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오리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기가오리목은 둥근 가슴지느러미 원반, 튼튼하고 근육질의 꼬리, 2개의 등지느러미, 잘 발달된 꼬리지느러미를 가진 어류로, 몸은 두껍고 물렁하며 부드러운 피부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얕은 해안에서 최대 1,000m 깊이의 해역에 서식하며, 꼬리를 사용하여 움직이고 무척추동물이나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전기가오리는 머리 양쪽에 위치한 전기 기관을 이용하여 8V에서 220V의 전압으로 먹이를 기절시키거나 포식자를 위협하며, 고대부터 마취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전기가오리목은 2~3개 과, 12~13개 속, 약 60~68종으로 분류되며, 한국 근해에는 5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가오리목 - 관짝가오리
관짝가오리는 오스트레일리아 해역에 분포하며 서양 배 모양의 몸체를 가진 전기 가오리목 어류로, 죽은 모습이 관과 비슷하고 최대 200볼트의 전기를 발생시켜 먹이 사냥과 방어에 사용하며, IUCN Red List에서 관심 대상으로 분류된다. - 가오리 - 긴꼬리흰가오리
긴꼬리흰가오리는 대륙사면 깊은 수심에 사는 큰 가오리류로 긴 꼬리가 특징이며,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논쟁이 있고, 인도양과 태평양에 분포하며, 두족류, 갑각류, 경골어류를 먹고, 꼬리상어가 주요 포식자이며, 무태반 생식을 하고,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되어 심해 어업에 따른 개체 수 감소 가능성이 있다.
전기가오리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Torpediniformes |
명명자 | F. de Buen, 1926 |
한국어 이름 | 전기가오리 (전기鰩), 마비가오리 (痲痺鰩) |
영어 이름 | Electric ray |
일본어 이름 | 시비레에이 (痺鱝), 덴키에이 (電気鱝) |
어원 | 라틴어 'torpere' (마비시키다) |
화석 범위 | 에오세 - 현재 |
분류 | |
상위 분류 | 가오리류 (Batoidea)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특징 | |
설명 |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연골어류의 한 목이다. |
2. 형태 및 특징
전기가오리는 대체로 둥근 가슴지느러미 원반 형태를 가진다. 등지느러미는 보통 2개이며 크고 둥글지만, 일부 과(Narcinidae)에서는 축소되거나 퇴화하기도 한다.[2][26] 꼬리는 근육질로 튼튼하며, 잘 발달된 꼬리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2][26] 몸은 두껍고 물렁하며, 피부는 비늘이나 가시(피부 소치) 없이 부드럽고 매끄럽다.[2][26][27]
머리 양쪽, 가슴지느러미 기저부에는 한 쌍의 신장 모양 전기 기관이 있다.[2][26] 주둥이는 넓은 편이며, 타이완전기가오리과(Narcinidae)에서는 크지만 다른 과에서는 축소되어 있다.[2][26] 입, 콧구멍, 5쌍의 아가미 구멍(새열)은 몸 아래쪽(원반 아래)에 위치한다.[2][4][26]
전기가오리는 헤엄치는 속도가 느리며, 다른 가오리류가 주로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하는 것과 달리 꼬리지느러미를 이용해 추진력을 얻는다.[5][28] 얕은 연안에서부터 수심 1000m 깊이의 해역까지 서식한다.[5][28] 주로 모래나 진흙 바닥에 몸을 숨기고 있다가 접근하는 무척추동물이나 작은 물고기를 전기 충격으로 기절시켜 잡아먹는다.[5][28]
2. 1. 생체 전기
전기가오리는 특화된 전기 기관을 가지고 있다. 다른 많은 가오리류가 꼬리에 전기 기관을 가지는 것과 달리, 전기가오리는 머리 양쪽에 두 개의 큰 신장 모양 전기 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가슴지느러미 기저부에 위치한다.[2] 이 기관에서 발생하는 전류는 몸의 아래쪽에서 위쪽 표면으로 흐른다. 기관에 방전을 지시하는 신경은 여러 번 갈라져 각 판의 아래쪽에 연결된다.[2]
전기 기관은 벌집 구조처럼 빽빽하게 들어찬 육각형 기둥들로 구성된다. 각 기둥은 아가미궁 근육이 변형된 것으로, 500개에서 많게는 1000개 이상의 판(전기세포)이 쌓여 이루어져 있다.[2][15][16]
해양 어류인 전기가오리의 전기 기관(배터리)은 병렬 회로로 연결되어 있다. 반면, 담수에 사는 전기 물고기의 배터리는 직렬로 배열되어 있는데, 이는 담수가 바닷물보다 전기를 잘 전도하지 못하기 때문에 더 높은 전압의 방전을 만들어내기 위한 구조이다.[17]
전기가오리는 이 전기 기관을 사용하여 먹이를 기절시켜 잡고[5],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한다. 발생시키는 전압은 종에 따라 다른데, 일부 나르키니드과(Narcinidae) 어류는 8볼트 정도의 낮은 전압을 내지만, 대서양 어뢰 가오리인 ''Torpedo nobiliana''는 최대 220볼트에 달하는 강력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2][18]
