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토 다 마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토 다 마르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해상 제국을 의미하며, 1000년경 달마티아 정복을 시작으로 1204년 제4차 십자군 원정으로 최대 규모에 달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토는 직접 통치하지 못했고, 오스만 제국의 팽창으로 인해 점차 축소되어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 멸망 당시에는 이스트리아, 달마티아, 이오니아 제도만 남았다. 주요 지배 지역으로는 이탈리아 북동부,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해안, 몬테네그로, 알바니아, 그리스, 키프로스, 에게 해 제도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치아의 역사 -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은 5세기부터 1797년까지 베네치아를 중심으로 존속하며 아드리아 해 무역으로 번성하고 강력한 해군력으로 동방 무역을 주도했으나 나폴레옹의 침공으로 멸망한 해상 공화국이다. - 베네치아의 역사 - 엔리코 단돌로
엔리코 단돌로는 고령과 실명에도 불구하고 제4차 십자군 원정을 이끌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 베네치아의 이익을 극대화한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이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 약탈을 묵인하여 비잔티움 제국의 문화유산을 파괴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식민제국 - 통가 제국
통가 제국은 10세기부터 19세기까지 폴리네시아에서 해군력을 바탕으로 번성하며 투발루, 피지, 사모아 일부 등 광대한 영토에 영향력을 미쳤으나, 왕조 교체와 외부 세력의 방문 이후 쇠퇴한 해양 제국이다. - 식민제국 - 제노바 식민지
제노바 식민지는 제노바 공화국이 지중해, 흑해, 서유럽 등에 건설했던 식민지들을 통칭하며, 십자군 원정 참여, 흑해 해협 장악 등을 통해 번성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확장으로 1742년 마지막 식민지가 멸망하며 종말을 맞이했다. - 십자군 국가 - 트리폴리 백국
트리폴리 백국은 1102년 레몽 4세가 트리폴리를 포위 공격하며 시작되어 1109년 수도로 삼았으며, 맘루크 왕조에 의해 1289년 멸망했다. - 십자군 국가 - 에데사 백국
에데사 백국은 1098년부터 1149년까지 존속한 십자군 국가로, 보두앵 1세가 건국하였으며 메소포타미아 북부에 위치해 다른 국가들과 떨어져 잦은 공격과 내분으로 1144년 함락되어 제2차 십자군의 계기가 되었다.
스타토 다 마르 | |
---|---|
명칭 | |
일반 명칭 | 스타토 다 마르 (Stato da Màr) |
베네치아어 명칭 | 스타토 다 마르 (Stato da Màr) |
번역 | 바다의 국가, 바다의 영토 |
개요 | |
국가 | 베네치아 공화국 |
구분 | 해외 식민지 |
시대 | 중세, 근세 |
존속 기간 | 992년경 – 1797년 |
시작 사건 | 피에트로 2세 오르세올로의 원정 |
주요 사건 | 제4차 십자군 (1202년–1204년) 제1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463년–1479년) 크레타 전쟁 (1645년–1669년) 모레아 전쟁 (1684년–1699년) 후기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714년–1718년) |
종료 사건 | 베네치아 공화국의 멸망 (1797년 5월 12일) |
역사 | |
이전 국가 | 달마티아 도시 국가 동로마 제국 키프로스 왕국 |
계승 국가 |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프랑스령 이오니아 제도 (1797년–1799년) |
설명 | |
별칭 | 바다의 영토 |
