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율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율성은 1914년 광주에서 태어나 중국에서 항일 운동을 하다가, 팔로군 행진곡을 작곡하며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다. 이후 북한으로 귀국하여 조선인민군 군가를 작곡하고 평양음악대학에서 활동했으며, 한국 전쟁 이후에는 중국에 남아 공산주의 혁명 음악 분야에서 활동하다 1976년 사망했다. 그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는 기념사업이 한국과 중국에서 진행되었으나, 한국에서는 그의 친북 행적과 의열단 활동의 불분명함으로 인해 논란이 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곡가 - 김원균
김원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곡가로서 애국가와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작곡하고 혁명가극 창작에 참여했으며 평양음악무용대학 학장, 피바다가극단 총장, 조선음악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했고 로력영웅,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곡가 - 김동진 (작곡가)
김동진은 평안남도 안주 출신의 작곡가로, 가곡 〈가고파〉, 오페라 《심청전》, 《춘향전》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으나, 만주국 시기 친일 활동 논란으로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 - 중국의 작곡가 - 잭슨 (가수)
잭슨은 홍콩 출신으로 대한민국과 중화권에서 활동하는 가수, 래퍼, 댄서, 프로듀서, 사업가이며, GOT7 멤버로 데뷔하여 솔로 활동과 Team Wang, PANTHEPACK 활동을 병행하며 앨범을 발매했다. - 중국의 작곡가 - 혜강
혜강은 죽림칠현의 한 명이자 위나라 종실의 인척으로 유교적 권위주의와 형식주의를 비판하며 노장사상에 심취하여 은둔 생활을 즐겼고, 여안을 변호하다가 종회의 모함으로 사마소에 의해 처형당한 인물이다. - 전주신흥고등학교 동문 - 정세균
정세균은 대한민국의 6선 국회의원, 산업자원부 장관, 민주당 대표, 국회의장, 그리고 국무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으로, '세균맨'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 전주신흥고등학교 동문 - 탁명환
탁명환은 한국의 종교 연구가이자 저술가로, 신흥종교 및 기독교 이단 연구와 비판 활동, 특히 오대양 집단자살사건 진실 규명에 힘썼으나 평강제일교회 신도에 의해 살해당했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종교 문제와 진실 규명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 정율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정부은(鄭富恩), 정뤼청(郑律成) |
| 다른 이름 | 정부은 (郑富恩), 정율송 (정율성) |
| 출생일 | 1914년 8월 27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광주 |
| 사망일 | 1976년 12월 7일 |
| 사망지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
| 국적 | 중화인민공화국 |
| 배우자 | 딩쉐송 |
| 자녀 | 1 (딸) |
| 직업 | 작곡가 |
| 주요 작품 | |
| 대표작 | 중국인민해방군 군가 |
| 기타 정보 | |
| 종교 | 알려진 정보 없음 |
| 가족 | 아버지 정해업, 어머니 최영온, 딸 정샤오티(정소제), 외삼촌 최흥종, 최영욱, 외숙모 강명환, 김필례 |
2. 생애
정율성은 1914년 광주에서 태어나, 1933년 중국으로 건너가 항일 운동에 참여하고, 이후 중국 공산당과 북한에서 활동한 음악가이다.
193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혁명 문예 공작에 참여, 팔로군행진곡(후에 중국인민해방군 군가) 등을 작곡했다. 1941년에는 중국 공산당원인 정설송(丁雪松)과 결혼했다. 1942년에는 조선 혁명군정학교에서 음악장으로 활동하며 사회주의적 색깔이 짙은 노래들을 작곡하였다.
1945년 광복 후에는 북한으로 귀국, 조선인민군 관련 요직을 역임하며 《조선인민군행진곡》, 《조선해방행진곡》등을 작곡했다. 1947년부터 2년간 북한 전역을 순회 공연하고, 1948년 북한 인민위원회로부터 포상을 받았으며, 1949년 평양음악대학 작곡부 부장에 취임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저우언라이의 요청과 김일성의 동의로 중국으로 돌아가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하고, 후방 위문 활동을 하였다. 휴전 후에도 중국에 남아 공산주의 혁명 음악 분야에서 활동하다 1976년 베이징에서 사망, 바바오산 혁명공묘에 안장되었다.
2. 1. 유년 시절과 항일 운동 (1914년 ~ 1937년)
1914년에 광주군 효천면 양림리 (현 양림동 79번지)에서 한학자 정해업(鄭海業)과 지방 명문가의 딸인 최영온(崔英溫) 사이의 5남 3녀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61] 정율성의 호적 이름은 '부은'이었으나 '구모(龜模)'라는 이름으로 불렸다.부친 정해업은 한학을 배운 지식인으로 전라도 관찰부 공방서기직, 대한협회 광주지회 회원, 광주 지역 신간회 간사, 광주 수피아여고 교직에 있었던 기록이 있으며, 모든 자녀를 항일 투쟁을 위해 중국으로 보낼만큼 민족정신이 투철했다. 정율성은 큰 외삼촌인 최흥종 목사의 집에서 축음기를 통해 음악을 듣고 피아노를 치며 놀았고, 그가 활동하던 광주YMCA, 양림교회, 양림동 선교사촌을 통해 서양음악을 접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정율성의 작은 외삼촌은 최영욱 박사로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미국과 캐나다에서 수학한 후 광주 제중원 원장을 지냈으며 미군정 하에서 초대 전라남도 지사를 지냈다. 최영욱 박사의 아내이자 한국YWCA 설립자 중 한 명인 김필례(金弼禮)는 수피아여학교 교사로 일하며 교회를 빌려 때때로 음악회를 여는 등 정율성은 외가의 영향으로 음악에 친숙한 환경 속에서 자랐다.