3. 서식지 및 생태
전기가오리는 얕은 해안에서부터 최소 1000m 깊이의 바다까지 다양한 수심에서 발견된다.[5][28] 주로 모래나 진흙 바닥에 몸을 숨기고 지낸다.[5][28] 움직임은 둔하고 느린 편이며, 다른 가오리들이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해 헤엄치는 것과 달리 튼튼한 꼬리를 이용해 앞으로 나아간다.[5] 먹이로는 무척추동물이나 작은 물고기를 선호한다.[5][28] 사냥할 때는 바닥에 숨어 있다가 먹잇감이 다가오면 몸에 있는 발전 기관[2][4][26][27]에서 전기를 발생시켜 감전시켜 기절시킨 후 잡아먹는다.[5][28]
4. 인간과의 관계
전기가오리의 전기적 특성은 고대부터 알려져 있었으나, 그 원리는 오랫동안 이해되지 못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전기가오리를 출산이나 수술 시 고통을 줄이는 마취 용도로 사용했다.[2][26] 철학자 플라톤은 그의 대화록 ''메논''에서, 소크라테스가 난해한 질문으로 사람들을 당혹스럽게 만드는 모습을 전기가오리가 전기로 상대를 마비시키는 것에 비유하기도 했다.[6][29] 고대 로마의 의사 스크리보니우스 라르구스는 46년에 쓴 그의 저서 Compositiones Medicaela에서 두통이나 통풍 치료에 전기가오리를 사용했다고 기록했다.[7][30]
1770년대에 이르러 전기가오리의 전기 기관은 과학적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존 월시[8]와 존 헌터[9][10]는 왕립 학회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는 전기생리학과 전기화학의 선구자인 루이지 갈바니와 알레산드로 볼타의 연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11][12] 헨리 캐번디시는 전기가오리가 실제 전기를 사용한다고 주장하며, 1773년 물고기 모양의 라이덴 병으로 인공 가오리를 만들어 전기가오리의 행동을 모방하는 데 성공했다.[13]
현대에 와서는 전기가오리의 생체 기관을 모방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일본의 이화학연구소(RIKEN)는 전기가오리의 전기 기관을 분석하여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이용한 발전기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34] 또한, 이화학연구소는 전기가오리에 부착한 발신기에서 나오는 초음파를 이용해 해저 지형을 정밀하게 조사하는 바이오로깅 실험에 성공했으며, 향후 전기가오리의 발전 기관을 발신기 전력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35]
일본 근해에 서식하는 야마토시비레에이 등은 저인망으로 어획되기도 하지만, 어부들은 전기 충격을 피하기 위해 직접 손으로 만지는 것을 꺼린다.[32] 일반적으로 전기가오리는 식용으로 잘 사용되지 않는다.[36] 지느러미나 등 부위의 살은 맛이 좋다는 평가도 있지만[37], 발전 기관 자체는 생으로 먹으면 물컹하고 맛이 없거나[37], 알루미늄 포일을 씹는 듯한 맛 뒤에 단맛이 느껴지며 닭 껍질 같은 식감이라는 이야기도 있다.[38] 발전 기관은 열을 가하면 녹아서 젤리처럼 변하고 맛도 나빠진다고 한다.[38]
4. 1. 역사 속 전기가오리
전기가오리는 고대 자연사 기록에서 마법적인 생물로 자주 등장한다. 어부가 직접 손을 대지 않아도 감각을 마비시키는 능력은, 전기가 과학적으로 설명되기 이전 시대 사람들에게 자연의 신비적 특성에 대한 믿음을 심어주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14]4. 2. 어뢰의 기원
전기가오리의 이러한 특성 때문에 기뢰나 지뢰를 전기가오리를 의미하는 라틴어 torpedo|토피도lat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불렀으며, 이 단어는 최종적으로 어뢰의 통칭이 되었다[33].5. 분류
전기가오리목에 속하는 어류는 연구자에 따라 분류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대략 60종에서 68종 가량이 알려져 있다.[44][19][39] 이들은 보통 2개 또는 3개의 과와 12개 또는 13개의 속으로 분류된다.[44][19][39] 주요 과로는 나르키네과(Narcinidae), 전기가오리과(Narkidae), 토르페도과(Torpedinidae) 등이 있으며, 먹이 습성이나 전기 사용 방식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20][40]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다른 과를 추가하기도 한다.[21]
5. 1. 하위 분류
전기가오리목은 약 60~70여 종을 포함하며,[44][19][39] 이들은 여러 과로 분류된다. 분류 체계는 연구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어 2과, 3과, 또는 5과 등으로 나뉜다.[44][19][39][21]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주요 과들은 다음과 같다.
