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화의 원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화의 원정은 명나라 영락제가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추진한 대외 정책의 일환으로, 1405년부터 1433년까지 총 7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환관 정화가 지휘한 이 원정은 명나라의 국력을 과시하고 조공 체제를 구축하여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외교, 군사, 상업적 임무를 수행했다. 원정은 남중국해와 인도양의 해상 항로를 안정시키고, 다양한 국가와의 교류를 통해 중국 문화를 전파하는 데 기여했지만, 막대한 비용, 문관과 환관 사이의 갈등, 황제의 재정 정책 변화 등으로 인해 1433년 중단되었다. 이후 원정은 중국의 해양력 강화와 평화적 부상을 강조하는 현대 중국의 정치적 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해양사 - 해금정책
해금 정책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 시행된 해외 무역 통제 정책으로, 왜구 방어, 정성공 세력 고립 등의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나 밀무역 성행, 연안 지역 경제 피폐, 중국의 경제 발전 저해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인도양의 역사 -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2004년 12월 26일 수마트라섬 북서쪽 해안에서 발생한 규모 9.1의 지진으로 인해 인도양 연안 여러 국가에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힌 재난이다. - 중국의 무역 - 일대일로
일대일로는 중국 주도로 실크로드 경제 벨트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건설을 통해 유라시아 지역의 경제 통합을 목표로 하는 개발 전략으로, 인프라 건설, 무역 촉진, 금융 협력 등을 통해 참여 국가 간 연결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채무 함정 외교 논란, 환경 문제, 인권 침해 의혹 등 비판도 존재한다. - 중국의 무역 - 해금정책
해금 정책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 시행된 해외 무역 통제 정책으로, 왜구 방어, 정성공 세력 고립 등의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나 밀무역 성행, 연안 지역 경제 피폐, 중국의 경제 발전 저해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정화의 원정 | |
---|---|
기본 정보 | |
![]() | |
중국어 간체 | 郑和下西洋 |
중국어 정체 | 鄭和下西洋 |
병음 | Zhèng Hé Xià Xīyáng |
한어 병음 | [Voyages of] Zheng He down the Western Ocean (서양으로 내려간 정화의 항해) |
민난어 표기 | Tēⁿ Hô Hā Se-iûⁿ |
항해 기간 | |
영락제 재위 기간 | 1405년–1424년 |
홍희제/선덕제 재위 기간 | 1425년–1435년 |
개요 | |
내용 | 정화가 지휘한 명나라의 해상 원정 |
목표 | 명나라의 위엄을 과시하고 조공 무역을 확대 |
항해 | |
횟수 | 총 7차례 |
기간 | 1405년 ~ 1433년 |
주요 경유지 | 동남아시아 인도 아대륙 아라비아 반도 동아프리카 |
함대 규모 | 선박 수: 약 300척 승무원 수: 약 27,000명 |
선박 | |
주력함 | 보선 (Treasure Ship) |
크기 | 길이 약 120m, 폭 약 50m (추정) |
특징 |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목선 |
영향 | |
정치적 영향 | 명나라의 국제적 위상 강화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조공 관계 확대 |
경제적 영향 | 해상 무역 활성화 중국 도자기, 비단 등의 수출 증가 |
문화적 영향 | 중국 문화의 전파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 중국인 이주 |
논란 및 평가 | |
원정 중단 이유 | 막대한 비용 정통제의 정책 변화 해금 정책 강화 |
역사적 평가 | 명나라의 해양 진출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받음 |
2. 역사적 배경
명나라 보물선 항해는 외교, 군사, 상업적 성격을 띠었다.[29][171] 명나라는 해상 무역에 대한 제국의 통제를 확립하고, 조공 시스템으로 편입시키며, 외국이 조공 시스템을 준수하도록 강제했다.[7][149][172][173]
영락제는 정난의 변으로 왕위를 찬탈했기 때문에, 조공국 지위를 인정하도록 강제하여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려 했을 수 있다.[192][201][175]
중국은 영토 통제보다는 항만과 해운 항로를 포함하는 광대한 네트워크에 대한 지배를 통해 정치적, 경제적 통제를 추구했다.[176] Finlay(2008)는 해상 무역 통제라는 목표를 강조하며, 항해는 중국이 해상 무역에 대한 필요성과 정부의 사적인 해상 무역 억압을 조화시키려는 시도로 보았다.[216]
정화의 원정은 해상 네트워크의 조직을 변화시키고, 국제적이고 다문화적인 관계와 교환을 재구성했다.[187] 명나라는 해상 네트워크 통제를 위해 말라카, 코친, 말린디와 같은 항구가 성장하도록 지원했다.[258]
항해는 세계화의 초기 단계를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된다.[186] 이 항해는 서양 해역의 지역 통합을 가져왔고, 사람, 아이디어, 상품의 국제적 순환을 증가시켰다.[187] Sen(2016)은 역사상 처음으로 중국에서 아프리카에 이르는 해상 지역이 단일 제국 권력의 지배하에 놓이면서 세계주의적 공간이 창출될 수 있었다고 강조한다.[188]
중국은 이 지역 전반에 걸쳐 정치적, 이념적 통제를 유지하는 것 또한 목표로 삼았다.[189] 외국 통치자들은 명나라에 조공을 바치고 중국의 문화적 우월성을 인정해야 했다.[190]
