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라르 드브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라르 드브뢰는 프랑스 출신의 경제학자로, 일반균형이론에 대한 연구로 198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수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경제학의 공리화에 기여했으며, 특히 케네스 애로와 함께 발표한 '경쟁 경제에서의 균형의 존재' 논문과 저서 《가치의 이론: 경제 균형의 공리적 분석》을 통해 수리경제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드브뢰는 불확실성을 고려한 경제 모델을 제시하고 조건부 재화 개념을 도입하는 등 경제학의 여러 분야에 걸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생경제학자 - 케네스 애로
케네스 애로는 1921년에 태어나 2017년에 사망한 미국의 경제학자이며, 사회 선택 이론, 일반 균형 이론, 정보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고 197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후생경제학자 - 아바 러너
러시아 제국 출신 경제학자 아바 러너는 하이에크의 지도를 받았으나 케인스 경제학으로 전향하여 재정 및 통화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시장 사회주의 모델 개발, 사회 배당금 개념 기여 등 다양한 경제 이론을 제시하며 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경제학에 관한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경제학에 관한 - 토머스 사전트
토머스 사전트는 합리적 기대 혁명의 주요 인물로서 정책 무효성 명제를 제안하고 합리적 기대 이론을 발전시켜 현대 거시경제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경제학자이며, 크리스토퍼 심스와 함께 거시경제의 인과 관계에 대한 경험적 연구로 201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수리경제학자 - 존 폰 노이만
헝가리 출신의 존 폰 노이만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폰 노이만 아키텍처는 현대 컴퓨터 설계의 기초가 되었고 게임 이론의 창시자로도 알려진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수리경제학자 - 해럴드 호텔링
해럴드 호텔링은 수리 경제학과 계량 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통계학자로, 통계 분야의 다양한 개념을 정립하고 공간 경제학, 자원 경제학 등 여러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제라르 드브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라르 드브뢰 |
원어 이름 | Gérard Debreu |
로마자 표기 | 제라르 드브뢰 |
출생일 | 1921년 7월 4일 |
출생지 | 프랑스 칼레 |
사망일 | 2004년 12월 31일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국적 | 프랑스 |
분야 | 경제학 수리경제학 일반균형이론 의사결정이론 |
소속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학력 | |
모교 |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파리 대학교 |
지도 교수 및 제자 | |
지도 학생 | 그라시엘라 치칠니스키 베스 앨런 하비에르 비베스 이샤크 디완 |
영향 | 레옹 발라스 앙리 카르탕 모리스 알레 부르바키 |
업적 | |
주요 업적 | 일반 균형 이론 효용 이론 위상수학적 방법 집합값 대응의 적분 |
알려진 업적 | 일반균형의 존재 증명 효용이론 위상수학의 경제분석 도입 코어에 관한 극한 정리 |
수상 | |
수상 | 노벨 경제학상 (1983) |
기타 | |
RePEc prefix | e |
RePEc ID | pde34 |
서명 | |
![]() |
2. 생애
1921년 프랑스 칼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외할아버지와 함께 칼레의 전통 산업인 레이스 제조업에서 사업 파트너였으나, 드브뢰가 어렸을 때 자살했고 어머니마저 자연사하여 어린 나이에 고아가 되었다.[11][2]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바칼로레아를 마치고 그랑제콜 입학 준비를 위해 앙베르로 갔다가 이후 그르노블로 옮겨 준비를 마쳤다. 두 지역 모두 당시 비시 프랑스에 속해 있었다. 1941년 파리의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에 입학하여 앙리 카르탕과 부르바키 학파의 영향을 받았다. 1944년 최종 시험을 앞두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일어나자 학업을 중단하고 프랑스군에 입대했다. 훈련을 위해 프랑스령 알제리로 이동한 후, 1945년 7월까지 독일에 주둔한 프랑스군에서 복무했다.[2]
1945년 말과 1946년 초에 아그레가시옹 수학 시험(Agrégation de Mathématiques)에 합격했다. 이 무렵 경제학, 특히 레옹 발라스의 일반균형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46년부터 1948년까지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에서 조교로 일하며 수학에서 경제학으로 연구 분야를 전환했다. 1948년 록펠러 재단 장학금으로 미국 여러 대학을 방문했으며, 1949년과 1950년에는 웁살라 대학교와 오슬로 대학교도 방문했다.[3]
1950년 여름, 미국으로 건너가 시카고 대학교의 카울스 위원회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기 시작하여 5년간 머물렀다. 이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파리를 오갔다. 1954년에는 케네스 애로와 함께 ''경쟁 경제의 균형 존재''(Existence of an Equilibrium for a Competitive Economy)라는 획기적인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그들은 미적분 기반 방법이 아닌 위상수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일반균형의 존재에 대한 결정적인 수학적 증명을 제시했다.
