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사범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 ENS)는 1794년 프랑스 혁명 시기 공화주의 교육 시스템의 교사 양성을 위해 설립된 프랑스의 그랑제콜이다. 1808년과 1826년에 재설립 및 재개편되었으며, 현재는 파리 5구에 위치한 본교를 중심으로 여러 캠퍼스와 부속 건물을 운영하며, 문과와 이과 분야의 학과와 연구 단위를 갖추고 있다. ENS는 콩쿠르를 통해 선발된 '노르말리앵'들에게 급여를 지급하고 10년간의 의무 복무 계약을 체결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운영하며, 수학, 물리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수많은 노벨상 수상자와 저명한 학자, 정치인, 사회 지도자들을 배출하며 프랑스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피사 고등사범학교 등과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1794년 프랑스 혁명 당시 국민공회에 의해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혁명 이후 새롭게 도입된 공화주의 교육 시스템을 위한 교사를 양성하는 학교였다. 1822년에 잠시 폐쇄되었다가, 1826년에 파리준비학교(École préparatoire de Paris)라는 이름으로 다시 문을 열었고, 1830년 원래 이름인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를 되찾았다. 1845년부터 현재 이름인 '파리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로 불리게 되었다.
고등사범학교(ENS)는 2000년대 중반부터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라 학석사 통합 과정 외에 전문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한다. 학석사 및 전문석사 과정은 14개 학과가 담당하고, 박사 과정 교육 및 연구는 35개 연구소가 담당한다.
2. 역사
1847년 현재 위치인 파리 시내 울름 거리로 이전했다. 이후, 고등사범학교는 학생들이 관계와 학계에서 성공하기 위한 등용문이 되는 교육기관으로 발전해왔다.
1903년 파리 대학교의 단과대학으로 통합되었으나, 1953년 자치권을 회복했다. 1985년에는 세브르에 있던 여자 고등사범학교를 흡수 합병했다. 2019년 현재, PSL 연구대학의 한 학교이다. PSL 연구대학은 THE 세계 대학 순위에서 2018/2019년 '''세계 41위'''(국내 1위)를 차지했다(도쿄 대학은 42위).[85]
고등사범학교는 노벨상 수상자 14명, 필즈상 수상자 14명을 배출했다.[85] 1학년은 약 300명 정도이다.
2. 1. 설립 배경
현재의 고등사범학교(ENS)는 프랑스 혁명 이후 로베스피에르가 이끄는 국민공회가 1794년에 설립한 3년제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de l'an III)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이 학교는 공교육 위원회의 일원이었던 조제프 라카날과 도미니크-조제프 가라의 권고에 따라 설립되었다.[84] 고등사범학교는 중앙집권적 국가 교육 시스템의 핵심으로 계획되었으며, 공포정치로 인해 소외되었던 공화국과 국가 엘리트 사이의 신뢰를 재확립하는 방법으로 구상되었다. 1794년 10월 30일(9 브뤼메르 3년) 발표된 학교 설립령은 "파리에 에콜 노르말(École normale, 문자 그대로는 사범학교)을 설립하여, 공화국의 모든 지역에서 유용한 과학 분야에서 이미 교육을 받은 시민들이 모든 분야의 최고 교수들로부터 교육 기술을 배우도록 한다"라고 명시했다.
개강 강좌는 1795년 1월 20일에 시작되어 같은 해 5월 19일에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에서 마지막 강좌가 진행되었다. 이 강좌의 목표는 전국의 모든 중등학교를 위한 교사를 양성하여 모든 사람에게 동질적인 교육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이 강좌는 기존의 모든 과학과 인문학을 다루었으며, 가스파르 몽주, 알렉상드르-테오필 뱅더몽드, 루이-장-마리 도봉통,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와 같은 과학자들과 자크-앙리 베르나르댕 드 생피에르, 콘스탕탱 프랑수아 드 샤세뵈프, 볼네 백작과 같은 철학자들이 강사로 참여하였다. 이 학교는 프랑스 디렉토리의 등장으로 폐쇄되었지만, 이 에콜 노르말(École normale)은 나폴레옹 1세가 1808년에 학교를 두 번째로 설립할 때 기반이 되었다.
1808년 3월 17일, 나폴레옹은 칙령에 의해 제국 프랑스 대학교 내에 "과학과 인문학 교육 기술을 훈련시키는" 것을 임무로 하는 펜시오나 노르말(pensionnat normal)을 설립하였다.[13] 이 기관은 1810년에 개교하였고, 엄격한 규정에는 의무적인 제복 착용이 포함되었다. 그 무렵 나폴레옹은 피사에 피사 고등사범학교라는 이름으로 자매 기관을 설립하였는데, 이 학교는 오늘날까지도 존재하며 파리 학교와 여전히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 2. 초기 역사 (1795-1824)
로베스피에르가 이끄는 프랑스 혁명 후 국민공회가 1794년에 설립한 3년제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de l'an III)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이 학교는 공교육 위원회의 일원이었던 조제프 라카날과 도미니크-조제프 가라의 권고에 따라 설립되었다. 고등사범학교는 계획된 중앙집권적 국가 교육 시스템의 핵심으로 의도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공포정치로 인해 어느 정도 소외되었던 공화국과 국가 엘리트 사이의 신뢰를 재확립하는 방법으로 구상되었다. 1794년 10월 30일(9 브뤼메르 3년)에 발표된 학교 설립령은 첫 번째 조항에서 "파리에 에콜 노르말(École normale, 문자 그대로는 사범학교)을 설립하여, 공화국의 모든 지역에서 유용한 과학 분야에서 이미 교육을 받은 시민들이 모든 분야의 최고 교수들로부터 교육 기술을 배우도록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13]
1795년 1월 20일에 개강하여 같은 해 5월 19일에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에서 마지막 강좌가 진행되었다. 이 강좌의 목표는 전국의 모든 중등학교를 위한 교사를 양성하여 모든 사람에게 동질적인 교육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이 강좌는 기존의 모든 과학과 인문학을 다루었으며, 가스파르 몽주, 알렉상드르-테오필 뱅더몽드, 루이-장-마리 도봉통,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와 같은 과학자들과 자크-앙리 베르나르댕 드 생피에르, 콘스탕탱 프랑수아 드 샤세뵈프, 볼네 백작과 같은 철학자들이 강사로 참여하였다. 이 학교는 프랑스 디렉토리의 등장으로 폐쇄되었지만, 나폴레옹 1세가 1808년에 학교를 두 번째로 설립할 때 기반이 되었다.
