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벚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벚나무는 한라산과 대둔산에 자생하는 벚나무의 일종이다. 대한민국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여러 자생지가 있으며, 1908년 에밀 타케 신부에 의해 처음 채집되었다. 형태학적으로 벚나무와 유사하나, DNA 연구 결과 에도히간과 산벚나무 또는 겹벚나무의 자연 잡종으로 밝혀졌다. 1960년대 이후 일본에서 기증된 벚꽃(소메이요시노)이 대규모로 식재되면서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현재는 소메이요시노가 한국 원산이 아니며 왕벚나무와 다른 종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2년 기재된 식물 - 사막라임
사막라임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산의 감귤류로, 극한 환경에 적응한 오스트레일리아 라임의 한 종류이며, 독특한 맛과 향으로 요리 재료나 설탕 절임, 음료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된다. - 1932년 기재된 식물 - 아체타불라리아 류큐엔시스
아체타불라리아 류큐엔시스는 1cm 크기의 원뿔형 갓과 10cm 길이의 자루를 가진 거대한 단세포 녹조류로, 갓 크기와 포자 가지 수가 계절에 따라 변하며 일본 고유종으로 아마미오시마와 야에야마 제도에 분포한다. - 벚나무 - 센본자쿠라
센본자쿠라는 일본의 벚꽃 명소 또는 벚꽃 관련 작품의 제목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벚꽃 명소와 축제, 하츠네 미쿠의 노래, 만화 《BLEACH》의 무기, 경주마의 이름 등으로 사용된다. - 벚나무 - 양벚나무
양벚나무는 잎자루에 붉은색 샘이 있고,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열매를 맺는 낙엽활엽수로, 관상수, 목재, 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 벚나무속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벚나무속 - 벚꽃
벚꽃은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나무의 꽃으로, 다양한 종과 재배 품종이 존재하며, 봄의 상징으로서 일본의 하나미 문화를 비롯한 여러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일제강점기 시대에는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악용되기도 했고,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로 개화 시기가 빨라지고 있다.
제주벚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runus × nudiflora (프루누스 × 누디플로라) |
이명 | Cerasus × nudiflora (케라수스 × 누디플로라) Prunus × yedoensis var. nudiflora (프루누스 × 예도엔시스 var. 누디플로라) |
한국어 이름 | 왕벚나무 (왕벛나무) 왕벚꽃 (왕벛꽃) |
영어 이름 | Jeju flowering cherry (제주 플라워링 체리)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피자식물문 |
강 | 쌍떡잎식물강 |
아강 | 장미아강 |
목 | 장미목 |
과 | 장미과 |
아과 | 벚나무아과 |
속 | 벚나무속 |
아속 | 벚나무아속 |
절 | 벚나무절 |
분포 | |
자생지 | 한라산 |
기타 | |
학명 명명자 | (Koehne) Koidz. (쾨네, 고이즈미) |
2. 분포
제주벚나무는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과 전라북도 대둔산에 자생한다.[108] 한라산에서는 해발 165m에서 853m 사이에 194그루가 분포하며,[109][110] 2017년 4월 기준으로 194그루가 확인되었다.[60]
대한민국에서는 제주벚나무 자생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자생지 | 지정 번호 | 지정 연도 | 위치 |
---|---|---|---|
제주 관음사 왕벚나무 자생지 | 제주도 기념물 제51호 | 1999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 천연기념물 제159호 | 1964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제주 신례리 왕벚나무 자생지 | 천연기념물 제156호 | 1964년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 천연기념물 제173호 | 1966년 | 전라북도 해남군 |