정율성은 1917년 화순군 능주로 이주, 1922년에 능주보통학교에 입학하였고 이듬해 광주로 다시 이주하였다. 그는 1928년 광주 숭일소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1929년 3월 신흥학교에 입학하였고, 합창단에 들어가 '내고향', '쪼각달', '고기잡이', '까투리타령' 등의 노래를 지도하였다.[62][63][64]
1933년에 정율성의 셋째 형 정의은이 중국 난징에 있는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서 2기 학생을 모집하기 위해 광주에 방문하자, 그는 전주신흥학교를 중퇴하고 누나 정봉은과 함께 목포에서 평안환(平安丸)을 타고 부산과 일본 나가사키를 경유하여 5월 13일 상하이 푸동 항에 도착하였다. 정율성은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입학하여[65] 공부하던 중 의열단에 가입했다.
정율성의 부인 정설송(丁雪松)이 1992년에 펴낸 《작곡가 정율성》이라는 책에 의하면 정율성이 의열단 소속으로 난징(南京)의 고루(鼓樓) 전화국에 침투하여 전화를 도청하며 일본군의 정보를 수집하는 비밀공작 활동을 했다고 하는데 명확한 기록이 없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66] 다만 비밀 공작의 특성상 사료가 남아있지 않을 수 있으며 주변인들의 일관된 증언으로 보아 실제 활동이 없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의열단원 명단에는 이름을 올리고 있는 상태다.
그리고 신분 은폐를 겸하여 상하이를 오가며 소련 레닌그라드음악원 출신 교수 크리노와(Krenowa)에게 성악, 작곡, 피아노, 바이올린 등을 배웠다. 정율성이 정식으로 음악을 배운 시기는 이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으며, 이 시기에 어릴적 이름인 '부은(富恩)' 대신에 '선율(旋律)'로써 '성공(成功)'하겠다는 의미에서 '율성(律成)'으로 개명했다.
1936년 5월에 중국의 좌파 청년들이 참여하던 '오월문예사(五月文藝社)' 창립 대회에서 정율성은 추취도(鄒趣濤)의 시를 바탕으로 작곡한 그의 처녀작 《오월의 노래》(五月之歌)을 만돌린을 연주하며 직접 발표하였다.
1937년 10월 옌안(延安)으로 이주하여 중국 공산당의 루쉰 예술학원(魯迅藝術學院), 중국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中国人民抗日军事政治大学) 등에서 학습을 나갔다.
2. 2. 중국에서의 활동 (1937년 ~ 1945년)
1936년 5월, 정율성은 중국의 좌파 청년들이 참여하던 '오월문예사(五月文藝社)' 창립 대회에서 추취도(鄒趣濤)의 시를 바탕으로 작곡한 그의 처녀작 《오월의 노래》(五月之歌)를 만돌린을 연주하며 직접 발표하였다.[61]1937년 10월 옌안(延安)으로 이주하여 중국 공산당의 루쉰 예술학원(魯迅藝術學院), 중국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中国人民抗日军事政治大学) 등에서 학습하였다.[61] 1939년 1월에 중국 공산당의 당원이 되어 공산주의 혁명 문예 공작에 참여하였으며, 《팔로군행진곡》을 포함하여 8곡으로 구성된 '팔로군 대합창(八路軍大合唱)'을 작곡하였다.[61] '팔로군행진곡'은 당시 팔로군에서 널리 애창되었으며 훗날 '중국인민해방군 군가'가 되었다.[61]
옌안에서 중국 공산당에 소속되어 활동하며 1937년에 중국 공산당에 가입한 정설송()을 만나 1941년 팔로군이 주둔하던 동굴에서 결혼하였다.[61] 정설송은 중국 공산당 당원으로 중공 외사판공실 비서장 등을 거쳐 덩샤오핑 정권에서는 1979년과 1982년 네덜란드와 덴마크 주재 대사를 맡기도 했다.[61]
1942년에는 옌안을 떠나 조선 혁명군정학교에서 음악장으로 활동하였다.[61] 이후 그는 '유격전가', '처녀 두었녀성', '조선의용군행진곡', '연안송' 등 사회주의적 색깔이 짙은 노래들도 작곡하였다.[61]
2. 3. 북한에서의 활동 (1945년 ~ 1950년)
1945년 광복 이후 정율성은 북한으로 귀국하여 조선인민군 구락부부장, 조선인민군 협주단 단장, 조선음악대학 작곡부부장을 역임했다.[61] 북조선로동당 당원으로 입당하였으며, 《조선인민군행진곡》, 《조선해방행진곡》, 《두만강》, 《동해어부》등을 작곡하였다. 1947년에는 평양에서 조선인민군 클럽 부장을 지냈고, 조선인민군 협주단 단장으로서 2년여 동안 북한 전역을 순회 공연했다. 1948년에는 북한 인민위원회(김일성 위원장)로부터 포상장을 받았다. 1949년에는 평양음악대학 작곡부 부장에 취임하여 학생들을 지도했다.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저우언라이가 김일성에게 편지를 써서 정율성을 중국으로 돌아가도록 요청했고, 김일성은 이에 동의하였다. 정율성은 중국으로 돌아가 음악 사업에 종사하며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9]
2. 4. 중국으로의 복귀와 사망 (1950년 ~ 1976년)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저우언라이는 정율성의 중국인 아내 정설송의 요청을 받고 정율성이 중국으로 돌아와 일하도록 김일성에게 친서를 보냈다. 김일성이 동의하여 1950년 정율성은 중국 국적을 취득했다.[4]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의 직접적인 부탁으로 중국에 머물며 후방의 위문 활동을 하였다.한국 전쟁이 휴전 협정으로 멈춘 후, 그는 중화인민공화국에 남아서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정권의 공산주의 혁명 음악 분야에서 계속 활동하였다. 문화대혁명 당시에는 수색으로 인해 많은 악보와 작품들을 잃어버렸다.
