. 1988년 삼보 월드컵, 1996년 세계 삼보 선수권 대회가 일본에서 개최되었다.

국내 대회는 전일본 삼보 선수권, 동일본 삼보 선수권, 전일본 단체 삼보 선수권, 지역 오픈 대회 등이 개최되고, 기술 강습회도 실시된다.

2012년, 일본 삼보 연맹은 일반 사단 법인 자격을 취득, 콘도 마사아키 회장 취임, 후쿠다 토미아키, 사토 노부타카가 특별 고문이다.

2013년, 제27회 유니버시아드 일본 대표 선수 선발 겸 푸틴 대통령배 삼보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1968년 또는 1969년[58], 삼보는 세계 레슬링 연합 관리 종목이 되었고,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때 정식 종목 채택을 어필했지만[59] 실현되지 못했다. 국제 삼보 연맹(FIAS)이 설립되었고,[60] 월드 게임 정식 경기였지만 1989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실시되지 않고 있다. 2018년 FIAS는 ARISF에 잠정 가맹, 2021년 2020년 도쿄 올림픽 중 IOC 총회에서 정식 가맹되었다.

유럽 올림픽 위원회 주최 유럽 경기 대회에서는 2015년 제1회 대회에서 정식 경기로 채택되었다.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주최 아시안 게임에서는 2018년 대회부터 정식 경기로 채택되었다.

3. 1. 기원과 영향

삼보는 1920년대 초 붉은 군대 등에서 병사들의 격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이 시작된 비교적 현대적인 무술이다.[1] 다른 무술의 가장 효과적인 기술을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삼보의 선구자는 빅토르 스피리도노프와 바실리 오셰프코프였다. 오셰프코프는 일본에서 수년 동안 가노 지고로 밑에서 유도를 수련했다.[7] 그는 대숙청 기간 중 일본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감옥에서 사망했고,[8] 1964년 하계 올림픽까지 수십 년 동안 소련에서 유도가 금지되었지만, 삼비스트들은 4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9]

스피리도노프와 오셰프코프는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가지 스타일을 개발했고, 이 스타일들은 결국 교차 수정되어 삼보로 알려지게 되었다. 오셰프코프의 시스템은 러시아에서 "자유형 레슬링"이라고 불렸는데, 스피리도노프의 스타일에 비해 더 부드럽고 덜 잔혹했다. 스피리도노프의 스타일은 힘에 덜 의존했는데, 이는 그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입은 부상 때문이었다.[10]

바실리 오셰프코프의 제자인 아나톨리 할람피예프도 삼보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1938년 11월 16일, 전소련 스포츠 위원회가 결의안 633호를 발표하면서 삼보는 공식 스포츠로 인정받았다.[8] 오셰프코프는 일본에서 유도를 배운 최초의 외국인 중 한 명으로, 유도 창시자인 가노 지고로로부터 니단(검은 띠)을 받았다. 스피리도노프는 다양한 소련 지역의 토착 무술과 일본인유술에 관심을 가졌지만 정식으로 훈련을 받지는 않았다. 그가 힘보다 움직임에 의존한 것은 1차 세계 대전 중 총검에 부상을 입어 왼쪽 팔이 불구가 된 탓도 있었다. 오셰프코프와 스피리도노프는 모두 소련 군의 격투 기술이 다른 외국 무술에서 추출한 기술을 도입하여 개선될 수 있기를 독립적으로 바랐다.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오셰프코프와 스피리도노프는 그들의 격투 시스템 개발에 협력하지 않았다.[17] 그들의 독립적인 격투 개념은 제자들 간의 상호 훈련과 제자 및 군사 관계자들의 노력으로 융합되었다.

각 기술은 신중하게 분석되어 장점을 고려했으며, 무장하지 않은 격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삼보의 궁극적인 목표, 즉 무장하거나 무장하지 않은 상대를 가능한 한 짧은 시간 안에 제압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개선되었다.[18] 따라서 유술, 유도 및 기타 무술 시스템의 많은 기술들이 토착 격투 스타일과 결합하여 삼보 레퍼토리를 형성했다.[19] 기술이 완벽해지면 개인 호신, 경찰, 군중 통제, 국경 경비대, 비밀 경찰, 경호원, 정신 병원 직원, 군대, 특공대를 위한 삼보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되었다.[20]

바실리 오셰프코프는 제정 시대 러시아 사할린 출신의 신학생으로 일본으로 건너가 고도칸에서 가노 지고로에게 유도를 배웠다.[55] 1930년대에 소련 각지에서 유도 보급 활동을 했지만, 1937년 스탈린 대숙청 때 "일본의 스파이"라는 혐의[56]로 투옥되어 옥사했다.[57]

삼보라는 명칭은 또 다른 삼보 창시자인 제정 러시아 군인 빅토르 스피리도노프가 복싱과 유술을 바탕으로 독학으로 개발한 격투기 "Cамооборона без оружия(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 방어)"에서 유래한다. 1930년대에 체계화되어 삼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이 격투기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백병전의 중요성을 깨달은 소련 적군에 군대 격투술로 채택되어, 이후 "바예보 삼보(Боевое самбо)"로 이어진다. 스피리도노프의 이론적인 "삼보"와 오셰프코프의 실전적인 "유도"는 당시 대립 관계에 있었다.

1938년, 스포츠 트레이너 전국 회합에서 오셰프코프의 제자 아나톨리 아르카디예비치 할람피예프가 '소련식 자유형 레슬링'의 창설을 발표한다. 할람피예프는 회합에서 "소련식 자유형 레슬링"은 러시아의 로시안 삼보, 조지아의 치타오바, 타타르, 카자흐스탄의 카자흐 샤크레스,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소련 각지의 민족 레슬링에 기초한 새로운 격투기라고 주장했다. 서적 『이것이 삼보다!』에서는 이들에 더해 유도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58] 인공적인 국가였던 소련에는 민족 통합의 상징이 될 스포츠가 필요했던 것이다. 같은 해 11월 16일, 전소 체육 스포츠 위원회는 이 '자유형 레슬링'(''борьбы вольного стиля'')을 인가하여, 소련 전역에서의 보급 활동이 인정된다. 이 날이 러시아에서는 국기로서의 삼보 생일로 여겨진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7년 "삼보"로 개칭되어, 이것이 스포츠 삼보로 정착하게 된다.

3. 2. 발전

삼보는 1920년대 초 붉은 군대 등에서 병사들의 격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비교적 현대적인 무술이다.[1] 다른 무술의 가장 효과적인 기술을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삼보의 선구자는 빅토르 스피리도노프와 바실리 오셰프코프였다. 오셰프코프는 일본에서 가노 지고로에게 유도를 배웠다.[7] 대숙청 기간 중 일본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옥사했고,[8] 유도는 1964년 하계 올림픽까지 소련에서 금지되었으나, 삼비스트들은 4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9]

스피리도노프와 오셰프코프는 독립적으로 두 가지 스타일을 개발했고, 이는 삼보로 통합되었다. 오셰프코프의 "자유형 레슬링"에 비해 스피리도노프의 스타일은 더 부드럽고 덜 잔혹했으며, 힘에 덜 의존했다. 이는 스피리도노프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입은 부상 때문이었다.[10]

아나톨리 할람피예프는 오셰프코프의 제자로, 삼보 창시자로 여겨진다. 1938년 11월 16일, 전소련 스포츠 위원회 결의안 633호로 삼보가 공식 스포츠로 인정받았다.[8]

1918년, 블라디미르 레닌은 N. I. 포드보이스키 지도 아래 브세보부흐(일반 군사 훈련)를 창설했다. K. 보로실로프는 적군 격투 훈련 개발 및 조직 임무를 맡았고, NKVD 체력 훈련 센터인 디나모 스포츠 단체를 설립했다.