키는 10~15m쯤 되며, 줄기는 회갈색이거나 짙은 회색이며, 가로로 긴 껍질눈이 있다.[111][112] 나이가 많이 든 나무는 세로로 껍질이 갈라진다.[112] 잎은 어긋나고 타원꼴 달걀 모양(타원상 난형) 또는 거꿀달걀 모양(도란형)이며, 가장 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 끝에 2개의 꿀샘이 있다.[108] 벚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3~6개가 산형으로 달린다.[108] 꽃봉오리는 분홍색이 돌고 활짝 피면 백색이다.[108] 둥근 버찌가 6~7월에 적홍색에서 자흑색으로 익는다.[108] 씨를 맺는 것이 매우 부실하여, 자연적으로는 많이 퍼지지 못한다.[113]
1908년 프랑스인 신부 타케가 한라산에서 처음 채집하였고,[107] 1912년 독일 식물학자 쾨네가 왕벚나무(*P. yedoensis*)의 새로운 변종 *var. nudiflora*로 보고하였다.[23][참고 1]
1901년, 진조 마츠무라는 왕벚나무의 원산지인 에도(현재의 도쿄)를 따서 ''Prunus yedoensi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13] 1916년, 어니스트 헨리 윌슨은 왕벚나무가 ''Prunus subhirtella var. ascendens''와 ''Prunus lannesiana''의 잡종이라고 제안했다.[14] 이후 왕벚나무는 ''Prunus × yedoensis''로 불리게 되었다.[15] 2016년, 가쓰키 등은 왕벚나무가 잡종이고 ''Prunus × yedoensis''와 유전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Cerasus × nudiflora''라는 새로운 이름을 제안했다.[16]
2017년 현재, 대한민국에 식재된 벚나무의 대부분은 일본에서 유래되었거나 일제강점기 동안 심어진 나무에서 접목된 것으로 알려진 왕벚나무이다.[40] 이러한 나무들을 한국 고유의 왕벚나무로 대체하려는 노력으로, 우수한 품종의 왕벚나무를 증식하려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40]
제주벚나무는 1908년 프랑스 신부 타케가 제주도에서 발견했고, 1912년 독일 식물학자 쾨네가 신종으로 인정했다. 왕벚나무는 자연 번식이 어려운 종간 잡종이며, 야생 개체 수가 적어 독립된 종으로 보기 어렵다.[54]
3. 생태
왕벚나무는 서식지에서 개체 수가 매우 드물다. 1962년 최초의 한국 공식 식물 자원 조사팀은 세 그루를 발견했고, 1963년에는 또 다른 세 그루를 발견했다.[20] 1965년, 한창열은 한라산에 자생하는 벚나무는 대부분 ''Prunus subhirtella'' var. ''pendula'' form. ''ascendens'' (''Edo higan'')와 ''Prunus donarium'' (''Yamazakura'')이며, 왕벚나무는 희귀하여 반세기 동안 약 10개체 정도가 발견되었다고 보고했다.[21] 1998년에는 한라산 주변에서 33그루가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다.[1] 2015년 3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한국산림과학원 온대·아열대산림연구센터는 한라산 왕벚나무 173개 지점에서 194그루를 발견했다. 이 나무들은 해발 165m에서 853m 사이의 고도에 위치해 있으며, 높이는 5~19m, 직경은 15~145cm, 수령은 15~265년이다.[4]
왕벚나무는 현재 희귀종으로서 한국의 멸종위기종 (IUCN적색 목록은 아님)으로 지정되어 있다.[58][59] 2017년 4월 시점에서 194그루가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에서 확인되었다.[60]
왕벚나무는 형태학적으로 벚나무와 유사하다. 요 타케나카는 1933년 제주도를 방문하여 왕벚나무의 꽃받침 갈래와 잎 뒷면에 털이 적고, 꽃자루가 더 짧다는 것을 관찰했다.[27] 1998년, 김찬수는 꽃, 잎, 열매, 씨앗의 18가지 형질에 대한 형태적 변이를 연구했는데, 왕벚나무 대부분의 형질은 벚나무보다 크기가 작았지만, 왕벚나무 형질 변이의 한계는 다소 넓었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벚나무 꽃받침통은 컵 모양인 반면, 왕벚나무는 쐐기 모양이며, 또한 벚나무 꽃차례는 산방화서인 반면 왕벚나무는 산형화서라는 것이다.[1][22]
DNA 조사 결과 왕벚나무는 별개 종으로 확인되었다.[70] DNA 연구에 따르면, 모계는 에드히간, 부계는 산벚나무 또는 겹벚나무의 자연 교잡종으로 알려져 왔지만,[71][72] 2017년 1월, 산림종합연구소는 왕벚나무가 에도히간과 겹벚나무의 종간 잡종임을 발표했다.[73][74][75]
4. 분류학적 계통과 역사
한라산 자생 왕벚나무는 산벚나무와 올벚나무의 자연 잡종으로 추정되어 왔으며,[114][115] 1977년 동질효소 연구로 왕벚나무가 올벚나무와 산벚나무 사이의 종간 잡종임이 밝혀졌다.[116] 이후 한라산 자생 제주벚나무(*P.* × *nudiflora*)와 일본산 재배종 왕벚나무(''P. × yedoensis'')가 다른 분류군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03][117]
일본 학계에서는 재배종 왕벚나무의 기원을 올벚나무와 오시마벚나무(일본 고유종)의 잡종으로 보는 것이 주류이다.[119] 2016년 일본의 연구에 따르면 재배종 왕벚나무는 올벚나무와 오시마벚나무의 종간 잡종으로 확인되었다.[105][106]