외교 관계는 상호 이익이 되는 해상 무역과 중국 해군의 군사력에 기반을 두었다.[192] 중국 해군의 우위는 징벌적 조치의 가능성 때문에 중요했다.[176]
건문제를 찾기 위한 목적이었다는 이론이나[197][29][198] 티무르 국가에 대한 대응이었다는 이론은[198] 역사적 증거가 부족하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98]
2. 1. 명나라 초기의 정치적 상황
영락제는 아버지 홍무제로부터 강력한 해군을 물려받아 이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추진했다.[3][4] 1402년 주체가 정난의 변을 일으켜 황제로 즉위하면서 명나라는 이전과는 다른 대외 정책을 펼치게 되었다.[2] 영락제는 황권을 강화하고 국내외에 명나라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다.영락제 시기 명나라는 군사적 팽창주의를 추구했다.[7][8] 1403년 영락제는 대규모 보물선 건조를 명령했다.[9] 이는 해금 정책의 완화와 조공 무역 확대로 이어졌다. 특히 건문제의 생존에 대한 불안감이 대외 원정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197][29][198]
정화와 같은 환관들이 함대를 이끌었는데, 이는 문관 관료들의 반발을 샀다.[15] 문관들은 유교적 사상에 따라 원정을 사치스러운 낭비로 여겼다.[202][204][205][206]
2. 2. 해군력 강화와 해양 정책 변화
영락제는 아버지 홍무제로부터 강력한 해군을 물려받아 해외 정책에 적극적으로 활용했다.[3][4] 태종실록|태종실록중국어에 따르면, 1403년부터 1419년까지 조선에 2,868척 이상의 배를 건조하라는 황제의 명령이 내려졌다.[5] 1403년에 푸젠, 장시, 저장, 후광 성 정부와 난징, 쑤저우 등지의 군사 주둔지가 배 건조를 시작했다.[6]영락제 시기 명나라는 보물선 건조 등 군사적 팽창 정책을 추진했다.[7][8] 1403년, 영락제는 보물선 건조를 명령했다.[9] 이 함대는 많은 무역선, 군함, 지원 선박으로 구성되었으며,[9] 롱장 조선소는 난징 근처 친화이 강에 위치하여 양쯔 강으로 연결되는 지리적 이점을 가졌다.[11][13] 함대 건조를 위해 민 강과 양쯔 강 상류에서 많은 나무가 베어졌다.[6]
정화를 포함한 함대 고위 장교들은 환관 출신이었다.[15] 정화는 궁정 시종국 총감독을 역임했으며, 황제의 신임을 받아 함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16][6][17] 영락제는 정화에게 황제의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백지 두루마리를 주었다.[17] 왕경홍, 홍바오 등 다른 주요 장교들도 문관 출신 환관이었다.[18] 승무원은 주로 명나라 군사 출신으로, 대부분 푸젠에서 모집되었다.[15][197][19]
명나라의 해양 정책은 외교, 군사, 상업적 목적을 동시에 추구했다.[29][171] 해상 무역 통제,[7][149] 조공 시스템 편입,[172] 외국 조공 강요[149][172][173] 등을 통해 영락제는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고자 했다.[192][201][175]
중국은 영토 확장보다는 항만과 해운 항로 네트워크 지배를 통한 경제적 통제를 추구했다.[176] Finlay(2008)는 해상 무역 통제 목표를 강조하며, 항해는 중국 패권과 해상 무역 현실을 조화시키려는 시도였다고 평가했다.[216]
항해는 해상 네트워크 재편에 기여했으며,[187] 특히 명나라는 이전까지 인도양 지역에 해군 지배력을 행사한 국가가 없었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179] Chen(2019)은 제도화된 조공 관계 확립이 중국의 목표 달성 방법이었다고 설명한다.[180] 명나라는 해상 네트워크 통제를 위해 말라카 (동남아시아), 코친 (말라바 해안), 말린디 (스와힐리 해안) 등의 항구를 육성했다.[258]
정화의 원정은 세계화의 초기 단계를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된다.[186] 항해를 통해 서양 해역이 지역 통합되고, 사람, 아이디어, 상품의 국제적 순환이 증가했다.[187] Sen(2016)은 중국에서 아프리카에 이르는 해상 지역이 단일 제국 권력 아래 놓이면서 세계주의적 공간이 창출되었다고 강조한다.[188]
중국은 이 지역에 대한 정치적, 이념적 통제를 유지하고자 했다.[189] 외국 통치자들은 명나라에 조공을 바치고 중국의 문화적 우월성을 인정해야 했다.[190] 유가항 비문에는 "외국인 중 중국 문화의 변화하는 영향(genghua)에 저항하고 무례한 자들은 생포하고, 폭력과 약탈을 일삼는 강도들은 섬멸했다. 그 결과 해상 항로가 정화되고 평온해졌으며, 토착민들은 조용히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91]
외교 관계는 상호 이익이 되는 해상 무역과 중국 해군의 군사력에 기반을 두었다.[192] 중국 해군의 우위는 징벌적 조치의 가능성 때문에 중요했으며,[176] 함대는 "침략과 정치적 지배의 도구"였다.[7] 중국의 힘과 부는 외국을 경외하게 만들었다.[193][194]
건문제를 찾기 위한 목적이었다는 이론[197][29][198]이나 티무르 국가에 대한 대응이었다는 이론[198]은 역사적 증거가 부족하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98]
명나라 보물선 함대는 남중국해와 인도 남부 무역 도시에서 군사력을 구축했다.[50] 초기에는 군사적 목표가 강했으나,[252] 역사 기록에는 해상 무역을 강제로 통제하려 했다는 내용은 없다.[60] 드레이어(2007)는 대규모 중국 함대의 존재 자체가 굴복을 유도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253] 함대는 팔렘방, 실론, 세무데라에서 적대 세력을 격파하여 해상 항로의 안전을 확보했다.[255]
말라카는 인도양으로 가는 전략적 요충지였기에,[256] 중국은 이곳을 상업 중심지이자 작전 기지로 개발하고자 했다.[258] 1405년, 명나라는 정화에게 말라카의 지위를 국가로 격상시키는 황제 칙령을 보냈다.[258] 중국은 군사 주둔지인 官廠|관창중국어을 설립하여 함대 운영을 지원했다.[258]