1808년 3월 17일, 나폴레옹 1세는 칙령에 의해 제국 프랑스 대학교 내에 "과학과 인문학 교육 기술을 훈련시키는" 것을 임무로 하는 펜시오나 노르말(pensionnat normal)을 설립하였다.[13] 이 기관은 1810년에 개교하였고, 엄격한 규정에는 의무적인 제복 착용이 포함되었다. 그 무렵 나폴레옹은 피사에 피사 고등사범학교(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 SNS)라는 이름으로 자매 기관을 설립하였는데, 이 학교는 오늘날까지도 존재하며 파리 학교와 여전히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1818년까지 학생들은 중학교 성적에 따라 학원 감찰관이 직접 선발하였다. 그러나 나폴레옹이 설립한 "펜시오나"는 프랑스 부르봉 왕정 복고 시대에 자유주의 사상의 중심지로 인식되어 1824년 당시 공공 교육 장관 드니-뤼크 프레이시누에 의해 폐지되었다.
2. 3. 재건과 발전 (1826-1903)
1826년 3월 9일, 루이 르 그랑 중학교 자리에 예비학교(école préparatoire)가 설립되었다.[84] 1830년 7월 혁명 이후 학교는 원래 이름인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를 되찾았고, 1845년에는 '파리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로 개명되었다.[84]
1847년 학교는 파리 5구역 팡테옹 옆 륄름 거리(rue d'Ulm)의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84] 이후, 고등사범학교는 학생들이 관계와 학계에서 성공하기 위한 등용문이 되는 교육기관으로 발전해왔다.
1985년에는 파리 근교 세브르의 고등사범학교(여자)를 흡수 합병했다.[85]
2. 4. 20세기 이후
1847년 현재 위치인 파리 시내의 울름 거리로 이전한 후, 고등사범학교는 학생들이 관계와 학계에서 성공하기 위한 등용문이 되는 교육기관으로 발전해왔다.[85]
1903년, 고등사범학교는 파리 대학교에 별도의 단과대학으로 통합되었다.[85] 이는 드레퓌스 사건 당시 전국적인 주목을 받은 결과였는데, 당시 사서였던 뤼시앵 에르와 그의 제자들(장 조레스, 샤를 페기, 로맹 롤랑 포함)이 알프레드 드레퓌스의 부당한 유죄 판결을 뒤집기 위한 운동을 주도했다. 1910년 최초의 여학생인 마르게리트 루비에르가 입학하여 프랑스 전역의 헤드라인을 장식하며 여론을 양분시켰다.[85]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학교의 규모는 크게 축소되었지만, 1920년대에는 학교가 확장되었고, 이때 레이몽 아롱, 장 폴 사르트르, 블라디미르 얀켈레비치, 모리스 메를로 퐁티 등이 학생으로 재학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노르말리앵들이 낸 큰 희생은 1925년 전군 표창장 수여로 인정받았다.[8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부 학생들이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참여했던 것을 계기로 학교는 더욱 주목받게 되었고, 점차 공산주의 좌파의 본거지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1953년 파리 대학교로부터 자치권을 얻었다.[85]
1985년, 격렬한 논쟁 끝에 세브르에 위치한 여성 ENS인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드 쥬느 피유와 통합되었다.[85] 2019년 현재, PSL 연구대학의 한 학교이다.[85] 그동안 "세계 대학 순위"에서 조직 규모가 작아 불리했으나, 카르티에 라탱에 있는 다른 학교들과의 통합으로 설립된 PSL 연구대학은 2018/2019년 THE 세계 대학 순위에서 '''세계 41위'''(국내 1위)를 차지했다(도쿄 대학은 42위).[85]
고등사범학교는 1학년은 약 300명이지만, 노벨상 수상자 14명, 필즈상 수상자 14명을 배출했다.[85]
3. 조직 및 구성
학석사 과정(DENS 디플롬 과정)은 그랑제콜 준비반 졸업생을 대상으로 매년 소수 정예 인원을 선발하며, 합격률은 0.8~1.5% 정도로 매우 높다.[88] 합격생들은 4-5년 동안 학업을 이어가며, 이 기간 동안 1300EUR의 급여를 받는 대신 졸업 후 10년간 공무원으로 복무해야 한다.