스피리도노프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로, 디나모 최초의 레슬링 및 자기 방어 강사 중 한 명이었다. 자유형 레슬링(캐치 레슬링), 그레코로만 레슬링, 튀르크 민속 레슬링, 일본 유술 등이 그의 배경이었다. 그는 몽골과 중국을 여행하며 격투 스타일을 관찰했다.

1923년, 오셰프코프와 스피리도노프는 소련 정부 지원으로 적군 격투술 시스템 개선에 협력했다. 스피리도노프는 위협에 적응 가능한 포괄적인 스타일을 구상했다. 오셰프코프는 가노 지고로의 유도 정제 과정을 관찰하며 통찰력을 얻었다. 아나톨리 할람피예프와 I. V. 바실리예프도 개발에 참여했다. 10년간 만들어진 기술 목록은 삼보의 초기 프레임워크가 되었다.

할람피예프는 "삼보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이는 전설에 가깝다. 1938년 소련 스포츠 위원회가 삼보를 공식 스포츠로 인정한 것은 그의 공로이며,[21] "스포츠 삼보의 아버지"로 간주될 수 있다.

스피리도노프는 '삼보'와 유사한 이름으로 새 시스템을 처음 불렀다. 그는 부상병 등이 사용할 수 있는 더 부드러운 스타일인 사모즈를 개발했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총검 부상으로 왼팔 사용이 제한되었기 때문이다. 정제된 삼보는 오늘날 러시아 특공대에서 사용된다.

바실리 오셰프코프는 삼보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사할린에서 신학생으로 일본에 건너가 고도칸에서 가노 지고로에게 유도를 배웠다.[55] 1930년대 소련에서 유도를 보급했지만, 1937년 대숙청 때 "일본 스파이"[56] 혐의로 투옥, 옥사했다.[57]

삼보 명칭은 빅토르 스피리도노프가 복싱과 유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Cамооборона без оружия(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 방어)"에서 유래한다. 1930년대 체계화되어 삼보로 불렸고, 소련 적군에 채택되어 "바예보 삼보"로 이어졌다. 스피리도노프의 이론적 "삼보"와 오셰프코프의 실전적 "유도"는 대립했다.

1938년, 오셰프코프의 제자 할람피예프가 '소련식 자유형 레슬링' 창설을 발표했다. 이는 러시아 삼보, 조지아 치타오바, 타타르, 카자흐스탄 카자흐 샤크레스,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민족 레슬링에 기초하며, 유도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58] 그러나 실체는 오셰프코프의 유도였다. 소련은 민족 통합 상징 스포츠가 필요했고, 1947년 "삼보"로 개칭되어 스포츠 삼보로 정착되었다.

1963년 9월, 일본 레슬링 협회 회장 핫타 이치로는 소련 레슬링 강함의 비밀이 삼보에 있다며 훈련 도입을 위해 선수단을 초청했다. 일본은 삼보 지식이 없었지만, 선수들은 각지에서 유도 교류 시합을 가졌다.

1965년 1월, 일본 삼보 연맹은 "동일본 삼보 선수권 대회"를 개최, 레슬링 및 유도 선수들이 참가했다. 이가리 노리오 노력으로 TV 방송되어 삼보가 알려졌다. 8월에는 "제1회 전일본 삼보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1965년 9월, 핫타는 일본 삼보 연맹을 설립하고 회장에 취임, 코가 쇼이치(비토르 코가)를 소련에 파견했다. 코가는 삼보 수련 및 교류에 힘썼다.

일본 레슬링 협회 주도였던 일본 삼보 연맹은 전일본 유도 연맹, 고도칸과 연계에 난항을 겪었지만, 선수 파견 및 대회 개최를 지속했다. 사사하라 쇼조, 코가 쇼이치, 이노쿠마 이사오 회담 후 와타나베 토시이치로와 회합, 국제 유도 연맹 회장 마츠마에 시게요시를 회장, 핫타 이치로를 최고 고문으로 맞이했다.

이 체제 쇄신으로 1970년 전 소련 삼보 선수권 대회 이와쓰리 카네오 우승, 1971년 유럽 삼보 선수권 대회 사토 노부타카 우승 등 성과가 나타났다. 1972년 제1회 FILA 세계 삼보 선수권 대회에서 코가 쇼이치가 우승했다.

마츠마에 시게요시 후임으로 핫타 이치로가 회장이 되었고, 이후 이케다 츠네오, 호리코메 야스후미, 이류 가쿠 등이 회장을 맡았다. 1988년 삼보 월드컵, 1996년 세계 삼보 선수권 대회가 일본에서 개최되었다.

국내 대회는 전일본 삼보 선수권, 동일본 삼보 선수권, 전일본 단체 삼보 선수권, 지역 오픈 대회 등이 개최되고, 기술 강습회도 실시된다.

2012년 1월, 일본 삼보 연맹은 일반 사단 법인 자격을 취득, 콘도 마사아키 회장 취임, 후쿠다 토미아키, 사토 노부타카가 특별 고문으로 있다.

2013년 2월, 제27회 유니버시아드 일본 대표 선수 선발 겸 푸틴 대통령배 삼보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3. 3. 올림픽 스포츠로의 발전

1968년 FILA(2014년 9월부터 국제 레슬링 연맹으로 알려짐)와 1972년 미국 전국 아마추어 육상 연합에 의해 인정받고, 1973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프로그램에 그레코로만형 및 자유형 레슬링과 함께 포함된 후 삼보는 빠르게 올림픽 종목이 되기 위한 길을 걸었다.[22]

1969년에 첫 번째 월드컵이 개최되었다. 1975년 미국 올림픽 레슬링 위원회 위원인 돈 커티스는 러시아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프로그램에 삼보 레슬링을 도입할 것이라고 예측했다.[23] 같은 해 애리조나주 메사에서 첫 번째 미국 전국 삼보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고, 1977년에는 멕시코 시티에서 열린 첫 범아메리카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그레코로만형 및 자유형 레슬링과 함께 경기가 치러졌다. 또한 1983년 미국 올림픽 페스티벌[24][25]과 1983년 범아메리카 게임(1983년 범아메리카 경기는 카라카스에서 열렸으며, 범아메리카 게임에서 삼보가 열린 첫 번째이자 마지막 판이 되었다.) 일정에 포함되었다. 1979년 전국 AAU 삼보 위원회는 삼보 레슬링 스포츠에서 뛰어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여러 연례 상을 제정했다.[26] 1980년대에 들어서 범아메리카 게임, 전국 스포츠 페스티벌 및 AAU 주니어 올림픽 프로그램에 포함되었다.[27]