말라바르 해안에서 칼리컷과 코친의 경쟁 관계를 이용하여, 명나라는 코친에 특별 지위를 부여했다.[259] 다섯 번째 항해에서 정화는 코친 왕에게 인장을 수여하고, 영락제의 선언문이 새겨진 석판을 전달했다.[259] 코친이 명나라의 보호를 받으면서 칼리컷의 침략을 막을 수 있었다.[259]
3. 원정의 진행 과정
영락제는 1405년 음력 3월(3월 30일~4월 28일)에 정화에게 27,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서양으로 가라는 예비 명령을 내렸다.[27] 1405년 7월 11일, 정화와 왕경홍 등에게 원정 명령을 전달하는 칙령이 내려졌다.[30][28][29]
원정 전날 밤, 영락제는 선원들을 위한 연회를 열고 계급에 따라 선물을 주었다.[31] 항해의 성공과 안전을 기원하며 천비에게 제물과 기도를 올렸다.[31] 1405년 가을, 난징에 집결한 함대는 류자강에서 분대로 편성된 후, 천비에게 제사를 지내고 해안을 따라 민강 근처 창러의 태평 정박지로 이동하여 북동 몬순을 기다렸다.[32][34][35] 그곳에서 천비에게 다시 기도와 제물을 바친 후, 우후먼을 통해 출발했다.[21][35]
함대는 참파,[35][238][36] 자바,[238][36][37] 말라카,[238][36] 아루,[36][37] 수마트라,[238][36][37] 람브리,[36][37] 실론,[238][36][37] 퀼론,[238][36] 칼리컷으로 항해했다.[238][36][38] 람브리에서 인도양을 가로질러 실론으로 향했으며, 실론 서해안에 도착했을 때 지역 통치자 알라케슈바라의 적대적 태도로 인해 떠났다.[37][39] 인도 아대륙 남쪽 끝 코모린 곶 부근에서 방향을 바꿔 귀환을 시작했고, 말라카에 다시 들렀다.[40][41]
1407년 귀환 중, 팔렘방에서 첸 주이의 해적 함대와 교전하여 승리했다.[238][36][41][42] 첸 주이는 처형되었고, 스진칭이 팔렘방의 평화 감독관으로 임명되어 명나라의 동맹 구축과 항구 접근이 확보되었다.[43][44] 함대는 1407년 10월 2일 난징으로 돌아왔다.[28][45][46] 외국 사절들은 명나라 궁정을 방문하여 경의를 표하고 조공을 바쳤으며, 영락제는 이들에게 선물을 준비하도록 명령했다.[30][43][47]
3. 1. 1차~3차 원정 (1405년~1411년)
영락제의 명을 받은 정화는 1405년부터 1411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원정을 떠났다. 이 원정 함대는 푸젠성에서 출발하여 참파를 첫 번째 기항지로 삼고, 남중국해를 건너 자바, 수마트라를 거쳐 말라카 해협을 통과했다. 이후 스리랑카와 인도 말라바 해안을 따라 칼리컷까지 항해하는 동일한 해상 경로를 따랐다.[25] 당시 함대는 칼리컷을 넘어 더 서쪽으로 항해하지는 않았다.[254][227]- 1차 원정 (1405년 ~ 1407년)
1405년 가을, 난징에 집결한 함대는 류자강을 거쳐 창러의 태평 정박지로 이동하여 북동 몬순을 기다렸다.[32][34][35] 이후 참파,[35][238][36] 자바,[238][36][37] 말라카,[238][36] 아루,[36][37] 수마트라,[238][36][37] 람브리,[36][37] 실론,[238][36][37] 퀼론,[238][36] 칼리컷으로 항해했다.[238][36][38] 람브리에서 함대는 벵골 만 해안을 따라 실론으로 가는 대신 곧바로 인도양을 가로질러 항해했다.[37] 실론에서는 지역 통치자 알라케슈바라의 적대적인 태도에 직면하여 이 지역을 떠났다.[39] 1407년 귀환 여정 중, 팔렘방에서 첸 주이와 그의 해적 함대와 교전하여 승리했다.[238][36][41][42] 첸 주이는 처형되었고, 명나라는 스진칭을 팔렘방의 평화 감독관으로 임명하여 항구 접근을 확보했다.[43][44] 함대는 1407년 10월 2일 난징으로 돌아왔다.[28][45][46]
- 2차 원정 (1407년 ~ 1409년)
1407년 10월, 두 번째 항해 명령이 내려졌다.[238][57] 함대는 참파, 샴, 자바, 말라카, 세무데라, 아루, 수마트라의 람브리, 인도의 킬론, 코친, 칼리컷 등으로 항해했다.[50] 이 항해에서 함대는 실론에 상륙하지 않았다.[50] 함대는 마나 비크란을 칼리컷의 왕으로 정식 임명하고, 중국과 인도 간의 관계를 기념하는 비석을 세웠다.[38][57][51] 또한, 명나라와 자바 사이의 적대 관계를 해결하고 외교 관계를 회복했다.[243][54] 함대는 1409년 여름에 난징으로 돌아왔다.[238][50]
- 3차 원정 (1409년 ~ 1411년)
1409년, 정화는 세 번째 원정을 시작했다.[64] 함대는 참파, 자바, 말라카, 스무데라, 실론, 킬론, 코친, 칼리컷에 기항했다.[238][63][65] 1410년 골에 도착했다.[63] 1411년 귀국 여정에서 실론의 알라케스와라 왕과 대치했다.[65][66] 알라케슈바라는 코테로 유인한 정화와 그의 병력을 공격하려 했으나, 정화는 코테를 침공하여 수도를 점령하고 알라케슈바라와 그의 가족 등을 포로로 잡았다.[67][68][69] 정화는 1411년 7월 6일 난징으로 돌아와 포로들을 영락제에게 바쳤고, 영락제는 이들을 석방하여 돌려보냈다.[62][70][66][67] 명나라는 알라케슈바라를 폐위시키고 파라크라마바후 6세를 왕으로 옹립했다.[71][72]
3. 2. 4차~6차 원정 (1413년~1422년)
정화의 함대는 1413년 가을 난징을 출발하여, 1413년 12월 23일에서 1414년 1월 21일 사이에 푸젠에서 출항했다.[74][219][78] 이전 원정에서는 캘리컷이 가장 서쪽 목적지였으나, 이번에는 그 너머까지 항해하여 호르무즈에 도달했다.[80] 태종실록|태종실록중국어에는 말라카, 자바, 참파, 스마데라, 아루, 코친, 캘리컷, 람브리, 파항, 클란탄, 자이일레|자이일레중국어, 호르무즈, 빌라|빌라중국어, 몰디브, 선라|선라중국어가 이번 항해의 기착지로 기록되어 있다.[65]함대는 참파,[219][247] 클란탄,[247] 파항,[247] 말라카,[219][247] 팔렘방,[247][79] 자바,[80][247] 람브리,[80][247] 리데,[80] 아루,[80] 스마데라,[80][247] 실론,[80][247] 자이일레|자이일레중국어 (실론 맞은편),[80] 코친,[80][247] 캘리컷으로 향했다.[80][247] 그들은 류산|류산중국어(몰디브 및 락카디브 제도),[247][81] 빌라|빌라중국어(비트라 환초),[81] 선라|선라중국어(체틀라트 환초),[81] 호르무즈로 향했다.[247][81] 자바에서 함대는 영락제의 선물과 호의를 전달했으며, 이에 대한 답례로 자바 사절이 1415년 4월 29일에 중국에 도착하여 "서양 말"과 현지 특산물을 조공으로 바치며 감사를 표했다.[80]