2. 역사
베네치아 공화국의 해양 제국인 스타토 다 마르는 1000년경 달마티아 정복으로 시작되어, 제4차 십자군 원정 이후 비잔틴 제국 분할로 최대 판도에 도달했다. 그러나 획득한 영토 대부분은 에피루스 전제공국, 니케아 제국, 트레비존드 제국 등 비잔틴 제국의 후계 국가들이 차지했고, 베네치아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비롯한 주요 거점을 곧 상실했다.[1]
14세기 후반, 키오자 전쟁에서 제노바 공화국을 꺾은 베네치아는 다시 세력을 확장했다. 코르푸 섬, 아르고스-나플리온, 티노스 섬, 미코노스 섬, 두라초, 알레시오, 슈코다, 드리바스트 등을 차례로 획득했다. 앙카라 전투로 오스만 제국이 약화되고 북이탈리아에 정치적 공백이 생긴 틈을 타 발칸반도 남부와 달마티아 지역에서 영토를 넓혀갔다.[2]
오스만 제국의 발칸 반도 진출로 스타토 다 마르는 점차 축소되었다. 수 세기 동안 아드리아 해 연안을 중심으로 유지되었던 스타토 다 마르는 베네치아 공화국 멸망 시점에는 이스트리아, 달마티아, 이오니아 제도만이 남아있었다.[1]
2. 1. 형성
베네치아의 해양 제국 건설은 1000년경 달마티아 정복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1204년 제4차 십자군이 끝나고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세 개의 섬 획득을 선언하면서 절정에 달했다.[1] 그러나 이 영토 대부분은 베네치아가 직접 통치하지 못했고, 그리스계 비잔티움 후계 국가(이피로스 전제공국, 니케아 제국, 트라페준타 제국)이 소유했으며, 나머지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재점령(1260년)한 니케아의 비잔티움 제국에게 곧 상실되었다.[1]14세기 후반 키오자 전쟁에서 승리한 후 베네치아는 다시 세력을 확장했다.[2] 1386년 코르푸 섬, 1388년 아르고스와 나플리오 (아르고스의 실효 지배는 1394년 이후), 1392년 알바니아 해안의 아드리아 해 항구인 두라초와 알레시오, 1396년 스쿠타리, 1397년 드리바스토를 획득했다.[2] 1402년 앙카라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큰 타격을 입고, 밀라노 공작 잔갈레아초 비스콘티의 사망으로 북부 이탈리아에 권력 공백이 생기자 베네치아는 이를 기회로 삼았다.[2] 1403년 갈리폴리 조약으로 발칸반도 남부의 상업적 발판을 마련한 후, 1407년 레판토, 1408년 파트라스, 1410년 나바리노, 1423년 테살로니카를 획득했다.[2]
달마티아에서는 자다르 조약 (1358년)에 의해 헝가리 왕국에 영토를 양도해야 했지만, 나폴리의 라디슬라오와 지기스문트 사이의 헝가리 왕위 쟁탈전을 이용하여 1409년 라디슬라오로부터 크레스, 라브, 파그, 자다르, 브라나, 노비그라드를 100000두카토에 양도받았다.[3]
2. 2. 확장
베네치아의 해양 제국 건설은 1000년경 달마티아 정복과 함께 시작되었고, 1204년 제4차 십자군 원정이 끝날 때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세 개의 섬 획득을 선언하면서 최고점에 도달했다. 그러나 이 영토 대부분은 베네치아가 지배하지 못했고, 그리스계 비잔티움 후계 국가(이피로스 전제공국, 니케아 제국, 트라페준타 제국)이 소유했으며, 나머지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재점령(1260년)한 니케아의 비잔티움 제국에게 곧 상실되었다.[1]14세기 후반 키오자 전쟁에서 제노바를 꺾은 베네치아는 다시 세력을 확장해 갔다. 1386년에 코르푸 섬, 1388년에 아르고스-나플리온(아르고스의 실효 지배는 1394년 이후), 1391년에 에게 해의 티노스 섬과 미코노스 섬, 1392년에 알바니아 연안의 두라초와 알레시오, 1396년에 슈코다, 1397년에 드리바스트를 획득했다.[1] 1402년, 앙카라 전투에서 동쪽의 오스만 제국이 큰 타격을 입었고, 서쪽에서는 밀라노 공작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가 사망하여 북이탈리아에 정치적 공백이 생겼다. 베네치아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1403년의 갈리폴리 조약으로 발칸 반도 남부에서의 상업적 발판을 마련한 후, 1407년에 레판토, 1408년에 파트라스, 1410년에 나바리노, 1423년에 테살로니카를 획득해 갔다.[1]