그러나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발생한 1980년 올림픽 보이콧의 정치적 복잡성으로 인해 삼보는 처음에는 1980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축소되었으나, 소련과의 연관성 때문에 시범 종목 지위에서 제외되었다. 청소년 삼보는 올림픽 개막식에서 시연되었지만, 공식적으로 시범 종목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러한 역사적 오류는 아나톨리 마코베츠키의 ''SAMOZ에서 SAMBO까지''와 루카셰프의 ''20세기 전반기 격투의 역사: 창시자와 저자''를 포함한 여러 출처에서 언급하고 있다.[28] 1980년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공식 문서에도 삼보가 올림픽 참가 종목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다.[29]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0년 미국 삼보 협회 회장인 제리 마츠모토는 삼보가 적어도 시범 종목 수준으로라도 향후 8년 이내에 올림픽 종목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30]

1968년 또는 1969년[58], 삼보는 국제 레슬링 연맹(FILA, 후의 세계 레슬링 연합)의 관리 종목이 되었고,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때 레슬링 정식 종목 채택을 어필했지만 정치적인 이유로[59] 실현되지 못했다. 서적 『이것이 삼보다!』는 레슬링 종목 수가 너무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60]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레슬링이 20종목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계기로 FILA를 떠나 국제 경기 연맹인 국제 삼보 연맹(FIAS)이 설립되었다.[60] IOC 후원 월드 게임의 정식 경기였지만 1989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실시되지 않고 있다. IOC 공인 단체 GAISF에는 FIAS가 2020년 현재도 가맹하고 있다. 2018년에 FIAS가 IOC 승인 국제 경기 연맹 모임 ARISF에 잠정 가맹했고, 2021년 도쿄 올림픽 개최 중 IOC 총회에서 정식 가맹되었다.

유럽 올림픽 위원회(EOC)가 주최하는 유럽 경기 대회에서는 2015년 바쿠에서 열린 제1회 대회에서 정식 경기로 채택되었다.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AC)가 주최하는 아시안 게임에서는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부터 정식 경기로 채택되었다.

3. 4. 현대

삼보는 비교적 현대적인 무술로, 1920년대 초 붉은 군대 등에서 병사들의 격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이 시작되었다.[1] 다른 무술의 가장 효과적인 기술을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삼보의 선구자는 빅토르 스피리도노프와 바실리 오셰프코프였다. 오셰프코프는 일본에서 수년 동안 거주하며 가노 지고로 밑에서 유도를 수련했다.[7] 대숙청 기간 중 일본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감옥에서 사망했고,[8] 유도는 1964년 하계 올림픽까지 수십 년 동안 소련에서 금지되었으며, 삼비스트들은 4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9]

스피리도노프와 오셰프코프는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가지 스타일을 개발했고, 결국 교차 수정되어 삼보로 알려지게 되었다. 러시아에서 "자유형 레슬링"이라고 불리는 오셰프코프의 시스템에 비해, 스피리도노프의 스타일은 더 부드럽고 덜 잔혹했다. 또한 힘에 덜 의존했는데, 이는 스피리도노프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입은 부상 때문이었다.[10]

바실리 오셰프코프의 제자인 아나톨리 할람피예프도 삼보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1938년 11월 16일, 전소련 스포츠 위원회가 결의안 633호를 발표하면서 공식 스포츠로 인정받았다.[8] 1968년, FILA는 삼보를 국제 레슬링의 세 번째 스타일로 인정했다. 1985년, 삼보 커뮤니티는 자체 조직인 국제 아마추어 삼보 연맹(FIAS)을 결성했다. 1993년, FIAS는 두 개의 조직으로 분열되었고, 두 조직 모두 동일한 이름과 로고를 사용했으며, 두 그룹은 종종 FIAS "동" (러시아 통제 하)과 FIAS "서" (미국 및 서유럽 통제 하)로 불렸다. 이러한 분열은 당시 냉전 시대의 마지막 날과 소련의 최근 해체를 반영했다. 미국에서는 스포츠 주최자 간의 불화와 1990년대 브라질 유술의 부상으로 인해 여러 삼보 선수들의 성공으로 10년 후 인기가 높아지기 전에 삼보의 성장이 둔화되었다.[31] 2005년, FILA는 FIAS "서"와 합의를 통해 스포츠 삼보에 대한 제재를 다시 시작했다.[32] 그러나 2008년, FILA는 다시 삼보 제재를 중단했고, 현재 UWW 웹사이트에서 삼보를 찾아볼 수 없다.[33] 현재, FIAS만이 스포츠 삼보의 국제 대회를 제재하고 있다. 2014년 FIAS와 FILA는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34] 이것이 삼보를 UWW의 공식 인정 목록에 다시 포함시키지는 않지만, 단결을 향해 나아가고 스포츠 홍보에 관한 향후의 '영토 분쟁'을 방지한다. 2014년에는 FIAS와 국제 유도 연맹 간에도 유사한 협정이 체결되었다.[35] FIAS와 세계 격투 삼보 연맹 모두 국제 격투 삼보 대회를 개최한다. 미국 삼보 협회는 2004년부터 미국과 캐나다에서 자유형 삼보 토너먼트를 계속 개최해 왔다. 이러한 대회는 UWW에서 인정하지 않는다.

2012년에 삼보가 2016년 올림픽 시범 종목으로 포함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이는 어떤 사실로도 뒷받침되지 않았다. 따라서 삼보는 아직 올림픽 종목으로 발전하기에는 요원하며, 이 문제에 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올림픽 종목으로 자리 잡는 것은 요원해 보인다. 실제로, 올림픽 위원회가 기존의 레슬링을 올림픽 종목에서 제외하려는 의도를 감안할 때, 삼보가 올림픽에 진입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소문이 있다. 그러나 삼보는 역사상 처음으로 제27회 하계 유니버시아드에 포함되었다.[36] FIAS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2020년 올림픽 종목으로 삼보를 고려해 달라고 신청했으며,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국제 스포츠 언론 협회(AIPS)에 삼보 위원회를 설립하는 데 주력했다. 2018년 11월 30일 현재, 삼보는 실제로 IOC로부터 임시 인정을 받았다.[37] 이러한 긴밀한 관계는 삼보에 대한 전 세계적인 인기와 미디어의 관심을 다시 구축하고 있다.

삼보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제정 러시아 사할린에서 신학생으로 일본으로 건너가 고도칸에서 가노 지고로 밑에서 유도를 배운 바실리 오셰프코프가 꼽힌다.[55] 그는 1930년대에 소련 각지에서 유도 보급 활동을 했지만, 1937년 스탈린 대숙청의 대상이 되어 "일본의 스파이"[56]라는 혐의를 받아 투옥, 옥사한다.[57]

삼보라는 명칭은 또 다른 삼보의 창시자인 빅토르 스피리도노프가 복싱과 유술을 바탕으로 독학으로 개발한 격투기 "Cамооборона без оружия(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 방어)"에서 유래한다. 1930년대에 체계화되어 삼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이 격투기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백병전의 중요성을 깨달은 소련 적군에 군대 격투술로 채택되어, 이후 "바예보 삼보(Боевое самбо)"로 이어진다. 스피리도노프의 이론적인 "삼보"와 오셰프코프의 실전적인 "유도"는 당시 대립 관계에 있었다.