- 나르키네과 (Narcinidae): 바닥 근처의 작은 먹이를 주로 섭취하며, 방어용으로 전기를 사용한다. 먹이 사냥에 전기를 사용하는지는 불분명하다.[20][40]
- 전기가오리과 (Narkidae): 잠자는 가오리(Sleeper ray)라고도 불리며, 방어용으로 전기를 사용한다.[21][20][40]
- 토르페도과 (Torpedinidae): 큰 먹이를 전기 충격으로 기절시켜 통째로 삼키며, 방어에도 전기를 사용한다.[20][40] 일부 분류에서는 하위 아과로 히프노스아과(Hypninae)와 토르페도아과(Torpedininae)를 두기도 한다.[44]
한편, ''Eschmeyer's Catalog of Fishes''에서는 전기가오리목을 다음과 같이 5개의 과로 분류하기도 한다:[21]
- Platyrhinidae (가시가오리 또는 부채가오리) - D. S. Jordan, 1923
- Narkidae (잠자는 가오리) - Fowler, 1934
- Narcinidae (전기가오리) - Gill, 1862
- Hypnidae (관가오리) - Gill, 1862 (일부 분류에서는 토르페도과의 아과로 보기도 함[44])
- Torpedinidae (전기 가오리 또는 토르페도 가오리) - Henle, 1834
5. 1. 1. 나르키네과 (Narcinidae)
나르키네과(Narcinidae)는 타이완전기가오리과라고도 불린다.[40] 이 과에 속하는 종들은 주로 바닥의 퇴적물 속이나 위에서 작은 먹이를 찾아 먹으며,[20][40] 방어를 위해 전기를 사용하지만 먹이 사냥에 전기를 사용하는지는 불분명하다.[20][40] ''Eschmeyer's Catalog of Fishes''는 나르키네과를 전기가오리목의 한 과로 분류한다.[21]나르키네과는 다음 4개 속을 포함한다:
- ''Benthobatis'' 속
- * ''Benthobatis kreffti'' (Rincón, Stehmann & Vooren, 2001) (Brazilian blind electric ray)
- * ''Benthobatis marcida'' (B. A. Bean & A. C. Weed, 1909) (Blind torpedo)
- ''Diplobatis'' 속
- * ''Diplobatis colombiensis'' (Fechhelm & McEachran, 1984) (Colombian electric ray)
- * ''Diplobatis guamachensis'' (Martín Salazar, 1957) (Brownband numbfish)
- * 토가리히레전기가오리 (''Diplobatis ommata'') (D. S. Jordan & C. H. Gilbert, 1890) (Ocellated electric ray)
- * 몬츠키전기가오리 (''Diplobatis pictus'') (G. Palmer, 1950) (Painted electric ray)
- ''Discopyge'' 속
- * ''Discopyge tschudii'' (Heckel, 1846) (Apron ray)
- ''Narcine'' 속
- * ''Narcine bancroftii'' (E. Griffith & C. H. Smith, 1834) (Lesser electric ray)
- * 브라질전기가오리 (''Narcine brasiliensis'') (Olfers, 1831) (Brazilian electric ray)
- * ''Narcine brevilabiata'' (Besednov, 1966) (Shortlip electric ray)
- * 코르테스전기가오리 (''Narcine entemedor'') (D. S. Jordan & Starks, 1895) (Giant electric ray)
- * 타이완전기가오리 (''Narcine timlei'') (Bloch & Schneider, 1801) (Blackspotted numbfish)
5. 1. 2. 전기가오리과 (Narkidae)
전기가오리과는 전기가오리목에 속하는 연골어류의 한 과이다.[21][39] 1934년 헨리 위드 파울러가 처음 기술했으며,[21] 영어권에서는 흔히 '잠자는 가오리'(Sleeper ray)라고 부른다.[21] 일본에서는 전기넙치과(シビレエイ科)라고도 한다.[40] 과거에는 나르키네과의 아과인 나르키네아과(Narkinae)로 분류되기도 했으나,[19] 현재는 독립된 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21]전기가오리과에 속하는 종들은 방어를 위해 전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20][40] 먹이를 잡는 데에도 전기를 사용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20][40] 이는 바닥에 사는 작은 먹이를 주로 먹는 나르키네과와 구분되는 점일 수 있다.[20][40]
전기가오리과는 아래의 6개 속으로 분류된다.[44]