ENS는 학제간 연구를 장려한다. 이과생들은 문과 강좌를, 문과생들은 수학 및 물리학 입문 강좌를 수강하도록 권장된다. 2006년 신설된 ENS 석사 학위 과정은 전공 외 분야 강좌 수강을 의무화하고 있다.[71]
3. 1. 캠퍼스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 ENS)는 파리 중심부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역사적인 파리 ENS 캠퍼스는 울름 가(rue d'Ulm) 주변에 위치하며, 본관은 울름 가 45번지(파리 5구)에 있다. 알퐁스 드 지소르(Alphonse de Gisors)가 설계한 이 건물은 1841년 법에 따라 ENS에 하사되었다.[35] 정문 위에는 문학과 과학을 상징하는 두 여인상 조각이 있는데, 지혜를 상징하는 미네르바(Minerva) 메달리온 양쪽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 정면 부분의 형식화된 버전은 학교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울름 가 45번지에 있는 본 캠퍼스는 꾸르 오 엑스네르스트(Cour aux Ernests)라는 중앙 정원을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다. 이 정원 남쪽에 있는 또 다른 정원인 꾸르 파스퇴르(Cour Pasteur)는 학교와 클로드 베르나르 가(rue Claude-Bernard)의 아파트 건물을 구분한다. 이 건물에는 학교의 행정 기능과 일부 인문학과(철학, 문학, 고전 및 고고학), 수학 및 컴퓨터 과학과, 그리고 주요 인문 과학 도서관이 있다. 1923년에 개관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사망한 노르말리앵(normaliens, ENS 졸업생)들을 기리는 학교의 전몰자 기념비(monument aux morts)는 폴 랑도브스키(Paul Landowski)의 작품이다.[36]
본 캠퍼스 주변 인접 거리에는 여러 부속 건물들이 있다. 본관 정문 맞은편 울름 가 46번지에 있는 가장 가까운 건물에는 학교의 생물학과와 실험실, 그리고 기숙사 일부가 있다. 1936년 레옹 블룸(Léon Blum)과 알베르 르브룅(Albert Lebrun)에 의해 개관된 물리학 및 화학과 건물은 학교 북쪽 롬몽 가(rue Lhomond)에 있으며, 울름 가 29번지에는 2차 도서관과 인지과학과가 있다.
ENS는 파리 14구 쥐르당 대로(Boulevard Jourdan)에 두 번째 캠퍼스(이전에는 여자 대학)를 두고 있는데, 사회과학, 법학, 경제학, 지리학 연구부와 추가 기숙사가 있다. 이 부지는 2015년부터 대대적인 재건축 공사가 진행 중이다. 2017년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ENS 경제학과, 사회과학 도서관, 그리고 ENS 프로젝트인 파리 경제대학(Paris School of Economics)이 있는 새 건물을 개관했다.
학교는 파리 교외 몽트뢰유(Montrouge)에 보조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파리 데카르트 대학교(Paris Descartes University)의 실험실과 함께 일부 실험실이 있다. 녹지와 체육 시설, 그리고 약 200개의 학생 방이 있다. 파리 남쪽 빌쥐유프(Villejuif) 마을에 있는 네 번째 부지는 학교의 일부 생물학 실험실을 수용하고 있다.
3. 2. 학과 및 연구 단위
고등사범학교의 자원은 "문과"(인문사회과학 및 문학)와 "이과"(자연과학 및 수학) 분야에 동등하게 분배된다. 15개 학과와 35개의 연구단위(unités mixtes de recherches, UMR)는 CNRS와 같은 다른 프랑스 공공 연구 기관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고등사범학교는 루뱅(Rubens) 네트워크를 통해 10개의 도서관을 운영하며, 이는 프랑스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이다.[58] 목록은 온라인으로 열람할 수 있다.[59] 도서관 출입은 박사급 국내외 연구원, 교수, '노르말리앵'(normaliens,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학생), PSL 연구대학 학생들에게 허용된다. 고고학, 인지과학, 수학, 컴퓨터 과학, 이론물리학 분야의 특수 도서관도 운영하고 있다. 2013년에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구과학 도서관을 륄 드 륄름(rue d'Ulm)의 중앙 건물에 통합한 자연과학 도서관이 개관했다.[62][63] 이 외에도 후설 아카이브 도서관(Bibliothèque des Archives Husserl)과 철학, 역사, 과학 출판 아카이브 센터(Centre d'Archives de Philosophie, d'Histoire et d'Edition des Sciences)라는 두 개의 특수 자료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3. 2. 1. 문과
고등사범학교는 루뱅(Rubens) 네트워크를 통해 10개의 도서관을 운영하며, 이는 프랑스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이다.[58] 도서관 목록은 온라인으로 열람할 수 있다.[59] 문학, 고전, 인문과학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 도서관은 19세기에 설립되었으며, 뤼시앵 에르 관장 재임 시기에 크게 확장되었다. 중앙 열람실은 '역사 유적'(monument historique)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60] 수천 제곱미터에 달하는 이 중앙 도서관은 80만 권 이상의 장서와 1600종 이상의 정기 간행물을 보유한 프랑스에서 가장 큰 개방형 도서관 중 하나이다. 고전 자료실은 국가 특수 도서관 네트워크(Cadist)의 일부이다.[61] 사회과학, 경제학, 법학 관련 도서관은 주르당(Jourdan) 캠퍼스의 사회과학 건물에 위치해 있으며, 15만 권 이상의 서적을 소장하고 있다.