달마티아에 대해서는, 키오자 전쟁 후 1381년 토리노 조약에 의해 헝가리 왕국에 할양해야 했다. 그러나 헝가리에서 나폴리 왕 라디슬라오 1세와 룩셈부르크 가문의 지기스문트 간의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하여, 1409년 베네치아는 10만 두카토의 자금 지원과 교환으로 라디슬라오 1세로부터 자라, 크레스 섬, 오세로, 알베 섬, 파그 섬, 라우라나, 노비그라드, 그 외 달마티아 전토를 획득했다.[1] 1420년에는 프리울리 병합에도 성공했다.[1]
수 세기에 걸쳐 베네치아 공화국의 스타토 다 마르는 발칸 반도의 아드리아 해 연안을 중심으로 유지되었다. 17세기나 18세기의 지도에는 아드리아 해에 "베네치아의 바다"(Mare di Venezia)라는 별명이 적혀 있었다.[1]
그러나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 전역으로 세력을 확대해 감에 따라 스타토 다 마르는 잃어갔다. 1797년에 베네치아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게 정복되어 멸망했을 때, 남은 스타토 다 마르는 이스트리아, 달마티아, 이오니아 제도 뿐이었다.[1]
2. 3. 쇠퇴
오스만 제국의 압박으로 스타토 다 마르는 점차 쇠퇴하여 영토를 상실해갔다. 이스트리아, 달마티아, 케르키라섬, 이오니아 제도만이 남았으나, 1797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하면서 이마저도 잃게 되었다.아드리아해는 수 세기 동안 베네치아의 항해 지배 아래 있었으며, 17세기와 18세기 지도에는 "마레 디 베네치아"(Mare di Venezia, 베네치아의 바다)라고 표기되기도 했다. 15세기부터 베네치아 해외 제국의 역사는 오스만-베네치아 전쟁에 의해 좌우되었다. 베네치아는 많은 영토를 잃었지만, 때로는 1680년대 후반 펠로폰네소스와 달마티아 내륙 일부를 획득하기도 했다.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 멸망까지 유지된 나머지 해외 영토는 이스트라, 달마티아, 이오니아 제도였으며, 키테라와 안티키테라 동쪽에는 영토가 남아있지 않았다.[1]
3. 지배 지역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 지역은 크게 베네치아령 이스트리아, 베네치아령 달마티아, 베네치아령 알바니아, 베네치아령 이오니아 제도, 베네치아령 키프로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베네치아령 이스트리아: 오늘날 크로아티아의 이스트리아반도 지역이다. 12세기와 13세기에 베네치아는 공화국 멸망 시까지 이스트라에 대한 지배권을 점차적으로 확립했다.
- 베네치아령 달마티아: 오늘날 크로아티아의 달마티아와 내륙 지역의 소규모 영토를 포함한다. 1000년경 도제 피에트로 2세 오르세올로가 나렌티니를 격파하고 달마티아 도시 국가들이 베네치아의 지배를 인정하면서 베네치아의 해외 제국이 시작되었으며, 이로 인해 도제는 "달마티아 공작"이라고 칭하기도 했다. 그러나 달마티아에 대한 통제는 15세기 초까지 안정되지 않았다. 1409년 베네치아는 나폴리의 라디슬라오로부터 달마티아 영토를 양도받았다.
- 베네치아령 알바니아: 오늘날 몬테네그로의 코토르만과 내륙 지역 소규모 영토를 포함한다.
- 베네치아령 두라초: 오늘날 알바니아의 두러스 지역이다.
- 베네치아령 이오니아 제도: 칸디아 왕국과 오늘날 그리스 지역의 여러 지역을 포함한다.
- 베네치아령 키프로스: 키프로스섬을 의미하며, 1489년 베네치아가 획득하여 1570~1571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될 때까지 유지했다.
베네치아의 해외 영토는 1204년 제4차 십자군 이후 비잔틴 제국의 영토 일부를 획득하면서 최대 규모에 도달했다. 그러나 이 영토의 대부분은 베네치아가 실질적으로 통제하지 못했고, 그리스 비잔틴 후계 국가들이 차지했다. 베네치아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프랑코크라티아 시기 동안 이 지역에서 광범위한 역할을 했다.