1976년 12월 7일 베이징에서 고혈압 등으로 사망하였으며, 바바오산 혁명공묘에 안장되었다.
3. 가족 및 친척 관계
| 관계 | 이름 | 비고 |
|---|---|---|
| 외조부 | 최학신 (1846~1897) | 지방 명문가 |
| 외조모 | 국씨 (?~1885) | |
| 외조모 | 공씨 (?~?) | 1885년부터 1897년까지 최학신과 함께 살았다. |
| 조부 | 정남현 | |
| 조모 | 오세현 | |
| 부친 | 정해업 (1873~1931) | |
| 모친 | 최영온 (1873~1964) | |
| 큰이모 | 3명 | |
| 큰 외삼촌 | 최흥종 (1880~1966) | 국씨 소생 |
| 큰 외숙모 | 강명환 | 1895년~1900년 사이에 최흥종과 결혼 |
| 작은 외삼촌 | 최영욱 (1891~1950) | 공씨 소생 |
| 작은 외숙모 | 김필례 (1891~1983) | |
| 형 | 정인제 (1894~1934) | |
| 형 | 정남근 (1901~1927) | |
| 누나 | 정숭이 (1906~1925) | |
| 누나 | 정봉은 (1908~1977) | |
| 형부 | 박건웅 | |
| 조카 | 박의란 | |
| 형 | 정의은 (1912~1980) | |
| 본인 | 정부은 | 정부은이 정율성의 본명이다. |
| 부인 | 정설송 (1918~2011) | 중국명 딩쉐송, 중국 최초의 여성 대사 |
| 자녀 | 정소제 (1943~) | 중국명 정샤오티 |
4. 작품
- 옌안송
- 팔로군행진곡
- 연수요
- 싱안링에 눈이 내리네
- 십륙자령 3곡
- 오페라 <망부운>
- 벌목요
- 생산요
- 강대한 함대 바다에서 행진한다
- 우리는 행복해요
- 초록빛 조국
- 소산에 이르러
- 매화를 읊노라
- 장정
- 진아를 기다리며
- 청평악-육반산
- 물길에 내 마음 싣고
- 심원춘-장사
- 포정함대 출동했다
- 광창길에서
- 매령3장
- 중조우의 <中朝友誼>
1937년, 옌안에서 인민해방군의 군가를 작곡했다.
1945년, 북한으로 돌아가 북한군 군악대장으로 활동하며 평양대학에서 음악을 가르쳤다. 조선인민군가, 《두만강》, 《동해 어부》 등의 곡을 썼다. 한국 전쟁 발발 후, 중국으로 돌아가 백족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중국어 서양식 오페라 《운남풍경》을 포함한 많은 작품을 작곡했다.
5. 기념사업 및 논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화순군 등 지방자치단체와 MBC은 정율성을 기리는 여러 행사를 열고 시설물을 설치하는 등 기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율성이 한국 전쟁 당시 북한 측에 부역했다는 문제점이 조선일보 등 보수 언론의 보도를 통해 제기되었다.[67] 윤석열 정부에서는 홍범도 장군 등 독립운동가들의 사상 논란과 함께 국가보훈부 장관이 직접 이를 비판하기도 했다.
과거 문재인 정부 당시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에서 정율성을 독립유공자로 추대하지 않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정율성이 의열단원이었던 것은 사실이나, 항일 운동 기록이 명확하지 않고 주변인들의 증언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실제 독립운동가인지 의문스럽다.
#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으로서 중국에서 위문 활동을 했다.
하지만 광주광역시와 강기정 시장 측은 이러한 기념사업의 문제점을 부정했다. 오히려 진영논리와 냉전 시대의 반공 사상으로 위대한 음악가이자 독립운동가를 모욕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정율성의 명확한 항일 활동 내역이 없더라도, 기록을 통해 무장투쟁 단체였던 의열단 일원이었다는 것은 분명하며, 해방 전부터 북측에 있었던 정율성이 전쟁을 적극적으로 부추기거나 동조했다고 보기 어렵고, 조선로동당 당원으로서 일한 것뿐이며, 단순 사회주의자라는 이유로 그의 업적을 폄하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비슷한 시기 북한에 남았던 시인 백석 등은 현재 논란에서 벗어난 상태다. 민족문제연구소나 한겨레 등 진보 언론들은 철 지난 색깔론이라며 정율성 기념사업 문제점 자체를 비판했고, 해마다 정율성음악제를 개최하는 MBC에서는 따로 입장을 내지 않았다.