3. 2. 2. 이과
École normale supérieure프랑스어는 학생들을 연구자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주된 교육 목표는 박사 학위 취득이다. 85% 이상의 '노르말리앵'(normaliens)이 박사 학위를 취득한다. 학생들은 연구 과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지만, 최소한 연구 석사 학위는 취득해야 한다. ENS는 전통적으로 대학 학위를 수여할 권한이 없으므로, 학생들은 파리의 다른 대학에서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3. 3. 학제 간 연구
고등사범학교(ENS)는 학제 간 연구를 중시한다. 과학 분야 입시를 거쳐 입학한 학생들은 문과 학과의 강좌를 수강하도록 권장되며, 문과 학과 학생들을 위해서는 수학 및 물리학 입문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2006년에 신설된 ENS 석사 학위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과 관련 없는 특정 수의 강좌를 수강해야 한다.[71]
4. 입시 및 교육
고등사범학교의 학석사 과정(DENS 디플롬 과정)은 매년 20대 초반의 그랑제콜 준비반 졸업생을 대상으로 소수 정예 인원을 선발하며, 합격률은 0.8~1.5% 정도로 경쟁률이 매우 높다. 선발된 학생들은 4~5년 동안 학, 석사 과정을 밟으며, 이 기간 동안 1300EUR의 급여를 받는다. 그 대신 재학 기간을 포함하여 10년 동안 공무원 신분으로 계약된다.[88]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라 2000년대 중반부터는 전문 석사, 박사 학위도 수여한다. 학석사 및 전문석사 과정 교육은 14개의 학과가, 박사 과정 교육 및 연구는 35개의 연구소가 담당한다.[88]
고등사범학교는 대학 학위를 수여할 권한이 없어, 학생들은 파리의 다른 대학에서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른 고등 교육 기관과 협력하여 석사 학위를 공동으로 수여하기도 한다.[39] 콩쿠르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은 4년에서 6년 동안 학교에 머무르며, 많은 학생들은 아그레가시옹을 준비하여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39]
4. 1. 노르말리앵 (Normaliens)
'노르말리앵(normalien)'이라고 불리는 핵심 학생들은 '콩쿠르(concours)'라고 하는 경쟁 시험(바칼로레아 + 2년)을 통해 선발된다. 콩쿠르 준비는 그랑제콜 준비반에서 2년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매년 200명의 노르말리앵이 선발되는데, 그중 절반은 이과, 나머지 절반은 인문계열이며, 매달 급여(1350EUR)를 받고 국가에 10년간 근무하는 계약을 체결한다.[39] 프랑스와 다른 유럽 연합 국가 출신의 노르말리앵들은 수습 공무원으로 간주된다.[39] 실제로는 거의 적용되지 않지만, 이 독점 조항은 (종종 고용 회사에 의해) 해지될 수 있다.4. 2. 노르말리앵 에튀디앙 (Normaliens étudiants)
"노르말리앵 에튀디앙(normalien étudiant)"이라고 불리는 학생들은 학비 지원은 받지 않지만 선발될 수 있다. 이들은 연구 프로젝트 준비(바칼로레아 + 2~4년)를 통해 선발된다.[37]4. 3. 박사 과정
ENS의 박사 과정 학생들은 ENS 박사 과정 또는 ENS가 공동 인증한 다른 박사 과정 출신 졸업생들이다. 2016년부터 ENS에서 박사 연구를 준비하는 박사 과정 학생들은 PSL 연구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수여받는다.[88]4. 4. 교육 과정
콩쿠르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은 4년에서 6년 동안 학교에 남는다.[39] 프랑스와 다른 유럽 연합 국가 출신의 노르말리앵들은 수습 공무원으로 간주된다.[39] 많은 학생들은 그 기간 중 적어도 1년을 아그레가시옹(agrégation)에 전념하여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 ENS는 대학 학위를 수여할 권한이 없으므로, 학생들은 파리의 다른 대학에서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이를 위해 ENS는 석사 학위를 공동으로 주관하는 다른 고등 교육 기관과 다수의 파트너십 및 협약을 맺고 있다.5. 국제 협력
피사 고등사범학교(Scuola Normale Superiore)는 1810년 나폴레옹에 의해 고등사범학교(ENS)의 분교로 설립되었으나, 이후 독립했다. 두 학교는 1988년부터 특별 파트너십을 통해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ENS는 전 세계에 ENS 모델을 기반으로 한 많은 학교들(아이티, 베트남, 마그레브,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등)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 2005년 ENS는 상하이에 동중국사범대학(East China Normal University, ECNU)에 분교를 설립하고, 두 기관 간의 공동 박사 과정을 개설했다. ENS는 파리 고등 연구소(Paris Institute of Advanced Research)와 빌라 루이 파스퇴르(Villa Louis-Pasteur)를 통해 국제 연구원들을 지원한다. 블레즈 파스칼, 마리 퀴리, 콩도르세, 라그랑주 연구소(chaires)는 해외 연구원들이 ENS 연구실에서 1년 이상 체류할 수 있도록 한다. 2013년부터 프랑스-중국 공동 연구소 Saladyn의 회원이며, 2007년부터 뉴욕대학교의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연구소의 안테나를 운영하고 있다. ENS는 석사 및 박사 과정에서 연구를 위한 파트너십을 맺고 학생들을 전 세계 대학으로 파견하여 학업을 마치도록 지원한다. 인문 및 언어학 분야 학생들이 해외 대학에서 주니어 펠로우(junior fellows) 자격으로 1년간 강의하는 것도 관례이다. ENS는 베이징대학교, 베를린 자유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맥길 대학교,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코넬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등과 교류 및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6. 저명한 동문
고등사범학교는 학계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루이 파스퇴르(Louis Pasteur)는 화학자이자 미생물학자로 이 학교 학생이었으며, 여러 해 동안 이 학교를 이끌었다.[88] 이 외에도 언어학자 조르주 뒤메질(Georges Dumézil), 소설가 쥘랭 그라크(Julien Gracq), 사회주의 총리 레옹 블룸(Léon Blum) 등 다양한 인물들이 이 학교를 거쳐갔다.[88]
특히, 19세기 후반 뉘마 드니 푸스텔 드 쿨랑주(Numa Denis Fustel de Coulanges)를 시작으로 앙날학파를 창시한 마르크 블로크(Marc Bloch)와 뤼시앵 푸브르(Lucien Febvre), 고대 그리스 역사가 자클린 드 로밀리(Jacqueline de Romilly) 등 저명한 역사학자들이 이 학교 출신이다.[88]
장 지라두(Jean Giraudoux), 쥘리앵 그라크(Julien Gracq)와 같은 소설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 사무엘 베케트(Samuel Beckett) 등 문학인들도 배출했다.[88] 에메 세제르(Aimé Césaire)와 같은 네그리튀드 운동의 주요 인물도 이 학교 출신이다.[88]
철학 분야에서는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 등 노벨 문학상 수상자를 비롯하여,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시몬 베유,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등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사상가들이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했다.[88] 장 폴 사르트르는 그의 지적 라이벌인 레이몽 아롱(Raymond Aron)과 동시에 이 학교에 다녔다.