1955년 카울스 위원회가 예일 대학교로 이전하면서 함께 자리를 옮겼다. 1956년 파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3] 1959년 카울스 재단 단행본 시리즈로 고전적인 저서인 ''가치 이론: 경제 균형의 공리적 분석''(Theory of Value: An Axiomatic Analysis of Economic Equilibrium)을 출판했다. 이 책은 수리 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저작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4] 경쟁 시장에 대한 공리적 기반을 설정하고 카쿠타니 고정점 정리에 기반한 새로운 방식으로 균형의 존재를 증명했다. 또한 이 책에서 그는 불확실성 하에서의 경제 분석을 위해 '우발적 재화'(Contingent commodity)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는 이후 금융경제학에서 애로-드브뢰 증권(Arrow–Debreu security)으로 널리 활용된다.
1960년부터 1961년까지 스탠퍼드 대학교의 행동 과학 고등 연구 센터(Center for Advanced Study in the Behavioral Sciences)에서 연구했으며, 1962년 1월부터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버클리)에서 경제학 및 수학 교수로 재직하며 1991년까지 강의했다.[3] UC 버클리 재직 중에도 안식년을 이용하여 레이던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본 대학교, 파리 대학교 등을 방문했으며, 1987년에는 캔터베리 대학교에서 어스킨 펠로우(Erskine Fellow)로 경제 이론을 강의했다.[5] 그의 후기 연구는 주로 미분 가능한 경제(differentiable economies) 이론에 중점을 두어, 경제가 유한한 수의 가격 균형을 갖는다는 것을 보였다.
1976년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고, 1983년에는 경제 이론에 새로운 분석 방법을 통합하고 일반균형이론을 엄격하게 재구성한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국제 과학 아카데미,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이었다.[6][7][8] 1990년에는 미국 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9]
개인적으로는 1946년 프랑수아즈 블레드(Françoise Bled)와 결혼하여 두 딸, 샹탈(Chantal, 1946년생)과 플로랑스(Florence, 1950년생)를 두었다. 2004년 12월 31일, 파리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페르 라셰즈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11]
연도 | 주요 사건 |
---|---|
1921년 | 프랑스 칼레에서 출생 |
1941년 | 고등사범학교 입학 |
1944년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프랑스군) |
1946년 | 프랑수아즈 블레드와 결혼,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조교 (~1948) |
1948년 | 록펠러 재단 장학금으로 미국 방문 시작 |
1950년 | 시카고 대학교 카울스 위원회 연구원 (~1955) |
1954년 | 케네스 애로와 일반균형 존재 증명 논문 발표 |
1955년 | 예일 대학교 부교수 |
1956년 | 파리 대학교 박사 학위 취득 |
1959년 | 가치 이론 출판 |
1962년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 (~1991) |
1976년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수훈 |
1983년 | 노벨 경제학상 수상 |
1990년 | 미국 경제학회 회장 |
2004년 | 파리에서 사망 (83세), 페르 라셰즈 공동묘지 안장 |
1950년 여름부터 시카고 대학교의 코울스 위원회에서 연구 조교(연구원)로 일하기 시작하여 5년 동안 머물렀다.[12] 이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파리로 돌아가기도 했다.