한국 학계에서는 자생 왕벚나무를 한국 고유종으로 간주하고, 재배종 왕벚나무의 제주도 기원설을 주장하기도 한다.[118] 하지만,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자생 왕벚나무와 재배종 왕벚나무는 다른 종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120][121][122][123]
2005년 정용환 등은 엽록체 DNA의 rbcL 유전자와 trnL-trnF 비전사 스페이서의 염기 서열을 사용하여 계통 발생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왕벚나무와 왕벚나무가 유전적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는 결론을 내렸다.[29][30][31]
2007년 마크 S. 로(Mark S. Roh) 등은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마커와 두 엽록체 DNA 유전자 rpl16 및 trnL-trnF 스페이서의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해 왕벚나무가 고유종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왕벚나무와는 뚜렷하게 구별되어 별개의 개체로 인정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
2016년 조명숙 등은 두 cpDNA 영역(rpl16 유전자 및 trnS-trnG 비전사 스페이서)의 염기 서열을 기반으로 계통 발생도와 하플로타입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비교 계통 발생학적 분석을 수행했다. 이 연구에서 왕벚나무와 왕벚나무는 계통 발생도와 하플로타입 네트워크 모두에서 서로 구별되었다.[32]
2016년 조명숙 등은 nrDNA ITS 데이터에 대한 계통 발생 분석과 cpDNA 하플로타입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왕벚나무와 왕벚나무 간의 독립적인 기원을 각각 제안했다.[33]
2017년 정은주 등은 8개의 엽록체 DNA(cpDNA) 비암호화 영역의 서열 다형성을 사용하여 두 개의 뚜렷한 그룹인 왕벚나무와 왕벚나무를 구별할 수 있었다.[35]
5. 명칭
한국 이름 ''왕벚나무''는 1963년 한국 공식 식물 자원 조사팀이 세 그루의 나무를 발견하면서 만들어졌다.[17][18][19][20] ''왕벚나무''는 "왕벚나무"를 의미하며, ''왕벚꽃''은 "왕벚꽃"을 의미한다. 벚나무와 왕벚나무를 구별해야 할 때는 벚나무의 일본어 이름의 음역인 ''소메이요시노''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에이슈자쿠라''', '''사이슈자쿠라''' (영주벚나무) 외에 '''탄나야마자쿠라''' (탐라산벚나무)라고도 불린다.[81]
6. 재배
1996년, 산림청 임목육종연구소(구 온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조직 배양으로 인공 번식된 왕벚나무 40그루를 심었으며, 이 나무들은 2003년에 처음으로 개화했다.[41] 온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2000년부터 90000m2의 보존 지역을 개발하여 현재 3,000그루의 왕벚나무를 재배하고 있다.[40] 2017년 4월, 연구소는 한남시험림에 100000m2 규모의 왕벚나무 재배 농장을 개발하고 4~5년생 왕벚나무 4,150그루를 심었다고 발표했다. 연구소는 2022년까지 이 면적을 250000m2로 확장하고 총 20,000그루의 왕벚나무를 재배할 계획이다.[40]
7.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재배종 왕벚나무)의 관계
한국에서는 왕벚나무가 소메이요시노의 기원이며 제주도가 원산지라는 설이 널리 퍼져 있었다. 진해는 일본 제국 해군이 만든 군항으로, 일본인들이 소메이요시노를 심어 벚꽃 명소가 되었지만, 광복 이후 일본 제국의 잔재로 여겨져 벌채되었다. 그러나 소메이요시노가 제주도 원산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소메이요시노에 대한 반감이 사라졌고, 국가 차원에서 벚나무 심기가 장려되어 한국에 심어진 벚나무의 대부분은 소메이요시노가 되었다.[55]
1950년 한국 전쟁 이후 황폐해진 산림을 복구하기 위해 1960년대 이후 재일 한국인들이 6만 그루의 소메이요시노를 기증했다.[61][62] 1974년에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소메이요시노가 전국에 심어졌다. 한국에 자생하지 않는 벚나무 대부분이 소메이요시노이며, 제주도에도 대규모로 심어져 있어 자생 왕벚나무가 소멸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63] 왕벚나무는 열매가 잘 맺히지 않아 자연 번식이 어렵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2015년에는 한국에서 '왕벚나무 세계화'를 위한 국제 심포지엄이 개최되었고,[64]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왕벚나무 묘목 대량 생산에 성공했다는 발표도 있었다.[65]