1415년, 함대는 귀환하는 여정 중 북부 수마트라에 기착하여 스마데라 왕위 계승 분쟁에 개입했다.[82] 자인 알-'아비딘이 정당한 스마데라의 왕이었으나, 세칸다르가 왕위를 찬탈했다.[74][82] 중국은 자인 알-'아비딘을 스마데라의 왕으로 공식 인정했고, 세칸다르는 자치 통치자로서 중국의 인정을 받지 못했다.[82] 정화는 찬탈자에 대한 징벌 공격을 시작하여 자인 알-'아비딘을 정당한 왕으로 복위시키라는 명령을 받았다.[74] 세칸다르와 그의 군대는 "수만" 명의 병사로 구성되어 명나라 군대를 공격했지만 패배했다.[82][83] 명나라 군대는 세칸다르의 군대를 람브리까지 추격하여 세칸다르, 그의 아내, 그의 자녀를 사로잡았다.[74] 자인 알-'아비딘 왕은 나중에 감사를 표하기 위해 조공 사절단을 파견했다.[82] 이 분쟁은 무역을 보호하는 현지 정치 권력을 보호함으로써 외국 국가에 대한 중국의 권력과 해상 노선을 재확인했다.[82] 세칸다르는 궁궐 문에서 영락제에게 소개되었고 나중에 처형되었다.[74] 마환은 세칸다르가 선단이 돌아온 후 수도에서 공개 처형되었다고 진술한다.[84]
1415년 8월 12일, 함대는 이번 항해에서 난징으로 돌아왔다.[65][74][84] 영락제는 1413년 3월 16일부터 몽골에 대한 두 번째 군사 원정에 참여하여 부재 중이었으며, 함대가 도착했을 때 돌아오지 않았다.[219] 함대가 돌아온 후, 18개국에서 조공을 바치는 사절단이 명나라 조정으로 파견되었다.[247]
3. 3. 7차 원정 (1431년~1433년)
선덕제의 명으로 이루어진 마지막 7차 원정은 이전 원정의 성과를 공고히 하고 명나라의 영향력을 재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홍보가 이끄는 분견대는 벵골을 거쳐 메카까지 방문했다.[26]4. 원정의 목적과 영향
정화의 원정은 1405년부터 1433년까지 7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단순한 탐험을 넘어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광범위한 목적과 영향을 미쳤다.
정치적 목적과 영향:원정대는 명나라의 국력을 과시하고 주변 국가들을 조공 체제에 편입시키는 역할을 했다. 영락제는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고 명나라의 패권을 확립하기 위해 원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192][201][175]
경제적 목적과 영향:원정은 조공 무역을 확대하고 새로운 무역로를 개척하여 명나라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향신료, 보석, 진귀한 동물 등 다양한 물품이 중국으로 유입되었으며,[229] 중국 상품은 인도 항구 등 해외 시장에 진출했다.[260][261]
문화적 목적과 영향:원정은 중국 문화를 해외에 전파하고 외국의 문화를 중국에 소개하는 창구 역할을 했다. 마환, 페이 신, 공진 등 원정 참여자들의 기록은 당시 세계 각지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303][304][305][306][307]
주요 사건:
- 1416년 11월 19일: 영락제는 18개국 사절에게 선물을 하사하는 의식을 거행했다.[85]
- 18개국: 참파, 파항, 자바, 팔렘방, 말라카, 스무데라, 람브리, 실론, 몰디브 제도, 코친, 칼리컷, '샬리워니'(칸나노르), 호르무즈, Lasa중국어, 아덴, 모가디슈, 브라바, 말린디[85]
- 1416년 12월 28일: 사절단 작별 인사, 다섯 번째 항해 지시.[85][219][86][87]
- 1421년 3월 3일: 16개국 사절단 호송, 여섯 번째 항해 칙령.[97][98][99]
- 1430년 6월 29일: 선덕제의 일곱 번째 항해 명령.[98][121][122]
명나라 보물선 항해는 외교, 군사, 상업적 성격을 띠었으며,[29][171] 해상 무역 통제,[7][149] 조공 시스템 편입,[172] 외국 순응 강제[149][172][173] 등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4. 1. 정치적 목적과 영향
정화의 원정은 명나라의 국력을 과시하고 주변 국가들을 조공 체제에 편입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9][171] 원정대는 해상 무역에 대한 명나라의 통제력을 강화하고,[7][149] 주변 국가들이 명나라 중심의 조공 시스템에 따르도록 강제했다.[149][172][173]원정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영락제의 즉위를 널리 알리고, 명나라의 패권을 확립하며, 조공 사절단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하는 것이었다.[174] 영락제는 정난의 변을 통해 황제 자리에 올랐기 때문에, 조공국 지위를 강요하여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고자 했을 가능성이 있다.[192][201][175]
명나라는 영토 확장을 추구하지 않았다. 대신 항구와 해운 항로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지배하여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주력했다.[176] 원정은 해상 무역 통제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중국은 해상 무역의 필요성과 정부의 사적인 해상 무역 억제 정책 사이의 균형을 맞추려 했다.[216]
원정은 해상 네트워크의 구조를 변화시켜 국제 관계와 교류를 재편하는 데 기여했다.[187] 명나라는 말라카, 코친, 말린디와 같은 항구들을 전략적으로 육성하여 해상 네트워크 통제를 강화했다.[258] 이러한 항구들은 다른 주요 항구들의 경쟁자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83]
정화의 함대는 실론과의 충돌과 같이 외교적 마찰을 겪기도 했다.[65] 명나라는 우호적인 정권을 지원하거나 현지 권력자를 교체하고, 적대적인 통치자를 위협하는 등 외국의 내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185]