14세기 후반 키오자 전쟁 이후 베네치아 제국은 다시 성장했다. 코르푸는 1386년 베네치아의 영구적인 지배하에 들어갔고, 아르고스, 나플리오, 두라초, 알레시오, 스쿠타리, 드리바스토 등이 14세기 말과 15세기 초에 베네치아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402년 앙카라 전투 이후 오스만 제국의 부상이 일시적으로 멈추고, 북부 이탈리아에 권력 공백이 생기면서 베네치아는 ''테라페르마 영토''를 확장할 수 있었다.
15세기부터 베네치아 해외 제국의 역사는 오스만-베네치아 전쟁에 의해 지배되었다. 베네치아는 많은 영토를 잃었지만, 때로는 펠로폰네소스와 달마티아 내륙 등 일부 영토를 획득하기도 했다. 1797년 나폴레옹 1세에 의해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할 때까지 베네치아의 나머지 해외 영토는 이스트라, 달마티아, 이오니아 제도에 있었다.
3. 1. 이탈리아 북동부,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토는 크게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 이스트라 반도 (베네치아령 이스트라): 현재 크로아티아에 속한다.
- 주요 도시: 트리에스테, 무자(무지아), 코페르(카포디스트리아), 이졸라(이솔라), 피란(피라노), 우마그(우마고), 모토분(몬토나 디스트리아), 노비그라드(치타노바 디스트리아), 포레치(파렌초), 로비니(로비뇨), 스베티 로브레치(산 로렌소 델 파세나데고/산 로렌초 델 파세나티코), 발레(발레/발레 디스트리아), 보드냔(디냐노), 풀라(폴라), 라빈(알보나) 및 플로민(피아노나), 파진(피시노)
- 통치 기간:
- 트리에스테: 1283–1287, 1368–1372, 1508–1509
- 무자: 1420–1797
- 코페르, 이졸라: 1145–1797
- 피란, 로비니: 1283–1797
- 우마그: 1269–1797
- 모토분: 1278–1797
- 노비그라드: 1270–1797
- 포레치: 1267–1797
- 스베티 로브레치: 1271–1797
- 발레: 1331–1797
- 보드냔: 1330–1797
- 풀라: 1145–1291, 1331–1797
- 라빈 및 플로민: 1420–1797
- 파진: 1508–1509
- 크바르네르 만 (''쿠아르나로''):
- 주요 도시 및 섬: 리에카(피우메), 크레스(케르소), 로시니 섬(루신/루시노), 크르크섬(베지아/베글리아), 라브섬(아르베), 파그섬(파고)
- 통치 기간:
- 리에카: 1508–1509
- 크레스, 로시니: 15세기–1797 (크레스는 크레타 전쟁 (1645–1669) 중 짧은 오스만 점령 기간 제외)
- 크르크섬: 1480–1797 (크레타 전쟁 (1645–1669) 중 짧은 오스만 점령 기간 제외)
- 라브섬: 1409–1797
- 파그섬: 1420–1797 (크레타 전쟁 (1645–1669) 중 짧은 오스만 점령 기간 제외)
- 달마티아 (베네치아령 달마티아): 현재 크로아티아에 속하며, 일부 내륙 지역을 포함한다.
