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익양군 (조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양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위, 서진, 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에 걸쳐 여러 차례 설치되고 폐지되었다. 위나라 때는 예주에 속했으며, 여남군과 강하군을 분할하여 설치되었다. 서진 시대에는 기춘군과 주현을 병합하여 군역을 확장했다. 남북조 시대에는 유송, 양나라, 동위 등에 속했으며, 수나라 때는 광주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익양군으로 개칭되기도 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광주로 바뀌었다가 익양군으로 잠시 개칭되기도 했다. 익양군의 관할 지역은 시대에 따라 변동되었으며, 현재의 중국 허난성 일대에 해당한다.

2. 역사

220년(황초 원년), 여남군강하군을 분할하여 익양군을 설치하고 예주에 속하게 하였다.

진 시대에 익양군은 서양, , 기춘, 주, 서릉, 기사, 익양의 7개 현을 관할했다.[1]

남조 송 시대 익양군은 남예주에 속했으며, 기사, 익양, 안풍, 낙안, 여유의 5개 현을 관할했다.[2]

남조 제 시대 익양군은 예주에 속했으며, 기사, 남신식, 익양, 상채, 평여의 5개 현을 관할했다.[3] 495년(영명 13년)부터 527년(효창 3년)까지는 북위가, 527년부터 549년(무정 7년)까지는 이 이 지역을 점령했다.

549년 이후 동위가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 익양군은 동예주에 속하게 되었고, 익양현 1개 현만을 관할했다.[4] 남조 양 시대에는 광주에 속했다가 동위에 빼앗기기도 했으며, 북익양, 남익양 2개 현을 관할했다. 또한 남조 양은 정주(동위의 남정주)와 영주에 익양군을 설치하기도 했다.[4]

583년 (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익양군은 폐지되어 광주에 편입되었다.[11] 607년 (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광주는 다시 익양군으로 바뀌었고, 광산, 낙안, 정성, 은성, 고시, 기사의 6개 현을 관할했다.

620년 (무덕 3년), 당나라에 의해 익양군은 광주로 개칭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광주는 다시 익양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58년 (건원 원년) 익양군은 광주로 다시 개칭되어 익양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2. 1. 후한 말·조위

후한말, 형주 대부분을 차지했던 조조는 적벽대전에서 패배하면서 형주 지배력이 약화되었고, 손권유비의 세력이 형주 남부 지역에서 확장되었다. 이에 조조는 강하군 지역에서 사수에 성공했던 강하군 8개 현 중 서릉현, 서양현, 대현을 여남군의 익양현, 기사현과 함께 익양군으로 분리했다. 진서에는 조비여남군에서 신설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213년(후한 헌제 건안 18년) 조조가 전 지역의 군현을 정비할 때 언급되지 않았다는 점, 218년(후한 헌제 건안 23년) 오환 원정을 떠나기 전에 전예가 익양태수로 부임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213~218년 사이에 신설된 것으로 추정된다.[7] 222년(위 문제 황초 3년)부터 224년(위 문제 황초 5년)까지 여양공이었던 조표가 익양왕으로 봉해지면서 '''익양국'''으로 승격되기도 했다.[8]

익양군 소속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익양현弋陽縣신양시 황촨현 융고향(隆古鄕) 익양고성본래 여남군의 속현이었다.
기사현期思縣신양시 화이빈현 기사진(期思鎭)본래 강하군의 속현이었다.
서양현西陽縣신양시 광산현 유점촌(刘店村) 북동본래 강하군의 속현이었다.
대현軑縣신양시 뤄산현 죽간진(竹竿鎭) 북동본래 강하군의 속현이었다.


2. 2. 서진

사마염오나라를 멸망시킨 후 기춘군의 기춘현, 주현이 통폐합되면서 군역이 확장되었다. 황강시 서부, 안루시 일대로 군역이 확장되었다. 7현 16,700호를 거느렸다. 290년(진 혜제 영희 원년), 옛 기춘군에 속한 지역이 서양군으로 분리되었다.[9][10]

서진 시대 익양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서양현西陽縣신양시 광산현 유점촌 북동
대현軑縣신양시 뤄산현 죽간진 북동
기춘현蘄春縣황강시 치춘현 기주진(蕲州镇) 북쪽 장강 북안기춘군에 속했다가 280년 기춘군이 통폐합되면서 본군에 내속되었다. 290년 서양군으로 분리되었다.
주현邾縣황강시 황저우구 신하촌(新河村) 서남기춘군에 속했다가 280년 기춘군이 통폐합되면서 본군에 내속되었다. 290년 서양군으로 분리되었다.
서릉현西陵縣우한시 신저우구 서쪽290년 서양군으로 분리되었다.
기사현期思縣신양시 화이빈현 기사진
익양현弋陽縣신양시 황촨현 융고향 익양고성


2. 3. 남북조 시대

남조 송 시대에 익양군은 남예주에 속했으며, 기사, 익양, 안풍, 낙안, 여유의 5개 현을 관할했다.[2]

남조 제 시대에 익양군은 예주에 속했으며, 기사, 남신식, 익양, 상채, 평여의 5개 현을 관할했다.[3] 495년(영명 13년), 북위가 이 지역을 점령했다.

527년(효창 3년), 남조 양이 이 지역을 점령했다.

549년(무정 7년), 동위가 이 지역을 점령했다. 익양군은 동예주에 속했으며, 익양현 1개 현을 관할했다.[4]

남조 양 시대에 광주가 설치되었고 익양군은 광주에 속했다. 이후 동위에 빼앗겼다. 이 익양군은 북익양, 남익양 2개 현을 관할했다.