2022년 조사에 따르면 국회의사당과 여의도 주변 벚나무의 90% 이상이 일본 원산 소메이요시노였고, 왕벚나무는 한 그루도 없었다.[66][67] 진해 여좌천변의 99.7%, 경화역 주변 벚나무의 91.1%가 1960년대에 일본에서 들여온 소메이요시노였고, 나머지도 일본산 수양벚나무 등으로 왕벚나무는 없었다.[68][69]
7. 1. 과거의 혼동
제주벚나무의 일부 개체가 소메이요시노(벚나무)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과거에는 제주도에 자생하는 제주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가 같은 종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1908년 4월 14일 프랑스 신부인 타케(Taquet)가 제주도 서귀포시 한라산 북쪽 관음사 뒷산 해발 600미터 지점에서 제주벚나무를 채집했다.[92][93] 1912년, 독일 베를린 대학교의 식물학자 쾨네는 채집된 표본을 바탕으로 소메이요시노의 변종이라고 보고했다.
일본의 고이즈미도 제주도에 자생하는 제주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가 같은 종이라고 주장했다.[24] 그러나 건조 표본이 남아 있지 않아 이 주장은 당시부터 의심을 받았다. 현재는 소메이요시노가 에도히간과 일본 고유종인 오오시마자쿠라를 교배하여 인공적으로 번식시킨 클론 원예 품종 벚나무라는 것이 DNA 지문법이나 핵 SSR(단일 염기 서열 반복)법 등의 유전자 분석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소메이요시노는 한국 원산이 아니며, 제주벚나무와 같은 종도 아니다.
1962년, 타케나카는 형태학적 연구를 통해 왕벚나무의 한국 기원 가능성을 배제했다.[27][28]
7. 2. 현재의 과학적 결론
DNA 지문법, 핵 SSR(단일 염기 서열 반복)법 등 유전자 분석 결과, 소메이요시노(왕벚나무 (재배종))는 한국 원산이 아니며, 왕벚나무와 다른 종으로 밝혀졌다.[70] 소메이요시노는 에도히간과 오시마벚나무의 교잡으로 만들어진 원예 품종이다.[105][106] 오시마벚나무는 이즈제도에 자생하는 일본 고유종이며 제주도에는 분포하지 않는다.[105][106] 왕벚나무는 올벚나무와 산벚나무의 자연 교잡종이거나,[116] 올벚나무와 오시마벚나무의 자연 교잡종이다.[16]
7. 3. 한국에서의 소메이요시노 기원설 논란
한국에서는 해방 이후 벚꽃을 일본의 잔재로 여겨 벌채하기도 했다.[55] 그러나 1962년 식물학자 박만규와 부종휴가 진해의 벚나무가 제주도 원산이라는 주장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인식은 바뀌기 시작했다.
이후 한국에서는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벚꽃)가 같은 종이라는 주장이 지배적이 되었다. 주요 언론 매체들은 4월 즈음 벚꽃의 한국 기원설을 다루고, 해외 홍보를 하기도 한다.[92][93]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의 김창수 박사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제주도의 왕벚나무를 개량하여 대량 증식했고, 그중 3000그루를 미국에 기증한 것이 포토맥강변의 벚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92][93]
그러나 2018년,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명지대학교, 가천대학교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제주도 왕벚나무가 에조벚나무(모계)와 산벚나무(부계)의 자연 잡종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 결과는 Genome Biology영어 9월호에 발표되었다.[100][99] 중앙일보는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벚꽃 기원 논쟁이 "다소 허무하게 종지부를 찍었다"고 보도했다.[100]
이 연구를 바탕으로 국가 표준 식물 목록이 갱신되어 왕벚나무는 제주 왕벚나무(자생종)와 왕벚나무(재배종)로 분리되었다. 하지만 김창수 박사와 제주특별자치도 출신 국회의원 등은 이러한 결과가 왕벚나무의 한국 고유종 지위를 부정하고 일본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라며 비판했다.[102]
최근에는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가 다른 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2022년에는 사단법인 "왕벚나무 프로젝트 2050"이 발족하여, 이미 심어진 소메이요시노를 왕벚나무로 대체하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101]
이처럼 한국에서는 왕벚나무와 소메이요시노의 기원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으며, 학계의 연구 결과와 대중의 인식 사이에는 여전히 차이가 존재한다.