- 주요 도시: 노비그라드(노베그라디), 닌(노나), 자다르(자라), 비오그라드(자라베치아/자라베키아), 브라나(아우라나 또는 라우라나 아라우조나), 우글란 섬(우글리아노), 두기 섬(이솔라 룽가 또는 이솔라 그로사), 시베니크(세베네고/세베니코), 트로기르(트라우), 스플리트(스팔라토), 클리스 요새(클리사), 오미슈(알미사), 비스섬(리사), 브라치섬(브라자/브라차), 마카르스카](마카르스카), 흐바르섬(렉시나/레시나), 코르출라섬(쿠르졸라), 오브로바츠(오브로바초), 벤코바츠(벤코바초), 스크라딘(스카르도나), 브르리카 (베르리카), 시니 (시뇨), 크닌 (테닌), 이모츠키 (이모스키), 브르고라츠 (베르고라츠/베르고라초), 메트코비치 (포르토 나렌타)
- 통치 기간:
- 노비그라드: 1409–1797 (1646–1647년 오스만 점령 제외)
- 닌: 1328–1358, 1409–1797
- 자다르: 998–1186, 1202–1358, 1409–1797
- 비오그라드: 11세기 초, 1115–1124, 1125, 1204년 이후, 1409–1797
- 브라나: 1409–1538, 1647, 1683–1797
- 우글란 섬, 두기 섬: 13세기–1358, 1409–1797
- 시베니크: 1116–1133, 1322–1358, 1412–1797
- 트로기르: 1125–1133, 1420–1797
- 스플리트: 998–1019, 1116–1117, 1118–1124, 1127–1141, 1420–1797
- 클리스 요새: 1648–1797
- 오미슈: 1444–1797
- 비스섬: 대략 1409–1797
- 브라치섬: 1268–1358, 1420–1797
- 마카르스카: 13세기–1326, 1646–1797
- 흐바르섬: 1331–1358, 1409–1797
- 코르출라섬: 1255–1358, 1409–1797
- 오브로바츠, 벤코바츠, 스크라딘, 브르리카, 시니: 1686–1797
- 크닌: 1647, 1688–1797
- 이모츠키: 1717–1797
- 브르고라츠: 1690–1797
- 메트코비치: 1685–1797
- 두브로브니크(라구사/라구사): 1000–1030, 1205–1358 (베네치아 공화국의 속령이었으나, 이후 라구사 공화국으로 독립)
3. 2. 몬테네그로, 알바니아

영토 | 베네치아 공화국령 기간 |
---|---|
헤르체그노비(Castelnuovo) | 1687년-1797년 |
리산(Risano) | 1688년-1797년 |
코토르(Càtaro/Cattaro)와 페라스트(Perasto) | 1420년-1797년 |
스베티 스테판(Santo Stefano) | 1423년-1797년 |
부드바(Budua)와 수토모레(Spizza) | 1420년-1797년 |
바르(Antivari) | 1443년-1571년 |
울친(Dulcigno) | 1405년-1571년 |
슈코더르(Scutari) | 1396년-1479년 |
드리슈트(Drivasto) | 1393년-1423년, 1442년-1478년 |
레저(Alessio) | 1386년-1478년, 1501년-1506년 |
두러스(Durazo/Durazzo) | 1205년-1213년, 1392년-1501년 |
블로러(Valona)와 카니네 성(Canina) | 1690년-1691년 |
부트린트(Butrinto) | 1350년, 1386년-1797년 |
베네치아령 알바니아 | 코토르만과 소규모 배후지, 현재 몬테네그로 |
3. 3. 이탈리아 남부
지역 | 기간 |
---|---|
트라니 | 1496년~1509년 |
몰라 디 바리 및 폴리냐노 아 마레 | 1495년~1509년, 1528년~1530년 |
모노폴리 | 1484년~1509년, 1528년~1530년 |
브린디시 및 오트란토 | 1496년~1509년 |
갈리폴리 | 1484년 |
3. 4. 그리스, 키프로스, 에게 해 제도


- 케르키라(코르푸)와 팍시 섬(파소): 1207–1214년, 1386–1797년
- 파르가(파르가): 1401–1797년 (오스만 제국에게 잠시 점령)
- 프레베자(프레베사): 1401–1463년, 1684–1699년, 1717–1797년
- 아르타(아르타): 1717–1797년
- 보니차(보니차): 1684–1797년
- 레프카다 섬(산타 마우라): 1684–1797년
- 케팔로니아(체팔로니아): 1500–1797년
- 이타카(이타카): 1503–1797년
- 자킨토스(잔테): 1479–1797년
- 나프팍토스(레판토): 1390년, 1407–1499년
- 암피사(살로나): 1687–1697년
- 펠로폰네소스(모레아): 15-16세기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기 전까지 다양한 전초 기지, 이후 1688–1715년 모레아 왕국으로 통치
:* 파트라(파트라소/파트라소): 1408–1430년, 1687–1715년
:* 필로스(나바리노): 1417–1501년, 1686–1715년
:* 메토니(모돈/모도네): 1207–1500년, 1686–1715년
:* 코로니(코론/코로네): 1207–1500년, 1685–1715년
:* 마니 반도(브라초 델라 마이나): 1487–1499년
:* 모넴바시아(말바시아): 1464–1540년, 1690–1715년
:* 아르고스(아르고): 1394–1462년, 1687–1715년
:* 나플리오(나폴리 디 로마니아): 1388–1540년, 1686–1715년
- 키테라(체리고)와 안티키테라 섬(체리고토): 1238–1715년, 1718–1797년
- 크레타, 칸디아 왕국:
:* 하니아(라 카네아): 약 1210–1263년, 1285–1645년
:* 레팀노(레티모): 약 1210–1646년
:* 시티아(시티아): 약 1210–1651년
:* 이라클리온(칸디아): 약 1210–1669년
:* 그람부사(그라부사): 약 1210–1691년
:* 수다 섬(수다)과 스피날롱가 섬(스피날롱가): 약 1210–1715년
- 도데카니소스 제도:
:* 카르파토스(스카르판토)와 카소스(카소): 1306–1538년
:* 할키(칼키): 1204년–?