사회학 분야에서는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등 저명한 학자들이 이 학교 출신이다.[88]
제라르 드브뢰(Gérard Debreu)는 알프레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고, 에마뉘엘 사에즈(Emmanuel Saez), 에스터 뒤플로(Esther Duflo)는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과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88]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는 ''21세기 자본''(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을 저술했다.[88]
정치 및 행정 분야에서는 장 조레스(Jean Jaurès), 레옹 블룸(Léon Blum), 조르주 퐁피두(Georges Pompidou), 알랭 쥐페(Alain Juppé) 등 프랑스의 주요 정치 지도자들이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했다.[89]
6. 1. 수학 및 물리학
에바리스트 갈루아(Évariste Galois)는 갈루아 이론과 군론의 창시자로, 1820년대에는 아직 에콜 프레파라토리(École préparatoire)로 불리던 ENS의 초기 학생이었다.[78] 19세기 내내 학교에서 수학이 계속 가르쳐지긴 했지만, 수학계에서 ENS가 실질적인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앙드레 베이유(André Weil)를 중심으로 한 젊은 수학자 세대가 등장하면서부터였다. 앙드레 베이유는 정수론과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기초적인 업적을 남겼다.[78] 1940년에는 졸업생 앙리 카르탕(Henri Cartan)이 학교의 교수가 되어 대수적 위상수학 분야에서의 업적으로 학교의 중요성을 더욱 높였다.[78]1936년 설립된 필즈 메달 수상자 중 12명이 노르말리앵 출신이다. 명단은 다음과 같다.
수상자 | 수상 연도 |
---|---|
로랑 슈바르츠(Laurent Schwartz) | 1950년 |
장-피에르 세르(Jean-Pierre Serre) | 1954년 |
르네 톰(René Thom) | 1958년 |
알랭 콘(Alain Connes) | 1982년 |
장-크리스토프 요코즈(Jean-Christophe Yoccoz) | 1994년 |
피에르-루이 리옹(Pierre-Louis Lions) | 1994년 |
로랑 라포르그(Laurent Lafforgue) | 2002년 |
웬델린 베르너(Wendelin Werner) | 2006년 |
응오 바오쩌우(Ngô Bảo Châu) | 2010년 |
세드릭 빌라니(Cédric Villani) | 2010년 |
위고 뒤미닐-코팽(Hugo Duminil-Copin) | 2022년 |
장-피에르 세르는 2003년 최초의 아벨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졸업생 이브 메이어(Yves Meyer)는 아벨상을 수상했다.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8명의 노르말리앵은 다음과 같다.
수상자 | 수상 연도 |
---|---|
클로드 코앙-타누지(Claude Cohen-Tannoudji) | 1997년 |
피에르-질 드 젠(Pierre-Gilles de Gennes) | 1991년 |
알베르 페르(Albert Fert) | 2007년 |
알프레드 카스트러(Alfred Kastler) | 1966년 |
가브리엘 리프만(Gabriel Lippmann) | 1908년 |
루이 넬(Louis Néel) | 1970년 |
장 밥티스트 페랭(Jean Baptiste Perrin) | 1926년 |
세르주 아로슈(Serge Haroche) | 2012년 |
다른 ENS 물리학자로는 랑주뱅 역학과 랑주뱅 방정식을 개발한 것으로 유명한 폴 랑주뱅(Paul Langevin)이 있다. 졸업생 폴 사바티에(Paul Sabatier)는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6. 2. 철학
앙리 베르그송(1878년)과 장 폴 사르트르(1924년)는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88] 이 외에도 레이몽 아롱(사르트르와 같은 해에 입학), 모리스 메를로 퐁티(1926년), 시몽 베이유(1928년), 루이 알튀세르(1939년), 미셸 푸코(1946년), 자크 데리다(1952년), 알랭 바디우, 자크 랑시에르, 에티엔 발리바르(1960년), 베르나르 앙리 레비(1968년) 등이 이 학교 출신이다.[88]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은 1960년대에 ENS에서 강의를 했으며, 그의 제자들인 자크 알랭 밀러와 세계정신분석학회의 초대 회장인 장 클로드 밀너도 이곳에서 교육을 받았다.[79]6. 3. 역사 및 문학
이 학교는 오랫동안 문학인 양성소로서 명성을 쌓아왔다. 졸업생으로는 소설가이자 극작가 장 지라두(''트로이 전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암피트리온 38'' 등), 소설가 쥘리앵 그라크(반대편 해안) 등이 있다.[88] 폴 첼란과 노벨 문학상 수상자 사무엘 베케트는 이 학교의 교수였다.[88] ''유니미즘''의 창시자 쥘 로맹, 수필가 폴 니장과 로베르 브라시야, 노벨 문학상 수상자 로맹 롤랑, 시인 샤를 페기 등도 이 학교에서 교육받았다.[88]이 학교는 귀스타브 랑송 전 학장부터 20세기 주요 인물인 폴 베니슈, 장 피에르 리샤르, 제라르 제네트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문학 비평 및 이론의 중심지였다.[88]
네그리튀드 운동의 창시자인 에메 세제르는 루이 르 그랑 리세에서 입학 시험을 준비하고 통과했으며, 미래의 세네갈 대통령이자 동료 네그리튀드 작가인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와 친구였다. (상고르는 입학 시험에 떨어졌다.)[88] 아시아 제바르와 에릭 에마뉘엘 슈미트도 이 학교에 다녔다.[88]