참조
[1]
논문
Natural habitat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and its morphological variation
http://e-kjpt.org/up[...]
[2]
서적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national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3]
논문
Vascular Plant Diversity of Jeju Island, Korea
http://ocean.kisti.r[...]
[4]
웹사이트
한라산 전역에 왕벚나무 자생...최고 수령 265년
http://www.yonhapnew[...]
Yonhapnews
2017-04-03
[5]
논문
Characterization of wild ''Prunus yedoensis'' analyzed by inter-simple sequence repeat and chloroplast DNA.
[6]
웹사이트
"[취재후] 꽃의 전쟁...벚꽃의 원산지는?"
http://news.kbs.co.k[...]
KBS
2014-04-11
[7]
웹사이트
포트맥 강변의 왕벚나무도 제주도산
http://pub.chosun.co[...]
2017-02-07
[8]
웹사이트
전국 봄꽃 축제 어디로 갈까?
http://www.edudonga.[...]
2017-03-23
[9]
웹사이트
왕벚꽃 100년 논란 "제주가 진짜 원산지"
http://www.yonhapnew[...]
2017-03-26
[10]
웹사이트
벚꽃 '한-일 원산지 논쟁' 왜 끝나지 않나
http://www.hani.co.k[...]
Hankyoreh
2015-04-03
[11]
웹사이트
"[단독]여의도 화려한 벚꽃뒤엔...일본 ''검은 속셈'' 있었나"
http://www.segye.com[...]
Segye.com
2008-01-22
[12]
웹사이트
때되면 한-일 원산지 논쟁, 벚꽃에게 물어봐!
http://ecotopia.hani[...]
The Hankyoreh
2015-04-03
[13]
논문
Cerasi Japonicæ duæ Species novæ
https://www.jstage.j[...]
[14]
논문
The Cherries of Japan
http://babel.hathitr[...]
[15]
논문
日本產サクラ屬の學名に就いて
http://dl.ndl.go.jp/[...]
[16]
논문
Nomenclature of Tokyo cherry (Cerasus × yedoensis 'Somei-yoshino', Rosaceae) and allied interspecific hybrids based on recent advances in population genetics
2016-12
[17]
웹사이트
진해군항제에 부치는 벚꽃 단상
http://www.knnews.co[...]
Gyeongnam Sinmun
2007-04-02
[18]
논문
소메이요시노, 왕벚나무, 벚꽃놀이 - 역사ㆍ문화와 과학의 관계 맺기 - [Yoshino cherry, King cherry, Cherry blossom viewing -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culture and science -]
2015-09
[19]
논문
한국 왕벚나무의 조사연구사
http://kiss.kstudy.c[...]
[20]
웹사이트
"[한라칼럼]왕벚나무의 선각자들"
http://www.ihalla.co[...]
Halla Ilbo
2011-04-13
[21]
논문
한라산 자생 왕벚 및 추정양친에 관한 연구 (II)
http://www.lafent.co[...]
[22]
웹사이트
Molecular Phylogeny of the Genus Prunus in Korea and Japan Inferred from Nuclear Ribosomal and Chloroplast DNA Sequences
http://203.253.194.3[...]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Cheju National University
2001-12
[23]
논문
95 ''Prunus yedoensis'' var. ''nudiflora'', nov. var.
https://www.biodiver[...]
[24]
논문
雑録 – 染井吉野桜の天生地分明かす
http://jboli.c.u-tok[...]
1932-06
[25]
논문
白瀧桜と緑吉野桜
http://jboli.c.u-tok[...]
[26]
웹사이트
제주벚나무
http://www.nature.go[...]
Korea National Arboretum
[27]
논문
The Origin of the Yoshino cherry tree
http://www2.odn.ne.j[...]
[28]
논문
Analyses of Clonal Status in 'Somei-yoshino' and Confirmation of Genealogical Record in Other Cultivars of Prunus × yedoensis by Microsatellite Markers
https://www.jstage.j[...]
[29]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Prunus(Rosaceae)in Korea and Japan Inferred from Chloroplast DNA Sequences
https://www.research[...]
2005-12
[30]
논문
Genetic relationship of Prunus yedoensis, native and cultivar,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ribosomal DNA
https://www.research[...]