:* 틸로스(피스코피)
:* 칼림노스(칼리모): 1207–1310년
:* 레로스(레로): 13세기–1309년
:* 파트모스(파트모): 1659–1669년
:* 아스티팔레아(스탐팔리아): 1207–1522년, 1648–1668년
- 키클라데스 제도, 대부분 군도 공국으로 소유:
:* 시로스(시로): 1207–1522년
:* 파로스(파로), 안티파로스(안티파로) 및 미코노스(미코노): 1207–1537년
:* 나크소스(나소), 밀로스(밀로), 폴레간드로스(폴리칸드로), 안드로스(안드로), 이오스(이오), 아모르고스(아모르고), 키몰로스(아르젠티에라), 시키노스(시칸드로): 1207–1566년
:* 산토리니(산토리니): 1207년–약 1280년, 1301–1576년
:* 키트노스(키트노) 및 시프노스(시판토): 1207–1617년
:* 티노스(티노): 1207–1715년
:* 스페체스(벨비나/스페치아): 1220–1460년
:* 이드라(이드라): 1204–1566년
:* 포로스, 메타나, 트로이젠(다말라), 에피다우로스(에피다우로): 1484–1715년
:* 에게나(에기나): 1451–1537년
- 아테네(아테네): 1394–1403년, 1687–1688년
- 에비아(네그로폰테): 1211–1470년
:* 프텔레오스: 1322–1470년
- 스포라데스 제도, 스키아토스(스키아토), 스코펠로스(스코펠로), 알로니소스(알로네소), 스키로스(스키로): 1207–1270년대, 1453–1538년
- 렘노스(렘노): 1464–1479년, 1656–1657년
- 사모트라케 (사모트라키아): 1204–1355년
- 테살로니키(살로니코/살로니코): 1423–1430년
- 겔리볼루 반도(갈리폴리)와 테키르다(로도스토): 1204–1235년
- 베이오을루(페라) 구역, 콘스탄티노플: 1204–1261년
- 괴크체아다(임브로): 1377–1462년
- 보즈자아다(테네도): 1377–1381년, ?–1455년, 1656–1657년
- 키프로스(시프로/치프로): 1489–1570년
:* 파마구스타(파마고스타): 1489–1571년
- 베네치아령 이스트리아: 이스트리아 반도 주변 (현재 크로아티아)
- 베네치아령 달마티아: 달마티아 및 일부 배후지 (현재 크로아티아)
- 베네치아령 알바니아: 코토르만과 소규모 배후지 (현재 몬테네그로)
- 베네치아령 이오니아 제도, 베네치아령 크레타, 기타 에게해 제도·제령 (현재 그리스)
- 베네치아령 키프로스: 구 키프로스 왕국 (현재 키프로스)
3. 5. 러시아
타나는 13세기에서 1332년까지 존속했던 지명이다.참조
[1]
웹사이트
Map of venetian forts & presence in the Stato da Mar of southern Balkans
http://www.romeartlo[...]
[2]
서적
La Méditerranée et le monde méditerranéen à l'époque de Philippe II, 1 : La part du milieu
Armand Colin
1949
[3]
웹사이트
Map of venetian forts & presence in the Stato da Mar of southern Balkans
http://www.romeartlo[...]
[4]
웹사이트
Map of venetian forts & presence in the Stato da Mar of southern Balkans
http://www.romeartl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