이 학교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역사 교육이었다. 19세기 후반에 이 학교를 다닌 후 다시 학교를 이끌게 된 뉘마 드니 푸스텔 드 쿨랑주, 에르네스트 라비스, 제롬 카르코피노를 시작으로, 많은 저명한 역사가들을 배출했다.[88] 앙날학파의 창시자가 될 마르크 블로크와 뤼시앵 푸브르도 이 학교에서 공부했다.[88]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의 역사가인 자클린 드 로밀리와 피에르 그리말은 1933년부터 이 학교에서 공부했다.[88] 한문학자 마르셀 그라네, 중세학자 자크 르 고프, 이집트학자 가스통 마스페로, 고고학자 폴 베인, 절대왕정 전문가 에마뉘엘 르 로이 라뒤리, 콜럼버스 이전 시대 문명 인류학자 자크 수스텔도 이 학교를 다녔다.[88] 프로토인도유럽어 종교에서의 주권 분석을 통해 비교 언어학과 신화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고대 사회의 계급에 대한 삼기능설을 제시한 조르주 뒤메질 또한 이 학교 출신이다.[88]
6. 4. 사회과학 및 경제학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은 1879년경 이 학교에 재학했으며, 사회학 학문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88] 1950년대 초에는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이 학교에서 공부했다. 그는 사회 내 권력 역학과 세대를 거친 권력 전승을 연구하고 프랑스의 ''그랑제콜'' 시스템, 특히 그 시스템의 대표 주자인 ENS를 비판했다.[88] 그의 지적 라이벌인 방법론적 개인주의자 레이몽 부동(Raymond Boudon)도 같은 시기에 ENS에 재학했으며, 둘 다 학교 졸업 후 철학 ''아그레가시옹''(agrégation) 시험을 통과했다.[88] 모리스 알브와(Maurice Halbwachs), 알랭 투랭(Alain Touraine), 필립 데스콜라(Philippe Descola)도 이 학교의 주요 사회학자 및 인류학자들이다.[88] 현대 프랑스 지리학과 프랑스 지정학 학파의 창시자인 폴 비달 드 라 블라슈(Paul Vidal de La Blache)는 1863년부터 이 학교에 재학했다.[88] 리보의 법칙(Ribot's Law)을 개발한 것으로 유명한 심리학자 테오듈 르보(Théodule Ribot)도 이 학교 출신이다.[88]이 학교는 경제학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제라르 드브뢰(Gérard Debreu)는 1983년 알프레드 노벨 경제학상(Bank of Sweden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을 수상했다.[88] 에마뉘엘 사에즈(Emmanuel Saez)는 2009년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John Bates Clark Medal)을 수상했고,[88] 에스터 뒤플로(Esther Duflo)는 2010년 같은 메달과 2019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88]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는 2013년 베스트셀러 ''21세기 자본''(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을 저술했다.[88] 2000년 이후 프랑스 최우수 젊은 경제학자상(Prix du meilleur jeune économiste de France) 수상자 20명 중 10명이 ENS 동문이다.[88] 여기에는 앙투안 보지오(Antoine Bozio) (사회과학 고등연구원(EHESS)에서 강의), 카밀 랑다(Camille Landais) (런던정경대학교(LSE)), 에마뉘엘 파리(Emmanuel Farhi) (하버드 대학교(Harvard)), 파스칼린 뒤파(Pascaline Dupas)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자비에 가바이(Xavier Gabaix) (하버드) 등이 포함된다.[88]
6. 5. 정치 및 행정
쥘 시몽, 레옹 블룸, 에두아르 에리오, 폴 팽르베와 사회주의 지도자 장 조레스가 초기 사례이다. 당시 ENS 출신 졸업생 및 지식인들 중 상당수가 사회주의에 매료되었는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레지스탕스 영웅이자 주요 국민 지도자였던 피에르 브로소레트가 그 예이다. 그 이후로도 ENS는 좌파 학교로 인식되어 왔다.[89] 나중에 ENS가 국립행정학교의 준비 단계로 여겨지면서, 정치와 공공정책에 관심 있는 젊은 학생들이 점점 더 ENS에 끌리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로는 프랑스의 대통령 조르주 퐁피두, 총리 알랭 쥐페와 로랑 파비우스, 그리고 브뤼노 르 메르와 미셸 사팽 등 프랑스 재무장관을 역임한 장관들이 있다.이름 | 졸업 연도 | 주요 경력 |
---|---|---|
장 조레스 | 1878년 | 정치가, 온건 공화주의자 (제1차 세계 대전기에 암살) |
레옹 블룸 | 1890년 | 프랑스의 총리 |
에두아르 에리오 | 1891년 | 프랑스의 총리 |
조르주 퐁피두 | 1931년 | 프랑스의 대통령 |
알랭 쥐페 | 1964년 | 프랑스의 총리 |
로랑 파비우스 | 1966년 | 프랑스의 총리 |
브뤼노 르 메르 | 1989년 | 현 경제재정부 장관 |
앤 로버전 | 1978년 | 코젬 최고경영자, 아레바 최고경영자 |
7.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프랑스의 고등사범학교(ENS)는 1794년 프랑스 혁명기에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이후, 프랑스 사회의 엘리트 교육기관으로 자리 잡았다.[84] ENS는 학문 간 융합과 연구 중심 교육을 통해 사회 각 분야의 지도자를 양성하고 국가 발전에 기여해 왔다.