1998-06
[31]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Korean Prunus ( Rosaceae ) Based on ITS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http://www.papersear[...]
2002-09
[32]
논문
Comparative phyl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wild and cultivated Prunus yedoensis Matsum. (Rosaceae) with regard to Taquet's collection
http://ocean.kisti.r[...]
[33]
논문
The origin of flowering cherry on oceanic islands: The saga continues in Jeju Island.
http://2016.botanyco[...]
[34]
웹사이트
Diplomacy Blossoms: The Secret History of DC's Favorite Tree
https://awolau.org/8[...]
2014-04-30
[35]
논문
Chloroplast Noncoding DNA Sequences Reveal Genetic Distinction and Diversity between Wild and Cultivated Prunus yedoensis
https://journals.ash[...]
[36]
논문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revealed hybrid origin of wild Prunus yedoensis (Rosaceae) from Jeju Island, Korea: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the flowering cherry
[37]
논문
Genomic clues to the parental origin of the wild flowering cherry Prunus yedoensis var. nudiflora (Rosaceae)
[38]
논문
Draft genome sequence of wild Prunus yedoensis reveals massive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sympatric flowering cherries
[39]
논문
Multiple Lines of Evidence for Independent Origin of Wild and Cultivated Flowering Cherry (Prunus yedoensis)
[40]
웹사이트
한라산 자생 우수품종 왕벚나무로 일본산 대체한다
http://www.yonhapnew[...]
2017-04-04
[41]
웹사이트
"[광복 70년•수교 50년 제주와 일본을 말하다/제1부 제주 왕벚의 세계화](3)대량생산 전초기지"
http://www.ihalla.co[...]
Halla Ilbo
2015-03-23
[42]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제156호
http://www.cha.go.kr[...]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43]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신례리 왕벚나무자생지(천연기념물 제156호)
http://www.jeju.go.k[...]
Jeju Province
[44]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제159호
http://www.cha.go.kr[...]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45]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신례리 왕벚나무자생지(천연기념물 제159호)
http://www.jeju.go.k[...]
Jeju Province
[46]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제173호
http://www.cha.go.kr[...]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47]
웹사이트
제주특별자치도
http://www.jeju.go.k[...]
2019-04-07
[48]
웹사이트
국가문화유산포탈 {{!}}
http://www.heritage.[...]
2019-04-07
[49]
논문
Studies on the Genus Prunus, (I): The Origin of Prunus yedoensis
1962-07-25
[50]
간행물
染井吉野櫻の天生地分明す
https://doi.org/10.1[...]
[51]
웹사이트
‘染井吉野’など、サクラ種間雑種の親種の組み合わせによる正しい学名を確立
https://web.archive.[...]
森林総合研究所
2017-01-18
[52]
뉴스
【噴水台】ソメイヨシノ起源論争の虚しい結末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2-01-15
[53]
웹사이트
This Week in Genome Biology
https://www.genomewe[...]
[54]
서적
桜
岩波新書
[55]
웹사이트
ソメイヨシノ韓国起源説に終止符? 日本文化の起源巡る韓国世論に変化の兆しか
https://www.newsweek[...]
2024-04-02
[56]
웹사이트
国立研究開発法人 森林研究・整備機構 森林総合研究所/‘染井吉野’など、サクラ種間雑種の親種の組み合わせによる正しい学名を確立
https://www.ffpri.af[...]
2024-04-02
[57]
웹사이트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海南 大屯山 왕벚나무 自生地)
http://www.cha.go.kr[...]
韓国文化庁
2017-04-03
[58]
서적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Second Edition
http://www.national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7-04-11
[59]
논문
Vascular Plant Diversity of Jeju Island, Korea
http://ocean.kisti.r[...]
2017-04-11
[60]
뉴스
한라산 전역에 왕벚나무 자생…최고 수령 265년
http://www.yonhapnew[...]
Yonhapnews
2017-04-11
[61]
웹사이트
韓国が桜の「起源」に固執する理由
https://wedge.ismedi[...]
崔 碩栄
2017-04-13
[62]
웹사이트
"{{Bracket|단독}}여의도 화려한 벚꽃뒤엔…일본 ''검은 속셈'' 있었나"
http://www.segye.com[...]
Segye.com
2017-04-11
[63]
서적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나무 백 가지
현암사
1995-02-28
[64]
웹사이트
済州自生王桜グローバル化の第一歩
http://www.ihalla.co[...]