드브뢰는 수리경제학, 특히 일반균형이론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경제학의 수학적 엄밀성을 높이고 공리화를 진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2]
3. 학문적 경력
1954년, 케네스 애로와 함께 〈경쟁 시장에서 균형의 존재〉(Existence of an Equilibrium for a Competitive Economyeng)라는 중요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에서 드브뢰와 애로는 기존의 미적분학 기반 방식 대신 위상수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일반균형의 존재를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이는 일반균형이론 연구의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받는다.
1955년, 코울스 위원회가 예일 대학교로 이전하면서 드브뢰도 예일 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1959년, 코울스 재단 논문 시리즈 중 하나로 단행본 《가치론: 경제적 평형에 대한 공리적 해석》(Theory of Value: An Axiomatic Analysis of Economic Equilibrium)을 출판하였다.[4] 이 책은 수리경제학 분야의 가장 중요한 고전 중 하나로 꼽히며, 드브뢰가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 책에서 드브뢰는 완전경쟁시장에 대한 공리적 체계를 세우고, 총 초과 수요가 0이 되는 가격 체계, 즉 균형 가격이 존재함을 새로운 방식으로 증명했다. 이를 위해 가쿠타니 고정점 정리에 기반한 고정점 정리를 활용했다. 또한, 불확실성 개념을 결정론적 경제 모형에 통합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조건부 재화'(Contingent commodity)라는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는 훗날 금융경제학에서 '애로-드브뢰 증권'(Arrow–Debreu security)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는 또한 곱집합으로 정의된 효용 함수를 덧셈 분해하는 문제 등 기수 효용에 관한 연구도 수행했다.
1960년부터 1961년까지는 스탠포드 대학교의 행동과학 고등연구센터에서 연구했으며, 이 기간 동안 경제 균형 존재에 대한 일반 정리의 복잡한 증명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1962년 1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로 옮겨 경제학 및 수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이후 명예교수가 되었다.
1960년대 말과 1970년대에는 안식년을 이용하여 레이던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본 대학교, 파리 대학교 등 여러 대학을 방문하여 연구 및 교류 활동을 이어갔다. 1987년에는 어스킨 펠로우(Erskine Fellow)로 뉴질랜드의 캔터베리 대학교를 방문하여 경제 이론을 강의하기도 했다.[5]
드브뢰의 후기 연구는 주로 미분 가능한 경제 이론에 집중되었다. 그는 일반적으로 총 초과 수요 함수가 유한한 수의 점에서 0이 된다는 것, 즉 경제 내에 유한한 수의 가격 균형점만이 존재함을 증명했다.
1976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 1983년에는 "일반균형이론을 엄격하게 재정립하고 경제 이론에 새로운 분석 방법을 통합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국제 과학 아카데미,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이기도 했다.[6][7][8]
1990년에는 미국 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9][12]
4. 주요 업적
주요 업적으로는 1954년 케네스 애로와 함께 일반균형의 존재를 수학적으로 증명한 획기적인 논문 발표,[4] 1959년 수리경제학의 고전으로 꼽히는 《가치론》(Theory of Value: An Axiomatic Analysis of Economic Equilibrium영어) 출판,[4] 그리고 불확실성 하에서의 경제 분석 방법론 제시와 '조건부 재화'(Contingent commodity영어) 개념 도입 등이 있다.[4] 또한 후기에는 미분 가능한 경제(differentiable economies영어) 이론을 발전시켜 경제 균형의 유한성 등을 증명했으며,[5] 복지경제학의 기본 정리, 효용함수 이론, 게임 이론의 핵 개념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기여했다.[12]
이러한 학문적 공로를 인정받아 드브뢰는 1983년 "일반균형이론의 엄밀한 재정립과 경제 이론에 새로운 분석 방법을 통합한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6][7][8] 1976년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수훈,[5] 1990년 미국 경제학회 회장 역임 등 다양한 영예를 안았다.[9] 그는 국제 과학 아카데미,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이기도 했다.[6][7][8]
4. 1. 일반균형이론의 수학적 기초 확립
드브뢰는 원래 수학자였으며, 그의 연구 방향은 일반균형이론을 수학적으로 구축하는 데 있었다.[12] 그는 경제학의 공리화를 철저하게 추구한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2]
1950년 여름부터 시카고 대학교의 코올스 경제학연구위원회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12] 1954년에는 케네스 애로와 함께 〈경쟁 시장에서 균형의 존재〉(Existence of an Equilibrium for a Competitive Economy영어)라는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4] 이 논문에서 드브뢰와 애로는 기존의 미적분학 기반 방식 대신 위상수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일반균형의 존재를 수학적으로 증명해냈다. 이는 경제학의 수학적 엄밀성을 크게 높인 성과로 평가받는다.