한국에서 정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하얼빈에 기념관이 건립되는 등 중국에서도 정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율성의 생가 위치를 두고는 논란이 있었다. 정씨 종친회 등으로 구성된 정율성 기념 작업회는 '''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 163번지'''를, 남구는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79번지'''를 주장했으며, 전라남도 화순군이라는 의견도 있어 관계자들이 날카롭게 대립했다. 이에 광주시는 "정율성 선생 생가 고증 위원회"를 발족하여 2009년 1월 동구와 남구 모두를 생가로 인정하고 생가 문제의 수습을 시도했다.
5. 1. 기념사업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화순군 등 지방자치단체와 MBC에서는 정율성을 기리는 여러 행사를 열고 시설물을 설치하는 등 기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율성이 전쟁 당시 북한 측에 부역했다는 문제점이 조선일보 등 보수 언론의 보도를 통해 제기되었다.[67] 윤석열 정부에서는 홍범도 장군 등 독립운동가들의 사상 논란과 함께 국가보훈부 장관이 직접 이를 비판하기도 했다.과거 문재인 정부 당시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에서 정율성을 독립유공자로 추대하지 않은 이유도 이러한 문제점 때문이었다. 그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대표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
# 정율성이 의열단원이었던 것은 사실이나, 항일 운동 기록이 명확하지 않고 주변인들의 증언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실제 독립운동가인지 의문스럽다.
#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으로서 중국에서 위문 활동을 했다.
하지만 광주광역시와 강기정 시장 측은 이러한 기념사업의 문제점을 부정했다. 오히려 진영논리와 냉전 시대의 반공 사상으로 위대한 음악가이자 독립운동가를 모욕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정율성의 명확한 항일 활동 내역이 없더라도, 기록을 통해 무장투쟁 단체였던 의열단 일원이었다는 것은 분명하다는 것이다. 또한 해방 전부터 북측에 있었던 정율성이 전쟁을 적극적으로 부추기거나 동조했다고 보기 어렵고, 조선로동당 당원으로서 일한 것뿐이며, 단순 사회주의자라는 이유로 그의 업적을 폄하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비슷한 시기 북한에 남았던 시인 백석 등은 현재 논란에서 벗어난 상태다. 민족문제연구소나 한겨레 등 진보 언론들은 철 지난 색깔론이라며 정율성 기념사업 문제점 자체를 비판했고, 해마다 정율성음악제를 개최하는 MBC에서는 따로 입장을 내지 않았다.
한국에서 정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하얼빈에 기념관이 건립되는 등 중국에서도 정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음은 정율성 관련 기념사업 내용이다.
| 연도 | 내용 |
|---|---|
| 2002년 | 정율성의 전기 영화 "《走向太陽|저우샹타이양중국어》(Walking Towards The Sun)"(93분) 공개 |
| 2009년 7월 25일 | 하얼빈에서 "인민 음악가 정율성 기념관" 개관 |
| 2009년 | 중앙선전부 및 중앙조직부 등 11개 부문이 "신중국을 창건한 영웅 100인"에 선정 |
| 2018년 9월 8일 | 泉州·广州 2018 郑律成音乐会|취안저우·광저우 2018 정율성 음악회중국어가 푸젠성진장시에서 개최되어, 중·한 양국의 음악가들이 정율성의 "연안송"과 "망부운" 서곡, 한국의 민요 등을 연주[10] |
| 2020년 8월 19일 | 연변대학교 정율성 음악 연구 센터 설립. 정율성의 음악을 연구하고, 정율성의 음악 작품과 사상을 널리 알리는 것이 주된 목적[11] |
| 2020년 9월 7일 | 신화사는 연변대학교가 창작한 민족 오페라 "정율성"이 2021년 5월에 베이징에서 상연될 것이라고 보도. 중국 공산당 창립 100주년과 중국 인민 해방군 창설 95주년 기념 작품[12] |
| 2020년 10월 | 중국 인민 지원군의 한국 전쟁 참전 70주년을 기념하는 "노래 속의 역사 - 정율성 작품 음악회"가 연변대학교에서 개최[13] |
| 2021년 12월 12일 | 연변대학교 클럽에서 "혁명의 사적을 방문하고, 혁명의 혈맥을 계승하는 12·9 학생 운동 86주년 기념 연변대학교 창작 민족 오페라 정율성 걸작 장면 공연회" 개최[14] |
| 2023년 3월 20일 | "인민 음악가 정율성 기념관"이 하얼빈시 안성가 85호 하얼빈시 조선족 예술관 내로 이전하여 오픈. 전시 면적은 1016㎡, 전시품은 300여 점 |
| 2024년 8월 9일~10일 | 음악회와 좌담회 등 정율성 탄생 110주년을 기념하는 기념 행사가 하얼빈에서 개최. 정율성 기념관은 주 광주 중국 총영사관을 통해 광주광역시 등 한국 측에도 참가를 타진했지만, 광주광역시를 비롯해 광주문화재단 및 남구 관계자는 참석하지 않음[58] |
정율성의 생가 위치를 두고는 논란이 있었다. 정씨 종친회 등으로 구성된 정율성 기념 작업회는 '''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 163번지'''를, 남구는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79번지'''를 주장했으며, 전라남도화순군이라는 의견도 있어 관계자들이 날카롭게 대립했다. 이에 광주시는 "정율성 선생 생가 고증 위원회"를 발족하여 2009년 1월 동구와 남구 모두를 생가로 인정하고 생가 문제의 수습을 시도했다.