1938년, 스포츠 트레이너 전국 회합에서 오셰프코프의 제자 아나톨리 아르카디예비치 할람피예프가 '소련식 자유형 레슬링'의 창설을 발표한다. 할람피예프는 회합에서 "소련식 자유형 레슬링"은 러시아의 로시안 삼보, 조지아의 치타오바, 타타르, 카자흐스탄의 카자흐 샤크레스,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소련 각지의 민족 레슬링에 기초한 새로운 격투기라고 주장했다. 서적 『이것이 삼보다!』에서는 이들에 더해 유도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58] 그 실체는 오셰프코프의 유도였다. 인공적인 국가였던 소련에는 민족 통합의 상징이 될 스포츠가 필요했던 것이다. 같은 해 11월 16일, 전소 체육 스포츠 위원회는 이 '자유형 레슬링'(''борьбы вольного стиля'')을 인가하여, 소련 전역에서의 보급 활동이 인정된다. 이 날이 러시아에서는 국기로서의 삼보 생일로 여겨진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7년 "삼보"로 개칭되어, 이것이 스포츠 삼보로 정착하게 된다.

4. 종류

삼보에는 여러 가지 경쟁 스포츠 변형이 있다.[11] FIAS가 인정하는 주요 형식은 다음과 같다.


  • '''스포츠 삼보'''는 일반적으로 좁은 의미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이다. 스포츠 삼보를 익힌 사람을 '''삼비스트''' 또는 '''삼보 레슬러'''라고 부른다.
  • '''바예보예 삼보'''(Боевое самбо|보예보예 삼보ru)는 넓은 의미로 소비에트 연방 내무성과 붉은 군대에서 맨손 군대 격투술로 채택되었던 "군대의 삼보"를 의미한다. 마에다 아키라가 '''커맨드 삼보'''(Command sambo)[54]라고 명명했으며, 영어권이나 이탈리아에서는 '''콤바트 삼보'''(Kombat sambo)라고도 한다.


이 외에도 프리스타일 삼보, FCF-MMA, 셀프 디펜스 삼보, 스페셜 삼보, 비치 삼보 등이 있다.

니콜라이 주에프가 습득했던 금지 기술이 없는 속칭 '''우라 삼보'''(裏サンボ, 영어: Russian sambo, Ру́сское самбо|루스카예 삼보ru)는 러시아 고유의 의복 착용 맨손 격투기로, 다채로운 관절기를 가지고 있으며 스포츠 삼보의 기반이 되고 있다. Sambo에는 흑인에 대한 멸칭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Sombo''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4. 1. 스포츠 삼보 (самбо 레슬링)

'''스포츠 삼보'''(Борьбa Самбо|Borba Sambo|삼보 레슬링ru)는 스타일 면에서 옛 유도와 유사하며, 많은 부분에서 유도의 영향을 받았지만 규칙, 프로토콜, 도복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삼보는 조르기는 허용하지 않지만, 아시 가라미 기술 금지 이전의 옛 유도처럼 다양한 유형의 다리 관절기를 허용한다.[12] 또한 그립과 홀드에 대한 제한이 거의 없이 던지기, 그라운드 기술, 서브미션에 중점을 둔다.[12] 삼보는 1966년 FILA(현재 UWW) 의회에서 인정된 아마추어 레슬링의 국제적인 스타일이다.

4. 2. 컴뱃 삼보 (Боевое самбо)

'''컴뱃 삼보'''(Боевое Самбо|보예보예 삼보ru)는 군사용으로 사용 및 개발되었으며, 현대 종합격투기와 유사하게 타격과 그래플링 형태를 포함한다. 컴뱃 삼보는 던지기, 조르기, 꺾기 외에도 일반적인 펀치, 킥, 팔꿈치, 무릎, 축구 킥, 헤드벗, 급소 공격을 허용하지만, 암바는 서서 하거나 플라잉 암바는 허용하지 않는다.[13] 브라질리언 주짓수 (BJJ)와의 주요 차이점은 타격 기술 외에도 컴뱃 삼보 규칙과 규정에서는 던지기나 다른 전투적 기술 없이 일방적으로 그라운드 파이팅에 의존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전성 측면에서 컴뱃 삼보는 설계상 ARB를 능가하지만, 둘 다 전투 상황만을 위해 설계되었다. 선수들은 스포츠 삼보와 마찬가지로 재킷을 착용하지만, 손 보호대, 때로는 정강이 보호대와 헤드기어도 착용한다. 제1회 FIAS 세계 컴뱃 삼보 선수권 대회는 2001년에 개최되었다. 러시아에 본부를 둔 세계 컴뱃 삼보 연맹은 국제 컴뱃 삼보 경기도 승인한다.

삼보 레슬링
컴뱃 삼보 경기
삼보 레슬링(왼쪽)과 컴뱃 삼보 경기 모두 삼봅카 재킷과 셔츠를 유니폼으로 착용하고 표준 레슬링 매트에서 진행된다. 그러나 컴뱃 삼보 경기에서는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갑, 헤드기어, 마우스피스, 급소 보호대 및 정강이 보호 장비도 필요하다.



여성은 2015년 파리 그랑프리에서 공식 토너먼트에 처음으로 컴뱃 삼보에 참가했다. 여성이 국제 컴뱃 삼보 토너먼트에서 경쟁한 최초의 인정된 사례는 2022년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삼보 선수권 대회였다.[14][15]

"삼보"는 넓은 의미로 일본 무술계에서 말하는 "유술"과 같이 맨손 격투기나 맨손 무술을 의미하며, 소비에트 연방 내무성과 붉은 군대에서 맨손 군대 격투술로 채택되었던 "군대의 삼보"를 의미하는 '''바예보예 삼보'''(Боевое самбо|보예보예 삼보ru)가 있다. 마에다 아키라가 '''커맨드 삼보'''(Command sambo)[54]라고 명명했으며, 영어권이나 이탈리아에서는 '''콤바트 삼보'''(''Kombat sambo'')라고도 한다. 이후, 타격을 추가한 종합 격투기로서의 스포츠화와 러시아 연방 군의 군대 격투술로서의 분화가 진행되고 있다.

1930년대에 체계화되어 삼보라는 명칭이 붙여졌으며, 제1차 세계 대전 후 백병전의 중요성을 깨달은 소련 적군에 군대 격투술로 채택되어 "바예보 삼보"로 이어졌다.

4. 3. 프리스타일 삼보

2004년 미국 삼보 협회에서 프리스타일 삼보를 도입했다. 이는 유도, 주짓수 등 삼보를 수련하지 않은 사람들이 삼보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프리스타일 삼보는 삼보 레슬링에서 허용되지 않는 조르기 및 기타 서브미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54]

4. 4. FCF-MMA

FCF-MMA는 2003년에 개발된 삼보의 한 형태이다. 선수들은 쿠르트카(재킷), 반바지, 부츠와 같은 전통적인 복장을 착용하지 않고 격투용 반바지와 글러브만 착용한다. 한 선수는 파란색, 다른 선수는 빨간색을 착용하며 이는 전통적인 삼보와 동일하다. 경기는 일반적인 종합격투기(MMA) 경기와 달리 케이지나 링이 아닌 전통적인 레슬링 매트 위에서 진행된다. 모든 무술의 기술을 활용하여 녹아웃, 서브미션 또는 포인트 승리로 상대를 제압한다.