漢拏日報
2015年4月10日
[65]
웹사이트
王桜後継種'天安市象徴種'で
http://www.newsis.co[...]
NEWSIS
2015年6月15日
[66]
뉴스
국회·여의도 벚나무 90% 일본산 '소메이요시노 벚나무' (国会・汝矣島の桜の90%は日本産「ソメイヨシノ桜」)
https://news.v.daum.[...]
News 1 Korea, Daum News.
2022-04-10
[67]
뉴스
국회·여의도 벚나무는 일본산… 토종 왕벚나무가 하나도 없다 (国会・汝矣島の桜は日本産… 土着の王桜が一つもない)
https://news.naver.c[...]
ソウル新聞, Naver News.
2022-04-10
[68]
문서
前述の通り、主に在日韓国人などが寄贈したソメイヨシノ
[69]
웹사이트
「진해 군항제 벚나무는 일본 벚나무 일색」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23-03-29
[70]
논문
Characterization of wild Prunus yedoensis analyzed by inter-simple sequence repeat and chloroplast DNA.
https://doi.org/10.1[...]
2011-04-19
[71]
논문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reveal hybrid origin of wild Prunus yedoensis (Rosaceae) from Jeju Island, Korea: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the flowering cherry
https://doi.org/10.3[...]
[72]
뉴스
환갑 맞은 생명과학 만학도의 벚꽃 사랑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5-01-21
[73]
PDF
‘染井吉野’など、サクラ種間雑種の親種の組み合わせによる正しい学名を確立
http://www.ffpri.aff[...]
国立研究開発法人 森林総合研究所
2017-01-18
[74]
논문
Nomenclature of Tokyo cherry (Cerasus × yedoensis 'Somei-yoshino', Rosaceae) and allied interspecific hybrids based on recent advances in population genetics
https://doi.org/10.1[...]
[75]
논문
Nomenclatural novelties appearing in Taxon 65 (6)
https://doi.org/10.1[...]
[76]
웹사이트
エイシュウザクラ (瀛洲桜)
https://web.archive.[...]
国立遺伝学研究所
2011-04-27
[77]
논문
Cerasi Japonicae duae Species novae.
https://doi.org/10.1[...]
1901
[78]
문서
なお、後にソメイヨシノの学名は[[アーネスト・ヘンリー・ウィルソン]]の研究でエドヒガンとオオシマザクラの交配種と考えられるようになり、×のついた"Prunus × yedoensis Matsum.”に変更されている。
[79]
웹사이트
Prunus leveilleana Koehne
http://www.theplantl[...]
2016-04-07
[80]
웹사이트
ウスゲヤマザクラ
http://www.digital-m[...]
2016-04-07
[81]
논문
白瀧桜と緑吉野桜
https://doi.org/10.1[...]
1933
[82]
웹사이트
済州桜
https://www.hananoka[...]
公益財団法人日本花の会
2022-04-14
[83]
웹사이트
桜ギャラリー
https://www.nig.ac.j[...]
国立遺伝子研究所
2022-04-14
[84]
문서
ENDLICHERI☆ENDLICHERIのシングル「[[ソメイヨシノ (曲)|ソメイヨシノ]]」の{{ISO639言語名|ko}}表記は「{{lang|ko|소메이요시노}}」となっている。
[85]
문서
王桜の木の意
[86]
문서
王桜の花の意
[87]
간행물
Prunus yedoënsis var. nudiflora, nov. var. Repert. Spec. Nov. Regni. Veg.
http://www.biodivers[...]
1912
[88]
논문
DNA fingerprinting study on the intraspecific variation and the origin of Prunus yedoensis (Someiyoshino).
2011-04-19
[89]
간행물
DNAからわかったサクラ品種の真実 ―そのほとんどは雑種が起源―
https://www.ffpri.af[...]
森林総合研究所
2014-06-16
[90]
간행물
Online Resource 5. Inferences, from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nd STRUCTURE analysis, on the origins of Japanese flowering cherry cultivars
http://static-conten[...]
2014-01-30
[91]
방송
ソメイヨシノの起源に迫る
http://tvmatome.net/[...]
NHK総合
2014-04-05
[92]
웹사이트
벚꽃? 일본산 아니다 '제주산'이 맞다
http://news.chosun.c[...]
朝鮮日報
2011-04-27
[93]
뉴스
<美 벚꽃축제의 주인공은 제주 왕벚꽃>
http://app.yonhapnew[...]