한국 사회는 ENS의 사례를 통해 국가 주도의 엘리트 교육 시스템이 가지는 장점과 단점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ENS의 교육 방식은 학문 간 융합과 연구 중심 교육을 강조하며, 이는 한국의 고등 교육 시스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ENS가 가진 엘리트주의와 폐쇄성은 한국 사회가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ENS와 같이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교육 기회의 균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ENS는 노벨상 수상자 14명, 필즈상 수상자 14명을 배출할 정도로(2018년까지 List of Fields Medal winners by university affiliation)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소수 정예 엘리트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randes dates ENS
https://www.ens.psl.[...]
2020-07-01
[2]
웹사이트
L'Institution - École normale supérieure - Paris
https://web.archive.[...]
2014-11-20
[3]
웹사이트
Decree of 11 June 2009
http://www.enseignem[...]
French Ministry of Higher Education
2014-11-20
[4]
웹사이트
Frédéric Worms nommé à la tête de l'École normale supérieure
https://acteurspubli[...]
2024-04-01
[5]
웹사이트
Faits et chiffres – École normale supérieure – Paris
https://web.archive.[...]
Ens.fr
2014-05-15
[6]
논문
The Ecole Normale Supérieure and the Third Republic
https://www.persee.f[...]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20-05-01
[7]
논문
Trois Études Sur L'école Normale Supérieure
https://www.jstor.or[...]
2023-11-03
[8]
웹사이트
Small vocabulary for the use of the normaliens ENS
https://www.ens.psl.[...]
2023-11-03
[9]
웹사이트
ENS Cachan Bretagne – Les écoles de l'an III
http://www.bretagne.[...]
Bretagne.ens-cachan.fr
2014-05-15
[10]
간행물
La mixité à dominance masculine : l'exemple des filières scientifiques de l'École normale supérieure d'Ulm-Sèvres
http://books.openedi[...]
ENS Éditions
2023-11-03
[11]
논문
Hsu & Wai survey of universities worldwide ranked by ratio of Nobel laureates to alumni
2016-10-07
[12]
웹사이트
Top universities – University profiles
http://www.topuniver[...]
Top Universities
2014-11-19
[13]
법률
Law of 10 May 1806 relative to the creation of the Imperial University, article 118.
[14]
웹사이트
Historical article on ENS by Pollens
https://web.archive.[...]
lemonde.fr
2016-10-12
[15]
서적
Universités et grandes écoles à Paris : les palais de la science
Action artistique de la ville de Paris
[16]
웹사이트
Pour une histoire de l'École normale supérieure: Source d'archives 1794-1993
http://books.openedi[...]
Éditions Rue d'ULM via OpenEdition
[17]
서적
The Ecole Normale Supérieure and the Third Republic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8]
논문
Quelques scientifiques ayant enseigné en classe préparatoire aux grandes écoles
2011-04
[19]
문서
AUx oRIGINES DE IJ\ KHAGNE 31
[20]
웹사이트
Pour une histoire de l'École normale supérieure: Source d'archives 1794-1993
http://books.openedi[...]
Éditions Rue d'ULM via OpenEdition
[21]
법률
Decree of 26 August 1987
[22]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Bourges biography of Simone Weil
http://www.encyclope[...]
encyclopedie-bourges.com
2016-10-12
[23]
법률
Decree of 24 July 1985 relative to the creation of public establishments of a scientific nature (EPCSCP).
[24]
뉴스
Article on the fusion of ENS Lyon and ENS-LSH referencing the former merger of Ulm and Sèvres
http://www.lemonde.f[...]
lemonde.fr
2016-10-12
[25]
뉴스
France's educational elite
https://www.telegrap[...]
2019-02-05
[26]
서적
The State Nobility: Elite Schools in the Field of Power
https://books.google[...]
Stanford UP
2022-02-05
[27]
웹사이트
What are Grandes Ecoles Institutes in France?
https://www.mbacryst[...]
[28]
웹사이트
FAQ about International selection
https://www.ens.psl.[...]
École normale supérieure
2022-02-05
[29]
뉴스
FT European Business Schools Ranking 2021: France dominates
https://www.ft.com/c[...]
2022-01-26
[30]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in France
https://global.bsb-e[...]
BSB
2022-01-26
[31]
웹사이트
Conférence des grandes écoles: commission Accréditation
https://www.cge.asso[...]
Conférence des grandes écoles
2022-01-21
[32]
웹사이트
Etablissements dispensant des formations supérieures initiales diplômantes conférant le grade de master
https://www.enseigne[...]
Ministère de l'Enseignement supérieur, de la Recherche et de l'Innovation
2022-01-16
[33]
웹사이트
Les recherches sociologiques sur les grandes écoles : de la reproduction à la recherche de justice
http://www.cairn.inf[...]
2008
[34]
웹사이트
Les inégalités sociales d'accès aux grandes écoles
http://www.insee.fr/[...]
INSEE
[35]
논문
L'École normale supérieure et l'Académie des Inscriptions et Belles-Lettres : passé, présent et futur
[36]
서적
La rue d'Ulm
[37]
웹사이트
ENS Doctoral School
https://www.ed540.en[...]
2019-10-23
[38]
웹사이트
ENS PhD programs
https://www.ens.fr/e[...]
2019-10-23
[39]
웹사이트
Law granting ENS students the status of civil servants
http://www.legifranc[...]
Légifrance (French government legal database)
2014-11-22
[40]
웹사이트
DMA – Department of Mathematics
http://www.dma.ens.f[...]
2014-11-21
[41]
웹사이트
FIP – Department of Physics
http://fip.phys.ens.[...]
2014-11-21
[42]
웹사이트
DI –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https://www.di.ens.f[...]