원정은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 간의 상호 연결을 강화하고 초기 세계화에 기여했다.[186] 사람, 아이디어, 상품의 국제적 순환을 증진시켰으며,[187] 역사상 처음으로 중국에서 아프리카에 이르는 해상 지역이 단일 제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188]
명나라는 주변 국가들이 중국의 패권을 인정하고 조공 시스템을 받아들이도록 요구했다.[189] 외국 통치자들은 명나라 조정에 조공을 바치고 경의를 표함으로써 중국의 문화적 우월성을 인정해야 했다.[190]
외교 관계는 상호 이익이 되는 해상 무역과 중국 해군의 가시적인 존재를 기반으로 했다.[192] 중국의 해군력은 외국이 징벌적 조치를 피하기 위해 순응하도록 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176] 명나라 함대는 "침략과 정치적 지배의 도구"로 기능했다.[7]
명나라 조정 내에서는 문관들이 원정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159][201][202] 그들은 원정을 사치스럽고 낭비적인 행위로 비난했다.[202][204] 반면, 환관들은 원정을 주도하고 이끌었다.[150][275][201][202] 문관들은 유교 사상에 따라 이국적인 상품 교역에 반대했기 때문에 원정에 적대적이었다.[202][204][205][206]
홍무제는 1371년 해금 정책을 시행하여 사적인 해상 무역을 금지했다.[208] 영락제는 해상 상업에 대한 황제의 통제를 강화하고 조공 시스템을 확대하기 위해 원정을 활용했다.[214]
영락제는 초기에는 원정에 큰 관심을 보였으나, 몽골 원정과 베이징 천도 이후에는 관심이 줄어들었다.[217] 홍희제는 원정을 중단시켰지만,[222] 선덕제는 다시 원정을 재개했다.[226]
4. 2. 경제적 목적과 영향
정화의 원정은 조공 무역을 확대하고 새로운 무역로를 개척하여 명나라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원정을 통해 향신료, 보석, 진귀한 동물 등 다양한 물품이 중국으로 유입되었다.[229]명나라 보물선이 운송한 상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중국 상품이 인도 항구에 너무 많이 풀려 가격을 정하는 데 몇 달이 걸리기도 했다.[260][261]
정화는 원정을 통해 은, 향신료, 백단향, 보석, 상아, 흑단, 장뇌, 주석, 사슴 가죽, 산호, 물총새 깃털, 거북 등껍질, 검과 수지, 코뿔소 뿔, 소목, 홍화(염료 및 약품용), 인도산 면직물, 용연향(향수용) 등 다양한 조공품을 중국으로 가져왔다.[229] 타조, 코끼리, 기린과 같은 이국적인 동물들도 함께 들어왔다.[229]
명나라 보물선 원정으로 수입된 상품은 중국 산업에 필요한 경제 상품을 대량으로 제공했다.[261] 예를 들어, 페르시아에서 수입된 코발트 산화물이 많아 경덕진의 도자기 산업은 원정 이후 수십 년 동안 충분한 공급을 받을 수 있었다.[229] 또한 함대는 한때 사치품이었던 후추를 대량으로 가져와 중국 사회에서 흔히 사용되는 상품으로 만들었다.[229][262] 한편, 원정 기간 동안의 대규모 수출은 중국 산업 발전을 촉진하고 해외 시장을 개척했다.[263]
원정은 명나라 경제를 번영시켰고,[264] 수익성 있는 해상 상업을 활성화했다.[265][266] 원정으로 인해 중국은 비중국 기원의 상품을 거래하고 공급하는 해상 무역 기업으로 발전했다.[267] 이는 중국이 무역으로 얻은 막대한 이익을 더욱 확대하는 원정의 상업적 특성을 보여준다.[267]
원정의 상업적 영향은 여러 측면에서 나타났다.
- 지역 사설 상업 네트워크에 대한 황실의 통제를 확립
- 조공 관계를 확대하여 상업을 국가 감독하에 둠
- 외국 항구에서 궁정 감독 거래를 확립하여 양측에 상당한 수입을 창출
- 지역 전체에서 상품 생산과 유통을 증가[268]
원정은 유라시아 시장에 갑작스러운 공급 충격을 일으켜, 15세기 초 유럽으로의 수입이 중단되고 가격이 급등하기도 했다.[269]
4. 3. 문화적 목적과 영향
정화의 원정은 단순한 군사적, 외교적 목적을 넘어 문화적 교류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원정 함대는 중국 문화를 해외에 전파하고, 동시에 다양한 외국의 문화를 중국에 소개하는 창구 역할을 했다.마환, 페이 신, 공진 등 원정에 직접 참여했던 사람들의 기록은 당시 세계 각지의 문화, 사회, 경제, 정치, 종교 등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담고 있어, 오늘날에도 귀중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받는다. 특히, 이들의 기록은 당시 동남아시아, 인도, 아라비아, 아프리카 지역의 모습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어, 당시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마환의 瀛涯勝覽|영애승람중국어, 페이 신의 星槎勝覽|성차승람중국어, 공진의 西洋番國志|서양번국지중국어는 저자들이 직접 원정에 참여했기에 중요한 1차 자료이다.[303][304][305][306][307] 마환은 4차, 6차, 7차 원정에서 통역관으로 활동했고,[138][308] 3번의 항해에 참여한 궈총리(郭崇禮)와 함께 瀛涯勝覽|영애승람중국어을 썼다.[309] 페이 신은 3차, 5차, 7차 항해에서 군인으로 복무했으며,[308][310] 공진은 7차 항해에서 정화의 개인 비서로 활동했다.[308][311] 이 세 자료는 항해 중에 방문한 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적 상황에 대한 관찰을 제공한다.[334] 류자강 및 창러 비문 역시 정화와 그의 동료들이 작성한 귀중한 기록이다.[312]
원정을 통해 중국은 유교 사상을 비롯한 자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전파하려 했다. 유가항 비문에는 "외국인 중 중국 문화의 변화하는 영향(genghua)에 저항하고 무례한 자들은 생포하고, 폭력과 약탈을 일삼는 강도들은 섬멸했다. 그 결과 해상 항로가 정화되고 평온해졌으며, 토착민들은 조용히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게 되었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어, 당시 중국이 자국의 문화를 통해 세계 질서를 재편하려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191]