1959년에는 수리경제학의 고전으로 꼽히는 단행본 《가치론: 경제적 평형에 대한 공리적 해석》(Theory of Value: An Axiomatic Analysis of Economic Equilibrium영어)을 출판했다.[4] 이 책에서 드브뢰는 완전경쟁시장에 대한 공리적 체계를 세웠다. 그는 총 초과 수요(aggregate excess demand영어)가 사라지는 가격 체계가 존재함을 가쿠타니 부동점 정리에 기반한 증명을 통해 보였다. 또한 불확실성을 결정론적 경제 모형에 통합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조건부 재화(Contingent commodity영어)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는 특정 자연 상태가 실현될 경우 재화를 제공하기로 하는 약속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이후 금융경제학에서 애로-드브뢰 증권(Arrow–Debreu security)으로 발전하는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드브뢰의 업적은 이 외에도 복지경제학의 기본정리 공식화 및 증명, 소비자의 선호를 효용함수로 나타내기 위한 수학적 조건 규명, 프랜시스 에지워스의 핵 개념이 일반균형 해로 수렴하기 위한 조건 분석, 초과수요함수가 만족해야 할 수학적 조건 제시 등 경제학의 여러 영역에 걸쳐 있다.[12] 그는 또한 후대 연구자들을 위해 재화와 가격 묶음을 선형공간과 그 쌍대 공간으로 표현하는 개념(1954년), 준균형(quasi-equilibrium) 개념(1962년) 등을 도입하며 수학적 도구를 개척했다.[12] 후기 연구에서는 미분 가능한 경제 모형에 집중하여, 일반적인 조건 하에서 경쟁 시장 균형점의 개수가 유한하며(즉, 집계 초과 수요 함수가 유한한 점에서 사라짐) 따라서 국소적으로 유일함을 증명하기도 했다.[6][7][8]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1983년 "일반균형이론의 엄밀한 재정립과 경제 이론에 새로운 분석 방법을 통합한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6][7][8]
4. 2. 《가치론》 저술
1955년 예일 대학교로 자리를 옮긴 드브뢰는 1959년, 카울스 재단 논문 시리즈(Cowles Foundation Monographs Series)의 일부로 《가치론: 경제적 균형에 대한 공리적 분석》(Theory of Value: An Axiomatic Analysis of Economic Equilibriumeng)이라는 제목의 단행본을 출판했다. 이 저서는 수리경제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고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4]
이 책에서 드브뢰는 완전경쟁시장에 대한 공리적 기반을 세웠다. 그는 새로운 접근법을 사용하여 균형의 존재를 증명했는데, 핵심 아이디어는 총 초과 수요 대응(aggregate excess demand correspondence)이 사라지는 가격 체계가 존재함을 보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카쿠타니 고정점 정리에 기반한 일종의 고정점 정리를 활용했다. 또한, 드브뢰는 불확실성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것이 어떻게 결정론적 경제 모형에 통합될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특정 자연 상태가 실현될 경우 재화를 제공하기로 약속하는 '우발적 재화'(Contingent commodity)라는 개념을 제시했는데, 이는 훗날 금융경제학에서 애로-드브뢰 증권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다.