| 연도 | 내용 |
|---|---|
| 2004년 | 광주광역시 남구가 생가 기념 작업 시작 |
| 2005년 10월 17일 | 정율성의 생가는 전라남도 화순군과 광주 시의원이 주장. 연변대학교 교수의 논문과 호적 등본 4부를 증거로 제시 |
| 2006년 9월 19일 | 정율성 기념 작업회가 동구 불로동 163번지 히딩크 호텔(현 벤틀리 호텔) 주차장에 "음악가 정율성 선생 탄생지" 비석 건립 |
| 2008년 2월 | "정율성 기념 작업회"가 남구를 사문서 위조 등의 혐의로 고소 |
| 2008년 10월 | 화순군은 능주 초등학교 개교 100주년을 기념하여, 동 초등학교 내에 정율성 흉상 건립 |
| 2008년 11월 | 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주광역시가 "정율성 선생 생가 고증 위원회" 조직 |
| 2009년 1월 29일 |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에서 "정율성로" 개통식. "정율성 기념 작업회" 관계자들이 항의하며 남구 직원과 몸싸움 발생 |
| 2009년 8월 23일 | "정율성 선생 생가 고증 위원회"는 동구 불로동 163번지와 남구 양림동 79번지 두 곳 모두를 생가로 인정 |
| 2015년 7월 3일 | 큐궈훙 주한 중국 대사가 광주광역시 남구의 정율성 생가터 방문 |
| 2015년 10월 27일 | 광주광역시와 광주 동구, 광주 남구, 전라남도 화순군이 정율성 기념관 건설 등의 작업 합동 추진 합의[16] |
| 2015년 11월 2일 | 화순군은 정율성이 다녔던 능주 초등학교의 교실을 복원하고 흉상 주변 정비 |
| 2017년 1월 17일 | 화순군이 정율성 관련 사적을 관광 명소로 정비한다고 발표. 8월에는 능주면 관영리에서 정율성 전시관 건설 공사 시작 예정[17] |
| 2019년 1월 30일 | 전남일보는, 불로동의 생가는 "정율성 역사 공원"으로, 양림동의 생가는 "정율성 기념관"이 될 것이라고 보도[18] |
| 2019년 6월 13일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 관영리에서 정율성 전시관 개관[19] |
| 2020년 5월 24일 | 광주광역시는 도시 관리 계획에 관한 결정 사항을 고시하고, 정율성의 생가터 두 곳에 역사 공원과 기념관을 조성, 정비할 방침을 밝힘[20] |
5. 2. 논란
정율성은 의열단 단원이었다는 사실은 확인되나, 항일 운동 기록이 명확하지 않고 주변인들의 증언에 의존하고 있어 실제 독립운동가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67] 또한,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 소속으로 중국에서 위문 활동을 한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67] 이러한 이유로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정율성을 독립유공자로 추대하지 않았다.그러나 광주광역시와 강기정 시장 측은 기념사업에 대한 문제 제기를 부인하며, 진영논리와 냉전 시대의 반공 사상에 기반한 모욕이라고 반박했다. 이들은 정율성의 명확한 항일 활동 내역이 없더라도 의열단 활동 사실은 분명하며, 해방 전부터 북측에 있었던 정율성이 전쟁을 적극적으로 주도했다고 보기 어렵고, 단순한 사회주의자라는 이유로 그의 업적을 폄훼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민족문제연구소와 한겨레 등 진보 언론들은 이러한 비판을 철 지난 색깔론으로 규정하며 정율성 기념사업 자체를 옹호했다.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화순군 등 지자체와 MBC은 정율성 기념사업을 추진해왔으나, 조선일보 등 보수 언론들은 그의 북측 부역 행위를 문제 삼았다.[67]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는 국가보훈부 장관이 직접 비판에 나서기도 했다.
정율성 생가 위치를 두고도 논란이 있었다. 정씨 종친회 등으로 구성된 정율성 기념 작업회는 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 163번지를, 남구는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79번지를 주장했으며, 전라남도 화순군이라는 의견도 제기되어 관계자 간 대립이 있었다. 이에 광주시는 "정율성 선생 생가 고증 위원회"를 발족하여 2009년 1월 동구와 남구 모두를 생가로 인정하며 수습을 시도했다.