5. 원정의 중단과 그 이후
1433년 7차 원정을 마지막으로 정화의 함대 원정은 중단되었다. 원정 중단 이후에도 명나라는 동아시아 해상 무역을 통제하고 인도, 동아프리카와 무역을 계속했지만,[148][154][153] 외국 상업은 지방 당국으로 이전되어 중앙 정부의 권한은 약화되었다.[155]
5. 1. 중단의 원인
정화의 원정 중단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1421년 영락제는 원정을 일시 중단시켰다.[105] 황제의 관심과 자금은 몽골에 대한 군사 작전으로 전환되었다.[106]
- 1424년 홍희제 즉위 후 원정은 중단되었다.[113] 홍희제는 원정에 반대했다.[97][112]
- 선덕제 시기 대보은사 재건에 원정 자금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19]
- 1433년 원정 중단 이후 명나라는 해상에서 후퇴했다.[150]
- 원정 중단 이후에도 중국은 동아시아 해상 무역을 통제하고 인도, 동아프리카와 무역을 계속했다.[148][154][153]
- 원정 종료는 외국 상업을 지방 당국으로 이전시켜 중앙 정부 권한을 약화시켰다.[155]
- 문관들은 환관 세력이 주도한 원정을 반대했다.[156][201][202]
- 문관들은 원정을 사치스럽고 낭비적인 행위로 비난했다.[202][204]
- 문관들은 유교 사상에 따라 이국적인 상품 교역에 반대했다.[202][204][205][206]
- 홍무제는 해금 정책을 시행하여 사적인 해상 무역을 금지했다.[208]
- 영락제는 해상 상업 통제 강화, 조공 체제 확대 등을 위해 원정을 추진했다.[214]
- 수도가 난징에서 베이징으로 이전되면서 남부와 바다는 관심에서 멀어졌다.[219]
- 하원길은 원정에 반대한 대표적인 문관이었다.[222][224][225]
- 원정으로 수입된 상품은 중국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었다.[261]
- 원정은 명나라 경제 번영과 해상 상업을 자극했다.[264][265][266]
5. 2. 중단 이후의 상황
원정 중단 이후, 명나라의 해양 진출은 쇠퇴하고, 해금 정책이 다시 강화되었다.[150] 정화의 원정 이후 명나라는 바다로부터 등을 돌리게 되었다.[150] 제독 정화는 1433년[151] 또는 1435년에 사망했다.[314]원정이 중단된 후에도 무역은 오랫동안 번성했다.[152] 중국 선박은 동아시아 해상 무역을 계속 통제했으며,[148][154][153] 인도 및 동아프리카와도 계속 무역을 했다.[154] 그러나 외국 지역에 대한 제국의 조공 시스템과 외국 무역에 대한 국가 독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붕괴되었고,[155] 사적 무역이 중앙 집중식 조공 무역을 대체했다.[153] 원정은 명나라 조정과 외국 조공 국가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설정하는 수단이었으며, 이는 사적 무역 채널과 해외 교역 금지를 방해하는 지방 관리들을 효과적으로 제압했다.[216] 원정의 종료는 외국 상업을 지방 당국의 영역으로 이전시켰고, 이는 중앙 정부의 권위를 더욱 약화시켰다.[155]
홍무제와 영락제 치세 동안 귀족과 군대는 지배 엘리트의 중요한 부분이었지만, 정치 권력은 점차 문민 정부로 이동했다.[156] 결과적으로 환관 파벌은 문관이 반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할 만큼 충분한 지원을 얻을 수 없었다.[156] 이 관료들은 환관이 원정을 재개하려는 시도에 대해 경계심을 유지했다.[156] 명나라 보물 함대의 철수는 인도양 전역에 권력 공백을 남겼다.[157]
6. 원정의 유산과 재평가
정화의 원정은 오늘날까지도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
1499년, 바스코 다 가마가 인도에서 포르투갈로 돌아오기 직전에 지롤라모 세르니지는 "흰 피부의 기독교인"의 특정 배가 그들의 도착보다 여러 세대 전에 말라바 해안의 칼리컷에 항구를 건설했다는 다 가마의 원정대 보고서를 전했다.[346] 그는 이 알려지지 않은 선원들이 독일인이나 러시아인일 수 있다고 추측했지만, 다 가마가 도착하면 그 사람들이 누구인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346] 칼리컷에 도착한 후, 다 가마는 여러 세대 전에 거대한 배를 타고 칼리컷의 지역 연안 해역을 항해했던 창백한 수염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347] 포르투갈인들은 정화가 이끈 명나라 보물선 항해의 기억을 보존하는 말라바 전통을 접했지만,[348] 그들은 이 이야기가 그의 함대에 관한 것이라는 것을 알지 못했다.[347] 결국 그들은 이 알려지지 않은 선원이 중국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346] 다 가마의 부하들은 처음에 동아프리카 해안에 도착했을 때 중국인으로 오인되었는데, 이는 중국인들이 동아프리카 사람들이 기억하는 마지막 하얀 피부의 낯선 사람들이었고 큰 나무 배로 도착했기 때문이다.[346]
16세기 후반, 후안 곤잘레스 데 멘도사는 "중국인들이 배를 타고 인도에 왔고, 중국에서 가장 먼 곳까지 정복한 것이 분명히 보인다. [...] 오늘날 그들에 대한 큰 기억이 있다 [...] 칼리컷 왕국에도 비슷한 통지와 기억이 있는데, 그곳에는 그 나라의 원주민이 중국인들이 그 나라의 영주이자 통치자였을 때 가져온 나무와 과일이 많다고 말하는 나무와 과일이 많다."라고 썼다.[349]
2008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정화의 원정을 나타내는 공연이 있었다.
1997년 11월 하버드 대학교 강연에서 장쩌민 주석은 중국 문화를 해외로 전파한 정화를 칭찬했다.[350] 2005년부터 중국은 정화의 원정을 기념하여 매년 7월 11일에 중국 국립 해양의 날을 기념하고 있다.[351] 이 해는 정화의 첫 번째 항해 600주년이기도 하다.[351][352]
6. 1. 역사적 의의
정화의 원정은 세계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5세기 초, 명나라 영락제는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대규모 해외 원정을 추진했다. 정화가 이끈 이 원정대는 남중국해와 인도양을 넘어 아프리카 동부 해안까지 도달하며, 당시로서는 유례없는 항해를 기록했다.