이 시기에 드브뢰는 집합들의 데카르트 곱 위에 정의된 효용 함수의 가법적 분해(additive decomposition)와 같은 기수 효용 관련 문제들도 연구했다.
4. 3. 불확실성 하에서의 경제 모델 제시
드브뢰는 1959년 출판한 그의 대표적인 저서 《가치론ː 경제적 평형에 대한 공리적 해석》(Theory of Value: An Axiomatic Analysis of Economic Equilibrium영어)에서 불확실성(uncertainty) 문제를 다루고, 이를 결정론적 경제 모형(Economic model)에 통합하는 방법을 제시했다.[4] 이 책의 7장에서 그는 특정 자연 상태가 실현될 경우 재화를 제공하기로 약속하는 '조건부 재화'(Contingent commodity영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 아이디어는 이후 금융경제학(financial economics)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활용되었으며, 애로의 기여와 함께 '애로-드브뢰 증권'(Arrow–Debreu security영어)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는 불확실한 미래 상황에 대한 경제적 분석의 지평을 넓힌 중요한 기여로 평가받는다.
4. 4. 미분가능 경제 연구
드브뢰는 원래 수학자였으며, 그의 연구는 일반균형이론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초기에는 케네스 애로와 함께 위상수학을 이용하여 일반균형의 존재를 증명하고[4], 불확실성 하에서의 우발적 재화 개념을 도입하는 등 경제 이론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
이후 드브뢰의 후기 연구는 주로 미분 가능한 경제 이론에 집중되었다. 그는 미적분학의 기법을 경제 분석에 적용하여, 일반적인 경제 조건 하에서 초과수요함수가 0이 되는 지점, 즉 가격 균형점의 개수가 유한하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하였다.[5] 이는 경제 전체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가격 수준이 무한히 많지 않고 특정 개수만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그는 경제 이론의 표준적인 가정 아래에서 경쟁 시장의 균형 집합은 유한하며, 따라서 각각의 균형은 국소적으로 유일하다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하기도 했다. 이러한 미분 기법을 활용한 연구는 일반균형이론을 더욱 정교하게 만들고 경제 현상 분석에 새로운 수학적 도구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4. 5. 경제학의 공리화 추진
드브뢰는 원래 수학자로서, 그의 연구는 일반균형 이론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는 경제학의 내용 자체보다는 형식적 측면에서의 공리화를 철저하게 추진한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2]
1950년 여름 시카고 대학교의 코올스 경제학연구위원회에서 연구를 시작한 드브뢰는 1954년 케네스 애로와 함께 중요한 논문 '경쟁 시장에서 균형의 존재'(Existence of an Equilibrium for a Competitive Economyeng)를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그들은 기존의 미적분학 기반 방식 대신 위상수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일반균형의 존재를 결정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수학적 엄밀성을 높였다.
1959년 출판된 그의 대표적인 저서 《가치론ː 경제적 평형에 대한 공리적 해석》(Theory of Value: An Axiomatic Analysis of Economic Equilibriumeng)은 수리경제학 분야의 고전으로 꼽힌다.[4] 이 책에서 드브뢰는 완전경쟁시장에 대한 공리적 체계를 세웠다. 그의 핵심 주장은 총 초과 수요가 0이 되는 가격 체계, 즉 균형 가격이 존재한다는 것을 고정점 정리를 이용해 증명한 것이다. 또한, 그는 불확실성의 개념을 결정론적 경제 모형에 통합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조건부 재화'(Contingent commodityeng)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이 개념은 훗날 금융경제학에서 '애로-드브뢰 증권'(Arrow–Debreu securityeng)으로 널리 활용되었다. 그는 또한 곱집합으로 정의된 효용 함수를 덧셈 분해하는 것과 같이 기수 효용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
드브뢰의 후기 연구는 주로 미분 가능한 경제 이론에 집중되었다. 그는 일반적으로 총 초과수요함수가 유한한 수의 점에서 0이 됨을 보여, 경제 내에 존재하는 가격 균형점의 개수가 유한함을 증명했다. 이는 경쟁 시장 균형이 국소적으로 유일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외에도 드브뢰는 후대 연구자들을 위해 수학적 관점에서 많은 개념적 도구를 개발했다. 1954년에는 재화와 가격의 다발을 선형공간과 그 쌍대 공간으로 표현하는 개념을 도입했고, 1962년에는 준균형 개념을 제시했다. 또한 복지경제학의 기본 정리 공식화 및 증명, 소비자의 선호를 효용함수로 나타내기 위한 조건, 프랜시스 에지워스의 핵이 일반균형 해로 수렴하기 위한 조건, 시장 수요 함수가 만족해야 할 조건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경제학의 수학적 기반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했다. 1974년에 발표한 시장 수요 함수에 관한 연구도 비교적 잘 알려진 업적 중 하나이다.