4. 5. 셀프 디펜스 삼보

이 종류의 삼보는 자기 방어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무기를 사용하는 공격에 대비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가르치는 기술의 대부분은 공격자의 공격성을 역이용하는 기술로, 이는 주짓수합기도에서 사용되는 기술과 유사하다. 이 삼보 스타일은 스피리도노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54]

4. 6. 스페셜 삼보

이 유형의 삼보는 육군 특수 부대 및 기타 신속 대응 부대를 위해 만들어졌다. 이는 이를 사용하는 특정 그룹만을 위해 설계되었다. 그런 점에서 특수 삼보는 특정 목적을 위해 설계된 삼보 격투와 유사하다.

4. 7. 비치 삼보

삼보 비치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부드러운 해변이나 모래밭에서 열린다.

5. 경기 방식 및 규칙

삼보 경기에서는 타격 기술을 금지하며, 던지기, 관절 기술에 의한 한판 또는 그에 준하는 던지기, 엎어치기 등으로 점수를 겨룬다.[61][62] 유도와 비교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유도와는 다른 경기 전개와 기술이 많다.[61][62] 예를 들어, 가와이시 방식의 뒤 굳히기처럼 가슴을 상대방 가슴에 밀착하면, 유도와 달리 가드 포지션 위에서도 누르기로 인정된다.[61][62]
한판승 조건[61][62]


  • 자세를 무너뜨리지 않고 상대를 깨끗하게 던진 경우
  • 관절 기술 등으로 상대가 기권 의사를 표시하거나, 반칙 없이 경기 중단을 요구한 경우
  • 점수 차가 12점 이상 벌어진 경우 (경기 시간 내 한판이 없을 때는 득점이 많은 쪽이 판정승)

점수 체계[61][62]

점수내용
1점엉덩방아를 찧게 하거나, 던지기로 상대 등이 90도 이내로 넘어졌을 때, 상대 반칙 시
2점어깨부터 떨어져 등이 매트에 닿거나, 엉덩방아 후 등으로 구르거나, 10초간 누르기 (경기당 1회)
4점자세가 무너지며 상대를 던지거나, 자세를 유지하며 상대를 옆으로 던지거나, 손/무릎을 짚게 하거나, 20초간 누르기 (경기당 1회)



스포츠 삼보에서는 팔꿈치, 어깨뿐 아니라 다리(사타구니, 무릎, 발목) 관절 기술(아킬레스 건 굳히기, 니 인 십자 굳히기, 카프 슬라이서 등)도 허용된다.[61][62] 단, 해머 록, 손목 관절 기술, 무릎/발꿈치/발목을 비트는 기술(레그 락, 힐 홀드, 발목 굳히기 등)은 금지된다.[61][62]

5. 1. 경기 복장

레슬링과 마찬가지로 삼보 수련자는 보통 빨간색 또는 파란색의 경기복을 착용한다. 쿠르트카(курткаru)는 삼보브카(самбовкаru)라고도 불리며, 게이코기와 스타일과 기능이 비슷하지만, 더 몸에 맞고 견장과 벨트 루프가 있다.[38] 어깨 끈, 레슬링 스타일의 반바지, 그리고 보르초프키라고 불리는 특별한 보호 신발이 있으며, 이는 유니폼의 색상과 일치한다. 삼보 유니폼은 급수나 경쟁 등급을 반영하지 않는다. 스포츠 규칙에 따라 선수는 매트에서 경쟁자를 시각적으로 구별하기 위해 빨간색과 파란색 세트를 모두 갖춰야 한다.

상반신은 파란색 또는 빨간색 리버시블 삼보 재킷과 띠, 하반신은 재킷과 같은 계통색의 반바지 또는 스패츠를 착용하며, 삼보 슈즈(또는 레슬링 슈즈)를 신는다. 삼보 재킷은 유도복과 비슷하지만 어깨 부분에 잡기 쉽도록 반전이 있다. 이것은 착의 상의가 민소매인 치타오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띠는 풀어지지 않도록 띠를 재킷에 고정하는 구멍이 있다. 유도나 가라테처럼 띠의 색으로 단위를 나타내는 일은 없다.

5. 2. 경기 등급

러시아에서는 레슬링 순위 시스템과 유사한 경기 등급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는 유도나 현대 유술에서 사용되는 띠 색깔 순위 시스템과는 다르다.) 여러 스포츠 기구에서 높은 수준의 경기 성과나 코칭 자격에 따라 이러한 등급을 부여한다. 이러한 등급을 획득한 사람들은 '스포츠 마스터'로 알려져 있다. 러시아에서 삼보 '스포츠 마스터'를 수여하는 기관으로는 FIAS,[39] FKE,[40] 및 국제 콤뱃 삼보 연맹이 있다. 미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에서도 '스포츠 마스터'를 수여하는 관리 기구가 있다.[41]

남자 체급은 다음과 같다.

구분체급 (kg)
주니어 (17 - 18세)52, 57, 62, 68, 74, 82, 90, 100, +100
시니어 (19세 이상)52, 57, 62, 68, 74, 82, 90, 100, +100



선수는 자신의 체급보다 한 체급 위의 경기에 출전할 수 있다.

심판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구분
의장 1명
레퍼리 1명
저지 1명


5. 3. 경기 규칙 (스포츠 삼보 기준)

스포츠 삼보의 경기 규칙은 다음과 같다.

  • 타격 기술과 조르기 기술은 금지된다.[61][62]
  • 경추나 목에 대한 관절 기술, 손목이나 발목 앞부분을 잡는 행위, 양 선수가 모두 일어선 상태에서 관절 기술을 거는 행위는 금지된다.[61][62]
  • 몸통을 고의로 다리로 세게 조이는 행위는 금지된다. 다리를 뻗지 않아도 금지이다.[61][62]
  • 던지기, 관절 기술에 의한 한판 또는 한판에 이르지 못하는 던지기, 엎어치기 등의 포인트를 겨룬다.[61][62]
  • 상반신에는 파란색 또는 빨간색 리버시블 삼보 재킷과 띠를 착용하고, 하반신에는 재킷과 같은 색의 반바지 또는 스패츠를 착용하며, 삼보 슈즈(또는 레슬링 슈즈)를 신는다.[61][62]
  • 삼보 재킷은 유도복과 비슷하지만 어깨 부분에 잡기 쉽도록 반전이 있다. 띠는 풀어지지 않도록 재킷에 고정하는 구멍이 있다.[61][62]
  • 유도나 가라테처럼 띠의 색으로 단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61][62]
  • 레슬링 매트와 같은 원형 매트장에서 경기를 한다.[61][62]
  • 가와이시 메소드의 뒤 굳히기처럼 가슴을 확실히 상대방의 가슴에 밀착하고 있으면, 유도와 달리, 가드 포지션 위에서도 누르기로 취급된다.[61][62]
  • 재킷을 잡는 것에 제한이 적다. (띠의 매듭에서 앞, 띠 매듭의 여분, 소매 입구 안쪽 이외에는 어떻게 잡아도 좋으며, 잡고 있는 시간의 제한은 없다).[61][62]
  • 가와즈 걸기가 허용된다. 2015년 이후 2021년까지 정강이나 무릎에 걸리는 게 잡기가 금지되었다.[61][62]