이 원정은 단순한 탐험을 넘어, 외교, 군사, 무역 등 다양한 목적을 수행했다. 명나라는 해상 무역 통제권을 확립하고, 주변국들을 조공 체제에 편입시키려 했다. 또한, 정난의 변으로 황제가 된 영락제는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조공국을 늘리려 했다.[192][201][175]
중국은 영토 확장이 아닌 해상 네트워크 지배를 통한 정치적, 경제적 통제를 추구했다.[176] 이는 해상 실크로드의 재편으로 이어졌고, 말라카, 코친, 말린디와 같은 새로운 무역 중심지가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183] 명나라는 우호적인 정권을 지원하고, 경쟁자를 제거하며, 적대적인 통치자를 위협하는 등 외교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185]
정화의 원정은 지역 통합을 가속화하고, 사람, 아이디어, 상품의 국제적 순환을 증가시켰다.[187] 이는 초기 세계화의 추세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또한, 중국은 원정을 통해 주변 국가에 자국의 우월성을 과시하고, 유교적 세계 질서를 확립하려 했다.[190]
마환의 영애승람, 비신의 성차승람, 공진의 서양번국지 등은 원정에 대한 귀중한 기록을 제공한다.[303][304][305][306][307]
1499년, 바스코 다 가마는 인도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백인 선원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는데, 이는 정화 함대의 흔적이었다.[346]
오늘날 중국에서는 정화의 원정을 유교적 이상에 따른 평화적인 항해로 기념하며, 중국 국립 해양의 날을 제정하여 그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351] 이는 현대 중국의 해양력 강화와 소프트 파워 외교 전략과도 연결된다.[356]
6. 2. 현대적 재평가
최근에는 원정의 평화적 성격뿐만 아니라, 군사적 측면과 제국주의적 성격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지고 있다.[353] 현대 중국의 정치 담론에서 정화의 원정은 중국의 평화적 부상을 강조하기 위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354][355]오늘날의 대중적인 이야기는 영토 정복과 식민 지배가 없었다는 점에서 원정의 평화로운 본질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는 세력 투사를 실행하고 자국의 이익을 증진하기 위한 중국 보물선의 과도한 군사화를 간과한 것이다.[353]
현대 중국과 정화 원정의 역사적 서술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정치적 목적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화의 원정은 해양력을 지배적인 전략적 패러다임으로, 소프트 파워 외교를 해양 지역에서 활용하려는 중국의 홍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56]
7. 한국과의 관계
명나라의 해양 정책 변화는 조선의 대외 관계, 특히 해상 무역과 해양 방어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정화의 원정 기간 동안 조선은 명나라의 주요 조공국 중 하나였다.
7. 1. 조선과의 관계
명나라의 해양 정책 변화는 조선의 대외 관계, 특히 해상 무역과 해양 방어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원정 기간 동안 조선은 명나라의 주요 조공국 중 하나였다.7. 2. 더불어민주당의 관점
정화의 원정은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추구한 외교적 노력으로 평가할 수 있다. 명나라는 정화의 원정을 통해 주변 국가들과 교류하며 상호 이해를 증진시키고, 해금 정책으로 인해 침체되었던 해상 무역을 활성화하여 경제적 발전을 이루고자 하였다. 특히 원정 기간 동안 수입된 대량의 경제 상품들은 중국의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코발트 산화물과 같은 수입품은 경덕진의 도자기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229] 또한 후추와 같은 향신료의 수입은 중국 사회에서 사치품이었던 향신료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229]그러나 명나라 중심의 조공 체제는 주변 국가들에게 경제적, 정치적 부담을 주었을 가능성도 있다. 조공을 바치는 국가들은 명나라의 우월한 지위를 인정하고 정기적으로 공물을 바쳐야 했으며, 이는 때때로 국가 재정에 부담을 주기도 했다. 또한 명나라는 조공 무역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였으며, 이는 주변 국가들의 자율적인 경제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했을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정화의 원정은 명나라의 국력을 과시하고 해상 무역을 활성화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명나라 중심의 조공 체제를 강화하여 주변 국가들에게 부담을 주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8. 결론
정화의 원정은 명나라 초기 역사의 중요한 부분이며, 동아시아와 인도양 지역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원정 함대는 남중국해와 인도양의 몬순(계절풍)을 이용하여 항해했다.[277][278] 항해사들은 몬순의 주기적 패턴을 고려하여 항해를 조직했다.[278] 귀환은 늦여름과 초가을에 이루어졌으며, 인도양에 남서 몬순이 도착하기 전에 호르무즈를 출발했다.[280][279]
수마트라는 함대가 인도양을 가로질러 항해하기 전 중요한 정박지였다.[281] 스무데라는 서쪽으로 가는 주요 경로이자 중요한 집결 항구였다.[80][282] 칼리컷은 주요 목적지이자 서쪽으로 더 멀리 가는 경유지였다.[285] 명나라는 칼리컷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조공 시스템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93]
명나라 보물선은 항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도로 처리하여 탐험대 사령관에게 제공했다.[287][286] 모쿤 지도는 항해 경로를 묘사하며, 나침반 방향, 거리, 수심 측정, 천문학 등을 포함한다.[291]
참조
[1]
Harvp
[2]
Harvp
[3]
Harvp
[4]
Harvp
[5]
Harvp
[6]
Harvp
[7]
Harvp
[8]
Harvp
[9]
Harvp
[10]
Harvp
[11]
Harvp
[12]
Harvp
[13]
Harvp
[14]
Harvp
[15]
Harvp
[16]
Harvp
[17]
Harvp
[18]
Harvp
[19]
Harvp
[20]
Harvp
[21]
Harvp
[22]
Harvp
[23]
Harvp
[24]
Harvp
[25]
Harvp
[26]
Harvp