[94]
웹사이트
The Story of Cherry trees in Washington D.C.
http://www2.osk.3web[...]
[95]
웹사이트
NATIONAL PARK SERVICE HISTORY OF THE CHERRY TREES
http://www.nps.gov/c[...]
[96]
웹사이트
Characterization of Wild Prunus Yedoensis Analyzed by Inter-Simple Sequence Repeat and Chloroplast DNA
http://www.ars.usda.[...]
アメリカ農務省
2011-04-27
[97]
뉴스
꽃의 전쟁…벚꽃의 원산지는?
http://news.kbs.co.k[...]
韓国KBS
2014-04-11
[98]
뉴스
DC桜の原産地は済州島
http://www.koreadail[...]
米州中央日報
2015-04-07
[99]
논문
Draft genome sequence of wild Prunus yedoensis reveals massive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sympatric flowering cherries
https://doi.org/10.1[...]
2022-11-09
[100]
웹사이트
済州か日本か…ソメイヨシノ起源めぐる110年論争に終止符 {{!}} Joongang Ilbo {{!}}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2018-09-13
[101]
간행물
「王桜プロジェクト2050」 済州島自生の王桜を全国に広げる
http://world.kbs.co.[...]
2022-02-25
[102]
웹사이트
왕벚나무 '일본산?' 논란 자초 국립수목원, '바로잡기' 후속 연구
https://n.news.naver[...]
済州国際自由都市放送
2023-03-30
[103]
저널
Prunus yedoensis Matsum. is a native of Quelpaert!
http://jboli.c.u-tok[...]
2015-03-31
[104]
저널
왕벚나무의 自生地 및 形態變異
http://e-kjpt.org/up[...]
2017-05-14
[105]
저널
Nomenclature of Tokyo cherry (Cerasus × yedoensis 'Somei-yoshino', Rosaceae) and allied interspecific hybrids based on recent advances in population genetics
http://www.ingentaco[...]
2017-05-10
[106]
저널
Nomenclatural novelties appearing in ''Taxon'' 65 (6)
https://www.ingentac[...]
2017-05-10
[107]
저널
"''Prunus yedoënsis'' var. ''nudiflora'', nov. var"
http://www.biodivers[...]
2017-05-10
[108]
백과사전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계통과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 식물 > 왕벚나무
https://ko.wikisourc[...]
[109]
뉴스
“한라산 전역 왕벚나무 분포” 194그루 자생…꽃색 다양
http://www.jejumaeil[...]
제주매일
2017-04-03
[110]
웹인용
한라산 전체가 왕벚나무 자생지
http://www.forest.go[...]
2017-04-14
[111]
서적
조경수목 핸드북
광일문화사
2010-04-01
[112]
서적
나무 쉽게 찾기
진선출판사
2010-04-01
[113]
서적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나무 백가지
현암사
2010-04-01
[114]
저널
한라산자생의 왕벚 및 추정양친에 관하여
http://ocean.kisti.r[...]
2017-05-16
[115]
저널
한라산 자생 왕벚 및 추정양친에 관한 연구 (II)
http://ocean.kisti.r[...]
2017-05-16
[116]
저널
왕벚의 기원에 관한 연구 – 1. 한라산자생올벚, 재배왕벚 및 산벚의 전기영동형 비교
http://ocean.kisti.r[...]
2017-05-11
[117]
저널
한국왕벚나무의조사연구사
http://ocean.kisti.r[...]
2017-05-13
[118]
저널
소메이요시노, 왕벚나무, 벚꽃놀이
http://scholar.dkyob[...]
2017-05-14
[119]
저널
The Origin of the Yoshino Cherry Tree
http://www2.odn.ne.j[...]
2015-03-31
[120]
저널
RAPD 분석에 의한 한라산 자생 벚나무속 식물 및 재배 왕벚나무의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
https://www.e-kjpt.o[...]
2017-05-10
[121]
저널
Characterization of wild ''Prunus yedoensis'' analyzed by inter-simple sequence repeat and chloroplast DNA
https://www.scienced[...]
2012-04-18
[122]
저널
Taquet 신부의 왕벚나무: 엽록체 염기서열을 통한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의 계통학적 비교
http://ocean.kisti.r[...]
2017-05-15
[123]
저널
DNA fingerprinting study on the intraspecific variation and the origin of ''Prunus yedoensis'' (Someiyoshino)
https://www.jstage.j[...]
2017-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