한판승

  • 자신의 자세를 무너뜨리지 않고 상대를 깨끗하게 던졌을 때[61][62]
  • 상대의 팔, 다리 관절 등을 잡거나 상대를 제압하고 있을 때, 상대가 기권 의사를 표현하거나 반칙을 하지 않았는데도 경기를 중단하도록 요구했을 경우[61][62]
  • 경기 중 양 선수 간에 12점 이상 차이가 벌어졌을 때 (단, 경기 시간 내에 한판이 나오지 않았을 때는 경기 중 득점이 많은 쪽이 판정승)[61][62]

점수

점수내용
1점상대를 엉덩방아를 찧게 했을 때, 던지기로 인해 상대가 매트에 등이 90도 이내로 넘어졌을 때, 상대가 반칙을 범했을 때[61][62]
2점상대가 어깨부터 떨어져 그대로 등을 매트에 로링시켰을 때, 상대가 엉덩방아를 찧고 그 반동으로 등을 매트에 로링시켰을 때, 누운 자세에서 10초 동안 제압했을 때 (제압은 1경기당 1회)[61][62]
4점상대를 깨끗하게 던졌을 때 자신의 자세가 무너질 때, 자신의 자세를 무너뜨리지 않고 던져 상대가 옆으로 떨어질 때, 던졌을 때 손을 짚거나 무릎을 꿇을 때 (예: 바기술, 옆 껴안기 등), 20초 동안 제압했을 때 (제압은 1경기당 1회)[61][62]


관절 기술


  • 팔꿈치, 어깨 관절에 대한 관절 기술이 허용되지만, 해머 록, 손목 관절 기술은 금지된다. 양 선수가 일어서면 팔꿈치, 어깨 관절에 대한 관절 기술은 풀어야 한다.[61][62]
  • 다리(사타구니, 무릎, 발목)에 대한 관절 기술(아킬레스 건 굳히기, 니 인 십자 굳히기, 카프 슬라이서 등)이 허용되지만, 무릎 관절이나 발꿈치, 발목을 비트는 관절 기술(레그 락, 힐 홀드, 발목 굳히기 등)은 금지된다. 상대가 일어서면 다리에 대한 관절 기술은 풀어야 한다.[61][62]


6. 주요 대회

국가119739월 6일–11일테헤란, 이란#넘겨주기1011219747월 26일–28일울란바토르, 몽골#넘겨주기1053197912월 11일–14일마드리드, 스페인#넘겨주기1011419805월 30일–31일마드리드, 스페인#넘겨주기1011519812월 28일 – 3월 1일마드리드, 스페인#넘겨주기1012619827월 3일–4일파리, 프랑스#넘겨주기1011719839월 30일 – 10월 1일키예프, 소련#넘겨주기108819846월 14일–15일마드리드, 스페인#넘겨주기1010919859월 19일–21일산세바스티안, 스페인#넘겨주기101110198611월 21일–24일생장드뤼, 프랑스#넘겨주기10811198711월밀라노, 이탈리아#넘겨주기10912198812월 1일–5일몬트리올, 캐나다#넘겨주기101113198911월 8일–11일웨스트 오렌지, 미국#넘겨주기10914199012월 7일–10일모스크바, 소련#넘겨주기101815199112월 28일–29일몬트리올, 캐나다#넘겨주기10816199211월 6일–10일헌베이, 잉글랜드101417199311월 9일–15일크스토보, 러시아102818199410월 7일–9일노비사드, 유고슬라비아10201919959월 1일–3일소피아, 불가리아92320199611월 1일–3일도쿄, 일본182321199710월 10일–12일트빌리시, 조지아조지아182022199810월 16일–18일칼리닌그라드, 러시아182023199911월 12일–14일히혼, 스페인182024200011월 25일키예프, 우크라이나182125200110월 20일–21일크라스노야르스크, 러시아182626200211월 26일–29일파나마 시티, 파나마181927200310월 18일
11월 6일–10일로크브륀카프마르탱, 프랑스 (컴뱃 삼보)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27322820046월 16일–21일
9월 25일–26일프라하, 체코 (컴뱃 삼보)
키시너우, 몰도바272329200510월 21일–23일
11월 11일–14일프라하, 체코 (컴뱃 삼보)
아스타나, 카자흐스탄27273020069월 30일 – 10월 2일
11월 3일–5일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컴뱃 삼보)
소피아, 불가리아273331200711월 7일–11일프라하, 체코274332200811월 13일–17일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274833200911월 5일–9일테살로니키, 그리스274634201011월 4일–8일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272635201111월 10일–14일빌뉴스, 리투아니아276536201211월 8일–12일민스크, 벨라루스276437201311월 7일–11일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277038201411월 20일–24일나리타, 일본278239201511월 12일–16일카사블랑카, 모로코278040201611월 10일–14일소피아, 불가리아277741201711월 9일–13일소치, 러시아279042201811월 8일–12일부쿠레슈티, 루마니아278043201911월 7일–11일청주, 대한민국278044202011월 4일–8일노비사드, 세르비아273045202111월 12일–14일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2750



미국에서 개최되는 연례 선수권 대회인 '''전미 삼보 선수권 대회'''는 초기에는 '''전미 AAU 삼보 레슬링 선수권 대회'''로 알려졌다. 무술에 열정을 가진 미국인들은 삼보가 1973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으로 경연되기 직전에 삼보를 접했으며, 1980년 올림픽 종목이 되기 위해 빠르게 나아가고 있었다.[22]

연도날짜개최지경기장종목
19755월 10일애리조나주 메사커뮤니티 칼리지10
19766월 5일애리조나주 챈들러챈들러 고등학교 체육관10
19774월 23일캘리포니아주 동남부 샌디에고재키 로빈슨 기념 YMCA10
19785월 20일캘리포니아주 촐라 비스타사우스웨스턴 칼리지10[43]
19794월 21일캘리포니아주 월넛10
19808월 2일미주리주 캔자스시티20
19843월 3일미주리주 캔자스시티캔자스시티 노스 커뮤니티 센터
19843월 30일워싱턴 D.C.
19873월 28일미주리주 캔자스시티비숍 워드 고등학교
19884월 9일뉴저지주 뉴어크에섹스 카운티 칼리지29+3(t)[44]
198911월 10일뉴저지주 뉴어크
19905월 13일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27
19913월 31일켄터키주 코빙턴
19923월 28일오하이오주 신시내티
19933월 27일오클라호마주 노먼노먼 고등학교
19943월 26일캘리포니아주 촐라 비스타사우스웨스턴 칼리지
1996펜실베이니아주 사우스 앤빌앤빌-클레오나 고등학교
19984월 11일워싱턴 D.C.
20068월 19–20일플로리다주 노스 팜 비치노스 팜 비치 커뮤니티 센터