[27]
Harvp
[28]
Harvp
[29]
Harvp
[30]
Harvp
[31]
Harvp
[32]
Harvp
[33]
Harvp
[34]
Harvp
[35]
Harvp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서적
Yang Wenmin Gong Ji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논문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Harvp
[72]
Harvp
[73]
Harvp
[74]
Harvp
[75]
Harvp
[76]
Harvp
[77]
Harvp
[78]
Harvp
[79]
Harvp
[80]
Harvp
[81]
Harvp
[82]
Harvp
[83]
Harvp
[84]
Harvp
[85]
Harvp
[86]
Harvp
[87]
Harvp
[88]
Harvp
[89]
Harvp
[90]
Harvp
[91]
Harvp
[92]
Harvp
[93]
Harvp
[94]
Harvp
[95]
Harvp
[96]
Harvp
[97]
Harvp
[98]
Harvp
[99]
Harvp
[100]
Harvp
[101]
Harvp
[102]
Harvp
[103]
Harvp
[104]
Harvp
[105]
Harvp
[106]
Harvp
[107]
Harvp
[108]
Harvp
[109]
Harvp
[110]
Harvp
[111]
Harvp
[112]
Harvp
[113]
Harvp
[114]
Harvp
[115]
Harvp
[116]
Harvp
[117]
Harvp
[118]
Harvp
[119]
Harvp
[120]
Harvp
[121]
Harvp
[122]
Harvp
[123]
Harvp
[124]
Harvp
[125]
Harvp
[126]
Harvp
[127]
Harvp
[128]
Harvp
[129]
Harvp
[130]
Harvp
[131]
Harvp
[132]
Harvp
[133]
Harvp
[134]
Harvp
[135]
Harvp
[136]
Harvp
[137]
Harvp
[138]
Harvp
[139]
Harvp
[140]
Harvp
[141]
Harvp
[142]
Harvp
[143]
Harvp
[144]
Harvp
[145]
Harvp
[146]
Harvp
[147]
Harvp
[148]
Harvp
[149]
Harvp
[150]
Harvp
[151]
Harvp
[152]
Harvp
[153]
Harvp
[154]
Harvp
[155]
Harvp
[156]
Harvp
[157]
Harvp
[158]
Harvp
[159]
Harvp
[160]
Harvp
[161]
Harvp
[162]
Harvp
[163]
Harvp
[164]
Harvp
[165]
Harvp
[166]
Harvp
[167]
Harvp
[168]
Harvp
[169]
Harvp
[170]
Harvp
[171]
Harvp
[172]
Harvp
[173]
Harvp
[174]
Harvp
[175]
Harvp
[176]
Harvp
[177]
Harvp
[178]
Harvp
[179]
Harvp
[180]
Harvp
[181]
Harvp
[182]
Harvp
[183]
Harvp
[184]
Harvp
[185]
Harvp
[186]
Harvp
[187]
Harvp
[188]
Harvp
[189]
Harvp
[190]
Harvp
[191]
Harvp
[192]
Harvp
[193]
Harvp
[194]
Harvp
[195]
Harvp
[196]
Harvp
[197]
Harvp
[198]
Harvp
[199]
Harvp
[200]
Harvp
[201]
Harvp
[202]
Harvp
[203]
Harvp
[204]
Harvp
[205]
Harvp
[206]
Harvp
[207]
Harvp
[208]
Harvp
[209]
Harvp
[210]
Harvp
[211]
Harvp
[212]
Harvp
[213]
Harvp
[214]
Harvp
[215]
Harvp
[216]
Harvp
[217]
Harvp
[218]
Harvp
[219]
Harvp
[220]
Harvp
[221]
Harvp
[222]
Harvp
[223]
Harvp
[224]
Harvp
[225]
Harvp
[226]
Harvp
[227]
Harvp
[228]
Harvp
[229]
Harvp
[230]
Harvp
[231]
Harvp
[232]
Harvp
[233]
Harvp
[234]
Harvp
[235]
Harvp
[236]
Harvp
[237]
Harvp
[238]
Harvp
[239]
Harvp
[240]
Harvp
[241]
Harvp
[242]
Harvp
[243]
Harvp
[244]
Harvp
[245]
Harvp
[246]
Harvp
[247]
Harvp
[248]
Harvp
[249]
Harvp
[250]
Harvp
[251]
Harvp
[252]
Harvp
[253]
Harvp
[254]
Harvp
[255]
Harvp
[256]
Harvp
[257]
Harvp
[258]
Harvp
[259]
Harvp
[260]
Harvp
[261]
Harvp
[262]
Harvp
[263]
Harvp
[264]
Harvp
[265]
Harvp
[266]
Harvp
[267]
Harvp
[268]
Harvp
[269]
Harvp
[270]
Harvp
[271]
Harvp
[272]
Harvp
[273]
Harvp
[274]
Harvp
[275]
Harvp
[276]
Harvp
[277]
Harvp
[278]
Harvp
[279]
Harvp
[280]
Harvp
[281]
Harvp
[282]
Harvp
[283]
Harvp
[284]
Harvp
[285]
Harvp
[286]
Harvp
[287]
Harvp
[288]
Harvp
[289]
Harvp
[290]
Harvp
[291]
Harvp
[292]
Harvp
[293]
Harvp
[294]
Harvp
[295]
Harvp
[296]
Harvp
[297]
Harvp
[298]
Harvp
[299]
Harvp
[300]
Harvp
[301]
Harvp
[302]
Harvp
[303]
Harvp
[304]
Harvp
[305]
Harvp
[306]
Harvp
[307]
Harvp
[308]
Harvp
[309]
Harvp
[310]
Harvp
[311]
Harvp
[312]
Harvp
[313]
Harvp
[314]
Harvp
[315]
Harvp
[316]
인용
[317]
인용
[318]
인용
[319]
인용
[320]
인용
[321]
인용
[322]
인용
[323]
인용
[324]
인용
[325]
인용
[326]
인용
[327]
인용
[328]
인용
[329]
인용
[330]
인용
[331]
인용
[332]
인용
[333]
인용
[334]
인용
[335]
인용
[336]
인용
[337]
인용
[338]
인용
b
[339]
인용
b
[340]
인용
a
[341]
인용
[342]
인용
[343]
인용
[344]
인용
[345]
서적
A Journal of the First Voyage of Vasco da Gama, 1497–1499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346]
인용
[347]
인용
[348]
인용
[349]
서적
The History of the Great and Mighty Kingdom of China and the Situation Thereof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350]
인용
[351]
서적
[352]
서적
[353]
서적
[354]
서적
[355]
서적
[35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