남조 양에 의해 정주(동위의 남정주)에 익양군이 설치되어, 여남·기사의 2현을 관할했다.[4]

남조 양에 의해 영주에 익양군이 설치되었다.[4]

2. 4. 수나라

개황 3년(58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익양군은 폐지되어 광주에 편입되었다.[11] 대업 3년(607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광주는 익양군으로 개칭되었다. 익양군은 광산, 낙안, 정성, 은성, 고시, 기사 6개 현을 관할했다.[11]

수나라 시기 익양군(弋陽郡)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광산현光山縣신양시 광산현개황 초기에 광성군이 폐지되었고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현이 설치되었다. 대업 초기에 광양군(光陽郡)이 설치되었다. 양나라 때 황천군(黃川郡)이 통폐합되었다.
낙안현樂安縣신양시 광산현 선거향양나라 때 송안현(宋安縣), 광성현(光城縣)에 송안군이 설치되었다. 583년(수 문제 개황 3년) 송안군과 풍안군이 모두 폐지되고 낙안현으로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익양산(弋陽山), 부광산(浮光山), 금산(金山), 석산(錫山)이 있었다.
정성현定城縣신양시 황촨현북제 시기 남정주가 신설되었는데 후에 폐지되어 남익양현과 북익양현으로 남았다. 북익양현은 남익양현에 통폐합되었고 남익양현은 정원현(定遠縣)으로 개명되었다. 북위 때 설치된 익양군이 양나라 때 동신채현(東新蔡縣)으로 격하되었으나 북주 시기 회남군에 편입되었다. 북제 대 제안군, 신채군이 설치되고 의주(義州)가 폐지되었으며 동광성군(東光城郡)이 신설되었다. 개황 초기 5개 군과 영주가 모두 폐지되었다.
은성현殷城縣신양시 상청현개황 초기 포신현(包信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신채군, 신성군, 평고군의 3군을 통치하던 건주(建州)가 양나라 때 신설되었으나 개황 초기 폐지되고 은성현에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대소산(大蘇山), 남송산(南松山)이 있었다.
고시현固始縣신양시 구스현양나라 때 요현(蓼縣)이었다. 북제 때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북제는 현 인근에 북건주(北建州)를 두었으나 얼마 못가 폐지되었고 신채군이 설치되었다. 북주 때 신채군은 회주(澮州)로 바뀌었고 개황 초기 주군이 모두 폐지되고 남은 현들이 고시현에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안양산(安陽山)이 있었다.
기사현期思縣신양시 화이빈현 기사진진나라 때의 군인 변성군이 개황 초기 폐지되었고 변성군 휘하의 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북제가 인근에 광화군(光化郡)을 설치했으나 이 또한 폐지되었다. 현내에 대별산(大別山)이 있었다.


2. 5. 당나라

620년(당 고조 무덕 3년), 익양군이 '''광주(光州)'''로 바뀌었고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정성현이 현주(弦州), 은성현이 의주(義州)로 분리되고 송안군이 폐지되고 '''곡주(穀州)'''로 바뀌면서 광주총관부는 광주, 현주, 의주, 곡주, 그리고 여주를 통치하게 되었고 광주는 광산현, 낙안현, 고시현을 통치하게 되었다. 624년(당 고조 무덕 7년), 총관부가 도독부로 바뀌었다. 627년(당 태종 정관 원년), 도독부가 혁파되면서 현주와 의주가 광주에 통폐합되면서 정성현과 은성현이 본주로 내속되었다. 곡주가 폐지되면서 송안현이 낙안현에 통폐합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익양군으로 바뀌었고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다시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광주로 돌아왔다. 본래 5현 5,649호 28,291명을 거느렸으나, 천보연간에 31,473호 198,580명을 거느렸다.[12]

당나라 시기 익양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정성현定城縣신양시 황촨현남제 시기 남익양현으로 바뀌었으나 얼마 뒤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620년, 현주로 분리되었으나 627년 현주가 폐지되면서 광주의 속현이자 주의 치소가 되었다.
광산현光山縣신양시 광산현양나라에서 광주로 분리되었고 수나라 때 익양군으로 편입되었다. 620년 광주의 치소가 되었다. 712년(당 현종 태극 원년), 주의 치소가 정성현으로 옮겨졌다.
선거현仙居縣신양시 광산현 선거향한나라 때 강하군 대현이었는데, 당시 치소가 현 북쪽 10리에 있었다. 유송대 대현에서 낙안현(樂安縣)이 설치되었고 742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은성현殷城縣신양시 상청현유송대 포신현(苞信縣)이 설치되었고 수나라 때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고시현固始縣신양시 구스현한나라 때 여남군 침현(浸縣)이었다가 후한 대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참조

[1] 서적 晋書
[2] 서적 宋書
[3] 서적 南斉書
[4] 서적 魏書
[5] 서적 隋書
[6] 서적 旧唐書
[7] 서적 삼국지 위지 26권 만전견곽전 전예 https://zh.wikisourc[...]
[8] 서적 삼국지 위지 20권 문무세왕공전 초왕조표 https://zh.wikisourc[...]
[9] 서적 진서 14권 지 제4 지리지 上 예주 익양군 https://zh.wikisourc[...]
[10] 서적 송서 36권 지 제26 주군지 2 남예주 익양군 https://zh.wikisourc[...]
[11] 서적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지 下 양주 익양군 https://zh.wikisourc[...]
[12] 서적 구당서 40권 지 제20 지리지 3 회남도 광주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