정율성에 대한 논란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시기 | 내용 |
|---|---|
| 2000년대 이전 | 반공주의 기조 하에 정율성에 대한 언급 자체가 드물었음. |
| 1992년 8월 24일 | 한중 수교 기념 행사에서 정율성의 음악이 연주됨.[21] |
| 2000년대 이후 | 탈이데올로기 분위기 속에서 정율성이 "중국의 악성", "13억 대륙을 뒤흔든 음악가" 등으로 주목받기 시작. |
| 2005년 | 광주시에서 매년 "정율성 음악제" 개최 시작.[22] |
| 2011년 8월 11일 | KBS의 정율성 다큐멘터리 방송이 여당 추천 이사의 반대로 중단됨.[25] |
| 2012년 1월 | KBS의 정율성 다큐멘터리 방영 후 보수 진영의 비판이 제기됨. |
| 2014년 7월 14일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국 서울대학교 강연에서 정율성을 한중 우호의 상징으로 언급. |
| 2017년 12월 15일 | 문재인 대통령이 베이징 대학 강연에서 정율성을 언급.[27] |
| 2018년 8월 15일 | 베이징 한국 대사관 광복절 행사에 정율성의 딸 정소제 초대.[29] |
| 2019년 3월 25일 |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정율성 언급하며 친일 인물 사냥 비판.[34] |
| 2022년 8월 | 월간조선에서 정율성 기념 사업 비판 기사 게재.[26] |
| 2023년 8월 |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이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사업 정면 비판.[43] 윤석열 대통령도 우려 표명.[44] |
| 2023년 10월 1일 | 정율성 흉상 파괴 사건 발생.[45] |
| 2023년 10월 11일 | 국가보훈부, 광주광역시와 화순군에 정율성 기념 사업 중단 및 기념물 철거 권고.[46] |
| 2023년 10월 12일 | 행정안전부, 광주광역시 남구에 "정율성로" 명칭 변경 권고.[47] |
| 2023년 12월 12일 | 전몰군경유족회 등, 광주광역시청 앞에서 정율성 기념 사업 반대 집회 개최.[51] |
| 2024년 1월 |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화순군, 정율성 기념 사업 재검토.[52][53] |
| 2024년 1월 25일 | 중국 외무성, 정율성 기념 사업 재검토에 대한 논평.[54] |
| 2024년 4월 30일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초등학교 내 정율성 흉상 및 기념 교실 철거.[55] |
| 2024년 7월 8일 | 나경원 의원,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중지 요구.[56][57] |
| 2024년 7월 19일 | 광주광역시, 중국 하얼빈시 정율성 탄생 110주년 기념 행사 불참 방침.[58] |
| 2024년 9월 30일 | 오세훈 서울 시장, 정율성 기념 사업 비판.[59] |
| 2024년 10월 29일 | 전몰군경유족회 등, 광주광역시에 정율성 공원 조성 철폐 요구.[60] |
6. 평가
정율성은 반공을 국시로 삼고 북한과 대립해 온 한국에서 오랫동안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21]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냉전이 끝나고 탈이데올로기화가 진행되면서, 2000년대에 들어 광주 출신이라는 점이 부각되어 중국에서 크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중국인 관광객 증가와 함께 정율성은 관광 자원으로 환영받았고, 광주시는 2005년부터 매년 "정율성 음악제"를 개최하며 그를 "중국에서의 한류 원조"로 현창했다.[22] 그러나 보수 진영을 중심으로 그의 공산당원 이력에 대한 비판도 있었으며, 월간조선은 이러한 현상을 "배금주의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26] 노기욱 전남대학교·호남학연구원 교수는 광주가 정율성을 열광할 이유가 없다고 의문을 제기했다.[23]
2023년 들어 혐중 감정 고조, 코로나19로 인한 중국인 관광객 감소, 문재인 정권에서 윤석열 정권으로의 정권 교체 등으로 사회 분위기가 변화하면서 정율성 기념 사업에 대한 비판이 강해졌다.
| 연도 | 사건 |
|---|---|
| 1992년 8월 24일 | 한중 국교 수립 기념 행사에서 정율성의 음악이 연주됨.[21] |
| 2005년 | 광주시, "정율성 음악제" 첫 개최. |
| 2011년 | KBS, 정율성 다큐멘터리 방송 중단.[25] |
| 2012년 | KBS, 한중 수교 20주년 특별 기획으로 정율성 다큐멘터리 방송. 보수 단체들은 공산주의자 미화라고 비판. |
| 2017년 | 문재인 대통령, 정율성을 한중 우호의 상징으로 언급.[27] |
| 2018년 | 한국 대사관, 광복절 행사에 정율성 딸 초대.[29] |
| 2019년 |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 정율성 숭상 움직임 비판.[34] |
| 2021년 | 정율성 생애를 그린 영화 "경계인" 공개.[38] |
| 2022년 | 월간조선, 정율성 기념 사업 비판.[26] |
| 2023년 | 국가보훈부, 정율성 기념 사업 중단 및 기념물 철거 권고.[43] 윤석열 대통령도 우려 표명.[44] 정율성 흉상 파괴 사건 발생.[45],[48] 황일봉 전 광주광역시 남구청장, 정율성 기념 사업 추진 사과.[49],[50] 전몰군경유족회 등, 정율성 기념 사업 반대 집회.[51] |
| 2024년 | 광주시와 화순군, 정율성 기념 사업 재검토.[52],[53] 화순군, 정율성 흉상과 기념 교실 철거.[55] 나경원 의원,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중지 요구.[56],[57] 광주광역시, 하얼빈시 정율성 탄생 110주년 기념 행사 불참.[58] 오세훈 서울 시장, 정율성 기념 사업 비판.[59] 전몰군경유족회 등, 정율성 공원 조성 철폐 요구 집회.[60] |
7. 갤러리








참조
[1]
서적
Le pouvoir en chantant: L'art de fabriquer une musique chinoise - Volume 1
2000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 Volume 2 - Page 145
2003
[3]
웹사이트
Ding Xuesong: la première ambassadrice de la Chine nouvelle
http://french.china.[...]