드브뢰의 이러한 업적은 경제 이론에 새로운 분석 방법을 통합하고 일반균형 이론을 엄격하게 재구성한 공로로 인정받아 1983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으로 이어졌다.
5. 주요 출판물
- 1951: "The Coefficient of Resource Utilization", ''Econometrica''.
- 1952: "A Social Equilibrium Existence Theorem",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
- 1952: "Definite and Semi-Definite Quadratic Forms", ''Econometrica''.
- 1953: "Nonnegative Square Matrices", I.N. Herstein과 공동 저술, ''Econometrica''.
- 1954: "Valuation Equilibrium and Pareto Optimum",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
- 1954: "Existence of an Equilibrium for a Competitive Economy", 케네스 애로와 공동 저술, ''Econometrica''.
- 1954: "Representation of a Preference Ordering by a Numerical Function", Thrall, Coombs, Raiffa 편집, ''Decision Processes''.
- 1954: "A Classical Tax-Subsidy Problem", ''Econometrica''.
- 1954: "Numerical Representations of Technological Change", ''Metroeconomica''.
- 1956: "Market Equilibrium",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
- 1958: "Stochastic Choice and Cardinal Utility", ''Econometrica''.
- 1959: "Cardinal Utility for Even-Chance Mixtures of Pairs of Sure Prospects", ''Review of Economic Studies''.
- 1959: ''The Theory of Value: An Axiomatic Analysis of Economic Equilibrium'', 와일리.
- * 한국어 번역: 마루야마 토오루 역, 『가치의 이론 ― 경제균형의 공리적 분석』, 동양경제신보사, 1977년.
- 1960: "Topological Methods in Cardinal Utility Theory", Arrow, Karlin, Suppes 편집, ''Mathematical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 1960: "On 'An Identity in Arithmetic'", ''미국 수학회 회보''.
- 1960: "Economics Under Uncertainty", ''Économie Appliquée''.
- 1962: "New Concepts and Techniques for Equilibrium Analysis",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 1963: "On a Theorem of Scarf", ''Review of Economic Studies''.
- 1963: "A Limit Theorem on the Core of an Economy", 허버트 스카프와 공동 저술,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 1964: "Continuity Properties of Paretian Utility",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 1964: "Nonnegative solutions of linear inequalities",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 1967: "Integration of Correspondences", ''Proceedings of the Fifth Berkeley Symposium on Mathematical Statistics and Probability''.
- 1967: "Preference Functions on Measure Spaces of Economic Agents", ''Econometrica''.
- 1969: "Neighboring Economic Agents", ''La Décision''.
- 1970: "Economies with a Finite Set of Equilibria", ''Econometrica''.
- 1972: "Smooth Preferences", ''Econometrica''.
- 1972: "The Limit of the Core of an Economy", 허버트 스카프와 공동 저술, McGuire and Radner 편집, ''Decision and Organization''.
- 1974: "Excess Demand Functions", ''Journal of Mathematical Economics''.