속명 | 학명 | 주요 종 및 특징 |
---|---|---|
네무리전기가오리속 | Crassinarke | 네무리전기가오리 (C. dormitor) - 일본, 대만 분포.[40] |
Electrolux | E. addisoni - 남아프리카 연안 발견. | |
Heteronarce | H. garmani, H. mollis 등 4종 - 서인도양 분포. | |
전기넙치속 | Narke | 전기넙치 (N. japonica) - 일본 근해 서식.[40], 점박이전기넙치 (N. dipterygia) - 인도-서태평양 분포.[40], N. capensis - 남아프리카 분포. |
Temera | T. hardwickii - 인도-서태평양 분포. | |
Typhlonarke | 눈먼전기가오리 (T. aysoni)[43], T. tarakea - 뉴질랜드 고유종. |
이 중 일본 근해에서는 전기넙치, 점박이전기넙치, 네무리전기가오리 등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0]
5. 1. 3. 토르페도과 (Torpedinidae)
토르페도과(Torpedinidae)는 전기가오리목에 속하는 과 중 하나이다. 이 과에 속하는 가오리들은 큰 먹이를 사냥할 때 강력한 전기 기관을 사용하여 먹이를 기절시킨 후 통째로 삼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방어 목적으로도 전기를 사용한다.[20][40]분류 체계에 따라 하위 분류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히프노스아과(Hypninae)와 토르페도아과(Torpedininae)로 나뉜다.[44]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히프노스아과를 별도의 고우슈전기가오리과(Hypnidae)로 분류하기도 한다.[21][39]
=== 히프노스아과 (Hypninae) ===
히프노스아과(Hypninae) 또는 고우슈전기가오리과(Hypnidae)에는 관짝가오리속(또는 히프노스속, ''Hypnos'') 1개 속만 포함된다.
- 관짝가오리속 (''Hypnos'') T. N. Gill, 1862
- 관짝가오리 (''Hypnos monopterygius'') (G. Shaw, 1795) - 영명: Coffin ray
=== 토르페도아과 (Torpedininae) ===
토르페도아과에는 ''Tetronarce'' 속과 ''Torpedo'' 속이 포함된다.
- ''Tetronarce'' 속 T. N. Gill, 1862
학명 | 명명자, 연도 | 영문명 | 한국어명 |
---|---|---|---|
Tetronarce californica | Ayres, 1855 | Pacific electric ray | 점박이전기가오리 |
Tetronarce cowleyi | Ebert, D. L. Haas & M. R. de Carvalho, 2015 | Cowley's torpedo ray | |
Tetronarce fairchildi | F. W. Hutton, 1872 | New Zealand torpedo | 남방전기가오리[41] |
Tetronarce formosa | D. L. Haas & Ebert, 2006 | Taiwan torpedo | |
Tetronarce macneilli | Whitley, 1932 | Shorttail torpedo | |
Tetronarce nobiliana | Bonaparte, 1835 | Atlantic torpedo | 대서양전기가오리 |
Tetronarce puelcha | Lahille, 1926 | Argentine torpedo | |
Tetronarce tokionis | S. Tanaka (I), 1908 | Trapezoid torpedo | 전기가오리 |
Tetronarce tremens | F. de Buen, 1959 | Chilean torpedo | 트레멘스전기가오리 |
- ''Torpedo'' 속 Houttuyn, 1764
5. 2. 한국 근해 서식종
한국 근해에서 발견되는 전기가오리목 어류는 다음과 같다.- 전기넙치 (Narke japonica (Temminck & Schlegel, 1850)): 일본 근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전기넙치류이다 (Japanese sleeper ray|재패니즈 슬리퍼 레이eng).
- 점박이전기넙치 (Narke dipterygia (Bloch & Schneider, 1801)): 인도양에서 서태평양에 걸쳐 넓게 분포하는 소형종이다 (Numbray|넘브레이eng 또는 Spottail sleeper ray|스폿테일 슬리퍼 레이eng).
- 네무리전기가오리 (Crassinarke dormitor (Takagi, 1951)): 일본과 대만 근해에 분포한다 (Sleeper torpedo|슬리퍼 토피도eng).