2019-08-23
[43]
웹사이트
Department of Chemistry
http://www.chimie.en[...]
2014-11-21
[44]
웹사이트
Department of Biology
http://www.biologie.[...]
2014-11-21
[45]
웹사이트
TAO – Department of Geoscience
http://www.tao.ens.f[...]
2014-11-21
[46]
웹사이트
DEC – Department of Cognitive Science
http://www.cognition[...]
2014-11-21
[47]
웹사이트
Department of Philosophy
http://www.philosoph[...]
2014-11-21
[48]
웹사이트
LILA – Department of Literature and Language
http://www.lila.ens.[...]
2014-11-21
[49]
웹사이트
Department of History
http://www.histoire.[...]
2014-11-21
[50]
웹사이트
CEA – Department of Classics
http://www.antiquite[...]
2014-11-21
[51]
웹사이트
Jourdan – Department of Social Science
http://www.paris-jou[...]
2014-11-21
[52]
웹사이트
Department of Economics
http://economie.ens.[...]
2016-10-12
[53]
웹사이트
Paris School of Economics
http://www.parisscho[...]
2014-11-21
[54]
웹사이트
Department of Geography
http://www.geographi[...]
2014-11-21
[55]
웹사이트
Passerelle des arts – Department for the History and Theory of Art
http://www.dhta.ens.[...]
2014-11-21
[56]
웹사이트
ECLA - ENS Language Laboratory
http://ecla.ens.fr/
2016-10-12
[57]
웹사이트
The ENS diploma
http://www.ens.fr/ad[...]
2014-11-22
[58]
뉴스
Article from the ''Nouvel obs''
http://bibliobs.nouv[...]
bibliobs.nouvelobs.fr
2011-12-02
[59]
웹사이트
Halley integrated catalogue of the Rubens libraries
http://halley.ens.fr[...]
2015-02-14
[60]
문서
Base Mérimée
[61]
서적
Administration et bibliothèques
2006
[62]
웹사이트
ENS sciences expérimentales
http://www.bib.ens.f[...]
2014-11-22
[63]
웹사이트
ENSSIB – French record of new libraries
https://web.archive.[...]
2014-11-22
[64]
웹사이트
Paris Sciences et Lettres – history
https://web.archive.[...]
2014-11-22
[65]
웹사이트
Atomium culture – member universities
http://atomiumcultur[...]
2014-11-22
[66]
웹사이트
PSE – master's page
http://www.parisscho[...]
2014-11-21
[67]
웹사이트
Scuola Normale Superiore – history
https://web.archive.[...]
sns.it
2014-11-20
[68]
뉴스
People's Daily Online - Article on ENS -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partnership
http://french.people[...]
peopledaily.com.cn
2005-06-22
[69]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CNRS Laboratory " SALADYN "
http://www.ambafranc[...]
ambafrance-cn.org
2014-11-21
[70]
웹사이트
Remarque at ENS
http://remarque.as.n[...]
2014-11-21
[71]
웹사이트
ENS – list of partnerships
http://www.ens.fr/IM[...]
ens.fr
2014-11-20
[72]
웹사이트
Online "Savoirs" platform
http://savoirs.ens.f[...]
2014-11-21
[73]
웹사이트
Online "Les Ernest" platform
http://www.les-ernes[...]
2014-11-21
[74]
웹사이트
Home
http://www.presses.e[...]
2007-04-02
[75]
웹사이트
Fondation ENS – accueil
http://www.fondation[...]
2015-02-14
[76]
웹사이트
Times Higher Education Ranking of Small Universities
https://www.timeshig[...]
2016-01-25
[77]
웹사이트
Times Ranking of French Universities
https://www.timeshig[...]
2016-05-18
[78]
학술지
Article on the Bicentenary book directed by Jean-François Sirinelli
http://www.persee.fr[...]
1996
[79]
학술지
Report on the 1964 Seminar
[80]
웹사이트
Decree of 11 June 2009
http://www.enseignem[...]
French Ministry of Higher Education
2014-11-20
[81]
웹사이트
Faits et chiffres – École normale supérieure – Paris
http://www.ens.fr/sp[...]
Ens.fr
2014-05-15
[82]
웹사이트
École normale supérieure 公式サイト トップページ
https://www.ens.fr
École normale supérieure
2019-06-18
[83]
웹사이트
NORMALIEN : Définition de NORMALIEN
https://www.cnrtl.fr[...]
Centre national de ressources textuelles et lexicales
2020-06-22
[84]
웹사이트
ENS Cachan Bretagne – Les écoles de l'an III
https://www.ens-renn[...]
Bretagne.ens-cachan.fr
2023-05-20
[85]
웹사이트
normalien
https://www.psl.eu/e[...]
PSL Research University
2019-06-18
[86]
서적
娘時代――ある女の回想
紀伊國屋書店
[87]
서적
젊은 유럽 ― 파리 유학기
중앙공론신사
[88]
서적
에밀 뒤르케임 : 사회 실재로
도서출판 길
2019
[89]
뉴스
‘프랑스의 엘리트 공장’이 영어로 수업
http://weekly1.chosu[...]
주간조선
2006-02-28
[90]
문서
이탈리아 피사, 베트남의 하노이, 코트디부아르의 아비장, 알제리의 알제, 콘스탄틴, 오랑, 모리타니의 누악쇼트, 튀니지의 튀니스, 마다가스카르의 안타나나리보, 프랑스에 4지역에 같은 이름의 ENS가 존재한다. Agence universitaire de la francophonie에 의하면 오늘날 전 세계에 20개 정도의 ENS가 존재한다.
[91]
웹사이트
THES 세계대학평가
http://www.timeshigh[...]
[92]
서적
김덕영(2019), 32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