- 1974: "Four Aspects of the Mathematical Theory of Economic Equilibrium",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 1975: "The Rate of Convergence of the Core of an Economy", ''Journal of Mathematical Economics''.
- 1976: "The Application to Economics of Differential Topology and Global Analysis: Regular Differentiable Economies", ''American Economic Review''.
- 1976: "Least Concave Utility Functions", ''Journal of Mathematical Economics''.
- 1981: "Existence of Competitive Equilibrium", Arrow and Intriligator 편집, ''Handbook of Mathematical Economics''.
- 1982: "Additively Decomposed Quasiconvex Functions", T.C. Koopmans와 공동 저술, ''Mathematical Programming''.
- 1983: ''Mathematical Economics: Twenty Papers of Gérard Debreu'',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 수록 논문: "자원 이용률 계수", "사회적 균형 존재 정리", "고전적인 조세-보조금 문제", "경쟁적 경제의 균형 존재" (케네스 애로 공저), "평가 균형과 파레토 최적", "수치 함수에 의한 선호 순서의 표현", "시장 균형", "불확실성 하의 경제학", "기수 효용 이론에서의 위상 수학적 방법", "균형 분석을 위한 새로운 개념과 기법", "경제의 핵에 대한 극한 정리" (허버트 스카프 공저), "파레토 효용의 연속성", "인접한 경제 주체", "균형 집합이 유한한 경제", "매끄러운 선호", "초과 수요 함수", "경제의 핵의 수렴 속도", "경제적 균형의 수학적 이론의 네 가지 측면", "미분 위상 기하학 및 전역 해석의 경제학 적용: 미분 가능한 경제", "최소 오목 효용 함수".
- 1984: "Economic Theory in the Mathematical Mode" (노벨상 수상 강연), ''American Economic Review'' 및 ''The Scandinavian Journal of Economics''.
- 1986: "Theoretic Models: Mathematical Form and Economic Content", ''Econometrica''.
- 1991: "The Mathematization of Economic Theory", ''American Economic Review''. (1990년 12월 29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 경제 협회 제103차 회의에서 발표된 회장 연설)
- 1994: "Innovation and Research: An Economist's Viewpoint on Uncertainty", ''Nobelists for the Future''.
- 2001: ''Landmark Papers in General Equilibrium Theory, Social Choice and Welfare'', 케네스 애로와 공동 편집, 에드워드 엘거 출판사.
- 2001: "20세기 경제학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여: 노벨상 수상자 목록", 제임스 M. 부캐넌, 로렌스 R. 클라인, 밀턴 프리드먼, 로버트 솔로 등과 공동 저술, ''경제사상 유럽 저널''.
참조
[1]
뉴스
Gerard Debreu, 83, Dies; Won Nobel in Economics
https://www.nytimes.[...]
2005-01-06
[2]
저널
Gerard Debreu's secrecy: his life in order and silence
2012-09-01 # Fall 2012를 추정하여 9월 1일로 설정
[3]
웹사이트
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1983
https://www.nobelpri[...]
2023-01-01
[4]
서적
The theory of value: an axiomatic analysis of economic equilibrium
http://digamo.free.f[...]
Wiley
[5]
웹사이트
Gerard Debreu: Lecture 2 on Economic Theory (1987)
https://www.youtube.[...]
2008-09-21
[6]
웹사이트
Gerard Debreu
https://www.amacad.o[...]
2022-05-23
[7]
웹사이트
Gerard Debreu
http://www.nasonline[...]
2022-05-23
[8]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05-23
[9]
저널
The mathematization of economic theory
http://cruel.org/eco[...]
1991-03-01 # March 1991을 추정하여 3월 1일로 설정
[10]
뉴스
http://www.nytimes.c[...]
[11]
저널
Gerard Debreu's Secrecy: His Life in Order and Silence
2012-09-01 # Fall 2012를 추정하여 9월 1일로 설정
[12]
저널
The Mathematization of economic theory
1991-03-01 # March 1991을 추정하여 3월 1일로 설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