- 전기가오리 (Tetronarce tokionis (S. Tanaka (I), 1908)): 전체 길이가 70cm에 달하는 대형종으로, 수심 1000m 정도의 심해에 서식한다 (Trapezoid torpedo|트래퍼조이드 토피도eng).
- 점박이전기가오리 (Tetronarce californica (Ayres, 1855)): 주 서식지는 북아메리카 대륙 서쪽 연안이지만, 과거 일본 근해에서 몇 차례 어획된 기록이 있어 한국 근해에서도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Pacific electric ray|퍼시픽 일렉트릭 레이eng).
참조
[1]
FishBase
[2]
웹사이트
Electric Rays
http://www.elasmo-re[...]
ReefQuest Centre for Shark Research
2008-10-12
[3]
백과사전
Collins Latin Gem Dictionary: Latin-English, English-Latin
Collins
[4]
서적
Sharks, Skates, and Rays: The Biology of Elasmobranch Fishes
JHU Press
[5]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6]
위키소스
Meno
[7]
서적
Electrorecep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09-28
[8]
학술지
On the Electric Property of the Torpedo: in a Letter to Benjamin Franklin
1773
[9]
학술지
Anatomical Observations on the Torpedo
1773
[10]
학술지
An account of the ''Gymnotus electricus''
[11]
학술지
The role of the voltaic pile in the Galvani-Volta controversy concerning animal vs. metallic electricity
[12]
웹사이트
A Correction to the Record of Early Electrophysiology Research on the 250 th An- niversary of a Historic Expedition to Île de Ré
https://hal.archives[...]
HAL open-access archive
2022-05-06
[13]
웹사이트
Shock and Awe: The Story of Electricity
https://www.bbc.co.u[...]
BBC
2022-06-09
[14]
학술지
A tale of two fishes: Magical objects in natural history from antiquity through the scientific revolution
1991-09
[15]
서적
Fishes of the Western North Atlantic, Part 2
Sears Foundation for Marine Research, Yale University
[16]
서적
A Living Bay: the Underwater World of Monterey Ba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서적
Encyclopedia of Neuroscience
Springer
2008-03-25
[18]
서적
International Wildlife Encyclopedia
Marshall Cavendish
[19]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John Wiley
[20]
간행물
Electrolux addisoni, a new genus and species of electric ray from the east coast of South Africa (Rajiformes: Torpedinoidei: Narkidae), with a review of torpedinoid taxonomy
http://www.bioline.o[...]
2008-10-22
[21]
웹사이트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Classification
https://www.calacade[...]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024-10-29
[22]
FishBase
[23]
서적
三省堂難読漢字辞典
三省堂
[24]
웹사이트
麻魚(シビレエイ)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DIGITALIO
2024-12-10
[25]
서적
日本難訓難語大辞典
遊子館
[26]
웹사이트
Electric Rays
http://www.elasmo-re[...]
ReefQuest Centre for Shark Research
2008-10-12
[27]
서적
Sharks, Skates, and Rays: The Biology of Elasmobranch Fishes
JHU Press
[28]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29]
위키소스
http://en.wikisource[...]
[30]
서적
Electroreception
Springer
[31]
학술지
A tale of two fishes: Magical objects in natural history from antiquity through the scientific revolution
[32]
뉴스
【深海アイドル図鑑】(75) ヤマトシビレエイ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01-20
[33]
웹사이트
torpedo
https://www.etymonli[...]
[34]
웹사이트
シビレエイ発電機-強電気魚の電気器官を利用したATP系発電システムの開発-
http://www.riken.jp/[...]
理化学研究所
2019-01-20
[35]
뉴스
動物たちは見た(3)エイがつくる海底地図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2-25
[36]
웹사이트
シビレエイ(しびれえい)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DIGITALIO
2024-12-10
[37]
간행물
内之浦漁港に水揚げされる魚たち : 黒潮あたる鹿児島の海
https://www.museum.k[...]
鹿児島大学総合研究博物館
2018-03
[38]
서적
喰ったらヤバいいきもの
[39]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40]
논문
Electrolux addisoni, a new genus and species of electric ray from the east coast of South Africa (Rajiformes: Torpedinoidei: Narkidae), with a review of torpedinoid taxonomy
http://www.bioline.o[...]
2008-10-22
[41]
서적
ニュージーランド海域の水族 深海丸により採集された魚類・頭足類・甲殻類
[42]
간행물
週刊世界動物百科
朝日新聞社
[43]
서적
ニュージーランド海域の水族 深海丸により採集された魚類・頭足類・甲殻類
[44]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