1987년과 1988년 전미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그레코로만형, 자유형 경기와 함께 전국 삼보 대회가 열렸으며, 각각 1987년 7월 1일과 1988년 7월 6일에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마켓 스퀘어 아레나에서 개최되었다.[45] 다음 해에는 1989년 7월 5일 몬태나주 빌링스의 메트라에서 열린 1989년 AAU/캐리어 전미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대회가 열렸다.[46] 1990년 AAU 전미 레슬링 선수권 대회 역시 7월 10일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마켓 스퀘어 아레나에서 전국 삼보 대회를 개최했다.[47] 1992년 AAU 전미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7월 텍사스주 아마릴로에서 전국 삼보 대회를 개최했다. 1994년 AAU 전미 레슬링 선수권 대회 또한 7월 13일 미시간주 배틀크릭의 켈로그 아레나에서 전국 삼보 대회를 개최했다.[48] 1995년 AAU 전미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전국 삼보 대회를 개최했다. 1999년 AAU 전미 레슬링 선수권 대회 역시 6월 30일 몬태나주 빌링스의 메트라에서 참가자들에게 삼보를 제공했다.[49] 2002년 AAU 전미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6월 19일 루이지애나주 슈리브포트의 허쉬 콜리세움에서 삼보 대회가 열렸다.[50]

USA 레슬링은 2007년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미국 전국 레슬링 선수권 대회부터 삼보를 스타일로 추가했다.[51]

1963년 9월, 당시 일본 레슬링 협회 회장이었던 핫타 이치로는 "소련 레슬링의 강함의 비밀은 삼보에 있다"며 레슬링 훈련에 삼보를 도입하려 했고, 소련 레슬링 선수단과 함께 4명의 삼보 선수를 초청했다. 당시 일본 국민들은 삼보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었지만, 4명의 삼보 선수들은 마에바시시, 고베시, 요코하마시, 도쿄도 등 각지에서 유도 선수들과 유도 교류 시합을 가졌다.

1965년 1월, 국내 경기 연맹인 일본 삼보 연맹은 국내 최초의 대회인 "동일본 삼보 선수권 대회"를 도쿄 요요기 체육관에서 개최했고, 많은 레슬링 선수와 유도 선수들이 참가했다. 또한 이 대회는 이가리 노리오(당시 일본 레슬링 협회 이사장)의 노력으로 텔레비전 방송이 이루어져, "삼보"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같은 해 8월, "제1회 전일본 삼보 선수권 대회"가 이와테현모리오카시에서 개최되었다.

1965년 9월, 핫타는 삼보 경기를 일본에 정착시키기 위해 일본 삼보 연맹을 설립하고 회장에 취임했다. 상무 이사로 취임한 비토르 코가를 소련에 파견했다. 코가는 스스로 삼보 수련에 힘쓰는 한편, 일본과 소련의 교류를 구축하고 삼보 보급에 힘썼다.

일본 레슬링 협회 주도였던 당시의 일본 삼보 연맹은 전일본 유도 연맹이나 고도칸과의 연계에 난항을 겪으면서도 매년 전일본 삼보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고 소련에 선수를 파견했지만, 유력한 유도 선수나 레슬링 선수의 참가가 요구되었다. 그래서 일본 삼보 연맹은 근본적인 개혁에 착수했다. 일본 삼보 연맹의 사사하라 쇼조 이사장과 코가 쇼이치 상무 이사, 도쿄 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 이노쿠마 이사오와의 사이에 "일본에서의 삼보 경기"에 대한 회담이 열렸고, 이어서 유도 연맹의 요직에 있던 와타나베 토시이치로 8단과의 회합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국제 유도 연맹 회장 마츠마에 시게요시를 회장으로 맞이하고, 최고 고문으로 핫타 이치로가 취임했다.

이러한 체제 쇄신으로 유도의 유력 선수 파견이 가능하게 되어, 1970년 전 소련 삼보 선수권 대회에서 이와쓰리 카네오가 우승, 1971년 유럽 삼보 선수권 대회에서 사토 노부타카가 우승하는 등의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그 직후 FIAS가 설립되었고, 1972년 영국맨체스터에서 제1회 FILA 세계 삼보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68kg급으로 출전한 코가 쇼이치가 소련 선수를 압도하며 우승을 차지하여, 일본 삼보계에 밝은 빛을 비추었다.

일본 삼보 연맹에서는 건강이 악화된 마츠마에 시게요시가 회장에서 물러나고, 핫타 이치로가 후임이 되었다. 이후 핫타는 사망할 때까지 재직했다. 그 후, 베이스볼 매거진사의 창립자인 이케다 츠네오, 세계 삼보 연맹 명예 회장 호리코메 야스후미, 이류 가쿠 등이 회장직을 맡았다. 1988년 5월에는 도쿄 요요기 제1체육관에서 일본 최초의 국제 대회인 삼보 월드컵이, 1996년 11월에는 도쿄 요요기 제1체육관에서 세계 삼보 선수권 대회가 각각 개최되었다.

국내 대회에서는 전일본 삼보 선수권(시니어·주니어·카데트·마스터즈), 동일본 삼보 선수권, 전일본 단체 삼보 선수권, 아이치현 오픈 대회, 아오모리현 오픈 대회, 긴키 오픈 대회 등이 매년 전국 각지에서 개최되고 있다. 삼보를 지도하는 도장이나 클럽팀의 신설에 따른 기술 강습회 등도 실시되고 있다.

2012년 1월, 일본 삼보 연맹은 일반 사단 법인 자격을 취득했다. 회장에 콘도 마사아키가 취임했고, 일본 레슬링 협회 회장 후쿠다 토미아키와 전일본 학생 유도 연맹 부회장 사토 노부타카를 특별 고문으로 맞이하고 있다.

2013년 2월 2일, 사이타마현 우에다시·사이타마현립 무도관에서 삼보가 공개 경기로 실시되는 7월의 제27회 유니버시아드 일본 대표 선수 선발을 겸한 푸틴 대통령배 삼보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어, 남자 4체급·여자 3체급의 대표 선수가 선출되었다.
국제 대회 입상자