French.china.org.cn
2015-01-08
[4]
뉴스
Zheng Lücheng: Thoroughly into Factories and the Countryside
2012-09-28
[5]
웹사이트
人民音乐家郑律成 生平事迹展馆诞生始末
https://www.sohu.com[...]
2020-10-29
[6]
웹사이트
정성태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http://www.grandcult[...]
2023-10-03
[7]
웹사이트
對南赤化 선동한 작곡가 기념하는 ‘民主·平和 도시’ 光州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9-03-30
[8]
문서
世界軍歌全集
2011
[9]
뉴스
军歌之父郑律成:原籍韩国 周恩来亲向金日成要人
解放军报
2011-02-28
[10]
웹사이트
中韩艺术家同台现唱《延安颂》等歌曲 “泉州—光州”2018郑律成音乐会晋江圆满举行
http://www.jjwhcy.co[...]
晋江新闻网
2019-02-17
[11]
웹사이트
“延边大学郑律成音乐研究中心”成立揭牌仪式举行
http://www.ybu.edu.c[...]
延边大学
2020-12-19
[12]
웹사이트
民族歌舞剧《郑律成》明年首演
https://ent.sina.com[...]
新浪
2020-12-19
[13]
웹사이트
“歌声中的历史” 郑律成作品音乐会在延边大学举行
http://www.ce.cn/xwz[...]
经济日报-中国经济网
2020-12-19
[14]
웹사이트
追寻红色足迹 赓续红色血脉——我校举办纪念“一二·九”原创民族歌舞剧《郑律成》展演
https://news.sina.co[...]
新浪
2021-12-18
[15]
웹사이트
纪念郑律成诞辰110周年系列活动在哈尔滨举行
http://www.xinhuanet[...]
新华网
2024-08-14
[16]
뉴스
鄭律成生家論争を中断、光州・和順自治体が協力で合意(정율성 생가 논쟁 중단' 광주·화순 지자체 공동합의
http://www.newsis.co[...]
NEWSIS
2015-10-27
[17]
뉴스
中国3大音楽家・鄭律成の和順遺跡地を観光名所化
http://news.joins.co[...]
newsis
2017-01-17
[18]
웹사이트
광주시가 정율성 생가터 사들여 역사공원·기념관 조성
https://jnilbo.com/2[...]
전남일보
2019-02-17
[19]
웹사이트
정율성 선생 전시관 능주에 ‘둥지’
http://m.hsmaeil.co.[...]
화순매일신문
2019-06-23
[20]
웹사이트
'중국 혁명음악 대부' 정율성 생가에 역사공원·기념관 조성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6-06
[21]
간행물
정율성 음악의 사상적 지향
[22]
웹사이트
중국과 친해지기’ 문제점 없나(4) 정율성, 광주브랜드 마케팅 '글쎄'
http://www.siminsori[...]
시민의소리
2019-02-17
[23]
웹사이트
金白一과 鄭律成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8-08-14
[24]
뉴스
中国革命音楽の大父 鄭律成先生の母校・全州新興中で名誉卒業証(중국 혁명음악 대부’ 정율성 선생‘모교’ 전주신흥중에서 명예졸업장)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08-03-13
[25]
웹사이트
한국방송, 항일음악가 정율성 특집 돌연 보류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8-06-10
[26]
웹사이트
추적 ‘6·25 남침’ 때 ‘中·北 군가 작곡자’를 추앙하는 光州
https://m.monthly.ch[...]
조선뉴스프레스
2022-08-04
[27]
뉴스
문재인 대통령 베이징대 연설 전문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7-12-15
[28]
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중국과의 연결고리로 삼으려 한 '중국인 정율성'의 실체
http://monthly.chosu[...]
月刊朝鮮
2017-12-17
[29]
웹사이트
주중 한국대사관 광복절 행사에… '6·25때 중공군' 정율성 딸도 초청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8-08-25
[30]
웹사이트
조선일보의 '정율성' 보도, 독립운동을 폄훼하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8-08-25
[31]
웹사이트
'광주 100년 이야기 버스' 정율성 시비, 항일투사? 중공군?
http://www.newsis.co[...]
NEWSIS
2018-11-10
[32]
웹사이트
정율성 대표 오페라 '망부운' 56년만에 공연···광주시립오페라단
http://www.newsis.co[...]
newsis
2018-11-24
[33]
웹사이트
정율성의 음악세계와 현대성의 지평
http://www.gwangjuin[...]
광주in
2019-01-12
[34]
웹사이트
나경원 '반문특위' 해명에…전우용 "한국인이 못 갖는 국어실력"
http://www.koreadail[...]
koreadaily
2019-03-30
[35]
웹사이트
항일운동가 <정율성 오페라> 57년만에 복원
http://news.kbs.co.k[...]
KBS 뉴스
2019-03-30
[36]
웹사이트
'청년 정율성 광주 음악으로 깨어나다'…광주 양림동서 특별공연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07-14
[37]
웹사이트
한 손에 총, 다른 손엔 바이올린....정율성 소재로 한 영화 '경계인' 2021년 초 개봉
https://www.edaily.c[...]