참조

[1] 뉴스 Once-Secret Martial Art Rises in Ring's Bright Lights https://www.nytimes.[...] 2010-06-19
[2] 뉴스 Once-secret KGB martial art fights for recognition https://www.independ[...] 2010-12-04
[3] 서적 The final report of the President's Commission on Olympic Sport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7
[4] 서적 Winning Wrestling Contemporary Books 1980
[5] 웹사이트 Sombo wrestling history and basic rules https://web.archive.[...] 2006-05-01
[6] 서적 Black Belt https://books.google[...] Active Interest Media, Inc. 1964-11-02
[7] 웹사이트 Борьба САМБО — ИСТОРИЯ — Михаил ЛУКАШЕВ, Сотворение САМБО http://sambo.spb.ru/[...] 2017-12-17
[8] 웹사이트 Sambo's Gulag Past and MMA Future http://fightland.vic[...] Fightland.vice.com 2014-02-07
[9] 웹사이트 Why Vladimir Putin would have struggled to be a black belt in the Soviet Union https://www.rbth.com[...] 2019-05-29
[10] 웹사이트 Виктор Афанасьевич Спиридонов (Viktor Spiridonov) http://www.peoples.r[...]
[11] 웹사이트 Sambo Ranking System (Approved on XVI FIAS Congress in Astana, Kazakhstan, 2005) http://sambo.com/ran[...] Sambo.Com 2014-02-07
[12] 간행물 Classic Sambo – Get the Upper Hand on Your Opponent With Nasty Leglocks http://ussambo.com/P[...]
[13] 웹사이트 UNITED KINGDOM SAMBO ASSOCIATION http://knucklepit.co[...]
[14] 웹사이트 Combat Sambo among women and other surprising moments of the Paris Grand Prix 2015 https://sambo.sport/[...]
[15] 웹사이트 Results of the first day of the Asian SAMBO Championships and the Asian Youth and Junior SAMBO Championships in Lebanon https://sambo.sport/[...]
[16] 웹사이트 Congress of the SAMBO Union of Asia was held in Lebanon https://sambo.sport/[...]
[17] 웹사이트 MMA Fan's Guide to Grappling: Sambo http://www.bloodyelb[...] Bloody Elbow 2014-02-07
[18] 웹사이트 Classic Black Belt Article From 1967: Russia Prepares to Export Sambo (Part 3) http://www.blackbelt[...] Black Belt Magazine 2014-02-07
[19] 웹사이트 Classic Black Belt Article From 1967: Russia Prepares to Export Sambo (Part 2) http://www.blackbelt[...] Black Belt Magazine 2014-02-07
[20] 웹사이트 MMA Origins: Russian Revolution http://www.bloodyelb[...] Bloody Elbow 2014-02-07
[21] 웹사이트 Classic Black Belt Article From 1967: Russia Prepares to Export Sambo (Part 1) http://www.blackbelt[...] Black Belt Magazine 2014-02-07
[22] 학술지 Can America "Sambo" Its Way to the 1980 Olympics https://books.google[...] 1977-07
[23] 학술지 Curtis has a few ideas https://www.newspape[...] 1975-08-10
[24] 뉴스 National Sports Festival Schedule https://newspaperarc[...] 1983-06-23
[25] 뉴스 COLORADO (UPI). Results from Saturday's events at the fifth National Sports Festival https://newspaperarc[...] 1983-06-26
[26] 서적 SOMBO NEWS https://books.google[...] AAU News 1979
[27] 학술지 National Sombo Group Being Formed https://books.google[...] 1985-01
[28] 웹사이트 Sambo a demo sport in 1980 Olympics? http://www.worldwide[...]
[29] 문서 Games of the XXIII Olympiad (Volume 3 – Participants and Results) http://www.la84found[...]
[30] 뉴스 Part judo, part wrestling, Sombo has CV resident captivated https://www.newspape[...] 1991-08-31
[31] 뉴스 Once-Secret Martial Art Rises in Ring's Bright Lights https://www.nytimes.[...] 2010-12-12
[32] 간행물 Struggling To Survive – Can FILA End Sambo's Civil War? http://ussambo.com/P[...]
[33] 웹사이트 FILA/USAW Drops Sambo (Again) https://web.archive.[...]
[34] 웹사이트 FILA and FIAS sign a memorandum of cooperation http://www.sportspro[...] 2014-07-23
[35] 웹사이트 INTERNATIONAL FEDERATIONS OF JUDO AND SAMBO SIGNED COOPERATION AGREEMENT http://www.sportspro[...] 2014-09-02
[36] 웹사이트 27th Summer Universiade in Kazan, July 6–17 2013 http://kazan2013.ru/[...] Kazan2013.ru 2013-07-14
[37]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Sambo Federation (FIAS) http://sambo-fias.or[...] Sambo-fias.org 2013-04-17
[38] 서적 Martial Art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 Volume One: A-Q https://books.google[...] ABC-CLIO Inc.
[39] 웹사이트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Международной Федерации САМБО http://sambo-fias.or[...]
[40] 웹사이트 FKE.RU – Федерации Комплексных Единоборств http://fke.ru/
[41] 웹사이트 ASA Rankings http://ussambo.com/r[...] Ussambo.com
[42] 간행물 Olympic Calendar https://books.google[...] 1977-05
[43] 서적 AAU Sambo Nationals: Southland WC Romps https://books.google[...] AAU News 1978
[44] 서적 Sombo Championships https://books.google[...] Info AAU 1988
[45] 서적 Wrestling https://books.google[...] Info AAU 1988
[46] 서적 Wrestling https://books.google[...] Info AAU 1989
[47] 서적 Wrestling https://books.google[...] Info AAU 1990
[48] 뉴스 A Russian import https://www.newspape[...] Battle Creek Enquirer 1994-07-14
[49] 뉴스 SCOREBOARD http://www.newspaper[...] The Billings Gazette 1999-06-19
[50] 뉴스 AAU equals attention https://www.newspape[...] The Times, Shreveport, Louisiana 2002-06-21
[51] 뉴스 Sombo to be included at U.S. National Championships in Las Vegas Nev April 6–7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Olympic & Paralympic Committee Official Website 2006-12-12
[52] 웹사이트 Who runs International Sombo? http://combatsombo.p[...]
[53]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Sambo Federation (FIAS) http://sambo-fias.or[...] Sambo-fias.org
[54] 웹사이트 前田日明「殺されても仕方がないのが真剣勝負」ヴォルク・ハン、“ソ連軍隊格闘術の使い手”だった男はなぜプロのリングで輝いたか? https://number.bunsh[...] 文藝春秋 Number 2023-03-31
[55] 웹사이트 日本サンボ連盟 公式サイト https://web.archive.[...]
[56] 문서 오셰프코프와 러시아 혁명 당시 일본 스파이 활동
[57] 문서 오셰프코프 사후 일본 유래 유도의 금기시됨
[58] 서적 これがサンボだ! 베이스볼 매거진사 1986-04-25
[59] 문서 와라 p.199
[60] 서적 これがサンボだ! 베이스볼 매거진사 1986-04-25
[61] 서적 サンボ国際ルール梗概 選手用 일본サンボ연맹 2015-07
[62] 서적 スポーツサンボルール梗概
[63] 웹사이트 1996世界サンボ選手権大会東京にて開催 http://japan-sambo.b[...] 일본サン보연맹 1996-11-03
[64] 웹사이트 【大会結果】2014年世界サンボ選手権大会初日結果 女子60kg級藤村美和選手金メダル獲得! http://japan-sambo.b[...] 일본サン보연맹 2014-11-21
[65] 웹사이트 【大会結果】2014年世界サンボ選手権大会二日目結果 女子80kg級濱田尚里選手金メダル、女子52kg級黒木美晴選手・男子スポーツ57kg級荒木将徳選手銅メダル獲得! http://japan-sambo.b[...] 일본サン보연맹 2014-11-22
[66] 웹사이트 【大会結果】2014年世界サンボ選手権大会三日目結果 女子+80kg級村瀬晴香選手銀メダル、女子68kg級榎谷有里選手銅メダル獲得! 女子スポーツサンボ日本チーム総合2位! http://japan-sambo.b[...] 일본サン보연맹 2014-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