이데일리
2020-12-08
[38]
웹사이트
영화 '경계인' 8월 12일 OTT 전격 개봉!
https://www.vision21[...]
비전21뉴스
2021-09-18
[39]
웹사이트
영화 '경계-머나먼 나라', 일제치하, 700만 대군과 싸운 그들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https://jejutwn.com/[...]
제주교통복지신문
2021-09-18
[40]
웹사이트
광주 남구, ‘정율성 거리 전시관’ 새단장
https://www.breaknew[...]
브레이크뉴스
2021-09-18
[41]
웹사이트
“中韩文化交流年”重点项目签约
http://ent.china.com[...]
中国互联网新闻中心
2021-10-12
[42]
웹사이트
한·중이 주목한 ‘이 사람’…반중 감정 속 합작, 어떻게 될까?
https://news.kbs.co.[...]
KBS
2021-10-12
[43]
웹사이트
“中 관광객? 그럼 스탈린, 일왕 기념공원 만들지”
https://www.ichannel[...]
2023-10-04
[44]
웹사이트
"[단독] 尹, '정율성 논란'에 \"관용으로 해석하면 자유·연대 통합 기반 무너져…많이 걱정\""
http://news.tvchosun[...]
2023-10-04
[45]
웹사이트
정율성 동상 훼손한 전도사 “나도 전남대 주사파”
https://www.seoul.co[...]
2023-10-04
[46]
웹사이트
보훈부, '정율성 기념사업 중단·흉상 철거' 광주시 등에 권고(종합)
https://www.yna.co.k[...]
2023-10-22
[47]
웹사이트
행안부도 광주 '정율성로' 명칭 변경 시정권고
https://www.yna.co.k[...]
2023-10-24
[48]
웹사이트
정율성 흉상 또 쓰러졌다...이달만 두번째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4-02-11
[49]
웹사이트
황일봉 5·18부상자회장 “남구청장 시절, 정율성 사업 추진 반성”
https://news.kbs.co.[...]
KBS
2024-02-11
[50]
웹사이트
황일봉 전 광주 남구청장 "정율성 기념사업 추진 사죄"
https://www.yna.co.k[...]
Yonhapnews
2024-02-11
[51]
웹사이트
보훈단체, 정율성 사업 반대 집회…강기정 "시대착오적 시위"
https://www.yna.co.k[...]
Yonhapnews
2024-02-11
[52]
웹사이트
정율성 기념사업서 '정율성' 이름 뺀다…음악 축제 예산 0원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02-12
[53]
웹사이트
‘정율성 논란’에 광주시 결국 음악제·전시관 등 일부 축소…왜?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4-02-12
[54]
웹사이트
中, '정율성 논쟁'에 "정부 평가 공정해야…韓정쟁 영향 없어야"
https://m.yna.co.kr/[...]
Yonhapnews
2024-02-12
[55]
웹사이트
화순 능주초 정율성 흉상 철거…전시관도 폐쇄 예정
https://m.yna.co.kr/[...]
연합뉴스
2024-05-11
[56]
웹사이트
원희룡, 5·18묘역 참배…나경원, 정율성 공원 방문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4-07-15
[57]
웹사이트
"정율성사업 철회" 나경원 주장에 강기정 "이념 갈라치기"
https://www.news1.kr[...]
뉴스1
2024-07-15
[58]
웹사이트
광주시, 정율성 탄생 110주년 중국 기념행사 불참
https://m.yna.co.kr/[...]
연합뉴스
2024-07-20
[59]
웹사이트
오세훈, 정율성 언급하며 "국가정체성 이제는 바로잡아야"
https://m.mbn.co.kr/[...]
매경닷컴
2024-10-05
[60]
웹사이트
"정율성 공원 조성 철폐하라"... 강기정 광주시장 사과 촉구
https://www.m-i.kr/n[...]
매일일보
2024-11-02
[61]
문서
정율성의 생년에는 두 가지 이설이 있다. 1918년이라는 설은 부인 정설송({{zh-stp|t=丁雪松|h=딩쉐송}})의 '우리는 동갑이었다'는 회고 및 중국인 후원자 라청의 '1937년 나는 36세의 중년이었고 정율성은 17세 꼬마청년이었다'는 회고를 바탕으로 한다.
[62]
뉴스
중국의 "악성"-정율성은 한국인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1988-08-13
[63]
뉴스
'중국 혁명음악 대부' 정율성 선생 '모교' 전주신흥중에서 명예졸업장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8-03-13
[64]
문서
전주신흥학교 총동문회는 2019년 1월 28일 정율성에게 자랑스런 신흥인상을 수여하였다.
[65]
문서
정율성이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입학하지 않았다는 의견에 노기욱, '정율성의 음악관에 투영된 사상적 지향'
[66]
뉴스
추적‘6·25 남침’ 때 ‘中·北 군가 작곡자’를 추앙하는 光州
http://monthly.chosu[...]
조선뉴스프레스
2023-09-01
[67]
문서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nNewsNumb=202208100034 민주·평화·인권 도시’가 ▲남침 독려 ▲독재자 찬양 인사 기리는 ‘모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